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4067B1 - 배기 후드 - Google Patents

배기 후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4067B1
KR100664067B1 KR1020050077009A KR20050077009A KR100664067B1 KR 100664067 B1 KR100664067 B1 KR 100664067B1 KR 1020050077009 A KR1020050077009 A KR 1020050077009A KR 20050077009 A KR20050077009 A KR 20050077009A KR 100664067 B1 KR100664067 B1 KR 1006640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anopy
curved wall
wall portion
alo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7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승조
송성배
손상범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770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4067B1/ko
Priority to EP20060001335 priority patent/EP175786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40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40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71Removing cooking fumes mounting of cooking hoo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기 후드에 관한 것으로서,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저부면에 흡입부가 형성되는 캐노피와, 상기 흡입부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부를 구비하여 오염공기 배출영역의 상측에 소정 거리 이격되게 수평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후드본체와; 상기 캐노피의 전방영역에 공기가 상방 또는 전방으로 토출되도록 형성되는 제1노즐부와, 외측으로 볼록한 호단면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노즐부를 통해 토출된 공기 중 일부가 외면을 따라 상기 캐노피의 하측으로 유동되도록 함과 아울러 공기가 내면을 따라 상기 캐노피의 하측으로 유동되게 배치되는 제1만곡벽부와,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상기 제1만곡벽부의 하류측 단부에 상기 제1만곡벽부의 내면을 따라 유동된 공기가 토출되도록 형성되는 제2노즐부를 구비하여 상기 캐노피의 전방 영역의 공기를 포집하여 상기 흡입부측으로 유동되도록 하는 전면포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오염공기의 포집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어 오염공기가 실내로 확산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배기 후드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배기 후드{EXHAUST HOOD}
도 1은 종래의 배기 후드의 일 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종래의 배기 후드의 다른 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 후드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Ⅳ-Ⅳ선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기 후드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Ⅵ-Ⅵ선에 따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기 후드의 사시도,
도 8은 도 7의 Ⅷ-Ⅷ선에 따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기 후드의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Ⅹ-Ⅹ선에 따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기 후드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ⅩⅡ-ⅩⅡ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후드본체 111 : 캐노피
121 : 흡입부 123 : 흡기구
124 : 흡기필터부 141 : 배기부
144 : 배기팬 152 : 흡입유로
155 : 급기팬 157 : 급기유로
210 : 전면포집부 211 : 제1노즐부
213 : 제1만곡벽부 215 : 제2노즐부
217 : 제2만곡벽부
본 발명은 배기 후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오염공기의 포집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어 오염공기가 실내로 확산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한 배기 후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기 후드는 가스레인지 등 가열조리기를 이용한 조리 시 또는 공기 오염 물질이 발생되는 실험대 등의 상측에 배치되어 연기, 냄새 및 기름증기 등 공기 오염 물질을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 배기 장치의 일종이다.
도 1은 종래의 배기 후드의 일 예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 후드는, 복수의 버너(11a,11b)를 구비한 조리기(10)의 상측에 소정 거리 이격되게 수평 또는 경사지게 설치되는 캐노피(21)와, 캐노피(21)와 연통되고 캐노피(21)의 상측으로 소정 높이로 돌출 형성되는 배기부(31)를 구비하고 있다.
캐노피(21)의 저부면에는 조리기(10)로부터 발생된 연기 및 냄새와 조리 시 발생되는 증기 또는 기름 증기 등의 오염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흡기구(23)가 형성되어 있으며, 흡기구(23)에는 오염 물질을 포집할 수 있도록 통상 그리스필터(24)가 구비되어 있다.
배기부(31)의 내부에는 흡기구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배기유로(33)가 형성되어 있으며, 배기유로(33)에는 배기팬(34)이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배기 후드에 있어서는, 조리기(10)의 각 버너(11a,11b)에서 발생된 상승 기류는 상측으로 상승할수록 그 폭이 증가하게 되어 캐노피(21)의 흡기구(23)에 인접된 일부의 공기만이 흡기구(23) 및 그리스필터(24)를 통해 흡입되어 외부로 배출되고, 나머지는 캐노피(21)의 저부면을 따라 외측으로 이동 및 이탈되어 캐노피(21)의 주변으로 확산된다. 특히, 조리기(10)의 전후 방향을 따라 전방에 배치된 버너(11a)에서 조리를 실시할 경우 오염공기가 캐노피(21)로부터 이탈되어 캐노피(21)의 전방 단부 및 전방 상부영역(A)을 오염시킬 뿐만 아니라 실내로 확산되어 주변을 오염시키게 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배기 후드에 있어서는, 배기팬(34)의 흡입력에 의해 단순히 그리스필터(24)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되어 있어, 배기팬(34)의 회전 속도를 높여 흡입력을 증가시킬 경우에도 흡입 성능이 비례적으로 증가하지 아니하기 때문에 단순히 배기팬(34)의 회전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는 오염공기가 캐노피(21)를 이탈하여 주변으로 확산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없 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오염공기의 흡입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배기 후드가 고안되어 있다.
도 2는 종래의 배기 후드의 다른 예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 후드는, 조리기(10)의 상측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조리기(10)의 상측에 소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되는 후드본체(51)와, 후드본체(51)의 저부면 전방영역에 공기가 하향 토출되도록 형성되는 노즐부(81)를 구비하고 있다.
후드본체(51)는, 직사각 판상으로 형성되어 조리기(10)의 상측에 소정 거리 이격되어 수평으로 설치되는 캐노피(61)와, 캐노피(61)와 연통되고 캐노피(61)에 대해 수직하게 돌출 형성되는 배기부(71)로 구성되어 있다.
캐노피(61)의 저부면에는 조리기(10)로부터 발생되어 상승되는 오염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흡기구(63)가 형성되어 있으며, 흡기구(63)에는 공기중의 오염물질을 포집할 수 있도록 그리스필터(64)가 구비되어 있다. 배기부(71)의 내부에는 흡기구(63)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배기유로(73)가 형성되고, 배기유로에는 배기팬(74)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캐노피(61)의 저부면 전방영역에는 공기를 하향 토출할 수 있도록 노즐부(81)가 형성되어 있으며, 캐노피(61)의 내부 전방영역에는 노즐부(81)를 통해 공기가 분사될 수 있도록 송풍하는 급기팬(83)이 설치되어 있다. 캐노피(61)의 저부면에는 노즐부(81)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 중 일부가 소위 코안다 효과(coanda effect)에 의해 흡기구(63)영역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하측으로 볼록한 호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만곡벽부(85)가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배기 후드에 있어서는, 캐노피(61)의 전면 하측의 공기를 흡기구(63)측으로 유도하여 흡입 성능을 어느 정도 향상시킬 수 있으나 오염공기의 포집에는 한계가 있어 캐노피(61)의 주변으로 여전히 오염공기가 이탈되는 현상이 발생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노즐부(81)는 캐노피(61)의 저부면 전방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지점에 형성되도록 되어 있어, 조리기(10)의 버너(11a) 및 조리용기에서 발생된 상승 기류는 상측으로 상승할수록 그 폭이 증가하게 되므로 오염공기가 캐노피(61)의 전방 단부로부터 이탈되어 캐노피(61)의 전방 단부 및 전방 상부영역(B)을 오염시키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오염공기의 포집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어 오염공기가 실내로 확산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배기 후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저부면에 흡입부가 형성되는 캐노피와, 상기 흡입부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부를 구비하여 오염공기 배출영역의 상측에 소정 거리 이격되게 수평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후드본체와; 상기 캐노피의 전방영역에 공기가 상방 또는 전방으로 토출되도록 형성되는 제1노즐부와, 외측으로 볼록한 호단면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노즐부를 통해 토출된 공기 중 일부가 외면을 따라 상기 캐노피의 하측으로 유동되도록 함과 아울러 공기가 내면을 따라 상기 캐노피의 하측으로 유동되게 배치되는 제1만곡벽부와,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상기 제1만곡벽부의 하류측 단부에 상기 제1만곡벽부의 내면을 따라 유동된 공기가 토출되도록 형성되는 제2노즐부를 구비하여 상기 캐노피의 전방 영역의 공기를 포집하여 상기 흡입부측으로 유동되도록 하는 전면포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후드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노즐부는 공기가 상기 캐노피의 상측으로 토출되게 상기 캐비티의 상부면에 형성되며,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상기 제1만곡벽부의 하류측 단부는 상기 캐노피의 전방에 배치되도록 형성되며, 호단면형상을 가지고 일측은 상기 제2노즐부에 배치되고 타측은 상기 캐노피의 저부면과 접촉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2노즐부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 중 일부가 상기 흡입부측으로 유동되도록 하는 제2만곡벽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측은 상기 제2만곡벽부의 상류측 단부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1노즐부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만곡벽부와 상호 협조적으로 공기유로를 형성하는 유로형성부재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제1만곡벽부는 상기 제2노즐부의 개구 평면이 상기 캐노피의 하측에 수직하게 배치되도록 하향 연장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노즐부는 공기가 상기 캐노피의 전방으로 토출되게 상기 캐비티의 전면에 형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여기서, 상기 제1만곡벽부는 상기 제2노즐부의 개구 평면이 상기 캐노피의 하측에 수직하게 배치되도록 하향 연장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만곡벽부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만곡벽부와 상호 협조적으로 유로를 형성하는 유로형성부재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제1만곡벽부는 상기 제2노즐부의 개구 평면이 상기 캐노피의 전방에 수평으로 배치되도록 하향 연장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후드본체의 내부에 공기를 송풍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급기팬을 더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캐노피의 상부면 측방에 공기가 토출되도록 형성되는 제3노즐부와, 외측으로 볼록한 호단면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3노즐부를 통해 토출된 공기 중 일부가 외면을 따라 상기 캐노피의 측방 하측으로 유동되도록 함과 아울러 공기가 내면을 따라 상기 캐노피의 하측으로 유동되게 배치되는 제3만곡벽부와,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상기 제3만곡벽부의 하류측 단부에 상기 제3만곡벽부의 내면을 따라 유동된 공기가 토출되도록 형성되는 제4노즐부를 구비하여 상기 캐노피의 측방 영역의 공기를 포집하여 상기 흡입부측으로 유동되도록 하는 측면포집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캐노피의 내부에는 상기 흡입부를 통해 흡입된 공기 중 일부가 상기 급기팬측으로 흡입되도록 흡입유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캐노피의 상부면에는 상기 급기팬의 회전 시 공기가 흡입될 수 있도록 상부흡입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흡입부는, 상기 캐노피의 상부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상부흡기구와, 상기 상부흡기구를 차단하도록 배치되어 흡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포집하는 상부흡기필터부를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배기부는 배기팬을 구비하며, 상기 후드본체에는 일측은 상기 배기팬의 하류측에 배출되는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상기 전면포집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배기환류급기유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 후드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Ⅳ-Ⅳ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배기 후드는,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저부면에 형성되는 흡입부(121)를 구비하여 조리기 또는 실험대 등의 상측에 소정 거리 이격되게 설치되는 후드본체(110)와, 후드본체(110)의 내부에 송풍가능하게 수용 설치되는 급기팬(155)과, 후드본체(110)의 전방영역의 공기를 포집하여 흡입부(121)측으로 유동되도록 하는 전면포집부(21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후드본체(110)는,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저부면에 흡입부(121)가 형성되어 있는 캐노피(111)와, 캐노피(111)의 후방 상부영역에 캐노피(111)와 연통되게 돌출 형성되는 배기부(141)를 구비하고 있다. 흡입부(121)는 캐노피(111)의 저부에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관통형성되는 흡기구(123)와, 흡기구(123)를 차단하도록 설치되어 공기 중의 오염 물질을 포집하는 그리스필터 형태로 구현된 흡기필터부(124)로 구성되어 있다.
배기부(141)의 내부에는 흡기구(123)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유동할 수 있도록 배기유로(143)가 형성되어 있으며 배기유로(143) 중에는 배기팬(144)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캐노피(111)의 내부에는 전면포집부(210)로 공기를 송풍할 수 있도록 급기팬(155)이 설치되어 있으며, 급기팬(155)의 일측에는 흡입부(121)를 통과한 공기 중 일부가 급기팬(155)측으로 흡입될 수 있도록 흡입유로(152)가 형성되어 있다.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급기팬(155)의 하류측에는 전면포집부(210)측으로 공기가 유동할 수 있도록 급기유로(157)가 형성되어 있다.
전면포집부(210)는, 캐노피(111)의 상부면(112a) 전방에 공기가 상향 토출될 수 있도록 관통되고 폭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제1노즐부(211)와, 외측으로 볼록한 호단면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일측은 제1노즐부(211)를 통해 토출된 공기 중 일부가 외면을 따라 하향 유동되도록 함과 아울러 급기팬(155)에 의해 송풍된 다른 일부의 공기가 내면을 따라 하향 유동되도록 하는 제1만곡벽부(213)와,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제1만곡벽부(213)의 하류측 단부에 제1만곡벽부(213)의 내면을 따라 유동된 공기가 토출되도록 형성되는 제2노즐부(215)를 구비하고 있다.
제1만곡벽부(213)는 거의 반원 단면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제1만곡벽부(213)의 내측에는 제1만곡벽부(213)에 비해 축소된 직경을 가지고 제1만곡벽부(213)와 상호 협조적으로 유로를 형성함과 아울러 제2노즐부(215)에서 토출된 공기 중 일부가 캐노피(111)의 저부면(112b)을 따라 흡입부(121)측으로 유동되도록 안내하는 제2만곡벽부(217)가 배치되어 있다. 제1노즐부(211)는 그 끝단이 제2만곡벽부(217)의 중심(O)을 수평으로 통과하는 수평중심선(LH)과 제1노즐부(211)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소정의 제1각도(θ1)를 이루도록 배치되고, 제2노즐부(215)는 그 끝단이 제2만곡벽부(217)의 중심을 수평으로 통과하는 수평중심선(LH)과 제1노즐부(211)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소정의 제2각도(θ2)를 이루도록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제1각도(θ1)는 0도 내지 120도 범위를 가지도록 하며, 제2각도(θ2)는 180도 내지 270도 범위를 가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배기팬(144)이 회전되면 흡기구(123) 및 흡기필터부(124)를 통해 조리 시 발생된 연기, 냄새 및 기름증기 등이 흡입되고, 흡기필터부(124)를 통과한 공기는 배기유로(14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급기팬(155)이 회전되면 흡기필터부(124)를 통과한 공기 중 일부가 흡입유로(152)를 따라 흡입되고, 급기팬(155)를 경유하여 급기유로(157)를 따라 전면포집부(210)로 유동된다. 유동된 공기 중 일부는 제1노즐부(211)를 통해 상향 토출되고, 제1노즐부(211)를 통해 토출된 공기 중 일부는 소위 코안다 효과(Coanda effect)에 의해 제1만곡벽부(213)의 외면을 따라 하향 유동된다.
급기팬(155)에 의해 급기유로(157)를 따라 유동된 공기 중 나머지는 제1만곡벽부(213)의 내면을 따라 유동되어 제2노즐부(215)를 통해 토출되고, 제2노즐부(215)를 통해 토출된 공기 중 일부는 코안다 효과에 의해 제2만곡벽부(217)의 외면을 따라 유동되어 캐노피(111)의 저부면(112b)을 따라 흡입부(121)측으로 유동된다.
이 때, 캐노피(111)의 전방 상부영역에 존재하는 공기 중 일부는 제1만곡벽부(213)의 외면을 따라 유동되는 기류로 유입되어 하향 유동되고, 캐노피(111)의 전면영역에 존재하는 공기는 제2만곡벽부(217)를 따라 유동되는 기류로 유입되어 캐노피(111)의 저부면(112b)을 따라 흡입부(121)로 유동됨으로써, 캐노피(111)의 전방 및 전방 상부영역까지 오염공기의 포집 영역이 확대되어 오염공기가 캐노피(111)로부터 이탈 및 확산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기 후드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Ⅵ-Ⅵ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전술 및 도시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설명의 편의상 동일 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배기 후드는,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저부면(112b)에 형성되는 흡입부(121)를 구비하여 조리기 또는 실험대 등의 상측에 소정 거리 이격되게 설치되는 후드본체(110)와, 후드본체(110)의 내부에 송풍가능하게 수용 설치되는 급기팬(155)과, 후드본체(110)의 전방영역의 공기를 포집하여 흡입부(121)측으로 유동되도록 하는 전면포집부(210)를 포 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후드본체(110)는, 저부면(112b)에 흡기구(123) 및 흡기필터부(124)를 구비한 흡입부(121)가 형성되어 있는 캐노피(111)와, 캐노피(111)의 후방 상부영역에 연통되게 돌출 형성되는 배기부(141)를 구비하고 있다. 배기부(141)의 내부에는 흡기구(123)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유동할 수 있도록 배기유로(143)가 형성되어 있으며 배기유로(143) 중에는 배기팬(144)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캐노피(111)의 내부에는 전면포집부(210)로 공기를 송풍할 수 있도록 급기유로(157)가 형성되어 있으며, 급기유로(157)에는 급기팬(155)이 설치되어 있다. 캐노피(111)의 상부면(112a)에는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상부흡입부(17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흡입부(171)는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관통된 상부흡기구(173)와 상부흡기구(173)를 차단하도록 설치되는 그리스 필터 형태로 구현된 상부흡기필터부(174)로 구성되어 있다.
전면포집부(210)는, 캐노피(111)의 상부면(112a) 전방에 공기가 상향 토출될 수 있도록 관통되고 폭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제1노즐부(211)와, 외측으로 볼록한 호단면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일측은 제1노즐부(211)를 통해 토출된 공기 중 일부가 외면을 따라 하향 유동되도록 함과 아울러 급기팬(155)에 의해 송풍된 다른 일부의 공기가 내면을 따라 하향 유동되도록 하는 제1만곡벽부(213)와,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제1만곡벽부(213)의 하류측 단부에 제1만곡벽부(213)의 내면을 따라 유동된 공기가 토출되도록 형성되는 제2노즐부(215)와, 제1만곡벽부(213)의 내측에 공기유로를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제2만곡벽부(217)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배기팬(144)이 회전되면 조리 시 발생된 연기, 냄새 및 기름증기 등은 흡기구(123) 및 흡기필터부(124)를 통해 캐노피(111)의 내부로 흡입된 후 배기유로(143)를 따라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급기팬(155)이 회전되면 상부흡입부(171)를 통해 캐노피(111)의 내부로 공기가 흡입되고, 흡입된 공기는 급기유로(157)를 따라 전면포집부(210)로 유동된다. 유동된 공기 중 일부는 제1노즐부(211)를 통해 상향 토출되고, 제1노즐부(211)를 통해 토출된 공기 중 일부는 코안다 효과에 의해 제1만곡벽부(213)의 외면을 따라 하향 유동된다. 급기팬(155)에 의해 송풍되어 급기유로(157)를 따라 유동된 공기 중 나머지는 제1만곡벽부(213) 및 제2만곡벽부(217)에 의해 형성된 공기 유로를 따라 유동된 후 제2노즐부(215)를 통해 토출되어 캐노피(111)의 저부면(112b)을 따라 흡기구(123)측으로 유동된다.
이 때, 캐노피(111)의 전방 및 상부 전방영역에 존재하는 공기는 제1만곡벽부(213)를 따라 유동되는 공기로 유입되어 캐노피(111)의 하측으로 유동되고, 제2노즐부(215)에 의해 토출된 공기는 캐노피(111)의 전방 하측의 공기를 포집하여 흡입부(121)측으로 유동되도록 함으로써, 캐노피(111)의 전방 및 전방 상부영역까지 오염공기의 포집 영역이 확대되어 오염공기가 캐노피(111)로부터 이탈되어 실내로 확산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기 후드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Ⅷ-Ⅷ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배기 후드는,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저부면(112b)에 형성되는 흡입부(121)를 구비하여 조 리기 또는 실험대 등의 상측에 소정 거리 이격되게 설치되는 후드본체(110)와, 후드본체(110)의 내부에 송풍가능하게 수용 설치되는 급기팬(155)과, 후드본체(110)의 전방영역의 공기를 포집하여 흡입부(121)측으로 유동되도록 하는 전면포집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후드본체(110)는, 저부면(112b)에 흡기구(123) 및 흡기필터부(124)를 구비한 흡입부(121)가 형성되어 있는 캐노피(111)와, 캐노피(111)의 후방 상부영역에 돌출 형성되는 배기부(141)를 구비하고 있다. 배기부(141)의 내부에는 흡기구(123)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유동할 수 있도록 배기유로(143)가 형성되어 있으며, 배기유로(143) 중에는 배기팬(144)이 설치되어 있다.
전면포집부(220)는, 캐노피(111)의 상부면(112a) 전방에 공기가 상향 토출될 수 있도록 관통되고 폭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제1노즐부(221)와, 외측으로 볼록한 호단면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일측은 제1노즐부(221)를 통해 토출된 공기 중 일부가 외면을 따라 하향 유동되도록 함과 아울러 급기팬(155)에 의해 송풍된 다른 일부의 공기가 내면을 따라 하향 유동되도록 하는 제1만곡벽부(223)와,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제1만곡벽부(223)의 하류측 단부에 제1만곡벽부(223)의 내면을 따라 유동된 공기가 토출되도록 형성되는 제2노즐부(225)를 구비하고 있다.
제1만곡벽부(223)의 내측에는 제1만곡벽부(223)의 직경에 비해 축소된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제1만곡벽부(223)과 상호 협조적으로 공기유로를 형성하는 제2만곡벽부(227)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1노즐부(221)는 그 끝단이 제2만곡 벽부(227)의 중심(O)을 수평으로 통과하는 수평중심선(LH)과 제1노즐부(221)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0도 내지 120도 범위를 가지는 제1각도(θ1)를 이루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제2노즐부(225)는 그 끝단이 제2만곡벽부(227)의 중심을 수평으로 통과하는 수평중심선(LH)과 제1노즐부(221)의 공기 토출방향을 따라 180도 내지 270도 범위를 가지는 제2각도(θ2)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1만곡벽부(223)는 제2노즐부(225)의 개구 평면이 캐노피(111)의 하측에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하향 연장형성되어 있다.
한편, 후드본체(110)의 내부에는 배기팬(144)에 의해 배출되는 공기 중 일부를 전면포집부(220)로 환류시킬 수 있도록 일측은 배기팬(144)의 하류측에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타측은 배기부(141) 및 캐노피(111)의 내부를 따라 제1노즐부(221)측으로 연장된 배기환류급기유로(177)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배기팬(144)이 회전되면 흡입부(121)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배기유로(14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배기유로(143)를 따라 배출되는 공기 중 일부는 배기환류급기유로(177)를 따라 전면포집부(220)로 유동된 후 제1노즐부(221) 및 제2노즐부(225)를 통해 각각 토출된다. 제1노즐부(221)를 통해 토출된 공기 중 일부는 코안다 효과에 의해 제1만곡벽부(223)를 따라 유동되고, 제1만곡벽부(223)의 내면을 따라 유동되어 제2노즐부(225)를 통해 토출된 공기는 캐노피(111)의 저부면(112b)를 따라 유동된 후 흡입부(121)를 통해 흡입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이 때, 캐노피(111)의 전방영역의 공기는, 코안다 효과에 의해 제1만곡벽부(223)의 외면을 따라 하향 유동되는 기류로 유입되고 캐노피(111)의 전방 하측의 공기는 제2노즐부(225)를 통해 토출된 기류에 유입되어 흡입부(121)영역으로 유동됨으로써, 오염공기의 포집영역이 캐노피(111)의 전방 및 전방 상하부영역까지 확대되어 오염공기가 캐노피(111)의 전방영역으로 이탈되어 실내로 확산되는 것이 억제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기 후드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Ⅹ-Ⅹ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본 배기 후드는,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저부면(112b)에 형성되는 흡입부(121)를 구비하여 조리기 또는 실험대 등의 상측에 소정 거리 이격되게 설치되는 후드본체(110)와, 후드본체(110)의 내부에 송풍가능하게 수용 설치되는 급기팬(155)과, 후드본체(110)의 전방영역의 공기를 포집하여 흡입부(121)측으로 유동되도록 하는 전면포집부(220)와, 후드본체(110)의 측방영역의 공기를 포집하여 흡입부(121)측으로 유동되도록 하는 측면포집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후드본체(110)는, 저부면(112b)에 흡기구(123) 및 흡기필터부(124)를 구비한 흡입부(121)가 형성되어 있는 캐노피(111)와, 캐노피(111)의 후방 상부영역에 돌출 형성되는 배기부(141)를 구비하고 있다. 배기부(141)의 내부에는 흡기구(123)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유동할 수 있도록 배기유로(143)가 형성되어 있으며, 배기유로(143) 중에는 배기팬(144)이 설치되어 있다.
후드본체(110)의 상부면(112a)에는 캐노피(111)의 내부로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상부흡기구(173) 및 상부흡기필터부(174)를 구비한 상부흡입부(171)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전면포집부(220) 및 측면포집부(240)로 공기를 송풍할 수 있도록 급기유로(157) 및 급기팬(155)이 구비되어 있다.
전면포집부(220)는,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캐노피(111)의 전면 상부영역에 공기가 전방으로 토출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1노즐부(221)와, 호단면형상을 가지고 제1노즐부(221)를 통해 토출된 공기 중 일부가 볼록한 외면을 따라 하향 유동되로록 함과 아울러 급기팬(155)에 의해 송풍된 공기중 일부가 내면을 따라 유동되도록 하는 제1만곡벽부(223)와, 제1만곡벽부(223)의 하류측 단부에 형성되는 제2노즐부(225)와, 제1만곡벽부(223)의 내측에 공기의 유로를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제2만곡벽부(227)를 구비하고 있다.
한편, 측면포집부(240)는, 급기팬(155)에 의해 송풍된 공기가 캐노피(111)의 측방으로 토출될 수 있도록 캐노피(111)의 측면 상부영역에 관통형성되는 제3노즐부(241)와, 호단면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제3노즐부(241)에 의해 토출된 공기가 캐노피(111)의 측면 하측으로 하향 유동되도록 함과 아울러 급기팬(155)에 의해 송풍된 공기 중 일부가 내면을 따라 하향 유동되도록 배치되는 제3만곡벽부(243)와, 제3만곡벽부(243)의 하류측 단부영역에 제3만곡벽부(243)의 내면을 따라 유동된 공기가 토출되도록 형성되는 제4노즐부(245)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제3만곡벽부(243)의 내측에는 제3만곡벽부(243)와 상호 협조적으로 공기유로를 형성하도록 유로형성부재(247)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측면포집부(240)는 캐노피(111)의 어느 일 측면에 형성되게 구성할 수도 있고, 필요 시 배기부(141)를 캐노피(111)의 중앙영역에 형성하고 양 측면 및 후면에 측면포집부(240)가 동시에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급기팬(155)이 회전되면 상부흡입부(171)를 통해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전면포집부(220) 및 측면포집부(240)로 각각 유동된다. 전면포집부(220)로 유동된 공기는 제1노즐부(221) 및 제2노즐부(225)를 통해 각각 토출되어 캐노피(111)의 전방영역의 공기를 포집하여 캐노피(111)의 저부 흡입부(121)측으로 유동된다.
한편, 측면포집부(240)로 유동된 공기 중 일부는 제3노즐부(241)를 통해 토출되고, 제3노즐부(241)를 통해 토출된 공기 중 일부는 제3만곡벽부(243)의 외면을 따라 하향 유동되고, 측면포집부(240)로 유동된 공기 중 다른 일부는 제4노즐부(245)를 통해 토출되어 흡입부(121)영역으로 유동된다.
이 때, 캐노피(111)의 전방 및 전방 상부영역과, 측방 및 측방 상부영역의 공기는 제1노즐부(221) 및 제3노즐부(241)를 통해 토출되어 제1만곡벽부(223) 및 제3만곡벽부(243)를 따라 유동되는 기류로 유입되어 캐노피(111)의 하측으로 유동된 후 흡입부(121)를 통해 흡입되어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오염공기의 포집 영역은 캐노피(111)의 전방 및 측방영역으로 확대되어 오염공기가 캐노피(111)로부터 이탈되어 실내로 확산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기 후드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ⅩⅡ-ⅩⅡ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배기 후드는,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저부면(112b)에 형성되는 흡입부(121)를 구비하 여 조리기 또는 실험대 등의 상측에 소정 거리 이격되게 설치되는 후드본체(110)와, 후드본체(110)의 내부에 송풍가능하게 수용 설치되는 급기팬(155)과, 후드본체(110)의 전방영역의 공기를 포집하여 흡입부(121)측으로 유동되도록 하는 전면포집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후드본체(110)는, 저부면(112b)에 흡기구(123) 및 흡기필터부(124)를 구비한 흡입부(121)가 형성되어 있는 캐노피(111)와, 캐노피(111)의 후방 상부영역에 돌출 형성되는 배기부(141)를 구비하고 있다. 배기부(141)의 내부에는 흡기구(123)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유동할 수 있도록 배기유로(143)가 형성되어 있으며, 배기유로(143) 중에는 배기팬(144)이 설치되어 있다.
캐노피(111)의 내부에는 전면포집부(250)로 공기를 송풍할 수 있도록 급기유로(157)가 형성되어 있으며, 급기유로(157)에는 급기팬(155)이 설치되어 있다. 캐노피(111)의 내부에는 격벽(151)이 형성되어 있으며, 격벽(151)에는 흡입부(121)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흡입공(153)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전면포집부(250)는, 캐노피(111)의 전면 상부영역에 전방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1노즐부(251)와, 호단면형상을 가지고 제1노즐부(251)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 중 일부가 볼록한 외면을 따라 하향 유동되도록 배치되는 제1만곡벽부(253)와, 제1만곡벽부(253)의 내면을 따라 유동된 공기가 하향 토출되도록 형성되는 제2노즐부(255)를 구비하고 있다.
제1만곡벽부(253)의 내측에는 제1만곡벽부(253)에 비해 작은 곡률을 가지고 제1만곡벽부(253)와 상호 협조적으로 유로를 형성하는 유로형성부재(257)가 배치되 어 있으며, 제1만곡벽부(253)는 제2노즐부(255)의 개구 평면이 캐노피(111)의 저부면(112b)의 연장선상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하향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급기팬(155)이 회전되면 흡입부(121)를 통해 흡입된 공기 중 일부가 흡입공(153)을 통해 흡입되어 전면포집부(250)로 유동된다. 유동된 공기 중 일부는 제1노즐부(251)를 통해 토출되고, 제1노즐부(251)를 통해 토출된 공기 중 일부는 제1만곡벽부(253)의 외면을 따라 코안다 효과에 의해 하향 유동되어 캐노피(111)의 하측 흡입부(121)영역을 향하게 된다. 유동된 공기 중 다른 일부는 제1만곡벽부(253)의 내면을 따라 유동되어 제2노즐부(255)를 통해 하향 토출되어 조리기로부터 상승되는 기류가 흡입부(121)측으로 유동되도록 한다.
이 때, 캐노피(111)의 전방영역의 공기는, 코안다 효과에 의해 제1만곡벽부(253)의 외면을 따라 하향 유동되는 기류로 유입되어 흡입부(121)영역으로 유동됨으로써, 오염공기의 포집영역이 캐노피(111)의 전방영역까지 확대되어 오염공기가 캐노피(111)의 전방영역으로 이탈되어 실내로 확산되는 것이 억제된다.
도 3 내지 도 8과, 도 11 및 도 12와 관련하여 전술한 실시예에는 전면포집부가 구비되고, 도 9 및 도 10과 관련하여 전술한 실시예에는 전면포집부 및 측면포집부가 동시에 구성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도 3 내지 도 8과, 도 11 및 도 12와 관련하여 전술한 실시예에도 전면포집부 및 측면포집부가 동시에 구비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전술 및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급기팬의 회전축이 후드본체의 두께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구성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급기팬의 회전축이 후드 본체의 폭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저부면에 형성되는 흡입부와, 상기 흡입부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부를 구비하여 오염공기 배출영역의 상측에 소정 거리 이격되게 수평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후드본체와; 상기 후드본체의 상부면 전방영역에 공기가 토출되도록 형성되는 제1노즐부와, 외측으로 볼록한 호단면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노즐부를 통해 토출된 공기 중 일부가 외면을 따라 상기 후드본체의 하측으로 유동되도록 함과 아울러 공기가 내면을 따라 상기 후드본체의 하측으로 유동되게 배치되는 제1만곡벽부와,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상기 제1만곡벽부의 하류측 단부에 상기 제1만곡벽부의 내면을 따라 유동된 공기가 토출되도록 형성되는 제2노즐부를 구비하여 상기 후드본체의 전방 영역의 공기를 포집하여 상기 흡입부측으로 유동되도록 하는 전면포집부를 포함하도록 함으로써, 오염공기의 포집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어 오염공기가 실내로 확산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배기 후드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저부면에 형성되는 흡입부와, 상기 흡입부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부를 구비하여 오염공기 배출영역의 상측에 소정 거리 이격되게 수평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후드본체와; 상기 후드본체의 전면 상부영역에 공기가 토출되도록 형성되는 제1노즐부와, 외측으로 볼록한 호단면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노즐부를 통해 토출된 공기 중 일부가 외면을 따라 상기 후드본체의 전방 하측으로 유동되도록 함과 아울러 공기가 내 면을 따라 상기 후드본체의 하측으로 유동되게 배치되는 제1만곡벽부와,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상기 제1만곡벽부의 하류측 단부에 상기 제1만곡벽부의 내면을 따라 유동된 공기가 토출되도록 형성되는 제2노즐부를 구비하여 상기 후드본체의 전방영역의 공기를 포집하여 상기 흡입부측으로 유동되도록 하는 전면포집부를 포함하도록 함으로써, 오염공기의 포집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어 오염공기가 실내로 확산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배기 후드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후드본체의 상부면 측방 또는 측면 상부영역에 상기 급기팬에 의해 송풍된 공기 중 일부가 토출되도록 형성되는 제3노즐부와, 외측으로 볼록한 호단면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3노즐부를 통해 토출된 공기 중 일부가 외면을 따라 상기 후드본체의 측방 하측으로 유동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급기팬에 의해 송풍된 다른 일부의 공기가 내면을 따라 상기 후드본체의 하측으로 유동되게 배치되는 제3만곡벽부와,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상기 제3만곡벽부의 하류측 단부에 상기 제3만곡벽부의 내면을 따라 유동된 공기가 토출되도록 형성되는 제4노즐부를 구비하여 상기 후드본체의 측방 영역의 공기를 포집하여 상기 흡입부측으로 유동되도록 하는 측면포집부를 더 포함하도록 함으로써, 오염공기의 포집영역을 확대할 수 있어 오염공기를 효과적으로 포집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배기 후드가 제공된다.

Claims (15)

  1.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저부면에 흡입부가 형성되는 캐노피와, 상기 흡입부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부를 구비하여 오염공기 배출영역의 상측에 소정 거리 이격되게 수평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후드본체와;
    상기 캐노피의 전방영역에 공기가 상방 또는 전방으로 토출되도록 형성되는 제1노즐부와, 외측으로 볼록한 호단면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노즐부를 통해 토출된 공기 중 일부가 외면을 따라 상기 캐노피의 하측으로 유동되도록 함과 아울러 공기가 내면을 따라 상기 캐노피의 하측으로 유동되게 배치되는 제1만곡벽부와,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상기 제1만곡벽부의 하류측 단부에 상기 제1만곡벽부의 내면을 따라 유동된 공기가 토출되도록 형성되는 제2노즐부를 구비하여 상기 캐노피의 전방 영역의 공기를 포집하여 상기 흡입부측으로 유동되도록 하는 전면포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후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노즐부는 공기가 상기 캐노피의 상측으로 토출되게 상기 캐비티의 상부면에 형성되며,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상기 제1만곡벽부의 하류측 단부는 상기 캐노피의 전방에 배치되도록 형성되며, 호단면형상을 가지고 일측은 상기 제2노즐부에 배치되고 타측은 상기 캐노피의 저부면과 접촉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2노즐부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 중 일부가 상기 흡입부측으로 유동되도록 하는 제2만곡벽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후드.
  3. 제2항에 있어서,
    일측은 상기 제2만곡벽부의 상류측 단부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1노즐부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만곡벽부와 상호 협조적으로 공기유로를 형성하는 유로형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후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만곡벽부는 상기 제2노즐부의 개구 평면이 상기 캐노피의 하측에 수직하게 배치되도록 하향 연장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후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노즐부는 공기가 상기 캐노피의 전방으로 토출되게 상기 캐비티의 전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후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만곡벽부는 상기 제2노즐부의 개구 평면이 상기 캐노피의 하측에 수직하게 배치되도록 하향 연장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후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만곡벽부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만곡벽부와 상호 협조적으로 유로를 형성하는 유로형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후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만곡벽부는 상기 제2노즐부의 개구 평면이 상기 캐노피의 전방에 수평으로 배치되도록 하향 연장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후드.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노피의 내부에 공기를 송풍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급기팬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후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캐노피의 상부면 측방에 공기가 토출되도록 형성되는 제3노즐부와, 외측으로 볼록한 호단면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3노즐부를 통해 토출된 공기 중 일부가 외면을 따라 상기 캐노피의 측방 하측으로 유동되도록 함과 아울러 공기가 내면을 따라 상기 캐노피의 하측으로 유동되게 배치되는 제3만곡벽부와,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상기 제3만곡벽부의 하류측 단부에 상기 제3만곡벽부의 내면을 따라 유동된 공기가 토출되도록 형성되는 제4노즐부를 구비하여 상기 캐노피의 측방 영역의 공기를 포집하여 상기 흡입부측으로 유동되도록 하는 측면포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후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캐노피의 내부에는 상기 흡입부를 통해 흡입된 공기 중 일부가 상기 급기팬측으로 흡입되도록 흡입유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후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캐노피의 상부면에는 상기 급기팬의 회전 시 공기가 흡입될 수 있도록 상부흡입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후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흡입부는, 상기 캐노피의 상부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상부흡기구와, 상기 상부흡기구를 차단하도록 배치되어 흡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포집하는 상부흡기필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후드.
  14.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부는 배기팬을 구비하며, 상기 후드본체에는 일측은 상기 배기팬의 하류측에 배출되는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상기 전면포집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배기환류급기유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후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캐노피의 상부면 측방에 공기가 토출되도록 형성되는 제3노즐부와, 외측으로 볼록한 호단면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3노즐부를 통해 토출된 공기 중 일부가 외면을 따라 상기 캐노피의 측방 하측으로 유동되도록 함과 아울러 공기가 내면을 따라 상기 캐노피의 하측으로 유동되게 배치되는 제3만곡벽부와,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상기 제3만곡벽부의 하류측 단부에 상기 제3만곡벽부의 내면을 따라 유동된 공기가 토출되도록 형성되는 제4노즐부를 구비하여 상기 캐노피의 측방 영역의 공기를 포집하여 상기 흡입부측으로 유동되도록 하는 측면포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후드.
KR1020050077009A 2005-08-22 2005-08-22 배기 후드 KR1006640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7009A KR100664067B1 (ko) 2005-08-22 2005-08-22 배기 후드
EP20060001335 EP1757864B1 (en) 2005-08-22 2006-01-23 Exhaust ho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7009A KR100664067B1 (ko) 2005-08-22 2005-08-22 배기 후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4067B1 true KR100664067B1 (ko) 2007-01-03

Family

ID=37866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7009A KR100664067B1 (ko) 2005-08-22 2005-08-22 배기 후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4067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13098A1 (zh) * 2016-12-22 2018-06-28 韩波 一种抽烟除尘设备
KR20190014348A (ko) * 2017-08-02 2019-02-12 코웨이 주식회사 주방용 공기처리장치
CN110631074A (zh) * 2018-06-25 2019-12-31 青岛海尔智慧厨房电器有限公司 风幕角度可调式风幕吸油烟机
CN110631075A (zh) * 2018-06-25 2019-12-31 青岛海尔智慧厨房电器有限公司 风幕角度可调式风幕吸油烟机
CN110631076A (zh) * 2018-06-25 2019-12-31 青岛海尔智慧厨房电器有限公司 烟灶联动式风幕吸油烟机
CN110631072A (zh) * 2018-06-25 2019-12-31 青岛海尔智慧厨房电器有限公司 烟灶联动式风幕吸油烟机
CN110631073A (zh) * 2018-06-25 2019-12-31 青岛海尔智慧厨房电器有限公司 风幕角度可调式风幕吸油烟机
CN115318053A (zh) * 2022-08-03 2022-11-11 浙江科恩实验设备有限公司 一种原子抽气罩装置抽气方法和原子抽气罩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02040A (ja) 1981-12-11 1983-06-17 Mikuni Kiden Kogyo Kk レンジフ−ド
JPH09280622A (ja) * 1996-04-16 1997-10-31 Yoshihiro Yamada 遊煙通路を備えたレンヂフード
KR20020072760A (ko) * 2001-06-04 2002-09-18 주식회사 엑타 주방용 배기 후드
JP2005098618A (ja) 2003-09-25 2005-04-14 Fuji Industrial Co Ltd Ihクッキングヒータ用のレンジフード
JP2005214583A (ja) 2004-02-02 2005-08-11 Fuji Industrial Co Ltd Ihクッキングヒータ用のレンジフード
KR20060042687A (ko) * 2004-11-10 2006-05-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배기후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02040A (ja) 1981-12-11 1983-06-17 Mikuni Kiden Kogyo Kk レンジフ−ド
JPH09280622A (ja) * 1996-04-16 1997-10-31 Yoshihiro Yamada 遊煙通路を備えたレンヂフード
KR20020072760A (ko) * 2001-06-04 2002-09-18 주식회사 엑타 주방용 배기 후드
JP2005098618A (ja) 2003-09-25 2005-04-14 Fuji Industrial Co Ltd Ihクッキングヒータ用のレンジフード
JP2005214583A (ja) 2004-02-02 2005-08-11 Fuji Industrial Co Ltd Ihクッキングヒータ用のレンジフード
KR20060042687A (ko) * 2004-11-10 2006-05-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배기후드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13098A1 (zh) * 2016-12-22 2018-06-28 韩波 一种抽烟除尘设备
KR20190014348A (ko) * 2017-08-02 2019-02-12 코웨이 주식회사 주방용 공기처리장치
KR102535913B1 (ko) * 2017-08-02 2023-05-24 코웨이 주식회사 주방용 공기처리장치
CN110631074A (zh) * 2018-06-25 2019-12-31 青岛海尔智慧厨房电器有限公司 风幕角度可调式风幕吸油烟机
CN110631075A (zh) * 2018-06-25 2019-12-31 青岛海尔智慧厨房电器有限公司 风幕角度可调式风幕吸油烟机
CN110631076A (zh) * 2018-06-25 2019-12-31 青岛海尔智慧厨房电器有限公司 烟灶联动式风幕吸油烟机
CN110631072A (zh) * 2018-06-25 2019-12-31 青岛海尔智慧厨房电器有限公司 烟灶联动式风幕吸油烟机
CN110631073A (zh) * 2018-06-25 2019-12-31 青岛海尔智慧厨房电器有限公司 风幕角度可调式风幕吸油烟机
CN110631074B (zh) * 2018-06-25 2021-11-12 青岛海尔智慧厨房电器有限公司 风幕角度可调式风幕吸油烟机
CN115318053A (zh) * 2022-08-03 2022-11-11 浙江科恩实验设备有限公司 一种原子抽气罩装置抽气方法和原子抽气罩装置
CN115318053B (zh) * 2022-08-03 2023-10-24 浙江科恩实验设备有限公司 一种原子抽气罩装置抽气方法和原子抽气罩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4067B1 (ko) 배기 후드
KR100677289B1 (ko) 배기 후드
KR100741786B1 (ko) 배기 후드
EP1657494B1 (en) Exhaust hood
KR20130054722A (ko) 환기 장치와 이를 포함한 환기 시스템
US6347626B1 (en) Ventilation system for a kitchen
KR100741783B1 (ko) 배기 후드
KR100677288B1 (ko) 배기 후드
KR100664068B1 (ko) 배기 후드
KR100664069B1 (ko) 월젯모듈 및 이를 구비한 배기 후드
JP2009139056A (ja) 空気汚染物の除去装置及びレンジフード
KR101985797B1 (ko) 환기 장치와 이를 포함한 환기 시스템
ES2805314T3 (es) Dispositivo de evacuación de aire
KR100730403B1 (ko) 레인지 후드
KR20110012038U (ko) 보조 흡입구가 구비된 주방용 레인지 후드 장치
KR100608704B1 (ko) 주방용 후드의 월제트 배기장치
JP2002228222A (ja) レンジフード
KR102331409B1 (ko) 와류형 흡입 장치
JP6958904B2 (ja) 集塵機前処理装置
JP3637219B2 (ja) レンジフード
KR100565905B1 (ko) 양흡입형 가스렌지 후드
KR200388215Y1 (ko) 싱크대 환기장치
KR100347389B1 (ko) 와류 주방 환기 시스템
KR102526371B1 (ko) 하향식 후드 일체형 쿡탑
WO2023060828A1 (zh) 一种烤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