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7288B1 - 배기 후드 - Google Patents

배기 후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7288B1
KR100677288B1 KR1020050077007A KR20050077007A KR100677288B1 KR 100677288 B1 KR100677288 B1 KR 100677288B1 KR 1020050077007 A KR1020050077007 A KR 1020050077007A KR 20050077007 A KR20050077007 A KR 20050077007A KR 100677288 B1 KR100677288 B1 KR 1006772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air supply
canopy
supply nozzle
exha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7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승조
손상범
송성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770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7288B1/ko
Priority to EP06001123A priority patent/EP1757870A3/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72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72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기 후드에 관한 것으로서, 공기를 흡입할 수 있게 저부면에 흡입부가 형성된 캐노피와, 상기 캐노피의 상측에 형성되는 배기부를 구비한 후드본체와; 상기 캐노피의 전방 단부 상부영역에 공기가 하향 토출되게 형성되는 급기노즐과, 외측으로 볼록한 외면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급기노즐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급기노즐을 통해 토출된 공기 중 일부가 볼록한 외면을 따라 하향 유동되게 하는 만곡벽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캐노피의 전방영역의 오염공기를 포집하여 상기 흡입부측으로 유동되도록 하는 전면포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오염공기의 포집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만곡벽부재의 외면을 따라 유동되는 공기가 만곡벽부재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어 포집된 오염공기가 원활하게 흡입부로 이동되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배기 후드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배기 후드{EXHAUST HOOD}
도 1은 종래의 배기 후드의 일 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종래의 배기 후드의 다른 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 후드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Ⅳ-Ⅳ선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기 후드의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기 후드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평면도,
도 8 및 도 9는 각각 도 7의 Ⅷ-Ⅷ 및 Ⅸ-Ⅸ 선에 따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기 후드의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ⅩΙ-ⅩΙ선에 따른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기 후드의 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후드본체 111 : 캐노피
115 : 흡입부 121 : 배기부
124 : 배기팬 131 : 격벽
137 : 급기유로 141 : 전면포집부
143 : 급기노즐 145 : 만곡벽부재
본 발명은, 배기 후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오염공기의 포집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만곡벽부재의 외면을 따라 유동되는 공기가 만곡벽부재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어 포집된 오염공기가 원활하게 흡입부로 이동되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 배기 후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기 후드는 가스레인지 등 가열조리기를 이용한 조리 시 또는 공기 오염 물질이 발생되는 실험대 등의 상측에 배치되어 연기, 냄새 및/또는 기름증기 등 공기 오염 물질을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 배기 장치의 일종이다.
도 1은 종래의 배기 후드의 일 예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 후드는, 복수의 버너(11a,11b)를 구비한 조리기(10)의 상측에 소정 거리 이격되어 수평 또는 경사지게 설치되는 캐노피(21)와, 캐노피(21)와 연통되고 캐노피(21)의 상측으로 소정 높이로 돌출되는 배기부(31)를 구비하고 있다.
캐노피(21)의 저부면에는 조리기(10)로부터 발생된 연기 및 냄새와 조리 시 발생되는 증기 또는 기름 증기 등의 오염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흡기구(23)가 형성되어 있으며, 흡기구(23)에는 오염 물질을 포집할 수 있도록 통상 그리스필터(24)가 구비되어 있다.
배기부(31)의 내부에는 흡기구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배기유로(33)가 형성되어 있으며, 배기유로(33)에는 배기팬(34)이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배기 후드에 있어서는, 조리기(10)의 각 버너(11a,11b)에서 발생된 상승 기류는 상측으로 상승할 수록 그 폭이 증가하게 되어 캐노피(21)의 흡기구(23)에 인접된 일부의 공기만이 흡기구(23) 및 그리스필터(24)를 통해 흡입되어 외부로 배출되고, 나머지는 캐노피(21)의 저부면을 따라 외측으로 이동 및 이탈되어 캐노피(21)의 주변으로 확산된다. 특히, 조리기(10)의 전후 방향을 따라 전방에 배치된 버너(11a)에서 조리를 실시할 경우 오염공기가 캐노피(21)로부터 이탈되어 캐노피(21)의 전방 단부 및 전방 상부영역(A)을 오염시킬 뿐만 아니라 실내로 확산되어 주변을 오염시키게 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배기 후드에 있어서는, 배기팬(34)의 흡입력에 의해 단순히 그리스필터(24)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되어 있어, 배기팬(34)의 회전 속도를 높여 흡입력을 증가시킬 경우에도 흡입 성능이 비례적으로 증가하지 아니하기 때문에 단순히 배기팬(34)의 회전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는 오염공기가 캐노피(21)를 이탈하여 주변으로 확산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오염공기의 흡입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배기 후드가 고안되어 있다.
도 2는 종래의 배기 후드의 다른 예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 후드는, 조리기(10)의 상측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조리기(10)의 상측에 소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되는 후드본체(51)와, 후드본체(51)의 저부면 전방영역에 공기가 하향 토출되도록 형성되는 노즐부(81)를 구비하고 있다.
후드본체(51)는, 직사각 판상으로 형성되어 조리기(10)의 상측에 소정 거리 이격되어 수평으로 설치되는 캐노피(61)와, 캐노피(61)와 연통되고 캐노피(61)에 대해 수직하게 돌출되는 배기부(71)로 구성되어 있다.
캐노피(61)의 저부면에는 조리기(10)로부터 발생되어 상승되는 오염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흡기구(63)가 형성되어 있으며, 흡기구(63)에는 공기중의 오염물질을 포집할 수 있도록 그리스필터(64)가 구비되어 있다. 배기부(71)의 내부에는 흡기구(63)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배기유로(73)가 형성되고, 배기유로에는 배기팬(74)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캐노피(61)의 저부면 전방영역에는 공기를 하향 토출할 수 있도록 노즐부(81)가 형성되어 있으며, 캐노피(61)의 내부 전방영역에는 노즐부(81)를 통해 공기가 분사될 수 있도록 송풍하는 급기팬(83)이 설치되어 있다. 캐노피(61)의 저부면에는 노즐부(81)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 중 일부가 소위 코안다 효과(coanda effect)에 의해 흡기구(63)영역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하측으로 볼록한 호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만곡벽부(85)가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배기 후드에 있어서는, 캐노피(61)의 전면 하측의 공기를 흡기구(63)측으로 유도하여 흡입 성능을 어느 정도 향상시킬 수 있으나 오염공기의 포집에는 한계가 있어 캐노피(61)의 주변으로 여전히 오염공기가 이탈되는 현상이 발생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노즐부(81)는 캐노피(61)의 저부면 전방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지점에 형성되도록 되어 있어, 조리기(10)의 버너(11a) 및 조리용기에서 발생된 상승 기류는 상측으로 상승할수록 그 폭이 증가하게 되므로 오염공기가 캐노피(61)의 전방 단부로부터 이탈되어 캐노피(61)의 전방 단부 및 전방 상부영역(B)을 오염시키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오염공기의 포집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만곡벽부재의 외면을 따라 유동되는 공기가 만곡벽부재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어 포집된 오염공기가 원활하게 흡입부로 이동되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배기 후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공기를 흡입할 수 있게 저부면에 흡입부가 형성된 캐노피와, 상기 캐노피의 상측에 형성되는 배기부를 구비한 후드본체와; 상기 캐노피의 전방 단부 상부영역에 공기가 하향 토출되게 형성되는 급기노즐과, 외측으로 볼록한 외면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급기노즐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급기노즐을 통해 토출된 공기 중 일부가 볼록한 외면을 따라 하향 유동되게 하는 만곡벽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캐노피의 전방영역의 오염공기를 포집하여 상기 흡입부측으로 유동되도록 하는 전면포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후드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만곡벽부재는 원형단면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만곡벽부재는 상기 캐노피의 저부면에 대해 하향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전면포집부에 공기를 송풍할 수 있게 상기 후드본체에 배치되는 급기팬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캐노피의 상부면에는 외부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게 상부흡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상부흡기부는, 상기 캐노피의 상부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상부흡기구와, 상기 상부흡기구를 차단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상부흡기구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포집하는 상부흡기필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만곡벽부재는, 외측으로 볼록한 단면형상을 가지고 상기 캐노피의 전방 단부에 돌출되게 배치되는 전방만곡부와, 외측으로 볼록한 단면형상을 가지고 상기 캐노피의 전방에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하부만곡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급기노즐의 공기 토출방향에 대해 상기 전방만곡부 및 상기 하부만곡부의 경계영역에 상기 급기노즐에 의해 토출된 공기 중 일부가 토출되도록 형성되는 분기급기노즐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방만곡부에는 상기 급기노즐에 의해 토출된 공기 중 일부가 상기 분기급기노즐을 통해 분사될 수 있게 관통되게 분기급기유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배기부는 배기팬을 구비하며, 일측은 상기 배기팬의 하류측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급기노즐에 연결되어 상기 배기팬에 의해 토출되는 공기 중 일부를 상기 급기노즐에 공급하는 배기환류급기유로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상기 급기노즐의 상류측에 배치되어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음이온발생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후드본체의 측방에 상기 후드본체의 두께방향을 따라 상부영역에 공기를 하향 토출할 수 있게 형성되는 측면급기노즐과, 상기 후드본체의 측면에 외측으로 볼록한 단면형상을 가지고 배치되어 상기 측면급기노즐로부터 토출된 공기 중 일부가 외면을 따라 하향 유동되도록 배치되는 측면만곡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후드본체의 측방영역의 공기를 포집하여 상기 흡입부영역으로 유동되도록 하는 측면포집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측면만곡부재는 원형 단면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측면만곡부재는 상기 후드본체의 저부면에 대해 하향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측면만곡부재는, 상기 후드본체의 측면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측면만곡부와, 상기 후드본체의 저부면에 대해 하향 돌출되고 상기 측면만곡부의 하류측에 형성되는 측면하부만곡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측면만곡부 및 상기 측면하부만곡부의 경계영역에 공기를 토출할 수 있게 형성되는 측면분기급기노즐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측면만곡부에는 상기 측면급기노즐에 의해 토출된 공기 중 일부가 상기 측면분기급기노즐을 통해 토출될 수 있게 상기 측면만곡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측면분기급기유로가 구비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 후드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Ⅳ-Ⅳ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배기 후드는, 공기를 흡입할 수 있게 저부면에 형성되는 흡입부(115)와, 흡입부(115)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부(121)를 구비하여 오염공기 발생영역의 상측에 배치되는 후드본체(110)와; 후드본체(110)의 전방단부영역에 두께방향을 따라 상부영역에 공기가 하향 토출되게 형성되는 급기노즐(143)과, 외측으로 볼록한 외면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급기노즐(143)의 하측에 배치되어 급기노즐(143)을 통해 토출된 공기 중 일부가 볼록한 외면을 따라 하향 유동되도록 하는 만곡벽부재(145)를 구비하여 후드본체(110)의 전방영역의 오염공기를 포집하여 흡입부(115)측으로 유동되도록 하는 전면포집부(141)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후드본체(110)는, 사각 판상체로 형성되고 저부에 흡입부(115)를 구비하여 조리기 또는 실험대 등 오염공기 발생원의 상측에 소정 거리 이격되게 거의 수평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캐노피(111)와, 캐노피(111)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배기부(121)를 구비하고 있다.
흡입부(115)는, 캐노피(111)의 저부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흡기구(117)와, 흡기구(117)를 차단하도록 배치되어 흡기구(117)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포집하는 그리스필터(118)로 구성되어 있다.
배기부(121)의 내부에는 흡입부(115)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배기유로(123)가 형성되어 있으며, 배기유로(123)에는 배기팬(124)이 설치되어 있다.
캐노피(111)의 내부에는 내부 공간을 구획하도록 격벽(131)이 형성되어 있으며, 격벽(131)에는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흡입공(133)이 형성되어 있다. 격벽(131)의 일측에는 흡입부(115)를 통해 흡입된 공기 중 일부를 전면포집부(141)로 송풍할 수 있도록 급기유로(137)가 형성되어 있으며, 급기유로(137)는 캐노피(111)의 전후방향을 따라 전방으로 향하고 전방영역에서 캐노피(111)의 두께방향을 따라 하향되게 절곡 형성되어 있다. 급기유로(137)에는 급기팬(135)이 설치되어 있으며, 급기팬(135)의 일측에는 음이온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음이온발생부(151)가 구비되어 있다.
캐노피(111)의 상면에는 급기팬(135)의 회전 시 캐노피(111)의 상측 영역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상부흡기부(17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흡기부(171)는 캐노피(111)의 상부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상부흡기구(173) 및 상부흡기구(173)를 차단하도록 배치되어 상부흡기구(173)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포집하는 상부흡기필터부(174)를 구비하고 있다.
한편, 전면포집부(141)는, 급기유로(137)의 말단에 공기를 캐노피(111)의 두께방향을 따라 하향 토출되게 형성되는 급기노즐(143)과, 급기노즐(143)의 하측에 캐노피(111)의 전후방향을 따라 전방 외측으로 볼록한 단면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급기노즐(143)에 의해 토출된 공기가 소위 코안다 효과(Coanda effect)에 의해 볼록한 외면을 따라 하향 유동되도록 하는 만곡벽부재(145)를 구비하고 있다.
급기노즐(143)은 만곡벽부재(145)의 상측에서 공기가 하향 토출될 수 있도록 만곡벽부재(145)와 대략 2 내지 10㎜ 정도 틈새(d)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만곡벽부재(145)는 직경(D)이 40 내지 65㎜를 가지는 원봉 또는 원관 등 원형 단면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만곡벽부재(145)는 중심이 캐노피(111)의 저부면의 연장선상에 배치되는 위치와 캐노피(111)의 저부면이 하측에 접하는 위치 또는 전술한 두 위치 사이에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배기팬(124)이 회전되면 흡입부(115)를 통해 공기가 흡입되고 흡입된 공기는 배기유로(123)를 따라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급기팬(135)이 회전되면 흡입부(115)를 통해 흡입된 공기 중 일부가 흡입공(133)을 통해 흡입됨과 동시에 상부흡기부(171)를 통해 캐노피(111)의 상측영역의 공기가 흡입되고, 흡입된 공기는 급기유로(137)를 따라 유동된다. 이 때, 음이온발생부(151)가 동작하게 되면 음이온이 발생되고 발생된 음이온은 급기유로(137)를 따라 유동되는 공기와 합류되어 급기노즐(143)을 통해 하향 토출된다.
토출된 공기 중 일부는 코안다 효과에 의해 만곡벽부재(145)의 볼록한 외면을 따라 하향 유동된다. 이 때, 급기노즐(143)은 만곡벽부재(145)의 상측에서 공기를 하향 토출하도록 되어 있어 만곡벽부재(145)를 따라 하향 유동되는 기류가 만곡벽부재(145)로부터 이탈되는 현상(박리(剝離):seperation)이 억제될 뿐만 아니라 캐노피(111)의 전방 및 전방 상부영역의 공기가 만곡벽부재(145)를 따라 유동되는 기류에 유입되어 캐노피(111)의 전방 및 전방 상부영역의 오염 공기를 효과적으로 포집할 수 있다. 만곡벽부재(145)의 외면을 따라 유동된 공기는 캐노피(111)의 저부면을 따라 유동된 후 흡입부(115)를 통해 흡입된 후 배기유로(123)를 따라 외부로 배출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기 후드의 측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 및 동일 상당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설명의 편의상 동일 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배기 후드는, 저부에 흡입부(115)가 형성된 후드본체(110)와, 후드본체(110)의 전방 단부에 공기를 하향 토출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급기노즐(143)과 외측으로 볼록한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급기노즐(143)의 하측에 배치된 만곡벽부재(145)를 구비하여 후드본체(110)의 전방영역의 오염공기를 포집하여 흡입부(115)측으로 유동되도록 하는 전면포집부(141)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후드본체(110)는 직사각 판상체로 형성되고 저부에 흡기구(117) 및 그리스필터(118)를 구비하여 오염공기 발생원의 상측에 수평으로 배치되는 캐노피(111)와, 배기유로(123) 및 배기팬(124)을 구비하여 캐노피(111)와 일측이 상호 연통되게 형성되는 배기부(121)로 구성되어 있다.
전면포집부(141)는, 캐노피(111)의 전방 단부영역에 공기를 하향 토출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급기노즐(143)과, 원형 단면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급기노즐(143)의 하측에 배치되는 만곡벽부재(145)를 구비하고 있다.
한편, 후드본체(110)에는 일측이 배기팬(124)의 하류측에 연결되고 타측은 급기노즐(143)에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배기팬(124)에 의해 배출되는 공기 중 일부를 급기노즐(143)을 통해 토출되도록 하는 배기환류급기유로(161)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배기팬(124)이 회전되면 흡입부(115)를 통해 캐노피(111)의 하측의 공기가 흡입되고 흡입된 공기는 배기유로(123)를 통해 배출된다. 배출되는 공기 중 일부는 배기환류급기유로(161)를 따라 유동된 후 급기노즐(143)을 통해 하향 토출된다. 토출되는 공기는 코안다 효과에 의해 만곡벽부재(145)를 따라 유동되고, 이 때 캐노피(111)의 전방영역의 오염공기는 만곡벽부재(145)를 따라 유동되는 공기에 유입된 후 캐노피(111)의 저부면을 따라 유동되어 흡입부(115)를 통해 흡입된 후 외부로 배출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기 후드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평면도이며, 도 8 및 도 9는 각각 도 7의 Ⅷ-Ⅷ 및 Ⅸ-Ⅸ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배기 후드는, 저부에 흡입부(115)가 형성된 후드본체(110)와, 후드본체(110)의 전방 단부에 공기를 하향 토출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급기노즐(143)과 외측으로 볼록한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급기노즐(143)의 하측에 배치된 만곡벽부재(145)를 구비하여 후드본체(110)의 전방영역의 오염공기를 포집하여 흡입부(115)측으로 유동되도록 하는 전면포집부(141)와, 후드본체(110)의 양 측 영역의 오염공기를 포집하여 흡입부(115)측으로 유동되도록 후드본체(110)의 양 측면에 형성되는 측면포집부(181)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후드본체(110)는 직사각 판상체로 형성되고 저부에 흡기구(117) 및 그리스필 터(118)를 구비하여 오염공기 발생원의 상측에 수평으로 배치되는 캐노피(111)와, 배기유로(123) 및 배기팬(124)을 구비하여 캐노피(111)와 일측이 상호 연통되게 형성되는 배기부(121)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캐노피(111)의 내부에는 격벽(131)이 형성되어 있으며, 격벽(131)의 일측에는 급기팬(135)이 설치되어 있다. 급기팬(135)의 일측에는 전면포집부(141) 및 측면포집부(181)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급기유로(137) 및 측면급기유로(187)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급기팬(135)의 상측에는 외부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상부흡입부(171)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흡입부(171)는 캐노피(111)의 상부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상부흡기구(173)와, 상부흡기구(173)를 차단하도록 배치되어 공기 중의 이물질을 포집하는 그리스필터 형태의 상부흡기필터부(174)를 구비하고 있다.
전면포집부(141)는, 캐노피(111)의 전방 단부영역에 공기를 하향 토출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급기노즐(143)과, 원형 단면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급기노즐(143)의 하측에 배치되는 만곡벽부재(145)를 구비하고 있다.
측면포집부(181)는, 캐노피(111)의 측면에 공기를 하향 토출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측면급기노즐(183)과, 원형 단면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측면급기노즐(183)의 하측에 배치되어 공기가 볼록한 외면을 따라 유동되도록 하는 측면만곡벽부재(185)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배기팬(124)이 회전되면 흡입부(115)를 통해 캐노피(111)의 하측의 공기가 흡입되어 배기유로(123)를 따라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급기팬(135)이 회전되면 상부흡입부(171)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각 급기유로(137) 및 측면급기유로(187)를 따라 유동되어 전면포집부(141) 및 측면포집부(181)로 각각 유동된다. 전면포집부(141)로 유동된 공기는 급기노즐(143)을 통해 하향 토출되고, 측면포집부(181)로 유동된 공기는 측면급기노즐(183)을 통해 하향 토출된다. 급기노즐(143) 및 측면급기노즐(183)을 통해 각각 하향 토출된 공기는 만곡벽부재(145) 및 측면만곡벽부재(185)의 각 외면을 따라 각각 하향 유동되고, 이 때 캐노피(111)의 전방 및 측방 영역의 오염공기는 만곡벽부재(145) 및 측면만곡벽부재(185)를 따라 하향 유동되는 기류에 유입된 후 캐노피(111)의 저부면을 따라 유동된 후 흡입부(115)를 통해 흡입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기 후드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ⅩΙ-ⅩΙ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배기 후드는, 저부에 흡입부(115)가 형성된 후드본체(110)와, 후드본체(110)의 전방 단부에 공기를 하향 토출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급기노즐(193)과 외측으로 볼록한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급기노즐(193)의 하측에 배치된 만곡벽부재(195)를 구비하여 후드본체(110)의 전방영역의 오염공기를 포집하여 흡입부(115)측으로 유동되도록 하는 전면포집부(191)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후드본체(110)는 직사각 판상체로 형성되고 저부에 흡기구(117) 및 그리스필터(118)를 구비하여 오염공기 발생원의 상측에 수평으로 배치되는 캐노피(111)와, 배기유로(123) 및 배기팬(124)을 구비하여 캐노피(111)와 일측이 상호 연통되게 형성되는 배기부(121)로 구성되어 있다.
캐노피(111)의 내부에는 격벽(131)이 형성되어 있으며, 격벽(131)에는 공기가 흡입될 수 있도록 흡입공(133)이 관통형성되어 있다. 격벽(131)의 일측에는 전면포집부(191)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급기팬(135)이 설치되어 있으며, 급기팬(135)의 하류측에는 공기가 유동할 수 있도록 급기유로(137)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전면포집부(191)는, 캐노피(111)의 전방 단부영역에 공기를 하향 토출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급기노즐(193)과, 원형 단면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급기노즐(193)의 하측에 배치되는 만곡벽부재(195)를 구비하고 있다.
만곡벽부재(195)는, 캐노피(111)의 전방 단부에 외측으로 볼록한 단면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전방만곡부(196)와, 캐노피(111)의 하측으로 볼록한 단면형상을 가지도록 배치되는 하부만곡부(197)를 구비하고 있다. 전방만곡부(196) 및 하부만곡부(197)는 거의 동일한 직경(D)을 가지는 호형단면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중첩되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급기팬(135)이 회전되면 흡입부(115)를 통해 흡입된 공기 중 일부는 급기유로(137)를 따라 유동되어 급기노즐(193)을 통해 하향 토출된다. 토출된 공기는 코안다 효과에 의해 전방만곡부(196)의 외면을 따라 하향 유동되고, 다시 코안다 효과에 의해 하부만곡부(197)의 볼록한 외면을 따라 유동된 후 흡입부(115)를 통해 캐노피(111)의 내부로 흡입되고 배기유로(123)를 통해 실외로 배출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기 후드의 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배기 후드는, 저부에 흡입부(115)가 형성된 후드본체(110)와, 후 드본체(110)의 전방 단부에 공기를 하향 토출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급기노즐(203)과 외측으로 볼록한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급기노즐(203)의 하측에 배치된 만곡벽부재(205)를 구비하여 후드본체(110)의 전방영역의 오염공기를 포집하여 흡입부(115)측으로 유동되도록 하는 전면포집부(201)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후드본체(110)는 직사각 판상체로 형성되고 저부에 흡기구(117) 및 그리스필터(118)를 구비하여 오염공기 발생원의 상측에 수평으로 배치되는 캐노피(111)와, 배기유로(123) 및 배기팬(124)을 구비하여 캐노피(111)와 일측이 상호 연통되게 형성되는 배기부(121)로 구성되어 있다.
캐노피(111)의 내부에는 흡입공(133)이 구비된 격벽(131)이 형성되어 있으며, 격벽(131)의 일측에는 전면포집부(201)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급기팬(135) 및 급기유로(137)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전면포집부(201)는, 급기유로(137)의 말단에 공기를 하향 토출할 수 있도록 형성된 급기노즐(203)과, 캐노피(111)의 전방으로 볼록한 단면형상을 가지는 전방만곡(206)부 및 캐노피(111)의 저부면에 대해 하측으로 볼록한 단면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하부만곡부(207)를 구비한 만곡벽부재(205)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전방만곡부(206) 및 하부만곡부(207)는 거의 동일한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중첩된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전방만곡부(206)에는 급기노즐(203)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 중 일부가 통과하여 유동될 수 있도록 전방만곡부(206)의 상하방향을 따라 관통되게 분기급기유로(208)가 형성되어 있으며, 분기급기유로(208)의 말단에는 하부만곡부(207)의 접선방향을 따라 공기가 토출될 수 있도록 분기급기노즐(209)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급기팬(135)이 회전되면 흡입부(115)를 통해 흡입된 공기 중 일부는 급기유로(137)를 따라 유동되고, 급기노즐(203)을 통해 하향 토출된다. 급기노즐(203)을 통해 토출된 공기 중 일부는 코안다 효과에 의해 전방만곡부(206)의 볼록한 외면을 따라 유동되고, 일부는 분기급기유로(208)를 따라 유동된 후 분기급기노즐(209)을 통해 하향 토출된다.
분기급기노즐(209)을 통해 토출된 공기 중 일부는 코안다 효과에 의해 하부만곡부(207)의 볼록한 외면을 따라 유동된다. 캐노피(111)의 전방 단부영역의 공기는 전방만곡부(206)의 외면을 따라 유동되는 기류에 유입되어 유동되고, 캐노피(111)의 전방 하측의 공기는 하부만곡부(207)를 따라 유동되는 기류에 유입되어 캐노피(111)의 저부를 따라 유동된 후 흡입부(115)를 통해 흡입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도 3 및 도 4와 관련하여 전술한 실시예에는 음이온발생부를 구비하고 도 5 내지 도 12와 관련하여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음이온발생부를 구비하지 아니한 경우를 각각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도 5 내지 도 12와 관련하여 전술한 실시예에도 음이온발생부를 구비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도 3 및 도 4와 관련하여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흡입부를 통해 흡입된 공기 중 일부와 상부흡기부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급기유로를 따라 전면포집부로 유동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흡입부를 통해 흡입 된 공기 중 일부가 급기유로로 유동되게 상부흡기부를 배제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6 내지 도 9와 관련하여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캐노피의 측방영역의 오염공기를 포집할 수 있도록 측면포집부가 구비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도 3 내지 도 5 및 도 10 내지 도 12와 관련하여 전술한 실시예에도 측면포집부가 구비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도 6 내지 도 9와 관련하여 전술한 실시예에는 캐노피의 상부면에 공기를 흡입할 수 있게 상부흡입부를 구비하도록 구성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도 3 및 도 4와, 도 10 내지 도 12와 관련하여 전술한 실시예에도 상부흡입부가 구비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5에는 배기팬의 하류측에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 중 일부를 급기노즐로 환류되도록 배기환류급기유로가 구비되도록 구성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도 3 및 도 4와, 도 6 내지 도 12와 관련하여 전술한 실시예에도 배기환류급기유로를 구성하여 별도의 급기팬의 사용을 배제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저부면에 형성되는 흡입부와, 상기 흡입부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부를 구비하여 오염공기 발생영역의 상측에 배치되는 후드본체와; 후드본체의 전방단부영역에 두께방향을 따라 상부영역에 공기가 하향 토출되게 형성되는 급기노즐과, 외측으로 볼록한 외면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급기노즐의 하측에 배치되어 급기노즐을 통해 토출된 공기 중 일부가 볼록한 외면을 따라 하향 유동되도록 하는 만곡벽부재를 구비하여 후드본체의 전방영역의 오염공기를 포집하여 흡입부측으로 유동되도록 하는 전면포집부를 포함하도록 함으로써, 오염공기의 포집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만곡벽부재의 외면을 따라 유동되는 공기가 만곡벽부재로부터 이탈되는 현상(박리(剝離):seperation)을 억제할 수 있어 포집된 오염공기가 흡입부로 이동되어 원활하게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배기 후드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만곡벽부재의 상측에서 만곡벽부재의 외면에 수직하게 공기가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후드본체의 외곽으로 이탈되는 공기와 만곡벽부재의 외면을 따라 유동되는 공기의 혼합이 우수하여 오염공기의 포집능력이 제고될 뿐만 아니라 만곡벽부재의 외면을 따라 유동되는 공기의 유동속도가 증가되고 만곡벽부재의 외면을 따라 유동되는 공기의 박리가 억제되어 코안다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배기 후드가 제공된다.

Claims (17)

  1. 공기를 흡입할 수 있게 저부면에 흡입부가 형성된 캐노피와, 상기 캐노피의 상측에 형성되는 배기부를 구비한 후드본체와;
    상기 캐노피의 전방 단부 상부영역에 공기가 하향 토출되게 형성되는 급기노즐과, 외측으로 볼록한 외면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급기노즐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급기노즐을 통해 토출된 공기 중 일부가 볼록한 외면을 따라 하향 유동되게 하는 만곡벽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캐노피의 전방영역의 오염공기를 포집하여 상기 흡입부측으로 유동되도록 하는 전면포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후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벽부재는 원형단면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후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벽부재는 상기 캐노피의 저부면에 대해 하향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후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포집부에 공기를 송풍할 수 있게 상기 후드본체에 배치되는 급기팬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후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캐노피의 상부면에는 외부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게 상부흡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후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흡기부는, 상기 캐노피의 상부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상부흡기구와, 상기 상부흡기구를 차단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상부흡기구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포집하는 상부흡기필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후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벽부재는, 외측으로 볼록한 단면형상을 가지고 상기 캐노피의 전방 단부에 돌출되게 배치되는 전방만곡부와, 외측으로 볼록한 단면형상을 가지고 상기 캐노피의 전방에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하부만곡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후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노즐의 공기 토출방향에 대해 상기 전방만곡부 및 상기 하부만곡부의 경계영역에 상기 급기노즐에 의해 토출된 공기 중 일부가 토출되도록 형성되는 분기급기노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후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만곡부에는 상기 급기노즐에 의해 토출된 공기 중 일부가 상기 분기급기노즐을 통해 분사될 수 있게 관통되게 분기급기유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후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부는 배기팬을 구비하며, 일측은 상기 배기팬의 하류측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급기노즐에 연결되어 상기 배기팬에 의해 토출되는 공기 중 일부를 상기 급기노즐에 공급하는 배기환류급기유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후드.
  11. 제1항에 있어서,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상기 급기노즐의 상류측에 배치되어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음이온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후드.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후드본체의 측방에 상기 후드본체의 두께방향을 따라 상부영역에 공기를 하향 토출할 수 있게 형성되는 측면급기노즐과, 상기 후드본체의 측면에 외측으로 볼록한 단면형상을 가지고 배치되어 상기 측면급기노즐로부터 토출된 공기 중 일부가 외면을 따라 하향 유동되도록 배치되는 측면만곡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후드본체의 측방영역의 공기를 포집하여 상기 흡입부영역으로 유동되도록 하는 측면포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후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만곡부재는 원형 단면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후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만곡부재는 상기 후드본체의 저부면에 대해 하향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후드.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만곡부재는, 상기 후드본체의 측면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측면만곡부와, 상기 후드본체의 저부면에 대해 하향 돌출되고 상기 측면만곡부의 하류측에 형성되는 측면하부만곡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후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만곡부 및 상기 측면하부만곡부의 경계영역에 공기를 토출할 수 있게 형성되는 측면분기급기노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후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만곡부에는 상기 측면급기노즐에 의해 토출된 공기 중 일부가 상기 측면분기급기노즐을 통해 토출될 수 있게 상기 측면만곡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측면분기급기유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후드.
KR1020050077007A 2005-08-22 2005-08-22 배기 후드 KR1006772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7007A KR100677288B1 (ko) 2005-08-22 2005-08-22 배기 후드
EP06001123A EP1757870A3 (en) 2005-08-22 2006-01-19 Exhaust ho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7007A KR100677288B1 (ko) 2005-08-22 2005-08-22 배기 후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7288B1 true KR100677288B1 (ko) 2007-02-02

Family

ID=37433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7007A KR100677288B1 (ko) 2005-08-22 2005-08-22 배기 후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EP (1) EP1757870A3 (ko)
KR (1) KR10067728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79809A (zh) * 2015-05-15 2015-09-02 林德祥 一种自动甩油及净化的超低空排放油烟净化装置
WO2022225299A1 (ko) * 2021-04-21 2022-10-27 설철환 배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91607A (zh) * 2013-10-14 2014-02-19 浙江亿田电器有限公司 一种能产生负离子的集成灶
DE102017201256A1 (de) 2017-01-26 2018-07-26 BSH Hausgeräte GmbH Dunstabzugshaub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80622A (ja) * 1996-04-16 1997-10-31 Yoshihiro Yamada 遊煙通路を備えたレンヂフード
KR100347959B1 (en) 2001-12-28 2002-08-21 Ecta Co Ltd Ventilation hood for kitchen
KR20020072760A (ko) * 2001-06-04 2002-09-18 주식회사 엑타 주방용 배기 후드
JP2005098618A (ja) 2003-09-25 2005-04-14 Fuji Industrial Co Ltd Ihクッキングヒータ用のレンジフード
JP2005214583A (ja) 2004-02-02 2005-08-11 Fuji Industrial Co Ltd Ihクッキングヒータ用のレンジフード
KR20060042687A (ko) * 2004-11-10 2006-05-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배기후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77373A (en) * 1993-04-20 1994-10-26 Seksun Precision Engineering P Extendible ionic cooker hood
DE19613513A1 (de) * 1996-04-04 1997-10-09 Roehl Hager Hannelore Verfahren zum Eingrenzen, Erfassen und Absaugen von Dunst, Staub oder dergleichen sowie Einrichtu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DE19911850B4 (de) * 1999-03-17 2010-04-08 Röhl-Hager, Hannelor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ingrenzen, Erfassen und Absaugen von Schadstoffen, insbesondere bei Dunstabzugshauben
DE10015666A1 (de) * 1999-12-14 2001-06-28 Georg Emanuel Koppenwallner Verfahren und Einrichtung zum Erfassen, Trennen und Absaugen von fluiden Medien unter Verwendung von Frontalwirbelgeneratoren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80622A (ja) * 1996-04-16 1997-10-31 Yoshihiro Yamada 遊煙通路を備えたレンヂフード
KR20020072760A (ko) * 2001-06-04 2002-09-18 주식회사 엑타 주방용 배기 후드
KR100347959B1 (en) 2001-12-28 2002-08-21 Ecta Co Ltd Ventilation hood for kitchen
JP2005098618A (ja) 2003-09-25 2005-04-14 Fuji Industrial Co Ltd Ihクッキングヒータ用のレンジフード
JP2005214583A (ja) 2004-02-02 2005-08-11 Fuji Industrial Co Ltd Ihクッキングヒータ用のレンジフード
KR20060042687A (ko) * 2004-11-10 2006-05-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배기후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20072760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79809A (zh) * 2015-05-15 2015-09-02 林德祥 一种自动甩油及净化的超低空排放油烟净化装置
WO2022225299A1 (ko) * 2021-04-21 2022-10-27 설철환 배기장치
KR20220145199A (ko) * 2021-04-21 2022-10-28 설철환 배기장치
KR102468343B1 (ko) * 2021-04-21 2022-11-16 설철환 배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57870A2 (en) 2007-02-28
EP1757870A3 (en) 2008-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7289B1 (ko) 배기 후드
KR100664067B1 (ko) 배기 후드
JP2868289B2 (ja) 蒸気等の吸引方法および装置
KR100741786B1 (ko) 배기 후드
EP1657494B1 (en) Exhaust hood
JP4095663B2 (ja) 作業場用空気排出装置
KR20130054722A (ko) 환기 장치와 이를 포함한 환기 시스템
RU2010140439A (ru) Устройство вытяжки испарений и включающее в себя таковое прие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по меньшей мере для одного блока приготовления пищи
KR100677288B1 (ko) 배기 후드
US6347626B1 (en) Ventilation system for a kitchen
KR100741783B1 (ko) 배기 후드
JP2009139056A (ja) 空気汚染物の除去装置及びレンジフード
ES2805314T3 (es) Dispositivo de evacuación de aire
KR101985797B1 (ko) 환기 장치와 이를 포함한 환기 시스템
WO2015057072A1 (en) Kitchen air extraction canopy having a cavity with air guiding and directing delimiting wall
KR100664069B1 (ko) 월젯모듈 및 이를 구비한 배기 후드
KR100664068B1 (ko) 배기 후드
KR20110012038U (ko) 보조 흡입구가 구비된 주방용 레인지 후드 장치
KR100730403B1 (ko) 레인지 후드
KR100608704B1 (ko) 주방용 후드의 월제트 배기장치
CN206709179U (zh) 一种集成灶的防漏烟结构
KR102324976B1 (ko) 레인지 후드 및 팬의 오염 방지 기술
JP6687956B1 (ja) レンジフードの排煙ダクトの汚染防止方法
CN113785161B (zh) 抽油烟装置、具有灶台和抽油烟装置的厨房用具以及用于运行抽油烟装置的方法
JP3637219B2 (ja) レンジフー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