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6808B1 - 국소부 악취, 및 습기의 흡입률을 높인 와류형 흡입환기모듈 - Google Patents

국소부 악취, 및 습기의 흡입률을 높인 와류형 흡입환기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6808B1
KR102506808B1 KR1020210013641A KR20210013641A KR102506808B1 KR 102506808 B1 KR102506808 B1 KR 102506808B1 KR 1020210013641 A KR1020210013641 A KR 1020210013641A KR 20210013641 A KR20210013641 A KR 20210013641A KR 102506808 B1 KR102506808 B1 KR 1025068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rtex
suction
cooling fan
forming device
od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3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9977A (ko
Inventor
이한규
이주협
Original Assignee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136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6808B1/ko
Publication of KR202201099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99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68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68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5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axial pumps
    • F04D29/5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F04D29/541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60/00Function
    • F05D2260/60Fluid transf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와류를 이용한 국소부 악취, 습기 흡입률을 높인 와류형 흡입환기 모듈은 천장벽에 프레임을 통해 부착되고, 상기 천장벽 내부에 위치한 흡입환기장치; 및 상기 흡입환기장치와 결합되고 상기 흡입환기장치의 전방에 배치된 와류형성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와류형성장치는 중공을 갖고 상기 천장벽 하부의 악취, 및 습기가 인입하는 전방부, 및 상기 흡입환기장치와 맞닿는 후방부를 포함하는 와류바디부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환기장치는 중공을 갖고 상기 와류형성장치의 후방부와 맞닿는 전방부와 배출구와 맞닿는 후방부를 포함하는 흡입바디부, 및 상기 와류형성장치의 전방부로부터 인입된 상기 악취 및 상기 습기를 배출하는 상기 배출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국소부 악취, 및 습기의 흡입률을 높인 와류형 흡입환기모듈{Vortex-type inhalation ventilation module that increases the inhalation rate of local odor and moisture}
본 발명은 흡입환기모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천장벽에 프레임을 통해 부착되고, 상기 천장벽 내부에 위치한 흡입환기장치; 및 상기 흡입환기장치와 결합되고 상기 흡입환기장치의 전방에 배치된 와류형성장치를 포함하여, 상기 와류형성장치가 상기 천장벽 하부에 와류를 형성하여 상기 천창벽 하부의 상기 악취, 및 상기 습기를 상기 와류바디부로 흡입하도록 구성된 와류를 이용한 국소부 악취, 습기 흡입률을 높인 와류형 흡입환기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청정기는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실내의 공기 중에 함유된 각종 먼지, 가스, 악취, 연기와 같은 오염물을 걸러내는 장치이다.
이러한 공기청정기는 오염된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부를 통해 걸러내어 오염물은 필터에 침착시키고, 청정해진 공기만을 다시 송풍기 등을 이용해 실내로 공급한다.
상기 공기청정기는 통상적으로 실내에 장착되거나 공간이 칸칸으로 구획된 오피스, 가정 등의 실내공기의 일괄적인 청정을 위해 천장에 매립하여 덕트로 연결하여 연동되도록 장착하게 된다.
이와 같은 덕트형 공기청정기에 대해 일본공개특허공보 2002-061914호(2002.02.28.)의 "천정 매입형 공기 정화장치"(이하, "선행문헌 1"라 한다.)에 의하면, 천정에 매설한 에어 클리너(air cleaner)에 따라서 방내의 공기를 흡입하고, 이 공기를 상기 천정에 설치한 슬릿 모양 취출구에 덕트(duct)에 따라서 이끌고 상기 방측으로 공기를 불어주어 에어 커튼(air curtain)을 형성하게 한 기술을 공지한 바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10-077254호(2006. 05. 10.)의 "공기청정 겸용 환기시스템"(이하, "선행문헌 2"라 한다.)에 의하면, 환기의 역할을 담당하는 환기시스템의 구조를 개선하여 공기청정의 기능도 갖추도록 함으로써, 공기청정기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서도 하나의 환기시스템에 두 가지의 기능을 동시에 가지도록 하여 소비자의 편의를 도모함과 동시에 보다 효율적인 공기청정 및 공기순환이 되도록 한 기술을 공지한 바 있다.
다만, 공지된 덕트형 공기청정기는 실내공기의 흡입력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있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2002-061914호(2002.02.28.)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10-077254호(2006. 05. 10.)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일소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서, 천장벽에 프레임을 통해 부착되고, 상기 천장벽 내부에 위치한 흡입환기장치; 및 상기 흡입환기장치와 결합되고 상기 흡입환기장치의 전방에 배치된 와류형성장치를 포함하여, 상기 와류형성장치가 상기 천장벽 하부에 와류를 형성하여 상기 천창벽 하부의 상기 악취, 및 상기 습기를 상기 와류바디부로 흡입하도록 구성된 와류를 이용한 국소부 악취, 습기 흡입률을 높인 와류형 흡입환기 모듈에 주안점을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서 완성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와류를 이용한 국소부 악취, 습기 흡입률을 높인 와류형 흡입환기 모듈은 천장벽에 프레임을 통해 부착되고, 상기 천장벽 내부에 위치한 흡입환기장치; 및 상기 흡입환기장치와 결합되고 상기 흡입환기장치의 전방에 배치된 와류형성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와류형성장치는 중공을 갖고 상기 천장벽 하부의 악취, 및 습기가 인입하는 전방부, 및 상기 흡입환기장치와 맞닿는 후방부를 포함하는 와류바디부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환기장치는 중공을 갖고 상기 와류형성장치의 후방부와 맞닿는 전방부와 배출구와 맞닿는 후방부를 포함하는 흡입바디부, 및 상기 와류형성장치의 전방부로부터 인입된 상기 악취 및 상기 습기를 배출하는 상기 배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와류형성장치는 상기 천장벽 하부에 와류를 형성하여 상기 천창벽 하부의 상기 악취, 및 상기 습기를 상기 와류바디부로 흡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환기장치는 상기 흡입바디부의 중공 내에 배치된 흡입팬, 및 상기 흡입팬과 연결된 회전전달축, 및 상기 회전전달축과 연결된 흡입액츄에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하면 천장벽에 프레임을 통해 부착되고, 상기 천장벽 내부에 위치한 흡입환기장치; 및 상기 흡입환기장치와 결합되고 상기 흡입환기장치의 전방에 배치된 와류형성장치를 포함하여, 상기 와류형성장치가 상기 천장벽 하부에 와류를 형성하여 상기 천창벽 하부의 상기 악취, 및 상기 습기를 상기 와류바디부로 흡입하도록 구성된 와류를 이용한 국소부 악취, 습기 흡입률을 높인 와류형 흡입환기 모듈을 제공함으로써, 국소부 악취, 및 습기의 흡입률을 높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와류를 이용한 국소부 악취, 습기 흡입률을 높인 와류형 흡입환기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일 실시예에 따른 와류를 이용한 국소부 악취, 습기 흡입률을 높인 와류형 흡입환기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류형성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입환기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류를 이용한 국소부 악취, 습기 흡입률을 높인 와류형 흡입환기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류를 이용한 국소부 악취, 습기 흡입률을 높인 와류형 흡입환기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류를 이용한 국소부 악취, 습기 흡입률을 높인 와류형 흡입환기 모듈의 와류형성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류를 이용한 국소부 악취, 습기 흡입률을 높인 와류형 흡입환기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류를 이용한 국소부 악취, 습기 흡입률을 높인 와류형 흡입환기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류형성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류형성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류를 이용한 국소부 악취, 습기 흡입률을 높인 와류형 흡입환기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류형성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류형성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류형성장치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이로 인한 작용, 효과에 대해 일괄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 1 내지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와류를 이용한 국소부 악취, 습기 흡입률을 높인 와류형 흡입환기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와류형 흡입환기 모듈(1)은 와류형성장치(100) 및 흡입환기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와류형성장치(100)와 흡입환기장치(200)는 연결될 수 있다. 와류형성장치(100)와 흡입환기장치(200)는 볼트/너트 결합 등의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동시에, 와류형성장치(100)와 흡입환기장치(200)는 이중 어느 하나가 고장난 경우, 고장난 하나만 교체할 수 있도록 일체화되어 제조되는 것은 아니다.
도 4는 도 1에 따른 일 실시예에 따른 와류를 이용한 국소부 악취, 습기 흡입률을 높인 와류형 흡입환기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와류형 흡입환기 모듈(1)의 흡입환기장치(200)는 프레임(FR)을 통해 천장벽에 연결(또는 부착)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흡입환기장치(200)는 상기 천장벽 내부에 위치하고, 흡입환기장치(200)와 연결된 와류형성장치(100)는 흡입환기장치(200)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흡입환기장치(200)는 상기 천장벽와 동일선상에 위치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와류형성장치(100)를 통해 상기 천장벽 하부의 국소부 악취, 또는 습기가 인입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류형성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입환기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류를 이용한 국소부 악취, 습기 흡입률을 높인 와류형 흡입환기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7을 참조하면, 와류형성장치(100)는 중공의 형태를 갖는 와류바디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와류바디부(110)는 상기 천장벽 하부의 악취, 및 습기가 인입하는 전방부(110a), 및 상기 흡입환기장치(200)와 맞닿는 후방부(110b)를 포함할 수 있다. 와류바디부(110)는 전방부(110a)와 후방부(110b)를 연결하는 측방부(110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로는 와류바디부(110)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와류형성장치(100)는 와류바디부(110)의 측방부(110c)에 직접 닿는 와류발생부(120, 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와류발생부(120)는 제1 와류발생부(120), 및 제1 와류발생부(120) 대비 전방에 위치한 제2 와류발생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와류발생부(130)는 제1 와류발생부(120)로부터 인입된 외기를 외부로 분출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2 와류발생부(1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와류발생부(130)의 제1 측방부는 와류바디부(110)의 측방부(110c)와 직접 접하고, 제2 와류발생부(130)의 전방부는 와류바디부(110)의 전방부(110a)와 동일선상에 위치하며, 제2 와류발생부(130)의 후방부는 제1 와류발생부(120)와 맞닿을 수 있다. 또한, 제2 와류발생부(130)의 제2 측방부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측방부에 대해 기울어진 사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와류발생부(130)의 상기 제2 측방부를 통해 제1 와류발생부(120)로부터 인입된 외기가 외부로 분출되는데, 상기 제2 측방부가 상기 제1 측방부에 대해 기울어진 사선 형상을 가짐으로써, 제2 측방부로부터 배출되는 외기는 사선 방향으로 분출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와류 형성이 보다 용이할 수 있다.
제2 와류발생부(130)의 폭(제1 측방부로부터 제2 측방부까지의 거리)은 대체로 제1 와류발생부(120)의 폭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제2 와류발생부(130)의 제2 측방부의 폭은 제1 와류발생부(120)의 폭보다 클 수 있다. 이로 인해, 외기가 제1 와류발생부(120)의 폭보다 큰 폭을 갖는 제2 와류발생부(130)로부터 배출됨으로써 외기 배출 면적(또는 외기 배출 영역)이 증가되며, 동시에 큰 배출 면적으로부터 배출된 외기량이 많고, 동시에 큰 배출 면적으로 배출된 외기량이 많을 수록 와류의 형성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
통상적으로, 제1 와류발생부(120)와 제2 와류발생부(130)에서의 단면적 당 외기의 유량이 동일할 수 있다. 즉, 제1 와류발생부(120)의 폭이 제2 와류발생부(130)의 제2 측방부의 폭보다 작고 제1 와류발생부(120)와 제2 와류발생부(130)에서의 단면적 당 외기의 유량이 동일하기 때문에, 제1 와류발생부(120)에서의 외기의 유속이 제2 와류발생부(130)의 제2 측방부에서의 외기의 유속보다는 더 클 수 있다.
다만, 와류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빠른 유속보다는 동일 시간에 넓은 단면적에서 배출되는 외기가 많을수록 유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와류발생부(130)의 제2 측방부의 폭을 제1 와류발생부(120)의 폭보다 크게 형성함으로써 와류 형성을 보다 쉽게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와류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이를 위해서는 제2 측방부의 연장 방향을 제1 측방부의 연장 방향의 사선 방향으로 설계하여, 보다 용이하게 와류를 형성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제2 측방부로부터 배출된 외기는 와류를 형성하며, 국소부 악취, 및 습기의 흡입률을 높일 수 있다.
제1 와류발생부(1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팬(F)을 실장하는 와류냉각팬 실장부(140)와 연결될 수 있다. 와류냉각팬 실장부(140)는 중공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와류냉각팬 실장부(140) 내에는 제1 액츄에이터(AC1), 냉각팬(F), 및 냉각팬(F)과 제1 액츄에이터(AC1)를 연결하는 제1 회전전달축(145)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액츄에이터(AC1)에 전기공급을 위한 배터리나 소형발전기가 더 배치될 수도 있다. 냉각팬(F)은 제1 액츄에이터(AC1)로부터 회전력이 발생되며, 제1 회전전달축(145)으로부터 상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다. 냉각팬(F)을 통해 외기가 와류냉각팬 실장부(140)로 인입될 수 있다.
와류냉각팬 실장부(140)로 인입된 외기는 와류냉각팬 실장부(140)와 연결된 와류유로(151, 155)를 통해 각각 제1 와류발생부(120)에 제공될 수 있다.
즉, 와류유로(151, 155)는 각각 중공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와류냉각팬 실장부(140)로 인입된 외기를 제1 와류발생부(120)에 제공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환기장치(200)는 중공 구조를 갖고 상기 와류형성장치(100)의 상기 와류바디부(110)의 후방부(110b)와 맞닿는 전방부(210a)와 배출구(220)와 맞닿는 후방부를 포함하는 흡입바디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바디부(210) 내에는 흡입팬(230), 흡입팬(230)과 연결된 제2 회전전달축(235), 및 제2 회전전달축(235)과 연결된 제2 액츄에이터(AC2)가 배치될 수 있다. 흡입팬(230)은 제2 회전전달축(235)과 직접 연결된 중심부(231), 및 중심부(231)와 연결된 흡입날개(233)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환기장치(200)는 흡입바디부(210)의 후방부 상에 배치된 배출구(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출구(220)는 중공 구조를 갖고, 흡입바디부(210)의 후방부에 맞닿아 연결될 수 있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류를 이용한 국소부 악취, 습기 흡입률을 높인 와류형 흡입환기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류를 이용한 국소부 악취, 습기 흡입률을 높인 와류형 흡입환기 모듈의 와류형성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류를 이용한 국소부 악취, 습기 흡입률을 높인 와류형 흡입환기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류를 이용한 국소부 악취, 습기 흡입률을 높인 와류형 흡입환기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와류형 흡입환기 모듈(2)은 와류형성장치(100_1)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와류형 흡입환기 모듈(1)과 상이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와류형성장치(100_1)는 와류바디부(110)의 전방부(110a)의 전방에서 와류 형성 유도를 위해 제2 냉각팬(160)을 스왈러팬으로 구성하여 제2 냉각팬(160)이 와류바디부(110)의 외부에 위치시켜 와류 형성을 유도할 수 있다.
제2 냉각팬(160)은 제3 회전전달축(115)과 연결된 팬중심부(161), 및 팬중심부(161)의 양단에 위치하는 다수의 날개(165)를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날개(165)는 팬중심부(161) 대비 두께가 더 클 수 있다. 이로 인해, 제2 냉각팬(160)의 회전시 가장자리를 따라 와류가 형성되게 할 수 있는 팬일 수 있다.
도 12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류형성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류형성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와류형성장치(100_2)는 와류바디부(110)의 측방부에 상기 와류바디부(110)의 중공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만입된 홈패턴(110_P)이 형성된다는 점에서, 도 9에 따른 와류형성장치(100_1)와 상이하다.
와류바디부(110)의 측방부에 상기 와류바디부(110)의 중공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만입된 홈패턴(110_P)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에서 후방으로 사선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2(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의 홈패턴(110_P)들과 우측의 홈패턴(110_P)들은 서로 엇갈려 형성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와류형성장치(100_2)는 와류바디부(110)의 측방부에 상기 와류바디부(110)의 중공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만입된 홈패턴(110_P)을 갖고, 홈패턴(110_P)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사선을 따라 연장됨으로써, 와류바디부(110)의 전방부(110a)를 통해 인입된 와류가 전방에서 후방으로 사선을 따라 연장된 홈패턴(110_P)을 따라 더욱 세질 수 있다.
즉, 보다 세게 형성된 와류로 인해, 국소부 악취, 및 습기의 흡입률을 보다 크게 높일 수 있다.
도 14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류를 이용한 국소부 악취, 습기 흡입률을 높인 와류형 흡입환기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흡기환기 모듈(3)은 제2 액츄에이터(AC2)를 통해 흡입팬(230)과 제2 냉각팬(160)을 함께 회전시킨다는 점에서, 도 10에 따른 흡기환기 모듈(2)과 상이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와류형성장치(100_2)의 제2 냉각팬(160)은 제2 회전전달축(235)과 연결되고, 제2 액츄에이터(AC2)를 통해 회전될 수 있다.
즉, 제2 냉각팬(160)과 흡입팬(230)은 동축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2 액츄에이터(AC2)를 통해 흡입팬(230)과 제2 냉각팬(160)을 함께 회전시킨다는 점에서, 별도로 와류형성장치(100_2)의 제2 냉각팬(160)을 회전시키기 위한 액츄에이터를 생략할 수 있다는 점에서, 비용 절감, 및 구성 단순화를 도모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류형성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류형성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류형성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와류형성장치(100_3)는 제2 와류발생부(130_1) 내에 복수의 와류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도 5에 따른 와류형성장치(100)와 상이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2 와류발생부(130_1) 내에는 복수의 와류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복수의 와류배출구는 2개이상일 수 있다. 도 15에서는 두 개의 와류배출구만 도시하였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세개 이상의 와류배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먼저,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와류배출구(151a, 151b)는 각각 와류유로(151)와 연결될 수 있다. 와류유로(151)와 상기 와류배출구(151a, 151b) 사이에는 유량밸브(153)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유량밸브(153)는 각각의 와류배출구(151a, 151b)를 통해 유입되는 외기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제1 와류배출구(151a)는 제2 와류배출구(151b)보다 상단에 위치하고, 제2 와류배출구(151b)는 제1 와류배출구(151a)보다 하단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와류배출구(151a)의 제2 와류발생부(131_1)의 제2 측방부 부근에 위치하는 단부는 제1 폭(W1)을 갖고, 제2 와류배출구(151b)의 제2 와류발생부(131_1)의 제2 측방부 부근에 위치하는 단부는 제2 폭(W2)을 가질 수 있다.
제1 폭(W1)은 제2 폭(W2)과 동일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유량밸브(153)를 통해 와류배출구(151a, 151b)를 통해 배출되는 외기의 유량을 조절함으로써, 목적에 맞는 와류를 형성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와류배출구(151a_1)의 제1 폭(W1_1)을 제2 와류배출구(151b_1)의 제2 폭(W2_1)보다 더 크게 설계할 수 있다.
제1 와류배출구(151a)로부터 형성되는 와류는 제2 와류배출구(151b)로부터 형성되는 와류보다 바깥쪽에 위치할 수 있다.
즉, 바깥쪽에 위치하는 와류를 보다 세게 형성하기 위해서는 제1 폭(W1)을 제2 폭(W2)보다 크게 설계할 수 있다.
바깥쪽에 위치하는 와류는 와류가 차지하는 면적을 넓히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1 폭(W1)을 제2 폭(W2)보다 크게 설계하면, 바깥쪽에 위치하는 와류의 면적(또는 크기)을 높일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와류배출구(151b_2)의 제2 폭(W2_3)을 제1 와류배출구(151a_2)의 제1 폭(W1_3)보다 더 크게 설계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와류형성장치
200: 흡입환기장치

Claims (3)

  1. 천장벽에 프레임을 통해 부착되고, 상기 천장벽 내부에 위치한 흡입환기장치(200); 및
    상기 흡입환기장치와 결합되고 상기 흡입환기장치의 전방에 배치된 와류형성장치(100)를 포함하고,
    상기 와류형성장치(100)는 중공을 갖고 상기 천장벽 하부의 악취, 및 습기가 인입하는 전방부, 및 상기 흡입환기장치와 맞닿는 후방부를 포함하는 와류바디부(110)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환기장치(200)는 중공을 갖고 상기 와류형성장치의 상기 와류바디부의 후방부와 맞닿는 전방부와 배출구와 맞닿는 후방부를 포함하는 흡입바디부(210), 및
    상기 와류형성장치의 전방부로부터 인입된 상기 악취 및 상기 습기를 배출하는 배출구(220)를 포함하고,
    상기 와류형성장치는 상기 천장벽 하부에 와류를 형성하여 상기 천장벽 하부의 상기 악취, 및 상기 습기를 상기 와류바디부로 흡입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흡입환기장치는 상기 흡입바디부의 중공 내에 배치된 흡입팬,
    상기 흡입팬과 연결된 회전전달축, 및
    상기 회전전달축과 연결된 흡입액츄에이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와류형성장치는 상기 와류바디부의 측방부에 직접 닿는 와류발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와류발생부는 제1 와류발생부, 및 상기 제1 와류발생부 대비 전방에 위치한 제2 와류발생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와류발생부는 상기 제1 와류발생부로부터 인입된 외기를 외부로 분출시키는 역할을 하고,
    상기 제2 와류발생부는 상기 제2 와류발생부의 제1 측방부는 상기 와류바디부의 측방부와 직접 접하고, 상기 제2 와류발생부의 전방부는 상기 와류바디부의 전방부와 동일선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2 와류발생부의 후방부는 상기 제1 와류발생부와 맞닿고,
    상기 제2 와류발생부의 제2 측방부는 상기 제1 측방부에 대해 기울어진 사선 형상을 갖고,
    상기 제2 와류발생부의 폭은 상기 제1 와류발생부의 폭보다 크고,
    상기 와류형성장치는 상기 와류바디부의 측방부에 상기 와류바디부의 중공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만입된 홈패턴이 더 형성되고,
    상기 전방부에서 상기 후방부로 사선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2 와류발생부 내에 복수의 와류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와류발생부는 냉각팬을 실장하는 와류냉각팬 실장부와 연결되고,
    상기 와류냉각팬 실장부는 중공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와류냉각팬 실장부 내에는 제1 액츄에이터, 냉각팬, 및 상기 냉각팬과 상기 제1 액츄에이터를 연결하는 제1 회전전달축이 배치되고,
    상기 냉각팬은 상기 제1 액츄에이터로부터 회전력이 발생되며, 상기 제1 회전전달축으로부터 상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고, 상기 냉각팬을 통해 외기가 상기 와류냉각팬 실장부로 인입되고,
    상기 와류냉각팬 실장부로 인입된 외기는 상기 와류냉각팬 실장부와 연결된 와류유로를 통해 상기 제1 와류발생부에 제공되고,
    상기 복수의 와류배출구들은 각각 상기 와류유로와 연결되고,
    상기 와류유로와 상기 복수의 와류배출구들 사이에는 유량밸브가 더 배치되고,
    상기 유량밸브는 각각의 상기 와류배출구들을 통해 유입되는 외기의 유량을 조절하고,
    상기 복수의 와류배출구들은 제1 와류배출구, 및 제2 와류배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와류배출구는 상기 제2 와류배출구보다 상단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와류배출구는 상기 제1 와류배출구보다 하단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와류배출구의 상기 제2 와류발생부의 상기 제2 측방부 부근에 위치하는 단부는 제1 폭을 갖고, 상기 제2 와류배출구의 상기 제2 와류발생부의 상기 제2 측방부 부근에 위치하는 단부는 제2 폭을 갖고,
    상기 제1 폭은 상기 제2 폭보다 큰 와류를 이용한 국소부 악취, 습기 흡입률을 높인 와류형 흡입환기 모듈.
  2. 삭제
  3. 삭제
KR1020210013641A 2021-01-29 2021-01-29 국소부 악취, 및 습기의 흡입률을 높인 와류형 흡입환기모듈 KR1025068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3641A KR102506808B1 (ko) 2021-01-29 2021-01-29 국소부 악취, 및 습기의 흡입률을 높인 와류형 흡입환기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3641A KR102506808B1 (ko) 2021-01-29 2021-01-29 국소부 악취, 및 습기의 흡입률을 높인 와류형 흡입환기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9977A KR20220109977A (ko) 2022-08-05
KR102506808B1 true KR102506808B1 (ko) 2023-03-07

Family

ID=82826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3641A KR102506808B1 (ko) 2021-01-29 2021-01-29 국소부 악취, 및 습기의 흡입률을 높인 와류형 흡입환기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680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4338B1 (ko) 2012-07-05 2014-10-07 김지하 스왈러를 구비한 와류형 국소배기장치
KR101533645B1 (ko) 2014-11-11 2015-07-06 최지원 배기흡입 유속을 이용하는 무동력 스윌러 국소배기장치
KR101709278B1 (ko) 2015-01-20 2017-02-23 김지하 국소배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1914A (ja) 2000-08-14 2002-02-28 Yamatake Corp 天井埋込型空気浄化装置
KR100772540B1 (ko) 2005-06-30 2007-11-01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20130043413A (ko) * 2011-10-20 2013-04-30 조흥원 스월러 및 에어커튼 가이드가 부착된 국소배기장치
KR20180011585A (ko) * 2016-07-25 2018-02-02 김지하 국소배기장치 및 이를 사용한 영역배기장치
KR102556968B1 (ko) * 2016-11-14 2023-07-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와류형 국소배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4338B1 (ko) 2012-07-05 2014-10-07 김지하 스왈러를 구비한 와류형 국소배기장치
KR101533645B1 (ko) 2014-11-11 2015-07-06 최지원 배기흡입 유속을 이용하는 무동력 스윌러 국소배기장치
KR101709278B1 (ko) 2015-01-20 2017-02-23 김지하 국소배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9977A (ko) 2022-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1007842A1 (fr) Dispositif d'admission et d'expulsion d'air du type a tornade
KR20130054722A (ko) 환기 장치와 이를 포함한 환기 시스템
JP2009024595A (ja) 遠心ファン及びこれを用いた空気調和機
KR20180131441A (ko) 공기청정기용 송풍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KR100577206B1 (ko) 환기시스템
US20220088519A1 (en) Air purifier
KR102506808B1 (ko) 국소부 악취, 및 습기의 흡입률을 높인 와류형 흡입환기모듈
AU744720B2 (en) Domestic appliance
JP2001020547A (ja) 空気清浄機付き喫煙ルーム
KR101013379B1 (ko) 공기청정기
KR102111216B1 (ko) 공기 청정기 및 이를 갖는 실내 공기 청정 시스템
JP2009174790A (ja) 加湿機能付空気清浄機
JP2007010179A (ja) 空気清浄機
JP2007021352A (ja) 空気清浄機
JP2017020710A (ja) 空気清浄機及び加湿機能付空気清浄機
CN111637549B (zh) 室内空气处理装置
JP2003042470A (ja) 空調室内機
JP5879479B2 (ja) 空気清浄機及び加湿機能付空気清浄機
JP2009022882A (ja) 空気調和機
JP6888865B1 (ja) エアコン吸気清浄システム
JP7386387B2 (ja) 送風装置
KR102278182B1 (ko) 공기조화기
JP2775026B2 (ja) 空気清浄機
JP2014020578A (ja) 空気調和機
JP7432823B2 (ja) 集塵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