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1943A - 카메라를 가지는 전자 장치 및 이를 운영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카메라를 가지는 전자 장치 및 이를 운영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1943A
KR20150041943A KR20130120527A KR20130120527A KR20150041943A KR 20150041943 A KR20150041943 A KR 20150041943A KR 20130120527 A KR20130120527 A KR 20130120527A KR 20130120527 A KR20130120527 A KR 20130120527A KR 20150041943 A KR20150041943 A KR 201500419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main processor
standby mode
preview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20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8582B1 (ko
Inventor
민정환
김윤녕
문성환
박경민
옥광만
이준혁
정석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205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8582B1/ko
Priority to US14/501,801 priority patent/US9866753B2/en
Publication of KR20150041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19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85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85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2Control of parameters via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4Computer-aided capture of images, e.g. transfer from script file into camera, check of taken image quality, advice or proposal for image composition or decision on when to take im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5Control of camera operation in relation to power supp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5Control of camera operation in relation to power supply
    • H04N23/651Control of camera operation in relation to power supply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by affecting camera operations, e.g. sleep mode, hibernation mode or power off of selective parts of the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카메라에서 촬영된 이미지의 처리 및 표시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이를 운영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전자장치는 카메라를 운영할 때 프리뷰 모드와 절전 모드 사이에 대기 모드를 두어 소모전류를 줄일 수 있고 사용자가 빠르고 간편하게 프리뷰 모드로 돌아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를 가지고 카메라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프리뷰 이미지로 가공하여 표시하는 휴대전자장치를 운영하는 방법은 센서부가 이벤트 값을 감지하는 동작; 센서부가 이벤트 값을 메인 프로세서로 송신하는 동작; 메인 프로세서가 이벤트 값을 기반으로 프리뷰 모드에서 대기 모드로의 전환이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 메인 프로세서가 프리뷰 모드에서 대기 모드로의 전환이 필요한 경우 이미지 프로세서를 비활성화하는 동작; 메인 프로세서가 표시부에서 대기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표시 컨트롤러를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카메라를 가지는 전자 장치 및 이를 운영하는 방법{A ELECTRONIC DEVICE HAVING A CAMERA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본 발명은 카메라에서 촬영된 이미지의 처리 및 표시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이를 운영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전자장치에서 영상을 촬영하는 동작은 크게 프리뷰보기(Preview), 캡쳐하기(Capture), 저장하기(Recording)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기존 휴대전자장치는 특정 시간 동안 사용자의 키(key)입력이 없거나 절전 모드(Sleep Mode)로 진입하는 키(key)입력을 하는 경우, 휴대전자장치는 화면을 끄고 절전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이런 방법으로 사용자는 휴대전자장치의 화면을 통해 소모되는 대기 전류를 줄일 수 있다. 그리고 키(key)입력 방식을 이용하여 휴대전자장치는 절전 모드(Sleep Mode)로부터 프리뷰 모드(Preview Mode)로 다시 진입할 수 있다.
기존 휴대전자장치의 경우, 프리뷰 모드(Preview Mode)에서 휴대전자장치는 사용자의 의도와 상관없이 지속적으로 카메라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받아들이고 처리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휴대전자장치는 캡쳐하기(capture) 또는 저장하기(recording) 동작 이외의 시간 동안 불필요하게 카메라로부터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휴대전자장치에서 지속적으로 영상 데이터를 화면에 표시하게 되면 휴대전자장치는 많은 전류를 소모할 수 있다. 즉, 카메라 실행 후 절전 모드(Sleep mode) 또는 전원종료(power off) 전까지 계속해서 휴대전자장치는 많은 전류를 소모할 수 있다. 전류 소모를 줄이기 위해서 휴대전자장치에서는 프리뷰 모드에서 정해진 일정 시간이 경과하거나 절전 모드로 진입하는 키(key) 입력을 하여 프리뷰 모드에서 절전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그리고 프리뷰 모드로 재진입을 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물리적인 키(key) 입력이 필요할 수 있다. 캡쳐하기(capture) 동작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경우, 사용자는 절전 모드에서 프리뷰 모드로 진입하기 위해 반복적으로 물리적인 키 입력을 할 수 있다. 이런 반복적인 키 입력에 따른 불편함 때문에 사용자는 계속해서 프리뷰 모드를 유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휴대전자장치는 지속적으로 프리뷰 모드를 유지하며 많은 전류를 불필요하게 소모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카메라를 운영할 때 불필요한 전류의 소모를 줄일 수 있도록 한 전자 장치 및 이를 운영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를 가지고 카메라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프리뷰 이미지로 가공하여 표시하는 휴대전자장치를 운영하는 방법은 센서부가 이벤트 값을 감지하는 동작; 센서부가 이벤트 값을 메인 프로세서로 송신하는 동작; 메인 프로세서가 이벤트 값을 기반으로 프리뷰 모드에서 대기 모드로의 전환이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 메인 프로세서가 프리뷰 모드에서 대기 모드로의 전환이 필요한 경우 이미지 프로세서를 비활성화하는 동작; 메인 프로세서가 표시부에서 대기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표시 컨트롤러를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전자장치는 카메라; 카메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프리뷰 이미지로 가공하는 이미지 프로세서; 프리뷰 이미지를 저장하는 메모리; 표시부; 메모리에 저장된 프리뷰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표시부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표시 컨트롤러; 이벤트 값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 및 센서부로부터 수신하는 이벤트 값을 기반으로 프리뷰 모드에서 대기 모드로의 전환이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하고, 결정 결과 프리뷰 모드에서 대기 모드로의 전환이 필요한 경우 이미지 프로세서를 비활성화하고 대기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표시 컨트롤러를 제어하는 메인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카메라를 운영할 때 불필요한 전류의 소모를 줄일 수 있도록 한 전자 장치 및 이를 운영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전자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A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뷰 모드(Preview Mode)인 경우, 제어부에서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B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기 모드(Ready Mode)인 경우, 제어부에서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C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전 모드(Sleep Mode)인 경우, 제어부에서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에 의해 표시부의 디스플레이에 나타나는 각각 모드에 대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전자장치의 제어부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전자장치는 예컨대, 스마트폰(smartphone), 이동전화기(mobile phone), 카메라(camera),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노트북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손목 시계(wrist watch)와 같이 카메라로 촬영이 가능한 장치일 수 있다. 휴대전자장치는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를 내장한다. 또한, 카메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는 이미지 프로세서에서 프리뷰 이미지로 가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전자장치는 이벤트 값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는 사용자의 얼굴을 감지하기 위한 얼굴 인식 센서, 사용자의 눈동자를 감지하기 위한 동공 인식 센서, 휴대전자장치의 움직임을 판단하는 가속도 센서 및 지자기 센서, 표시부의 디스플레이 앞의 근접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근접 센서 및 적외선 센서, 주머니 혹은 가방에 방치될 때 밝기의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조도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전자장치는 저장 장치를 포함하며,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영상 정보를 이미지로 출력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어지지 않는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전자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휴대전자장치(100)는 제어부(110), 표시부(120), 메모리(130), 센서부(140), 카메라(1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휴대전자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각 구성들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AP)(111)를 포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11)는 센서 인터페이스부(Sensor Interface), 메인 프로세서(Central Processing Unit, CPU), 이미지 프로세서(Camera Image Signal Processor, Camera ISP), 표시 컨트롤러(Display Controller)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센서 인터페이스부는 센서부(140)로부터 이벤트 값을 수신하여 메인 프로세서로 이벤트 값을 송신할 수 있다. 메인 프로세서는 센서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수신한 이벤트 값을 기반으로 모드의 전환을 판단하고 모드의 전환에 따라 이미지 프로세서와 표시 컨트롤러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메인 프로세서는 표시 컨트롤러의 동작을 제어하여 대기 모드를 여러 가지 형태로 표시부(120)에서 표현할 수 있다. 예컨대, 메인 프로세서는 표시부(120)의 디스플레이를 끈 상태에서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를 점멸하거나 주기적인 진동을 발생하여 대기 모드 상태임을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도 있다. 또한, 이미지 프로세서는 카메라로부터 받은 데이터를 프리뷰 이미지로 가공하여 메모리(130)의 버퍼로 송신할 수 있다. 표시 컨트롤러는 메모리로부터 수신한 프리뷰 이미지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결합하여 표시부(120)로 송신할 수 있다.
표시부(120)는 제어부(110) 특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11)의 제어 하에 메모리(130)의 버퍼에 저장된 프리뷰 이미지와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가 결합된 프리뷰 모드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표시부(120)의 디스플레이는 프리뷰 모드(Preview Mode)에서는 프리뷰 모드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고, 대기 모드(Ready Mode)에서는 대기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절전 모드(Sleep Mode)에서는 표시 컨트롤러가 작동을 하지 않으므로 표시부(120)의 디스플레이가 꺼진 상태일 수 있다. 또한, 표시부(120)는 발광다이오드 및 진동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120)는 대기 모드 상태를 발광다이오드의 점멸이나 휴대전자장치의 진동으로 표현할 수도 있다. 이 때 표시부(120)의 디스플레이는 꺼진 상태일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10)는 대기 모드에서 디스플레이의 소모 전류를 더 줄일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제어부(110)의 제어 하에, 카메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가공하여 프리뷰 이미지로 버퍼(buffer)에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데이터 임시 저장소로써 버퍼를 포함할 수도 있다. 메모리(130)는 대기 이미지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휴대전자장치(100)의 사용 환경을 설정하기 위한 다양한 설정 정보들(예, 화면 밝기)을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10)는 설정 정보를 참조하여 휴대전자장치(100)를 운영할 수 있다.
센서부(140)는 외부의 이벤트 값을 감지하여 제어부(110)의 센서 인터페이스부로 송신할 수 있다. 예컨대, 센서부(140)는 얼굴 인식 센서, 동공 인식 센서, 가속도센서, 지자기 센서, 근접 센서, 적외선 센서, 조도 센서와 같이 다양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140)는 얼굴 인식 센서와 동공 인식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얼굴과 눈동자를 주기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110)가 각각의 이벤트 값을 설정하여 얼굴과 눈동자를 인식할 경우, 제어부(110)는 대기 모드에서 프리뷰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반대로 제어부(110)가 얼굴과 동공을 인식하지 못 할 경우, 제어부(110)는 프리뷰 모드에서 대기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가속도센서 및 지자기 센서를 이용하면, 휴대전자장치(100)의 움직임을 판단하여 모드 전환을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가 근접 센서를 이용하면, 제어부(110)는 센서부(140) 앞의 근접 유무를 판단하여 모드 전환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적외선 센서를 이용할 경우, 온도 판단이 가능하여 추가적인 판단을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조도 센서를 이용할 경우, 밝기를 측정하여 모드 전환을 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휴대전자장치를 주머니 또는 가방에 방치 할 때 제어부(110)는 조도 센서를 이용하여 밝기의 정도를 측정해서 모드의 전환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다양한 센서를 이용하여 휴대전자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카메라(150)는 제어부(110)의 제어 하에, 피사체를 촬영하여 데이터를 제어부(11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카메라(150)는 빛을 모으기 위한 렌즈와 수광된 빛을 이미지로 가공하여 메모리(130)에 저장하는 이미지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프로세서는 수광된 빛을 전기적인 신호로 처리한 로우데이터(Raw data)를 프리뷰(Preview) 이미지로 가공하여 메모리(130)의 버퍼에 저장하는 모듈일 수 있다. 여기서 프리뷰 이미지는 화면에 표시되는 이미지로써 로우데이터를 화면의 크기에 맞게 조정(resizing)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즉, 프리뷰 이미지는 고해상도의 로우데이터를 저해상도의 데이터로 크기를 줄인 것일 수 있다.
도 2A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뷰 모드(Preview Mode)인 경우, 제어부에서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카메라(220)는 피사체의 데이터를 이미지 프로세서(Camera Image Signal Processor, Camera ISP)(230)로 보낼 수 있다. 이미지 프로세서(230)는 제어부(110) 특히, 메인 프로세서(Central Processing Unit, CPU)(260)의 제어 하에 카메라(22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프리뷰 이미지(241)로 가공하여 메모리(130)로 송신할 수 있다. 표시 컨트롤러(Display Controller)(240)는 메인 프로세서(260)의 제어 하에 이미지 프로세서(230)로부터 수신한 프리뷰 이미지(241)와 이미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던 사용자인터페이스(242)를 결합하여 표시부(120)의 디스플레이에서 출력할 수 있다. 프리뷰 모드에서 제어부(110)는 프리뷰 이미지가 계속 표시되게, 센서 인터페이스부(Sensor Interface)(250), 메인 프로세서(260), 이미지 프로세서(230), 및 표시 컨트롤러(240)를 활성화하여, 프리뷰 이미지를 계속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지속적으로 처리되는 프리뷰 이미지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저장된 프리뷰 이미지를 읽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리뷰 모드에서 제어부(110)는 계속해서 데이터를 처리하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전류를 소모할 수 있다.
표 1은 프리뷰 모드(Preview Mode)일 때, 제어부(110) 내의 카메라(220), 이미지 프로세서(230), 메모리, 표시 컨트롤러(240) 간의 데이터 이동량을 보여준다.
13M Camera FHD @ 30 fps Preview
From To 데이터이동량
Camera Camera ISP 4680Mbps 13M x12bit x30fps
Camera ISP 메모리(DRAM) 720Mbps 2M x12bit x30fps
메모리(DRAM) Display Controller 720Mbps 2M x12bit x30fps
6120Mbps
예컨대, 13M Camera FHD로 찍은 영상 데이터는 카메라(220)로부터 이미지 프로세서(230)로 4680Mb의 초당 데이터 이동량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카메라(220)로부터 이미지 프로세서(230)로 이동하는 데이터량과 이미지 프로세서(230)에서 메모리로 이동하는 데이터량 및 메모리에서 표시 컨트롤러로 이동하는 데이터량을 더하면 총 데이터 이동량은 6120Mbps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110)는 프리뷰 모드에서 지속적인 데이터 처리로 인해 전류의 소모가 많을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카메라(220), 이미지 프로세서 (230)의 계속된 작동으로 인해 전류의 소모가 많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전자장치는 프리뷰 모드, 절전 모드 또는 대기 모드로 운영될 수 있다. 대기 모드에서는 카메라와 이미지 프로세서가 동작하지 않으므로 표 1에서 메모리로부터 표시 컨트롤러로의 데이터 이동만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10)는 대기 모드에서 프리뷰 모드보다 적은 데이터 처리를 하고 프리뷰 모드보다 전류의 소모가 적을 수 있다. 제어부(110)는 센서부(140)로부터 수신한 이벤트 값을 기반으로, 프리뷰 모드에서 대기 모드로 혹은 대기 모드에서 프리뷰 모드로 전환하거나 프리뷰 모드에서 절전 모드로 혹은 절전 모드에서 프리뷰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기 모드(Ready Mode)인 경우, 제어부에서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대기 모드에서 제어부(110)는 센서 인터페이스부(250), 메인 프로세서(260), 및 표시 컨트롤러(240)를 동작할 수 있고, 카메라(220)와 이미지 프로세서(230)를 동작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 컨트롤러(240)는 메인 프로세서(260)의 제어 하에 이미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대기 이미지(242)를 표시부(120)의 디스플레이로 출력할 수 있다.대기 모드에서는 카메라(220)와 이미지 프로세서(230)가 동작하지 않기 때문에 프리뷰 모드보다 소모되는 전류가 적을 수 있다. 대기 모드는 프리뷰 모드와 달리 이미지 프로세서(230)에서 데이터 처리를 안 하므로 프리뷰 모드보다 전류의 소모가 적은 모드이다. 또한, 표시 컨트롤러(240)는 표시부(120)의 디스플레이를 끄고, 발광다이오드의 점멸이나 휴대전자장치(210)의 진동을 이용하여 대기 모드를 표현할 수도 있다. 메인 프로세서(260)는 디스플레이의 작동 없이 간단한 외부표시를 이용하므로, 대기 이미지(242)를 출력하는 것보다 소모 전류가 더 적을 수 있다. 본 발명은 프리뷰 모드와 절전 모드사이에 대기 모드를 두기 때문에 많은 전류가 소모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센서 인터페이스부 (250)로부터 수신한 이벤트 값을 기반으로 대기 모드에서 프리뷰 모드 로 전환할 수 있다. 예컨대, 이벤트 값으로부터 사용자의 얼굴이나 눈동자에 대응되는 값이 검출되는 경우, 제어부(110)는 카메라(220)와 이미지 프로세서(230)를 활성화할 수 있다. 이벤트 값으로부터 사용자의 얼굴이나 눈동자에 대응되는 값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110)는 프리뷰 모드에서 대기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전 모드(Sleep Mode)인 경우, 제어부에서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C를 참조하면, 절전 모드에서는 카메라(220), 이미지 프로세서(230) 및 표시 컨트롤러 (240)는 동작하지 않을 수 있다. 표시 컨트롤러(240)가 동작하지 않기 때문에 표시부(120)의 디스플레이는 꺼진 상태일 수 있다. 절전 모드에서도 메인 프로세서(CPU)(260)와 센서 인터페이스부 (250)는 동작하기 때문에 메인 프로세서(CPU)(260)는 외부의 이벤트 값을 수신하여 판단할 수 있다. 메인 프로세서(CPU)(260)는 활성화(Wakeup) 키(key)가 입력되거나 프리뷰 모드 이벤트 값을 확인하면 절전 모드에서 프리뷰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절전 모드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가 슬립(sleep) 상태일 수 있다. 절전 모드에서 프리뷰 모드로 진입할 때, 제어부(110)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를 활성화하고, 카메라(220)와 이미지 프로세서(230) 및 표시 컨트롤러(240)를 작동하게 할 수 있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에 의해 표시부의 디스플레이에 나타나는 각각 모드에 대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프리뷰 모드의 화면(310)은 카메라(150)를 통해 받은 데이터를 프리뷰 이미지로 가공하고 사용자인터페이스와 결합하여 표시부(120)의 디스플레이에서 출력한 것이다. 즉, 제어부(110)는 프리뷰 이미지와 사용자인터페이스를 결합하여 표시부(120)의 디스플레이에서 출력할 수 있다. 프리뷰 모드는 센서 인터페이스부, 메인 프로세서, 이미지 프로세서, 표시 컨트롤러가 실행되는 상태일 수 있다. 제어부(110)는 센서부(140)에서 감지한 이벤트 값을 기반으로 프리뷰 모드에서 대기 모드로 혹은 프리뷰 모드에서 절전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예컨대, 센서부(140)는 수신한 이벤트 값을 센서 인터페이스부로 송신할 수 있다. 센서 인터페이스부는 이벤트 값을 메인 프로세서로 송신하고, 메인 프로세서는 이벤트 값을 기반으로 모드 전환을 할 수 있다. 이벤트 값으로부터 사용자의 얼굴이나 눈동자에 대응되는 값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메인 프로세서는 이미지 프로세서의 작동을 중단하고 표시 컨트롤러를 제어할 수 있다. 표시 컨트롤러는 메모리로부터 대기 이미지를 수신하여 표시부(120)의 디스플레이로 출력할 수 있다. 즉, 대기 모드의 화면(320)은 이미지 프로세서가 중단된 상태로 메모리(130)에 미리 저장되어 있던 대기 이미지를 표시부(120)의 디스플레이로 출력한 것일 수 있다. 또한, 표시 컨트롤러는 표시부(120)의 디스플레이를 끈 상태로 발광 다이오드의 점멸이나 휴대전자장치(100)의 진동을 이용하여 대기 모드 상태임을 표현할 수도 있다. 대기 모드는 센서 인터페이스부, 메인 프로세서, 표시 컨트롤러가 실행되며 이미지 프로세서는 작동이 중단된 상태일 수 있다. 반면에, 이벤트 값으로부터 사용자의 얼굴이나 눈동자에 대응되는 값이 검출되는 경우 메인 프로세서는 이미지 프로세서를 작동하고 표시 컨트롤러를 통해 프리뷰 모드 이미지를 표시부(120)의 디스플레이로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대기 모드에서 정해진 일정 시간의 경과를 확인하거나 절전 모드로 변경할 수 있는 키의 입력을 확인하면 대기 모드에서 절전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조도 센서를 이용할 경우 제어부(110)는 지속적으로 밝기를 측정한 조도 값을 기반으로 대기 모드에서 절전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예컨대, 휴대전자장치가 가방이나 주머니속으로 들어가는 경우 메인 프로세서는 조도센서를 통해 밝기를 측정하고 미리 정해진 임계치보다 낮으면 표시 컨트롤러의 작동을 중단할 수 있다. 절전 모드는 이미지 프로세서 및 표시 컨트롤러가 작동을 중단한 상태로 절전 모드의 화면(330)은 표시부(120)의 디스플레이가 꺼진 상태임을 알 수 있다. 절전 모드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11)가 슬립(Sleep) 상태이며 이미지 프로세서와 표시 컨트롤러의 작동이 중단되고 표시부(120)의 디스플레이도 작동을 멈춘 상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센서부(140)로부터 감지된 이벤트 값을 기반으로 프리뷰 모드에서 대기 모드로 혹은 대기 모드에서 프리뷰 모드로 진입하거나 프리뷰 모드에서 절전 모드로 혹은 절전 모드에서 프리뷰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각 모드로 진입할 때, 제어부(110)는 각 모드에서의 데이터 처리를 할 수 있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전자장치의 제어부 흐름도이다.
도 4 를 참조하면, 동작 410에서 휴대전자장치(100)에 전원이 인가될 때 휴대전자장치(100)는 프리뷰 모드다. 프리뷰 모드는 기본적인 상태로 캡쳐하기(capture) 동작 전의 모드로 볼 수 있다. 프리뷰 모드에서 휴대전자장치(100)는 사용자의 의도와 상관없이 지속적으로 카메라(150)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받아들이고 처리할 수 있다. 동작 420에서 꺼짐(off) 키(key) 입력이 확인되면 휴대전자장치(100)는 프리뷰 모드에서 전원이 종료된다. 동작 420에서 꺼짐 키입력이 없으면, 동작 430에서 제어부(110)는 절전 모드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벤트는 프리뷰 모드 이벤트와 대기 모드 이벤트 및 절전 모드 이벤트로 구분될 수 있다. 즉, 센서부(140)는 이벤트 값을 지속적으로 감지하고 이벤트 값을 제어부(110)로 송신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센서부(140)로부터 수신하는 이벤트 값을 기반으로 절전 모드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동작 430에서 제어부(110)는 절전 모드 이벤트의 발생을 확인하면 절전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절전 모드는 제어부(110)의 이미지 프로세서 및 표시 컨트롤러가 작동을 중단한 상태일 수 있다. 절전 모드는 표시 컨트롤러의 작동 중단으로 인해 표시부의 디스플레이가 꺼진 상태일 수 있다. 절전 모드 이벤트의 발생이 확인되지 않는다면 동작 440에서 제어부(110)는 대기 모드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제어부(110)는 센서부(140)로부터 수신하는 이벤트 값을 기반으로 대기 모드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동작 440에서 제어부(110)는 대기 모드 이벤트의 발생을 확인하면 대기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이벤트 값으로부터 사용자의 얼굴이나 눈동자에 대응되는 값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110)는 프리뷰 모드에서 대기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대기 모드에서는 제어부(110)의 이미지 프로세서가 작동을 중단한 상태로 표시 컨트롤러는 대기 이미지를 표시부(120)의 디스플레이에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대기 모드에서는 표시부(120)의 디스플레이가 꺼진 상태에서 발광다이오드의 점멸이나 휴대전자장치(100)의 진동으로 대기 모드 상태를 표현할 수도 있다. 동작 440에서 대기 모드 이벤트의 발생이 확인되지 않는다면 제어부(110)는 프리뷰 모드를 유지할 수 있다. 동작 450인 대기 모드는 프리뷰 모드와 절전 모드의 중간 모드로 프리뷰 모드에서 대기 모드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 작동할 수 있다. 또한 프리뷰 모드에서 미리 설정한 일정 시간이 경과하는 경우 프리뷰 모드에서 대기 모드를 수행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대기 모드 이벤트의 발생을 확인하면 프리뷰 모드에서 대기 모드로 변경하며 이미지 프로세서의 작동을 중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10)는 불필요한 소모전류를 줄일 수 있다. 동작 450인 대기 모드는 카메라 및 이미지 프로세서가 꺼진 상태로 소모전류를 크게 줄일 수 있다. 예컨대, 기술의 발달로 카메라의 화소가 점점 높아지고 표시부(120)의 디스플레이화면이 점점 커지고 있기 때문에 제어부(110)는 이미지 프로세서에서 더 많은 데이터 처리를 하게 된다. 그 결과로, 이미지 프로세서는 많은 전류를 소모할 수 있다. 대기 모드는 이미지 프로세서의 작동이 멈춘 모드로 소모전류를 크게 줄일 수 있다. 또한, 대기 모드는 이미지 프로세서 및 표시 컨트롤러가 꺼진 절전 모드와 달리, 이미지 프로세서만 꺼진 상태이므로 사용자는 빠르고 간편하게 프리뷰 모드로 돌아갈 수 있다. 대기 모드인 상태에서 제어부는 프리뷰 모드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동작 460에서 프리뷰 모드 이벤트의 발생을 확인하면 제어부(110)는 대기 모드에서 프리뷰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예컨대, 이벤트 값으로부터 사용자의 얼굴이나 눈동자에 대응되는 값이 검출되는 경우 제어부(110)는 대기 모드에서 프리뷰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즉, 제어부(110)는 이미지 프로세서를 활성화해서 프리뷰 모드로 돌아갈 수 있다. 이미지 프로세서가 활성화되므로 제어부(110)는 프리뷰 이미지를 표시부(120)의 디스플레이에서 출력할 수 있다. 동작 460에서 프리뷰 모드 이벤트의 발생이 확인되지 않는다면 제어부(110)는 동작 470에서 일정 시간의 경과를 확인하거나 절전 모드 키(key)의 입력을 확인할 수 있다. 동작 470에서 제어부(110)는 대기 모드 전환 시점부터 정해진 일정 시간의 경과를 확인하거나 절전 모드로 변경할 수 있는 키의 입력을 확인한 경우 제어부(110)는 대기 모드에서 절전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에서 조도 센서를 이용할 경우 지속적으로 밝기를 측정한 조도 값을 기반으로 제어부(110)는 밝기의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미리 정해진 조도 값의 임계치보다 낮은 경우 제어부(110)는 대기 모드에서 절전 모드로 진입할 수도 있다. 예컨대, 휴대전자장치가 가방이나 주머니속으로 들어간 경우, 제어부(110)는 조도 센서를 이용한 조도 값을 기반으로 대기 모드에서 절전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즉, 제어부(110)는 표시 컨트롤러의 작동을 중단해서 절전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표시 컨트롤러의 작동 중지로 인해 표시부(120)의 디스플레이는 꺼진 상태일 수 있다. 동작 470에서 대기 모드 전환 시점부터 정해진 일정 시간이 경과하지 않거나 절전 모드로 변경할 수 있는 키의 입력이 확인되지 않는다면 제어부(110)는 대기 모드를 유지할 수 있다. 동작 480인 절전 모드는 카메라와 이미지 프로세서 및 표시 컨트롤러가 작동을 중단한 상태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가 슬립(sleep)상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절전 모드는 대기 모드보다 소모전류가 더 적은 모드일 수 있다. 절전 모드는 표시 컨트롤러가 작동을 중단한 상태로 표시부(120)의 디스플레이가 꺼진 상태일 수도 있다. 절전 모드는 메인 프로세서의 제어 하에 센서 인터페이스부가 작동하며 외부의 이벤트 발생을 감지할 수 있다. 동작 490에서 활성화(Wakeup) 키(key) 입력이 확인되거나 프리뷰 모드 이벤트의 발생을 확인한다면 제어부(110)는 절전 모드에서 프리뷰 모드로 돌아갈 수 있다. 즉, 활성화 키의 입력이 확인거나 프리뷰 모드 이벤트의 발생이 확인되면 제어부(110)는 카메라, 이미지 프로세서 및 표시 컨트롤러를 작동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10)는 꺼진 상태였던 표시부(120)의 디스플레이에 프리뷰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동작 490에서 활성화 키의 입력이 확인되지 않거나 프리뷰 모드 이벤트의 발생이 확인되지 않는다면 제어부(110)는 절전 모드를 유지할 수 있다.
100 : 휴대전자장치
110 : 제어부
111 :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AP)
120 : 표시부
130 : 메모리
140 : 센서부
150 : 카메라

Claims (18)

  1. 카메라;
    상기 카메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프리뷰 이미지로 가공하는 이미지 프로세서;
    상기 프리뷰 이미지를 저장하는 메모리;
    표시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프리뷰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표시 컨트롤러;
    이벤트 값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로부터 수신하는 이벤트 값을 기반으로 프리뷰 모드에서 대기 모드로의 전환이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 결과 상기 프리뷰 모드에서 상기 대기 모드로의 전환이 필요한 경우 상기 이미지 프로세서를 비활성화하고 대기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 컨트롤러를 제어하는 메인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휴대전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디스플레이, 발광다이오드 및 진동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프로세서는,
    상기 대기 모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를 끄고 상기 발광다이오드를 점멸하거나 상기 진동 모터를 통해 주기적인 진동을 하도록 상기 표시 컨트롤러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자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로세서는,
    상기 이벤트 값으로부터 얼굴이나 눈동자에 대응되는 값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상기 프리뷰 모드에서 상기 대기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자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부로부터 수신하는 이벤트 값을 기반으로 상기 대기 모드에서 상기 프리뷰 모드로의 전환이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 결과 상기 대기 모드에서 상기 프리뷰 모드로의 전환이 필요한 경우 상기 이미지 프로세서를 활성화하고 프리뷰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 컨트롤러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자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로세서는,
    상기 이벤트 값으로부터 얼굴이나 눈동자에 대응되는 값이 검출되는 경우 상기 대기 모드에서 상기 프리뷰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자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로세서는,
    상기 대기 모드에서 절전 모드로의 전환이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 결과 상기 대기 모드에서 상기 절전 모드로의 전환이 필요한 경우 상기 표시 컨트롤러를 비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자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로세서는,
    상기 대기 모드에서 정해진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대기 모드에서 상기 절전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자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값은 조도값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 프로세서는,
    상기 조도값이 미리 정해진 임계치보다 낮은 경우 상기 대기 모드에서 상기 절전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자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로세서는,
    절전 모드로 변경할 수 있는 키의 입력을 확인한 경우 상기 대기 모드에서 상기 절전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자장치.
  10. 카메라를 가지고 상기 카메라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프리뷰 이미지로 가공하여 표시하는 휴대전자장치를 운영하는 방법에 있어서,
    센서부가 이벤트 값을 감지하는 동작;
    상기 센서부가 상기 이벤트 값을 메인 프로세서로 송신하는 동작;
    상기 메인 프로세서가 상기 이벤트 값을 기반으로 프리뷰 모드에서 대기 모드로의 전환이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
    상기 메인 프로세서가 상기 프리뷰 모드에서 상기 대기 모드로의 전환이 필요한 경우 이미지 프로세서를 비활성화하는 동작;
    상기 메인 프로세서가 표시부에서 대기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표시 컨트롤러를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휴대 전자 장치 운영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디스플레이, 발광다이오드 및 진동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 컨트롤러를 제어하는 동작은,
    상기 대기 모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를 끄고 상기 발광다이오드를 점멸하는 동작이나 상기 진동 모터를 통해 주기적인 진동을 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로세서가 상기 이벤트 값을 기반으로 상기 프리뷰 모드에서 상기 대기 모드로의 전환이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은,
    상기 메인 프로세서가 상기 이벤트 값으로부터 얼굴이나 눈동자에 대응되는 값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상기 프리뷰 모드에서 상기 대기 모드로 전환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로세서가 상기 이벤트 값을 기반으로 대기 모드에서 프리뷰 모드로의 전환이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
    상기 메인 프로세서가 상기 대기 모드에서 상기 프리뷰 모드로의 전환이 필요한 경우 이미지 프로세서를 활성화하는 동작;
    상기 메인 프로세서가 표시부에서 프리뷰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표시 컨트롤러를 제어하는 동작;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로세서가 상기 이벤트 값을 기반으로 상기 대기 모드에서 상기 프리뷰 모드로의 전환이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은,
    상기 메인 프로세서가 상기 이벤트 값으로부터 얼굴이나 눈동자에 대응되는 값이 검출되는 경우 상기 대기 모드에서 상기 프리뷰 모드로 전환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로세서가 상기 이벤트 값을 기반으로 상기 대기 모드에서 절전 모드로의 전환이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
    상기 메인 프로세서가 상기 대기 모드에서 상기 절전 모드로 전환이 필요한 경우 상기 표시 컨트롤러를 비활성화하는 동작;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로세서가 상기 이벤트 값을 기반으로 상기 대기 모드에서 절전 모드로의 전환이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은,
    상기 대기 모드에서 정해진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메인 프로세서는 상기 일정 시간의 경과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대기 모드에서 상기 절전 모드로 전환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값은 조도값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 프로세서가 상기 이벤트 값을 기반으로 상기 대기 모드에서 절전 모드로의 전환이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은,
    상기 메인 프로세서가 상기 조도 값이 미리 정해진 임계치보다 낮은 경우 상기 대기 모드에서 상기 절전 모드로 전환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자장치.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로세서가 상기 이벤트 값을 기반으로 상기 대기 모드에서 절전 모드로의 전환이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은,
    상기 메인 프로세서가 상기 절전 모드로 변경할 수 있는 키의 입력을 확인한 경우 상기 대기 모드에서 상기 절전 모드로 전환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30120527A 2013-10-10 2013-10-10 카메라를 가지는 전자 장치 및 이를 운영하는 방법 KR1021285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0527A KR102128582B1 (ko) 2013-10-10 2013-10-10 카메라를 가지는 전자 장치 및 이를 운영하는 방법
US14/501,801 US9866753B2 (en) 2013-10-10 2014-09-30 Electronic device having camera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0527A KR102128582B1 (ko) 2013-10-10 2013-10-10 카메라를 가지는 전자 장치 및 이를 운영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1943A true KR20150041943A (ko) 2015-04-20
KR102128582B1 KR102128582B1 (ko) 2020-07-09

Family

ID=52809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0527A KR102128582B1 (ko) 2013-10-10 2013-10-10 카메라를 가지는 전자 장치 및 이를 운영하는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866753B2 (ko)
KR (1) KR1021285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232171A1 (en) * 2021-01-19 2022-07-21 Canon Kabushiki Kaisha Imag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imag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42148B2 (ja) 2011-11-22 2016-12-14 東芝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磁気共鳴イメージング装置
US9690352B2 (en) * 2014-12-09 2017-06-27 Htc Corporatio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power control method therefor
CN105005291B (zh) * 2015-08-17 2018-04-17 广州市果豆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智能家居控制方法、控制装置及控制系统
CN109561493B (zh) * 2019-01-21 2021-11-30 上海鸿研物流技术有限公司 终端及其唤醒方法和物流系统的数据上报方法及其系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13229A (ja) * 1998-04-28 1999-11-09 Eastman Kodak Japan Ltd 電子スチルカメラ用スクリーンセーバ
JP2006076109A (ja) * 2004-09-09 2006-03-23 Oki Data Corp 電子機器制御装置
JP2008245105A (ja) * 2007-03-28 2008-10-09 Nikon Corp カメラ
US20080279537A1 (en) * 2007-03-29 2008-11-13 Doba Yosuke Information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US20120105740A1 (en) * 2000-06-02 2012-05-03 Oakley, Inc. Eyewear with detachable adjustable electronics modul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35083A (en) * 1996-05-30 1998-11-10 Sun Microsystems, Inc. Eyetrack-driven illumination and information display
JP3979090B2 (ja) * 2001-12-28 2007-09-19 日本電気株式会社 カメラ付き携帯型電子機器
US7471334B1 (en) * 2004-11-22 2008-12-30 Stenger Thomas A Wildlife-sensing digital camera with instant-on capability and picture management software
US8174611B2 (en) * 2009-03-26 2012-05-08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Digital image segmentation using flash
KR20120060677A (ko) 2010-12-02 2012-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영상 촬영 방법
KR20120126842A (ko) 2011-05-13 2012-11-21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및 그 영상 촬영 방법
US20140139669A1 (en) * 2012-01-30 2014-05-22 Steven Petrillo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front-oriented visual information to vehicle driver
GB2514731B (en) * 2012-03-25 2020-05-06 Intel Corp Methods and apparatus for saving power
US10863098B2 (en) * 2013-06-20 2020-12-0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ultimodal image sensing for region of interest captur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13229A (ja) * 1998-04-28 1999-11-09 Eastman Kodak Japan Ltd 電子スチルカメラ用スクリーンセーバ
US20120105740A1 (en) * 2000-06-02 2012-05-03 Oakley, Inc. Eyewear with detachable adjustable electronics module
JP2006076109A (ja) * 2004-09-09 2006-03-23 Oki Data Corp 電子機器制御装置
JP2008245105A (ja) * 2007-03-28 2008-10-09 Nikon Corp カメラ
US20080279537A1 (en) * 2007-03-29 2008-11-13 Doba Yosuke Information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232171A1 (en) * 2021-01-19 2022-07-21 Canon Kabushiki Kaisha Imag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imag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11528415B2 (en) * 2021-01-19 2022-12-13 Canon Kabushiki Kaisha Imag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imag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8582B1 (ko) 2020-07-09
US9866753B2 (en) 2018-01-09
US20150103224A1 (en) 2015-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4413B1 (ko) 휴대단말기의 동작 모드 제어 방법 및 장치
EP268320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leep mode in portable terminal
US1035632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mage input device
US9921631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saving power
KR102305578B1 (ko) 단말의 모드 변경 방법 및 장치
US20160034019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consumption thereof
US10649559B2 (en) Handheld electronic apparatus and touch detection method thereof
KR20150041943A (ko) 카메라를 가지는 전자 장치 및 이를 운영하는 방법
US9794456B2 (en) Camera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camera device
JP5399880B2 (ja) 電力制御装置、電力制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が実行可能なプログラム
TW201621543A (zh) 可攜式電子裝置以及其電源控制方法
US9491336B2 (en) Camera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camera device
US20140191991A1 (en) Responding to a touch input
US20120042183A1 (en) Apparatus for adjusting computer power mode
US8237696B2 (en) Intelligent digital photo frame
JP2009169381A (ja) 節電機能を有するデジタルフレーム及びその節電方法
TW201510772A (zh) 手勢判斷方法及電子裝置
JP2014020790A (ja) 情報端末
JP5696071B2 (ja) 電子機器、電子機器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101144347B1 (ko)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제스처 인식방법 및 그 휴대단말기
WO2020186506A1 (zh) 拍摄装置的控制方法和拍摄装置
US20100060579A1 (en) Power Management Device for a Wireless Input Device and Related Wireless Input Device
TWI808604B (zh) 影像感測裝置以及指紋感測方法
KR101913632B1 (ko) 휴대단말기의 동작 모드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204461B1 (ko) 휴대형단말기의 스크린 세이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