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0178B1 - 오물수거판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제진기 - Google Patents

오물수거판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제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0178B1
KR100270178B1 KR1019980030755A KR19980030755A KR100270178B1 KR 100270178 B1 KR100270178 B1 KR 100270178B1 KR 1019980030755 A KR1019980030755 A KR 1019980030755A KR 19980030755 A KR19980030755 A KR 19980030755A KR 100270178 B1 KR100270178 B1 KR 1002701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operating
dirt
rop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0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0058A (ko
Inventor
이한욱
Original Assignee
이한욱
세계산업기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한욱, 세계산업기계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한욱
Priority to KR10199800307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0178B1/ko
Publication of KR200000100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00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01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01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6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Refuse Collection And Transfer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로 배수처리장이나 취수장등에 설치하여 배수로를 따라 유입되는 생활 쓰레기나 오물을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게 한 제진기의 구성에 있어서, 오물을 수거하는 오물수거판의 각도를 임의로 조절 가능하게 하고, 칼퀴봉을 개별적으로 교체 가능하게 하므로서 기존의 경우와 같이 별도의 제거판을 이용하지 않고 수거판의 각도를 조절하므로서 자연적으로 오물이 낙하될 수 있게 함은 물론 사용도중 장비으 정지현상을 최소로 줄일 수 있게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제진기(10)의 오물수거판(30)이 가변되게 함에 있어서, 빔대(12)의 하부에는 고정판(22)으 구비하고, 오물수거판(30)의 후방에는 연결판(32)을 구비하여 고정축(23)으로서 연결하며, 상기 빔대(12)의 하측 중앙에는 한쌍의 브라켓 (20)을 설치하여 힌지부(41)에 의해 각운동이 가능한 작동구(40)를 설치하되, 상기 작동구(40)의 힌지부(41) 양측 선단에는 작동축(43)과 이동축(42)을 구비하고, 상기 빔대(12)의 내부에 이동로프(34)와 작동로프(44)를 안내로울러(21)에 의해 각각 연결하되, 이동로프(34)는 오물수거판(30)이 가이드로울러(31)를 경유하여 작동 구 (40)의 이동축(42)과 연결하고, 타측의 작동로프(44)는 빔대(12)의 내부에 구비된 안내로울러(21)를 경유하여 작동축(43)과 연결하여 상호간에 당기거나 풀면서 오물수거판(30)이 고정축(23)을 기점으로 각운동이 가능하게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오물수거판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제진기
본 발명은 주로 배수처리장이나 취수장 등에 설치하여 수로를 따라 유입되는 생활 쓰레기나 각종 오물을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게 한 제진기의 구성에 있어서, 오물을 수거하는 오물수거판의 각도를 임의로 조절 가능하게 하므로서 빔대의 하단에 연결된 오물수거판에 안치되어 올라오는 오물을 별도의 제거판을 이용하지 않고 오물수거판의 각도를 임의로 조절하여 틸팅(Tillting)기능에 의해 자연적으로 오물이 낙하될 수 있게 하므로서 사용도중 장비의 정지현상을 최소로 줄일 수 있게 하여 오물의 제거작업을 능률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한 것이다.
통상 배수처리장이나 취수장 등에는 우천시 물이 범람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수중펌프를 설치하여 내부의 물을 외부로 방류하고 있다.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제진기의 경우는 배수처리장이나 취수장 등에 설치하여 수로를 따라 유입되는 생활 쓰레기나 각종 오물을 자동으로 제거할 경우는 일단 제진기 상측에 설치된 동력 전달장치를 이용하여 빔대를 승강시키면서 오물수거판에 의해 바닥면에 침전된 오물을 떠서 상부로 이동을 하게 되면 오물수거판의 상부에 가변식으로 설치된 제거판이 상기 오물수거판에 접지되어 미끌어지면서 슬라이딩 현상이 발생하여 오물수거판에 안치된 오물 등의 쓰레기가 하부로 낙하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인 바, 이는 다음에서 지적하는 다수의 문제점을 안고 있으므로 이의 개선책이 요구되었다.
즉 상기와 같은 기존의 경우는 제진기 상측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와이어로프를 이용하여 정해진 이동거리만큼 활주하면서 오물수거판에 걸려진 오물을 빔대에 의해 상측으로 올리게 되면 별도로 이동 가능하게 부착된 제거판을 이용하여 경사상으로 미끄럼 마찰이 발생하므로서 오물수거판에 안치된 쓰레기를 제거하게 되는 것으로, 이는 제거판과 오물수거판의 표면에 마찰이 발생하여 사용수명을 저하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기도 하였으며, 한편으로는 상기와 같은 작동으로 표면에 마찰이 발생하여 오물 등 쓰레기의 낙하가 효율적으로 되지 않은 문제점을 수반하고 있다.
그리고 종래의 제진기는 오물수거판은 정지된 상태에서 승강만을 하게 되고, 가변식으로 설치된 제거판이 오물수거판의 표면에 접지된 상태에서 긁으면서 제거를 행하게 되는 바, 오물수거판과 제거판의 표면 거칠기 정도에 따라 미끄럼 현상이 발생하지 않을 경우는 과도한 부하가 발생하여 제진기의 사용수명을 단축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였으며, 제진기의 정지시간이 과도히 소요되어 제진의 능률성이 매우 저조한 문제점을 수반하고 있으므로 이의 개선책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주로 배수처리장이나 취수장 등에 설치하여 수로를 따라 유입되는 생활 쓰레기나 각종 오물을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게 한 제진기의 구성에 있어서, 오물을 수거하는 오물수거판의 각도를 임의로 조절 가능하게 하므로서 빔대의 하단에 연결된 오물수거판에 안치되어 올라오는 오물을 별도의 제거판을 이용하지 않고 오물수거판의 각도를 임의로 조절하여 틸팅(Tillting)기능에 의해 자연적으로 오물이 낙하될 수 있게 하므로서 사용도중 장비의 정지현상을 최소로 줄일 수 있게 하여 오물의 제거작업을 능률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적인 특징을 살펴보면 제진기(10)의 빔대(12) 하부에 설치되는 오물수거판(30)의 각도를 임의로 변화할 수 있게 함에 있어서, 빔대(12)의 하부에는 고정판(22)을 구비하고, 선단에 다수개의 칼퀴(33)가 구비된 오물수거판(30)의 후방에는 연결판(32)을 구비하여 고정축(23)으로서 각운동이 가능하게 연결하며, 상기 빔대(12)의 하측 중앙에는 한쌍의 브라켓(20)을 설치하여 별도로 힌지부(41)에 의해 각운동이 가능한 작동구(40)를 설치하되, 상기 작동구(40)의 힌지부(41) 양측 선단에는 작동축(43)과 이동축(42)을 각각 구비하고, 상기 빔대(12)의 내부에 이중으로 이동로프(34)와 작동로프(44)를 안내로울러(21)에 의해 각각 연결하되, 일측의 이동로프(34)는 오물수거판(30)의 내측에 구비된 가이드로울러(31)를 경유하여 작동구(40)의 이동축(42)과 연결하고, 타측의 작동로프(44)는 빔대(12)의 내부에 구비된 안내로울러(21)를 경유하여 작동측(43)과 연결하므로서 상측에서 작동하는 별도의 장치에 의해 상호간에 당기거나 풀면서 오물수거판(30)이 고정축(23)을 기점으로 각운동이 가능하게 구성한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제진기의 전체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제진기에 설치된 빔대가 하강한 상태를 보인 구성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요부를 확대한 측면 구성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오물수거판이 수평을 유지한 상태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오물수거판이 작동하는 과정을 보인 상태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오물수거판이 하향으로 내려간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진기 11 : 빔대홀더
12 : 빔대 20 : 브라켓
21 : 안내로울러 22 : 고정판
23 : 고정축 30 : 오물수거판
31 : 가이드로울러 32 : 연결판
33 : 칼퀴 34 : 이동로프
40 : 작동구 41 : 힌지부
42 : 이동축 43 : 작동축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로서, 본 발명은 제진기(10)의 빔대홀더(11) 내부에 설치되어 승강할 수 있게 한 빔대(12)에 있어서, 이의 하부에 설치되는 오물수거판(30)의 각도를 임의로 변화할 수 있게 한데 특징이 있는 바, 본 발명은 빔대(12)의 하부에는 고정판(22)을 구비하고, 선단에 다수개의 칼퀴(33)가 구비된 오물수거판(30)의 후방에는 연결판(32)을 구비하여 고정축(23)으로서 각운동이 가능하게 연결하며, 상기 빔대(12)의 하측 중앙에는 한쌍의 브라켓(20)을 설치하여 별도로 힌지부(41)에 의해 각운동이 가능한 작동구(40)를 설치하되, 상기 작동구(40)의 힌지부(41) 양측 선단에는 작동축(43)과 이동축( 42)을 각각 구비한다.
상기 빔대(12)의 내부에 이중으로 이동로프(34)와 작동로프(44)를 안내로울러(21)에 의해 각각 연결하되, 일측의 이동로프(34)는 오물수거판(30)의 내측에 구비된 가이드로울러(31)를 경유하여 작동구(40)의 이동축(42)과 연결하고, 타측의 작동로프(44)는 빔대(12)의 내부에 구비된 안내로울러(21)를 경유하여 작동축(43)과 연결하므로서 상측에서 작동하는 별도의 장치(본 출원인의 선출원인 1996년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157호 참조)가 작동하므로서 상호간에 당기거나 풀면서 오물 수거판(30)이 고정축(23)을 기점으로 각운동이 가능하게 한다.
물론 상기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작동구(40)의 형상이나 작동측(43)과 이동축(42) 및 가이드로울러(31) 등의 설치위치는 설계에 따라 위치가 약간 변형될 수 있을 것이고, 이와 같은 설계상의 위치변화는 여건에 따라 적의 변형실시할 수 있을 것이며, 한편으로 오물수거판(30)의 변형 각도 조절은 상기와 같이 각각의 부품의 결합위치를 약간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변형 실시예의 경우도 보호받고자 하는 사항이다.
또한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상측에 설치되는 각 이동로프(34)와 작동로프 (44)가 작동을 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제진기(10)의 작동에서 득할 수 있는 것이고, 한편으로는 본인이 선출원한 내용과 동일한 것이므로 이에 대한 작동로프(44)와 이동로프(34)의 작동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키로 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은 주로 배수처리장이나 취수장 등에 설치하여 수로를 따라 유입되는 생활 쓰레기나 각종 오물을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게한 제진기(10)의 구성에 있어서, 오물을 수거하는 오물수거판(30)의 각도를 임의로 조절 가능하게 하므로서 빔대(12)의 하단에 연결된 오물수거판(30)에 안치되어 올라오는 오물을 별도의 제거판을 이용하지 않고 오물수거판(30)의 각도를 임의로 조절하여 틸팅(Tillting)기능에 의해 자연적으로 오물이 낙하될 수 있게 하므로서 사용도중 장비의 정지현상을 최소로 줄일 수 있게 하여 오물의 제거작업을 능률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한 것으로, 이하 본 발명의 상기 구성에 따른 사용방법과 작용상의 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은 일반적인 방법으로 각종의 하수처리장이나 취수장 등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본 발명을 작동함에 있어서는 일반적인 제진기(10)의 사용방법과 동일하게 작동을 하여 빔대홀더(11)의 내부에 설치된 빔대(12)를 하측으로 길게 내리는 바, 이와 같은 빔대(12)의 하강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키로 한다.
상기와 같이 다단으로 결합된 빔대(12)를 단계적으로 하강을 하게 되면 상기 빔대(12)의 하측 선단에 결합된 오물수거판(30)이 하측의 바닥으로 내려가 지면에 닿게 되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역시 일반적인 제진기(10)와 동일하게 작동하여 빔대(12)와 함께 오물수거판(30)이 내측의 스크린에 접지된 상태가 되고, 이는 일반적인 방법으로 이동로프(34)가 상측으로 감겨지게 되어 안내로울러(21)와 오물수거판(30)의 내부에 설치된 가이드로울러(31)에 권설된 상태로서 다단으로 결합된 빔대(12)가 승강을 하게 되며, 승강이 완료되면 빔대(12)의 선단에 착설된 오물수거판(30)이 상측의 배출통로 측으로 올라오게 됨과 동시에 타측의 작동로프(44)가 별도의 장치에 의해 당겨지게 되는 것으로, 이때 후방측의 작동로프(44)가 당겨지게 되면 오물수거판(30)의 후측에 결합된 작동축(43)에 고정된 작동로프(44)는 안내로울러(21)에 의해 빔대(12)의 내부에서 당겨지게 되므로 전방의 오물수거판(30)은 일정각도로서 하향 경사지게 되어 오물수거판(30)의 상측에 올려진 오물은 자동으로 하방측의 배출통로측으로 낙하되는 것이다.
즉, 상기와 같은 작동을 함에 있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후방의 작동로프 (44)가 당겨지는 작동을 함과 동시에 전방의 이동로프(34)는 풀려지는 기능을 수행하므로서 안내로울러(21)에 걸린 상태에서 빔대(12)의 내부에서 풀리면서 오물수거판(30)의 내부측 가이드로울러(31)를 경유하여 후측의 이동축(42)에 고정된 이동로프(34)가 느슨하게 되어 오물수거판(30)의 선단이 하측으로 내려가게 되어 오물이 낙하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수분을 함유하여 점성이 많은 오물이 잘 떨어지지 않을 경우는 상기와 같은 작동을 순간적으로 반복하므로서 오물수거판(30)의 연속적인 틸팅기능에 의해 흔들림이 발생하여 결국 오물수거판(30)에 안치된 오물은 하측의 배출통로를 통해서 자연적으로 배출이 되는 것으로, 상기와 같은 배출통로는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것이므로 이의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작동을 하고 난 후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여 차후의 수거작업을 준비할 경우는 전술한 바와는 반대의 작동으로 전방측의 이동로프(34)를 상측에서 당기면 이 이동로프(34)는 가이드로울러(31)에 의해 후방측의 이동축(42)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가이드로울러(31)에 의해 상측으로 당겨짐과 동시에 후방측의 작동로프(44)는 별도의 장치에 의해 안내로울러(21)에 권취된 상태에서 작동축(43)에 연결되어 풀려지게 되므로 결국은 상기한 오물수거판(30) 전체는 고정축 (23)을 기점으로 일정 각도로서 각운동을 하게 되어 틸팅의 기능을 수행하게 되어 오물수거판(30)상에 안치된 오물을 하측으로 낙하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빔대(12)의 내부에는 별도의 안내로울러(21)를 설치하여 이중으로 된 이동로프(34)와 작동로프(44)를 각각 권취하여 일측의 이동로프(34)는 오물수거판(30)의 내측을 경유하여 작동구(40)의 이동축(42)에 연결하고, 타측의 작동로프(44)는 역시 동일하게 안내로울러(21)를 거쳐서 작동구(40)의 작동축(43)에 연결하므로서 상기 이동로프(34)와 작동로프(44)의 상호간의 작동에 의해 작동구(40)가 작동을 하게 되면서 상기 작동구(40)가 힌지부(41)를 기점으로 이동을 함에 따라 전방의 오물수거판(30)이 고정축(23)을 기점으로 임의로 각운동을 하게 되어 상기 오물수거판(30)의 상측에 안치된 각종 오물을 자유낙하하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은 과정에 있어서, 다단으로 된 빔대(12)의 하부측에 설치되는 오물수거판(30)은 고정판(22)과 연결판(32)에 의해 고정축(23)으로서 각운동이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므로 틸팅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빔대(12)의 하부측 내부에는 별도의 브라켓(20)이 구비되어 힌지부(41)에 의해 작동구(40)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작동로프(44)와 이동로프(34)의 상관작동에 의해 상기 작동구(40)가 힌지부(41)를 기점으로 이동을 함에 따라 전방의 오물수거판(30)이 도 4 내지 도 6 과 같은 상태로 각운동이 이루어지게 되어 상기 오물수거판(30)의 상부에 안치된 오물이 낙하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오물이 낙하되는 과정에서 수분을 함유하고 있어서 이탈되지 않는 오물은 각 이동로프(34)와 작동로프(44)의 연속반복적인 작동으로 수회를 틸팅하므로서 순간적인 각도 변화에 따라 용이하게 하부로 낙하하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통상의 제진기(10)에 있어서, 빔대홀더(11)의 내부에 결합된 빔대(12)의 하측에 연결되는 오물수거판(30)의 연결구조와 작동구조를 개선하여 이중의 이동로프(34)와 작동로프(44)를 이용하므로서 기존의 경우와 같이 별도로 오물을 제거하는 제거판을 설치하지 않고 오물수거판(30) 자체가 틸팅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하여 오물의 낙하가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오물수거판(30)의 표면에 별도의 마찰 현상이 방지되므로 고장의 발생률을 방지함은 물론 과부하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을 방지하여 각종의 오물수거판(30)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제진기(10)로서 사용할 경우 그 기대되는 가치가 대단히 우수한 발명이다.

Claims (1)

  1. 제진기(10)의 빔대(12) 하부에 설치되는 오물수거판(30)의 각도를 임의로 변화할 수 있게 함에 있어서, 빔대(12)의 하부에는 고정판(22)을 구비하고, 선단에 다수개의 칼퀴(33)가 구비된 오물수거판(30)의 후방에는 연결판(32)을 구비하여 고정축(23)으로서 각운동이 가능하게 연결하며, 상기 빔대(12)의 하측 중앙에는 한쌍의 브라켓(20)을 설치하여 별도로 힌지부(41)에 의해 각운동이 가능한 작동구(40)를 설치하되, 상기 작동구(40)의 힌지부(41) 양측 선단에는 작동축(43)과 이동축 (42)을 각각 구비하고, 상기 빔대(12)의 내부에 이중으로 이동로프(34)와 작동로프 (44)를 안내로울러(21)에 의해 각각 연결하되, 일측의 이동로프(34)는 오물수거판 (30)의 내측에 구비된 가이드로울러(31)를 경유하여 작동구(40)의 이동축(42)과 연결하고, 타측의 작동로프(44)는 빔대(12)의 내부에 구비된 안내로울러(21)를 경유하여 작동축(43)과 연결하므로서 상측에서 작동하는 별도의 장치에 의해 상호간에 당기거나 풀면서 오물수거판(30)이 고정축(23)을 기점으로 각운동이 가능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물수거판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제진기.
KR1019980030755A 1998-07-30 1998-07-30 오물수거판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제진기 KR1002701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0755A KR100270178B1 (ko) 1998-07-30 1998-07-30 오물수거판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제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0755A KR100270178B1 (ko) 1998-07-30 1998-07-30 오물수거판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제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0058A KR20000010058A (ko) 2000-02-15
KR100270178B1 true KR100270178B1 (ko) 2000-10-16

Family

ID=19545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0755A KR100270178B1 (ko) 1998-07-30 1998-07-30 오물수거판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제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017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4658B1 (ko) 2004-12-07 2006-11-10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KR100677571B1 (ko) 2005-03-22 2007-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의 구동 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0058A (ko) 2000-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8322B1 (ko) 호이스트를 이용한 부유물 제거용 제진기
KR100270178B1 (ko) 오물수거판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제진기
CN215858110U (zh) 建筑工程雨污分流装置
CN211462252U (zh) 一种市政排水管中的过滤装置
CN216379874U (zh) 一种市政道路排水结构
CN215105950U (zh) 一种道路排水沟清理装置
CN216405312U (zh) 一种水利工程用拦污栅清理设备
CN216640744U (zh) 一种水利工程用植草沟结构
KR200384310Y1 (ko) 제진기
KR960015898B1 (ko) 배수처리용 제진기
KR100378783B1 (ko) 배수로의 오물수거장치
KR200166043Y1 (ko) 전자동 유압식 제진기
KR100924176B1 (ko) 유압식 씨저형 제진기
KR100320791B1 (ko) 배수로의 오물수거장치
CN214260949U (zh) 格栅除污机
KR200265556Y1 (ko) 배수처리용 협잡물 처리장치
KR0132294Y1 (ko) 제진기용 오물수거판의 각도 조절장치
CN220035667U (zh) 一种雨水截污设备用截污挂篮
CN218145913U (zh) 一种改进型污水处理人工格栅
CN219033139U (zh) 一种市政工程用河道垃圾打捞器
CN220266783U (zh) 城市道路排水防堵结构
CN213060249U (zh) 一种河道污染清理设备
CN214090272U (zh) 一种市政道路排水装置
CN220953737U (zh) 一种具有防堵功能的风景园林排水管道
KR200244707Y1 (ko) 로터리식 제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8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8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1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