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2375A - 폴리에스테르 광택발현 혼섬사, 그를 이용한 섬유 제품 및 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폴리에스테르 광택발현 혼섬사, 그를 이용한 섬유 제품 및 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2375A
KR20120002375A KR1020100063213A KR20100063213A KR20120002375A KR 20120002375 A KR20120002375 A KR 20120002375A KR 1020100063213 A KR1020100063213 A KR 1020100063213A KR 20100063213 A KR20100063213 A KR 20100063213A KR 20120002375 A KR20120002375 A KR 201200023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ester
weak alkali
polyester resin
soluble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3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92260B1 (ko
Inventor
김재호
Original Assignee
성안합섬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안합섬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성안합섬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632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2260B1/ko
Publication of KR201200023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23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22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22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0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by the materials from which they are made
    • D02G3/04Blended or other yarns or threads containing components made from different materials
    • D02G3/045Blended or other yarns or threads containing components made from different materials all components being made from artificial or synthetic material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8Melt spinning method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1/00General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 D01F1/02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 D01F1/10Other agents for modifying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8/00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 D01F8/0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 D01F8/1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with at least one polyester as constituent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83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synthetic polymer-based, e.g. polyamide or polyester fibr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5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547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with optical functions other than colour, e.g. comprising light-emitting fibr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3/0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 D06B3/04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of yarns, threads or fila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3/0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 D06B3/1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of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32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oxygen, ozone, ozonides, oxides, hydroxides or percompounds;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 D06M11/36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oxygen, ozone, ozonides, oxides, hydroxides or percompounds;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with oxides, hydroxides or mixed oxides; with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 D06M11/38Oxides or hydroxides of elements of Groups 1 or 11 of the Periodic Table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4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ester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20Physical properties optic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Fibers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 광택발현 혼섬사, 그를 이용한 섬유 제품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혼섬사는 약알칼리 이용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약알칼리 이용성없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이용하여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광택발현 혼섬사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광택발현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이용한 광택 발현사는 소재뿐만 아니라, 제품에서도 광택을 발현할 수 있고, 광택감, 신축성, 세섬화 등이 우수하여, 은은한 광택성 등이 있어, 다양한 분야에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폴리에스테르 광택발현 혼섬사, 그를 이용한 섬유 제품 및 그의 제조 방법{POLYESTER MIXED YARN EXHIBITING BRIGHTNESS, FIBER PRODUCT USING SAME, AND METHOD OF PREPARING SAME}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 광택발현 혼섬사, 그의 섬유 제품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데니어가 낮은 세섬사를 단독 방사로 생산한 소재사를 이용하여, 직,편물을 제조하는 것이 통상적이었으나, 20데니어에서 40데니어급 폴리에스테르 원사를 단독 방사로 생산하면 생산 수율이 지극히 낮아 원료를 투입하는 양에 비하여 버리는 물량이 많아 생산원가가 높아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단독 방사로 생산한 소재사를 가지고 섬유 제품을 만들기 위한 직,편직 작업에서도 데니어가 낮은 만큼 섬유의 강도가 낮아, 작업 도중 쉽게 끊어지거나, 모노필라멘트가 끊어져 섬유제품상의 결점으로 작용 한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세섬 소재사는 가늘고 매끄러운 표면을 가지고 있어, 가로 세로의 조직 구조가 짜여진 상태일지라도 소재사 서로간 마찰과 엄킴 상태가 되지 않아, 쉽게 직물 구조가 밀리어 미어지는 즉 구멍 같은 공간을 만들어 직,편물의 섬유제품으로서 가치를 상실시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세섬박지 섬유제품은 미어지지 않을 정도의 경, 위사가 높은 밀도로 작업할 수 밖에 없고 이런 작업은 작업효율이 낮을 뿐만 아니라, 이렇게 만들어진 섬유제품은 얇고 뻣뻣하여 바람막이 등의 제품용도가 한정적이어서 감성과 기능성을 동시에 요구하는 높은 패션성을 추구하는 섬유제품에서는 제한적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광택성을 기본으로 가볍고, 신축성, 볼륨감 등의 물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광택발현 혼섬사 및 섬유 제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광택성을 기본으로 가볍고, 신축성, 볼륨감 등의 물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광택발현 혼섬사 및 섬유 제품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약알칼리 이용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약알칼리 이용성없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이용하여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광택발현 혼섬사로서, 상기 약알칼리 이용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폴리에스테르계 및/또는 폴리에스테르-에스테르계 수지 90 내지 95 중량%와 수용성 폴리에틸렌글리콜 5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인 폴리에스테르 광택발현 혼섬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는 상기 폴리에스테르 광택발현 혼섬사를 약알칼리 용액에 침지하는 공정으로 제조된 광택발현 폴리에스테르 수지 섬유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는 상기 폴리에스테르 광택발현 혼섬사를 직조 및 편조 가공한 뒤, 약알칼리 용액에 침지하는 공정으로 제조된 광택발현 폴리에스테르 수지 함유 섬유 제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구현예는 약알칼리 이용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약알칼리 이용성 없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동일 방사 구금의 다른 구멍으로 동시에 용융방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광택발현 혼섬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구현예는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광택발현 혼섬사를 직조 및 편조 가공하는 단계; 및 상기 가공 생성물을 약알칼리성 용액에 침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택발현 폴리에스테르 함유 직·편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및/또는 폴리에스테르-에스테르계 수지는 테레프탈산 또는 그 유도체 제1 모노머, 글리콜 화합물 제2 모노머를 중합시켜 제조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폴리에틸렌글리콜의 수 평균 분자량은 1,000 내지 20,00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약알칼리 이용성이 없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광택발현 개질 폴리에스테르 수지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택발현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이용한 광택 발현사 및 섬유 제품은 소재뿐만 아니라 제품에서도 광택을 발현할 수 있다. 아울러, 광택감, 신축성, 세섬화가 우수하며, 은은한 광택성 등이 있어,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혼섬사의 약알칼리 용액에 용출 전 단면사진(좌)과,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혼섬사의 세섬 광택 섬유를 약알칼리성 수용액에 침지하여, 약알카리 이용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용출 제거되고, 얻어진 폴리에텔렌테레프탈레이트 광택 발현 직물의 구성 섬유의 단면사진(우).
도 2a는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혼섬사의 약알칼리 용액에 용출 전 측면 사진.
도 2b는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혼섬사의 세섬 광택 섬유를 약알칼리성 수용액에 침지하여, 약알카리 이용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용출 제거되고, 얻어진 폴리에텔렌테레프탈레이트 광택 발현 직물의 구성 섬유의 측면 사진.
도 3a는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직물(약알칼리성 수용액 침지 전 직물)의 사진.
도 3b는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혼섬사의 세섬 광택 섬유를 약알칼리성 수용액에 침지하여, 약알카리 이용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용출 제거되고, 얻어진 폴리에텔렌테레프탈레이트 광택 발현 직물의 사진.
이하, 본 발명의 구현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약알칼리 이용성(易溶性, dilute alkali-solution)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약알칼리 이용성없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이용하여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광택발현 혼섬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약알칼리 이용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란, 1~10 중량% 농도의 약알칼리 용액에 80 내지 90℃에서 50 내지 60분 동안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침지시키면, 폴리에스테르 수지 중 30~50%가 용출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의미한다. 이때 상기 약알칼리 용액에서 약알칼리로는 탄산수소나트륨, 탄산나트륨 등을 들 수 있고, 용매(희석제)로는 물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약알칼리 이용성이 없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란, 상기 조건에서 용출되지 않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의미한다.
상술한 물성을 갖는 약알칼리 이용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폴리에스테르계 및/또는 폴리에스테르-에스테르계 수지 90 내지 95 중량%와 수용성 폴리에틸렌글리콜 5 내지 10 중량%를 포함한다. 상기 약알칼리 이용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에서, 폴리에스테르계 및/또는 폴리에스테르-에스테르계 수지 및 폴리에틸렌글리콜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중합물내의 미반응물 과다로 응집물이 생성되고 이로 인해 고순도의 폴리머를 얻을 수 없어 작업성이 급격히 저하되거나, 방적사(yarn)를 생산할 수 없는 문제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수용성 폴리에틸렌글리콜의 수 평균 분자량은 1,000 내지 20,000일 수 있다. 폴리에틸렌글리콜의 수 평균 분자량이 상기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 중합반응의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고 미반응물을 최소한으로 형성할 수 있어, 중합 작업성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또는 폴리에스테르-에스테르계 수지는 테레프탈산 또는 그 유도체 제1 모노머 및 글리콜 화합물 제2 모노머를 중합시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테레프탈산 또는 그 유도체로는 테레프탈산, 테레프탈산의 이성질체인 프탈산, 이들의 에스테르 화합물 또는 염을 포함할 수 있고, 이들의 예로는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을 나타내며, 이들의 구체적인 예로는 이소프탈산, 오르토프탈산,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2,7-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비스(파라카르보기페닐)메탄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글리콜 화합물로는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2,3-부탄디올, 1,4-부탄디올, 또는 이들의 조합을 들 수 있다.
상기 제1 모노머와 제2 모노머의 혼합 비율은 1.0:1.10 내지 1.0:1.2 몰일 수 있다. 상기 제1 모노머와 제2 모노머의 혼합 비율이 상기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 적절한 반응율로 반응이 일어나면서, 부산물인 디에틸렌글리콜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적절한 수 평균 분자량을 가지므로, 적절한 융점을 갖는 수지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합 공정을 5-설포이소프탈산의 염 또는 그 에스테르 유도체 존재 하에 실시할 수도 있다. 중합 공정을 5-설포이소프탈산의 염 또는 그 에스테르 유도체를 사용하는 경우, 최종 생성물의 기계적 내후성, 물리적 특성 및 가수분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5-설포이소프탈산의 염 또는 그 에스테르의 사용량은 상기 테레프탈산 또는 그 유도체 사용 몰의 0.5 내지 5몰%일 수 있다. 상기 5-설포이소프탈산의 염 또는 그 에스테르의 사용량이 상기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 적절한 약알칼리 이용성을 나타내는 생성물을 얻을 수 있으며, 수용성 폴리에틸렌글리콜의 고온에 대한 분해성을 보완하고, 적절한 생산성으로 생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5-설포이소프탈산의 염 또는 그 에스테르는 5-설포이소프탈산의 나트륨염, 5-설포이소프탈산의 알칼리 금속염의 디메틸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이때, 알칼리 금속염의 알칼리 금속은 NaSO3 또는 이의 조합일 수 있다.
상기 중합 공정은 270 내지 280℃에서 4 내지 5 시간 동안 실시할 수 있다. 중합 공정을 상기 온도에서 실시하는 경우, 열분해 없이 최적의 분자량을 갖는 수지를 제조할 수 있고, 상기 시간 동안 천천히 실시하는 경우, 진공에 의한 첨가제 이탈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약알칼리 이용성없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광택발현 개질 폴리에스테르 수지이며, 여기서 상기 광택발현 개질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TiO2를 포함하지 않는 수지이다.
상기 광택발현 개질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일반적인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TiO2를 약 300 내지 25000ppm 포함하는 것에 비하여, TiO2를 포함하지 않으므로, 수지 투명도가 높아 광택을 발현하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광택발현 혼섬사의 제조 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약알칼리 이용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약알칼리 이용성없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동시에 용융방사하여 약알칼리 이용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사 및 약알칼리 이용성없는 폴리에스테르 광택발현 혼섬사를 제조한다.
상기 약알칼리 이용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약알칼리 이용성없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즉, 본 발명의 제조 공정은 약알칼리 이용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약알칼리 이용성없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동일한 방사구금을 통하여 동시에 용융방사하되, 서로 다른 구멍을 통하여 각각 압출하여 방사하여, 약알칼리 이용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사(제1사) 및 약알칼리 이용성없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사(제2사)의 혼섬사를 제조한다. 이때, 혼섬사에서 제1사 및 제2사의 혼합 비율은 10 : 90 중량% 내지 80 : 20 중량%일 수 있다. 즉 혼섬사에서 약알칼리 이용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함량은 10 내지 80 중량%이고, 약알칼리 이용성없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90 내지 2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용융방사는 260 내지 270℃의 온도에서 3000 내지 4000m/min의 속도로 실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용융방사 온도는 일반적인 반무광(semidull) 고분자의 용융방사 온도인 280 내지 290℃에 비하여 다소 낮고, 이는 약알칼리 이용성 없는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TiO2를 포함하지 않으므로, 열적 변화율이 커서 고분자의 열적거동이 쉽게 일어나기 때문이다.
또한, 용융방사 공정을 상기 방사속도에 실시하면, 고품위의 소재를 제조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방사 공정은 생산성과 가공 공정에 영향을 끼치며, 그 결과로 최종 제품의 품질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열가소성 수지를 미세한 지름을 가진 방사구금을 통해 압출하여 섬유화할 때 수지는 방사구금 내에서 전단응력을 받아 전단응력을 일으키며 방사구금을 통과한 직후 방사구금 내에서 받은 전단응력이 소멸됨에 따라 섬유 지름이 증가하게 된다(소위 비루스 효과). 이러한 섬유 지름의 증가가 일어나므로 최근까지의 기술에서는 중합 반응물의 유동특성에 적합한 지름을 가지는 방사구금을 선택하여 사용하였다. 만약 구금의 지름 크기가 작은 경우 방사구금 내에서 전단응력 및 전단변형이 높아져 비루스 효과가 증대됨에 따라 섬유를 구성하는 모노필라멘트의 균제도(uniformity index)가 불량하게 되며, 반대로 선정된 방사구금의 지름이 중합 반응들의 유동 특성에 비하여 큰 경우 방사구금 내에서 전단응력 및 전단변형이 낮아져서 고분자 사슬이 더 많이 엉키게 되고 방사 드래프트가 낮아져서 균제도가 불량하게 된다. 이는 섬유화 제조 공정성을 불량하게 할 뿐만 아니라 이렇게 제조된 섬유의 후공정에서의 사용에도 악영향을 미쳐 최종 제품인 직물 및 편물의 품질이 불량하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약알칼리 이용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약알칼리 이용성없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한 구금 내의 각기 다른 구멍으로 방사하여 혼섬시키는 방식으로 실시하여, 상술한 문제점없이, 손쉽게 이종 고분자의 필라멘트를 혼합할 수 있어서 생산성과 물성이 우수한 혼섬사, 즉 원사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융방사 공정시 연신 공정을 병행할 수도 있고, 압출을 완료한 다음 별도의 연신 공정을 실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구현예는 제조된 혼성사를 직조 또는 편조 가공한 후, 얻어진 가공 생성물을 약알칼리성 용액에 침지하는 공정으로 광택발현 폴리에스테르 함유 직·편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약알칼리성 용액으로는 1 내지 10 중량% 농도의 약알칼리성 용액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약알칼리성 용액으로는 NaOH 수용액, Na2CO3 수용액 또는 이들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침지 공정에 따라 혼성사 중, 약알칼리 이용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만 용출되어 혼섬사 내에 빈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빈공간으로 인하여, 경량감이 나타나고 신축성 및 볼륨감이 우수하며, 광택성을 발현할 수 있다.
상기 침지 공정은 90 내지 100℃의 욕에서 50 내지 60분 동안 실시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비교예를 기재한다. 그러나 하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일뿐 본 발명이 하기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테레프탈산과 에틸렌글리콜을 5-설포이소프탈산의 나트륨염 존재 하에 280℃에서 5 시간 동안의 조건 하에 중합시켜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5-설포이소프탈산의 나트륨염의 사용량은 상기 테레프탈산의 몰에 대하여 5몰%가 되게 사용하였고, 상기 테레프탈산과 에틸렌글리콜의 혼합 비율은 1 : 1.2몰였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 90 중량%와 수 평균 분자량이 9,000인 수용성 폴리에틸렌글리콜 수지를 10 중량%를 혼합하여 약알칼리 이용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를 제조하였다.
상기 약알칼리 이용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와 Bright polymer를 각각 동일 구금 내에서 서로 다른 구멍을 통하여 방사 온도 260℃, 3500m/분의 속도로 동시에 용융방사하여 약알칼리 이용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사와 광택발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사의 중량비 30 : 70인 혼섬사를 제조하였다. 이 혼섬사에서 약알킬리 이용성 폴리에티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와 광택발현 개질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함량은 각각 90 중량% 및 95 중량%이었다. 상기 혼섬사를 연신공정을 거쳐 최종 연신사의 파단신도가 40%가 되는 세섬 광택 섬유를 제조하였다. 이 세섬 광택 섬유의 단면 사진을 도 1(좌)에 나타내었다. 또한 이 섬유의 측면 사진을 도 2a에 나타내었다.
제조된 세섬 광택 섬유를 1800TM(twist multiplier)의 꼬임으로 연직물을 제조한 후, 이 직물을 약알칼리성 수용액(NaOH 1 중량% 농도)이 담긴 90℃의 욕에 2시간 동안 침지하여, 약알칼리 이용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용출하여 제거하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광택발현 직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광택발현 직물을 구성하는 섬유의 단면 사진을 도 1b에 나타내었으며, 이 섬유의 측면 사진을 도 2b에 나타내었다. 즉, 도 1(우), 도 2b는 도 1(좌), 도 2a의 섬유를 약알칼리성 용액에 침지하여 제조된 섬유에 대한 사진이다. 한편, 도 3a는 약알칼리성 용액으로 침지하기 전의 직물 사진이고, 도 3b는 약알칼리성 용액으로 침지한 후 약알칼리 이용성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용출 제거된 직물의 사진이다.
도 1(우), 도 2b 및 도 3b에 나타낸 것과 같이, 약알카리 이용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용출되고, 약알칼리 이용성없는 광택발현 개질 폴리에스테르 수지만 잔류하여, 빈공간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또는 변경은 모두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13)

  1. 약알칼리 이용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약알칼리 이용성없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이용하여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광택발현 혼섬사로서,
    상기 약알칼리 이용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폴리에스테르계 및/또는 폴리에스테르-에스테르계 수지 90 내지 95 중량%와 수용성 폴리에틸렌글리콜 5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인 폴리에스테르 광택발현 혼섬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및/또는 폴리에스테르-에스테르계 수지는
    테레프탈산 또는 그 유도체 제1 모노머, 글리콜 화합물 제2 모노머를 중합시켜 제조된 것인 폴리에스테르 광택발현 혼섬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노머 및 상기 제2 모노머를 5-설포이소프탈산의 염 또는 그의 에스테르 유도체 존재 하에 실시하는 것인 폴리에스테르 광택발현 혼섬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광택발현 혼섬사는 상기 약알칼리 이용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10 내지 80 중량%, 상기 약알칼리 이용성없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90 내지 20 중량% 포함하는 것인 폴리에스테르 광택발현 혼섬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폴리에틸렌글리콜의 수 평균 분자량은 1,000 내지 20,000인 폴리에스테르 광택발현 혼섬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알칼리 이용성이 없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광택발현 개질 폴리에스테르 수지인 폴리에스테르 광택발현 혼섬사.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폴리에스테르 광택발현 혼섬사를 약알칼리 용액에 침지하는 공정을 실시하여 제조된 섬유.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폴리에스테르 광택발현 혼섬사를 직조 및 편조 가공한 뒤, 약알칼리 용액에 침지하는 공정을 실시하여 제조된 광택발현 폴리에스테르 함유 섬유 제품.
  9. 약알칼리 이용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약알칼리 이용성없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동일 방사 구금의 다른 구멍으로 동시에 용융 방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광택발현 혼섬사의 제조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및/또는 폴리에스테르-에스테르계 수지는 테레프탈산 또는 그 유도체 제 1모노머, 글리콜 화합물 제2 모노머를 중합시켜 제조된 것인 제조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폴리에틸렌글리콜의 수 평균 분자량은 1,000 내지 20,000인 제조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약알칼리 이용성이 없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광택발현 개질 폴리에스테르 수지인 제조 방법.
  13.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광택발현 혼섬사를 직조 및 편조 가공하는 단계; 및
    상기 가공 생성물을 약알칼리성 용액에 침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광택발현 폴리에스테르 함유 직·편물의 제조 방법.
KR1020100063213A 2010-06-30 2010-06-30 폴리에스테르 광택발현 혼섬사, 그를 이용한 섬유 제품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1922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3213A KR101192260B1 (ko) 2010-06-30 2010-06-30 폴리에스테르 광택발현 혼섬사, 그를 이용한 섬유 제품 및 그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3213A KR101192260B1 (ko) 2010-06-30 2010-06-30 폴리에스테르 광택발현 혼섬사, 그를 이용한 섬유 제품 및 그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2375A true KR20120002375A (ko) 2012-01-05
KR101192260B1 KR101192260B1 (ko) 2012-10-17

Family

ID=45609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3213A KR101192260B1 (ko) 2010-06-30 2010-06-30 폴리에스테르 광택발현 혼섬사, 그를 이용한 섬유 제품 및 그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22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0886A (ko) * 2016-11-15 2019-07-08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광택섬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0815B1 (ko) * 2015-07-06 2017-07-26 주식회사 휴비스 섬유의 표면 형상 제어물질
KR101772587B1 (ko) * 2015-10-01 2017-08-31 주식회사 휴비스 이형 표면구조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0886A (ko) * 2016-11-15 2019-07-08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광택섬유
US11255027B2 (en) 2016-11-15 2022-02-22 Toray Industries, Inc. Glossy fib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2260B1 (ko) 2012-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1325B1 (ko) 폴리유산 섬유
TWI583835B (zh) 芯鞘複合纖維及其製造方法
KR20140010069A (ko) 카티온 가염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복합 섬유
KR101192260B1 (ko) 폴리에스테르 광택발현 혼섬사, 그를 이용한 섬유 제품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414206B1 (ko) C형 중공섬유 및 그 제조방법
JP2016513757A (ja) C型複合繊維、それによるc型中空繊維、それを含む生地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1047068A (ja) 撥水性ポリエステル混繊糸
KR100808567B1 (ko) 이용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이용한볼륨사(volume絲) 및 그의 섬유 제품 제조 방법
KR101276098B1 (ko) 난연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그 제조방법
JP2008174871A (ja) カチオン可染性極細混繊糸
KR101590231B1 (ko) 연사효과를 가지는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 섬유 및 그 제조방법
JP2019147927A (ja) 共重合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ならびにそれを有する可染性ポリオレフィン樹脂組成物および可染性ポリオレフィン樹脂組成物を配する繊維
JP2013018802A (ja) 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及び同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と、同樹脂組成物からなるポリエステル繊維並びにその繊維製品
KR102274423B1 (ko) 터치감이 우수한 고발색성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42478B1 (ko) 약알칼리 이용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이용한 극세섬사 및 이를 이용한 직물 또는 편물과 그들의 제조방법
JPWO2018079567A1 (ja) ナノボイドポリエステル繊維
KR20120077243A (ko) 촉감 및 드레이프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72016B1 (ko) 방사조업성 및 제직성이 우수한 직물용 해도형 복합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JP6056104B2 (ja) ポリエステル繊維
JP2010168707A (ja) 常圧カチオン可染性ポリエステルマルチ繊維
JP2009144257A (ja) ポリエステル極細繊維およびそれを用いた布帛
JP7459510B2 (ja) ポリエステル組成物
JP2008174861A (ja) カチオン可染極細ポリエステル混繊糸
JP2009144294A (ja) 常圧カチオン可染性ポリエステル繊維の製造方法
JP2023184004A (ja) ポリエステル繊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