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5568B1 - 화상 처리 장치 및 화상 출력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처리 장치 및 화상 출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5568B1
KR100685568B1 KR1020030017959A KR20030017959A KR100685568B1 KR 100685568 B1 KR100685568 B1 KR 100685568B1 KR 1020030017959 A KR1020030017959 A KR 1020030017959A KR 20030017959 A KR20030017959 A KR 20030017959A KR 100685568 B1 KR100685568 B1 KR 1006855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rection
amount
image data
reference amount
correction refer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7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6452A (ko
Inventor
무라이기요아키
이시다마사노리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764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64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55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55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73Deblurring; Sharpening
    • G06T5/75Unsharp mas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0Picture signal circuits
    • H04N1/409Edge or detail enhancement; Noise or error suppression
    • H04N1/4092Edge or detail enhanc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Facsimile Image Signal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명도(sharpness) 처리를 적절히 실시하는 것에 의해, 자연스럽게 화상의 첨예도(尖銳度)를 향상시킨다.
화상 처리 장치(10)는, 원(元)화상 데이터의 입력을 받아, 선명도(shaprness) 처리를 실시하여, 보정 화상 데이터(Sc)를 출력한다. 구체적으로는, 원화상 데이터(So)로부터는, 그 레벨 변화의 정도가 검출되고, 검출된 레벨 변화의 정도에 근거하여, 선명도 보정의 정도를 결정하는 기준으로 되는 보정 기준량 데이터(Sr)가 생성된다. 한편, 선명도 보정을 행하는 보정량(Sa)과, 보정 기준량(Sr)의 관계는 미리 정해진 보정량 특성 패턴에 의해 규정되어 있다. 보정량 연산 수단은, 보정량 특성 패턴에 따라서 적절한 보정량을 연산하고, 선명도 처리 수단이 그 보정량에 따라서 원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선명도 처리를 실시한다. 여기서, 보정량 결정 패턴은, 보정 기준량의 크기에 따라 보정량이 변화되는 특성을 갖기 때문에, 원화상 데이터의 레벨 변화에 따라서, 적절한 보정량만 선명도 보정이 행해지는게 되어, 적절한 정도로 원화상 데이터의 첨예화를 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상 처리 장치 및 화상 출력 장치{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OUTPUTT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선명도 처리를 행하는 화상 처리 장치의 주요부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선명도 처리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보정 기준량 신호로서 라플라시안 신호를 사용하는 경우의 각 신호의 예, 및, 라플라시안 필터의 계수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보정 기준량 신호로서 차신호를 사용하는 경우의 각 신호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선명도 처리에 의해 사용되는 보정량 결정 패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선명도 처리에 의해 사용되는 보정량 결정 패턴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선명도 처리에 의해 사용되는 보정량 결정 패턴의 또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선명도 처리에 의해 사용되는 보정량 결정 패턴의 또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선명도 처리에 의해 사용되는 보정량 결정 패턴의 또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선명도 처리의 흐름도,
도 11은 본 발명의 선명도 처리의 응용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화상 처리 장치 11 : 선명도 처리부
12 : 드라이버 13 : 표시부(프린트부)
15 : 보정 기준량 결정 수단 16 : 보정량 연산 수단
17 : 선명도 처리 수단
본 발명은 화상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 전화나 휴대형 단말 장치 등의 표시 영역이 비교적 작은 장치상에 화상을 표시할 때에 바람직한 선명도(sharpness) 처리 방법에 관련된다.
화상 표시 장치 등에 있어서는, 표시되는 화상에 대하여, 화상의 윤곽 등을 첨예화하여 화상을 보기쉽게 하는, 소위 선명도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행해진다. 선명도 처리에 의해, 다소 흐려진 원(元)화상을 선명하게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휴대 전화나 휴대형 단말 장치 등, 비교적 표시 영역이 작은 장치에 있어서는, 선명도 처리를 다소 강하게 실시하는 것에 의해, 표시 화상의 윤곽 등이 명료하게 되어, 보기쉽게 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선명도 처리를 너무 강하게 실시하면 표시 화상이 도리어 부자연스럽게 되는 경우도 있다. 예컨대, 인간 얼굴의 화상을 표시하는 경우, 선명도 처리의 정도가 지나치게 강하면, 얼굴과 검은 머리카락과의 경계 부근에 있어서, 선명도 처리에 의해 얼굴의 화상 데이터가 너무 하얗게 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이러한 현상을「하얗게 빠져 보이는 것 」이라고도 부름). 한편, 선명도 처리의 정도를 지나치게 억제하면, 화상에 따라서는 첨예도가 부족하여, 희미해진 화상으로 되어 버린다.
본 발명은, 이상의 점을 감안한 것으로, 선명도 처리를 적절히 실시하는 것에 의해, 자연스럽게 화상의 첨예도를 향상시키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화상 처리 장치는, 원화상 데이터의 레벨 변화의 정도를 검출하고, 검출된 레벨 변화의 정도에 근거하여, 선명도 처리에 의한 보정의 기준량을 나타내는 보정 기준량 데이터를 생성하는 보정 기준량 결정 수단과, 상기 보정 기준 량 데이터에 근거하여, 미리 정해진 보정량 결정 패턴에 따라서 보정량을 연산하는 보정량 연산 수단과, 상기 보정량에 따라 상기 원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선명도 처리를 실시하여 보정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선명도 처리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보정량 결정 패턴은, 상기 보정 기준량의 크기에 따라 상기 보정량이 변화되는 특성을 갖는다.
상기 화상 처리 장치는, 원화상 데이터의 입력을 받아, 선명도 처리를 실시하여 보정 화상 데이터를 출력한다. 원화상 데이터로부터는, 그 레벨 변화의 정도가 검출된다. 원화상 데이터가 컬러 화상 데이터인 경우에는 휘도 레벨의 변화가 검출되고, 원화상 데이터가 RGB 각 색의 별개의 화상 데이터인 경우는, 각 색의 화상 데이터의 레벨 변화가 검출된다. 그리고, 검출된 레벨 변화의 정도에 근거하여, 선명도 보정의 정도를 결정하는 기준으로 되는 보정 기준량 데이터가 생성된다.
한편, 선명도 보정을 행하는 보정량과, 보정 기준량과의 관계는 미리 정해진 보정량 특성 패턴에 의해 규정되어 있다. 보정량 연산 수단은, 보정량 특성 패턴에 따라서 적절한 보정량을 연산하고, 선명도 처리 수단이 그 보정량에 따라서 원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선명도 처리를 실시한다. 여기서, 보정량 결정 패턴은, 보정 기준량의 크기에 따라 보정량이 변화되는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원화상 데이터의 레벨 변화에 따라서, 필요한 보정량만 선명도 보정이 행해지는게 되어, 적절하게 원화상 데이터의 첨예화를 행할 수 있다.
상기 화상 처리 장치의 일형태에서는, 상기 보정량 결정 패턴은, 상기 보정 기준량이 정(正)의 값인 경우의 상기 보정량의 변화 비율과, 상기 보정 기준량이 부(負)의 값인 경우의 상기 보정량의 변화 비율이 서로 다른 특성을 갖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상 처리 장치의 다른 일형태에서는, 상기 보정량 결정 패턴은, 상기 원화상 데이터의 백색 성분이 증가하도록 상기 보정 기준량이 변화되는 경우의 상기 보정량의 변화 비율이, 상기 원화상 데이터의 흑색 성분이 증가하도록 상기 보정 기준량이 변화되는 경우의 상기 보정량의 변화 비율보다도 작게 되는 특성을 갖는 것으로 하더라도 좋다. 이들 형태에 의하면, 원화상 데이터가 백색 또는 흑색 레벨 방향에 있어서 비대칭인 특성을 갖는 경우 등에 있어서도, 적절한 정도로 선명도 보정을 행할 수 있다.
상기 화상 처리 장치의 또다른 일형태에서는, 상기 보정량 결정 패턴은, 상기 보정 기준량의 절대값이 제 1 소정값 이상인 경우의 상기 보정값의 변화 비율이, 상기 보정 기준량의 절대값이 제 1 소정값 이하인 경우의 상기 보정량의 변화 비율보다 작게 되는 특성을 갖는 것으로 하더라도 좋다. 이 형태에 의하면, 원화상 데이터가 소정 레벨 이상으로 되는 부분에 선명도 처리가 더 실시된 결과, 화상 데이터 중 윤곽 부분이나 레벨 변화가 급준(急峻)한 부분이 부자연스럽게 강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화상 처리 장치의 또다른 일형태에서는, 상기 보정량 결정 패턴은, 상기 보정 기준량이, 극성이 부인 제 2 소정값으로부터 극성이 정인 제 3 소정값의 범위내에 있는 경우에, 상기 보정량을 영(零)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상 처리 장치의 또다른 일형태에서는, 상기 보정 기준량이, 극성이 부인 제 2 소정값 으로부터 극성이 정인 제 3 소정값의 범위내에 있는 경우에, 상기 원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평활화(smoothing) 처리를 행하는 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화상 데이터의 레벨 변화가 어느 정도 작은 부분에 있어서는, 그 레벨 변화는 화상 자체의 변화인 경우 외에, 화상 데이터상에 발생한 노이즈에 의한 것인 경우가 많아, 그러한 노이즈 부분에 대해서도 선명도 처리를 실시하면 노이즈가 강조된 화상으로 되어 버린다. 그래서, 어느 정도 작은 레벨 변화에 대응하는 부분은 노이즈라고 간주하여, 선명도 처리를 행하지 않는 것으로서 노이즈 성분의 강조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그러한 레벨 변화가 작은 부분을 노이즈 부분이라고 간주하여 평활화 처리를 행하는 것에 의해, 표시 화상상의 노이즈의 영향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상기 화상 처리 장치에서는, 상기 원화상 데이터를 So로 하고, 상기 보정 기준량 데이터를 Sr로 하며, 상기 보정 화상 데이터를 Sc로 하면, 상기 보정량은 F(Sr)로 표시되는 상기 보정 기준량 데이터의 함수이며, 상기 보정 화상 데이터 Sc는, Sc = So + F(Sr)로 나타낼 수 있다. 이렇게 해서 원화상 데이터의 레벨 변화에 따라서, 적절한 보정량만 선명도 보정이 행해지는게 되어, 적절한 정도로 원화상 데이터의 첨예화를 행할 수 있다.
상기 화상 처리 장치에서는, 상기 보정량 결정 패턴은, 특정한 제 1 보정 기준량(P)에 대한 상기 보정량 F(P)와, 상기 제 1 보정 기준량 P와 절대값이 같고 극성이 다른 제 2 보정 기준량(-P)에 대한 상기 보정량 F(-P)와의 관계가, 상기 보정 기준량 P가 충분히 클 때에, |F(P)| < |F(-P)|로 되는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이 것에 의해, 원화상 데이터가 백색 또는 흑색 레벨 방향에 있어서 비대칭인 특성을 갖는 경우 등에 있어서도, 적절한 정도로 선명도 보정을 행할 수 있다.
상기 화상 처리 장치의 일형태에서는, 상기 보정 기준량 데이터는, 상기 원화상 데이터의 라플라시안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다른 형태에서는, 상기 보정 기준량 데이터는, 상기 원화상 데이터를 소정의 언샤프(unsharp) 필터에 의해 필터링하여 얻어지는 언샤프 데이터를, 상기 원화상 데이터로부터 감산하여 얻어지는 차(差)신호 데이터로 하여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화상 출력 장치는, 상기 화상 처리 장치와, 상기 화상 데이터를 출력할 때의 화상 크기를 판정하는 화상 크기 판정 수단과, 상기 화상 크기 판정 수단에 의해 판정된 화상 크기가, 소정의 화상 크기보다 작은 경우에, 상기 화상 처리 장치에 의해 상기 원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선명도 처리를 실행하는 제어 수단과, 상기 원화상 데이터 또는 상기 선명도 처리에 의해 얻어진 보정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 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화상 출력 장치에 의하면,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화상 크기가 판정되어, 출력 화상 크기가 큰 경우에는 본 발명에 의한 선명도 처리를 행하지 않는다. 한편, 출력 화상 크기가 작은 경우에는, 본 발명에 의한 선명도 처리를 행하는 것에 의해, 적절한 선명도 보정이 행해져, 작은 출력 화상에 있어서도 첨예화가 실시된 명료한 화상을 얻을 수 있다.
발명의 실시예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장치 구성]
도 1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의 주요부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상 처리 장치(10)는, 선명도 처리부(11)와, 드라이버(12)와, 표시부(또는 프린트부)(13)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화상 처리 장치(10)는, 바람직하게는 휴대 전화나 휴대형 단말 장치 등의, 비교적 소형의 표시부를 구비하는 단말 장치에 적용된다. 또한, 본 발명의 화상 처리 장치(10)는, 컬러 프린트 등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그 경우에는 프린트부(13)를 구비하는 것으로 된다.
선명도 처리부(11)에는, 원화상 데이터 So가 입력된다. 화상 처리 장치(10)가 휴대 전화 등인 경우에는, 원화상 데이터 So는 통신로를 거쳐서 휴대 전화에 의해 수신된 화상 데이터로 된다. 또한, 화상 처리 장치(10)가 프린터인 경우에는, 원화상 데이터 So는 퍼스널 컴퓨터 등으로부터 프린터에 공급되는 화상 데이터로 된다.
선명도 처리부(11)는, 입력된 원화상 데이터 So에 대하여 선명도 처리를 실시하여 보정 화상 데이터 Sc를 생성하여, 보정 화상 데이터 Sc를 드라이버(12)에 공급한다. 드라이버(12)는, 보정 화상 데이터 Sc에 따라서 표시부(또는 프린트부)(13)를 구동한다. 이것에 의해, 화상이 표시되거나, 또는 프린트된다.
도 2에 선명도 처리부(11)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선명도 처리부(11)는, 보정 기준량 결정 수단(15)과, 보정량 연산 수단(16)과, 선명도 처리 수단(17)을 구비한다. 선명도 처리부(11)에 입력된 원화상 데이터 So는, 보정 기준량 결정 수단(15)과 선명도 처리 수단(17)에 공급된다.
보정 기준량 결정 수단(15)은, 원화상 데이터 So를 이용하여, 보정 기준량을 결정한다. 여기서, 보정 기준량이란, 원화상 데이터 So에 대하여 실시할 선명도 처리의 정도를 나타내는 양이며, 구체적으로는 후술의 라플라시안 신호 및 차신호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보정 기준량 연산 수단(15)은, 원화상 데이터 So에 근거해 보정 기준량 신호 Sr을 생성하여, 이것을 보정량 연산 수단(16)에 공급한다.
보정량 연산 수단(16)은, 보정 기준량 신호 Sr에 의해 나타내지는 보정 기준량에 근거해, 선명도 처리에 의한 보정량을 산출하여, 보정량 신호 Sa를 선명도 처리 수단(17)에 공급한다. 보정량은, 선명도 처리의 대상으로 되는 화상 데이터의 레벨을 선명도 처리에 의해 변화시키는 양에 대응한다. 즉, 보정량의 절대값이 큰 경우는, 선명도 처리에 의해 화상 데이터의 레벨이 크게 변화되어, 화상의 첨예도가 크게 증가한다. 한편, 보정량의 절대값이 작은 경우는, 선명도 처리에 의한 화상 데이터의 레벨 변화는 작아서, 화상의 첨예도는 그 만큼 크게는 증가하지 않는다. 또한, 보정량의 정(正)부(負)는, 선명도 처리에 의해 화상 데이터를 백색측과 흑색측 중 어느 것으로 변화시키는가를 나타낸다.
선명도 처리 수단(17)은, 보정량 연산 수단(16)으로부터 공급되는 보정량 신호 Sa가 나타내는 보정량에 따라서 원화상 데이터 So의 레벨을 변화시켜, 선명도 처리후의 화상 데이터인 보정 화상 데이터 Sc를 생성한다. 선명도 처리 수단(17)은, 생성된 보정 화상 데이터 Sc를 도 1에 도시하는 드라이버(12)에 공급한다.
[보정 기준량]
다음에, 보정 기준량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보정 기준량이란, 선명도 처리를 실시하는 정도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으로 되는 양이며, 보정 기준량 신호 Sr은 이 기준량을 나타내는 신호이다. 구체적으로는, 보정 기준량 신호 Sr로서는, ① 원화상 데이터 So의 라플라시안 신호, 또는, ② 원화상 데이터 So로부터 생성된 차신호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우선, 보정 기준량 신호로서 라플라시안 신호를 사용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a)는, 보정 기준량 신호로서 라플라시안 신호를 사용한 경우의, 원화상 데이터 So, 보정 기준량 신호 Sr, 보정량 신호 Sa 및 보정 화상 데이터 Sc의 파형예를 도시한다. 또, 도 3(a)에 있어서 각 파형의 종축 방향은 원화상 데이터의 휘도를 나타내며, 도면 중의 상방향을 백, 하방향을 흑으로 한다. 또한, 각 파형의 횡축 방향은 시간을 나타낸다.
라플라시안 신호는, 원화상 데이터 So에 대하여 라플라시안 필터에 의한 필터링을 적용하는 것에 의해 얻어진다. 라플라시안 필터는, 화상의 공간 필터링에 사용되는 미분 필터의 일종이며, 수학적으로는 2차 미분 조작에 상당하는 처리를 행하는 필터이다. 라플라시안 필터의 계수예를 도 3(b) 및 도 3(c)에 도시한 다. 라플라시안 필터는, 화상 중의 농도가 급격히 변화되는 윤곽부나 고주파 성분을 강조하는 기능을 갖는다. 도 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라플라시안 신호는, 원화상 데이터 So의 레벨이 증가를 시작하는 부분과, 증가가 종료되어 일정 레벨로 되는 부분에 있어서 파형에 요철을 갖고 있다. 원화상 데이터 So의 파형이 하측으로 볼록한 부분에서는 라플라시안 신호는 부로 되고, 원화상 데이터 So의 파형이 위로 볼록한 부분에서는 라플라시안 신호는 정으로 된다. 이 라플라시안 신호를 보정 기준량 신호로 하여, 선명도 처리를 실시하는 정도를 결정할 수 있다.
다음에, 차신호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보정 기준량 신호로서 차신호를 사용한 경우의, 원화상 데이터 So, 언샤프 데이터 Su, 보정 기준량 신호 Sr, 보정량 신호 Sa 및 보정 화상 데이터 Sc의 파형예를 도시한다. 또, 도 4에 있어서 각 파형의 종축 방향은 원화상 데이터의 휘도를 나타내고, 도면 중의 상방향을 백, 하방향을 흑으로 한다. 또한, 각 파형의 횡축 방향은 시간을 나타낸다. 차신호는, 원화상 데이터 So로부터 언샤프 데이터 Su를 감산하는 것에 의해 얻어지며, 라플라시안 신호와 마찬가지로 화상 중의 윤곽 부분이나 고주파 부분을 나타내는 신호이다. 언샤프 데이터 Su는, 원화상 데이터 So의 소정 범위에 대하여 평균화 필터를 적용하는 것에 의해 생성된다.
즉,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화상 데이터 So를 국소 평균화하는 것에 의해 언샤프 데이터 Su가 얻어지고, 이것을 원화상 데이터 So로부터 감산하는 것에 의해 차신호 Sr이 얻어진다. 따라서, Sr = So - Su로 된다.
또, 라플라시안 신호와 차신호는 모두 화상 중의 윤곽 부분이나 고주파 부분 을 나타내는 신호이며, 본 발명에서는 어느쪽도 보정 기준량 신호로서 사용할 수 있다. 단, 언샤프 신호의 생성 방법에 따라, 라플라시안 신호와 차신호는 반드시 일치하지 않는다.
[보정량의 결정 방법]
다음에, 보정 기준량에 근거하여 보정량을 결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보정량은, 선명도 처리에 의해 원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인가되는 레벨 변화를 나타내는 양이다. 일반적으로는, 선명도 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보정 화상 데이터는, 원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보정 기준량의 정수배에 대응하는 보정량을 가산하는 것에 의해 생성된다. 따라서,
보정 화상 데이터 Sc = 원화상 데이터 So + 보정량
= 원화상 데이터 So + α·보정 기준량 Sr(α는 정수)
로 된다. 즉, 보정량은, 보정 기준량의 정수 α배이다.
이것에 반하여, 본 발명에 의한 선명도 처리에서는, 보정량을 단순히 보정 기준량 Sr의 정수배로 하는 것은 아니고, 보정 기준량에 따라 변화시키는 것으로 하였다. 바꿔 말하면,
보정량 = F(Sr)로서 보정량을 보정 기준량의 함수로서 정의하여, 보정량을 보정 기준량 Sr에 따라 변화시키는 것으로 하였다. 즉,
보정 화상 데이터 Sc = 원화상 데이터 So + 보정량
= 원화상 데이터 So + F(Sr)
로 된다. 이것에 의해, 화상 중의 소정 부분에 있어서 선명도 보정이 너무 강하게 실시되어 화상 자체가 부자연스럽게 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필요한 부분에는 적절한 선명도 보정을 행할 수 있다.
이하, 보정 기준량 Sr에 근거하여 보정량을 결정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도 5 내지 9에 예시하는 보정량 결정 패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 내지 9의 각 보정량 결정 패턴에 있어서, 횡축은 보정 기준량 Sr을 나타내고, 종축은 선명도 처리에 의한 보정량을 나타낸다. 즉, 도 5 내지 9는, 각각, 보정 기준량의 변화에 대하여 선명도 처리에 의한 보정량이 어떻게 변화되는가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또, 실제로 보정 기준량에 근거하여 보정량을 결정하는 방법으로서는, 도 5 내지 9에 예시하는 바와 같은 보정량 결정 패턴을 미리 룩업 테이블 등에 기억시켜 놓고, 그것을 참조하여 보정량을 구하는 방법이 있다. 또한, 그 대신에, 보정량 결정 패턴을 규정한 함수를 미리 준비하고, 그 함수를 사용하여 보정 기준량으로부터 보정량을 산출하는 방법도 있다. 현실적으로 어느쪽을 채용할지는, 본 발명을 적용하는 장치의 요구되는 처리 속도, 처리 정밀도 등에 따라 결정되게 된다.
도 5(a)는 본 발명에 의한 보정량의 결정 방법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든 비교예이며, 선명도 보정량이 보정 기준량에 비례하는 경우, 즉 전술한 바와 같이, 보정 기준량의 정수배를 원화상 데이터에 가산하여 선명도 처리를 행하는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따라서, 도 5(a)에 있어서의 그래프의 경사는 전술한 정수 α에 상당한다.
도 5(b)에, 본 발명에 의한 보정량 결정 패턴의 예 1a를 도시한다. 예 1a 에서는, 기본적으로 보정량은 보정 기준량에 비례한다. 그러나, 보정 기준량이 소정값 a보다 크거나, 또는, 소정값 -a보다 작은 경우에는, 보정 기준량이 -a ∼ +a의 범위내인 때에 비교하여 보정량의 증가 비율을 작게 하고 있다. 보정 기준량의 절대값이 크다는 것은, 그 부분은 화상의 레벨이 백색 또는 흑색측으로 급격히 변화되고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그러한 화상 레벨이 급격히 변화되는 영역에 있어서는, 보정 기준량의 증가에 따르는 보정량의 증가 비율을 얼마쯤 억제한다. 즉, 휘도의 변화가 큰 영역에서는 선명도 처리에 의한 보정량을 억제하는 것으로서, 선명도 처리에 의한 과도한 강조에 의해 화상이 부자연스럽게 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것에 의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얼굴 화상의 윤곽부가 선명도 처리의 과도한 강조에 의해 하얗게 빠져서 표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c)에 도시하는 예 1b는 예 1a의 변형이며, 보정 기준량의 절대값이 소정값 b 미만인 경우에는 보정량을 0(zero)으로 하는, 즉 선명도 보정을 행하지 않는 것으로 하는 방법이다. 보정 기준량은 화상 데이터의 레벨이 급격한 변화를 나타내고 있고, 보정 기준량이 큰 영역에서는 화상 데이터의 레벨이 크게 변화되고 있는 것으로 된다. 한편, 보정 기준량이 작은 영역에서는 화상 데이터의 레벨은 그 만큼 크게 변화되고 있는 것은 아니다. 즉, 보정 기준량의 비교적 작은 변화는, 화상 자체의 내용에 의한 레벨의 변화가 아니라, 화상 데이터에 가해진 노이즈에 대응하는 것인 경우가 많다. 이러한 관점으로부터, 보정 기준량의 절대값이 소정값 b 미만인 경우에는, 그 정도의 보정 기준량의 변화는 노이즈에 의한 것이라고 간주하여, 선명도 처리를 행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화상 중의 노이즈가 큰 영역에 선명도를 가하면, 그 노이즈를 강조, 증대시켜 버려 화상이 보기 어렵게 되는 경향이 있으므로, 예 1b와 같이 소정값 b 이하의 보정 기준량의 변화를 노이즈라고 보아 선명도 처리의 대상으로부터 제외하는 것은, 노이즈가 비교적 많은 화상을 보기쉽게 표시하기 때문에 효과적이다.
도 5(c)에 도시하는 예 1c는 기본적으로 예 1b와 마찬가지의 생각에 근거하여, 보정 기준량의 절대값이 소정값 c 미만인 영역에서는 선명도 처리를 행하지 않는다. 단, 예 1c에서는, 보정 기준량이 선명도 처리를 행하지 않는 영역으로부터 선명도 처리를 행하는 영역으로 들어감에 따라서(즉, 보정 기준량이 소정값 c 미만으로부터 증가되어 소정값 c를 넘는 것에 따라), 보정량을 0으로부터 조금씩 증가시키고 있다. 이것에 의해, 보정 기준량의 절대값이 소정값 c에 가까운 영역에서 선명도 처리의 적용, 부적용이 급격히 변하는 것에 의해 화상이 부자연스럽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하는 예 2a 및 예 2b는, 모두 보정 기준량에 대하여 보정량이 비례하는 관계에 있지만, 보정 기준량이 정인 영역과 부인 영역에서 보정량의 증가 비율을 서로 다르게 하고 있는 점에 특징을 갖는다.
또, 보정 기준량은, 대상으로 되는 화소와, 그 화소의 주변 화소의 상대적인 레벨 차이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고, 대상으로 되는 화소 자체의 레벨과는 무관계한 양이다. 보정 기준량이 정인 경우는 화소 데이터가 위로 볼록한, 즉, 그 화소가 주변 화소에 비교하여 백측으로 치우쳐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보정 기준량이 부인 경우는 화소 데이터가 아래로 볼록한, 즉, 그 화소가 주변 화소에 비교하여 흑측으로 치우쳐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선명도 처리에서는 일반적으로, 보정 기준량이 정인 경우는 선명도 보정량도 정측, 즉 백측으로 보정하고, 보정 기준량이 부인 경우는 선명도 보정량도 부측, 즉 흑측으로 보정한다. 단, 보정 기준량이 작은 경우에는 선명도 보정을 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즉, 보정 기준량이 정이라도 백측으로 보정하지 않고, 보정 기준량이 부이더라도 흑측으로 보정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예 2a에서는, 보정 기준량이 정인 영역(즉 화상 데이터가 위로 볼록한, 즉 해당 화소가 주변 화소에 비교하여 백측으로 치우쳐 있고, 보정 방향으로서는 백 방향으로 보정되는 영역) 쪽이, 보정 기준량이 부인 영역(즉 화상 데이터가 아래로 볼록한, 즉 해당 화소가 주변 화소에 비교하여 흑측으로 치우쳐 있고, 보정 방향으로서는 흑 방향으로 보정되는 영역)보다 보정량의 증가 비율이 억제되고 있다. 이 예는, 특히 전술한 인간 얼굴의 일부가 하얗게 빠져 보인다고 하는 현상을 방지하기 때문에 효과적이다. 인간의 피부색의 휘도 레벨은 백색에 가깝기 때문에, 화상 데이터의 백색에 가까운 휘도 영역에서 급격한 휘도의 변화가 있는 표시 화상상의 장소에서는, 선명도에 의한 강조의 정도를 약간 누그러뜨려서, 피부색 영역이 하얗게 빠져 보인다고 하는 문제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예 2b에서는, 보정 기준량이 부인 영역 쪽이, 보정 기준량이 정인 영역보다 보정량의 증가 비율이 억제되고 있다. 이것은, 피부색 부분이 희게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발상과는 반대이지만, 화상 데이터의 소스 및/또는 화상 데이터의 처리 방법 등에 의존하여, 선명도 처리의 대상으로 되는 원화상 데이터가 흑색 에 가까운 휘도 레벨에 있어서 노이즈를 포함하기 쉬운 독특한 특성을 갖는 등의 경우에, 그러한 노이즈를 억제하기 때문에 효과적이다.
도 7에 도시하는 예 3a 및 예 3b는, 모두 보정 기준량이 소정값 d를 넘는 경우에 보정량의 증가 비율을 억제하는 방법이며, 이것도 전술한 피부색 부분이 하얗게 빠져 보이는 문제를 방지하기 때문에 효과적이다. 또, 예 3a에서는, 보정 기준량이 소정값 d 이하이면, 보정 기준량이 부이더라도, 보정 기준량에 대하여 같은 증가 비율로 보정량이 결정된다. 이것에 반하여, 예 3b에서는, 보정 기준량이 소정값 e보다 작은 경우에도 보정 기준량에 대한 보정량의 증가 비율이 억제되고 있다.
도 8에 도시하는 예 4a∼예 4d는, 모두 보정 기준량이 정인 영역의 보정량의 증가 비율을, 보정 기준량이 부인 영역보다도 작게 설정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전술한 바와 같이 피부색이 하얗게 빠져 보이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어느 경우도 보정 기준량의 절대값이 소정값 f 미만인 경우에는 보정량을 0으로 하여 선명도 처리를 행하지 않는 것으로 하여, 노이즈의 강조를 방지하고 있다. 예 4a에서는, 보정 기준량의 절대값이 소정값 f로 되는 영역에서 불연속적으로 보정량이 결정된다. 즉, 보정 기준량의 절대값이 f에 이를 때까지는 선명도 처리는 행하지 않지만, 보정 기준량의 절대값이 f로 되면 소정의 보정량으로 선명도 처리가 행해지게 된다. 이것에 반하여, 예 4b 및 예 4c에서는, 보정 기준량의 절대값이 f로 되면, 그 후 보정량이 0으로부터 서서히 증가되어, 선명도 처리에 의한 화상의 강조가 서서히 행해지게 된다. 또, 예 4b에서는 보정 기준량의 절대값이 f로 된 후, 보정량이 처음에는 곡선적으로, 그 후 직선적으로 증가하는데 반하여, 예 4c 및 예 4d에서는 보정 기준량의 절대값이 f로 된 후, 보정량이 처음부터 직선적으로 증가한다. 또, 예 4c는 보정량이 경사가 상이한 2개의 직선을 따라 증가하는 예이며, 예 4d는 1개 경사의 직선을 따라 증가하는 예이다.
도 9(a)에 도시하는 예 5에서는, 보정 기준량의 절대값이 작은 경우에는 선명도 처리를 행하지 않는 것으로 하고, 또한, 보정 기준량이 정 방향(백색 방향으로 볼록한 정도) 및 부 방향(흑색 방향으로 볼록한 정도)으로 증가한 경우에, 선명도 처리를 개시하는 값을 상이하게 하고 있다. 즉, 보정 기준량이 정 방향으로 증가하는 경우는, 보정 기준량이 소정값 g로 될 때까지 선명도 처리를 행하지 않지 않는데 반하여, 보정 기준량이 부 방향으로 증가하는 경우는, 소정값 -h(h<g)에서 선명도 처리를 개시한다. 또한, 보정 기준량이 소정값 j보다 큰 경우는, 보정량은 일정값 L1로 되고, 보정 기준량이 소정값 -k보다 작은 경우는, 보정량은 일정값 L2로 된다. 즉, 보정 기준량이 소정값을 넘는 경우는, 보정량을 일정값으로 유지하여, 선명도 처리에 의한 과도한 강조를 방지한다. 또한, 그 경우에도, 보정 기준량이 백색 방향으로 증가하는 경우에는, 흑색 방향으로 증가하는 경우보다도 작은 값(L1)에 보정량을 유지하여, 피부색 부분이 하얗게 빠져 보이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도 9(b)에 도시하는 예 6에서는, 보정 기준량에 대하여, 보정량이 단계적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 방법에 의하면, 보정 기준량에 근거하는 보정량의 결정을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행하는 경우에는, 룩업 테이블내에 기억해야 할 데이터량 을 저감할 수 있고, 보정 기준량에 근거하는 보정량의 결정을 소정의 함수를 이용한 연산에 의해 행하는 경우에는, 연산에 요구되는 처리 부담 및 처리 시간을 경감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도 9(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선명도 처리의 대상으로 되는 화상 데이터의 특성에 따라서, 보정 기준량에 대한 보정량의 변화를, 미리 설계된 곡선에 의해 규정하여, 매끄럽게 보정값을 제어할 수도 있다.
[선명도 처리]
다음에, 본 발명에 의한 선명도 처리의 흐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선명도 처리의 흐름도이다. 또,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선명도 처리를 실행하는 화상 처리 장치를 휴대 전화에 적용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휴대 전화는 표시해야 할 원화상 데이터 So를 수신하여, 도 1에 도시하는 선명도 처리부(11)에 공급한다(단계 S1).
선명도 처리부(11)내에서는, 공급된 원화상 데이터 So를 도시하지 않은 작업 메모리 등에 일시적으로 전개하고, 그 원화상 데이터 So를 사용하여 보정 기준량 결정 수단(15)이 보정 기준량을 결정하여, 보정 기준량 신호 Sr을 생성한다(단계 S2). 이 보정 기준량 신호 Sr은, 전술한 바와 같이 도 3(a)에 도시하는 라플라시안 신호인 경우와, 도 4에 도시하는 차신호인 경우가 있다. 라플라시안 신호인 경우는, 보정 기준량 결정 수단(15)은, 작업 메모리 등에 전개된 원화상 데이터 So에 대하여 예컨대 도 3(b) 또는 (c)에 도시한 바와 같은 라플라시안 필터를 이용하여 필터링을 행하여, 라플라시안 신호를 생성하여 보정 기준량 신호 Sr로 한다. 한편, 보정 기준량 신호 Sr이 차신호인 경우는, 보정 기준량 결정 수단(15)은 소정의 언샤프 필터를 사용해 도 4에 나타내는 언샤프 데이터를 생성하여, 원화상 데이터 So로부터 언샤프 데이터를 감산해서 차신호를 생성하여 보정 기준량 신호 Sr로 한다.
다음에, 이렇게 해서 얻어진 보정 기준량 신호 Sr을 이용하여, 도 2에 도시하는 보정량 연산 수단(16)이 보정량을 연산하여, 보정량 신호 Sa를 생성한다(단계 S3). 보정량의 연산은, 도 5 내지 도 9에 도시한 보정량 결정 패턴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행해진다. 보정량 결정 패턴은 전술한 바와 같이, 미리 룩업 테이블의 형태로 준비되거나, 또는 함수로서 정의되어 있다. 보정량 연산 수단(16)은, 보정 기준량 신호 Sr에 포함되는 각 보정 기준량마다, 룩업 테이블을 참조하거나, 또는 함수에 따라서 연산을 행하는 것에 의해 보정량을 산출하여 보정량 신호 Sa를 생성한다. 그리고, 보정량 연산 수단(16)은 얻어진 보정량 신호 Sa를 선명도 처리 수단(17)에 공급한다.
선명도 처리 수단(17)은, 원화상 데이터 So에 대하여, 보정량 신호 Sa에 근거해 선명도 처리를 행하여, 보정 화상 데이터 Sc를 생성한다(단계 S4). 구체적으로는, 도 3(a)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정량 신호 Sa를 원화상 데이터 So에 가산하는 것에 의해 보정 화상 데이터 Sc를 생성한다. 그리고, 생성된 보정 화상 데이터 Sc를 드라이버(12)에 출력한다.
드라이버(12)는, 수신된 보정 화상 데이터 Sc를 표시부(13)에 표시한다(단계 S5). 이렇게 해서, 본 발명에 의한 선명도 처리가 행해져, 선명도 처리에 의해 보정된 보정 화상 데이터 Sc가 표시부(13)에 표시된다.
[변형예]
상기 설명에서는, 화상 데이터를 색 성분을 포함하는 컬러 화상 데이터로 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선명도 처리를 적용하는 화상 표시 장치 등이 화상 데이터를 RGB마다의 화상 데이터로서 처리하여, 표시하는 경우에는, 상기 선명도 처리를 RGB 각 색의 화상 데이터마다 개별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그 경우에는, 선명도 처리부(11)내의 보정 기준량 결정 수단은, RGB 각 색의 화상 데이터로부터 우선 휘도 데이터를 산출하고, 그 휘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보정 기준량, 즉, 라플라시안 신호 또는 차신호를 생성하면 좋다. 그 경우, 선명도 처리에 의한 보정전의 RGB 각 색의 원화상 데이터를 각각 R, G, B로 하고, 원화상 데이터로부터 산출된 휘도 데이터 Y에 근거하여 산출된 보정 기준량을 Yr이라고 하면, 보정후의 RGB 각 색의 화상 데이터 Rc, Gc, Bc는,
Rc = R + F(Yr)
Gc = G + F(Yr)
Bc = B + F(Yr)로 나타낼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선명도 처리를 적용하는 화상 표시 장치 등의 하드웨어 능력에 제한이 있거나, 또는, 고속 처리가 요구되는 등의 이유에 의해, 상기한 바와 같 이 RGB 각 색의 화상 데이터로부터 휘도 데이터를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은 경우에는, 휘도 데이터 대신에 G(녹색) 데이터만을 사용할 수 있다. 즉, G 데이터에 근거하여, 보정 기준량 결정 수단(15)이 라플라시안 신호 또는 차신호를 생성하여 보정 기준량으로 할 수 있다. 이 이유는, 화상 데이터를 RGB 각 색의 화상 데이터로 한 경우, 일반적으로 G(녹색)가 가장 감도가 높고, 또한, 노이즈가 적기 때문이다. 따라서, G 데이터를 이용하여 보정 기준량을 구하는 것으로 하면, 본래의 윤곽과 노이즈와의 구별이 비교적 쉽고, B나 G 등의 윤곽과 노이즈와의 구별이 어려운 색 화상 데이터에 있어서도 첨예화시키기 쉽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RGB 각 색의 화상 데이터로부터 휘도 데이터를 산출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당연히 처리 부담이 가벼워져, 처리를 고속화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그와 같이, G 데이터를 사용하여 보정 기준량을 구하는 경우, 보정후의 RGB 각 색의 화상 데이터 Rc, Gc, Bc는, G 데이터에 근거하여 생성된 보정 기준량을 Gr이라고 하면,
Rc = R + F(Gr)
Gc = G + F(Gr)
Bc = B + F(Gr)로 나타낼 수 있다.
[응용예]
다음에, 본 발명의 선명도 처리의 응용예를 설명한다. 우선, 도 11(a)를 참조하여 제 1 응용예를 설명한다.
도 11(a)는 본 발명의 선명도 처리를, 네트워크를 통한 화상 데이터의 송신에 응용한 예이다. 화상 송신자인 서버는 네트워크를 거쳐서 소정의 화상 데이터를 수신자 A와 수신자 B에 송신한다. 수신자 A는 화상 표시 장치로서 휴대 전화를 사용하고, 수신자 B는 화상 표시 장치로서 퍼스널 컴퓨터(PC)를 사용하고 있다. 여기서, 서버는, 각 수신자 A 및 B가 사용하고 있는 화상 표시 장치가 어떤 것인지(휴대 전화인지 PC 인지)를, 통신 신호 중에 포함되는 데이터에 의해 파악하고 있다. 즉, 서버는 수신자 A와의 통신 중에, 수신자 A가 사용하고 있는 장치가 휴대 전화인 것을 나타내는 기기 종류별 정보를 휴대 전화로부터 수신하고 있고, 수신자 B와의 통신중에는, 수신자 B가 사용하고 있는 장치가 PC인 것을 나타내는 기기 종류별 정보를 PC로부터 수신하고 있다.
서버는, 수신자 A로부터 특정의 화상 데이터의 송신 요구를 받으면, 그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요구된 화상 데이터를 송신한다. 그 때, 휴대 전화의 표시 영역은 일반적으로 작기 때문에, 송신해야 할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본 발명에 의한 선명도 처리를 실시하고 나서 송신한다. 수신자 A의 휴대 전화는, 서버로부터 수신한 화상 데이터를 그대로 휴대 전화의 표시부상에 표시하기 때문에, 표시 영역이 비교적 작은 휴대 전화의 표시부상에서도 선명도 처리에 의해 화상이 효과적으로 첨예화된 화상이 표시된다.
서버는, 수신자 B로부터 특정의 화상 데이터의 송신 요구를 받으면, 그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요구된 화상 데이터를 송신한다. 그 때, PC의 표시 영역은 일 반적으로 비교적 크기 때문에, 송신해야 할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본 발명에 의한 선명도 처리를 실시하지 않고서 송신한다. 수신자 B의 PC는, 서버로부터 수신한 화상 데이터를 그대로 휴대 전화의 표시부상에 표시하기 때문에, 표시 영역이 비교적 큰 휴대 전화의 표시부상에는 적절한 선명도 처리가 된 화상이 표시된다.
또, 휴대 전화 및 PC로부터 서버가 수신할 수 있는 기기 종류별 정보에, 휴대 전화나 PC 등의 화상 표시 영역의 크기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에는, 서버 장치는, 그 화상 표시 영역의 크기에 따라서, 송신해야 할 화상 데이터에 본 발명의 선명도 처리를 적용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다음에, 도 11(b)를 참조하여 제 2 응용예를 설명한다. 제 2 응용예는, 본 발명의 선명도 처리를 컬러 프린트에 의한 화상의 프린트 출력에 응용한 것이다. 프린터는 외부의 PC 등으로부터 프린트 지시 및 프린트 데이터의 공급을 받는다. 프린트 지시에는, 프린트해야 할 화상 데이터의 크기를 나타내는 프린트 크기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프린터는 프린트 크기 정보를 참조하여, 소정의 프린트 크기보다도 큰 프린트를 행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에 의한 선명도 처리를 행하지 않고서 프린트 데이터를 프린트한다. 한편, 프린트 지시에 포함되는 프린트 크기 정보가 소정의 프린트 크기보다도 작은 프린트 크기를 지정하고 있는 경우에는, 본 발명에 의한 선명도 처리를 적용한 후의 프린트 데이터를 프린트한다. 이것에 의해, 프린트 데이터의 크기가 작은 경우에는, 본 발명의 선명도 처리에 의해 첨예화를 행한 화상 데이터가 프린트되기 때문에, 프린트 크기가 작은 경우라도 명료한 화상을 프린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선명도 처리를 적절히 실시하는 것에 의해, 자연스럽게 화상의 첨예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11)

  1. 원(元)화상 데이터의 레벨 변화의 정도를 검출하고, 검출한 레벨 변화의 정도에 근거하여, 선명도(sharpness) 처리에 의한 보정의 기준량을 나타내는 보정 기준량 데이터를 생성하는 보정 기준량 결정 수단과,
    상기 보정 기준량 데이터에 근거하여, 미리 정해진 보정량 결정 패턴에 따라서 보정량을 연산하는 보정량 연산 수단과,
    상기 보정량에 따라 상기 원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선명도 처리를 실시하여 보정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선명도 처리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보정량 결정 패턴은, 상기 보정 기준량의 크기에 따라 상기 보정량이 변화되는 특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량 결정 패턴은, 상기 보정 기준량이 정(正)의 값인 경우의 상기 보정량의 변화 비율과, 상기 보정 기준량이 부(負)의 값인 경우의 상기 보정량의 변화 비율이 서로 다른 특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량 결정 패턴은, 상기 원화상 데이터의 백색 성분이 증가하도록 상기 보정 기준량이 변화되는 경우의 상기 보정량의 변화 비율이, 상기 원화상 데이터의 흑색 성분이 증가하도록 상기 보정 기준량이 변화되는 경우의 상기 보정량의 변화 비율보다도 작게 되는 특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량 결정 패턴은, 상기 보정 기준량의 절대값이 제 1 소정값 이상인 경우의 상기 보정값의 변화 비율이, 상기 보정 기준량의 절대값이 제 1 소정값 이하인 경우의 상기 보정량의 변화 비율보다 작게 되는 특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량 결정 패턴은, 상기 보정 기준량이, 극성이 부(負)인 제 2 소정값으로부터 극성이 정(正)인 제 3 소정값의 범위내에 있는 경우에, 상기 보정량을 영(零)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 기준량이, 극성이 부(負)인 제 2 소정값으로부터 극성이 정(正)인 제 3 소정값의 범위내에 있는 경우에, 상기 원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평활화(smoothing) 처리를 행하는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화상 데이터를 So로 하고, 상기 보정 기준량 데이터를 Sr로 하며, 상기 보정 화상 데이터를 Sc라고 하면,
    상기 보정량은 F(Sr)로 표시되는 상기 보정 기준량 데이터의 함수이며,
    상기 보정 화상 데이터 Sc는, Sc= So + F(Sr)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량 결정 패턴은, 특정의 제 1 보정 기준량(P)에 대한 상기 보정량 F(P)와, 상기 제 1 보정 기준량 P와 절대값이 같고 극성이 다른 제 2 보정 기준량(-P)에 대한 상기 보정량 F(-P)와의 관계가, 상기 보정 기준량 P가 충분히 클 때에,
    |F(P)| < |F(-P)|
    로 되는 특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 기준량 데이터는, 상기 원화상 데이터의 라플라시안(Laplacia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 기준량 데이터는, 상기 원화상 데이터를 소정의 언샤프(unsharp) 필터에 의해 필터링하여 얻어지는 언샤프 데이터를, 상기 원화상 데이터로부터 감산하여 얻어지는 차(差)신호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11. 청구항 1에 기재된 화상 처리 장치와,
    상기 화상 데이터를 출력할 때의 화상 크기를 판정하는 화상 크기 판정 수단과,
    상기 화상 크기 판정 수단에 의해 판정된 화상 크기가, 소정의 화상 크기보다 작은 경우에, 상기 화상 처리 장치에 의해 상기 원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선명도 처리를 실행하는 제어 수단과,
    상기 원화상 데이터 또는 상기 선명도 처리에 의해 얻어진 보정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출력 장치.
KR1020030017959A 2002-03-22 2003-03-22 화상 처리 장치 및 화상 출력 장치 KR1006855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081065 2002-03-22
JP2002081065A JP4126938B2 (ja) 2002-03-22 2002-03-22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出力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6452A KR20030076452A (ko) 2003-09-26
KR100685568B1 true KR100685568B1 (ko) 2007-02-22

Family

ID=27785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7959A KR100685568B1 (ko) 2002-03-22 2003-03-22 화상 처리 장치 및 화상 출력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215822B2 (ko)
EP (1) EP1347634A3 (ko)
JP (1) JP4126938B2 (ko)
KR (1) KR100685568B1 (ko)
CN (1) CN1221124C (ko)
TW (1) TWI22354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2940B1 (ko) * 2021-06-23 2021-12-27 주식회사 포바이포 선예도 개선을 위한 심층 기울기 사전정보기반 l0 스무딩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7661B1 (ko) * 2004-01-02 2006-08-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JP4127537B2 (ja) * 2004-02-04 2008-07-3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処理方法および装置並びにプログラム
JP4387220B2 (ja) * 2004-02-24 2009-12-1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映像表示方法及びその装置
JP4549723B2 (ja) * 2004-04-19 2010-09-22 株式会社メガチップス 画像信号強調装置
CN101685535B (zh) * 2004-06-09 2011-09-28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图象处理方法
CN100414961C (zh) * 2005-02-23 2008-08-27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影像处理方法
CN102984448B (zh) 2005-03-07 2016-05-25 德克索实验室 利用颜色数字图像对动作如锐度修改进行控制的方法
US7567251B2 (en) * 2006-01-10 2009-07-28 Sony Corporation Techniques for creating facial animation using a face mesh
KR100816187B1 (ko) 2006-11-21 2008-03-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것의 영상 처리 방법
CN101316320B (zh) * 2007-05-28 2010-06-23 联詠科技股份有限公司 用于图像处理系统的图像处理方法及其相关图像处理装置
TW200939154A (en) * 2008-03-14 2009-09-16 Holtek Semiconductor Inc An edge extraction and enhancement
JP4764938B2 (ja) * 2009-04-07 2011-09-07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形成装置、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2018061187A (ja) * 2016-10-07 2018-04-1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95669A (ja) 1984-10-16 1986-05-14 Dainippon Screen Mfg Co Ltd 画像処理方法
JP2510687B2 (ja) * 1987-08-13 1996-06-26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高速欠陥検出方法および装置
JP2575476B2 (ja) 1988-10-20 1997-01-22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信号処理方法およびその装置
US5267031A (en) * 1988-11-14 1993-11-30 Canon Kabushiki Kaisha Color image processing apparatus
JP2620368B2 (ja) 1989-04-18 1997-06-11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信号処理方法およびその装置
DE3919817C2 (de) 1989-06-16 1996-03-28 Broadcast Television Syst Schaltungsanordnung zur digitalen Aperturkorrektur eines Videosignals
US5146319A (en) 1989-07-13 1992-09-08 Zenith Electronics Corporation Digital luminance signal transient improver and peaker
JPH0662230A (ja) 1992-08-10 1994-03-04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H0696201A (ja) 1992-09-09 1994-04-08 Fuji Photo Film Co Ltd 画像処理装置
US5493322A (en) * 1993-04-01 1996-02-20 Eastman Kodak Company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non-uniformity correction of recording elements
JPH089135A (ja) 1994-06-14 1996-01-12 Minolta Co Ltd プリンタ
US5612903A (en) * 1995-02-01 1997-03-18 Miller; Bertram W. Process for obtaining balanced color prints
US5767983A (en) * 1995-03-24 1998-06-16 Fuji Photo Film Co., Ltd. Color copying apparatus for determining exposure amount from image data of an original image and a reference image
JP3494764B2 (ja) * 1995-08-09 2004-02-09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データの補間演算方法および装置
JPH09172547A (ja) * 1995-10-19 1997-06-30 Ricoh Co Ltd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H1028225A (ja) 1996-07-12 1998-01-27 Ricoh Co Ltd Mtf補正装置
JP3779400B2 (ja) * 1996-11-28 2006-05-24 株式会社東芝 画像処理方法
US6633330B1 (en) * 1996-12-24 2003-10-14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Color characteristic measuring apparatus and method, and storage medium of image pickup data
JPH10285610A (ja) * 1997-04-01 1998-10-23 Sony Corp 色補正装置および色補正制御装置
US6172718B1 (en) 1998-04-17 2001-01-09 S3 Incorporated Adaptive dynamic aperture correction
US6646655B1 (en) * 1999-03-09 2003-11-11 Webex Communications, Inc. Extracting a time-sequence of slides from video
JP3661584B2 (ja) * 2000-01-28 2005-06-1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画像処理回路、画像データ補正方法、および、電子機器
JP2001224040A (ja) * 2000-02-08 2001-08-17 Oki Electric Ind Co Ltd 輝度及び色差分離回路
JP3363872B2 (ja) * 2000-06-23 2003-01-08 株式会社東京機械製作所 切断見当及び印刷見当自動調整機能を有する同期制御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2940B1 (ko) * 2021-06-23 2021-12-27 주식회사 포바이포 선예도 개선을 위한 심층 기울기 사전정보기반 l0 스무딩 방법
WO2022270854A1 (ko) * 2021-06-23 2022-12-29 주식회사 포바이포 선예도 개선을 위한 심층 기울기 사전정보기반 l0 스무딩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347634A3 (en) 2005-01-19
JP4126938B2 (ja) 2008-07-30
EP1347634A2 (en) 2003-09-24
CN1221124C (zh) 2005-09-28
US7215822B2 (en) 2007-05-08
JP2003281533A (ja) 2003-10-03
TW200307452A (en) 2003-12-01
CN1447585A (zh) 2003-10-08
US20030179946A1 (en) 2003-09-25
KR20030076452A (ko) 2003-09-26
TWI223548B (en) 2004-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5568B1 (ko) 화상 처리 장치 및 화상 출력 장치
JP3767732B2 (ja) 適応的誤差拡散方法および画像処理装置
EP1130896A2 (e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image processing apparatus
JP2005506724A (ja) デジタル画像の外観向上および圧縮性改善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3545979B2 (ja) 輪郭補正装置
JP2005269639A (ja) カラー画像−グレースケール画像変換方法及びシステム、グレースケール画像、カラー−グレースケール変換改善方法、及び、エッジ強調方法
JP4099936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が格納された記録媒体
EP1058209A2 (en) A method for enhancing the edge contrast of a digital image
JP4262151B2 (ja) 画像処理方法および画像処理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JP3581270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US7194142B2 (en) Selective thickening of dark features by biased sharpening filters
EP2315431A1 (en) Image signal processing device and image display device
JP2008011286A (ja) 画像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画像処理装置
JP4138345B2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出力装置
JP2003281534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出力装置
JP4120928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KR101514152B1 (ko) 특이값 분해를 이용한 화질 개선 방법 및 장치
JP4375223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2023063871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03204441A (ja) 画像処理方法および装置並びにプログラム
KR20160103213A (ko) 레티넥스 기법을 이용한 고속의 영상처리방법
JP4239254B2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JPH11355580A (ja) Mtf補正回路および画像処理装置
KR20160103212A (ko) 레티넥스 기법을 이용한 고속의 영상처리장치
JP2005109871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50916

Effective date: 20061129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6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