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7436B1 - 미세먼지 저감 기능을 가지는 에너지 절약형 후드 - Google Patents

미세먼지 저감 기능을 가지는 에너지 절약형 후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7436B1
KR102317436B1 KR1020210068946A KR20210068946A KR102317436B1 KR 102317436 B1 KR102317436 B1 KR 102317436B1 KR 1020210068946 A KR1020210068946 A KR 1020210068946A KR 20210068946 A KR20210068946 A KR 20210068946A KR 102317436 B1 KR102317436 B1 KR 1023174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ort
housing body
discharge
exha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8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은
Original Assignee
조성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성은 filed Critical 조성은
Priority to KR10202100689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74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74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74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28Removing cooking fumes using an air curta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B01D46/0006Filter elements or cartridges installed in a drawer-like mann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35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56Heat recovery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흡입구를 이용하여 공기를 하방 영역으로부터 흡입하고 토출구를 이용하여 공기를 하방 영역의 주위 영역으로 토출하도록 구성되므로 배기에 기인한 감압 현상에 따라 외부로부터 미세먼지 따위가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방 영역의 오염물질(냄새, 연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이 확산되는 것을 보다 확실히 차단할 수 있고, 배기 덕트와 급기 덕트가 2중관 구조를 가져 급기 덕트를 따라 도입되는 공기(실외 공기)가 배기 덕트를 따라 배출되는 공기(실내 공기)와 열교환되므로 냉방 또는 난방에 소비되는 에너지를 크게 절감할 수 있는, 후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미세먼지 저감 기능을 가지는 에너지 절약형 후드 {ENERGY-SAVING TYPE HOOD SYSTEM HAVING FINE DUST REDUCTION FUNCTION}
본 발명의 실시예는 주로 오염물질이 발생하는 장소에서 배기를 수행하는 후드 또는 후드 시스템(hood system)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염물질(냄새, 연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이 다량으로 발생하는 장소에는 발생된 오염물질의 배출, 확산 방지 등을 위하여 후드가 설치된다. 후드는, 흡입구를 가진 하우징(housing) 및 하우징에 내장된 흡입 팬(suction fan)을 포함하고, 하우징에 배기 덕트(exhaust duct)가 연결됨으로써, 흡입 팬을 작동시키면 오염물질이 포함된 공기를 흡입구를 통하여 하우징의 내부로 흡입한 후 배기 덕트를 통하여 배출한다.
이와 같은 후드 또는 후드 시스템은, 주방에서 실내 공기를 배기하도록 적용된 경우, 배기 작동 과정에서 실내를 실외에 비하여 낮은 압력으로 유지(상대적 음압 분위기 조성)시킬 수 있기 때문에, 미세먼지 등의 실외 오염물질이 실외 공기와 함께 실내로 유입됨으로써, 실내를 오염시킬 수 있고, 냉난방 부하 증가에 따라 에너지 소비량이 크게 상승될 수 있다.
국내의 공개특허공보 제10-2002-0074300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39358호 및 등록특허공보 제10-0730403호에는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실내 공기의 배기 시에 급기도 수행하여 실외 공기를 실내로 도입하는 후드 또는 후드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이들 모두는, 실내 감압 및 이에 따른 실외 오염물질의 유입 문제는 해소할 수 있으나, 실외 공기가 실내로 다량으로 도입됨에 따라 냉난방 에너지 절감 면에서는 매우 불리할 수밖에 없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2-0074300호(2002.09.30.)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39358호(2006.05.08.)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30403호(2007.06.19.)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배기 시에 발생되는 감압 현상을 급기에 의하여 적극적으로 억제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냉방이나 난방에 소비되는 에너지를 크게 절감할 수 있는 후드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배기할 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질의 확산을 보다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는 후드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콤팩트(compact)화 및 배기 범위 확장을 함께 구현할 수 있는 후드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급기 시에 오염물질이 함께 도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후드를 제공하고자 한다.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언급되지 않은 기타 과제는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하의 기재로부터 명확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의 중앙에 공기를 하방 영역으로부터 흡입하는 흡입구가 마련되고, 상기 흡입구의 주위에 공기를 상기 하방 영역의 주위 영역으로 토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토출구가 마련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구획하여 상기 흡입구와 연통된 흡입 챔버(suction chamber) 및 상기 토출구와 연통된 토출 챔버(discharge chamber)를 제공하며, 상기 흡입 챔버와 연통된 배기구 및 상기 토출 챔버와 연통된 급기구를 제공하는 조인트 박스(joint box)를 가진 파티션 모듈(partition module)과; 상기 배기구에 연결된 배기 덕트 및 상기 급기구에 연결된 급기 덕트를 포함하는, 미세먼지 저감 기능을 가지는 에너지 절약형 후드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기 덕트 및 상기 급기 덕트는 적어도 일부가 2중관 구조를 가져 상기 급기 덕트를 따라 도입되는 공기(실외 공기일 수 있다.)가 상기 2중관 구조의 부분에서 상기 배기 덕트를 따라 배출되는 공기(실내 공기일 수 있다.)와 열교환되는, 미세먼지 저감 기능을 가지는 에너지 절약형 후드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조인트 박스는, 상기 배기구가 베이스 부분(base part)에 배치되고, 상기 급기구가 벽 부분에 배치되며, 상기 배기구와 대향하는 접속구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급기 덕트는 출구단이 상기 접속구에 접속되고, 상기 배기 덕트는 상기 급기 덕트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접속구를 통과하여 입구단이 상기 배기구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흡입구를 가지며, 상기 파티션 모듈에 의하여 구획된 상기 흡입 챔버와 상기 토출 챔버를 가진 하우징 보디(housing body)와; 상기 하우징 보디에 출몰(appearing and disappearing) 운동 방향에 따라 상기 토출 챔버에 수용되거나 상기 하우징 보디의 주위로 돌출될 수 있게 제공되고, 상기 토출 챔버와 연통된 토출 유로를 구비하며, 상기 토출 유로로부터의 공기를 토출하는 상기 토출구를 가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에어 디퓨저(air diffuser)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출몰 운동은, 수평 방향으로의 직선 왕복 운동일 수도 있고, 수평 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하는 왕복 각운동일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왕복 각운동을 위한 각도는 대략 90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저감 기능을 가지는 에너지 절약형 후드는 상기 토출구로 공급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filt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필터는 상기 급기구에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인트 박스는 상기 필터를 외부로부터 간편하고 신속하게 삽입하여 상기 급기구에 배치하기 위한 삽입구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과제의 해결 수단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 도면 등을 통하여 보다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될 것이다. 또한, 이하에서는 언급한 해결 수단 이외의 다양한 해결 수단이 추가로 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흡입구(101)를 이용하여 공기(오염물질이 포함된 실내 공기)를 하방 영역(1)으로부터 흡입하고, 토출구(102a, 102b)를 이용하여 공기(실외 공기)를 하방 영역의 주위 영역(2)으로 토출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므로, 배기에 기인한 감압 현상을 억제할 수 있고(즉, 평압으로 유지하여 배기 시에 원활한 배기 흐름을 유도할 수 있음), 나아가 감압 현상에 따라 외부(실외)로부터 유입되는 오염물질(미세먼지 등)의 양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하방 영역을 둘러싸는 입체적 형태의 에어 커튼(air curtain)을 제공하여 하방 영역의 오염물질이 주위로 확산되는 것을 보다 확실히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배기 덕트(800)와 급기 덕트(900)가 2중관 구조를 가진다. 예를 들어, 배기 덕트가 급기 덕트의 내부에 삽입된다. 따라서, 급기 덕트를 따라 도입되는 공기(실외 공기)가 배기 덕트를 따라 배출되는 공기(실내 공기)와 열교환되는바, 냉방 시 온도가 상대적으로 하강된 공기가 도입되고, 난방 시 온도가 상대적으로 상승된 공기가 도입되기 때문에, 냉방 또는 난방에 소비되는 에너지를 대폭으로 절감할 수 있다. 아울러, 배기 덕트(800)와 급기 덕트(900)가 2중관 구조를 가지는 것에 의하면, 열교환 구조의 단순화 및 콤팩트화를 구현할 수 있고, 열교환 구조를 저비용으로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하우징(100)의 내부가 흡입구(101)와 연통된 흡입 챔버(103) 및 토출구(102a, 102b)와 연통된 토출 챔버(104)로 구획되고, 배기 덕트(800) 및 급기 덕트(900)가 조인트 박스(500)를 매개로 흡입 챔버 및 토출 챔버와 각각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조인트 박스는 베이스 부분(510)의 배기구(501), 벽 부분(520)의 급기구(502) 및 배기구와 대향하는 접속구(503)를 가진다. 급기 덕트는 출구단이 접속구에 접속되고, 배기 덕트는 급기 덕트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접속구를 통과하여 입구단이 배기구에 접속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간단한 덕트 접속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입 공기와 배출 공기 간의 열교환 작용이 덕트의 거의 전체 구간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한층 향상된 열교환 효율을 보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하우징(100)이 하우징 보디(110) 및 에어 디퓨저(120)를 포함하고, 에어 디퓨저가 운동 방향에 따라 하우징 보디에 수납되거나 하우징 보디의 주위로 돌출될 수 있고 토출구(102b)를 가져 돌출 시 공기를 주위 영역(2)으로 토출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진다. 이에 따라, 비사용 시(운반, 설치, 작동 정지 등)에는 에어 디퓨저를 수납하여 콤팩트화를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 시(작동)에는 에어 디퓨저를 돌출시켜 하방 영역을 둘러싸는 에어 커튼의 크기를 확대시킬 수 있고, 이로써 배기 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급기 덕트(900)로부터의 공기(실외 공기)가 필터(300)에 의하여 정화되기 때문에, 오염물질의 제거가 이루어진 청정 공기를 주위 영역(2)으로 토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필터(300)를 외부로 노출된 삽입구(504)로 삽입하면 필터가 조인트 박스(500)의 급기구(502)에 배치되고, 삽입된 필터를 잡아당기면 필터가 조인트 박스로부터 빠진다. 이에, 하우징(100) 등을 분해하지 않고 필터를 간편, 신속하게 적용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언급되지 않은 기타 효과는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명확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각의 도면에 대한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후드가 도시된 사시도로, 도 1은 에어 디퓨저(120)가 수납되고 에어 필터(300)가 분리된 상태를 위에서 본 도면이고, 도 2 및 도 3은 에어 디퓨저(120)가 돌출된 상태를 각각 위 및 아래에서 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에어 디퓨저(120)가 돌출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6은 도 4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후드가 도시된 단면도로, 도 7은 에어 디퓨저(120)가 수납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8은 에어 디퓨저(120)가 돌출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이나 구성에 대한 구체적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 설명을 생략하고, 유사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은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 중 적어도 일부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한 것이기에 사용자, 운용자 의도,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용어에 대해서는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하는 때, 이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리고,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또는, 결합)된다고 하는 때, 이것은, 직접적으로 연결(또는, 결합)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부분을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또는, 결합)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한편, 도면에서 구성 요소의 크기나 형상, 선의 두께 등은 이해의 편의상 다소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저감 기능을 가지는 에너지 절약형 후드는 주로 오염물질 발생 장소에서 발생된 오염물질을 배출하고 발생된 오염물질의 확산을 방지할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장소에 설치될 수 있는 것이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흡입구를 가진 후드 본체가 가스 레인지(gas range), 인덕션 레인지(induction range), 오븐(oven) 등 조리 기구(cooking appliance)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주방 후드(kitchen hood)인 것을 중심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6에 본 발명의 제1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먼저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저감 기능을 가지는 에너지 절약형 후드(또는, 후드 시스템)는, 조리 기구의 상방에서 공기(검댕, 냄새, 연기, 기름 등의 오염물질이 포함된 실내 공기)를 하방 영역(1)으로부터 흡입하면서 공기(실외 공기)를 하방 영역(1)의 주위 영역(2)으로 토출할 수 있게 구성된 후드 본체(10)와; 후드 본체(10)에 의하여 하방 영역(1)으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 덕트(800)와; 주위 영역(2)으로 토출할 공기를 실외로부터 후드 본체(10)로 공급하기 위한 급기 덕트(900)를 포함한다.
후드 본체(10)는, 공기를 하방 영역(1)으로부터 흡입하는 흡입구(101) 및 공기를 주위 영역(2)으로 토출하는 토출구(102a, 102b)를 가진 하우징(100)과; 흡입구(101)로 흡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을 제거하는 흡입 필터(200) 또는 흡입 그릴(suction grill)과; 토출구(102a, 102b)로 공급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에어 필터(air filter, 300)와;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을 흡입구(101)와 연통된 흡입 챔버(103) 및 토출구(102a, 102b)와 연통된 토출 챔버(104)로 구획하는 파티션 모듈(400, 500)과; 흡입 챔버(103)에 제공된 흡입 팬(600) 및 토출 챔버(104)에 제공된 토출 팬(700)을 포함한다.
하우징(100)은, 하우징 보디(110) 및 에어 디퓨저(120)를 포함하고, 에어 디퓨저(120)가 하우징 보디(110)에 대하여 출몰 가능하게 제공되어 출몰 운동 방향에 따라 하우징 보디(110)에 수납되거나 하우징 보디(110)로부터 주위로 돌출될 수 있다.
하우징 보디(110)는 내부가 빈 사각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 보디(110)는 하부에 흡입구(101) 및 토출구(102a, 102b)로서 제1 토출구(102a)가 각각 마련된다. 흡입구(101) 및 제1 토출구(102a)는 각각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흡입구(101)는 하우징 보디(110)의 하부 중앙에 배치된다. 흡입구(101)는 사각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토출구(102a)는 하우징 보디(110)의 하부 가장자리에 배치된다. 제1 토출구(102a)는 2개가 흡입구(101)의 전후 양쪽을 각각 둘러싸는 형상으로 제공된다. 양쪽의 제1 토출구(102a)는 선형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 보디(110)의 내부는 파티션 모듈(400, 500)에 의하여 흡입 챔버(103)와 토출 챔버(104)로 구획된다. 파티션 모듈(400, 500)은 하우징 보디(110)의 내부에서 하우징 보디(110)의 하부 중 흡입구(101)를 포함하는 중앙 부분을 덮는 커버(cover) 구조의 파티션(400)을 포함한다. 파티션(400)에 의하면, 하우징 보디(110)는 내부가 파티션(400) 내측의 흡입 챔버(103)와 파티션(400) 외측의 토출 챔버(104)로 구획된다. 파티션 모듈(400, 500)은 흡입 챔버(103)와 연통된 배기구(501) 및 토출 챔버(104)와 연통된 급기구(502)를 제공하는 조인트 박스(500)를 더 포함한다. 배기 덕트(800)는 배기구(501)에 연결되고, 급기 덕트(900)는 급기구(502)에 연결된다.
파티션(400)의 중앙 부분에는 연통 개구(401)가 마련된다. 조인트 박스(500)는, 하측의 베이스 부분(510), 그리고 베이스 부분(510)의 가장자리 영역을 따라 세워진 벽 부분(520)을 포함한다. 베이스 부분(510)은 파티션(400)의 중앙 부분 상에 연통 개구(401)를 커버하도록 제공된다. 배기구(501)는 베이스 부분(510)에 연통 개구(401)와 대향하도록 마련된다. 연통 개구(401)와 연통하는 배기구(501)는 연통 개구(401)에 비하여 작은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급기구(502)는 벽 부분(520)에 마련된다. 급기구(502)는, 복수로 구비되고, 벽 부분(520)의 둘레를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조인트 박스(500)는 상측에서 배기구(501)와 대향하는 접속구(503)를 가진다. 조인트 박스(500)는 베이스 부분(510)의 맞은편을 덮는 커버 부분(530)을 더 포함한다. 조인트 박스(500)의 커버 부분(530)은, 별도로 제공될 수도 있고, 하우징 보디(110)의 상부에 제공될 수도 있다. 접속구(503)는 조인트 박스(500)의 커버 부분(530)에 배치된다.
배기 덕트(800) 및 급기 덕트(900)는 2중관 구조를 가지도록 구성되어, 급기 덕트(900)를 따라 도입되는 실외 공기는 배기 덕트(800)와 급기 덕트(900)가 2중관 구조를 가지도록 구성된 부분에서 배기 덕트(800)를 따라 배출되는 실내 공기와 열교환된다. 배기 덕트(800)는 열교환형의 덕트이다. 배기 덕트(800)는, 열교환 면적 증대를 위하여, 2중관 구조를 구성하는 부분의 일부 또는 전체가 주름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급기 덕트(900)는, 출구단이 접속구(503)에 접속되고, 실외로 연장되어 입구단이 실외에 배치될 수 있다. 배기 덕트(800)는, 급기 덕트(900)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접속구(503)를 통과하여 입구단이 배기구(501)에 접속되고, 실외로 연장되어 출구단이 실외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에서, 배기 덕트(800)와 급기 덕트(9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은 실외로 직접 연장되지 않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위한 배기 유로 또는 급기 유로를 실외와 연통시키는 구조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가 아파트 등 공동 주택에 설치되는 경우, 배기 덕트(800)는 공동 배기 관로(옥상 배기를 수행하려는 것일 수 있다.)를 향하여 연장되어 출구단이 공동 배기 관로에 연결될 수 있다. 급기 덕트(900)는 외벽을 관통하는 등 실외로 직접 연장되어 입구단이 실외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급기 덕트(900)는 공동 급기 관로(옥상 급기를 수행하려는 것일 수 있다.) 쪽으로 연장되어 입구단이 공동 배기 관로에 연결될 수 있다.
에어 디퓨저(120)는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에어 디퓨저(120)는 2개가 하우징 보디(110)의 좌우 양쪽으로 배치되고, 하우징 보디(110)의 좌우 양쪽에 해당하는 측부 각각에 마련된 출몰 개구를 통하여 하우징 보디(110)에 수납되거나 하우징 보디(110)로부터 주위로 돌출된다. 에어 디퓨저(120) 각각은, 하우징 보디(110)에 수납 시 토출 챔버(104)에 수용되는 디퓨저 보디(121)와; 디퓨저 보디(121)가 출몰 운동으로서 회전 운동을 수행할 수 있게 디퓨저 보디(121)에 회전 중심을 제공하는 힌지 핀(hinge pin, 125)을 포함한다.
디퓨저 보디(121)는 하우징 보디(110)에 수납 시 하우징 보디(110)의 출몰 개구를 폐쇄하는 차단 부재(122)를 가진다. 차단 부재(122)는, 에어 디퓨저(120)가 하우징 보디(110)에 수납된 때를 기준으로, 외부로 노출되는 전방의 표면 및 표면의 맞은편인 후방의 이면을 가진다. 에어 디퓨저(120)는, 하우징 보디(110)에 수납된 때를 기준으로, 차단 부재(122)의 하단 쪽인 제1 단부와 상단 쪽인 제2 단부 중 하단 쪽인 제1 단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되는바, 하우징 보디(110)에 수납된 경우에 차단 부재(122)가 세워지고, 하우징 보디(110)로부터 돌출된 경우에 차단 부재(122)가 눕혀져 차단 부재(122)의 정면이 하방을 향한다. 이를 위하여, 힌지 핀(125)은 차단 부재(122)의 제1 단부에 배치된다. 하우징 보디(110)의 출몰 개구의 하단 쪽에는 힌지 핀(125)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 지지 수단이 마련된다. 에어 디퓨저(120)는, 하우징 보디(110)에 수납된 때, 차단 부재(122)의 정면이 하우징 보디(110)의 표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제공될 수 있다.
디퓨저 보디(121)는, 곡면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된 후방 커버(123)와; 양쪽의 두 측방 커버(124)를 가진다. 후방 커버(123)는, 차단 부재(122)의 제2 단부로부터 차단 부재(122)의 후방으로 연장되고, 에어 디퓨저(120)의 출몰 시 하우징 보디(110)의 출몰 개구와의 간섭 방지를 위하여 힌지 핀(125)을 중심으로 하는 곡면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양쪽 두 측방 커버(124)는 차단 부재(122)와 후방 커버(123) 사이의 공간을 양옆에서 각각 차단하도록 제공된다.
이와 같은 디퓨저 보디(121)는 차단 부재(122), 후방 커버(123) 및 양쪽의 두 측방 커버(124)에 의하여 한정되어 일부가 개방된 내부 공간을 가진다. 디퓨저 보디(121)는 일부가 개방되어 토출 챔버(104)와 연통하는 내부 공간을 토출 유로(105)로 한다.
에어 디퓨저(120) 각각은 토출구(102a, 102b)로서 제2 토출구(102b)를 단수 또는 복수로 가진다. 제2 토출구(102b)는 차단 부재(122)에 배치된다. 두 에어 디퓨저(120)의 제2 토출구(102b)는, 하우징 보디(110)로부터 돌출된 때, 흡입구(101)의 좌우 양쪽을 각각 둘러싸는 형상으로 제공된다. 양쪽의 제2 토출구(102b)는 선형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저감 기능을 가지는 에너지 절약형 후드는 두 에어 디퓨저(120)의 출몰 작동을 위한 디퓨저 구동 유닛(130)을 더 포함한다. 디퓨저 구동 유닛(130)은 2개가 구비되고, 각각 두 에어 디퓨저(120)를 회전시킨다.
디퓨저 구동 유닛(130)은 에어 디퓨저(120)를 출몰 가능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면 어느 것이라도 채용될 수 있다. 일례로, 디퓨저 구동 유닛(130)은 래크(rack, 131), 피니언(pinion, 132) 및 모터(motor)를 포함할 수 있다. 래크(131)는, 후방 커버(123)의 외면에 제공되고, 후방 커버(123)의 곡면 구조를 따라 연장되어 힌지 핀(125)을 중심으로 하는 곡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피니언(132)은 래크(131)와 맞물린 상태로 하우징 보디(110)에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디퓨저 구동 유닛(130)은, 모터에 의하여 피니언(132)을 회전시키면, 에어 디퓨저(120)가 힌지 핀(125)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흡입 필터(200) 또는 흡입 그릴은 흡입구(101)에 제공될 수 있다. 조인트 박스(500)는 베이스 부분(510)과 마주 보는 커버 부분(530)이 하우징 보디(110)의 상측을 통하여 하우징 보디(110)의 외부로 노출된 구성을 가진다. 에어 필터(300)는, 급기구(502)와 동일 개수로 구비되고, 각각 급기구(502)에 제공되어 급기구(502)를 통과하는 공기를 정화한다. 조인트 박스(500)를 구성하는 커버 부분(530)에는 에어 필터(300) 각각을 하우징 보디(110)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삽입, 에어 필터(300) 각각을 조인트 박스(500)의 급기구(502)에 배치하기 위한 구멍 또는 통로로서 기능하는 삽입구(504)가 마련된다. 에어 필터(300)용 삽입구(504)에 의하면, 사용자 또는 작업자가 하우징(100) 등을 분해함이 없이, 에어 필터(300)를 간편, 신속하게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거니와, 적용된 에어 필터(300)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분리하여 유지, 보수(예: 교체, 세척 등)할 수 있다.
흡입 팬(600)과 토출 팬(700)은 각각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흡입 팬(600)으로는 축류 팬(axial-flow fan)이 적용되고, 토출 팬(700)으로는 횡류 팬(cross-flow fan)이 적용될 수 있다. 토출 팬(700)은, 2개가 구비되고, 에어 디퓨저(120)들이 하우징 보디(110)에 수납된 때, 각 에어 디퓨저(120)의 토출 유로(105)에 위치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배기를 위하여, 흡입 팬(600)이 작동되면, 하방 영역(1)의 실내 공기가 흡입구(101), 흡입 챔버(103) 및 연통 개구(401)를 차례로 경유하여 배기구(501)로 흡입된 후 배기 덕트(800)의 내부(배기 유로)를 따라 실외로 배출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급기를 위하여, 수납된 상태의 두 에어 디퓨저(120)가 디퓨저 구동 유닛(130)에 의하여 하우징 보디(110)의 좌우 양쪽으로부터 각각 돌출된 상태에서, 토출 팬(700)이 작동되면, 실외 공기가 급기 덕트(즉, 배기 덕트(800)와 급기 덕트(900) 사이의 공간인 급기 유로)를 따라 조인트 박스(500)의 내부로 도입된 다음 급기구(502), 토출 챔버(104) 및 토출구(102a, 102b)를 차례로 경유하여 주위 영역(2)으로 토출된다. 물론, 제2 토출구(102b)로 공급되는 실외 공기는 토출 챔버(104)로부터 에어 디퓨저(120) 내 토출 유로(105)를 더 경유한다.
배기와 급기를 함께 수행하면, 실내 공기가 하방 영역(1)으로부터 흡입되고, 실외 공기가 주위 영역(2)으로 토출되기 때문에, 하방 영역(1)을 둘러싸서 하방 영역(1) 내 오염물질이 주위로 확산되는 것을 저지하는 에어 커튼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급기 덕트(900)를 따라 도입되는 실외 공기가 배기 덕트(800)를 따라 배출되는 실내 공기와 열교환되므로, 에어 커튼의 경우, 실내 냉방 시에는 상대적으로 하강된 온도로 제공되고, 실내 난방 시에는 상대적으로 상승된 온도로 제공된다. 또, 두 에어 디퓨저(120)가 하우징 보디(110)의 좌우 양쪽으로부터 각각 돌출된 상태에서 실외 공기를 주위 영역(2)으로 토출하므로, 에어 커튼은 하우징 보디(110)의 좌우 크기에 비하여 확대된 좌우 크기를 가진다.
도 7, 도 8에 본 발명의 제2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저감 기능을 가지는 에너지 절약형 후드(또는, 후드 시스템)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볼 때, 기타 구성 및 작용은 모두 동일한 것에 대하여, 에어 디퓨저(120)와 토출 팬(700)만이 다소 상이하다.
이를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경우, 에어 디퓨저(120)는, 하우징 보디(110)에 수납된 때, 힌지 핀(125)을 가진 차단 부재(122)의 제1 단부가 상측으로 위치하고 차단 부재(122)의 제2 단부가 하측으로 위치하도록 설치됨으로써, 하우징 보디(110)에 수납 시 차단 부재(122)가 세워진 상태로 하우징 보디(110)의 출몰 개구를 폐쇄하고, 하우징 보디(110)로부터 돌출 시 차단 부재(122)가 눕혀져 차단 부재(122)의 정면이 상방을 향한다. 이러한 변경에 따라, 힌지 핀(125)을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회전 지지 수단은 하우징 보디(110)의 출몰 개구의 상단 쪽에 마련되고, 단수 또는 복수의 제2 토출구(102b)는 후방 커버(123)에 배치된다.
제2 토출구(102b)를 후방 커버(123)에 배치하면, 제2 토출구(102b)가 공기를 외측으로 경사진 방향으로 토출하는 구조를 가지도록 보다 용이하고 자연스럽게 마련할 수 있다. 제2 토출구(102b)로부터의 공기 토출 방향이 외측으로 경사지면, 에어 커튼의 좌우 크기를 보다 확대시킬 수 있다.
토출 팬(700)은 차단 부재(122), 후방 커버(123) 및 두 측방 커버(124)에 의하여 한정되어 일부분이 개방된 디퓨저 보디(121)의 내부 공간인 토출 유로(105)에 설치된다. 즉,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토출 팬(700)을 에어 디퓨저(120)와 모듈화한 것으로, 토출 팬(700)은 에어 디퓨저(120) 출몰 시 토출 유로(105)에 수용된 상태로 에어 디퓨저(120)와 함께 움직인다. 에어 디퓨저(120)와 토출 팬(700)의 모듈화에 의하면, 토출 팬(700)의 적용 및 유지 보수를 위한 작업 등을 보다 손쉽게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이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기술적 사상은, 각각 독립적으로 실시될 수도 있고, 둘 이상이 서로 조합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1: 후드 본체의 하방 영역
2: 하방 영역을 둘러싸는 주위 영역
10: 후드 본체
100: 하우징
101: 흡입구
102a: 제1 토출구
102b: 제2 토출구
103: 흡입 챔버
104: 토출 챔버
105: 토출 유로
110: 하우징 보디
120: 에어 디퓨저
130: 디퓨저 구동 유닛
200: 흡입 필터
300: 에어 필터
400: 파티션
500: 조인트 박스
501: 배기구
502: 급기구
503: 접속구
504: 삽입구
600: 흡입 팬
700: 토출 팬
800: 배기 덕트
900: 급기 덕트

Claims (4)

  1. 하부의 중앙에 공기를 하방 영역으로부터 흡입하는 흡입구가 마련되고, 상기 흡입구의 주위에 공기를 상기 하방 영역의 주위 영역으로 토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토출구가 마련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구획하여 상기 흡입구와 연통된 흡입 챔버 및 상기 토출구와 연통된 토출 챔버를 제공하며, 상기 흡입 챔버와 연통된 배기구 및 상기 토출 챔버와 연통된 급기구를 제공하는 조인트 박스를 가진 파티션 모듈과;
    상기 배기구에 연결된 배기 덕트 및 상기 급기구에 연결된 급기 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흡입구를 가지며, 상기 파티션 모듈에 의하여 구획된 상기 흡입 챔버와 상기 토출 챔버를 가진 하우징 보디와; 상기 하우징 보디에 운동 방향에 따라 상기 하우징 보디에 수납되어 상기 토출 챔버에 수용되거나 상기 하우징 보디의 주위로 돌출될 수 있게 제공되고, 상기 토출 챔버와 연통된 토출 유로를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 보디의 주위로 돌출된 때 상기 토출 유로로부터의 공기를 상기 주위 영역으로 토출하는 상기 토출구를 가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에어 디퓨저를 포함하며,
    상기 배기 덕트와 상기 급기 덕트가 2중관 구조를 가져 상기 급기 덕트를 따라 도입되는 공기가 상기 배기 덕트를 따라 배출되는 공기와 열교환되고,
    상기 에어 디퓨저가 디퓨저 구동 유닛에 의하여 상기 하우징 보디에 수납되거나 상기 하우징 보디의 주위로 돌출되는,
    미세먼지 저감 기능을 가지는 에너지 절약형 후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박스는, 상기 배기구가 베이스 부분에 배치되고, 상기 급기구가 벽 부분에 배치되며, 상기 배기구와 대향하는 접속구를 가지고,
    상기 급기 덕트는 출구단이 상기 접속구에 접속되며,
    상기 배기 덕트는 상기 급기 덕트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접속구를 통과하여 입구단이 상기 배기구에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저감 기능을 가지는 에너지 절약형 후드.
  3. 하부의 중앙에 공기를 하방 영역으로부터 흡입하는 흡입구가 마련되고, 상기 흡입구의 주위에 공기를 상기 하방 영역의 주위 영역으로 토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토출구가 마련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구획하여 상기 흡입구와 연통된 흡입 챔버 및 상기 토출구와 연통된 토출 챔버를 제공하며, 상기 흡입 챔버와 연통된 배기구 및 상기 토출 챔버와 연통된 급기구를 제공하는 파티션 모듈과; 상기 배기구에 연결된 배기 덕트 및 상기 급기구에 연결된 급기 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흡입구를 가지며, 상기 파티션 모듈에 의하여 구획된 상기 흡입 챔버와 상기 토출 챔버를 가진 하우징 보디와;
    상기 하우징 보디에 운동 방향에 따라 상기 하우징 보디에 수납되어 상기 토출 챔버에 수용되거나 상기 하우징 보디의 주위로 돌출될 수 있게 제공되고, 상기 토출 챔버와 연통된 토출 유로를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 보디의 주위로 돌출된 때 상기 토출 유로로부터의 공기를 상기 주위 영역으로 토출하는 상기 토출구를 가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에어 디퓨저를 포함하며,
    상기 에어 디퓨저가 디퓨저 구동 유닛에 의하여 상기 하우징 보디에 수납되거나 상기 하우징 보디의 주위로 돌출되는,
    미세먼지 저감 기능을 가지는 에너지 절약형 후드.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후드는 상기 토출구로 공급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필터는 상기 급기구에 제공되며,
    상기 조인트 박스는 상기 필터를 외부로부터 삽입하여 상기 급기구에 배치하기 위한 삽입구를 가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저감 기능을 가지는 에너지 절약형 후드.
KR1020210068946A 2021-05-28 2021-05-28 미세먼지 저감 기능을 가지는 에너지 절약형 후드 KR1023174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8946A KR102317436B1 (ko) 2021-05-28 2021-05-28 미세먼지 저감 기능을 가지는 에너지 절약형 후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8946A KR102317436B1 (ko) 2021-05-28 2021-05-28 미세먼지 저감 기능을 가지는 에너지 절약형 후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7436B1 true KR102317436B1 (ko) 2021-10-25

Family

ID=78258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8946A KR102317436B1 (ko) 2021-05-28 2021-05-28 미세먼지 저감 기능을 가지는 에너지 절약형 후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74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06507A1 (ko) * 2021-12-06 2023-06-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식 후드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63610A (ja) * 1997-08-12 1999-03-05 Toshikazu Kawai 局所換気装置
KR20020074300A (ko) 2001-03-20 2002-09-30 연규문 레인지후드 에어커튼
JP2003083573A (ja) * 2001-09-11 2003-03-19 Daikin Ind Ltd 分煙装置
KR20030044345A (ko) * 2001-11-29 2003-06-09 현대건설주식회사 이중관을 이용한 공기순환형 급배기용 포집 및 배출장치
KR20060039358A (ko) 2004-11-02 2006-05-0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에어커튼부를 구비한 레인지 후드
KR100730403B1 (ko) 2006-02-09 2007-06-19 (주)대성기연 레인지 후드
KR20110056404A (ko) * 2008-09-18 2011-05-27 베르링 게엠베하 배기 후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63610A (ja) * 1997-08-12 1999-03-05 Toshikazu Kawai 局所換気装置
KR20020074300A (ko) 2001-03-20 2002-09-30 연규문 레인지후드 에어커튼
JP2003083573A (ja) * 2001-09-11 2003-03-19 Daikin Ind Ltd 分煙装置
KR20030044345A (ko) * 2001-11-29 2003-06-09 현대건설주식회사 이중관을 이용한 공기순환형 급배기용 포집 및 배출장치
KR20060039358A (ko) 2004-11-02 2006-05-0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에어커튼부를 구비한 레인지 후드
KR100730403B1 (ko) 2006-02-09 2007-06-19 (주)대성기연 레인지 후드
KR20110056404A (ko) * 2008-09-18 2011-05-27 베르링 게엠베하 배기 후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06507A1 (ko) * 2021-12-06 2023-06-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식 후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936439B (zh) 空调设备
KR100708358B1 (ko) 송풍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공기 조화기
KR101250062B1 (ko) 환기장치
KR20130054722A (ko) 환기 장치와 이를 포함한 환기 시스템
US20050287945A1 (en) Ventilating system
KR102317436B1 (ko) 미세먼지 저감 기능을 가지는 에너지 절약형 후드
CN213713289U (zh) 空气处理装置、空调室内机和空调器
KR100770710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867953B1 (ko) 공기조화기
KR20050111161A (ko) 환기시스템
KR20050010363A (ko) 환기기능을 갖춘 공기청정장치
KR100773692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흡입/토출 플랩 구조
JPH04292735A (ja) レンジフード
KR20210073016A (ko) 공기관리기의 필터장치
KR20090022639A (ko) 환기장치의 댐퍼조립체
KR20090022106A (ko) 공기조화기
CN217685753U (zh) 集成有空调的电视柜
JPH0979638A (ja) レンジフード
CN214791615U (zh) 厨房空调系统
CN215863629U (zh) 一种吸油烟机
KR102526371B1 (ko) 하향식 후드 일체형 쿡탑
KR20230054208A (ko) 후드
US20230124866A1 (en) Ventilation hood
KR20240057085A (ko) 환기 장치
KR20220094968A (ko) 레인지 후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