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4785Y1 - 차량용 절첩식 스포일러 - Google Patents

차량용 절첩식 스포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4785Y1
KR200224785Y1 KR2020000035696U KR20000035696U KR200224785Y1 KR 200224785 Y1 KR200224785 Y1 KR 200224785Y1 KR 2020000035696 U KR2020000035696 U KR 2020000035696U KR 20000035696 U KR20000035696 U KR 20000035696U KR 200224785 Y1 KR200224785 Y1 KR 2002247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iler
rotating
windshield glass
spoiler body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56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관
Original Assignee
모야플라스틱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야플라스틱주식회사 filed Critical 모야플라스틱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356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478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47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4785Y1/ko

Links

Landscapes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리어 윈드실드 글래스의 개폐가 가능한 차량에 설치되는 스포일러에 대해 그 일부분이 리어 윈드실드 글래스의 개폐작용에 연동하도록 설계하여 그 스포일러의 형상과 치수에 대한 설계상의 제약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된 차량용 절첩식 스포일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절첩식 스포일러는 차량의 리어도어에 고착되는 고정스포일러체와 그 고정스포일러체의 전단에 회전축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스포일러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동스포일러체와 상기 고정스포일러체의 사이에는 상기 회동스포일러체의 탄성복원을 위한 스프링이 설치되며, 상기 회동스포일러체의 저면에는 완충부재로서의 러버로울러가 설치되어, 상기 리어 윈드실드 글래스의 개방시 상기 회동스포일러체도 연동적으로 회동되며 상기 리어 윈드실드 글래스를 닫게 되면 상기 스프링에 의해 상기 회동스포일러체가 원위치되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절첩식 스포일러{FOLDABLE SPOILER FOR VEHICLE}
본 고안은 차량용 절첩식 스포일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후방 윈드실드글래스의 개폐가 가능한 차량에서 윈드실드글래스의 개방에 방해를 주지 않도록 절첩가능하게 설계된 차량용 절첩식 스포일러에 관한 것이다.
현재, 차량에는 고속주행시의 안정감과 제동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기능적인 효과를 도모하면서 외장의 심미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양한 형태로 제공되는 스포일러를 선택적으로 설치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그 스포일러의 제작은 해당하는 스포일러에 대응하는 형상의 제 1 및 제 2금형에 수지원료를 공급하여 사출성형함으로써 행해지게 되는 바, 그 제 1 및 제 2금형에 형성되는 형상에 따라 스포일러의 형태가 결정되는 바, 대개 그 스포일러는 일체의 구조를 갖게 된다.
또, 최근에는 예컨대 RV(Recreational Vehicle)의 경우 후방의 윈드실드 글래스가 필요에 따라 개방 및 폐쇄가능한 구조를 갖도록 설계되는 바, 그러한 차량은 리어도어의 개방구조와는 별도로 그 리어도어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는 윈드실드글래스만을 개폐가능한 구조도 갖추게 되며, 그 후방 윈드실드글래스 개폐형 차량에도 스포일러의 장착이 고려되는 상황이다.
그런데, 후방 윈드실드글래스 개폐형 차량에 장착되는 스포일러는 그 치수 및 형상에서 상당한 제약을 받게 된다. 즉, 윈드실드글래스는 개폐되지 않고 단지 리어도어만이 개폐가능한 차량에서는 스포일러가 통상 개폐가능한 리어도어상에 결 합됨에 따라 그 리어도어의 개폐에 방해를 주지 않게 되지만, 후방 윈드실드글래스의 개폐가 가능한 구조에서는 스포일러가 리어도어상에 설치되고 그에 따라 후방 윈드실드글래스만을 개방시키기 위해 들어올리는 경우 그 후방윈드실드글래스가 스포일러와 부딪히게 되고, 그에 따라 후방 윈드실드글래스에 대한 악영향이 초래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리어 윈드실드 글래스의 개페가 가능한 차량에 설치되는 스포일러의 일부를 절첩가능한 형태로 형성하여 리어 윈드실드 글래스의 개폐에 연동적으로 회동하도록 함으로써 리어 윈드실드 글래스의 개폐작용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그 형상 및 치수에 대한 설계상 여유를 충분하게 확보할 수 있도록 된 차량용 절첩식 스포일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리어도어에 설치되는 리어 윈드실드 글래스가 개폐구조로 된 차량에 있어서, 상기 리어도어에 설치되는 스포일러는 상기 리어도어에 고착되는 고정스포일러체와 그 고정스포일러체의 전단에 회전축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스포일러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동스포일러체와 상기 고정스포일러체의 사이에는 상기 회동스포일러체의 탄성복원을 위한 스프링이 설치되어, 상기 리어 윈드실드 글래스의 개방시 상기 회동스포일러체도 연동적으로 회동되며 상기 리어 윈드실드 글래스를 닫게 되면 상기 스프링에 의해 상기 회동스포일러체가 원위치되도록 된 차량용 절첩식 스포일러가 제공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회동스포일러체의 저면에는 완충부재가 더 설치되는 바, 그 완충부재로서는 대표적으로 상기 리어 윈드실드 글래스의 접촉완충을 위한 러버로울러로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의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절첩식 스포일러에 의하면, 리어도어에 고착되는 고정스포일러체의 전단에 회전축에 의해 회동가능하면서 스프링에 의해 복원이 가능한 형태로 회동스포일러체를 결함함과 더불어 그 회동스포일러체의 저면에는 완충부재로서 회동축에 의해 지지되는 러버로울러를 설치함으로써, 리어 윈드실드 글래스의 개폐작용에 연동적으로 상기 회동스포일러체가 작용하여 리어 윈드실드 글래스의 개폐가 스포일러에 의해 제약을 받지 않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리어 윈드실드 글래스의 개폐가 가능한 차량을 설명하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리어 윈드실드 글래스의 개폐가 가능한 차량에 설치되는 스포일러를 설명하는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절첩식 스포일러의 구조를 설명하는 개략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절첩식 스포일러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리어도어, 12: 리어 윈드실드 글래스,
18: 차체, 20: 스포일러,
30: 절첩식 스포일러, 30a: 고정스포일러체,
30b: 회동스포일러체, 32: 스프링,
34: 회전축, 40: 러버로울러(완충부재).
이하, 본 고안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절첩식 스포일러의 예시적인 구성에 대한 개략사시도로서, 참조부호 30으로 표시된 본 고안의 절첩식 스포일러는 후면이 리어도어(도 1과 도 2에서 10)상에 고착되는 고정스포일러체(30a)와 그 고정스포일러체(30a)의 전단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해당하는 절첩식 스포일러(30)의 형상과 치수에 대한 설계상의 여유를 제공하기 위한 회동스포일러체(30b)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절첩식 스포일러(30)의 고정스포일러체(30a)와 회동스포일러체(30b)의 사이에는 그 회동스포일러(30b)의 탄성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한 최소한 하나 이상의 스프링(32)이 제공되고, 상기 고정스포일러체(30a)에 대해 상기 회동 스포일러체(30b)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지원하기 위한 회전축(34)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축(34)은 상기 고정스포일러체(30a)와 상기 회동스포일러체(30b)의 중첩부분(예컨대 도 3의 36)을 관통함과 더불어 상기 스프링(32)도 관통함으로써 상기 회동스포일러체(30b)의 회동 및 상기 스프링(32)의 지원에 의한 탄성복원작용이 가능하도록 하게 된다.
그에 대해,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고정스포일러체(30a)와 상기 회동스포일러체(30b)의 중첩부분(예컨대 도 3의 36)을 위한 회전축과 상기 스프링(32)을 위한 회전축을 별개로 적용하는 방식도 채택될 수 있다.
또, 상기 회동스포일러체(30b)의 저면에는 완충부재가 설치되는 바, 그 완충부재로서는 상기 리어 윈드실드 글래스(12)의 개방시 그 리어 윈드실드 글래스(12)가 상기 회동스포일러체(30b)에 접촉되는 상황을 고려하여 회동축(38)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러버로울러(40)가 제공된다.
따라서, 상기한 구성의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절첩식 스포일러에 의하면 상기 절첩식 스포일러(30)의 고정스포일러체(30a)와 상기 회동스포일러체(30b)를 상기 스프링(32)이 양자에 연결되는 상태로 상기 회전축(34)에 의해 결합하고나서 상기 고정스포일러체(30a)의 일단을 상기 리어도어(10)상에 고착시켜 장착하게 된다.
그 상태에서 상기 리어 윈드실드 글래스(12)를 들어올려 일정한 범위로 개방이 이루어지게 되면 그 리어 윈드실드 글래스(12)는 일차적으로 상기 회동스포일러체(30b)의 저면에 설치된 러버로울러(40)에 접촉되고, 그에 따라 상기 리어 윈드실드 글래스(12)는 개방각도가 넓어지면서 상기 러버로울러(40)의 회동에 의해 완충 력을 받게 되며, 그 리어 윈드실드 글래스(12)의 개방이 일정한 각도 이상으로 되면 상기 회동스포일러체(30b)는 상기 회전축(34)의 지지하에 그 리어 윈드실드 글래스(12)와 연동적으로 회동되게 된다.
그에 대해, 상기 리어 윈드실드 글래스(12)를 닫게 되면 상기 회동스포일러체(30b)는 상기 스프링(32)의 탄성복원력을 받게 되면서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절첩식 스포일러에 의하면 리어 윈드실드 글래스(12)의 개방형 차량에 적용되는 경우에 회동스포일러체는 그 리어 윈드실드 글래스(12)의 개방각에 연동하여 회동가능하게 됨에 따라 스포일러의 형상이라든지 치수에 대한 제약이 대폭적으로 완화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로 한정되지는 않고 스포일러의 일부분이 회동가능한 형태로 설계된다면 고안의 기술적 요지 및 요점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 본 고안은 그 적용범위가 스포일러로 한정되지는 않고 리어도어에 설치되는 후사경에 대한 구조에도 충분하게 적용가능하게 된다.
또, 상기 완충부재에 대해서는 상기 러버로울러로 한정되지는 않고 예컨대 러버패드의 형태로 설계해도 되거나, 그 러버로울러가 상기 회동스포일러체(30b)의 내측에 매설된 상태로 설치해도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절첩식 스포일러에 의하면 그 일 부가 회동가능한 형태로 설계됨에 따라 리어 윈드실드 글래스의 개폐가 가능한 차량에도 적절하게 적용될 수 있으면서, 그 형상 및 치수에 대한 설계 여유가 현저하게 개선될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리어도어에 설치되는 리어 윈드실드 글래스가 개폐구조로 된 차량에 있어서,
    상기 리어도어에 설치되는 스포일러는 상기 리어도어에 고착되는 고정스포일러체와 그 고정스포일러체의 전단에 회전축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스포일러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동스포일러체와 상기 고정스포일러체의 사이에는 상기 회동스포일러체의 탄성복원을 위한 스프링이 설치되어, 상기 리어 윈드실드 글래스의 개방시 상기 회동스포일러체도 연동적으로 회동되며 상기 리어 윈드실드 글래스를 닫게 되면 상기 스프링에 의해 상기 회동스포일러체가 원위치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절첩식 스포일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스포일러체의 저면에는 완충부재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절첩식 스포일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리어 윈드실드 글래스의 접촉완충을 위한 러버로울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절첩식 스포일러.
KR2020000035696U 2000-12-20 2000-12-20 차량용 절첩식 스포일러 KR2002247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5696U KR200224785Y1 (ko) 2000-12-20 2000-12-20 차량용 절첩식 스포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5696U KR200224785Y1 (ko) 2000-12-20 2000-12-20 차량용 절첩식 스포일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4785Y1 true KR200224785Y1 (ko) 2001-05-15

Family

ID=73061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5696U KR200224785Y1 (ko) 2000-12-20 2000-12-20 차량용 절첩식 스포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478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41790B2 (en) Deployable step and body-side assembly for a vehicle
CN101016060A (zh) 一种铰链装置
KR20020030658A (ko) 자동차의 본네트용 힌지
KR200224785Y1 (ko) 차량용 절첩식 스포일러
CN107531138A (zh) 可枢转的机动车后盖
CN201419643Y (zh) 卡簧式加油口小门
KR20040073576A (ko) 자동차의 리어 패널 작동 장치
KR100412683B1 (ko) 리어 서스펜션 시스템
JP4434170B2 (ja) フード回動構造
KR200417347Y1 (ko) 걸윙 도어용 개폐 구동장치
KR19990021407U (ko) 화물차량의 리어램프 브래킷
KR100392009B1 (ko) 자동차의 트렁크리드 힌지아암 조립체
JP4462000B2 (ja) 車体開口部の開閉構造
KR20040090609A (ko) 경사구조가 적용된 도어 힌지조립체
JP2007030842A (ja) スライドドア構造
KR100370831B1 (ko) 리어 데크 플루어 블랭크 커버링장치
CN101532355B (zh) 卡簧式加油口小门
KR200388499Y1 (ko) 자동차 도어 개폐장치
CN102307741A (zh) 用于车辆内部装饰部件的铰接组件
JP4461876B2 (ja) 車両用サンルーフ装置のデフレクタ
KR101926924B1 (ko) 접이식 사이드 스포일러 장치
KR20230102883A (ko) 차량용 도어 힌지 장치
KR100501134B1 (ko) 경사진 노면에서 열림각이 조절되는 자동차용 테일 게이트개폐 장치
JP4203882B2 (ja) 自動車ドアのチャイルドプルーフ機構
KR0133487Y1 (ko) 자동차의 후드힌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0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