KR100422466B1 - 완충형 캐스터 - Google Patents

완충형 캐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2466B1
KR100422466B1 KR10-2001-0014847A KR20010014847A KR100422466B1 KR 100422466 B1 KR100422466 B1 KR 100422466B1 KR 20010014847 A KR20010014847 A KR 20010014847A KR 100422466 B1 KR100422466 B1 KR 1004224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ing groove
yoke
hole
arm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48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69427A (ko
Inventor
손덕수
전상운
김대권
Original Assignee
경창정공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창정공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경창정공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148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2466B1/ko
Publication of KR200100694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94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24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24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900/00Purpose of invention
    • B60B2900/30Increase in
    • B60B2900/321Lifetime

Landscapes

  • Handcart (AREA)

Abstract

하중 및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부재의 구조를 개선한 완충형 캐스터가 개시된다. 상기 완충형 캐스터는 고무재의 패드 및 캡과 금속재의 스프링 두군데서 2중으로 하중 및 충격을 흡수하므로 충분한 크기의 완충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하중 및 충격의 정도에 따라서 패드에 안착되는 스프링의 갯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항상 적절하게 완충력을 조절할 수 있다. 그러므로, 대단히 편리하다. 또한, 완충부재가 균일하게 압축되므로 완충효율이 상승됨과 동시에 완충부재의 수명의 연장된다.

Description

완충형 캐스터 {SHOCK-ABSORBING TYPE CASTER}
본 발명은 하중 및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부재의 구조를 개선한 완충형 캐스터에 관한 것이다.
캐스터(Caster)란 운반장치의 하단부측에 결합되어 방향을 자유로이 변경할 수 있는 차바퀴를 말하며, 고정형 캐스터와 회전형 캐스터로 대별된다.
그리고, 완충형 캐스터는 하중 및 충격을 흡수하여 탑재된 물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도 구비하는데, 하중 및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부재로도 금속재의 스프링이 사용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완충형 캐스터는 금속재의 스프링과 완충형 캐스터의 소정 부위가 직접 접촉되므로 인하여 소음이 많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완충부재를 고무재로 마련한 완충형 캐스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완충형 캐스터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완충형 캐스터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대차 또는 이동테이블 등과 같은 운반장치의 저면에 결합ㆍ고정된 부착판(11)과 바닥과 접촉된 휠(13)이 마련된다. 부착판(11)과 휠(13)을 통하여 하중 및 충격이 전달되면, 부착판(11)과 휠(13) 사이에 설치된 커버(15)가하강한다. 그러면, 커버(15)의 내측에 설치된 고무재의 완충부재(17)가 압축되면서 하중 및 충격을 흡수하고, 이로인해 운반하고자 하는 물건과 캐스터의 손상이 방지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완충형 캐스터는 완충부재(17)가 고무재로 마련되므로 인하여, 충분한 크기의 완충력을 발생하지 못한다. 이로인해, 운반하고자 하는 물건 및 캐스터가 손상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충분한 크기의 완충력을 발생할 수 있으며, 완충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완충형 캐스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완충부재가 균일하게 압축되도록 하여 완충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는 완충형 캐스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완충형 캐스터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형 캐스터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크와 완충부재 및 아암의 분해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탑핀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6의 A-A선 단면도
도 8a 내지 도 8g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재의 스프링이 다양한 형태로 설치된 상태를 보인 것으로, 도 6의 B-B선 단면도.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재가 압축되는 것을 보인 것으로, 아암측의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탑플레이트 120 : 탑핀
130 : 요크 140 : 아암
150 : 휠 160 : 완충부재
161 : 패드 165 : 스프링
167 : 캡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완충형 캐스터는,운반장치의 저면에 고정된 탑플레이트, 상기 탑플레이트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고정된 탑핀, 상기 탑플레이트의 하측에 위치된 상기 탑핀에 결합되어 상기 탑핀과 동일하게 승강하는 전면 및 저면이 개방된 요크, 상기 탑핀의 하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요크를 지지하는 너트, 일단부측은 상기 요크의 양측면에 지지되고 타단부측은 상기 요크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바닥과 접촉된 휠을 지지하며 상기 요크의 승강 및 상기 휠의 상승에 의하여 상기 휠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쌍을 이루는 아암, 상기 아암에 설치되어 상기 운반장치의 하중 및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부재를 구비하는 완충형 캐스터에 있어서,상기 완충부재는 전면측은 상기 아암에 지지되고 배면은 상기 요크의 배면과 대향하는 고무재의 패드, 상기 패드의 내부에 균일하게 안치된 금속재의 다수의 스프링, 그리고 상기 패드의 배면에 결합되어 외면은 상기 요크의 배면과 면접촉하고 내면은 상기 패드의 배면 및 상기 스프링의 상단과 면접촉하는 고무재의 캡을 포함하면서 상기 아암에 의하여 회전하고,상기 완충부재 및 상기 아암에는 상기 완충부재가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아암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되게 하여 상기 완충부재의 배면이 상기 요크의 배면과 균일하게 접촉되면서 압축되게 하는 수단이 마련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형 캐스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형 캐스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정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대차 또는 이동테이블 등과 같은 운반장치의 저면과 결합되는 탑플레이트(110)가 마련된다. 탑플레이트(110)의 중앙부에는 탑핀(120)이 결합ㆍ고정되는데, 탑핀(120)은 탑플레이트(110)를 수직으로 관통한다. 그리하여, 탑핀(120)은 상기 운반장치의 하중 및 외부의 충격에 의해서 승강(乘降)하는 탑플레이트(110)와 동일하게 승강한다.
탑플레이트(110)의 하측으로 돌출된 탑핀(120)의 부위에는 전면 및 저면이 개방된 요크(130)가 결합되는데, 요크(130)는 탑핀(120)과 동일하게 승강한다. 그리고, 탑핀(120)의 하단부에는 요크(130)가 탑핀(12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너트(171)가 체결된다.
탑핀(120)이 관통하는 탑플레이트(110)와 요크(130)의 부위에는 하측함몰부(111) 및 상측함몰부(135)가 각각 형성된다. 상측함몰부(135)에는 탑핀(120)이 관통하는 관통공(137)(도 4참조)이 형성되는데, 관통공(137)은 사각관통공(137a)과 원형관통공(137b)이 겹쳐진(Overlap) 형태로 형성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사각관통공(137a)의 4변의 중앙부는 각각 라운딩지게 형성되고, 상기 라운딩부를 연결한 가상의 선이 원형관통공(137b)을 이루는 형태로 관통공(137)이 형성된다. 원형관통공(137)에,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탑핀(121)이 관통하면 요크(130)가 회전되고,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진 탑핀(123)이 관통하면 요크(130)는 회전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요크(130)가 회전되는 형태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설명한다.
요크(130)의 원활한 회전을 도와주는 상부베어링(173)이 하측함몰부(111) 및 상측함몰부(135)와 접촉되어 설치되고, 상부베어링(173)은 상면이 개방된 상부먼지덮개(175)에 의하여 보호된다. 즉, 상부먼지덮개(175)는 상측함몰부(135)를 관통하면서 설치된다.
상부먼지덮개(175)의 상단면과 인접하는 탑플레이트(110)에는 하측으로 돌출된 테 형상의 엠보싱(113)이 형성되는데, 엠보싱(113)은 탑플레이트(110)의 강도를 보강함과 동시에 탑플레이트(110)의 저면과 상부먼지덮개(175)의 상단면 사이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요크(130)와 너트(171) 사이의 탑핀(120)의 부위에는 하부베어링(177)과 하부베어링(177)을 감싸서 보호하는 하부먼지덮개(179)가 설치된다. 하부베어링(177)은 상측함몰부(135) 및 너트(179)와 접촉되어 요크(130)의원활한 회전을 도와준다.
본 실시예에 따른 탑플레이트(110)와 탑핀(120)과 요크(130)와 상,하부먼지덮개(175,179)는 각각 관통 또는 삽입되는 형태로 간단히 상호 결합된다.
요크(130)의 양측면 내측에는 쌍을 이루는 아암(140)의 일단부측이 지지되고, 아암(140)의 타단부측은 요크(130)의 외측으로 노출된다. 아암(140)의 타단부측에는 바닥과 접촉되어 회전축(151)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휠(150)이 결합된다. 그리고, 아암(140)에는 완충부재(160)(도 4 참조)가 지지되는데, 완충부재(160)는 상기 운반장치의 하중 및 충격을 흡수하여 운반하고자 하는 물건 및 완충형 캐스터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크와 완충부재 및 아암의 분해 사시도로써, 이를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요크(130)의 상측함몰부(135) 바로 외측에는 강도 보강용 엠보싱(135a)이 형성되고, 양측면 상ㆍ하측에는 제 1 및 제 2 결합공(131,133)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쌍을 이루는 아암(140)의 일단부측에는 제 1 및 제 2 결합공(131,133)과 각각 연통되는 회전제한공(141) 및 연통공(143)이 각각 형성된다. 이때, 회전제한공(141)은 요크(130)의 회전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로 형성되고, 연통공(143)은 제 1 결합공(131)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또, 아암(140)의 타단부에는 휠(150)의 회전을 지지하는 회전축(151)(도 3참조)이 삽입되는 축공(145)이 형성된다.
하중 및 충격에 의하여 요크(130)가 하강하고 휠(150)이 상승하면,아암(140)은 축공(145)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제 1 결합공(131) 및 회전제한공(141)에는 제 1 지지축(181)이 삽입ㆍ결합되고, 제 1 지지축(181)은 회전제한공(14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아암(140)의 회전각도를 제한한다. 제 1 지지축(181)에 의하여 아암(140)의 회전각도가 제한되는 것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 2 결합공(133) 및 연통공(143)에는 요크(130)와 아암(140)을 일체로 결합하는 제 2 지지축(183)이 삽입ㆍ결합되고, 제 2 지지축(183)은 아암(140)이 요크(130)와 동일하게 하강되게 안내한다.
전술한, 각진 탑핀(123)과 요크(130)가 결합된 구조에서는 상,하부베어링(173,177)과 상,하부먼지덮개(175,179)는 설치되지 않는다. 미설명부호 189는 부싱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재(160)는 요크(130)의 배면과 면접촉하여 균일하게 압축되면서 하중 및 충격을 흡수하는데, 이를 도 6 내지 도 8g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8a 내지 도 8g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재의 스프링이 다양한 형태로 설치된 상태를 보인 것으로, 도 6의 B-B선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완충부재(160)는 고무재로 마련된 육면체 형상의 패드(161)와 패드(161)에 내장된 다수의 스프링(165)과 패드(161)에 결합되는 고무재의 캡(167)을 포함한다.
패드(161)에는 각이진 회전안내판(187)이 관통ㆍ설치되고, 패드(161)의 외측으로 노출된 회전안내판(187)의 양단부는 아암(140)에 형성된 안내공(147)(도 4참조)에 삽입된다. 회전안내판(187) 보다 안내공(147)이 약간 더 크게 형성되는데, 회전안내판(187)에는 라운딩진 돌출레일(187a)이 형성되고, 안내공(147)에는 돌출레일(187a)와 동일한 곡률을 가지면서 돌출레일(187a)이 안착되는 안내홈(147a)(도 4참조)이 형성된다. 그리하여, 하중 및 충격에 의하여 아암(140)이 회전되면 패드(161)도 동일하게 회전된다. 그러면, 패드(161) 및 패드(161)에 안치된 스프링(165)이 불균일하게 압축되는데, 이때, 스프링(165)의 탄성력에 의하여 패드(161)가 아암(140)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즉, 패드(161)가 아암(140)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돌출레일(187a)과 안내홈(147a)이 마련된다. 그러면, 패드(161)는 항상 요크(130)의 배면과 평행을 유지하면서 접촉하므로 패드(161) 및 스프링(165)이 균일하게 압축되는 것이다. 그러다가, 아암(140)이 소정각도 회전하면 제 1 지지축(181)이 회전제한공(141)의 내주면에 걸려서 더 이상 회전하지 않게 된다. 이는, 아암(140)이 소정각도 이상 회전하면, 완충부재(160)가 불균일하게 압축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회전제한공(141)이 마련된다.
회전안내판(187)이 패드(16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안내판(187)에는 이탈방지공(187b)이 형성되고 패드(161)는 이탈방지공(187b)을 관통한다.
패드(161)의 배면에는 다수의 안착홈(162)이 형성되고, 안착홈(162)에 스프링(165)이 안치(安置)된다. 바람직하게는, 안착홈(162)은 7개가 형성된다. 제 1 안착홈(162a)은 패드(161)의 정중앙부에 형성되고, 제 2 안착홈(162b)과 제 3 안착홈(162c)은 제 1 안착홈(162a)을 기준으로 선대칭 및 점대칭되게 제 1 안착홈(162a)의 양외측에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제 4 안착홈(162d)과 제 5 안착홈(162e)은 제 1 안착홈(162a)과 제 2 안착홈(162b) 사이 및 제 1 안착홈(162a)과 제 3 안착홈(162c) 사이의 상측에 각각 형성된다. 이때, 제 4 안착홈(162d)과 제 5 안착홈(162e)은 제 1 안착홈(162a)을 기준으로 선대칭된다. 그리고, 제 6 안착홈(162f)과 제 7 안착홈(162g)은 제 1 안착홈(162a)과 제 2 안착홈(162b) 사이 및 제 1 안착홈(162a)과 제 3 안착홈(162c) 사이의 하측에 각각 형성된다. 이때, 제 6 안착홈(162f)과 제 7 안착홈(162g)도 제 1 안착홈(162a)을 기준으로 선대칭된다. 그리고, 제 4 안착홈(162d)과 제 6 안착홈(162f) 및 제 5 안착홈(161e)과 제 7 안착홈(162g)도 제 1 안착홈(162a)을 기준으로 선대칭된다. 그리고, 제 4 안착홈(162d)과 제 7 안착홈(162g) 및 제 5 안착홈(162e)과 제 7 안착홈(162f)은 제 1 안착홈(162a)을 기준으로 점대칭된다.
상기와 같은 안착홈(162)의 배치에 의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재(160)는, 안착홈(162)에 안치되는 스프링(165)의 갯수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즉, 도 8a 내지 도 8g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스프링(165)을 안착할 경우에는 제 1 안착홈(162a)에 안착하고, 3개의 스프링(165)을 안착할 경우에는 제 1 내지 제 3 안착홈(162a∼162c)에 스프링(165)을 각각 안착한다. 그리고, 6개의 스프링(165)을 안착할 경우에는 제 1 안착홈(162a)을 제외한 나머지 제 2 내지 제 7 안착홈(162b∼162g)에 스프링을 안착하면 된다.
패드(161)의 배면에는 고무재의 캡(167)이 덮힌다. 캡(167)의 외면은 요크(130)의 배면과 면접촉하고, 내면은 패드(161)의 배면 및 스프링(165)의 상단과 면접촉한다. 캡(167)은 스프링(165)의 상단이 요크(130)의 배면과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여 소음을 줄여준다. 캡(167)을 패드(161)에 결합하기 위하여, 캡(167)에는 결합돌기(167a)가 형성되고 패드(161)의 배면에는 결합돌기(167a)가 삽입되는 삽입홈(163)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완충형 캐스터의 작용을 도 9a 내지 도 9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재가 압축되는 것을 보인 것으로, 아암측의 정면도이다.
도 9a에 도시된 상태를 최초의 상태라 가정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운반장치를 이동시키면, 하중 및 충격이 작용하여 요크(130) 및 아암(140)은 하강하고, 반대로 휠(150)은 상승한다. 이로인해, 아암(140)은 휠(150)의 중심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완충부재(160)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러면, 완충부재(160)의 상측부위가 하측부위 보다 더 많이 압축되려고 하는데, 이때, 스프링(165)의 탄성력에 의하여 패드(161)가 안내홈(147a)의 곡면을 따라서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즉, 요크(130)의 배면과 패드(161)가 평행을 유지하는 상태까지 패드(161)가 회전하게 된다. 즉, 도 9b와 같은 상태가 된다.
그후, 아암(140)이 더 회전하여,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안내판(187)의 상부 우측면과 하부 좌측면이 각각 안내공(147)의 내주면이 접촉하는 상태가 되면, 제 1 지지축(181)이 회전제한공(141)의 내주면 우측과 접촉하게 된다. 그러면, 아암(140)은 더 이상 회전되지 않게 된다. 즉, 회전제한공(141)과 제 1 지지축(141)은 완충부재(160)가 균일하게 압축되는 상태까지만 아암(140)이 회전되도록 설계된다.
이와 같이 사용을 하다가, 완충력을 조절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패드(161)로부터 캡(167)을 분리한 후, 적절한 수의 스피링(165)을 안착홈(162)에 안착하면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하듯이, 본 발명에 따른 완충형 캐스터는 고무재의 패드 및 캡과 금속재의 스프링 두군데서 2중으로 하중 및 충격을 흡수하므로 충분한 크기의 완충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하중 및 충격의 정도에 따라서 패드에 안착되는 스프링의 갯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항상 적절하게 완충력을 조절할 수 있다. 그러므로, 대단히 편리하다.
또한, 완충부재가 균일하게 압축되므로 완충효율이 상승됨과 동시에 완충부재의 수명의 연장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및 변형한 것도 본 발명에 속함은 당연하다.

Claims (7)

  1. 운반장치의 저면에 고정된 탑플레이트, 상기 탑플레이트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고정된 탑핀, 상기 탑플레이트의 하측에 위치된 상기 탑핀에 결합되어 상기 탑핀과 동일하게 승강하는 전면 및 저면이 개방된 요크, 상기 탑핀의 하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요크를 지지하는 너트, 일단부측은 상기 요크의 양측면에 지지되고 타단부측은 상기 요크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바닥과 접촉된 휠을 지지하며 상기 요크의 승강 및 상기 휠의 상승에 의하여 상기 휠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쌍을 이루는 아암, 상기 아암에 설치되어 상기 운반장치의 하중 및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부재를 구비하는 완충형 캐스터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전면측은 상기 아암에 지지되고 배면은 상기 요크의 배면과 대향하는 고무재의 패드, 상기 패드의 내부에 균일하게 안치된 금속재의 다수의 스프링, 그리고 상기 패드의 배면에 결합되어 외면은 상기 요크의 배면과 면접촉하고 내면은 상기 패드의 배면 및 상기 스프링의 상단과 면접촉하는 고무재의 캡을 포함하면서 상기 아암에 의하여 회전하고,
    상기 완충부재 및 상기 아암에는 상기 완충부재가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아암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되게 하여 상기 완충부재의 배면이 상기 요크의 배면과 균일하게 접촉되면서 압축되게 하는 수단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형 캐스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크의 상면에는 상측함몰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측함몰부에는 상기 탑핀이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되,
    상기 관통공은 사각관통공과 상기 사각관통공 4변의 중앙부에서 각각 라운딩지게 돌출된 원형관통공이 겹쳐진(Overlap)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형 캐스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탑핀은 원형으로 마련되어 상기 관통공의 원형관통공을 관통하고, 상기 요크는 상기 탑핀과는 독립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탑플레이트와 상기 요크의 사이 및 상기 요크와 상기 너트 사이에는 상부 및 하부베어링과 상기 상부베어링 및 상기 하부베어링을 감싸는 상부 및 하부먼지덮개가 설치되고,
    상기 탑플레이트와 상기 탑핀과 상기 요크와 상기 상부먼지덮개 및 상기 하부먼지덮개는 상호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기 상부먼지덮개의 상단면과 인접하는 상기 탑플레이트의 부위에는 하측으로 돌출된 테 형상의 엠보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형 캐스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탑핀은 상기 관통공의 사각관통공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형 캐스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크의 측면 상측 및 하측에는 제 1 및 제 2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쌍을 이루는 아암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결합공과 각각 연통되는 회전제한공과 연통공이 각각 형성되되, 상기 회전제한공은 상기 요크의 회전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를 가지고 상기 연통공은 상기 제 1 결합공과 동일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 1 결합공 및 상기 회전제한공에는 상기 아암이 상기 회전제한공을 따라 회전운동하도록 안내함과 동시에 상기 아암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제 1 지지축이 결합되고, 상기 제 2 결합공 및 상기 연통공에는 상기 요크와 아암을 일체로 결합하는 제 2 지지축이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형 캐스터.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에는 각이진 회전안내판이 상기 패드를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아암에는 상기 회전안내판이 헐겁게 삽입되는 안내공이 형성되며,
    상기 수단은,
    상기 회전안내판에 라운딩지게 돌출형성된 돌출레일과,
    상기 안내공을 형성하는 아암의 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돌출레일과 접촉하며, 상기 돌출레일과 동일한 곡률로 형성되어 상기 아암에 의하여 상기 완충부재가 회전될 때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회전안내판이 상기 아암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되게 하여 상기 완충부재가 상기 요크의 배면과 평행을 이루게 하는 안내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형 캐스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의 배면 및 상기 캡의 전면에는 상호 삽입되어 결합되는 삽입홈 및 결합돌기가 각각 마련되고,
    상기 패드의 배면에는 상기 스프링이 안착되는 제 1 내지 제 7 안착홈이 형성되되,
    상기 제 1 안착홈은 상기 패드의 정중앙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안착홈과 상기 제 3 안착홈은 상기 제 1 안착홈을 기준으로 선대칭 및 점대칭되게 상기 제 1 안착홈의 양외측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 4 안착홈과 상기 제 5 안착홈은 상기 제 1 안착홈과 상기 제 2 안착홈 사이 및 상기 제 1 안착홈과 상기 제 3 안착홈 사이의 상측에 각각 형성되되, 상기 제 4 안착홈과 상기 제 5 안착홈은 상기 제 1 안착홈을 기준으로 선대칭되게 마련되고,
    상기 제 6 안착홈과 상기 제 7 안착홈은 상기 제 1 안착홈과 상기 제 2 안착홈 사이 및 상기 제 1 안착홈과 상기 제 3 안착홈 사이의 하측에 각각 형성되되, 상기 제 6 안착홈과 상기 제 7 안착홈은 상기 제 1 안착홈을 기준으로 선대칭되게 마련되며,
    상기 제 4 안착홈과 상기 제 6 안착홈 및 상기 제 5 안착홈과 상기 제 7 안착홈은 상기 제 1 안착홈을 기준으로 선대칭되고, 상기 제 4 안착홈과 상기 제 7 안착홈 및 상기 제 5 안착홈과 상기 제 7 안착홈은 상기 제 1 안착홈을 기준으로 점대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형 캐스터.
KR10-2001-0014847A 2001-03-22 2001-03-22 완충형 캐스터 KR1004224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4847A KR100422466B1 (ko) 2001-03-22 2001-03-22 완충형 캐스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4847A KR100422466B1 (ko) 2001-03-22 2001-03-22 완충형 캐스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9427A KR20010069427A (ko) 2001-07-25
KR100422466B1 true KR100422466B1 (ko) 2004-03-11

Family

ID=19707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4847A KR100422466B1 (ko) 2001-03-22 2001-03-22 완충형 캐스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246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1464B1 (ko) 2006-07-21 2007-07-20 경창정공 주식회사 완충형 캐스터
KR101409344B1 (ko) 2012-11-21 2014-06-20 경창정공 주식회사 캐스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1165B1 (ko) * 2002-07-22 2004-07-21 명광산업주식회사 캐스터 완충장치
KR100696860B1 (ko) * 2006-07-31 2007-03-20 주식회사 태경이엔지 청소차량의 흡입구 바퀴 충격 완화장치
KR100922854B1 (ko) * 2007-07-18 2009-10-20 김춘식 현가장치를 갖는 캐스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85521A (en) * 1982-06-21 1984-12-04 Metropolitan Wire Corporation Shock absorbing caster provided with an elastomeric member to prevent water collection therein
JPS6425905U (ko) * 1987-08-06 1989-02-14
US5448796A (en) * 1993-10-20 1995-09-12 Larson; Albert W. Sprung castor wheel assembly
KR200186107Y1 (ko) * 2000-01-14 2000-06-15 정광섭 캐스터용 완충부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85521A (en) * 1982-06-21 1984-12-04 Metropolitan Wire Corporation Shock absorbing caster provided with an elastomeric member to prevent water collection therein
JPS6425905U (ko) * 1987-08-06 1989-02-14
US5448796A (en) * 1993-10-20 1995-09-12 Larson; Albert W. Sprung castor wheel assembly
KR200186107Y1 (ko) * 2000-01-14 2000-06-15 정광섭 캐스터용 완충부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1464B1 (ko) 2006-07-21 2007-07-20 경창정공 주식회사 완충형 캐스터
KR101409344B1 (ko) 2012-11-21 2014-06-20 경창정공 주식회사 캐스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9427A (ko) 2001-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1464B1 (ko) 완충형 캐스터
CA2592365C (en) Bolster and spring pockets for use with rail truck
CA1215881A (en) Damping mechanism for a truck assembly
US4575896A (en) Caster with an oscillation stopping mechanism
US6752230B1 (en) Supplementary wheel support for a motorized wheelchair
KR100422466B1 (ko) 완충형 캐스터
BRPI0900883B1 (pt) suporte lateral para utilização em um truque de vagão ferroviário
CA2051805C (en) Spring loaded heavy duty caster system for supporting a fluidized patient support system
EP1000780B1 (en) Suspension system for a vehicle
CN111573485A (zh) 一种电梯层门导向装置
JP3590423B2 (ja) リニアモータ駆動方式エレベーターのリニアモータ支持装置
KR101154859B1 (ko) 제동구조를 갖는 의자의 바퀴조립체
CN210882376U (zh) 一种万向轮装置
US5865451A (en) Angular auto-adjustive skid-proof pad system on a baby stroller
KR102252408B1 (ko) 완충 기능을 가진 캐스터
CN218536213U (zh) 一种减震脚轮
KR200186107Y1 (ko) 캐스터용 완충부재
CN212887694U (zh) 一种人工智能机器人的移动装置
CN213442717U (zh) 一种输送带转运的托运装置
KR102527352B1 (ko) 충격 완화를 위한 요소가 구비된 자율 주행 로봇
CN214823726U (zh) 履带组件及爬壁机器人
FR2522377A1 (fr) Ensemble de couplage de deux corps mobiles entre eux
CN211107766U (zh) 车辆底盘组件和自动导引运输车
CN111845980B (zh) 履带组件和履带机械
SU1585194A1 (ru) Устройство сочленени боковой рамы тележки с буксами колесных па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8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