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7571B1 - 화상형성장치의 구동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의 구동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7571B1
KR100677571B1 KR1020050023652A KR20050023652A KR100677571B1 KR 100677571 B1 KR100677571 B1 KR 100677571B1 KR 1020050023652 A KR1020050023652 A KR 1020050023652A KR 20050023652 A KR20050023652 A KR 20050023652A KR 100677571 B1 KR100677571 B1 KR 1006775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image forming
relay
cover
form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3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1972A (ko
Inventor
유시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236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7571B1/ko
Priority to US11/370,876 priority patent/US7508409B2/en
Priority to CNB2006100676293A priority patent/CN100476606C/zh
Publication of KR20060101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19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75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75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5Self-diagnostics; Malfunction or lifetime displa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04Power supply control, e.g. power-saving mode, automatic power turn-of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4Electronic sequencing control
    • G03G21/145Electronic sequencing control wherein control pulses are generated by the mechanical movement of parts of the machine, e.g. the photoconduct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03G21/162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 G03G21/163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using doors or cov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화상형성장치의 구동 제어장치가 개시된다. 이 장치는 화상형성장치의 덮개의 열림을 감지하는 덮개 열림 감지부, 레이저를 주사하는 레이저 스캐닝부의 구동을 위한 전원 공급을 스위칭하는 릴레이부 및 덮개 열림 감지부의 감지된 결과에 응답하여, 릴레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릴레이 동작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화상형성용 모터 및 레이저 스캐닝부의 제어를 위해 2개 이상의 메커니컬 스위치들을 사용하거나, 하나의 메커니컬 스위치와 레귤레이터를 사용하여 제어하는 것에 비해, 낮은 비용으로 화상형성용 모터 및 레이저 스캐닝부의 제어가 가능하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의 구동 제어장치{Apparatus for controlling driving of an image forming apparatus}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동 제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동 제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또 다른 일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구동 제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구동 제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또 다른 일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0, 200: 덮개 열림 감지부 110, 210: 화상형성용 모터
120, 240: 릴레이 동작 제어부 130, 250: 릴레이부
140, 260: 레이저 스캐닝부 220: 기기 장착 감지부
230: 논리곱 처리부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상형성용 모터 및 레이저 스캐닝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구동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동 제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블록도로서, 메커니컬 스위치(mcanical Switch)에 해당하는 제1 스위치(10) 및 제2 스위치(30)을 이용해 레이저 스캐닝부(20) 및 화상형성용 모터(40)의 구동을 제어한다. 즉, 제1 스위치(10)는 5[V]의 전원을 제공받아서 스위칭 동작에 의해 레이저 스캐닝부(20)의 구동을 제어한다. 또한, 제2 스위치(30)는 24[V]의 전원을 제공받아서 스위칭 동작에 의해 화상형성용 모터(40)의 구동을 제어한다. 제1 스위치(10) 및 제2 스위치(30)는 화상형성장치의 덮개가 열려지거나 현상기가 화상형성장치로부터 탈착되는 경우에 레이저 스캐닝부(20) 또는 화상형성용 모터(4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한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동 제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또 다른 일 실시예의 블록도로서, 메커니컬 스위치(mcanical Switch)에 해당하는 제3 스위치(50) 및 레귤레이터(70)을 이용해 레이저 스캐닝부(60) 및 화상형성용 모터(80)의 구동을 제어한다. 즉, 제3 스위치(50)는 24[V]의 전원을 제공받아서 스위칭 동작에 의해 화상형성용 모터(60) 및 레이저 스캐닝부(20)의 구동을 제어한다. 제3 스위치(50)는 화상형성장치의 덮개가 열려지거나 현상기가 화상형성장치로부터 탈착되는 경우에 화상형성용 모터(60) 및 레이저 스캐닝부(8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 단한다. 한편, 레귤레이터(70)은 제공되는 24[V]를 5[V]로 낮추어서 레이저 스캐닝부(80)에 공급한다.
종래 기술의 경우, 도 1과 같이 2개의 메커니컬 스위치들을 사용하거나, 도 2와 같이 하나의 메커니컬 스위치와 레귤레이터를 사용함으로 인해, 레이저 스캐닝부 및 화상형성용 모터의 제어를 위해서는 기기 장착에 따른 비용이 상당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 2와 같은 구조하에서는 레귤레이터에서 많은 열이 발생함으로 인해 이러한 열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부가적인 기기가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낮은 비용으로 화상형성용 모터 및 레이저 스캐닝부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의 구동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동 제어장치에 대한 일 실시예는 화상형성장치의 덮개의 열림을 감지하는 덮개 열림 감지부, 레이저를 주사하는 레이저 스캐닝부의 구동을 위한 전원 공급을 스위칭하는 릴레이부 및 덮개 열림 감지부의 감지된 결과에 응답하여, 릴레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릴레이 동작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구동 제어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구동 제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블록도로서, 덮개 열림 감지부(100), 화상형성용 모터(110), 릴레이 동작 제어부(120), 릴레이부(130) 및 레이저 스캐닝부(140)로 구성된다.
덮개 열림 감지부(100)는 화상형성장치의 덮개의 열림을 감지하고, 감지한 결과를 릴레이 동작 제어부(120)로 출력한다.
덮개 열림 감지부(100)는 화상형성용 모터(110)의 구동을 위한 전원의 전류 흐름이 차단되었을 때, 덮개(미도시)가 열렸다고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화상형성장치의 덮개가 열려있다면, 도 3에 도시된 덮개 열림 감지부(100)의 스위치(SW1)가 오프(OFF)되고, 스위치(SW1)가 오프됨으로 인해 화상형성용 모터(110)에 공급되는 전원(V1)이 차단된다. 또한, 화상형성장치의 덮개가 닫혀있다면, 도 3에 도시된 덮개 열림 감지부(100)의 스위치(SW1)가 온(ON)되고, 스위치(SW1)가 온 됨으로 인해 화상형성용 모터(110)에 전원(V1)이 공급되어 화상형성용 모터(110)이 구동하게 된다. 스위치(SW1)은 화상형성장치의 덮개가 열리고 닫힘에 따라 물리적으로 온(ON) 또는 오프(OFF)되는 구조를 갖는다. 즉, 덮개가 닫혀있으면, 닫혀진 덮개의 특정 부분이 스위치(SW1)을 누름에 따라 스위치(SW1)가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러한 연결 상태가 스위치(SW1)의온(NO) 상태에 해당한다. 한편, 덮개가 열리면, 스위치(SW1)을 누르고 있는 전술한 특정 부분이 스위치로부터 떨어지게 되므로, 스위치(SW1)은 자동적으로 오프(OFF)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러한 덮개의 열리고 닫힘에 따라 스위치(SW1)가온 또는 오프되는 것은 종래의 일반적인 기술에 해당하는 것으로 그 구조 및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덮개 열림 감지부(100)는 화상형성용 모터의 구동을 위한 전원을 분압하는 하나 이상의 저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 열림 감지부(100)는 저항들(R1, R2)을 구비함으로써, 전원(V1)에 대해 저항들(R1, R2)에서 각각 분압되도록 하고, 분압된 전압이 릴레이 동작 제어부(120)로 공급되도록 한다.
삭제
화상형성용 모터(110)는 화상형성을 위해 구동되는 각종 모터들을 포함한다.
릴레이 동작 제어부(120)는 덮개 열림 감지부(100)의 감지된 결과에 응답하여, 릴레이부(130)의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릴레이 동작 제어부(120)는 릴레이부(13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트랜지스터 및 집적회로 로직 중 어느 하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릴레이 동작 제어부(120)로서 트랜지스터(Tr)가 구비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덮개 열림 감지부(100)로부터 덮개가 닫혀있다는 감지 결과를 입력받으면, 릴레이 동작 제어부(120)는 턴온(TURN ON) 된다. 덮개가 닫혀있다는 감지 결과는 덮개 열림 감지부(100)의 스위치(SW1)이 온(ON) 되었다는 것을 의미하고, 스위치(SW1)이 온 됨으로 인해 릴레이 동작 제어부(120)가 턴 온된다. 릴레이 동작 제어부(120)가 턴 온 되면, 전류가 흐른다는 것을 의미하고, 전류가 흐름으로 인해, 릴레이부(130)에 전자기력이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덮개 열림 감지부(100)로부터 덮개가 열려있다는 감지 결과를 입력받으면, 릴레이 동작 제어부(120)는 턴오프(TURN OFF) 된다. 덮개가 열려있다는 감지 결과는 덮개 열림 감지부(100)의 스위치(SW1)이 오프(OFF) 되었다는 것을 의미하고, 스위치(SW1)가 오프 됨으로 인해 릴레이 동작 제어부(120)가 턴 오프된다. 릴레이 동작 제어부(120)가 턴 오프 되면,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고, 전류가 흐르지 않음으로 인해, 릴레이부(130)에 전자기력이 형성되지 않는다.
릴레이부(130)는 릴레이 동작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레이저를 주사하 는 레이저 스캐닝부(140)의 구동을 위한 전원 공급을 스위칭한다. 릴레이부(130)는 코일(L)에 전류를 흘리면 자석이 되는 성질을 이용한다. 릴레이부(130)는 코일이 전자석으로 되었을 때 스위치(SW2)를 끌어당김으로써, 레이저 스캐닝부(140)의 전원(V4) 공급을 위한 스위칭 역할을 담당한다.
예를 들어, 릴레이 동작 제어부(120)의 트랜지스터(Tr)가 턴 온(TURN ON)되었다면, 릴레이부(130)의 코일(L)에 전류가 흘러서 전자기력이 형성된다. 따라서, 형성된 전자기력에 의해 스위치(SW2)가 온 되고, 스위치(SW2)가 온 됨으로 인해 레이저 스캐닝부(140)의 구동원으로 사용되는 전원(V4)이 레이저 스캐닝부(140)로 공급된다. 또한, 릴레이 동작 제어부(120)의 트랜지스터(Tr)가 턴 오프(TURN OFF)되었다면, 릴레이부(130)의 코일(L)에 전류가 흐르지 않기 때문에 전자기력이 형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전자기력이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스위치(SW2)가 오프 되고, 스위치(SW2)가 오프 됨으로 인해 레이저 스캐닝부(140)의 구동원으로 사용되는 전원(V4)이 레이저 스캐닝부(140)로 공급되지 않는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구동 제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또 다른 일 실시예의 블록도로서, 덮개 열림 감지부(200), 화상형성용 모터(210), 기기 장착 감비부(220), 논리곱 처리부(230), 릴레이 동작 제어부(240), 릴레이부(250) 및 레이저 스캐닝부(260)로 구성된다.
덮개 열림 감지부(200), 화상형성용 모터(210), 릴레이 동작 제어부(240), 릴레이부(250) 및 레이저 스캐닝부(260)는 도 3에서 기술한 봐와 같으므로, 이하에서는 기기 장착 감비부(220) 및 논리곱 처리부(230)를 상세히 설명한다.
기기 장착 감비부(220)는 화상을 현상하는 현상부(미도시)의 화상형성장치 내의 장착 여부를 감지하고, 감지한 결과를 논리곱 처리부(230)로 출력한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기 장착 감비부(220)는 화상을 현상하는 현상부의 장착 여부를 감지하기 위해, 스위치(SW2)를 구비한다. 스위치(SW2)는 현상부가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되었을 때에 온 되고, 현상부가 화상형성장치로부터 탈착되었을 때에 오프 된다. 스위치(SW2)은 현상부가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되거나 탈착됨에 따라 물리적으로 온(ON) 또는 오프(OFF)되는 구조를 갖는다. 즉, 현상부가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되면, 장착된 현상부의 특정 부분이 스위치(SW2)을 누름에 따라 스위치(SW2)가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러한 연결 상태가 스위치(SW2)의 온(NO) 상태에 해당한다. 한편, 현상부가 화상형성장치로부터 탈착되면, 스위치(SW2)을 누르고 있는 현상부의 특정 부분이 스위치(SW2)로부터 떨어지게 되므로, 스위치(SW2)은 자동적으로 오프(OFF)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기의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되거나 탈착됨에 따른 스위치(SW2)의 온 또는 오프되는 것은 종래의 일반적인 기술에 해당하는 것으로 그 구조 및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특히, 현상부는 스위치(SW2)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전도체 칩을 현상부의 소정 위치에 구비할 수 있다.
논리곱 처리부(230)는 덮개 열림 감지부(200)의 감지된 결과 및 기기 장착 감지부(20)의 감지된 결과를 논리곱하고, 논리곱 한 결과를 릴레이 동작 제어부(240)로 출력한다. 논리곱 처리부(230)는 논리곱 처리를 위한 논리 게이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표 1을 이용해 상세히 설명한다.
입력 출력
덮개 열림 여부 현상부 장착 여부 논리곱 처리 결과
열림(L) 탈착(L) L
열림(L) 장착(H) L
닫힘(H) 탈착(L) L
닫힘(H) 장착(H) H
표 1에 표현된 바와 같이, 덮개 열림 감지부(200)로부터 덮개가 열려있다는 감지 결과(로우신호(L))를 입력 받고, 기기 장착 감비부(220)로부터 현상부가 탈착되었다는 감지 결과(로우신호(L))를 입력받으면, 논리곱 처리부(230)는 논리곱 회로를 이용해 로우 신호(L)를 출력한다. 또한, 덮개 열림 감지부(200)로부터 덮개가 열려있다는 감지 결과(로우신호(L))를 입력 받고, 기기 장착 감비부(220)로부터 현상부가 장착되었다는 감지 결과(하이신호(H))를 입력받으면, 논리곱 처리부(230)는 논리곱 회로를 이용해 로우 신호(L)를 출력한다. 또한, 덮개 열림 감지부(200)로부터 덮개가 닫혀있다는 감지 결과(하이신호(H))를 입력 받고, 기기 장착 감비부(220)로부터 현상부가 탈착되었다는 감지 결과(로우신호(L))를 입력받으면, 논리곱 처리부(230)는 논리곱 회로를 이용해 로우 신호(L)를 출력한다.
논리곱 처리부(230)의 논리 신호가 로우 신호(L)일 때에는 릴레이 동작 제어부(240)의 트랜지스터(Tr)이 턴 오프 된다.
덮개 열림 감지부(200)로부터 덮개가 닫혀있다는 감지 결과(하이신호(H))를입력 받고, 기기 장착 감비부(220)로부터 현상부가 장착되었다는 감지 결과(하이신호(H))를 입력받으면, 논리곱 처리부(230)는 논리곱 회로를 이용해 하이 신호(H)를 출력한다.
논리곱 처리부(230)의 논리 신호가 하이 신호(H)일 때에는 릴레이 동작 제어부(240)의 트랜지스터(Tr)가 턴 온 된다.
릴레이 동작 제어부(240)의 트랜지스터(Tr)가 턴 온되면, 릴레이부(250)의 스위치(SW3)가 온되고, 레이저 스캐닝부(260)의 구동을 위한 전원(V5)가 레이저 스캐닝부(260)로 공급된다.
또한, 릴레이 동작 제어부(240)의 트랜지스터(Tr)가 턴 오프되면, 릴레이부(250)의 스위치(SW3)가 오프 되고, 레이저 스캐닝부(260)의 구동을 위한 전원(V5)의 공급이 차단된다.
이러한 본원 발명인 화상형성장치의 구동 제어장치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구동 제어장치는 화상형성용 모터 및 레이저 스캐닝부의 제어를 위해 2개 이상의 메커니컬 스위치들을 사용하거나, 하나의 메커니컬 스위치와 레귤레이터를 사용하여 제어하는 것에 비해, 낮은 비용으로 화상형성용 모터 및 레이저 스캐닝부의 제어가 가능하고, 기구 설계시 메커니컬 스위치의 위치에 상관 없이 설계 가능한 장점이 있다.

Claims (12)

  1. 화상형성장치의 덮개의 열림을 감지하는 덮개 열림 감지부;
    레이저를 주사하는 레이저 스캐닝부의 구동을 위한 전원 공급을 스위칭하는 릴레이부; 및
    상기 덮개 열림 감지부의 감지된 결과에 응답하여, 상기 릴레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릴레이 동작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구동 제어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 열림 감지부는
    화상형성용 모터의 구동을 위한 전원의 전류 흐름이 차단되었을 때, 상기 덮개가 열렸다고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구동 제어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 열림 감지부는
    화상형성용 모터의 구동을 위한 전원을 분압하는 하나 이상의 저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구동 제어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부는
    상기 릴레이 동작 제어부가 턴 온(turn on)되었을 때, 상기 레이저 스캐닝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 치의 구동 제어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동작 제어부는
    트랜지스터 및 집적회로 로직 중 어느 하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구동 제어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구동 제어장치는
    화상을 현상하는 현상부의 상기 화상형성장치 내의 장착 여부를 감지하는 기기 장착 감지부; 및
    상기 덮개 열림 감지부의 감지된 결과 및 상기 기기 장착 감지부의 감지된 결과를 논리곱하는 논리곱 처리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구동 제어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장착 감지부는
    임의의 전류 흐름이 차단되었을 때, 상기 현상부가 상기 화상형성장치로부터 탈착되었다고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구동 제어장치.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논리곱 처리부는
    논리 게이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구동 제어장치.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 열림 감지부는
    화상형성용 모터의 구동을 위한 전원의 전류 흐름이 차단되었을 때, 상기 덮개가 열렸다고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구동 제어장치.
  10.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 열림 감지부는
    화상형성용 모터의 구동을 위한 전원을 분압하는 하나 이상의 저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구동 제어장치.
  11.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부는
    상기 릴레이 동작 제어부가 턴 온(turn on)되었을 때, 상기 레이저 스캐닝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구동 제어장치.
  12.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동작 제어부는
    트랜지스터 및 집적회로 로직 중 어느 하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구동 제어장치.
KR1020050023652A 2005-03-22 2005-03-22 화상형성장치의 구동 제어장치 KR1006775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3652A KR100677571B1 (ko) 2005-03-22 2005-03-22 화상형성장치의 구동 제어장치
US11/370,876 US7508409B2 (en) 2005-03-22 2006-03-09 Drive control device for use in an image forming apparatus
CNB2006100676293A CN100476606C (zh) 2005-03-22 2006-03-22 用在图像形成设备的驱动控制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3652A KR100677571B1 (ko) 2005-03-22 2005-03-22 화상형성장치의 구동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1972A KR20060101972A (ko) 2006-09-27
KR100677571B1 true KR100677571B1 (ko) 2007-02-02

Family

ID=37015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3652A KR100677571B1 (ko) 2005-03-22 2005-03-22 화상형성장치의 구동 제어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508409B2 (ko)
KR (1) KR100677571B1 (ko)
CN (1) CN100476606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4185B1 (ko) * 2006-11-27 2013-11-06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전원제어방법
KR101354215B1 (ko) * 2007-02-15 2014-01-22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US9195194B2 (en) * 2014-02-28 2015-11-24 Kyocera Document Solutions Inc.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cover for maintenance of interior thereof, and opening/closure detecting metho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63133A (ja) 1996-06-10 1998-03-06 Ricoh Co Ltd 複写機
JPH11272034A (ja) 1998-03-23 1999-10-08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2139874A (ja) 2000-11-06 2002-05-17 Seiko Epson Corp 画像形成装置
JP2003217417A (ja) 2002-01-21 2003-07-31 Ricoh Co Ltd インターロック回路を有する給電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39401Y2 (ko) * 1978-09-19 1987-10-07
JPH0469669A (ja) * 1990-07-11 1992-03-04 Canon Inc 電子写真方式の記録装置
JPH06202512A (ja) * 1992-12-29 1994-07-22 Canon Inc 加熱装置及び画像記録装置
JP3293212B2 (ja) * 1993-01-26 2002-06-17 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3406925B2 (ja) * 1993-09-17 2003-05-1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電源制御装置
JPH11202722A (ja) 1998-01-19 1999-07-30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KR100270178B1 (ko) 1998-07-30 2000-10-16 이한욱 오물수거판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제진기
JP2002223407A (ja) 2001-01-29 2002-08-09 Sanyo Electric Co Ltd レーザー誤点灯防止回路
US7122767B2 (en) * 2004-02-03 2006-10-17 Ricoh Company, Limite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supply to fixing roller in image form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63133A (ja) 1996-06-10 1998-03-06 Ricoh Co Ltd 複写機
JPH11272034A (ja) 1998-03-23 1999-10-08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2139874A (ja) 2000-11-06 2002-05-17 Seiko Epson Corp 画像形成装置
JP2003217417A (ja) 2002-01-21 2003-07-31 Ricoh Co Ltd インターロック回路を有する給電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837970A (zh) 2006-09-27
US20060226801A1 (en) 2006-10-12
US7508409B2 (en) 2009-03-24
KR20060101972A (ko) 2006-09-27
CN100476606C (zh) 2009-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74941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a power supply control
KR100677571B1 (ko) 화상형성장치의 구동 제어장치
US6459168B1 (en) Power window mechanism for enabling window to be opened in case of submergence of vehicle
CA2430895C (en) Switching status determination device and method for determining switching status
FR2835093B1 (fr) Appareillage electrique de coupure muni d&#39;une commande motorisee et procede de commande d&#39;un tel appareil
JP3794564B2 (ja) 電源制御装置
US9263207B2 (en) Switch device
DE60042529D1 (de) Personenförderersteuerung und verfahren zur betriebssteuerung
JP4773103B2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電源遮断方法
JP2006031148A (ja) アーク溶接ロボットの制御装置
JP2014054808A (ja) 画像形成装置
JP2000351204A (ja)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の電源開閉装置
JP3462048B2 (ja) コンピュータ監視装置及びパワーウィンドウシステム
KR20030013890A (ko) 차량용 전자제어장치의 전원 및 앰씨유 감시를 이용한릴레이 구동회로
US6633469B2 (en) Power semiconductor circuit
JP2000308391A (ja) モータ制御装置
JPH08255670A (ja) 電気ヒータ駆動装置
JP2004023925A (ja) モータ駆動回路
JP2788110B2 (ja) 温度異常停止装置
JP2001302168A (ja) エスカレータの保守作業位置設定方法とその保守作業位置設定装置
JPH0824084B2 (ja) 電磁石装置の駆動回路
JP2005025787A (ja) 電源制御装置
KR20010066292A (ko) 반도체 스테퍼의 웨이퍼 파티클 제거 장치
JP2000197265A (ja) 突入電流遮断装置
JPH084417A (ja) 車両用遠隔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