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6043Y1 - 전자동 유압식 제진기 - Google Patents

전자동 유압식 제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6043Y1
KR200166043Y1 KR2019990015680U KR19990015680U KR200166043Y1 KR 200166043 Y1 KR200166043 Y1 KR 200166043Y1 KR 2019990015680 U KR2019990015680 U KR 2019990015680U KR 19990015680 U KR19990015680 U KR 19990015680U KR 200166043 Y1 KR200166043 Y1 KR 2001660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ge
main body
lifting
platform
di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56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한욱
Original Assignee
세계산업기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계산업기계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계산업기계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900156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604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60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604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6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수처리장이나 배수펌프장 또는 취수장 등 배수로의 물의 흐름에 따라 흘러 내려온 생활쓰레기나 각종 산업쓰레기 등의 오물이 스크린에 걸리게 되면 이를 자동으로 수거하기 위한 전자동 유압식 제진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적인 특징은 동력수단(21)에서 출력되는 동력으로 수로의 폭이나 깊이에 관계없이 기대(13)의 상측 안내레일(14)에 설치된 본체(20)가 좌우로 이동하는 수단과, 본체(20)의 전방에 각운동 가능하게 설치된 빔승강대(31)와, 상기 빔승강대(31)에 설치되어 상호 작동으로 오물을 수거하여 낙하시키는 틸팅수단(40)과, 와이어로프(35)의 권취에 의해 다단으로 설치된 각 1단빔대(32) 와 2단빔대(33) 및 3단빔대(34)가 1:2:3의 비율로 승강작동 가능하게 구성된 승강수단(30)을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전자동 유압식 제진기{Dust-Removing-Machine}
본 고안은 하수처리장이나 배수펌프장 또는 취수장 등 배수로의 물의 흐름에 따라 흘러 내려온 생활쓰레기나 각종 산업쓰레기 등의 오물이 스크린에 걸리게 되면 이를 자동으로 수거하기 위한 전자동 유압식 제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처리장이나 배수펌프장 또는 취수장 등의 수중에는 각종 생활쓰레기나 산업쓰레기 등의 오물이 물의 흐름에 따라 함께 흘러 내려와 상수 또는 하수를 오염시키는 요인이 되어 상기한 오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배수로의 수문에 스크린을 설치하여 상기 스크린에 걸린 오물을 별도의 도구를 이용하여 인위적으로 걷어올리는 수거방식을 이용하므로서 쓰레기로 인한 강물의 오염을 방지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오물을 제거하지 않을 경우에는 배수로의 스크린에 걸린 쓰레기에 의해 배수로가 막히게 되어 결국 흐르는 물이 배수로 위로 범람하게 되며, 더욱이 하절기와 같이 비가 많이 오는 우천시에는 평상시보다 많은 양의 쓰레기가 물에 흘러 내려와 스크린에 걸리게 되므로 이때에는 오물의 제거 시기를 맞출 수 없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으며, 상기 스크린에 걸린 오물은 별도의 도구로서 걷어올리는 작업으로 제거하게 되는데 걷어올릴 때 도구가 스크린에 과부하를 발생하게 되어 결국 스크린을 손상시키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물보다 비중이 가벼운 오물은 스크린의 위쪽에 걸려지게 되어 별도의 도구를 이용하여 쉽게 걷어올릴 수 있으나, 비중이 무거운 쓰레기는 스크린 하단쪽 즉, 수심이 깊은 위치에 걸려 있으므로 비중이 무거운 쓰레기를 제거하는데는 상당한 어려움이 발생하게 되어 배수로의 크기를 점차적으로 축소시키게 되므로 결국은 배수로의 기능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으며, 인력의 손실은 물론 장비의 운영비용이 과도하게 지출되는 등의 문제점과 함께 이와 같은 배수로의 오물 제거방식은 폭이 좁고 수심이 낮은 수량이 적은 배수로의 경우는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으나, 수량이 많은 배수로에서는 거의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신축빔의 선단에 단순히 수거판을 고정시켜 수중지면의 오물을 수거하고 이 수거판의 오물을 별도의 제거판을 이용하여 오물수거통에 낙하하도록 안출한 것이 고안된 바 있으나, 이는 신축빔이 단순히 상.하 이동으로서 스크린에 걸린 오물을 정확히 제거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수거판이 외측에서 내측으로 이동하여 오물을 걷어 올리는 작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할 뿐만 아니라 제거판도 축을 기점으로 회전되어 수거판의 오물을 정확히 걷어내지 못하게 되므로 결국 남은 쓰레기가 수중으로 재투입이 되는 등 각종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은 수량이 적은 배수로는 물론이고, 수량이 많고 폭이 넓으며 수심이 깊은 배수로의 오물을 제거하기 위한 제진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인 바, 본 고안은 오물을 수거하기 위해 이동가능한 본체가 스크린이 설치되어 있는 수로의 상부에서 좌우 이동가능하게 하면서 실린더를 내장한 빔승강대내에서 1차빔대와 2차빔대 및 3차빔대가 1:2:3의 비율로 신축적으로 승강가능하게 하고, 이와 동시에 빔승강대의 회동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의 작동이 상호 유기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하여 비교적 구조가 간단하면서 다기능화할 수 있도록 하고, 특히 안내레일의 길이방향으로 안내레일을 감싸도록 설치된 안내로울러에 의해 본체가 이동을 하는 과정에서 안전하게 오물을 수거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적인 특징을 살펴보면 동력수단(21)에서 출력되는 동력으로 수로의 폭이나 깊이에 관계없이 기대(13)의 상측 안내레일(14)에 설치된 본체(20)가 좌우로 이동하는 수단과, 본체(20)의 전방에 각운동 가능하게 설치된 빔승강대(31)와, 상기 빔승강대(31)에 설치되어 상호 작동으로 오물을 수거하여 낙하시키는 틸팅수단(40)과, 와이어로프(35)의 권취에 의해 다단으로 설치된 각 1단빔대(32) 와 2단빔대(33) 및 3단빔대(34)가 1:2:3의 비율로 승강작동 가능하게 구성된 승강수단(30)을 포함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
도 2 는 본 고안의 빔승강대가 경사지게 작동한 구성도
도 3 은 본 고안의 각 빔대가 하강한 상태도
도 4 는 본 고안의 빔대가 스크린에 접지된 상태도
도 5 는 본 고안의 빔대가 오물을 인양하는 상태도
도 6 은 본 고안의 빔대 하단에 설치된 수거판의 오물을 제거하는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 : 제진기 11 : 스크린
12 : 컨베이어 13 : 기대
14 : 안내레일
20 : 본체 21 : 동력수단
22 : 실린더 23 : 이송로울러
24 : 힌지
30 : 승강수단 31 : 빔승강대
32 : 1단빔대 33 : 2단빔대
34 : 3단빔대 35 : 와이어로프
40 : 틸팅수단 41 : 수거판
본 고안은 배수로의 오물을 수거하기 위한 제진기(10)를 제공코져하는 것으로, 동력수단(21)에서 출력되는 동력으로 수로의 폭이나 깊이에 관계없이 기대(13)의 상측 안내레일(14)에 설치된 본체(20)가 좌우로 이동하는 수단과, 본체(20)의 전방에 각운동 가능하게 설치된 빔승강대(31)와, 상기 빔승강대(31)에 설치되어 상호 작동으로 오물을 수거하여 낙하시키는 틸팅수단(40)과, 와이어로프(35)의 권취에 의해 다단으로 설치된 각 1단빔대(32) 와 2단빔대(33) 및 3단빔대(34)가 1:2:3의 비율로 승강작동 가능하게 구성된 승강수단(30)을 포함한다.
본 고안은 전방 하측에 스크린(11)이 설치되고, 이의 상부에는 수거된 오물을 배출할 수 있는 컨베이어(12)와, 안내레일(14)이 구비된 기대(13)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안내레일(14)의 상부측에 설치된 본체(20)는 이송로울러(23)에 의해 좌우 이동가능하게 설치하되, 본체(20)의 전방측에는 힌지(24)에 의해 적정의 각도로 각운동 가능하고, 내부에는 1단빔대(32)와 2단빔대(33) 및 3단빔대(34)가 다단으로 승강가능하게 설치된 빔승강대(31)를 설치하고, 본체(20)의 내부에 설치된 실린더(22)는 빔승강대(31)의 하단과 연결하여 각운동할 수 있게 구성하며, 상기 빔승강대(31)의 후방측에는 각 1단빔대(32)와 2단빔대(33) 및 3단빔대(34)를 승강가능하게 하는 승강수단(30)을 구비하여 다단의 로울러에 권취된 와이어로프(35)의 작동으로 각 1단빔대(32)와 2단빔대(33) 및 3단빔대(34)가 1:2:3의 비율로 승강가능하게 구성한다.
한편 3단빔대(34)의 하부에는 자체적으로 유동이 가능한 수거판(41)을 설치하되, 상기 수거판(41)은 틸팅수단(40)에 의해 순간적으로 틸팅기능을 수행하므로서 수거판(41)에 수거된 오물을 낙하하여 배출 컨베이어(12)에 떨어뜨려 주므로서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물론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각각을 유기적으로 작동하는 콘트롤은 별도의 전자장치를 구비하므로서 해결할 수 있을 것이고, 이러한 자동으로 작동하는 회로나 전자장치의 구조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각각의 형상이나 구조 또는 기능은 본 고안에서 득하고자 하는 제진기(10)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으면 부분적인 설계의 변경 등을 포함하는 개량은 본 고안에서 보호받고자 하는 사항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될 수 있는 본 고안은 주로 각종 하수처리장이나 배수펌프장 또는 취수장 등에 설치하여 우천시 등 물이 범람하거나 각종 오물의 제거가 필요할 경우 사용하는 것으로, 즉 스크린(11)이 설치된 상부측의 기대(13)위에 구비된 안내레일(14)에는 동력수단(21)과 안내레일(14), 실린더(22) 및 이송로울러(23)가 구비된 본체(20)를 좌우 왕복운동 가능하게 설치한 다음 전방에는 승강수단(30)과 틸팅수단(40) 등이 구비된 빔승강대(31)를 힌지(24)에 의해 각운동가능하게 설치한 상태에서 하수처리장이나 배수펌프장 또는 취수장 등에 설치된 스크린(11)에 오물이 걸리게 되면 별도로 구비된 작동수단(도시생략함)을 작동하면 본체(20)의 동력수단(21)이 작동을 하게 되므로 상기 본체(20)는 기대(13)의 안내레일(14)에 설치된 이송로울러(23)에 의해 설정된 범위내에서 안전하게 좌우로 이동을 하게 된다.
상기 제진기(10)의 본체(20)를 포함한 빔승강대(31)가 오물의 제거가 필요한 위치로 이동하면 먼저 본체(20)의 내부 하측에 설치된 실린더(22)가 작동하게 되어 빔승강대(31)가 본체(20)의 힌지(24)를 기점으로 각운동하여 도 2 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경사상으로 이동이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연속적으로 빔승강대(31)의 후방 상측에 설치된 승강수단(30)이 작동을 하므로서 도 3 과 같이 와이어로프(35)가 해리되면서 1단빔대(32)가 하부로 내려오게 되고, 연속적으로 2단빔대(33)와 3단빔대(34)가 최하단부로 내려오게 된다.
상기 1단빔대(32)의 작동으로 2단빔대(33) 및 3단빔대(34)가 연속적으로 하부로 내려오는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본 고안은 1단빔대(32)와 2단빔대(33) 및 3단빔대(34)가 인출되어 수거판(41)이 최하단의 배수로 바닥면까지 내려가게 되고, 이어서 도 4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기대(13)의 안내레일(14)에 설치된 본체(20)의 내부측 실린더(22)가 작동을 하게 되어 상기 빔승강대(31)는 본체(20)의 힌지(24)를 기점으로 각운동하게 되어 하단부의 수거판(41)은 스크린(11)에 접지가 되어 상기 수거판(41)에 얹어진 오물을 인양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된 상태에서 연속동작으로 빔승강대(31)의 후방에 위치된 승강수단(30)이 작동하여 도 5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승강수단(30)의 선단에 설치된 각각의 로울러들에 권취된 와이어로프(35)가 당겨지면서 1단빔대(32)와 2단빔대(33) 및 3단빔대(34)가 1:2:3의 비율로 단계적으로 상승하게 된다.
상기 1단빔대(32)와 2단빔대(33) 및 3단빔대(34)가 완전하게 상승하게 되면 도 6 과 같이 연속적으로 본체(2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실린더(22)가 작동을 하게 되어 본체(20)와 빔승강대(31)를 연결하는 힌지(24)를 기점으로 수직방향으로 각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3단빔대(34)가 완전하게 상승을 함에 따라 수거판(41)이 상부로 이동을 한 상태에서 상기 수거판(41)은 자체적으로 틸팅이 가능하게 틸팅수단(40)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상기 틸팅수단(40)이 작동을 함에 따라 수거판(41)이 움직임게 되어 수거판(41)에 얹어진 오물은 하부측에 설치되어 있는 컨베이어(12) 위로 낙하하게 되고, 낙하된 오물은 무한궤도 타입의 컨베이어(12)가 작동을 함에 따라 별도의 장소로 이동되어 수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1단빔대(32)와 2단빔대(33) 및 3단빔대(34)가 상호 유기적으로 작동하는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빔승강대(31) 후방의 실린더(22)가 상부로 작동하게 되면 다단으로 구비된 각 로울러에 권취되어 있는 와이어로프(35)의 양끝은 빔승강대(31)와 1단빔대(32)의 하단에 각각 고정되어 있으므로 결국 실린더(22)가 상승작동을 하게 되면 각 로울러에 권취된 와이어로프(35)가 당겨져 1단빔대(32)가 상승하게 된다.
2단빔대(33)의 상부 선단측에는 와이어로프(35)가 고정되어 1단빔대(32) 내부 상단에 축설된 로울러에 권취되어 빔승강대(31)의 후방에 고정되어 있고, 3단빔대(34)의 선단 상측에 고정 연결된 와이어로프(35)는 역시 1단빔대(32)의 상측 내부에 축설된 로울러에 권취되어 빔승강대(31)의 로울러에 경유하여 빔승강대(31) 하부 내측에 축설된 로울러에 권취되어 1단빔대(32)에 고정시키므로서 1단빔대(32)와 2단빔대(33) 및 3단빔대(34)는 결국 1:2:3의 비율로 승강하게 된다.
즉, 빔승강대(31) 후방의 실린더(22)가 작동을 하므로서 1단빔대(32)가 승강하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고, 2단빔대(33)가 승강하는 것은 1단빔대(32)가 승강함에 따라 1단빔대(32)의 상부 내측에 축설된 로울러에 와이어로프(35)가 권취되어 있는 바, 일측의 선단은 2단빔대(33)의 상측 선단에 고정되어 있고, 타측은 빔승강대(31)의 후방 몸체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1단빔대(32)가 상승함에 따라 2배, 다시 말해서 로울러의 내측에서 1단이 승강되고, 외측에서 1단이 승강되어 도합 2배가 승강되는 것이다.
3단빔대(34)의 상부 선단에 고정된 와이어로프(35)는 1단빔대(32)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이는 1단빔대(32)가 승강하면 3단빔대(34)의 선단과 1단빔대(32)에 연결되어 있는 바, 1단빔대(32)가 승강함에 따라 로울러에서 1단으로 승강하고, 이어서 다단의 로울러를 거치면서 2단이 승강하며, 마지막으로 하부의 로울러와 1단빔대(32)에 고정된 사이에서 3단으로 승강이 이루어지게 되어 결국 1단빔대(32)가 1단 승강하면 3단빔대(34)는 3단으로 승강이 이루어지므로 1:2:3의 비율로 승강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1단빔대(32)와 2단빔대(33) 및 3단빔대(34)가 순차적으로 정확한 비율로 승강하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이 다단으로 설치된 각 로울러의 설치위치 및 와이어로프(35)의 길이를 계산상의 수치에 의해 적의 조절이 가능한 것으로, 이러한 3단으로 된 각 빔대의 상하 이동 즉, 각기 다른 높이로 승강해야 할 경우는 정확하게 1:2:3의 비율로 조절이 가능하여 본 고안에 의한 제진기(10)를 실내에 설치할 경우 승강되는 높이에 관계없이 다단으로 설치가 가능하므로 상승되는 높이가 극히 제한되고, 인출시 깊이에 관계없이 하강이 가능하여 배수로의 깊이가 매우 깊을 경우도 매우 용이하게 각종 오물 등의 쓰레기를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주로 하수처리장이나 배수펌프장 또는 취수장 등의 배수로에 설치하여 하절기에 장마나 홍수 등 물이 범람하거나 배수가 필요할 경우 배수펌프를 가동하게 되면 물이 배수될 시 동시에 진입하는 생활쓰레기나 산업쓰레기 등 각종 오물이 스크린에 걸리게 되더라도 본 고안의 제진기를 작동하여 스크린에 걸린 쓰레기 등 오물을 합리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므로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배수로가 막혀서 좁아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상기와 같은 작동은 전자동으로 이루어지게 되어 인력의 절감 효과는 물론이고, 많은 양의 쓰레기가 동시에 걸리게 되더라도 매우 빠른 시간내에 이를 제거할 수 있으므로 각종 하수처리장이나 배수펌프장 또는 취수장 등에 설치할 경우 그 기대되는 효과가 대단히 우수한 고안이다.

Claims (2)

  1. 동력수단(21)에서 출력되는 동력으로 수로의 폭이나 깊이에 관계없이 기대(13)의 상측 안내레일(14)에 설치된 본체(20)가 좌우로 이동하는 수단과, 본체(20)의 전방에 각운동 가능하게 설치된 빔승강대(31)와, 상기 빔승강대(31)에 설치되어 상호 작동으로 오물을 수거하여 낙하시키는 틸팅수단(40)과, 와이어로프(35)의 권취에 의해 다단으로 설치된 각 1단빔대(32) 와 2단빔대(33) 및 3단빔대(34)가 1:2:3의 비율로 승강작동 가능하게 구성된 승강수단(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 유압식 제진기.
  2. 전방 하측에 스크린(11)이 설치되고, 이의 상부에는 수거된 오물을 배출할 수 있는 컨베이어(12)와, 안내레일(14)이 구비된 기대(13)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안내레일(14)의 상부측에 설치된 본체(20)는 이송로울러(23)에 의해 좌우 이동가능하게 설치하되, 본체(20)의 전방측에는 힌지(24)에 의해 적정의 각도로 각운동 가능하고, 내부에는 1단빔대(32)와 2단빔대(33) 및 3단빔대(34)가 다단으로 승강가능하게 설치된 빔승강대(31)를 설치하고, 본체(20)의 내부에 설치된 실린더(22)는 빔승강대(31)의 하단과 연결하여 각운동할 수 있게 구성하며, 상기 빔승강대(31)의 후방측에는 각 1단빔대(32)와 2단빔대(33) 및 3단빔대(34)를 승강가능하게 하는 승강수단(30)을 구비하여 다단의 로울러에 권취된 와이어로프(35)의 작동으로 각 1단빔대(32)와 2단빔대(33) 및 3단빔대(34)가 1:2:3의 비율로 승강가능하게 구성하고, 3단빔대(34)의 하부에는 자체적으로 유동이 가능한 수거판(41)을 설치하되, 상기 수거판(41)은 틸팅수단(40)에 의해 수거판(41)에 수거된 오물을 낙하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 유압식 제진기.
KR2019990015680U 1999-08-02 1999-08-02 전자동 유압식 제진기 KR2001660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5680U KR200166043Y1 (ko) 1999-08-02 1999-08-02 전자동 유압식 제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5680U KR200166043Y1 (ko) 1999-08-02 1999-08-02 전자동 유압식 제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6043Y1 true KR200166043Y1 (ko) 2000-02-15

Family

ID=19583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5680U KR200166043Y1 (ko) 1999-08-02 1999-08-02 전자동 유압식 제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604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1348B1 (ko) 2008-12-24 2009-08-07 주식회사삼영이앤티 유압식 자동 제진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118281B1 (ko) * 2011-05-13 2012-03-20 중앙종합기계(주) 협잡물 제거용 트리플 암 제진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1348B1 (ko) 2008-12-24 2009-08-07 주식회사삼영이앤티 유압식 자동 제진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118281B1 (ko) * 2011-05-13 2012-03-20 중앙종합기계(주) 협잡물 제거용 트리플 암 제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315489B2 (ja) 沈砂池の集砂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100896740B1 (ko) 유압식 더블암 제진기
KR101538322B1 (ko) 호이스트를 이용한 부유물 제거용 제진기
KR200166043Y1 (ko) 전자동 유압식 제진기
CN109594538A (zh) 一种农田水渠养殖用自动除杂装置
CN112323719A (zh) 一种地铁口用疏水装置
CN116335249A (zh) 一种新型排水结构
CN115928861A (zh) 一种生态园林海绵城市排水装置
CN109853322A (zh) 海绵城市可组装式聚氨酯生态景观道路
KR100924176B1 (ko) 유압식 씨저형 제진기
KR200265556Y1 (ko) 배수처리용 협잡물 처리장치
CN113216362B (zh) 一种自动调节及清理的雨水口系统及其应用方法
KR960015898B1 (ko) 배수처리용 제진기
KR100270178B1 (ko) 오물수거판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제진기
KR100378783B1 (ko) 배수로의 오물수거장치
KR100397886B1 (ko) 배수처리용 협잡물 처리장치
KR100320791B1 (ko) 배수로의 오물수거장치
CN220469056U (zh) 初期弃流设施
KR200332939Y1 (ko) 다단식 더블 아암 제진기
CN215367707U (zh) 一种下水道井盖
CN220266783U (zh) 城市道路排水防堵结构
KR920008890B1 (ko) 배수로의 오물자동수거장치
KR200239062Y1 (ko) 전자동 다단제진장치
KR200308603Y1 (ko) 유압 실린더를 갖는 제진기
CN216739981U (zh) 一种入流井闸门拦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2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