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7558A - 휴대용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7558A
KR20110127558A KR1020100047128A KR20100047128A KR20110127558A KR 20110127558 A KR20110127558 A KR 20110127558A KR 1020100047128 A KR1020100047128 A KR 1020100047128A KR 20100047128 A KR20100047128 A KR 20100047128A KR 20110127558 A KR20110127558 A KR 201101275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zel
display
electronic device
portable electronic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7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94767B1 (ko
Inventor
남용
차균오
박종석
안명섭
이병윤
이영빈
홍승석
현안선
이성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471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4767B1/ko
Priority to EP11003830.4A priority patent/EP2388678B1/en
Priority to TW100116667A priority patent/TW201204219A/zh
Priority to US13/110,458 priority patent/US9582031B2/en
Priority to CN201610322089.2A priority patent/CN106020347B/zh
Priority to CN201110135183.4A priority patent/CN102256463B/zh
Publication of KR201101275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75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47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47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06F1/162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changing, e.g. reversing, the face orientation of the screen with a two degrees of freedom mechanism, e.g. for folding into tablet PC like position or orienting towards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user to show to a second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8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8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ending/receiving arrangement to establish a cordless communication link, e.g. radio or infrared link, integrated cellular phon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8Packaging or power distribution
    • G06F1/181Enclos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8Packaging or power distribution
    • G06F1/181Enclosures
    • G06F1/182Enclosures with special features, e.g. for use in industrial environments; grounding or shielding against radio frequency interference [RFI] or electromagnetical interference [EMI]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0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s on the outside of cas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전자기기에 장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베젤 구조 및 그 구현 방법에 관한 것으로, 디스플레이의 주변외관을 한정할 수 있는 베젤부에 디스플레이의 체결부만이 배치시킴으로써 베젤부의 폭을 현격히 줄일 수 있으며, 카메라 또는 무선 안테나를 힌지부의 연결을 위하여 존재하는 부위에 배치시킴으로써 공간 활용성을 높인다.

Description

휴대용 전자기기{MOBILE DEVICE}
본 발명은 휴대용 전자기기에 장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베젤 구조 및 그 구현 방법에 관한 것이다.
랩탑(laptop PC)이나 팜탑(palmtop PC), 또는 피디에이(PDA) 등을 포함하는 휴대용 컴퓨터,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device), 게임기, 오디오 또는 비디오 플레이어(MP3 player, portable media player(PMP)) 등을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mobile device)는 시각정보 또는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갖춘다.
폼팩터(Form Factor)의 면에서,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키패드 등이 장착된 본체에 대하여 다양한 각도를 구현할 수 있도록 힌지에 의하여 연결(이를 일컬어, 'clamshell'로 불리기도 한다)한 예가 제시되기도 한다.
멀티미디어의 생산 또는 송수신이나 다양한 무선서비를 제공하기 위해 휴대용 전자기기에는 카메라 또는 안테나가 장착되기도 하는데, 이들은 본체보다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됨으로써 활용성과 성능을 높이고 있다.
그러나, 카메라 또는 안테나가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되는 경우, 디스플레이가 시각정보를 출력하는 부분을 한정하는 베젤부의 폭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여 휴대용 전자기기의 외관을 떨어뜨릴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휴대용 전자기기에 장착되는 디스플레이의 표시영역을 한정하는 베젤부의 폭을 최소화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전자기기는, 입력장치가 구비된 본체; 및 내부에 설치된 디스플레이의 표시영역을 갖는 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는, 상기 표시영역의 상단 및 좌우측단을 따라 형성되는 제1베젤부; 및 상기 표시영역의 하단이 접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본체에 연결되기 위한 힌지부가 배치된 제2베젤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베젤부의 협폭을 구현할 수 있도록 상기 제1베젤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체결부만을 포함하고, 상기 제2베젤부에 카메라 또는 무선 안테나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배치된다.
상기 힌지부는 일정 거리를 두고 한 쌍으로 배치되고, 상기 카메라 또는 무선 안테나는 상기 양 힌지부 사이의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힌지부는 상기 제2베젤부의 일정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덮개부는 상기 힌지부에서 직각을 이루는 두 개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베젤부에는 카메라만 배치되고, 상기 무선 안테나는 상기 본체의 가장자리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베젤부에는 카메라 및 적어도 한 종류의 무선 안테나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는 상기 디스플레이로부터 일정 거리를 두고 이격되게 배치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무선 안테나는 2G, 3G 또는 4G 이동통신 안테나, 블루투스 안테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제2베젤부에 인접하는 상기 본체의 상단으로부터 일정 거리 사이에는 금속 커넥터 및 도전성 부품이 배제되는 금속배제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덮개부는 외측 케이스 및 상기 제1베젤부 및 제2베젤부를 한정하는 내측 케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외측 케이스와 내측 케이스는 체결부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1베젤부의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의 위치에 배치되는 후크 및 상기 후크가 걸림될 수 있게 형성되는 걸림형상부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1베젤부의 좌우 양측에 형성되는 제1걸림레일 및 상기 걸림레일이 슬라이딩되어 걸림될 수 있게 형성되는 제2걸림레일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체결부는 본딩 또는 융착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베젤부에는 상기 외측 케이스와 내측 케이스를 체결하는 스크루는 배제될 수 있다.
상기 제1베젤부 중 적어도 상기 덮개부의 좌측의 외곽선과 상기 디스플레이의 노출영역의 좌측의 외곽선 사이 및 상기 덮개부의 우측의 외곽선과 상기 디스플레이의 노출영역의 우측의 외곽선 사이의 영역에는 보강을 위한 금속프레임이 각각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금속프레임은 상기 덮개부의 측면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금속프레임은 상기 제1케이스 또는 제2케이스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가 결합할 시 상기 제1케이스 또는 제2케이스 중 다른 하나에 걸림될 수 있게 걸림돌기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전자기기는, 본체부에 개폐 가능하게 연결되며, 그 닫히는 안쪽면에 디스플레이가 장착된 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는, 상기 덮개부의 상측 및 좌우측의 외곽선과 상기 디스플레이의 노출영역의 상측 및 좌우측의 외곽선 사이의 영역을 한정하는 제1베젤부; 및 상기 덮개부의 하측 외곽선과 상기 디스플레이의 노출영역의 하측 외곽선 사이의 영역을 한정할 수 있게 형성되고, 상기 덮개부과 상기 본체부를 폴딩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힌지부가 구비된 제2베젤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베젤부에는 상기 덮개부를 구성하는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의 체결부를 제외한 부품이 배제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베젤부에 카메라 또는 상기 컴퓨터 본체에 급전되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안테나가 배치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개시는 또한, 본체에 개폐 가능하게 연결되며, 그 닫히는 안쪽면에 디스플레이가 장착된 덮개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베젤 구현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덮개부의 상측 및 좌우측의 외곽선과 상기 디스플레이의 노출영역의 상측 및 좌우측의 외곽선 사이의 영역을 한정하는 제1베젤부를 형성하되, 상기 제1베젤부에는 상기 덮개부를 구성하는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의 체결부를 제외한 부품이 배제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덮개부의 하측 외곽선과 상기 디스플레이의 노출영역의 하측 외곽선 사이의 영역을 한정할 수 있게 제2베젤부를 형성하되, 상기 베젤부에 상기 덮개부과 상기 컴퓨터 본체를 폴딩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힌지부를 배치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2베젤부에 카메라 또는 상기 컴퓨터 본체에 급전되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안테나를 배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베젤 구현방법이 포함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전자기기에 의하면, 디스플레이의 주변외관을 한정할 수 있는 제1베젤부에 디스플레이의 체결부만이 배치되므로, 제1베젤부의 폭을 현격히 줄일 수 있다(Narrow Bezel). 또한, 제2베젤부와 같이 힌지부를 위하여 마련될 수밖에 없는 공간에 카메라 또는 무선 안테나 중 적어도 하나가 배치되는 것이므로 무선 서비스 또는 멀티미디어의 기능이 줄어들거나 약해지지 않으면서도 활용성 높은 배치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전자기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전자기기의 닫힌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휴대용 전자기기의 열림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되어 덮개부에 부품들이 상태를 보인 투영도
도 5는 도 4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6은 덮개부의 체결부의 다른 예를 보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되어 무선 안테나 장치가 본체부에 배치된 모습을 보인 투영 평면도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과 관련된 제2실시예로서,
도 8은 제2베젤부에 이동통신 안테나를 배치한 상태를 보인 투영 평면도
도 9는 도 8의 휴대용 전자기기가 닫힌 상태의 단면도
도 10은 도 8의 휴대용 전자기기가 열린 상태의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제3실시예로서, 제2베젤부에 Wifi 안테나를 배치한 상태를 보인 투영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제4실시예로서, 제2베젤부에 이동통신 안테나 및 Wifi 안테나가 배치된 상태를 보인 투영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로서, 스위블 힌지부를 갖는 휴대용 전자기기에 내로우 베젤이 구현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전자기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전자기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휴대용 전자기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부(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구성요소를 가지고 있는 휴대용 전자기기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도시된 구성요소 모두가 필수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휴대용 전자기기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 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서도 휴대용 전자기기가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10)는 휴대용 전자기기(100)와 다른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의 무선 통신 또는 휴대용 전자기기(100)와 휴대용 전자기기(100)가 위치한 네트웍간의 무선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부(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휴대용 전자기기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로서,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은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녹음 또는 동영상과 같은 멀티미디어의 생성에 사용되거나 통신을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마이크(122)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 스크린이라 부를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휴대용 전자기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용 전자기기가 갖는 여러 모드에서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한다.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휴대용 전자기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휴대용 전자기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용 전자기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휴대용 전자기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시스템 부팅,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파일 관리, 실행, 멀티 미디어의 신호 처리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전자기기의 닫힌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휴대용 전자기기의 열림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휴대용 전자기기(200)는 입력장치를 갖는 본체부(210)와, 본체부(210)에 대하여 개폐 가능하게 연결되는 덮개부(250)를 포함하고 있다.
입력장치는 복수의 키들을 갖는 키패드(211)를 포함하여 터치에 의한 입력을 할 수 있도록 터치패드(212)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본체부(210) 또는 덮개부(250)의 임의의 위치에 키패드(211)와 구별되어 독립적인 입력(예: 전원의 온오프, 볼륨의 조절, 리셋 등)을 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210) 및 덮개부(250)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그러한 케이스는 내측 케이스와 외측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마그네슘 합금,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덮개부(250)는 본체부(210)에 대하여 임의의 열림각을 구현할 수 있도록 본체부(210)에 대하여 힌지부(240)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힌지부(240)는 기계적으로는 덮개부(250)가 본체부(21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전기적으로는 덮개부(250)에 포함된 각종 부품들이 본체부(210)에 연결되기 위한 와이어가 통과되는 통로가 된다.
덮개부(250)의 닫히는 내측면에는 시각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251)가 배치된다. 디스플레이(2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등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2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디스플레이(2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디스플레이(251)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휴대용 전자기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251)는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 전자기기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의 휴대용 전자기기(200)는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251)를 갖는 것들을 총칭한 것으로서, 주로 휴대를 목적으로 하는 전자기기를 말한다. 그러한 예들로서, 휴대용 컴퓨터(노트북 PC, 테블릿 PC) 이동단말기, 오디오/비디오 플레이어, 게임기, 네비게이션 등이 이에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251)의 하측에는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255)가 배치되어 있다. 카메라(255)의 하단 배치에 주목한다면, 덮개부(250)의 상단 및 좌우 측단은 대응되는 디스플레이(251)의 상단 및 좌우 측단과 매우 가깝게 접근되어 배치된 것을 알 수 있다. 도 4 이하에서는 이를 위한 기술적 상세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되어 덮개부에 부품들이 상태를 보인 투영도이고, 도 5는 도 4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디스플레이(251)가 갖는 표시영역은 베젤부(260)에 의하여 한정된다. 즉, 베젤부(260)는 디스플레이의 가장자리를 따라 불투광성 형태로 되어 있어, 사용자는 베젤부의 내에 있는 디스플레이(251)의 출력 내용을 보게 된다. 베젤부(260)는 디스플레이(251)의 표시영역의 상단 및 좌우 측단을 따라 형성되는 제1베젤부(261)와 디스플레이(251)의 표시영역의 하단을 따라 형성되는 제2베젤부(262)를 포함한다.
제1베젤부(261)와 제2베젤부(262)는 내측 케이스(203)의 일 부분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1베젤부(261)와 제2베젤부(262)에 장착될 수 있는 부품들의 위치에 변경을 가하고, 이를 통하여 최소한의 폭(B1,B2)을 갖는 제1베젤부(261)를 얻을 수 있는 배치구조를 제안한다.
우선, 제1베젤부(261)는, 협폭을 구현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251)의 체결부만을 포함한다. 즉, 후술하는 바와 같은 카메라(255) 또는 안테나 장치(265,266)는 제1베젤부(261)에서는 배제된다. 이들 부품 즉, 카메라 또는 안테나 장치는 그들이 갖는 부피가 있으므로 적어도 그만큼의 폭을 증가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하므로, 이들의 배치는 제한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251)의 체결부는 디스플레이(251)를 케이스(203,204)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디스플레이(251)가 견고하게 덮개부(25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시킴과 아울러 덮개부(250)가 일정 이상의 강성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덮개부(250)를 열고 닫는 과정에서 힘의 편중이나 변형에 의하여 디스플레이(251)에 국부적인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구적 구조를 말한다.
반면, 제2베젤부(262)는 하단에 본체부(210)에 연결되기 위한 힌지부(240)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카메라(255)를 포함하고 있다. 카메라(255)는 상보성 금속 산화막 반도체(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CMOS)를 이용한 것 또는 빛을 전하로 변환하여 화상을 얻어내는 Charge-Coupled Device(CCD) 등의 이미지 센서를 갖는 카메라를 말하는 것으로서, 사진 또는 동영상을 생성하거나 화상통신을 위하여 사용자를 촬영하는 용도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베젤부(261)는 디스플레이(251)의 체결부를 제외한 부품이 제거되고 제2베젤부(262)에 카메라(255)가 있는 구조이므로, 제1베젤부(261)는 카메라 또는 안테나 장치를 포함하고 있는 종래의 휴대용 컴퓨터에 비하여 현저히 좁은 폭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외관을 복잡하게 만들 수 있는 카메라 등이 배제되므로 제1베젤부(261)는 그만큼 심플한 외관을 구성할 수 있다. 나아가, 제1베젤부(261)에 배치되는 경우 카메라 등의 연결을 위한 와이어링이 추가 소요될 뿐만 아니라 그러한 와이어링을 위한 장착공간이 소요될 수밖에 종래의 예에 비추어도, 제1베젤부(261)에 그러한 카메라가 배치되지 않으므로 덮개부(250)를 보다 슬림하게 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디스플레이(251) 및 카메라(255)의 연결을 위한 배선은 제2베젤부(262) 내에서 취합되어 힌지부(240)를 통하여 본체부(210)로 연결된다. 디스플레이(251)의 구동을 위한 부품들이 장착되는 구동 회로기판은 제2베젤부(262)의 영역에 배치됨으로써 덮개부(250)의 두께 증가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251)를 덮는 내측 케이스와 외측 케이스를 체결하는 체결부(252)는 제1베젤부(261) 및 제2베젤부(262)를 따라 복수의 위치에 배치된다. 특히, 도 4에 의하면, 체결부(252)는 제1베젤부(261)의 둘레를 따라 복수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체결부(252)는 내측 케이스 또는 외측 케이스의 형상 가공이나 몰딩에 의하여 형성하는 것으로서, 별도의 금속 부품, 예를 들어 스크루와 같은 체결수단을 사용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이들을 사용하는 종래의 예와 구별된다. 스크루는 그 자체로 평면 영역이 필요하므로 이의 사용은 베젤부의 폭을 불가피하게 증가시키게 되어,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서는 스크루의 사용도 배제된다.
제1베젤부(261)를 이루는 좌우 양측의 베젤부에는 덮개부(250)의 강성을 보충할 수 있도록 금속 프레임(257)이 설치된다. 금속 프레임(257)은 덮개부(250)의 좌측의 외곽선과 디스플레이(251)의 노출영역의 좌측의 외곽선 사이 및 덮개부(250)의 우측의 외곽선과 디스플레이(251)의 노출영역의 우측의 외곽선 사이의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금속 프레임(257)은 스테인리스 스틸 또는 알루미늄 등과 같이 얇고 가벼운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덮개부(250)의 측면방향을 따라 좁고 길게 연장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금속 프레임(257)은 내측 케이스(203) 또는 외측 케이스(204)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을 위하여, 내측 케이스(203) 또는 외측 케이스(204)에 금속 프레임(257)이 고정되기 위한 걸림돌기(208)가 포함될 수 있다.
제2베젤부(262)에 배치되는 힌지부(240)는 구조적 강성을 높일 수 있도록 좌우 한 쌍을 포함할 수 있다. 힌지부(240)는 덮개부(250)가 본체부(210)에 대하여 임의의 각도로 세워진 위치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적절한 저항을 가질 수 있게 형성될 수 있다.
카메라(255)는 양 힌지부(240) 사이에 배치되거나 어느 한 힌지부(24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5와 같이, 본 예에서 체결부(252)는 제1베젤부(261)의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의 위치에 배치되는 후크(253) 및 후크(253)가 걸림될 수 있게 형성되는 걸림형상부(254)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후크(253) 및 걸림형상부(254)는 소위 스냅핏 구조로서 내측 케이스(203)와 외측 케이스(204)를 맞춘 후 수직방향으로 압력을 가하여 결합시킨다.
도 6은 덮개부의 체결부의 다른 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5의 예와 달리, 덮개부를 이루는 내측 케이스(203)와 외측 케이스(204)는 슬라이딩에 의하여 결합된다. 즉, 내측 케이스(203)에는 제1걸림레일(263)이 형성되어 있으며, 외측 케이스(204)에는 제1걸림레일(263)에 슬라이딩되어 걸림될 수 있게 형성되는 제2걸림레일(264)이 구비되어 있다. 본 예의 체결부를 이루는 제1걸림레일(263)과 제2걸림레일(264)은 연속적으로 접촉하는 것이므로 덮개부(250)에 걸리는 힘이 효과적으로 분산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과 달리, 덮개부(250)를 이루는 내측 케이스(203)와 외측 케이스(204)를 결합하는 체결부는 융착 또는 본딩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융착이나 본딩은 기구적인 구조를 요하지 않으므로 제1베젤부(261)의 폭을 더욱더 줄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되어 무선 안테나 장치가 본체부에 배치된 모습을 보인 투영 평면도이다.
덮개부(250)에 배치되지 않은 무선 안테나는 본체부(210)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무선 안테나는 내부 부품 또는 금속 성분에 의하여 받을 수 있는 영향이 가장 작은 위치로 선택될 수 있다. 그러한 예로서, 무선 안테나는 본체부(210)의 상단, 좌우 양측단, 또는 팜레스트(palm rest) 등에 배치될 수 있다. 도 7은 그와 같은 무선 안테나가 장착될 수 있는 위치로서, 258a 내지 258g까지 예시하고 있다.
이러한 무선 안테나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전자기기(200)가 제공하는 다양한 무선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2G/3G/4G 또는 4G 이상의 차세대 이동통신 안테나, Wifi 안테나, 또는 블루투스 안테나 등이 배치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방송수신 안테나 또는 GPS 안테나 등이 이에 해당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안테나는 금속 성분 또는 다른 부품들로부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위치로서, 종래의 경우, 덮개부(250)의 제1베젤부(261)에 배치되어 있으나, 본 예에서는 그러한 배치는 좁은 폭의 베젤을 구현하기 위하여 제한되며, 도 7과 같이 본체부(210)에 배치되거나, 후술하는 예처럼 제2베젤부(262)에 배치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과 관련된 제2실시예로서, 도 8은 제2베젤부에 이동통신 안테나를 배치한 상태를 보인 투영 평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휴대용 전자기기가 닫힌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10은 도 8의 휴대용 전자기기가 열린 상태의 단면도이다.
앞의 제1실시예와 달리, 무선 안테나 중 2G/3G/4G/또는 차세대 통신 등의 이동통신 안테나(265,265')는 덮개부(250)의 제2베젤부(262)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안테나(265,265')는 금속성의 디스플레이(251)의 하단과는 일정한 거리를 둘 수 있으며, 금속성의 힌지부(240)와도 일정한 거리를 둘 수 있다.
안테나(265,265')는 제2베젤부(262)의 어느 일측에 형성되거나, 다이버시티를 구현하기 위하여 2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8에 의하면 안테나(265,265')는 상호 이격된 상태로 한 쌍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안테나(265,265')의 사이에 카메라(255)가 배치된다.
디스플레이(251)의 구동을 위한 회로기판은 제2베젤부(262) 또는 접혀진 상태로 디스플레이(251)의 후면에 포개어진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의 구동 회로기판은 연성회로기판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9 및 도 10에 의하면, 본체부(210)의 제2베젤부(262)에 인접하는 영역, 즉, 본체부(210)의 상단으로부터 일정 거리 사이에는 제2베젤부(262)에 장착되는 안테나(265,265')의 무선 특성을 열화시키지 않도록 금속배제영역(270)이 형성된다. 금속배제영역(270)에는 금속 커넥터(예: USB 커넥터, VGA 슬롯, 외장 I/O 포트 등) 및 도전성 금속 부품의 장착이 제한되며, 나아가 메인 회로기판(205)에 형성되는 도전성의 그라운드의 형성도 제한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팩도 금속배제영역(270)에 배치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제3실시예로서, 제2베젤부에 Wifi 안테나를 배치한 상태를 보인 투영 평면도이다.
즉, 도 10과 달리, 무선 안테나 중 이동통신 안테나(265,265')가 본체부(210)에 배치되는 반면, Wifi 안테나(266,266')가 덮개부(250)의 제2베젤부(262)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안테나(266,266')는 금속성의 디스플레이(251)의 하단과는 일정한 거리를 둘 수 있으며, 금속성의 힌지부(240)와도 일정한 거리를 둘 수 있다.
상대적으로 작은 부피를 차지하는 Wifi 안테나(266,266')를 배치시키는 것으로서, 제2베젤부(262)에 충분한 평면영역이 형성되는 경우, 그 평면영역에는 디스플레이(251)의 구동용 회로기판이 배치될 수 있다.
안테나(266,266')의 무선 특성을 고려하여, 본체부(210)의 제2베젤부(262)에 인접하는 영역, 즉, 본체부(210)의 상단으로부터 일정 거리 사이에는 금속배제영역(270)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2은 본 발명과 관련된 제4실시예로서, 제2베젤부에 2G/3G 안테나 및 Wifi 안테나가 배치된 상태를 보인 투영 평면도이다.
즉, 앞의 도 10 및 도 11과 달리, 무선 안테나 중 이동통신 안테나(265,265') 및 Wifi 안테나(266,266')는 모두 덮개부(250)의 제2베젤부(262)에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255)는 제2베젤부(262)에 배치되거나 본체부(210)에 구비될 수 있다.
안테나(265,265',266,266')는 금속성의 디스플레이(251)의 하단과는 일정한 거리를 둘 수 있으며, 금속성의 힌지부(240)와도 일정한 거리를 둘 수 있다.
안테나(265,265',266,266')의 무선 특성을 고려하여, 본체부(210)의 제2베젤부(262)에 인접하는 영역, 즉, 본체부(210)의 상단으로부터 일정 거리 사이에는 금속배제영역(270)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로서, 스위블 힌지부를 갖는 휴대용 전자기기에 내로우 베젤이 구현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3과 같이, 본 발명은 본체부(310)에 대하여 2 이상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덮개부(350)를 갖는 휴대용 전자기기(300)에 적용될 수 있다. 힌지부(340)는 소위 스위블 힌지라 불릴 수 있으며, 덮개부(350)가 본체부(310)에 대하여 제1축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열리거나 닫히도록 하는가 하면, 덮개부(350)는 열린 상태에서 제2축을 중심으로 다양한 각도로 회전됨으로써 사용자와 휴대용 전자기기(300)에 대한 다양한 위치관계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내로우 베젤은 이러한 휴대용 전자기기(300)에도 적용된다. 즉, 제1베젤부(361)에는 디스플레이(351)의 체결을 위한 요소를 제외한 요소들의 장착은 배제되며, 제2베젤부(362)에는 카메라 또는 무선 안테나 중의 적어도 하나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18)

  1. 입력장치가 구비된 본체; 및
    내부에 설치된 디스플레이의 표시영역을 갖는 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는,
    상기 표시영역의 상단 및 좌우측단을 따라 형성되는 제1베젤부; 및
    상기 표시영역의 하단이 접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본체에 연결되기 위한 힌지부가 배치된 제2베젤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베젤부의 협폭을 구현할 수 있도록 상기 제1베젤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체결부만을 포함하고, 상기 제2베젤부에 카메라 또는 무선 안테나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일정 거리를 두고 한 쌍으로 배치되고, 상기 카메라 또는 무선 안테나는 상기 양 힌지부 사이의 영역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제2베젤부의 일정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덮개부는 상기 힌지부에서 직각을 이루는 두 개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베젤부에는 카메라만 배치되고, 상기 무선 안테나는 상기 본체의 가장자리 부분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베젤부에는 카메라 및 적어도 한 종류의 무선 안테나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는 상기 디스플레이로부터 일정 거리를 두고 이격되게 배치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안테나는 2G, 3G 또는 4G 이동통신 안테나, 블루투스 안테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베젤부에 인접하는 상기 본체의 상단으로부터 일정 거리 사이에는 금속 커넥터 및 도전성 부품이 배제되는 금속배제영역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외측 케이스 및 상기 제1베젤부 및 제2베젤부를 한정하는 내측 케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외측 케이스와 내측 케이스는 체결부에 의하여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1베젤부의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의 위치에 배치되는 후크 및 상기 후크가 걸림될 수 있게 형성되는 걸림형상부에 의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1베젤부의 좌우 양측에 형성되는 제1걸림레일 및 상기 걸림레일이 슬라이딩되어 걸림될 수 있게 형성되는 제2걸림레일에 의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본딩 또는 융착에 의하여 구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베젤부에는 상기 외측 케이스와 내측 케이스를 체결하는 스크루는 배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베젤부 중 적어도 상기 덮개부의 좌측의 외곽선과 상기 디스플레이의 노출영역의 좌측의 외곽선 사이 및 상기 덮개부의 우측의 외곽선과 상기 디스플레이의 노출영역의 우측의 외곽선 사이의 영역에는 보강을 위한 금속프레임이 각각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프레임은 상기 덮개부의 측면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프레임은 상기 제1케이스 또는 제2케이스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가 결합할 시 상기 제1케이스 또는 제2케이스 중 다른 하나에 걸림될 수 있게 걸림돌기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17. 본체부에 개폐 가능하게 연결되며, 그 닫히는 안쪽면에 디스플레이가 장착된 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는,
    상기 덮개부의 상측 및 좌우측의 외곽선과 상기 디스플레이의 노출영역의 상측 및 좌우측의 외곽선 사이의 영역을 한정하는 제1베젤부; 및
    상기 덮개부의 하측 외곽선과 상기 디스플레이의 노출영역의 하측 외곽선 사이의 영역을 한정할 수 있게 형성되고, 상기 덮개부과 상기 본체부를 폴딩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힌지부가 구비된 제2베젤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베젤부에는 상기 덮개부를 구성하는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의 체결부를 제외한 부품이 배제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베젤부에 카메라 또는 상기 컴퓨터 본체에 급전되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안테나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18. 본체에 개폐 가능하게 연결되며, 그 닫히는 안쪽면에 디스플레이가 장착된 덮개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베젤 구현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덮개부의 상측 및 좌우측의 외곽선과 상기 디스플레이의 노출영역의 상측 및 좌우측의 외곽선 사이의 영역을 한정하는 제1베젤부를 형성하되, 상기 제1베젤부에는 상기 덮개부를 구성하는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의 체결부를 제외한 부품이 배제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덮개부의 하측 외곽선과 상기 디스플레이의 노출영역의 하측 외곽선 사이의 영역을 한정할 수 있게 제2베젤부를 형성하되, 상기 베젤부에 상기 덮개부과 상기 컴퓨터 본체를 폴딩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힌지부를 배치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2베젤부에 카메라 또는 상기 컴퓨터 본체에 급전되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안테나를 배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베젤 구현방법.
KR1020100047128A 2010-05-19 2010-05-19 휴대용 전자기기 KR1010947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7128A KR101094767B1 (ko) 2010-05-19 2010-05-19 휴대용 전자기기
EP11003830.4A EP2388678B1 (en) 2010-05-19 2011-05-10 Mobile device
TW100116667A TW201204219A (en) 2010-05-19 2011-05-12 Mobile device
US13/110,458 US9582031B2 (en) 2010-05-19 2011-05-18 Mobile device
CN201610322089.2A CN106020347B (zh) 2010-05-19 2011-05-19 移动装置
CN201110135183.4A CN102256463B (zh) 2010-05-19 2011-05-19 移动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7128A KR101094767B1 (ko) 2010-05-19 2010-05-19 휴대용 전자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7558A true KR20110127558A (ko) 2011-11-25
KR101094767B1 KR101094767B1 (ko) 2011-12-16

Family

ID=44209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7128A KR101094767B1 (ko) 2010-05-19 2010-05-19 휴대용 전자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582031B2 (ko)
EP (1) EP2388678B1 (ko)
KR (1) KR101094767B1 (ko)
CN (2) CN102256463B (ko)
TW (1) TW20120421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80663A1 (en) * 2018-10-19 2020-04-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tand member
WO2020171259A1 (ko) * 2019-02-21 2020-08-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케이스
WO2023063571A1 (ko) * 2021-10-12 2023-04-20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8622B1 (ko) * 2011-10-06 2012-05-25 한화에스앤씨주식회사 기구 상부를 관통하는 체결 부재를 사용하는 전자 기기 및 그 제조 방법
TWI454888B (zh) * 2012-01-05 2014-10-01 Wistron Corp 可攜式電子裝置及其擴充座
TWI528888B (zh) * 2012-05-22 2016-04-01 緯創資通股份有限公司 可攜式電腦裝置及螺桿裝置
CN103972635B (zh) * 2013-01-30 2017-01-18 宏碁股份有限公司 移动装置
KR102288437B1 (ko) * 2014-11-21 2021-08-10 삼성전자주식회사 접을 수 있는 전자 장치
US10013031B2 (en) * 2016-09-30 2018-07-03 Dell Products L.P. Systems and methods for mechanically interfacing camera to hinge of information handling system
JP2018120060A (ja) * 2017-01-24 2018-08-02 Nec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US10673124B2 (en) * 2017-06-30 2020-06-02 Intel Corporation Radio antenna integration in a mobile computing device
KR20190049972A (ko) 2017-10-31 2019-05-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23163709A1 (en) * 2022-02-25 2023-08-3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ntenna sections
CN115016600A (zh) * 2022-03-15 2022-09-06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笔记本电脑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249888A3 (en) 2001-04-11 2004-01-07 Lg Electronics Inc. Internal display-mounted antenna for mobile electronic equipment and mobile electronic equipment incorporating same
US7072690B2 (en) * 2001-04-11 2006-07-04 Lg Electronics Inc. Multi-band antenna and notebook computer with built-in multi-band antenna
JP2003069441A (ja) * 2001-08-23 2003-03-07 Nec Saitama Ltd 折り畳み型携帯無線機
JP4061473B2 (ja) 2002-04-26 2008-03-19 日本電気株式会社 折り畳み型携帯電話機
TW534574U (en) * 2002-09-18 2003-05-21 Benq Corp House assembly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7271997B2 (en) 2003-09-18 2007-09-18 Vulcan Portals, Inc. Processor module packaging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display
KR100608732B1 (ko) 2003-12-26 2006-08-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카메라 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TWI302431B (en) * 2004-06-25 2008-10-21 Asustek Comp Inc Electronic device with monitor protective function
KR100856203B1 (ko) 2006-06-27 2008-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지문 인식 센서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 장치 및 방법
US7778678B2 (en) * 2006-10-10 2010-08-17 Panasonic Corporation Radio control device
JP4260215B1 (ja) * 2007-08-29 2009-04-30 任天堂株式会社 撮像装置
US20090086420A1 (en) * 2007-10-01 2009-04-02 General Dynamics Itronix Corporation Rugged conductive housing structure for portable computing device display
US20110115735A1 (en) 2008-07-07 2011-05-19 Lev Jeffrey A Tablet Computers Having An Internal Antenna
JP2010067225A (ja) * 2008-09-12 2010-03-25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80663A1 (en) * 2018-10-19 2020-04-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tand member
KR20200044394A (ko) * 2018-10-19 2020-04-29 삼성전자주식회사 거치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0705572B2 (en) 2018-10-19 2020-07-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tand member
US11144098B2 (en) 2018-10-19 2021-10-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tand member
WO2020171259A1 (ko) * 2019-02-21 2020-08-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케이스
WO2023063571A1 (ko) * 2021-10-12 2023-04-20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88678A2 (en) 2011-11-23
US9582031B2 (en) 2017-02-28
TW201204219A (en) 2012-01-16
EP2388678B1 (en) 2018-08-08
CN102256463B (zh) 2016-06-15
US20110286166A1 (en) 2011-11-24
CN106020347A (zh) 2016-10-12
CN102256463A (zh) 2011-11-23
KR101094767B1 (ko) 2011-12-16
EP2388678A3 (en) 2015-04-01
CN106020347B (zh) 2019-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4767B1 (ko) 휴대용 전자기기
KR101978956B1 (ko) 이동 단말기
KR101570416B1 (ko) 이동 단말기
EP2587775B1 (en) Pouch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EP2629361A2 (en) Portable Terminal
EP2663056B1 (en) Mobile terminal
KR102007225B1 (ko) 이동 단말기
KR101760747B1 (ko) 이동 단말기
KR20110138701A (ko) 휴대 전자기기
KR20120021721A (ko) 휴대 단말기 및 그의 디스플레이 모듈
KR20110133373A (ko) 휴대용 전자기기
KR101918987B1 (ko) 이동 단말기
KR101929811B1 (ko) 이동 단말기
KR101962125B1 (ko) 이동 단말기
KR101631949B1 (ko) 휴대 단말기
KR101698089B1 (ko) 휴대용 전자기기
KR20140036873A (ko) 배터리팩과 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KR101984089B1 (ko) 이동 단말기
KR20130079019A (ko) 이동 단말기
KR101275189B1 (ko) 이동 단말기
KR101972088B1 (ko) 이동 단말기
KR101279517B1 (ko) 이동 단말기
KR20140048695A (ko) 이동 단말기에 연결되는 전자기기
KR101685348B1 (ko) 이동단말기
KR20130081514A (ko) 이동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