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3619B1 - 자동차용 후드 힌지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후드 힌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3619B1
KR100693619B1 KR1020040026443A KR20040026443A KR100693619B1 KR 100693619 B1 KR100693619 B1 KR 100693619B1 KR 1020040026443 A KR1020040026443 A KR 1020040026443A KR 20040026443 A KR20040026443 A KR 20040026443A KR 100693619 B1 KR100693619 B1 KR 1006936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d
hinge
side bracket
link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6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1288A (ko
Inventor
곽대훈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264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3619B1/ko
Publication of KR200501012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12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3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36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1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separation or connection of the parts at the hinge axis
    • E05D7/1083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separation or connection of the parts at the hinge axis facilitating simultaneous assembly of a plurality of hinges, e.g. for mounting heavy w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34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34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 B60R21/38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using means for lifting bon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62D25/12Parts or detail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6Ho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후드 힌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측면에서 상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차측용 브라켓(1)의 축수부(11)와, 대략 "ㄱ"자 형상을 갖는 후드측용 브라켓(2)의 축수부(21) 사이에 저면에서 내측으로 받침편(6)이 절곡 형성된 링크(6)의 양단부를 각각 축지시키고, 상기 후드측용 브라켓(2)의 자유단부에는 후드가 열렸을때 링크(6)의 회전 포인트가 상방향으로 변경되도록 하는 로울러(7)를 축지시켜 4절 링크형 힌지에 비하여 그 구조가 간단하여 가격도 저렴하고, 힌지부 주변의 공간 확보도 용이하여 보행자 보호법에서 제한하고 있는 상해치를 대폭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후드 힌지{Hood Hinge for an Automobile}
도 1은 종래 4절 링크형 힌지가 설치된 후드의 사시도.
도 2는 종래 후드 힌지의 작동상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 힌지의 분해 시시도.
도 4a, 4b는 후드가 닫혔을 때와 열렸을 때의 본 발명 힌지의 작동 상태 측면도.
*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차측용 브라켓 2 : 후드측용 브라켓
6 : 링크 7 : 로울러
11, 21 : 축수부 61 : 받침편
본 발명은 자동차용 후드 힌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자동차의 후드 를 개폐하기 위해 설치되는 링크식 후드를 작두식으로 형성시켜 4절 링크 힌지에 비하여 가격도 저렴하고 구조도 간단하며, 힌지부 주변의 공간 확보도 용이하여 보행자 보호 상해치를 대폭 줄일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킨(Skin) 곡면상에 PART'G 라인이 말리는 차종에서 회전 포인트가 일정한 작두식 힌지를 쓰는 경우 후드를 활짝 열 때 프론트 휀더와 간섭이 발생되므로 회전궤전을 조절하여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주로 4절 링크형 힌지를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4절 링크형 힌지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체에 고정 설치되는 차측용 브라켓(1)의 일측 상면 전후부에 그 길이가 각각 길고, 짧은 제 1 및 제 2 링크(3)(4)의 일단부를 축지시키고, 후드(5)에 고정되는 후드측용 브라켓(2)의 중간부와 자유단부에는 각각 상기 제 1 및 제 2 링크(3)(4)의 타단부를 축지시키되, 상기 제 2 링크(4)와 후드측용 브라켓(2) 사이의 축수부는 그 중심축을 이동 시킬 수 있도록 하여 필요에 따라서는 힌지의 회전 포인트의 변경을 통한 회전반경을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종래의 자동차용 후드 힌지는 2개의 링크 양단부를 차측 및 후드측용 브라켓 사이에 각각 축지시켜 회전 포인트가 네군데인 4절 링크의 형상을 갖는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4절 링크형 힌지는 후드를 닫은 상태에서 간단차 조정(품질 육성)이 어렵고, 힌지 주변부 공간 확보가 어려워 보행자 보호 법 규 관련 충돌 시험시에 충격 흡수 공간 부족으로 인하여 승객 상해치가 높게 나는 문제점이 있으며, 작두식 힌지에 비해 중량이 많이 나가고 생산원가가 많이 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자동차의 후드를 개폐하기 위해 설치되는 링크식 후드를 하나의 링크를 갖는 작두식으로 설치하여 4절 링크형 힌지에 비하여 가격도 저렴하고 구조도 간단하며, 힌지부 주변의 공간 확보도 용이하여 보행자 보호 상해치를 대폭 줄일 수 있는 자동차용 후드 힌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차측 및 후드측용 브라켓 사이에 저부에 받침편이 절곡 형성된 링크를 축지시키되, 상기 후드측용 브라켓의 단부에는 로울러를 축지시켜 줌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4절 링크형 힌지에 비하여 그 구조가 간단하여 가격도 저렴하고, 힌지부 주변의 공간 확보도 용이하여 보행자 보호 상해치를 대폭 줄일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 힌지의 분해 시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4a, 4b는 후드가 닫혔을 때와 열렸을 때의 본 발명 힌지의 작동 상태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차측용 브라켓(1)의 일측면에 돌출되게 절곡형성된 축수부(11)와, 후드측용 브라켓(2)에 형성된 축수부(21)가 받침편(6)이 하부에 절곡 형성되어 있는 링크(6)의 상하단부에 각각 축지되고, 상기 후드측용 브라켓(2)의 자유단부에는 후드가 열렸을때 로울러(7)가 차측용 브라켓(1)의 상부면에 접하며 구름운동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힌지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후드 힌지는 차측 및 후드측용 브라켓(1)(2)의 축수부(11)(21)가 받침편(61)이 하부에 절곡 형성되어있는 링크(6)의 상하단부에 각각 축지시키고, 상기 후드측용 브라켓(2)의 단부에는 로울러(7)를 축지시켜 줌으로써, 후드의 개폐에 따른 힌지의 작동이 후드측용 브라켓(2)의 축수부(21)를 중심으로 마치 작두와 같은 형태로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후드가 닫혀진 상태에서는 힌지가 도 4a와 같은 형태를 나타내므로 후드의 중력은 차측 및 후드측용 브라켓(1)(2) 사이의 링크(6) 축수부와, 차측용 브라켓(1)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는 링크(6)의 받침편(61)에 분산되어 작용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후드를 열게 되어 후드와 휀더간의 갭이 좁아지는 순간에 링크(6) 상단부의 축수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던 후드측용 브라켓(2)의 자유단부에 축지된 로울러(7)가 차측용 브라켓(1)에 맞닿아 회동하면서 차측용 브라켓(1)의 축수부(11)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링크(6)의 받침편(61)측이 상방향으로 약간 뜨면서 링크(6) 자체의 상단 회전 포인트가 도 4b와 같이 가상선의 위치에서 실선의 위치로, 즉 상방향으 로 이동하며 회전 궤적이 자동 조절되므로 후드와 휀더간의 갭이 항상 일정한 상태를 유지하게 됨은 물론 힌지부 주변의 공간부가 확보되어 보행자 보호 법규 관련 충돌 시험시 또는 실제 충돌시 승객의 상해치를 대폭 줄일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차측 및 후드측용 브라켓 사이에 받침편이 저부에 절곡 형성된 링크를 축지시키고, 상기 후드측용 브라켓의 단부에는 로울러를 축지시켜 작두식으로 형성하여 줌으로써, 4절 링크형 힌지에 비하여 그 구조가 간단하여 가격도 저렴하고, 힌지부 주변의 공간 확보도 용이하여 보행자 보호법에서 제한하고 있는 상해치를 대폭 줄일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1)

  1. 차측용 브라켓(1)의 일측면에 돌출되게 절곡형성된 축수부(11)와, 상기 후드측용 브라켓(2)에 형성된 축수부(21)가 받침편(6)이 하부에 절골 형성되어있는 링크(6)의 상하단부에 각각 축지되고, 상기 후드측용 브라켓(2)의 자유단부에는 후드가 열렸을때 차측용 브라켓(1)의 상부면에 접하며 구름운동이 이루어지는 로울러(7)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후드 힌지.
KR1020040026443A 2004-04-17 2004-04-17 자동차용 후드 힌지 KR1006936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6443A KR100693619B1 (ko) 2004-04-17 2004-04-17 자동차용 후드 힌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6443A KR100693619B1 (ko) 2004-04-17 2004-04-17 자동차용 후드 힌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1288A KR20050101288A (ko) 2005-10-21
KR100693619B1 true KR100693619B1 (ko) 2007-03-14

Family

ID=37279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6443A KR100693619B1 (ko) 2004-04-17 2004-04-17 자동차용 후드 힌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361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1288A (ko) 2005-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93436B2 (en) Invisible sliding door link structure
US4650241A (en) Side door hinge mechanism in motor vehicle
KR102644311B1 (ko)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 작동 장치
KR20210072996A (ko)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의 링크식 유동 방지 구조
JPH09242412A (ja) 自動車ドア用の棒ばね・ドア固定装置
KR100693619B1 (ko) 자동차용 후드 힌지
US2916763A (en) Torsion bar hinge assembly
CN111852224A (zh) 用于车辆的机舱盖铰链以及车辆
CN215803923U (zh) 一种新型的车门限位器
JP3776802B2 (ja) 車両用スライドドアの開閉装置
JPS5931497Y2 (ja) リッドのヒンジ装置
CN208118731U (zh) 一种缓冲翻盖的热敏打印机
KR101416466B1 (ko) 자동차용 테일게이트 힌지 장치
KR100792865B1 (ko) 상용 차량의 플랩도어 힌지장치
JP2006519129A (ja) 自動車スライディングルーフ用のウインドデフレクタ
KR100844718B1 (ko) 자동차용 후드힌지장치
JPH05246281A (ja) コンソールボックス
JP3738419B2 (ja) 車両用開閉体のヒンジ装置、及びこのヒンジ装置を備える開閉装置
KR100461058B1 (ko) 자동차용 트렁크 리드의 소음 방지구조
JP2895416B2 (ja) 上開き扉の開閉装置
JPS602049Y2 (ja) 自動車用開閉体のヒンジ装置
KR100462676B1 (ko) 자동차용 도어의 힌지구조
KR200143354Y1 (ko) 자동차의 2단링크형 본네트 힌지
JP2003286788A (ja) ドア開閉装置
KR200224785Y1 (ko) 차량용 절첩식 스포일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