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4069B1 - 월젯모듈 및 이를 구비한 배기 후드 - Google Patents

월젯모듈 및 이를 구비한 배기 후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4069B1
KR100664069B1 KR1020050077011A KR20050077011A KR100664069B1 KR 100664069 B1 KR100664069 B1 KR 100664069B1 KR 1020050077011 A KR1020050077011 A KR 1020050077011A KR 20050077011 A KR20050077011 A KR 20050077011A KR 100664069 B1 KR100664069 B1 KR 1006640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portion
curved wall
air
module
cur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7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성배
백승조
손상범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770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4069B1/ko
Priority to EP20060001335 priority patent/EP175786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40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40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28Removing cooking fumes using an air curta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71Removing cooking fumes mounting of cooking hoo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2007/001Ventilation with exhausting air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8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the Coanda effe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월젯모듈 및 이를 구비한 배기 후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월젯모듈을 구비한 배기 후드는,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저부에 흡입부가 형성된 캐노피와, 상기 흡입부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캐노피와 연통되게 형성되는 배기부를 구비하여 오염공기 발생원의 상측에 배치되는 후드본체와; 원호단면형상을 가지는 제1만곡벽부와, 원호단면형상을 가지며 일단은 상기 제1만곡벽부의 일측 단부의 내측에 제1노즐이 형성되도록 배치되고 타단은 상기 제1만곡벽부의 타측 단부의 외측에 제2노즐이 형성되도록 배치되는 제2만곡벽부와, 일단은 상기 제1만곡벽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만곡벽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만곡벽부 및 상기 제2만곡벽부의 내부 공간을 구획함과 아울러 상기 제1만곡벽부 및 상기 제2만곡벽부가 일체로 고정되도록 하는 격벽부를 구비하여 상기 후드본체의 일측에 결합되는 월젯모듈(wall jet modul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후드본체로부터 이탈되는 오염공기의 포집영역을 확대할 수 있고 구성이 단순하여 제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월젯모듈 및 이를 구비한 배기 후드{WALL JET MODULE AND EXHAUST HOOD HAVING THE SAME}
도 1은 종래의 배기 후드의 일 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종래의 배기 후드의 다른 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월젯모듈을 구비한 배기 후드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Ⅳ-Ⅳ선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도 4의 Ⅴ-Ⅴ선에 따른 단면도,
도 6은 도 3의 월젯모듈의 분리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월젯모듈을 구비한 배기 후드의 사시도,
도 8은 도 7의 Ⅷ-Ⅷ선에 따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월젯모듈을 구비한 배기 후드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월젯모듈을 구비한 배기 후드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후드본체 111 : 캐노피
115 : 흡입부 121 : 배기부
133 : 흡입유로 140 : 월젯모듈
141 : 제1만곡벽부 142 : 제1가이드부
143 : 제2만곡벽부 144 : 제2가이드부
145 : 격벽부 147 : 제1노즐
148 : 제2노즐 151 : 사이드플레이트
152 : 유입공 155 : 급기유로
본 발명은, 월젯모듈 및 이를 구비한 배기 후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후드본체로부터 이탈되는 오염공기의 포집영역을 확대할 수 있고 구성이 단순하여 제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월젯모듈 및 이를 구비한 배기 후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기 후드는 가스레인지 등 가열조리기를 이용한 조리 시 또는 공기 오염 물질이 발생되는 실험대 등의 상측에 배치되어 연기, 냄새 및/또는 기름증기 등 공기 오염 물질을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 배기 장치의 일종이다.
도 1은 종래의 배기 후드의 일 예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 후드는, 복수의 버너(11a,11b)를 구비한 조리기(10)의 상측에 소정 거리 이격되게 수평 또는 경사지게 설치되는 캐노피(21)와, 캐노피(21)와 연통되고 캐노피(21)의 상측으로 소정 높이로 돌출 형성되는 배기부(31)를 구비하고 있다.
캐노피(21)의 저부면에는 조리기(10)로부터 발생된 연기 및 냄새와 조리 시 발생되는 증기 또는 기름 증기 등의 오염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흡기구(23)가 형성되어 있으며, 흡기구(23)에는 오염 물질을 포집할 수 있도록 통상 그리스필터(24)가 구비되어 있다.
배기부(31)의 내부에는 흡기구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배기유로(33)가 형성되어 있으며, 배기유로(33)에는 배기팬(34)이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배기 후드에 있어서는, 조리기(10)의 각 버너(11a,11b)에서 발생된 상승 기류는 보이언시 젯(buoyancy jet) 형태로 상측으로 상승할 수록 그 폭이 증가하게 되어 캐노피(21)의 흡기구(23)에 인접된 일부의 공기만이 흡기구(23) 및 그리스필터(24)를 통해 흡입되어 외부로 배출되고, 나머지는 캐노피(21)의 저부면을 따라 외측으로 이동 및 이탈되어 캐노피(21)의 주변으로 확산된다. 특히, 조리기(10)의 전후 방향을 따라 전방에 배치된 버너(11a)에서 조리를 실시할 경우 오염공기가 캐노피(21)로부터 이탈되어 캐노피(21)의 전방 단부 및 전방 상부영역(A)을 오염시킬 뿐만 아니라 실내로 확산되어 주변을 오염시키게 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배기 후드에 있어서는, 배기팬(34)의 흡입력에 의해 단 순히 그리스필터(24)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되어 있어, 배기팬(34)의 회전 속도를 높여 흡입력을 증가시킬 경우에도 흡입 성능이 비례적으로 증가하지 아니하기 때문에 단순히 배기팬(34)의 회전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는 오염공기가 캐노피(21)를 이탈하여 주변으로 확산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오염공기의 흡입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배기 후드가 고안되어 있다.
도 2는 종래의 배기 후드의 다른 예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 후드는, 조리기(10)의 상측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조리기(10)의 상측에 소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되는 후드본체(51)와, 후드본체(51)의 저부면 전방영역에 공기가 하향 토출되도록 형성되는 노즐부(81)를 구비하고 있다.
후드본체(51)는, 직사각 판상으로 형성되어 조리기(10)의 상측에 소정 거리 이격되어 수평으로 설치되는 캐노피(61)와, 캐노피(61)와 연통되고 캐노피(61)에 대해 수직하게 돌출 형성되는 배기부(71)로 구성되어 있다.
캐노피(61)의 저부면에는 조리기(10)로부터 발생되어 상승되는 오염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흡기구(63)가 형성되어 있으며, 흡기구(63)에는 공기중의 오염물질을 포집할 수 있도록 그리스필터(64)가 구비되어 있다. 배기부(71)의 내부에는 흡기구(63)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배기유로(73)가 형성되고, 배기유로에는 배기팬(74)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캐노피(61)의 저부면 전방영역에는 공기를 하향 토출할 수 있도록 노 즐부(81)가 형성되어 있으며, 캐노피(61)의 내부 전방영역에는 노즐부(81)를 통해 공기가 분사될 수 있도록 송풍하는 급기팬(83)이 설치되어 있다. 캐노피(61)의 저부면에는 노즐부(81)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 중 일부가 소위 코안다 효과(coanda effect)에 의해 흡기구(63)영역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하측으로 볼록한 호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만곡벽부(85)가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배기 후드에 있어서는, 캐노피(61)의 전면 하측의 공기를 흡기구(63)측으로 유도하여 흡입 성능을 어느 정도 향상시킬 수 있으나 오염공기의 포집에는 한계가 있어 캐노피(61)의 주변으로 여전히 오염공기가 이탈되는 현상이 발생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노즐부(81)는 캐노피(61)의 저부면 전방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지점에 형성되도록 되어 있어, 보이언시 젯 형태로 상승된 오염공기가 캐노피(61)의 전방 단부로부터 이탈되어 전방 단부 및 전상 상부영역(B)을 오염시키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후드본체로부터 이탈되는 오염공기의 포집영역을 확대할 수 있고 구성이 단순하여 제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월젯모듈 및 이를 구비한 배기 후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저부에 흡입부가 형성된 캐노피와, 상기 흡입부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캐노피 와 연통되게 형성되는 배기부를 구비하여 오염공기 발생원의 상측에 배치되는 후드본체와; 원호단면형상을 가지는 제1만곡벽부와, 원호단면형상을 가지며 일단은 상기 제1만곡벽부의 일측 단부의 내측에 제1노즐이 형성되도록 배치되고 타단은 상기 제1만곡벽부의 타측 단부의 외측에 제2노즐이 형성되도록 배치되는 제2만곡벽부와, 일단은 상기 제1만곡벽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만곡벽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만곡벽부 및 상기 제2만곡벽부의 내부 공간을 구획함과 아울러 상기 제1만곡벽부 및 상기 제2만곡벽부가 일체로 고정되도록 하는 격벽부를 구비하여 상기 후드본체의 일측에 결합되는 월젯모듈(wall jet modul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월젯모듈을 구비한 배기 후드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월젯모듈의 양 단부를 차단하도록 배치되는 사이드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이드플레이트에는 상기 제1만곡벽부 및 상기 제2만곡벽부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관통된 유입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제1만곡벽부 및 상기 제2만곡벽부 중 다른 하나의 내측에 배치되는 각 단부에는 공기를 가이드할 수 있도록 가이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만곡벽부와, 상기 제2만곡벽부 및 상기 격벽부는 금속부재로 인발가공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제1노즐 및 상기 제2노즐을 통해 공기가 토출될 수 있도록 상기 월젯모듈에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급기부는, 상기 캐노피의 내부에 배치되는 급기팬과, 상기 급기팬의 회 전 시 공기가 상기 월젯모듈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 단부로 유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급기유로를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캐노피의 내부에는 상기 급기팬의 회전 시 상기 흡입부를 통해 흡입된 공기 중 일부가 상기 급기팬측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흡입유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캐노피의 상부면에는 상기 급기팬의 회전 시 외부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상부흡입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상부흡입부는, 상기 캐노피의 상부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상부흡기구와, 상기 상부흡기구를 차단하도록 배치되어 흡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포집하는 상부흡기필터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기부는 배기팬을 구비하며, 상기 급기부는 일측이 상기 배기팬의 하류측에 배치되고 타측은 상기 월젯모듈의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일측 단부로 연장되는 배기환류급기유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원호단면형상을 가지는 제1만곡벽부와; 원호단면형상을 가지며 일단은 상기 제1만곡벽부의 일측 단부의 내측에 제1노즐이 형성되도록 배치되고 타단은 상기 제1만곡벽부의 타측 단부의 외측에 제2노즐이 형성되도록 배치되는 제2만곡벽부와; 일단은 상기 제1만곡벽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만곡벽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만곡벽부 및 상기 제2만곡벽부의 내부 공간을 구획함과 아울러 상기 제1만곡벽부 및 상기 제2만곡벽부가 일체로 고정되도록 하는 격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월젯모듈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제1만곡벽부 및 상기 제2만곡벽부의 양 단부를 차단하도록 배치되는 사이드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이드플레이트에는 상기 제1만곡벽부 및 상기 제2만곡벽부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관통된 유입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제1만곡벽부 및 상기 제2만곡벽부 중 다른 하나의 내측에 배치되는 각 단부에는 공기를 가이드할 수 있도록 곡면을 이루는 가이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만곡벽부와, 상기 제2만곡벽부 및 상기 격벽부는 금속부재로 인발가공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월젯모듈을 구비한 배기 후드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Ⅳ-Ⅳ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Ⅴ-Ⅴ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3의 월젯모듈의 분리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월젯모듈을 구비한 배기 후드는,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저부에 흡입부(115)가 형성된 캐노피(111)와, 흡입부(115)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캐노피(111)와 연통되게 형성되는 배기부(121)를 구비하여 오염공기 발생원의 상측에 배치되는 후드본체(110)와; 원호단면형상을 가지는 제1만곡벽부(141)와, 원호단면형상을 가지며 일단은 제1만곡벽부(141)의 일측 단부의 내측에 제1노즐(147)이 형성되도록 배치되고 타단은 제1만곡벽부(141)의 타측 단부의 외측에 제2노즐(148)이 형성되도록 배치되는 제2만곡벽부(143)와, 일단은 제1만곡벽부(141)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2만곡벽부(143)에 연결되어 제1만곡벽부(141) 및 제2만곡벽부(143)의 내부 공간을 구획함과 아울러 제1만곡벽부(141) 및 제2만곡벽부(143)가 일체로 고정되도록 하는 격벽부(145)를 구비하여 후드본체(110)의 일측에 결합되는 월젯모듈(14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후드본체(110)는, 직사각판상으로 형성되고 저부에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흡입부(115)를 구비하여 오염공기 발생원의 상측에 소정 거리 이격되게 수평으로 배치되는 캐노피(111)와, 캐노피(111)의 상측에 돌출 형성되는 배기부(121)를 구비하고 있다.
배기부(121)의 내부에는 흡입부(115)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배기유로(123)가 형성되어 있으며, 배기유로(123)에는 배기팬(124)이 설치되어 있다.
흡입부(115)는, 캐노피(111)의 저부면에 공기가 통과할 수 있게 관통형성되는 흡기구(117)와, 흡기구(117)를 차단하도록 배치되어 흡기구(117)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포집하는 그리스필터 형태로 형성되는 흡기필터부(118)를 구비하고 있다.
한편, 캐노피(111)의 내부에는 월젯모듈(140)로 공기를 송풍할 수 있도록 급기팬(135)이 설치되어 있으며, 급기팬(135)의 일측에는 흡입부(115)를 통해 캐노피(111)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 중 일부를 흡입할 수 있도록 흡입유로(133)가 형성되어 있다.
월젯모듈(140)은, 원호단면형상을 가지며 중앙영역이 후방으로 돌출되게 배 치되는 제1만곡벽부(141)와, 원호단면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중앙영역이 전방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며 일측 단부는 제1만곡벽부(141)의 일측 단부의 내측에 소정 간격을 두고 제1노즐(147)이 형성되도록 배치되고 타측 단부는 제1만곡벽부(141)의 타측 단부의 외측에 소정 간격을 두고 제2노즐(148)이 형성되도록 배치되는 제2만곡벽부(143)와, 일단은 제1만곡벽부(141)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2만곡벽부(143)에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격벽부(145)를 구비하고 있다.
제2만곡벽부(143)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1만곡벽부(141)의 단부에는 제2노즐(148)을 향해 유동되는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원호단면형상을 가지도록 만곡된 제1가이드부(142)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1만곡벽부(141)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2만곡벽부(143)의 단부에는 제1노즐(147)을 향해 유동되는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제2만곡벽부(143)의 내측으로 원호형상의 단면을 가지도록 만곡된 제2가이드부(144)가 형성되어 있다.
제1만곡벽부(141)의 상측 단부에는 캐노피(111)의 상면과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상부판(157)이 결합되어 있으며, 제1만곡벽부(141)의 하측 단부에는 캐노피(111)의 저부면과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저부판(158)이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제1만곡벽부(141) 및 제2만곡벽부(143)의 내부에는 제1만곡벽부(141) 및 제2만곡벽부(143)가 상호 협조적으로 제1노즐(147) 및 제2노즐(148)을 형성하도록 상대 위치를 가지도록 함과 아울러 제1만곡벽부(141) 및 제2만곡벽부(143)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도록 격벽부(145)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1만곡벽부(141)와, 제2만곡벽부(143) 및 격벽부(145)는 알루미늄 등 금속부재를 인발가공하는 방 법으로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제1만곡벽부(141) 및 제2만곡벽부(143)가 정확한 곡면을 이루도록 함과 아울러 제1노즐(147) 및 제2노즐(148)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고 변형이 억제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제1만곡벽부(141) 및 제2만곡벽부(143)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 측 단부에는 양 측 단부를 차단할 수 있도록 사이드플레이트(151)가 각각 결합되어 있으며, 사이드플레이트(151)의 중앙영역에는 격벽부(145)에 의해 구획된 내부 공간에 각각 공기가 공급될 수 있도록 유입공(152)이 관통형성되어 있다. 유입공(152)에는 급기팬(135)에 의해 송풍된 공기가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급기유로(155)의 일단이 각각 상호 연통되게 결합되어 있으며, 각 사이드플레이트(151)의 내면에는 제1만곡벽부(141) 및 제2만곡벽부(143)가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부(153)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배기팬(124)이 회전을 개시하면 흡입부(115)를 통해 캐노피(111)의 하측의 공기가 흡입되고, 흡입된 공기는 배기유로(12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급기팬(135)이 회전되면 흡입부(115)를 통해 흡입된 공기 중 일부가 흡입유로(133) 및 급기유로(155)를 따라 유동된다. 급기유로(155)를 따라 유동된 공기는 월젯모듈(140)의 양 측의 유입공(152)을 통해 월젯모듈(140)의 내부로 유입된 후 제1노즐(147) 및 제2노즐(148)을 통해 각각 외부로 토출된다. 제1노즐(147)을 통해 토출된 공기 중 일부는 코안다 효과(Coanda effect)에 의해 제2만곡벽부(143)의 볼록한 외면을 따라 하향 유동되며, 이 때 캐노피(111)의 전방영역의 공기 가 제2만곡벽부(143)를 따라 유동되는 기류에 유입되어 캐노피(111)의 하측으로 유동된다. 제2노즐(148)을 통해 토출된 공기는 캐노피(111)의 저부면을 따라 유동된 후 흡입부(115)를 통해 흡입된 후 외부로 배출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월젯모듈을 구비한 배기 후드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Ⅷ-Ⅷ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전술 및 도시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설명의 편의 상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월젯모듈을 구비한 배기 후드는,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저부에 흡입부(115)가 형성된 캐노피(111)와, 흡입부(115)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캐노피(111)와 연통되게 형성되는 배기부(121)를 구비하여 오염공기 발생원의 상측에 배치되는 후드본체(110)와; 원호단면형상을 가지는 제1만곡벽부(161)와, 원호단면형상을 가지며 일단은 제1만곡벽부(161)의 일측 단부의 내측에 제1노즐(147)이 형성되도록 배치되고 타단은 제1만곡벽부(161)의 타측 단부의 외측에 제2노즐(168)이 형성되도록 배치되는 제2만곡벽부(163)와, 일단은 제1만곡벽부(161)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2만곡벽부(163)에 연결되어 제1만곡벽부(161) 및 제2만곡벽부(163)의 내부 공간을 구획함과 아울러 제1만곡벽부(161) 및 제2만곡벽부(163)가 일체로 고정되도록 하는 격벽부(165)를 구비하여 후드본체(110)의 일측에 결합되는 월젯모듈(160)과; 월젯모듈(160)에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배기부(121)는 배기유로(123) 및 배기팬(124)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흡입부 (115)는 캐노피(111)의 저부면에 공기가 통과할 수 있게 관통형성되는 흡기구(117) 및 그리스필터 형태로 형성되는 흡기필터부(118)를 구비하고 있다.
한편, 급기부(170)는, 캐노피(111)의 내부에 설치되는 급기팬(135)과, 캐노피(111)의 상부면에 외부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상부흡입부(175)와, 흡입된 공기를 월젯모듈(160)로 공급하도록 급기팬(135)의 하류측에 형성되는 급기유로(155)로 구성되어 있다. 상부흡입부(175)는, 급기팬(135)의 상측 캐노피(111)의 상부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상부흡기구(177)와, 상부흡기구(177)를 차단하도록 배치되어 흡입되는 공기 중 이물질을 포집하는 그리스필터의 형태로 형성되는 상부흡기필터부(178)를 구비하고 있다.
월젯모듈(160)은, 원호단면형상을 가지고 중앙부가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1만곡벽부(161)와, 원호단면형상을 가지고 중앙부가 상측으로 돌출되게 제1만곡벽부(161)의 상측에 배치되며 일측 단부는 제1만곡벽부(161)의 일측 단부의 내측에 소정 간격을 두고 캐노피(111)의 상측으로 공기가 토출되는 제1노즐(167)이 형성되도록 배치되고 타측 단부는 제1만곡벽부(161)의 타측 단부의 외측에 소정 간격을 두고 캐노피(111)의 전방 하측으로 공기가 토출되는 제2노즐(168)이 형성되도록 배치되는 제2만곡벽부(163)와, 일단은 제1만곡벽부(161)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2만곡벽부(163)에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격벽부(165)를 구비하고 있다.
제2만곡벽부(163)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1만곡벽부(161)의 단부에는 제2노즐(168)을 향해 유동되는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원호단면형상을 가지도록 만곡된 제1가이드부(162)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1만곡벽부(161)의 내측에 배치 되는 제2만곡벽부(163)의 단부에는 제1노즐(167)을 향해 유동되는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제2만곡벽부(163)의 내측으로 원호형상의 단면을 가지도록 만곡된 제2가이드부(164)가 형성되어 있다.
제1만곡벽부(161)의 일측 단부에는 일측이 캐노피(111)의 상면과 나란하게 배치되고 타측은 제1만곡벽부(161)를 향해 절곡되는 상부판(157)이 결합되어 있으며, 제1만곡벽부(161)의 하측영역에는 캐노피(111)의 저부면과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저부판(158)이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제1만곡벽부(161) 및 제2만곡벽부(163)의 내부에는 제1만곡벽부(161) 및 제2만곡벽부(163)가 상호 협조적으로 제1노즐(167) 및 제2노즐(168)을 형성하도록 상대 위치를 가지도록 함과 아울러 제1만곡벽부(161) 및 제2만곡벽부(163)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도록 격벽부(165)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1만곡벽부(161)와, 제2만곡벽부(163) 및 격벽부(165)는 알루미늄 등 금속부재를 인발가공하는 방법으로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제1만곡벽부(161) 및 제2만곡벽부(163)가 정확한 곡면을 이루도록 함과 아울러 제1노즐(167) 및 제2노즐(168)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고 변형이 억제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제1만곡벽부(161) 및 제2만곡벽부(163)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 측 단부에는 양 측 단부를 차단할 수 있도록 사이드플레이트(151)가 각각 결합되어 있으며, 사이드플레이트(151)의 중앙영역에는 격벽부(165)에 의해 구획된 내부 공간에 각각 공기가 공급될 수 있도록 유입공(152)이 관통형성되어 있다. 유입공(152)에는 급기팬(135)에 의해 송풍된 공기가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급기유로(155) 의 일단이 각각 상호 연통되게 결합되어 있으며, 각 사이드플레이트(151)의 내면에는 제1만곡벽부(161) 및 제2만곡벽부(163)가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부(153)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배기팬(124)이 회전을 개시하면 흡입부(115)를 통해 캐노피(111)의 하측의 공기가 흡입되고, 흡입된 공기는 배기유로(12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급기팬(135)이 회전되면 상부흡입부(175)를 통해 공기가 흡입되고, 흡입된 공기는 급기유로(155)를 따라 월젯모듈(160)의 양 측영역으로 각각 유입되어 제1노즐(167) 및 제2노즐(168)을 통해 각각 토출된다. 제1노즐(167)을 통해 캐노피(111)의 상측으로 토출된 공기 중 일부는 코안다 효과에 의해 제2만곡벽부(163)의 외면을 따라 유동되고, 제2노즐(168)을 통해 하향 토출된 공기 중 일부는 코안다 효과에 의해 제1만곡벽부(161)의 외면을 따라 유동된다. 이 때, 캐노피(111)의 전방 상부 및 전방영역의 공기는 제2만곡벽부(163) 및 제1만곡벽부(161)의 외면을 따라 유동되는 기류에 유입된 후 캐노피(111)의 저부면을 따라 흡입부(115)측으로 유동된 후 흡입부(115)를 통해 흡입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월젯모듈을 구비한 배기 후드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월젯모듈을 구비한 배기 후드는, 저부에 흡입부(115)가 형성되고 오염공기 발생원의 상류측에 소정 거리 이격되어 수평으로 배치되는 캐노피(111)와, 배기유로(123) 및 배기팬(124)을 구비하여 캐노피(111)의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배기부(121)를 구비한 후드본체(110)와; 원호단면형상 을 가지고 캐노피(111)의 전방 단부에 배치되는 제1만곡벽부(141)와, 원호단면형상을 가지고 일측은 제1만곡벽부(141)의 상측 단부의 내측에 제1노즐(147)이 형성되도록 배치되고 타측은 제1만곡벽부(141)의 하측 단부의 외측에 제2노즐(148)이 형성되도록 배치되는 제2만곡벽부(143)와, 일단은 제1만곡벽부(141)의 내측에 연결되고 타측은 제2만곡벽부(143)의 내측에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격벽부(145)를 구비하여 캐노피(111)의 전방 단부영역에 결합되는 월젯모듈(140)과, 월젯모듈(140)에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부(18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캐노피(111)의 저부에는 흡기구(117) 및 흡기필터부(118)를 구비한 흡입부(115)가 형성되어 있으며, 배기부(121)의 내부에는 흡입부(115)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배기유로(123) 및 배기팬(124)이 구비되어 있다.
월젯모듈(140)은, 원호단면형상을 가지며 중앙영역이 캐노피(111)의 후방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는 제1만곡벽부(141)와, 원호단면형상을 가지며 일측 단부는 제1만곡벽부(141)의 상측 단부의 하측에 공기가 캐노피(111)의 전방영역으로 토출될 수 있도록 제1노즐(147)이 형성되게 배치되고 타측 단부는 제1만곡벽부(141)의 하측 단부의 하측에 공기가 캐노피(111)의 저부면을 따라 토출되도록 제2노즐(148)을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제2만곡벽부(143)와, 제1만곡벽부(141) 및 제2만곡벽부(143)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도록 형성되는 격벽부(145)를 구비하도록 알루미늄 등 금속부재로 인발가공하는 방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만곡벽부(141) 및 제2만곡벽부(143)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 측 단부에는 유입공(152)을 구비한 사이드플레이트(151)가 각각 결합되어 있다.
한편, 급기부(180)는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일단이 배기팬(124)의 하류측에 배치되고 타단은 배기부(121)를 따라 연장되고 캐노피(111)의 전방영역에서 분기되어 월젯모듈(140)의 양 측 단부에 결합된 사이드플레이트(151)의 유입공(152)에 각각 상호 연통되게 연결되어 배기유로(123)를 따라 외부로 배출되는 배기 중 일부가 환류하는 배기환류로 형태로 구현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배기팬(124)이 회전되면 흡입부(115)를 통해 캐노피(111)의 하측의 공기가 흡입되고 흡입된 공기는 배기유로(123)를 따라 외부로 배출된다. 배출되는 공기 중 일부는 급기부(180)를 따라 유동된 후 월젯모듈(140)의 양 측단부의 유입공(152)을 통해 각각 유입된 후 제1노즐(147) 및 제2노즐(148)을 통해 각각 토출된다. 제1노즐(147)을 통해 토출된 공기 중 일부는 코안다 효과에 의해 제2만곡벽부(143)의 볼록한 외면을 따라 유동되고, 제2노즐(148)을 통해 토출된 공기는 캐노피(111)의 저부면을 따라 유동된 후 흡입부(115)를 통해 흡입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월젯모듈을 구비한 배기 후드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월젯모듈을 구비한 배기 후드는,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저부에 흡입부(115)가 형성된 캐노피(111)와, 흡입부(115)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캐노피(111)와 연통되게 형성되는 배기부(121)를 구비하여 오염공기 발생원의 상측에 배치되는 후드본체(110)와; 원호단면형상을 가지는 제1만곡벽부(191)와, 원호단면형상을 가지며 일단은 제1만곡벽부(191)의 일측 단부의 내측에 제1노즐(197)이 형성되도록 배치되고 타단은 제1만곡벽부(191)의 타측 단부의 외측에 제2노즐(198)이 형성되도록 배치되는 제2만곡벽부(193)와, 일단은 제1만곡벽부(191)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2만곡벽부(193)에 연결되어 제1만곡벽부(191) 및 제2만곡벽부(193)의 내부 공간을 구획함과 아울러 제1만곡벽부(191) 및 제2만곡벽부(193)가 일체로 고정되도록 하는 격벽부(195)를 구비하여 후드본체(110)의 일측에 결합되는 월젯모듈(19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캐노피(111)의 저부에는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흡기구(117) 및 흡기필터부(118)를 구비한 흡입부(115)가 형성되어 있으며, 배기부(121)의 내부에는 배기유로(123) 및 배기팬(124)이 구비되어 있다.
한편, 캐노피(111)의 내부에는 월젯모듈(190)로 공기를 송풍할 수 있도록 급기팬(135)이 설치되어 있으며, 급기팬(135)의 일측에는 흡입부(115)를 통해 캐노피(111)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 중 일부를 흡입할 수 있도록 흡입유로(133)가 형성되어 있다.
월젯모듈(190)은, 원호단면형상을 가지며 개방영역이 캐노피(111)의 전방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제1만곡벽부(191)와, 제1만곡벽부(191)에 비해 짧은 원주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일측은 제1만곡벽부(191)의 상측 단부의 내측에 제1노즐(197)이 형성되도록 배치되고 타측은 제1만곡벽부(191)의 외측에 제2노즐(198)이 형성되도록 배치되는 제2만곡벽부(193)와, 제1만곡벽부(191) 및 제2만곡벽부(193)가 일체로 연결되도록 함과 아울러 내부 공간을 구획하도록 형성되는 격벽부(195)를 포함하여 알루미늄 등 금속부재를 인발가공하는 방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만곡벽부(191)의 하측 단부 및 제2만곡벽부(193)의 상측 단부는 제1노즐 (197) 및 제2노즐(198)을 향해 유동되는 공기를 가이드할 수 있도록 원호단면형상을 가지도록 제1가이드부(192) 및 제2가이드부(194)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배기팬(124)이 회전을 개시하면 흡입부(115)를 통해 캐노피(111)의 하측의 공기가 흡입되고, 흡입된 공기는 배기유로(12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급기팬(135)이 회전되면 흡입부(115)를 통해 흡입된 공기 중 일부가 흡입유로(133)를 따라 유동되고, 급기팬(135)에 의해 송풍된 공기는 급기유로를 따라 유동되어 월젯모듈(190)의 내부로 유입된다. 월젯모듈(19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제1노즐(197) 및 제2노즐(198)을 통해 외부로 토출된다. 제1노즐(197)을 통해 토출된 공기 중 일부는 코안다 효과에 의해 제2만곡벽부(193)의 볼록한 외면을 따라 유동되고, 제2노즐(198)을 통해 토출된 공기는 캐노피(111)의 내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토출된다. 캐노피(111)의 전방 영역의 공기는 제2만곡벽부(193)를 따라 유동되는 기류에 유입되어 캐노피(111)의 저부면을 따라 흡입부(115)측으로 유동된 후 흡입부(115)를 통해 흡입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저부에 흡입부가 형성된 캐노피와, 상기 흡입부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캐노피와 연통되게 형성되는 배기부를 구비하여 오염공기 발생원의 상측에 배치되는 후드본체와; 원호단면형상을 가지는 제1만곡벽부와, 원호단면형상을 가지며 일단은 상기 제1만곡벽부의 일측 단부의 내측에 제1노즐이 형성되도록 배치되고 타단은 상기 제1만곡벽부의 타측 단부의 외측에 제2노즐이 형성되도록 배치되는 제2만곡벽부와, 일단은 상기 제1만곡벽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만곡벽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만곡벽부 및 상기 제2만곡벽부의 내부 공간을 구획함과 아울러 상기 제1만곡벽부 및 상기 제2만곡벽부가 일체로 고정되도록 하는 격벽부를 구비하여 상기 후드본체의 일측에 결합되는 월젯모듈을 포함하도록 함으로써, 후드본체로부터 이탈되는 오염공기의 포집영역을 확대할 수 있고 구성이 단순하여 제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월젯모듈을 구비한 배기 후드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원호단면형상을 가지는 제1만곡벽부와; 원호단면형상을 가지며 일단은 제1만곡벽부의 일측 단부의 내측에 제1노즐이 형성되도록 배치되고 타단은 제1만곡벽부의 타측 단부의 외측에 제2노즐이 형성되도록 배치되는 제2만곡벽부와; 일단은 제1만곡벽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2만곡벽부에 연결되어 제1만곡벽부 및 제2만곡벽부의 내부 공간을 구획함과 아울러 제1만곡벽부 및 제2만곡벽부가 일체로 고정되도록 하는 격벽부를 포함하도록 함으로써, 후드본체로부터 이탈되는 오염공기의 포집영역을 확대할 수 있고 구성이 단순하여 제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월젯모듈이 제공된다.

Claims (16)

  1.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저부에 흡입부가 형성된 캐노피와, 상기 흡입부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캐노피와 연통되게 형성되는 배기부를 구비하여 오염공기 발생원의 상측에 배치되는 후드본체와;
    원호단면형상을 가지는 제1만곡벽부와, 원호단면형상을 가지며 일단은 상기 제1만곡벽부의 일측 단부의 내측에 제1노즐이 형성되도록 배치되고 타단은 상기 제1만곡벽부의 타측 단부의 외측에 제2노즐이 형성되도록 배치되는 제2만곡벽부와, 일단은 상기 제1만곡벽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만곡벽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만곡벽부 및 상기 제2만곡벽부의 내부 공간을 구획함과 아울러 상기 제1만곡벽부 및 상기 제2만곡벽부가 일체로 고정되도록 하는 격벽부를 구비하여 상기 후드본체의 일측에 결합되는 월젯모듈(wall jet modul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월젯모듈을 구비한 배기 후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월젯모듈의 양 단부를 차단하도록 배치되는 사이드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월젯모듈을 구비한 배기 후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플레이트에는 상기 제1만곡벽부 및 상기 제2만곡벽부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관통된 유입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월젯모듈을 구비한 배기 후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만곡벽부 및 상기 제2만곡벽부 중 다른 하나의 내측에 배치되는 각 단부에는 공기를 가이드할 수 있도록 가이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월젯모듈을 구비한 배기 후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만곡벽부와, 상기 제2만곡벽부 및 상기 격벽부는 금속부재로 인발가공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월젯모듈을 구비한 배기 후드.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노즐 및 상기 제2노즐을 통해 공기가 토출될 수 있도록 상기 월젯모듈에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월젯모듈을 구비한 배기 후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부는, 상기 캐노피의 내부에 배치되는 급기팬과, 상기 급기팬의 회전 시 공기가 상기 월젯모듈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 단부로 유동할 수 있도록 형성 되는 급기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월젯모듈을 구비한 배기 후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캐노피의 내부에는 상기 급기팬의 회전 시 상기 흡입부를 통해 흡입된 공기 중 일부가 상기 급기팬측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흡입유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월젯모듈을 구비한 배기 후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캐노피의 상부면에는 상기 급기팬의 회전 시 외부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상부흡입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월젯모듈을 구비한 배기 후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흡입부는, 상기 캐노피의 상부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상부흡기구와, 상기 상부흡기구를 차단하도록 배치되어 흡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포집하는 상부흡기필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월젯모듈을 구비한 배기 후드.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부는 배기팬을 구비하며, 상기 급기부는 일측이 상기 배기팬의 하류측에 배치되고 타측은 상기 월젯모듈의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일측 단부로 연 장되는 배기환류급기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월젯모듈을 구비한 배기 후드.
  12. 원호단면형상을 가지는 제1만곡벽부와;
    원호단면형상을 가지며 일단은 상기 제1만곡벽부의 일측 단부의 내측에 제1노즐이 형성되도록 배치되고 타단은 상기 제1만곡벽부의 타측 단부의 외측에 제2노즐이 형성되도록 배치되는 제2만곡벽부와;
    일단은 상기 제1만곡벽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만곡벽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만곡벽부 및 상기 제2만곡벽부의 내부 공간을 구획함과 아울러 상기 제1만곡벽부 및 상기 제2만곡벽부가 일체로 고정되도록 하는 격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월젯모듈.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만곡벽부 및 상기 제2만곡벽부의 양 단부를 차단하도록 배치되는 사이드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월젯모듈.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플레이트에는 상기 제1만곡벽부 및 상기 제2만곡벽부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관통된 유입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월젯모듈.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만곡벽부 및 상기 제2만곡벽부 중 다른 하나의 내측에 배치되는 각 단부에는 공기를 가이드할 수 있도록 곡면을 이루는 가이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월젯모듈을 구비한 배기 후드.
  16. 제12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만곡벽부와, 상기 제2만곡벽부 및 상기 격벽부는 금속부재로 인발가공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월젯모듈.
KR1020050077011A 2005-08-22 2005-08-22 월젯모듈 및 이를 구비한 배기 후드 KR1006640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7011A KR100664069B1 (ko) 2005-08-22 2005-08-22 월젯모듈 및 이를 구비한 배기 후드
EP20060001335 EP1757864B1 (en) 2005-08-22 2006-01-23 Exhaust ho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7011A KR100664069B1 (ko) 2005-08-22 2005-08-22 월젯모듈 및 이를 구비한 배기 후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4069B1 true KR100664069B1 (ko) 2007-01-04

Family

ID=37866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7011A KR100664069B1 (ko) 2005-08-22 2005-08-22 월젯모듈 및 이를 구비한 배기 후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406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757864A2 (en) * 2005-08-22 2007-02-28 LG Electronics Inc. Exhaust hood
CN106949513A (zh) * 2017-04-11 2017-07-14 广东美的智美科技有限公司 用于形成射流的喷嘴装置及排烟装置
CN110631082A (zh) * 2018-06-25 2019-12-31 青岛海尔智慧厨房电器有限公司 风幕角度可调式风幕吸油烟机
CN110631085A (zh) * 2018-06-25 2019-12-31 青岛海尔智慧厨房电器有限公司 风幕角度可调式风幕吸油烟机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57549A (ja) * 1988-12-09 1990-06-18 Japan Air Curtain Corp 人工竜巻式フード及びそれを利用した排気方法
JPH09280622A (ja) * 1996-04-16 1997-10-31 Yoshihiro Yamada 遊煙通路を備えたレンヂフード
KR100347959B1 (en) 2001-12-28 2002-08-21 Ecta Co Ltd Ventilation hood for kitchen
KR20020072760A (ko) * 2001-06-04 2002-09-18 주식회사 엑타 주방용 배기 후드
JP2005098618A (ja) 2003-09-25 2005-04-14 Fuji Industrial Co Ltd Ihクッキングヒータ用のレンジフード
KR20060042687A (ko) * 2004-11-10 2006-05-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배기후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57549A (ja) * 1988-12-09 1990-06-18 Japan Air Curtain Corp 人工竜巻式フード及びそれを利用した排気方法
JPH09280622A (ja) * 1996-04-16 1997-10-31 Yoshihiro Yamada 遊煙通路を備えたレンヂフード
KR20020072760A (ko) * 2001-06-04 2002-09-18 주식회사 엑타 주방용 배기 후드
KR100347959B1 (en) 2001-12-28 2002-08-21 Ecta Co Ltd Ventilation hood for kitchen
JP2005098618A (ja) 2003-09-25 2005-04-14 Fuji Industrial Co Ltd Ihクッキングヒータ用のレンジフード
KR20060042687A (ko) * 2004-11-10 2006-05-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배기후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757864A2 (en) * 2005-08-22 2007-02-28 LG Electronics Inc. Exhaust hood
EP1757864A3 (en) * 2005-08-22 2013-12-25 LG Electronics Inc. Exhaust hood
CN106949513A (zh) * 2017-04-11 2017-07-14 广东美的智美科技有限公司 用于形成射流的喷嘴装置及排烟装置
CN110631082A (zh) * 2018-06-25 2019-12-31 青岛海尔智慧厨房电器有限公司 风幕角度可调式风幕吸油烟机
CN110631085A (zh) * 2018-06-25 2019-12-31 青岛海尔智慧厨房电器有限公司 风幕角度可调式风幕吸油烟机
CN110631085B (zh) * 2018-06-25 2021-06-15 青岛海尔智慧厨房电器有限公司 风幕角度可调式风幕吸油烟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7289B1 (ko) 배기 후드
KR101934457B1 (ko) 환기 장치와 이를 포함한 환기 시스템
KR100664067B1 (ko) 배기 후드
EP1657494B1 (en) Exhaust hood
KR100664069B1 (ko) 월젯모듈 및 이를 구비한 배기 후드
KR100741786B1 (ko) 배기 후드
JP2002228155A (ja) フード兼用電子レンジ
JP4207911B2 (ja) 手乾燥装置
EP1757864B1 (en) Exhaust hood
US20070227526A1 (en) Backpressure-inhibiting device for exhausting apparatus
KR100741783B1 (ko) 배기 후드
KR100677288B1 (ko) 배기 후드
JP2009139056A (ja) 空気汚染物の除去装置及びレンジフード
KR101985797B1 (ko) 환기 장치와 이를 포함한 환기 시스템
KR100664068B1 (ko) 배기 후드
KR100730403B1 (ko) 레인지 후드
RU2454610C2 (ru) Оконечное воздухо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JP2007296457A (ja) 集塵装置
JP2018031515A (ja) 空気清浄化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空気清浄化方法
KR100595568B1 (ko) 레인지용 후드
CN201121935Y (zh) 百叶式导流板
KR102526371B1 (ko) 하향식 후드 일체형 쿡탑
KR100347389B1 (ko) 와류 주방 환기 시스템
KR102220089B1 (ko) 송풍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JP2000121121A (ja) レンジフー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