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4068B1 - 배기 후드 - Google Patents
배기 후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64068B1 KR100664068B1 KR1020050077010A KR20050077010A KR100664068B1 KR 100664068 B1 KR100664068 B1 KR 100664068B1 KR 1020050077010 A KR1020050077010 A KR 1020050077010A KR 20050077010 A KR20050077010 A KR 20050077010A KR 100664068 B1 KR100664068 B1 KR 10066406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
- nozzle
- curved wall
- wall portion
- exhaus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9/00—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e.g. air curtai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기 후드에 관한 것으로서, 저부에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흡입부가 구비된 캐노피와, 상기 흡입부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캐노피와 연통되게 형성되는 배기부를 구비하여 오염공기 발생원의 상측에 배치되는 후드본체와; 원호형상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캐노피의 일측을 따라 배치되는 만곡벽부와, 상기 만곡벽부의 상측에 토출되는 공기 중 일부가 상기 만곡벽부의 외측 원주면을 따라 하향 유동되도록 배치되는 제1노즐과, 상기 만곡벽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제1노즐의 일측에 토출되는 공기가 상기 만곡벽부의 내측 원주면을 따라 유동되도록 배치되는 제2노즐을 구비하여 상기 후드본체의 전방 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후드본체 주변의 오염공기를 포집하여 상기 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오염공기의 포집성능을 제고시킬 수 있어 오염공기의 이탈 및 확산을 억제할 수 있는 배기 후드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도 1은 종래의 배기 후드의 일 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종래의 배기 후드의 다른 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 후드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Ⅳ-Ⅳ선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기 후드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Ⅵ-Ⅵ선에 따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기 후드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기 후드의 사시도,
도 9는 도 8의 평면도,
도 10은 도 9의 Ⅹ-Ⅹ선에 따른 단면도,
도 11은 도 9의 ⅩΙ-ⅩΙ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후드본체 111 : 캐노피
115 : 흡입부 121 : 배기부
123 : 배기유로 124 : 배기팬
133 : 흡입유로 135 : 급기팬
137 : 제1급기유로 138 : 제2급기유로
140 : 전면포집부 141 : 만곡벽부
143 : 제1급기노즐 145 : 제2급기노즐
본 발명은, 배기 후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오염공기의 포집성능을 제고시킬 수 있어 오염공기의 이탈 및 확산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한 배기 후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기 후드는 가스레인지 등 가열조리기를 이용한 조리 시 또는 공기 오염 물질이 발생되는 실험대 등의 상측에 배치되어 연기, 냄새 및/또는 기름증기 등 공기 오염 물질을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 배기 장치의 일종이다.
도 1은 종래의 배기 후드의 일 예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 후드는, 복수의 버너(11a,11b)를 구비한 조리기(10)의 상측에 소정 거리 이격되게 수평 또는 경사지게 설치되는 캐노피(21)와, 캐노피(21)와 연통되고 캐노피(21)의 상측으로 소정 높이로 돌출 형성되는 배기부(31)를 구비하고 있다.
캐노피(21)의 저부면에는 조리기(10)로부터 발생된 연기 및 냄새와 조리 시 발생되는 증기 또는 기름 증기 등의 오염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흡기구(23)가 형 성되어 있으며, 흡기구(23)에는 오염 물질을 포집할 수 있도록 통상 그리스필터(24)가 구비되어 있다.
배기부(31)의 내부에는 흡기구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배기유로(33)가 형성되어 있으며, 배기유로(33)에는 배기팬(34)이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배기 후드에 있어서는, 조리기(10)의 각 버너(11a,11b)에서 발생된 상승 기류는 상측으로 상승할수록 그 폭이 증가하게 되어 캐노피(21)의 흡기구(23)에 인접된 일부의 공기만이 흡기구(23) 및 그리스필터(24)를 통해 흡입되어 외부로 배출되고, 나머지는 캐노피(21)의 저부면을 따라 외측으로 이동 및 이탈되어 캐노피(21)의 주변으로 확산된다. 특히, 조리기(10)의 전후 방향을 따라 전방에 배치된 버너(11a)에서 조리를 실시할 경우 오염공기가 캐노피(21)로부터 이탈되어 캐노피(21)의 전방 단부 및 전방 상부영역(A)을 오염시킬 뿐만 아니라 실내로 확산되어 주변을 오염시키게 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배기 후드에 있어서는, 배기팬(34)의 흡입력에 의해 단순히 그리스필터(24)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되어 있어, 배기팬(34)의 회전 속도를 높여 흡입력을 증가시킬 경우에도 흡입 성능이 비례적으로 증가하지 아니하기 때문에 단순히 배기팬(34)의 회전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는 오염공기가 캐노피(21)를 이탈하여 주변으로 확산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오염공기의 흡입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배기 후드가 고안되어 있다.
도 2는 종래의 배기 후드의 다른 예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 후드는, 조리기(10)의 상측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조리기(10)의 상측에 소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되는 후드본체(51)와, 후드본체(51)의 저부면 전방영역에 공기가 하향 토출되도록 형성되는 노즐부(81)를 구비하고 있다.
후드본체(51)는, 직사각 판상으로 형성되어 조리기(10)의 상측에 소정 거리 이격되어 수평으로 설치되는 캐노피(61)와, 캐노피(61)와 연통되고 캐노피(61)에 대해 수직하게 돌출 형성되는 배기부(71)로 구성되어 있다.
캐노피(61)의 저부면에는 조리기(10)로부터 발생되어 상승되는 오염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흡기구(63)가 형성되어 있으며, 흡기구(63)에는 공기중의 오염물질을 포집할 수 있도록 그리스필터(64)가 구비되어 있다. 배기부(71)의 내부에는 흡기구(63)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배기유로(73)가 형성되고, 배기유로에는 배기팬(74)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캐노피(61)의 저부면 전방영역에는 공기를 하향 토출할 수 있도록 노즐부(81)가 형성되어 있으며, 캐노피(61)의 내부 전방영역에는 노즐부(81)를 통해 공기가 분사될 수 있도록 송풍하는 급기팬(83)이 설치되어 있다. 캐노피(61)의 저부면에는 노즐부(81)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 중 일부가 소위 코안다 효과(coanda effect)에 의해 흡기구(63)영역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하측으로 볼록한 호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만곡벽부(85)가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배기 후드에 있어서는, 캐노피(61)의 전면 하측의 공기를 흡기구(63)측으로 유도하여 흡입 성능을 어느 정도 향상시킬 수 있으나 오염공기의 포집에는 한계가 있어 캐노피(61)의 주변으로 여전히 오염공기가 이탈되는 현상이 발생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노즐부(81)는 캐노피(61)의 저부면 전방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지점에 형성되도록 되어 있어, 조리기(10)의 버너(11a) 및 조리용기에서 발생된 상승 기류는 상측으로 상승할수록 그 폭이 증가하게 되므로 오염공기가 캐노피(61)의 전방 단부로부터 이탈되어 캐노피(61)의 전방 단부 및 전방 상부영역(B)을 오염시키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오염공기의 포집성능을 제고시킬 수 있어 오염공기의 이탈 및 확산을 억제할 수 있는 배기 후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저부에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흡입부가 구비된 캐노피와, 상기 흡입부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캐노피와 연통되게 형성되는 배기부를 구비하여 오염공기 발생원의 상측에 배치되는 후드본체와; 원호형상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캐노피의 일측을 따라 배치되는 만곡벽부와, 상기 만곡벽부의 상측에 토출되는 공기 중 일부가 상기 만곡벽부의 외측 원주면을 따라 하향 유동되도록 배치되는 제1노즐과, 상기 만곡벽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제1노즐의 일측에 토출되는 공기가 상기 만곡벽부의 내측 원주면을 따라 유동되도록 배치되는 제2노즐을 구비하여 상기 후드본체의 전방 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후드본체 주변의 오염공기를 포집하여 상기 흡입부측으로 유동되도록 하는 전면포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후드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만곡벽부는 원형 단면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노즐은 그 끝단이 상기 만곡벽부의 중심을 통과하는 가상의 수직선으로부터 상기 제1노즐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과 반대로 제1각도 간격을 가지도록 배치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제1각도는 0 도 내지 30도 범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노즐은 그 끝단이 상기 만곡벽부의 중심을 통과하는 가상의 수직선으로부터 상기 제1노즐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제2각도 간격을 가지도록 배치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제2각도는 0도 내지 40도 범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노즐은 그 끝단이 상기 만곡벽부의 중심을 통과하는 가상의 수직선으로부터 상기 제1노즐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방향과 반대측으로 제3각도 간격을 가지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각도는 90도 내지 135도 범위를 가지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제1노즐 및 상기 제2노즐은 상기 만곡벽부의 외측 원주면 및 내측 원주면을 따라 각각 유동된 두 기류가 합성되어 상기 만곡벽부의 하측을 향하는 합성기류를 형성하도록 풍량이 조절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합성기류는 상기 만곡벽부의 중심을 통과하는 가상의 수직선에 대해 상 기 제1노즐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160도 내지 200도 범위를 가지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만곡벽부의 내부에 수용되는 조명램프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호단면형상을 가지고 상기 후드본체의 적어도 일 측면에 배치되는 측면만곡부와, 상기 측면만곡부의 상측에 토출되는 공기 중 일부가 상기 측면만곡부의 외측 원주면을 따라 유동되도록 배치되는 측면제1노즐과, 상기 측면만곡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측면제1노즐의 일측에 토출되는 공기가 상기 측면만곡부의 내측 원주면을 따라 유동되도록 배치되는 측면제2노즐을 구비하여 상기 후드본체의 주변의 공기를 포집하여 상기 흡입부측으로 유동되도록 하는 측면포집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후드본체의 내부에 송풍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급기팬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후드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흡입부를 통해 흡입된 공기 중 일부가 상기 급기팬측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흡입유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캐노피의 상부면에는 상기 급기팬의 회전 시 외부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상부흡입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기부는 배기팬을 구비하며, 상기 후드본체에는 일측은 상기 배기팬의 하류측에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타측은 상기 제1노즐 및 상기 제2노즐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연장형성되는 배기환류급기유로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 후드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Ⅳ-Ⅳ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배기 후드는, 저부에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저부에 흡입부(115)가 구비된 캐노피(111)와, 흡입부(115)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캐노피(111)와 연통되게 형성되는 배기부(121)를 구비하여 오염공기 발생원의 상측에 배치되는 후드본체(110)와; 호형단면형상을 가지고 후드본체(110)의 일측을 따라 배치되는 만곡벽부(141)와, 만곡벽부(141)의 상측에 토출되는 공기 중 일부가 만곡벽부(141)의 외측 원주면을 따라 유동되도록 배치되는 제1노즐(143)과, 만곡벽부(141)의 원주방향을 따라 제1노즐(143)의 일측에 토출되는 공기가 만곡벽부(141)의 상기 후드본체(110)측 원주면을 따라 유동되도록 배치되는 제2노즐(145)을 구비하여 후드본체(110)의 전방 단부에 배치되어 후드본체(110) 주변의 오염공기를 포집하여 흡입부(115)측으로 유동되도록 하는 전면포집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캐노피(111)는 직사각판상의 형태로 형성되고 저부에는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흡입부(115)를 구비하여 조리기 등 오염공기 발생원의 상측에 소정 거리 이격되어 거의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다. 흡입부(115)는 캐노피(111)의 저부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흡기구(117)와, 흡기구(117)를 차단하도록 배치되는 그리스필터의 형태로 흡기필터부(118)를 구비하고 있다.
배기부(121)는 흡입부(115)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캐노피(111)와 연통되고 캐노피(111)의 상측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배기부(121)의 내부에는 배기유로(123)가 형성되어 있으며, 배기유로(123)에는 배기팬(124)이 설치되어 있다.
캐노피(111)의 내부에는 전면포집부(140)로 공기를 송풍할 수 있도록 급기팬(135)이 설치되어 있으며, 급기팬(135)의 일측에는 흡입부(115)를 통해 흡입된 공기 중 일부가 급기팬(135)측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흡입유로(133)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전면포집부(140)는, 원호단면형상을 가지고 캐노피(111)의 전방 단부를 따라 배치되는 만곡벽부(141)와, 만곡벽부(141)의 상측에 공기를 토출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1노즐(143)과, 만곡벽부(141)의 원주방향을 따라 만곡벽부(141)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2노즐(145)을 구비하고 있다.
만곡벽부(141)는 원봉 또는 원관의 형태로 직경(D)이 대략 40 내지 65㎜인 원형 단면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만곡벽부(141)의 직경(D)에 대한 만곡벽부(141)의 중심과 캐노피(111)의 저부면 사이의 거리(h)의 비(h/D)가 0 내지 0.25를 이루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1노즐(143) 및 제2노즐(145)은 만곡벽부(141)와 대략 1.5 내지 4㎜ 정도의 틈새(d)를 가지도록 만곡벽부(141)의 반경방향을 따라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1노즐(143)은 그 끝단과 만곡벽부(141)의 중심(O)를 연결하는 가상선(L1)이 만곡벽부(141)의 중심(O)을 통과하는 가상의 수직선(LV)과 제1노즐(143)의 공기의 토출방향을 따라 내각(θ1)이 0도 내지 40도 각도 간격을 가짐과 아울러 제1노즐(143)의 공기 토출방향의 반대측으로 수직선(LV)과 내각(θ1)이 0도 내지 30도 각도 범위를 가지도록 배치된다. 제2노즐(145)은 그 끝단과 만곡벽부(141)의 중심(O)을 연결한 가상선(L2)이 만곡벽부(141)의 중심(O)을 통과하는 수직선(LV)과 제1노즐(143)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방향과 반대측으로 내각(θ2)이 90도 내지 135도 각도 범위를 가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1노즐(143) 및 제2노즐(145)의 배후에는 급기팬(135)으로부터 송풍된 공기가 제1노즐(143) 및 제2노즐(145)로 각각 공급될 수 있도록 제1급기유로(137) 및 제2급기유로(138)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제1급기유로(137) 및 제2급기유로(138)는 제1노즐(143)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 중 일부가 코안다 효과(Coanda effect)에 의해 만곡벽부(141)의 외측 원주면을 따라 유동되는 기류와 제2노즐(145)을 통해 토출되는 기류가 만곡벽부(141)의 하측에서 합류된 합성기류의 중심방향이 만곡벽부(141)의 중심을 통과하는 수직선(LV)과 제1노즐(143)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내각(θ3)이 대략 160도 내지 200도 각도 범위내에 만곡벽부(141)의 하측으로 토출될 수 있도록 풍량 및 풍속을 고려하여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1노즐(143) 및 제2노즐(145)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풍속은 3 내지 5 m/sec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배기팬(124)이 회전되면 흡입부(115)를 통해 캐노피(111)의 하측의 공기가 흡입된 후 배기유로(123)를 따라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급기팬(135)이 회전되면 흡입부(115)를 통해 흡입된 공기 중 일부는 흡입유로(133)를 따라 급기팬(135)으로 흡입되고, 제1급기유로(137) 및 제2급기유로(138)를 따라 유동된 후 제1노즐(143) 및 제2노즐(145)을 통해 각각 토출된다. 제1노즐(143)을 통해 토출된 공기 중 일부는 코안다 효과에 의해 만곡벽부(141)의 외측 원주면을 따라 유동되고, 제2노즐(145)을 통해 토출된 공기는 만곡벽부(141)의 캐노피(111)측 원주면을 따라 유동된다.
만곡벽부(141)의 원주면을 따라 각각 유동된 기류는 만곡벽부(141)의 하측에서 합류되어 만곡벽부(141)의 중심을 통과하는 수직선(LV)의 상단부와 내각(θ3)이 대략 200도 정도의 각도를 이루며 만곡벽부(141)의 하측으로 토출되는 합성기류를 형성하게 된다. 이 때, 캐노피(111)의 전방영역의 공기는 제1노즐(143)을 통해 토출되고 만곡벽부(141)의 외측 원주면을 따라 유동되는 기류에 유입되고, 캐노피(111)의 하측 영역의 공기는 통상의 에어커튼(air curtain)에 비해 현저하게 유입효과가 큰 합성기류 및 흡입부(115)의 흡입력에 의해 흡입부(115)측으로 유도되어 흡입부(115)를 통해 흡입된 후 외부로 배출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기 후드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Ⅵ-Ⅵ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전술 및 도시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설명의 편의상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배기 후드는, 저부에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저부에 흡입부(115)가 구비된 캐노피(111)와, 흡입부(115)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캐노피(111)와 연통되게 형성되 는 배기부(121)를 구비하여 오염공기 발생원의 상측에 배치되는 후드본체(110)와; 호형단면형상을 가지고 후드본체(110)의 일측을 따라 배치되는 만곡벽부(141)와, 만곡벽부(141)의 상측에 토출되는 공기 중 일부가 만곡벽부(141)의 외측 원주면을 따라 유동되도록 배치되는 제1노즐(143)과, 만곡벽부(141)의 원주방향을 따라 제1노즐(143)의 일측에 토출되는 공기가 만곡벽부(141)의 상기 후드본체(110)측 원주면을 따라 유동되도록 배치되는 제2노즐(145)을 구비하여 후드본체(110)의 전방 단부에 배치되어 후드본체(110) 주변의 오염공기를 포집하여 흡입부(115)측으로 유동되도록 하는 전면포집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캐노피(111)는 직사각판상으로 형성되고 저부에는 흡기구(117) 및 흡기필터부(118)를 구비한 흡입부(115)가 형성되어 있다. 배기부(121)의 내부에는 배기유로(123)가 형성되어 있으며 배기유로(123)에는 배기팬(124)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전면포집부(140)는, 소정 직경(D)을 가지는 원형 단면형상을 가지고 캐노피(111)의 전방 단부에 배치되는 만곡벽부(141)와, 만곡벽부(141)의 상측에 토출되는 공기가 만곡벽부(141)의 외측 원주면을 따라 유동되도록 배치되는 제1노즐(143)과, 만곡벽부(141)의 원주방향을 따라 제1노즐(143)의 일측에 토출되는 공기가 만곡벽부(141)의 캐노피(111)측 원주면을 따라 유동되도록 배치되는 제2노즐(145)을 구비하고 있다.
한편, 캐노피(111)의 내부에는 공기를 전면포집부(140)로 공급할 수 있도록 급기팬(135)이 수용 설치되어 있으며, 캐노피(111)의 상부면에는 급기팬(135)의 회 전 시 외부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상부흡입부(151)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흡입부(151)는, 캐노피(111)의 상부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상부흡기구(153)와, 상부흡기구(153)를 차단하도록 배치되어 흡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포집하는 그리스필터 형태로 구현되는 상부흡기필터부(155)를 구비하고 있다. 급기팬(135)의 하류측에는 흡입된 공기가 제1노즐(143) 및 제2노즐(145)로 각각 공급될 수 있도록 제1급기유로(137) 및 제2급기유로(138)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급기팬(135)이 회전되면 상부흡입부(151)를 통해 캐노피(111)의 상측의 공기가 내부로 흡입되고, 흡입된 공기는 제1급기유로(137) 및 제2급기유로(138)를 따라 유동된 후 제1노즐(143) 및 제2노즐(145)을 통해 각각 토출된다.
한편, 제1노즐(143)을 통해 토출된 공기 중 일부는 코안다 효과에 의해 만곡벽부(141)의 외측 원주면을 따라 유동되고, 제2노즐(145)을 통해 토출된 공기는 만곡벽부(141)의 캐노피(111)측 원주면을 따라 하향 토출된다. 만곡벽부(141)를 따라 각각 유동된 두 기류는 만곡벽부(141)의 하측에서 합성기류를 형성하게 된다. 이 때, 캐노피(111)의 전방영역의 공기는 만곡벽부(141)의 외측 원주면을 따라 유동되는 기류에 유입되고, 캐노피(111)의 하측에서 상승되는 공기는 합성기류에 의해 포집되고 흡입부(115)의 흡입력에 의해 흡입부(115)측으로 유도된 후 흡입부(115)를 통해 흡입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기 후드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배기 후드는, 저부에 흡입부(115)가 형성된 캐노피(111)와 배기부 (121)를 구비한 후드본체(110)와, 후드본체(110)의 전당 단부에 배치되어 오염공기를 포집하여 흡입부(115)측으로 유동되도록 하는 전면포집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흡입부(115)는 캐노피(111)의 저부면에 관통형성되는 흡기구(117) 및 흡기필터부(118)를 구비하고 있으며, 배기유로(123)는 흡입부(115)와 연통된 배기유로(123)와 배기유로(123) 중에 배치되는 배기팬(124)을 가지고 있다.
전면포집부(140)는, 소정 직경(D)을 가지는 원형 단면형상을 가지고 캐노피(111)의 전방 단부에 배치되는 만곡벽부(141)와, 만곡벽부(141)의 상측에 토출되는 공기가 만곡벽부(141)의 외측 원주면을 따라 유동되도록 배치되는 제1노즐(143)과, 만곡벽부(141)의 원주방향을 따라 제1노즐(143)의 일측에 토출되는 공기가 만곡벽부(141)의 캐노피(111)측 원주면을 따라 유동되도록 배치되는 제2노즐(145)을 구비하고 있다.
한편, 후드본체(110)의 내부에는 일측은 배기팬(124)의 하류측에 배기 중 일부가 유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타측은 배기부(121) 및 캐노피(111)를 경유하여 환류되는 배기가 제1노즐(143) 및 제2노즐(145)로 각각 공급될 수 있도록 제1급기유로(137) 및 제2급기유로(138)에 각각 연결된 배기환류급기유로(161)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배기팬(124)이 회전되면 흡입부(115)를 통해 캐노피(111)의 하측의 공기가 흡입되고 흡입된 공기는 배기유로(123)를 따라 외부로 배출된다. 배출되는 공기 중 일부는 배기환류급기유로(161)를 따라 유동된 후 제1노즐 (143) 및 제2노즐(145)을 통해 각각 토출된다. 제1노즐(143)을 통해 토출된 공기 중 일부는 코안다 효과에 의해 만곡벽부(141)의 외측 원주면을 따라 유동되고, 제2노즐(145)을 통해 토출된 공기는 만곡벽부(141)의 캐노피(111)측 원주면을 따라 유동된다. 만곡벽부(141)의 외측 및 내측 원주면을 따라 각각 유동된 기류는 만곡벽부(141)의 하측영역에 합성기류를 형성하게 된다. 이 때, 캐노피(111) 전방영역의 공기는 만곡벽부(141)의 외측 원주면을 따라 유동되는 기류에 유입되고, 캐노피(111)의 전방 하측의 공기는 합성기류에 포집되어 흡입부(115)측으로 유동된 후 흡입부(115)를 통해 흡입되어 배기유로(123)를 따라 외부로 배출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기 후드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평면도이며, 도 10은 도 9의 Ⅹ-Ⅹ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9의 ⅩΙ-ⅩΙ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배기 후드는, 저부에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저부에 흡입부(115)가 구비된 캐노피(111)와, 흡입부(115)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캐노피(111)와 연통되게 형성되는 배기부(121)를 구비하여 오염공기 발생원의 상측에 배치되는 후드본체(110)와; 캐노피(111)의 전방 단부에 오염공기를 포집하여 흡입부(115)측으로 유동되도록 배치되는 전면포집부(140)와; 캐노피(111)의 양 측 단부에 오염공기를 포집할 수 있도록 배치도는 측면포집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캐노피(111)는 직사각판상으로 형성되고 저부에는 흡기구(117) 및 흡기필터부(118)를 구비한 흡입부(115)가 형성되어 있다. 배기부(121)의 내부에는 배기유로(123)가 형성되어 있으며 배기유로(123)에는 배기팬(124)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 어 있다.
전면포집부(140)는, 소정 직경(D)을 가지는 원형 단면형상을 가지고 캐노피(111)의 전방 단부에 배치되는 만곡벽부(141)와, 만곡벽부(141)의 상측에 토출되는 공기가 만곡벽부(141)의 외측 원주면을 따라 유동되도록 배치되는 제1노즐(143)과, 만곡벽부(141)의 원주방향을 따라 제1노즐(143)의 일측에 토출되는 공기가 만곡벽부(141)의 캐노피(111)측 원주면을 따라 유동되도록 배치되는 제2노즐(145)을 구비하고 있다.
측면포집부(170)는, 소정 직경을 가지는 원형 단면 형상을 가지고 캐노피(111)의 양 측부를 따라 배치되는 측면만곡부와, 측면만곡부의 상측에 토출되는 공기가 측면만곡부의 외측 원주면을 따라 유동되도록 배치되는 측면제1노즐(173)과, 측면만곡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측면제1노즐(173)의 일측에 토출되는 공기가 측면만곡벽부(171)의 캐노피(111)측 원주면을 따라 유동되도록 배치되는 측면제2노즐(175)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만곡벽부(141) 및 각 측면만곡벽부(171)의 내부에는 조명을 위해 복수의 조명램프(191)가 각각 수용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측면포집부(170)의 측면만곡벽부(171)와, 측면제1노즐(173) 및 측면제2노즐(175)은 전술한 전면포집부(140)의 만곡벽부(141)와, 제1노즐(143) 및 제2노즐(145)과 구성 및 작용이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캐노피(111)의 내부에는 전면포집부(140) 및 측면포집부(170)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급기팬(135)이 설치되어 있으며, 급기팬(135)의 일측에는 흡입부 (115)를 통해 캐노피(111)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 중 일부가 급기팬(135)측으로 흡입될 수 있도록 흡입유로(133)가 형성되어 있다. 급기팬(135)의 둘레에는 전면포집부(140) 및 양 측면포집부(170)로 각각 공기가 공급될 수 있도록 전면급기유로(181) 및 측면급기유로(183)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전면급기유로(181)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하류영역에 제1노즐(143) 및 제2노즐(145)에 각각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제1급기유로(137) 및 제2급기유로(138)를 구비하고 있으며, 각 측면급기유로(183)는 측면제1노즐(173) 및 측면제2노즐(175)로 공기가 각각 공급될 수 있도록 하류영역에서 분기된 측면제1급기유로(187) 및 측면제2급기유로(188)를 각각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급기팬(135)이 회전되면 흡입유로(133)를 통해 공기가 흡입되고, 흡입된 공기는 전면급기유로(181) 및 측면급기유로(183)를 따라 전면포집부(140) 및 측면포집부(170)로 유동된다. 전면급기유로(181)를 따라 유동된 공기는 제1급기유로(137) 및 제2급기유로(138)를 따라 유동된 후 제1노즐(143) 및 제2노즐(145)을 통해 토출된다. 제1노즐(143)을 통해 토출된 공기 중 일부는 만곡벽부(141)의 원주면을 따라 유동된 후 제2노즐(145)을 통해 토출된 기류와 합성되어 만곡벽부(141)의 하측에 내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합성기류를 형성하게 된다.
한편, 측면급기유로(183)를 따라 유동된 공기는 측면제1급기유로(187) 및 측면제2급기유로(188)로 분기된 후 측면제1급기노즐(173) 및 측면제2급기노즐(175)을 통해 각각 토출된다. 측면제1급기노즐(173)을 통해 토출된 공기 중 일부는 코안다 효과에 의해 측면만곡벽부(171)의 외측 원주면을 따라 하향 유동된 후 측면제2노즐 (175)에 의해 토출된 공기와 합류되어 측면만곡벽부(171)의 하측에 내측으로 하향 경사진 합성기류를 형성하게 된다.
이에 따라, 캐노피(111)의 전방 및 측방영역의 공기는 제1노즐(143) 및 각 측면제1노즐(173)에 의해 토출되어 만곡벽부(141) 및 측면만곡벽부(171)를 따라 각각 유동되는 기류에 유입되고, 캐노피(111)의 하측의 공기는 전면포집부(140) 및 측면포집부(170)의 각 합성기류에 의해 흡입부(115)측으로 유동된 후 흡입부(115)를 통해 캐노피(111)의 내부로 흡입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저부에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저부에 흡입부가 구비된 캐노피와, 흡입부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캐노피와 연통되게 형성되는 배기부를 구비하여 오염공기 발생원의 상측에 배치되는 후드본체와; 호형단면형상을 가지고 후드본체의 일측을 따라 배치되는 만곡벽부와, 만곡벽부의 상측에 토출되는 공기 중 일부가 만곡벽부의 외측 원주면을 따라 유동되도록 배치되는 제1노즐과, 만곡벽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제1노즐의 일측에 토출되는 공기가 만곡벽부의 후드본체측 원주면을 따라 유동되도록 배치되는 제2노즐을 구비하여 후드본체의 전방 단부에 배치되어 후드본체 주변의 오염공기를 포집하여 흡입부측으로 유동되도록 하는 전면포집부를 포함하도록 함으로써, 오염공기의 포집성능을 제고시킬 수 있어 오염공기의 이탈 및 확산을 억제할 수 있는 배기 후드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측면만곡벽부와, 측면제1노즐 및 측면제2노즐을 구 비하여 후드본체의 측방에 배치되는 측면포집부를 더 포함하도록 함으로써, 오염공기의 포집성능을 제고시킬 수 있어 오염공기의 이탈 및 확산을 억제할 수 있는 배기 후드가 제공된다.
Claims (16)
- 저부에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흡입부가 구비된 캐노피와, 상기 흡입부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캐노피와 연통되게 형성되는 배기부를 구비하여 오염공기 발생원의 상측에 배치되는 후드본체와;원호형상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캐노피의 일측을 따라 배치되는 만곡벽부와, 상기 만곡벽부의 상측에 토출되는 공기 중 일부가 상기 만곡벽부의 외측 원주면을 따라 하향 유동되도록 배치되는 제1노즐과, 상기 만곡벽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제1노즐의 일측에 토출되는 공기가 상기 만곡벽부의 내측 원주면을 따라 유동되도록 배치되는 제2노즐을 구비하여 상기 후드본체의 전방 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후드본체 주변의 오염공기를 포집하여 상기 흡입부측으로 유동되도록 하는 전면포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후드.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만곡벽부는 원형 단면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후드.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1노즐은 그 끝단이 상기 만곡벽부의 중심을 통과하는 가상의 수직선으로부터 상기 제1노즐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과 반대로 제1각도 간격을 가 지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후드.
- 제3항에 있어서,상기 제1각도는 0 도 내지 30도 범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후드.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1노즐은 그 끝단이 상기 만곡벽부의 중심을 통과하는 가상의 수직선으로부터 상기 제1노즐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제2각도 간격을 가지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후드.
- 제5항에 있어서,상기 제2각도는 0도 내지 40도 범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배기 후드.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2노즐은 그 끝단이 상기 만곡벽부의 중심을 통과하는 가상의 수직선으로부터 상기 제1노즐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방향과 반대측으로 제3각도 간격을 가지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후드.
- 제7항에 있어서,상기 제3각도는 90도 내지 135도 범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후드.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1노즐 및 상기 제2노즐은 상기 만곡벽부의 외측 원주면 및 내측 원주면을 따라 각각 유동된 두 기류가 합성되어 상기 만곡벽부의 하측을 향하는 합성기류를 형성하도록 풍량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후드.
- 제9항에 있어서,상기 합성기류는 상기 만곡벽부의 중심을 통과하는 가상의 수직선에 대해 상기 제1노즐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160도 내지 200도 범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후드.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만곡벽부의 내부에 수용되는 조명램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후드.
- 제1항에 있어서,원호단면형상을 가지고 상기 후드본체의 적어도 일 측면에 배치되는 측면만곡부와, 상기 측면만곡부의 상측에 토출되는 공기 중 일부가 상기 측면만곡부의 외 측 원주면을 따라 유동되도록 배치되는 측면제1노즐과, 상기 측면만곡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측면제1노즐의 일측에 토출되는 공기가 상기 측면만곡부의 내측 원주면을 따라 유동되도록 배치되는 측면제2노즐을 구비하여 상기 후드본체의 주변의 공기를 포집하여 상기 흡입부측으로 유동되도록 하는 측면포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후드.
-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후드본체의 내부에 송풍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급기팬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후드.
- 제13항에 있어서,상기 후드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흡입부를 통해 흡입된 공기 중 일부가 상기 급기팬측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흡입유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후드.
- 제13항에 있어서,상기 캐노피의 상부면에는 상기 급기팬의 회전 시 외부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상부흡입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후드.
-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배기부는 배기팬을 구비하며, 상기 후드본체에는 일측은 상기 배기팬의 하류측에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타측은 상기 제1노즐 및 상기 제2노즐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연장형성되는 배기환류급기유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후드.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77010A KR100664068B1 (ko) | 2005-08-22 | 2005-08-22 | 배기 후드 |
EP06001224A EP1757871A3 (en) | 2005-08-22 | 2006-01-20 | Exhaust hoo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77010A KR100664068B1 (ko) | 2005-08-22 | 2005-08-22 | 배기 후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664068B1 true KR100664068B1 (ko) | 2007-01-03 |
Family
ID=37433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77010A KR100664068B1 (ko) | 2005-08-22 | 2005-08-22 | 배기 후드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EP (1) | EP1757871A3 (ko) |
KR (1) | KR100664068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41786B1 (ko) * | 2005-08-23 | 2007-07-2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배기 후드 |
DE102007039635A1 (de) * | 2007-03-20 | 2008-09-25 |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 Dunstabzugshaube |
WO2017012630A1 (de) * | 2015-07-23 | 2017-01-26 | Diehl Ako Stiftung & Co. Kg | Dunstabzugshaube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dunstabzugshaube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280622A (ja) * | 1996-04-16 | 1997-10-31 | Yoshihiro Yamada | 遊煙通路を備えたレンヂフード |
KR100347959B1 (en) | 2001-12-28 | 2002-08-21 | Ecta Co Ltd | Ventilation hood for kitchen |
KR20020072760A (ko) * | 2001-06-04 | 2002-09-18 | 주식회사 엑타 | 주방용 배기 후드 |
JP2005098618A (ja) | 2003-09-25 | 2005-04-14 | Fuji Industrial Co Ltd | Ihクッキングヒータ用のレンジフード |
JP2005214583A (ja) | 2004-02-02 | 2005-08-11 | Fuji Industrial Co Ltd | Ihクッキングヒータ用のレンジフード |
KR20060042687A (ko) * | 2004-11-10 | 2006-05-1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배기후드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4203916C1 (ko) * | 1992-02-11 | 1993-04-29 | Hannelore 8400 Regensburg De Roehl-Hager | |
DE19613513A1 (de) * | 1996-04-04 | 1997-10-09 | Roehl Hager Hannelore | Verfahren zum Eingrenzen, Erfassen und Absaugen von Dunst, Staub oder dergleichen sowie Einrichtu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
DE10015666A1 (de) * | 1999-12-14 | 2001-06-28 | Georg Emanuel Koppenwallner | Verfahren und Einrichtung zum Erfassen, Trennen und Absaugen von fluiden Medien unter Verwendung von Frontalwirbelgeneratoren |
-
2005
- 2005-08-22 KR KR1020050077010A patent/KR100664068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6
- 2006-01-20 EP EP06001224A patent/EP1757871A3/en not_active Withdrawn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280622A (ja) * | 1996-04-16 | 1997-10-31 | Yoshihiro Yamada | 遊煙通路を備えたレンヂフード |
KR20020072760A (ko) * | 2001-06-04 | 2002-09-18 | 주식회사 엑타 | 주방용 배기 후드 |
KR100347959B1 (en) | 2001-12-28 | 2002-08-21 | Ecta Co Ltd | Ventilation hood for kitchen |
JP2005098618A (ja) | 2003-09-25 | 2005-04-14 | Fuji Industrial Co Ltd | Ihクッキングヒータ用のレンジフード |
JP2005214583A (ja) | 2004-02-02 | 2005-08-11 | Fuji Industrial Co Ltd | Ihクッキングヒータ用のレンジフード |
KR20060042687A (ko) * | 2004-11-10 | 2006-05-1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배기후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1757871A2 (en) | 2007-02-28 |
EP1757871A3 (en) | 2008-12-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677289B1 (ko) | 배기 후드 | |
KR100664067B1 (ko) | 배기 후드 | |
KR100741786B1 (ko) | 배기 후드 | |
EP1657494B1 (en) | Exhaust hood | |
US8267756B2 (en) | Extraction hood and method for the suction extraction and/or purification of contaminated carrier substances | |
KR100741783B1 (ko) | 배기 후드 | |
KR100664068B1 (ko) | 배기 후드 | |
CN100432545C (zh) | 罩式抽油烟机 | |
KR100677288B1 (ko) | 배기 후드 | |
ES2805314T3 (es) | Dispositivo de evacuación de aire | |
KR100664069B1 (ko) | 월젯모듈 및 이를 구비한 배기 후드 | |
KR101985797B1 (ko) | 환기 장치와 이를 포함한 환기 시스템 | |
CN102444925A (zh) | 一种抽油烟机及其过滤装置 | |
JP2007021353A (ja) | 空気清浄機 | |
JP2002013772A (ja) | 給排気装置 | |
JP3637219B2 (ja) | レンジフード | |
KR101474822B1 (ko) | 산업용 국소 배기 후드 흡인 장치 및 상기 산업용 국소 배기 후드 흡인 장치가 복수 개 적용되는 배기 시스템 | |
KR100565905B1 (ko) | 양흡입형 가스렌지 후드 | |
KR102543356B1 (ko) | 하향식 후드 일체형 쿡탑용 상부 배기 구조물, 및 하향식 후드 일체형 쿡탑 | |
KR102611747B1 (ko) | 공기정화형 후드 시스템 | |
KR100347389B1 (ko) | 와류 주방 환기 시스템 | |
KR200344188Y1 (ko) | 양흡입형 가스렌지 후드 | |
WO2023060828A1 (zh) | 一种烤炉 | |
CN118208753B (zh) | 一种排放装置以及集成灶 | |
CN214468831U (zh) | 一种烟机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128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10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