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3986B1 - 소형 전지에 이용되는 리드선재에 대한 밀봉재의 접착 방법및 접착 장치 - Google Patents

소형 전지에 이용되는 리드선재에 대한 밀봉재의 접착 방법및 접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3986B1
KR100693986B1 KR1020057009036A KR20057009036A KR100693986B1 KR 100693986 B1 KR100693986 B1 KR 100693986B1 KR 1020057009036 A KR1020057009036 A KR 1020057009036A KR 20057009036 A KR20057009036 A KR 20057009036A KR 100693986 B1 KR100693986 B1 KR 1006939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material
lead
lead material
pieces
sea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9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72829A (ko
Inventor
도모미 아사꾸라
마사유끼 오오쯔까
Original Assignee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728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28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3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39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72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0585Construction or manufacture of accumulators having only flat construction elements, i.e. flat positive electrodes, flat negative electrodes and flat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01M50/55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on the same side of the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3Terminals adapted for prismatic, pouch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72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 H01M50/174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 H01M50/178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for pouch or flexible bag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3Terminals adapted for prismatic, pouch or rectangular cells
    • H01M50/557Plate-shaped termin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형 전지에 이용되는 리드재 - 밀봉재간의 밀착성 향상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해, 밀봉재의 접착 공정에 있어서 절단구를 이용하여 밀봉재를 미리 정해진 길이의 복수의 개편으로 절단하고, 각각의 개편을 압착구로 보유 지지하고, 인접하는 개편을 리드재의 상하에서 정면으로 마주보게 하여 세트를 만들고, 이들 세트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배치한 후 압착구를 거쳐서 리드재에 대한 밀봉재의 접착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밀봉재, 리드재, 접착 장치, 재료 이송부, 릴

Description

소형 전지에 이용되는 리드선재에 대한 밀봉재의 접착 방법 및 접착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ASTING SEALING MATERIAL TO LEAD WIRE FOR USE IN SMALL BATTERY}
본 발명은 폴리머 리튬 전지, 리튬 이온 전지, 어드밴스트 리튬 이온 전지 등, 알루미늄 등으로 이루어지는 라미네이트 외장 부재를 이용한 전지에 사용되는 리드선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리드선에 접착되어 라미네이트 외장 부재와 리드선 사이를 밀봉하기 위해 이용되는 밀봉재의 리드선(재)에 대한 접착 방법 및 접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 휴대 전화 등의 소형 경량인 휴대 단말 기기의 보급에 수반하여, 이들 단말 기기에 대해 구동용 전력을 제공하는 전지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이들 전지로서는, 장기간, 다수회의 충전에도 견딜 수 있는 동시에 소형이면서 또한 안정된 출력 특성을 구비하는 것이 요구된다. 그리고, 이들 요구를 충족시키는 전지로서 폴리머 형상의 전해질층을 갖는 폴리머 리튬 이차 전지인 리튬 이온 전지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도12에, 폴리머 리튬 이차 전지(2)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다. 폴리머 리튬 이차 전지(2)는 고분자 재료에 가소제를 혼합하여 작성된 폴리머 전해질층(2a)과, 정전극(2b) 및 부전극(2c)을 적층하여 구성되어 있고, 양 전극에는 전력을 취출하기 위한 리드선재(5)가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전지에 이용되는 전해질층 등의 각 재료는, 대기 중의 수분 등에 의해 그 특성이 크게 변동될 가능성이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전지에 있어서는 리드선재(5)(이하, 리드재)를 제외한 전해질층(2a), 정전극(2b) 및 부전극(2c)이 알루미늄 등의 도시하지 않은 외장 재료(4)에 의해 밀봉되어 있다. 외장재(4)는, 도면 중 쇄선에 의해 도시된 위치에서 전해질층(2a) 등을 밀봉한다. 리드재(5)는 이 외장부의 밖으로 인출하는 것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리드재(5) 및 외장재(4)의 각 사이에 밀봉재(3)를 끼워 넣고, 이에 의해 리드재 주위의 밀봉을 완전한 것으로 하고 있다.
통상, 이 밀봉재를 끼워 넣는 방법으로서 이하의 2 가지의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우선 제1 경우로, 외장 부재에 의한 밀봉 전의 전지에 대해 미리 리드재가 접속되어 있고, 상기 리드재에 밀봉재를 접착하는 동시에 밀봉 공정을 행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정전극 및 부전극으로부터의 리드재를 전해질 등의 적층체에 대해 정렬시키고, 리드재의 상측과 하측에 있어서 리드재의 연장 방향과 직각인 방향으로 밀봉재를 배치한다. 다음에, 외장재를 거쳐서 밀봉재와 리드재를 압접하는 동시에 이들을 가열하고, 융해 물질로 이루어지는 밀봉재를 융해하여 외장재와 리드재 사이를 밀봉재에 의해 융착 및 밀봉시킨다.
제2 경우로서, 리드재에 대해 미리 밀봉재가 접착되어 있고, 이를 이용하여 전해질 등의 적층체를 작성하고, 그 후 밀봉 작업을 행하는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일본 특허 공개 평11-312514에 그 예가 개시된 바와 같이, 이 경우 밀봉된 리드재를 미리 형성하여 이 리드재를 적절하게 절단하고, 절단 후의 밀봉된 리드재가 전지 형성에 이용되고 있다. 또한, 밀봉재와 외장재와의 융착에 있어서는 전술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외장재를 거쳐서 이들 부재의 압접 및 가열이 행해진다. 이러한 리드재에 대해 밀봉재를 미리 접착하는 공정의 개념도를 도13에 도시한다. 도면 중, 조출 릴(6)에 권취된 리드재(5)를 화살표 방향으로 차례로 송출하고, 밀봉재의 개편(3)을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그 상하면에 한 쌍으로서 접착하고, 밀봉재(3)의 개편 접착 후의 리드재(5)를 권취 릴(7)에 권취하고 있다.
밀봉재와 리드재 사이를 확실하게 밀봉하기 위해서는, 밀봉재와 접촉하는 리드재 표면을 밀봉재의 용융 온도 이상으로 가열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상술한 제1 방법에 있어서도 밀봉재의 가열은 외장재를 거처셔 이루어지기 때문에, 외장재에 의한 열 도피가 발생된다. 또한 어떠한 경우에 있어서도, 리드재도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아 이 리드재로부터의 열 도피도 발생된다. 이로 인해, 가열 상태의 파악이 불충분한 경우 밀봉재의 용융이 불충분해져 확실한 밀봉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일어날 수 있다.
또한, 리드재가 충분히 가열되는 이상의 장시간의 가열을 행한 경우에는, 밀봉재가 필요 이상으로 융해되어 미리 정해진 밀봉 부분으로부터 비어져 나와, 압착 공정에 이용한 공작 기계 등에 이것이 부착되는 사태도 일어날 수 있다. 따라서, 압착시에 있어서 밀봉재의 융해 상태를 확실하게 제어하는 것이 요구된다. 또한, 상술한 제1 경우 압착에 이용하는 부하가 걸리는 방향과는 수직이 되는, 예를 들어 리드재 측면 등은 압착, 융착 공정의 개시시에 밀봉재가 접촉하지 않는다. 이로 인해, 이 부분에 있어서의 밀봉이 불충분해지는 개연성은, 미리 밀봉재와 리드재의 융착이 이루어져 있는 제2 경우와 비교하여 높다고 생각된다.
이상의 관점에서, 보다 확실한 밀봉성을 얻고자 한 경우 제2 경우로서 언급한 밀봉 공정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또한, 상기 밀봉 공정에 있어서는 융해, 융착에 가장 시간이 걸리는 리드재 - 밀봉재 사이가 미리 융착되어 있으므로, 전지 제조시의 생산성이 향상된다고 하는 이점도 있다. 그러나, 제2 경우에 있어서는 밀봉재를 접착한 리드재를 미리 제조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이 경우, 이후에 행해지는 외장재와 밀봉재 사이를 융착시키는 공정에 있어서는, 밀봉재와 리드재와의 융착 상태는 기본적으로는 변화하지 않을 것이라 생각된다.
이로 인해, 상기 공정에 있어서는 융착 상태의 불비, 예를 들어 공극 등이 잔존한 경우, 이후의 공정에 있어서 이를 수복하는 것은 곤란하다. 따라서, 밀봉재와 리드재를 접착할 때에 이들 사이가 완전하게 밀착(융착)되어 있는 것이 요구된다. 이로 인해, 핫 멜트법 혹은 압출 라미네이트법에 의해 리드재 상에 밀봉재를 형성하는 방법도 채용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방법은, 리드재 상의 독립된 복수의 미소 영역 상에 밀봉재를 형성하는 경우, 설비의 복잡화 등을 초래하여 제조 비용의 관점으로부터 그다지 바람직하다고는 생각되지 않는다.
또한, 테이프 형상의 밀봉재를 절단하고, 이를 리드재 상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접착하는 종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밀봉재 외주로부터의 가열에 의해 리드재를 따뜻하게 하고 있었다. 이로 인해, 리드재에 대한 온도 관리가 어려워 리드재와 밀봉재 사이의 밀착성을 확실하게 관리할 수 없는 경우도 생각할 수 있었다. 또한 이 경우, 밀봉재의 잉여분이 절단 제거되어 있어, 제조 비용 삭감의 관점으로부터 이 제거분의 삭감이 요구되고 있었다.
또한 상술한 전지는, 휴대 전화 등의 소형 단말 기기에 이용되므로, 단순히 소형화할 뿐만 아니라 단말 기기에 따라서 요구되는 형상 및 디자인으로 하는 것이 요구된다. 따라서, 리드재에 밀봉재를 접착할 때에 그 접착 피치 등이 용이하게 변경 가능한 것도 동시에 요구된다. 그러나, 상술한 핫 멜트법 등에 있어서는 이들 접착 피치의 변경은, 상기 방법에 이용하는 장치의 복잡 또한 미묘한 조정을 필요로 하고 있었다. 또한, 통상 이용되는 리드재에 대해 밀봉재를 복수 동시에 접착하는 장치에 있어서도 밀봉 파지부를 일단 떼어내어 그 고정 피치를 변경하는 등, 복잡하고 또한 미묘한 조정을 필요로 하는 작업이 필요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확실한 리드재 - 밀봉재 사이의 밀착성을 확보하면서 동시에 밀봉재의 접착 피치 등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리드재에 대한 밀봉재의 접착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이용되는 간이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리드재에 대한 밀봉재의 접착 방법은 밀봉재를 미리 정해진 길이를 갖는 개편으로 분리하고, 리드재 상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대해 개편의 각각을 융착시키는 리드재에 대한 밀봉재의 접착 방법이며, 복수의 압착구로 밀봉재를 보유 지지하는 공정과, 복수의 절단구를 이용하여 보유 지지된 밀봉재를 미리 정해진 길이를 갖는 개편으로 절단하는 공정과, 복수의 압착구를 구동하여 인접한 개편이 리드재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세트가 되는 동시에, 세트 각각이 미리 정해진 위치에 대응하도록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리드재 상에 배치되도록 개편을 이송하는 공정과, 리드재를 상기 미리 정해진 위치 이외의 영역에 걸쳐서 밀봉재 개편의 융점 이상으로 가열하여 그 온도를 유지하는 공정과, 복수의 압착구를 거쳐서 리드재에 대해 밀봉재 개편을 접착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전술한 방법에 있어서는, 리드재는 밀봉재와 미리 정해진 거리를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고, 개편에 관해서는 미리 정해진 거리를 이송하는 동안에 세트의 형성과 세트 사이에 있어서의 일정한 간격의 형성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개편이 이송될 때에 상기 인접한 개편이 세트를 형성한 후, 복수의 상기 세트가 대략 방사 형상의 궤적을 그려 리드재 상으로 이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혹은, 개편이 이송될 때에 인접한 개편이 세트를 형성하고, 세트 각각의 사이의 간격이 같은 비율로 변화하면서 리드재 상으로 이동 탑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세트의 리드재 상으로의 이동과 함께 세트 각각의 간격 조정이 행해지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한 방법에 있어서는 상술한 공정에다가 리드재 및 리드재에 접착된 밀봉재를 가압하고, 동시에 가열하여 재압착 상태의 개선을 도모하는 공정, 혹은 밀봉재가 접착된 후방 리드재의 가열 및 접착된 밀봉재 가열을 행하여, 접착된 전방 밀봉재를 용융시키는 공정 중 적어도 한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리드재에 대한 밀봉재의 접착 방법은 밀봉재를 미리 정해진 길이를 갖는 개편으로 분리하고, 리드재 상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대해 개편의 각각을 융착시키는 리드재에 대한 밀봉재의 접착 방법이며, 개편을 리드재 상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접착하는 공정에 있어서, 리드재는 상기 미리 정해진 위치 이외의 영역에 걸쳐서 밀봉재 개편의 융점 이상으로 가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전술한 방법에 있어서는 또한 리드재 및 리드재에 접착된 밀봉재를 가압하고, 동시에 가열하여 재압착 상태의 개선을 도모하는 공정, 혹은 밀봉재가 접착된 후방 리드재의 가열 및 접착된 밀봉재 가열을 행하여, 접착된 밀봉재를 용융시키는 공정 중 적어도 한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리드재에 대한 밀봉재의 접착 장치는, 밀봉재를 미리 정해진 길이를 갖는 개편으로 분리하고, 리드재 상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대해 개편을 융착시키는 리드재에 대한 밀봉재의 접착 장치이며, 장치에 있어서의 밀봉재 접착부는 리드재를 미리 정해진 배치로 보유 지지하는 리드재 보유 지지구와, 밀봉재를 복수의 개편으로 분리하는 절단 유닛과, 연속하는 개편 각각에 대해 1개 간격으로 대응하도록 밀봉재의 길이 방향으로 병치된 개편을 보유 지지 가능한 복수의 제1 압착구와, 연속하는 개편 각각에 대해 1개 간격이며 제1 압착구에 보유 지지되지 않는 개편에 대응하도록 밀봉재의 길이 방향으로 병치된 개편을 보유 지지 가능한 복수의 제2 압착구를 갖고, 제1 압착구 및 제2 압착구가 개편을 리드재 상의 미리 정해진 위치로 이송할 때에 인접한 제1 압착구와 제2 압착구가 개편을 보유 지지하는 부분에 있어서 대향하여 세트가 되고, 이에 의해 형성된 복수의 세트로 된 제1 압착구 및 제2 압착구 각각의 간격을 변화시키는 압착구 이동 방향 규제 장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전술한 장치에 있어서는, 압착구 이동 방향 규제 장치는 제1 압착구의 단부에 형성된 제1 돌기와, 제1 돌기를 수용하는 제1 홈 캠, 제2 압착구의 단부에 형성된 제2 돌기와, 제2 돌기를 수용하는 제2 홈 캠을 갖고, 제1 홈 캠 및 제2 홈 캠은 이들을 정면으로 마주보게 하여 조감한 경우, 제1 홈 캠과 제2 홈 캠은 그 기점에 있어서 개편의 중심 간격과 대응하도록 번갈아 배치되고, 기점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를 경유하여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혹은, 압착구 이동 방향 규제 장치는, 제1 압착구의 단부에 형성된 제1 돌기와, 제1 돌기를 수용하는 제1 홈 캠, 제2 압착구의 단부에 형성된 제2 돌기와, 제2 돌기를 수용하는 제2 홈 캠을 갖고, 제1 홈 캠 및 제2 홈 캠은 이들을 정면으로 마주보게 하여 조감한 경우, 제1 홈 캠과 제2 홈 캠은 그 기점에 있어서 개편의 중심 간격과 대응하도록 번갈아 배치되고, 기점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를 경유하여 일치하고, 일치 후에는 그 상태를 유지하여 각각의 홈 캠 사이의 간격이 같은 비율을 유지하면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한 장치에 관해서는 제1 홈 캠 및 제2 홈 캠이 형성된 각각의 부재는 동기하고, 또한 제1 및 제2 압착구는 독립하여 구동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리드재 보유 지지구는 히터 블록으로 이루어지고, 리드재 상의 개편이 접착되는 미리 정해진 위치 이외를 협지하여 리드재의 가열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한 장치에 관해서는, 리드재 및 리드재에 접착된 밀봉재에 대한 가압 및 가열을 행하는 압착 유닛, 혹은 밀봉재가 접착된 후 리드재의 가열 및 접착된 밀봉재의 가열을 행하여, 접착된 상기 밀봉재를 용융시키는 가열 유닛 중 적어도 한 유닛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리드재에 대한 밀봉재의 접착 장치는 밀봉재를 미리 정해진 길이를 갖는 개편으로 분리하고, 리드재 상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대해 개편을 융착시키는 리드재에 대한 밀봉재의 접착 장치이며, 장치에 있어서의 밀봉재 접착부는 리드재를 미리 정해진 배치로 보유 지지하는 리드재 보유 지지구와, 밀봉재를 복수의 개편으로 분리하는 절단 유닛과, 개편을 보유 지지 가능하며 개편을 리드재 상의 미리 정해진 위치로 이송하고, 또한 리드재에 대해 개편을 실제로 접착하는 복수의 제1 압착구와, 개편을 보유 지지 가능하며 개편을 상기 리드재 상의 미리 정해진 위치로 이송하고, 또한 리드재에 대해 개편을 실제로 접착하는 복수의 제2 압착구를 갖고, 리드재 보유 지지구는 히터 블록으로 이루어지고, 리드재 상의 개편이 접착되는 미리 정해진 위치 이외를 협지하여 리드재의 가열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전술한 장치에 관해서는 리드재 및 리드재에 접착된 밀봉재에 대한 가압 및 가열을 행하는 압착 유닛, 혹은 밀봉재가 접착된 후 리드재의 가열 및 접착된 밀봉재 가열을 행하여 접착된 밀봉재를 용융시키는 가열 유닛 중 적어도 한 유닛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밀봉재 접착 장치에 있어서의 전체를 정면으로부터 본 경우에 있어서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접착부를 정면으로부터 본 경우에 있어서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3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접착부를 측면으로부터 본 경우에 있어서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4는 절단 유닛(110)에 있어서의 밀봉재(3)의 절단 상태에 있어서의 각 구성 요소의 개략 배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5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절단 유닛(110)에 있어서의 밀봉재(3)의 접착 상태에 있어서의 각 구성 요소의 개략 배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6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상측 및 하측 베이스판에 형성된 홈 캠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홈 캠 등의 배치도이다.
도7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접착부를 측면으로부터 본 경우에 있어서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8은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절단 유닛(110)에 있어서의 밀봉재(3)의 접착 상태에 있어서의 각 구성 요소의 개략 배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9a는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상측 및 하측 베이스판에 형성된 홈 캠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홈 캠 등의 배치도이다.
도9b는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상측 및 하측 베이스판에 형성된 홈 캠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홈 캠 등의 배치도이다.
도10은 도10a 및 도10b로 구성되어 있고, 본 발명에 관한 리드재에 대한 밀봉재의 접착 공정에 관한 흐름도이다.
도11a는 본 발명에 관한 압착 유닛을 정면으로부터 본 상태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11b는 본 발명에 관한 가열 유닛을 정면으로부터 본 상태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12는 폴리머 리튬 이차 전지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13은 리드재에 대해 밀봉재를 미리 접착하는 공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밀봉재의 접착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장치를 정면으로부터 본 경우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접착 장치(1)는, 밀봉재(3) 및 리드재(5)가 운반되는 순서로 배치된 밀봉재 조출부(10), 릴재 조출부(20), 재료 이송부(30), 접착부(100), 재압착부(40), 검사부(50) 및 권취부(60)로 구성된다.
상기 장치에 있어서는, 밀봉재 조출부(10)는 밀봉재(3)가 권취된 밀봉재용 릴(11), 릴(11)을 회전 가능하게 보유 지지하는 밀봉재용 릴 보유 지지부(12), 릴(11)로부터 인출된 밀봉재(3)를 가이드하는 밀봉재용 가이드 롤러(13, 15) 및 밀봉재(3)에 대해 일정한 부하를 부여하는 밀봉재용 텐션 롤러(14)로 구성된다. 또한, 리드재 조출부(20)는 리드재(5)가 권취된 리드재용 릴(21), 릴(21)을 회전 가능하게 보유 지지하는 리드재용 릴 보유 지지부(22), 릴(21)로부터 인출된 리드재(5)를 가이드하는 리드재용 가이드 롤러(23, 25, 27), 리드재(5)의 평탄화를 도모하는 평탄화 롤러(24) 및 리드재(5)에 대해 일정한 부하를 공급하는 리드재용 텐션 롤러 (26)로 구성된다.
재료 이송부(30)는 지면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병치된 밀봉재 이송부(31) 및 리드재 이송부(35)로 구성된다. 밀봉재 이송부(31)는 밀봉재(3) 단부를 흡착 보유 지지하는 흡착 기구(32) 및 흡착 기구(32)를 도면 중 화살표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도시되지 않은 직선 왕복 기구를 갖는다. 리드 이송부(35)는 리드재(5)를 협지하기 위한 클램프 기구(36) 및 클램프 기구(36)를 도면 중 화살표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도시되지 않은 직선 왕복 기구를 갖는다.
밀봉재(3) 및 리드재(5)는, 재료 이송부(30)를 경유하여 후술하는 접착부(100)로 이송된다. 밀봉재(3)는 접착부(100)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크기 및 피치로 리드재(5) 상에 접착된다. 그 외, 이들 리드재 등의 완성품(7)은 재압착부(40)로 이송된다. 재압착부(40)는 반송되는 완성품(7)의 상하에 배치되는 압착 유닛(41) 및 가열 유닛(42)을 갖고 있다.
압착 유닛(41)을 정면으로부터 본 경우의 개략 구성을 도11a에 도시한다. 압착 유닛(41)은 상측 플레이트(43) 및 하측 플레이트(44)로 구성되어 있고, 이들 플레이트(43, 44)는 도시되지 않은 가압 기구에 의해 리드재(5)를 중심으로 하여 각각 마주보는 방향으로 압박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이들 플레이트(43, 44)는 도시되지 않은 온도 조절 기구에 의해, 예를 들어 밀봉재(3)의 융점보다 2 내지 30도 높은 온도가 되도록 온도 관리가 이루어져 있다. 압착 유닛(41)에 있어서는, 리드재(5)의 양면에 접착된 밀봉재(3)의 개편에 대해 상측 플레이트(43) 및 하측 플레이트(44)에 의해 다시 압력의 부가 및 가온이 이루어진다. 이에 의해, 접착부 (100)에서는 불충분했던, 예를 들어 리드재(5)의 측면 등에 대한 밀봉재의 밀착성이 개선된다.
가열 유닛(42)을 정면으로부터 본 경우의 개략 구성을 도11b에 도시한다. 가열 유닛(42)은 상측 가열 플레이트(46) 및 하측 가열 플레이트(47)로 구성되어 있고, 이들 플레이트(46, 47)는 도시되지 않은 가압 기구에 의해 리드재(5)를 중심으로 하여 각각 마주보는 방향으로 압박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이들 플레이트(46, 47)에는 그 마주보는 면에 각각 상측 오목부(46a) 및 하측 오목부(47a)가 구성되어 있고, 이들 오목부는 리드재(5) 상에 접착된 밀봉재(3)의 개편이 수용 가능한 크기를 갖고 있다. 또한, 이들 플레이트(46, 47)도 압착 유닛(4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도시되지 않은 온도 조절 기구에 의한 온도 관리가 이루어져 있다.
상측 가열 플레이트(46) 및 하측 가열 플레이트(47)는, 밀봉재 개편의 양단부 근방에서 리드재(5)를 협지하고 이를 미리 정해진 온도까지 가열한다. 동시에 상측 오목부(46a) 및 하측 오목부(47a)에 의해 형성된 공간을 거쳐서, 이들 가열 플레이트(46, 47)에 의한 밀봉재 개편의 간접 가열이 이루어진다. 이에 의해, 압착 유닛(41)으로 리드재(5)에 재압착된 밀봉재를 용융하여, 밀봉재와 리드재 사이에 존재하는 간극을 완전하게 없애는 것이 가능해진다.
검사부(50)에는 촬상 장치(51)가 배치되어, 상기 촬상 장치에 의해 리드재(5) 상에 접착된 밀봉재(3)의 영상을 얻고, 이 영상을 기초로 하여 밀봉재(3)의 유무 및 그 접착 상태 등이 확인된다. 권취부(60)는 밀봉재 접착 후의 완성품(7)인 리드재가 권취된 완성품용 릴(61), 릴(61)을 회전 가능하게 보유 지지하는 완성품 용 릴 보유 지지부(62), 릴(61)에 권취되는 완성품(7)을 릴(61)에 가이드하는 완성품용 가이드 롤러(63, 65, 66) 및 완성품(7)에 대해 일정한 부하를 부여하는 완성품용 텐션 롤러(64)로 구성된다.
밀봉재용 릴(11)에 보유 지지된 밀봉재(3)는 밀봉재용 텐션 롤러(14)에 의해 일정한 텐션으로 유지된 상태에서 흡착 기구(32)에 보유 지지되고, 그 상태에서 흡착 기구(32)가 화살표 A 방향으로 구동함으로써 접착부(100)로 이송된다. 또한, 리드재용 릴(21)에 보유 지지된 리드재(5)는 리드재용 텐션 롤러(26)에 의해 일정한 텐션으로 유지된 상태에서 클램프 기구(36)에 협지되고, 그 상태에서 클램프 기구(36)가 화살표 방향으로 구동함으로써 접착부(100)로 이송된다.
후술하는 접착부(100)에 있어서, 밀봉재(3)는 미리 정해진 폭으로 절단되어 다시 릴재(5) 상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접착된다. 완성품(7)이 되는, 밀봉재(3) 접착 후의 리드재(5)는 재압착부(40)로 운반되고, 리드재(5)의 상하면 방향으로부터 가압되어 밀봉재(3)의 접착 상태의 개선이 도모된다. 가압 후의 리드재(7) 등은, 압착부(40)의 후방단에 배치된 검사부(50)에 있어서 밀봉재(3)의 접착 유무 및 접착 상태 등이 검사된다. 검사 종료 후의 리드재(7) 등은 권취부(60)로 이송되고, 완성품용 텐션 롤러(64)에 의해 일정한 부하가 걸린 상태에서 가이드 롤러(63, 65, 66)를 경유하여 릴(61)에 권취된다. 이상의 공정을 거쳐서 리드재 상에 밀봉재가 접착된 완성품(7)이 얻어진다.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접착부(100)에 대해 상세하게 서술한다. 또한, 상기 접착부(100)는 용도에 따라서 리드재(5)에 대해 밀봉재(3)의 개편을 접착하는 위치가 정해진 구성 및 상기 접착 위치를 변경 가능하게 하는 구성의 2 종류가 포함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접착 위치 고정의 것을 제1 실시예, 가변의 것을 제2 실시예로 하여 상세하게 서술한다.
<제1 실시예>
도2에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접착부(100)를 정면으로부터 본 상태의 개략 구성을, 도3에 측면으로부터 이를 본 상태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다. 또한, 도4에 상기 형태에 있어서 밀봉재(3)를 절단하기 직전에 있어서의 각 구성의 배치의 개략을, 도5에 상기 형태에 있어서 밀봉재(3)를 리드재(5)에 접착하기 직전에 있어서의 각 구성의 배치의 개략을 각각 도시한다. 접착부(100)는 절단 유닛(110), 상측 압착 유닛(120), 하측 압착 유닛(150), 가열 유닛(180)으로 구성된다. 가열 유닛(180)은 리드재(5)의 보유 지지구로서도 작용한다.
여기서, 각 구성 요소의 구동 방향에 관한 설명을 용이한 것으로 하기 위해, 도2에 도시된 지면과 대략 평행한 방향을 X축, 지면에 평행하고 또한 X축에 수직인 방향을 Z축 및 X축 및 Z축에 수직(지면에 수직)인 방향을 Y축이라 정의한다. 이들 정의는, 제1 실시 형태뿐만 아니라 후술하는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한다.
절단 유닛(110)은 절단구인 복수의 커터(111a 내지 111j), 이들 커터를 보유 지지하는 커터 홀더(112a 내지 112e), 커터 홀더가 고정되는 지지 베이스(113) 및 지지 베이스(113)와 연결되어 이를 Z축 방향으로 구동하는 실린더(114)로 구성된다. 커터 홀더(112a 내지 112e)는 Z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각각 X축 방향으 로 일정한 간격을 보유 지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커터(111a 내지 111j)는 그 날 부분이 도면 중 Z축 방향 하방을 향하도록, 또한 각각의 X축 방향에 있어서의 간격이 일정해지도록 커터 홀더(112a 내지 112e) 각각의 양측에 부착되어 있다.
상측 압착 유닛(120)은, 상측 압착 유닛 부착대(121), 상측 베이스판(123), 상측 Y축 방향 가이드 레일(125a 및 125b), 상측 슬라이드 테이블(127), 상측 X축 방향 가이드 레일(129a 및 129b), 상측 압착구(131a 내지 131e)를 그 구성으로서 갖고 있다. 또한, 하측 압착 유닛(150)은 XY 평면에 관하여 상측 압착 유닛(120)과 대략 대칭이 되고, 하측 압착 유닛 부착대(151), 하측 베이스판(153), 하측 Y축 방향 가이드 레일(155a 및 155b), 하측 슬라이드 테이블(157), 하측 X축 방향 가이드 레일(159a 및 159b), 하측 압착구(161a 내지 161e)를, 그 구성을 갖고 있다.
또한, 상측 압착 유닛(120) 및 하측 압착 유닛(150)은 각각 Z축 방향의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로 인해, 상측 압착 유닛 부착대(121)에는 상측 유닛 상하 이동용 레버(135)가, 또한 하측 압착 유닛(150)에는 하측 유닛 상하 이동용 레버(165)가 각각 부착되어 있다. 또한, 그 상하 이동을 안정화시키기 위해 Z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측 Z축 방향 가이드 레일(137)에 대해 상측 압착 유닛(120)이, 또한 Z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하측 Z축 방향 가이드 레일(167)에 대해 하측 압착 유닛(150)이 각각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절단 유닛(110)에 있어서의 밀봉재(3)의 절단 상태 및 밀봉재(3)의 접착 상태의 개략 사시도를 각각 도시한 도4 및 도5를 참조하여, 하측 압착 유닛(150)의 구성에 대해 서술한다. 하측 압착 유닛 부착대(151)에 형성된 XY 평면에 평행한 면(151a) 상에는 하측 베이스판(153)이 부착되고, Y축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하측 Y축 방향 가이드 레일(155a 및 155b)이, 베이스판(153)의 양측에 배치되어 고정되어 있다. 하측 슬라이드 테이블(157)은 하측 베이스판(153)과는 독립되고, 하측 Y축 방향 가이드 레일(155a 및 155b)에 대해 Y축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해지도록 그 하면에 있어서 접속되어 있다.
하측 슬라이드 테이블(157)의 상면에는, X축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하측 X축 방향 가이드 레일(159a 및 159b)이 고정되어 있다. 하측 압착구(161a 내지 161e)는 하측 X축 방향 가이드 레일(159a 및 159b)에 대해 X축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해지도록 그 하면에 있어서 접속되어 있다. 하측 압착구(161a 내지 161e)는 Y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후방 단부에 있어서 Z축 방향 하측으로 돌출하는 하측 돌기(162a 내지 162e)를 각각 갖고 있다.
이들 돌기는 하측 베이스판(153)의 상면(153a)에 형성된 하측 홈 캠(164a 내지 164e)에 대해 각각 끼워 맞춤되어 있다. 하측 돌기(162a 내지 162e)와 하측 홈 캠(164a 내지 164e) 및 상측 돌기(132a 내지 132e)와 상측 홈 캠(134a 내지 134e)에 의해 압착구 이동 방향 규제 장치가 구성된다. 또한, 하측 압착구(161a 내지 161e)는 Y축 방향 선단부에 있어서 Z축 방향 상측 단부면에 흡착 포트(163a 내지 163e)를 갖고 있다. 이들 흡착 포트에 있어서, 절단 유닛(110)으로 절단된 후의 밀봉재(3)의 개편을, 각각에 흡착 보유 지지한다.
하측 압착 유닛(150)을 이상의 구성으로 함으로써, 하측 압착구(161a 내지 161e)를 대략 Y축 방향으로 구동할 때에, 압착구(161a 내지 161e)의 구동 방향을 각각 하측 홈 캠(164a 내지 164e)에 따라서 규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하측 슬라이드 테이블(157) 및 하측 X축 방향 가이드 레일(159a 및 159b)의 작용에 의해, 압착구(161a 내지 161e)가 하부 홈 캠(164a 내지 164e)에 따라서 구동될 때에 있어서도 이들 압착구 각각의 평행성이 유지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홈 캠(164a 내지 164e)은 하측 베이스판(153)의 Y축 방향 후방 단부로부터 선단부에 걸쳐서 각각의 간격이 넓어져 가는, 이른바 방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압착구(161a 내지 161e)가 Y축 방향 전방으로 구동된 경우, 이들 구동에 수반하여 압착구 각각의 간격이 넓어져 가게 된다. 각각의 압착구(161a 내지 161e)는, 홈 캠에 따라서 구동되었을 때에도 전술한 하측 슬라이드 테이블(157) 등의 작용에 의해 그 평행도 및 각각의 간격은 일치하도록 유지된다. 따라서, 홈 캠 각각에 있어서의 중심의 간격이 리드재에 접착되는 밀봉재의 중심 간격과 일치한 시점에서 압착구의 구동을 정지하고 접착 공정을 실시함으로써, 미리 정해진 간격에서의 밀봉재(3)에 있어서의 각각의 개편의 접착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여기서 서술한 하측 압착 유닛(150)의 구성은 XY 평면에 관하여 상측 압착 유닛(120)과 대략 대칭이 되어 있고, 상측 압착 유닛(120)과 대략 동일한 구성 요소를 갖고 있다. 또한, 상측 돌기(132), 상측 홈 캠(134), 하측 돌기(162) 및 하측 홈 캠(164)은 일체가 되어 본 발명에 있어서의 압착구 이동 방향 규제 장치를 구성하고 있다. 이들 압착 유닛 사이에 있어서는, 각각이 갖는 홈 캠에 관한 부분에 대해서만 다르다. 이하, 하측의 홈 캠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서술한다. 여기서, 도6에 하측 베이스판에 형성된 홈 캠에 관하여, 이들을 Z축 상방으로부터 조감한 경우에 있어서의 배치, 하측 압착구에 있어서의 돌기의 구동 경로 및 리드재(5)에 대한 밀봉재(3)의 접착 위치의 관계를 도시한다.
도면 중, 밀봉재 개편(3a 내지 3j)은 절단 유닛(110)에 의해 미리 정해진 폭으로 절단된 후의 밀봉재(3)를 도시한다. 하측 압착구(161a 내지 161e)는, 접착 공정 초기에 있어서 절단시 및 절단 후의 밀봉재 개편(3b, 3d, 3f, 3h, 3j)을 그 절단 위치에서 흡착 보유 지지한다. 각각의 압착구가 대응하는 밀봉재 개편을 흡착 보유 지지하는, 도면 중 P1로 도시되는 위치에 존재할 때에 하측 돌기(162a 내지 162e)는 하측 홈 캠(164a 내지 164e)의 후방 단부(기점)에 배치되어 있다.
각 압착구는, 밀봉재 개편을 보유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밀봉재 개편을 리드재(5)에 접착하기 위해, 도면 중 P2로 도시되는 위치까지 구동된다. 그 때, 예를 들어 하측 돌기(162e)는 하측 홈 캠(164e)을 따라 구동된다. 홈 캠(164e)의 선단부(접착 위치)에 돌기(162e)가 배치됨으로써, 상기 압착구(161e)에 보유 지지된 밀봉재 개편(3j)은 리드재(5) 상의 미리 정해진 접착 위치 바로 위에 위치하게 되어 상기 위치에서 실제의 접착 공정이 행해진다.
상측 압착 유닛(120)에 있어서의 각각의 압착구(131a 내지 131e), 상측 돌기(132a 내지 132e) 및 상측 홈 캠(134a 내지 134e)은, 전술한 바와 같이 밀봉재(3)를 중심으로 하여 대략 대칭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압착구(131a 내지 131e) 각각이 밀봉재 개편(3a, 3c, 3e, 3g, 3i) 각각에 대응하도록 하측 압착구와는 밀봉재의 절단 폭에 따른 양만큼 X축 방향으로 어긋나 배치되어 있다. 즉, 상측 홈 캠의 기점으로 한 하측 홈 캠의 기점과는 X축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폭 만큼 어긋나 배치되어 있다. 상기 상태에 있어서, 상측 압착구 및 하측 압착구는 각각 번갈아 배치되게 되어, 각 압착구의 흡착 단부에 의해 연속되는 밀봉재 개편 전부가 흡착 보유 지지된다.
또한, 상하 홈 캠(134a 내지 134e)은 상측 돌기(132a 내지 132e)가 대응하는 상측 홈 캠의 선단부(접착 위치)에 위치하였을 때에, 각각의 압착구에 보유 지지된 밀봉재 개편(3a, 3c, 3e, 3g, 3i)이, 리드재(5)를 사이에 두고 밀봉재 개편(3b, 3d, 3f, 3h, 3j)과 대향하여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측 및 하측의 홈 캠은, 각각이 방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홈 캠의 형상은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 기점에 있어서 절단시의 밀봉재 배치에 각 압착구가 대응하고, 또한 그 구동 단부에 있어서 상측 및 하측의 압착구가 각각 세트를 형성하고, 또한 이들이 미리 정해진 위치에 배치되는 조건을 충족시키는 것이면 좋다.
가열 유닛(180)은 접착 유닛(100) 내부에 있어서, 여기에 보유 지지된 리드재와 인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가열 유닛(180)은 상측 히터 블록(181), 하측 히터 블록(185), 이들 블록에 내장되고 또한 상기 블록을 가열하는 상측 히터(182) 및 하측 히터(186) 및 이들 블록을 구동하는 구동 실린더(189)로 구성된다.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 히터 블록(181)과 하측 히터 블록(185)은 리드재(5)가 배치되는 XY 평면에 관하여 대칭인 형상을 갖고 있다.
이들 블록(181, 185)에는 상측 및 하측 압착구(131a 내지 131e, 161a 내지 161e)의 Y축 방향 선단부 부분을 수용 가능한 오목부(183, 187)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측 히터 블록(181)을 Z축 방향 하방으로, 하측 히터 블록(185)을 Z축 방향 상방으로 구동함으로써 리드재(5)에 있어서의 밀봉재(3) 접착 부분 이외의 영역을 이들 블록으로 협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이들 블록을 히터(182, 186)로 미리 정해진 온도까지 직접 가열해 둠으로써, 밀봉재(3) 접착시에 있어서의 리드재(5)를 원하는 온도까지(예를 들어, 밀봉재의 융점 이상으로) 가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2 실시예>
다음에, 이웃에 배치되는 밀봉재 개편 쌍의 간격을 임의로 설정 가능해지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2 실시예에 관한 접착부(100)에 대해 서술한다. 도7에 제2 실시예에 관한 접착부(100)를 측면으로부터 본 상태의 개략 구성을, 도8에 상기 예에 있어서의 밀봉재(3)를 리드재(5)에 접착하기 직전에 있어서의 각 구성의 배치의 개략을 각각 도시한다. 또한, 도면 중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이용하는 것으로 하고, 여기서는 구성상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상세하게 서술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접착부(100) 이외의 구성은 제1 실시예와 조금도 다르지 않으므로 여기서의 설명은 생략한다.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상측 베이스판(123) 및 하측 베이스판(153)이 Y축 방향에 관하여 이동 가능한지 여부가 다르다. 이들 베이스판을 이동 가능하게 하기 위해, 예를 들어 하측 베이스판(153)은 제2 하측 압착 유닛 부착대(151)에 고정된 Y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하측 Y축 방향 가이드 레일(156a, 156b)에 의해 Y 축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하측 베이스판(153)은 Y축 방향 후방 단부에 있어서 하측 베이스판 구동용 모터(154)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모터(154)에 의해 하측 가이드 레일(156a, 156b) 상을 Y축 방향으로 구동한다.
또한, 상측 베이스판(123)에 관해서도 하측 베이스판(153)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2 상측 Y축 방향 가이드 레일(도시되지 않음) 및 상측 베이스판 구동용 모터(124)가 그 주위에 배치된다. 또한, 하측 베이스판용 구동 모터(154)는 상측 베이스판용 구동 모터(124)와 동조하여 가동하고, 상측 베이스판(123) 및 하측 베이스판(153)의 Y축 방향의 구동 위치를 일치시키고 있다.
예를 들어, 하측 돌기(162a 내지 162e)가 하측 홈 캠(164a 내지 164e)의 Y축 방향 선단부까지 이동하도록 하측 압착구(161a 내지 161e)가 Y축 방향으로 구동됨으로써 인접한 밀봉재(3)의 개편 쌍의 간격이 미리 정해진 값으로 된다. 여기로부터, 하측 베이스판(154)만을 Y축 방향(이 경우에는 전방)으로 구동하면, 하측 홈 캠(164a 내지 164e) 각각의 사이의 간격은 좁아진다. 따라서, 이 하측 베이스판(154)의 구동에 의해 하측 압착구(161a 내지 161e) 사이의 간격은 좁혀진다. 미리 하측 베이스판(154)의 구동 위치와 각 압착구 사이의 간격을 파악하고, 이 관계를 기초로 하여 하측 베이스판(154)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리드재(5) 상에 접착되는 밀봉재(3)의 개편 쌍 각각의 간격을 임의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1 실시예에서도 서술한 바와 같이 하측 압착 유닛(150)의 구성은 XY 평면에 관하여 상측 압착 유닛(120)과 대략 대칭이 되어 있고, 상측 압착 유닛(120)도 대략 동일한 구성 요소를 갖고 있다. 이들 유닛 사이에 있어서는, 각각이 갖는 홈 캠에 관한 부분에 대해서만 다르다. 이하, 상측 및 하측의 홈 캠의 구성, 특히 하측 홈 캠의 구성에 착안하여, 이에 대해 상세하게 서술한다. 여기서, 도9a 및 도9b에 하측 베이스판에 형성된 홈 캠에 관한 것으로, 이들을 Z축 상방으로부터 조감한 경우에 있어서의 하측 압착구에 있어서의 돌기의 구동 경로 및 리드재(5)에 대한 밀봉재(3)의 접착 위치의 관계를 도시한다.
도면 중, 밀봉재 개편(3a 내지 3j)은 절단 유닛(110)에 의해 미리 정해진 폭으로 절단된 후의 밀봉재(3)를 도시한다. 하측 압착구(161a 내지 161e)는 접착 공정 초기에 있어서, 절단시 및 절단 후의 밀봉재 개편(3b, 3d, 3f, 3h, 3j)을 그 절단 위치에서 흡착 보유 지지한다. 각각의 압착구가 대응하는 밀봉재 개편을 흡착 보유 지지하는, 도면 중 P1로 도시되는 위치에 존재할 때에 하측 돌기(162a 내지 162e)는 하측 홈 캠(164a 내지 164e)의 후방 단부(기점)에 배치되어 있다. 상측 압착구에 관해서는, 압착구(131e)에 관련된 상측 돌기(134e) 및 상기 돌기가 수용되어 압착 구(131e)의 구동이 규제되는 상측 홈 캠(134e)만을 예로서 점선으로 도면 중에 나타내고 있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 홈 캠(134e)과 하측 홈 캠(164e)은 도면에 도시한 XY 평면에 있어서의 각각의 기점으로부터 Y 방향으로 연장되는 데 대해 그 간격이 좁아져, 점 Q에서 각각의 홈 캠이 상하 방향에서 일치한다. 이 단계에서, 상측 압착구(131e)의 흡착 단부(133e)와 하측 압착구(161e)의 흡착 단부(163e)가 각각 밀봉재 개편(3j, 3i)을 흡착 보유 지지한 상태에서 점 P3에서 정면으로 마주보게 된다. 합류점 Q 이후는, 상측 및 하측의 홈 캠(134e, 164e)이 쌍을 형성하 고, 상하 방향에서 일치한 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접착 위치(선단부)까지 연장되어 있다.
여기서는 일예로서 상측 및 하측의 홈 캠(134e, 164e)만을 나타내고 있지만, 실제로는 상측 홈 캠(134a 내지 134d)과 하측 홈 캠(164a 내지 164d)이 각각 쌍을 이루고 있다. 이들 쌍을 이루는 홈 캠은, 합류점 Q에서 각각이 상하 방향으로 일치하고, 그 후 일치한 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각각 베이스판(123, 153)의 Y축 방향 선단부까지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상측 및 하측의 압착구가 Y축 방향 전방으로 구동되고, 상측 및 하측의 돌기가 합류점 Q에서 상하 방향으로 일치함으로써 각각의 압착구에 흡착 보유 지지된 밀봉재 개편이 점 P3에서 밀봉재 개편(3a와 3b, 3c와 3d, 3e와 3f, 3g와 3h 및 3i와 3j) 각각의 세트를 형성한다.
그 후, 각 압착구는 홈 캠을 따라 구동되고 점 P2'에서 정지한다. 그 때, 각각의 압착구에 보유 지지된 밀봉재 개편(3a, 3c, 3e, 3g, 3i)이 리드재(5)를 사이에 두고 밀봉재 개편(3b, 3d, 3f, 3h, 3j)과 대향하여 배치된다. 또한, 압착구의 Y축 방향에 착안한 경우 점 P2'는 전술한 점 P2와 일치하지만, 후술하는 바와 같이 그 후 X축 방향으로 슬라이드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여기서는 점 P2'로 하여 전술한 점 P2와 구별하는 것으로 한다.
인접한 밀봉재 개편의 접착 간격이, 각 압착구가 점 P2'에 존재할 때에 얻어지는 것만으로 좋은 경우에는 이대로 접착을 행해도 좋다. 그러나, 상기 간격을 변경하는 것을 필요로 하는 경우도 생각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간격을 변경하는 경우의 조작에 대해 도9b를 참조하여 이하에 서술한다. 또한, 도9a 를 참조로서 이용하기 위해, 도9b에 관해서도 하측 베이스판을 상방으로부터 조감한 상태를 도시하는 것으로 한다. 도9a에 도시된 점 P2'(압착구의 정지 위치로서는 P2와 동일)에 있어서, 각 압착구는 그 Y축 방향의 구동을 정지한다. 이 상태에 있어서의 밀봉재 개편[3j(3i)], 하측 홈 캠(164e), 하측 돌기(162e) 및 하측 베이스판(153)을 도면 중 점선으로 나타낸다. 이 상태로부터, 베이스판(153)만을 Y축 방향 전방(도면 중 화살표 R 방향)으로 구동한다.
상기 구동에 의해, 하측 돌기(162e)는 하측 홈 캠(164e)에 대해 상대적으로 Y축 방향 후방으로 슬라이드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다른 하측 돌기도 대응하는 홈 캠에 대해 상대적으로 Y축 방향 후방으로 슬라이드하게 된다. 하측 홈 캠(164a 내지 164e)은, 전술한 바와 같이 대략 방사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상대적인 슬라이드에 의해, 각 하측 돌기(162a 내지 162e)의 간격은 좁혀지고, 하측 압착구 및 이들에 보유 지지된 밀봉재 개편 사이의 간격도 좁혀지게 된다.
또한, 하측 베이스판(153)의 구동과 동조하여 상측 베이스판(123)도 구동되고, 이에 의해 쌍을 이루는 밀봉재 개편은 정면으로 마주본 상태를 유지한 채로 인접한 쌍 사이의 간격을 좁히게 된다. 이상에 서술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베이스판의 구동량을 제어함으로써 리드재에 접착하는 밀봉재 개편 각각의 간격을 임의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여기서 서술한 방사 형상이라 함은, 일직선 상에 배치된 복수의 기점으로부터 발한 복수의 홈이, 이 직선과 평행한 직선 상에 있어서의 이들 홈 각각의 간격이 같은 비율을 유지하면서, 또한 그 간격을 확대해 가는 형상을 의미한다. 또한, 제2 실시예로서 각 압착구가 대응하는 홈 캠의 대략 선단부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서 정지한 후에 베이스판의 구동 및 이에 의한 각 압착구 사이의 간격의 변경이 이루어지는 취지를, 여기서는 서술하였다. 그러나, 실제의 밀봉재 접착 공정에 있어서는 압착구의 구동과 베이스판의 구동이 거의 동시에 행해지는 경우가 일반적이며 전술한 내용은 어디까지나 설명의 편의상으로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압착구 및 베이스판의 구동 순서는 본 실시예의 설명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상 서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접착부(100)에 있어서, 실제로 밀봉재(3)가 절단되고, 또한 절단 후의 밀봉재(밀봉재 개편)가 리드재(5)에 접착되는 공정을, 도9에 도시한 흐름도를 참조하여 서술한다. 우선, 스텝 S1에 있어서 밀봉재 이송부(30)에 있어서의 흡착 기구(32)가 밀봉재(3)의 단부를 흡착하고, 상기 흡착 기구(32)가 접착 유닛(100) 내의 미리 정해진 위치까지 이동하여 밀봉재(3)를 일정 길이만큼 상기 유닛(100) 내로 송입한다. 동시에, 스텝 S11에 있어서 리드재 이송부(35)의 클램프 기구(36)가 리드재(5)를 클램프하고, 상기 클램프 기구(36)가 접착 유닛(100) 내의 미리 정해진 위치까지 이동하여 리드재(5)를 일정 길이만큼 상기 유닛(100) 내로 송입한다.
밀봉재(3)의 송입이 종료된 후, 스텝 S2에 있어서 상측 유닛(120)의 강하와 하측 압착 유닛(150)의 상승이 대략 동시에 행해지고, 밀봉재(3)가 상측 흡착 포트(133a 내지 133e) 및 하측 흡착 포트(163a 내지 163e)에 의해 흡착 보유 지지된다. 또한, 스텝 S4에 있어서 실린더(114)에 의해 절단 유닛(100)에 있어서의 커터(111a 내지 111j)가 강하하여, 상기 커터에 의해 밀봉재(3)가 미리 정해진 폭(길이)으로 절단된다.
또한, 도4에 있어서는 하측 압착구(161a 내지 161e) 사이에 존재하는 보조 흡착 포트(166)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포트는 밀봉재(3)의 일정 길이의 이송이 종료된 후, 상측 압착구(131a 내지 131e) 및 하측 압착구(161a 내지 161e)와 함께 밀봉재(3)를 흡착 보유 지지하고, 절단 전후에 있어서 밀봉재(3)를 안정적으로 보유 지지하기 위해 이용된다. 밀봉재(3)의 절단 종료 후, 흡착 기구(32) 및 흡착 포트(166)에 의한 밀봉재의 흡착은 해제되고, 상측 압착구(131a 내지 131e) 및 하측 압착구(161a 내지 161e)의 상하 방향으로의 구동이 각각 행해져 절단 후의 밀봉재(3)의 분리가 행해진다.
밀봉재(3)의 절단의 실행과 평행하고, 스텝 S12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온도(예를 들어, 밀봉재의 융점 이상의 온도)로 가열된 상측 히터 블록(181)과 하측 히터 블록(185)에 의한 리드재(5)의 협지가 행해진다. 이에 의해, 리드재(5)의 가열이 개시된다. 계속되는 스텝 S13에 있어서의 리드재(5)의 가열은, 이 협지 상태를 계속함으로써 계속되어, 밀봉재(3)의 접착이 종료될 때까지 그 상태는 유지된다. 따라서, 본 스텝 S12의 실행은 이 협지 상태에 의한 리드재의 가열 상태에 비추어 적당한 타이밍에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스텝 S5에 있어서, 상측 압착구(131a 내지 131e) 및 하측 압착구(161a 내지 161e)가 각각 상측 및 하측의 홈 캠(134a 내지 134e, 164a 내지 164e)에 따라서 Y축 방향에 있어서의 대략 전방으로 구동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들 구동시에 절단 후 인접해 있던 밀봉재는 상하 방향으로 정면으로 마주보게 된다. 또한 이들 압착구에 보유 지지된 밀봉재가 리드재(5) 상의 미리 정해진 위치까지 구동되었을 때에는, 쌍을 이룬 밀봉재(밀봉재 개편) 사이의 간격도 미리 정해진 값으로 된다.
또한, 본 제2 실시예에 있어서는 전술한 스텝 S5에 있어서 밀봉재 개편이 리드재 상에 배치된 후에, 또한 인접한 밀봉재 개편 쌍 각각의 사이의 간격의 변경이 행해진다. 스텝 S6은 리드재에 접착되는 밀봉재 개편의 간격을 미리 정해진 것으로 하기 위해 또 다른 스텝이 요구되는 경우(제2 실시예의 경우)는, 이 경우에 대응하는 공정에 대응한다. 상기 스텝에 있어서는, 각각의 돌기가 대응하는 홈 캠의 Y축 방향 선단부의 미리 정해진 위치까지 슬라이드하고, 인접한 압착구 쌍의 간격이 미리 정해진 값으로 된 후에, 홈 캠이 설치된 베이스판(123, 153)에 대해 각각에 부수하는 구동용 모터에 의한 Y축 방향으로의 구동이 행해진다.
그 결과, 인접한 압착구 쌍의 간격 각각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각 밀봉재 개편 사이의 간격의 변경이 행해진다. 그 후, 스텝 S14에서 상측 압착구(131a 내지 131e)의 강하 및 하측 압착구(161a 내지 161e)의 상승이 이루어져, 가열 완료된 리드재(5)의 상하면에 밀봉재 개편의 접착이 행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스텝 S5의 공정이 종료 후에 스텝 S6의 공정을 행하는 것으로서 서술하였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실제로는 이들 2 스텝에 있어서의 공정은 동시에 행해지는 등, 그 순서가 한정될 필요는 없다.
밀봉재 개편은 리드재(5)와의 접촉면에 있어서, 리드재(5) 자신의 열에 의해 융해하고, 또한 압착구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부터 압접되어 각각의 밀봉재 개편도 일체화된다. 밀봉재 개편의 융착 후, 스텝 S15 및 S16에 있어서 압착구의 밀봉재 개편으로부터의 이격 및 히터 블록의 리드재로부터의 이격이 계속 행해진다. 그 후, 상측 압착 유닛(120) 및 하측 압착 유닛(150)은 밀봉재(3)의 흡착 위치까지 대피하여 다음 공정에 대비하게 된다.
밀봉재 개편 융착 후의 리드재는 재압착부(40)로 운반되어, 리드재(5)에 대한 밀봉재(3) 개편의 밀착성의 개선이 이루어진다. 재압착부(40)에서는, 우선 압착 유닛(41)에 있어서 밀봉재(3)의 개편과 리드재(5)와의 밀착성의 향상이 도모된다. 구체적으로는, 밀봉재의 융점보다 높은 온도로 유지된 상측 플레이트(43) 및 하측 플레이트(44)에 의해 접착부(100)의 경우에 있어서의 공정보다 큰 가압력을 수반하여, 리드재(5)와 함께 밀봉재(3)를 가압 협지하여 이들의 밀착성을 개선한다.
계속해서, 가열 유닛(42)에 있어서 리드재(5)의 직접 가열 및 밀봉재(3) 개편의 리드재(5) 및 공간을 거친 간접 가열이 이루어진다. 상기 가열에 의해 밀봉재는 용융되어, 밀봉재 개편(3)과 리드재(5) 사이에 존재하는 간극을 없애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상하의 밀봉재 개편끼리도 완전하게 융착하여, 리드재(5)의 주위가 융착한 밀봉재(3)에 의해 완전하게 피복되게 된다. 이 밀봉재 개편 융착 후의 리드재의 반송에 따라서, 새로운 밀봉재(3) 및 밀봉재 접착 전의 리드재(5)가 접착부(100)로 이송되고, 다음 접착 공정이 개시된다.
이상에 서술한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리드재에 대해 그 주위에 대해 완전하게 융착된 상태에서 밀봉재를 접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다음 공정에 있어서 상기 리드재를 이용한 전지의 외장을 행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밀봉재를 지 나치게 융해시키는 일 없이 안정된 밀봉 특성을 가진 외장 상태를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밀봉재 및 리드재가 각각 전용의 릴에 권취된 상태로 제공되고, 또한 밀봉재 접착 후의 리드재도 전용의 릴에 권취되는 것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특정한 길이를 갖는 긴 밀봉재 혹은 리드재를 제공하는 것으로 하고, 또한 밀봉재 접착 후의 리드재도 미리 정해진 길이로 분리되는 것으로 하는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밀봉재 등의 제공, 다양한 형상이 된 밀봉재 접착 후의 리드재의 형성, 배출에 적응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다른 재료로 이루어지는 리드재, 다른 재료로 이루어지는 밀봉재 등을 병렬로 배치하여 이들을 차례로 이용하는 형식으로 해도 좋다.
또한, 압착구의 수 등은 실제의 공정에 있어서 요구되는 생산성에 따라서 적절하게 변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리드재 및 밀봉재의 보유 지지는 각각 클램프와 흡착에 의한 것으로 하고 있지만, 그 양식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또한 리드재를 자력에 의해 흡착하는 등 다른 방식에 의해 이들을 보유 지지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 형태로서 압착구 이동 방향 규제 장치의 구성이 돌기와 홈 캠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하였지만, 압착구 각각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또한 그 간격을 가변으로 하는 구성이면 본 실시의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홈 캠은 방사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 단순한 방사 형상이 아닌, 예를 들어 그 내부에 각각의 홈 캠이 평행해지는 영역을 포함하는, XY 평면에 있어서 곡선으로 나타내는 영역을 포함하는 등, 밀봉재의 접착 피치를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게 하도록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되는 대략 방사 형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1 실시예에 있어서는 인접하는 홈 캠의 간격이 기점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서 넓어지는 경우에 관해서만 서술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들 기술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인접한 밀봉재 개편이 상하에서 세트를 형성하므로, 이 세트 형성시에 있어서 인접한 세트 사이에서 밀봉재 개편 1개분의 간격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리드재 상에 있어서의 밀봉재 개편의 접착 간격이 그 간격보다 좁은 경우에는, 인접한 홈 캠의 간격이 기점으로부터 좁아지도록 연장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한, 가열 유닛에 있어서의 가열은, 예를 들어 온수 등의 다양한 가열 매체체에 의한 것으로 해도 좋다. 또한, 그 형상도 실시예에 나타낸 오목부를 갖는 빗살 형상에 한정되지 않으며, 리드재의 두께, 밀봉재의 접착 간격 등에 따라서 적절하게 변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재압착부에 있어서 가열 유닛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냉각 유닛을 배치하여, 융해한 밀봉재의 고화를 적극적으로 진행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리드재가 띠 형상의 형상을 갖고, 또한 그 상하면이 연직 방향을 향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리드재 상하면이 수평 방향을 향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고, 리드재가 선 형상인 것이라도 좋고, 또는 리드재 등의 반송 방향이 연직 방향이 된 구성으로 해도 좋다. 따라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압착구, 돌기, 홈 캠 등에 대해 각 각 상측 및 하측이라 부기함으로써 각각의 구성 요소의 구별을 행하고 있지만, 이들은 본래 제1 및 제2라 부기함으로써 구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홈 캠은 방사 형상으로 배열된 배치를 나타냈지만, 밀봉재의 접착 간격, 압착구에 요구되는 Y축 방향의 스트로크 등에 따라서 적절하게 변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확실한 리드재 - 밀봉재 사이의 밀착성을 확보하면서 동시에 밀봉재의 접착 피치 등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리드재에 대한 밀봉재의 접착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리드재에 대해 그 주위에 대해 완전하게 융착한 상태에서 밀봉재를 접착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다음 공정에 있어서 상기 리드재 이용한 전지의 외장을 행할 때에 밀봉재를 지나치게 융해시키는 일 없이 안정된 밀봉 특성을 가진 외장 상태를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긴 리드재 상에 다수개의 밀봉재 개편을 상하 동시에 접착하므로 생산성이 향상된다. 또한, 긴 밀봉재를 미리 정해진 크기로 그 단부로부터 분단하여,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이들을 모두 긴 리드재 상에 접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전공정 혹은 후공정에서의 밀봉재의 재절단 등도 불필요해져, 비용면에서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홈 캠이 형성된 베이스판을 적절하게 이동시킴으로써 리드재에 대해 임의의 간격으로 밀봉재 개편을 접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가열 유닛의 열용량, 상기 유닛에 의한 리드재의 협지 시간, 협지 개시 타이밍 및 협지 개방 타이밍 등을 적절하게 설정함으로써, 리드재의 재질이 구리, 니켈, 알루미늄 등 변경된 경우라도 접착 공정에 최적의 온도 관리를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21)

  1. 밀봉재를 미리 정해진 길이를 갖는 개편으로 분리하고, 리드재 상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대해 상기 개편의 각각을 융착시키는 리드재에 대한 밀봉재의 접착 방법이며,
    복수의 압착구로 상기 밀봉재를 보유 지지하는 공정과,
    복수의 절단구를 이용하여, 보유 지지된 상기 밀봉재를 상기 미리 정해진 길이를 갖는 개편으로 절단하는 공정과,
    상기 복수의 압착구를 구동하여, 인접한 상기 개편이 상기 리드재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세트가 되는 동시에, 상기 세트 각각이 상기 미리 정해진 위치에 대응하도록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상기 리드재 상에 배치되도록 상기 개편을 이송하는 공정과,
    상기 리드재를 상기 미리 정해진 위치 이외의 영역에 걸쳐서 상기 밀봉재 개편의 융점 이상으로 가열하여 그 온도를 유지하는 공정과,
    상기 복수의 압착구를 거쳐서 상기 리드재에 대해 상기 밀봉재 개편을 접착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재에 대한 밀봉재의 접착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재는 상기 밀봉재와 미리 정해진 거리를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개편에 관해서는 상기 미리 정해진 거리를 이송하는 동안에 상기 세트의 형성과, 상기 세트 사이에 있어서의 상기 일정한 간격의 형성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편이 이송될 때에 상기 인접한 개편이 세트를 형성한 후, 복수의 상기 세트가 방사 형상의 궤적을 그려 리드재 상으로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편이 이송될 때에 상기 인접한 개편이 세트를 형성하고, 상기 세트 각각의 사이의 간격이 같은 비율로 변화하면서 상기 리드재 상에 이동 탑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3항 혹은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세트의 상기 리드재 상으로의 이동과 함께 상기 세트 각각의 간격 조정이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재 및 상기 리드재에 접착된 밀봉재를 가압하고, 동시에 가열하여 재압착 상태의 개선을 도모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밀봉재가 접착된 후 상기 리드재의 가열 및 접착된 상기 밀봉재 가열을 행하여, 접착된 상기 밀봉재를 용융시키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밀봉재를 미리 정해진 길이를 갖는 개편으로 분리하고, 리드재 상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대해 상기 개편의 각각을 융착시키는 리드재에 대한 밀봉재의 접착 방법이며,
    상기 개편을 상기 리드재 상의 상기 미리 정해진 위치에 접착하는 공정에 있어서, 상기 리드재는 상기 미리 정해진 위치 이외의 영역에 걸쳐서 상기 밀봉재 개편의 융점 이상으로 가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재에 대한 밀봉재의 접착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재 및 상기 리드재에 접착된 밀봉재를 가압하고, 동시에 가열하여 재압착 상태의 개선을 도모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밀봉재가 접착된 후 상기 리드재의 가열 및 접착된 상기 밀봉재 가열을 행하여, 접착된 상기 밀봉재를 용융시키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밀봉재를 미리 정해진 길이를 갖는 개편으로 분리하고, 리드재 상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대해 상기 개편을 융착시키는 리드재에 대한 밀봉재의 접착 장치이며, 상기 장치에 있어서의 밀봉재 접착부는,
    상기 리드재를 미리 정해진 배치로 보유 지지하는 리드재 보유 지지구와,
    상기 밀봉재를 복수의 상기 개편으로 분리하는 절단 유닛과,
    상기 연속하는 상기 개편 각각에 대해 1개 간격으로 대응하도록 상기 밀봉재의 길이 방향으로 병치된 상기 개편을 보유 지지 가능한 복수의 제1 압착구와,
    상기 연속하는 상기 개편 각각에 대해 1개 간격이며 상기 제1 압착구에 보유 지지되지 않는 개편에 대응하도록 상기 밀봉재의 길이 방향으로 병치된 상기 개편을 보유 지지 가능한 복수의 제2 압착구를 갖고,
    상기 제1 압착구 및 상기 제2 압착구가 상기 개편을 상기 리드재 상의 미리 정해진 위치로 이송할 때에, 인접한 상기 제1 압착구와 상기 제2 압착구가 상기 개편을 보유 지지하는 부분에 있어서 대향하여 세트가 되고, 이에 의해 형성된 복수의 상기 세트가 된 상기 제1 압착구 및 제2 압착구 각각의 간격을 변화시키는 압착구 이동 방향 규제 장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재에 대한 밀봉재의 접착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구 이동 방향 규제 장치는 상기 제1 압착구의 단부에 형성된 제1 돌기와, 상기 제1 돌기를 수용하는 제1 홈 캠, 상기 제2 압착구의 단부에 형성된 제2 돌기와, 상기 제2 돌기를 수용하는 제2 홈 캠을 갖고,
    상기 제1 홈 캠 및 상기 제2 홈 캠은 이들을 정면으로 마주보게 하여 조감한 경우, 상기 제1 홈 캠과 상기 제2 홈 캠은 그 기점에 있어서 상기 개편의 중심 간격과 대응하도록 번갈아 배치되고, 기점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를 경유하여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구 이동 방향 규제 장치는, 상기 제1 압착구의 단부에 형성된 제1 돌기와, 상기 제1 돌기를 수용하는 제1 홈 캠, 상기 제2 압착구의 단부에 형성된 제2 돌기와, 상기 제2 돌기를 수용하는 제2 홈 캠을 갖고,
    상기 제1 홈 캠 및 상기 제2 홈 캠은, 이들을 정면으로 마주보게 하여 조감한 경우, 상기 제1 홈 캠과 상기 제2 홈 캠은 그 기점에 있어서 상기 개편의 중심 간격과 대응하도록 번갈아 배치되어 기점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를 경유하여 일치하고, 일치 후는 그 상태를 유지하여 각각의 홈 캠 사이의 간격이 같은 비율을 유지하면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홈 캠 및 상기 제2 홈 캠이 형성된 각각의 부재는 동기하고,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압착구는 독립하여 구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재 보유 지지구는 히터 블록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리드재 상의 상기 개편이 접착되는 상기 미리 정해진 위치 이외를 협지하여 상기 리드재의 가열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재 및 상기 리드재에 접착된 밀봉재에 대한 가압 및 가열을 행하는 압착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12항에 있어서, 밀봉재가 접착된 후 상기 리드재의 가열 및 접착된 상기 밀봉재 가열을 행하여, 접착된 상기 밀봉재를 용융시키는 가열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밀봉재를 미리 정해진 길이를 갖는 개편으로 분리하고, 리드재 상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대해 상기 개편을 융착시키는 리드재에 대한 밀봉재의 접착 장치이며, 상기 장치에 있어서의 밀봉재 접착부는,
    상기 리드재를 미리 정해진 배치로 보유 지지하는 리드재 보유 지지구와,
    상기 밀봉재를 복수의 상기 개편으로 분리하는 절단 유닛과,
    상기 개편을 보유 지지 가능하며, 상기 개편을 상기 리드재 상의 미리 정해진 위치로 이송하고, 또한 상기 리드재에 대해 상기 개편을 실제로 접착하는 복수의 제1 압착구와,
    상기 개편을 보유 지지 가능하며, 상기 개편을 상기 리드재 상의 미리 정해진 위치로 이송하고, 또한 상기 리드재에 대해 상기 개편을 실제로 접착하는 복수의 제2 압착구를 갖고,
    상기 리드재 보유 지지구는 히터 블록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리드재 상의 상기 개편이 접착되는 상기 미리 정해진 위치 이외를 협지하여 상기 리드재의 가열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재에 대한 밀봉재의 접착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재 및 상기 리드재에 접착된 밀봉재에 대한 가압 및 가열을 행하는 압착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1. 제19항에 있어서, 밀봉재가 접착된 후 상기 리드재의 가열 및 접착된 상기 밀봉재 가열을 행하여, 접착된 상기 밀봉재를 용융시키는 가열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057009036A 2002-11-20 2003-11-18 소형 전지에 이용되는 리드선재에 대한 밀봉재의 접착 방법및 접착 장치 KR1006939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336771A JP4600862B2 (ja) 2002-11-20 2002-11-20 小型電池に用いられるリード線材に対するシール材の貼り付け方法及び貼り付け装置
JPJP-P-2002-00336771 2002-11-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2829A KR20050072829A (ko) 2005-07-12
KR100693986B1 true KR100693986B1 (ko) 2007-03-13

Family

ID=32321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9036A KR100693986B1 (ko) 2002-11-20 2003-11-18 소형 전지에 이용되는 리드선재에 대한 밀봉재의 접착 방법및 접착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1598882A4 (ko)
JP (1) JP4600862B2 (ko)
KR (1) KR100693986B1 (ko)
CN (1) CN100369294C (ko)
TW (1) TWI229469B (ko)
WO (1) WO200404720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4438B1 (ko) * 2018-07-16 2019-05-02 주식회사 셀텍 이차전지 셀의 테라스부 잔여 부위 자동 절단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4904B1 (ko) 2005-03-28 2006-11-10 한국생산성본부 이차전지용 폴리머전지의 리드텝 필름 융착장치
JP6089525B2 (ja) * 2012-09-18 2017-03-0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電極加工装置、及び電極加工方法
KR101508529B1 (ko) * 2013-12-05 2015-04-07 주식회사 신화아이티 이차전지 리드탭의 필름 열융착 장치
KR101863748B1 (ko) * 2016-04-21 2018-06-04 유종재 대용량 이차전지용 리드탭 자동화 필름 열융착 장치
JP7411904B2 (ja) * 2019-04-16 2024-01-1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部品供給装置および部品実装装置ならびに部品供給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97749A (ja) * 2000-04-10 2001-10-26 Kyoritsu Kagaku Sangyo Kk シート状電池用リード線部材、リード線部材製造用材料、及びリード線部材製造用材料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63798A (ja) * 1974-11-28 1976-06-02 Nitto Electric Ind Co Teepuchochakusochi
JPS6016489Y2 (ja) * 1981-10-21 1985-05-22 澁谷工業株式会社 シ−ルテ−プ貼着装置
JPH10289696A (ja) * 1997-04-14 1998-10-27 Asahi Chem Ind Co Ltd 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630938B2 (ja) * 1997-09-18 2005-03-23 キヤノン株式会社 薄厚シールの自動貼着方法および装置
JP4491843B2 (ja) 1998-02-24 2010-06-30 ソニー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および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の容器の封じ方法
JP4485614B2 (ja) 1999-03-31 2010-06-2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非水電解質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JP3352431B2 (ja) * 1999-09-07 2002-12-03 ワーナー・ランバート株式会社 カットテープ貼着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97749A (ja) * 2000-04-10 2001-10-26 Kyoritsu Kagaku Sangyo Kk シート状電池用リード線部材、リード線部材製造用材料、及びリード線部材製造用材料の製造方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공개특허공보 평13-297749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4438B1 (ko) * 2018-07-16 2019-05-02 주식회사 셀텍 이차전지 셀의 테라스부 잔여 부위 자동 절단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600862B2 (ja) 2010-12-22
TWI229469B (en) 2005-03-11
CN1729585A (zh) 2006-02-01
EP1598882A1 (en) 2005-11-23
JP2004171944A (ja) 2004-06-17
KR20050072829A (ko) 2005-07-12
EP1598882A4 (en) 2009-01-07
CN100369294C (zh) 2008-02-13
TW200415814A (en) 2004-08-16
WO2004047200A1 (ja) 2004-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00304B2 (en) Packing apparatus for an automated manufacturing system of lithium secondary battery
KR101090076B1 (ko) 2차 전지의 전극탭 필름 열융착장치
US10336490B2 (en) Taping machine for attaching insulation tape to outer peripheral sealing part of battery cell
JP2007329111A (ja) リチウムイオン電池並びにそ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並びに袋入り電極板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2012129098A (ja) 二次電池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JP6427909B2 (ja) 電気デバイスのセパレータ接合装置
JP2007329112A (ja) リチウムイオン電池並びにそ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KR102231330B1 (ko) 리드탭 가공장치
KR100693986B1 (ko) 소형 전지에 이용되는 리드선재에 대한 밀봉재의 접착 방법및 접착 장치
CN112820929A (zh) 叠片机
CN108432027A (zh) 蓄电装置以及电极单元的制造方法
KR101508545B1 (ko) 이차전지 리드탭의 필름 열융착 장치
CN217740592U (zh) 切片装置及叠片系统
JP2014086265A (ja) セパレータ接合方法およびセパレータ接合装置
KR101241928B1 (ko) 포켓팅 전극체 제조장치
CN214477589U (zh) 叠片机
JP6097331B2 (ja) 枚葉積層型リチウムイオン電池の製造装置、および枚葉積層型リチウムイオン電池の製造方法
CN110462879A (zh) 分隔件的接合方法、电化学器件的制造方法和电化学器件
CN114744074A (zh) 一种背接触电池串及其制备方法、电池组件和生产设备
JP2015082486A (ja) 電気デバイスのセパレータ接合方法および電気デバイスのセパレータ接合装置
JP2004303563A (ja) 圧着機構、及びそれを用いた二次電池の製造装置並びに製造方法
JP2014086267A (ja) セパレータ接合方法およびセパレータ接合装置
KR100847698B1 (ko) 단자대 테이프 접착 장치 및 그 방법
CN218647952U (zh) 一种焊带贴膜装置及串焊机
CN220272554U (zh) 一种隔膜封边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2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