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9739A - 국소배기장치 - Google Patents

국소배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9739A
KR20160089739A KR1020150009331A KR20150009331A KR20160089739A KR 20160089739 A KR20160089739 A KR 20160089739A KR 1020150009331 A KR1020150009331 A KR 1020150009331A KR 20150009331 A KR20150009331 A KR 20150009331A KR 20160089739 A KR20160089739 A KR 201600897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member
vortex
exhaust
swirler
outer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9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9278B1 (ko
Inventor
김지하
박용찬
Original Assignee
김지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지하 filed Critical 김지하
Priority to KR10201500093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9278B1/ko
Priority to PCT/KR2016/000580 priority patent/WO2016117921A1/ko
Publication of KR20160089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97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92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92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65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fan combined with single duct; mounting arrangements of a fan in a du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9/00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e.g. air curta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4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on the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46Air flow forming a vortex

Abstract

개시된 국소배기장치는, 구동부와, 배기관의 흡입단부 가까이에 배치되며 구동부에 의해 회전함으로써 배기관을 향하는 배기흐름의 둘레에 에어 커튼을 형성하는 와류를 발생시키는 스왈러와, 스왈러의 외측 둘레를 감싸도록 배치되어 스왈러에 의해 발생된 와류를 아래쪽으로 가이드하는 외측 가이드부재와, 외측 가이드부재의 내측에 배치되어 외측 가이드부재와의 사이에 스왈러에 의해 발생된 와류가 통과하는 와류흐름통로를 형성하는 내측 가이드부재와, 외측 가이드부재에 원주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것으로, 외측 가이드부재로부터 내측 가이드부재 쪽으로 꺾인 형상을 가지며, 와류흐름통로를 통과하는 와류를 제어하여 와류 중 일부 공기가 안쪽으로 향하는 것을 억제하는 다수의 와류 제어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국소배기장치{Local ventilator}
본 발명은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국소배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기관을 향하는 배기흐름을 안정화시킴으로써 배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국소배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국소배기장치는 오염물질이 많이 발생하는 공장이나 가정과 음식점의 주방에 설치되어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용도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용도로 사용되는 종래의 국소배기장치는 배기관에 설치되는데, 오염원과 배기관 사이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여 배출시키는 배기효율이 급격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오염원이 넓게 개방된 공간에 위치할 경우에도 국소배기장치의 배기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배기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국소배기장치를 가능한 한 오염원 가까이에 설치하고 오염원을 주변 공간으로부터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다른 설치물에 의해 배기관을 오염원 근처에 설치하기 어려운 경우, 오염원과 배기관 사이에 일정한 작업 공간이 필요한 경우, 오염원을 주변 공간으로부터 차단하기 어려운 경우 등, 상기한 국소배기장치의 설치 조건을 만족시키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이러한 종래의 국소배기장치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와류를 형성하는 스왈러(swirler)를 이용하여 배기영역을 확대시키고 배기효율을 향상시키는 국소배기장치들이 개발되었으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29002호, 제10-0821295호, 제10-0873521호 및 제10-0873522호에는 스왈러를 이용한 국소배기장치의 예들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국소배기장치들은 일반적으로 배기관의 흡입구 측에 설치되어 와류를 형성하는 스왈러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스왈러의 회전에 의해 생성된 공기흐름은 스왈러의 회전 중심축을 따라 배기관의 흡입구를 향해 상승하는 오염 공기의 배기흐름의 둘레에 와류를 형성하고, 이와 같이 형성된 와류는 오염물질이 발생되는 영역을 주변 영역으로부터 차단하는 에어 커튼 역할을 하게 됨으로써, 오염된 공기를 보다 효율적으로 배기관 내로 흡입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국소배기장치에 있어서는, 스왈러에 의해 형성된 와류는 스왈러의 회전에 따른 원심력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넓게 퍼지게 되어, 배기흐름의 둘레에 우산 모양으로 넓게 퍼진 형태의 에어 커튼이 형성된다. 따라서, 종래의 국소배기장치는 배기영역을 수평으로 확장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나, 배기영역을 수직 방향으로 확장시키는 효과는 미흡한 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본 출원인은 배기관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오염 공기도 효율적으로 흡입하여 배기할 수 있도록 에어 커튼을 수직 방향으로 확장시키는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여 왔다.
그런데, 다양한 방법으로 와류에 수직 방향의 직진성을 부여하게 되면, 와류에 의해 형성되는 에어 커튼이 수직 방향으로 길게 확장되면서 배기흐름의 통로가 좁아지게 된다. 와류는 회전하면서 아래쪽으로 내려가면서 원심력에 의해 바깥쪽으로 퍼지게 되지만,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와류 중 일부 공기는 안쪽으로, 즉 배기흐름쪽으로 향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배기흐름의 통로가 좁아진 상태에서 와류 중의 일부 공기가 안쪽으로 향하게 되면, 그 일부 공기가 배기관쪽으로 상승하는 배기흐름과 뒤섞여 배기흐름을 방해하게 되므로, 배기흐름의 통로가 가장 좁아지는 배기관 가까이에서 배기흐름이 막히거나 배기흐름이 불안정해지면서 배기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29002호 (2005. 11. 09. 등록) 특허문헌 2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21295호 (2008. 04. 03. 등록) 특허문헌 3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73521호 (2008. 12. 04. 등록) 특허문헌 4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73522호 (2008. 12. 04. 등록)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와류를 발생시키는 스왈러를 둘러싼 외측 가이드부재의 하단부에 와류 중 일부 공기가 안쪽으로 향하는 것을 억제하는 다수의 와류 제어판을 설치하여 배기관을 향하는 배기흐름을 안정화시킴으로써 배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국소배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국소배기장치는,
구동부;
배기관의 흡입단부 가까이에 배치되며 상기 구동부에 의해 회전함으로써 상기 배기관을 향하는 배기흐름의 둘레에 에어 커튼을 형성하는 와류를 발생시키는 스왈러;
상기 스왈러의 외측 둘레를 감싸도록 배치되어 상기 스왈러에 의해 발생된 와류를 아래쪽으로 가이드하는 외측 가이드부재;
상기 외측 가이드부재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외측 가이드부재와의 사이에 상기 스왈러에 의해 발생된 와류가 통과하는 와류흐름통로를 형성하는 내측 가이드부재; 및
상기 외측 가이드부재에 원주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외측 가이드부재로부터 상기 내측 가이드부재 쪽으로 꺾인 형상을 가지며, 상기 와류흐름통로를 통과하는 와류를 제어하여 와류 중 일부 공기가 안쪽으로 향하는 것을 억제하는 다수의 와류 제어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스왈러의 상부에 상기 스왈러와 간격을 두고 지지판이 설치되고, 상기 외측 가이드부재는 상기 스왈러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이격된 원통 형상의 부재로서 상단부가 상기 지지판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내측 가이드부재는 상기 외측 가이드부재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 원통 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스왈러의 아래쪽에 상기 스왈러와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외측 가이드부재에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측 가이드부재와 외측 가이드부재 사이에 원주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 다수의 연결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내측 가이드부재는 상기 다수의 연결부재를 통해 상기 외측 가이드부재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판에는 상기 스왈러 쪽으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유입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류흐름통로가 반경 방향의 폭에 비해 수직 방향의 높이가 높은 형상을 가지도록 상기 내측 가이드부재의 높이는 상기 내측 가이드부재와 외측 가이드부재 사이의 간격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측 가이드부재의 하단은 상기 외측 가이드부재의 하단보다 더 낮은 위치까지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와류 제어판은 하단이 상기 내측 가이드부재의 하단보다 높거나 같은 높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와류 제어판은, 상기 외측 가이드부재의 하단부에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6개 ~ 10개 고정 설치되고, 상기 외측 가이드부재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내측 가이드부재 쪽으로 30°~ 90°꺾인 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와류 제어판 각각의 원주 방향 폭을 모두 합한 값은 상기 외측 가이드부재의 원주 길이의 20% ~ 40%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측 가이드부재와 내측 가이드부재는 아래쪽으로 가면서 점차 직경이 커지도록 단차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왈러는,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것으로 중심 영역에 상기 배기관과 연통되는 배기흡입공이 형성된 회전판부재와, 상기 회전판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판부재와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와류를 형성하는 공기흐름을 발생시키는 다수의 날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판부재의 외측 가장자리에는 하향 연장된 원통 형상의 제1 가이드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다수의 날개는 상기 회전판부재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제1 가이드부재의 외주면까지 연장되며, 상기 다수의 날개의 외측 단부에는 상기 다수의 날개를 둘러싸며 상기 제1 가이드부재와의 사이에 공기흐름통로를 형성하는 원통 형상의 제2 가이드부재가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흐름통로가 반경 방향의 폭에 비해 수직 방향의 높이가 높은 형상을 가지도록 상기 제1 가이드부재와 제2 가이드부재의 높이는 상기 제1 가이드부재와 제2 가이드부재 사이의 간격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왈러는, 상기 다수의 날개의 상부를 덮는 제3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판부재에는 상기 배기흡입공의 둘레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배기관과 연통되는 배기통로를 형성하는 원통 형상의 제1 배기통로형성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측 가이드부재의 내측에는 중심 영역에 중공이 형성된 환형의 고정판부재가 상기 스왈러의 아래쪽에 상기 스왈러로부터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기 고정판부재에는 상기 중공의 둘레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배기관과 연통되는 배기통로를 형성하는 원통 형상의 제2 배기통로형성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국소배기장치는 오염된 공기가 발생하는 공간을 둘러싼 측벽의 내면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배기관은 상기 환기구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면서 상기 환기구 내부로 삽입되며,
상기 국소배기장치의 스왈러는 상기 배기관과 환기구 사이의 간격을 통해 유입되는 외부 공기를 이용하여 와류를 발생시켜 상기 공간 내부로 공급하고, 상기 공간 내부의 오염된 공기는 상기 배기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국소배기장치에 의하면, 외측 가이드부재에 설치된 다수의 와류 제어판에 의해 내측 가이드부재와 외측 가이드부재 사이의 와류흐름통로를 통과하는 와류 중 일부 공기가 안쪽으로, 즉 배기흐름쪽으로 향하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따라서, 배기관을 향하는 배기흐름이 안정될 수 있어서 배기효율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국소배기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왈러를 위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외측 가이드부재, 내측 가이드부재 및 와류 제어판을 위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스왈러의 변형예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5와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외측 가이드부재 및 내측 가이드부재의 변형예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국소배기장치가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환풍기로 사용되는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5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국소배기장치에 있어서의 배기흐름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국소배기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도면들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가리킨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국소배기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왈러를 위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외측 가이드부재, 내측 가이드부재 및 와류 제어판을 위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국소배기장치(100)는, 구동부(110)와, 배기관(10)의 흡입단부 가까이에 배치되어 회전함으로써 와류(Fs)를 발생시키는 스왈러(120)와, 상기 스왈러(120)의 외측 둘레를 감싸도록 배치되어 스왈러(120)에 의해 발생된 와류(Fs)를 아래쪽으로 가이드하는 외측 가이드부재(140)와, 상기 외측 가이드부재(140)의 내측에 배치되어 외측 가이드부재(140)와의 사이에 스왈러(120)에 의해 발생된 와류(Fs)가 통과하는 와류흐름통로(Ps)를 형성하는 내측 가이드부재(150)와, 상기 외측 가이드부재(140)에 배치되어 상기 와류흐름통로(Ps)를 통과하는 와류(Fs)를 제어하여 와류(Fs) 중 일부 공기가 안쪽으로 향하는 것을 억제하는 다수의 와류 제어판(1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배기관(10)은 그 하단에 개방된 흡입단부를 통해 오염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관로로서, 일반적으로 알려진 플렉시블 관 또는 금속 관 등의 다양한 종류의 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오염 공기는 자연 부압(negative pressure)에 의해 배기관(10) 내로 흡입될 수 있으며, 또한 배기관(10)에 설치된 배기 팬, 예컨대 시로코 팬(sirocco fan)(20)에 의해 배기관(10) 내로 강제 흡입될 수도 있다.
상기 구동부(110)는, 상기 스왈러(120)에 연결되어 스왈러(120)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한다. 상기 구동부(110)는 배기관(10)의 중심축 상에 배치된 구동모터(111)와, 구동모터(111)에 연결된 회전축(1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축(112)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스왈러(120)의 회전판부재(121)의 회전 중심부에 마련된 회전축 결합부(127)에 결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배기관(10) 내에 시로코 팬(20)이 설치된 경우에는, 상기 구동부(110)는 스왈러(120)와 함께 시로코 팬(20)을 회전시키는 역할도 할 수 있다.
다만, 상기한 구성을 가진 구동부(110)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상기 스왈러(120)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구성을 가진 가질 수 있으며, 그 설치 위치도 상기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상기 구동부(110)는 브라켓과 같은 수단에 의해 배기관(1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어, 벨트 또는 기어와 같은 동력전달수단을 통해 스왈러(12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스왈러(120)는, 배기관(10)의 흡입단부 가까이에 배치되어 회전함으로써 배기관(10)을 향해 상승하는 배기흐름(Fe)의 둘레에 에어 커튼을 형성하는 와류(Fs)를 발생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배기관(10)의 흡입단부 가까이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회전판부재(121)와, 상기 회전판부재(121)에 설치된 다수의 날개(124)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판부재(121)는 배기관(1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진 원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판부재(121)는, 회전 중심축이 배기관(10)의 중심축과 일치되도록 배기관(10)의 흡입단부 가까이에 설치된다. 상기 회전판부재(121)의 중심 영역에는 배기관(10)과 연통되는 배기흡입공(122)이 형성되며, 배기영역의 오염 공기는 상기 배기흡입공(122)을 통과하여 배기관(10) 내부로 흡입된다.
상기 회전판부재(121)는 상기 구동부(110)에 연결되어 회전된다. 이를 위해, 상기 회전판부재(121)의 회전 중심부에는 돌출된 보스 형상의 회전축 결합부(127)가 마련되며, 상기 회전축 결합부(127)에는 상기 구동모터(111)의 회전축(112)이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축 결합부(127)의 중심에는 회전축 삽입공(128)이 수직으로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축 삽입공(128)에 구동모터(111)의 회전축(112)이 삽입된 후 고정나사(129)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된다. 상기 배기흡입공(122)은 회전축 결합부(127)의 둘레에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 결합부(127)는 배기흡입공(122)을 반경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다수의 연결부(126)에 의해 회전판부재(121)에 연결되어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판부재(121)에는 상기 배기흡입공(122)의 둘레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배기관(10)과 연통되는 배기통로(Pe)를 형성하는 원통 형상의 제1 배기통로형성부재(123)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배기통로형성부재(123)는 배기관(10)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회전판부재(121)의 상면과 저면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기관(10)의 하단이 상기 회전판부재(121)의 상면 가까이 까지 연장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상기 회전판부재(121)의 상면쪽에는 제1 배기통로형성부재(123)가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날개(124)는 회전판부재(121)와 함께 회전하면서 공기흐름(Fa)을 생성시키는 작용을 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다수의 날개(124)에 의해 생성된 공기흐름(Fa)은 회전하면서 하향하는 와류(Fs)를 형성하며, 이러한 와류(Fs)는 배기관(10)을 향해 상승하는 배기흐름(Fe)을 둘러싸는 에어 커튼의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다수의 날개(124)는 상기 회전판부재(121)의 상면에 고정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배기흡입공(122)의 둘레를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날개(124) 각각은 회전판부재(121)의 상면으로부터 세워지고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판부재(121)의 외측 가장자리에는 수직으로 하향 연장된 제1 가이드부재(131)가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다수의 날개(124)는 회전판부재(121)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제1 가이드부재(131)의 외주면까지 연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다수의 날개(124) 각각은 "ㄱ"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부재(131)는, 일정한 외경을 가진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외경은 상기 회전판부재(121)의 외경과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가이드부재(131)는 상기 회전판부재(121)와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판부재(121)에 고정 설치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가이드부재(131)의 상단부가 상기 회전판부재(121)의 외측 가장자리 저면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날개(124)의 외측 단부에는 상기 다수의 날개(124)를 둘러싸는 제2 가이드부재(132)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제2 가이드부재(132)는 상기 제1 가이드부재(131)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진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가이드부재(132)의 내경은 상기 제1 가이드부재(131)의 외경보다 상기 다수의 날개(124)의 반경 방향의 폭만큼 크게 형성된다. 즉, 상기 제1 가이드부재(131)와 제2 가이드부재(132) 사이에 상기 다수의 날개(124)가 고정 설치되며, 이에 따라 상기 회전판부재(121), 제1 가이드부재(131), 다수의 날개(124) 및 제2 가이드부재(132)는 함께 회전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제1 가이드부재(131)와 제2 가이드부재(132) 사이에는 수직 방향의 공기흐름통로(Pa)가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날개(124)는 상기 제1 가이드부재(131)와 제2 가이드부재(132)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흐름통로(Pa)로 유입된 공기를 회전시킴으로써 와류(Fs)를 발생시키며, 이와 같이 발생된 와류(Fs)는 배기관(10)을 향해 상승하는 배기흐름(Fe)을 둘러싸는 에어 커튼의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공기흐름통로(Pa)를 반경 방향의 폭에 비해 수직 방향의 높이가 높은 형상으로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1 가이드부재(131)와 제2 가이드부재(132)의 수직 높이는 상기 제1 가이드부재(131)와 제2 가이드부재(132) 사이의 간격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제2 가이드부재(132)의 수직 높이는 제1 가이드부재(131)의 수직 높이보다 높은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가이드부재(132)의 상단부는 상기 회전판부재(121)의 상면보다 높은 위치까지 연장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국소배기장치(100)의 스왈러(120)에는 제1 가이드부재(131)와 제2측 가이드부재(132)에 의해 반경 방향의 폭이 좁고 수직 방향의 높이가 높은 공기흐름통로(Pa)가 형성됨으로써, 공기흐름통로(Pa)를 통과하는 와류(Fs)가 수직 방향으로, 즉 축방향으로 더욱 멀리 진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스왈러(120)는, 상기 다수의 날개(124)의 상부를 덮는 제3 가이드부재(133)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3 가이드부재(133)는 다수의 날개(124)에 의해 형성된 와류(Fs)가 위쪽으로 흐르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3 가이드부재(133)는, 배기관(10)의 외경보다 크고 제1 가이드부재(131)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을 가지며, 외측 가장자리부는 제2 가이드부재(132)의 상단부에 고정 결합되는 환형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배기관(10)의 외주면과 제3 가이드부재(133)의 내주면 사이에 소정의 간격이 형성되고, 이 간격을 통해 배기관(10) 주변의 공기가 다수의 날개(124) 쪽으로 유입될 수 있다.
한편, 도 1과 도 2에 도시된 스왈러(120)의 구성은 일 예에 불과하다. 즉, 상기 스왈러(120)는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스왈러(120)의 다른 예에 대해서는 뒤에서 도 4를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외측 가이드부재(140)는 상기 스왈러(120)의 외측 둘레를 감싸면서 수직 방향으로 소정 높이 연장된 형상을 가진다. 상기 외측 가이드부재(140)는 상기 스왈러(120)의 외측 가장자리, 구체적으로 상기 제2 가이드부재(132)의 외주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그 상단부는 상기 스왈러(120)의 위쪽에 수평으로 설치된 지지판(160)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왈러(120)가 회전하더라도 상기 외측 가이드부재(140)는 회전하지 않는다.
상기 지지판(160)은, 예를 들어 레인지 후드 내부에 고정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스왈러(120)는 상기 지지판(160)에 의해 회전이 방해받지 않도록 상기 지지판(160)의 저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지지판(160)에는 상기 스왈러(120) 쪽으로 공기가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다수의 공기유입공(16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측 가이드부재(140)는 일정한 직경을 가진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측 가이드부재(140)의 높이는 스왈러(120)와 오염원 사이의 거리와 스왈러(120)의 직경 등을 고려하여 적정하게, 예컨대 대략 100mm ~ 400mm 범위 내에서 정해질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을 가진 외측 가이드부재(140)는 상기 스왈러(120)의 다수의 날개(124)에 의해 발생된 와류(Fs)를 아래쪽으로 가이드함으로써, 상기 와류(Fs)에 의해 형성되는 에어 커튼을 수직 방향, 즉 축 방향으로 확장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뒤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내측 가이드부재(150)는 상기 외측 가이드부재(140)의 내측에 배치된다. 상기 내측 가이드부재(150)는 상기 외측 가이드부재(140)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데, 이를 위해 상기 내측 가이드부재(150)와 외측 가이드부재(140) 사이에는 원주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 다수의 연결부재(155)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측 가이드부재(150)는 상기 스왈러(120)의 아래쪽에 배치되되, 상기 스왈러(120)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도록 상기 스왈러(120)와 소정 간격 이격된다.
상기 내측 가이드부재(150)는 외측 가이드부재(14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이에 따라 상기 내측 가이드부재(150)와 외측 가이드부재(140) 사이에는 상기 스왈러(120)에 의해 발생된 와류(Fs)가 통과하는 수직 방향의 와류흐름통로(Ps)가 형성된다.
상기 와류흐름통로(Ps)는 와류(Fs)의 수직 방향 직진성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반경 방향의 폭이 좁고 수직 방향의 높이가 비교적 높은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내측 가이드부재(150)의 수직 높이는 상기 내측 가이드부재(150)와 외측 가이드부재(140) 사이의 간격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측 가이드부재(150)의 하단은 외측 가이드부재(140)의 하단보다 더 낮은 위치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내측 가이드부재(15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와류흐름통로(Pa)를 형성할 뿐만 아니라, 와류흐름통로(Pa)를 통과하는 와류(Fs) 중 일부 공기가 안쪽으로, 즉 배기흐름(Fe) 쪽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내측 가이드부재(150)의 내측에는 환형의 고정판부재(151)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판부재(151)는 상기 스왈러(120)의 회전판부재(121)의 아래쪽에 상기 회전판부재(121)로부터 소정 간격을 두고 수평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판부재(151)는 상기 내측 가이드부재(150)에 고정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판부재(151)의 외측 가장자리부가 상기 내측 가이드부재(150)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판부재(151)는 내측 가이드부재(150)와 마찬가지로 회전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고정판부재(151)의 중심 영역에는 상기 회전판부재(121)에 형성된 배기흡입공(122)과 연통되는 중공(152)이 형성되며, 배기영역의 오염 공기는 상기 중공(152)과 배기흡입공(122)을 통과하여 배기관(10) 내부로 흡입된다. 상기 고정판부재(151)에는 상기 중공(152)의 둘레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배기관(10)과 연통되는 배기통로(Pe)를 형성하는 원통 형상의 제2 배기통로형성부재(153)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 배기통로형성부재(153)는 상기 고정판부재(151)의 상면과 저면에 각각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배기통로형성부재(123)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고정판부재(151)와 제2 배기통로형성부재(153)는 상기 스왈러(120)에 의해 발생된 와류(Fs) 중 일부 공기가 상기 스왈러(120)와 내측 가이드부재(150) 사이의 간격을 통해 빠져 나와 배기흐름(Fe) 쪽으로 흐르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
상기 다수의 와류 제어판(170)은 외측 가이드부재(14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상기 다수의 와류 제어판(170)은 적절한 고정 수단, 예컨대 고정나사(172)를 사용하여 상기 외측 가이드부재(140)의 하단부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다수의 와류 제어판(170)은 용접에 의해 상기 외측 가이드부재(140)의 하단부에 고정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와류 제어판(170)은 외측 가이드부재(140)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와류 제어판(170)은 상기 외측 가이드부재(140)의 하단으로부터 안쪽으로, 즉 내측 가이드부재(150) 쪽으로 소정 각도(θ) 꺾인 판 형상을 가진다. 또한, 상기 다수의 와류 제어판(170)은 그 하단이 내측 가이드부재(150)의 하단보다 높거나 같은 높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상기한 구성을 가진 다수의 와류 제어판(170)은, 상기 내측 가이드부재(150)와 외측 가이드부재(140) 사이의 와류흐름통로(Ps)를 통과하는 와류(Fs)를 제어하여 와류(Fs) 중 일부 공기가 안쪽으로, 즉 배기흐름(Fe)쪽으로 향하는 것을 억제하는 작용을 하며, 이에 따라 배기관(10)을 향해 상승하는 배기흐름(Fe)이 안정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뒤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구체적으로, 매우 많은 시험을 거친 결과, 상기 다수의 와류 제어판(170)의 꺾인 각도(θ)가 30°~ 90°일 때, 배기흐름(Fe)이 안정되는 바람직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대략 45°일 때 배기흐름(Fe)이 가장 안정되게 형성되었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와류 제어판(170)을 외측 가이드부재(14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6개 ~ 10개 설치하였을 때, 배기흐름(Fe)이 안정되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8개 설치하였을 때 배기흐름(Fe)이 가장 안정되게 형성되었다.
또한, 상기 다수의 와류 제어판(170) 각각의 원주 방향 폭(W)을 모두 합한 값이 외측 가이드부재(140)의 원주 길이의 20% ~ 40% 정도일 때, 배기흐름(Fe)이 안정되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30% ~ 35% 정도일 때, 배기흐름(Fe)이 가장 안정되게 형성되었다.
예를 들어, 직경이 300mm인 외측 가이드부재(140)에 8개의 와류 제어판(170)을 설치하고, 다수의 와류 제어판(170) 각각의 원주 방향 폭(W)을 모두 합한 값을 외측 가이드부재(140)의 원주 길이의 33%로 설정할 경우에, 외측 가이드부재(140)의 원주 길이는 대략 942mm가 되고, 8개의 와류 제어판(170) 각각의 원주 방향 폭(W)을 모두 합한 값은 대략 311mm가 되므로, 8개의 와류 제어판(170) 각각의 원주 방향 폭(W)은 대략 39mm가 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스왈러, 외측 가이드부재 및 내측 가이드부재의 변형예들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스왈러의 변형예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스왈러(120)의 회전판부재(121)에 설치되는 다수의 날개(124')는 회전판부재(121)의 상면으로부터 제1 가이드부재(131)의 외주면까지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날개(124') 각각의 상단부는 회전중심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차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날개(124')의 상부를 덮는 제3 가이드부재(133')도 외주쪽으로 가면서 아래쪽으로 경사진 형상, 즉 회전판부재(121)와의 간격이 점차 좁아지도록 경사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회전판부재(121)와 제3 가이드부재(133) 사이의 간격이 회전중심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차 좁아지게 되므로, 상기 다수의 날개(124')에 의해 형성되는 공기흐름(Fa)의 속도가 다수의 날개(124')의 외측 단부쪽으로 가면서 점차 빨라지게 되고, 이에 따라 더욱 강력한 와류(Fs)가 형성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5와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외측 가이드부재 및 내측 가이드부재의 변형예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5와 도 6을 함께 참조하면, 상기 스왈러(120)의 외측 둘레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외측 가이드부재(140')는 아래쪽으로 가면서 점차 직경이 커지도록 단차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측 가이드부재(140')의 내측에 설치되는 내측 가이드부재(150')도 외측 가이드부재(140')와 마찬가지로 아래쪽으로 가면서 점차 직경이 커지도록 단차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외측 가이드부재(140')와 내측 가이드부재(150')가 단차진 형상을 가지게 되면, 외측 가이드부재(140')와 내측 가이드부재(150') 사이에 형성되는 와류흐름통로(Ps)의 직경이 커지게 되므로, 와류흐름통로(Ps)의 하단을 빠져나오는 와류(Fs)의 직경도 커지게 된다. 따라서, 와류(Fs)에 의해 형성되는 에어 커튼의 직경이 커지게 되므로, 에어 커튼에 의해 둘러싸인 배기영역이 넓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구성을 가진 본 발명에 따른 국소배기장치(100)의 작동과 이에 따른 와류의 형성 및 배기흐름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구동부(110)에 의해 스왈러(120)가 회전하게 되면, 배기관(10)의 주변으로부터 지지판(160)에 형성된 다수의 공기유입공(162)을 통해 스왈러(120)쪽으로 공기가 유입되며, 이와 같이 유입된 공기는 스왈러(120)의 다수의 날개(124)에 의해 공기흐름(Fa)을 형성한다. 상기 공기흐름(Fa)은 스왈러(120)의 회전방향을 따라 회전하는 와류(Fs)를 형성하게 되며, 이러한 와류(Fs)는 배기영역을 둘러싸서 배기영역을 그 주변 영역으로부터 분리하는 에어 커튼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배기관(10)을 통한 배기 작동이 이루어지게 되면 배기영역의 오염 공기가 배기관(10)쪽으로 상승하면서 배기흐름(Fe)이 형성된다.
도 1에는 에어 커튼을 형성하는 와류(Fs)가 단순히 아래쪽으로 흐르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입체적으로는 상기 스왈러(120)의 회전 방향으로, 예를 들어 위에서 보았을 때, 배기흐름(Fe)의 둘레를 따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배기영역쪽으로 내려오게 된다.
상기 다수의 날개(124)에 의해 형성된 와류(Fs)는 스왈러(120)의 제1 가이드부재(131)와 제2측 가이드부재(132) 사이에 형성된 공기흐름통로(Pa)를 통과하게 되는데, 상기 공기흐름통로(Pa)는 반경 방향의 폭이 좁고 수직 방향의 높이가 높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공기흐름통로(Pa)를 통과하는 와류(Fs)는 수직 방향으로, 즉 축 방향으로 더욱 멀리 진행할 수 있게 되므로, 와류(Fs)에 의해 형성되는 에어 커튼도 수직 방향으로 더욱 길게 확장될 수 있다.
상기 와류(Fs)는 스왈러(120)의 공기흐름통로(Pa)의 하단을 빠져나오면서 외측 가이드부재(140)에 의해 다시 수직 방향으로, 즉 축 방향으로 가이드된다. 즉, 스왈러(120)의 공기흐름통로(Pa)의 출구를 통과한 와류(Fs)는 외측 가이드부재(140)에 의해 막혀 넓게 퍼지지 못하고 외측 가이드부재(140)와 내측 가이드부재(150) 사이에 형성된 와류흐름통로(Ps)를 따라 회전하면서 아래쪽으로 향하게 되므로, 와류(Fs)의 수직 하방으로의 직진성이 증가하게 된다. 특히, 상기 와류흐름통로(Ps)가 반경 방향의 폭이 좁고 수직 방향의 높이가 높은 형상을 가짐으로써, 와류흐름통로(Ps)를 통과하는 와류(Fs)의 수직 방향 직진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이는 배기영역을 둘러싸는 에어 커튼이 수직 방향으로 더욱 길게 형성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배기관(10)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오염 공기도 보다 용이하게 흡입하여 배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에어 커튼이 수직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면, 에어 커튼에 의해 둘러싸인 배기흐름(Fe)의 통로가 좁아지게 되므로, 배기흐름(Fe)도 회전하는 와류(Fs)의 영향을 받게 된다. 이에 따라, 배기흐름(Fe)도 소용돌이 형상으로 회전하면서 상승하게 되므로, 배기관(10) 내부로 더욱 원활하게 흡입되어 배기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와류(Fs) 중 일부 공기는 안쪽으로, 즉 배기흐름(Fe) 쪽으로 향하게 되는데, 배기흐름(Fe)의 통로가 좁아진 상태에서는 와류(Fs) 중 안쪽으로 향하는 일부 공기가 배기흐름(Fe)을 방해하면서 배기효율을 저하시키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있어서는, 외측 가이드부재(140)에 설치된 다수의 와류 제어판(170)에 의해 내측 가이드부재(150)와 외측 가이드부재(140) 사이의 와류흐름통로(Ps)를 통과하는 와류(Fs) 중 일부 공기가 안쪽으로, 즉 배기흐름(Fe)쪽으로 향하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다수의 와류 제어판(170)의 작용은 매우 많은 시험을 거친 결과에 따른 것이며, 이러한 와류 제어판(170)의 작용은 아래와 같은 이유들이 복합되어 발생하게 되는 결과로 생각된다.
첫째, 내측 가이드부재(150)와 와류 제어판(170) 사이의 간격이 아래쪽으로 가면서 점차 좁아지게 되므로, 일부 와류(Fs)가 좁아진 통로를 빠져 나오면서 속도가 빨라지게 된다. 이에 따라, 내측 가이드부재(150)의 하단부 가까이에서 와류(Fs)의 수직 하방의 직진성이 더욱 향상됨으로써, 와류(Fs) 중 일부 공기가 안쪽으로 향하게 되는 현상이 억제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내측 가이드부재(150)와 와류 제어판(170) 사이의 간격이 아래쪽으로 가면서 점차 좁아지게 되므로, 일부 와류(Fs)가 좁아진 통로를 빠져 나오면서 속도가 빨라지게 된다. 이에 따라, 내측 가이드부재(150)의 하단부 근처의 압력이 낮아져서 안쪽의 배기흐름(Fe)의 낮은 압력과 균형을 이루게 됨으로써, 와류(Fs) 중 일부 공기가 안쪽으로 향하게 되는 현상이 억제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다수의 와류 제어판(170)이 내측 가이드부재(150)를 향해 경사지게 꺾여 있으므로, 일부 와류(Fs)가 와류 제어판(170)의 경사면을 따라 내측 가이드부재(140)의 외주면에 부딛혀 반사되어 바깥쪽으로 향하게 됨으로써, 와류(Fs) 중 일부 공기가 안쪽으로 향하게 되는 현상이 감소 또는 억제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다수의 와류 제어판(170)은 와류흐름통로(Ps)를 통과하는 와류(Fs)를 제어하여 와류(Fs) 중 일부 공기가 안쪽으로, 즉 배기흐름(Fe)쪽으로 향하는 것을 억제하는 작용을 하게 되며, 이에 따라 배기관(10)을 향해 상승하는 배기흐름(Fe)이 안정될 수 있어서 배기효율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장점은 도 8의 사진을 통해 명확하게 확인될 수 있다.
도 8은 도 5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국소배기장치에 있어서의 배기흐름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8의 사진을 보면, 본 발명에 따른 국소배기장치(100)가 오염원으로부터 멀리 설치된 경우, 예컨대 100cm 이상 떨어져 설치된 경우에도, 배기흐름(Fe)이 소용돌이 형상으로 회전하면서 국소배기장치(100) 쪽으로 원활하게 상승하고 있으며, 국소배기장치(100)에 인접하여서도 배기흐름(Fe)이 흐트러지지 않고 배기관(10) 내부로 안정되게 흡입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위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국소배기장치(100)가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 예를 기준으로 도시되고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국소배기장치(100)는 그 설치 방향이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국소배기장치(100)는 수평 방향으로 설치될 수도 있으며, 또한 경사진 방향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국소배기장치가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환풍기로 사용되는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국소배기장치(100)는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외부의 깨끗한 공기를 오염된 공간 내부로 공급하면서 그 공간 내부의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환풍기의 역할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국소배기장치(100)는 오염된 공기가 발생하는 공간을 둘러싼 벽체, 예컨대 측벽(30)의 내면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측벽(30)에는 외부와 연통되는 환기구(32)가 관통 형성된다. 상기 국소배기장치(110)의 지지판(160)은 측벽(30)의 내면에 고정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판(160)에 형성되는 공기유입공(162)은 상기 환기구(32)와 연통된다.
배기관(10)은 상기 환기구(32)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면서 상기 환기구(32) 내부에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구동부(110)의 구동모터(111)는 배기관(10)에 설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구동부(110)의 회전축(112)은 배기관(10)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국소배기장치(100)의 스왈러(120)의 회전판부재(121)에 결합될 수 있다. 배기관(10) 내에 시로코 팬(20)과 같은 배기 팬이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시로코 팬(20)은 상기 회전축(112)에 결합되어 회전될 수 있다.
외부의 깨끗한 공기가 배기관(10)과 환기구(32) 사이의 간격을 통해 스왈러(120) 쪽으로 유입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유입된 외부의 깨끗한 공기는 스왈러(120)에 의해 와류(Fs)를 형성하게 된다. 오염된 공간 내부의 오염 공기는 배기흐름(Fe)을 이루며 배기관(1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와류(Fs)는 배기흐름(Fe)을 둘러싸는 에어 커튼의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오염된 공간 내부에 깨끗한 공기를 공급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
상기 국소배기장치(100)의 기본적인 구성, 작용 및 효과는 앞에서 도 1 내지 도 6을 통해 설명된 구성, 작용 및 효과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반복을 피하기 위해 생략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국소배기장치(100)는 환풍기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외부의 깨끗한 공기를 오염된 공간 내부로 공급하면서 그 공간 내부의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국소배기장치(100)에 의하면 오염된 공간 내부를 신속하게 깨끗한 공기로 환기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위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국소배기장치(100)가 측벽(30)의 내면에 설치되어 환풍기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도시되고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국소배기장치(100)는 오염된 공기가 발생하는 공간을 둘러싸는 벽체 중 환기구가 형성된 천정벽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어 환풍기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국소배기장치 110..구동부
111...구동모터 112...회전축
120...스왈러 121...회전판부재
122...배기흡입공 123...제1 배기통로형성부재
124,124'...날개 126...연결부
127...회전축 결합부 128...회전축 삽입공
129...고정나사 131...제1 가이드부재
132...제2 가이드부재 133,133'...제3 가이드부재
140,140'...외측 가이드부재 150,150'...내측 가이드부재
151...고정판부재 152...중공
153...제2 배기통로형성부재 155...연결부재
160...지지판 162...공기유입공
170...와류제어판 172...고정나사

Claims (17)

  1. 구동부;
    배기관의 흡입단부 가까이에 배치되며 상기 구동부에 의해 회전함으로써 상기 배기관을 향하는 배기흐름의 둘레에 에어 커튼을 형성하는 와류를 발생시키는 스왈러;
    상기 스왈러의 외측 둘레를 감싸도록 배치되어 상기 스왈러에 의해 발생된 와류를 아래쪽으로 가이드하는 외측 가이드부재;
    상기 외측 가이드부재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외측 가이드부재와의 사이에 상기 스왈러에 의해 발생된 와류가 통과하는 와류흐름통로를 형성하는 내측 가이드부재; 및
    상기 외측 가이드부재에 원주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외측 가이드부재로부터 상기 내측 가이드부재 쪽으로 꺾인 형상을 가지며, 상기 와류흐름통로를 통과하는 와류를 제어하여 와류 중 일부 공기가 안쪽으로 향하는 것을 억제하는 다수의 와류 제어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소배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왈러의 상부에 상기 스왈러와 간격을 두고 지지판이 설치되고,
    상기 외측 가이드부재는 상기 스왈러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이격된 원통 형상의 부재로서 상단부가 상기 지지판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내측 가이드부재는 상기 외측 가이드부재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 원통 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스왈러의 아래쪽에 상기 스왈러와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외측 가이드부재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소배기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가이드부재와 외측 가이드부재 사이에 원주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 다수의 연결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내측 가이드부재는 상기 다수의 연결부재를 통해 상기 외측 가이드부재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소배기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에는 상기 스왈러 쪽으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유입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소배기장치.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와류흐름통로가 반경 방향의 폭에 비해 수직 방향의 높이가 높은 형상을 가지도록 상기 내측 가이드부재의 높이는 상기 내측 가이드부재와 외측 가이드부재 사이의 간격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소배기장치.
  6.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가이드부재의 하단은 상기 외측 가이드부재의 하단보다 더 낮은 위치까지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소배기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와류 제어판은 하단이 상기 내측 가이드부재의 하단보다 높거나 같은 높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소배기장치.
  8.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와류 제어판은, 상기 외측 가이드부재의 하단부에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6개 ~ 10개 고정 설치되고, 상기 외측 가이드부재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내측 가이드부재 쪽으로 30°~ 90°꺾인 판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소배기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와류 제어판 각각의 원주 방향 폭을 모두 합한 값은 상기 외측 가이드부재의 원주 길이의 20% ~ 4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소배기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가이드부재와 내측 가이드부재는 아래쪽으로 가면서 점차 직경이 커지도록 단차진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소배기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왈러는,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것으로 중심 영역에 상기 배기관과 연통되는 배기흡입공이 형성된 회전판부재와, 상기 회전판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판부재와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와류를 형성하는 공기흐름을 발생시키는 다수의 날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소배기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부재의 외측 가장자리에는 하향 연장된 원통 형상의 제1 가이드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다수의 날개는 상기 회전판부재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제1 가이드부재의 외주면까지 연장되며, 상기 다수의 날개의 외측 단부에는 상기 다수의 날개를 둘러싸며 상기 제1 가이드부재와의 사이에 공기흐름통로를 형성하는 원통 형상의 제2 가이드부재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소배기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흐름통로가 반경 방향의 폭에 비해 수직 방향의 높이가 높은 형상을 가지도록 상기 제1 가이드부재와 제2 가이드부재의 높이는 상기 제1 가이드부재와 제2 가이드부재 사이의 간격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소배기장치.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스왈러는, 상기 다수의 날개의 상부를 덮는 제3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소배기장치.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부재에는 상기 배기흡입공의 둘레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배기관과 연통되는 배기통로를 형성하는 원통 형상의 제1 배기통로형성부재가 마련된 것을 특징을 하는 국소배기장치.
  16. 제 1항 또는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가이드부재의 내측에는 중심 영역에 중공이 형성된 환형의 고정판부재가 상기 스왈러의 아래쪽에 상기 스왈러로부터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기 고정판부재에는 상기 중공의 둘레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배기관과 연통되는 배기통로를 형성하는 원통 형상의 제2 배기통로형성부재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소배기장치.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국소배기장치는 오염된 공기가 발생하는 공간을 둘러싼 측벽의 내면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배기관은 상기 환기구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면서 상기 환기구 내부로 삽입되며,
    상기 국소배기장치의 스왈러는 상기 배기관과 환기구 사이의 간격을 통해 유입되는 외부 공기를 이용하여 와류를 발생시켜 상기 공간 내부로 공급하고, 상기 공간 내부의 오염된 공기는 상기 배기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소배기장치.
KR1020150009331A 2015-01-20 2015-01-20 국소배기장치 KR1017092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9331A KR101709278B1 (ko) 2015-01-20 2015-01-20 국소배기장치
PCT/KR2016/000580 WO2016117921A1 (ko) 2015-01-20 2016-01-20 국소배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9331A KR101709278B1 (ko) 2015-01-20 2015-01-20 국소배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9739A true KR20160089739A (ko) 2016-07-28
KR101709278B1 KR101709278B1 (ko) 2017-02-23

Family

ID=56417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9331A KR101709278B1 (ko) 2015-01-20 2015-01-20 국소배기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09278B1 (ko)
WO (1) WO2016117921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2273A (ko) * 2017-05-02 2018-1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국소 배기 장치 및 이에 구비된 와류형성장치
KR20230077882A (ko) 2021-11-26 2023-06-02 권봉수 위치기반의 중고물품 거래 서버 및 방법
WO2023211114A1 (ko) * 2022-04-25 2023-11-02 김지하 배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1328B1 (ko) 2016-12-06 2020-05-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배기 장치
CA3126253A1 (en) * 2020-07-29 2022-01-29 Irfan Saim Atatekin Vertical ventilation diffuser system to reduce transmission of airborne particles
GB2602797A (en) * 2021-01-12 2022-07-20 Intelligent Cooling Ltd Improved plenum for air delivery
KR102506808B1 (ko) * 2021-01-29 2023-03-07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국소부 악취, 및 습기의 흡입률을 높인 와류형 흡입환기모듈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9002B1 (ko) 2003-12-31 2005-11-15 학교법인 포항공과대학교 덮개가 구비된 스월러를 이용하는 국소배기장치
KR100821295B1 (ko) 2007-04-20 2008-04-11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와류형 국소배기 시스템
KR100873522B1 (ko) 2007-04-20 2008-12-15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와류형 국소배기장치
KR100873521B1 (ko) 2007-04-20 2008-12-15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와류형 국소배기장치
KR101294324B1 (ko) * 2012-04-26 2013-08-07 김지하 스왈러를 구비한 와류형 국소배기장치
KR200472445Y1 (ko) * 2013-10-11 2014-05-07 진도현 주방용 렌지 후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196738B1 (en) * 2008-12-10 2013-10-23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Suction hood
KR101193604B1 (ko) * 2012-06-04 2012-10-23 김지하 스왈러를 구비한 와류형 국소배기장치
KR101444338B1 (ko) * 2012-07-05 2014-10-07 김지하 스왈러를 구비한 와류형 국소배기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9002B1 (ko) 2003-12-31 2005-11-15 학교법인 포항공과대학교 덮개가 구비된 스월러를 이용하는 국소배기장치
KR100821295B1 (ko) 2007-04-20 2008-04-11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와류형 국소배기 시스템
KR100873522B1 (ko) 2007-04-20 2008-12-15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와류형 국소배기장치
KR100873521B1 (ko) 2007-04-20 2008-12-15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와류형 국소배기장치
KR101294324B1 (ko) * 2012-04-26 2013-08-07 김지하 스왈러를 구비한 와류형 국소배기장치
KR200472445Y1 (ko) * 2013-10-11 2014-05-07 진도현 주방용 렌지 후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2273A (ko) * 2017-05-02 2018-1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국소 배기 장치 및 이에 구비된 와류형성장치
KR20230077882A (ko) 2021-11-26 2023-06-02 권봉수 위치기반의 중고물품 거래 서버 및 방법
WO2023211114A1 (ko) * 2022-04-25 2023-11-02 김지하 배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9278B1 (ko) 2017-02-23
WO2016117921A1 (ko) 2016-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9278B1 (ko) 국소배기장치
KR101606862B1 (ko) 스왈러와 가이드 부재를 구비한 국소배기장치
KR101444338B1 (ko) 스왈러를 구비한 와류형 국소배기장치
KR100481068B1 (ko) 급배기 장치
KR101387016B1 (ko) 재확산을 방지하는 와류형팬 배기장치
KR101259586B1 (ko) 와류형 스왈러팬 배기장치
KR101463455B1 (ko) 재확산 방지 및 배기량을 증대시키는 배기장치
US10626882B2 (en) Centrifugal fan
KR101606864B1 (ko) 스왈러와 가이드 부재를 구비한 국소배기장치
KR20160004713A (ko) 고효율 와류형 배기장치
KR101936199B1 (ko) 조리 기기 및 배기 장치
KR20080094412A (ko) 와류형 국소배기장치
KR101294324B1 (ko) 스왈러를 구비한 와류형 국소배기장치
KR101170160B1 (ko) 와류형 국소배기장치
KR20120086642A (ko) 국소 배기장치 및 이를 갖는 아일랜드식 주방시스템
CN112771316A (zh) 局部排气装置
KR101533645B1 (ko) 배기흡입 유속을 이용하는 무동력 스윌러 국소배기장치
KR20170059240A (ko) 국소배기장치
KR101193604B1 (ko) 스왈러를 구비한 와류형 국소배기장치
JP2010084701A (ja) 送風装置
KR20180011585A (ko) 국소배기장치 및 이를 사용한 영역배기장치
KR101602794B1 (ko) 안정적인 공기이동로를 구성하여 배기량을 증대시키는 배기장치
JP3327247B2 (ja) 換気装置
KR101294325B1 (ko) 스왈러를 구비한 와류형 국소배기장치
KR101193605B1 (ko) 스왈러를 구비한 와류형 국소배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