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8811B1 - 휴대 단말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8811B1
KR100688811B1 KR1020030081117A KR20030081117A KR100688811B1 KR 100688811 B1 KR100688811 B1 KR 100688811B1 KR 1020030081117 A KR1020030081117 A KR 1020030081117A KR 20030081117 A KR20030081117 A KR 20030081117A KR 100688811 B1 KR100688811 B1 KR 1006888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
portable terminal
housing
terminal device
selection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1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44143A (ko
Inventor
야시마다카유키
Original Assignee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441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41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88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88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25Rotatable telephones, i.e. the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 H04M1/0245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using open/close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hort messaging services [SMS] or e-m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alculators And Similar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 장치를 개방하기 전에 각종 기능을 선택한 후, 그 기능이 주 조작부에 의한 조작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 주 조작부에 의한 조작을 실시할 수 있는 상태로 유연하게 이행할 수 있는 휴대 단말 장치를 제공한다. 휴대 단말 장치는 제 1 및 제 2 하우징(32, 34)의 개폐 상태를 검출하는 개폐 상태 검출부(64)를 갖고, 제 1 및 제 2 하우징(32, 34)이 폐쇄 상태일 때에 보조적 조작부(42, 44)의 조작에 의해 표시부(11)에 표시되는 선택 화면(72) 중에서 특정한 항목이 선택된 후에 개방 동작이 실시된 경우, 특정한 항목에 대응하는 표시 화면이 표시부(11)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62)를 갖도록 했다.

Description

휴대 단말 장치{PORTABLE TERMINAL UNI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휴대 전화기(30)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도 1에 있어서의 휴대 전화기(30)의 좌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휴대 전화기(30)의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도 3에 있어서의 휴대 전화기(30)의 배면도,
도 5는 도 1에 있어서의 3방향 레버 키이(44)를 나타내는 휴대 전화기(30)의 부분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휴대 전화기(30)의 회로도,
도 7은 도 1에 있어서의 표시면(12)에 표시되는 제 1 기능 선택 화면(72)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도 1에 있어서의 표시면(12)에 표시되어 있는 제 2 기능 선택 화면(74)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도 1에서의 표시면(12)에 표시되는 이메일 기능 중의 선택 화면(76)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도 1에 있어서의 표시면(12)에 표시되는 메모장 기능 중의 선택 화면(78)을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휴대 전화기(30)의 각종 기능의 전이도,
도 12는 종래의 폴더형 휴대 전화기(2)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표시면 13a, 13b : 스피커
15 : 마이크 16 : 주 조작부
44 : 3방향 레버 키이 46 : 카메라
62 : 제어부 64 : 상태 검출 수단
본 발명은 휴대 전화기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의 휴대 단말 장치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서로 포갤 수 있도록 연결된 복수의 하우징으로 구성되는 휴대 단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2개의 하우징을 접을 수 있는 폴더형 휴대 단말 장치로서, 도 12에 도시된 것과 같은 폴더형 휴대 전화기(2)가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이 폴더형 휴대 전화기(2)는 한 쪽의 하우징(4)의 내측면(10)에 출력 정보를 표시하는 LCD(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면(12) 및 스피커(13)가 설치되어 있고, 다른 쪽의 하우징(6)의 내측면(14)에 주 조작부(16) 및 마이크(15)가 설치되어 있다.
주 조작부(16)에는 표시면(12)에 표시되는 항목을 선택할 수 있도록, 상하 좌우의 방향으로 지시할 수 있는 커서 키(cursor key)(18), 숫자나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텐 키(ten keys)(20), 기타 각종 키가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폴더형 휴대 전화기(2)는 그것이 가지는 각종 기능을 기능 선택 화면으로서 표시면(12)에 표시하도록 이루어져 있고, 그 때 각종 기능이 어떤 것인지를 이해할 수 있도록, 예컨대 문자에 의해 기능 항목을 표시하고, 이것을 도 7과 같이 배열한 것이 있었다.
그러나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은 폴더형 휴대 전화기(2)에 있어서는 한 쪽의 하우징(4)과 다른 쪽의 하우징(6)이 접혀 있을 때에는, 이것을 개방한 후에야 표시면(12)을 볼 수 있어서, 접힌 상태에서는 표시면(12)에 정보를 출력하더라도 열람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표시면(12)을 열람하기 위해 폴더형 휴대 전화기(2)를 개방하는 수고 때문에 번거롭다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접힌 상태 또는 이에 상당하는 상태로 한 경우에도, 표시면(12)이 외측을 향하도록 한 것이 있다.
이러한 휴대 단말 장치로서는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제 1999-215218 호, 일본 특허 공개 제 2002-141984 호, 및 일본 특허 공개 제 2002-135380 호에 기재되어 있는 휴대 단말 장치가 있다. 이러한 휴대 단말 장치는 연결되는 2개의 하우징을 개방한 상태에서는 도 12에 나타낸 폴더형 휴대 전화기(2)의 자세와 같이, 한 쪽의 하우징에 설치되어 있는 표시면이 내측을 향하고 있다.
그렇지만 이러한 종래의 휴대 단말 장치는 상기 폴더형 휴대 전화기(2)와는 달리, 2개의 하우징의 연결부에서 한 쪽의 하우징을 180°비틀면서 접어서 중첩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표시면이 외측을 향하도록 하여 2개의 하우징을 중첩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종래의 휴대 단말 장치로서는 일본 특허 공개 제 1995-288860 호에 기재되어 있는 것이 있다. 이 휴대 단말 장치는 표시면이 설치되어 있는 한 쪽의 하우징과, 조작부가 설치되어 있는 다른 쪽의 하우징이 표시면과 조작부를 동일한 방향을 향해서 포갠 상태로 이들 2개의 하우징을 관통하는 방향으로 설치된 축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 휴대 단말 장치는 한 쪽의 하우징이 다른 쪽의 하우징에 대해 축을 중심으로하여 부채를 펴는 것과 같은 동작에 의해 개방할 수 있고, 또한 표시면이 외측을 향한 채로 2개의 하우징을 포갠 상태로 하여 둘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런데 이러한 휴대 단말 장치에 관해서, 2개의 하우징이 중첩된 상태 그대로는 사용자가 표시면을 볼 수 있어도, 주 조작부가 표시면측의 하우징에 의해 덮여져 숨어있기 때문에, 조작부를 조작할 수 없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일본 특허 공개 제 1995-288860 호에 기재되어 있는 휴대 단말 장치는 간단한 조작을 하기 위한 보조적 조작키를, 2개의 하우징을 포갠 경우에 서로 대향하는 면 이외의 면에 배치하도록 하고 있다.
그렇지만, 일본 특허 공개 제 1995-288860 호 등에 기재되어 있는 휴대 단말 장치에서는 메일 기능에 의한 메일의 작성이나 메모장 기능의 편집 작업 등과 같이, 주 조작부에 의한 입력 작업을 필요로 하는 기능을 사용하는 경우, 예컨대 보조적 조작키의 조작에 의해서 표시면에 기능 선택 화면을 표시한 후, 추가로 보조적 조작키의 조작에 의해서 표시면에 표시되어 있는 기능 선택 화면으로부터 메일 기능이나 메모장 기능 등의 특정한 기능 선택 항목을 선택 및 결정하여 이를 기동시킨 후, 또한 주 조작부의 텐 키 등의 조작에 의해 입력 작업을 하기 위해서, 표시부측의 하우징을 주 조작부측의 하우징에 대하여 개방하는 동작을 실시해야만 하는 등, 특히 주 조작부에 의한 조작을 필요로 하는 기능 선택 항목의 기능을 기동시키는 경우, 번거롭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휴대 단말 장치를 개방하기 전에 각종 기능을 선택한 후, 그 기능이 주 조작부에 의한 조작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 주 조작부에 의한 조작을 할 수 있는 상태로 적은 조작으로 이행할 수 있는 휴대 단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적어도 표시부를 갖는 제 1 하우징과; 적어도 주 조작부를 갖는 제 2 하우징으로서, 상기 제 1 및 제 2 하우징 양자는 서로 개폐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주 조작부는 폐쇄 상태에서 상기 제 1 하우징에 의해 덮여지고 개방 상태에서 외측에 노출되며, 상기 표시부는 폐쇄 상태 및 개방 상태로 외측에 노출되는, 제 2 하우징과; 폐쇄 상태에서 제 1 하우징 및 제 2 하우징의 서로 대향하는 면 이외의 면에 제공된 보조적 조작부와; 폐쇄 상태에서 상기 보조적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상기 표시부에 선택 화면을 표시하는 동시에, 상기 선택 화면에 표시된 다수의 항목 중에서 특정한 항목을 선택한 후에 상기 휴대 단말 장치가 개방 상태로 되었을 때, 상기 특정한 항목에 대응하는 표시 화면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선택 화면이란 메일 기능, 메모장 기능, 스케줄장 기능, 브라우저 기능, 전언/음성 메모 기능, 이력 표시 기능, 카메라 기능 중 2개 이상의 기능 항목을 표시하는 기능 선택 화면으로서 규정된다.
또한, 선택 화면이란 메일 기능, 메모장 기능, 스케줄장 기능, 카메라 기능 중 어느 하나의 기능 중에서 복수개의 선택 항목을 표시하는 화면으로서 규정된다.
또한, 상기 휴대 단말 장치는 휴대 무선 전화기이다.
또한, 상기 휴대 단말 장치는 휴대용 개인정보 단말기(PDA)이다.
또한, 상기 제 1 하우징 및 상기 제 2 하우징은 슬라이딩 운동에 의해 개폐되도록 서로 연결된다.
본 발명은 적어도 표시부를 갖는 제 1 하우징과; 적어도 주 조작부를 갖는 제 2 하우징으로서, 상기 제 1 및 제 2 하우징 양자는 서로 개폐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주 조작부는 폐쇄 상태에서 상기 제 1 하우징에 의해 덮여지고 개방 상태에서 외측에 노출되며, 상기 표시부의 표시 화면은 폐쇄 상태 및 개방 상태로 외측에 노출되는, 제 2 하우징과; 폐쇄 상태에서 제 1 하우징 및 제 2 하우징의 서로 대향하는 면 이외의 면에 제공된 키이 또는 다수의 키이를 구비하는 보조적 조작부와; 제 1 하우징 및 제 2 하우징의 개폐 상태를 검출하는 상태 검출부와; 폐쇄 상태에서 상기 키이 또는 다수의 키이중 일부의 조작에 의해 상기 표시부에 선택 화면을 표시하는 동시에, 상기 선택 화면에 표시된 다수의 항목 중에서 특정한 항목을 선택한 후에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 된 것을 상기 상태 검출부가 검출했을 때, 상기 특정한 항목에 대응하는 표시 화면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선택 화면이란 메일 기능, 메모장 기능, 스케줄장 기능, 브라우저 기능, 전언/음성 메모 기능, 이력 표시 기능, 카메라 기능 중 2개 이상의 기능 항목을 표시하는 기능 선택 화면으로서 규정된다.
또한, 선택 화면이란 메일 기능, 메모장 기능, 스케줄장 기능, 카메라 기능 중 어느 하나의 기능 중에서 복수개의 선택 항목을 표시하는 선택 화면으로서 규정된다.
또한, 상기 휴대 단말 장치는 휴대 무선 전화기이다.
또한, 상기 휴대 단말 장치는 휴대용 개인정보 단말기(PDA)이다.
또한, 상기 제 1 하우징 및 상기 제 2 하우징은 슬라이딩 운동에 의해 개폐되도록 서로 연결된다.
본 발명은 주 조작부를 갖는 제 1 하우징과, 상기 주 조작부를 덮도록 제 1 하우징 상에 중첩되는 제 2 하우징과, 상기 2개의 하우징의 중첩 방향으로 연장하는 축선을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상기 2개의 하우징의 일 단부를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하우징이 중첩되는 폐쇄 상태와, 이 폐쇄 상태에서 180° 회전한 개방 상태를 취하도록 구성된 휴대 단말 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휴대 단말 장치는 상기 주 조작부가 설치된 면과 대략 동일한 방향을 향한 상기 제 2 하우징의 면에 설치된 표시부와, 상기 폐쇄 상태에서 상기 양 하우징의 상호 대향하는 면 이외의 면에 설치된 키이 또는 다수의 키이를 갖는 보조적 조작부와, 상기 제 1 및 제 2 하우징의 개폐 상태를 검출하는 상태 검출부와, 폐쇄 상태에서 상기 키이 또는 다수의 키이중 일부의 조작에 의해 상기 표시부에 선택 화면을 표시하는 동시에, 상기 선택 화면에 표시된 다수의 항목 중에서 특정한 항목을 선택한 후에 상기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 된 것을 상기 상태 검출부에서 검출했을 때, 상기 특정한 항목에 대응하는 표시 화면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선택 화면이란 메일 기능, 메모장 기능, 스케줄장 기능, 브라우저 기능, 전언/음성 메모 기능, 이력 표시 기능, 카메라 기능 중 2개 이상의 기능 항목을 표시하는 기능 선택 화면으로서 규정된다.
또한, 선택 화면이란 메일 기능, 메모장 기능, 스케줄장 기능, 카메라 기능 중 어느 하나의 기능 중에서 복수개의 선택 항목을 표시하는 선택 화면으로서 규정된다.
또한, 상기 휴대 단말 장치는 휴대 무선 전화기이다.
또한, 상기 휴대 단말 장치는 휴대용 개인정보 단말기(PDA)이다.
이러한 휴대 단말 장치에 의하면, 주 조작부에 의한 조작을 필요로 하는 선택 항목의 기능을 기동시키는 경우에도, 폐쇄 상태에서 표시면에 표시되어 있는 선택 화면 중 소망의 선택 항목을 선택한 후, 개방 동작을 실시하도록 하는 것만으로 선택 항목을 자동적으로 기동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적은 조작으로 주 조작부에 의한 조작을 실시할 수 있는 상태로 이행할 수 있고, 조작을 간략화할 수 있는 동시에,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선택 화면이란 메일 기능, 메모장 기능, 스케줄장 기능, 브라우저 기능, 전언/음성 메모 기능, 전화 번호부 및 일정 기록부와 같은 이력 표시 기능, 카메라 기능 중 2개 이상의 기능 항목을 표시하는 기능 선택 화면, 또는 메일 기능, 메모장 기능, 스케줄장 기능, 카메라 기능 중 어느 하나의 기능 중에서 복수개의 선택 항목을 표시하는 선택 화면인 것을 가리킨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 장치의 실시예에 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휴대 전화기(30)(휴대 단말 장치에 상당함)에 관하여 설명하기 위해 참조하는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나타내는 휴대 전화기(30)는 종래의 폴더형 휴대 전화기(2)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여 설명하고, 종래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이 휴대 전화기(3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하우징(32)과 제 2 하우징(34)으로 구성되고, 제 1 하우징(32)과 제 2 하우징(34)을 관통하는 방향으로 설치된 축(36)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휴대 전화기(30)는 제 1 하우징(32)과 제 2 하우징(34)을 포갠 상태에서도 표시면(12)을 외측에서 볼 수 있도록, 제 1 하우징(32)의 제 2 하우징(34)과 반대측의 면 측에 표시부(11)를 설치했다. 또한, 제 1 하우징(32)과 제 2 하우징(34)을 포갠 상태에서도 조작할 수 있도록, 제 1 하우징(32) 및 제 2 하우징(34)의 각각의 측면(38, 40)에는 보조적 조작부로서의 사이드 키(42)와 3방향 레버 키이(4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참조부호(13a, 13b)는 각각 제 1 하우징(32)의 표시부(11)가 배치된 면에 설치된 스피커로, 표시부(11)를 협지하여 상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참조부호(15)는 제 2 하우징(34)의 주 조작부(16)가 배치된 면에 설치된 마이크이다.
휴대 전화기(30)는 제 1 하우징(32)과 제 2 하우징(34)이 중첩된 상태로부터, 축(36)을 중심으로 하여, 제 1 하우징(32)을 화살표(a)로 도시한 바와 같이 180°회전시킴으로써,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하우징(34)에 설치된 주 조작부(16)가 외측에 보이는 개방된 상태로 할 수 있다. 또한, 이 때 표시면(12)은 주 조작부(16)와 대략 동일한 방향을 향한 상태로 회전하기 때문에, 개방된 상태에서도 표시면(12)을 외측에서 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관한 휴대 전화기(30)는 제 1 하우징(32)이 축(36)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구조로 했지만, 이것과는 별도의 실시예로서 레일 등을 설치하여 도 1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제 1 하우징(32)이 제 2 하우징(34)에 대하여 화살표(b) 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구조로 할 수도 있다.
또는 일본 특허 공개 제 2002-141984 호 등에 기재된 발명과 같이, 제 1 하우징(32)과 제 2 하우징(34)이 연결되어, 이 연결부가 접는 동작과 비트는 동작을 함께 할 수 있는 구조로 한 것일 수도 있다.
따라서, 휴대 단말 장치를 이들과 같은 구조로 해도, 본 실시예에 관한 휴대 전화기(30)와 마찬가지로,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상태 및,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상태로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상태를 「접힌 상태」 또는 「폐쇄 상태」라고 하고,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상태를 「개방 상태」라고 하기로 한다. 그리고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 하는 것을「개방 동작」이라고 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주 조작부(16), 사이드 키(42) 및 3방향 레버 키이(44) 등에 관해서 설명한다. 휴대 전화기(3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하우징(32)과 제 2 하우징(34)이 개방된 상태에서는 제 2 하우징(34)의 내측에 설치되어 있는 주 조작부(16) 내의 커서 키(18) 및 텐 키(20)를 조작할 수 있다. 이때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해서, 사이드 키(42) 및 3방향 레버 키이(44)를 사용하여 실시되는 조작은 무효가 되도록 한다.
또한, 휴대 전화기(3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배면에 카메라(46), 거울(48), 녹화용 마이크(50)를 구비하고 있고, 이들은 개방 상태에서도, 또는 폐쇄 상태에서도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제 1 하우징(32)과 제 2 하우징(34)이 중첩된 상태에서 사용되는 3방향 레버 키이(44)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방향[화살표(c) 방향] 및 하방향[화살표(d) 방향]으로 기울일 수 있고, 또한 중앙 방향[화살표(e) 방향]으로 누를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폐쇄 상태에서의 대기 상태에 있어서, 3방향 레버 키이(44)를 중앙 방향[화살표(e) 방향]으로 누름으로써 표시면(12)에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은 기능 항목이 상하 방향으로 배열(일차원적 배열)된 제 1 기능 선택 화면(72)을 표시하고, 또한 3방향 레버 키이(44)를 도 5 중의 상방향[화살표(c) 방향] 및 하방향[화살표(d) 방향]으로 움직임으로써 기능 항목을 선택하고, 이어서 중앙 방향[화살표(e) 방향]으로 누름으로써 선택한 기능 항목을 결정하여 그 기능을 기동시키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사이드 키(42)는 누를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어서, 3방향 레버 키이(44)에 의해 조작된 선택 항목의 결정은 사이드 키(42)에 의해 취소하여, 한 단계 전의 표시 화면으로 되돌릴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도 6은 휴대 전화기(30)의 회로도를 나타내고, 참조부호(60)로 나타내는 각종 기능부는 제어부(62)에 의해 제어되어 동작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 회로도에 있어서, 상태 검출 수단(64)(개폐 상태 검출부)은 도 1 내지 도 4에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제 1 하우징(32)과 제 2 하우징(34)이 폐쇄 상태 또는 개방 상태에 있는지, 또는 회전 동작 중에 있는지를 검출하여 제어부(152)에 그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다.
이러한 개폐 상태 검출 수단(64)은 제 1 하우징(32)의 회전에 의해 도통되게 상기 축(36)을 중심으로 형성된 컨덕터와, 이 컨덕터와 접촉/비접촉하는 접점을 갖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달리, 기계적 스위치나 센서가 사용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7 내지 도 10은 표시면(12)에 표시되는 선택 화면(메뉴 패널)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폐쇄 상태에 있어서의 제 1 기능 선택 화면(72)이다. 폐쇄 상태에서는 사이드 키(42) 및 3방향 레버 키이(44)에 의한 조작이 실시되기 때문에, 이에 대응하여 제 1 기능 선택 화면(72)에는 각종 기능을 문자열의 항목으로서 세로 방향으로 배열(일차원적으로 배열)하고 있다.
또한, 도 7에 있어서 이메일 기능의 항목의 범위가 다른 기능 항목의 배경과 상이한 배경으로 표시되어 있고, 이렇게 하여 기능 항목이 선택되어 있는 것을 사용자에게 인식시키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 때문에 사용자는 조작하고자 하는 기능 항목의 범위 내의 색이 다른 기능 항목의 범위 내의 색과 다른 것을 확인하여, 3방향 레버 키이(44)를 중앙 방향[도 5 중, 화살표(e) 방향]으로 누름으로써 그 기능 항목을 결정한다.
도 8은 개방 상태에 있어서의 제 2 기능 선택 화면(메뉴 패널)(74)이다. 개방 상태에서는 상하 좌우로 조작하여 선택할 수 있는 주 조작부(16)의 커서 키(18) 등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응하여 제 2 기능 선택 화면(74)에는 각종 기능을 종횡 2차원적으로 배열한 아이콘에 의해 표시하고 있다.
또한, 도 8 중에 있어서는 주소장의 아이콘이 테두리로 둘러싸여 있지만, 이것은 테두리로 둘러싸여 있는 기능 항목이 선택되어 있는 것을, 사용자에게 인식시 키도록 한 것이다.
도 9는 폐쇄 상태 및 개방 상태의 양쪽 상태에 있어서의 이메일 기능 중의 선택 화면(76)이다. 송신하고자 하는 이메일(전자 메일)의 문장을 작성할 수 있는 「신규 작성」, 수신한 이메일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수신 박스」, 또는 송신하는 이메일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송신 박스」 중 어느 한 가지 항목을 선택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도 10은 마찬가지로 폐쇄 상태 및 개방 상태의 양쪽의 상태에 있어서의 메모장 기능 중의 선택 화면(78)이다. 메모를 작성할 수 있는 「메모 작성」, 또는 작성한 메모를 열람할 수 있는 「열람」의 항목을 선택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제 1 기능 선택 화면(72) 및 제 2 기능 선택 화면(74) 등은 휴대 전화기(30)의 각종 기능을 항목적으로 표시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이들 기능 항목 중에서 특정한 기능 항목을 선택하고, 이 특정한 기능 항목에 대응하는 기능을 기동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이메일 기능 중의 선택 화면(76) 등과 같이, 특정한 기능 중에 있어서의 선택 화면은 휴대 전화기(30)의 각종 기능이 가지고 있는 제 2 기능 항목을 항목적으로 표시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특정한 기능 항목이 열려 있는 제 2 기능 항목 중에서 특정한 기능 항목을 선택하고, 이 특정한 기능 항목에 대응하는 기능을 기동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다음으로 도 11의 전이도에 근거하여, 휴대 전화기(30)의 기능의 전이의 일 예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면 중에 있어서, 좌측의 점선으로 둘러싸여 있는 영역은 폐쇄 상태에 있어서의 휴대 전화기(30)의 각종의 기능의 동작 상태 등을 나타내고, 우측의 점선으로 둘러싸여 있는 영역은 개방 상태에 있어서의 휴대 전화기(30)의 각종의 기능의 동작 상태 등을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한다.
예컨대, 폐쇄 상태에 있어서 도 9에 나타낸 이메일 기능 중의 선택 화면(76)이 표시면(12)에 표시되어 있고, 3방향 레버 키이(44)의 상하 방향의 조작에 의해서 신규 작성의 항목을 「선택」한 경우에, 추가로 3방향 레버 키이(44)를 중앙 방향으로 눌러 「결정」 조작을 함으로써[도 11 중, 화살표(f)], 폐쇄 상태 그대로 도시하지 않은 신규 작성 화면으로 이동한다.
그러나 이대로는 주 조작부(16)의 텐 키(20) 등을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사용자는 제 1 하우징(32)과 제 2 하우징(34)을 개방해야만 한다[도 11 중, 화살표(g)]. 이 때문에 표시면(12)에는 제 1 하우징(32)과 제 2 하우징(34)을 개방하도록 재촉하는 안내 문구로서 「열어 주세요」 등으로 표시하도록 한다.
한편, 폐쇄 상태에 있어서, 도 9에 나타내는 이메일 기능 중의 선택 화면(76)이 표시면(12)에 표시되어 있고, 3방향 레버 키이(44)의 상하 방향의 조작에 의해 신규 작성의 항목을 「선택」한 경우에, 3방향 레버 키이(44)를 중앙 방향으로 누르지 않고서, 제 1 하우징(32)과 제 2 하우징(34)을 열도록 하는 것만으로[도 11 중, 화살표(h)], 상태 검출 수단(64)이 이를 검출하여 신규 작성 화면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혼란 없이 조작을 절약할 수 있기 때문에, 즉시 이메일의 문장을 작성하는 작업으로 들어 갈 수 있다.
또한,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가 되 면, 표시면(12)의 화면의 방향이 상하 반대로 되기 때문에, 그러한 때에는 표시 화면이 180° 반전하여 표시되도록 이루어져 있다는 것은 당연하다.
또한, 폐쇄 상태에 있어서, 도 10에 나타낸 메모장 기능 중의 선택 화면(78)이 표시면(12)에 표시되어 있고, 3방향 레버 키이(44)의 상하 방향의 조작에 의해서 메모 작성의 항목을「선택」한 경우에, 추가로 3방향 레버 키이(44)를 중앙 방향으로 눌러 「결정」의 조작을 함으로써[도 11 중, 화살표(i)], 폐쇄 상태 그대로 도시하지 않은 메모 작성 화면으로 이동한다.
그러나 이대로는 주 조작부(16)의 텐 키(20) 등을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사용자는 제 1 하우징(32)과 제 2 하우징(34)를 개방해야만 한다[도 11 중, 화살표(j)]. 이 때문에 표시면(12)에는 제 1 하우징(32)과 제 2 하우징(34)을 열도록 재촉하는 안내 문구로서 「열어 주세요」 등으로 표시하도록 한다.
한편, 폐쇄 상태에 있어서, 도 10에 나타내는 메모장 기능중의 선택 화면(78)이 표시면(12)에 표시되어 있고, 3방향 레버 키이(44)의 상하 방향의 조작에 의해서 메모 작성의 항목을「선택」한 경우에, 3방향 레버 키이(44)를 중앙 방향으로 눌러 제 1 하우징(32)과 제 2 하우징(34)을 개방하도록 하는 것만으로도[도 11 중, 화살표(k)], 상태 검출 수단(64)이 이를 검출하여 메모 작성 화면으로 이동시키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사용자는 혼란없이 조작을 간략화할 수 있기 때문에, 즉시 메모를 작성하는 작업으로 들어갈 수 있다.
또한 폐쇄 상태에 있어서의 각종 선택 화면으로부터, 주 조작부(16)의 텐 키(20) 등에 의한 조작을 필요로 하지 않는 기능을 선택한 경우에도, 3방향 레버 키이(44)를 중앙 방향으로 누르든지, 또는 제 1 하우징(32)과 제 2 하우징(34)을 개방함으로써 어떤 조작에 의해서도 선택한 기능을 실행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폐쇄 상태에 있어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기능 선택 화면(72)이 표시면(12)에 표시되어 있고, 이메일의 기능이 「선택」되어 있는 경우에, 3방향 레버 키이(44)를 중앙 방향으로 눌러 「결정」의 조작을 함으로써 [도 11 중, 화살표(l)], 폐쇄 상태 그대로 표시면(12)에 도 9에 나타내는 이메일 기능 중의 선택 화면(76)을 표시할 수 있어서, 계속해서 이메일 기능 중의 선택 화면(76)에 대한 조작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폐쇄 상태에 있어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기능 선택 화면(72)이 표시면(12)에 표시되어 있고, 이메일의 기능이 「선택」되어 있는 경우에, 3방향 레버 키이(44)를 중앙 방향으로 누르지 않고 제 1 하우징(32)과 제 2 하우징(34)을 열도록 하는 것 만으로도[도 11 중, 화살표(m)], 상태 검출 수단(64)이 이를 검출하여 개방 상태로 표시면(12)에 도 9에 나타내는 이메일 기능중의 선택 화면(76)을 표시할 수 있어서, 계속해서 이메일 기능 중의 선택 화면(76)에 대한 조작을 주 조작부(16)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이러한 조작은 폐쇄 상태에 있어서 도 9에 나타내는 이메일 기능 중의 선택 화면(76)이 표시면(12)에 표시되어 있고, 수신 박스 또는 송신 박스의 항목을 선택한 경우나, 도 10에 나타내는 메모장 기능 중의 선택 화면(78)이 표시면(12)에 표시되어 있어서 열람 항목을 선택한 경우도 마찬가지다.
따라서 폐쇄 상태에서의 각종 선택 화면에 있어서, 선택된 어떤 한 항목의 기능 등을 실행하는 경우에는 그 기능을 이용할 때의 조작이 주 조작부(16)만으로 가능한지 여부에 의하지 않고, 3방향 레버 키이(44)의 조작, 또는 휴대 전화기(30)의 개방 동작에 의해 실행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선택 화면에 있어서의「결정」의 조작을 다시 하고 싶은 경우에는 폐쇄 상태일 때에는 사이드 키(42)를 눌러 그 「결정」을 「취소」함으로써 일단계 전의 상태로 되돌릴 수 있어서, 개방 상태일 때에도, 주 조작부(16)의 조작에 의해 한단계 전의 상태로 되돌릴 수 있다.
또한, 개방 상태에 있어서, 도 8에 나타낸 제 2 기능 선택 화면(74) 및 도 9에 나타낸 이메일 기능 중의 선택 화면(76), 및 도 10에 나타낸 메모장 기능 중의 선택 화면(78)이 표시면(12)에 표시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주 조작부(16)에 의해 각종의 기능 등의 항목을 「선택」 및 「결정」하는 조작은 종래의 휴대 단말 장치(2)와 동일하게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 1 기능 선택 화면(72) 및 제 2 기능 선택 화면(74)으로부터, 이메일 기능, 또는 메모장 기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관해서 설명했지만, 그 밖의 스케줄장, 브라우저(web), 전언/음성 메모, 이력 표시, 카메라의 기능으로 이동시키는 경우나, 메모장, 메일, 스케줄장, 카메라의 기능 중의 한가지 기능 중의 선택 화면에 있어서의 특정한 항목에 대응하는 표시 화면을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과 같은 경우에 관해서도 통용할 수 있다. 또한, 이메일 기능, 또는 메모장 기능의 내용도,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설명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휴대 전화기(30)의 보조적 조작부를 제 1 하우징(32) 및 제 2 하우징(34)의 각 측면(38, 40)에 배치한 예를 개시했지만, 이외에 제 1 하우징(32)의 표시부(11)가 배치된 면이나 제 2 하우징(34)의 주 조작부(16)가 배치된 면과 인접하는 단면 등, 폐쇄 상태에서 제 1 하우징(32)과 제 2 하우징(34)의 서로 대향하는 면 이외의 면에 배치할 수도 있다.
단, 폐쇄 상태에 있어서의 한 손에서의 조작성을 고려하면, 보조적 조작부는 제 1 하우징(32)의 표시부(11)가 배치되는 면과 인접하는 측면 및/또는 제 2 하우징(34)의 주 조작부(16)가 배치되는 면과 인접하는 측면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동작으로 함으로써 폐쇄 상태의 선택 화면으로써 선택하고 있던 특정한 항목에 대한 기능을 기동시켜, 표시면에 상기 특정한 항목에 대응하는 표시 화면을 표시하도록 했었지만,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가 된 것을 상태 검출 수단(64)으로써 검출했을 때, 폐쇄 상태의 선택 화면으로써 선택하고 있는 특정한 항목에 대한 기능을 기동시켜, 표시면에 상기 특정한 항목에 대응하는 표시 화면을 표시하도록 할 수도 있다.
단, 폐쇄 상태의 선택 화면으로써 선택하고 있던 특정한 항목에 대한 기능을 즉시 기동시켜, 개방 상태가 되었을 때 표시면에 상기 특정한 항목에 대응하는 표시 화면이 이미 표시되어 있도록 하기 위해 상태 검출 수단(64)으로써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동작이 된 것을 검출한 단계에서 제어부(62)로 신호를 보내도록 하는 편이 바람직하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 장치의 실시예에 관해서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휴대 단말 장치가 3개 이상인 하우징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경우라도, 동일한 기술적 사상에 따라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휴대 전화기에 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PDA 등의 다른 종류의 휴대 단말 장치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러한 휴대 단말 장치에 의하면 주 조작부에 의한 조작을 필요로 하는 선택 항목의 기능을 기동시키는 경우에도, 폐쇄 상태에서 표시면에 표시되어 있는 선택 화면 중 소망의 선택 항목을 선택한 후, 개방 동작을 하도록 하는 것만으로 선택 항목에 대응한 표시면을 표시할 수 있기 때문에, 적은 조작으로 주 조작부에 의한 조작을 할 수 있는 상태로 이행할 수 있어서 조작을 간략화할 수 있는 동시에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17)

  1. 휴대 단말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표시부를 갖는 제 1 하우징과,
    적어도 주 조작부를 갖는 제 2 하우징으로서, 상기 제 1 및 제 2 하우징 양자는 서로 개폐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주 조작부는 폐쇄 상태에서 상기 제 1 하우징에 의해 덮여지고 개방 상태에서 외측에 노출되며, 상기 표시부의 표시 화면은 폐쇄 상태 및 개방 상태 모두에서 외측에 노출되는, 상기 제 2 하우징과,
    폐쇄 상태에서 상기 제 1 하우징 및 제 2 하우징의 서로 대향하는 면 이외의 면에 제공된 보조적 조작부와,
    폐쇄 상태에서 상기 보조적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상기 표시부에 선택 화면을 표시하는 동시에, 상기 선택 화면에 표시된 다수의 항목 중에서 특정한 항목을 선택한 후에 상기 휴대 단말 장치가 개방 상태로 되었을 때, 상기 특정한 항목에 대응하는 표시 화면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화면은 메일 기능, 메모장 기능, 스케줄장 기능, 브라우저 기능, 전언/음성 메모 기능, 이력 표시 기능, 카메라 기능의 기능 항목 중에서 2개 이상의 기능 항목을 표시하는 기능 선택 화면인
    휴대 단말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화면은 메일 기능, 메모장 기능, 스케줄장 기능, 카메라 기능 중 어느 하나의 기능 중에서의 복수개의 선택 항목을 표시하는 화면인
    휴대 단말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 장치는 휴대 무선 전화기인
    휴대 단말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 장치는 휴대용 개인정보 단말기(PDA)인
    휴대 단말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우징 및 상기 제 2 하우징은 슬라이딩 운동에 의해 개폐되도록 서로 연결되는
    휴대 단말 장치.
  7. 휴대 단말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표시부를 갖는 제 1 하우징과,
    적어도 주 조작부를 갖는 제 2 하우징으로서, 상기 제 1 및 제 2 하우징 양자는 서로 개폐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주 조작부는 폐쇄 상태에서 상기 제 1 하우징에 의해 덮여지고 개방 상태에서 외측에 노출되며, 상기 표시부의 표시 화면은 폐쇄 상태 및 개방 상태 모두에서 외측에 노출되는, 상기 제 2 하우징과,
    상기 폐쇄 상태에서 상기 제 1 하우징 및 제 2 하우징의 서로 대향하는 면 이외의 면에 제공된 키이 또는 다수의 키이를 구비하는 보조적 조작부와,
    상기 제 1 하우징 및 제 2 하우징의 개폐 상태를 검출하는 상태 검출부와,
    상기 폐쇄 상태에서 상기 키이 또는 다수의 키이중 일부의 조작에 의해 상기 표시부에 선택 화면을 표시하는 동시에, 상기 선택 화면에 표시된 다수의 항목 중에서 특정한 항목을 선택한 후에 상기 휴대 단말 장치가 상기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 된 것을 상기 상태 검출부가 검출했을 때, 상기 특정한 항목에 대응하는 표시 화면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화면은 메일 기능, 메모장 기능, 스케줄장 기능, 브라우저 기능, 전언/음성 메모 기능, 이력 표시 기능, 카메라 기능 중 2개 이상의 기능 항목을 표시하는 기능 선택 화면인
    휴대 단말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화면은 메일 기능, 메모장 기능, 스케줄장 기능, 카메라 기능 중 어느 하나의 기능 중에서의 복수개의 선택 항목을 표시하는 선택 화면인
    휴대 단말 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 장치는 휴대 무선 전화기인
    휴대 단말 장치.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 장치는 휴대용 개인정보 단말기(PDA)인
    휴대 단말 장치.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우징 및 상기 제 2 하우징은 슬라이딩 운동에 의해 개폐되도록 서로 연결되는
    휴대 단말 장치.
  13. 주 조작부를 갖는 제 1 하우징과, 상기 주 조작부를 덮도록 상기 제 1 하우징 상에 중첩되는 제 2 하우징과, 상기 2개의 하우징의 중첩 방향으로 연장하는 축선을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상기 2개의 하우징의 일 단부를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하우징이 중첩되는 폐쇄 상태와, 상기 폐쇄 상태에서 180° 회전한 개방 상태를 취하도록 구성된 휴대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 조작부가 설치된 면과 동일한 방향을 향한 상기 제 2 하우징의 면에 설치된 표시부와,
    상기 폐쇄 상태에서 상기 양 하우징의 상호 대향하는 면 이외의 면에 설치된 키이 또는 다수의 키이를 갖는 보조적 조작부와,
    상기 제 1 및 제 2 하우징의 개폐 상태를 검출하는 상태 검출부와,
    상기 폐쇄 상태에서 상기 키이 또는 다수의 키이중 일부의 조작에 의해 상기 표시부에 선택 화면을 표시하는 동시에, 상기 선택 화면에 표시된 다수의 항목 중에서 특정한 항목을 선택한 후에 상기 휴대 단말 장치가 상기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 된 것을 상기 상태 검출부에서 검출했을 때, 상기 특정한 항목에 대응하는 표시 화면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화면은 메일 기능, 메모장 기능, 스케줄장 기능, 브라우저 기능, 전언/음성 메모 기능, 이력 표시 기능, 카메라 기능 중 2개 이상의 기능 항목을 표시하는 기능 선택 화면인
    휴대 단말 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화면은 메일 기능, 메모장 기능, 스케줄장 기능, 카메라 기능 중 어느 하나의 기능 중에서 복수개의 선택 항목을 표시하는 선택 화면인
    휴대 단말 장치.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 장치는 휴대 무선 전화기인
    휴대 단말 장치.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 장치는 휴대용 개인정보 단말기(PDA)인
    휴대 단말 장치.
KR1020030081117A 2002-11-18 2003-11-17 휴대 단말 장치 KR1006888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333091A JP3949048B2 (ja) 2002-11-18 2002-11-18 重ね型携帯端末装置
JPJP-P-2002-00333091 2002-11-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4143A KR20040044143A (ko) 2004-05-27
KR100688811B1 true KR100688811B1 (ko) 2007-02-28

Family

ID=32697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1117A KR100688811B1 (ko) 2002-11-18 2003-11-17 휴대 단말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009144B2 (ko)
JP (1) JP3949048B2 (ko)
KR (1) KR100688811B1 (ko)
CN (1) CN1243454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69381B2 (en) 2007-01-07 2008-12-23 Apple Inc. List scrolling and document translation, scaling, and rotation on a touch-screen display
JP3561709B2 (ja) 2002-03-01 2004-09-02 三洋電機株式会社 携帯電話機
JP4288134B2 (ja) * 2003-10-16 2009-07-01 京セラ株式会社 撮像装置
JPWO2006095382A1 (ja) * 2005-02-18 2008-08-07 富士通株式会社 スライド式携帯電話機
JP4581788B2 (ja) * 2005-03-30 2010-11-17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情報端末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機能選択起動方法
KR100744338B1 (ko) * 2005-08-19 2007-07-3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자외선정보 제어방법
US7672584B2 (en) * 2006-03-06 2010-03-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gital device
USD580387S1 (en) 2007-01-05 2008-11-11 Apple Inc. Electronic device
USD558758S1 (en) 2007-01-05 2008-01-01 Apple Inc. Electronic device
JP4709719B2 (ja) * 2006-09-22 2011-06-22 富士通株式会社 電子機器
USD898736S1 (en) 2007-01-05 2020-10-13 Apple Inc. Electronic device
USD602486S1 (en) 2007-08-31 2009-10-20 Apple Inc. Electronic device
USD957385S1 (en) 2007-08-31 2022-07-12 Apple Inc. Electronic device
US8185170B2 (en) 2008-03-28 2012-05-22 Kyocera Corporation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JP4724198B2 (ja) * 2008-03-28 2011-07-13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電子機器
USD602016S1 (en) 2008-04-07 2009-10-13 Apple Inc. Electronic device
USD615083S1 (en) 2008-04-07 2010-05-04 Apple Inc. Electronic device
USD602015S1 (en) 2008-04-07 2009-10-13 Apple Inc. Electronic device
USD602017S1 (en) 2008-09-05 2009-10-13 Apple Inc. Electronic device
USD642563S1 (en) 2010-08-16 2011-08-02 Apple Inc. Electronic device
USD680109S1 (en) 2010-09-01 2013-04-16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07223S1 (en) 2012-05-29 2014-06-17 Apple Inc. Electronic device
USD684571S1 (en) 2012-09-07 2013-06-18 Apple Inc. Electronic device
USD681032S1 (en) 2012-09-11 2013-04-30 Apple Inc. Electronic device
US10275117B2 (en) 2012-12-29 2019-04-30 Apple Inc. User interface object manipulations in a user interface
US10691230B2 (en) 2012-12-29 2020-06-23 Apple Inc. Crown input for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US10503388B2 (en) * 2013-09-03 2019-12-10 Apple Inc. Crown input for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US10001817B2 (en) 2013-09-03 2018-06-19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with magnetic properties
CN110262711B (zh) 2013-09-03 2023-03-03 苹果公司 用户界面中的用户界面对象操作
US10545657B2 (en) 2013-09-03 2020-01-28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US11068128B2 (en) 2013-09-03 2021-07-20 Apple Inc. User interface object manipulations in a user interface
USD845294S1 (en) 2014-05-05 2019-04-09 Apple Inc. Housing for an electronic device with surface ornamentation
CN116301544A (zh) 2014-06-27 2023-06-23 苹果公司 尺寸减小的用户界面
WO2016036509A1 (en) 2014-09-02 2016-03-10 Apple Inc. Electronic mail user interface
WO2016036510A1 (en) 2014-09-02 2016-03-10 Apple Inc. Music user interface
WO2016036416A1 (en) 2014-09-02 2016-03-10 Apple Inc. Button functionality
US10073590B2 (en) 2014-09-02 2018-09-11 Apple Inc. Reduced size user interface
KR101651033B1 (ko) * 2015-01-08 2016-08-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US10365807B2 (en) 2015-03-02 2019-07-30 Apple Inc. Control of system zoom magnification using a rotatable input mechanism
USD924868S1 (en) 2018-04-23 2021-07-13 Apple Inc. Electronic device
USD964985S1 (en) 2018-07-13 2022-09-27 Apple Inc. Electronic device
US11435830B2 (en) 2018-09-11 2022-09-06 Apple Inc. Content-based tactile outputs
US10712824B2 (en) 2018-09-11 2020-07-14 Apple Inc. Content-based tactile outputs
USD974352S1 (en) 2019-11-22 2023-01-03 Apple Inc. Electronic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3000A (ko) * 2000-02-22 2001-08-31 서평원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 검색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88860A (ja) 1994-04-18 1995-10-31 Canon Inc 携帯無線電話機
US5825353A (en) * 1995-04-18 1998-10-20 Will; Craig Alexander Control of miniature personal digital assistant using menu and thumbwheel
JPH11215218A (ja) 1998-01-21 1999-08-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型無線通信装置
US6234389B1 (en) * 1998-04-29 2001-05-22 @Pos.Com, Inc. PCMCIA-based point of sale transaction system
US6249672B1 (en) * 1999-03-19 2001-06-19 Mobile Communications Holdings, Inc. Portable telephone
JP2002135380A (ja) 2000-10-27 2002-05-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折り畳み式携帯型電子機器
US7353014B2 (en) * 2000-10-31 2008-04-01 Vijay Raghavan Chetty Universal portable unit
JP2002141984A (ja) 2000-11-01 2002-05-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折り畳み式携帯型無線機器
US6850226B2 (en) * 2001-11-09 2005-02-01 Nokia Corporation Multifunction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with slidable display screen
US6744624B2 (en) * 2002-02-08 2004-06-01 Microsoft Corporation Hand-held personal computer
JP4051978B2 (ja) * 2002-03-27 2008-02-27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電話機
US7257430B2 (en) * 2002-05-11 2007-08-14 Motorola, Inc. Self configuring multiple element portable electronic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3000A (ko) * 2000-02-22 2001-08-31 서평원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 검색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1008300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43454C (zh) 2006-02-22
US8009144B2 (en) 2011-08-30
JP3949048B2 (ja) 2007-07-25
CN1501742A (zh) 2004-06-02
JP2004172691A (ja) 2004-06-17
US20040257334A1 (en) 2004-12-23
KR20040044143A (ko) 2004-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8811B1 (ko) 휴대 단말 장치
KR100682159B1 (ko) 휴대 단말 장치
US7865219B2 (en) Portable terminal
JP5140364B2 (ja) 携帯端末、表示切替方法、表示切替プログラム
EP1942400A1 (en) Mobile terminal, and its menu display method
CN102883043B (zh) 移动终端装置、功能启动方法及其程序
KR20110063570A (ko)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에서의 표시 방법
JP2006279361A (ja) 携帯端末装置及び携帯端末装置用プログラム
US7873159B2 (en)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WO2011093409A1 (ja) 携帯端末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
JP2004120436A (ja) 携帯端末
JP4384678B2 (ja) 重ね型携帯端末装置
JP2006067532A (ja) 携帯端末装置
JP5246773B2 (ja) 携帯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4179870A (ja) 携帯端末装置
JP5198179B2 (ja) 携帯端末
JP2002369252A (ja) 携帯電話端末およびその表示制御方法
JP2010108320A (ja) 携帯情報端末
JP2008289081A (ja) 携帯情報端末
JP4915338B2 (ja) 携帯情報端末
JP5616003B2 (ja) 電子機器
JP2007174695A (ja) 重ね型携帯端末装置
JP2004128675A (ja) 重ね型携帯端末装置
KR20090071326A (ko) 폴더형 휴대 단말기 및 그의 키입력부 설정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