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4567A - 표시 장치 및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및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4567A
KR20090004567A KR1020080060786A KR20080060786A KR20090004567A KR 20090004567 A KR20090004567 A KR 20090004567A KR 1020080060786 A KR1020080060786 A KR 1020080060786A KR 20080060786 A KR20080060786 A KR 20080060786A KR 20090004567 A KR20090004567 A KR 200900045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isplay panel
panel
display devic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0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85080B1 (ko
Inventor
다카시 이이지마
소노마사 고바야시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045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45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50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50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06F1/162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changing, e.g. reversing, the face orientation of the screen with a two degrees of freedom mechanism, e.g. for folding into tablet PC like position or orienting towards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user to show to a second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3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the transmission of signal or power between the different housings, e.g. details of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passage of cab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8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ending/receiving arrangement to establish a cordless communication link, e.g. radio or infrared link, integrated cellular phon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onitor
    • G06F2200/1614Image rotation following screen orientation, e.g. switching from landscape to portrait m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징 내에 전자 부품용의 스페이스를 설치하는 동시에, 하우징 내에 표시 패널을 틈 없이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는 표시 장치 및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화면을 갖는 표시 패널과 표시 패널 양측 테두리에 부착된 탄성 부품을 갖는 표시 모듈과, 표시 모듈의 외형보다도 넓고 표시 모듈의 외형에 맞춘 위치에 서로 이간하여 세워 설치된 탄성 부재에 접하여 서로 간에 표시 모듈을 유지하는 복수의 유지 돌기를 갖는 하우징 케이스를 구비한다.
본체 유닛, 표시 화면, 표시 모듈, 탄성 부재, L자 돌기, 보조 돌기

Description

표시 장치 및 전자기기{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본 발명은 하우징 케이스 내에 표시 패널이 수용된 표시 장치 및 그러한 표시 장치를 구비한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전화기나 랩톱(laptop)형의 퍼스널 컴퓨터 등과 같이,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장치가 구비되는 휴대형의 전자기기가 널리 이용되어 오고 있다. 휴대형의 전자기기에서는 장치의 소형화 및 경량화가 강하게 요망되고 있어, 액정 패널을 이용한 박형의 표시 장치가 널리 적용되고 있다.
이 액정 패널은 표시 화면이나 광원이나 제어회로 등을 적층하여 구성되어 있어, 액정 패널을 이용한 표시 장치에서는 외관을 정비하거나, 파손을 회피하기 위한 목적으로 액정 패널이 하우징 내에 수용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액정 패널을 하우징 내에 고정하는 방법으로서는, 액정 패널에 금속성의 리브(rib)를 설치하고, 그 리브를 하우징에 나사 고정하는 것 등이 행하여지고 있다. 그러나, 휴대형의 전자기기는 들고다니는 경우가 많이 때문에, 액정 패널을 하우징에 강하게 나사 고정해 버리면, 떨어뜨렸을 때에 파손해버리거나, 하우징과 액정 패널 사이의 작은 틈으로 물이 들어가 버릴 우려가 있다.
이 점에 관하여, 특허문헌 1에서는 하우징의 내벽이 딱 맞는 외형을 갖는 탄성 부재로 액정 패널의 외주를 둘러싸고, 탄성 부재가 부착된 액정 패널을 하우징 내에 수용하는 부착 구조에 대해서 기재되어 있다. 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부착 기구에 의하면, 액정 패널을 확실하게 하우징 내에 고정할 수 있는 동시에, 액정 패널의 내충격성과 방수성을 높일 수 있다.
그런데, 최근 휴대 전화기뿐만 아니라 랩톱형의 퍼스널 컴퓨터에도 통신 기능이나 촬영 기능이 탑재되어 오고 있다. 통신 기능이나 촬영 기능이 탑재된 퍼스널 컴퓨터에서는 안테나나 카메라 등의 전자 부품이 표시 장치의 하우징 내에 일체로 형성되고, 전자 부품에서 얻어진 정보를 본체에 보내기 위한 신호선이 표시 패널의 옆쪽에 배치되는 경우가 많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부착 기구에서는, 표시 패널의 옆쪽에 신호선을 배치하기 위한 스페이스를 설치할 수 없기 때문에, 이러한 전자기기에 적용하는 것이 곤란하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내충격성이나 방수성을 유지하고, 하우징 내에 신호선 배치용의 스페이스를 설치하는 방법으로서, 큰 하우징 내에 탄성 부재가 부착된 표시 패널을 배치하고, 전자 부품이나 신호선을 배치한 후에 표시 패널의 측면과 하우징 사이에 부재를 끼워 넣어, 표시 패널을 하우징에 고정하는 것도 행하여지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평9-115378호 공보
그러나, 표시 패널과 하우징 사이에 부재를 끼워 넣어 틈을 메우는 작업은 매우 번거롭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술한 방법에서는 안테나 등의 전자 부품을 표시 패널보다도 먼저 하우징 내에 배치할 필요가 있어, 제조 공정이 한정되어버리는 문제도 있다.
또한, 이러한 문제는 퍼스널 컴퓨터나 휴대 전화기에만 발생하는 문제가 아니라, 표시 패널이 하우징 내에 수용된 표시 장치에 일반적으로 발생하는 문제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사정을 감안하여, 하우징 내에 전자 부품용 스페이스를 설치하는 동시에, 하우징 내에 표시 패널을 틈 없이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는 표시 장치 및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표시 장치는,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화면을 갖는 표시 패널과 표시 패널 양측 테두리에 부착된 탄성 부품을 갖는 표시 모듈과, 표시 모듈의 외형보다도 넓고 표시 모듈의 외형에 맞춘 위치에 서로 이간하여 세워 설치된 탄성 부재에 접촉하여 서로 간에 표시 모듈을 유지하는 복수의 유지 돌기를 갖는 하우징 케이스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표시 장치에서는 하우징 케이스가 표시 모듈의 외형보다도 크기 때문에, 유지 돌기와 하우징 케이스 사이에는 틈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표 시 모듈을 하우징 케이스 내의 유지 돌기 사이에 끼워 넣는 것만으로, 하우징 케이스와 표시 모듈 사이에 전자 부품 등을 배치하기 위한 스페이스를 비우고, 하우징 케이스에 표시 모듈을 고정할 수 있다. 표시 패널에 탄성 부품이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표시 장치가 낙하했을 때 등에 표시 패널에 걸리는 충격을 억제할 수 있는 동시에, 표시 패널과 하우징 케이스 사이에 물이나 먼지가 들어가버리는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표시 장치에서, 표시 패널은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것이며, 탄성 부품은 표시 패널의 직사각형의 4 모서리를 덮는 것으로서, 유지 돌기는 4 모서리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표시 패널의 4 모서리가 탄성 부재를 통하여 유지 돌기에 끼워 넣어짐으로써, 표시 패널을 하우징 케이스에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는 동시에, 표시 패널의 내충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표시 장치에서, 상기 하우징 케이스가 유지 돌기를 포함하여 표시 모듈의 배면을 덮는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제 1 부재와, 제 1 부재의 주위로 넓어지는 비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제 2 부재를 갖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최근, 랩톱형의 퍼스널 컴퓨터에 통신 기능이 구비되어 오고 있다. 랩톱형의 퍼스널 컴퓨터는 옥외 등에 들고다니는 경우가 상정(想定)되기 때문에, 하우징 케이스를 강도 높은 금속 등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도전성 재료인 금속은 전파를 통과시키지 않기 때문에, 전체 면이 금속으로 형성된 하우징 케 이스에서는 통신용의 안테나를 하우징 내에 내장하여 은폐(隱蔽)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표시 장치에서는, 표시 모듈의 배면은 고강도의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제 1 부재로 덮이고, 전파를 통과시키는 비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제 2 부재에 의해, 표시 모듈의 측면에 스페이스가 형성되기 때문에, 그 스페이스에 안테나 등을 내장할 수 있다. 또한, 제 1 부재가 도전성 재료로 구성됨으로써, 전파의 실드(shield)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표시 장치에서, 하우징 케이스의 제 2 부재로 생성된 부분에 전자 부품을 구비한 것이 적합하다.
이 적합한 표시 장치에 의하면, 표시 모듈의 옆쪽에 전자 부품이 배치되는 것으로 되어 표시 장치를 박형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표시 장치에서, 상기 전자 부품이 무선 통신용 안테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부재로 생성된 부분은 전파를 통과시키기 때문에, 그 부분에 무선 통신용 안테나가 배치됨으로써, 통신을 실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표시 장치에서, 하우징 케이스에 유지되어 표시 모듈을 둘러싸고, 표시 모듈의 테두리와 하우징 케이스 사이를 덮는 전방 케이스를 더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 케이스와 별도로 전방 케이스가 구비됨으로써, 수리나 부품 교환 시 등에 액정 모듈을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표시 장치에서, 상기 유지 돌기는 상기 제 2 부재에 나사로 고정된 것이며, 탄성 부품은 하우징에 유지된 상태에서의 나사에 대응하는 위치에 나사와의 간섭을 피하는 절결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 부재의 하우징에 유지된 나사에 대응하는 부분에 나사의 간섭을 피하는 절결부가 설치됨으로써, 장치 폭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표시 장치에서, 상기 표시 모듈은 표시 패널 배면에 표시 패널과 동일 폭을 갖는 표시 화면 상의 표시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 회로가 탑재된 회로 기판을 더 구비하고, 탄성 부품은 표시 패널과 회로 기판을 일체로 한 쌍방의 양측 테두리에 부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시 모듈과 회로 기판이 탄성 부품에 의해 일체적으로 고정됨으로써, 표시 장치를 박형화할 수 있는 동시에, 표시 장치의 조립이 용이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표시 장치에서, 상기 패널이 표시 화면에 더하여 표시 화면의 정보가 표시되는 표시 면의 이면(裏面) 측에, 표시 면 상의 접촉 위치를 검출하는 터치 패널을 구비한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터치 패널은 터치 펜 등에 접촉된 위치를 확실하게 검출하기 때문에, 표시 화면과 틈 없이 겹쳐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적합한 표시 장치에 의하면, 표시 화면과 터치 패널 사이에 먼지 등이 혼입해버리는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전자기기는, 상기의 표시 장치와, 표시 정보를 생성하여 표시 장치의 표시 모듈에 표시 정보를 보내는 정보 처리 회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전자기기에 의하면, 하우징 내에 전자 부품용의 스페이스를 설치하는 동시에, 하우징 내에 표시 패널을 틈 없이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기기에서, 정보 처리 회로를 내장한 연산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표시 장치가 연산 장치에 개폐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시 장치와 연산 장치가 개폐 가능하게 연결된 전자기기는, 작게 접어서 들고다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표시 패널의 내충격성을 높일 수 있는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해 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기기에서, 상기 표시 장치는 연산 장치에 대하여 개폐 가능하게 또한 열린 상태에서 연산 장치 윗면에 수직인 회전축의 주위로 회전 가능한 2축의 연결 부재를 개재시켜 연산 장치에 연결된 것인 것이 적합하다.
최근, 키보드 등을 사용한 일반적인 입력 조작에 더하여, 터치 펜 등으로 표시 화면 상을 지정함으로써 지시를 입력할 수 있는 태블릿형(tablet)의 퍼스널 컴퓨터가 개발되어 오고 있다. 이 적합한 전자기기에 의하면, 예를 들어 태블릿 기능을 이용할 경우에는, 표시 장치를 연산 장치에 대하여 열어서 회전시키고, 또한 표시 장치를 닫아서 연상 장치 상에 겹쳐서 표시 화면을 외측으로 향하는 것이 가능하여,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기기는, 상기 표시 화면에 연산 장치에 대하여 표시 장치를 연 제 1 사용 상태에서는, 회전축의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서 정보를 표시하는 제 1 표시 모드로 정보를 표시하고, 표시 장치를 연산 장치 상에 표시 화면을 외측 으로 향하여 포갠 제 2 사용 상태에서는, 회전축과 수직인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서 정보를 표시하는 제 2 표시 모드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전환 회로를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태블릿형의 퍼스널 컴퓨터에서, 키보드 등을 사용한 일반적인 사용 상태(제 1 사용 상태)에서는, 회전축의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서 표시 화면을 가로로 긴 상태에서 사용하고, 태블릿 기능을 사용할 경우(제 2 사용 상태)에서는, 회전축과 수직인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서 표시 화면을 세로로 긴 상태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요망이 높다. 본 발명의 전자기기에 의하면, 제 1 사용 상태 및 제 2 사용 상태 각각의 용도에 맞는 방향에서 정보를 표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2개의 하우징이 개폐 가능 및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전자기기에서 하우징을 회전시킬 때의 파손을 회피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된 퍼스널 컴퓨터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퍼스널 컴퓨터(10)는 전자유도형 디지타이저(digitizer)를 표시 화면(31)의 뒤편에 탑재하고,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으로 지시된 표시 화면(31) 상의 위치를 검출함으로써 지시 입력을 가능하게 하는 입력 디바이스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 입력 디바이스로서, 디지타이저와 스타일러스 팬에 대체하여 표시 화면(31) 상에 탑재하는 터치 패널을 채용하여도 좋다.
퍼스널 컴퓨터(10)는 본체 유닛(20)과 표시 유닛(30)을 구비하고 있고, 이들 본체 유닛(20)과 표시 유닛(30)은 표시 유닛(30)이 본체 유닛(20)에 대하여 화살표 A-A방향으로 개폐 가능 및 화살표 B-B방향(본체 유닛(20)에 대하여 수직인 회전 축의 주위)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도록, 2축의 연결 유닛(40)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 도 1에는 표시 유닛(30)이 본체 유닛(20)에 대하여 열린 상태(개방 상태)에 있는 퍼스널 컴퓨터(10)가 도시되어 있고, 이 열린 상태는 본 발명에서 말하는 제 1 사용 상태에 해당한다. 또한, 본체 유닛(20)은 본 발명에서 말하는 연산 장치의 일례에 해당하고, 표시 유닛(30)은 본 발명에서 말하는 표시 장치의 일례에 해당한다.
본체 유닛(20)에는 키보드(21), 트랙 패드(22), 좌클릭 버튼(23), 우클릭 버튼(24)이 구비되어 있고, 또한 표시 유닛(30)이 개폐 및 회전될 때 충돌에 의한 마모를 경감하기 위해서, 고무제의 표시 유닛 리시버(3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체 유닛(20)의 일 측면에는 CD나 DVD 등의 광디스크를 탑재하고 구동하여 액세스하는 광디스크 드라이브(26)의 개폐 덮개(26a)가 구비되어 있고, 그 개폐 덮개(26a)에는 그것을 누름으로써 그 개폐 덮개(26a)가 열리는 이젝트(eject) 버튼(26b)이 설치되어 있다.
퍼스널 컴퓨터(10)의 표시 유닛(30)은 그 앞면에 표시 화면(31)이 펼쳐져 있다. 표시 유닛(30)에는 그 표시 화면(31)보다도 하방의 우측 단에 몇 개의 누름 버튼(32)이 설치되어 있고, 좌측 단에는 손끝을 덧댐으로써 지문 인증을 행하는 지문 센서(33)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표시 유닛(30)은 전방 케이스(32A) 및 후방 케이스(32B)에 의해 표시 화면(31)이 앞뒤로부터 끼워져 있고, 전방 케이스(32A)와 후방 케이스(32B)로 구성된 공간 내에는 통신을 행하기 위한 안테나(후술함) 등이 배치되어 있다. 전방 케이스(32A)는 본 발명에서 말하는 전방 케이스의 일례에 해당하고, 후방 케이스(32B)는 본 발명에서 말하는 하우징 케이스의 일례에 해당한다. 도 1에 도시한 열린 상태에서는 표시 화면(31) 상에 표시 유닛(30)의 회전축의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서 정보가 표시된다.
도 2는 표시 유닛(30)이 본체 유닛(20) 상에 닫힌 상태의 전자장치를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2에서, 표시 유닛(30)은 표시 화면(31)(도 1 참조)을 본체 유닛(20)을 향해서 포갠 상태이다. 이하에서는 이것을 제 1 닫힌 상태라 칭한다.
도 1에 도시한 통상의 상태에서, 표시 유닛(30)이 화살표 A방향으로 닫히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 화면(31)이 내측으로 은폐(隱蔽)되어, 표시 화면(31)에 대한 이면이 외측으로 드러내진 제 1 닫힌 상태가 된다. 이 제 1 닫힌 상태에서는 표시 화면(31)의 오염 및 파손을 회피하여 퍼스널 컴퓨터(10)를 들고다닐 수 있다.
도 3은 표시 유닛을 본체 유닛에 대하여 거의 90°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이다.
표시 유닛(30)을 이 상태를 경유하여, 또한 표시 화면(31)이 키보드(21)와는 반대 측을 향하도록 돌릴 수 있다.
도 4는 표시 유닛이 표시 화면 위를 향하여 본체 유닛에 포개진 상태를 나타 내는 외관 사시도이다.
표시 유닛(30)을 도 3에 도시한 자세를 경유하여 표시 화면(31)이 키보드(21)와는 반대 측을 향하도록 돌리고, 그 상태에서 그 표시 유닛(30)의 표시 화면(31)에 대한 이면을 본체 유닛(20)을 향하여 표시 유닛(30)을 본체 유닛(20)에 포개면, 도 4에 도시한 제 2 닫힌 상태가 된다. 이 제 2 닫힌 상태는 본 발명에서 말하는 제 2 사용 상태의 일례에 해당한다. 이하에서는 제 2 닫힌 상태에서 퍼스널 컴퓨터(10)를 사용하는 조작 모드를 태블릿 모드라 칭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 표시 화면(31)은 그 뒤편에 전자유도형 디지타이저를 구비하여 표시 화면상에 위치를 검출하는 펜 입력 기능 첨부의 표시 화면이며, 보통은 이 태블릿 양식에 있는 퍼스널 컴퓨터(10)를 한쪽 팔에 안고, 다른 쪽 손에 펜(도시 생략)을 들고 표시 화면을 조작하는 사용 상태가 채용된다. 이 태블릿 양식에 있는 퍼스널 컴퓨터(10)를 팔에 안았을 때의 시선과의 관계로부터, 도 1에 나타내는 통상의 상태와 비교하여 표시 화면(31) 상의 표시 화상은 90°로 그 방향이 회전되어 있다. 즉, 태블릿 양식에서는 표시 화면(31) 상에 표시 유닛(30)의 회전축과 수직인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서 정보가 표시된다.
이어서, 퍼스널 컴퓨터(10)의 내부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퍼스널 컴퓨터(10)의 내부 구성도이다.
퍼스널 컴퓨터(10)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종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CPU(101), 하드디스크 장치(103)에 저장된 프로그램이 판독되어 CPU(101)에서의 실행을 위해 전개되는 주메모리(102), 각종 프로그램이나 데이터 등이 보존된 하드디 스크 장치(103), 정보 표시에 관한 처리를 담당하는 표시 기구(104), 도 1에도 도시한 지문 센서(33), 키보드(21)이나 트랙 패드(22) 등을 포함하는 조작자(106), 소형 기록매체(200)가 장전되어, 장전된 소형 기록매체(200)를 액세스하는 소형 기록매체 드라이브(108), CD-ROM(210)이나 DVD가 장전되어, 그 장전된 CD-ROM(210)이나 DVD를 액세스하는 CD/DVD 드라이브(109), 외부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 인터페이스(105), 외부 장치로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 인터페이스(110), 전파를 송수신하는 안테나(400) 및 안테나(400)를 사용한 무선 통신을 행하는 무선 인터페이스(111) 등이 내장되고 있고, 이들 각종 요소는 버스(111)를 통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표시 기구(104)는 도 1에 도시한 표시 화면(31) 상에 표시되는 정보의 방향 등을 제어하는 표시 제어 장치(1041), 표시 화면(31) 상에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장치(1042) 및 표시 화면(31) 상의 뒤편에 탑재되어 스타일러스 펜에 의한 지시 위치를 검출하는 디지타이저(330)로 구성되어 있다. 표시 제어 장치(1041)는 본 발명에서 말하는 표시 제어부의 일례에 해당하고, 안테나(400)는 본 발명에서 말하는 전자 부품의 일례에 해당하는 동시에 본 발명에서 말하는 안테나의 일례에도 해당한다.
이어서, 표시 유닛(30)의 내부 구성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도 1에 도시한 전방 커버(32A)를 떼어낸 상태의 표시 유닛(3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한 표시 패널(310)은 도 1에 도시한 표시 화면(31)이 표면에 형성되어 있고, 이면 측에는 디지타이저(330)(도 7 참조)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표시 패널(310)에는 양측 테두리에 탄성 부재(320)가 부착되어 있다. 표시 패널(310)은 본 발명에서 말하는 표시 패널의 일례에 해당하고, 탄성 부재(320)는 본 발명에서 말하는 탄성 부재의 일례에 해당하며, 표시 패널(310)과 탄성 부재(320)를 합친 것은 본 발명에서 말하는 표시 모듈의 일례에 해당한다.
표시 유닛(30)의 후방 커버(32B)에는 탄성 부재(320)가 부착된 상태에서 표시 패널(310)이 수용되어 있고, 위쪽에 전파를 송수신하는 안테나(400)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탄성 부재(320)와 후방 커버(32B) 사이의 스페이스에는 안테나(400)와 안테나(400)로부터 연장되어 연결 부재(40)를 통해 도 1에 도시한 본체 유닛(20)에 접속되는 전자선(401)이 배열 설치되어 있다.
도 7은 후방 커버(32B)로부터 표시 패널(310)을 탄성 부재(320)째 떼어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표시 패널(310)의 도 1에 도시한 표시 화면(31)이 형성된 표면에 대한 이면 측에는 디지타이저(330)가 접착되어 있고, 디지타이저(330)에서 검출된 정보를 본체 유닛(20)에 전달하는 전달 회로(510)도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후방 커버(32B)는 표시 패널(310)의 이면을 덮는 패널 부분(602)은 금속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에 대하여, 안테나(400)나 도 6에서 전자선(401)이 배열 설치되는 안테나 부분(601)은 플라스틱으로 구성되어 있다. 패널 부분(602)은 본 발명에서 말하는 제 1 부재의 일례에 해당하며, 안테나 부분(601)은 본 발명에서 말하는 제 2 부재의 일례에 해당한다. 패널 부분(602)을 금속에서 구성함으로써, 후방 커버(32B)의 강도를 높여서 표시 패널(310)의 내충격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안테나 부분(601)은 비도전성 재료인 플라스틱으로 구성함으로써, 안테나(400)로 확실하게 전파를 송수신할 수 있어, 무선 통신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패널 부분(602)의 표시 패널(310)과 탄성 부재(320)와의 일체 물품의 4 모서리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 모퉁이의 형상에 맞춘 L자 돌기(410)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패널 부분(602)의 표시 패널(310)과 탄성 부재(320)와의 일체 물품의 양쪽에 대응하는 위치에 그 위치에서의 탄성 부재(320)의 외형에 맞춘 보조 돌기(420)가 형성되어 있다. L자 돌기(410) 및 보조 돌기(420)는 본 발명에서 말하는 유지 돌기의 일례에 해당한다. 이 L자 돌기(410) 및 보조 돌기(420)는 안테나 부분(601) 등에 나사(603)로 고정된다.
도 8은 L자 돌기(410)의 확대도이며, 도 9는 보조 돌기(420)의 확대도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L자 돌기(410)나 보조 돌기(420)는 후방 커버(32B)의 내벽으로부터 거리를 두고 형성되어 있다. 이들 L자 돌기(410)나 보조 돌기(420)보다도 내측의 공간에 탄성 부재(320)가 부착된 표시 패널(310)이 끼워 넣어지게 된다.
도 10은 표시 패널(310)에 탄성 부재(320)를 부착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1은 표시 패널(310)에 탄성 부재(320)가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에는 표시 패널(310)의 이면 측이 도시되어 있고, 표시 패널(310)의 도 10의 우측 테두리에만 탄성 부재(320)가 부착되어 있다. 표시 패널(310)의 이면 측에는 디지타이저(330)가 부착되어 있고, 또한 도 11에도 도시한 전달 회로 기 판(510)과, 표시 패널(310)의 표면 측에 구비된 표시 화면(31)(도 1 참조)에 표시되는 정보를 제어하는 제어 회로 기판(520)이 겹쳐 포개져 있다. 이 제어 회로 기판(520)은 도 5에 도시한 표시 제어 장치(1041)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전달 회로 기판(510) 및 제어 회로 기판(520)은 본 발명에서 말하는 회로 기판의 일례에 해당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부재(320)는 표시 패널(310)과 제어 회로 기판(520)을 일체적으로 끼우고 있어, 제어 회로 기판(520)이 표시 패널(310)에 밀착하여 고정된다. 이 때문에, 퍼스널 컴퓨터(10)를 박형화할 수 있는 동시에, 퍼스널 컴퓨터(10)의 조립이 용이해진다. 또한, 탄성 부재(320)에 의해, 디지타이저(330)도 표시 패널(310)의 표시 화면(31)과 밀착되기 때문에, 디지타이저(330)의 감도를 높일 수 있는 동시에, 표시 화면(31)과 디지타이저(330) 사이에 먼지 등이 혼입되어 버리는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표시 패널(310), 전달 회로 기판(510), 제어 회로 기판(520)이 탄성 부재(320)에 의해 끼워져 있고,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L자 돌기(410)나 보조 돌기(420)보다도 내측의 공간에 끼워 넣어진다.
도 12는 탄성 부재(320)가 부착된 표시 패널(310)이 끼워 넣어진 상태에서의 L자 돌기(410) 부근의 확대도이며, 도 13은 탄성 부재(320)가 부착된 표시 패널(310)이 끼워 넣어진 상태에서의 보조 돌기(420) 부근의 확대도이다.
표시 패널(310)에 부착된 탄성 부재(320)는 L자 돌기(410) 및 보조 돌기(420)에 의해 위치가 규제되어, 후방 커버(32B)에 고정되어 있다. L자 돌 기(410) 및 보조 돌기(420)는 후방 커버(32B)의 내벽으로부터 거리를 둔 위치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탄성 부재(320)가 부착된 표시 패널(310)을 끼워 넣는 것만으로 도 6에 도시한 안테나(400)나 전자선(401)을 배열 설치하는 스페이스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후방 커버(32B)에 표시 패널(310)을 틈 없이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고, 퍼스널 컴퓨터(10)를 조립할 때의 수고를 경감할 수 있다.
또한, 탄성 부재(320)는 도 7에 도시한 안테나 부분(601)과 패널 부분(602)을 연결하고 있는 나사(603)에 대응하는 위치에, 나사(603)를 회피하는 노치(notch)(321)가 설치되어 있다. 노치(321)는 본 발명에서 말하는 절결부의 일례에 해당한다. 이렇게, 탄성 부재(320)의 나사(603)에 대응하는 부분에 노치를 설치하여 둠으로써, 퍼스널 컴퓨터(10)의 폭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전자기기를 태블릿형의 퍼스널 컴퓨터에 적용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전자기기는 태블릿 기능을 갖지 않는 퍼스널 컴퓨터이어도 좋고, 전자 수첩 등에 적용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에서는 표시 패널의 좌우의 양측 테두리에만 탄성 부재를 부착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전자기기는 표시 패널의 모든 테두리에 탄성 부재를 부착하는 것이어도 좋다.
이하, 본 발명의 각종 형태에 대해서 부기한다.
(부기 1)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화면을 갖는 표시 패널과 상기 표시 패널 양측 테두리 에 부착된 탄성 부품을 갖는 표시 모듈과, 상기 표시 모듈의 외형보다도 넓고 표시 모듈의 외형에 맞춘 위치에 서로 이간하여 세워 설치한 탄성 부재에 접촉하여 서로 간에 표시 모듈을 유지하는 복수의 유지 돌기를 갖는 하우징 케이스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부기 2)
상기 표시 패널은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것이며, 상기 탄성 부품은 상기 표시 패널의 직사각형의 4 모서리를 덮는 것이며, 상기 유지 돌기는 상기 4 모서리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에 기재된 표시 장치.
(부기 3)
상기 하우징 케이스가 상기 유지 돌기를 포함하여 상기 표시 모듈의 배면을 덮는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제 1 부재와, 상기 제 1 부재의 주위로 넓어지는 비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제 2 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 또는 2에 기재된 표시 장치.
(부기 4)
상기 하우징 케이스의 상기 제 2 부재로 생성된 부분에 전자 부품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표시 장치.
(부기 5)
상기 전자 부품이 무선 안테나를 포함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4에 기재된 표시 장치
(부기 6)
상기 하우징 케이스에 유지되어 표시 모듈을 둘러싸고, 상기 표시 모듈의 테두리와 상기 하우징 케이스와의 사이를 덮는 전방 케이스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표시 장치.
(부기 7)
상기 유지 돌기는 상기 제 2 부재에 나사에서 고정된 것이며,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유지된 상태에서의 상기 나사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나사와의 간섭을 피하는 절결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표시 장치.
(부기 8)
상기 표시 모듈은 상기 표시 패널 배면에 상기 표시 패널과 동일 폭을 갖고 상기 표시 화면 상의 표시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 회로가 탑재된 회로 기판을 더 구비하고, 상기 탄성 부품은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회로 기판을 일체로 한 쌍방의 양측 테두리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표시 장치.
(부기 9)
상기 표시 패널이 상기 표시 화면에 더하여, 상기 표시 화면의 정보가 표시되는 표시면의 이면 측에 상기 표시면 상의 지시 위치를 검출하는 입력 디바이스를 구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표시 장치.
(부기 10)
부기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표시 장치와, 표시 정보를 생성해서 상기 표시 장치의 상기 표시 모듈에 표시 정보를 보내는 정보 처리 회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부기 11)
상기 정보 처리 회로를 내장한 연산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표시 장치가 상기 연산 장치에 개폐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0에 기재된 전자기기.
(부기 12)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연산 장치에 대하여 개폐 가능 또한 열린 상태에서, 상기 연산 장치 윗면에 수직인 회전축의 주위로 회전 가능한 2축의 연결 부재를 개재시켜서 상기 연산 장치에 연결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1에 기재된 전자기기.
(부기 13)
상기 표시 화면에 상기 연산 장치에 대하여 상기 표시 장치를 연 제 1 사용 상태에서는, 상기 회전축의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서 정보를 표시하는 제 1 표시 모드로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표시 장치를 상기 연산 장치 상에 상기 표시 화면을 외측을 향해서 포갠 제 2 사용 상태에서는, 상기 회전축과 수직인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서 정보를 표시하는 제 2 표시 모드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전환 회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2에 기재된 전자기기.
도 1은 본 발명의 1 실시예가 적용된 퍼스널 컴퓨터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표시 유닛이 본체 유닛 상에 닫힌 상태의 전자장치를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
도 3은 표시 유닛을 본체 유닛에 대하여 거의 90° 회동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
도 4는 표시 유닛이 표시 화면을 위로 향하여 본체 유닛에 포개진 상태를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
도 5는 퍼스널 컴퓨터의 내부 구성도.
도 6은 도 1에 도시한 전방 커버(32A)를 떼어낸 상태의 표시 유닛(30)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후방 커버(32B)로부터 표시 패널(310)을 탄성 부재(320)째로 떼어낸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L자 돌기(410)의 확대도.
도 9는 보조 돌기의 확대도.
도 10은 표시 패널에 탄성 부재를 부착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표시 패널에 탄성 부재가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탄성 부재가 부착된 표시 패널이 끼워 넣어진 상태에서의 L자 돌기 부근의 확대도.
도 13은 탄성 부재가 부착된 표시 패널이 끼워 넣어진 상태에서의 보조 돌기 부근의 확대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퍼스널 컴퓨터
20 : 본체 유닛
30 : 표시 유닛
21 : 키보드
22 : 트랙 패드
23 : 좌클릭 버튼
24 : 우클릭 버튼
31 : 표시 화면
32 : 누름 버튼
101 : CPU
102 : 주메모리
103 : 하드디스크 장치
104 : 표시 기구
105 : 입력 인터페이스
106 : 조작자
108 : 소형 기록매체 드라이브
109 : CD/DVD 드라이브
110 : 출력 인터페이스
111 : 버스
200 : 소형 기록매체
210 : CD-ROM

Claims (10)

  1.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화면을 갖는 표시 패널과 상기 표시 패널 양측 테두리에 부착된 탄성 부품을 갖는 표시 모듈과,
    상기 표시 모듈의 외형보다도 넓고, 표시 모듈의 외형에 맞춘 위치에 서로 이간하여 세워 설치한 탄성 부재에 접촉해서 서로 간에 표시 모듈을 유지하는 복수의 유지 돌기를 갖는 하우징 케이스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것이고, 상기 탄성 부품은 상기 표시 패널의 직사각형의 4 모서리를 덮는 것이며, 상기 유지 돌기는 상기 4 모서리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케이스가 상기 유지 돌기를 포함하여 상기 표시 모듈의 배면(背面)을 덮는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제 1 부재와, 상기 제 1 부재의 주위로 넓어지는 비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제 2 부재를 갖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케이스의 상기 제 2 부재로 생성된 부분에 전자 부품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돌기는 상기 제 2 부재에 나사로 고정된 것이며, 상기 탄성 부품은 상기 하우징에 유지된 상태에서의 상기 나사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나사와의 간섭을 회피하는 절결부(notch)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모듈은 상기 표시 패널의 배면에 상기 표시 패널과 동일 폭을 갖고 상기 표시 화면 상의 표시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 회로가 탑재된 회로 기판을 더 구비하고,
    상기 탄성 부품은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회로 기판을 일체로 한 쌍방의 양측 테두리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표시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표시 장치와, 표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표시 장치의 상기 표시 모듈에 표시 정보를 보내는 정보 처리 회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회로를 내장한 연산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표시 장치가 상기 연산 장치에 개폐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연산 장치에 대하여 개폐 가능 또한 열린 상태에서 상기 연산 장치 윗면에 수직인 회전축의 주위로 회전 가능한 2축의 연결 부재를 개재시켜서 상기 연산 장치에 연결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화면에 상기 연산 장치에 대하여 상기 표시 장치를 연 제 1 사용 상태에서는, 상기 회전축의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서 정보를 표시하는 제 1 표시 모드로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표시 장치를 상기 연산 장치 상에 상기 표시 화면을 외측을 향하여 포갠 제 2 사용 상태에서는, 상기 회전축과 수직인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서 정보를 표시하는 제 2 표시 모드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전환 회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전자기기.
KR1020080060786A 2007-06-29 2008-06-26 표시 장치 및 전자기기 KR1009850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173352A JP2009014782A (ja) 2007-06-29 2007-06-29 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JP-P-2007-00173352 2007-06-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4567A true KR20090004567A (ko) 2009-01-12
KR100985080B1 KR100985080B1 (ko) 2010-10-04

Family

ID=39730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0786A KR100985080B1 (ko) 2007-06-29 2008-06-26 표시 장치 및 전자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90002931A1 (ko)
EP (1) EP2017689A2 (ko)
JP (1) JP2009014782A (ko)
KR (1) KR100985080B1 (ko)
CN (1) CN10133454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1007053S1 (en) 2022-01-07 2023-12-05 Helen Of Troy Limited Hair crimp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05361B2 (ja) * 2008-01-11 2012-12-26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電子機器
JP4811965B2 (ja) 2009-11-02 2011-11-09 Smk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の保持構造
CN103163941B (zh) * 2011-12-08 2016-03-30 启碁科技股份有限公司 便携式计算机设备
CN103809676A (zh) * 2012-11-12 2014-05-21 英业达科技有限公司 电子装置
CN106415454A (zh) * 2014-04-30 2017-02-15 Lg伊诺特有限公司 触控设备、具有该触控设备的可穿戴设备及触控识别方法
WO2016179304A1 (en) 2015-05-05 2016-11-10 Apple Inc. Mandrel flex circuit routing
US9513672B2 (en) * 2015-05-05 2016-12-06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dynamic hinge gap cover
CN109791595A (zh) 2016-09-12 2019-05-21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在对接站处固定计算机
US10264026B2 (en) * 2017-07-24 2019-04-16 Cyberark Software Ltd. Providing privileged access to non-privileged accounts
US20190191267A1 (en) * 2017-12-14 2019-06-2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vehicle communication
JP7093030B2 (ja) * 2020-08-03 2022-06-29 富士通クライアントコンピューティング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弾性部材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02368A (en) * 1989-05-31 1991-03-26 Poqet Computer Corporation Liquid crystal display mounting structure
EP0587162B1 (en) * 1992-09-11 2002-02-06 Canon Kabushiki Kaisha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JP3844802B2 (ja) 1995-10-23 2006-11-15 富士通フロンテック株式会社 タッチスイッチ式液晶パネルの取り付け構造
JP2839085B2 (ja) 1996-07-25 1998-12-16 日本電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4679031B2 (ja) * 2002-11-06 2011-04-27 株式会社東芝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装置に用いられるキーボタンの機能割り当て方法
KR100727665B1 (ko) * 2004-07-06 2007-06-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컴퓨터의 래치장치
JP4490767B2 (ja) * 2004-08-27 2010-06-30 富士通株式会社 電子装置、および表示パネルの固定構造
JP4528590B2 (ja) 2004-09-28 2010-08-18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
JP2006221576A (ja) * 2005-02-14 2006-08-24 Toshiba Corp 表示装置及び携帯情報処理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1007053S1 (en) 2022-01-07 2023-12-05 Helen Of Troy Limited Hair crimp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9014782A (ja) 2009-01-22
US20090002931A1 (en) 2009-01-01
CN101334540A (zh) 2008-12-31
KR100985080B1 (ko) 2010-10-04
EP2017689A2 (en) 2009-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5080B1 (ko) 표시 장치 및 전자기기
US11357109B2 (en) Fold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integrated ground structure
US11540387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oldable conductive plate
JP2018120060A (ja) 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US10728371B2 (en) Mobile terminal
KR20110127558A (ko) 휴대용 전자기기
US11581627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lot antenna module
JP5051027B2 (ja) 組立体
US20220264756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hinge module
JP4771966B2 (ja) 携帯端末装置
JP5104071B2 (ja) 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20220126089A (ko) 커버 액세서리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JP4819773B2 (ja) 携帯機器
JP2008182601A (ja) 携帯端末装置
JP4983459B2 (ja) 電子機器
US20080317304A1 (en) Electronic apparatus
JP4695627B2 (ja) 電子機器および受け部材
JP5606035B2 (ja) ノイズ低減装置
JP2010033376A (ja) タッチセンサ及び電子機器
JP2003114735A (ja) 携帯情報処理装置
JP2011237900A (ja) ノート型情報処理装置
JP5335636B2 (ja) ノイズ低減装置
JP5266121B2 (ja) 携帯電子機器
JP2008182597A (ja) 携帯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