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5119A - 마이크로폰 장치를 갖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마이크로폰 장치를 갖는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5119A
KR20150005119A KR1020130078462A KR20130078462A KR20150005119A KR 20150005119 A KR20150005119 A KR 20150005119A KR 1020130078462 A KR1020130078462 A KR 1020130078462A KR 20130078462 A KR20130078462 A KR 20130078462A KR 20150005119 A KR20150005119 A KR 201500051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frame
microphone
microphone hole
disposed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8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우철
김주용
정은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784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5119A/ko
Priority to US14/245,350 priority patent/US9215518B2/en
Publication of KR201500051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51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06F1/1605Multimedia displays, e.g. with integrated or attached speakers, cameras, microphon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4Structural association of microphone with electric circuitry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5Transducers incorporated in visual displaying devices, e.g. televisions, computer displays, lapto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Multimedia (AREA)

Abstract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케이스 프레임과, 상기 케이스 프레임의 내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폰 장치 및 상기 케이스 프레임의 상기 마이크로폰 장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 홀을 포함하되, 상기 마이크 홀은 상기 케이스 프레임의 시각적으로 노출되지 않는 영역에 배치하여, 전자 장치의 미려함을 도모하고 제품 신뢰성 향상에 이바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마이크로폰 장치를 갖는 전자 장치{ELECTRONIC DEVICE WITH MICROPHONE DEVICE}
본 개시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고, 더 상세히는 마이크로폰 장치를 갖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 통신 산업의 발달로 말미암아 이동 통신 단말기(스마트 폰), 전자수첩, 개인 복합 단말기, TV(Television), 랩탑 컴퓨터, 태블릿 PC 등의 전자 장치는 현대 사회의 필수품이 되어가면서, 빠르게 변화하는 정보 전달의 중요한 수단이 되고 있다. 이러한 전자 장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GUI(Graphical User Interface) 환경을 통해 사용자의 작업을 편리하게 하고, 웹 환경을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멀티 미디어들을 제공하기에 이르렀다.
상술한 전자 장치는 다양한 부가 기능을 구비하도록 발전하면서, 데이터 입력의 한 방편으로 사용자가 전자 장치에 별도의 키 입력(터치 입력 또는 버튼 입력 등)으로 특정 명령어를 직접 입력하지 않아도,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기 설정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음성인식 기능이 점차 활성화되어 가고 있으며, 음성 인식율이 정확해지도록 경주하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음성 인식을 위하여 전자 장치에는 사용자의 음성을 수집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 유닛이 탑재되는 마이크로폰 장치를 구비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마이크로폰 장치는 음성 인식 기능 이외에도 사용자와 스피커 폰 기능으로 통화를 할 경우 사용자의 음성을 수용할 수 있는 장치로도 사용되고 있다.
마이크로폰 장치는 전자 장치의 케이스 프레임에 형성된 일정 형상의 마이크 홀을 통해 외부의 음성 또는 음향을 수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마이크 홀은 전자 장치의 외부로 노출되어 전자 장치의 외관을 저해할 뿐만 아니라 먼지, 물과 같은 이물질에 의해 그 기능이 점차 저하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마이크로폰 장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이 절실하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마이크로폰 장치를 갖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전자 장치의 미려함을 도모하고, 외부의 이물질로 인한 피해를 방지하는 마이크로폰 장치를 갖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제품 신뢰성 향상에 이바지할 수 있는 마이크로폰 장치를 갖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케이스 프레임과, 상기 케이스 프레임의 내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폰 장치 및 상기 케이스 프레임의 상기 마이크로폰 장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 홀을 포함하되, 상기 마이크 홀은 상기 케이스 프레임의 시각적으로 노출되지 않는 영역에 배치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상기 케이스 프레임은 상기 전자 장치를 지지하는 제1케이스 프레임과, 상기 제1케이스 프레임에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케이스 프레임 및 상기 제1케이스 프레임에서 상기 제2케이스 프레임이 회동되도록 연결하는 힌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마이크 홀은 상기 힌지부에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상기 마이크 홀은 상기 제2케이스 프레임의 회동 동안에 노출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상기 마이크 홀은 상기 제2케이스 프레임이 완전히 개방되었을 때,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상기 힌지부는 상기 제1케이스 프레임 또는 제2케이스 프레임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상기 마이크로폰 장치는 상기 힌지부를 통하여 상기 제1케이스 프레임과 상기 제2케이스 프레임을 전기적으로 연결시켜주는 전기적 연결 수단에 설치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상기 전기적 연결 수단은 가요성 인쇄회로(FPC; Flexible Printed Circuit)일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상기 케이스 프레임은 상기 전자 장치를 지지하는 제1케이스 프레임과, 상기 제1케이스 프레임에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케이스 프레임 및 상기 제1케이스 프레임에서 상기 제2케이스 프레임이 회동되도록 연결하는 힌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마이크 홀은 상기 힌지부에 의해 가려지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상기 마이크 홀은 상기 힌지부에 의해 가려지는 상기 제1케이스 프레임 또는 제2케이스 프레임에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상기 케이스 프레임은 다수의 키패드를 수용하기 위한 키패드 수용홈을 포함하며, 상기 마이크 홀은 상기 키패드 수용홈의 내측벽에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상기 내측벽은 테이퍼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상기 마이크로폰 장치는 상기 다수의 내측벽이 서로 마주보도록 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상기 마이크로폰 장치와 상기 마이크 홀 사이에는 마이크 가이드가 배치되어 외부의 음을 원활하게 전달하도록 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상기 마이크 가이드는 상기 케이스 프레임에 사출시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상기 마이크로폰 장치는 상기 케이스 프레임의 내부에 형성되는 부싱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제1구조체와, 상기 제1구조체와 결합되는 제2구조체와, 상기 제1구조체와 제2구조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부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폰 장치 및 상기 마이크로폰 장치와 대응되는 위치의 구조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 홀을 포함하되, 상기 마이크 홀은 상기 제1구조체와 제2구조체의 경계 부분에 배치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상기 마이크 홀은 시각적으로 보이지 않는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상기 제1구조체와 제2구조체는 상호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마이크 홀은 상기 제1구조체 또는 제2구조체의 회동 동안에 노출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의 미려함을 도모하고 외부의 이물질로 인한 피해를 방지하며 제품 신뢰성 향상에 이바지할 수 있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전면 사시도;
도 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평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폰 장치가 힌지부에 적용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들;
도 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개방된 상태에서 마이크로폰 장치가 힌지부에 적용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및
도 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폰 장치가 제1케이스 프레임에 적용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키 버튼을 구비하는 키패드를 포함하고 링크 구조가 적용될 수 있는 전자 장치를 도시하고 이에 설명하였으나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예컨대, 전자 장치로는 마이크로폰 장치를 포함하는 다양한 기기, 즉,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랩탑 컴퓨터(Laptop Computer), 모바일 폰(Mobile Phone), 스마트폰(Smart Phone), 넷북(Netbook), 휴대 인터넷 장치(MID: Mobile Internet Device), 울트라 모바일 PC(UMPC: Ultra Mobile PC),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노트 PC, 네비게이션, MP3, TV(Television) 등 다양한 장치에 적용 가능하다.
이하,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폰 장치를 갖는 전자 장치에 대해 기술한다. 마이크로폰 장치는 전자 장치에 배치되는 다수개의 마이크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전자 장치의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전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평면도이다.
본 개시에서는 전자 장치(1)로써 노트 PC를 도시하고 이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예컨대, 음성 통화 기능 또는 스피커 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전자 장치에 역시 적용 가능하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는 키패드(11)를 구비하는 제1케이스 프레임(10)과, 디스플레이 모듈(31)을 구비하는 제2케이스 프레임(30) 및 제1케이스 프레임(10)과 제2케이스 프레임(30)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고, 제2케이스 프레임(30)을 일정 각도 회동하도록 구성되는 힌지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케이스 프레임(10)은 장방형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제1케이스 프레임(10)의 외측면은 단차없이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케이스 프레임(10)의 전면(101)에는 다수의 키 버튼(112)을 구비하는 키패드(11)를 수용하기 위한 키패드 수용홈(102)이 형성될 수 있고, 키패드 수용홈(102)의 하측에는 손가락 또는 터치 펜 등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터치 패드(103)가 구비될 수 있다. 터치 패드(103)의 하단에는 터치 입력에 대한 선택키(104) 또는 기능키(105) 등이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케이스 프레임(10)은 전면(101)에서 연장되어 키패드 수용홈(102)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다수의 내측벽(111)을 포함할 수 있다. 내측벽(111)은 용이한 키패드(11)의 사용을 위하여 소정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케이스 프레임(10)의 상측에는 힌지부(20)와 연결되고 제2케이스 프레임(30)을 일정 각도 회동하기 위한 다수의 지지부(12)가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12)는 힌지부(20)와 대응되도록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1 및 도 2와 같이 지지부(12)가 제1케이스 프레임(10)에 배치되는 경우가 아니더라도 무방할 것이다.
제2케이스 프레임(30)은 제1케이스 프레임(10)과 대응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2케이스 프레임(30)의 외측면 역시 단차없이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케이스 프레임(30)은 일정 각도 회동하기 위해 힌지부(20)와 핀 연결될 수 있고, 힌지부(20)를 통해 제2케이스 프레임(30)은 화살표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다. 이러한 제2케이스 프레임(30)은 제1케이스 프레임(10)의 상부에 올려지는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고, 제1케이스 프레임(10)의 키패드(11)와 적어도 일부분이 중첩될 수 있다.
여기서, 제2케이스 프레임(30)이 제1케이스 프레임(10)을 기준으로 회동하여 제1케이스 프레임(10)의 키패드(11)와 겹치는 상태가 되었을 경우를 폐쇄되었다고 기술할 것이며, 제2케이스 프레임(30)이 제1케이스 프레임(10)을 기준으로 회동하여 제1케이스 프레임(10)의 키패드(11)가 터치에 의해 사용하기 용이한 도 1의 상태일 경우를 개방되었다고 기술할 것이다.
제2케이스 프레임(30)의 전면에는 데이터 입출력을 위한 디스플레이 모듈(31)이 배치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모듈(31)의 상측에는 제2케이스 프레임(30)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근접 센서(32) 및 카메라 장치(33) 등이 배치될 수 있다.
힌지부(20)는 제1케이스 프레임(10)에서 일체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힌지부(20)는 제1케이스 프레임(10)과 제2케이스 프레임(30)을 전기적으로 연결시켜주는 전기적 연결 수단(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미도시되었지만 힌지부(20)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전기적 연결 수단은 FPC(Flexible Printed Circuit) 또는 케이블 등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전기적 연결 수단으로 인해 제1케이스 프레임(10)과 제2케이스 프레임(30)은 전기적으로 결속될 수 있는 것이다.
본 개시에 따르면, 마이크로폰 장치는 전자 장치(1)의 힌지부(20) 또는 제1케이스 프레임(10)의 적소에 설치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 장치는 시각적으로 노출되지 않는 위치에 구성될 수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마이크로폰 장치가 힌지부(20)에 설치되는 경우 마이크로폰 장치는 제1케이스 프레임(10)과 제2케이스 프레임(30)의 경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마이크로폰 장치는 힌지부(20)의 중앙에서 약 3.5cm 이격된 위치에 좌우로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 장치가 제1케이스 프레임(10)에 설치되는 경우 마이크로폰 장치는 제1케이스 프레임(10)의 전면(101)에서 연장되어 키패드 수용홈(102)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다수의 내측벽(111)에 하나 또는 그 이상 설치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 장치가 다수의 내측벽(111)에 설치될 경우, 다수의 내측벽(111)이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a 및 도 3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폰 장치가 힌지부에 적용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3a를 참고하면, 전자 장치(1)는 제2케이스 프레임(30)이 회동하여 제1케이스 프레임(10) 상부에 중첩되는 방식으로 배치되는 폐쇄된 상태이다. 이 경우 제1케이스 프레임(10)의 키패드(11) 및 터치 패드(103)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며, 제2케이스 프레임(30)의 디스플레이 모듈(31)은 제1케이스 프레임(10)의 외측면과 맞닿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케이스 프레임(10)의 하부에는 전자 장치(1)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부재(106)가 더 배치될 수 있다.
도 3b는 도 3a의 참조번호 B의 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3b를 참고하면, 마이크로폰 장치(40)는 힌지부(20)의 내부 공간(21)에 설치될 수 있다. 힌지부(20)는 제2케이스 프레임(30)에서 일체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 장치(40)는 힌지부(20)의 내부 공간(21)에 형성 또는 설치되는 부싱(bushing)(23)에 의해 고정될 수 있고, 전자 장치(1)의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마이크로폰 장치(40)는 힌지부(20)의 내부 공간(21)으로부터 외면까지 형성된 일정 형상의 마이크 홀(24)을 통해 외부의 음성 또는 음향을 수용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 장치(40)와 마이크 홀(24) 사이에는 마이크 홀(24)에서 수집되는 음성 또는 음향을 마이크로폰 장치(40) 방향으로 유도하기 위한 가이드 수단(22)이 더 설치되거나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 수단(22)은 제2케이스 프레임(30)에 사출시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전자 장치(1)가 폐쇄 상태인 경우 마이크 홀(24)은 힌지부(20)의 하측에 위치하게 되므로 시각적으로 노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마이크로폰 장치(40)는 전자 장치(1)의 외관상에 어떠한 방해도 되지 않으며, 마이크로폰 장치(40)로 유입되는 물 또는 먼지와 같은 이물질에 대한 피해를 줄일 수 있는 것이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케이스 프레임(30)에 형성된 힌지부(20)에 마이크 홀(24)이 형성되는 구성을 가지고 있으나, 힌지부(20)가 회동하더라도 노출되지 않는 제1케이스 프레임(10)의 대응 위치에도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케이스 프레임(10)과 제2케이스 프레임(30)이 상호 회동 가능하게 접철되는 구성을 도시하고 기재하였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마이크 홀(24)은 두 개 이상의 케이스 프레임이 상호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에도 시각적으로 노출되지 않는 케이스 프레임들의 결합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케이스 프레임(10)과 제2케이스 프레임(30)이 상호 접철 방식(foldable type)으로 회동되는 구성에 대하여 기재하고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마이크 홀(24)은 적어도 두 개의 케이스 프레임이 슬라이딩 타입(sliding type), 팝업 타입(pop-up type), 스위블 타입(swible type) 등 다양한 회동 방식으로 구성되더라도 케이스 프레임들의 결합 부분 중 시각적으로 노출되지 않는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개방된 상태에서 마이크로폰 장치가 힌지부에 적용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전자 장치(1)는 제2케이스 프레임(30)이 일정 각도 회동하여 디스플레이 모듈(31)을 사용할 수 있는 상태이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마이크로폰 장치(40)는 힌지부(20)의 내부 공간(21)에 설치될 수 있다. 힌지부(20)는 제2케이스 프레임(30)에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 장치(40)는 다수의 마이크 유닛을 가질 수 있으며, 마이크 유닛은 힌지부(20)의 내부 공간(21)에 형성 또는 설치되는 부싱(23)에 의해 고정될 수 있고, 전자 장치(1)의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마이크로폰 장치(40)는 힌지부(20)의 내부 공간(21)으로부터 외면까지 형성된 일정 형상의 마이크 홀(24)을 통해 외부의 음성 또는 음향을 수용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 장치(40)와 마이크 홀(24) 사이에는 마이크 홀(24)에서 수집되는 음성 또는 음향을 마이크로폰 장치(40) 방향으로 유도하기 위한 가이드 수단(22)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 수단(22)은 제2케이스 프레임(30)에 사출시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전자 장치(1)가 개방 상태인 경우 마이크 홀(24)은 힌지부(20)의 측면에 위치하게 되므로 시각적으로 노출되지 않는다. 또한, 마이크로폰 장치(40)는 주변 노이즈를 최대한 억제시키는 형태로 구성되어 정확한 음성을 수용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마이크 홀(24)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케이스 프레임(30)이 제1케이스 프레임(10)에서 최대 개폐 위치에 놓이더라도 외부에 시각적으로 노출되지 않는 힌지부(20)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케이스 프레임(30)이 최대 폐쇄 위치 또는 개방 위치에 놓일 경우, 마이크 홀(24)이 노출될 수 있는 상태라면, 마이크 홀(24)이 형성되지 않은 대응 케이스 프레임에 마이크 홀(24)을 가릴 수 있는 별도의 부재가 설치되거나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폰 장치가 제1케이스 프레임에 적용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마이크로폰 장치(40)는 제1케이스 프레임(10)의 내부 공간(110)에 설치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 장치(40)는 제1케이스 프레임(10)에서 연장되어 키패드 수용홈(102)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다수의 내측벽(111)에 하나 또는 그 이상 설치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 장치(40)는 다수의 마이크 유닛을 가질 수 있으며, 마이크 유닛은 제1케이스 프레임(10)의 내부 공간(110)에 형성되는 부싱(108)에 의해 고정될 수 있고, 전자 장치(1)의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마이크로폰 장치(40)는 제1케이스 프레임(10)의 내측벽(111)에 형성된 일정 형상의 마이크 홀(109)을 통해 외부의 음성 또는 음향을 수용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 장치(40)와 마이크 홀(109) 사이에는 마이크 홀(109)에서 수집되는 음성 또는 음향을 마이크로폰 장치(40) 방향으로 유도하기 위한 가이드 수단(107)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 수단(107)은 제1케이스 프레임(10)에 사출시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전자 장치(1)의 마이크 홀(109)은 제1케이스 프레임(10)의 내측벽(111)에 위치하게 되므로 시각적으로 노출되지 않는다. 또한, 마이크로폰 장치(40)는 주변 노이즈를 최대한 억제시키는 형태로 구성되어 정확한 음성을 수용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 홀이 케이스 프레임의 시각적으로 노출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는 구성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마이크로폰 장치 대신 스피커 장치나 리시버가 설치될 수 있다면 마이크 홀 대신 스피커 홀이 동일한 구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분명히, 청구항들의 범위내에 있으면서 이러한 실시예들을 변형할 수 있는 많은 다양한 방식들이 있다. 다시 말하면, 이하 청구항들의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개시를 실시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들이 있을 수 있을 것이다.
1: 전자 장치 10: 제1케이스 프레임
11: 키패드 12: 지지부
20: 힌지부 30: 제2케이스 프레임
31: 디스플레이 모듈 32: 근접 센서
33: 카메라 장치 40: 마이크로폰 장치

Claims (18)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케이스 프레임;
    상기 케이스 프레임의 내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폰 장치; 및
    상기 케이스 프레임의 상기 마이크로폰 장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 홀을 포함하되,
    상기 마이크 홀은 상기 케이스 프레임의 시각적으로 노출되지 않는 영역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프레임은,
    상기 전자 장치를 지지하는 제1케이스 프레임;
    상기 제1케이스 프레임에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케이스 프레임; 및
    상기 제1케이스 프레임에서 상기 제2케이스 프레임이 회동되도록 연결하는 힌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마이크 홀은 상기 힌지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 홀은 상기 제2케이스 프레임의 회동 동안에 노출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 홀은 상기 제2케이스 프레임이 완전히 개방되었을 때,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제1케이스 프레임 또는 제2케이스 프레임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폰 장치는 상기 힌지부를 통하여 상기 제1케이스 프레임과 상기 제2케이스 프레임을 전기적으로 연결시켜주는 전기적 연결 수단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연결 수단은 가요성 인쇄회로(FPC; Flexible Printed Circui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프레임은,
    상기 전자 장치를 지지하는 제1케이스 프레임;
    상기 제1케이스 프레임에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케이스 프레임; 및
    상기 제1케이스 프레임에서 상기 제2케이스 프레임이 회동되도록 연결하는 힌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마이크 홀은 상기 힌지부에 의해 가려지는 부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 홀은 상기 힌지부에 의해 가려지는 상기 제1케이스 프레임 또는 제2케이스 프레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프레임은 다수의 키패드를 수용하기 위한 키패드 수용홈을 포함하며, 상기 마이크 홀은 상기 키패드 수용홈의 내측벽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벽은 테이퍼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폰 장치는 상기 다수의 내측벽이 서로 마주보도록 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폰 장치와 상기 마이크 홀 사이에는 마이크 가이드가 배치되어 외부의 음을 원활하게 전달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 가이드는 상기 케이스 프레임에 사출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폰 장치는 상기 케이스 프레임의 내부에 형성되는 부싱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6. 제1구조체;
    상기 제1구조체와 결합되는 제2구조체;
    상기 제1구조체와 제2구조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부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폰 장치; 및
    상기 마이크로폰 장치와 대응되는 위치의 구조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 홀을 포함하되,
    상기 마이크 홀은 상기 제1구조체와 제2구조체의 경계 부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 홀은 시각적으로 보이지 않는 부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조체와 제2구조체는 상호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마이크 홀은 상기 제1구조체 또는 제2구조체의 회동 동안에 노출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KR1020130078462A 2013-07-04 2013-07-04 마이크로폰 장치를 갖는 전자 장치 KR2015000511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8462A KR20150005119A (ko) 2013-07-04 2013-07-04 마이크로폰 장치를 갖는 전자 장치
US14/245,350 US9215518B2 (en) 2013-07-04 2014-04-04 Electronic device having microphon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8462A KR20150005119A (ko) 2013-07-04 2013-07-04 마이크로폰 장치를 갖는 전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5119A true KR20150005119A (ko) 2015-01-14

Family

ID=52132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8462A KR20150005119A (ko) 2013-07-04 2013-07-04 마이크로폰 장치를 갖는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215518B2 (ko)
KR (1) KR2015000511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4076A (ko) * 2015-09-18 2017-03-2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기능 제어 방법
CN108196619B (zh) * 2017-12-18 2019-12-03 重庆南米电子商务有限公司 一种电子产品
CN108243361A (zh) * 2018-01-02 2018-07-03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声音采集装置及电子设备
US20190234348A1 (en) * 2018-01-29 2019-08-01 Hytech Power, Llc Ultra Low HHO Injection
US10942548B2 (en) * 2018-09-24 2021-03-09 Apple Inc. Method for porting microphone through keyboard
US20200120416A1 (en) * 2019-12-16 2020-04-16 Intel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to detect an audio source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00089A (en) * 1972-02-24 1974-03-26 Itt Hands-free emergency telephone system
JPH03160851A (ja) * 1989-11-20 1991-07-10 Fujitsu Ltd 携帯電話機
US5832079A (en) * 1996-05-03 1998-11-03 Ericsson Inc. Acoustic horn for use in cellular flip phones
SE508866C2 (sv) * 1997-03-06 1998-11-09 Ericsson Telefon Ab L M Portabel talkommunikationsapparat med ljudkanal i utfällbar lucka
US6965790B1 (en) * 1997-06-23 2005-11-15 Ericsson Inc. Acoustic pipe for flip style cellular telephone
JP3941933B2 (ja) * 2002-08-26 2007-07-1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開閉式の通信端末およびヒンジ装置
JP2004214946A (ja) * 2002-12-27 2004-07-29 Casio Comput Co Ltd 折り畳み式携帯情報機器
US7010333B2 (en) * 2003-02-19 2006-03-07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Radiotelephone terminal with dual-sided keypad apparatus
KR100834626B1 (ko) * 2004-05-06 2008-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자기 거치 기능을 구비한 슬라이딩/스윙 타입 휴대 장치
US7349723B2 (en) * 2004-05-28 2008-03-25 Research In Motion Limited Keypad and microphone arrangement
US20060238503A1 (en) 2004-09-18 2006-10-26 Smith Jerome W Deputy series-music cinema or transfortainment PC (phirst classic) or Digi-Tasking Mobile-Cycle devices for maximum digital mobilosity or the digital entertaining PC or the all digital activity center or satellite entertainment mogul or satellite entertainment PC (phirst classic)
KR100640321B1 (ko) * 2004-10-18 2006-10-30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모듈
KR100689410B1 (ko) * 2005-01-07 2007-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의 반 자동 슬라이딩 장치
US7526326B2 (en) * 2005-05-13 2009-04-28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Handheld wireless communicators with reduced free-space, near-field emissions
US7925004B2 (en) * 2006-04-27 2011-04-12 Plantronics, Inc. Speakerphone with downfiring speaker and directional microphones
US7664284B2 (en) * 2006-09-14 2010-02-16 Fortemedia, Inc. Microphone array in housing
US8311255B2 (en) * 2007-01-05 2012-11-13 Apple Inc. Headset with microphone and connector co-location
US20080240471A1 (en) * 2007-03-30 2008-10-02 Fortemedia, Inc. Electronic device including internal microphone array
US8155364B2 (en) * 2007-11-06 2012-04-10 Fortemedia, Inc. Electronic device with microphone array capable of suppressing noise
US20090156273A1 (en) * 2007-12-14 2009-06-18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Loudspeaker for a Clamshell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KR20090065006A (ko) * 2007-12-17 2009-06-2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개형 스피커를 갖는 휴대단말
US8135155B2 (en) * 2008-04-30 2012-03-13 Fortemedia, Inc. Electronic device with internal array microphone affixed to rear cover of display
KR20110022365A (ko) * 2009-08-27 2011-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2 개의 힌지축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US8744109B2 (en) * 2011-02-08 2014-06-03 Qualcomm Incorporated Hidden microphones for a mobile computing device
US9191735B2 (en) * 2012-06-08 2015-11-17 Apple Inc. Microphone features relating to a portable computing device
US20140112517A1 (en) * 2012-10-18 2014-04-24 Apple Inc. Microphone features related to a portable comput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215518B2 (en) 2015-12-15
US20150010192A1 (en) 2015-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60525B2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multiple displays
KR20150005119A (ko) 마이크로폰 장치를 갖는 전자 장치
KR101331346B1 (ko) 전자기기
KR102108118B1 (ko) 커버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2194305B1 (ko) 곡형 디스플레이 모듈을 갖는 전자 장치
US20090286575A1 (en) Portable apparatus
KR20140050912A (ko) 전자 장치를 위한 마이크로폰 장치
KR20120120661A (ko) 연성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사용하는 이동 단말기
US20210126345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lot antenna module
KR20090004567A (ko) 표시 장치 및 전자기기
US8073505B2 (en)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with dual hinges
JP4909827B2 (ja) 携帯電子機器
US11836011B2 (en) Foldable multimedia terminal
US10659577B2 (en) Hinge for a foldable-type mobile device
US9535546B2 (en) Cover device having input unit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cover device
US9977528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touch sensor
JP5198179B2 (ja) 携帯端末
WO2012014261A1 (ja) 電子機器及びその製造方法
CN111405088B (zh) 终端设备
JP4182067B2 (ja) 折り畳み式電子機器及び折り畳み式電子機器の筐体突き当て構造
KR20150049361A (ko) 터치 패드를 갖는 전자 장치
JP5214812B1 (ja) 電子機器
JP5266121B2 (ja) 携帯電子機器
US8099143B2 (en) Cellular phone capable of being biaxial pivotal
GB2434275A (en) Electronic device with rotary and linear movement between two par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