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9976B1 - 폴더식 휴대정보기기 - Google Patents

폴더식 휴대정보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9976B1
KR100679976B1 KR1020030095114A KR20030095114A KR100679976B1 KR 100679976 B1 KR100679976 B1 KR 100679976B1 KR 1020030095114 A KR1020030095114 A KR 1020030095114A KR 20030095114 A KR20030095114 A KR 20030095114A KR 100679976 B1 KR100679976 B1 KR 1006799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unit
microphone
rotary motion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5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60747A (ko
Inventor
사와이도시카즈
Original Assignee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607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07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99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99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04M1/0218The hinge comprising input and/or output user interface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3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e.g. telephone hand-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terminal equipment, e.g. arrangements of the camera and the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terminal equipment, e.g. arrangements of the camera and the display
    • H04N2007/145Handheld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상태에 따라서 전자부품(카메라, 마이크, 스피커 등)을 적절히 소망의 위치에 배치시킬 수 있고, 또 그 조작의 간략화를 도모하여 사용 편리함에 우수한 폴더식 휴대정보기기를 제공하는 것으로, 폴더식 휴대정보기기는 표시부 (21)를 갖는 제 1 케이스(2)와, 표시부(21)를 덮도록 하여 설치되는 제 2 케이스 (3)와, 제 1 케이스(2)와 제 2 케이스(3)를 폴딩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를 구비하고, 힌지부에는 카메라(50) 및 마이크를 내장하며, 제 1 케이스(2) 및 제 2 케이스(3)를 개방한 상태에서 카메라(50) 및 마이크가 표시부(21)와 같은 측을 향하는 초기위치와 표시부(21)와 반대측을 향하는 회전운동위치의 사이에서 회전운동하고, 또한 제 1 케이스(2) 및 제 2 케이스(3)의 폴딩동작에 연동하여 초기위치로 복귀 동작하는 전자부품내장유닛(5)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폴더식 휴대정보기기, 케이스, 힌지부, 회전운동유닛, 표시부, 카메라, 마이크, 스피커

Description

폴더식 휴대정보기기{FOLDING TYPE PORTABLE INFORMATION APPLIANCE}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 제 1 케이스 및 제 2 케이스의 개방상태를 나타내는 폴더식 휴대정보기기의 상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회전운동유닛의 상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폴더식 휴대정보기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고, (a)는 제 1 케이스 및 제 2 케이스의 개방상태, (b)는 회전운동유닛을 회전운동한 상태, (c)는 제 1 케이스 및 제 2 케이스의 폴딩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 제 1 케이스 및 제 2 케이스의 개방상태를 나타내는 폴더식 휴대정보기기의 상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기기케이스를 열은 직후의 회전운동유닛의 상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기기케이스를 열은 상태에서 회전운동유닛을 회전운동시킨 후의 회전운동유닛의 상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폴더식 휴대정보기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고, (a)는 제 1 케이스 및 제 2 케이스의 개방상태, (b)는 회전운동유닛을 회전운동한 상태, (c)는 제 1 케이스 및 제 2 케이스의 폴딩상태를 나타 내고 있다.
도 8은 제 2 실시형태의 변형예를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 회전운동유닛의 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1: 폴더식 휴대정보기기
2, 12; 제 1 케이스
3, 13: 제 2 케이스
4, 14: 힌지부
5, 15: 회전운동유닛
21, 121: 표시부
50: 카메라
51: 마이크
151: 스피커
본 발명은 폴더식 휴대정보기기, 특히 힌지부에 카메라 등의 전자부품이 탑재된 폴더식 휴대정보기기에 관한 것이다.
근래 휴대전화기나 PDA, 노트형 PC 등의 휴대형 정보기기에는 카메라가 장비되어 있고, 카메라로 촬영한 정지화상이나 동화상을 포함하는 화상정보를 자체기기 에서 재생하거나, 퍼스컴이나 다른 휴대전화기 등에 전송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휴대형 정보기기에 탑재된 카메라는 타인이나 풍경뿐 아니라 사용자자신을 촬영하는 기회도 많고, 사용상태에 따라서 적절히 그 방향을 변경시킬 필요가 있다. 즉 카메라는 사용자자신을 촬영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와 같은 측으로 향할 필요가 있고, 타인이나 풍경 등의 정지화상이나 동화상을 촬영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와 반대측으로 향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예를 들면 카메라의 방향을 자유롭게 바꿀 수 있는 휴대형 전화기로서 디스플레이를 갖는 제 1 단말본체와, 조작버튼이 설치되는 제 2 단말본체를 폴딩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에 카메라를 설치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그리고 이 기술에서는 제 1 단말본체와 제 2 단말본체를 열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힌지부의 회전운동축을 직접 손으로 회전운동시킴으로써 카메라를 소망하는 방향으로 향하여 지도록 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2000-253124호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에 나타내어지는 휴대형 전화기에서는 카메라를 사용할 때에 회전운동축을 손으로 회전운동시켜서 소망하는 방향으로 카메라를 향하게 할 수 있는데, 카메라를 사용한 후에 사용전의 방향으로 되돌리기 위해 그 때 그 때 손으로 회전운동축을 회전운동시켜서 배치시킬 필요가 있고, 그 조작이 번잡했었다.
이와 같은 문제는 예를 들면 카메라가 디스플레이를 갖는 제 1 단말본체의 배면측에 설치되어 있는 휴대형 전화기 등에 있어서, 단일의 마이크를 동화상 등 촬영 때의 녹음용 마이크 및 통화용 마이크로서 전환 사용하기 위해, 또는 상기 단일의 마이크를 동화상 등 촬영 때의 집음용 마이크 및 나레이션입력용 마이크로서 전환 사용하기 위해 힌지부에 설치한 경우나, 음악이나 음성을 재생하는 기능 또는 게임기능을 구비한 휴대형 전화기 등에 있어서 단일의 스피커를 착신통지용의 스피커 및 동화상 등 재생 때의 음성이나 게임의 효과음 등을 출력하는 재생용 스피커로서 전환 사용하기 위해 힌지부에 설치한 경우에도 발생한다.
즉 힌지부에 설치한 마이크는 동화상 촬영 떼의 집음용 마이크로서 사용할 때에는 카메라와 같은 측으로 향하여 지는데, 해당 마이크가 통화용 마이크로서 사용되는 것인 경우에는 촬영이 종료하면 마이크의 방향을 디스플레이와 같은 측으로 향하게 할 필요가 있고, 또 통화용 마이크가 별도로 설치되어 있어 상기 마이크가 집음용 마이크 또는 나레이션입력용 마이크로서 사용되는 것이었다 해도 다음 번의 촬영 때에 마이크가 본의가 아닌 방향을 향한 상태에서 촬영하는 일이 없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술한 2개의 방향의 어느 쪽인가 한쪽을 통상상태(초기상태)로 하여 촬영종료 때에 그 상태로 되돌릴 필요가 있다.
또 힌지부에 설치된 스피커는 음성이나 효과음의 재생용 스피커로서 사용될 때에는 디스플레이와 같은 측으로 향하여 지는데, 해당 스피커가 착신통지용의 스피커로서도 사용되는 것인 경우에는 동화상 등의 재생이나 게임이 종료했을 때에는 케이스를 폴딩하고 있어도 착신통지음이 잘 들릴 수 있도록 케이스의 바깥표면측으로 향하게 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사용상태에 따라서 전자부품(카메라, 마이크, 스피커 등)을 적절히 소망의 방향으로 향하게 할 수 있고, 또한 전자부품의 방향을 초기상태로 되돌리는 것을 잊었다고 해도 기기케이스의 폴딩동작에 연동하여 초기상태로 복귀시켜, 기기케이스를 폴딩상태로부터 열었을 때에는 전자부품의 방향이 전회의 사용상태에 관계없이 항상 같은 방향(즉 초기상태)으로 되도록 할 수 있는 사용 편리함에 우수한 폴더식 휴대정보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고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항 1의 발명은 표시부를 갖는 제 1 케이스와, 상기 표시부를 덮도록 하여 설치되는 제 2 케이스와, 상기 제 1 케이스와 상기 제 2 케이스를 폴딩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를 구비한 폴더식 휴대정보기기이고, 상기 힌지부에 전자부품을 내장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케이스를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전자부품이 상기 표시부와 같은 측 또는 반대측의 어느 쪽인가 한쪽을 향하는 초기위치와, 해당 초기위치와는 반대측을 향하는 회전운동위치의 사이에서 회전운동 가능한 회전운동유닛을 설치하고, 상기 회전운동유닛의 회전운동기구를 상기 회전운동유닛에 대한 직접의 수동조작으로 상기 회전운동유닛을 상기 초기위치와 상기 회전운동위치의 사이에서 회전운동시킬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제 1 케이스와 제 2 케이스를 폴딩할 때에는 상기 회전운동유닛을 상기 제 1 및 제 2 케이스의 폴딩동작에 연동하여 회전운동시켜서 상기 초기위치로 복귀시키고, 상기 제 1 케이스와 제 2 케이스를 개방시킬 때에는 상기 회전운동유닛을 상기 제 1 및 제 2 케이스의 개방동작에는 연동시키지 않고 상기 초기위치에 멈추게 하는 기구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의 발명에 따르면, 힌지부에 전자부품을 내장하고, 제 1 및 제 2 케이스를 개방한 상태에서 초기위치와 회전운동위치의 사이에서 회전운동하는 회전운동유닛을 설치하였으므로 사용상태에 따라서 회전운동유닛을 회전운동시킴으로써 전자부품을 표시부와 같은 측 또는 반대측에 적절히 배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전자부품이 카메라인 경우에는 카메라의 위치를 바꿈으로써 1개의 카메라로 사용자자신이나 풍경, 타인 등을 자유롭게 촬영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전자부품이 마이크인 경우에는 1개의 마이크를 통화용 마이크나 촬영 때의 집음용 마이크로서 또는 촬영 때의 집음용 마이크나 나레이션입력용 마이크로서 전환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전자부품이 스피커인 경우에는 1개의 스피커를 전화의 착신통지용 스피커나 동화상·정지화상에 부수(附隨)하는 음성이나 게임의 효과음 등의 재생용 스피커로서 전환 사용할 수 있다.
또 회전운동유닛은 제 1 케이스 및 제 2 케이스의 폴딩동작에 연동하여 초기위치로 복귀하므로 개방한 상태에서 회전운동위치에 배치되어 있었던 경우에 그 때 그 때 초기위치로 되돌리지 않아도 폴딩동작에 연동하여 자동적으로 초기위치로 복귀한다. 또 회전운동유닛은 제 1 케이스 및 제 2 케이스의 개방동작에는 연동하지 않고, 상기 초기상태로 멈추므로 제 1 케이스 및 제 2 케이스를 폴딩상태로부터 열었을 때의 전자부품의 방향은 전회의 사용상태에 관계없이 항상 같은 방향으로 되며, 제 1 케이스와 제 2 케이스를 열었을 때에 회전운동유닛의 방향이 어느 방향으로 되어 있는지에 대해서 일절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없어진다. 또 초기위치는 통상 가장 사용빈도가 높다고 생각되는 방향으로 설정되므로 회전운동유닛을 수동조작으로 회전운동시킬 기회도 적게 끝난다. 따라서 초기위치로의 복귀 조작의 간략화가 도모되는 동시에 제 1 케이스와 제 2 케이스를 열었을 때에 회전운동유닛의 방향이 어느 방향으로 되어 있는지에 대해서 일절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없어지는 등, 사용 편리함에 우수하다.
청구항 2의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한 폴더식 휴대정보기기에 있어서, 상기 전자부품은 카메라 및 또는 마이크이고, 상기 초기위치에서 상기 표시부와 같은 측을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의 발명에 따르면, 제 1 케이스 및 제 2 케이스를 개방한 상태에서 카메라 및 또는 마이크가 표시부와 같은 측, 즉 사용자측을 향한다. 따라서 전자부품이 카메라인 경우에는 제 1 케이스 및 제 2 케이스를 개방하여 바로 사용자자신을 촬영할 수 있다. 또 전자부품이 마이크인 경우에는 제 1 케이스 및 제 2 케이스를 개방하여 바로 발착호출의 조작을 해도 사용자의 음성을 확실하게 마이크로 취할 수 있다.
또 상기 개방상태에 있어서, 회전운동유닛을 회전운동위치로 회전운동함으로써 카메라 또는 마이크를 표시부와 반대측으로 향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 에 의해 타인이나 풍경을 촬영할 수 있고, 또 마이크에 의해 임장감 있는 음성을 수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청구항 3의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한 폴더식 휴대정보기기에 있어서, 상기 전자부품은 스피커이고, 상기 초기위치에서 상기 표시부와 반대측을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의 발명에 따르면, 제 1 케이스 및 제 2 케이스를 폴딩한 상태에서 스피커가 표시부와 반대측을 향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화상을 보거나 게임을 한 후에 회전운동유닛을 회전운동위치로부터 초기상태로 되돌리는 것을 잊은 경우에도 폴딩동작에 연동하여 자동적으로 초기위치로 복귀 동작해서 스피커가 표시부와 반대측을 향하므로 전화착신 등이 있어도 음량이 작아지는 일이 없이 지정한 대로의 호출음량으로 통지할 수 있다.
또 상기 개방상태에 있어서, 회전운동유닛을 회전운동위치에 회전운동함으로써 스피커를 표시부와 같은 측으로 향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동화상이나 정지화상에 부수하는 음성이나 게임의 효과음이 귀에 도달하기까지의 로스가 적어 박력 있는 음성이나 음으로 즐길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 실시형태를 휴대전화기를 예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제 1 케이스 및 제 2 케이스의 개방상태를 나타내는 폴더식 휴대정보기기(휴대전화기)의 상면도, 도 2는 회전운동유닛의 상단면도, 도 3은 폴더식 휴대정보기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고, (a)는 제 1 케이스 및 제 2 케이스의 개방상태, (b)는 회전운동유닛을 회전운동한 상태, (c)는 제 1 케이스 및 제 2 케이스의 폴딩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우선 제 1 실시형태의 폴더식 휴대정보기기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폴더식 휴대정보기기(휴대전화기, 1)는 제 1 케이스(2)와, 제 2 케이스(3)와, 제 1 케이스(2)와 제 2 케이스(3)를 폴딩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4)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케이스(2)의 내면에는 화상을 표시할 수 있는 표시부(21) 및 통화용의 스피커구멍(2a)이 설치되어 있다. 또 도시하지 않으나 제 1 케이스(2)내에는 안테나나 표시드라이버, 통화용 스피커 등이 설치되어 있다.
제 2 케이스(3)의 내면에는 각종의 조작버픈(31) 및 통화용의 마이크구멍 (3a)이 설치되어 있다. 또 도시하지 않으나 제 2 케이스(3)내에는 CPU나 배터리, 통화용 마이크 등이 설치되어 있다.
힌지부(4)는 제 1 케이스(2)에 설치된 회전운동축(2b)과, 제 2 케이스(3)에 설치된 회전운동축지지부(3b)에 의해 구성되고, 이들 회전운동축(2b)과 회전운동축지지부(3b)가 서로 연결됨으로써 제 1 케이스(2)와 제 2 케이스(3)가 각각의 내면을 서로 마주 대하도록 하여 닫거나 열거나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힌지부(4)에는 카메라(50)와 마이크 (51)를 내장하고, 또한 제 1 케이스(2) 및 제 2 케이스(3)를 개방한 상태에서 카메 라(50, 카메라구멍(52a)) 및 마이크(51, 마이크구멍(52b))가 표시부(21)와 같은 측을 향하는 초기위치와 카메라(50) 및 마이크(51)가 상기 초기위치와 반대측(즉 제 1 케이스(2)의 이면측)을 향하는 회전운동위치의 사이에서 회전운동하며, 또한 제 1 케이스(2) 및 제 2 케이스(3)의 폴딩동작에 연동하여 초기위치로 복귀 동작하는 회전운동유닛(5)이 설치되어 있다(도 2 중, 회전운동유닛(5)은 화살표방향으로 회전운동한다).
여기에서 회전운동유닛(5)의 구조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운동유닛(5)은 카메라(50), 마이크(51), 유닛케이스(52), E링(53), FPC(플렉시블배선체, 54) 등을 구비하여 개략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2 중의 “55”는 제 1 케이스(2)내의 회로와 제 2 케이스(3)내의 회로를 접속하는 FPC이다.
카메라(50)와 마이크(51)는 유닛케이스(52)에 수용되어 있고, 유닛케이스 (52)의 중심축(52c)이 제 1 케이스(2)에 대하여 회전운동 가능하게 끼워 맞춰지며, E링(53)에 의해 빠지지 않도록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유닛케이스(52)는 그 중심축(52c)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초기위치와 회전운동위치의 사이에서 손가락에 의해 회전운동하고, 또한 제 1 케이스(2) 및 제 2 케이스(3)의 폴딩동작에 연동하여 초기위치로 복귀 동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유닛케이스(52)의 측면에는 해당 측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볼록부(52d)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 1 케이스(2)의 측면(보다 상세하게는 제 1 케이스(2)에 설치된 회전운동축(2b)의 측면)에도 해당 측면으로부터 돌출하고, 유닛케이스(52) 의 회전운동스토퍼로서의 볼록부(2c)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후술하는데, 도 3의 (a)의 개방상태에 있어서, 손으로 유닛케이스(52)를 초기위치로부터 회전운동위치로 회전운동시키면 상기 유닛케이스(52)의 볼록부(52d)가 제 1 케이스(2)의 볼록부(2c)에 맞닿음으로써 그 회전운동이 정지되도록 되어 있다(도 3의 (b) 참조). 또 도 3의 (b)의 개방상태로부터 제 1 케이스(2)를 제 2 케이스(3)에 대하여 폴딩하면 이것에 연동하여 제 1 케이스(2)의 볼록부(2c)가 유닛케이스(52)의 볼록부 (52d)를 눌러 제 1 케이스(2) 및 제 2 케이스(3)가 폴딩된 상태에서 그 회전운동이 정지되도록 되어 있다(도 3의 (c) 참조).
또한 유닛케이스(52)의 중심축(52c)에는 일단이 카메라(50)와 마이크(51)에 접속되고, 타단이 제 1 케이스(2)내로 끌여 들여져 도시하지 않는 회로에 접속된 FPC(54)가 감겨져 있다. FPC(54)는 유닛케이스(52)가 손가락으로 회전운동되어도 유닛케이스(52)의 중심축(52c)에 대하여 느슨해지고(감음지름이 커진다), 또는 죄인다(감음지름이 작아진다)의 완만한 변화밖에 일으키지 않으므로 커다란 응력발생이 없어 단선하는 일은 없다.
다음으로 도 3에 의거하여 폴더식 휴대정보기기(1)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의 (a)는 제 1 케이스(2) 및 제 2 케이스(3)의 개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개방상태에서는 회전운동유닛(5)은 카메라(50, 카메라구멍(52a)) 및 미도시의 마이크(51, 마이크구멍(52b))가 표시부(21)와 같은 측을 향하는 초기위치에 배치되고, 제 1 케이스(2)의 볼록부(2c)와 유닛케이스(52)의 볼록부(52d)가 서 로 떨어진 상태로 되어 있다.
이 개방상태에서는 회전운동유닛(5)이 회전운동 자유롭게 되어 있으므로 초기위치에 배치된 회전운동유닛(5)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키면, 유닛케이스(52)의 볼록부(52d)가 제 1 케이스(2)의 볼록부(2c)에 맞닿고, 이에 따라서 회전운동유닛(5)의 회전운동이 정지되는 동시에 회전운동위치에 배치되어 카메라(50, 카메라구멍(52a)) 및 마이크(51, 마이크구멍(52b))가 표시부(21)와 반대측을 향한다(도 3의 (b) 참조).
이와 같이 회전운동유닛(5)이 회전운동위치에 배치된 상태로부터 제 1 케이스(2) 및 제 2 케이스(3)를 폴딩하면 폴딩동작에 연동하여 제 1 케이스(2)의 볼록부 (2c)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하는 동시에, 유닛케이스(52)의 볼록부(52d)를 동시에 눌러 유닛케이스(52)의 볼록부(52d)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하여 정지한다. 그리고 카메라(50, 카메라구멍(52a)) 및 마이크(51, 마이크구멍(52b))가 표시부(21)와 같은 측을 향한다. 이와 같이 하여 제 1 케이스(2) 및 제 2 케이스(3)가 폴딩된다(도 3의 (c) 참조).
또 제 1 케이스(2) 및 제 2 케이스(3)를 폴딩한 상태로부터 재차 제 1 케이스 (2)를 제 2 케이스(3)에 대하여 개방하면, 유닛케이스(52)의 볼록부(52d)에 맞닿아 있던 제 1 케이스(2)의 볼록부(2c)가 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하여 유닛케이스 (52)의 볼록부(52d)와 제 1 케이스(2)의 볼록부(2c)가 떨어진 상태로 정지한다(도 3의 (a) 참조). 이 때 제 1 케이스(2)의 볼록부(2c)는 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하므로 유닛케이스(52)의 볼록부(52d)를 누르는 일이 없고, 회전운동유닛(5)은 회전운 동하지 않으며, 카메라(50, 카메라구멍(52a)) 및 마이크(51, 마이크구멍(52b))는 표시부(21)와 같은 측을 향한 채로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폴더식 휴대정보기기(1)에 따르면, 제 1 케이스(2) 및 제 2 케이스(3)를 개방한 상태에서 카메라(50, 카메라구멍(52a)) 및 마이크(51, 마이크구멍(52b))가 표시부(21)와 같은 측, 즉 사용자측을 향하므로 제 1 케이스(2) 및 제 2 케이스(3)를 개방하여 바로 사용자자신을 촬영할 수 있고, 또 촬영화상에 음성에 의한 코멘트를 붙일 수 있다.
또 개방상태에 있어서, 회전운동유닛(5)을 회전운동위치에 회전운동함으로써 카메라(50, 카메라구멍(52a)) 및 마이크(51, 마이크구멍(52b))를 표시부(21)와 반대측으로 향하게 할 수 있으므로 촬영 때에 임장감 있는 음성을 수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회전운동유닛(5)은 제 1 케이스(2) 및 제 2 케이스(3)의 폴딩동작에 연동하여 초기위치로 복귀 동작하므로 개방상태에 있어서 회전운동유닛(5)이 회전운동위치에 배치되고, 카메라(50, 카메라구멍(52a)) 및 마이크(51, 마이크구멍(52b))가 표시부(21)와 반대측을 향하고 있었던 경우에 그 때 그 때 회전운동유닛(5)을 손으로 회전운동하여 초기위치로 되돌리지 않아도 폴딩동작에 연동하여 자동적으로 초기위치로 복귀 동작하며, 카메라(50, 카메라구멍(52a)) 및 마이크(51, 마이크구멍 (52b))도 표시부(21)와 같은 측을 향한다. 따라서 초기위치로의 복귀 조작의 간략화가 도모되어 사용 편리함에 우수하다.
또한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마이크(51)는 촬영 때의 집음용으로서 뿐만 아니라 통화용 마이크로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제 2 케이스(3)내에 설치하고 있는 통화용의 마이크가 불필요하게 되므로 부품점수를 삭감할 수 있는 동시에, 휴대정보기기(1)를 텔레비전전화로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유닛케이스(52)내에 카메라(50)와 마이크 (51)를 수납하는 구성으로 했는데, 어느 쪽인가 한쪽만을 수납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예를 들면 카메라만을 수납하는 구성으로 한 경우, 집음용 마이크는 제 1 케이스(2) 또는 제 2 케이스(3)의 배면측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마이크만을 수납하는 구성으로 한 경우, 카메라를 제 1 케이스(2)의 배면측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유닛케이스(52)내에 마이크만을 수납하는 구성으로 한 경우, 유닛케이스(52)를 회전운동시킴으로써 해당 마이크를 촬영 때의 집음용 마이크 및 나레이션입력용 마이크로서 전환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유닛케이스(52)내에 카메라만을 수납하는 구성으로 한 경우는 제 2 케이스(3)내에 설치하고 있는 통화용 마아크를 촬영 때의 나레이션입력용 마이크로서 사용하면 좋다.
또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유닛케이스(52)내에 카메라(50)와 함께 수납하는 전자부품을 마이크(51)로 했는데, 백색LED 등으로 구성되는 소형의 발광체를 촬영 때의 조명용 라이트로서 수납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즉 유닛케이스 (52)내에 카메라(50)와 소형의 발광체를 수납하는 구성, 또는 유닛케이스(52)내에 카메라(50), 마이크(51) 및 소형의 발광체를 수납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야간에 촬영할 필요가 발생한 경우에도 명료한 화상을 얻을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제 1 케이스 및 제 2 케이스의 개방상태를 나타내는 폴더식 휴대정보기기(휴대전화기)의 상면도, 도 5는 기기케이스를 열은 직후의 회전운동유닛의 상단면도, 도 6은 기기케이스를 열은 상태에서 회전운동유닛을 회전운동시킨 후의 회전운동유닛의 상단면도, 도 7은 폴더식 휴대정보기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고, (a)는 제 1 케이스 및 제 2 케이스의 개방상태, (b)는 회전운동유닛을 회전운동한 상태, (c)는 제 1 케이스 및 제 2 케이스의 폴딩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제 2 실시형태의 폴더식 휴대정보기기(11)는 회전운동유닛(15)에 내장되는 전자부품이 스피커(151)로 되어 있고, 스피커(151)는 초기위치에서 표시부 (121)와 반대측을 향하며, 회전운동위치에서 표시부(121)와 같은 측을 향하고, 기타 구성이나 동작 등은 제 1 실시형태와 똑같으므로 똑같은 점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며, 다른 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폴더식 휴대정보기기(11)는 표시부(121) 및 통화용의 스피커구멍(12a)을 갖는 제 1 케이스(12)와, 각종 조작버튼(131) 및 통화용의 마이크구멍(13a)을 갖는 제 2 케이스(13)와, 제 1 케이스(12)와 제 2 케이스(13)를 폴딩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14)를 구비하고 있다.
또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힌지부(14)에는 스피커(151)를 내장하고, 또한 제 1 케이스(12) 및 제 2 케이스(13)를 개방한 상태에서 스피커(151, 스피커(151)의 방음구멍(152a))가 표시부(121)와 반대측을 향하는 초기위치(도 5 및 후술하는 도 7의 (a) 참조)와 스피커(151)가 표시부(121)와 같은 측을 향하는 회전운동위치(도 4, 도 6 및 후술하는 도 7의 (b) 참조)의 사이에서 회전운동하며, 또한 제 1 케이스(12) 및 제 2 케이스(13)의 폴딩동작에 연동하여 초기위치로 복귀 동작하는 회전운동유닛(15)이 설치되어 있다(도 5 중 회전운동유닛(15)은 화살표방향으로 회전운동한다).
회전운동유닛(15)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피커(151), 유닛케이스 (152), E링(153), FPC(154) 등을 구비하여 개략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5 중의 “152c”는 유닛케이스(152)의 측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볼록부, “12c”는 제 1 케이스(12)의 측면(보다 상세하게는 제 1 케이스에 설치된 회전운동축(12b)의 측면)으로부터 돌출하는 회전운동스토퍼로서의 볼록부, “155”는 제 1 케이스(12)내의 회로와 제 2 케이스(13)내의 회로를 접속하는 FPC이다. 그리고 유닛케이스(152)는 그 중심축(152b)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초기위치와 회전운동위치의 사이에서 손가락에 의해 회전운동하고, 또한 제 1 케이스(12) 및 제 2 케이스(13)의 폴딩동작에 연동하여 초기위치로 복귀 동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볼록부(152c) 및 볼록부(12c)는 각각 도 2에 나타낸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볼록부(52d) 및 볼록부(2c)에 대응하는 것인데, 그 배치위치는 제 1 실시형태와는 반대위치로 되어 있다.
따라서 도 5 및 도 7의 (a)의 개방상태에 있어서, 손으로 유닛케이스(152)를 초기위치로부터 회전운동위치로 회전운동시키면 유닛케이스(152)에 형성된 볼록부 (152c)가 제 1 케이스(12)에 형성된 볼록부(12c)에 맞닿음으로써 그 회전운동이 정지되도록 되어 있다(도 6 및 도 7의 (b) 참조). 또 도 7의 (b)의 개방상태로부터 제 1 케이스(12)를 제 2 케이스(13)에 대하여 폴딩하면 이것에 연동하여 제 1 케이스 (12)의 볼록부(12c)가 유닛케이스(152)의 볼록부(152c)를 눌러 가고, 제 1 케이스 (12) 및 제 2 케이스(13)가 폴딩된 상태에서 그 회전운동이 정지되도록 되어 있다(도 7의 (c) 참조).
이상 제 2 실시형태의 폴더식 휴대정보기기(11)에 따르면, 제 1 케이스(12) 및 제 2 케이스(13)의 폴딩동작에 연동하여 스피커(151, 스피커구멍(152a))가 표시부(121)와 반대측을 향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화상을 본 후에 회전운동유닛(51)을 회전운동위치로부터 초기위치로 되돌리는 것을 잊은 경우에도 폴딩동작에 연동하여 자동적으로 초기위치로 복귀 동작해서 스피커(151, 스피커구멍(152a))도 표시부 (121)와 반대측을 향하므로 초기위치로의 조작의 간략화가 도모되어 사용 편리함에 우수하다. 또 전화착신 등이 있어도 음량이 작아지는 일이 없이 지정한 대로의 호출음량으로 통지할 수 있다.
또 개방상태에 있어서 회전운동유닛(15)을 회전운동위치로 회전운동함으로써 스피커(151, 스피커구멍(152a))를 표시부(121)와 같은 측으로 향하게 할 수 있으므로 동화상이나 정지화상 등에 부수한 음성이나 게임의 효과음 등이 귀에 도달하기까지의 로스가 적어 박력 있는 음성이나 음으로 즐길 수 있다.
또한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카메라는 제 1 케이스(12), 또는 제 2 케이스 (13)의 이면측에 설치해도 좋고, 카메라만을 내장한 회전운동유닛 또는 카메라와 함께 마이크 및 또는 조명용 라이트를 내장한 회전운동유닛을 힌지부에 추가하여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힌지부(14, 회전운동축(12b) 및 회전운동축지지부 (13b))를 중앙부에 배치하는 구성으로 하여 그 양측에 스피커를 내장한 회전운동유닛(15)과 카메라를 내장한 추가의 회전운동유닛을 배치하는 것으로 된다. 단 카메라를 내장한 회전운동유닛을 힌지부에 추가하여 설치하는 경우에는 추가의 회전운동유닛에 설치하는 볼록부 및 제 1 케이스에 설치하는 볼록부의 배치관계를 제 1 실시형태와 똑같이 하여 카메라가 초기위치에서 표시부(121)와 같은 측을 향하고, 회전운동위치에서 표시부(121)와 반대측을 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전자부품을 스피커(151)로 했는데, 예를 들면 압전소자나 부저 등이어도 좋다.
또한 스피커(151)는 그 상면에 방음구멍(151a)이 형성된 것을 사용하여 스피커(151)의 상면이 표시부(121)와 같은 측 또는 표시부(121)와 반대측을 향하도록 설치했는데, 예를 들면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피커(151)를 힌지부(14)의 원동방향으로 향하여 수납하고, 스피커(151)의 방음구멍(151a)이 힌지부(14)의 원통방향으로 향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이 경우도 유닛케이스(152)에 형성하는 스피커구멍은 초기상태에서 표시부(121)와 반대측을 향하도록 한다.
제 1 실시형태 및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유닛케이스에 형성한 볼록부 (52d, 152c)는 제 1 케이스에 형성한 볼록부(2c, 12c)에 끼워 맞춤으로써 회전운동유닛(5, 15)이 회전운동 자유롭게 되어 있었는데, 예를 들면 제 2 케이스(3, 13)에 똑같은 볼록부를 형성하여 이 제 2 케이스의 볼록부에 유닛케이스의 볼록부가 끼워 맞춰지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한 카메라(50), 마이크(51), 스피커(151)의 배선은 마이크FPC(54)나 스피커FPC(154)로 했는데, 이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리드선이나, PDA나 퍼스컴에서 사용하는 실드선이어도 좋다.
또 유닛케이스(52, 152)의 빠짐 방지로서 E링(53, 153)을 사용했는데, 다른 링이나 케이스형상으로 끼워 넣음으로써 빠지지 않는 구조로 해도 좋다.
또 상기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유닛케이스(152)내에 수납하는 전자부품을 스피커(151)로 했는데, 소형의 발광체를 수납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예를 들면 소형의 발광체로서 백색LED를 수납한 경우에는 조명용 라이트로서 사용할 수 있고, 또 소형의 발광체로서 적색LED를 수납한 경우에는 프레젠테이션 때 등에서 포인터로서 사용할 수 있다.
청구항 1의 발명에 따르면, 힌지부에는 제 1 케이스 및 제 2 케이스를 개방한 상태에서 전자부품이 내장되는 동시에 초기위치와 회전운동위치의 사이에서 회전운동하는 회전운동유닛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사용상태에 따라서 회전운동유닛을 초기위치와 회전운동위치의 사이에서 회전운동시킴으로써 전자부품을 표시부와 같은 측 또는 반대측에 적절히 배치시킬 수 있다.
또 회전운동유닛은 제 1 케이스 및 제 2 케이스의 폴딩동작에 연동하여 초기위치로 복귀하고, 또한 제 1 케이스 및 제 2 케이스의 개방동작에는 연동하지 않고, 상기 초기상태로 멈추므로 초기위치로의 복귀 조작의 간략화가 도모되는 동시에 제 1 케이스와 제 2 케이스를 열었을 때에 회전운동유닛의 방향이 어느 방향으로 되어 있는지에 대해서 일절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없어지는 등, 사용 편리함에 우수하다.
청구항 2의 발명에 따르면, 청구항 1과 똑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제 1 케이스 및 제 2 케이스를 개방하여 바로 카메라에 의해 사용자자신을 촬영할 수 있으며, 또 마이크에 의해 통화음성을 수납하여 통화 응대할 수 있다.
또 개방상태에 있어서, 카메라 또는 마이크를 표시부와 반대측으로 향할 수 있으므로 카메라에 의해 타인이나 풍경을 촬영할 수 있고, 또 마이크에 의해 임장감 있는 음성을 수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청구항 3의 발명에 따르면, 청구항 1과 똑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전화착신 등이 있어도 음량이 작아지는 일없이 지정한 대로의 호출음량으로 통지할 수 있다.
또 개방상태에 있어서 스피커를 표시부와 같은 측으로 향하게 할 수 있으므로 스피커에 의해 동화상·정지화상 등을 음질 좋게 재생할 수 있어 박력 있는 음성으로 즐길 수 있다.

Claims (3)

  1. 표시부를 갖는 제 1 케이스와, 상기 표시부를 덮도록 하여 설치되는 제 2 케이스와, 상기 제 1 케이스와 상기 제 2 케이스를 폴딩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를 구비한 폴더식 휴대정보기기이고,
    상기 힌지부에 전자부품을 내장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케이스를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전자부품이 상기 표시부와 같은 측 또는 반대측의 어느 쪽인가 한쪽을 향하는 초기위치와, 해당 초기위치와는 반대측을 향하는 회전운동위치의 사이에서 회전운동 가능한 회전운동유닛을 설치하고,
    상기 회전운동유닛의 회전운동기구를 상기 회전운동유닛에 대한 직접의 수동조작으로 상기 회전운동유닛을 상기 초기위치와 상기 회전운동위치의 사이에서 회전운동시킬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제 1 케이스와 제 2 케이스를 폴딩할 때에는 상기 회전운동유닛을 상기 제 1 및 제 2 케이스의 폴딩동작에 연동하여 회전운동시켜서 상기 초기위치로 복귀시키고, 상기 제 1 케이스와 제 2 케이스를 개방시킬 때에는 상기 회전운동유닛을 상기 제 1 및 제 2 케이스의 개방동작에는 연동시키지 않고 상기 초기위치에 멈추게 하는 기구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식 휴대정보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부품은 카메라 및 마이크이고, 상기 초기위치에서 상기 표시부와 같은 측을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식 휴대정보기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부품은 스피커이고, 상기 초기위치에서 상기 표시부와 반대측을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식 휴대정보기기.
KR1020030095114A 2002-12-27 2003-12-23 폴더식 휴대정보기기 KR1006799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382021A JP2004214946A (ja) 2002-12-27 2002-12-27 折り畳み式携帯情報機器
JPJP-P-2002-00382021 2002-12-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0747A KR20040060747A (ko) 2004-07-06
KR100679976B1 true KR100679976B1 (ko) 2007-02-08

Family

ID=32708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5114A KR100679976B1 (ko) 2002-12-27 2003-12-23 폴더식 휴대정보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154744B2 (ko)
JP (1) JP2004214946A (ko)
KR (1) KR100679976B1 (ko)
CN (1) CN151273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81257B2 (en) * 2000-01-19 2017-10-03 Sony Mobile Communications Ab Technique for obtaining caller-originated alert signals in IP-based communication sessions
JP2004304560A (ja) * 2003-03-31 2004-10-28 Fujitsu Ltd 電子装置
KR20040091272A (ko) * 2003-04-21 2004-10-28 홍충식 더블 폴더 휴대폰
KR100630098B1 (ko) * 2004-02-20 2006-09-2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US20050193557A1 (en) * 2004-03-03 2005-09-08 Ko Sang-Cheol Method of fabricating an ink-jet print head using a liquid-jet guided laser
KR100617688B1 (ko) * 2004-05-19 2006-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힌지 장치
US20070178949A1 (en) * 2005-07-28 2007-08-02 Kyocera Corporation Mobile Terminal
JP5048249B2 (ja) * 2006-01-27 2012-10-17 任天堂株式会社 ゲーム装置およびゲームプログラム
CN101022030B (zh) * 2006-08-16 2010-12-29 深圳市卓翼科技股份有限公司 带转轴式音箱的开合式播放器
JP4260215B1 (ja) 2007-08-29 2009-04-30 任天堂株式会社 撮像装置
TWI339328B (en) * 2007-10-17 2011-03-21 Inventec Corp Slide type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090156273A1 (en) * 2007-12-14 2009-06-18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Loudspeaker for a Clamshell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N101257689B (zh) * 2008-04-10 2011-03-30 Tcl天一移动通信(深圳)有限公司 一种话筒隐蔽悬挂式手机装置
CN101262511A (zh) * 2008-04-17 2008-09-10 Tcl天一移动通信(深圳)有限公司 一种手机麦克风结构
JP4181211B1 (ja) 2008-06-13 2008-11-12 任天堂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れにおいて実行される起動用プログラム
US8130275B2 (en) * 2008-06-13 2012-03-06 Nintendo Co., Ltd. Information-process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storing a photographing application launch program executed by information-processing apparatus
WO2010038296A1 (ja) * 2008-10-01 2010-04-08 任天堂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ならびに起動用プログラムおよびそれを記憶した記憶媒体
US8359547B2 (en) * 2008-10-01 2013-01-22 Nintendo Co., Ltd. Movable user interface indicator of at least one parameter that is adjustable with different operations for increasing and decreasing the parameter and/or methods of providing the same
US20100225773A1 (en) * 2009-03-09 2010-09-09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entering a photograph without viewing a preview of the photograph
CN101841751A (zh) * 2010-05-17 2010-09-22 苏州佳世达电通有限公司 扬声器装置
JP5341967B2 (ja) * 2011-10-11 2013-11-13 任天堂株式会社 ゲーム装置およびゲームプログラム
EP2590047A1 (en) * 2011-11-04 2013-05-08 Tobii Technology AB Portable device
KR20150005119A (ko) * 2013-07-04 2015-01-14 삼성전자주식회사 마이크로폰 장치를 갖는 전자 장치
JP6473589B2 (ja) * 2013-09-19 2019-02-20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携帯情報端末
US10013031B2 (en) * 2016-09-30 2018-07-03 Dell Products L.P. Systems and methods for mechanically interfacing camera to hinge of information handling system
CN106506742B (zh) * 2016-11-16 2019-12-3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的前置摄像头安装结构及移动终端
KR102481292B1 (ko) * 2018-04-13 2022-12-26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505588B1 (ko) 2018-10-19 2023-03-06 삼성전자 주식회사 거치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00115861A (ko) * 2019-03-28 2020-10-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55995B2 (ja) * 1992-10-23 2002-02-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テレビ電話装置
JP2000253113A (ja) 1999-02-26 2000-09-14 Hitachi Ltd 情報通信端末装置
JP2000253124A (ja) 1999-03-01 2000-09-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撮像機能付き情報携帯端末
JP3483144B2 (ja) 2001-05-31 2004-01-0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カメラ付き携帯端末装置
KR100539527B1 (ko) 2001-06-12 2005-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전화기
JP4578727B2 (ja) * 2001-06-19 2010-11-1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回動機能付きカメラを備えた情報端末装置
KR100438433B1 (ko) * 2001-06-26 2004-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피디에이 겸용 디지털 카메라 통신 휴대 장치
KR100465293B1 (ko) 2002-07-23 2005-01-13 삼성전기주식회사 이동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구동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4214946A (ja) 2004-07-29
CN1512732A (zh) 2004-07-14
US20040137958A1 (en) 2004-07-15
KR20040060747A (ko) 2004-07-06
US7154744B2 (en) 2006-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9976B1 (ko) 폴더식 휴대정보기기
US7151911B2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US7526325B2 (en) Triple-axis rotation folder-type portable apparatus
KR100454965B1 (ko) 폴더가 닫힌 상태에서 카메라 렌즈 개방수단을 구비한휴대용 통신장치
US7003318B2 (en) Mobile phone with camera
JP2004112560A (ja) 携帯電話機
JP2004007553A (ja) 携帯端末
JP2005286430A (ja) 携帯機器
JP2003298698A (ja) 折り畳み式携帯情報端末
KR20050049232A (ko) 휴대용 단말기
JP2005159391A (ja) 開閉式携帯端末装置
TW200524373A (en) A communication apparatus having foldable and turnable housing members
JP2004120727A (ja) 携帯電話機
JP2007311981A (ja) 携帯電話機
CN1852338A (zh) 具摄像功能之便携式电子装置
WO2006070702A1 (ja) 折り畳み式携帯端末装置
KR100516562B1 (ko) 조명 장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JP2005286431A (ja) 携帯機器
KR101122085B1 (ko) 이동 통신 단말기
JP4241565B2 (ja) 撮像装置及びヒンジユニット
KR200326829Y1 (ko) 통합 힌지 모듈
JP2005073080A (ja) 折り畳み型携帯電話
KR20040038022A (ko) 회전형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폰
JP2008252408A (ja) 携帯型電子機器
JP2005167985A (ja) 撮像装置、及び、カメラモジュ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