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3356B1 - 하향식 후드 일체형 쿡탑용 상부 배기 구조물, 및 하향식 후드 일체형 쿡탑 - Google Patents

하향식 후드 일체형 쿡탑용 상부 배기 구조물, 및 하향식 후드 일체형 쿡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3356B1
KR102543356B1 KR1020210157236A KR20210157236A KR102543356B1 KR 102543356 B1 KR102543356 B1 KR 102543356B1 KR 1020210157236 A KR1020210157236 A KR 1020210157236A KR 20210157236 A KR20210157236 A KR 20210157236A KR 102543356 B1 KR102543356 B1 KR 1025433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d
cooktop
body tube
exhaust passage
exha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7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71252A (ko
Inventor
이준섭
장민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츠
Priority to KR1020210157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3356B1/ko
Publication of KR202300712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12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3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33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42Devices for removing cooking fum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ooking range e.g. downdra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 F24C15/102Tops, e.g. hot plates; Rings electrically he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35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71Removing cooking fumes mounting of cooking hoo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향식 후드 일체형 쿡탑용 상부 배기 구조물, 및 하향식 후드 일체형 쿡탑에 관한 것이다. 상부 배기 구조물은 상하로 관통된 배기 통로를 갖고 싱크장의 상판 설치홀에 설치되는 쿡탑 본체와, 쿡탑 본체를 사용한 조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염 기체를 배기 통로를 통해 상방으로부터 흡입해서 하방으로 배출하도록 싱크장 내에 배치되는 후드를 포함하는 하향식 후드 일체형 쿡탑에 채용되는 것으로, 내부 공간을 갖고 하측에 배출구가 형성되며 배출구 주변 부위가 배기 통로의 상측에 둘레 방향으로 위치 조정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몸체관과, 몸체관에 서로 다른 높이로 형성되어 오염 기체를 흡입하는 흡입구들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하향식 후드 일체형 쿡탑용 상부 배기 구조물, 및 하향식 후드 일체형 쿡탑{Upper exhaust structure for downdraft hood integral cooktop and downdraft hood integral cooktop}
본 발명은 조리시에 발생하는 오염 기체를 상방에서 흡입해서 하방으로 배출하는 후드가 적용된 쿡탑에 관한 기술이다.
쿡탑이란 캐비닛형 레인지를 의미하는 것으로, 전기를 이용하는 전기쿡탑과 가스를 이용하는 가스쿡탑 등이 있다. 주방에는 조리시 발생하는 수증기, 연기 및 냄새 등의 오염 기체를 흡입하여 실내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후드가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후드는 쿡탑의 상방에 일정 거리를 두어 배치되고, 내부 팬에 의해 흡기구로 오염 기체를 흡입해서 실외로 배출시킬 수 있다.
그런데, 조리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염 기체는 상방의 후드에 모두 흡입되는 것이 이상적이나, 후드의 흡기구는 쿡탑의 상방에 일정 거리를 두어 위치되기 때문에, 실제로 오염 기체 중 일부는 후드로 흡입되지 않고 후드와 쿡탑 사이의 개방 공간을 통해 실내로 확산된다. 다수 개의 화구가 형성되는 쿡탑의 경우에는 이러한 현상이 더 심화될 수 있다. 게다가, 쿡탑의 상방에 배치되는 후드는 많은 설치 공간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미관상 좋지 않다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53857호(2018.05.24, 공개)
본 발명의 과제는 오염 기체의 실내 확산을 최소화해서 배기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하향식 후드 일체형 쿡탑용 상부 배기 구조물, 및 하향식 후드 일체형 쿡탑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하향식 후드 일체형 쿡탑용 상부 배기 구조물은 상하로 관통된 배기 통로를 갖고 싱크장의 상판 설치홀에 설치되는 쿡탑 본체와, 쿡탑 본체를 사용한 조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염 기체를 배기 통로를 통해 상방으로부터 흡입해서 하방으로 배출하도록 싱크장 내에 배치되는 후드를 포함하는 하향식 후드 일체형 쿡탑에 채용되는 것으로, 내부 공간을 갖고 하측에 배출구가 형성되며 배출구 주변 부위가 배기 통로의 상측에 둘레 방향으로 위치 조정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몸체관과, 몸체관에 서로 다른 높이로 형성되어 오염 기체를 흡입하는 흡입구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향식 후드 일체형 쿡탑은 상하로 관통된 배기 통로를 갖고 싱크장의 상판 설치홀에 설치되는 쿡탑 본체와, 쿡탑 본체를 사용한 조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염 기체를 배기 통로를 통해 상방으로부터 흡입해서 하방으로 배출하도록 싱크장 내에 배치되는 후드를 포함한다.
여기서, 후드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배기 통로의 상측에 결합되는 상부 배기 구조물과, 배기 통로로 유입된 오염 기체 중의 오염물질을 걸러내는 후드 필터와, 상측 개구를 통해 후드 필터를 수용하고 오염 기체로부터 생성된 응축수와 외부 이물질을 담는 드레인 박스와, 배기 통로의 하측 주변에 결합된 상태로 상측 개구를 통해 드레인 박스를 수용하고 드레인 박스를 거친 기체를 배기구를 통해 배출하는 후드 몸체와, 후드 몸체의 배기구로부터 배출되는 기체를 전달받는 후드 덕트, 및 후드 덕트에 흡입력을 발생시켜 후드 덕트 내의 기체를 흡입해서 배출하는 흡입 팬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부 배기 구조물은 쿡탑 본체에 탑재된 상태에서 다양한 높이의 조리용기 사용시 서로 다른 높이로 형성된 흡입구들을 통해 조리용기의 상측에 대응되게 근접시켜, 상승 기류의 오염 공기나 수증기와 같은 오염 기체를 효과적으로 흡입해서 배기 통로로 전달함으로써, 배기 성능을 높일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향식 후드 일체형 쿡탑은 쿡탑 본체를 사용한 조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염 기체를 싱크장 내의 후드에 의해 쿡탑 본체의 배기 통로를 통해 상방으로부터 흡입해서 하방으로 배출하므로, 오염 기체의 실내 확산을 최소화해서 배기 효율을 높일 수 있고, 미관상으로도 좋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하향식 후드 일체형 쿡탑은 싱크장의 위치, 높이, 구조 등 다양한 조건과 설치 현장 상황에 적합하게 설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향식 후드 일체형 쿡탑이 싱크장에 설치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하향식 후드 일체형 쿡탑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대한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후드 필터가 드레인 박스에 수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드레인 박스가 후드 몸체에 수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상부 배기 구조물이 쿡탑 본체에 배치된 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상부 배기 구조물의 하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상부 배기 구조물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7에 있어서, 상측 흡입구가 위치 조정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몸체관에 연장관이 연결되는 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대한 조립도이다.
도 13은 다른 예에 따른 상부 배기 구조물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있어서, 상측 흡입구가 위치 조정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5는 다른 예에 따른 상부 배기 구조물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상부 배기 구조물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5에 대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하며,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향식 후드 일체형 쿡탑이 싱크장에 설치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하향식 후드 일체형 쿡탑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대한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후드 필터가 드레인 박스에 수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드레인 박스가 후드 몸체에 수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향식 후드 일체형 쿡탑(1000)은 쿡탑 본체(100)와, 후드(200)를 포함한다.
쿡탑 본체(100)는 상하로 관통된 배기 통로(110)를 갖고 싱크장(10)의 상판 설치홀(11)에 설치된다. 쿡탑 본체(100)는 화구에 안착되는 조리용기에 열을 가하도록 구성된다. 쿡탑 본체(100)는 전기를 이용하는 전기쿡탑으로 구성된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가스를 이용하는 가스쿡탑 등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쿡탑 본체(100)는 싱크장(10)의 상판 설치홀(11)에 끼워져 상측 플랜지가 상판 설치홀(11)의 상측 주변을 따라 안착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쿡탑 본체(100)는 하부가 상판 설치홀(11)을 통해 싱크장(10) 내로 노출됨으로써, 배기 통로(110)를 싱크장(10) 내로 노출시킬 수 있다.
쿡탑 본체(100)가 좌,우측에 2개씩 화구(120)들을 갖는 경우, 배기 통로(110)는 좌측 화구와 우측 화구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배기 통로(110)는 상,하측 배기 통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측 배기 통로는 쿡탑 본체(100)의 상판에 형성된다. 상측 배기 통로는 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측 배기 통로는 쿡탑 본체(100)의 하측 몸체에 상측 배기 통로와 통하게 사각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배기 통로(110)는 쿡탑 본체(100)의 비유효 영역을 활용하여 좌,우측 화구(120)들 모두에 가깝게 위치됨으로써, 화구(120)들 주변으로부터 발생된 오염 기체를 효과적으로 상방으로부터 유입시켜 하방으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배기 통로(110)는 드레인 박스(230)가 상하로 출입할 수 있게 형성됨으로써, 드레인 박스(230)가 주기적으로 청소되어 관리될 수 있게 한다.
후드(200)는 쿡탑 본체(100)를 사용한 조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염 기체를 배기 통로(110)를 통해 상방으로부터 흡입해서 하방으로 배출하도록 싱크장(10) 내에 배치된다. 후드(200)는 상부 배기 구조물(210)과, 후드 필터(220)와, 드레인 박스(230)와, 후드 몸체(240)와, 후드 덕트(250), 및 흡입 팬(260)을 포함한다.
상부 배기 구조물(210)은 배기 통로(110)의 상측에 결합된다. 상부 배기 구조물(210)의 상세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후드 필터(220)는 배기 통로(110)로 유입된 오염 기체 중의 오염물질을 걸러낸다. 후드 필터(220)는 조리 과정에서 발생된 유증기를 흡착해서 제거할 수 있다. 후드 필터(220)는 사각 시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드레인 박스(230)는 상측 개구를 통해 후드 필터(220)를 수용하고 오염 기체로부터 생성된 응축수와 외부 이물질을 담는다. 드레인 박스(230)는 육면체 외관을 가질 수 있다. 드레인 박스(230)는 후드 필터(220)를 좌우 방향으로 경사지게 지지한 상태로 수용함으로써, 후드 필터(220)를 사이에 두고 기체 유입 공간(230a)과 기체 배출 공간(230b)으로 구획될 수 있다.
따라서, 배기 통로(110)로 유입된 오염 기체는 드레인 박스(230)의 기체 유입 공간(230a)으로 유입되어 후드 필터(220)를 거쳐 정화된 후 드레인 박스(230)의 기체 배출 공간(230b)으로 배출될 수 있다. 드레인 박스(230)는 전후 내면이 후드 필터(220)의 전후 부위를 밀착시킨 상태로 내부의 경사 리브(231)로 후드 필터(220)를 경사지게 지지하며, 내부 바닥의 끼움 홈(232)에 후드 필터(220)의 하측 부위를 끼워서 고정할 수 있다.
드레인 박스(230)는 기체 배출 공간(230b)을 형성하는 측면에 배기구(233)를 갖는다. 드레인 박스(230)는 기체 배출 공간(230b)의 바닥에 후드 필터(220)를 거친 응축수와 외부 이물질을 담는다. 드레인 박스(230)는 격벽(234)들에 의해 기체 배출 공간(230)의 내부 바닥을 구획해서 응축수와 외부 이물질을 담을 수 있다.
드레인 박스(230)는 기체 유입 공간(230a)을 형성하는 전,후면의 상측에 홀(235)을 각각 가질 수 있다. 이 홀(235)들은 배기 통로(110)로부터 드레인 박스(230)와 후드 몸체(240) 사이의 공간으로 흘러 들어온 오염 기체를 통과시켜 드레인 박스(230)의 기체 유입 공간(230a)으로 보낼 수 있게 한다.
후드 몸체(240)는 배기 통로(110)의 하측 주변에 결합된 상태로 상측 개구를 통해 드레인 박스(230)를 수용하고 드레인 박스(230)를 거친 기체를 배기구(241)를 통해 배출한다. 후드 몸체(240)는 좌,우면 중 어느 한쪽에 배기구(241)를 구비할 수 있다. 드레인 박스(230)는 해당 배기구(233)가 후드 몸체(240)의 배기구(241)와 통하게 위치되어 후드 몸체(240)에 수용될 수 있다.
후드 몸체(240)는 좌,우측 내면과 내부 바닥이 드레인 박스(230)의 좌,우측 외면과 외부 바닥을 밀착시켜 기밀을 유지하고, 전,후측 내면으로부터 지지 리브(242)들이 돌출되어 드레인 박스(230)의 전,후측 외면을 이격시켜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후드 몸체(240)는 드레인 박스(230)의 출입을 용이하게 함과 아울러, 배기 통로(110)로부터 흘러오는 오염 기체를 드레인 박스(230)의 기체 유입 공간(230a)으로 모두 유입시켜 후드 필터(220)를 거쳐 정화될 수 있게 한다.
쿡탑 본체(100)와 후드 몸체(240)의 결합 부위는 후드 몸체(240)의 배기구(241)가 좌,우면 중 어느 한쪽으로 선택되어 위치되더라도 상호 결합될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후드 몸체(240)는 배기 통로(110)의 하측 주변을 둘러싼 상태로 쿡탑 본체(100)의 결합부에 결합되는 상측 결합편(243)을 구비할 수 있다. 후드 몸체(240)의 상측 결합편(243)은 쿡탑 본체(100)의 결합부에 볼팅 결합될 수 있다. 후드 몸체(240)의 상측 결합편(243)에 형성된 볼팅 결합홀들도 전후좌우 대칭되게 배열되고, 쿡탑 본체(100)의 결합부에 형성된 볼팅 결합홀들은 전후좌우 대칭되게 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싱크장(10)의 위치, 높이, 구조 등의 조건에 따라 후드 몸체(240)의 배기구(241)가 좌우면 중 어느 한쪽으로 선택되어 위치되더라도, 후드 몸체(240)가 쿡탑 본체(100)에 결합될 수 있으므로, 후드 덕트(250)를 편리하게 위치 변경해서 설치할 수 있다.
후드 덕트(250)는 후드 몸체(240)의 배기구(241)로부터 배출되는 기체를 전달받는다. 후드 덕트(250)는 흡기 단이 후드 몸체(240)의 배기구(241)에 연결되고 배기 단이 흡입 팬(260)의 흡기구(261a)에 연결되어, 후드 몸체(240)와 흡입 팬(260) 사이에 기체 통로를 제공한다.
일 예로, 후드 덕트(250)는 수평 곡관 덕트(251)와, 상측 수직 곡관 덕트(252)와, 직관 덕트(253)와, 하측 수직 곡관 덕트(254), 및 팬 연결 덕트(255)를 포함할 수 있다.
수평 곡관 덕트(251)는 입구와 출구가 90도를 이루게 곡선으로 이어진 형태이다. 수평 곡관 덕트(251)는 출구가 후방에 위치된 상태로 입구가 측방으로 위치되어 후드 몸체(240)의 좌,우측 중 어느 한쪽의 배기구(241)와 연결될 수 있다. 수평 곡관 덕트(251)의 입구 플랜지(251a)는 후드 몸체(240)의 배기구 플랜지(241a)와 암수 끼움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후드 몸체(240)의 배기구 플랜지(241a)와 수평 곡관 덕트(251)의 입구 플랜지(251a)는 사각형으로 이루어져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수평 곡관 덕트(251)는 후드 몸체(240)의 배기구(241)가 좌우 위치 변경되더라도 좌우 대칭되게 배치되어 후드 몸체(240)와 연결될 수 있다. 후드 몸체(240)의 배기구 플랜지(241a)와 수평 곡관 덕트(251)의 입구 플랜지(251a)는 원형으로 이루어져 연결될 수도 있다.
상측 수직 곡관 덕트(252)는 입구와 출구가 90도를 이루게 곡선으로 이어진 형태이다. 상측 수직 곡관 덕트(252)는 출구가 하방에 위치된 상태로 입구가 전방으로 위치되어 수평 곡관 덕트(251)의 출구와 연결될 수 있다. 상측 곡관 덕트(252)의 입구 플랜지는 수평 곡관 덕트(251)의 출구 플랜지와 암수 끼움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직관 덕트(253)는 입구와 출구가 180도로 이루게 직선으로 이어진 형태이다. 직관 덕트(253)는 출구가 하방으로 위치된 상태로 입구가 상방에 위치되어 상측 수직 곡관 덕트(252)의 출구와 연결될 수 있다. 직관 덕트(253)의 입구 플랜지는 상측 수직 곡관 덕트(252)의 출구 플랜지와 암수 끼움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하측 수직 곡관 덕트(254)는 입구와 출구가 90도를 이루게 곡선으로 이어진 형태이다. 하측 수직 곡관 덕트(254)는 출구가 전방에 위치된 상태로 입구가 상방으로 위치되어 직관 덕트(253)의 출구와 연결될 수 있다. 하측 곡관 덕트(254)의 입구 플랜지는 직관 덕트(253)의 출구 플랜지와 암수 끼움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팬 연결 덕트(255)는 입구와 출구가 90도를 이루게 곡선으로 이어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팬 연결 덕트(255)는 출구가 하방에 위치된 상태로 입구가 후방으로 위치되어 하측 수직 곡관 덕트(254)의 출구와 연결될 수 있다. 팬 연결 덕트(255)의 입구 플랜지는 하측 수직 곡관 덕트(254)의 출구 플랜지와 암수 끼움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팬 연결 덕트(255)는 출구가 흡입 팬(260)의 흡기구(261a)와 연결된다. 팬 연결 덕트(255)의 출구 플랜지(255a)는 흡입 팬(260)의 팬 하우징(261)의 흡기구 플랜지(261b)를 감싸서 끼우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팬 연결 덕트(255)는 출구 플랜지(255a)로부터 결합편(255b)이 연장되고, 결합편(255b)이 팬 하우징(261)의 흡기구 플랜지(261b) 주변의 결합부(261c)에 볼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후드 덕트(250)는 싱크장(10) 내에서 후방으로 최대한 가깝게 배치되어 설치될 수 있으므로, 싱크장(10)의 내부 공간 활용을 좋게 할 수 있다.
흡입 팬(260)은 후드 덕트(250)에 흡입력을 발생시켜 후드 덕트(250) 내의 기체를 흡입해서 배출한다. 흡입 팬(260)은 싱크장(10)의 하측에 배치되어 싱크장(10)의 바닥판 개구를 통해 팬 연결 덕트(255)와 결합될 수 있다. 흡입 팬(260)은 팬 하우징(261)과, 임펠러(262), 및 회전 모터(263)를 포함한다.
팬 하우징(261)은 상면에 흡기구(261a)를 갖고, 전,후,좌,우면 중 어느 한쪽에 배기구(261d)를 가질 수 있다. 임펠러(262)는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팬 하우징(261)에 배치될 수 있다. 회전 모터(263)는 임펠러(262)의 하측에서 몸체가 팬 하우징(261)에 고정되고, 구동축이 임펠러(262)의 회전 중심에 고정되어 구동축의 회전력으로 임펠러(262)를 회전시킬 수 있다.
팬 하우징(261)과 후드 덕트(250)의 연결 부위는 팬 하우징(261)의 배기구(261d)가 전,후,좌,우면 중 어느 한쪽으로 선택되어 위치되더라도 상호 연결될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팬 하우징(261)은 정사각형 흡기구 플랜지(261b)의 주변에 결합부(261c)를 구비할 수 있다. 후드 덕트(250)의 팬 연결 덕트(255)는 정사각형 출구 플랜지(255a)로부터 연장된 결합편(255b)을 구비할 수 있다.
팬 하우징(261)의 결합부(261c)와 팬 연결 덕트(255)의 결합편(255b)은 볼팅 결합될 수 있다. 팬 하우징(261)의 결합부(261c)에 형성된 볼팅 결합홀들은 전후좌우 대칭되게 배열되고, 팬 연결 덕트(255)의 결합편(255b)에 형성된 볼팅 결합홀들도 전후좌우 대칭되게 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하향식 후드 일체형 쿡탑(1000)이 설치되는 현장의 외부 배기구가 어디에 위치하는지에 따라 팬 하우징(261)의 배기구(261d) 방향을 전,후,좌,우면 중 어느 한쪽으로 선택하여 흡입 팬(260)을 설치할 수 있다.
전술한 하향식 후드 일체형 쿡탑(1000)에 의하면, 쿡탑 본체(100)를 사용한 조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염 기체를 싱크장(10) 내의 후드(200)에 의해 쿡탑 본체(100)의 배기 통로(110)를 통해 상방으로부터 흡입해서 하방으로 배출하므로, 오염 기체의 실내 확산을 최소화해서 배기 효율을 높일 수 있고, 미관상으로도 좋게 설치할 수 있다.
도 7은 상부 배기 구조물이 쿡탑 본체에 배치된 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상부 배기 구조물의 하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상부 배기 구조물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7에 있어서, 상측 흡입구가 위치 조정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일 예에 따른 상부 배기 구조물(210)은 몸체관(211)과, 흡입구(216)들을 포함한다.
몸체관(211)은 내부 공간을 갖고 하측에 배출구(211a)가 형성되며, 배출구(211a) 주변 부위가 배기 통로(110)의 상측에 둘레 방향으로 위치 조정 가능하게 끼움 결합된다. 흡입구(216)들은 몸체관(211)에 서로 다른 높이로 형성되어 오염 기체를 흡입한다.
이러한 상부 배기 구조물(210)은 쿡탑 본체(100)에 탑재된 상태에서 다양한 높이의 조리용기(20) 사용시 서로 다른 높이로 형성된 흡입구(216)들을 통해 조리용기(20)의 상측에 대응되게 근접시켜, 상승 기류의 오염 공기나 수증기와 같은 오염 기체를 효과적으로 흡입해서 배기 통로(110)로 전달함으로써, 배기 성능을 높일 수 있게 한다.
몸체관(211)은 하측 몸체관(212)과, 상측 몸체관(213)을 포함할 수 있다. 하측 몸체관(212)은 배출구(211a)를 형성하는 하측 개구 주변 부위가 배기 통로(110)의 상측에 둘레 방향으로 위치 조정 가능하게 끼움 결합된다. 하측 몸체관(212)은 하측 부위의 내외벽이 원형으로 둘러진 형태로 이루어진다. 하측 몸체관(212)은 하단 내주를 따라 지지턱(212b)이 돌출되어 단차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측 몸체관(212)은 지지턱(212b)이 배기 통로(110)의 상측에 끼워진 상태에서 지지턱(212b)의 외벽이 배기 통로(110)의 내벽에 맞닿고 하단 외주 부위가 배기 통로(110)의 상측 주변에 안착된 상태로 둘레 방향으로 위치 조정될 수 있다. 그에 따라, 하측 몸체관(212)의 하측 흡입구(216a)가 둘레 방향으로 자유자재로 위치 조정될 수 있다.
하측 흡입구(216a)는 하측 몸체관(212)의 측면에 형성된다. 하측 흡입구(216a)는 1개로 구비되어 상하보다 좌우가 긴 형태로 이루어진다. 하측 몸체관(212)은 하측 흡입구(216a) 주변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하측 흡입관부(212a)를 구비할 수 있다.
하측 흡입관부(212a)는 외측으로 갈수록 내부 단면적이 동일하거나 넓어지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하측 몸체관(212)은 하측 흡입관부(212a)와 하측 흡입구(216a)를 통해 비교적 넓은 면적으로 오염 기체를 흡입하는 속도를 상승시켜 배기 성능을 높일 수 있다.
상측 몸체관(213)은 하측 몸체관(212)의 상측에 통하게 연결된다. 상측 몸체관(213)은 하측 몸체관(212)보다 작은 외경을 가질 수 있다. 상측 흡입구(216b)는 상측 몸체관(213)의 측면에 형성된다. 상측 흡입구(216b)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각각 상하보다 좌우가 긴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측 몸체관(213)의 둘레를 따라 동일한 높이로 90도 간격으로 배열된다. 상측 흡입구(216b)는 하측 흡입구(216a)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2개의 상측 흡입구(216b)들은 1개의 하측 흡입구(216a)와 함께 3방향으로 오염 기체를 흡입할 수 있게 한다. 상측 몸체관(213)은 상측 흡입구(216b)들 주변으로부터 각각 외측으로 연장된 상측 흡입관부(213a)들을 구비할 수 있다.
각각의 상측 흡입관부(213a)는 외측으로 갈수록 내부 단면적이 동일하거나 넓어지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측 몸체관(213)은 상측 흡입관부(213a)와 상측 흡입구(216b)를 통해 비교적 넓은 면적으로 오염 기체를 흡입하는 속도를 상승시켜 배기 성능을 높일 수 있다.
추가 양상으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몸체관(213)은 하측 몸체관(212)에 대해 둘레 방향으로 위치 조정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측 흡입구(216b)를 하측 흡입구(216a)에 대해 위치 조정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쿡탑 본체(100)의 좌,우측 화구 모두에 조리용기(20)들이 올려져 조리될 때 상측 흡입구(216b)와 하측 흡입구(216a)가 좌,우측 조리용기(20)에 근접하도록 위치 조정되어 오염 기체를 효과적으로 흡입해서 배기할 수 있다.
상측 몸체관(213)은 하측 부위의 내외벽이 원형으로 둘러진 형태로 이루어진다. 하측 몸체관(212)은 상단에 상측 몸체관(213)의 하측 부위를 둘레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끼우는 원형 끼움홀(212c)을 갖는다. 여기서, 상측 몸체관(213)은 하측 몸체관(212)에 기밀을 유지한 상태로 끼워져 회전할 수 있다.
추가 양상으로,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배기 구조물(21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장관(217)을 포함할 수 있다. 연장관(217)은 몸체관(211), 즉 하측 몸체관(212)의 하측에 선택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배기 통로(110)의 상측에 끼움 결합되어 흡입구(216)들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높이가 있는 조리용기(20)의 사용시, 연장관(217)은 하측 몸체관(212)의 하측에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흡입 구간을 보상함으로써 배기 성능을 높일 수 있게 한다.
연장관(217)은 원형 관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장관(217)은 상측 개구에 하측 몸체관(212)의 지지턱(212b)을 끼워서 지지할 수 있다. 연장관(217)은 하측 몸체관(212)의 하측 부위와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져 배기 통로(110)의 상측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연장관(217)은 각각 다른 길이로 마련되어 단독으로 또는 조합된 상태로 하측 몸체관(212)에 연결되어 흡입구(216)들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
도 13은 다른 예에 따른 상부 배기 구조물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있어서, 상측 흡입구가 위치 조정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다른 예에 따른 상부 배기 구조물(210')에서, 상,하측 흡입구(216b', 216a')는 1개씩 구비되어 상하보다 좌우가 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하측 흡입구(216b', 216a')는 2방향으로 오염 기체를 흡입할 수 있게 한다.
본 예의 하측 몸체관(212')과 하측 흡입구(216a')와 하측 흡입관부(212a')는 전술한 예의 하측 몸체관(212)과 하측 흡입구(216a)와 하측 흡입관부(212a)와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측 흡입구(216b')는 하측 흡입구(216a')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측 몸체관(213')은 상측 흡입구(216b') 주변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상측 흡입관부(213a')를 구비할 수 있다. 상측 흡입관부(213a')는 외측으로 갈수록 내부 단면적이 동일하거나 넓어지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측 몸체관(213')은 하측 몸체관(212')보다 작은 외경을 갖고 하측 몸체관(212')의 상측에 통하게 연결된다. 전술한 예와 같이, 상측 몸체관(213')이 하측 몸체관(212')에 대해 둘레 방향으로 위치 조정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측 흡입구(216b')를 하측 흡입구(216a')에 대해 위치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예의 연장관(217)이 하측 몸체관(212')의 하측에 선택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배기 통로(110)의 상측에 끼움 결합되어 상,하측 흡입구(216b', 216a')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
도 15는 다른 예에 따른 상부 배기 구조물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상부 배기 구조물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5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또 다른 예에 따른 상부 배기 구조물(210")에서, 몸체관(211")은 몸체관 베이스(212")와, 커버(213")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관 베이스(212")는 하측 부위가 전술한 예의 하측 몸체관(212)의 하측 부위와 동일한 형태로 배기 통로(110)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몸체관 베이스(212")는 상단에 개구를 갖고 개구 주변이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진다.
커버(213")는 몸체관 베이스(212")의 상단 개구를 덮은 상태로 다양한 기계적 결합 구조로 결합될 수 있다. 커버(213")는 상면에 손잡이(213a")가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손으로 커버(213")의 손잡이(213a")를 쥐고서 상부 배기 구조물(210")을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다.
흡입구(216")들은 몸체관(211")의 둘레를 따라 90도 간격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된 제1,2,3,4 흡입구(216a", 216b", 216c", 216d")를 포함할 수 있다. 제1,3 흡입구(216a", 216c")는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고, 제2 흡입구(216b")는 제1,3 흡입구(216a", 216c")보다 높게 형성되며, 제4 흡입구(216d")는 제1,3 흡입구(216a", 216c")보다 낮게 형성된다. 따라서, 다양한 높이의 조리용기 사용시, 제1,2,3,4 흡입구는 다양한 높이로 4방향으로 오염 기체를 흡입해서 배기 성능을 높일 수 있다.
제1,2,3,4 흡입구(216a", 216b", 216c", 216d")는 각각 몸체관 베이스(212")의 상단 개구 주변으로부터 상하보다 좌우가 긴 형태로 절개되고 절개 부위 상측이 커버(213")에 의해 덮여 사각형 홀을 이루게 형성될 수 있다. 제1,2,3,4 흡입구(216a", 216b", 216c", 216d")는 모두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예에 따른 상부 배기 구조물(210")도 전술한 예와 같이, 전술한 예의 연장관(217)이 몸체관 베이스(212")의 하측에 선택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배기 통로(110)의 상측에 끼움 결합되어 제1,2,3,4 흡입구(216a", 216b", 216c", 216d")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싱크장 20..벽체
21,,외부 배기구 100..쿡탑 본체
110..배기 통로 200..후드
210, 210', 210"..상부 배기 구조물
220..후드 필터 230..드레인 박스
240..후드 몸체 250..후드 덕트
260..흡입 팬

Claims (8)

  1. 상하로 관통된 배기 통로를 갖고 싱크장의 상판 설치홀에 설치되는 쿡탑 본체와, 상기 쿡탑 본체를 사용한 조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염 기체를 상기 배기 통로를 통해 상방으로부터 흡입해서 하방으로 배출하도록 싱크장 내에 배치되는 후드를 포함하는 하향식 후드 일체형 쿡탑에 채용되는 것으로,
    내부 공간을 갖고 하측에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 주변 부위가 상기 배기 통로의 상측에 둘레 방향으로 위치 조정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몸체관과,
    상기 몸체관에 서로 다른 높이로 형성되어 오염 기체를 흡입하는 흡입구들을 포함하며;
    상기 몸체관은 하측 개구 주변 부위가 상기 배기 통로의 상측에 둘레 방향으로 위치 조정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하측 몸체관과, 상기 하측 몸체관의 상측에 통하게 연결된 상측 몸체관을 포함하며;
    상기 흡입구들은 상기 하측 몸체관의 측면에 형성된 하측 흡입구와, 상기 상측 몸체관의 측면에 형성된 상측 흡입구를 포함하며;
    상기 하측 흡입구는 1개로 구비되어 상하보다 좌우가 긴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측 흡입구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각각 상하보다 좌우가 긴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측 몸체관의 둘레를 따라 동일한 높이로 90도 간격으로 배열되며;
    상기 하측 몸체관은 상기 하측 흡입구 주변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하측 흡입관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측 몸체관은 상기 상측 흡입구들 주변으로부터 각각 외측으로 연장된 상측 흡입관부들을 구비하며;
    상기 상측 몸체관은 상기 하측 몸체관에 대해 둘레 방향으로 위치 조정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상측 흡입구를 상기 하측 흡입구에 대해 위치 조정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식 후드 일체형 쿡탑용 상부 배기 구조물.
  2. 삭제
  3. 삭제
  4. 상하로 관통된 배기 통로를 갖고 싱크장의 상판 설치홀에 설치되는 쿡탑 본체와, 상기 쿡탑 본체를 사용한 조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염 기체를 상기 배기 통로를 통해 상방으로부터 흡입해서 하방으로 배출하도록 싱크장 내에 배치되는 후드를 포함하는 하향식 후드 일체형 쿡탑에 채용되는 것으로,
    내부 공간을 갖고 하측에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 주변 부위가 상기 배기 통로의 상측에 둘레 방향으로 위치 조정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몸체관과,
    상기 몸체관에 서로 다른 높이로 형성되어 오염 기체를 흡입하는 흡입구들을 포함하며;
    상기 몸체관은 하측 개구 주변 부위가 상기 배기 통로의 상측에 둘레 방향으로 위치 조정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하측 몸체관과, 상기 하측 몸체관의 상측에 통하게 연결된 상측 몸체관을 포함하며;
    상기 흡입구들은 상기 하측 몸체관의 측면에 형성된 하측 흡입구와, 상기 상측 몸체관의 측면에 형성된 상측 흡입구를 포함하며;
    상기 상,하측 흡입구는 1개씩 구비되어 상하보다 좌우가 긴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측 몸체관은 상기 하측 흡입구 주변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하측 흡입관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측 몸체관은 상기 상측 흡입구 주변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상측 흡입관부를 구비하며;
    상기 상측 몸체관은 상기 하측 몸체관에 대해 둘레 방향으로 위치 조정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상측 흡입구를 상기 하측 흡입구에 대해 위치 조정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식 후드 일체형 쿡탑용 상부 배기 구조물.
  5. 삭제
  6. 상하로 관통된 배기 통로를 갖고 싱크장의 상판 설치홀에 설치되는 쿡탑 본체와, 상기 쿡탑 본체를 사용한 조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염 기체를 상기 배기 통로를 통해 상방으로부터 흡입해서 하방으로 배출하도록 싱크장 내에 배치되는 후드를 포함하는 하향식 후드 일체형 쿡탑에 채용되는 것으로,
    내부 공간을 갖고 하측에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 주변 부위가 상기 배기 통로의 상측에 둘레 방향으로 위치 조정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몸체관과,
    상기 몸체관에 서로 다른 높이로 형성되어 오염 기체를 흡입하는 흡입구들을 포함하며;
    상기 몸체관은 하측 부위가 상기 배기 통로에 끼움 결합되고 상단에 개구를 갖고 개구 주변이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진 몸체관 베이스와, 상기 몸체관 베이스의 상단 개구를 덮은 상태로 결합되고 상면에 손잡이가 형성된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흡입구들은 상기 몸체관의 둘레를 따라 90도 간격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된 제1,2,3,4 흡입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1,3 흡입구는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고,
    상기 제2 흡입구는 상기 제1,3 흡입구보다 높게 형성되며,
    상기 제4 흡입구는 상기 제1,3 흡입구보다 낮게 형성되며,
    상기 제1,2,3,4 흡입구는 각각 상기 몸체관 베이스의 상단 개구 주변으로부터 상하보다 좌우가 긴 형태로 절개되고 절개 부위 상측이 상기 커버에 의해 덮여 사각형 홀을 이루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식 후드 일체형 쿡탑용 상부 배기 구조물.
  7. 제1항, 제4항,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관의 하측에 선택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상기 배기 통로의 상측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흡입구들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게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장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식 후드 일체형 쿡탑용 상부 배기 구조물.
  8. 상하로 관통된 배기 통로를 갖고 싱크장의 상판 설치홀에 설치되는 쿡탑 본체와, 상기 쿡탑 본체를 사용한 조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염 기체를 상기 배기 통로를 통해 상방으로부터 흡입해서 하방으로 배출하도록 싱크장 내에 배치되는 후드를 포함하며;
    상기 후드는,
    제1항, 제4항,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구성으로 이루어져 상기 배기 통로의 상측에 결합되는 상부 배기 구조물과,
    상기 상부 배기 구조물을 통해 상기 배기 통로로 유입된 오염 기체 중의 오염물질을 걸러내는 후드 필터와,
    상측 개구를 통해 상기 후드 필터를 수용하고 오염 기체로부터 생성된 응축수와 외부 이물질을 담는 드레인 박스와,
    상기 배기 통로의 하측 주변에 결합된 상태로 상측 개구를 통해 상기 드레인 박스를 수용하고 상기 드레인 박스를 거친 기체를 배기구를 통해 배출하는 후드 몸체와,
    상기 후드 몸체의 배기구로부터 배출되는 기체를 전달받는 후드 덕트, 및
    상기 후드 덕트에 흡입력을 발생시켜 상기 후드 덕트 내의 기체를 흡입해서 배출하는 흡입 팬을 포함하는 하향식 후드 일체형 쿡탑.
KR1020210157236A 2021-11-16 2021-11-16 하향식 후드 일체형 쿡탑용 상부 배기 구조물, 및 하향식 후드 일체형 쿡탑 KR1025433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7236A KR102543356B1 (ko) 2021-11-16 2021-11-16 하향식 후드 일체형 쿡탑용 상부 배기 구조물, 및 하향식 후드 일체형 쿡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7236A KR102543356B1 (ko) 2021-11-16 2021-11-16 하향식 후드 일체형 쿡탑용 상부 배기 구조물, 및 하향식 후드 일체형 쿡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1252A KR20230071252A (ko) 2023-05-23
KR102543356B1 true KR102543356B1 (ko) 2023-06-16

Family

ID=86544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7236A KR102543356B1 (ko) 2021-11-16 2021-11-16 하향식 후드 일체형 쿡탑용 상부 배기 구조물, 및 하향식 후드 일체형 쿡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335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4534740U (zh) * 2014-12-20 2015-08-05 杨国庆 无烟罩管式带滤油空气补进的吸油烟机
US20180073745A1 (en) * 2016-09-14 2018-03-15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Variable height downdraft built into cooking device
CN110160102A (zh) * 2019-06-13 2019-08-23 青岛兴邦电子电器有限公司 集成有电磁炉灶的下吸式油烟机
CN110397974B (zh) * 2019-07-16 2021-04-16 林庆森 二次引射吸油烟机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3956B1 (ko) 2016-11-14 2023-1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쿡탑 일체형 주방후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4534740U (zh) * 2014-12-20 2015-08-05 杨国庆 无烟罩管式带滤油空气补进的吸油烟机
US20180073745A1 (en) * 2016-09-14 2018-03-15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Variable height downdraft built into cooking device
CN110160102A (zh) * 2019-06-13 2019-08-23 青岛兴邦电子电器有限公司 集成有电磁炉灶的下吸式油烟机
CN110397974B (zh) * 2019-07-16 2021-04-16 林庆森 二次引射吸油烟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1252A (ko) 2023-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72835B1 (ko) 공기 청정기
KR100423361B1 (ko) 토네이도형 흡기·송풍장치
KR101934457B1 (ko) 환기 장치와 이를 포함한 환기 시스템
EP2196737B1 (en) Suction Hood
US9175861B2 (en) Cook top with a ventilation system and a blower mount therefor
KR20210090474A (ko) 환기장치와 이를 포함한 환기 시스템
CN111878867B (zh) 一种导风箱结构及应用有该导风箱结构的内循环吸油烟机
EP1672285B1 (en) Hood ventilation apparatus
JP2003207184A (ja) 給排型厨房換気装置の給気吹出し構造
KR102543356B1 (ko) 하향식 후드 일체형 쿡탑용 상부 배기 구조물, 및 하향식 후드 일체형 쿡탑
KR102526371B1 (ko) 하향식 후드 일체형 쿡탑
KR101985797B1 (ko) 환기 장치와 이를 포함한 환기 시스템
CN209445454U (zh) 一种吸油烟机
KR20230048828A (ko) 하향식 후드 일체형 쿡탑용 배기 보조기구, 및 하향식 후드 일체형 쿡탑
WO2006001065A1 (ja) 室内空気によるエアカーテンを形成するレンジフード
CN2898669Y (zh) 烹调烟气排除装置及包含该装置的一体式灶具
KR102331409B1 (ko) 와류형 흡입 장치
KR102663290B1 (ko) 배기장치
KR100664068B1 (ko) 배기 후드
KR102540638B1 (ko) 이중팬 및 그것을 구비한 주방배기장치
JP2002195622A (ja) 給排気装置
KR200388215Y1 (ko) 싱크대 환기장치
JP3458774B2 (ja) トルネード型吸気・送風装置
JP2001027434A (ja) トルネード型吸気・送風装置
KR20230084683A (ko) 이동식 후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