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7915B1 - 차량 보안 장치 및 id 코드 관리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보안 장치 및 id 코드 관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7915B1
KR100687915B1 KR20057013239A KR20057013239A KR100687915B1 KR 100687915 B1 KR100687915 B1 KR 100687915B1 KR 20057013239 A KR20057013239 A KR 20057013239A KR 20057013239 A KR20057013239 A KR 20057013239A KR 100687915 B1 KR100687915 B1 KR 1006879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de
vehicle
communication means
ecu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57013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17484A (ko
Inventor
기요가즈 오오타키
도루 마에다
히사시 가토
아키요시 오스미
다케시 구마자키
이후시 시모노모토
도시오 시모무라
요시노리 후쿠오카
고이치 마사무라
Original Assignee
카부시키가이샤 토카이리카덴끼 세이사쿠쇼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부시키가이샤 토카이리카덴끼 세이사쿠쇼,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카부시키가이샤 토카이리카덴끼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600174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74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79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79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02Locking of control actuating or transmitting means
    • B60R25/003Locking of control actuating or transmitting means locking of control actu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4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propulsion system, e.g. engine or drive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036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by using the door logic and door and engine unlock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09Remote starting of eng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2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10Communication protocols, communication systems of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108Encryp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차량의 보안 레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 보안 장치를 제공한다. 차량 보안 장치(11)는 엔진(16)에 접속되고 휴대기(11)와 통신한다. 스마트 ECU(13)는 휴대기와 제1 상호인증을 위한 제1 암호화 통신을 행한다. ID 코드 박스(14)는 스마트 ECU에 접속되고, 제1 코드 및 제2 코드를 가지며, 휴대기와 통신하지 않는다. 또한, ID 코드 박스는 제1 코드를 사용하여 스마트 ECU와 제2 상호인증을 위한 제2 암호화 통신을 행한다. 엔진 ECU(15)는 제2 코드를 사용하여 ID 코드 박스와 제3 상호인증을 위한 제3 암호화 통신을 행한다. 또한, 엔진 ECU는 제1, 제2 및 제3 상호인증 모두가 성립했을 경우, 엔진의 시동을 허가한다.
차량, 보안, 휴대기, 스마트 ECU, ID 코드 박스, 엔진 ECU, 암호화 통신, 상호인증

Description

차량 보안 장치 및 ID 코드 관리 장치{VEHICLE SECURITY DEVICE AND ID CODE MANAGEMENT DEVICE}
본 발명은, 보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엔진 등의 차량 장치의 작동을 허가 및 금지하는 차량 보안 장치 및 그 차량 보안 장치에 이용되는 ID 코드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허 문헌 1은, 차량의 도난을 방지하기 위한 이모빌라이저(immobilizer) 시스템의 일례를 개시하고 있다. 이 이모빌라이저 시스템은, 차량에 배치된 코드 조합 장치를 포함한다. 코드 조합 장치는, 이그니션 키(ignition key)로부터 송신되는 식별 코드를 차량에 설정된 식별 코드와 조합한다. 코드 조합 장치는, 2개의 식별 코드가 일치할 경우에는 엔진의 시동을 허가하고, 2개의 식별 코드가 불일치할 경우에는 엔진의 시동을 금지한다. 정규의 이그니션 키는, 차량의 식별 코드와 일치하는 식별 코드를 가져, 엔진의 시동을 가능하게 한다. 그렇지만, 이러한 정규의 이그니션 키를 소지하지 않은 제삼자는 차량을 주행시킬 수가 없다. 이와 같이 하여, 이모빌라이저 시스템은 차량의 도난을 방지한다.
특허 문헌 2는, 스마트 이그니션(smart ignition) 기능을 갖춘 엔진 시동 허가 기구의 일례를 개시하고 있다. 스마트 이그니션 기능을 갖춘 엔진 시동 허가 기구는, 사용자가 차량에 대응하는 휴대기를 차 내에 가지고 들어왔을 때, 엔진의 시동을 허가한다. 이러한 엔진 시동 허가 기구에 의하면, 사용자는 휴대기의 미케니컬 키(mechanical Key)를 키 실린더에 삽입하는 등의 번거로운 조작으로부터 해방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 시동 허가 기구(100)는, 휴대기(101)와 차량에 배치되는 통신 제어장치(102)를 포함한다. 통신 제어장치(102)는, 스마트 이그니션용 전자 제어 유닛(스마트 ECU)(103), 이모빌라이저용 전자 제어 유닛(이모빌라이저 ECU)(104), 및 엔진 제어용 전자 제어 유닛(엔진 ECU)(105)을 갖추고 있다. 사용자가 엔진을 시동시킬 때에는, 휴대기(101)와 스마트 ECU(103)와의 사이, 스마트 ECU(103)와 이모빌라이저 ECU(104)와의 사이, 및 이모빌라이저 ECU(104)와 엔진 ECU(105)와의 사이에서 각각 암호화 통신을 하여 식별 코드가 조합된다. 그리고, 이들 복수의 암호화 통신 모두에 있어서 식별 코드가 일치했을 경우, 엔진 ECU(105)가 엔진의 시동을 허가한다. 이 때문에, 차량의 보안 레벨이 매우 높게 확보된다.
최근, 이러한 엔진 시동 허가 기구의 차량 탑재가 표준 사양이 되고 있다. 여기에서, 스마트 ECU와 이모빌라이저 ECU를 단일의 ECU로 통합함으로써, 엔진 시동 허가 기구의 차량 탑재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스마트 ECU 및 이모빌라이저 ECU는, 제어 유닛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다수의 커넥터를 갖추고 있다. 이 때문에, 통합된 ECU는, 다수의 커넥터를 갖추어, 그에 따라 큰 사이즈를 가진다. 이 큰 사이즈로 인하여, 통합된 ECU의 설치 장소는 제한되 어, 차량으로부터의 제거가 곤란한 곳(예를 들면, 좁은 장소)에 통합된 ECU를 설치하는 것은 곤란하다. 통합된 ECU가 차량으로부터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는 곳에 설치되었을 경우, ECU가 제삼자에 의해 제거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더욱이, 스마트 ECU와 이모빌라이저 ECU가 통합되었을 경우, 엔진의 시동을 위한 암호화 통신의 수가 감소해 차량의 보안 레벨이 저하해 버린다.
본 발명은, 차량의 보안 레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 보안 장치 및 동 차량 보안 장치에 이용되는 ID 코드 관리 장치를 제공한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공보 평10-157571 호
[특허문헌 2] 일본 특허공개공보 2002-295089 호
본 발명의 제1 태양에서는, 차량 장치에 접속되어 휴대기와 통신하는 차량 보안 장치가 제공된다. 차량 보안 장치는, 휴대기와 제1 상호인증을 위한 제1 암호화 통신을 행하는 제1 통신수단과, 제1 통신수단에 접속되고, 제1 코드 및 제2 코드를 가지며, 휴대기와 통신하지 않는 ID 코드 관리수단으로서, 제1 코드를 사용하여, 제1 통신수단과 제2 상호인증을 위한 제2 암호화 통신을 행하는 ID 코드 관리수단과, 제2 코드를 사용하여, ID 코드 관리수단과 제3 상호인증을 위한 제3 암호화 통신을 행하는 제2 통신수단으로서, 제1, 제2 및 제3 상호인증 모두가 성립하였을 경우에, 차량 장치의 작동을 허가하는 제2 통신수단을 갖춘다.
본 발명의 제2 태양에서는, 차량 장치에 접속되어 휴대기 코드를 가지는 휴대기와 통신하는 차량 보안 장치가 제공된다. 차량 보안 장치는, 차량 코드 및 제1 코드를 가지며, 휴대기로부터 휴대기 코드를 수신하는 제1 전자 제어 유닛과, 제1 전자 제어 유닛에 접속되고, 제1 코드 및 제2 코드를 가지며, 제1 전자 제어 유닛과 제1 코드를 주고받는 ID 코드 박스와, 제2 코드를 가지며, ID 코드 박스와 제2 코드를 주고받는 제2 전자 제어 유닛을 갖춘다. 제2 전자 제어 유닛은, 휴대기 코드가 차량 코드와 일치하고, 제1 전자 제어 유닛의 제1 코드가 ID 코드 박스의 제1 코드와 일치하고, 또한 ID 코드 박스의 제2 코드가 제2 전자 제어 유닛의 제2 코드와 일치했을 경우, 차량 장치의 작동을 허가한다.
일예로, 상기 제1 전자 제어 유닛은 스마트 ECU 및/또는 송수신 유닛를 포함하는 개념이고, 상기 제2 전자 제어 유닛은 엔진 ECU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제3 태양에서는, 차량 장치에 접속되는 차량 보안 장치에서 사용되는 ID 코드 관리 장치가 제공된다. 차량 보안 장치는, 휴대기와 제1 상호인증을 위한 제1 암호화 통신을 행하는 제1 통신수단과, 제1 상호인증이 성립하지 않는 경우에 차량 장치의 작동을 금지하는 제2 통신수단을 포함한다. ID 코드 관리 장치는, 휴대기와 통신하지 않고, 제1 코드 및 제2 코드를 관리하며, 제1 코드를 사용하여, 제1 통신수단과 제2 상호인증을 위한 제2 암호화 통신을 행하며, 제2 코드를 사용하여, 제2 통신수단과 제3 상호인증을 위한 제3 암호화 통신을 행한다. 차량 보안 장치는, 제3 상호인증이 성립하지 않는 경우, 차량 장치의 작동을 금지한다.
도 1은 종래의 차량 보안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차량 보안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차량 보안 장치의 개략적인 블 록도.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차량 보안 장치(11)를 도 2에 근거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도난방지 시스템(1)은, 사용자에 의해 소지되며 통신 기능을 가지는 휴대기(10)와, 차량에 탑재되는 차량 보안 장치(11)를 포함한다. 차량 보안 장치(11)(구체적으로는, 차량 보안 장치(11)의 송수신 유닛(12))는 휴대기(10)에 요구 신호를 송신한다.
휴대기(10)는 휴대기(10)에 고유의(휴대기 마다 다르다) 휴대기 코드를 가진다. 휴대기(10)는, 차량 보안 장치(11)로부터 송신된 요구 신호에 응답하여, 휴대기 코드를 포함하는 코드 신호를 암호화하고, 암호화된 코드 신호를 송신한다.
차량 보안 장치(11)는, 송수신 유닛(12), 제1 통신수단으로서 기능하는 스마트 ECU(13), ID 코드 관리수단으로서 기능하는 ID 코드 박스(14) 및 ID 코드 박스(14)에 접속되고 제2 통신수단으로서 기능하는 엔진 ECU(15)를 갖추고 있다. 이들 구성부재 중 적어도 ID 코드 박스(14) 및 엔진 ECU(15)는 차량으로부터 용이하게 제거될 수 없는 곳에 배치되고 있다. 송수신 유닛(12), 스마트 ECU(13), ID 코드 박스(14) 및 엔진 ECU(15)는, 유선에 의해 접속되고 있다.
스마트 ECU(13)는 스티어링 잠금 기구 또는 문의 시해정을 행하는 보디 ECU 등의 복수의 제어 유닛(모두 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된 복수의 커넥터를 포함한다. 또, 스마트 ECU(13)는 종래의 차량 보안 장치(엔진 시동 허가 기구)에 있어서의 스 마트 ECU의 기능과 이모빌라이저 ECU의 기능을 갖춘다. 스마트 ECU(13)는 휴대기 코드의 송신을 요구하기 위한 요구 신호를 송수신 유닛(12)에 공급한다.
송수신 유닛(12)은 안테나 및 차량 송수신 회로(도시 생략)를 포함한다. 송수신 유닛(12)은, 휴대기(10)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고, 이 수신 신호를 복조하여 복조된 수신 신호를 스마트 ECU(13)에 공급한다. 더욱이, 송수신 유닛(12)은, 요구 신호를 스마트 ECU(13)로부터 수신하면, 요구 신호를 변조하여, 변조된 요구 신호를 안테나를 통하여 송신한다.
스마트 ECU(13), ID 코드 박스(14) 및 엔진 ECU(15)는, CPU(도시 생략)를 갖춘다. 스마트 ECU(13)는 격납수단으로서 기능하는 휘발성 메모리(13a)(예를 들면, RAM)를 갖추고 있다. 메모리(13a)는 조합용의 제1 코드를 미리 격납하고 있다. 더욱이, 스마트 ECU(13)는 차량 보안 장치(11)에 고유의(차량 보안 장치마다 다르다) 차량 코드를 가지고 있다.
스마트 ECU(13)는 송수신 유닛(12)으로부터 공급된 수신 신호를 복호화한다. 계속해서, 스마트 ECU(13)는 수신 신호에 포함되는 휴대기(10)의 휴대기 코드를 스스로의 차량 코드와 조합한다. 이와 같이, 송수신 유닛(12)을 통하여 휴대기(10)와 스마트 ECU(13)와의 사이에서는, 암호화된 신호를 이용하는 통신(제1 암호화 통신)에 의해 상호인증을 한다. 휴대기 코드가 차량 코드와 일치함으로써, 제1 암호화 통신에 있어서의 상호인증이 성립하였을 경우, 스마트 ECU(13)는 휴대기(10)가 정규의 것이라고 판단한다.
ID 코드 박스(14)는 휴대기(10)와 통신을 행하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에 있 어서 ID 코드 박스(14)는, 통신 회로, CPU 및 불휘발성 메모리(모두 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한다. ID 코드 박스(14)는 차량 장치(예를 들면, 문, 엔진(16), 카 오디오 장치)를 제어하는 회로를 갖추고 있지 않다.
ID 코드 박스(14)의 메모리는 다른 기기와의 상호인증에 이용되는 1개 또는 복수의 코드를 격납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ID 코드 박스(14)의 메모리는 제1 코드 및 제2 코드를 격납하고 있다. 이것에 대신하여, ID 코드 박스(14)의 메모리는 제1 코드 및 제2 코드에 더하여 차량 코드를 격납할 수도 있다.
스마트 ECU(13)와 ID 코드 박스(14)와의 사이에서는, 제2 암호화 통신을 행하며, 스마트 ECU(13)의 제1 코드와 ID 코드 박스(14)의 제1 코드가 조합되어 상호인증이 행해진다. 이 상호인증은 스마트 ECU(13) 및 ID 코드 박스(14) 중 어느 쪽이 행하여도 좋다.
엔진 ECU(15)는 제2 코드를 격납하고 있다. 엔진 ECU(15)와 ID 코드 박스(14)와의 사이에서는, 제3 암호화 통신을 행하며, 엔진 ECU(15)의 제2 코드와 ID 코드 박스(14)의 제2 코드가 조합되어 상호인증이 행해진다. 이 상호인증은 엔진 ECU(15) 및 ID 코드 박스(14) 중 어느 쪽이 행하여도 좋다.
ID 코드 박스(14)의 통신 회로는, 스마트 ECU(13)와 ID 코드 박스(14)와의 사이에서 행해지는 제2 암호화 통신에 있어서, 스마트 ECU(13)와의 상호인증에 이용하는 제1 코드를 CPU의 지시에 근거하여 송신 또는 수신한다. 더욱이, 통신 회로는, 엔진 ECU(15)와 ID 코드 박스(14)와의 사이에서 행해지는 제3 암호화 통신에 있어서, 엔진 ECU(15)와의 상호인증에 이용하는 제2 코드를 CPU의 지시에 근거하여 송신 또는 수신한다.
엔진 ECU(15)는 엔진(차량 장치)(16)에 접속되어 엔진(16)을 제어한다. 엔진 ECU(15)는, 제1 암호화 통신, 제2 암호화 통신 및 제3 암호화 통신 모두에 있어서 상호인증이 성립했을 경우에 엔진(16)의 시동을 허가한다. 즉, 엔진 ECU(15)는, 휴대기(10)과 스마트 ECU(13)와의 상호인증, 스마트 ECU(13)와 ID 코드 박스(14)와의 상호인증, 및 ID 코드 박스(14)와 엔진 ECU(15)와의 상호인증 모두가 성립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모든 상호인증이 성립했을 경우에 엔진(16)의 시동을 허가한다. 결국, 복수의 상호인증에 의해, 휴대기(10), 스마트 ECU(13), ID 코드 박스(14) 및 엔진 ECU(15)가 모두 정규의 것이라고 판단되었을 경우에, 엔진 ECU(15)는 엔진(16)의 시동을 허가한다.
스마트 ECU(13)의 메모리(13a)는 휘발성이다. 따라서, 예를 들어 배터리의 순간적인 차단에 의해 스마트 ECU(13)에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 메모리(13a)에 격납되어 있는 제1 코드는 소실된다. 그 후, 전력을 공급받은 스마트 ECU(13)는 제1 암호화 통신에 이용되는 차량 코드(제3 코드)와 스마트 ECU(13)에 고유의(스마트 ECU마다 다르다) 연산식을 이용해 제1 코드를 생성한다. 이 때문에, 배터리의 순간적인 차단 등의 불측의 사태가 발생했다고 하여도, 제2 암호화 통신이 행해져 사용자는 엔진(16)을 시동시켜 차량을 주행시킬 수 있다.
스마트 ECU(13)가 차량으로부터 제거되었을 경우, 스마트 ECU(13)에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다. 이 경우, 배터리의 순간적인 차단에 있어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1 코드는 메모리(13a)로부터 소실된다. 이 때문에, 제거된 스마트 ECU(13) 로부터 제1 코드를 해석하지 못해, 부정행위에 의한 제1 코드의 입수는 불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전력이 공급되지 않게 된 후에 전력을 공급받은 스마트 ECU(13)는, 연산식을 이용해 제1 코드를 생성한다. 이 때 이용되는 연산식은 스마트 ECU마다 상위하다. 따라서, 스마트 ECU(13)가 교환되었을 경우에는, 교환 후의 스마트 ECU가 생성하는 제1 코드는 교환 전의 스마트 ECU(13)가 생성하는 제1 코드와는 상위하여, 제2 암호화 통신은 성립되지 않는다. 따라서, 엔진 ECU(15)는 엔진(16)의 시동을 금지한다. 즉, 제삼자는, 스마트 ECU를 부정하게 교환했을 경우, 차량을 주행시킬 수 없다.
상기한 바와 같이, ID 코드 박스(14)는 불휘발성의 메모리를 갖추고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배터리의 순간적인 차단에 의해 ID 코드 박스(14)에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도, ID 코드 박스(14)의 메모리에 격납되어 있는 제1 코드 및 제2 코드는 소실되지 않고 보관 유지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차량 보안 장치(11)는 이하와 같은 효과를 가진다.
(1) 스마트 ECU(13)와 ID 코드 박스(14)와의 사이에서는 제2 암호화 통신이 행해지고, 스마트 ECU(13)와 ID 코드 박스(14)의 각각의 제1 코드를 이용하여 상호인증이 행해진다. 이 때문에, 정규의 스마트 ECU(13)가 다른 스마트 ECU로 교환되었을 경우에는, 교환 후의 스마트 ECU가 가지는 제1 코드는 ID 코드 박스(14)가 가지는 제1 코드와 상위하므로, 상호인증은 성립되지 않는다. 엔진 ECU(15)는, 스마트 ECU(13)와 ID 코드 박스(14)와의 상호인증이 성립되지 않을 경우, 비록 제3 암 호화 통신에 의해 ID 코드 박스(14)와의 상호인증이 성립했다고 하여도 엔진(16)의 시동을 금지한다. 더욱이, ID 코드 박스(14)는 휴대기(10)과 통신을 행하지 않기 때문에, 이 통신을 위한 기능이 불필요하여 비교적 작은 사이즈를 가진다. 이 때문에, ID 코드 박스(14)는 배치 및 배선 상의 제약으로부터 자유로워 차량으로부터의 제거가 곤란한 장소에 용이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ID 코드 박스(14)가 차량으로부터의 제거되기 곤란한 곳에 설치됨으로써 차량의 보안 레벨이 향상된다.
(2) 스마트 ECU(13)는 제2 암호화 통신에 이용되는 제1 코드를 격납하는 휘발성 메모리(13a)를 포함한다. 이 때문에, 스마트 ECU(13)가 차량으로부터 제거되었을 경우, 제1 코드는 메모리(13a)로부터 소실된다. 따라서, 제삼자는 스마트 ECU(13)를 차량으로부터 분리하여 해석했다고 하여도 제1 코드를 알 수 없다. 즉, 차량 보안 장치(11)는, 차량으로부터 스마트 ECU(13)를 제거하여 메모리(13a)의 내용으로부터 제1 코드를 해석하는 등의 부정행위에 의한 제1 코드의 입수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 보안 장치(11)는, 부정행위에 의한 스마트 ECU(13)와 ID 코드 박스(14)와의 상호인증의 성립을 방지할 수가 있어 차량의 보안 레벨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제삼자는 스마트 ECU(13)를 차량으로부터 분리하여 해석해도 엔진(16)을 시동시킬 수 없다. 그러므로, 차량으로부터의 제거가 용이한 곳에 스마트 ECU(13)를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 ECU(13)가 비교적 자유롭게 배치 가능하다.
(3) 스마트 ECU(13)는 제1 암호화 통신에 이용되는 차량 코드와 스마트 ECU(13)에 대한 고유의 연산식을 이용해 제1 코드를 생성한다. 이 때문에, 만일 제삼자가 스마트 ECU(13)로부터 차량 코드를 해석할 수 있었다고 하더라도, 제1 코드를 생성하기 위한 연산식을 해석할 수 없으면, 제2 암호화 통신에 의한 상호인증을 성립시키는 것은 불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차량으로부터 스마트 ECU(13)를 떼어내 제1 코드를 생성하기 위한 연산식을 해석하는 것은 곤란하다. 따라서, 차량 보안 장치(11)는 차량의 보안 레벨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제1 코드를 생성하기 위해서 스마트 ECU(13)에 격납된 연산식은 다른 스마트 ECU의 연산식과 상위하므로, 다른 스마트 ECU에 의해 생성된 제1 코드는 스마트 ECU(13)에 의해 생성된 제1 코드와 상위하다. 따라서, 기존의 스마트 ECU(13)가 다른 스마트 ECU로 교환되었을 경우, 제2 암호화 통신은 성립되지 않는다. 즉, 제1 코드를 알 수 없는 제삼자에 의해 스마트 ECU(13)가 교환되어도, 제2 암호화 통신이 성립하는 일은 없고, 엔진 ECU(15)는 엔진(16)의 시동을 금지한다. 따라서, 차량 보안 장치(11)는 차량의 보안 레벨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4) 스마트 ECU(13)는, 배터리의 순간적인 차단에 의해 메모리(13a)로부터 제1 코드가 소실되었을 경우, 스스로가 가지는 차량 코드로부터 연산에 의해 제1 코드를 생성한다. 이 때문에, 배터리의 순간적인 차단 등의 불측의 사태가 발생했다고 하더라도, 그 후 제2 암호화 통신은 성립하고, 사용자는 엔진(16)을 시동시켜 차량을 주행시킬 수 있다. 즉, 배터리의 순간적인 차단에 의해 스마트 ECU(13)의 메모리(13a)로부터 제1 코드가 소실되어 버려도, 제1 코드를 메모리(13a)에 재격납 하는 등의 번잡한 작업은 불필요하다. 따라서, 차량 보안 장치(11)의 편리성이 향상된다.
(5) 스마트 ECU(13)는, ID 코드 박스(14) 및 엔진 ECU(15)와는 별도로 차량으로부터 비교적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는 곳, 예를 들어 운전석 시트의 하부에 설치 가능하다. 이렇게 제거가 용이한 곳에 설치된 스마트 ECU(13)는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따라서, 차량 보안 장치(11)의 편리성이 향상된다.
(6) 엔진 ECU(15)는, 제1 암호화 통신, 제2 암호화 통신 및 제3 암호화 통신의 모든 암호화 통신에 있어서 상호인증이 성립했을 경우에 엔진(16)의 시동을 허가한다. 즉, 엔진(16)의 시동이 허가되기 위해서는, 3개의 상호인증이 성립해야 한다. 종래의 차량 보안 장치에 있어서의 스마트 ECU의 기능 및 이모빌라이저 ECU의 기능이 통합되었을 경우, 스마트 ECU와 이모빌라이저 ECU와의 사이에서는 암호화 통신이 불필요하다. 즉, 엔진(16)의 시동을 허가하기 위해서, 2회만 암호화 통신을 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마트 ECU(13)와 ID 코드 박스(14)와의 사이에서 제2 암호화 통신을 하므로, 3회의 암호화 통신을 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차량 보안 장치(11)는 비교적 다수의 암호화 통신을 행하여, 차량의 보안 레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이하와 같이 변경하여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ID 코드 박스(14)에는 스마트 ECU(13) 및 엔진 ECU(15)가 접속되어 있다. 그러나, 차량 보안 장치(11)에 있어서의 각 구성 부재의 접속 관계는 도 2에 도시된 접속 관계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도난방지 시스템(30)의 차량 보안 장치(31)에서와 같이, 스마트 ECU(32)에 엔진 ECU(15)가 접속되어도 좋다. 이 경우, 스마트 ECU(32)는 제1 암호화 통신에 의한 상호인증 및 제2 암호화 통신에 의한 상호인증의 기능을 갖추는 동시에, 엔진 ECU(15)와 ID 코드 박스(14)와의 사이에서 행해지는 제3 암호화 통신에 의한 상호인증을 중개한다.
상세하게는, 스마트 ECU(32)는 격납수단으로서 기능하는 휘발성 메모리(32a)를 갖추고 있다. 스마트 ECU(32)는 엔진 ECU(15)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메모리(32a)를 통하여 ID 코드 박스(14)에 공급한다. 더욱이, 스마트 ECU(32)는 ID 코드 박스(14)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메모리(32a)를 통하여 엔진 ECU(15)에 공급한다. 이와 같이 하여, 스마트 ECU(32)는 제3 암호화 통신에 의한 상호인증을 중개한다. 즉, 스마트 ECU(32)는 메모리(32a)를 버퍼로서 이용하여 제3 암호화 통신에 의한 상호인증을 중개한다.
이 구성에서는, 스마트 ECU(32)가 차량으로부터 제거되면 메모리(32a)의 내용이 소실된다. 이 때문에, 제삼자는 비록 스마트 ECU(32)를 해석했다고 하여도 제2 코드를 알 수 없다. 즉, 부정행위에 의한 제2 코드의 입수가 방지된다. 따라서, 차량 보안 장치(31)는 부정행위에 의한 ID 코드 박스(14)와 엔진 ECU(15)와의 상호인증의 성립을 방지할 수가 있어 차량의 보안 레벨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의 보안 레벨을 유지하면서, 차량 보안 장치에 있어서의 각 구성 부재의 접속 관계의 선택사항을 넓힐 수 있다.
또, ID 코드 박스(14)는 스마트 ECU(32)에만 접속되므로, ID 코드 박스(14)에 있어서의 커넥터의 수가 저감된다. 따라서, ID 코드 박스(14)는 비교적 간단한 구성을 가진다. 따라서, ID 코드 박스(14)가 한층 소형화되어 차량으로부터의 제 거가 곤란한 곳에 ID 코드 박스(14)를 설치하는 것이 한층 용이해진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스마트 ECU(13)는 제2 암호화 통신을 성립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제1 코드를 차량 코드로부터 연산에 의해 생성하고, 생성한 제1 코드를 휘발성 메모리(13a)에 격납하고 있다. 그러나, 스마트 ECU(13)는 생성한 제1 코드를 메모리(13a)에 격납하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 스마트 ECU(13)는 제2 암호화 통신이 행해질 때마다 연산에 의해 제1 코드를 생성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ID 코드 박스(14)와 엔진 ECU(15)와의 사이에서 제3 암호화 통신이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ID 코드 박스(14)와 제3 암호화 통신을 행하는 ECU는 엔진 ECU(15)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차량 보안 장치가 ID 코드 박스(14)에 접속된 스티어링 잠금 ECU를 포함하고, ID 코드 박스(14)와 스티어링 잠금 ECU와의 사이에서 제3 암호화 통신이 행해져도 좋다. 스티어링 잠금 ECU는, 제1 암호화 통신, 제2 암호화 통신 및 제3 암호화 통신의 모든 암호화 통신에 있어서 상호인증이 성립했을 경우에 핸들을 잠금 해제하여도 좋다. 이러한 차량 보안 장치는 부정한 행위에 의한 핸들의 잠금 해제를 방지하여 차량의 보안 레벨을 향상시킨다. 즉, ID 코드 박스(14)에 접속되는 제2 통신수단은 차량의 주행을 제한하는 권한을 가지는 ECU라면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마트 ECU의 기능과 이모빌라이저 ECU의 기능이 스마트 ECU(13)에 있어서 통합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차량 보안 장치에서와 같이 스마트 ECU와 이모빌라이저 ECU가 따로따로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ID 코드 박스(14)와 스마트 ECU와의 사이 및 ID 코드 박스(14)와 이모빌라이저ECU와의 사이에서 제2 암호화 통신이 행해진다. 이렇게 하면 종래와 비교해 엔진(16)의 시동이 허가되기 위해서 필요한 암호화 통신의 수가 증가한다. 이 때문에, 차량의 보안 레벨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제2 통신수단은 엔진 ECU(15)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2 통신수단은 윈도우 유리의 상승 및 하강을 제어하는 도어 ECU라도 좋다. 이 경우, 도어 ECU는, 제1 암호화 통신, 제2 암호화 통신, 및 제3 암호화 통신의 모든 암호화 통신에 있어서 상호인증이 성립했을 경우에 윈도우 유리의 상승 또는 하강을 허가한다. 또, 제2 통신수단은 카 오디오의 작동을 제어하는 CPU(ECU)라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제1 내지 제3 암호화 통신의 모든 암호화 통신에 있어서 상호인증이 성립했을 경우에, CPU가 파워 윈도우의 작동 또는 카 오디오의 작동을 허가한다. 따라서, 제삼자에 의한 이들 차량 장치의 부정 이용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 제2 통신수단은, 비주행 위치(주차 위치 또는 중립 위치)에 시프트 레버를 잠그는 제어를 행하는 시프트 잠금 CPU(ECU), 혹은 타이어를 잠그는 제어를 행하는 타이어 락 CPU(ECU)라도 좋다. 이 경우, 시프트 잠금 CPU는 제1 내지 제3 암호화 통신의 모든 암호화 통신에 있어서 상호인증이 성립했을 경우에 시프트 레벨을 잠금 해제하여 차량의 주행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타이어 잠금 CPU는 제1 내지 제3 암호화 통신의 모든 암호화 통신에 있어서 상호인증이 성립했을 경우에 타이어를 잠금 해제하여 차량의 주행을 가능하게 한다. 이와 같이 하면, 제1 내지 제3 암호화 통신의 모든 암호화 통신에 있어서 상호인증이 성립하지 않는 경우에는 차량의 주행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차량의 도난이 방지되어 차량의 보안 레벨이 한층 향상된다.

Claims (11)

  1. 차량 장치에 접속되어 휴대기와 통신하는 차량 보안 장치에 있어서,
    상기 휴대기와 제1 상호인증을 위한 제1 암호화 통신을 행하는 제1 통신수단과,
    상기 제1 통신수단에 접속되고, 제1 코드 및 제2 코드를 가지며, 상기 휴대기와 통신하지 않는 ID 코드 관리수단으로서, 제1 코드를 사용하여 제1 통신수단과 제2 상호인증을 위한 제2 암호화 통신을 행하는 ID 코드 관리수단과,
    제2 코드를 사용하여 상기 ID 코드 관리수단과 제3 상호인증을 위한 제3 암호화 통신을 행하는 제2 통신수단으로서, 제1, 제2 및 제3 상호인증 모두가 성립했을 경우에 상기 차량 장치의 작동을 허가하는 제2 통신수단
    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보안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신수단은 제1, 제2 및 제3 상호인증 모두가 성립했을 경우에 차량의 주행을 허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보안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수단은 제1 코드를 격납하는 휘발성 격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보안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신수단은 제1 코드 및 제2 코드를 격납하는 불휘발성 격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보안 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수단은, 제1 통신수단에 대한 고유의 연산식에 따라서, 제3 코드 및 연산식을 사용하여 제1 코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보안 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장치는 엔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통신수단은 제1, 제2 및 제3 상호인증 모두가 성립했을 경우에 상기 엔진의 시동을 허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보안 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수단은 신호를 격납하는 휘발성 격납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통신수단 및 ID 코드 관리수단은 상기 격납수단을 통하여 상기 신호를 주고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보안 장치.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수단은 스마트 이그니션용 전자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차량 보안 장치.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신수단은 엔진 제어용 전자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보안 장치.
  10. 차량 장치에 접속되어 휴대기 코드를 가지는 휴대기와 통신하는 차량 보안 장치에 있어서,
    차량 코드 및 제1 코드를 가지며, 상기 휴대기로부터 휴대기 코드를 수신하는 제1 전자 제어 유닛과,
    상기 제1 전자 제어 유닛에 접속되고, 제1 코드 및 제2 코드를 가지며, 제1 전자 제어 유닛과 제1 코드를 주고받는 ID 코드 박스와,
    제2 코드를 가지며, 상기 ID 코드 박스와 제2 코드를 주고받는 제2 전자 제어 유닛을 갖추고 있으며,
    상기 제2 전자 제어 유닛은, 휴대기 코드가 차량 코드와 일치하고, 제1 전자 제어 유닛의 제1 코드가 ID 코드 박스의 제1 코드와 일치하고, 또한 ID 코드 박스의 제2 코드가 제2 전자 제어 유닛의 제2 코드와 일치했을 경우, 상기 차량 장치의 작동을 허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보안 장치.
  11. 차량 장치에 접속되는 차량 보안 장치에서 사용되는 ID 코드 관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 보안 장치는, 휴대기와 제1 상호인증을 위한 제1 암호화 통신을 행하는 제1 통신수단과, 제1 상호인증이 성립하지 않는 경우에 차량 장치의 작동을 금지하는 제2 통신수단을 포함하며,
    ID 코드 관리장치는, 상기 휴대기와 통신하지 않고 제1 코드 및 제2 코드를 관리하며, 제1 코드를 사용하여 상기 제1 통신수단과 제2 상호인증을 위한 제2 암호화 통신을 행하며, 제2 코드를 사용하여 상기 제2 통신수단과 제3 상호인증을 위한 제3 암호화 통신을 행하며,
    상기 차량 보안 장치는 제3 상호인증이 성립하지 않는 경우 상기 차량 장치의 작동을 금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D 코드 관리 장치.
KR20057013239A 2003-11-04 2004-11-04 차량 보안 장치 및 id 코드 관리 장치 KR1006879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374654 2003-11-04
JP2003374654A JP4156493B2 (ja) 2003-11-04 2003-11-04 車両用セキュリティ装置及びidコード管理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7484A KR20060017484A (ko) 2006-02-23
KR100687915B1 true KR100687915B1 (ko) 2007-02-27

Family

ID=34544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57013239A KR100687915B1 (ko) 2003-11-04 2004-11-04 차량 보안 장치 및 id 코드 관리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327227B2 (ko)
EP (1) EP1602539B1 (ko)
JP (1) JP4156493B2 (ko)
KR (1) KR100687915B1 (ko)
CN (2) CN100420596C (ko)
WO (1) WO200504231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27153B2 (en) 2009-12-04 2012-12-04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system for verifying software platform of vehic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56493B2 (ja) * 2003-11-04 2008-09-24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車両用セキュリティ装置及びidコード管理装置
JP2006117086A (ja) * 2004-10-21 2006-05-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車両用盗難防止装置
JP2006321452A (ja) 2005-05-20 2006-11-30 Yamaha Motor Co Ltd 鞍乗型車両の車両制御装置
JP2006321453A (ja) * 2005-05-20 2006-11-30 Yamaha Motor Co Ltd 鞍乗型車両の車両制御装置
JP4716428B2 (ja) * 2006-03-31 2011-07-0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盗難防止装置
JP2007334825A (ja) * 2006-06-19 2007-12-27 Denso Corp 車両位置情報報知システム。
JP4366382B2 (ja) * 2006-08-02 2009-11-18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充電システム
JP2008109205A (ja) * 2006-10-23 2008-05-08 Tokai Rika Co Ltd 暗号通信装置
KR100803060B1 (ko) * 2006-10-30 2008-02-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체인증모듈을 이용한 이모빌라이저 강화시스템 및 그방법
KR100916343B1 (ko) * 2007-07-30 2009-09-11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시동버튼을 이용한 자동차 엔진 시동장치 및 방법
JP4842907B2 (ja) * 2007-10-04 2011-12-2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イモビライザ装置
JP2009097241A (ja) * 2007-10-17 2009-05-07 Tokai Rika Co Ltd 車両用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CN101159555B (zh) * 2007-11-08 2011-03-0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机动车启动方法和系统
DE102008005309A1 (de) * 2008-01-21 2009-07-23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Bordnetz-System eines Kraftfahrzeugs mit einer Authentisierungs-Vorrichtung
JP5081103B2 (ja) * 2008-08-22 2012-11-21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船舶用盗難抑止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船舶
IT1399197B1 (it) * 2010-03-30 2013-04-11 St Microelectronics Srl Sistema per identificare i componenti di un veicolo
CN101863229A (zh) * 2010-06-04 2010-10-20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发动机启动开关
US9079494B2 (en) 2010-07-01 2015-07-14 Mill Mountain Capital, LLC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vehicles
US8874280B2 (en) * 2010-09-27 2014-10-28 Nec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method for checking vehicle, and program for checking vehicle
US9283931B2 (en) 2011-12-12 2016-03-15 Mill Mountain Capital, LLC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vehicles
US10194017B2 (en) * 2011-12-12 2019-01-29 Mill Mountain Capital, LLC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vehicles
CN103166943A (zh) * 2011-12-19 2013-06-19 北汽福田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对电子控制单元ecu目标文件加密传输的方法及系统
JP5887948B2 (ja) * 2012-01-20 2016-03-16 マツダ株式会社 車両用認証システム
US8799657B2 (en) 2012-08-02 2014-08-0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ethod and system of reconstructing a secret code in a vehicle for performing secure operations
US9571284B2 (en) * 2014-03-13 2017-02-1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Controlling access to personal information stored in a vehicle using a cryptographic key
KR101664883B1 (ko) * 2014-11-12 2016-10-12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차량의 전자제어장치와의 연동 방법 및 그 장치
CN106256616B (zh) * 2015-06-19 2018-10-19 株式会社三国 车辆的防盗装置
JP6217728B2 (ja) * 2015-10-19 2017-10-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システムおよび認証方法
KR101877602B1 (ko) * 2015-10-20 2018-07-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차 전력 전송 시스템의 보안 방법 및 장치
CN105235642B (zh) * 2015-10-28 2018-09-25 铁将军汽车电子股份有限公司 控制指令安全执行方法以及汽车防盗器主机
CA3017599A1 (en) * 2016-03-31 2017-10-05 Spectrum Brands, Inc. Locking device with multiple authentication devices
CN106101111B (zh) * 2016-06-24 2019-10-25 郑州信大捷安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车载电子安全通信系统及通信方法
KR102642924B1 (ko) 2016-12-07 2024-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차량의 동작하는 방법 및 장치.
JP7037748B2 (ja) * 2018-01-26 2022-03-1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子制御ユニット及び接続認証方法
JP7057944B2 (ja) * 2018-11-15 2022-04-21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認証システム及び認証方法
JP7191319B2 (ja) * 2018-12-05 2022-12-19 朝日電装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
US20220167162A1 (en) * 2019-04-12 2022-05-26 Kabushiki Kaisha Tokai Rika Denki Seisakusho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device
JP7465127B2 (ja) * 2019-04-12 2024-04-10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機
US11945447B2 (en) * 2020-02-13 2024-04-02 Toyota Motor North America, Inc. Transport boundary expansion
CN111469803B (zh) * 2020-05-06 2022-05-17 浙江吉利新能源商用车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车辆的防盗系统和防盗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86130A (ja) 1994-09-14 1996-04-02 Omron Corp 電子キー及びそれを用いた車両盗難防止システム
US6359547B1 (en) * 1994-11-15 2002-03-19 William D. Denison Electronic access control device
JPH10140900A (ja) * 1996-09-13 1998-05-26 Tokai Rika Co Ltd イモビライザシステム塔載車両、及びイモビライザシステムに使用される部材
JPH10157571A (ja) 1996-12-02 1998-06-16 Tokai Rika Co Ltd 自動車用イモビライザシステム
JP3256666B2 (ja) 1996-12-25 2002-02-12 三菱電機株式会社 車両用リモコン装置および車両セキュリティ装置
US6144112A (en) * 1998-10-15 2000-11-07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Fuel pump immobilization
DE19960958B4 (de) * 1999-12-17 2004-10-07 Robert Bosch Gmbh Vorrichtung zum Diebstahlschutz
JP2002295089A (ja) 2001-03-29 2002-10-09 Tokai Rika Co Ltd キーシリンダを備えたエンジン始動許可機構
JP4071450B2 (ja) * 2001-04-02 2008-04-02 矢崎総業株式会社 ローリングコードの生成方法及びローリングコードを用いた車両制御装置
JP3810280B2 (ja) 2001-04-04 2006-08-16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車両テールゲート用ラッチ装置
JP4705317B2 (ja) * 2003-04-16 2011-06-22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スイッチ装置、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JP4156493B2 (ja) * 2003-11-04 2008-09-24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車両用セキュリティ装置及びidコード管理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27153B2 (en) 2009-12-04 2012-12-04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system for verifying software platform of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23142A (zh) 2006-01-18
CN100420596C (zh) 2008-09-24
CN2787784Y (zh) 2006-06-14
EP1602539B1 (en) 2011-06-29
WO2005042317A1 (ja) 2005-05-12
US20060152348A1 (en) 2006-07-13
EP1602539A4 (en) 2009-05-06
JP4156493B2 (ja) 2008-09-24
US7327227B2 (en) 2008-02-05
KR20060017484A (ko) 2006-02-23
JP2005138633A (ja) 2005-06-02
EP1602539A1 (en) 2005-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7915B1 (ko) 차량 보안 장치 및 id 코드 관리 장치
JP4366382B2 (ja) 充電システム
EP1564690B1 (en) Security control system for managing registration of ID codes for portable devices
EP1564691B1 (en) Security controller for use with a portable device and a management apparatus, and corresponding security control method
EP1724167B1 (en) Vehicle controller for straddle-type vehicle
JP5170177B2 (ja) 車両盗難防止装置
EP2757497B1 (en) Vehicular electronic control device
KR20040034454A (ko) 보안관련 데이터의 처리장치 및 그 처리방법
US9352723B2 (en) Theft prevention device and theft prevention method
JP2013141948A (ja) 車両通信システム
JP2005343430A (ja) 車両制御システム
US20090288175A1 (en) Electronic anti-theft system for vehicle components
KR100803060B1 (ko) 차체인증모듈을 이용한 이모빌라이저 강화시스템 및 그방법
JP2009282758A (ja) 車両構成部品のための電子盗難防止システム
EP2119606B1 (en) Electronic anti-theft system for vehicle components
JP7178010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
KR100901292B1 (ko) 버튼시동 차량의 시프트락 제어시스템
KR100559542B1 (ko)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배터리 인식 시스템
JP2009033264A (ja) 車両のデータ通信システム及び車両
JP4720143B2 (ja) カードレスetc車載器および車載システム
JP4988648B2 (ja) 車両用セキュリティ装置
JP2007051453A (ja) 車両キーレス装置
TWI657947B (zh) 車上裝置及其操作方法、對應之交通工具及交通工具防盜系統之操作方法
JP2009161147A (ja) 盗難防止装置及び車両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JP2006213286A (ja) 車両の始動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