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9349B1 - 하면 맥주효모의 응집성 판정방법 - Google Patents

하면 맥주효모의 응집성 판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9349B1
KR100679349B1 KR1020027006907A KR20027006907A KR100679349B1 KR 100679349 B1 KR100679349 B1 KR 100679349B1 KR 1020027006907 A KR1020027006907 A KR 1020027006907A KR 20027006907 A KR20027006907 A KR 20027006907A KR 100679349 B1 KR100679349 B1 KR 1006793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east
seq
dna
primer
bre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6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5542A (ko
Inventor
지비키마키코
Original Assignee
아사히비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비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사히비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655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55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93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93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7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 C12Q1/6888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etection or identification of organisms
    • C12Q1/6895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etection or identification of organisms for plants, fungi or alga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3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fungi
    • C07K14/39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fungi from yeasts
    • C07K14/39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fungi from yeasts from Saccharomy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Myc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효시키지 않고 단기간에 용이하게 재현성 좋게, 하면(下面) 맥주효모의 응집성을 평가하는 방법을 확립하기 위해 실험실 효모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제( Saccharomyces cerevisiae ) 응집성 유전자 FLO5 의 ORF배열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면(下面) 맥주효모, 응집성,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제(Saccharomyces cerevisiae)

Description

하면 맥주효모의 응집성 판정방법{Method of Judging Flocculating Properties of Bottom Brewer's Yeast}
본 발명은 하면 맥주효모의 응집성의 유무 판정법 또는 비응집성화 변이의 검출에 관한 것이다.
일본 및 독일을 비롯한 세계 각국에서 라거 타입 맥주가 양조되고 있다. 이 타입의 맥주양조에 사용되는 효모의 대부분은 발효후기에 응집하여, 발효탱크의 바닥부에 침강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 하면(下面, bottom) 맥주효모라 부른다. 이 효모의 응집성은 맥주 양조공정에서 효모 회수 및 그 후의 여과와 더불어 맥주의 향미 및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성질이다. 또한, 하면 맥주효모는 성질이 안정한 경우, 생산에 있어서의 우위성에 따라 회수효모를 반복하여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하면 맥주효모의 응집성을 판정하는 것은 새로운 효모의 스크리닝, 선택 등에 있어서 중요하다.
효모의 일반적인 응집성 측정법으로서는 Burns 법(J. Inst. Brew., 43, 31, 1937), Helm법(Wallerstein Laboratory Communications 16, 315, 1953) 및 다수의 개량법이 있다. 이들 방법은 모두 배양, 발효후의 효모를 집균하고, 효모를 응집, 침강하기 쉬운 환경 하(즉, pH 4.5 전후, 저온)에서 응집 촉진물질인 Ca이온과 공존시켜 인공적으로 응집성을 발현시켜 그 응집, 침강상태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또한, 실제 맥주 효모공정에서 효모 응집성의 저하 또는 소실이 인정된 경우, 그 효모를 회수하여 반복 사용할 것인지 판단해야 한다. 비응집성화의 원인이 효모 자체에 생기는 불가역적인 변화, 즉 변이에 기인하는가 또는 효모에는 문제가 없이 환경요인에 의한 가역적인 변화인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일정 조건하에서 배양, 빌효를 시킨 후에 응집성 측정법에 의해 평가를 하지 않으면 안되고, 측정결과를 얻기까지는 2주간 정도의 시간이 소요된다.
또한, 효모의 변이는 한 번에 모든 세포에서 일어나는 것이 아니며, 단일 콜로니를 몇 번 단리하고, 각각에 대하여 응집성을 조사하고, 변이주의 개체수(population)을 파악하는 것도 중요하다. 그러나, 종래의 배양, 발효를 한 후에 응집성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한 번에 다수의 균주를 취급하는 것은 곤란하다.
최근, 실험실 효모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제( Saccharomyces cerevisiae )에 대하여 전체 염색체에 대해 염기서열이 밝혀지면서, 몇가지 응집성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존재가 확인되었다(Science 274, 546(1996), Nature 387, 7(1997). 이들 유전자 중, 제I 염색체상에 존재하는 FLO1 유전자에 대해서 가장 연구가 진행되어, 유전자의 단리와 그 해석이 이루어지고 있다(일본특허 공표공보 평7-509372, Yeast, 9, 1(1993), Yeast, 10, 211(1994)). 또한, FLO5 유전자의 단리와 그 해석에 대해서도 보고되어 있으며, FLO1 유전자와 다른 염색체 상에 있으나, 상동성이 높은 DNA염기서열을 갖는 것이 밝혀져 있다(Science, 265, 2077(1994), Curr.Genet., 25, 196(1994)). 또한, FLO8 유전자의 단리와 그 해석에 대해서도 보고되어 있다 (Agric. Biol. Chem., 47, 2889(1983), Mol. Gen. Genet., 251, 707(1986))
그리고, 하면 맥주효모는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제 및 사카로마이세스 바야너스( S. bayanus )의 효모에 유래하는 염색체를 갖는다는 사실이 밝혀졌으나, 이들 두 신균주에 유래하는 유전자에 착안하여 하면효모의 응집성을 판정하는데는 성공하지 못했다(Yeast, 14, 923(1998), System. Appl. Microbiol. in Press(1999)).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제의 응집성 유전자 FLO1 , FLO8 의 ORF배열에 착안한 방법으로는 맥주효모의 응집성 유무의 판정에는 성공하지 못했다. 더욱이 최근에 맥주효모의 응집성 유전자의 일부가 밝혀져, 그 유전자의 일부의 염기서열의 존재유무에 따라 맥주효모 타입의 응집성의 유무가 판정가능한 것으로 보고되어 있으나, 효모의 변이에 의한 응집성의 저하, 소실에 대한 보고는 없다(일본특허 공개공보 평8-205900).
도 1은 각종 하면 맥주효모의 응집성 및 PCR 증폭산물의 전기영동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2는 응집성이 있는 하면 맥주효모 유래의 응집성 균주 및 비응집성 균주의 PCR 증폭산물의 전기영동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다.
도 3은 응집성이 있는 하면 맥주효모 유래의 PCR 증폭산물 사이즈와 응집성의 강도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전기영동 도면이다.
도 4는 응집성이 있는 하면 맥주효모 유래의 응집성 균주 및 비응집성 균주의 서전(southern)해석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본 발명에는 발효시키지 않고 단기간에 용이하게 재현성 좋게, 하면 맥주효모의 응집성을 평가하는 방법의 확립을 목적으로 한다.
실험실 효모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제의 제 Ⅷ 염색체상에 존재하는 응집성유전자 FLO5 의 ORF배열(Science, 265, 2077(1994))를 기초로 제작한 프라이머(primer)를 사용하여, PCR을 실시하고, 목적단편의 증폭의 유무 및 그 사이즈를 조사하여, 또한 응집성 하면 맥주효모의 게놈을 주형으로 하고, 상기 기재 프라이머을 이용하여 PCR을 실시하고, 증폭한 산물을 프로브(probe)로 하여, 서전하이브리다이제이션(southern hybridization)을 실시함으로써, 하면 맥주효모의 응집성 유무의 판정 및 비응집성화 변이의 검출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즉, 본 발명의 제1은 실험실 효모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제( Saccharomyces cerevisiae )의 응집성 유전자 FLO5의 ORF배열을 이용함으로써 하면 맥주효모의 응집성 유무를 판정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제 2는 동배열을 이용하여 본래 응집성을 갖는 하면 맥주효모의 변이에 의한 비응집성화 및 응집성 저하를 판정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제 3은 동배열을 이용함으로써 본래 응집성을 갖는 하면 맥주효모의 변이에 의한 비응집성화, 응집성 저하를 예측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제 4는 동배열로 제작한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PCR반응을 하여, 증폭산물의 유무를 검출함으로써 하면 맥주효모의 응집성 유무를 판정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제5는 동배열로부터 제작한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PCR반응을 하고, 증폭산물의 유무를 검출함으로써 하면 맥주효모의 변이에 의한 비응집성화 및 응집성 저하를 판정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제 6은 동배열로부터 제작한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PCR반응을 하고, 응집성을 나타내는 효모균주의 같은 증폭산물의 DNA의 사이즈와 비교함으로써, 하면 맥주효모의 응집성 변이에 의한 비응집성화 또는 응집성 저하의 유무를 예측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제 7은 효모군으로부터 단일 콜로니(single colony) 수점을 단리하고, 동배열로부터 제작한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PCR반응을 하고, 효모군 중의 변이주의 개체군을 파악함으로써, 하면 맥주효모의 변이에 의한 비응집성화 및 응집성저하를 판정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제 8은 효모군으로부터 단일 콜로니 수점을 단리하고, 동배열로부터 제작한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PCR반응을 하고, 효모군 중의 변이주의 개체군을 파악함으로써, 하면 맥주효모의 변이에 의한 비응집성화 또는 응집성 저하를 예측 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제 9는 응집성이 있는 하면 맥주효모의 전체 DNA를 주형으로 하고 동배열로부터 제작한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PCR에 의해 증폭한 산물을 사용하여, 하면 맥주효모의 응집성 유무를 판정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제 10은 응집성이 있는 하면 맥주효모의 전체 DNA를 주형(template)으로 하고 동배열로부터 제작한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PCR에 의해 증폭한 산물을 사용하여 하면 맥주효모의 변이에 의한 비응집성화를 판정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은 실험실 효모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제( Saccharomyces cerevisiae ) 제 Ⅷ 염색체상의 응집성 유전자 FLO5의 ORF 영역(3228bp) 염기서열 또는 그 상보적 서열을 이용함으로써 각종 하면 맥주효모 레벨 및 응집성 하면효모 유래 변이주의 레벨에서 효모의 응집성을 판정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즉 효모의 응집성 발현에 필요한 유전자의 존재 상항을 조사함으로써, 응집성을 평가하는 방법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판정대상이 되는 효모의 게놈 작성은 공지된 어떤 방법을 사용해도 좋다(예를 들어 Methods in Yeast Genetics, 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Press, p130(1990)). 또한, 다수 시료로 작성하는 경우는 최근 현저한 진보를 이룬 자동 DNA추출 장치가 용이하며 효율적으로 유효하다.
유전자 존재상항의 확인은 종래부터 알려진 어떠한 방법으로도 가능하다. 이하, 주요한 방법을 나타내었다.
① 판정대상이 되는 효모로부터 추출한 게놈을 주형으로 하고 연속한 10 bp이상의 염기로 이루어진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PCR법에 의해 핵산의 증폭을 실시한다. 안정된 높은 검출감도를 얻기 위해 프라이머 길이는 약 20 bp 전후가 바람직하다. 또한, 프라이머의 조합에 맞춰 C 말단측은 0 ∼ 약 2000 bp 사이의 DNA 분자 또는 그 염기서열에 대하여 상보적인 염기서열을 포함한 DNA 분자로 이루어진 프라이머와 N말단측은 약 2400 ∼ 3228 bp 사이의 DNA 분자 또는 그 염기서열에 대하여 상보적인 염기서열을 포함한 DNA 분자로 이루어진 프라이머로 제작하는 것이 포인트이다. 프라이머의 예를 표 1에 나타냈으며, 센스 배열로서 C 말단측의 배열을 선택한 경우, 안티 센스측으로는 임의의 N 말단측의 배열을 선택하면 좋다. 즉, 프라이머예에 나타낸 a 배열에 대하여 c 배열 또는 d 배열 어느쪽 배열을 선택해도 판정은 가능하고 동양에 배열 b에 대하여 c, d 어떠한 배열을 선택해도 좋다. 배열 a는 배열표의 배열번호 1에 배열 b는 배열번호 2에, 배열 c는 배열번호 3에, 배열 d는 배열번호 4에 대응한다. 상기 DNA 분자는 공지 방법에 따라, 화학합성이 가능하다. 또한, 전문업자에게 위탁할 수도 있다.
PCR 반응에 사용하는 폴리메라제(polymerase) 등의 기원에 대해서 제약은 없으나, 내열성이 우수하고 안정하여 긴사슬의 증폭을 일으킬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프라이머와 판정대상인 게놈을 제외하고는 미리 혼합되어 있는 키트의 이용, 예를 들어 TaKaRa Perfect Shot(Takara Zhuzo사 제품) 등을 이용하는 것이 용이하며 안정된 결과를 얻는데 유효하다. 반응조건은 일반적인 PCR 조건이 좋으며, 열변성 온도 90 ∼ 95 ℃, 아닐링(Annealing) 온도는 40 ∼ 65 ℃, 신장 온 도 70 ∼ 75 ℃, 사이클 회수는 20회 이상이 바람직하다.
얻어진 증폭산물은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아가로스겔 등을 이용하여 전기영동 등에 의해 분리하고, 에티디움 브로마이드(ethidium bromide) 등에 의해 염색함으로써 검출 가능하다.
② 응집성을 갖는 효모로 조제한 게놈을 주형으로 하고 상기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PCR법으로 핵산을 증폭시킨다. 얻어진 증폭산물을 공지방법으로 간단하게 정제한 후 방사선 원소 또는 형광색소 등으로 표식한다. 이를 프로브로 하여, 판정대상의 효모 게놈을 전기영동한 후에 멘브레인(membrane)상에서 블러팅(blotting)한 시료와 혼성화시키는 하이브리다이제션을 실시한다. 적용한 표식방법에 맞춰 하이브리다이즈의 상항을 검출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살펴보고자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하면 맥주효모의 응집성 판정
① 효모 DNA 검출
하면 맥주효모 30주를 각각 10 ㎖의 YPD 배지(1% Yeast Extract, 2% Peptone, 2% Dextrose)에서 정상기까지 배양시킨 후, 원심분리하여 집균하였다. 그 후 증류수로 세척, 집균하였다. 0.2 ㎖의 2% Triton X-100, 1% SDS, 100 mM NaCl, 10 mM Tris-HCl(pH 8.0), 1mM Na2EDTA로 현탁하였다. 또한, 페놀 : 클로로포름(chloroform) : 이소아밀알콜(isoamylalcohol)(25 : 24 : 1) 0.2 ㎖ 및 산으로 세척한 유리알(glassbeads) 0.3g을 가하고 3분간 충분히 교반시켰다. TE (10 mM Tris-HCl(pH 7.5), 1 mM EDTA) 0.2 ㎖을 첨가한 후, 5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수조를 분리한 후, 1 ㎖의 100% 에탄올을 첨가하고 10분 이상 -20 ℃으로 정치한 후, 다시 원심분리하고 침전을 회수하였다. 얻어진 침전을 앞에서 기술한 TE 0.4 ㎖에 용해시켜, 10 ㎎/㎖ RNAse A용액을 3 ㎕ 가하고, 37 ℃, 5분간 가온하였다. 계속해서 10 ㎕의 4M 초산암모늄 및 1 ㎖의 100% 에탄올을 가하여 10분 이상 -20 ℃에서 정치한 후, 다시 원심분리하고 침전물을 회수하였다. 얻어진 침전물을 50 ㎕의 증류수에 용해시켜, 그 중 일부를 시험에 사용하였다.
② 응집성 유전자 FLO5 배열의 일부를 이용한 PCR법에 의한 응집성의 판정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제( Saccharomyces cerevisiae )의 제 Ⅷ 염색체상에 존재하는 응집성 유전자 FLO5의 ORF 배열을 기초로 하여 프라이머를 제작하였다. 프라이머의 예를 표 1에 나타내었다. PCR 반응조건은 94 ℃에서 2분간 핫스타트(Hot start)후, 94 ℃에서 1 분간, 57.5 ℃에서 2 분간, 72 ℃에서 2 분간을 30 사이클 반복하고, 마지막으로 72 ℃에서 20 분간 보온하였다. 그 일부를 취출하고, 1% 아가로스겔(Agarose gel) 을 사용한 전기영동에 제공하였다. 한편, 같은 균주에 대하여 YPD 배지에서 배양 후, 맥즙배지에서 발효하고, 앞에서 기술한 Burns법으로 응집성을 평가하였다. 본 방법은 효모를 응집, 침강하기 쉬운 환 경 하(즉, pH 4.5 전후, 저온)에서 응집촉진 물질인 Ca 이온과 공존시켜, 인공적으로 응집성을 발현시켜 그 응집, 침강상태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침강량으로 응집성을 판정한다. 이들 결과의 일부, 프라이머 a와 c를 대칭으로 사용하여 PCR 반응에 의해 증폭한 결과를 도 1에 나타냈으며, 약 5000 bp의 증폭 DNA의 존재여부와 Burns법으로 평가한 경과가 일치하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 의해 하면 맥주효모의 응집성균주(ブルッフ효모; Bruchhefe)와 비응집성 균주(シュタウブ효모;staubhefe)를 판별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즉 본 발명에 의해 단기간에 하면 맥주효모의 응집성을 평가하는 것이 가능하며, 스크리닝할 때 한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프라이머 염기서열
a 센스 5' ATGACAATTGCACACCACTG 3'
b 센스 5' ATTTCCTCCTCAGTAATTTC 3'
c 안티센스 5' TTAAATAATTGCCAGCAATA 3'
d 안티센스 5' CATGAGATTCGCAGGATGTC 3'

실시예 2 : 하면 맥주효모의 응집성 변이주의 평가
3종류의 응집성 하면 맥주효모 각각에 유래하는 응집성 균주 및 자연변이에 의해 생긴 비응집성 균주를 실시예 1에 나타낸 방법으로 각각 정상기까지 배양한 후, DNA를 추출하였다. 마찬가지로 표 1에 나타낸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PCR 반응을 일으켜, 증폭산물을 전기영동에 공급하였다.
그 결과의 일부, 프라이머 a와 c를 대칭으로 이용하여 PCR 반응을 일으킨 경우의 결과는 도 2와 같으며, 약 5000 bp의 증폭 DNA의 존재여부에 의해 응집성 세 포와 비응집성 세포를 판별하는 것이 가능하며, 본 방법에 의해 응집성 변이주를 평가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또한, FLO5배열 양 말단(즉, 프라이머 a 및 c) 이외의 임의의 프라이머에 의해서도 응집성의 유무를 평가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실시예 3 : 효모군 중에 차지하는 변이주의 개체군 조사
① 단일 콜로니의 단리 및 효모DNA의 추출
동일 효모에 유래하고, 맥주효모 중의 응집성이 다른 효모군 3군을 각각 YPD 평판배지(1% Yeast Extract, 2% Peptone, 2% Dextrose, 2% Agarose)에 도포하고, 25 ℃, 3 일간 배양하고, 단일 콜로니를 수십주씩 단리하였다. 실시예 1 기재 방법으로 단일콜로니 각각의 균주를 정상기까지 배양한 후, 집균, 세척하고, 자동 DNA 추출장치(東洋紡 Mag-Extractor II) 에 의해 효모의 DNA를 추출하였다.
② PCR법에 의한 응집성의 판정
상기 기재 방법에 의해 표1에 나타낸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PCR 반응을 일으켜, 증폭산물을 전기영동에 제공하였다.
그 전기영동의 일부, 프라이머 a 및 c를 대칭으로 사용한 결과가 도 3과 같으며, 약 50000 bp의 DNA의 증폭의 유무뿐 아니라, 증폭하는 밴드 사이즈에 차이가 있는 균주의 존재가 확인되었다. PCR에 의한 증폭상태가 다른 균주를 50 ㎖의 작은 스케일에서 맥즙을 이용한 발효시험에 제공한 후, 앞에서 기재한 Burns법에 의해 응집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약 5000 bp의 DNA의 증폭 단편의 유무와 응집성의 유무간에 일치가 확인되었으며, DNA 증폭 단편의 사이즈가 짧게 된 균주에서 응집성의 저하가 확인되었다. 본 방법에 의해 응집성을 잃은 균주의 검출 뿐아니라 지금까지 보고되지 않은 응집성의 저하 또는 소실의 위험이 있는 균주의 검출이 가능하였다.
③ 변이주의 개체군 조사
상기 시험결과,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3개의 효모군에는 응집성 균주의 존재비율이 달랐으며, 응집성이 좋은 효모군에서는 응집성 균주의 존재비율이 높고, 응집성이 매우 저하한 균에서는 응집성 균주의 존재비율이 매우 저하한 사실이 확인되었다. 응집성 균주의 존재비율이 낮은 효모군에서는 발효중의 부유(浮游)효모수가 보다 많고 발효후의 효모회수에 곤란을 일으키는 사실이 예상되며, 본 방법을 사용하여 실용상에 영향을 미치는 응집성 변이주의 존재비율을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효모군 A B C
발효후의 응집성 좋음 약간불량 불량
응집성주의 존재비율 100% 68% 37%

실시예 4: 서전하이브리다이제이션에 의해 하면 맥주효모의 응집성을 판정하는 방법
응집성 효모에 유래하는 응집성 균주 및 자연변이에 의해 생기는 비응집성균주를 YPD 배지에서 정상기까지 배양한 후, Methods in Cell Biology(Academic Press Vol.12, p39 ~ 44, 1975) 기재의 방법으로 전체 DNA을 추출하였다. 추출한 DNA을 EcoRI 또는 BamHI의 제한효소(Takara Zhuzo사 제품)에 의해 소화하고, 1% 아가로스겔을 사용하여 전기영동한 후에 나일론멘브레인하이본드 N+(아마샴 팔마시아사 제조)에서 블러팅하고, 서전(southern)해석에 공급하였다.
응집성 효모 DNA를 주형으로 하여 표 1에 나타낸 프라이머를 갖는 PCR 반응을 실시하여 증폭한 산물을 1% 아가로스겔에서 전기영동하고, 약 5000 bp의 단편을 자외선 조사하에서 자른 후 QIA quick Gel Extraction Kit(QIAGEN사)에 의해 추출한 것을 프로브로 하고, ECL검출시스템(아마샴 팔마시아사 제조)으로 프로토콜대로 실시하였다. 프라이머 a 및 c를 대칭으로 하고 PCR반응시켜 얻어진 증폭단편을 프로브로 한 경우의 결과가 도 4와 같으며, 응집성 균주에 확인된 약 9.3 Kb 밴드가 비응집성 균주에서는 확인되지 않으며, 본 방법을 이용하여 응집성을 판정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본 발명에 의해 판정 대상인 하면 맥주효모를 발효시키지 않고 종래보다 용이하며 신속하게 고정밀도의 응집성 유무의 판정 및 비응집성화 변이의 검출이 가능하게 되며, 한 번에 다량의 샘플을 취급할 수 있기 때문에 연구개발 뿐 아니라 공업생산에서 공정관리 및 품질관리에도 유익하다.
<110> Asahi Breweries Ltd. <120> Method for determining flocculation ability of bottom fermenting yeasts <130> 99T6-24 <150> JP 11/338935 <151> 1999-11-30 <160> 4 <170> KopatentIn 1.71 <210> 1 <211> 20 <212> DNA <213> Saccharomyces cerevisiae <400> 1 atgacaattg cacaccactg 20 <210> 2 <211> 20 <212> DNA <213> Saccharomyces cerevisiae <400> 2 atttcctcct cagtaatttc 20 <210> 3 <211> 20 <212> DNA <213> Saccharomyces cerevisiae <400> 3 ttaaataatt gccagcaata 20 <210> 4 <211> 20 <212> DNA <213> Saccharomyces cerevisiae <400> 4 catgagattc gcaggatgtc 20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샘플효모 균주를 배양 후, DNA를 추출하고, 실험실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제(Saccharomyces cerevisiae)의 응집성 유전자 FLO5의 ORF배열로 제작한 연속한 10 bp 이상 염기로 이루어진 서열번호 1 또는 2의 제 1의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3 또는 4의 제 2의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DNA와 PCR반응시키고, 증폭산물의 유무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면 맥주효모의 응집성 유무의 판정방법.
  5. 샘플 효모균주를 배양 후, DNA를 추출하고, 실험실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제(Saccharomyces cerevisiae)의 응집성 유전자 FLO5의 ORF배열로 제작한 연속한 10 bp이상 염기로 이루어진 서열번호 1 또는 2의 제 1의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3 또는 4의 제 2의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DNA와 PCR반응시키고, 증폭산물의 유무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면 맥주효모의 응집성 변이에 의한 비응집성화 또는 응집성 저하 유무의 판정방법.
  6. 샘플 효모 균주를 배양 후, DNA를 추출하고, 실험실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제(Saccharomyces cerevisiae)의 응집성 유전자 FLO5의 ORF 배열로 제작한 연속한 10 bp이상 염기로 이루어진 서열번호 1 또는 2의 제 1의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3 또는 4의 제 2의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DNA와 PCR 반응시키고, 응집성을 나타내는 효모균주의 같은 증폭산물의 DNA 사이즈를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면 맥주효모의 응집성 변이에 의한 비응집성화 또는 응집성 저하 유무를 예측하는 방법.
  7. 효모군에서 단일 콜로니를 수점 단리하고, 각 콜로니마다 배양 후, DNA를 추출하고, 실험실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제(Saccharomyces cerevisiae)의 응집성 유전자 FLO5의 ORF배열로 제작한 연속한 10 bp이상 염기로 이루어진 서열번호 1 또는 2의 제 1의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3 또는 4의 제 2의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DNA와 PCR 반응하여, 증폭산물의 유무를 검출하고, 효모군중의 응집성 변이주의 개체군을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면 맥주효모의 응집성 변이에 의한 비응집성화 또는 응집성 저하의 유무의 판정방법.
  8. 효모군에서 단일 콜로니를 수점 단리하고, 각 콜로니 마다 배양 후, DNA를 추출하고, 실험실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제(Saccharomyces cerevisiae)의 응집성 유전자 FLO5의 ORF 배열로 제작한 연속한 10 bp이상 염기로 이루어진 서열번호 1 또는 2의 제 1의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3 또는 4의 제 2의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DNA와 PCR 반응하여, 증폭산물의 유무를 검출하고, 효모군 중의 응집성 변이주의 개체군을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면 맥주효모의 비응집성화 또는 응집성 저하를 예측하는 방법.
  9. 응집성을 나타내는 하면 맥주효모로 조제한 게놈을 주형으로 하고, 실험실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제(Saccharomyces cerevisiae)의 응집성 유전자 FLO5의 ORF배열로 제작한 서열번호 1 내지 4의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연속한 10 bp이상 염기로 이루어진 서열번호 1 또는 2의 제 1의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3 또는 4의 제 2의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PCR에 의해 증폭한 산물을 프로브로 하고, 샘플 효모를 배양 후 추출한 DNA와 하이브리다이제이션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면 맥주효모의 응집성 유무의 판정방법.
  10. 응집성을 나타내는 하면 맥주효모로 조제한 게놈을 주형으로 하고, 실험실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제(Saccharomyces cerevisiae)의 응집성 유전자 FLO5의 ORF 배열로 제작한 서열번호 1 내지 4의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연속한 10 bp이상 염기로 이루어진 서열번호 1 또는 2의 제 1의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3 또는 4의 제 2의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PCR에 의해 증폭한 산물을 프로브로 하고, 샘플 효모를 배양 후 추출한 DNA와 하이브리다이제이션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면 맥주효모의 응집성 변이에 의한 비응집성화 또는 응집성 저하의 유무의 판정방법.
  11. 삭제
  12. 삭제
KR1020027006907A 1999-11-30 2000-11-30 하면 맥주효모의 응집성 판정방법 KR1006793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1999-00338935 1999-11-30
JP33893599 1999-11-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5542A KR20020065542A (ko) 2002-08-13
KR100679349B1 true KR100679349B1 (ko) 2007-02-07

Family

ID=18322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6907A KR100679349B1 (ko) 1999-11-30 2000-11-30 하면 맥주효모의 응집성 판정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037655B2 (ko)
EP (1) EP1236803A4 (ko)
KR (1) KR100679349B1 (ko)
CN (1) CN100415898C (ko)
AU (1) AU780412B2 (ko)
CA (1) CA2392508A1 (ko)
WO (1) WO200104051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6282317B2 (en) 2005-08-22 2010-12-09 Suntory Holdings Limited Cysteine synthase gene and use thereof
US20100129491A1 (en) 2005-09-01 2010-05-27 Yoshihiro Nakao Tryptophan transporter gene and use thereof
WO2007032524A2 (en) 2005-09-13 2007-03-22 Suntory Limited Alcohol acetyl transferase gene and use thereof
US20090061427A1 (en) 2006-02-24 2009-03-05 Yoshihiro Nakao Gene Encoding Protein Responsible for Flocculation Property of Yeast and Use Thereof
WO2007097097A1 (en) 2006-02-24 2007-08-30 Suntory Limited Ammonia transporter gene and use thereof
KR20100019535A (ko) 2006-02-24 2010-02-18 산토리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이웃자리 디케톤 또는 디아세틸-감소 활성을 갖는 단백질을 엔코딩하는 유전자 및 그의 용도
CA2604068A1 (en) 2006-02-24 2007-08-30 Suntory Limited Gene encoding protein responsible for flocculation property of yeast and use thereof
EP1874924B1 (en) 2006-02-28 2012-08-22 Suntory Holdings Limited Use of catalase genes for assessing or modifying the sulfite-producing capabiliy of yeasts
CA2642981A1 (en) 2006-02-28 2007-09-07 Suntory Limited Gene encoding glycogen synthase and use thereof
US20090029001A1 (en) * 2006-02-28 2009-01-29 Suntory Limited Gene encoding protein responsible for flocculation property of yeast and use thereof
ATE544778T1 (de) 2006-02-28 2012-02-15 Suntory Holdings Ltd Katalase-gen und verwendung davon
JP4914897B2 (ja) * 2006-02-28 2012-04-11 サントリ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酵母の凝集性に関与するタンパク質をコードする遺伝子及びその用途
CA2638770A1 (en) 2006-02-28 2007-09-07 Suntory Limited Gene encoding trehalose-6-phosphate phosphatase and use thereof
JP2009060789A (ja) * 2006-03-01 2009-03-26 Suntory Ltd 酵母の凝集性に関与するタンパク質をコードする遺伝子及びその用途
JP5149812B2 (ja) 2006-05-08 2013-02-20 サントリ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脂肪酸合成酵素及びそれをコードするポリヌクレオチド並びにその利用
JP2008263848A (ja) * 2007-04-19 2008-11-06 Asahi Breweries Ltd ビール酵母の凝集に対する培養液の影響を評価する方法
US8247209B2 (en) 2007-06-18 2012-08-21 Suntory Holdings Limited Glycerol-3-phosphate acyltransferase (GPAT) homologs and use thereof
EP2172548B1 (en) 2007-07-11 2016-12-21 Suntory Holdings Limited Phosphatidic acid phosphatase homologs and use thereof
CN101349636B (zh) * 2007-07-16 2010-09-29 青岛啤酒股份有限公司 一种麦芽絮凝程度的检测方法
EP2182071B1 (en) 2007-07-23 2016-12-14 Suntory Holdings Limited A method for preparing a fatty acid composition
CN103290035B (zh) 2007-10-26 2015-01-21 三得利控股株式会社 新型atp:柠檬酸裂解酶基因
BRPI1013611A8 (pt) 2009-03-18 2015-12-15 Suntory Holdings Ltd acetil-coa carboxilase
CA2755387C (en) 2009-03-26 2018-06-26 Suntory Holdings Limited Mortierella alpina lysophospholipid acyltransferase
US9453212B2 (en) 2009-12-28 2016-09-27 Suntory Holdings Limited Phosphatidic acid phosphatase gene and use thereof
BR112012019566A2 (pt) 2010-02-03 2015-09-15 Suntory Holdings Ltd homólogo de glicerol 3-fosfato aciltransferase e uso do mesmo
EP2409986A1 (de) * 2010-07-23 2012-01-25 Philipps-Universität Marburg Erfindung betreffend Flokkulation von Hefezellen
CN103703132B (zh) 2011-07-29 2015-07-29 三得利控股株式会社 磷脂酸磷酸酶基因
JP6284311B2 (ja) * 2012-11-30 2018-02-28 サッポロビール株式会社 発泡性飲料、原料液、添加剤及びこれらに関する方法
JP7327986B2 (ja) * 2019-04-25 2023-08-16 アサヒビール株式会社 酵母の早期凝集性の評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7405B1 (ko) * 1993-02-26 1999-12-01 . 효모 응집 유전자 및 이를 함유하는 효모
JP3643404B2 (ja) * 1995-02-01 2005-04-27 麒麟麦酒株式会社 酵母に凝集性を付与する遺伝子及びその遺伝子産物
JP4149007B2 (ja) * 1995-02-01 2008-09-10 麒麟麦酒株式会社 酵母の凝集性判定用dna分子および凝集性判定方法
DE69933661T3 (de) * 1998-04-15 2012-01-26 Merck Serono Biodevelopment Genomische sequenz des 5-lipoxygenase-aktivierenden proteins (flap), polymorphische marker und ihre anwendung in der diagnose von asthm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236803A1 (en) 2002-09-04
CN1402795A (zh) 2003-03-12
US7037655B2 (en) 2006-05-02
US20040214169A1 (en) 2004-10-28
AU780412B2 (en) 2005-03-17
AU1555901A (en) 2001-06-12
EP1236803A4 (en) 2003-05-02
CA2392508A1 (en) 2001-06-07
WO2001040514A1 (fr) 2001-06-07
KR20020065542A (ko) 2002-08-13
CN100415898C (zh) 2008-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9349B1 (ko) 하면 맥주효모의 응집성 판정방법
de Barros Lopes et al. PCR differentiation of commercial yeast strains using intron splice site primers
JP4149007B2 (ja) 酵母の凝集性判定用dna分子および凝集性判定方法
Ibeas et al. Mitochondrial DNA loss caused by ethanol in Saccharomyces flor yeasts
AU2004217613A1 (en) Screening method for genes of brewing yeast
Nakagawa et al. Involvement of the MRE2 gene of yeast in formation of meiosis‐specific double‐strand breaks and crossover recombination through RNA splicing
US5489513A (en) Specific gene probes and processes for the diagnostic investigation of Candida albicans
Casey Cloning and analysis of two alleles of the ILV3 gene from Saccharomyces carlsbergensis
Jibiki et al. Application of polymerase chain reaction to determine the flocculation properties of brewer's lager yeast
CA2730147A1 (en) Novel methods of differentiating yeast strains and/or determining genetic stability of yeast strains, and uses thereof
JP4450856B2 (ja) オオムギ品種の識別方法及び優良醸造形質を有するオオムギ品種
CN113512608B (zh) 转基因烟草的lamp检测引物体系、试剂盒及方法
US7504239B2 (en) Method of differentiating beer yeast
CN108913755B (zh) 用于检测影响啤酒酵母蛋白酶a基因表达量的发酵条件的多重引物、试剂盒及检测方法
AU666564B2 (en) Genetic fingerprinting of yeasts
JP3834649B2 (ja) 清酒酵母の菌株同定法
RU2432402C2 (ru) НАБОР ПРАЙМЕРОВ, ИСПОЛЬЗУЕМЫЙ ДЛЯ ОПРЕДЕЛЕНИЯ ДРОЖЖЕЙ РОДА Saccharomyces
US6852489B2 (en) Simple and quick method for determining the nucleotide sequence of a mitochondrial 21S ribosomal RNA gene of yeast belonging to Saccharomyces cerevisiae
Shobuike et al. Cloning and characterization of mouse Dhm2 cDNA, a functional homolog of budding yeast SEP1
Vilanova et al. Ecology of Saccharomyces cerevisiae in spontaneous fermentations at a Rias Baixas appelation controle winery
JP7327986B2 (ja) 酵母の早期凝集性の評価方法
CN112481382B (zh) 一种用于检测jak2基因的引物组合物和探针、试剂盒以及方法
CN109402278B (zh) Dna条形码、引物、试剂盒、方法和应用
JP2001008684A (ja) 新規オリゴヌクレオチドとそれを用いた酵母分類法
JP4389022B2 (ja) Yil169c、yol155c、muc1遺伝子を利用した醸造用酵母の判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50916

Effective date: 20061031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