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8828A - 하향식 후드 일체형 쿡탑용 배기 보조기구, 및 하향식 후드 일체형 쿡탑 - Google Patents

하향식 후드 일체형 쿡탑용 배기 보조기구, 및 하향식 후드 일체형 쿡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8828A
KR20230048828A KR1020210131704A KR20210131704A KR20230048828A KR 20230048828 A KR20230048828 A KR 20230048828A KR 1020210131704 A KR1020210131704 A KR 1020210131704A KR 20210131704 A KR20210131704 A KR 20210131704A KR 20230048828 A KR20230048828 A KR 202300488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d
exhaust passage
cooktop
exhaust
s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17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민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츠
Priority to KR10202101317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48828A/ko
Publication of KR20230048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88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42Devices for removing cooking fum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ooking range e.g. downdra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35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71Removing cooking fumes mounting of cooking hoo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4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with heat radiated directly from the heating element
    • F24C7/046R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향식 후드 일체형 쿡탑용 배기 보조기구, 및 하향식 후드 일체형 쿡탑에 관한 것이다. 배기 보조기구는 상하로 관통된 배기 통로를 갖고 싱크장의 상판 설치홀에 설치되는 쿡탑 본체와, 쿡탑 본체를 사용한 조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염 기체를 배기 통로를 통해 상방으로부터 흡입해서 하방으로 배출하도록 싱크장 내에 배치되는 후드를 포함하는 하향식 후드 일체형 쿡탑에 채용되는 것으로, 내부 공간을 갖고 하측에 배출구가 형성되며 배출구 주변 부위가 배기 통로의 상측에 끼워져 결합되며 전,후,좌,우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흡입구가 형성된 보조기구 몸체와, 흡입구를 그릴 날개들로 다수 구획하는 그릴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하향식 후드 일체형 쿡탑용 배기 보조기구, 및 하향식 후드 일체형 쿡탑{Exhaust assist device for downdraft hood integral cooktop and downdraft hood integral cooktop}
본 발명은 조리시에 발생하는 오염 기체를 흡입해서 배출하는 후드가 일체로 구성된 쿡탑에 관한 기술이다.
쿡탑이란 캐비닛형 레인지를 의미하는 것으로, 전기를 이용하는 전기쿡탑과 가스를 이용하는 가스쿡탑 등이 있다. 주방에는 조리시 발생하는 수증기, 연기 및 냄새 등의 오염 기체를 흡입하여 실내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후드가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후드는 쿡탑의 상방에 일정 거리를 두어 배치되고, 내부 팬에 의해 흡기구로 오염 기체를 흡입해서 실외로 배출시킬 수 있다.
그런데, 조리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염 기체는 상방의 후드에 모두 흡입되는 것이 이상적이나, 후드의 흡기구는 쿡탑의 상방에 일정 거리를 두어 위치되기 때문에, 실제로 오염 기체 중 일부는 후드로 흡입되지 않고 후드와 쿡탑 사이의 개방 공간을 통해 실내로 확산된다. 다수 개의 화구가 형성되는 쿡탑의 경우에는 이러한 현상이 더 심화될 수 있다. 게다가, 쿡탑의 상방에 배치되는 후드는 많은 설치 공간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미관상 좋지 않다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53857호(2018.05.24, 공개)
본 발명의 과제는 오염 기체의 실내 확산을 최소화해서 배기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하향식 후드 일체형 쿡탑용 배기 보조기구, 및 하향식 후드 일체형 쿡탑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하향식 후드 일체형 쿡탑용 배기 보조기구는 상하로 관통된 배기 통로를 갖고 싱크장의 상판 설치홀에 설치되는 쿡탑 본체와, 쿡탑 본체를 사용한 조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염 기체를 배기 통로를 통해 상방으로부터 흡입해서 하방으로 배출하도록 싱크장 내에 배치되는 후드를 포함하는 하향식 후드 일체형 쿡탑에 채용되는 것으로, 내부 공간을 갖고 하측에 배출구가 형성되며 배출구 주변 부위가 배기 통로의 상측에 끼워져 결합되며 전,후,좌,우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흡입구가 형성된 보조기구 몸체와, 흡입구를 그릴 날개들로 다수 구획하는 그릴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향식 후드 일체형 쿡탑은 상하로 관통된 배기 통로를 갖고 싱크장의 상판 설치홀에 설치되는 쿡탑 본체와, 쿡탑 본체를 사용한 조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염 기체를 배기 통로를 통해 상방으로부터 흡입해서 하방으로 배출하도록 싱크장 내에 배치되는 후드를 포함한다.
여기서, 후드는 오염 기체를 통과시키는 통공들을 갖고 배기 통로의 상측을 덮는 후드 커버와, 후드 커버가 배기 통로의 상측으로부터 탈거된 상태에서 배기 통로의 상측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배기 통로보다 높은 흡입구를 통해 오염 기체를 내부 공간으로 유입시켜 하측의 배출구를 통해 배기 통로로 배출하는 배기 보조기구와, 배기 통로로 유입된 오염 기체 중의 오염물질을 걸러내는 후드 필터와, 상측 개구를 통해 후드 필터를 수용하고 오염 기체로부터 생성된 응축수와 외부 이물질을 담는 드레인 박스와, 배기 통로의 하측 주변에 결합된 상태로 상측 개구를 통해 드레인 박스를 수용하고 드레인 박스를 거친 기체를 배기구를 통해 배출하는 후드 몸체와, 후드 몸체의 배기구로부터 배출되는 기체를 전달받는 후드 덕트, 및 후드 덕트에 흡입력을 발생시켜 후드 덕트 내의 기체를 흡입해서 배출하는 흡입 팬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기 보조기구는 높이가 있는 조리용기의 사용시 쿡탑 본체의 배기 통로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흡입구를 조리용기의 상측으로 근접시켜 상승 기류의 오염 공기나 수증기와 같은 오염 기체를 흡입해서 배기 통로로 전달함으로써, 배기 효율을 높일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향식 후드 일체형 쿡탑은 쿡탑 본체를 사용한 조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염 기체를 싱크장 내의 후드에 의해 쿡탑 본체의 배기 통로를 통해 상방으로부터 흡입해서 하방으로 배출하므로, 오염 기체의 실내 확산을 최소화해서 배기 효율을 높일 수 있고, 미관상으로도 좋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하향식 후드 일체형 쿡탑은 싱크장의 위치, 높이, 구조 등 다양한 조건과 설치 현장 상황에 적합하게 설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향식 후드 일체형 쿡탑이 싱크장에 설치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하향식 후드 일체형 쿡탑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대한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있어서, 후드 커버가 분리되어 배기 보조기구가 배기 통로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대한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후드 커버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배기 보조기구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9는 후드 필터가 드레인 박스에 수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드레인 박스가 후드 몸체에 수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하며,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향식 후드 일체형 쿡탑이 싱크장에 설치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하향식 후드 일체형 쿡탑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대한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있어서, 후드 커버가 분리되어 배기 보조기구가 배기 통로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대한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후드 커버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배기 보조기구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9는 후드 필터가 드레인 박스에 수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드레인 박스가 후드 몸체에 수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향식 후드 일체형 쿡탑(1000)은 쿡탑 본체(100)와, 후드(200)를 포함한다.
쿡탑 본체(100)는 상하로 관통된 배기 통로(110)를 갖고 싱크장(10)의 상판 설치홀(11)에 설치된다. 쿡탑 본체(100)는 화구에 안착되는 조리용기에 열을 가하도록 구성된다. 쿡탑 본체(100)는 전기를 이용하는 전기쿡탑으로 구성된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가스를 이용하는 가스쿡탑 등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쿡탑 본체(100)는 싱크장(10)의 상판 설치홀(11)에 끼워져 상측 플랜지가 상판 설치홀(11)의 상측 주변을 따라 안착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쿡탑 본체(100)는 하부가 상판 설치홀(11)을 통해 싱크장(10) 내로 노출됨으로써, 배기 통로(110)를 싱크장(10) 내로 노출시킬 수 있다.
쿡탑 본체(100)가 좌,우측에 2개씩 화구(120)들을 갖는 경우, 배기 통로(110)는 좌측 화구와 우측 화구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배기 통로(110)는 일정한 좌우 길이로 전후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배기 통로(110)는 좌우 길이가 전후 길이보다 짧게 설정될 수 있다. 배기 통로(110)는 전후좌우로 대칭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배기 통로(110)는 상,하측 배기 통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측 배기 통로는 쿡탑 본체(100)의 상판에 형성된다. 상측 배기 통로는 전후 부위가 볼록하게 곡면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측 배기 통로는 쿡탑 본체(100)의 하측 몸체에 상측 배기 통로와 통하게 사각홀 형태로 이루어진다. 하측 배기 통로는 상측 배기 통로의 좌우 길이와 동일한 좌우 길이를 갖고, 상측 배기 통로의 최대 전후 길이와 동일한 전후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배기 통로(110)는 쿡탑 본체(100)의 비유효 영역을 활용하여 좌,우측 화구(120)들 모두에 가깝게 위치됨으로써, 화구(120)들 주변으로부터 발생된 오염 기체를 효과적으로 상방으로부터 유입시켜 하방으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배기 통로(110)는 드레인 박스(230)가 상하로 출입할 수 있게 형성됨으로써, 드레인 박스(230)가 주기적으로 청소되어 관리될 수 있게 한다.
후드(200)는 쿡탑 본체(100)를 사용한 조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염 기체를 배기 통로(110)를 통해 상방으로부터 흡입해서 하방으로 배출하도록 싱크장(10) 내에 배치된다. 후드(200)는 후드 커버(210)와, 배기 보조 기구(216)와, 후드 필터(220)와, 드레인 박스(230)와, 후드 몸체(240)와, 후드 덕트(250), 및 흡입 팬(260)을 포함한다.
후드 커버(210)는 오염 기체를 통과시키는 통공(211)들을 갖고 배기 통로(110)의 상측을 덮는다. 후드 커버(210)는 상방으로부터 배기 통로(110)에 분리 가능하게 끼워진다. 후드 커버(210)는 상방으로부터 배기 통로(110)에 끼워져 상측 턱(212)이 배기 통로(110)의 상측 주변을 따라 안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
후드 커버(210)는 배기 통로(110)의 상측을 덮은 상태로 배기 통로(110) 하측의 드레인 박스(230)를 가릴 수 있게 한다. 후드 커버(210)는 배기 통로(110)로부터 상방으로 분리된 상태로 배기 통로(110)에 대한 드레인 박스(230)의 출입을 가능하게 한다.
후드 커버(210)는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 폭으로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외측 공간을 갖고, 중앙에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내측 공간을 갖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후드 커버(210)는 내측 공간의 중앙 상부가 막힌 형태로 이루어진다. 후드 커버(210)는 내측 공간과 외측 공간의 경계 부위에 통공(211)들이 형성되고, 외측 공간의 외주 부위와 하부에 통공(211)들이 형성되어 오염 기체를 통과시킨다. 후드 커버(210)는 외측 공간의 외주 부위가 배기 통로(110)의 내벽으로부터 이격되게 형성되어 오염 기체를 통과시킬 수 있다.
후드 커버(210)는 내측 공간과 외측 공간의 경계 부위에 세로 격자로 통공(211)들이 형성되고, 외측 공간의 외주 부위에 세로 격자로 통공(211)들이 형성되며, 외측 공간의 하부에 원형 통공(211)들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통공(211)들은 예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후드 커버(210)는 전후좌우로 대칭되는 배기 통로(110)에 맞춰 전후좌우로 대칭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배기 보조기구(216)는 후드 커버(210)가 배기 통로(110)의 상측으로부터 탈거된 상태에서 배기 통로(110)의 상측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배기 통로(110)보다 높은 흡입구(217a)를 통해 오염 기체를 내부 공간으로 유입시켜 하측의 배출구(217b)를 통해 배기 통로(110)로 배출한다.
배기 보조기구(216)는 보조기구 몸체(217)와, 그릴(218)을 포함할 수 있다. 보조기구 몸체(217)는 내부 공간을 갖고 하측에 배출구(217b)가 형성되며 배출구(217b) 주변 부위가 배기 통로(110)의 상측에 끼워져 결합되며 전,후,좌,우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흡입구(217a)가 형성된다.
보조기구 몸체(217)는 흡입구(217a)와 배출구(217b)를 제외한 부위가 막힌 형태로 이루어진다. 보조기구 몸체(217)는 하단 내주를 따라 지지턱(217c)이 돌출되어 단차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조기구 몸체(217)는 지지턱(217c)이 배기 통로(110)의 상측에 끼워진 상태에서 지지턱(217c)의 외벽이 배기 통로(110)의 내벽에 맞닿고 하단 외주 부위가 배기 통로(110)의 상측 주변에 안착됨으로써, 배기 보조기구(216)가 배기 통로(110)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게 한다.
보조기구 몸체(217)는 상방으로 갈수록 좌우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져 쿡탑 본체(110) 상의 조리용기와 간격을 넓힐 수 있다. 보조기구 몸체(217)는 모서리가 라운딩 처리되며, 전후 부위가 볼록하게 곡면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조기구 몸체(217)는 내부 격벽에 의해 전,후 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
보조기구 몸체(217)는 좌면과 전후면 일부에 걸쳐 흡입구(217a)가 형성되고 우면과 전후면 일부에 걸쳐 흡입구(217a)가 형성될 수 있다. 흡입구(217a)들은 보조기구 몸체(217)의 상측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배기 보조기구(216)는 좌,우측 화구(120)들 사이에 배치되어 좌,우측으로부터 오염 기체를 상방으로부터 유입시켜 하방으로 배출할 수 있다.
보조기구 몸체(217)는 전후로 대칭되고 좌우로 대칭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보조기구 몸체(217)와 배기 통로(110)의 결합 부위는 보조기구 몸체(217)의 좌우 위치 변경 가능하게 전후좌우 대칭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배기 보조기구(216)는 좌우 위치에 무관하게 배기 통로(110)에 편리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릴(218)은 흡입구(217a)를 그릴 날개(218a)들로 다수 구획한다. 그릴 날개(218a)들은 상하로 배열되어 흡입구(217a)를 상하로 구획할 수 있다. 그릴 날개(218a)들은 등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그릴 날개(218a)들은 보조기구 몸체(217)에 일체로 형성되어 고정될 수 있다.
그릴 날개(218a)들은 상승 기류의 오염 공기나 수증기와 같은 오염 기체를 흡입구(217a)로 원활하게 유입시키도록 외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그릴 날개(218a)들은 상하로 배열된 상태로 각각 상하 틸트 가능하게 흡입구(217a) 주변에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그릴 날개(218a)들은 상하 틸트 각도가 조절 가능하게 되어 오염 기체의 흡입 방향을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배기 보조기구(216)는 높이가 있는 조리용기의 사용시 쿡탑 본체(100)의 배기 통로(110)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흡입구(217a)를 조리용기의 상측으로 근접시켜 상승 기류의 오염 공기나 수증기와 같은 오염 기체를 흡입해서 배기 통로(110)로 전달함으로써, 배기 효율을 높일 수 있게 한다.
후드 필터(220)는 배기 통로(110)로 유입된 오염 기체 중의 오염물질을 걸러낸다. 후드 필터(220)는 조리 과정에서 발생된 유증기를 흡착해서 제거할 수 있다. 후드 필터(220)는 사각 시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드레인 박스(230)는 상측 개구를 통해 후드 필터(220)를 수용하고 오염 기체로부터 생성된 응축수와 외부 이물질을 담는다. 드레인 박스(230)는 육면체 외관을 가질 수 있다. 드레인 박스(230)는 후드 필터(220)를 좌우 방향으로 경사지게 지지한 상태로 수용함으로써, 후드 필터(220)를 사이에 두고 기체 유입 공간(230a)과 기체 배출 공간(230b)으로 구획될 수 있다.
따라서, 배기 통로(110)로 유입된 오염 기체는 드레인 박스(230)의 기체 유입 공간(230a)으로 유입되어 후드 필터(220)를 거쳐 정화된 후 드레인 박스(230)의 기체 배출 공간(230b)으로 배출될 수 있다. 드레인 박스(230)는 전후 내면이 후드 필터(220)의 전후 부위를 밀착시킨 상태로 내부의 경사 리브(231)로 후드 필터(220)를 경사지게 지지하며, 내부 바닥의 끼움 홈(232)에 후드 필터(220)의 하측 부위를 끼워서 고정할 수 있다.
드레인 박스(230)는 기체 배출 공간(230b)을 형성하는 측면에 배기구(233)를 갖는다. 드레인 박스(230)는 기체 배출 공간(230b)의 바닥에 후드 필터(220)를 거친 응축수와 외부 이물질을 담는다. 드레인 박스(230)는 격벽(234)들에 의해 기체 배출 공간(230)의 내부 바닥을 구획해서 응축수와 외부 이물질을 담을 수 있다.
드레인 박스(230)는 기체 유입 공간(230a)을 형성하는 전,후면의 상측에 홀(235)을 각각 가질 수 있다. 이 홀(235)들은 배기 통로(110)로부터 드레인 박스(230)와 후드 몸체(240) 사이의 공간으로 흘러 들어온 오염 기체를 통과시켜 드레인 박스(230)의 기체 유입 공간(230a)으로 보낼 수 있게 한다.
후드 몸체(240)는 배기 통로(110)의 하측 주변에 결합된 상태로 상측 개구를 통해 드레인 박스(230)를 수용하고 드레인 박스(230)를 거친 기체를 배기구(241)를 통해 배출한다. 후드 몸체(240)는 좌,우면 중 어느 한쪽에 배기구(241)를 구비할 수 있다. 드레인 박스(230)는 해당 배기구(233)가 후드 몸체(240)의 배기구(241)와 통하게 위치되어 후드 몸체(240)에 수용될 수 있다.
후드 몸체(240)는 좌,우측 내면과 내부 바닥이 드레인 박스(230)의 좌,우측 외면과 외부 바닥을 밀착시켜 기밀을 유지하고, 전,후측 내면으로부터 지지 리브(242)들이 돌출되어 드레인 박스(230)의 전,후측 외면을 이격시켜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후드 몸체(240)는 드레인 박스(230)의 출입을 용이하게 함과 아울러, 배기 통로(110)로부터 흘러오는 오염 기체를 드레인 박스(230)의 기체 유입 공간(230a)으로 모두 유입시켜 후드 필터(220)를 거쳐 정화될 수 있게 한다.
쿡탑 본체(100)와 후드 몸체(240)의 결합 부위는 후드 몸체(240)의 배기구(241)가 좌,우면 중 어느 한쪽으로 선택되어 위치되더라도 상호 결합될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후드 몸체(240)는 배기 통로(110)의 하측 주변을 둘러싼 상태로 쿡탑 본체(100)의 결합부에 결합되는 상측 결합편(243)을 구비할 수 있다. 후드 몸체(240)의 상측 결합편(243)은 쿡탑 본체(100)의 결합부에 볼팅 결합될 수 있다. 후드 몸체(240)의 상측 결합편(243)에 형성된 볼팅 결합홀들도 전후좌우 대칭되게 배열되고, 쿡탑 본체(100)의 결합부에 형성된 볼팅 결합홀들은 전후좌우 대칭되게 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싱크장(10)의 위치, 높이, 구조 등의 조건에 따라 후드 몸체(240)의 배기구(241)가 좌우면 중 어느 한쪽으로 선택되어 위치되더라도, 후드 몸체(240)가 쿡탑 본체(100)에 결합될 수 있으므로, 후드 덕트(250)를 편리하게 위치 변경해서 설치할 수 있다.
후드 덕트(250)는 후드 몸체(240)의 배기구(241)로부터 배출되는 기체를 전달받는다. 후드 덕트(250)는 흡기 단이 후드 몸체(240)의 배기구(241)에 연결되고 배기 단이 흡입 팬(260)의 흡기구(261a)에 연결되어, 후드 몸체(240)와 흡입 팬(260) 사이에 기체 통로를 제공한다.
일 예로, 후드 덕트(250)는 수평 곡관 덕트(251)와, 상측 수직 곡관 덕트(252)와, 직관 덕트(253)와, 하측 수직 곡관 덕트(254), 및 팬 연결 덕트(255)를 포함할 수 있다.
수평 곡관 덕트(251)는 입구와 출구가 90도를 이루게 곡선으로 이어진 형태이다. 수평 곡관 덕트(251)는 출구가 후방에 위치된 상태로 입구가 측방으로 위치되어 후드 몸체(240)의 좌,우측 중 어느 한쪽의 배기구(241)와 연결될 수 있다. 수평 곡관 덕트(251)의 입구 플랜지(251a)는 후드 몸체(240)의 배기구 플랜지(241a)와 암수 끼움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후드 몸체(240)의 배기구 플랜지(241a)와 수평 곡관 덕트(251)의 입구 플랜지(251a)는 사각형으로 이루어져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수평 곡관 덕트(251)는 후드 몸체(240)의 배기구(241)가 좌우 위치 변경되더라도 좌우 대칭되게 배치되어 후드 몸체(240)와 연결될 수 있다. 후드 몸체(240)의 배기구 플랜지(241a)와 수평 곡관 덕트(251)의 입구 플랜지(251a)는 원형으로 이루어져 연결될 수도 있다.
상측 수직 곡관 덕트(252)는 입구와 출구가 90도를 이루게 곡선으로 이어진 형태이다. 상측 수직 곡관 덕트(252)는 출구가 하방에 위치된 상태로 입구가 전방으로 위치되어 수평 곡관 덕트(251)의 출구와 연결될 수 있다. 상측 곡관 덕트(252)의 입구 플랜지는 수평 곡관 덕트(251)의 출구 플랜지와 암수 끼움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직관 덕트(253)는 입구와 출구가 180도로 이루게 직선으로 이어진 형태이다. 직관 덕트(253)는 출구가 하방으로 위치된 상태로 입구가 상방에 위치되어 상측 수직 곡관 덕트(252)의 출구와 연결될 수 있다. 직관 덕트(253)의 입구 플랜지는 상측 수직 곡관 덕트(252)의 출구 플랜지와 암수 끼움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하측 수직 곡관 덕트(254)는 입구와 출구가 90도를 이루게 곡선으로 이어진 형태이다. 하측 수직 곡관 덕트(254)는 출구가 전방에 위치된 상태로 입구가 상방으로 위치되어 직관 덕트(253)의 출구와 연결될 수 있다. 하측 곡관 덕트(254)의 입구 플랜지는 직관 덕트(253)의 출구 플랜지와 암수 끼움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팬 연결 덕트(255)는 입구와 출구가 90도를 이루게 곡선으로 이어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팬 연결 덕트(255)는 출구가 하방에 위치된 상태로 입구가 후방으로 위치되어 하측 수직 곡관 덕트(254)의 출구와 연결될 수 있다. 팬 연결 덕트(255)의 입구 플랜지는 하측 수직 곡관 덕트(254)의 출구 플랜지와 암수 끼움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팬 연결 덕트(255)는 출구가 흡입 팬(260)의 흡기구(261a)와 연결된다. 팬 연결 덕트(255)의 출구 플랜지(255a)는 흡입 팬(260)의 팬 하우징(261)의 흡기구 플랜지(261b)를 감싸서 끼우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팬 연결 덕트(255)는 출구 플랜지(255a)로부터 결합편(255b)이 연장되고, 결합편(255b)이 팬 하우징(261)의 흡기구 플랜지(261b) 주변의 결합부(261c)에 볼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후드 덕트(250)는 싱크장(10) 내에서 후방으로 최대한 가깝게 배치되어 설치될 수 있으므로, 싱크장(10)의 내부 공간 활용을 좋게 할 수 있다.
흡입 팬(260)은 후드 덕트(250)에 흡입력을 발생시켜 후드 덕트(250) 내의 기체를 흡입해서 배출한다. 흡입 팬(260)은 싱크장(10)의 하측에 배치되어 싱크장(10)의 바닥판 개구를 통해 팬 연결 덕트(255)와 결합될 수 있다. 흡입 팬(260)은 팬 하우징(261)과, 임펠러(262), 및 회전 모터(263)를 포함한다.
팬 하우징(261)은 상면에 흡기구(261a)를 갖고, 전,후,좌,우면 중 어느 한쪽에 배기구(261d)를 가질 수 있다. 임펠러(262)는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팬 하우징(261)에 배치될 수 있다. 회전 모터(263)는 임펠러(262)의 하측에서 몸체가 팬 하우징(261)에 고정되고, 구동축이 임펠러(262)의 회전 중심에 고정되어 구동축의 회전력으로 임펠러(262)를 회전시킬 수 있다.
팬 하우징(261)과 후드 덕트(250)의 연결 부위는 팬 하우징(261)의 배기구(261d)가 전,후,좌,우면 중 어느 한쪽으로 선택되어 위치되더라도 상호 연결될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팬 하우징(261)은 정사각형 흡기구 플랜지(261b)의 주변에 결합부(261c)를 구비할 수 있다. 후드 덕트(250)의 팬 연결 덕트(255)는 정사각형 출구 플랜지(255a)로부터 연장된 결합편(255b)을 구비할 수 있다.
팬 하우징(261)의 결합부(261c)와 팬 연결 덕트(255)의 결합편(255b)은 볼팅 결합될 수 있다. 팬 하우징(261)의 결합부(261c)에 형성된 볼팅 결합홀들은 전후좌우 대칭되게 배열되고, 팬 연결 덕트(255)의 결합편(255b)에 형성된 볼팅 결합홀들도 전후좌우 대칭되게 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하향식 후드 일체형 쿡탑(1000)이 설치되는 현장의 외부 배기구가 어디에 위치하는지에 따라 팬 하우징(261)의 배기구(261d) 방향을 전,후,좌,우면 중 어느 한쪽으로 선택하여 흡입 팬(260)을 설치할 수 있다.
전술한 하향식 후드 일체형 쿡탑(1000)에 의하면, 쿡탑 본체(100)를 사용한 조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염 기체를 싱크장(10) 내의 후드(200)에 의해 쿡탑 본체(100)의 배기 통로(110)를 통해 상방으로부터 흡입해서 하방으로 배출하므로, 오염 기체의 실내 확산을 최소화해서 배기 효율을 높일 수 있고, 미관상으로도 좋게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싱크장 20..벽체
21,,외부 배기구 100..쿡탑 본체
110..배기 통로 200..후드
210..후드 커버 216..배기 보조기구
220..후드 필터 230..드레인 박스
240..후드 몸체 250..후드 덕트
260..흡입 팬

Claims (5)

  1. 상하로 관통된 배기 통로를 갖고 싱크장의 상판 설치홀에 설치되는 쿡탑 본체와, 상기 쿡탑 본체를 사용한 조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염 기체를 상기 배기 통로를 통해 상방으로부터 흡입해서 하방으로 배출하도록 싱크장 내에 배치되는 후드를 포함하는 하향식 후드 일체형 쿡탑에 채용되는 것으로,
    내부 공간을 갖고 하측에 배출구가 형성되며 배출구 주변 부위가 상기 배기 통로의 상측에 끼워져 결합되며 전,후,좌,우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흡입구가 형성된 보조기구 몸체와,
    상기 흡입구를 그릴 날개들로 다수 구획하는 그릴을 포함하는 하향식 후드 일체형 쿡탑용 배기 보조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기구 몸체와 배기 통로의 결합 부위는 상기 보조기구 몸체의 좌우 위치 변경 가능하게 전후좌우 대칭되는 형태로 이루어진 하향식 후드 일체형 쿡탑용 배기 보조기구.
  3. 상하로 관통된 배기 통로를 갖고 싱크장의 상판 설치홀에 설치되는 쿡탑 본체와, 상기 쿡탑 본체를 사용한 조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염 기체를 상기 배기 통로를 통해 상방으로부터 흡입해서 하방으로 배출하도록 싱크장 내에 배치되는 후드를 포함하며;
    상기 후드는,
    오염 기체를 통과시키는 통공들을 갖고 상기 배기 통로의 상측을 덮도록 형성된 후드 커버와,
    상기 후드 커버가 상기 배기 통로의 상측으로부터 탈거된 상태에서 상기 배기 통로의 상측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배기 통로보다 높은 흡입구를 통해 오염 기체를 내부 공간으로 유입시켜 하측의 배출구를 통해 상기 배기 통로로 배출하는 배기 보조기구와,
    상기 배기 통로로 유입된 오염 기체 중의 오염물질을 걸러내는 후드 필터와,
    상측 개구를 통해 상기 후드 필터를 수용하고 오염 기체로부터 생성된 응축수와 외부 이물질을 담는 드레인 박스와,
    상기 배기 통로의 하측 주변에 결합된 상태로 상측 개구를 통해 상기 드레인 박스를 수용하고 상기 드레인 박스를 거친 기체를 배기구를 통해 배출하는 후드 몸체와,
    상기 후드 몸체의 배기구로부터 배출되는 기체를 전달받는 후드 덕트, 및
    상기 후드 덕트에 흡입력을 발생시켜 상기 후드 덕트 내의 기체를 흡입해서 배출하는 흡입 팬을 포함하는 하향식 후드 일체형 쿡탑.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 보조기구는,
    내부 공간을 갖고 하측에 배출구가 형성되며 배출구 주변 부위가 상기 배기 통로의 상측에 끼워져 결합되며 전,후,좌,우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흡입구가 형성된 보조기구 몸체와,
    상기 흡입구를 그릴 날개들로 다수 구획하는 그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식 후드 일체형 쿡탑.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기구 몸체와 배기 통로의 결합 부위는 상기 보조기구 몸체의 좌우 위치 변경 가능하게 전후좌우 대칭되는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하향식 후드 일체형 쿡탑.
KR1020210131704A 2021-10-05 2021-10-05 하향식 후드 일체형 쿡탑용 배기 보조기구, 및 하향식 후드 일체형 쿡탑 KR202300488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1704A KR20230048828A (ko) 2021-10-05 2021-10-05 하향식 후드 일체형 쿡탑용 배기 보조기구, 및 하향식 후드 일체형 쿡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1704A KR20230048828A (ko) 2021-10-05 2021-10-05 하향식 후드 일체형 쿡탑용 배기 보조기구, 및 하향식 후드 일체형 쿡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8828A true KR20230048828A (ko) 2023-04-12

Family

ID=85984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1704A KR20230048828A (ko) 2021-10-05 2021-10-05 하향식 후드 일체형 쿡탑용 배기 보조기구, 및 하향식 후드 일체형 쿡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4882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3857A (ko) 2016-11-14 2018-05-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쿡탑 일체형 주방후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3857A (ko) 2016-11-14 2018-05-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쿡탑 일체형 주방후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72835B1 (ko) 공기 청정기
KR101934457B1 (ko) 환기 장치와 이를 포함한 환기 시스템
US6632132B1 (en) Tornado type intake and blowing device
ES2545632T3 (es) Placa de cocina con aspiración central hacia abajo de los vapores de cocina
CN107923631B (zh) 具有烹调区域和排烟设备的组合式装置
KR100367726B1 (ko) 조리장용의배기장치
JP3720452B2 (ja) レンジフードファン
US20190277521A1 (en) Cookware and exhaust device
KR20160089739A (ko) 국소배기장치
EP1672285B1 (en) Hood ventilation apparatus
KR20180011585A (ko) 국소배기장치 및 이를 사용한 영역배기장치
KR102526371B1 (ko) 하향식 후드 일체형 쿡탑
KR101985797B1 (ko) 환기 장치와 이를 포함한 환기 시스템
KR20230048828A (ko) 하향식 후드 일체형 쿡탑용 배기 보조기구, 및 하향식 후드 일체형 쿡탑
KR102556968B1 (ko) 와류형 국소배기장치
KR102543356B1 (ko) 하향식 후드 일체형 쿡탑용 상부 배기 구조물, 및 하향식 후드 일체형 쿡탑
CN209445454U (zh) 一种吸油烟机
CN217004599U (zh) 吸油烟装置及应用其的集成灶
WO2006001065A1 (ja) 室内空気によるエアカーテンを形成するレンジフード
KR200386369Y1 (ko) 신선공기 도입형 주방용 레인지후드
KR102317436B1 (ko) 미세먼지 저감 기능을 가지는 에너지 절약형 후드
KR102663290B1 (ko) 배기장치
JPH04292735A (ja) レンジフード
KR200388215Y1 (ko) 싱크대 환기장치
KR20060039358A (ko) 에어커튼부를 구비한 레인지 후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