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9062Y1 - 전자동 다단제진장치 - Google Patents

전자동 다단제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9062Y1
KR200239062Y1 KR2019990006707U KR19990006707U KR200239062Y1 KR 200239062 Y1 KR200239062 Y1 KR 200239062Y1 KR 2019990006707 U KR2019990006707 U KR 2019990006707U KR 19990006707 U KR19990006707 U KR 19990006707U KR 200239062 Y1 KR200239062 Y1 KR 2002390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ke
dirt
screen
lifting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67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40520U (ko
Inventor
장규진
Original Assignee
장규진
주식회사한국기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규진, 주식회사한국기설 filed Critical 장규진
Priority to KR20199900067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9062Y1/ko
Publication of KR1999004052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052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90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9062Y1/ko

Links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다단의 신축빔을 간단한 구조의 와이어구동장치에 의해 승하강시킴에 의해 구조를 단순화하여 고장의 발생의 최소화하고 보수유지를 용이하게 한 전자동 다단제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신축빔을 큰빔내에 작은빔들을 차례로 장입설치하여 구성하고, 가장 작은빔의 하단에 갈퀴를 취부하는 한편, 그 상단부에 인양와이어의 일단을 고정하고, 타단을 가장 큰빔외부에 고정된 인양용전동실린더에 고정하여, 인양와이어를 권취함에 의하여 상기 신축빔을 수축팽창시켜 스크린의 오물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신축빔이 장입된 다수의 빔들로 구성됨에 의해 길이를 짧게 할 수 있어 건물내부에 설치가 가능할 뿐만아니라, 수로 이동시에 안정감을 갖는다. 본 장치는 또한 현장반에서 뿐만 아니라 중앙제어실에서 원격으로 제어됨으로써 악천후등의 기상이변에도 통제가 용이하고 안정되므로 수로의 범람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신축빔의 승하강작동에 있어 다수의 체인에 의한 구동방식을 배제하고 단일한 와이어구동방식을 채택함으로써 정확한 구동제어가 가능함은 물론 기기를 간략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전자동 다단제진장치{An automatic apparatus having the multi-beam for removing the waste in water}
본 고안은 공장폐수, 생활하수 및 배수펌프장 등의 유입수로로 유입되는 물중에 섞여있는 생활, 산업쓰레기등과 같은 오물을 유입수로부터 분리, 제거하여 물흐름을 원활하게 하고 펌프의 막힘으로 인한 고장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스크린에집진된 오물을 제거하는 다단제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단의 신축빔을 간단한 구조의 와이어구동장치에 의해 승하강시킴에 의해 구조를 단순화하여 고장의 발생의 최소화하고 보수유지를 용이하게 한 전자동 다단제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폐/하수 및 배수펌프장에 유입되는 유입수에는 생활쓰레기나 산업쓰레기 등과 같은 오물이 섞여 있게 된다. 이러한 오물은 물의 흐름에 따라 처리장이나 펌프장으로 유입되어, 폐/하수 및 배수펌프장의 처리과정에서 기기의 고장등 각종 문제를 유발한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오물을 수로중의 처리장치에서 확실하게 분리하기 위해서 격자형상의 스크린을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렇게 스크린을 설치하여 오물을 유입수와 분리한 후, 분리된 오물은 가능한 신속하게 제거해야 한다. 물론, 분리제거된 오물은 처리장치 이외의 다른 장소로 이송해서 완전히 제거해야 한다. 특히, 스크린을 설치하고 이 스크린에 의해서 수중의 오물을 분리함에 있어서 빠른 시간내에 스크린에 걸러진 오물을 제거하지 않으면 이 걸러진 오물이 스크린에 점착되어 스크린이 막히게 되므로 수로중의 물의 흐름을 방해하여 수로를 범람하게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스크린에 걸러진 오물을 제거하는 방법으로는 사람이 직접 제거하는 수동식 제거법과, 기계적인 장치를 이용한 제거방법이 있으나, 양자 모두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중 수동에 의한 오물제거는 스크린에 걸러지는 오물의 양을 직접 눈으로 확인하여 제거하고 있기 때문에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을 뿐만아니라, 제거시기를 맞추기가 어렵고 맞춘다 해도 부정확하여 제거효율이 떨어지며, 넓고 깊은 수로에서의 오물제거는 거의 불가능하였다.
한편, 기계장치에 의한 오물제거는 보통 스크린에 집진된 오물을 갈퀴같은 것으로 걷어올리는 식이 보편적인데, 이러한 작업은 오물의 재질이 질기거나 무게가 무거우면 갈퀴로 제거하는 작업중에 스크린이 파손되거나 장치에 사용되는 여러가지의 부품, 예를 들면 동력모터나 각 구동부품, 연결장치등의 고장원인이 되었다. 다시 말하면, 가벼운 오물은 스크린의 상부에 걸려 있어 제거가 쉬우나, 무거운 오물은 스크린의 하부에 걸리게 되어 수중에서의 작업이 필요하게 되어 오물제거가 매우 어려운 폐단이 있었다.
이와 같이 스크린에 걸러진 오물을 제거하는 데 사용되는 기계장치로는 간헐작동식과 유압식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간헐작동식은 구조가 대형이고 운전시 조작자가 항시 필요할 뿐만 아니라, 레이크가 와이어에만 의지하여 움직이므로 레이크의 이탈같은 문제가 자주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유압식은 깊은 수로에는 사용이 불가능하고 유압시스템의 별도장치가 필요할 뿐아니라, 더욱이 유압유니트의 소음이 크며 동절기에 유압작동유의 동결과 그로 인한 파손이 유려되는 등 유지관리에 큰 어려움이 있었다.
그러므로, 체인이나 와이어식의 구동장치로 다단의 신축빔을 상하구동시켜 갈퀴로 오물을 퍼올리는 시스템이 개발되었는 데, 그에 대한 일예가 특허공고공보 제92-8890호에 게시되어 있다.
이 기술에는 다단의 신축빔으로 비임승강대내에 1단비임을 장설하고, 1단비임내에 2단비임을 장설하여, 비임승강대에 1단비임을 리프팅체인으로 연결하고 2단비임은 리프팅와이어로 연결하여 리프팅와이어를 권취함에 의해 비임승강대에 1단비임과 2단비임이 상하승강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복잡한 이중구조의 승강구동장치를 사용함에 의해 장치의 구조가 복잡해질 뿐만 아니라, 구동요소가 많아 고장이 잦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제결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서, 다단의 신축빔을 간단한 구조의 와이어구동장치에 의해 승하강시킴에 의해 구조를 단순화하여 고장의 발생의 최소화하고 보수유지를 용이하게 한 전자동 다단제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전자동 다단제진장치의 전체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장치의 횡행구동부를 설명하기 위해 본체 및 횡행레일을 위에서 보아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장치가 배수로상의 오물을 제거하기 위해 다단 신축빔을 하강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4는 본 장치의 다단 신축빔이 하강을 완료한 후 그 하부에 취부된 갈퀴가 오물을 제거하기 위해 전후구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5는 본 장치의 갈퀴가 오물을 갖고 신축빔이 수축되어 상승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6은 본 장치의 갈퀴에 의하여 이송된 오물을 이송콘베이어로 보내기 위해 다단신축빔을 이송콘베이어쪽으로 선회하는 동작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7은 본 장치의 갈퀴에 있는 오물을 이송콘베이어로 낙하시키는 동작을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8은 본 장치의 갈퀴가 다시 작업위치로 하강할 수 있도록 신축빔을 원상태로 선회시키는 동작을 나타낸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0 : 본체 11 : 피니언기어
12 : 주행모터 13a,13b : 주행륜
14 : 회전축 20 : 프레임
21 : 수직프레임 22 : 수평프레임
23 : 주행레일 24 : 랙기어
30 : 신축빔 31 : 빔안내체
32 : 제 1빔 33 : 제 2빔
34 : 갈퀴 35 : 와이퍼
40 : 선회각조절전동실린더 41 : 로드
42 : 선회축 50 : 와이어
51 : 시브 52 : 풀리
60 : 인양용전동실린더 70 : 이송콘베이어
80 : 스크린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전자동 다단제진장치는 하단부에 오물제거용 갈퀴를 갖는 신축빔을 신축시키는 한편 선회시켜 스크린에 부착된 오물을 밀착제거하는 본체를 프레임상에서 횡행이동하며 작업스크린으로 이동작업되게 구성된 수로의 오물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신축빔은 큰빔내에 작은빔들을 차례로 장입설치하고, 상기 가장 작은빔의 하단에 상기 갈퀴를 취부하는 한편, 그 상단부에 인양와이어의 일단을 고정하고, 타단을 가장 큰빔외부에 고정된 인양용전동실린더에 고정하여, 인양와이어를 권취함에 의하여 상기 신축빔을 수축팽창시켜 상기 스크린의 오물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신축빔은 가장 큰빔인 빔안내체와, 상기 빔안내체에 장설되어 출입하는 제 1빔 및, 상기 제 1빔에 장입되어 출입하는 제 2빔으로 이뤄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전자동 다단제진장치의 전체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장치의 횡행구동부를 설명하기 위해 본체 및 횡행레일을 위에서 보아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장치가 배수로상의 오물을 제거하기 위해 다단 신축빔을 하강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이제, 이 도면들을 병행참조하며 본 장치의 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장치는 본체(10)가 안착되어 횡행이동하는 프레임(20)이 설치되어 있다. 이 프레임(20)은 수직프레임(21)과 수평프레임(22)의 결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수평프레임(22)의 상부에는 평행선을 이루는 한쌍의 주행레일(23)이 가설되어 있다. 본체(10)는 이 주행레일(23)을 따라 횡행하며 오물제거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특히, 프레임(20)의 측배면에는 랙기어(24)가 설치되어 본체(10)에 설치된 피니언기어(11)와 치합되어 있다. 물론, 피니언기어(11)는 주행모터(12)와 직결되어 구동되므로 본체(10)가 횡행하게 된다.
본체(1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프레임(20)의 랙기어(24)와 치합되는 피니언기어(11) 및, 이 피니언기어(11)를 회전시켜 랙기어(24)를 따라 이동함으로써 본체(10)가 주행레일(23)상을 횡행하도록 구동하는 주행모터(12)를 구비하고 있다. 물론, 주행레일(23)상을 본체(10)가 안정되게 주행할 수 있도록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행레일(23)과 대응되는 본체(10)하부에는 두 쌍의 주행륜(13a,13b)들이 취부되어 있다. 이 주행륜(13a,13b)들은 회전축(14a,14b)으로 연결되어 쌍을 이루고 본체(10)에서 회전된다. 본체(10)가 주행레일(23)상을 횡행하며 좌우방향의 선택된 수로로 이동할 때 본체(10)의 무게중심의 변화로 인한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해서 본체(10)의 전면부와 후면부측 하단에는 전/후지지롤러(15,16)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본체(10)의 상단부에는 다단신축빔(30)의 선회각을 조절하기 위한 선회각조절전동실린더(40)가 고정되어 있다. 즉, 이 선회각조절전동실린더(40)의 로드(41)가 다단신축빔(30)에 취부되어 수축팽창함에 의해 본체(10)에 하단부가 선회축(42)으로 선회가능케 고정된 다단신축빔(30)이 선회축(42)을 중심으로 선회조절되게 된다.
다단신축빔(30)은 본체(10)에 선회가능케 고정된 빔안내체(31)와, 이 빔안내체(31)내에 삽입출수되게 장입된 제 1빔(32), 그리고 제 1빔(32)에 출입되게 장설된 제 2빔(33)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제 2빔(33)의 하단에는 오물을 제거하기 위한 갈퀴(34)가 취부되어 있다. 제 2빔(33)의 상단에는 인양와이어(50)의 일단이 고정되어 있고, 이 인양와이어(50)는 빔안내체(31)에 고정된 시브(51) 및 풀리(52)에 지지되어 인양용전동실린더(60)에 타단이 고정되어 있다. 그러므로, 인양용전동실린더(60)가 구동하여 인양와이어(50)를 감게 되면 제 2빔(33)은 상승하게 되고, 풀어주면 제 2빔(33)은 하강하게 된다. 물론, 제 2빔(33)은 제 1빔(32)상에서 승하강하게 되며, 제 2빔(33)이 제 1빔(32)상을 완전히 상승하게 되면, 제 2빔(33)의 상승력은 제 1빔(32)에 걸리면서 제 1빔(32)과 함께 빔안내체(31)상을 상승하게 된다. 물론, 하강시에는 반대로 인양용전동실린더(60)가 인양와이어(50)를 풀게 되면 제 2빔(33)이 제 1빔(32)상에서 하강하며, 그 하강끝점에서 제 2빔(33)이 걸리면서 제 1빔(32)이 빔안내체상에서 연속적으로 하강하게 된다. 위의 인양용전동실린더(60)는 빔안내체(31)의 배면부에 고정되며, 다단신축빔(30)은 큰빔내에 작은빔들을 여러개 장입설치시켜 수축팽창하며 상승 또는 하강구동되게 구성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텔레스코픽형으로 3개의 빔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그 갯수는 사용목적에 따라 2개 또는 3개이상으로 적절히 가변하여 구성할 수 있다.
다단신축빔(30)의 빔안내체(31) 하부에는 갈퀴(34)에 적재된 오물을 완전히 긁어내 이송콘베이어(70)로 낙하시키기 위한 와이퍼(35)가 설치되어 있다. 이 와이퍼(35)는 스프링(미도시)에 의하여 항상 일정한 각도를 가지고 아래쪽으로 탄발력이 작용하도록 고정되어 있다. 본 장치는 또한 갈퀴(34)에서 낙하된 오물을 본 장치외부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송콘베이어(70)도 구비하고 있다.
본 장치의 앞쪽에는 격자모양의 스크린(80)이 배치된다. 이 스크린(80)은 유입수로의 입구부에 약 75。의 각도로 수로하부에서 상부까지 적절한 길이로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스크린(80)은 3개로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3개를 설치하여 사용할 필요는 없으며, 처리시설의 규모나 용량에 따라서 그 이상 또는 이하로 설치할 수 있다. 물론, 그 배치형상도 다양하게 변경설치가 가능하다.
도 4 내지 도 8은 본 고안의 동작과정을 단계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으로, 도 4는 본 장치의 다단 신축빔이 하강을 완료한 후 그 하부에 취부된 갈퀴가 오물을 제거하기 위해 전후구동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5는 도 4에 연장된 상태로 본 장치의 갈퀴가 오물을 갖고 신축빔이 수축되어 상승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그 다음과정으로 도 6은 본 장치의 갈퀴에 의하여 이송된 오물을 이송콘베이어로 보내기 위해 다단신축빔을 이송콘베이어쪽으로 선회하는 동작을 나타내며, 도 7은 도 6의 선회동작후 본 장치의 갈퀴에 있는 오물을 이송콘베이어로 낙하시키는 동작을 보여준다. 그리고나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장치의 갈퀴가 다시 작업위치로 하강할 수 있도록 신축빔을 원상태로 선회시키는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이제, 본 고안의 동작에 대해 도 3 내지 도 8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에서 큰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하수는 도면상에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유동하고 있다. 이때 하수가 스크린(80)을 통과하며 수로에 비스듬하게 설치된 스크린(80)에는 각종의 오물이 협착되게 된다. 이 스크린(80)에 의해 걸러진 오물을 제거하기 위해서 본 장치의 다단신축빔(30)이 하강하여 그 하단에 구비된 갈퀴(34)가 스크린(80)의 최하단부로부터 일정간격 떨어진 전방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 하강동작은 도 3에서와 같이 인양용전동실린더(60)가 구동하여 인양와이어(50)가 풀리면서 빔안내체(31)상에서 제 1빔(32), 제 2빔(32)이 하강하여 출수되게 되고, 그 하단부에 취부된 갈퀴(34)가 스크린(80)의 최하단 전방부에 위치하게 된다. 그러면, 선회각조절전동실린더(40)가 구동되어 도 4에서와 같이 다단신축빔(30)을 선회축(42)을 중심으로 스크린(80)측으로 선회시켜 갈퀴(34)가 스크린(80)면에 접촉되게 된다. 이때, 스크린(80)의 골간에는 갈퀴(34)의 갈퀴살들이 삽입되게 된다. 그리고나서, 인양와이어(50)를 감아 신축빔(30)의 제 1,제 2빔(32,33)을 상승시키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갈퀴(34)는 스크린(80)상을 따라오물을 제거하며 퍼올리게 된다. 이와 같이 갈퀴(34)에 의해 스크린(80)으로부터 제거되어 갈퀴(34)상에 적재된 오물은 도 6과 같이 갈퀴(34)가 상승하여 스크린(80)의 상부로부터 이격된 상태에 오면 상승동작이 정지하고 선회각조절전동실린더(40)가 작동되어 그 로드(41)가 팽창됨에 의해 갈퀴(34)가 스크린(80)의 배면쪽으로 이동하며 이송콘베이어(70)상부측으로 선회위치되게 된다. 이때, 갈퀴(34)는 와이퍼(35)의 맞닿게 되고, 이 상태에서 인양용전동실린더(60)가 인양와이어(50)를 약간 감아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축빔(30)을 상승시키게 되고, 그러면 와이퍼(35)의 탄발력에 의해 갈퀴(34)에 적재된 오물이 밀려져 나가 이송콘베이어(70)상부로 낙하하게 된다. 이와 같이 갈퀴(34)에 있는 오물이 제거되면 도 8에서와 같이 선회각조절전동실린더(40)가 재작동하여 신축빔(30)을 선회축(42)을 중심으로 초기하강상태로 선회시켜 원복시키게 된다. 이상과 같은 동작이 하나의 사이클을 이루면서 오물제거작업이 수행되게 되고, 지정된 수로의 작업이 끝나면 본체(10)는 주행모터(12)가 구동되어 다음의 작업수로로 이동하게 된다. 이 횡행동작은 주행모터(12)가 구동됨에 따라 피니언기어(11)가 랙기어(24)를 따라 회전구동됨으로써 이루어지는 데, 이때 본체(10)하부에 구비된 주행륜(13a,13b)들이 프레임(20)의 주행레일을 따라 횡행이동하게 된다. 물론, 이때 본체(10)의 요동을 방지하기 위해서 지지롤러(15,16)들도 회전되며 본체(10)를 프레임(20)상에 견고히 지지한 상태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이송콘베이어(70)로 낙하된 오물들은 이송콘베이어(70)에 의해 본 장치외부로 운반되어 버려지거나 오물보관소에 저장되게 된다. 또한, 본 장치는 3개의 스크린(80)을 차례로 청소하게 되는 데, 이 스크린상에 걸린 오물의 양을 감지센서(미도시)로 감지하여 본체(10)가 이동하며 기준치이상이 오물이 협착된 스크린(80)을 차례로 청소하게 된다. 특히, 본 장치는 모든 작동이 무인운전이 가능하도록 제어되며, 악천후등 기상상태가 좋지 않은 상태에서도 원하는 동작을 중앙제어실에서 원격제어장치를 통하여 통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고안의 자동화방법에 관해 설명하면, 감지센서에 의한 오물량초과감지신호에 따라서 그 수로의 청소를 지시하게 되면 중앙제어장치는 미리 프로그램된 지시에 따라 청소하고자 하는 수로에 본체(10)를 횡행이동시키고, 인양용전동실린더(60)에 전원을 공급작동시켜 다단신축빔(30)을 하강시켜서 수로 하부에 갈퀴(34)가 도달하게 하고, 그러면 감지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인양용전동실린더(60)를 정지시키게 된다. 그리고나서, 선회각조절전동실린더(40)를 구동시켜 신축빔(30)을 선회시켜 갈퀴(34)를 스크린(80)에 밀착시킨다. 완전히 밀착된 것을 감지센서가 감지하게 되면 인양용전동실린더(60)를 작동시켜 신축빔(30)을 상승시킴에 의해 갈퀴(34)로 스크린(80)에 있는 오물을 제거하게 된다. 갈퀴(34)가 일정높이까지 상승하게 되면 인양용전동실린더(60)를 정지시키고, 선회각조절전동실린더(40)를 다시 작동시켜 갈퀴(34)를 이송콘베이어(70)쪽으로 선회시킨다. 이때, 감지센서가 콘베이어의 위치를 감지하면 동작이 중지되며, 갈퀴(34)는 와이퍼(35)와 밀착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인양용전동실린더(60)가 작동되어 갈퀴(34)가 다시 약간의 상승을 하면서 갈퀴(34)에 적재된 오물이 이송콘베이어(70)상부로 낙하된다. 그러면, 인양용전동실린더(60)의 작동이 중지되고 선회각조절전동실린더(40)가 재작동하여 하강초기상태로 신축빔(30)을 선회시키게 된다. 이상과 같이 지정된 수로의 오물제거동작이 끝나면 주행모터(12)가 작동하여 다음 작업수로로 본체(10)를 이동시키게 된다. 이상과 같은 동작은 제어장치가 내장된 현장반에서 뿐만 아니라, 중앙제어실에서 현장반과 원격신호를 주고받아 제어할 수도 있다.
이상 서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자동 다단제진장치는 다단의 신축빔을 간단한 구조의 와이어구동장치에 의해 승하강시킴에 의해 구조를 단순화하여 고장의 발생의 최소화하고 보수유지를 용이하게 한 잇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신축빔이 장입된 다수의 빔들로 구성됨에 의해 길이를 짧게 할 수 있어 건물내부에 설치가 가능할 뿐만아니라, 수로 이동시에 안정감을 갖는다. 본 장치는 또한 현장반에서 뿐만 아니라 중앙제어실에서 원격으로 제어됨으로써 악천후등의 기상이변에도 통제가 용이하고 안정되므로 수로의 범람을 방지할 수 있으며, 신축빔의 승하강작동에 있어 다수의 체인에 의한 구동방식을 배제하고 단일한 와이어구동방식을 채택함으로써 정확한 구동제어가 가능함은 물론 기기를 간략화할 수 있는 장점도 가지고 있다.

Claims (2)

  1. 하단부에 오물제거용 갈퀴를 갖는 신축빔을 신축시키는 한편 선회시켜 스크린에 부착된 오물을 밀착제거하는 본체를 프레임상에서 횡행이동하며 선택된 작업스크린으로 이동작업되게 구성된 수로의 오물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신축빔은 큰빔내에 작은빔들을 차례로 장입설치하고, 상기 가장 작은빔의 하단에 상기 갈퀴를 취부하는 한편, 그 상단부에 인양와이어의 일단을 고정하고, 타단을 가장 큰빔외부에 고정된 인양용전동실린더에 고정하여, 인양와이어를 권취함에 의하여 상기 신축빔을 수축팽창시켜 상기 스크린의 오물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 다단제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빔은 가장 큰빔인 빔안내체와, 상기 빔안내체에 장설되어 출입하는 제 1빔 및, 상기 제 1빔에 장입되어 출입하는 제 2빔으로 이뤄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 다단제진장치.
KR2019990006707U 1999-04-22 1999-04-22 전자동 다단제진장치 KR2002390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6707U KR200239062Y1 (ko) 1999-04-22 1999-04-22 전자동 다단제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6707U KR200239062Y1 (ko) 1999-04-22 1999-04-22 전자동 다단제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0520U KR19990040520U (ko) 1999-12-06
KR200239062Y1 true KR200239062Y1 (ko) 2001-10-27

Family

ID=54757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6707U KR200239062Y1 (ko) 1999-04-22 1999-04-22 전자동 다단제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906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12647A1 (en) * 2011-07-18 2013-01-24 Hydro Component Systems, Llc Rack and pinion drive for trash rake
US10226721B2 (en) 2016-01-05 2019-03-12 Hydro Component Systems, Llc Trash rake system with articulated rake head assembly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12647A1 (en) * 2011-07-18 2013-01-24 Hydro Component Systems, Llc Rack and pinion drive for trash rake
US9539528B2 (en) 2011-07-18 2017-01-10 Hydro Component Systems, Llc Rack and pinion drive for trash rake
US10226721B2 (en) 2016-01-05 2019-03-12 Hydro Component Systems, Llc Trash rake system with articulated rake head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0520U (ko) 1999-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0219B1 (ko) 링크식 제진기의 협잡물 제진 방법 및 그 링크식 제진기
KR102161407B1 (ko) 스크린협잡물 제거장치
CN107476420A (zh) 一种市政排水管道系统污水检查井的自动化淤泥清理设备
KR100944815B1 (ko) 하수 및 배수 처리용 기계식 제진기
KR100896740B1 (ko) 유압식 더블암 제진기
KR101406712B1 (ko) 이중 스크린 제진기
KR20150021263A (ko) 로터리 제진기
KR200239062Y1 (ko) 전자동 다단제진장치
KR20130016489A (ko) 가이드바퀴가 설치된 수 처리장치
KR101599999B1 (ko) 로터리 제진기
KR102291857B1 (ko) 제진성이 향상된 이동형 레벨 제진기
KR20190129514A (ko) 협잡물 처리용 제진기
KR102516599B1 (ko) 인양이 용이한 이동식 제진기
KR101545548B1 (ko) 평면 스크린 장치
KR102182705B1 (ko) 제진기
KR20030051135A (ko) 자동 유압식 더블암 제진기
KR100924176B1 (ko) 유압식 씨저형 제진기
KR200262905Y1 (ko) 침사지용 스크린 제진기의 플레이트 이동장치
KR200265556Y1 (ko) 배수처리용 협잡물 처리장치
KR20150021267A (ko) 로터리 제진기
KR100339633B1 (ko) 전자동 스텝스크린
KR200332939Y1 (ko) 다단식 더블 아암 제진기
CN215085467U (zh) 一种污水厂污水处理装置
CN219922245U (zh) 雨水在线过滤处理装置
KR100363985B1 (ko) 협잡물 제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3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