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3106B1 - 휴대형 영상촬영장치의 소비전력 절약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형 영상촬영장치의 소비전력 절약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3106B1
KR100693106B1 KR1020050105112A KR20050105112A KR100693106B1 KR 100693106 B1 KR100693106 B1 KR 100693106B1 KR 1020050105112 A KR1020050105112 A KR 1020050105112A KR 20050105112 A KR20050105112 A KR 20050105112A KR 100693106 B1 KR100693106 B1 KR 1006931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user
screen display
power
sa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5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병우
박종빈
Original Assignee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501051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31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31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31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3Generation or supply of power specially adapted for television receiv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와 같은 전용 영상촬영장치 및 휴대폰이나 게임기 등의 휴대용기기에 카메라 또는 캠코더 기능을 내장한 휴대폰과 융복합기기(이하, 이 모두를 통칭하여 휴대형 영상촬영장치라 한다)의 화면표시장치의 전원을 효과적으로 제어하여 제한된 용량의 배터리 사용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휴대형 영상촬영장치의 소비전력 절약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영상 촬영, 편집 및 기타 기능 조작을 위한 사용자인터페이스 수단으로 사용되는 화면표시장치, 화면표시장치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화면표시장치의 ON/OFF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사용자가 휴대형 영상촬영장치로 영상을 촬영하고자 하는지를 감지하는 감지수단을 포함하고, 감지수단에 의해 사용자가 촬영을 하는 것으로 감지된 경우에만 화면표시장치가 ON 되는 구성을 마련한다.
상기와 같은 소비전력 절약방법 및 그 장치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휴면시간이 지속되어 전원 절약상태로 들어가 있는 기기를 다시 켜려고 할 때 기존에는 사용자가 의식적으로 켜는 동작을 수행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고, 화면표시장치의 소비전력 사용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소비전력, 절약, 영상촬영장치, 셔터버튼, 화면표시장치

Description

휴대형 영상촬영장치의 소비전력 절약방법 및 그 장치{Power saving method and system of portable imag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일반적인 휴대형 영상촬영장치의 내부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휴대형 영상촬영장치의 화면표시장치 전원 제어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휴대형 영상촬영장치를 구성하는 외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휴대형 영상촬영장치의 촬영모드시 화면표시장치의 전원절약 선택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5는 휴대형 영상촬영장치의 촬영모드시 본 발명의 사용자감지형 전원절약방법 적용에 따른 화면표시장치의 켜짐과 꺼짐의 상태변화도,
도 6은 본 발명의 휴대형 영상촬영장치를 위한 사용자감지형 셔터버튼의 하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휴대형 영상촬영장치를 위한 사용자감지형 셔터버튼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휴대형 영상촬영장치를 위한 저항감지형 접촉센서에 의한 사용자감지형 셔터버튼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휴대형 영상촬영장치를 위한 정전용량형 접촉센서에 의한 사용자감지형 셔터버튼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휴대형 영상촬영장치를 위한 압력센서에 의한 사용자감지형 셔터버튼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렌즈부 20 : 전원부
30 : 제어부 40 : 화면표시장치부
50 : 영상처리부 70 : 스위치 및 외부인터페이스부
본 발명은 휴대형 영상촬영장치의 소비전력 절약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와 같은 전용 영상촬영장치 및 휴대폰이나 게임기 등의 휴대용기기에 카메라 또는 캠코더 기능을 내장한 휴대폰과 융복합기기(이하, 이 모두를 통칭하여 휴대형 영상촬영장치라 한다)의 화면표시장치의 전원을 효과적으로 제어하여 제한된 용량의 배터리 사용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휴대형 영상촬영장치의 소비전력 절약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형 영상촬영장치는 사진과 동영상을 촬영할 때 촬영할 피사체의 모습을 보거나(촬영모드), 촬영 후 결과를 사용자가 곧바로 확인하거나 기 촬영된 저장 내용을 재생해 볼 때(재생모드) 또는 편집, 저장 및 휴대형 영상촬영장치 조작과 관련된 셋팅정보를 보여줄 때(셋업모드) 화면표시장치가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기 때문에 대부분의 휴대형 영상촬영장치는 화면표시장치를 장착하고 있다.
이 화면표시장치는 통상적으로 LCD(Liquid Crystal Display)로 구현되지만, 기술의 발전에 따라 OLED 등 새로운 디스플레이 소자를 사용하기도 한다.
반면, 화면표시장치는 배터리의 전력소모가 매우 심하게 발생하는 부분으로서 제한된 용량의 배터리로 동작하는 휴대형 영상촬영장치의 동작시간을 단축시키는 주요 원인이 된다.
따라서 화면표시장치의 효과적인 전원제어는 배터리의 사용 효율을 높이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화면표시장치를 통해 배터리의 불필요한 낭비가 발생할 수 있는 현실적인 상황 예를 들면, 촬영모드에 영상촬영장치가 맞추어 있으나 현재 영상을 촬영하고 다음 영상을 촬영하기까지의 시간 동안과 같이 사용자가 화면표시장치를 주시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화면표시장치가 켜져 있는 경우나, 사용자가 화면표시장치를 끄지 않은 상태로 영상촬영장치를 오랫동안 방치하는 등의 상황이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발생하는 배터리 낭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타이머를 이용하여 일정 시간 이상 사용자의 조작이 없으면 화면표시장치의 전원을 차단하거나, 기능 조작이 없는 시간이 증가할수록 화면표시장치의 밝기 값을 점진적으로 감쇄 시키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하지만 이와 같은 방법들은 주로 화면표시장치가 켜진 상태로 영상촬영장치를 장시간 방치하는 경우를 대비하고 있을 뿐이다. 즉 영상촬영장치가 촬영모드로 맞추어져 있을 때, 사용자가 영상을 촬영하고자 하여 실제로 화면표시장치를 필요로 하고 있는지 또는 그렇지 않은지의 상황을 판단하지는 않는다.
때문에 사용자가 영상촬영을 위해 화면표시장치를 필요로 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배제하고 단지 휴대형 영상촬영장치의 일정시간 이상의 휴면이 지속되었는지 여부만을 고려하는 기존의 방법은 배터리 낭비를 줄이는 효과에 있어 제한이 있다.
그리고 휴면시간이 지속되어 전원 절약상태로 들어가 있는 기기를 다시 켜려고 할 때 기존에는 사용자가 의식적으로 켜는 동작을 수행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의 일례가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1998-67262호(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배터리 절약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스틸 카메라), 문헌 "Distributed Sensor Networks" by "S. Sitharama Iyengar and Richard R. Brooks" (C)2005 by "Chapman & HALL / CRC" Page : 667 “Operating System Power Management" 등에 개시되어 있다.
즉, 상기 공보에는 뷰파인더 대신 사용할 수 있는 제1의 표시부, 제1의 표시부보다 작고 전력소모도 작은 제2의 표시부를 구비하고 있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배터리 절약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일정 시간 이상 버튼을 누르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제1의 표시부의 전원을 끄고, 제1의 표시부의 전원을 끈 상태에서 다시 사용자가 카메라를 사용하기 위하여 카메라를 작동시키면 제1의 표시부의 전원을 연결하도록 하며, 제2의 표시부에는 사용자의 동작에 상관없이 전원 스위치가 연결되어 있는 동안에는 항상 전원을 연결하도록 하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배터리 절약방법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또, 상기 문헌에서는 휴대형 기기의 에너지 소비를 최소로 하기위한 운영체 제 수준의 스케줄링 이론과 실험결과가 개시되어 있다. 실시간 응답성을 제공하면서 소비전력을 최소화하고자 하기 의해 상기 문헌에서는 휴면상태임의 판단을 위해 휴면시간을 통계적 방법으로 예측할 수 있음을 주장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휴대형 기기의 경우 제한된 용량의 배터리를 가지고 동작한다. 따라서, 상기 공보 등에 개시된 기술에 있어서는 소비전력을 줄이기 위해 하드웨어의 저 전력 설계 및 소프트웨어적인 스케줄링 방법을 사용한다.
그러나, 소비전력 절감기법은 실시간 응답성을 보장할 수 있어야 하므로 어렵고도 중요한 문제이다. 또한 휴대형 기기가 휴면상태인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소정의 휴면시간 예측이 필요하다. 이는 확률 모델을 바탕으로 통계적 예측치를 사용한다. 하지만 부정확한 확률 모델 및 기타 요인 등에 의해 정확한 휴면시간의 예측은 근본적으로 한계가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문헌에 따른 통계적 방법으로 휴면시간을 예측한 경우 부정확성이 증가할수록 소비전력효율도 감소한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사용자가 화면표시장치를 필요로 하는지, 그렇지 않은지를 능동적으로 판단하여 이를 화면표시장치의 전원 제어에 사용하여 배터리 사용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는 휴대형 영상촬영장치의 소비전력 절약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영상촬영장치를 촬영모드에 맞춘 상태에서, 셔터버튼 에 손이 가 있을 경우가 사용자가 촬영을 위해 화면표시장치를 필요로 하는 경우로 판단하고, 이를 감지하기 위해 휴대형 영상촬영장치의 셔터버튼에 접촉 센서와 같은 영상을 촬영 하고자 함을 감지하는 센서장치를 장착하여 사용자가 영상을 촬영하고자 하는지를 판단하여 배터리 사용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휴대형 영상촬영장치의 소비전력 절약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촬영모드에 맞춰져 있더라도 항상 영상표시장치를 켜는 대신 셔터버튼을 접촉한 것이 감지되는 경우에만 화면표시장치를 켜주도록 하여 전원절약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휴대형 영상촬영장치의 소비전력 절약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형 영상촬영장치의 화면표시장치를 통해 낭비될 수 있는 요소를 근원적으로 제거하여 휴대형 영상촬영장치의 배터리 사용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휴대형 영상촬영장치의 소비전력 절약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소비전력 절약 장치는 휴대형 영상촬영장치의 소비전력를 감소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영상 촬영, 편집 및 기타 기능 조작을 위한 사용자인터페이스 수단으로 사용되는 화면표시장치, 상기 화면표시장치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화면표시장치의 ON/OFF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사용자가 상기 휴대형 영상촬영장치로 영상을 촬영하고자 하는지를 감지하는 감지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감지수단에 의해 사용자가 촬영을 하는 것으로 감 지된 경우에만 상기 화면표시장치가 ON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소비전력 절약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감지 수단은 사용자감지형 셔터버튼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소비전력 절약 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감지형 셔터버튼은 그 버튼의 눌려진 깊이 정보를 이용하는 외부사건 감지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소비전력 절약 장치에 있어서, 상기 외부사건 감지센서는 서로 다른 길이로 이루어진 다수의 연결부와 동일 길이로 이루어진 다수의 접점부가 각각 순차적으로 접촉하는 것에 의해 상기 사용자감지형 셔터버튼의 눌려진 깊이 정보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소비전력 절약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서로 다른 길이로 이루어진 다수의 연결부와 동일 길이로 이루어진 다수의 접점부의 일부가 접촉하는 것에 상기 화면표시장치가 ON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소비전력 절약 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감지형 셔터버튼에는 저항감지 방식의 접촉 센서를 구비한 외부사건 감지센서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소비전력 절약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저항감지 방식의 접촉 센서는 인체의 피부가 전류를 흐르게 할 수 있는 미세저항체임을 이용하는 외부사건 감지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소비전력 절약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저항감지 방식의 접 촉 센서는 격자 형태로 절연된 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소비전력 절약 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감지형 셔터버튼에는 정전용량 방식의 접촉 센서를 이용하는 외부사건 감지센서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소비전력 절약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전용량 방식의 접촉 센서는 인체를 축전기로 이용하는 외부사건 감지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소비전력 절약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전용량 방식의 접촉 센서는 인체의 피부가 접촉하는 도체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소비전력 절약 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감지형 셔터버튼에는 압력 감지 센서를 이용하는 외부사건 감지센서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소비전력 절약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압력 감지 센서는 소자에 가해진 압력에 따라 다른 저항치를 보이는 스트레인 게이지 압력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소비전력 절약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 압력센서에 그 입력단이 접속된 휘트스톤브릿지 회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소비전력 절약 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면표시장치의 전원절약을 위한 전원절약방법 선택버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소비전력 절약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원절약방법 선택버튼이 선택된 경우, 상기 전원절약방법 선택수단과 상기 감지수단은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소비전력 절약 장치는 휴대형 영상촬영장치의 소비전력를 감소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영상 촬영, 편집 및 기타 기능 조작을 위한 사용자인터페이스 수단으로 사용되는 화면표시장치, 상기 화면표시장치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화면표시장치의 ON/OFF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사용자가 상기 휴대형 영상촬영장치로 영상을 촬영하고자 하는지를 감지하는 감지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감지 수단은 상기 영상촬영장치의 손잡이의 압력정도, 흔들림 또는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한 신호 패턴을 미리 입력한 후 이를 감지하며, 상기 감지수단에 의해 사용자가 촬영을 하는 것으로 감지된 경우에만 상기 화면표시장치가 ON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소비전력 절약 장치는 휴대형 영상촬영장치의 소비전력를 감소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영상 촬영, 편집 및 기타 기능 조작을 위한 사용자인터페이스 수단으로 사용되는 화면표시장치, 상기 화면표시장치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화면표시장치의 ON/OFF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사용자가 상기 휴대형 영상촬영장치로 영상을 촬영하고자 하는지를 감지하는 감지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감지 수단에 의한 감지는 상기 영상촬영장치의 촬영모드, 셋업모드 또는 재생모드 중의 어느 하나의 모드에서 실행되며, 상기 감지수단에 의해 사용자가 촬영을 하는 것으로 감지된 경우에만 상기 화면표시장치가 ON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소비전력 절약 장치는 휴 대형 영상촬영장치의 소비전력를 감소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휴대형 영상촬영장치를 내장하는 케이스, 영상 촬영, 편집 및 기타 기능 조작을 위한 사용자인터페이스 수단으로 사용되는 화면표시장치, 상기 화면표시장치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화면표시장치의 ON/OFF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사용자가 상기 휴대형 영상촬영장치로 영상을 촬영하고자 하는지를 감지하는 감지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감지수단에 의해 사용자가 촬영을 하는 것으로 감지된 경우에만 상기 화면표시장치가 ON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소비전력 절약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은 상기 휴대형 영상촬영장치가 상기 케이스에서 이탈되는 것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소비전력 절약 방법은 영상 촬영, 편집 및 기타 기능 조작을 위한 사용자인터페이스 수단으로 사용되는 화면표시장치, 상기 화면표시장치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화면표시장치의 ON/OFF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사용자가 상기 휴대형 영상촬영장치로 영상을 촬영하고자 하는지를 감지하는 감지수단을 포함하는 휴대형 영상촬영장치의 소비전력를 감소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감지수단에 의해 사용자가 촬영을 하는 것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판단 단계와 상기 판단 단계에서 사용자의 촬영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화면표시장치를 ON 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소비전력 절약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감지 수단은 사용자감지형 셔터버튼에 마련되고, 상기 판단 단계는 상기 사용자감지형 셔터버튼의 눌 려진 깊이 정보에 따라 사용자의 촬영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소비전력 절약 방법에 있어서, 상기 판단 단계는 서로 다른 길이로 이루어진 다수의 연결부와 동일 길이로 이루어진 다수의 접점부가 각각 순차적으로 접촉하는 것에 의해 상기 사용자감지형 셔터버튼의 눌려진 깊이 정보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소비전력 절약 방법에 있어서, 상기 화면표시장치의 ON은 상기 서로 다른 길이로 이루어진 다수의 연결부와 동일 길이로 이루어진 다수의 접점부의 일부가 접촉하는 것에 의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소비전력 절약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감지 수단은 사용자감지형 셔터버튼에 마련된 저항감지 방식의 접촉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판단 단계는 상기 접촉 센서에서 감지된 인체의 접촉에 따라 사용자의 촬영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소비전력 절약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저항감지 방식의 접촉 센서는 인체의 피부가 전류를 흐르게 할 수 있는 미세저항체임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소비전력 절약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감지 수단은 사용자감지형 셔터버튼에 마련된 정전용량 방식의 접촉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판단 단계는 상기 정전용량 방식의 접촉 센서에서 감지된 인체의 접촉에 따라 사용자의 촬영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소비전력 절약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정전용량 방식의 접 촉 센서는 인체의 피부가 접촉하는 도체판을 포함하고, 인체를 축전기로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소비전력 절약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감지 수단은 사용자감지형 셔터버튼에 마련된 마련된 압력 감지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판단 수단은 상기 압력 감지 센서에서 감지된 압력에 따라 사용자의 촬영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소비전력 절약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압력 감지 센서는 소자에 가해진 압력에 따라 다른 저항치를 보이는 스트레인 게이지 압력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소비전력 절약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감지 수단은 전원절약방법 선택버튼이 선택된 경우에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소비전력 절약 방법은 영상 촬영, 편집 및 기타 기능 조작을 위한 사용자인터페이스 수단으로 사용되는 화면표시장치, 상기 화면표시장치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화면표시장치의 ON/OFF를 제어하는 제어부부 및 사용자가 상기 휴대형 영상촬영장치로 영상을 촬영하고자 하는지를 감지하는 감지수단을 포함하는 휴대형 영상촬영장치의 소비전력를 감소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감지수단에 의해 사용자가 촬영을 하는 것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판단 단계와 상기 판단 단계에서 사용자의 촬영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화면표시장치를 ON 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 수단은 상기 영상촬영장치의 손잡이의 압력정도, 흔들림 또는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한 신호 패턴을 미리 입력한 후 이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소비전력 절약 방법은 영상 촬영, 편집 및 기타 기능 조작을 위한 사용자인터페이스 수단으로 사용되는 화면표시장치, 상기 화면표시장치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화면표시장치의 ON/OFF를 제어하는 제어부부 및 사용자가 상기 휴대형 영상촬영장치로 영상을 촬영하고자 하는지를 감지하는 감지수단을 포함하는 휴대형 영상촬영장치의 소비전력를 감소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감지수단에 의해 사용자가 촬영을 하는 것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판단 단계와 상기 판단 단계에서 사용자의 촬영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화면표시장치를 ON 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 수단에 의한 감지는 상기 영상촬영장치의 촬영모드, 셋업모드 또는 재생모드 중의 어느 하나의 모드에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그밖의 목적과 새로운 특징은 본 명세서의 기술 및 첨부 도면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는 동일 부분은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일반적인 휴대형 영상촬영장치의 내부 구성도이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휴대형 영상촬영장치는 렌즈부(10), 전원부(20), 제어부(30), 화면표시장치부(40), 영상처리부(50), 압축 및 저장부 (60), 스위치 및 외부인터페이스부(70) 등으로 구성된다. 이 중에서 화면표시장치부(40)는 영상 촬영, 편집 및 기타 기능 조작을 위한 사용자인터페이스 수단으로 중요하게 사용된다. 전원부(20)는 전원어뎁터를 이용하여 외부전원에 유선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이동성을 제공하기 위해 제한된 용량의 휴대형 배터리가 통상적으로 사용된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영상촬영장치를 도 2 및 도 3에 따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휴대형 영상촬영장치의 화면표시장치 전원 제어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휴대형 영상촬영장치를 구성하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2에 있어서, 화면표시장치(100)는 제어부(200)를 통해 전원제어가 되며,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의 화면표시장치 필요 또는 전원절약방법 적용 필요 유무 정보를 이용하여 배터리의 소비전력 제어에 이용한다.
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형 영상촬영장치(1000)는 감지수단이 마련된 사용자감지형 셔터버튼(601), 스위치 및 외부 인터페이스(400) 구성의 예로서, 동작모드선택 버튼(602), 촬영모드(203) 시의 화면표시장치(100)의 전원절약방법 선택버튼(603) 및 전원 버튼(604)을 구비한다. 동작모드선택 버튼(602)은 휴대형 영상촬영장치의 사용동작을 선택하는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셋업모드(201), 재생모드(202) 그리고 촬영모드(203)를 선택한다. 셋업모드(201)는 편집, 저장 및 카메라 조작과 관련된 각종 셋업정보를 설정할 경우에 해당하며 이때 화면표시장치(100)는 이에 대응하는 정보를 표시한다. 재생모드(202)는 촬영된 저장내용을 재생해 볼 때 선택되며, 촬영모드(203)에서는 사진과 동영상을 실제로 촬영하는 경우로서 사용자는 통상적으로 화면표시장치(100)를 통해 촬영할 피사체의 모습을 보며 촬영한다. 촬영모드(203) 시 화면표시장치(100)의 전원절약을 위해서는 화면표시장치(100)의 전원절약방법 선택버튼(603)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방법으로 화면표시장치(100)의 전원 절약동작을 변경시킬 수 있다.
또 도 2 및 도 3에 있어서, (200)은 화면표시장치(100)의 전원제어부이고, (300)은 휴대형 영상촬영장치(1000)의 사용을 감지하는 감지센서부이고, (500)은 도 1의 전원부에 대응하는 전원장치이고, (501)은 전원장치(500)이 휴대형 영상촬영장치(1000)에 적용된 배터리를 나타내며, (600)은 제어부(200)에 의해 전원장치(500)에서 화면표시장치(100)로 공급되는 전원을 ON/OFF하는 개념을 표시하기 위한 스위치이다.
다음에 도 4 및 도 5에 따라 화면표시장치(100)의 전원절약을 선택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휴대형 영상촬영장치의 촬영모드시 화면표시장치의 전원절약 방법 선택을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도 5는 휴대형 영상촬영장치의 촬영모드시 본 발명의 사용자감지형 전원절약방법 적용에 따른 화면표시장치의 켜짐과 꺼짐의 상태변화도이다.
도 4에 있어서, 먼저 선택 1을 하는 경우 화면표시장치(100)를 항상 끈다. 이때는 화면표시장치(100)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이전의 필름카메라와 같이 뷰파인더를 사용하여 피사체를 확인하여 촬영을 수행한다.
따라서 화면표시장치(100)가 소모하는 전력이 최소가 되기는 하지만, 화면표시장치(100)를 이용했을 때의 다양한 장점을 사용할 수 없게 된다는 큰 단점을 갖게 된다.
다음으로 선택 2를 하게 되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감지형 전원 절약 모드를 사용하게 된다. 본 발명의 사용자감지형 전원 절약 모드에서는 사용자가 영상을 촬영하고자 하는지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화면표시장치(100)를 실제로 필요로 하는지를 결정한다.
즉, 사용자감지형 전원절약모드에서는 화면표시장치(100)에 전력공급을 중단시키고 있다가 사용자가 촬영을 위해 화면표시장치(100)를 필요로 하는 것이 감지될 때 화면표시장치(100)를 켜줌으로서, 단순히 휴면시간만을 고려하는 기존 방법보다 높은 전원절약효과를 달성함과 동시에, 휴면에 의해 전원차단이 된 경우 사용자가 별도의 조작을 거쳐 화면표시장치(100)를 켜는 동작의 필요 없이 사용자 감지에 의해 켜지도록 하는 사용상 편의성을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선택 3을 수행하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사용자감지형 전원 절약 방법을 사용하지 않는다. 즉, 기존 방법대로 사용자가 화면표시장치(100)를 끄기 전까지 계속 화면표시장치(100)를 켜두거나 기존에 존재하는 휴면시간 기반 전원절약 방법을 사용한다.
도 5에 있어서, 휴대형 영상촬영장치가 촬영모드(203)에 있을 경우, 본 발명의 사용자감지형 전원절약방법의 적용(즉 선택 2)에 따른 화면표시장치(100)의 켜짐(ON)/꺼짐(OFF) 관련 상태변화도이다.
선택 1과 선택 3의 기능은 도 4의 설명을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화면표시장치(100)를 완전히 끄거나, 화면표시장치(100)에 대해 본 발명의 사용자감지형 전원절약 방법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다.
선택 2의 화면표시장치(100)의 전원 절약방법 적용의 구체적 동작을 결정하기 위한 상태를 변경시킬 수 있는 요소는 사용자에 의한 외부적 사건으로서, 촬영을 위해 화면표시장치(100)를 필요로 하는지에 대한 판단정보이다.
본 설명에서는 화면표시장치(100)의 상태를 켜짐(ON)과 꺼짐(OFF)상태 2가지로 한정하였지만, 켜짐(ON)상태와 꺼짐(OFF)상태 말고도 점진적 감쇄 상태가 더 존재할 수도 있고, 이러한 경우에도 본 발명의 방법은 쉽게 적용될 수 있다.
화면표시장치(100)의 발생 가능한 전원 상태변화는 총 4가지이다.
즉, "꺼짐(OFF) 상태에서 꺼짐(OFF) 상태”로, “꺼짐(OFF) 상태에서 켜짐(ON) 상태”로, “켜짐(ON) 상태에서 꺼짐(OFF)상태”로 그리고 “켜짐(ON) 상태에서 켜짐(ON) 상태”로의 변화이다. 이러한 변화를 결정하기 위한 요소는 사용자에 의한 외부적사건으로서, 사용자가 촬영을 위해 지금 바로 화면표시장치(100)를 필요로 하는지에 대한 판단정보이다. 현재 상태가 꺼짐(OFF) 상태인 경우, 촬영을 하고자 함을 판단하게 하는 외부사건이 발생하지 않으면 계속 꺼짐(OFF) 상태를 유지한다 (즉“꺼짐(OFF) 상태에서 꺼짐(OFF) 상태”).
반면 촬영을 하고자 함을 판단하게 하는 외부 사건이 발생한다면, 곧바로 화면표시장치(100)에 전원을 공급하여 켜짐(ON )상태로 변경시키고(즉“꺼짐(OFF) 상태에서 켜짐(ON) 상태”), 미리 정하여진 소정 길이의 켜짐유지시간(T1)동안 켜짐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현재 상태가 켜짐(ON)상태인 경우는 촬영을 하고자 함을 판단하게 하는 외부사건이 소정 길이의 판단시간(T2)동안 감지되지 않는 경우 화면표시장치(100)의 전원을 차단하여 꺼짐(OFF)상태로 변경시킨다(즉“켜짐(ON)상태에서 꺼짐(OFF)상태”). 반대로 기기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건이 발생하면 켜짐(ON) 상태를 재차 유지하고(“켜짐(ON)상태에서 켜짐(ON)상태”), 그 때부터 소정 길이의 판단시간 계수를 다시 시작한다.
이때 소정길이의 켜짐유지시간(T1)을 두고 있는 이유는 사용자가 일시적으로 셔터버튼 위에서 손을 뗀 후 다시 올려놓는 경우에도 전원공급을 지속하기 위한 것이다. 즉,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상태에서 매우 일시적으로 셔터버튼에서 손을 뗀 경우 불필요하게 화면표시장치(100)가 ON/OFF됨으로써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주는 깜빡거림 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다음에 도 6 내지 도 10에 따라 사용자감지형 셔터버튼(601)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 휴대형 영상촬영장치(1000)의 사용자가 촬영을 위해 화면표시장치(100)를 필요로 하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외부사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감지수단으로서의 센서장치가 마련된 사용자감지형 셔터버튼(601)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휴대형 영상촬영장치를 위한 사용자감지형 셔터버튼의 하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휴대형 영상촬영장치를 위한 사용자감지형 셔터버튼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휴대형 영상촬영장치를 위한 저항감지형 접촉센서에 의한 사용자감지형 셔터버튼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휴대형 영상촬영장치를 위한 정전용량형 접촉센서에 의한 사용자감지형 셔터버튼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휴대형 영상촬영장치를 위한 압력센서에 의한 사용자감지형 셔터버튼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외부 사전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센서장치가 반드시 셔터버튼에 부가될 필요는 없다. 즉, 영상촬영장치(1000)의 손잡이의 압력정도, 흔들림이나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한 신호 패턴을 미리 입력한 후 이를 감지하는 형태로 하여 셔터버튼의 위치나 형상이 아닌 다른 형태로 실현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셔터버튼에 사용자의 손을 올려놓는 행동이 사용자가 영상촬영을 한다는 본 발명의 취지와 활용의도를 가장 잘 반영한다는 관찰에 따라 사용자 이용감지 센서를 셔터버튼에 실현한 예로서 설명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영상촬영장치(1000)의 “셔터버튼의 눌려진 깊이 정보를 이용하는 방식”, “정전용량 방식의 접촉 센서를 이용하는 방식”, “압력 감지 센서를 이용하는 방식”, 그리고 이들의 복합된 방식들을 제시한다.
도 6에 도시된 “셔터버튼(601)의 눌려진 깊이 정보를 이용하는 방식”은 셔터버튼(601)이 눌려질 때 사용자가 촬영을 위해 화면표시장치(100)를 필요로 한다는 외부사건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는 방식이다.
이를 위해 통상의 셔터버튼에 1개의 스위치접점을 추가하거나, 기존의 하프 스톱(Half-Stop) 기능에 부가하여 화면표시장치(100)의 전원 공급을 위한 외부사건 감지센서로 사용한다. 즉, 사용자 손이 셔터버튼(601)에 올려지면 그 힘으로 인해 셔터버튼(601)이 미세한 깊이지만 눌려지고, 도 6의 사용자감지형 셔터버튼(601)은 이 힘에 의한 화면표시장치(100)의 ON/OFF접점이 연결되어, 사용자가 촬영을 위해 화면표시장치(100)를 필요로 한다는 외부사건이 일어났음을 감지하도록 한다.
다음에 도 6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사용자감지형 셔터버튼(601)에 3개의 서로 다른 길이로 이루어진 연결부(6011, 6012, 6013)와 3개의 동일 길이로 이루어진 접점부(6014, 6015, 6016)이 마련된다.
먼저, 아무런 눌림이 없는 경우는 3개의 연결부(6011, 6012, 6013)와 접점부(6014, 6015, 6016)는 도 6의 제일 왼쪽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연결되지 않는다. 만약 미세하지만 사용자감지형 셔터버튼(601)이 소정깊이, 예를 들어 완전히 눌려진 깊이 정도를 1로 가정할 때 1/6~1/3정도의 깊이로 눌려지면 왼쪽에서 두번째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표시장치 ON/OFF 접점을 위해 제1의 연결부(6011)와 제1의 접점부(6014)가 연결되고 나머지는 연결되지 않아서 화면표시장치(100)의 켜짐(ON)을 트리거하게 된다. 즉 이러한 연결이 체결됨으로, 사용자가 촬영을 위해 화면표시장치(100)를 필요로 한다는 외부사건이 일어난 것으로 판단한다.
다음에 사용자감지형 셔터버튼(601)이 조금 더, 예를 들어 1/3~2/3정도의 깊이로 눌려지면, 왼쪽에서 세번째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의 연결부(6012)와 제2의 접점부(6015)가 연결 즉, 화면표시장치(100)의 ON/OFF접점과 하프 스톱셔터(Half-stop shutter)의 접점이 연결되어 화면표시장치(100)의 켜짐(ON)과 하프 스톱셔터의 켜짐(ON)이 된다.
이보다 더 깊이, 예를 들어 2/3이상 정도의 깊이로 눌려지면, 3개의 모든 연결부와 접점부가 연결되어 화면표시장치 켜짐(ON), 하프 스톱셔터 켜짐(ON) 및 셔터 켜짐(ON)이 된다. 즉, 하프 스톱셔터와 셔터 기능이 작동하기에 앞서서 화면표시장치(100)를 켜주게 되어 반드시 화면표시장치(100)가 필요한 순간에만 화면표시장치(100)에 전원을 공급하게 되므로 배터리 사용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게 된다.
통상적으로 셔터버튼에는 하프 스톱셔터 기능과 영상을 찍는 셔터기능을 위한 2단의 접점이 있다. 하프 스톱셔터 기능은 셔터를 반 정도 눌렀을 때, 실제 영상을 찍지는 않지만, 노출계 동작등 영상을 찍기 위한 사전동작을 하기 위한 기능이다. 도 6은 하프 스톱셔터 기능을 위한 접점에 추가하여 별도의 접점을 구현하는 예를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더욱 경제적인 구현을 위하여, 추가의 접점의 설치 없이 종래의 하프 스톱셔터 기능이 동작됨을 감지하여 사용자가 화면표시장치(100)를 필요로 한다는 외부사건이 일어났음을 감지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다음에 도 7에 따라 도 6의 셔터버튼의 눌려진 깊이정보가 아닌 저항감지 방식의 접촉 센서, 정전용량을 이용한 접촉 센서 및 압력 센서들 중 어느 하나를 셔터버튼에 적층하거나 추가하여 사용자가 화면표시장치(100)를 필요로 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는 사용자 감지센서부(300)를 마련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통상적인 셔터버튼에 부가된 사용자 감지센서부(300)에 따른 구체적인 동작원리는 다음과 같다. 저항감지 방식의 접촉 센서는 인체의 피부가 전류를 흐르게 할 수 있는 미세저항체임을 이용하는 방식으로 이 센서를 이용한 방식의 동작은 도 8과 같다.
피부는 400옴~ 2000옴 정도로 일반적인 절연체에 비해 매우 낮은 저항치를 가지기 때문에 격자 형태로 절연된 접촉부(301)에 피부의 접촉으로 회로가 연결된다면 회로의 입력부에 미세하지만 전류가 흐를 수 있게 된다.
이는 NPN형 트렌지스터를 이용한 증폭회로의 실시예에서 베이스-에미터전류에 해당하며 콜렉터-에미터전류를 발생시키게 된다. 셔터버튼(601)에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출력단이 Vcc와 같은 전위 상태에 있다가 셔터버튼에 접촉이 이뤄지게 되면 증폭된 콜렉터-에미터전류에 의해 출력단에 전압강하가 발생하여 펄스 신호가 발생된다. 이 신호를 감지하면 인체의 접촉유무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이와 유사하게 정전용량을 이용한 접촉 센서는 인체를 거대한 축전기로 볼 수 있음을 이용하는 방식으로서 C1 패럿에 해당하는 커패시턴스로 상정할 수 있다.
셔터버튼 상에 위치하는 도체판(302)에 인체의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출력단에 Vcc와 같은 전압이 출력된다. 반면 도체판(302)에 인체의 접촉이 이루어지면 C1의 커패시턴스가 연결되는 것과 동일하게 되며 일종의 RC회로가 구성되면서 Vcc전압에서 접지(Ground)전압으로 상태변화가 이루어져서 R1*C1 시정수에 해당하는 펄스 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이를 이용한 동작은 도 9와 같다. 이 펄 스 신호를 통해 접촉유무를 감지할 수 있게 되어 상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 도 9에 있어서, 도체판(301)은 도전성을 갖는 구리, 금, 은 등의 금속판 또는 도전성 플라스틱 등으로 구성하면 된다.
다음에 압력 감지를 위해 스트레인 게이지 압력 센서(303)를 이용한 실시예를 도 10에 따라 설명한다. 압력 센서(300)는 상기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셔터버튼(601)에 가해지는 압력을 이용한다. 스트레인 게이지 압력센서(303)는 소자에 가해진 압력에 따라 다른 저항치를 보이는 원리를 이용하며 휘트스톤브릿지 회로(304)를 결합하여 소자에 가해지는 압력을 전류나 전압형태로 변환한다. 저항 R1, R2, R3, R4로 이루어진 휘트스톤브릿지 회로(304)의 입력단에 스트레인 게이지(303)를 연결하게 되면 소정의 입력저항이 연결된 것과 동일한 구성이 된다.
즉, 압력이 인가 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R5의 저항이 연결된 것과 동일하지만 압력이 인가되는 상태에서는 R6의 저항이 연결된 것과 동일하게 되어 휘트스톤브릿지 회로(304)의 출력단에 발생하는 전압값이 달라지게 되므로 이를 이용하면 사용자의 셔터버튼(601)의 접촉 유무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형 영상촬영장치(1000)의 화면표시장치(100)의 전원을 효과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사용자가 화면표시장치(100)를 필요로 하는지, 그렇지 않은지를 판단하여 화면표시장치(100)를 필요로 하는 동안에만 화면표시장치(100)를 켜주고, 그렇지 않는다면 화면표시장치(100)를 꺼주는 방식으로 휴대형 영상촬영장치(1000)의 제한된 용량의 배터리 사용효율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화면표시장치(100)를 필요로 하는지를 판단하기 위해서 다양한 방법이 가능하며, 그 중에서 구체적인 실시 예로서 촬영을 위하여 셔터에 손을 올려놓는 행동에 의한 서터버튼(601) 상의 힘을 감지하거나 손이 닿음으로 인해 정전용량, 저항값 또는 압력값이 변하는 것을 감지하는 사용자감지형 셔터버튼(601)을 사용함을 개시하였다.
이 사용자감지형 셔터버튼(601)은 사용자가 화면표시장치(100)를 필요로 하는지, 그렇지 않은지의 판단 정보를 제공한다. 화면표시장치(100)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화면표시장치(100)를 켜주고, 임계시간 이상 접촉되어 있지 않는다면 사용자가 화면표시장치(1000를 필요로 하지 않다고 판단하여 화면표시장치(100)를 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화면표시장치(100)를 주시하고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화면표시장치(100)가 항상 켜져 있기 때문에 불필요하게 소비되는 배터리 전력을 절감시켰고, 사용자가 화면표시장치를 필요로 하는 순간에 곧바로 화면표시장치를 켜질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하였다.
또한 화면표시장치(100)가 순수하게 켜져 있는 시간 역시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화면표시장치(100) 자체의 수명 연장에도 기여할 수 있게 되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즉,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촬영모드 시 화면표시장치(100)의 전원절약방법에 관한 실시예를 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셋업모드나 재생 모드에서도 촬영모드에서 적용된 전원절약 기법을 쉽게 적용하여 실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휴대형 영상촬영장치의 소비전력 절약방법 및 그 장치의 촬영모드 시 화면표시장치(100)의 전원절약방법에 관한 실시예를 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배터리를 전원으로 사용하고 그 기기의 조작이 사용자에 의해 실현되는 다른 기기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실시예의 휴대형 영상촬영장치에 빛을 감지하는 광센서부를 마련하여 휴대형 영상촬영장치가 케이스에서 이탈되는 경우 또는 케이스에 내장되는 경우에 따라 화면표시장치(100)의 ON/OFF를 제어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영상촬영장치의 소비전력 절약방법 및 그 장치에 의하면, 셔터버튼에 장착한 접촉 센서 즉, 셔터버튼에 장착한 접촉 센서와 같은 기기 사용 중임을 감지하는 장치를 통해 사용자가 영상을 촬영하고 있는지 그렇지 않은지를 적극적으로 감지하여, 사용자가 화면표시장치를 필요로 하는지를 판단하고, 만약 접촉하고 있지 않은 시간이 소정시간 이상 지나게 되면 화면표시장치 전원을 꺼주고 사용자가 기기를 사용하고자 한다고 판단되면 곧바로 화면표시장치를 켜주는 방식으로 화면표시장치의 소비전력 사용 효율을 높일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영상촬영장치의 소비전력 절약방법 및 그 장치에 의하면, 휴대형 영상촬영장치 사용자가 화면표시장치를 주시하고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화면표시장치가 항상 켜져 있기 때문에 소비되는 배터리 전력을 감소 시켜서 제한된 용량의 배터리 사용 효율을 높일 수 있게 하고 사용자가 화면표시장치를 필요로 하는 순간에 곧바로 화면표시장치를 켜줌으로서 사용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도 얻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영상촬영장치의 소비전력 절약방법 및 그 장치에 의하면, 화면표시장치가 순수하게 켜져 있는 시간 역시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화면표시장치 자체의 수명 연장에도 기여할 수 있게 된다는 효과도 얻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영상촬영장치의 소비전력 절약방법 및 그 장치에 의하면, 휴면시간이 지속되어 전원 절약상태로 들어가 있는 기기를 다시 켜려고 할 때 기존에는 사용자가 의식적으로 켜는 동작을 수행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는 효과도 얻어진다.

Claims (39)

  1. 휴대형 영상촬영장치의 소비전력을 감소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영상 촬영, 편집 및 기타 기능 조작을 위한 사용자인터페이스 수단으로 사용되는 화면표시장치,
    상기 화면표시장치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화면표시장치의 ON/Off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사용자가 상기 휴대형 영상촬영장치로 영상을 촬영하고자 하는지를 감지하는 감지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감지수단에 의해 사용자가 촬영을 하는 것으로 감지된 경우에 상기 화면표시장치를 ON하고,
    상기 화면표시장치의 전원절약을 위한 전원절약방법 선택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비전력 절약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은 사용자감지형 셔터버튼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비전력 절약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감지형 셔터버튼은 그 버튼의 눌려진 깊이 정보를 이용하는 외부사건 감지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비전력 절약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사건 감지센서는 서로 다른 길이로 이루어진 다수의 연결부와 동일 길이로 이루어진 다수의 접점부가 각각 순차적으로 접촉하는 것에 의해 상기 사용자감지형 셔터버튼의 눌려진 깊이 정보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비전력 절약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서로 다른 길이로 이루어진 다수의 연결부와 동일 길이로 이루어진 다수의 접점부의 일부가 접촉하는 것에 상기 화면표시장치가 ON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비전력 절약 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감지형 셔터버튼에는 저항감지 방식의 접촉 센서를 구비한 외부사건 감지센서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비전력 절약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감지 방식의 접촉 센서는 인체의 피부가 전류를 흐르게 할 수 있는 미세저항체임을 이용하는 외부사건 감지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비전력 절약 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감지 방식의 접촉 센서는 격자 형태로 절연된 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비전력 절약 장치.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감지형 셔터버튼에는 정전용량 방식의 접촉 센서를 이용하는 외부사건 감지센서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비전력 절약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용량 방식의 접촉 센서는 인체를 축전기로 이용하는 외부사건 감지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비전력 절약 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용량 방식의 접촉 센서는 인체의 피부가 접촉하는 도체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비전력 절약 장치.
  12.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감지형 셔터버튼에는 압력 감지 센서를 이용하는 외부사건 감지센서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비전력 절약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감지 센서는 소자에 가해진 압력에 따라 다른 저항치를 보이는 스트레인 게이지 압력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비전력 절약 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 압력센서에 그 입력단이 접속된 휘트스톤브릿지 회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비전력 절약 장치.
  15. 삭제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절약방법 선택수단에 의해 전원절약이 선택된 경우, 상기 전원절약방법 선택수단과 상기 감지수단은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비전력 절약 장치.
  17. 휴대형 영상촬영장치의 소비전력을 감소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영상 촬영, 편집 및 기타 기능 조작을 위한 사용자인터페이스 수단으로 사용되는 화면표시장치,
    상기 화면표시장치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화면표시장치의 ON/Off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사용자가 상기 휴대형 영상촬영장치로 영상을 촬영하고자 하는지를 감지하는 감지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감지수단은 상기 영상촬영장치의 손잡이의 압력정도, 흔들림 또는 미리 입력된 특정신호 패턴을 감지하며,
    상기 감지수단에 의해 사용자가 촬영을 하는 것으로 감지된 경우에 상기 화면표시장치를 ON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비전력 절약 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표시장치의 전원절약을 위한 전원절약방법 선택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비전력 절약 장치.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절약방법 선택수단에 의해 전원절약이 선택된 경우, 상기 전원절약방법 선택수단과 상기 감지수단은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비전력 절약 장치.
  20. 휴대형 영상촬영장치의 소비전력을 감소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영상 촬영, 편집 및 기타 기능 조작을 위한 사용자인터페이스 수단으로 사용되는 화면표시장치,
    상기 화면표시장치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화면표시장치의 ON/Off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사용자가 상기 휴대형 영상촬영장치로 영상을 촬영하고자 하는지를 감지하는 감지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감지수단에 의한 감지는 상기 영상촬영장치의 촬영모드, 셋업모드 또는 재생모드 중의 어느 하나의 모드에서 실행되며,
    상기 감지수단에 의해 사용자가 촬영하고자 하는 것으로 감지된 경우에 상기 화면표시장치를 ON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비전력 절약 장치.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표시장치의 전원절약을 위한 전원절약방법 선택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비전력 절약 장치.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절약방법 선택버튼 수단에 의해 전원절약이 선택된 경우, 상기 전원절약방법 선택수단과 상기 감지수단은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비전력 절약 장치.
  23. 휴대형 영상촬영장치의 소비전력을 감소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휴대형 영상촬영장치를 내장하는 케이스,
    영상 촬영, 편집 및 기타 기능 조작을 위한 사용자인터페이스 수단으로 사용되는 화면표시장치,
    상기 화면표시장치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화면표시장치의 ON/Off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사용자가 상기 휴대형 영상촬영장치로 영상을 촬영하고자 하는지를 감지하는 감지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감지수단에 의해 사용자가 촬영을 하는 것으로 감지된 경우에 상기 화면표시장치를 ON하고,
    상기 감지수단은 상기 휴대형 영상촬영장치가 상기 케이스에서 이탈되는 것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비전력 절약 장치.
  24. 휴대형 영상촬영장치의 소비전력을 감소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휴대형 영상촬영장치를 내장하는 케이스,
    영상 촬영, 편집 및 기타 기능 조작을 위한 사용자인터페이스 수단으로 사용되는 화면표시장치,
    상기 화면표시장치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화면표시장치의 ON/Off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휴대형 영상촬영장치가 상기 케이스에서 내장되어 있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감지수단에 의해 상기 휴대형 영상촬영장치가 상기 케이스에 내장되어 있는 것으로 감지된 경우, 상기 화면표시장치를 OFF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비전력 절약 장치.
  25. 영상 촬영, 편집 및 기타 기능 조작을 위한 사용자인터페이스 수단으로 사용되는 화면표시장치, 상기 화면표시장치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화면표시장치의 ON/Off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사용자가 상기 휴대형 영상촬영장치로 영상을 촬영하고자 하는지를 감지하는 감지수단을 포함하는 휴대형 영상촬영장치의 소비전력을 감소시키는 방법으로서,
    전원절약방법의 사용여부를 선택하는 선택단계,
    상기 선택단계에서 전원절약방법의 사용으로 선택된 경우 상기 감지수단에 의해 사용자가 촬영을 하는 것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판단 단계와
    상기 판단 단계에서 사용자의 촬영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화면표시장치를 ON 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비전력 절약 방법.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은 사용자감지형 셔터버튼에 마련되고,
    상기 판단 단계는 상기 사용자감지형 셔터버튼의 눌려진 깊이 정보에 따라 사용자의 촬영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비전력 절약 방법.
  27.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단계는 서로 다른 길이로 이루어진 다수의 연결부와 동일 길이로 이루어진 다수의 접점부가 각각 순차적으로 접촉하는 것에 의해 상기 사용자감지형 셔터버튼의 눌려진 깊이 정보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비전력 절약 방법.
  28.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표시장치의 ON은 상기 서로 다른 길이로 이루어진 다수의 연결부와 동일 길이로 이루어진 다수의 접점부의 일부가 접촉하는 것에 의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비전력 절약 방법.
  29.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은 사용자감지형 셔터버튼에 마련된 저항감지 방식의 접촉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판단 단계는 상기 접촉 센서에서 감지된 인체의 접촉에 따라 사용자의 촬영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비전력 절약 장치.
  30.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감지 방식의 접촉 센서는 인체의 피부가 전류를 흐르게 할 수 있는 미세저항체임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비전력 절약 장치.
  31.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은 사용자감지형 셔터버튼에 마련된 정전용량 방식의 접촉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판단 단계는 상기 정전용량 방식의 접촉 센서에서 감지된 인체의 접촉에 따라 사용자의 촬영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비전력 절약 방법.
  32.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용량 방식의 접촉 센서는 인체의 피부가 접촉하는 도체판을 포함하고,
    인체를 축전기로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비전력 절약 방법.
  33.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은 사용자감지형 셔터버튼에 마련된 마련된 압력 감지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판단 수단은 상기 압력 감지 센서에서 감지된 압력에 따라 사용자의 촬영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비전력 절약 방법.
  34. 제 33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감지 센서는 소자에 가해진 압력에 따라 다른 저항치를 보이는 스트레인 게이지 압력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비전력 절약 방법.
  35. 삭제
  36. 영상 촬영, 편집 및 기타 기능 조작을 위한 사용자인터페이스 수단으로 사용되는 화면표시장치, 상기 화면표시장치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화면표시장치의 ON/Off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사용자가 상기 휴대형 영상촬영장치로 영상을 촬영하고자 하는지를 감지하는 감지수단을 포함하는 휴대형 영상촬영장치의 소비전력을 감소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감지수단에 의해 사용자가 촬영을 하는 것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판단 단계와
    상기 판단 단계에서 사용자의 촬영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화면표시장치를 ON 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수단은 상기 영상촬영장치의 손잡이의 압력정도, 흔들림 또는 미리 입력된 특정신호 패턴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비전력 절약 방법.
  37. 제 36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은 전원절약방법 선택수단에 의해 전원절약이 선택된 경우, 상기 전원절약방법 선택수단과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비전력 절약 방법.
  38. 영상 촬영, 편집 및 기타 기능 조작을 위한 사용자인터페이스 수단으로 사용되는 화면표시장치, 상기 화면표시장치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화면표시장치의 ON/Off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사용자가 상기 휴대형 영상촬영장치로 영상을 촬영하고자 하는지를 감지하는 감지수단을 포함하는 휴대형 영상촬영장치의 소비전력을 감소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감지수단에 의해 사용자가 촬영을 하는 것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판단 단계와
    상기 판단 단계에서 사용자의 촬영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화면표시장치를 ON 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수단에 의한 감지는 상기 영상촬영장치의 촬영모드, 셋업모드 또는 재생모드 중의 어느 하나의 모드에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비전력 절약 방법.
  39. 제 38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수단은 전원절약방법 선택수단에 의해 전원절약이 선택된 경우, 상기 전원절약방법 선택수단과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비전력 절약 방법.
KR1020050105112A 2005-11-03 2005-11-03 휴대형 영상촬영장치의 소비전력 절약방법 및 그 장치 KR1006931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5112A KR100693106B1 (ko) 2005-11-03 2005-11-03 휴대형 영상촬영장치의 소비전력 절약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5112A KR100693106B1 (ko) 2005-11-03 2005-11-03 휴대형 영상촬영장치의 소비전력 절약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3106B1 true KR100693106B1 (ko) 2007-03-12

Family

ID=38103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5112A KR100693106B1 (ko) 2005-11-03 2005-11-03 휴대형 영상촬영장치의 소비전력 절약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31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7406B1 (ko) * 2007-09-06 2014-04-2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36545A (ja) 1997-10-29 1999-05-21 Kyocera Corp 画像記録装置
KR100222145B1 (ko) 1997-02-01 1999-10-01 고 성 욱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배터리 절약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스틸 카메라
JP2002118773A (ja) 2000-10-05 2002-04-19 Olympus Optical Co Ltd デジタルカメラ
JP2005136867A (ja) 2003-10-31 2005-05-26 Sharp Corp 撮像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2145B1 (ko) 1997-02-01 1999-10-01 고 성 욱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배터리 절약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스틸 카메라
JPH11136545A (ja) 1997-10-29 1999-05-21 Kyocera Corp 画像記録装置
JP2002118773A (ja) 2000-10-05 2002-04-19 Olympus Optical Co Ltd デジタルカメラ
JP2005136867A (ja) 2003-10-31 2005-05-26 Sharp Corp 撮像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7406B1 (ko) * 2007-09-06 2014-04-2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31241C2 (ru) Электронная аппаратура,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активизации этой электронной аппаратуры
JP3564031B2 (ja) 電子スチルカメラ
TWI596940B (zh) 低電力智能影像擷取
KR100506370B1 (ko) 촬상장치에 있어서의 전원제어장치 및 전원제어방법
CN109756673B (zh) 一种控制显示状态的方法和终端
US20090237034A1 (en) Battery operated device having power saving mode
TWI578777B (zh) 相機裝置及相機裝置控制方法
JP5066133B2 (ja) 情報記録装置、省電力方法
CN111435968A (zh) 一种摄像机及摄像机的控制方法
KR100693106B1 (ko) 휴대형 영상촬영장치의 소비전력 절약방법 및 그 장치
KR20150041943A (ko) 카메라를 가지는 전자 장치 및 이를 운영하는 방법
US20100026505A1 (en) Digital photo frame with battery indicator
JP2004343663A (ja) 撮像装置
JP2007259671A (ja) 携帯型電子機器
JP2006107194A (ja) 電子機器
EP1703725A1 (en) Image photographing device and release device
KR100913439B1 (ko) 디지털 전자액자
JP2005072808A (ja) デジタルスチルカメラ
JP3930372B2 (ja) 撮像装置
WO2020186506A1 (zh) 拍摄装置的控制方法和拍摄装置
TWI408545B (zh) 可攜式電子設備及其省電方法
TW201506676A (zh) 螢幕解鎖方法及裝置
JP3061272B2 (ja) カメラ一体型ビデオレコ―ダ
JPH0617390Y2 (ja) 映像モニタ制御回路
JP2010124064A (ja) 電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