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8501B1 - 그루브가 생성된 시스-코어형 피브릴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그루브가 생성된 시스-코어형 피브릴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8501B1
KR100678501B1 KR1020060021899A KR20060021899A KR100678501B1 KR 100678501 B1 KR100678501 B1 KR 100678501B1 KR 1020060021899 A KR1020060021899 A KR 1020060021899A KR 20060021899 A KR20060021899 A KR 20060021899A KR 100678501 B1 KR100678501 B1 KR 1006785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composite fiber
polyester resin
weight
fibrill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1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연수
최오곤
김진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새 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새 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새 한
Priority to KR10200600218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85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85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85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88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mixtures of polycondensation products as major constituent with other polymers or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D01F6/92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mixtures of polycondensation products as major constituent with other polymers or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of polyester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44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mixtures of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s major constituent with other polymers or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D01F6/46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mixtures of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s major constituent with other polymers or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of polyolefi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26Condensation or reaction polymers
    • D04H1/435Polyester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4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ester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ulticomponent Fi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한 종류의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및 적어도 한 종류의 디올로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알킬 술폰산 금속염 0.5 내지 5.0 중량부 및 소포제 0.001 내지 0.05 중량부를 에스테르화 반응 또는 중축합 반응 전에 투입하여 개질된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시스부로 하고, 레귤러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코어부로 하되, 상기 코어부에 대한 시스부의 방사 비율이 40 중량% 내지 60 중량%로 복합방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루브가 생성된 시스-코어형 피브릴 폴리에스테르 복합 섬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그루브가 생성된 시스-코어형 피브릴 폴리에스테르 복합 섬유는 모노머의 플로딩 현상이 없고, 극한 점도 및 표면 특성이 우수하다.
그루브, 시스-코어형, 알킬 술폰산 금속염, 소포제, 폴리에스테르 수지, 복합섬유

Description

그루브가 생성된 시스-코어형 피브릴 폴리에스테르 복합 섬유 및 그 제조방법{SEATH-CORE POLYESTER COMPOSITE FIBER HAVING GROOV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도1은 본 발명의 그루브가 생성된 시스-코어형 피브릴 폴리에스테르 복합 섬유의 단면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그루브가 생성된 시스-코어형 피브릴 폴리에스테르 복합 섬유의 표면구조를 전자주사 현미경으로 1,000배 확대한 사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그루브가 생성된 시스-코어형 피브릴 폴리에스테르 복합 섬유의 제조 장치의 개략도이다.
* 도면에 대한 설명 *
1 : 제1 압출기 2 : 제2 압출기
3 : 방사구금 4 : 제1 고뎃롤러
5 : 제2 고뎃롤러 6 : 와인더
10 : 개질 폴리에스테르 수지 20 : 레귤러 폴리에스테르 수지
본 발명은 피브릴 폴리에스테르 복합 섬유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피브릴 폴리에스테르 복합 섬유는 시스-코어(Sheath-Core)형 피브릴 폴리에스테르 복합 섬유로서, 개질된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시스(Sheath)부로 하고, 레귤러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코어(Core)부로 한 그루브가 생성된 시스-코어형 피브릴 폴리에스테르 복합 섬유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리적 성질 및 화학적 성질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광학용 소재, 산업용 소재 및 각종 의류용 소재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특히 의류용 소재에서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 섬유는 용융방사법에 의해 제조되기 때문에 그 표면이 평활하고, 감촉이 딱딱하며, 부드러운 특성이 없는 결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상기 결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 발명으로 미세한 마이크로 파이버 형태의 폴리에스테르 섬유 제조방법이 제안되었다. 그 일례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3-50001호 및 제2004-44800호는 레귤러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개질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복합방사하여 섬유를 제조한 후, 상기 개질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용출하여 0.5 데니어 이하의 마이크로 피프릴화 형태인 섬유로 제조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발명들은 상기 개질 폴리머를 용출하여 마이크로 파이버를 얻을 수는 있으나, 상기 개질 폴리머의 제거에 따른 제조 비용 상승과 제조 과정이 복잡한 단점이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999-17168호에서는 상호 비상용성인 폴리아마이드 및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복합 방사하여 표면 촉감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상기 발명에 의한 섬유는 폴리아마이드 및 폴리에스테르 염색 차이에 의한 균일한 표면 특성을 보이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일본 특개소 제9-170114호는 염색성 및 피브릴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폴리에스테르 폴리머에 유기 술폰산 금속염을 공중합시키고, 특정의 열처리와 알칼리 감량 처리하여 피브릴화를 발생시켜 촉감과 염색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제안하였으나, 상기 유기 술폰산 금속염을 공중합하여 그 결과로 불규칙한 빈틈이 내부와 표면을 통하도록 함에 따라 불규칙한 피브릴성을 갖게 되어 섬유의 강도를 저하시키는 문제를 야기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 발명들은 피브릴화 섬유의 미세 구조를 제어하고, 안정적인 방법에 의하여 피브릴화에 의한 새로운 감촉과 염색성을 개선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었으나, 과도한 피브릴화에 의한 섬유의 강도 저하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개질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제조 공정에서 개질제인 유기 술폰산 염은 고온에서 기포 발생시켜, 모노머가 플로딩하는 문제점을 내포함에 따라 제조 공정 상 어려운 점이 많다. 따라서, 이러한 플로딩 현상과 강도 등을 개선한 새로운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노력한 결과, 폴리에스테르의 중축합 단계에서 그루브를 형성할 수 있는 알킬 술폰산 금속염을 투입하여 제조하며, 사용된 상기 알킬 술폰산 금속염이 고온에서 기포를 발생시켜 모노머의 플로딩 현 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중축합 단계에서 소포제를 투입하여 제어하고, 제조된 섬유 표면의 줄무늬 형성에 따른 섬유의 강도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레귤러 폴리에스테르와 개질 폴리에스테르를 이용한 시스-코어형 복합 섬유를 제조함으로서,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표면에 그루브가 형성되면서도 섬유 강력이 유지되며 폴리에스테르 수지 개질시 모노머 플로딩 현상이 개선된 시스-코어형 피브릴 폴리에스테르 복합 섬유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적어도 한 종류의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및 적어도 한 종류의 디올로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알킬 술폰산 금속염 0.5 내지 5.0 중량부 및 소포제 0.001 내지 0.05 중량부를 에스테르화 반응 또는 중축합 반응 전에 투입하여 개질된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시스부로 하고, 레귤러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코어부로 하되, 상기 코어부에 대한 시스부의 방사 비율이 40 중량% 내지 60 중량%로 복합방사된 그루브가 생성된 시스-코어형 피브릴 폴리에스테르 복합 섬유를 제공한다.
상기 알킬 술폰산 금속염은 하기 화학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이다.
Figure 112006016541513-pat00001
(상기 식에서, R1은 탄소수가 5 내지 20인 알킬기이고, M1은 알칼리 금속을 나타낸다.)
상기 알킬 술폰산 금속염은 알킬 술폰산 나트륨 염이 바람직하고, 상기 나트륨의 함량이 500 ~ 6,000ppm이다. 또한, 알킬 술폰산 금속염의 평균 분자량은 180 내지 500이 바람직하며, 상기 소포제는 실리콘 계열의 소포제를 사용한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복합 섬유는 섬유 표면에 폭이 0.1 ~ 1㎛, 길이가 10 ~ 40㎛, 깊이가 0.1 ~ 1.5㎛이며 상기 섬유의 축방향으로 미세한 줄무늬 모양의 그루브가 생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1) 적어도 한 종류의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및 적어도 한 종류의 디올로 이루어진 폴리에스테르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알킬 술폰산 금속염 0.5 내지 5.0 중량부 및 소포제 0.001 내지 0.05 중량부를 에스테르화 반응 또는 중축합 반응 전에 투입하여, 개질된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제조된 개질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시스부로 하고, 레귤러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코어부로 하되, 상기 코어부에 대한 시스부의 방사 비율이 40 중량% 내지 60 중량%로 복합방사하여, 시스-코어 형태의 복합 섬유를 제조하는 단계 및
3) 상기 제조된 시스-코어 형태의 복합 섬유를 직조한 후 알칼리 용액에서 10% 내 지 30% 감량 처리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그루브가 생성된 시스-코어형 피브릴 폴리에스테르 복합 섬유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단계 1)에서 반응 온도는 250℃ 이하로 수행된다.
상기 알킬 술폰산 금속염은 하기 화학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다.
화학식1
Figure 112006016541513-pat00002
(상기 식에서, R1은 탄소수가 5 내지 20인 알킬기이고, M1은 알칼리 금속을 나타낸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그루브가 생성된 시스-코어형 피브릴 폴리에스테르 복합 섬유의 단면도로서, 개질된 폴리에스테르 수지(10)를 시스부로 하고, 레귤러 폴리에스테르 수지(20)를 코어부로 하여 구성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시스부는 적어도 한 종류의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및 적어도 한 종류의 디올로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알킬 술폰산 금속염 0.5 내지 5.0 중량부 및 소포제 0.001 내지 0.05 중량부를 에스테르화 반응 또는 중축합 반응 전에 투입하여 개질된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그루브가 생성된 시스-코어형 피브릴 폴리에스테르 복합 섬유는 폴리에스테르의 중축합 단계에서 그루브를 형성할 수 있는 개질제로서 알킬 술폰산 금속 염 및 소포제를 투입하여 개질된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사용함으로서, 종래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제조 공정에서 첨가된 유기 술폰산 염이 고온에서 기포가 발생되어 모노머가 플로딩되는 문제를 해결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개질 폴리에스테르 수지(10)를 시스부로 하고, 레귤러 폴리에스테르 수지(20)를 코어부로 하여 시스-코어형으로 피브릴 폴리에스테르 복합 섬유를 제조함으로서, 섬유 표면의 줄무늬 형성에 따른 섬유 강도저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알킬 술폰산 금속염은 하기 화학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1
Figure 112006016541513-pat00003
(상기 식에서, R1은 탄소수가 5 내지 20인 알킬기이고, M1은 알칼리 금속을 나타낸다.)
상기 알킬 술폰산 금속염은 폴리에스테르 중축합 단계에서 그루브를 형성하며, 바람직하게는 알킬 술폰산 나트륨 염을 사용한다. 상기 알킬 술폰산 나트륨 염 중 나트륨 함량은 500 ~ 6,000ppm이며, 불순물이 없는 것을 사용한다.
이 때, 상기 나트륨 함량이 500 ppm 미만이면, 상기 알킬 술폰산 나트륨 염의 탄소수가 5이하이므로 바람직하지 않고, 6,000ppm을 초과하면, 탄소수가 20이상이 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기 알킬 술폰산 나트륨 염의 평균 분자량은 180 내지 500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 때 상기 알킬 술폰산 나트륨 염의 평균 분자량이 180 미만이면, 중합반응의 진공상태에서 에틸렌 글리콜과 함께 빠져나오는 문제점이 발생하여 바람직하지 않고, 500을 초과하면, 제조된 섬유의 알칼리 감량공정에서 상기 알킬 술폰산 나트륨 염이 제거되지 못하기 때문에 표면 그루브가 생성되지 못하는 문제점으로 인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소포제는 알킬 술폰산 금속염이 고온에서 기포를 형성하는 것을 방지하여, 모노머의 플로딩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소포제는 중축합 반응 진공 설정 전에 투입하고, 상기 중축합 반응 온도를 250℃ 이하로 제어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20℃ ~ 250℃로 실시한다. 이 때, 반응온도가 220℃ 미만이면 중합반응을 하기 위해 온도를 급격하게 가하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고, 250℃를 초과하면, 알킬 술폰산 금속염이 플로딩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소포제는 폴리에스테르 수지(10,20)와 비상용성이고, 침투성 및 확산성이 양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바람직하게는 열적 안정성이 우수한 실리콘 계열의 소포제를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소포제는 합성 또는 상용되는 것에서 선택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소포제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소포제 0.001 내지 0.05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5 내지 0.02 중량부를 투입하여 극한 점도가 0.6 내지 0.8 ㎗/g 인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제조한다.
이 때, 사용된 소포제가 0.001 중량부 미만이면, 소포제로서의 역할을 하지 못하는 문제점으로 인하여 바람직하지 않고, 0.05 중량부를 초과하면, 폴리에스테르의 황변을 야기하는 문제점과 반응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으로 인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코어부에 대한 시스부의 방사 비율은 40 중량% 내지 60 중량%로 복합방사된다.
이에, 본 발명의 시스-코어형 피브릴 복합 섬유는 섬유의 표면에 폭이 0.1 ~ 1 ㎛, 길이가 10 ~ 40 ㎛, 깊이가 0.1 ~ 1.5 ㎛이며, 섬유의 축방향으로 미세한 줄무늬 모양의 그루브가 생성된다(도2).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시스-코어형 피브릴 복합 섬유의 제조 단계는 개질 폴리에스테르 수지(10)를 제조하는 단계1, 시스-코어형 복합 섬유를 제조하는 단계2 및 복합 섬유를 알칼리 용액에서 감량 처리하는 단계3으로 이루어진다.
도3은 본 발명의 그루브가 생성된 시스-코어형 피브릴 폴리에스테르 복합 섬유의 제조 장치의 개략도로서, 개질 폴리에스테르 수지(10)와 레귤러 폴리에스테르 수지(20)를 140 ℃에서 건조하여 제1 압출기(1) 및 제2 압출기(2)에 각각 공급하고, 방사 구금(3)을 통하여 285℃ ~ 295℃의 온도에서 용융 방사하여 개질 폴리에스테르 수지(10)를 시스부에, 레귤러 폴리에스테르 수지(20)를 코어부에 위치시킨 시스-코어형 피브릴 폴리에스테르 복합 섬유로 제조한다. 이후, 제1 고뎃롤러 (4) 및 제2 고뎃롤러 (5)를 거친 후 와인더(6)에 권취된다.
단계1은 에스테르화 반응 또는 중축합 반응 공정으로서, 개질 폴리에스테르 수지(10)를 제조한다. 상기에서 알킬 술폰산 금속염 및 소포제의 특성 및 사용량은 상기 그루브가 생성된 시스-코어형 피브릴 폴리에스테르 복합 섬유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또한, 상기 알킬 술폰산 금속염은 적어도 한 종류 이상의 디올에 40 % 내지 60 %의 슬러리 혼합 상태로 제조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로 실시한다.
단계2에서, 상기 코어부에 대한 시스부의 방사비율이 40 중량% 내지 60 중량%로 복합방사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단계3은 상기 단계로부터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복합 섬유를 알칼리 용액에서 10% 내지 30% 감량 처리하고, 바람직하게는 25% 이하로 감량 처리한다. 또한, 상기 알칼리 감량 처리는 상기 복합 섬유의 표면의 축방향으로 폭이 0.1 ~ 1 ㎛, 길이가 10 ~ 40 ㎛, 깊이가 0.1 ~ 1.5 ㎛인 미세한 줄무늬 모양의 홈이 생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이용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1>
폴리에스테르 수지 100 중량부를 얻기 위해, 테레프탈산 86.5 중량부, 에틸렌 글리콜 48.5 중량부를 에스테르 반응기에서 가압하여 200℃로부터 250℃까지 승온하였다. 그리고, 상기 반응기에서 생성된 유출수를 제거하면서 에스테르화 반응하였다. 상기 에스테르화 반응 종료 후, 중축합 반응관의 온도를 250℃ 이하로 관리하여, 상기 에스테르화 반응에서 얻어진 올리고머 상태인 비스히드록시에틸 테레프탈레이 트(BHET)에 인산 화합물 0.015 중량부, 삼산화 안티몬 0.03 중량부 및 코발트 아세테이트 0.01 중량부를 투입하고, 에틸렌 글리콜로 슬러리화되고 평균분자량이 180 내지 500인 알킬 술폰산 나트륨 염 1.0 중량부를 투입하고, 소포제(도시바 실리콘(주)사, 제품명 TSF-433) 0.005 중량부를 투입하여 5분간 교반시켜 비스히드록시에틸 테레프탈레이트(BHET)에 충분히 분산시켰다.
그리고, 상기 중축합 반응관을 감압하여 진공도가 1.0 torr 이하로 하고 온도를 285℃로 승온하여 반응을 진행시켜, 극한 점도가 0.65 ㎗/g인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얻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냉수(cold water)를 사용하여 고화시키면서 일정한 간격으로 칩화 및 건조시켜 본 발명의 개질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제조하였다. 그리고, 상기 공정에서 얻어진 개질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레귤러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285℃ ~ 295℃의 온도범위에서 시스-코어 구금을 이용하기 위해 각기 다른 용융 압출기를 사용하여 방사하였다. 상기 공정으로 통하여 제조된 원사를 제편한 뒤, 알칼리 용액에서 감량 처리하고 감량율 25%의 편물을 얻었다.
<실시예2 >
알킬 술폰산 나트륨 염을 2.0 중량부 투입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3>
알킬 술폰산 나트륨 염을 4.0 중량부 투입하고, 소포제를 0.01 중량부 투입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비교예1>
소포제를 투입하지 않고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비교예2>
소포제를 투입하지 않고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이하 실시예1 내지 실시예3과 비교예1 및 비교예2를 아래의 방법에 의해 물성 시험을 하여 표1에 나타내었다.
(1) 플로딩 현상
상기 시스-코어형 피브릴 폴리에스테르 복합 섬유의 제조 과정에서 발생되는 플로딩 현상을 육안 구별하였다.
× : 플로딩 없으며 반응이 이루어진다.
△ : 플로딩은 없으나 반응이 불안하다.
○ : 플로딩 발생되어 반응이 안된다.
(2) 극한 점도
상기 시스-코어형 피브릴 폴리에스테르 복합 섬유를 페놀 용매에 용해하고, 우베로드 점도계를 이용하여 측정한 값이다.
(3) 무기물 분석
상기 시스-코어형 피브릴 폴리에스테르 복합 섬유의 알킬 술폰산 금속염의 함량은 ICP (Inductively Coupled Plasma)를 이용하여 시료를 강산용매에서 용해 시킨 후, 유기물을 제거 한 후에 함량을 분석한 값이다.
(4) 표면 관찰
최종적으로 얻어진 상기 시스-코어형 피브릴 폴리에스테르 복합 섬유로 이루어진 편물을 주사형 전자 현미경으로 배율 1,000배로 촬영하고, 육안으로 구별하였다.
G : 표면의 그루브가 선명하다.
B : 표면의 그루브가 선명하지 못하고 엉겨 붙어 있다.
Figure 112006016541513-pat00004
상기 표1을 살펴보면, 실시예1 내지 실시예3은 중축합 반응시, 알킬 술폰산 금속염과 동시에 소포제를 투입하여 제조한 결과, 모노머의 플로딩 현상이 없었으며, 원하는 극한 점도 0.6 내지 0.8 ㎗/g의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제조할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1 내지 실시예3에서 제조된 복합 섬유는 도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표면의 그루브가 선명하였다. 반면에, 비교예1 및 비교예2는 소포제를 투입하지 않고 제조함으로서, 모노머의 플로딩 현상이 발생하여 원하는 극한 점도의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제조할 수 없었고, 이에 따라 상기 복합 섬유 표면의 그루브가 선명하지 못하고, 엉겨붙는 현상을 확인하였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시스-코어형 피브릴 폴리에스테르 복합 섬유는 모노머의 플로딩 현상이 없고, 극한 점도 및 표면 특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시스-코어형 피브릴 폴리에스테르 복합 섬유의 제조방법은 레귤러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코어에 위치시켜 섬유의 강도를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 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9)

1) 적어도 한 종류의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및 적어도 한 종류의 디올로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알킬 술폰산 금속염 0.5 내지 5.0 중량부 및 소포제 0.001 내지 0.05 중량부를 에스테르화 반응 또는 중축합 반응 전에 투입하여 개질된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시스부로 하고,
2) 레귤러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코어부로 하되, 상기 코어부에 대한 시스부의 방사 비율이 40 중량% 내지 60 중량%로 복합방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루브가 생성된 시스-코어형 피브릴 폴리에스테르 복합 섬유.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알킬 술폰산 금속염이 하기 화학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그루브가 생성된 시스-코어형 피브릴 폴리에스테르 복합 섬유.
화학식1
Figure 112006016541513-pat00005
(상기 식에서, R1은 탄소수가 5 내지 20인 알킬기이고, M1은 알칼리 금속을 나타낸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킬 술폰산 금속염이 알킬 술폰산 나트륨 염이고, 상기 나트륨의 함량이 500 ~ 6,000pp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그루브가 생성된 시스-코어형 피브릴 폴리에스테르 복합 섬유.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킬 술폰산 금속염의 평균 분자량이 180 내지 5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그루브가 생성된 시스-코어형 피브릴 폴리에스테르 복합 섬유.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포제가 실리콘 계열의 소포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그루브가 생성된 시스-코어형 피브릴 폴리에스테르 복합 섬유.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복합 섬유가 섬유 표면에 폭이 0.1 ~ 1㎛, 길이가 10 ~ 40㎛, 깊이가 0.1 ~ 1.5㎛이며, 상기 섬유의 축방향으로 미세한 줄무늬 모양의 그루브가 생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그루브가 생성된 시스-코어형 피브릴 폴리에스테르 복합 섬유.
1) 적어도 한 종류의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및 적어도 한 종류의 디올로 이루어진 폴리에스테르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알킬 술폰산 금속염 0.5 내지 5.0 중량부 및 소포제 0.001 내지 0.05 중량부를 에스테르화 반응 또는 중축합 반응 전에 투입하여, 개질된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제조하는 단계1;
2) 상기 제조된 개질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시스부로 하고, 레귤러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코어부로 하되, 상기 코어부에 대한 시스부의 방사 비율이 40 중량% 내지 60 중량%로 복합방사하여, 시스-코어형 복합 섬유를 제조하는 단계2; 및
3) 상기 제조된 복합 섬유를 직조한 후 알칼리 용액에서 10% 내지 30% 감량 처리하는 단계3;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의 그루브가 생성된 시스-코어형 피브릴 폴리에스테르 복합 섬유의 제조방법.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1에서 반응 온도가 220℃ ~ 250℃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그루브가 생성된 시스-코어형 피브릴 폴리에스테르 복합 섬유의 제조방법.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알킬 술폰산 금속염이 하기 화학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그루브가 생성된 시스-코어형 피브릴 폴리에스테르 복합 섬유의 제조방법.
화학식1
Figure 112006016541513-pat00006
(상기 식에서, R1은 탄소수가 5 내지 20인 알킬기이고, M1은 알칼리 금속을 나타낸다.)
KR1020060021899A 2006-03-08 2006-03-08 그루브가 생성된 시스-코어형 피브릴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 및 그 제조방법 KR1006785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1899A KR100678501B1 (ko) 2006-03-08 2006-03-08 그루브가 생성된 시스-코어형 피브릴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1899A KR100678501B1 (ko) 2006-03-08 2006-03-08 그루브가 생성된 시스-코어형 피브릴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8501B1 true KR100678501B1 (ko) 2007-02-02

Family

ID=38105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1899A KR100678501B1 (ko) 2006-03-08 2006-03-08 그루브가 생성된 시스-코어형 피브릴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85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9159A (ko) * 2019-08-12 2021-02-22 한국섬유개발연구원 폴리에스테르와 코폴리에스테르가 혼합 방사된 아세테이트조 재생 복합섬유의 제조방법, 재생 복합섬유 및 이를 이용한 섬유제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8976A (ko) * 1990-10-15 1992-05-28 문정환 폴리전극의 경사를 이용한 ldd 제조방법
KR960005957A (ko) * 1994-07-11 1996-02-23 문정환 다층배선 형성방법
JPH10237719A (ja) * 1997-02-24 1998-09-08 Kuraray Co Ltd ポリエステル繊維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0180093B1 (ko) * 1996-06-12 1999-02-01 김상응 표면에 미세홈을 가지는 폴리에스테르 중공섬유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8976A (ko) * 1990-10-15 1992-05-28 문정환 폴리전극의 경사를 이용한 ldd 제조방법
KR960005957A (ko) * 1994-07-11 1996-02-23 문정환 다층배선 형성방법
KR0180093B1 (ko) * 1996-06-12 1999-02-01 김상응 표면에 미세홈을 가지는 폴리에스테르 중공섬유의 제조방법
JPH10237719A (ja) * 1997-02-24 1998-09-08 Kuraray Co Ltd ポリエステル繊維およ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9159A (ko) * 2019-08-12 2021-02-22 한국섬유개발연구원 폴리에스테르와 코폴리에스테르가 혼합 방사된 아세테이트조 재생 복합섬유의 제조방법, 재생 복합섬유 및 이를 이용한 섬유제품
KR102274388B1 (ko) 2019-08-12 2021-07-07 한국섬유개발연구원 폴리에스테르와 코폴리에스테르가 혼합 방사된 아세테이트조 재생 복합섬유의 제조방법, 재생 복합섬유 및 이를 이용한 섬유제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1047068A (ja) 撥水性ポリエステル混繊糸
KR102274288B1 (ko) 제직성이 우수한 알칼리 이용해성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678501B1 (ko) 그루브가 생성된 시스-코어형 피브릴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 및 그 제조방법
JP7227591B2 (ja) 潜在濃染性ポリエステル繊維、濃染性ポリエステル繊維、及び濃染性ポリエステル繊維の製造方法、並びに織編物
JP2018048422A (ja) 芯鞘複合潜在濃染性ポリエステル繊維、濃染性ポリエステル繊維、及び濃染性ポリエステル繊維の製造方法
KR20100072658A (ko) 폴리에스테르 이형단면 섬유 및 그 제조 방법
KR101788630B1 (ko) 열안정성이 우수한 저온열수 이용해성 코폴리에스테르 및 그 제조방법
JP4156157B2 (ja) 水溶性熱可塑性ポリビニルアルコール繊維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100036B1 (ko) 코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코폴리에스테르 수지, 이를 포함하는 복합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20002375A (ko) 폴리에스테르 광택발현 혼섬사, 그를 이용한 섬유 제품 및 그의 제조 방법
JP6709639B2 (ja) 潜在濃染性ポリエステル繊維、濃染性ポリエステル繊維、及び濃染性ポリエステル繊維の製造方法
KR100363915B1 (ko) 해도형 복합섬유
KR102545781B1 (ko) 해도형 복합섬유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난연수지 섬유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해도형 복합 섬유
KR0138174B1 (ko) 폴리에스터계 해도형 복합섬유의 제조방법
JP2010059232A (ja) 発色性に優れたポリエステル組成物の製造方法
KR102274289B1 (ko) 심색성이 우수한 복합섬유용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이를 통해 제조한 복합섬유 및 그 제조방법
JP7317334B2 (ja) 潜在捲縮濃染性ポリエステル繊維、捲縮濃染性ポリエステル繊維、織編物、潜在捲縮濃染性ポリエステル繊維の製造方法、および捲縮濃染性ポリエステル繊維の製造方法
JP2010168707A (ja) 常圧カチオン可染性ポリエステルマルチ繊維
JP2010138507A (ja) 撥水性ポリエステル繊維
JP2009144257A (ja) ポリエステル極細繊維およびそれを用いた布帛
JP2018048421A (ja) 濃染性ポリエステル織編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2022078453A (ja) 高発色性ポリエステル繊維
JP2010138508A (ja) 撥水性ポリエステル複合繊維
KR20060098118A (ko) 초극세사용 추출형 복합섬유
JP4002033B2 (ja) 分割型複合繊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