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9559B1 - 복수의 구동 휠을 구동시키기 위해 모터 및 제어 가능한중간 전동 기어를 구비하는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복수의 구동 휠을 구동시키기 위해 모터 및 제어 가능한중간 전동 기어를 구비하는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9559B1
KR100679559B1 KR1020017010645A KR20017010645A KR100679559B1 KR 100679559 B1 KR100679559 B1 KR 100679559B1 KR 1020017010645 A KR1020017010645 A KR 1020017010645A KR 20017010645 A KR20017010645 A KR 20017010645A KR 100679559 B1 KR100679559 B1 KR 1006795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
driven
motor
gear wheel
pin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0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05352A (ko
Inventor
크리스토프 포타코브스키
Original Assignee
사겜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겜 에스에이 filed Critical 사겜 에스에이
Publication of KR200101053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53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95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95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67Handling of original or reproduction media, e.g. cutting, separating, stacking
    • H04N1/0057Conveying sheets before or after scanning
    • H04N1/00596Conveying sheets before or after scanning using at least a part of the apparatus in common for transporting to or from a plurality of scanning positions, e.g. for reading and prin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67Handling of original or reproduction media, e.g. cutting, separating, stac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67Handling of original or reproduction media, e.g. cutting, separating, stacking
    • H04N1/0057Conveying sheets before or after scanning
    • H04N1/00572Conveying sheets before or after scanning with refeeding for double-sided scanning, e.g. using one scanning head for both sides of a she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67Handling of original or reproduction media, e.g. cutting, separating, stacking
    • H04N1/0057Conveying sheets before or after scanning
    • H04N1/00599Using specific components
    • H04N1/00602Feed roll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0461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part of the apparatus being used in common for reading and reproduc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2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the sheet-feed movement or the medium-advance or the drum-rotation movement as the slow scanning component, e.g. arrangements for the main-scanning
    • H04N1/121Feed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2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the sheet-feed movement or the medium-advance or the drum-rotation movement as the slow scanning component, e.g. arrangements for the main-scanning
    • H04N1/121Feeding arrangements
    • H04N1/1215Feeding using one or more cylindrical platens or rollers in the immediate vicinity of the main scanning li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9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multi-element arrays
    • H04N1/191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multi-element arrays the array comprising a one-dimensional array, or a combination of one-dimensional arrays, or a substantially one-dimensional array, e.g. an array of staggered elements
    • H04N1/192Simultaneously or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scanning picture elements on one main scanning line
    • H04N1/193Simultaneously or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scanning picture elements on one main scanning line using electrically scanned linear arrays, e.g. linear CCD array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9Gearing
    • Y10T74/19023Plural power paths to and/or from gearing
    • Y10T74/19074Single drive plural driven
    • Y10T74/19079Parallel
    • Y10T74/19084Spu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9Gearing
    • Y10T74/19172Reversal of direction of power flow changes power transmission to alternate pat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9Gearing
    • Y10T74/1956Adjustable
    • Y10T74/19565Relative movable axes
    • Y10T74/1957Parallel shaf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mon Mechanisms (AREA)
  • Structure Of Transmissions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 Gear Transmission (AREA)
  • Arrangement And Driving Of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디바이스(1), 특히 팩시밀리 장치는 역전 가능한 모터(26)와 상기 모터(26)에 의해 구동 가능한 중간 전동 기어(29)와 상기 중간 전동 기어(29)에 도움으로 구동 가능한 세 개의 구동 휠(44, 48, 51)을 구비하며, 중간 전동 기어(29)는 모터(26)에 의해 구동 가능한 기초 부재(basic member)(30)와 제어 부재(36)와 구동 부재(37)뿐만 아니라 제 1 기초 부재(30)와 제어 부재(36) 사이의 제 1 단일 방향성 커플링 수단(38) 및 기초 부재(30)와 구동 부재(37) 사이의 제 2 단일 방향성 커플링 수단(40)를 포함하며, 커플링 수단 둘 다 서로 반대인 회전 방향(31, 32)동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되며, 제어 부재(36)는 모터(26)와 적어도 하나의 구동 휠(44, 48, 51) 사이에서 구동력 전달을 선택적으로 달성하기에 적합하게 구성되며, 구동 부재(37)는 구동 휠(44, 48, 51)을 구동시키기 적합하게 구성된다.

Description

복수의 구동 휠을 구동시키기 위해 모터 및 제어 가능한 중간 전동 기어를 구비하는 디바이스{DEVICE HAVING A MOTOR AND HAVING A CONTROLLABLE INTERMEDIATE TRANSMISSION GEAR FOR DRIVING A PLURALITY OF DRIVE WHEELS OF THE DEVICE}
본 발명은 청구항 1항의 전제부에 한정된 것과 같은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전제절에 한정된 유형의 디바이스는 유형 명칭(type designation) FAX 750TA를 갖는 팩시밀리 장치로서 시장에 내놓아졌으며, 그 결과 알려져 있다. 이러한 알려진 디바이스는 역전 가능한 모터를 구비하며, 상기 모터에 의해 두 개의 중간 기어 휠이 구동될 수 있고, 상기 중간 기어 휠은 기본적으로 중간 전동 기어를 형성하고 모터의 회전 방향에 따라 선회 가능하다. 이러한 두 개의 중간 기어 휠 각각은 상기 알려진 디바이스의 두 구동 휠을 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알려진 디바이스는 솔레노이드(solenoid)를 더 포함하며, 이러한 솔레노이드에 의해 두 개의 중간 기어 휠 각각이 제 1 작동 위치에서 제 2 작동 위치로 선회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거나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위에서 언급된 수단은 네가지 작동 상태가 달성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네 가지 작동 상태를 달성하기 위해, 모터에 의해 형성되는 제어 수단과 솔레노이드가 요구된다. 모터에 더하여 요구되는 이러한 솔레노이드는 필요 공간 및 비용 측면 모두에서 바람직하지 못한 요소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위에서 언급된 상태를 회피하는 것이며, 청구항 1항의 전제부에서 한정된 것과 같은 개선된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청구항 제 1항의 전제부에 한정된 디바이스는 청구항 제 1 항의 특징부에서 한정된 것과 같은 독특한 특징을 갖는다.
청구항 제 1항의 특징부에서 한정된 독특한 특징의 제공은,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에서 상기 디바이스에 있는 복수의 구동 휠이 선택적으로 구동될 수 있고 각각의 경우에 구동될 구동 휠의 선택이 매우 단순한 수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는 매우 단순하고 공간 절약적인 구조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는 여러 작동 상태를 달성하기 위해 하나의 모터만을 구비할 뿐 추가적인 솔레노이드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는 네 가지 작동 상태만이 아닌 네 가지를 초과하는 작동 상태, 즉 적어도 다섯 가지 작동 상태, 또한 그 이상의 개수의 작동 상태를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이점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에서, 두 개의 단일 방향성 커플링 수단 뿐만 아니라, 기초 부재, 제어 부재 및 구동 부재는 서로에 대해 비교적 임의의 상대적 위치에 있을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가 청구항 제 2항에서 한정된 것과 같은 독특한 특징을 더 가질 때, 특히 이롭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이러한 방식으로, 특히 소형이며 공간 절약적인 구조가 얻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에서, 청구항 3항에서 한정된 것과 같은 독특한 특징이 더 제공될 때, 매우 이롭다는 것이 또한 입증되었다. 이러한 방식으로, 특히 단순한 제어 부재가 얻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에서, 부가적으로 청구항 4항에서 한정된 것과 같은 독특한 특징이 더 제공될 때, 매우 이롭다는 것이 또한 입증되었다. 이러한 방식으로, 특히 신뢰가능하며 손실 없는 구동력 전달이 얻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에서, 소위 프리휠 타입(freewheel type)의 단일 방향성 커플링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가 청구항 제 5항에서 한정된 것과 같은 독특한 특징을 더 가질 때, 특히 이롭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이러한 랩 스프링(wrap spring) 커플링 수단은 적절히 설계될 때 실질적으로 전혀 손실 없는 동작을 보이고, 또한 조용히 작동하고 공간을 절약한다는 이점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에서, 상기 디바이스가 청구항 6항에서 한정된 것과 같은 독특한 특징을 가질 때, 즉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가 팩시밀리 장치의 형태를 취할 때, 매우 이롭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치는 이러한 팩시밀리 장치에서 특히 바람직하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러한 팩시밀리 장치에서, 청구항 제 7항에서 한정된 독특한 특징이 더 제공될 때 이롭다는 것이 또한 입증되었다. 청구항 8항에서 한정된 것과 같은 독특한 특징이 더 제공될 때 이롭다는 것이 또한 입증되었다. 청구항 9 항에서 한정된 독특한 특징이 제공될 때 이롭다는 것이 또한 입증되었다. 상기 언급된 모든 독특한 특징들을 본 발명에 따른 팩시밀리 장치에 제공하는 것은 특히 단순한 구조의 이점을 갖는데, 그 이유는 상기 팩시밀리 장치의 주 구동 요소가 오직 하나의 모터에 의해 구동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상기 언급된 실시 태양 및 다른 실시 태양은 예로써 이하에서 기술되는 실시예로부터 자명해질 것이며, 이러한 예를 참조로 하여 명백해질 것이다.
이제,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로 하여 더 상세히 기술될 것이며, 이러한 도면은 예로써 주어진 실시예를 도시하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는다.
도 1은 원 서류 급송 롤러, 백지 인출 롤러(blank-sheet) 및 프린트 롤러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의 관련 부분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2는 모터에 의해 구동될 수 있고 제어 가능한 중간 전동 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원 서류 급송 롤러, 백지 인출 롤러 및 프린트 롤러가 구동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구동 수단을 매우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
도 3은 도 2의 구동 수단 및 중간 전동 기어를 도 2의 선 Ⅲ-Ⅲ를 따라 절단한 것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2의 구동 수단과, 백지 인출 롤러(여기서 미도시됨)를 구동시키기 위한 세 개의 기어 휠을 위에서 본 사시도.
도 5는 도 4와 같은 방법으로 구동 수단을 도시하되, 백지 인출 롤러를 구동 시키기 위한 세 개의 기어 휠을 추가적으로 도시하는 위에서 본 사시도.
도 6은 도 2, 도 4 및 도 5의 구동 수단을 도시하되, 구동 수단과 중간 전동 기어가 초기 상태에 있는 것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7은 도 6과 같은 방식으로 도 6의 구동 수단 및 중간 전동 기어가 주사-모드 상태에 있는 것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8은 도 6 및 도 7과 같은 방식으로 구동 수단 및 중간 전동 기어가 복사-모드 상태에 있는 것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9는 도 6, 도 7 및 도 8과 같은 방식으로 구동 수단 및 중간 전동 기어가 프린트-모드 상태에 있는 것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10은 도 6, 도 7, 도 8 및 도 9와 같은 방식으로 구동 수단 및 중간 전동 기어가 백지 인출 상태에 있는 것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11은 도 6, 도 7, 도 8, 도 9 및 도 10과 같은 방식으로 구동 수단 및 중간 전동 기어가 프린트 헤드 상승 상태에 있는 것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인 디바이스를 도시한다. 본 경우에, 상기 디바이스(1)는 이하에서 디바이스(1)로 지칭되는 팩시밀리 장치이다.
디바이스(1)는 주사 디바이스(scanning device)(2)를 구비하며, 원 서류(original document)는 예컨대 문자 및 숫자와 같은 원 서류 상의 이미지 정보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기 위해 상기 주사 디바이스(2)에 의해 주사될 수 있다. 이러한 원 서류는 도 1에서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급송 경로(3)를 따라 단계적으로 급송될 수 있다. 이러한 단계적 급송을 위해, 즉 원 서류의 단계적 구동을 위해, 디바이스(1)는 원 서류 급송 롤러(4)를 포함하며, 상기 원 서류 급송 롤러(4)는 화살표(5)로 표시된 방향, 즉 시계 방향으로 원 서류를 급송하도록 회전식으로 구동 가능하다.
디바이스(1)는 프린트 헤드(7)를 구비하는 프린트 디바이스(6)를 더 포함한다. 프린트 헤드(7)는 실질적으로 스트립(strip) 형상인 열전사 프린트 헤드이며, 이에 의해, 점 단위(point-by-point) 방식으로 프린트하는 것이 가능하다. 화살표(8)로 표시된 방향, 즉 시계 방향으로 또한 구동 가능한 프린트 롤러(9)의 도움으로 단계적으로 급송될 수 있는 백지(blank sheet) 위에 프린트가 행해질 수 있다. 프린트 롤러(9)는 프린트 헤드(7)와 상호 작용한다. 프린트 롤러(9)는 회전 가능하도록 디바이스(1) 내에 장착되며, 회전 가능한 것을 제외하고는 고정되어 있다. 프린트 디바이스(6)는 스프링 수단(미도시됨)의 도움으로 프린트 롤러(9)에 대해 유지되며, 따라서 프린트 헤드는 스프링의 부하(load) 하에 프린트 롤러(9)에 대해 가압된다. 프린트 헤드(7)를 포함하는 프린트 디바이스(6)는 축(10)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며, 프린트 롤러(9)로부터 멀어지게 화살표(11)로 표시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프린트 롤러(9)로부터 멀어지는 프린트 디바이스(6)의 이동은, 도 1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며 프린트 롤러(9)에 의해 구동될 수 있는 동작 디바이스(actuating device)의 도움으로 달성된다.
디바이스(1)에서, 열전사 프린트 공정은 프린트 헤드(7)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열전사 프린트 공정에서, 열전사 포일(thermal-transfer foil)은 프린트 헤드(7)의 도움으로 점 단위 방식으로 가열되며, 그 결과로서, 열전사 포일에 있는 왁스 유형의 염료(wax-like dye)가 프린트될 백지로 전사된다. 상기 열전사 포일은 제 1 릴(reel)(12)에 감겨 있으며, 열전사 포일을 공급하는 제 1 릴(12)은 공급 맨드릴(supply mandrel)(13)에 의해 구비된다. 열전사 포일은 제 1릴(12)로부터 급송 경로(14)를 따라 제 2릴(15)로 유도되며, 열전사 포일은 감김용 맨드릴(take-up mandrel)(16)에 지지된 제 2 릴(15)로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급송 경로(14)를 따라 유도된다. 감김용 맨드릴(16)은 프린트 롤러(9)에 의해 화살표(18)에 의해 표시된 방향으로 도 1에 일부가 도시된 전동 기어(17)를 거처 구동될 수 있다.
백지 위에 프린트하기 위해, 이러한 백지는 상기 백지의 스택(stack)(20)을 포함하는 백지 급송 수단(19)으로부터 인출되어야 하는데 즉, 스택으로부터 분리되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 디바이스(1)는 화살표(22)로 표시되는 방향, 즉 시계 방향으로 회전식으로 구동 가능한 백지 인출 롤러(21)를 구비한다. 매순간 맨 위에 있는 백지는 백지 급송 수단(19) 내에 있는 백지의 스택(20)으로부터 인출되어 프린트 헤드(7)와 프린트 롤러(9) 사이의 영역 내로 급송될 수 있다. 이러한 디바이스로부터 이미 오래전부터 알려진 바와 같이, 백지가 프린트 롤러(9)에 도달하자마자, 프린트될 백지는 프린트 롤러(9)에 의해 더 급송되며, 그 후 백지 인출 롤러(21)는 구동 맞물림으로부터 벗어난다. 백지는 일점쇄선으로 표시되는 급송 경로(23)을 따라 백지 급송 수단(19)과 프린트 롤러(9) 사이로 급송된다. 백지가 프린트된 후, 프린트된 시트는 마찬가지로 일점쇄선으로 표시된 급송 경로(24)를 따라 급송된다.
이하에서, 구동 수단(25)이 도 2를 참조로 하여 기술되며, 상기 구동 수단의 도움으로, 원 서류 급송 롤러(4), 프린트 롤러(9) 및 백지 인출 롤러(21)는 회전식으로 구동 가능하며, 상기 구동 수단의 도움으로, 프린트 디바이스(6)는 프린트 롤러(9)로부터 멀어지게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구동 수단의 도움으로, 감김용 맨드릴(16)은 회전식으로 또한 구동될 수 있다. 따라서, 구동 수단(25)은 디바이스(1)에 있는 복수의 구성 요소가 특히 유리한 방식으로 구동 또는 작동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구동 수단(25)은 스텝핑 모터(stepping motor)로 형성되는 모터(26)를 포함한다. 모터(26)의 회전 방향은 역전 가능하다. 모터(26)는 모터 샤프트(27)를 구비하며, 모터 피니언(28)이 상기 모터 샤프트에 회전식으로 고정된다. 구동 수단(25)은 중간 전동 기어(29)를 더 포함한다. 중간 전동 기어(29)의 구성 및 작용은 도 2 내지 도 11로부터 자명해질 것이다.
중간 전동 기어(29)는 모터(26)에 의해 회전식으로 구동 가능한 기초 부재(30)를 구비한다. 기초 부재(30)는 제 1 회전 방향(31), 즉 시계 방향 뿐만 아니라 제 2 회전 방향(32), 즉 반시계 방향으로 구동될 수 있다. 기초 부재(30)는 주축(33)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된다. 기초 부재(30)는 디스크 형상 기어 휠부(disc-shaped gear-wheel portion)(34)와 원통형 구동부(35)를 포함한다. 중간 전동 기어(29)는 원형 제어 디스크(36)로 형성되는 회전 구동 가능한 제어 부재(36)와 회전 구동 가능한 구동부(37)를 더 포함한다. 회전 구동 가능한 구동부(37)는 주동(primary) 기어 휠(37)로 형성된다. 중간 전동 기어(29)의 회전 구동 가능한 구동부(37)는 이하에서 주동 기어 휠(37)로써 지칭된다.
도 3으로부터 특히 자명해지는 바와 같이, 제 1 단일 방향성 커플링 수단(38)이 기초 부재(30), 즉 기초 부재(30)의 원통형 구동부(35)와 제어 부재(36) 사이에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커플링 수단은 제 1 회전 방향(31)에서 이음(coupling)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커플링 수단은 랩 스프링 커플링 수단(wrap-spring coupling means)(38)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경우에, 랩 스프링 커플링 수단(38)은 단일의 랩 스프링(39)을 포함하며, 상기 랩 스프링의 감김 방향은 기초 부재(30)가 제 1 회전 방향(31), 즉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안, 상기 랩 스프링이 기초 부재(30)의 원통형 구동부(35)상에 접하며 그래서 기초 부재(30)와 제어 부재(36) 사이에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선택된다. 제 1 랩 스프링(39)과 제어 부재(36) 사이에 구동 맞물림을 제공하기 위해, 제 1 랩 스프링(39)은 일 단부에 방사상으로 굽어진 부분을 구비하며, 상기 굽어진 부분은 제어 부재(36)의 그루브(groove)에 맞물린다.
제 2 단일 방향성 커플링 수단(40)이 기초 부재(30), 즉 기초 부재(30)의 원통형 구동부(35)와 주동 기어 휠(37) 사이에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커플링 수단은 제 1 회전 방향(31)과 반대되는 제 2 회전 방향(32)에서 이음(coupling)을 달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커플링 수단은 또한 랩 스프링 커플링 수단(40)으로 형성된다. 랩 스프링 커플링 수단(40)은 또한 단일의 랩 스프링(41)을 포함한다. 이제, 제 2 랩 스프링(41)의 감김 방향은 기초 부재(30)가 제 2 회전 방향(32), 즉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안, 상기 랩 스프링(41)이 기초 부재(30)의 원통형 구동부(35) 상에 접하며 그래서 기초 부재(30)와 주동 기어 휠(37) 사이에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선택된다. 제 2 랩 스프링(41)과 주동 기어 휠(37) 사이에 구동력 전달을 제공하기 위해, 제 2 랩 스프링(41)은 또한 일 단부에 방사상으로 굽어진 부분을 구비하며, 상기 굽어진 부분은 주동 기어 휠(37)의 슬롯(slot)에 맞물린다.
중간 전동 기어(29)에 있어서, 도 3으로부터 자명해지는 바와 같이, 기초 부재(30), 제어 부재(36) 및 주동 기어 휠(37) 뿐만 아니라, 두 개의 단일 방향성 커플링 수단(38, 40)은 주축(33)과 동축을 가지며, 결과적으로 서로가 동축을 갖는다. 이것은 특히 소형이며 공간 절약적인 구성의 이점을 갖는다.
원형 제어 디스크(36)로 형성되는 제어 부재(36)에 관하여는, 이러한 제어 부재(36)가 두 개의 연속적인 제어 그루브, 즉 제 1 제어 그루브(42) 및 제 2 제어 그루브(43)를 구비한다는 것이 주목된다. 두 개의 제어 그루브(42, 43) 각각의 형상은 도 2 및 도 6 내지 도 11에서 알 수 있다. 이하에서 더욱 상세히 기술되어지는 바와 같이, 제어 부재(36)는 모터(26)와 세 개의 구동 휠 중 적어도 하나의 구동 휠 사이에 구동력 전달을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에서 또한 더욱 상세히 기술되어질 바와 같이, 이러한 구동력 전달이 얻어진 후, 주동 기어 휠(37)은 세 개의 구동 휠 중 적어도 하나의 구동 휠을 구동시키도록 배치된다.
구동 수단(25)은 제 1 종동 기어 휠(44)과 상기 제 1 종동 기어 휠(44)에 동축으로 결합된 제 1 종동 피니언(45)을 포함한다. 제 1 종동 기어 휠(44) 및 제 1 종동 피니언(45)은 도 4 및 도 5에만 도시된 구동 수단(25)용 캐리어(46)에 고정 장착된 제 1 종동 샤프트(47)에 대해 회전 가능하다. 구동 수단은 제 2 종동 기어 휠(48)과 상기 제 2 종동 기어 휠(48)과 동축으로 결합된 제 2 종동 피니언(49)을 더 포함하며, 이들 모두는 고정된 제 2 종동 샤프트(50)에 대해 회전 가능하다. 구동 수단(25)은 제 3 종동 기어 휠(51)과 상기 제 3 종동 기어 휠(51)에 동축으로 결합된 제 3 종동 피니언(52)을 더 포함하며, 이들 모두는 제 3 종동 샤프트(53)에 대해 회전 가능하다.
구동 수단(25)은 제 1 선회 암(54)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선회 암은 제 1 종동 샤프트(47)에 대해 선회 가능하고 그 자유 단부에서 제 1 선회 피니언(56)을 움직이며, 상기 제 1 선회 피니언은 제 1 피니언 샤프트(55)에 대해 회전 가능하며, 상기 제 1 선회 피니언은 제 1 종동 기어 휠(44)과 지속적으로 맞물려 있으며, 주동 기어 휠(37)과 맞물리게 될 수 있고, 상기 주동 기어 휠(37)로부터 맞물림 해제될 수도 있다. 제 1 제어 핀(57)은 주축(33)에 평행하게 제 1 선회 암(54)으로부터 돌출해 있다. 제 1 제어 핀(57)은 제어 부재(36)의 제 1 제어 그루브(42)에 맞물리며, 그 결과로서, 제 1 선회 암(54)의 선회 운동이 그리고 이에 따른 제 1 선회 피니언(56)의 선회 운동이 제 1 제어 핀(57)을 거처 제어 부재의 제 1 제어 그루브(42)의 도움으로 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주동 기어 휠(37)과 제 1 선회 피니언(56) 및 이에 따른 제 1 종동 기어 휠(44) 사이에 구동력 전달의 달성이 가능하게 된다.
구동 수단(25)은 제 2 선회 암(58)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 2 선회 암은 제 2 종동 샤프트(50)에 대해 선회 가능하고 그 자유 단부 영역에서 제 2 선회 피니언(60)을 움직이며, 상기 제 2 선회 피니언은 제 2 피니언 샤프트(59)에 대해 회전 가능하며, 상기 제 2 선회 피니언은 제 2 종동 기어 휠(48)과 항상 맞물려 있으며, 주동 기어 휠(37)과 맞물리게 될 수 있고, 상기 주동 기어 휠(37)로부터 맞물림 해제될 수도 있다. 제 2 제어 핀(61)은 주축(33)에 평행하게 제 2 선회 암(58)으로부터 돌출해 있고, 제어 부재(36)의 제 1 제어 그루브(42)에 또한 맞물리며, 이에 따라, 제 1 제어 그루브(42)는 주동 기어 휠(37)과 제 2 선회 피니언(60) 및 이에 따른 제 2 종동 기어 휠(48) 사이에 구동력 전달이 달성되도록 제 2 선회 암(58) 및 제 2 선회 피니언(60)이 선회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구동 수단(25)은 제 3 선회 암(62)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 3 선회 암은 제 3 종동 샤프트(53)에 대해 선회 가능하고 그 자유 단부 영역에서 제 3 선회 피니언(64)을 움직이며, 상기 제 3 선회 피니언은 제 3 피니언 샤프트(63)에 대해 회전 가능하며, 상기 제 3 선회 피니언은 제 3 종동 기어 휠(51)과 항상 맞물려 있으며, 주동 기어 휠(37)과 맞물리게 될 수 있고 상기 주동 기어 휠(37)로부터 맞물림 해제될 수도 있다. 제 3 제어 핀(65)은 주축(33)에 평행하게 제 3 선회 암(62)으로부터 돌출해 있다. 제 3 제어 핀(65)은 제어 부재(36)의 제 2 제어 그루브(43)에 맞물리며, 이에 따라, 제 2 제어 그루브(43)는 제 3 선회 암(63) 및 제 3 선회 피니언(64)이 이동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그 결과로서, 주동 기어 휠(37)과 제 3 선회 피니언(64) 및 이에 따른 제 3 종동 기어 휠(51) 사이에 구동력 전달이 달성될 수 있다.
구동 수단(25)은 제 4 선회 암(66)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 4 선회 암은 제 3 피니언 샤프트(63)에 대해 선회 가능하고 그 자유 단부 영역에서 제 4 선회 피니언(68)을 움직이며, 상기 제 4 선회 피니언은 제 4 피니언 샤프트(67)에 대해 회전 가능하며, 상기 제 4 선회 피니언은 제 3 선회 피니언(64)과 항상 맞물려 있으며, 주동 기어 휠(37)과 맞물리게 될 수 있고 상기 주동 기어 휠(37)로부터 맞물림 해제될 수도 있다. 제 4 제어 핀(69)은 주축(33)에 평행하게 제 4 선회 암(66)으로부터 돌출해 있다. 제 4 제어 핀(69)은 제어 부재(36)의 제 1 제어 그루브(42)에 맞물리며, 이에 따라, 제 1 제어 그루브(42)는 주동 기어 휠(37)과 제 4 선회 피니언(68)과의 사이 및 제 3 선회 피니언(64)과 제 3 종동 기어 휠(51) 사이에 구동력 전달이 달성될 수 있도록 제 4 선회 암(66) 및 이에 따른 제 4 선회 피니언(68)이 선회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제 4 선회 피니언(68) 및 제 3 선회 피니언(64)에 관하여는, 한 번에 이러한 두 개의 선회 피니언(68, 64) 중 오직 하나, 즉 제 4 선회 피니언(68) 또는 제 3 선회 피니언(64) 중 어느 하나가 주동 기어 휠(37)과 맞물리게 될 수 있다는 것이 주목된다.
제 1 종동 기어 휠(44)은 주사될 원 서류의 단계식 이송을 얻도록 원 서류 급송 롤러(4)를 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 4 및 도 5에서 참조된다. 이들 두 도면으로부터 자명해지는 바와 같이, 제 1 원 서류 피니언(original-document pinion)(70)은 제 1 종동 기어 휠(44)과 동축을 갖는 종동 피니언(45)과 항상 맞물린다. 제 1 원 서류 피니언(70)은 항상 제 1 원 서류 기어 휠(71)과 항상 맞물린다. 제 1 원 서류 기어 휠(71)은 제 2 원 서류 피니언(72)과 항상 맞물린다. 또한, 원 서류 기어 휠(73)은 원 서류 피니언(72)과 항상 맞물리지만, 이러한 기어 휠은 도 4 및 도 5에서 화살표(73)로 개략적으로만 도시된다. 원 서류 급송 롤러(4)는 화살표(5)로 표시된 방향으로 다른 원 서류 기어 휠(73)을 거처 회전 구동 가능하다.
제 2 종동 기어 휠(48)은 백지 인출 롤러(21)를 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제 2 종동 기어 휠(48)에 동축으로 결합된 제 2 종동 피니언(49)이 제 1 백지 인출 기어 휠(74)과 항상 맞물린다. 제 1 백지 인출 기어 휠(74)은 제 2 백지 인출 기어 휠(75)과 맞물린다. 제 2 백지 인출 기어 휠(75)은 제 3 백지 인출 기어 휠(76)과 항상 맞물린다. 제 3 백지인출 기어 휠(76)은 구동 슬리브(driving sleeve)(77)와 동축에 결합된다. 구동 슬리브(77)를 거처, 상기 구동 슬리브(77)와 동축을 갖는 백지 인출 롤러(21)는 직접적으로 구동될 수 있으며, 이러한 목적을 위해, 백지 인출 롤러(21)는 구동 슬리브(77) 내로 이어지는 구동 돌기를 구비한다.
프린트 롤러(9)로부터 프린트 디바이스(6)를 들어 올리기 위해, 제 3 종동 기어 휠(51)은 프린트 롤러(9)를 구동시키고 추가적으로 열전사 포일에 대한 감김용 맨드릴(16)을 구동시키고 또한 프린트 디바이스(6)를 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제 3 종동 기어 휠(51)에 동축으로 결합된 제 3 종동 피니언(52)은 프린트 롤러 기어 휠(78)과 항상 맞물린다. 프린트 롤러 기어 휠(78)은 구동 슬리브(79)를 구비하며, 프린트 롤러(9)로부터 돌출하는 구동 돌기가 상기 구동 슬리브(79) 내로 맞물린다. 제 3 선회 피니언(64)이 주동 기어 휠(37)과 맞물릴 때, 프린트 롤러 기어 휠(78)은 제 1 회전 방향(80)으로 구동될 수 있으며, 이는 도 1의 회전 방향(8)에 상응한다. 프린트 롤러 기어 휠(78)이 제 1 회전 방향(80)으로 구동될 때, 이것은 프린트 롤러(9)로 하여금 회전 방향(8)으로 구동되게 하고 감김용 맨드릴(16)로 하여금 전동 기어(17)를 거처 회전 방향(18)으로 회전되게 한다. 제 4 선회 피니언(68)이 주동 기어 휠(37)과 맞물려 구동될 때, 프린트 롤러 기어 휠(78)은 제 2 회전 방향(81)으로 구동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프린트 디바이스(6)는 프린트 롤러 기어 휠(78)의 도움으로 화살표(11)로 표시된 방향으로 이동되며, 그 결과로써, 프린트 헤드(7)는 프린트 롤러(9)로부터 들어 올려져서 들어 올려진 채 유지된다. 이러한 경우, 프린트 롤러(9)는 화살표(8)로 표시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구동되지만, 이것은 프린트 헤드(7)가 프린트 롤러(9)로부터 제거되었기 때문에 아무런 효과도 없다. 이러한 경우, 다른 단일 방향성 커플링 수단이 프린트 롤러(9)와 감김용 맨드릴(16) 사이의 구동력 전달에 관여되기 때문에, 감김용 맨드릴(16)은 프린트 롤러(9)에 의해 구동되지 않으며, 이는 상기 작동 상태에서 프린트 롤러(9)와 감김용 맨드릴(16) 사이에 구동력 전달이 맞물림 해제되는 것을 보장한다.
도 6은 구동 수단(25) 및 중간 전동 기어(29)의 휴지 상태 또는 초기 상태를 도시한다. 이러한 초기 상태에서, 모두 네 개의 선회 요소(56, 60, 64 및 68)가 네 개의 제어 핀(57, 61, 65 및 69)과 두 개의 제어 그루브(42, 43)의 도움으로 주동 기어 휠(37)로부터 멀어지게, 즉 화살표(82, 83, 84 및 85)로 표시된 것과 같이 유지된다.
구동 수단(25) 및 중간 전동 기어(29)는 도 6에 도시된 초기 상태로부터 주사-모드 상태에 이를 수 있다. 이러한 상태 변화를 수행하기 위해, 기초 부재(30) 및 이에 따른 제어 부재(36)의 제 1 랩 스프링(39)이 제 1 회전 방향(31)으로, 즉 제어 부재(36)가 도 7에 도시된 위치를 취할 때까지 구동된다. 제어 부재(36)의 이러한 위치에서, 제 l 제어 그루브(42)는 제 1 제어 핀(57)과 이에 따른 제 1 선회 암(54) 및 제 1 선회 피니언(56)이 상기 제 1 제어 그루브(42)의 도움으로 화살표(82)로 표시된 방향과 반대 방향인 화살표(86)로 표시된 방향으로 이동될 정도의 위치를 점유하며, 그 결과, 제 1 선회 피니언(56)의 도움으로, 주동 기어 휠(37)과 제 1 종동 기어 휠(44) 및 제 1 종동 피니언(45) 사이에서 구동력 전달이 얻어지며, 이에 의해 디바이스(1)의 원 서류 급송 롤러(4)가 구동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어 부재(36)가 도 7에 도시된 위치를 취하자마자, 모터(26)의 회전 방향은 역전되며, 그 결과로서, 기초 부재(30)가, 그리고 제 2 랩 스프링(41)을 거처, 주동 기어 휠(37)이 제 2 회전 방향(32)으로 구동된다. 이러한 결과로서, 제 1 종동 기어 휠(44)과 제 1 종동 기어 피니언(45)은 제 1 선회 피니언(56)을 거처 화살표(87)로 표시된 방향으로 구동되며, 이는 결과적으로 원 서류 급송 롤러(4)가 화살표(5)로 표시된 방향으로 구동되게 한다.
구동 수단(25)과 중간 전동 기어(29)는 도 6에 도시된 초기 상태로부터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주사-모드 상태로부터 도 8에 도시된 복사-모드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복사-모드 상태에 도달하기 위해, 먼저, 제어 부재(36)는, 상기 제어 부재(36)가 도 8에 도시된 위치를 점유할 때까지, 기초 부재(30)와 제 1 랩 스프링(39)을 거처 제 1 회전 방향(31)으로 구동된다. 제어 부재(36)의 이러한 위치에서, 말하자면, 네 개의 제어 핀(57, 61, 65 및 69)과 두 개의 제어 그루브(42, 43)에 의해, 제 1 선회 피니언(56)은 화살표(86)로 표시된 방향으로 이동되었으며, 제 2 선회 피니언(60)은 화살표(83)로 표시된 방향으로 이동되었으며, 제 3 선회 피니언(64)은 화살표(84)로 표시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인 화살표(88)로 표시되는 방향으로 이동되었으며, 제 4 선회 피니언(68)은 화살표(85)로 표시되는 방향으로 이동되었다. 도 8에 도시된 복사-모드 상태에 도달하자마자, 모터(26)의 회전 방향은 역전되며, 그 결과로서, 기초 부재(30)는 이어서 제 2 랩 스프링(41)을 거처 주동 기어 휠(37)을 구동시키며, 이는 제 1 종동 기어 휠(44)이 제 1 선회 피니언(56)을 거처 화살표(87)로 표시된 방향으로 구동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제 3 종동 기어 휠(51)이 제 3 선회 피니언(64)을 거처 화살표(89)로 표시된 방향으로 구동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복사 모드의 작동에 요구되는 바와 같이, 원 서류 급송 롤러(4)가 제 1 종동 기어 휠(44)의 도움으로 구동될 수 있고, 동시에 감김용 맨드릴(16) 뿐만 아니라 프린트 롤러(9)가 제 3 종동 기어 휠(51)의 도움으로 구동될 수 있다.
구동 수단(25) 및 중간 전동 기어(29)도 마찬가지로 도 7 및 도 8을 참조로 하여 이미 기술된 것과 같이 프린트 모드 상태에 이를 수 있으며, 이러한 상태에서, 말하자면, 네 개의 제어 핀(57, 61, 65 및 69)과 두 개의 제어 그루브(42, 43)에 의해, 제 1 선회 피니언(56)은 화살표(82)로 표시된 방향으로 이동되었으며, 제 2 선회 피니언(60)은 화살표(83)로 표시된 방향으로 이동되었으며, 제 3 선회 피니언(64)은 화살표(88)로 표시된 방향으로 이동되었으며, 제 4 선회 피니언(68)은 화살표(85)로 표시된 방향으로 이동되었다. 따라서, 프린트-모드 상태에서, 제 3 선회 피니언(64)은 따라서 주동 기어 휠(37)과 맞물리며, 그 결과로서, 제 3 종동 기어 휠(51)은 화살표(89)로 표시된 방향으로 구동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프린트 롤러(9)와 감김용 롤러(16)는 프린트 모드 작동에 요구되는 바와 같이 구동될 수 있다.
또한, 구동 수단(25) 및 중간 전동 기어(29)는 도 6, 도 7,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도 10에 도시된 백지 인출 모드 상태에 이를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 도달하도록, 기초 부재(30)는 먼저 제 1 회전 방향(31)으로 구동되며, 그 결과로서, 제어 부재(36)가 제 1 랩 스프링(39)을 거처 제 1 회전 방향(31)으로 또한 구동되며, 이는 제어 부재(36)가 도 10에 도시된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어 부재(36)의 위치에서, 말하자면, 네 개의 제어 핀(57, 61, 65 및 69)과 두 개의 제어 그루브(42, 43)에 의해, 제 1 선회 피니언(56)은 화살표(82)로 표시된 방향으로 이동되었으며, 제 2 선회 피니언(60)은 화살표(83)로 표시된 방향과 반대 방향인 화살표(90)로 표시된 방향으로 이동되었으며, 제 3 선회 피니언(64)은 화살표(84)로 표시된 방향으로 이동되었으며, 제 4 피니언(68)은 화살표(85)로 표시된 방향으로 이동되었다. 이러한 백지 인출 모드 상태에서, 제 2 종동 기어 휠(48)만이 말하자면 제 2 선회 피니언(60)을 거처 주동 기어 휠(37)과 맞물려 구동됨으로써, 이러한 경우, 오직 제 2 종동 기어 휠(48) 만이 구동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백지 인출 모드 상태에 도달하자마자, 모터(26)의 회전 방향은 역전되며, 결과적으로, 기초 부재(30)는 제 2 회전 방향(32)으로 구동되며, 그 결과로서, 주동 기어 휠(37)은 제 2 랩 스프링(41)을 거처 구동되며, 이는 다시 제 2 종동 기어 휠(48)이 제 2 선회 피니언(60)을 거처 화살표(91)로 표시되는 방향으로 회전되게 한다. 제 2 종동 기어 휠(48)은 제 3 백지 인출 기어 휠(76)에 결합된 구동 슬리브(77)를 제 2 종동 피니언(49)과 세 개의 백지 인출 기어 휠(74, 75, 76)을 거처 구동시키며, 그 결과로서, 백지 인출 롤러(21)는 구동된다. 따라서, 맨 위의 백지는 백지 인출 롤러(21)의 도움으로 백지 스택(20)으로부터 인출되어 프린트 롤러(9)에 급송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구동 수단(25)과 중간 전동 기어(29)는 또한 도 11에 도시된 프린트 헤드 상승 모드 상태에 이를 수 있으며, 이는 위에서 언급된 상태에 대해 기술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달성될 수 있는데, 즉 무엇보다 먼저, 제어 부재(36)가 제 1 랩 스프링(39)을 거처 제 1 회전 방향(31)으로 기초 부재(30)에 의해 구동되며, 프린트 헤드 상승 모드 상태에 도달된 후, 주동 기어 휠(37)이 제 2 랩 스프링(41)을 거처 기초 부재(30)에 의해 제 2 회전 방향(32)으로 구동된다. 프린트 헤드 상승 모드 상태에서, 말하자면, 네 개의 제어 핀(57, 61, 65 및 69)과 두 개의 제어 그루브(42, 43)에 의해, 제 1 선회 피니언(56)은 화살표(82)로 표시된 방향으로 이동되었으며, 제 3 선회 피니언(64)은 화살표(84)로 표시된 방향으로 이동되었으며, 제 4 선회 피니언(68)은 화살표(85)로 표시된 방향과 반대 방향인 화살표(92)로 표시된 방향으로 구동되었다. 프린트 헤드 상승 모드 상태에서, 제 4 선회 피니언(68) 만이 주동 기어 휠(37)과 맞물려 구동되며, 그 결과로서, 이러한 경우, 제 3 종동 기어 휠(51)은 회전 방향(89)과 반대인 회전 방향(93)으로 구동된다. 화살표(93)로 표시된 방향으로 제 3 종동 기어 휠(51)의 이러한 구동은 화살표(11)로 표시된 방향으로의 선회 축(10)에 대해 프린트 디바이스(6)의 선회 운동으로 변환된다. 간결함을 위해, 이러한 본 목적에 요구되는 작동 수단은 미도시된다.
본 발명은 예로써 앞서 기술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랩 스프링 커플링 수단 대신에 다른 단일 방향성 커플링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하나의 랩 스프링 커플링 수단이 두 개의 랩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예를 들면, 하나의 기초 부재와 하나의 제어 부재 뿐만 아니라 주동 기어 휠(37)에 의해 형성되는 구동 부재(37)가 서로 동축에 배치되지 않고 서로에 대해 변위될 수 있는 축에 대해 회전 가능한 구조가 선택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유형 명칭 FAX 750 TA를 갖는 팩시밀리 장치로서 시장에 나온 유형의 디바이스등에 이용된다.

Claims (9)

  1. 회전 방향이 역전 가능한 모터(26)와,
    상기 모터(26)에 의해 구동 가능한 중간 전동 기어(29)와,
    상기 중간 전동 기어(29)를 거처 상기 모터(26)의 도움으로 구동 가능한 적어도 두 개의 구동 휠(44, 48, 51)과,
    상기 중간 전동 기어(29)를 통해 상기 모터(26)와 적어도 하나의 구동 휠(44, 48, 51)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구동력 전달을 달성시키기 위한 제어 수단(conrol means)(36)을
    구비하는 디바이스(1)로서,
    상기 중간 전동 기어(29)는 상기 모터(26)에 의해 회전 구동 가능한 기초 부재(basic member)(30)와 회전 구동 가능한 제어 부재(36) 뿐만 아니라 회전 구동 가능한 구동 부재(37)를 포함하고
    제 1 단일 방향성 커플링 수단(38)은 상기 기초 부재(30)와 상기 제어 부재(36) 사이에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커플링 수단은 제 1 회전 방향(31)에서 커플링을 형성하도록 구성되고
    제 2 단일 방향성 커플링 수단(40)은 상기 기초 부재(30)와 상기 구동 부재 사이에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커플링 수단은 상기 제 1 회전 방향(31)에 반대인 제 2 회전 방향(32)에서 커플링을 형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 부재(36)는 상기 모터(26)와 적어도 하나의 구동 휠(44, 48, 51) 사이에서 구동력 전달을 선택적으로 달성하기에 적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구동 부재(37)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구동 휠(44, 48, 51)을 구동하기에 적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 부재(30)와 상기 제어 부재(36)와 상기 구동 부재(37) 뿐만 아니라, 상기 두 개의 단일 방향성 커플링 수단(38, 40)은 주축(33)과 동축이고, 결과적으로 서로 동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부재(36)는 제어 그루브(42, 43)를 구비하는 원형 제어 디스크(36)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부재(37)와 상기 구동 휠(44, 48, 51)은 각각 기어 휠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단일 방향성 커플링 수단(38, 40) 중 적어도 하나는 랩 스프링 커플링 수단(38, 40)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1)는 팩시밀리 장치의 형태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7. 제 6항에 있어서, 제 1 구동 휠(44)은 주사될 원 서류(original document)를 이송시키기 위해 원 서류 급송 롤러(4)를 구동시키기에 적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8. 제 7항에 있어서, 제 2 구동 휠(48)은 백지 인출 롤러(21)를 구동시키에 적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9. 제 8항에 있어서, 제 3 구동 휠(51)은 프린트될 백지의 운반을 위해 프린트 롤러(9)를 구동시키기에 적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KR1020017010645A 1999-12-23 2000-12-12 복수의 구동 휠을 구동시키기 위해 모터 및 제어 가능한중간 전동 기어를 구비하는 디바이스 KR1006795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99890402 1999-12-23
EP99890402.3 1999-12-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5352A KR20010105352A (ko) 2001-11-28
KR100679559B1 true KR100679559B1 (ko) 2007-02-07

Family

ID=8244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0645A KR100679559B1 (ko) 1999-12-23 2000-12-12 복수의 구동 휠을 구동시키기 위해 모터 및 제어 가능한중간 전동 기어를 구비하는 디바이스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523437B2 (ko)
EP (1) EP1188303B1 (ko)
JP (1) JP4688393B2 (ko)
KR (1) KR100679559B1 (ko)
AT (1) ATE354250T1 (ko)
DE (1) DE60033391T2 (ko)
WO (1) WO2001049021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530013T1 (de) * 2003-03-07 2011-11-15 Sagemcom Documents Sas Initialisierungsverfahren einer antriebseinheit und die antriebseinheit
JP6855269B2 (ja) * 2017-02-15 2021-04-07 キヤノン株式会社 原稿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65792A (en) * 1975-07-24 1977-12-2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Facsimile system
US4422786A (en) * 1980-11-03 1983-12-27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Bidirectional motion to unidirectional motion translator
JPH0653428B2 (ja) * 1984-05-10 1994-07-20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
JPH0488238A (ja) * 1990-07-31 1992-03-23 Zexel Corp 歯車伝動装置
JP2677717B2 (ja) * 1991-03-29 1997-11-17 シャープ株式会社 ファクシミリ装置の用紙搬送機構
US5213426A (en) * 1992-06-29 1993-05-25 Apple Computer, Inc. Automatic printing media feed apparatus
EP0580431B1 (en) * 1992-07-22 1997-01-02 Kabushiki Kaisha TEC Paper feeding apparatus for printer
JP2672452B2 (ja) * 1993-08-04 1997-11-05 富士通テン株式会社 磁気テープの走行状態切換機構
KR200147810Y1 (ko) * 1995-10-12 1999-06-15 윤종용 팩시밀리의 원 모터 구동장치
US5760926A (en) * 1995-10-20 1998-06-02 Apple Computer, Inc. Apparatus for utilizing a single paper path for scanning, faxing, copying, and printing
KR0164382B1 (ko) * 1995-11-17 1999-03-20 김광호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급지부 구동 장치
JPH09307702A (ja) * 1996-05-17 1997-11-28 Brother Ind Ltd 原稿読み取り装置
KR100431422B1 (ko) * 1996-07-22 2004-09-04 사겜 에스에이 상호이동가능한레코드캐리어구동용롤러및프린팅디바이스를갖는장치
DE19643630C2 (de) * 1996-10-22 2002-10-24 Oce Printing Systems Gmbh Lösbare Kopplungsvorrichtung
US5954326A (en) * 1997-11-14 1999-09-21 Hewlett-Packard Company Three state shifting device for multi-function office equip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10023624A1 (en) 2001-09-27
JP2003518602A (ja) 2003-06-10
KR20010105352A (ko) 2001-11-28
DE60033391T2 (de) 2007-08-23
EP1188303B1 (en) 2007-02-14
DE60033391D1 (de) 2007-03-29
ATE354250T1 (de) 2007-03-15
US6523437B2 (en) 2003-02-25
WO2001049021A3 (en) 2001-12-13
WO2001049021A2 (en) 2001-07-05
EP1188303A2 (en) 2002-03-20
JP4688393B2 (ja) 2011-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17423B2 (en) Duplex ADF mechanism
US5862446A (en) Drive switching mechanism for use in image input apparatus
EP0410458B1 (en) Curl correcting device
KR100679559B1 (ko) 복수의 구동 휠을 구동시키기 위해 모터 및 제어 가능한중간 전동 기어를 구비하는 디바이스
CN101590741B (zh) 头移动机构和图像形成设备
US5422732A (en) Facsimile apparatus
US7703999B2 (en) Sheet feeder, image-forming apparatus, and image-reading apparatus
JP5464983B2 (ja) プリンタ装置
JP2008302563A (ja) 印画装置及び印画方法
WO2001054395A1 (en) Apparatus having a scanning device which is detachable from the apparatus
US20050063761A1 (en) Image forming device
WO2003095215A1 (fr) Imprimante
JP4784958B2 (ja) 走査用記録担体を導くガイド手段を有する装置
JP3925738B2 (ja) 互いに関連して動作可能である記録担体を駆動するためのローラ及び印刷装置を有する装置
JPH0891710A (ja) 両面印刷可能な孔版式製版印刷装置
JP3470202B2 (ja) 熱転写画像形成装置
JPH04345456A (ja) ファクシミリ装置の送紙機構
JP2661674B2 (ja) 画像形成装置
EP1455519B1 (en) Method for initializing a drive unit and the drive unit
JPH06178042A (ja) ファクシミリ装置の紙送り機構
JPH05122434A (ja) フアクシミリ装置
JPH04140230A (ja) 給紙装置
KR19990009928A (ko) 팩시밀리 구동장치
JPS61277480A (ja) サ−マル熱転写印字装置
JPH05176108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