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5236B1 - 투영장치, 투영방법 및 투영방법을 기록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투영장치, 투영방법 및 투영방법을 기록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5236B1
KR100685236B1 KR1020050001436A KR20050001436A KR100685236B1 KR 100685236 B1 KR100685236 B1 KR 100685236B1 KR 1020050001436 A KR1020050001436 A KR 1020050001436A KR 20050001436 A KR20050001436 A KR 20050001436A KR 100685236 B1 KR100685236 B1 KR 1006852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cusing
trapezoidal correction
projection
image
instr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1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73403A (ko
Inventor
아쿠츠다카시
Original Assignee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73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34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52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52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79Video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9/3185Geometric adjustment, e.g. keystone or converge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3/00Book covers
    • B42D3/18Other accessor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142Adjusting of projection optic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147Optical correction of image distortions, e.g. keyston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02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moving lens along baseboar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02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using two-dimensional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4N9/317Convergence or focus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PINDEXING SCHEME RELATING TO BOOKS, FILING APPLIANCES OR THE LIKE
    • B42P2241/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books or filing appliances
    • B42P2241/10Means for suspend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 Automatic Focus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영화상의 자동초점맞춤기능을 갖는 투영장치, 투영방법 및 투영방법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입력되는 화상신호에 따른 화상을 투영하는 공간적 광변조소자(SOM)(27) 및 투영렌즈(12)를 포함한 투영계와, 화상투영면 속의 복수위치에 대한 각 거리를 측정하는 위상차센서(131, 132) 및 거리측정처리부(34)와, 사다리꼴보정 및 초점맞춤의 1회만의 실행을 지시하는 「원쇼트AFK」키(18d) 및 연속한 실행을 지시하는 「컨티니어스AFK」키(18e)를 설치한 키/인디케이터부(18)와, 얻은 각 거리에 의거하여 투영화상이 적정한 애스펙트비의 직사각형으로 되도록 SOM(27)으로 형성하는 광형상의 사다리꼴보정을 실시하고, 사다리꼴보정한 화상 속의 임의위치에서 투영렌즈(12)를 초점맞춤시키며, 상기 키(18d, 18e)에서의 지시에 대응하여 사다리꼴보정 및 초점맞춤의 실행횟수를 제어하는 제어부(3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광변조소자, 투영렌즈, 위상차센서, 거리측정처리부, 키/인디케이터부, 제어부

Description

투영장치, 투영방법 및 투영방법을 기록한 기록매체{PROJECTION DEVICE, PROJECTION METHOD, AND RECORDED MEDIA RECORDING THE PROJECTION METHO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한 형태에 관련되는 프로젝터장치의 외관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동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키/인디케이터부의 구체적인 배치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동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프로젝터장치의 전자회로의 기능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동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원쇼트AFK」키조작에 동반하는 처리내용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5는 동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컨티니어스AFK)」키조작에 동반하는 일련의 처리내용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프로젝터장치 11: 본체케이싱
12: 투영렌즈 131, 132: 위상차센서
14: 전면커버 15: 축광링
16, 35: Ir수신부 17: 슬라이드바
18: 키/인디케이터부 18d: 「원쇼트AFK」
18e: 「컨티니어스AFK」 19: 스피커
21: 입출력커넥터부 22: 입출력인터페이스(I/F)
23: 화상변환부 24: 표시엔코더
25: 비디오RAM 26: 표시구동부
27: 공간적 광변조소자(SOM) 28: 광원램프
29: 렌즈모터(M) 30: 제어부
31: 화상기억부 32: 음성처리부
33: 가속도센서 34: 거리측정처리부
SB: 시스템버스
본 발명은 투영화상의 자동초점맞춤기능을 갖는 투영장치, 투영방법 및 투영방법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 포터블형 프로젝터에 있어서의 표시시에는 각종 조정이 필요하게 된다. 그래서 예를 들면 특개2000-241874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장치내에 모니터카메라를 설치하고, 투사화면을 모니터함으로써 표시에 필요한 각종 조정을 자동적으로 실시하고자 하는 포터블형 프로젝터가 생각되고 있다.
그러나 특개2000-241874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포터블형 프로젝터는 모니 터카메라에서의 촬영에 의해 얻은 화상데이터에 대하여 처리를 실시하고, 초점맞춤동작 및 사다리꼴변형의 조정동작을 각각 개별로 실행한다. 이 때문에 조정 전체에 요하는 시간이 길어져 버린다는 문제가 있다.
덧붙여서 그 구체적인 조정동작은 투사렌즈광학계의 방향이나 앙부각(仰俯角)을 변화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프로젝터의 케이스내에 광학적인 「렌즈앞초점맞춤」기구를 갖는 렌즈계의 구조가 필요하게 되는 등 장치가 대형이고, 복잡해져 버린다는 불합리가 있다.
그런데 최근에는 전자적인 조정기능을 구비한 포터블형 프로젝터도 생각되고 있다. 이 포터블형 프로젝터에서는 우선 PSD(Position Sensitive Detector)센서를 이용한 거리측정수단으로 프로젝터와 투영면의 사이의 거리와 투광축에 대한 경사를 검출한다. 그리고 그들의 검출결과에 따라서 초점맞춤위치를 얻는 동시에, 검출한 경사에 대응하여 미리 역방향으로 변형을 발생시킨 광형상을 형성해서 투영한다. 이들 결과에 의거하여 실제로 투영되는 화상이 정규의 애스펙트비의 직사각형으로 되도록 보상함으로써 조정을 실시한다.
이와 같은 포터블형 프로젝터는 보다 간단하고, 또한 신속하게 각종 조정을 실행할 수 있다. 그러나 그 반면 이 포터블형 프로젝터에서는 약간 정밀도는 나빠도 각종 조정을 즉시 종료하여 실제의 투영동작으로 이행하고 싶은 경우와 차분히 각종 조정을 실행하여 정확한 초점맞춤 및 사다리꼴보정의 상태를 얻고나서 실제의 투영동작으로 이행하고 싶은 경우에서 상세한 동작메뉴항목의 선택 및 설정 등이라는 필요한 지시조작의 형태가 다르다. 이 때문에 사용자의 의도대로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복잡한 지시조작을 실시하지 않으면 안되어서 사용자의 의도를 반영시키기 어려운 것으로 되어 있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의 하나는, 입력되는 화상신호에 따른 화상을 투영하는 투영부와, 상기 투영부에 의한 화상투영면 속의 복수위치에 대한 각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측정처리부와, 이 거리측정처리부에서 얻은 각 거리에 의거하여 투영화상이 적정한 애스펙트비의 직사각형으로 되도록 상기 투영부가 투영하는 화상의 사다리꼴보정을 실시하는 사다리꼴보정부와, 이 사다리꼴보정부에서 사다리꼴보정한 화상 속의 임의위치에서 상기 투영부가 투영하는 화상을 초점맞춤시키는 초점맞춤제어부와, 사다리꼴보정 및 초점맞춤의 1회만의 실행을 지시하는 제 1 지시부와, 사다리꼴보정 및 초점맞춤의 연속한 실행을 지시하는 제 2 지시부와, 상기 제 1 또는 제 2 지시부에서의 지시에 대응하여 상기 거리측정처리부, 사다리꼴보정부 및 초점맞춤제어부에 의한 사다리꼴보정 및 초점맞춤의 실행횟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투영장치이다.
또한 입력되는 화상신호에 따른 화상을 투영하는 투영공정과, 상기 투영공정에서의 화상투영면 속의 복수위치에 대한 각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측정처리공정과, 이 거리측정처리공정에서 얻은 각 거리에 의거하여 투영화상이 적정한 애스펙트비의 직사각형으로 되도록 상기 투영공정에서 투영하는 화상의 사다리꼴보정을 실시하는 사다리꼴보정공정과, 이 사다리꼴보정공정에서 사다리꼴보정한 화상 속의 임의위치에서 상기 투영공정에서 투영하는 화상을 초점맞춤시키는 초점맞춤제어공정 과, 사다리꼴보정 및 초점맞춤의 1회만의 실행을 지시하는 제 1 지시공정과, 사다리꼴보정 및 초점맞춤의 연속한 실행을 지시하는 제 2 지시공정과, 상기 제 1 또는 제 2 지시공정에서의 지시에 대응하여 상기 거리측정처리공정, 사다리꼴보정공정 및 초점맞춤제어공정에 의한 사다리꼴보정 및 초점맞춤의 실행횟수를 제어하는 제어공정으로 이루어지는 투영방법이다.
또한 입력되는 화상신호에 따른 화상을 투영하는 투영스텝과, 상기 투영스텝에서의 화상투영면 속의 복수위치에 대한 각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측정처리스텝과, 이 거리측정처리스텝에서 얻은 각 거리에 의거하여 투영화상이 적정한 애스펙트비의 직사각형으로 되도록 상기 투영렌즈에서 투영하는 화상의 사다리꼴보정을 실시하는 사다리꼴보정스텝과, 이 사다리꼴보정스텝에서 사다리꼴보정한 화상 속의 임의위치에서 상기 투영스텝에서 투영하는 화상을 초점맞춤시키는 초점맞춤제어스텝과, 사다리꼴보정 및 초점맞춤의 1회만의 실행을 지시하는 제 1 지시스텝과, 사다리꼴보정 및 초점맞춤의 연속한 실행을 지시하는 제 2 지시스텝과, 상기 제 1 또는 제 2 지시스텝에서의 지시에 대응하여 상기 거리측정처리스텝, 사다리꼴보정스텝 및 초점맞춤제어스텝에 의한 사다리꼴보정 및 초점맞춤의 실행횟수를 제어하는 제어스텝으로 이루어지는 투영방법을 기록한 기록매체이다.
이하 본 발명을 프로젝터장치에 적용한 경우의 실시의 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프로젝터장치(10)의 외관구성을 나타내는 것 이다. 동일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로젝터장치(10)에서는 직방체상의 본체케이싱(11)의 전면에 투영렌즈(12), 두쌍의 위상차센서(131, 132), 전면커버(14)가 설치된다.
투영렌즈(12)(투영부)는 후술하는 마이크로미러소자 등의 공간적 광변조소자(SOM)(27)(투영부)로 형성된 광형상을 투영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에서 투영렌즈(12)는 초점맞춤위치 및 줌위치(투영화각)를 임의로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
위상차센서(131, 132)는 각각 피사체상에 대한 시차로부터 삼각거리측정의 원리에 의거하여 피사체까지의 거리(구체적으로는 투영화상면까지의 거리)를 측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세로로 배치된 한쌍의 위상차센서(131)는 세로방향의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측정한다. 가로로 배치된 또 한쌍의 위상차센서(132)는 가로방향의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측정한다.
전면커버(14)는 이 프로젝터장치(10)의 투영동작시 이외, 특히 휴대시에 상기 투영렌즈(12)와 위상차센서(131, 132)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전면커버(14)는 도면 중에 화살표 A, B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그 표면측에는 축광링(15), Ir수신부(16) 및 슬라이드바(17)가 설치된다.
축광링(15)은 반투명상의 축광소재를 포함한 수지제 링을 전면커버(14)에 매설하여 형성된 것이다. 이 축광링(15)이 있는 것에 의해 전면커버(14)를 닫고 상기 투영렌즈(12) 등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는 상태에서도 프로젝터장치(10)의 광원의 램프가 ON되어 투영렌즈(12)로부터 빛이 방사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할 수 있다. 그 한편으로 상기한 축광소재를 이용하고 있는 것에 의해 광원의 램프가 OFF된 후도 미광을 발하기 때문에 어둑어둑한 환경하에서도 그 위치를 알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축광링(15)은 평탄한 전면커버(14)의 디자인상의 액센트로도 되는 것이다.
Ir수신부(16)는 프로젝터장치(10)의 도시하지 않는 리모트컨트롤러로부터의 키조작신호가 중첩된 적외광을 수신한다.
슬라이드바(17)는 전면커버(14)에 매설되어 있으며, 예를 들면 도금처리한 스테인레스강으로 이루어지는 띠상의 돌기이다. 슬라이드바(17)는 전면커버(14)를 상기 화살표 A, B방향으로 슬라이드조작하는 경우의 단서로 된다. 그 한편으로 슬라이드바(17)는 상기 축광링(15)과 마찬가지로 평탄한 전면커버(14)의 디자인상의 액센트로도 되는 것이다.
또 본체케이싱(11)의 상면에는 키/인디케이터부(18) 및 스피커(19)가 설치된다.
키/인디케이터부(18)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스피커(19)는 동화상의 재생시 등에 재생되는 음성을 확성하여 출력한다.
또한 여기에서는 도시하지 않지만, 본체케이싱(11)의 배면에는 입출력커넥터부(21)나 상기 Ir수신부(16)와 똑같은 Ir수신부(35) 및 AC어댑터접속부 등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체케이싱(11)의 하면에는, 그 배면측에 한쌍의 고정다리부가 부착되는 동시에, 전면측에 높이조절이 가능한 1개의 조정다리부가 부착된다.
다음으로 도 2에 의해 상기 키/인디케이터부(18)의 상세한 배치구성을 예시 한다. 도시와 같이, 키/인디케이터부(18)는 전원(power)키(18a), 줌(Zoom)키(18b), 포커스(Focus)키(18c), 「원쇼트AFK」키(18d), 「컨티니어스AFK」키(18e), 「Input」키(18f), 「Auto」키(18g), 「menu」키(18h), 「HELP」키(18i), 「Esc」키(18j), 「업(↑)」키(18k), 「다운(↓)」키(18l), 「레프트(←)」키(18m), 「라이트(→)」키(18n) 및 「Enter」키(18o)와, 전원/대기(power/standby)인디케이터(18p) 및 온도(TEMP)인디케이터(18q)를 구비한다.
전원키(18a)는 전원의 ON/OFF를 지시하기 위한 키이다.
줌키(18b)는 「△」「▽」의 조작에 의해 줌업(tele) 및 줌다운(wide)을 지시하기 위한 키이다.
포커스키(18c)는 「△」「▽」의 조작에 의해 초점맞춤위치의 전방향 및 후방향으로의 이동을 지시하기 위한 키이다.
「원쇼트AFK」키(18d)(제 1 지시부)는 자동초점맞춤(Automatic Focus)과 자동사다리꼴보정(Automatic Keystone correction)의 1회만의 즉시실행을 지시하기 위한 키이다.
「컨티니어스AFK」키(18e)(제 2 지시부)는 자동초점맞춤과 자동사다리꼴보정의 연속한 실행의 개시와 종료를 지시하기 위한 키이다.
「Input」키(18f)는 상기 입출력커넥터부의 어느 쪽인가에 입력되는 화상신호의 수동전환을 지시하기 위한 키이다. 「Auto」키(18g)는 동 입출력커넥터부의 어느 쪽인가에 입력되는 화상신호의 자동전환을 지시하기 위한 키이다.
「menu」키(18h)는 투영동작에 관한 각종 메뉴항목의 표시를 지시하기 위한 키이다.
「Help」키(18i)는 지시조작이 불명확한 경우의 각종 헬프정보의 표시를 지시하기 위한 키이며, 「Esc」키(18j)는 그 시점에서의 조작의 해제를 지시하기 위한 키이다.
「업」키(18k), 「다운」키(18l), 「레프트」키(18m) 및 「라이트」키(18n)는 메뉴항목이나 수동사다리꼴보정방향, 포인터나 커서 등에 대하여, 그 시점에서 선택 또는 이동방향을 지시하는 경우에 따라서 조작하는 키이다.
전원/대기인디케이터(18p)는 전원의 ON/OFF상태와 화상신호의 입력이 없는 상태를 예를 들면 녹색과 적색의 LED의 점등/소등 또는 점멸에 의해 표시한다.
온도인디케이터(18q)는 화상투영의 광원으로 되는 램프의 온도가 투영에 적합한 상태로 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예를 들면 녹색과 적색의 LED의 점등/소등 또는 점멸에 의해 표시한다.
계속해서 도 3을 이용하여 상기 프로젝터장치(10)의 전자회로의 기능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면 중 입출력커넥터부(21)로부터 입력된 각종 규격의 화상신호가 입출력인터페이스(I/F)(22), 시스템버스(SB)를 통하여 화상변환부(23)에 보내어지고, 그 곳에서 소정의 포맷의 화상신호로 통일된다. 그 후 화상신호는 표시엔코더(24)에 보내어진다.
표시엔코더(24)는 보내어져 온 화상신호를 비디오RAM(25)에 전개하여 기억시킨다. 그리고 표시엔코더(24)는 이 비디오RAM(25)의 기억내용으로부터 비디오신호를 생성하고, 표시구동부(26)에 출력한다.
이 표시구동부(26)는 보내어져 온 화상신호에 대응하여 적절히 프레임레이트를 변경하고, 예를 들면 30[프레임/초]에서 공간적 광변조소자(SOM)(27)를 표시구동한다. 그리고 표시구동부(26)는 이 공간적 광변조소자(SOM)(27)에 대하여 예를 들면 초고압수은등 등의 광원램프(28)가 출사하는 고휘도의 백색광을 조사한다. 이에 따라 그 반사광으로 광형상이 형성되고, 상기 투영렌즈(12)를 통하여 도시하지 않는 스크린에 투영표시된다.
상기 투영렌즈(12)는 렌즈모터(M)(29)에 구동되는 것으로, 줌위치 및 포커스위치를 적절히 이동한다.
상기 각 회로의 모든 동작제어를 담당하는 것이 제어부(30)이다. 이 제어부(30)는 CPU(301)와, 후술하는 자동초점맞춤을 실시하는 초점맞춤제어부(305) 및 자동사다리꼴보정의 처리를 실시하는 사다리꼴보정부(304)와, 프리뷰화상을 투영시키는 프리뷰화상제어부(306)와, CPU(301)에서 실행되는 동작프로그램을 고정적으로 기억한 ROM(302) 및 워크메모리로서 사용되는 RAM(303)에 의해 구성된다.
이 제어부(30)에는 또 시스템버스(SB)를 통하여 화상기억부(31), 음성처리부(32), 가속도센서(33) 및 거리측정처리부(34)가 접속된다.
화상기억부(31)는 예를 들면 플래시메모리 등으로 구성되고, 챠트화상(가로챠트화상 및 세로챠트화상)이나 프리뷰화상 등의 화상데이터를 기억한다. 제어부(30)는 화상기억부(31)에 기억된 화상데이터를 적절히 읽어내어서 상기 표시엔코더(24)에 송출하고, 그들 화상을 투영렌즈(12)에 의해 투영표시시킨다.
음성처리부(32)는 PCM음원 등의 음원회로를 구비하고 있다. 음성처리부(32) 는 투영표시동작시에 주어지는 음성데이터를 아날로그화하고, 상기 스피커(19)를 구동하며, 확성해서 방음(放音)시킨다.
가속도센서(33)는 이 프로젝터장치(10)가 설치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이동된 경우에, 그 이동에 의한 진동을 검지하고, 검지신호를 제어부(30)에 출력한다.
거리측정처리부(34)는 상기 위상차센서(131, 132)를 각각 구동하고, 투영표시된 챠트화상 속의 임의의 포인트위치까지의 거리를 측정한다.
또한 상기 키/인디케이터부(18)에 있어서의 키조작신호는 직접 제어부(30)에 입력되고, 제어부(30)는 상기 키/인디케이터부(18)의 전원/대기인디케이터(18p) 및 온도인디케이터(18q)를 직접 점등/점멸구동한다. 한편으로 상기 슬라이드바(17)에 설치된 Ir수신부(16) 및 본체케이싱(11)의 배면측에 설치되는 Ir수신부(35)에서의 적외광수신신호도 직접 제어부(30)에 입력된다.
다음으로 상기 실시형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전원이 ON되어 있는 상태에서 키/인디케이터부(18)의 「원쇼트AFK」키(18d)의 조작에 의해 강제적으로 실행되는 인터럽트처리로서의 자동초점맞춤 및 자동사다리꼴보정의 처리내용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제어부(30)는 이 처리를 내부의 ROM에 기억되어 있는 동작프로그램에 의거하여 제어 및 실행한다.
우선 제어부(30)는 이미 「원쇼트AFK」키(18d)가 조작되어 1회만의 자동초점맞춤 및 자동사다리꼴보정의 처리가 실행 중인 것을 나타내는 원쇼트플래그가 ON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스텝A01).
여기에서 제어부(30)는 해당 원쇼트플래그가 OFF라고 판단하면(스텝A01: No), 계속해서 「컨티니어스AFK」키(18e)가 조작되어 연속한 자동초점맞춤 및 자동사다리꼴보정의 처리가 실행 중인 것을 나타내는 컨티니어스플래그가 ON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스텝A02).
여기에서 컨티니어스플래그가 ON이라고 판단한 경우(스텝A02: Yes)에만 제어부(30)는 그 컨티니어스플래그를 OFF로 다시 설정하고, 그 이전에 조작된 「컨티니어스AFK」키(18e)의 조작을 무효로 한다(스텝A03).
그 후 제어부(30)는 다시 원쇼트플래그를 ON으로 설정한 후에(스텝A04), 화상기억부(31)로부터 챠트화상의 화상데이터를 읽어내어서 투영표시시킨다. 그리고 그 표시된 챠트화상에 대응하여 상기 위상차센서(131, 132)에서 챠트화상을 구성하는 복수의 포인트위치까지의 거리를 거리측정시킨다(스텝A05).
이어서 제어부(30)는 이들 거리측정데이터에 의거하여 기준으로 되는 포인트위치까지의 거리와 투영면의 경사를 산출한다. 그리고 그 산출결과에 의거하여 자동초점맞춤처리 및 자동사다리꼴보정처리(도면에서는 종합하여 「AFK처리」라 부른다)를 실행한다(스텝A06).
제어부(30)는 이렇게 하여 1회만의 자동초점맞춤처리 및 자동사다리꼴보정처리를 실행한 시점에서 상기 「원쇼트AFK」키(18d)의 조작에 대응한 처리를 중단하고(스텝A07). 아울러서 상기 원쇼트플래그를 OFF로 설정한다(스텝A08). 이상으로 이 도 4의 「원쇼트AFK」키(18d)조작에 대응한 처리를 종료하고, 통상의 투영동작으로 복귀한다.
또 상기 스텝A01에서 이미 원쇼트플래그가 ON으로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스텝A01: Yes), 제어부(30)는 그 직전에 이미 「원쇼트AFK」키(18d)가 지시조작되고, 1회만의 자동초점맞춤처리 및 자동사다리꼴보정처리를 실행 중이며, 그 실행 중의 동작을 해제하기 위해 다시 「원쇼트AFK」키(18d)가 지시조작된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즉시 상기 스텝A07로 진행하여 「원쇼트AFK」키(18d)의 조작에 대응한 처리를 중단한다.
이와 같이 약간 정밀도는 나빠도 각종 조정을 즉시 종료하여 실제의 투영동작으로 이행하고 싶은 경우 등에는 「원쇼트AFK」키(18d)를 조작하는 것으로 1회만의 자동초점맞춤처리와 자동사다리꼴처리를 실행하여 조정을 실시한 후 통상의 투영동작으로 이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의 흐름도를 이용하여 전원이 ON되어 있는 상태로 키/인디케이터부(18)의 「컨티니어스AFK」키(18e)가 조작된 경우에 강제적으로 실행되는 인터럽트처리로서의 자동초점맞춤 및 자동사다리꼴보정의 일련의 처리내용을 설명한다. 이 도 5의 처리도 제어부(30)가 내부의 ROM에 기억되어 있는 동작프로그램에 의거하여 제어한다.
우선 제어부(30)는 이미 「원쇼트AFK」키(18d)가 조작되어 1회만의 자동초점맞춤 및 자동사다리꼴보정의 처리가 실행 중인 것을 나타내는 원쇼트플래그가 ON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스텝B01).
여기에서 해당 원쇼트플래그가 ON이라고 판단한 경우(스텝B01: Yes)에만 그 원쇼트플래그를 OFF로 다시 설정하여 그 전에 조작된 「원쇼트AFK」키(18d)의 조작을 무효로 한다. 그리고 실행 중인 1회만의 자동초점맞춤 및 자동사다리꼴보정의 처리를 중단시킨다(스텝B02).
그 후 제어부(30)는 다시 컨티니어스플래그를 ON으로 설정한 후에(스텝B03), 화상기억부(31)로부터 챠트화상의 화상데이터를 읽어내어서 투영표시킨다. 그리고 그 표시된 챠트화상에 대응하여 상기 위상차센서(131, 132)에서 챠트화상을 구성하는 복수의 포인트위치까지의 거리를 거리측정시킨다(스텝B04).
이어서 제어부(30)는 이들 거리측정데이터에 의거하여 기준으로 되는 포인트위치까지의 거리와 투영면의 경사를 산출한다. 그리고 그 산출결과에 의거하여 자동초점맞춤처리 및 자동사다리꼴보정처리(도면에서는 종합하여 「AFK처리」라 부른다)를 실행한다(스텝B05).
제어부(30)는 이렇게 하여 자동초점맞춤처리 및 자동사다리꼴보정처리를 실행한 후 얻어진 결과에 의거하여 화상기억부(31)로부터 상기 거리측정으로 사용한 것과는 별개의 소정의 화상데이터를 읽어낸다. 그리고 프리뷰화상으로서 일정시간 투영표시시킨다(스텝B06).
여기에서 화상기억부(31)로부터 읽어내는 화상데이터는 사용자가 초점맞춤상태 및 사다리꼴보정상태를 보다 시인(視認)하기 쉬운 것으로서 미리 준비해 두는 것이며, 화상의 사이즈(형상)를 사각테두리나 4모퉁이를 마크한 화상 등이다. 그 투영시간은 예를 들면 상기 스텝B04, B05의 자동초점맞춤 및 자동사다리꼴보정에 요하는 시간이 예를 들면 0. 5[초] 정도라고 하면 그보다도 약간 긴 1. 0∼2. 0[초] 정도로 한다.
제어부(30)는 이렇게 하여 사용자에게 초점맞춤상태 및 사다리꼴보정상태를 프리뷰화상의 투영에 의해 제시한 상태에서 재차의 「컨티니어스AFK」키(18e)의 조작이 있는지 없는지를 판단한다(스텝B07). 그리고 「컨티니어스AFK」키(18e)가 조작되지 않으면 재차 상기 스텝B04로부터의 처리로 되돌아가서 이번회의 자동초점맞춤 및 자동사다리꼴보정으로 얻은 결과를 참조하여 보다 정확한, 똑같은 동작을 반복한다.
이렇게 하여 스텝B04∼B07의 처리를 반복실행하고, 자동초점맞춤 및 자동사다리꼴보정의 정밀도를 서서히 올려 가면서 그 결과에 대응한 프리뷰화상을 수시로 투영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이 소망하고 있는 초점맞춤상태 및 사다리꼴보정상태로 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30)는 상기 스텝B07에서 2회째의 「컨티니어스AFK」키(18e)가 조작되었다고 판단한 시점에서(스텝B07: Yes), 연속한 자동초점맞춤 및 자동사다리꼴보정의 처리를 중단하고(스텝B08), 아울러서 상기 컨티니어스플래그를 OFF로 설정한다(스텝B09). 이상으로 이 도 5의 「컨티니어스AFK」키(18e)조작에 대응한 처리를 종료하고, 통상의 투영동작으로 복귀한다.
이와 같이 「컨티니어스AFK」키(18e)를 조작함으로써 어느 정도의 시간을 들여서 자동초점맞춤과 자동사다리꼴보정의 처리를 연속하여 실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확한 초점맞춤 및 사다리꼴보정의 상태를 얻고나서 실제의 투영동작으로 이행하고 싶은 경우 그것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키/인디케이터부(18)의 「원쇼트AFK」키(18d)와 「컨티니어스AFK」키(18e)를 필요에 따라 구분하여 조작하는 것으로, 그 시점에서 사용자가 필요로 하고 있는 의도를 반영시킬 수 있다. 그리고 프로젝터장치(10)는 보다 간단하고, 또한 신속하게 투영화상의 자동초점맞춤 및 자동사다리꼴보정을 실행하여 투영환경에 좌우되지 않고 화상을 정확하게 투영표시할 수 있다.
덧붙여서 프로젝터장치(10)는 미리 정해진 횟수의 처리를 연속하여 실행하는 것은 아니고, 「컨티니어스AFK」키(18e)의 1회째의 지시조작에 의해 사다리꼴보정과 초점맞춤의 실행을 개시하고나서 2회째에 「컨티니어스AFK」키(18e)에 의한 지시조작이 이루어지기까지의 사이 사다리꼴보정과 초점맞춤을 연속하여 실행한다. 이 때문에 사용자가 사다리꼴보정과 초점맞춤의 상태를 시인하고, 납득한 시점에서 상기 2회째의 지시조작을 실시함으로써 사용자는 확실하게 소망하는 사다리꼴보정과 초점맞춤의 상태를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판단하기 쉬운 프리뷰화상을 이용하여 투영하는 것으로 연속한 사다리꼴보정 및 초점맞춤을 실행하고 있는 도중에 사용자는 그 상태를 용이하게 시인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프로젝터장치(10)는 사용자가 적정하다고 판단한 시점에서 사다리꼴보정과 초점맞춤을 종료시킬 수 있고, 쓸 데 없이 사다리꼴보정과 초점맞춤의 동작을 속행하는 일 없이 계속되는 투영동작으로 이행할 수 있다.
또 상기 「원쇼트AFK」키(18d)의 조작에 의한 동작과 「컨티니어스AFK」키(18e)의 조작에 의한 동작은 서로 그 한쪽이 동작 중이어도 다른쪽의 키가 조작된 시점에서 그때까지의 동작을 즉시 중단하고, 새로이 조작된 키에 대응한 동작으로 이행하도록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언제든지 사용자의 키조작을 우선한 횟수로 사 다리꼴보정 및 초점맞춤의 실행을 개시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일련의 동작을 프로젝터장치(10)의 본체케이싱(11)에 구비된 키/인디케이터부(18)내의 「원쇼트AFK」키(18d)와 「컨티니어스AFK」키(18e)의 조작에 의하여 실시되는 동작으로서 설명했다. 그러나 도시하지 않는 리모트컨트롤러도 상기 키/인디케이터부(18)와 동등한 키를 갖고, 그들 키조작에 의해 Ir수신부(16, 35)에서 그 키조작신호를 수신함으로써 똑같은 동작을 실시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그 밖에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한 것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는 여러 가지 단계의 발명이 포함되어 있으며, 개시되는 복수의 구성요건에 있어서의 적절한 조합에 의해 여러 가지 발명이 추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실시형태에 나타내어지는 전체구성요건으로부터 몇 개인가의 구성요건이 삭제되어도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의 란에서 서술한 과제의 적어도 하나를 해결할 수 있는 경우에는 이 구성요건이 삭제된 구성이 발명으로서 추출될 수 있다.

Claims (14)

  1. 입력되는 화상신호에 따른 화상을 투영하는 투영부와,
    상기 투영부에 의한 화상투영면 속의 복수위치에 대한 각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측정처리부와,
    이 거리측정처리부에서 얻은 각 거리에 의거하여 투영화상이 적정한 애스펙트비의 직사각형으로 되도록 상기 투영부가 투영하는 화상의 사다리꼴보정을 실시하는 사다리꼴보정부와,
    이 사다리꼴보정부에서 사다리꼴보정한 화상 속의 임의위치에서 상기 투영부가 투영하는 화상을 초점맞춤시키는 초점맞춤제어부와,
    사다리꼴보정 및 초점맞춤의 1회만의 실행을 지시하는 제 1 지시부와,
    사다리꼴보정 및 초점맞춤의 연속한 실행을 지시하는 제 2 지시부와,
    상기 제 1 또는 제 2 지시부에서의 지시에 대응하여 상기 거리측정처리부, 사다리꼴보정부 및 초점맞춤제어부에 의한 사다리꼴보정 및 초점맞춤의 실행횟수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영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지시부는 사다리꼴보정 및 초점맞춤의 연속한 실행의 개시와 종료를 추가로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영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지시부의 한쪽의 지시에 대응하여 사다리꼴보정 및 초점맞춤을 실행시키고 있는 도중에 다른쪽의 지시가 이루어졌을 때에는 즉시 해당 다른쪽의 지시부에서의 지시에 대응한 횟수에 의거하여 사다리꼴보정 및 초점맞춤의 실행을 추가로 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영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지시부에서의 지시에 대응하여 상기 거리측정처리부, 사다리꼴보정부 및 초점맞춤제어부에 의한 사다리꼴보정 및 초점맞춤이 실행될 때마다 그 실행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투영부에 의해 소정의 화상을 일정시간씩 투영하는 프리뷰화상제어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영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측정처리부의 거리측정을 위해 투영하는 화상인 챠트화상을 기억한 화상기억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영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뷰화상제어부에 의해 투영되는 소정의 화상을 기억한 화상기억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영장치.
  7. 입력되는 화상신호에 따른 화상을 투영하는 투영공정과,
    상기 투영공정에서의 화상투영면 속의 복수위치에 대한 각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측정처리공정과,
    이 거리측정처리공정에서 얻은 각 거리에 의거하여 투영화상이 적정한 애스펙트비의 직사각형으로 되도록 상기 투영공정에서 투영하는 화상의 사다리꼴보정을 실시하는 사다리꼴보정공정과,
    이 사다리꼴보정공정에서 사다리꼴보정한 화상 속의 임의위치에서 상기 투영공정에서 투영하는 화상을 초점맞춤시키는 초점맞춤제어공정과,
    사다리꼴보정 및 초점맞춤의 1회만의 실행을 지시하는 제 1 지시공정과,
    사다리꼴보정 및 초점맞춤의 연속한 실행을 지시하는 제 2 지시공정과,
    상기 제 1 또는 제 2 지시공정에서의 지시에 대응하여 상기 거리측정처리공정, 사다리꼴보정공정 및 초점맞춤제어공정에 의한 사다리꼴보정 및 초점맞춤의 실행횟수를 제어하는 제어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영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지시공정은 사다리꼴보정 및 초점맞춤의 연속한 실행의 개시와 종료를 추가로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영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공정은 상기 제 1 및 제 2 지시공정의 한쪽의 지시에 대응하여 사 다리꼴보정 및 초점맞춤을 실행시키고 있는 도중에 다른쪽의 지시가 이루어졌을 때에는 즉시 해당 다른쪽의 지시공정에서의 지시에 대응한 횟수에 의거하여 사다리꼴보정 및 초점맞춤의 실행을 추가로 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영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지시공정에서의 지시에 대응하여 상기 거리측정처리공정, 사다리꼴보정공정 및 초점맞춤제어공정에 의한 사다리꼴보정 및 초점맞춤이 실행될 때마다 그 실행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투영공정에 의해 소정의 화상을 일정시간씩 투영하는 프리뷰화상제어공정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영방법.
  11. 입력되는 화상신호에 따른 화상을 투영하는 투영스텝과,
    상기 투영스텝에서의 화상투영면 속의 복수위치에 대한 각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측정처리스텝과,
    이 거리측정처리스텝에서 얻은 각 거리에 의거하여 투영화상이 적정한 애스펙트비의 직사각형으로 되도록 상기 투영스텝에서 투영하는 화상의 사다리꼴보정을 실시하는 사다리꼴보정스텝과,
    이 사다리꼴보정스텝에서 사다리꼴보정한 화상 속의 임의위치에서 상기 투영스텝에서 투영하는 화상을 초점맞춤시키는 초점맞춤제어스텝과,
    사다리꼴보정 및 초점맞춤의 1회만의 실행을 지시하는 제 1 지시스텝과,
    사다리꼴보정 및 초점맞춤의 연속한 실행을 지시하는 제 2 지시스텝과,
    상기 제 1 또는 제 2 지시스텝에서의 지시에 대응하여 상기 거리측정처리스텝, 사다리꼴보정스텝 및 초점맞춤제어스텝에 의한 사다리꼴보정 및 초점맞춤의 실행횟수를 제어하는 제어스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영방법을 기록한 기록매체.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지시스텝은 사다리꼴보정 및 초점맞춤의 연속한 실행의 개시와 종료를 추가로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영방법을 기록한 기록매체.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스텝은 상기 제 1 및 제 2 지시스텝의 한쪽의 지시에 대응하여 사다리꼴보정 및 초점맞춤을 실행시키고 있는 도중에 다른쪽의 지시가 이루어졌을 때에는 즉시 해당 다른쪽의 지시스텝에서의 지시에 대응한 횟수에 의거하여 사다리꼴보정및 초점맞춤의 실행을 추가로 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영방법을 기록한 기록매체.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지시스텝에서의 지시에 대응하여 상기 거리측정처리스텝, 사다리꼴보정스텝 및 초점맞춤제어스텝에 의한 사다리꼴보정 및 초점맞춤이 실행될 때마다 그 실행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투영스텝에 의해 소정의 화상을 일정시간씩 투영 하는 프리뷰화상제어스텝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영방법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20050001436A 2004-01-09 2005-01-07 투영장치, 투영방법 및 투영방법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06852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004239A JP4023447B2 (ja) 2004-01-09 2004-01-09 投影装置、投影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JP-P-2004-00004239 2004-01-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3403A KR20050073403A (ko) 2005-07-13
KR100685236B1 true KR100685236B1 (ko) 2007-02-22

Family

ID=34737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1436A KR100685236B1 (ko) 2004-01-09 2005-01-07 투영장치, 투영방법 및 투영방법을 기록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222972B2 (ko)
JP (1) JP4023447B2 (ko)
KR (1) KR100685236B1 (ko)
CN (1) CN100456126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13119A (zh) * 2012-11-12 2014-05-21 卡西欧计算机株式会社 图像处理装置、投影装置及图像处理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55740A1 (en) * 2005-08-23 2007-03-08 Luciani Luis E System and method for interacting with a remote computer
JP2009237197A (ja) * 2008-03-27 2009-10-15 Sanyo Electric Co Ltd 携帯プロジェクタ装置
US20100053475A1 (en) * 2008-09-03 2010-03-04 Infocus Corporation Illuminated status indicator for an image display device
JP5386956B2 (ja) * 2008-12-04 2014-01-1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表示調整方法、表示調整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11065025A (ja) * 2009-09-18 2011-03-31 Sanyo Electric Co Ltd 投写型映像表示装置
JP2011077730A (ja) * 2009-09-29 2011-04-14 Sanyo Electric Co Ltd 投写型表示装置
JP2011128366A (ja) * 2009-12-17 2011-06-30 Sanyo Electric Co Ltd 投写型表示装置、携帯端末装置および携帯型カメラ
US8714750B2 (en) * 2010-01-21 2014-05-06 Sony Corporation Displaying projector status visibly
US8672488B2 (en) * 2010-10-04 2014-03-18 Tech 4 Kids, Inc. Package for a projector
TWI436154B (zh) * 2011-01-31 2014-05-01 Asia Optical Co Inc The projector's autofocus system
JP5982787B2 (ja) * 2011-11-02 2016-08-31 株式会社リコー プロジェクタ
JP6127366B2 (ja) * 2012-03-07 2017-05-1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ー、及び、プロジェクターの制御方法
US10341622B2 (en) 2013-05-07 2019-07-02 Dolby Laboratories Licensing Corporation Multi-half-tone imaging and dual modulation projection/dual modulation laser projection
EP2994905B1 (en) 2013-05-07 2021-06-30 Dolby Laboratories Licensing Corporation Multi-half-tone imaging and dual modulation projection/dual modulation laser projection
JP6306834B2 (ja) 2013-07-24 2018-04-0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JP2016115954A (ja) * 2014-12-10 2016-06-23 株式会社リコー 投射型表示装置
CN105093789B (zh) * 2015-07-03 2021-05-1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实现投影面梯形失真校正的方法及装置和投影仪
JP6245343B2 (ja) * 2016-12-22 2017-12-1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ー、及び、プロジェクターの制御方法
KR102605035B1 (ko) * 2019-02-22 2023-11-24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로젝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20005436A (ko) * 2019-04-26 2022-01-13 소니그룹주식회사 화상 표시 장치
CN112863409A (zh) * 2019-11-28 2021-05-28 中强光电股份有限公司 投影机的控制方法及系统
JP2022126436A (ja) * 2021-02-18 2022-08-3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投写型表示装置
US11947243B2 (en) * 2022-03-24 2024-04-02 Changzhou Aac Raytech Optronics Co., Ltd. Auto-focus apparatus for camera
US11982932B2 (en) * 2022-03-25 2024-05-14 Light Show Technology Co., LTD. Projection displa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49385A (en) * 1996-06-05 2000-04-11 Minolta Co., Ltd. Three dimensional measurement system and pickup apparatus
JPH10171045A (ja) 1996-12-10 1998-06-26 Seiko Epson Corp 投写型表示装置
JP2000241874A (ja) 1999-02-19 2000-09-08 Nec Corp プロジェクタの自動画面位置調整方法及び装置
JP3509652B2 (ja) * 1999-08-23 2004-03-22 日本電気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装置
US6618076B1 (en) * 1999-12-23 2003-09-09 Justsystem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alibrating projector-camera system
WO2001048551A1 (en) * 1999-12-24 2001-07-0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Projector
JP3678111B2 (ja) 2000-04-25 2005-08-0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から射出される投射光の経路内に人が進入した場合の光束制御
US6520647B2 (en) * 2000-08-17 2003-02-18 Mitsubishi Electric Research Laboratories Inc. Automatic keystone correction for projectors with arbitrary orientation
US20030025649A1 (en) 2000-09-08 2003-02-06 Wynne Willson Peter David Image projection apparatus
GB0022065D0 (en) 2000-09-08 2000-10-25 Wynne Willson Gottelier Ltd Image projection apparatus
JP2002107662A (ja) 2000-09-27 2002-04-10 Canon Inc 投射型画像表示装置
US6431711B1 (en) 2000-12-06 2002-08-1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ultiple-surface display projector with interactive input capability
JP4776785B2 (ja) 2001-01-12 2011-09-21 キヤノン株式会社 投射型表示装置
JP2003204495A (ja) * 2002-01-04 2003-07-18 Canon Inc 画像投影装置
US6974217B2 (en) 2002-03-20 2005-12-13 Seiko Epson Corporation Projector executing keystone correction
JP2003283964A (ja) * 2002-03-26 2003-10-03 Olympus Optical Co Ltd 映像表示装置
JP2004004284A (ja) * 2002-05-31 2004-01-08 Canon Inc 投射型表示装置
DE60327289D1 (de) 2002-07-23 2009-06-04 Nec Display Solutions Ltd Bildprojektor mit Bild-Rückkopplungs-Steuerung
JP4078159B2 (ja) * 2002-09-11 2008-04-23 キヤノン株式会社 投射型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システム
JP4020043B2 (ja) 2003-08-25 2007-12-12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投影装置、投影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3772870B2 (ja) 2003-08-25 2006-05-10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投影装置、投影方法及びプログラ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13119A (zh) * 2012-11-12 2014-05-21 卡西欧计算机株式会社 图像处理装置、投影装置及图像处理方法
CN103813119B (zh) * 2012-11-12 2017-07-04 卡西欧计算机株式会社 图像处理装置、投影装置及图像处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023447B2 (ja) 2007-12-19
US20050151934A1 (en) 2005-07-14
CN100456126C (zh) 2009-01-28
CN1645242A (zh) 2005-07-27
US7222972B2 (en) 2007-05-29
JP2005196042A (ja) 2005-07-21
KR20050073403A (ko) 2005-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5236B1 (ko) 투영장치, 투영방법 및 투영방법을 기록한 기록매체
JP3772870B2 (ja) 投影装置、投影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020043B2 (ja) 投影装置、投影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7270421B2 (en) Projector, projection method and storage medium in which projection method is stored
US7524067B2 (en) Projector device, project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in which projection control program is recorded
TWI408487B (zh) 投影裝置、投影控制方法及記錄有投影控制方法之記錄媒體
JP6343910B2 (ja) プロジェクター、及び、プロジェクターの制御方法
JP5162839B2 (ja) 表示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5227548A (ja) 投影装置、投影装置の光源制御方法
JP4301028B2 (ja) 投影装置、角度検出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133192B2 (ja) 表示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5488528B2 (ja) 表示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5630799B2 (ja) 投影装置、投影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149900B2 (ja)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5233880A (ja) 距離測定装置、投影装置、距離測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8020196A (ja) 投射装置、投射装置の測距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442242B2 (ja) 投影装置、角度検出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806894B2 (ja) 投影装置、投影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7122935A (ja)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6186469A (ja) 投射型表示装置および投射型表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