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1872B1 - 원호 모양의 리브 전단연결재 및 이를 이용한 강합성교량의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원호 모양의 리브 전단연결재 및 이를 이용한 강합성교량의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1872B1
KR100691872B1 KR1020040070814A KR20040070814A KR100691872B1 KR 100691872 B1 KR100691872 B1 KR 100691872B1 KR 1020040070814 A KR1020040070814 A KR 1020040070814A KR 20040070814 A KR20040070814 A KR 20040070814A KR 100691872 B1 KR100691872 B1 KR 1006918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c
steel
casting mold
shaped
steel ca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0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2048A (ko
Inventor
윤태양
이필구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0400708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1872B1/ko
Publication of KR200600220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20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18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18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합성 교량을 구성하는 강주형과 콘크리트 바닥판의 사이에 작용하는 수평전단력을 분담하도록 강주형의 상부면에 접합되는 원호 모양의 리브 전단연결재로서, 강주형(300)의 교축방향 상부면에 접합될 연속적인 하부면을 가지며, 상부에 원호형 돌기(210)와 원호형 홈(220)이 교번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다수개 형성된다. 본 발명은 상부에 다수개의 원호형 돌기와 홈을 교번으로 연속적으로 형성한 원호 모양을 갖도록 하여 충분한 강도와 극한 거동시 연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또한 강주형에 접합될 하부면을 연속화하여 용접성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원호 모양의 리브 전단연결재 및 이를 이용한 강합성 교량의 결합구조{Arc shaped rib shear connector and connection for steel-concrete composite bridges}
도 1은 통상의 강합성 교량에서 콘크리트 바닥판과 강주형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통상적인 강주형의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원호 모양의 리브 전단연결재의 구성관계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리브 전단연결재를 이용한 강합성 교량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0 : 전단연결재 210 : 원호형 돌기
220 : 원호형 홈 300 : 강주형
310, 320, 330 : 강판 340 : 콘크리트 바닥판
350 : 철근
본 발명은 콘크리트 바닥판과 강주형으로 구성되는 강합성 교량에서 합성작용을 위한 전단연결재에 관한 것이며, 특히, 전단력이 발생하는 콘크리트 바닥판과 강주형 사이의 경계면에서 큰 전단강성과 극한 상태에서 적절한 연성을 갖는 원호 모양의 리브 전단연결재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원호 모양의 리브 전단연결재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바닥판과 강주형을 서로 결합하는 강합성 교량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강합성 교량은 콘크리트 바닥판과 전단연결부인 강주형을 결합하여 구성하는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결합관계를 갖도록 구성된다. 도 1은 통상의 강합성 교량에서 콘크리트 바닥판과 강주형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강주형의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주형(100)은 H 형상을 갖는 것으로서, 소정의 두께를 갖는 3개의 강판(110, 120, 130)을 H 형상으로 서로 용접하여 구성한 것이다. 이러한 강주형(100)의 구성요소 중에서 상부강판(110)은 콘크리트 바닥판(140)과 접촉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상부강판(110)과 콘크리트 바닥판(140)의 사이에는 수평전단력이 작용한다. 따라서 통상의 강합성 교량에는 상부강판(110)에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전단연결재(150)를 각각 용접한 후 그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합성단면을 구성하고 있다. 이렇듯, 통상의 강합성 교량에서는 상부강판(110)과 콘크리트 바닥판(140)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수평전단력을 전단연결재(150)에서 분담하도록 구 성하고 있다.
여기에 사용되는 전단연결재(150)는 스터드, 채널, 트러스 등 다양한 형상을 갖고 있으나, 제작의 편의를 위해 일정한 직경을 갖는 스터드 볼트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스터드 전단연결재는 충분한 강도와 극한 거동시 연성을 확보하는 특징이 있으나, 인부들이 직접 강주형의 상부강판에 개별적으로 용접해야 함으로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번거롭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강주형에 접합되는 하부면을 연속화하되 상부가 연속적인 원호 모양을 갖도록 구성함으로써 충분한 강도와 극한 거동시 연성을 충분히 확보하면서도 작업성을 개선하는 원호 모양의 리브 전단연결재 및 이를 이용한 강합성 교량의 결합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원호 모양의 리브 전단연결재는, 강주형의 교축방향 상부면에 접합될 연속적인 하부면을 가지며, 상부에 원호형 돌기와 원호형 홈이 교번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다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원호 모양의 리브 전단연결재를 강주형과 콘크리트 바닥판의 사이에 작용하는 수평전단력을 분담하도록 강주형의 상부면에 접합하여 강합성 교량의 결합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원호 모양의 리브 전단연결재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원호 모양의 리브 전단연결재의 구성관계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원호 모양의 리브 전단연결재(200)는 소정의 길이, 높이 및 두께(예를 들어, 10mm)를 갖는 강판을 가공하여 형성한 것으로서, 상부가 연속적인 원호 모양을 갖도록 구성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리브 전단연결재(200)는 강주형의 길이에 대응하는 하부 길이를 가지며, 상부에 원호형 돌기(210)와 원호형 홈(220)이 교번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다수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리브 전단연결재(200)는 소정의 길이, 높이 및 두께를 갖는 사각형상의 강판을 높이방향의 중심축 라인에 대해 원호형 돌기(210)와 원호형 홈(220)이 교번으로 형성되도록 절단 가공함으로써 상하부가 상호 대칭되는 형태로 2개가 제작된다. 이 때, 다수개의 원호형 돌기(210) 및 원호형 홈(220)은 교번으로 연속적으로 연결되면서 형성되는 것으로서, 가상선으로 연결할 경우 각각 원형 형태를 갖는다. 그리고 원호형 돌기(210)의 하부쪽은 그 양 쪽에 위치하는 원호형 홈(220)에 의해 잘록한 형태를 갖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리브 전단연결재(200)는 극한 거동시 원호형 돌기(210)의 잘록한 부분에서 연성거동을 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리브 전단연결재(200)는 하부가 일정 두께를 연속적으로 갖기 때문에 강주형에 자동 필렛용접하여 손쉽게 접합할 수가 있다.
아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원호 모양의 리브 전단연결재를 이용한 강합성 교량의 결합구조에 대해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리브 전단연결재를 이용한 강합성 교량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강합성 교량은 통상적인 강주형(300)의 상부면의 교축방향을 따라 원호 모양의 리브 전단연결재(200)를 자동 필렛용접한 후 그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 바닥판(340)을 형성하여 제작한다. 도 4의 강주형(300)은 통상적인 소정의 두께를 갖는 3개의 강판(310, 320, 330)을 H 형상으로 서로 용접하여 구성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강주형(300)으로 I형 거더 또는 박스형태의 거더를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강주형(300)의 상부강판(310)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는 원호 모양의 리브 전단연결재(200)의 하단을 상부강판(310)의 교축방향을 따라 용접하여 고정한다. 이 때, 리브 전단연결재(200)는 강합성 교량의 폭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강합성 교량은 콘크리트 바닥판(340) 내에 철근(350)이 매설되도록 리브 전단연결재(200)의 원호형 홈(220)에 철근(350)을 배열한 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철근(350)은 리브 전단연결재(200)의 원호형 홈(220)에 각각 한 개씩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리브 전단연결재는 상부에 다수개의 원호형 돌기와 홈을 교번으로 연속적으로 형성한 원호 모양을 갖도록 하여 충분한 강도와 극한 거동시 연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또한 강주형에 접합될 하부면을 연속화하여 접합 작업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원호 모양의 리브 전단연결재를 콘크리트 바닥판과 강주형을 결합하는 매체로 이용함으로 보다 경제적인 강합성 교량을 제작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원호 모양의 리브 전단연결재 및 이를 이용한 강합성 교량의 결합구조에 대한 기술사항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고 첨부한 특허청구의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Claims (3)

  1. 강합성 교량을 구성하는 강주형과 콘크리트 바닥판의 사이에 작용하는 수평전단력을 분담하도록 강주형의 상부면에 접합되는 전단연결재로서,
    상기 강주형의 교축방향 상부면에 접합될 연속적인 하부면을 가지며, 상부에 원호형 돌기와 원호형 홈이 교번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다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호 모양의 리브 전단연결재.
  2. 강주형과 콘크리트 바닥판의 사이에 작용하는 수평전단력을 분담하도록 강주형의 상부면에 전단연결재를 접합하여 구성한 강합성 교량의 결합구조로서,
    상기 강주형의 교축방향 상부면에 접합될 연속적인 하부면을 가지며 상부에 원호형 돌기와 원호형 홈이 교번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다수개 형성된 원호 모양의 리브 전단연결재를 상기 강주형의 상부면에 접합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합성 교량의 결합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원호형 홈 내에는 철근이 각각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합성 교량의 결합구조.
KR1020040070814A 2004-09-06 2004-09-06 원호 모양의 리브 전단연결재 및 이를 이용한 강합성교량의 결합구조 KR1006918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0814A KR100691872B1 (ko) 2004-09-06 2004-09-06 원호 모양의 리브 전단연결재 및 이를 이용한 강합성교량의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0814A KR100691872B1 (ko) 2004-09-06 2004-09-06 원호 모양의 리브 전단연결재 및 이를 이용한 강합성교량의 결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2048A KR20060022048A (ko) 2006-03-09
KR100691872B1 true KR100691872B1 (ko) 2007-03-12

Family

ID=37128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0814A KR100691872B1 (ko) 2004-09-06 2004-09-06 원호 모양의 리브 전단연결재 및 이를 이용한 강합성교량의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18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3479B1 (ko) 2008-10-14 2010-12-3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절곡형 전단연결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61148A (zh) * 2012-02-22 2012-07-11 华南理工大学 铺装钢桥面的浇筑式沥青混凝土的补强结构及其施工方法
CN111236067B (zh) * 2020-02-27 2021-06-11 东南大学 一种预制拼装钢桥面铺装结构及其实施方法
CN112160241A (zh) * 2020-10-29 2021-01-01 西南交通大学 一种正交异性钢桥面板疲劳加固体结构及其施工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3479B1 (ko) 2008-10-14 2010-12-3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절곡형 전단연결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2048A (ko) 2006-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1229112U (zh) 一种全预制楼板部分叠合式拼缝构件
JP2001342611A (ja) 橋 桁
KR100691872B1 (ko) 원호 모양의 리브 전단연결재 및 이를 이용한 강합성교량의 결합구조
JP2001081729A (ja) 合成床版
JP3830767B2 (ja) 橋梁用連続桁
JP3866998B2 (ja) 鋼・コンクリート合成床版
JP2008088634A (ja) 鋼コンクリート合成床版
JP4101397B2 (ja) 波形鋼板ウェブ橋におけるコンクリート床版と波形鋼板との接合方法
KR20090006512A (ko) 슬래브와 기둥 접합부의 전단보강체
JP2000027299A (ja) 柱構造
KR200347024Y1 (ko) 이방향 골판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복합형 슬라브 구조
JP4500209B2 (ja) 合成床版橋
KR20060071525A (ko) 보 이음용 절곡판재를 구비한 철골 구조물
KR200317407Y1 (ko) 트러스데크 패널
KR100997450B1 (ko) 엇물림 복공판을 이용한 가설 교량 및 그 시공방법
KR20080004752U (ko) 초간편시공이 가능한 강합성 교량
JPH09317084A (ja) 繊維強化プラスチック・コンクリート合成構造体
JPH0739927Y2 (ja) 中空合成床版橋
JP7421930B2 (ja) デッキプレート用支持部材、デッキプレート支持構造及びデッキプレート支持方法
CN215563721U (zh) 一种结构稳固型叠合板
JPH10102659A (ja) 鉄骨コンクリート合成梁におけるコンクリートの打設方 法
KR20190109950A (ko) 트러스거더의 상현재 보강용 착탈보강부재가 구성된 트러스데크
JP7350651B2 (ja) スラブ
CN211948910U (zh) 一种叠合楼板与钢梁的连接节点
KR102117753B1 (ko) 슬래브와 기둥 접합부의 펀칭전단 보강 및 콘크리트 피복두께 유지를 위한 전단 보강체와 그 제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2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