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3857A - 쿡탑 일체형 주방후드 - Google Patents

쿡탑 일체형 주방후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3857A
KR20180053857A KR1020160150927A KR20160150927A KR20180053857A KR 20180053857 A KR20180053857 A KR 20180053857A KR 1020160150927 A KR1020160150927 A KR 1020160150927A KR 20160150927 A KR20160150927 A KR 20160150927A KR 20180053857 A KR20180053857 A KR 201800538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top
suction
case
rear case
h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0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3956B1 (ko
Inventor
이상철
김원태
황성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50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3956B1/ko
Publication of KR201800538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38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39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39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42Devices for removing cooking fum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ooking range e.g. downdra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05Coatings for ove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06Arrangements for circulation of cooling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 F24C15/102Tops, e.g. hot plates; Rings electrically he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35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64Removing cooking fumes illumination for cooking hoo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71Removing cooking fumes mounting of cooking hoo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65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fan combined with single duct; mounting arrangements of a fan in a 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쿡탑 일체형 주방후드는, 상방케이스와 후방케이스 그리고 쿡탑을 수용하는 쿡탑프레임이 연결되는 일체형 융복합 주방후드이다. 상방케이스의 일 면에 복수의 흡입유로 및 볼텍스 모듈을 구비하며, 후방케이스의 일면에도 복수의 흡입유로 또는 다단의 흡입유로를 구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쿡탑 일체형 주방후드가 설치된 공간 이외의 다른 실내 공간으로의 오염물질 확산을 방지할 수 있도록 흡입능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쿡탑 일체형 주방후드 {A Kitchen Hood Integrated Cooktop}
본 발명은 쿡탑에서 요리 조리시 발생하는 연기 등을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주방 후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쿡탑과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다양한 흡입 유로를 가지는 주방후드에 관한 것이다.
주방후드는 조리 시에 발생하는 수증기, 연기 및 냄새 등의 오염 기체를 흡입하여 실내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주방후드는 쿡탑의 상방에 일정 거리를 두어 배치되고, 팬을 통해 상기 오염 기체를 흡입하고 실외로 배출시킬 수 있다. 즉, 주방후드와 쿡탑은 각각의 제품으로서 분리되어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주방후드와 쿡탑이 벽에 밀착되어 설치하며, 이 경우 주방후드와 쿡탑 사이의 공간 중 일 면에는 벽이 위치하게 된다. 물론, 주방에서 주방후드와 쿡탑이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주방후드와 쿡탑 사이의 공간은 4방향으로 개방되어 형성할 수도 있다.
조리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염기체는 상방의 주방후드에 모두 흡입되는 것이 이상적이나, 실제로 상기 오염기체 중 일부는 주방후드로 흡입되지 않고 주방후드와 쿡탑 사이의 개방 공간을 통해 실내로 확산된다.
상세히, 주방후드는 흡입구로부터 멀어질수록 오염 기체가 흡입되는 속도가 빠르게 감소한다. 이는 효과적으로 오염기체를 흡입할 수 있는 영역이 흡입구와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매우 작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종래 주방후드의 흡입구는 쿡탑의 상방에 일정 거리를 두어 설치되며, 해당 거리만큼 후드의 흡입구와 떨어진 위치에서 생성되는 오염기체를 흡입하기 때문에 일부의 오염기체는 흡입되지 않고 다른 공간으로 확산된다. 다수 개의 화구가 형성되는 쿡탑의 경우에는 이러한 현상이 더 심화될 수 있다.
한편, 쿡탑과 주방후드를 사용하는 조리 과정에서 유증기, 기름때 등과 같은 오염 물질이 벽이나 실내에 튀어 오염을 시킬 수 있다. 이러한 오염으로 인하여 실내에는 세균이 번식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될 수 있기 때문에, 주기적인 청소를 통하여 청결을 유지해야 한다.
굳어버린 기름때 등의 청소가 어려운 소수성 이물질은 화학적 성분이 함유된 청소 제품을 이용하여 제거한다. 즉, 상기 청소제품을 통하여 벽이나 실내 바닥 등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청결을 유지한다.
한편, 쿡탑이란 캐비닛형 레인지를 의미하는 것으로, 전기를 이용하는 전기쿡탑과 가스를 이용하는 가스쿡탑 등이 있다.
최근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 전기쿡탑은 에너지원으로 전기를 사용하고 있으며, 전류의 발열작용을 이용하는 열원을 통해 열원 상부로 열을 전달하는 기구이다. 이와 같은 열 전달 통하여, 요리용기는 가열되고 요리용기 안의 음식물은 조리가 이루어 진다.
전기쿡탑에 사용되는 열원으로는 하이라이트 히터, 코일 타입의 라디언 히터, 할로겐 히터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히터의 상부는 내열성이 강한 세라믹 유리판 등이 설치된다. 또한, 쿡탑의 열 전달 방식으로는 세라믹 유리판 아래 위치한 가스 열원으로부터 복사열을 전달해 조리하는 HRB(Hidden Radiant Burner) 방식 등이 이용된다.
또한, 종래 전기쿡탑은 내부 냉각용 팬을 구비한다. 상기 내부 냉각용 팬을 통하여 온도가 올라간 쿡탑의 내부를 냉각시키며, 더워진 공기는 주방으로 배출시키게 된다. 이에 의하면 주방의 실내 온도는 더 높아지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쿡탑과 주방후드가 각각 분리 설치되어 주방에 설치가 불편하며, 제품간의 시각적인 괴리감을 형성하여 떨어지는 심미감에 대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쿡탑 일체형 주방후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리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염기체가 실내공간으로 확산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주방후드의 오염기체 흡입 능력이 강화되는 쿡탑 일체형 주방후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주방후드와 오염기체간의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떨어지는 배기 효율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쿡탑 일체형 주방후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조리과정에서 발생하는 유증기, 기름때 등의 오염물질에 대한 세균번식 위험을 해결할 수 있는 쿡탑 일체형 주방후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주방후드와 쿡탑 부근의 오염문제 및 관리의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는 쿡탑 일체형 주방후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기쿡탑의 사용시 내부 냉각요 팬의 동작으로 발생하는 실내온도의 상승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쿡탑 일체형 주방후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쿡탑 일체형 주방후드는, 상방케이스와 후방케이스 그리고 쿡탑을 수용하는 쿡탑프레임이 연결되므로, 설치의 불편함 및 떨어지는 심미감을 해결할 수 있는 일체형 융복합 물건으로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쿡탑 일체형 주방후드는, 상방케이스의 일 면에 복수의 흡입유로 및 볼텍스 모듈을 구비함으로써, 실내 공간으로의 오염물질 확산을 방지할 수 있도록 흡입능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쿡탑 일체형 주방 후드는, 후방케이스의 일 면에 복수의 후방흡입부를 구비함으로써, 다양한 오염기체 흡입 경로를 확보하여 오염기체에 대한 적절한 흡입거리가 유지되므로 배기 효율을 개선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쿡탑 일체형 후드는, 향균코팅이 이루어진 케이스를 구비함으로써, 오염을 방지하고 세균 번식 환경을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쿡탑 일체형 후드는, 케이스 표면에 청소를 용이하게 하는 친수성 코팅이 이루어지므로, 청소와 관리에 대한 난이도를 낮출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쿡탑 일체형 후드는, 내부 냉각용 팬 및 쿡탑 내부의 열기에 대한 유동을 가이드하는 내부유로를 구비하는 쿡탑을 구비하며, 상기 내부유로와 후방케이스의 흡입유로가 연통되도록 연결되어 쿡탑 내부의 온도가 높은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쿡탑과 주방후드가 일체형을 이루어 설치되므로 설치방법이 단순해지고 하나의 세트로서의 장착이 용이해지며, 시각적인 일체감을 형성할 수 있어 심미감을 상대적으로 더욱 높일 수 있으므로 디자인적으로 우수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높이 조절을 이루어 설치할 수 있으므로 설치가 편리하며, 설치 공간의 환경에 따라 높이 조절을 이루어 배기능력을 최적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다양한 공간에서 본 발명이 구비된 제품을 설치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범용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오염기체에 대한 기존의 흡입경로 외에 다양한 흡입경로를 확보할 수 있어 거리에 따른 흡입능력 감소를 방지할 수 있고, 동시에 다수의 화구가 존재하는 쿡탑에서도 우수한 흡입능력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와류를 이용한 국부 배기장치를 통하여 주방후드의 오염기체 흡입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오염기체의 확산을 방지하여 주방의 공기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요리시 발생하는 연기를 더욱 흡입 배출시킬 수 있으므로 배기 효율이 향상되어 쾌적한 주방환경 조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향균 코팅을 통하여 세균 번식을 방지하여 청결한 주방환경을 조성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친수성 재질의 코팅을 통하여 청소가 용이하며 관리가 쉬워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 쿡탑 내부의 더워진 공기도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므로 주방의 온도 상승을 억제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보다 쾌적환 주방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실내 공기의 질을 센서를 통해 감지하고 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실내 공기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주방의 공기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환기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쿡탑 및 주방후드와 연동되는 터치 컨트롤러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리한 조작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기통로를 보여주는 A-A'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기과정을 보여주는 일부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방흡입부 및 후방흡입부의 흡입 능력를 보여주는 시뮬레이션 그래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하에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및 추가 등에 의해서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이하의 실시예에 첨부되는 도면은, 같은 발명 사상의 실시예이지만, 발명 사상이 훼손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미세한 부분의 표현에 있어서는 도면 별로 서로 다르게 표현될 수 있고, 도면에 따라서 특정 부분이 표시되지 않거나, 도면에 따라서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쿡탑 일체형 주방후드(1)는 조리용기가 안착되어 가열되는 쿡탑부(10), 후드의 설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부(20), 조리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염기체를 흡입하는 후드부(30, 40), 흡입된 오염기체를 실외로 배기하는 배기덕트(50),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팬(6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쿡탑부(10)는 쿡탑 일체형 주방후드(1)의 외관의 하부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쿡탑부(10)의 형상은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쿡탑부(10)는, 조리용기에 열을 제공하여 음식을 조리하도록 하는 쿡탑(12)과, 상기 쿡탑(12)을 수용하여 고정 지지하는 쿡탑프레임(1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쿡탑프레임(11)은 복수개의 프레임으로 구비되며, 상기 쿡탑의 외주면을 고정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쿡탑프레임(11)은 상기 쿡탑(10)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이 형성되며, 내부가 개방되는 틀로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쿡탑프레임(11)은 사각형상의 틀로 형성되어 틀의 내측에 쿡탑(10)을 삽입하여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쿡탑(10)은 상측 판에 조리용기를 올려두어, 상기 조리용기로 열을 전달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상기 조리용기는 가열되며 상기 조리용기 내부의 음식물이 조리되는 조리과정을 거치게 된다.
상기 쿡탑(10)은 전기쿡탑, 가스쿡탑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쿡탑(10)의 종류는 제한되지 않는다. 즉, 상기 쿡탑(10)은 조리용기에 열을 가하는 레인지로서 적절히 그 종류를 선택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쿡탑(10)은 전기쿡탑을 기준으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전기쿡탑은, 음식물을 올려놓고 조리할 수 있도록 된 세라믹 유리판, 상기 세라믹 유리판의 하부면에 설치되어 열을 가할 수 있도록 하는 열원인 히터, 상기 세라믹 유리판 및 히터를 지지하고 고정할 수 있는 몸체프레임, 상기 히터를 상기 몸체프레임에 고정시켜 상기 세라믹 유리판에 밀착 고정시키도록 하는 연결브라켓, 상기 몸체프레임을 가로질러 위치하며 상기 히터와 연결브라켓으로 연결되어 상기 히터를 고정 지지하는 상기 연결브라켓과 수직으로 형성되는 분할브라켓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세라믹 유리판은 상기 쿡탑(10)의 상측 판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히터가 상기 세라믹 유리판의 하부면에 밀착되어 고정 지지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쿡탑부(10)의 방향 기준을 설정한다. 쿡탑(10)의 전방은 상기 쿡탑(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쿡탑프레임(11)의 전면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하며, 쿡탑(10)의 후방은 쿡탑(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쿡탑프레임(11)의 후면부를 향하는 방향 즉, 후방후드부(30)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한다.
상기 쿡탑(10)은 쿡탑(10)의 전방부에 위치하는 전방화구(15)와 후방부에 위치하는 후방화구(16)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쿡탑(10)은 다수 개의 화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최전방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화구를 전방화구(15)로 최후방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화구를 후방화구(16)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전방화구(15)는 사용자를 향하는 방향으로 형성하며, 후방화구(15)는 후방후드부(30) 또는 높이조절부(20)를 향하는 방향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쿡탑(10)이 전방부 및 후방부에 각각 2개의 화구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방화구(15)는 사용자로부터 가까이 위치하는 화구로 상기 쿡탑(10)의 전방에 측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된 두 화구로 이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후방화구(16)는 상기 전방화구(15)의 후방에 배치되어 사용자로부터 상대적으로 멀리 떨어져 위치하는 화구로 상기 쿡탑(10)의 측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된 두 화구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쿡탑(12)에서, 상기 후방화구(16)는 상기 쿡탑프레임(11)이 상기 후드부(30,40)와 연결되는 일 모서리부를 향하는 방향에 위치하며, 상기 전방화구(15)는 상기 쿡탑프레임(11)의 일 모서리부와 마주보는 타 모서리부를 향하는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전방화구(15)는 상기 후방화구(16)보다 열 전달 능력이 우수한 용량이 더 큰 열원과 대응되어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방화구(15)는 대형 조리용기를 이용할 때 사용하며 상기 후방화구(16)는 소형 조리용기를 이용할 때 사용할 수 있다. 물론, 이와 반대로 상기 후방화구(16)가 전방화구(15)보다 용량이 더 큰 열원과 대응되도록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쿡탑(10)은 열로 인하여 내부 온도가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부 냉각용 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종래에는 내부 냉각용 팬을 통하여 쿡탑(10)내부의 더운 공기가 주방으로 배기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종래기술과 달리 쿡탑(10)내부의 더운 공기가 실외로 배기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쿡탑부(10)는 상기 쿡탑(12)과 후드부(30,40) 등의 동작을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조작부(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13)는 상기 쿡탑(12) 및/또는 상기 쿡탑프레임(11)에 설치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조작부(13)는 상기 쿡탑(12)의 상면 전방부에 설치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조작부(13)는 상기 쿡탑프레임(11)의 전면에 상기 쿡탑(12)과 후두부(30,40)와 연동되어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13)는 터치스크린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 컨트롤러는 상기 조작부(13)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설정모드를 사용자가 터치를 통해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터치스크린 컨트롤러는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여러 모드가 디스플레이되고, 어느 하나의 모드를 사용자가 터치하면, 가압식 또는 정전식으로 신호가 전달되어 터치된 모드의 설정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13)는 상기 쿡탑(12) 및 후드부(30,40)와 연동되어 통합적으로 동작을 설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쿡탑부(10)에 형성되는 조작부(13)를 통하여 사용자는 쿡탑 및 후드를 한번에 컨트롤 할 수 있다.
종래 후드의 조작부는 쿡탑의 상방에 별도로 설치되는 후드에 위치하므로 키가 작은 성인이나 어린아이가 사용하기에 불편하였으나, 본 발명의 쿡탑 일체형 주방후드(1)에서 상기 조작부(13)는 상기 쿡탑부(10)에 형성되므로 종래 후드 조작부가 가지는 단점을 해소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부(20)는 상기 쿡탑부(10)와 상기 후드부(30,40)를 연결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쿡탑프레임(11)이 4개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사각형상으로 이루어 진 경우, 상기 높이조절부(20)의 하단면은 상기 4개의 프레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프레임의 상단에 위치되어 결합을 이루며, 상기 높이조절부(20)의 상단면은 상기 후방후드부(40)가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높이조절부(20)는 상기 쿡탑 일체형 주방후드(1)가 벽에 밀착되어 설치되는 경우, 상기 쿡탑프레임(11)의 벽에 밀착되는 일 면의 상단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높이조절부(20)와 상기 쿡탑프레임(11)은 수직을 이룰 수 잇다.
상기 높이조절부(20)의 내주면은 후방후드부(30)가 슬라이딩 삽입되어 상하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높이조절부(20)는 내주면의 양 측방향에 상기 후방후드부(30)가 삽입되어 슬라이딩이동 할 수 있도록 홈을 형성하는 삽입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가이드의 상단 및 하단에는 걸림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후방후드부(30)는 상기 높이조절부(20)의 내부를 슬라이딩 이동하여 적절한 위치에 걸림을 이루어 고정하면서 높이를 상, 하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부(20)는 상기 후방후드부(30)가 상하로 이동하도록 상호 결합되는데 그 이동 방식은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일례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후방후드부(30)가 상기 높이조절부(20)의 안으로 슬라이딩 삽입되어 걸림 동작을 이루어 이동하는 방식, 또는 상기 후방후드부(30)의 하단부로부터 설정된 높이까지 내부가 비도록 중공부를 형성하여, 상기 높이조절부(20)가 상기 중공부로 삽입되는 방식을 적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기 높이조절부(20)의 너비는 상하 이동 방식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결국 상기 높이조절부(20)는 본 발명의 쿡탑 일체형 후드(1)의 높이를 조절하여 다양한 공간에서의 설치를 편리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기덕트(50)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배기덕트의 길이가 장, 단으로 조절가능 하므로 상기 높이조절부(20)는 본 발명의 쿡탑 일체형 후드(1)의 최초의 설치에서뿐만 아니라, 설치 이후 조리를 수행하는 경우에도 사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쿡탑(12)의 모든 화구를 사용하거나 유증기 등의 오염기체 발생이 큰 조리를 하는 경우에 높이를 낮추도록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조리용기와의 거리를 최소화시킬 수 있으므로 흡입능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대적으로 오염기체 발생이 적은 조리를 하는 경우나 평시의 흡입능력으로도 오염기체의 흡입이 충분하기 때문에 기존의 조리용기와의 거리를 유지하도록 높이조절부(20)를 이용하여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조리를 하지 않는 경우나 조리과정이 끝난 후 주방 공간의 공기를 배기하고자 할 때에는 높이조절부(20)를 이용하여 높이를 최대한 높게 하여 주방 공간에 퍼져있는 공기를 최대한 배기할 수 있도록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부(20)의 너비에 수직한 길이는 상기 후방화구(16)의 위치에서 발생하는 오염기체를 적절히 흡입할 수 있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가스쿡탑이 상기 쿡탑(12)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화구로부터 최소한의 이격 거리를 두어 오염기체 흡입에 의한 화재발생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후드부(30, 40)는, 상기 높이조절부(20)와 연결되는 후방후드부(30)와, 상기 후방후드부(30)와 연결되며 상기 화구(15,16)의 상방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는 상방후드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방후드부(30)는 상기 쿡탑프레임(11)과 결합되어 일 모서리를 형성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후방후드부(30)는, 높이 조절에 따라 최소 높이일 때는 상기 쿡탑프레임(11)과 일 모서리를 형성할 수 있으며, 최대 높이일 때는 상기 높이조절부(20)에 의해 상기 쿡탑프레임(11)과 수직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후방후드부(30)는 상기 쿡탑프레임(11)의 일 모서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형성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후방후드부(30)는 상기 높이조절부(20)와 연결되며, 상기 쿡탑프레임(11)의 후방화구(16)와 가까운 모서리 상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후방후드부(30)와 상기 쿡탑부(10)는 수직을 이룰 수 있다.
상기 후방후드부(30)의 하단부는 상기 쿡탑부(10)와 연결되며, 후방후드부(30)의 상단부는 상방후드부(40)를 연결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상방후드부(40)와 쿡탑부(10)는 평행을 이룰 수 있다.
상기 후방후드부(30)는 상기 쿡탑(12)과 상방후드부(40)사이의 개방된 4방향 공간 중 어느 1 방향을 막아주는 판(plate)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본 발명의 쿡탑 일체형 주방후드(1)에 대한 설치위치의 제한은 없으나, 일례로, 상기 후방후드부(30)는 주로 벽에 밀착되도록 본 발명의 쿡탑 일체형 후두(1)를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조리과정 시 발생하는 기름 등의 오염물질로 인하여 벽이 오염되는 것을 막을 수 있으며, 주방의 다른 공간으로 오염물질이 퍼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후방후드부(30)에는, 상기 쿡탑프레임(11)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후방케이스(31)와, 상기 후방케이스(31)에 구비되어 오염기체를 흡입하는 후방흡입부(35)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후방케이스(31)가 상기 높이조절부(20)와 상하 운동을 이루도록 연결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일례로 전방화구(15)가 2개, 후방화구(16)가 2개 형성된 쿡탑(12)을 기준으로, 전방화구(15)가 나란히 또는 후방화구(16)가 나란히 배치되는 쿡탑프레임(11)의 방향을 가로방향으로 하며, 전방화구(15)와 후방화구(16)가 앞뒤로 배치되는 쿡탑프레임(11)의 방향을 세로 방향으로 한다.
상기 후방케이스(31)는 상기 쿡탑프레임(11)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프레임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하여 형성할 수 잇다. 따라서, 상기 후방케이스(31)는 상기 쿡탑프레임(11)의 수직 방향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쿡탑프레임(11)이 4개의 직선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사각형상인 경우, 상기 후방케이스(31)는 상기 4개의 직선 프레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직선 프레임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방케이스(31)는 상기 높이조절부(20)에 의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쿡탑프레임(11)과 결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후방케이스(31)와 상기 쿡탑프레임(11)이 이루는 모서리는 상기 전방화구(15)보다 후방화구(16)에 가깝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복수개의 후방화구(16)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후방케이스(31)는 상기 복수개의 후방화구(16)가 배치되는 방향과 평행한 쿡탑프레임(11)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후방케이스(31)는 사각형상의 상기 쿡탑프레임(11)에서 후방에 위치한 가로방향의 프레임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어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후방케이스(31)는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후방케이스(41)의 내부 공간에 흡입되는 오염기체가 유동하도록 가이드하는 후방유동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후방유동통로는 상기 후방흡입부(35)와 연통되도록 연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후방화구(16)의 뒤편에 위치한 상기 후방케이스(31)는 기름때, 음식물과 같은 오염물질 등이 주방의 다른 공간으로 퍼지는 것을 막아주는 차벽으로 이해 할 수 있다.
상기 후방케이스(31)의 형상은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후방케이스(31)의 일 모서리부는 상기 쿡탑프레임(11)과 연결되며, 타 모서리부는 상기 상방후드부의 상방케이스(41)와 연결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상방후드부(40)는 상기 후방케이스(31)와 수직을 이루어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쿡탑부(10)도 상기 후방케이스(31)와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상방후드부(40) 및 상기 쿡탑부(10)는 각각 상기 후방케이스(31)의 양 측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상방케이스(41), 후방케이스(31) 및 쿡탑부(10)의 연결된 형상은 ‘ㄷ’형의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상방케이스(41)는 상기 쿡탑부(10)로부터 상방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상방후드부(40)에 형성되는 상방흡입부(45)를 통해 상기 화구(15,16)에서 발생하여 상승하는 오염기체를 흡입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쿡탑부(10), 후방후드부(30) 및 상방후드부(40)는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므로 제품에 통일적인 심미감을 주어 디자인적으로 우수하며, 후술할 흡입유로의 다양화를 통해 오염기체의 흡입능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상기 후방케이스(31)는 청소가 편리한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후방케이스(31)는 스테인리스 스틸 등으로 표면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후방케이스(31)를 청소할 때 손자국이나 오염물질이 묻어도 젖은 수건만으로 가볍게 닦아낼 수 있다.
상기 후방케이스(31)는 청소가 편리하도록 표면에 코팅이 이루어지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후방케이스(31)는 친수성 재료로 코팅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친수성 코팅으로 후방케이스(31)의 표면은 매우 작은 입자들로 이루어지는 수막으로 덮어질 수 있으며, 상기 친수성 코팅을 통하여 기름 얼룩, 소수성 오염물질 등에 대한 청소를 간편하게 할 수 있어 제품의 수명 및 관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후방케이스(31)는 향균성 코팅이 이루어지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후방케이스(31)의 스테인리스 스틸 표면에는 은나노 코팅제, 백금 코팅제, 섬유용 향균코팅제 등을 도포하여 향균 코팅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오염물질 등으로 인한 세균번식을 억제시킬 수 있으며 청결한 위생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후방케이스(31)뿐만 아니라, 상기 상방케이스(41), 높이조절부(20), 쿡탑프레임(11) 등 오염물질이 흡착될 수 있는 부분에는 위와 같이 청소 편리성이 높은 재질로 코팅할 수 있다.
상기 후방케이스(31)는 후방흡입부(35)가 설치되도록 중심부에 일정 간격을 두어 다수의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공간에는 쿡탑 일체형 주방후드(1)의 높이방향으로, 즉, 상기 후방케이스(31)의 길이방향으로 다단 또는 다수의 흡입부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후방흡입부(35)는, 상기 쿡탑부(10)와 가장 가까운 위치에서 최하단 흡입부를 형성하는 제 1 후방흡입부(35a), 상기 제 1 후방흡입부(35a)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 2 후방흡입부(35b), 상기 제 2 후방흡입부(35b)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상방후드부와 가장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는 제 3 후방흡입부(35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후방흡입부(35a)는 상기 복수 개의 후방흡입부에서 최하단에 위치되어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제 1 후방흡입부(35a)를 기준으로 상방으로 일정 거리에 따라 제 2 후방흡입부(35b) 및 제 3 후방흡입부(35c)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 후방흡입부 내지 제 3 후방흡입부(35a,35b,35c)는 높이에 따라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복수 개의 후방흡입부(35a,35b,35c)는 상기 화구(15,16)에서부터 상방흡입부(45)까지의 거리에 대응하여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조리과정에서 조리용기의 용량 및 크기에 따라 변동할 수 있는 오염기체의 배출량에도 상대적으로 높은 흡입능력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일례로, 소형 후라이팬에서 발생되는 오염기체와 대형 냄비에서 발생되는 오염기체는 그 발생위치가 상이하며 발생량도 다를 수 있다. 낮은 위치에서 다량의 오염기체가 발생한다면 흡입부의 거리가 멀어 주방의 다른 공간으로 확산될 가능성이 커진다. 상기 제 1 후방흡입부(35a)는, 위와 같은 경우에도 상기 후방케이스(31)의 하부에 위치하는 최하단 흡입부로써 낮은 위치에서 발생하는 오염기체를 충분히 흡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제 1 후방흡입부(35a)는 상기 후방화구(16)와 가장 가까운 거리에 위치하게 되므로 상기 후방화구(16) 부근에서 발생하는 오염기체를 1차적으로 흡입할 수 있고, 1차적으로 흡입되지 않은 상기 오염기체는 상승하면서 제 2 후방흡입부(35b) 및 제 3 후방흡입부(35c)로 차례대로 흡입될 수 있다.
상기 후방흡입부(35)는, 상기 높이조절부(20)에 의한 상하이동을 통하여 가장 낮은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 1 후방흡입부(35a)는 상기 높이조절부(20)의 내부로 삽입되어 차폐되거나, 높이조절부의 상단부 상측에 위치되어 여전히 개방될 수도 있다. 즉, 상기 높이조절부(20)의 길이를 통하여, 상기 제 1 후방흡입부(35a)를 차폐하여 사용하지 않을 수 있고, 상기 후방케이스(31)의 최하단 위치에서 계속 오염기체를 흡입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오염기체 발생량에 따라 높이조절을 통하여 흡입능력을 강화 또는 약화시킬 수 있으므로 선택성이 강화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후방흡입부(35)는 상기 후방케이스(31)의 쿡탑부(10)를 향하는 방향의 일 면에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후방흡입부(35)는 상기 후방케이스(31)의 전면에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후방흡입부(35)로 흡입된 기체는 상기 후방케이스(31)가 형성하는 유동경로인 내부의 통로를 통하여 유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흡입부(35, 45)는, 상방흡입부(45)로 화구(15,16)의 상방에서 상승되는 오염기체를 흡입하는 것에 더하여, 화구(15,16)의 후방에서도 오염기체를 흡입할 수 있다. 즉, 화구(15,16)에 의해 조리용기가 가열되어 발생되는 오염기체는 상승하면서 후방흡입부(35)와 상방흡입부(45)로 흡입될 수 있다.
상기 후방흡입부(35)를 통하여, 오염기체 흡입유로가 추가적으로 확보되며, 상기 화구(15,16)의 위치에 따른 흡입할 수 있는 적정거리를 유지할 수 있고, 상승하는 오염기체는 다른 주방공간으로의 확산이 아니라 다단의 후방 및 상방흡입부(35,45)로 흡입될 수 있기 때문에 주방후드의 흡입능력, 배기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후방흡입부(35)는 가장 가까운 거리인 상기 후방화구(16)에 의해 발생하는 오염기체를 주로 흡입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후방 흡입부(35)는 다수의 화구가 형성되는 쿡탑(12)의 후방화구(16)에서 발생하는 오염기체를 집중적으로 흡입할 수 있고, 다른 공간으로의 확산을 막을 수 있다.
상기 후방흡입부(35)는 필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부는 상기 후방흡입부의 입구 측에 설치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필터부는 그릴, 헤파(hepa) 필터, 그리스(grease) 필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부는 상기 후방흡입부(35)에 전면에 장착되며, 조리 시 발생하는 유증기와 오염기체 중 상대적으로 입자가 큰 오염물질을 걸러 줄 수 있다.
상기 상방후드부(40)는 상기 후방케이스(31)로부터 전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상방케이스(41), 상기 상방케이스(41)에 구비되어 오염기체를 흡입하는 상방흡입부(45), 사용자에게 빛을 제공하는 조명(4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방케이스(41)는 상기 후방케이스(31)의 상단에서부터 후방케이스(31)의 전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쿡탑(12)의 상방으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상방케이스(41)는 상기 후방케이스(31)의 상단부에서 전면 방향으로 연장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후방케이스(31)의 전면방향은 상기 후방흡입부(35)가 형성된 방향과 동일하다. 일례로, 상기 상방케이스(41)는 상기 쿡탑부(10)와 평행을 이룰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상방케이스(41)는 상기 쿡탑부(10)와 일정거리 이격된 상방에 위치하므로, 상기 후방케이스(31)의 일단은 상기 상방케이스(41)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쿡탑프레임(11)과 연결되어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상방케이스(41)는 상기 후방케이스(31)의 상단 모서리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후방케이스(31)의 하단 모서리는 상기 쿡탑프레임(11)과 연결될 것이다.
상기 상방케이스(41)는 상기 쿡탑(12)을 바라보는 방향의 일 면에 상방흡입부(45)가 설치되는 구멍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방케이스(41)는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상방케이스(41)의 내부 공간에 흡입되는 오염기체가 유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상방유동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방흡입부(45)와 상기 상방유동통로는 연통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상방흡입부(45)는 상기 상방케이스(41)의 상기 화구(15,16)를 바라보는 면에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상방케이스(41)의 하면에 상기 상방흡입부(45)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방흡입부(45)의 설치위치 및 개수에 대한 제한은 없다. 일례로, 상기 상방흡입부(45)는 사각형상의 두 개의 흡입부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두 흡입부는 상기 상방케이스(41)의 하면에 위치하며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배치할 수 있다.
상기 상방흡입부(45)는 필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필터부는 헤파(hepa) 필터, 그리스(grease) 필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부는 상기 후방흡입부(35)에 전면에 장착되며, 조리 시 발생하는 유증기와 오염기체 중 상대적으로 입자가 큰 오염물질을 걸러 줄 수 있다.
상기 조명(47)은 상방흡입부(45)가 형성되는 상방케이스(41)의 하면에 설치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상방흡입부(35)가 두 개의 흡입부로 대칭되게 형성된 경우, 상기 두 개의 흡입부에 대응하여 두 개의 조명을 각 흡입부의 전방에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조명(47)은 쿡탑(12)을 향하여 빛을 제공하며, 상기 조명(47)을 통하여 사용자의 시야를 보다 잘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조명은 복수 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설치 위치에는 제한이 없다.
상기 흡입팬(60)은 상기 상방케이스(41)의 내부 공간에 설치할 수 있다. 즉, 상기 흡입팬(60)은 상기 상방흡입부(45) 및 후방흡입부(35)와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유동통로에 설치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흡입팬(60)은 상기 상방케이스(41)와 후방케이스(31)가 연결되는 모서리 지점에 해당하는 유동통로에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기덕트(50)는 상기 흡입팬(60)의 설치위치에 대응하여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배기덕트(50)는 상기 후방케이스(31)와 일직선을 이루는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상방케이스(41)의 상면으로부터 연장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입팬(60)은 상기 상방흡입부(45)로 흡입되는 오염기체와 상기 후방흡입부(35)로 흡입되는 오염기체를 합하여 상기 배기덕트(50)로 유동시킬 수 있다.
상기 흡입팬(60)은 슬림(slim)한 형상의 팬으로 구비되는 것이 상방후드부의 외관적 심미감을 더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상기 흡입팬(60)은 OTR(over the range)용 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OTR용 팬은 다익 원심 팬으로서, 다수개의 블레이드, 상기 블레이드에 연결되는 모터,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도록 회전되는 임펠러, 상기 임펠러에 의해 발생된 공기의 유동이 안내되도록 흡입구 및 토출구가 형성된 스크롤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크롤 하우징의 흡입구는 상기 상방흡입부(45) 및 후방흡입부(35)와 연통되는 상기 유동통로와 연결되며, 상기 스크롤 하우징의 토출구는 상기 배기덕트(50)와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크롤 하우징의 토출구의 형상은 사각형, 원형 등을 이룰 수 있는데, 상기 배기덕트는 이에 맞춰 사각덕트, 원형덕트로 형성하여 상기 스크롤 하우징 토출구와 연결할 수 있다. 즉, 상기 OTR용 팬의 토출구 형상에 따라 상기 배기덕트(50)의 유입단 형상이 달라질 수 있다.
상기 OTR용 팬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상방케이스(41) 및 후방케이스(31)의 부피를 슬림하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주방공간의 활용을 극대화 시킬 수 있고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흡입팬(60)의 회전을 통하여 상기 상방흡입부(45) 및 상기 후방흡입부(35)로 오염기체를 흡입하도록 흡입력을 제공한다. 일례로, 상기 흡입팬(60)의 작동 시, 상기 상방흡입부(45) 및 후방흡입부(35)와 연통되는 유동통로는 음압을 형성하여 상기 쿡탑(12) 주위의 오염기체를 흡입할 수 있다.
상기 배기덕트(50)는 상기 흡입팬(60)의 설치위치에 대응하여 설치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배기덕트(50)는 상기 상방흡입부(45)와 상기 후방흡입부(35)로 흡입된 오염기체를 실외로 배기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배기덕트(50)는 상기 상방케이스(41)의 상면에 연결되며, 상기 상방유동통로 및 후방유동통로와 연통되도록 설치할 수 있다.
상기 흡입팬(60)은 상기 상방유동통로와 상기 후방유동통로가 접속되는 일 지점에 설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방유동통와 후방유동통로가 접속되는 일지점은 상기 배기덕트(50)의 유입단과 동일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기덕트(50)는 상기 흡입팬(60)이 설치되는 지점으로부터 상방으로 유동통로를 연장하여 형성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쿡탑 일체형 주방후드(1)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2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와 비교하여 더 포함하여, 상방흡입부(45)에 와류를 발생시켜 흡입능력을 향상시키는 볼텍스(vortex)모듈을 더 포함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상기 제 2 실시예에서 제 1 실시예와 중첩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제 1 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쿡탑 일체형 주방후드(1)의 상방흡입부(45)는 상방케이스(41)의 하면에 형성되는 제 1 상방흡입부(43), 제 2 상방흡입부(44), 볼텍스(vortex)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상방흡입부(43)는 상기 상방케이스(41)의 하면의 일 측면에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상방흡입부(44)는 상기 상방케이스(41)의 하면의 타 측면에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볼텍스(vortex)모듈은 상기 제 1 상방흡입부(43)와 상기 제 2 상방흡입부(44)의 사이에 위치하여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볼텍스(vortex)모듈은 상기 상방케이스(41)의 하면의 중앙부에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 상방흡입부(43) 및 제 2 상방흡입부(44)는 상기 상방케이스(41)의 내부 공간에 제공되는 오염기체의 유동통로와 연통되도록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볼텍스(vortex)모듈도 상기 상방케이스(41)의 내부 공간에 제공되는 오염기체의 유동통로와 연통되도록 연결할 수 있다.
상기 볼텍스(vortex)모듈(48)은 와류를 이용한 국부 배기장치로 이해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볼텍스(vortex)모듈(48)은 배기하고자 하는 유량과 비슷한 양의 공기를 공간에 불어내어 와류를 발생시키고, 발생된 와류는 볼텍스(vortex)모듈의 흡입구로 흡입이 집중되도록 도와줄 수 있다. 즉, 상기 볼텍스(vortex)모듈(48)을 설치함으로써 흡입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볼텍스(vortex)모듈(48)은 흡입구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원판 형태의 회전판과, 회전판의 하면에 다수 개가 배열 설치되어 와류를 형성하는 날개, 상기 회전판을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볼텍스(vortex)모듈(48)의 구동부는 배기관의 내주면에 브라켓을 매개로 고정 설치되는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볼텍스(vortex)모듈(48)의 구동모터가 작동하여 상기 회전판을 회전시키고, 상기 회전판의 외경을 따라 배치되는 다수의 날개가 와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볼텍스(vortex)모듈(48)의 흡입구는 상기 유동통로와 연통되어 연결되며, 상기 유동통로에는 흡입팬(60)의 작동으로 음압이 형성되므로, 쿡탑(12)주위의 오염기체는 상기 볼텍스(vortex)모듈(48)의 흡입구로 흡입될 수 있다.
상기 발생되는 와류는 상기 볼텍스(vortex)모듈(48)의 흡입구로 흡입되는 오염기체가 분산되지 않고 집중적으로 흡입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오염기체의 효율적인 흡입 및 배기를 이룰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기통로를 보여주는 A-A’ 단면도이다. 도 4 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 2 실시예에서의 제 1 상방흡입부(43), 제 2 상방흡입부(44), 볼텍스모듈(48)의 흡입구를 통칭하여 상방흡입부(45)라 한다.
도 4의 굵은 점선의 화살표는 쿡탑부(10)에서 발생되는 오염기체가 본 발명의 복수의 흡입부를 통하여 흡입되어 덕트를 통해 배기되는 유동경로를 예시적으로 보여준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흡입팬(60)이 작동하여 상방흡입부(45), 후방흡입부(35)가 전부 오염기체를 흡입하는 경우에, 각각의 흡입부(35,45)에는 음압이 형성되어 각각의 흡입부 방향으로 오염기체가 유동할 수 있다.
각각의 흡입구(35,45)로 유동하는 오염기체는, 각각의 흡입부(35,45)와의 거리에 따라 달라지는 음압의 영향에 기인하여, 주로 가장 거리가 가까운 위치하는 흡입부로 유동할 수 있다. 즉, 오염기체의 발생위치에 따라 상기 발생위치의 오염기체를 주로 흡입하는 주 흡입구가 정해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전방화구(15)부근에서 발생하는 오염기체는 상승하여 상기 상방흡입부(45) 또는 상기 후방케이스의 최상단에 위치한 제 3 후방흡입부(35c)로 주로 흡입될 수 있다. 상기 상방흡입부(45) 또는 제 3 후방흡입부로 흡입된 오염기체는 상부케이스(41)의 내부에 제공되는 상부유동통로(46)를 통하여 상기 배기덕트(50)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후방화구(16)부근에서 발생하는 오염기체는 가장 가까운 거리에 형성되는 상기 후방케이스의 최하단에 위치한 제 1 후방흡입부(35a), 또는 상기 제 1 후방흡입부(35a)와 제 3 후방흡입부(35c)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 2 후방흡입부(35b)로 주로 흡입될 수 있다. 이 경우, 흡입된 오염기체는 상기 후방케이스(31)의 내부에 제공되는 후방유동통로(36)를 통해 상기 배기덕트(50)로 유동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후방흡입부(35)와 상방흡입부(45)가 ‘ㄱ’자 형을 이루어 상승하는 오염기체를 가두어 용이하게 포집할 수 있으며, 오염기체의 발생위치와 거리가 상대적으로 줄어들어 오염기체를 흡입하는 흡입능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두 방향에서 흡입력을 제공하기 때문에, 상방흡입부(45)에서만 오염기체를 흡입하는 것에 더하여, 후방흡입부(35)에서도 오염기체를 흡입하기 위하여 흡입력에 의해 끌어당기는바, 상기 오염기체의 발생위치인 쿡탑부(10)에 집중적으로 흡입력을 제공하여 오염기체를 끌어당길 수 있다. 이는 종래에 비하여 배기능력을 강화시키는 것과 동시에 주방의 다른 공간으로 오염기체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쿡탑(12)에는 내부 냉각용 팬(1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 냉각용 팬(18)은 상기 쿡탑(12)의 세라믹 상판 하방에 위치한 열원으로부터 발생하는 열기를 식혀주며, 상기 열기로 인하여 쿡탑(12)내부의 온도상승을 막아줄 수 있다.
상기 내부 냉각용 팬(18)은 쿡탑(12)의 내부에 설치할 수 있다. 즉, 상기 내부 냉각용 팬(18)은 쿡탑(12)의 세라믹 상판 하부에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쿡탑(12)은 내부의 열기가 상기 쿡탑(12)의 외부로 유동하도록 가이드하는 내부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 유로는 상기 내부 냉각용 팬(18)에 의해 유동하는 상기 쿡탑(12) 내부의 열기를 어느 일 방향으로 유동시키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상기 내부 냉각용 팬(18)은 상기 내부 유로에 설치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내부 냉각용 팬(18)은 상기 쿡탑(12)내부의 열기가 외부로 유동되도록 압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쿡탑(12)의 내부 유로는 상기 후방케이스(31)의 내부에 제공되는 후방유동통로(36)와 연통되도록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내부 냉각용 팬(18)의 작동으로 상기 쿡탑(12)내부의 열기는 상기 후방유동통로(36)로 유입되어, 상기 배기덕트(50)를 거쳐 실외로 배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유로는 상기 쿡탑(12)의 내부의 열기가 외부로 토출되는 토출구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토출구는 쿡탑(12)의 둘레부를 이루는 외면에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토출구는 상기 후방케이스(31)의 내부에 제공되는 후방유동통로(36)와 연통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종래의 쿡탑(12)은 내부 냉각용 팬(18)을 작동하여 열기를 실내 주방공간으로 토출시키므로 주방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은 내부 냉각용 팬(18)에 의해 쿡탑(12)내부의 열기를 상기 후방유동통로(36)로 유동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쿡탑(12)내부의 온도를 낮추는 동시에 주방의 온도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기과정을 보여주는 일부 구성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방 흡입부 및 후방 흡입부의 흡입 능력를 보여주는 시뮬레이션 그래프이다.
이하에서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쿡탑부(10)에서 발생하는 오염기체가 복수의 흡입부(35,45)에 흡입되어 배기덕트(50)통해 배기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상방흡입부(43)로 흡입되어 상방유동통로(46)를 거쳐, 배기덕트(50)에 유입되어 실외로 배기되는 오염기체의 유동경로를 제 1 유동경로라 이름한다. 또한, 상기 제 2 상방흡입부(44)로 흡입되어 상기 상방유동통로(46)를 거쳐, 상기 배기덕트(50)에 유입되어 실외로 배기되는 오염기체의 유동경로를 제 2 유동경로라 이름한다. 또한, 상기 볼텍스모듈(48)의 흡입구로 흡입되어 상기 상방유동통로(46)를 거쳐, 상기 배기덕트(50)에 유입되어 실외로 배기되는 오염기체의 유동경로를 제 3 유동경로라 이름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후방흡입부(35)로 흡입되어 후방유동통로(36)를 거쳐 상기 배기덕트(50)에 유입되어 실외로 배기되는 오염기체의 유동경로를 제 4 유동경로라 이름한다.
상기 제 1 유동경로, 제 2 유동경로 및 제 3 유동경로는 상기 상부케이스(41)의 상방유동통로(46)에서 합쳐지며, 상기 상방유동통로(46)에서 합쳐지는 유동경로는 상기 제 4 유동경로와 상기 배기덕트(50)의 유입단에서 합쳐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배기덕트(50)는 흡입된 모든 오염기체가 유입하여 실외로 배기될 수 있다.
상기 상방유동통로(46)와 후방유동통로(36)는 서로 수직을 이룰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상방흡입부(43,44) 및 볼텍스모듈(48)의 흡입구로 흡입되는 제 1 오염기체와 상기 후방흡입부(35)로 흡입된 제 2 오염기체는 서로 수직한 방향의 유동방향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제 1 오염기체와 제 2 오염기체가 유동하여 합쳐지는 지점에서 상기 배기덕트(50)의 유입단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팬(60)은 상기 배기덕트(50)의 유입단에 설치할 수 있다. 상기 흡입팬(60)이 상기 배기덕트(50)의 유입단에 흡입력을 제공함으로써, 하나의 흡입팬(60)을 통하여 상호 수직 방향을 이루는 상방에 위치한 흡입부(43,44,48)와 후방흡입부(35)로의 오염기체 흡입을 이룰 수 있다. 또한, 하나의 흡입팬(60)으로 상호 수직 방향을 이루어 유동하는 제 1 오염기체와 제 2 오염기체를 합지시켜 배기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쿡탑 일체형 주방후드는 오염기체를 흡입하여 배기시키는 다수 개의 유동경로를 확보하기 때문에 오염기체의 흡입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오염 기체의 흡입량도 증가하여 주방을 상대적으로 빠른 시간 내에 쾌적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쿡탑(12)에서 발생한 열기(333K)가 복수의 흡입부에 흡입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후방화구(16)부근에서 발생하는 오염기체는 대부분 복수의 후방흡입부(35)로 흡입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상기 후방화구(16)의 부근에서 발생되는 오염기체는 상기 제 4 유동경로를 따라 배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방화구(15)부근에서 발생하는 오염기체는 볼텍스모듈(48)의 흡입구와 후방케이스(31)의 최상단에 위치하는 후방흡입부로 흡입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전방화구(15)의 위치에서 발생하는 오염기체는 두 축방향으로 흡입력을 받을 수 있다. 일례로, 후방흡입부(35)를 향하는 x축방향과 상방흡입부를 향하는 y축방향으로 흡입력을 받기 때문에, 상기 전방화구(15)에서 발생하는 오염기체는 대각선 방향으로 상승할 수 있다. 따라서, 도 6c 및 도 6d를 참조하면, 상기 전방화구(15)부근에서 발생하는 오염기체가 제 1 상방흡입부(43) 및 제 2 상방흡입부(44)에는 소량으로 흡입되며, 주로 볼텍스모듈(48)의 흡입구나 최상단 후방흡입부(35c)로 흡입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종래 상방흡입부만 있는 경우, 후방화구는 흡입부와 거리가 멀기 때문에 후방화구의 주위에서 발생되는 오염기체는 주방의 다른 공간으로 확산되어 주방후드의 배기능력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쿡탑 일체형 주방후드는 후방흡입부(35)와 상방흡입부(45)를 일체로 구비함으로써, 후방화구(16)의 주위에서 발생하는 오염기체를 대부분 흡입하여 실외로 배기시킬 수 있으므로 주방후드의 배기능력이 향상되고 실내로의 오염기체 확산을 막아주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방흡입부 및 후방흡입부(35)가 동시에 오염기체를 흡입함으로써, 오염기체는 상방케이스(41)와 후방케이스(31)가 수직을 이루는 모서리 방향으로 주방 후드의 내측에서 집중적으로 포집되어 흡입될 수 있다. 따라서, 종래 상방흡입부만 존재하는 경우, 전방화구의 주위에서 발생되는 오염기체가 상방흡입부와의 먼 거리로 인하여 주방의 다른 공간으로 확산하는 문제가 존재하였으나, 본 발명의 쿡탑 일체형 주방후드는 이러한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0 : 쿡탑부 20 : 높이조절부
30 : 후방후드부 40 : 상방후드부
50 : 배기덕트 60 : 흡입팬

Claims (22)

  1. 쿡탑을 내부에 수용하는 쿡탑프레임;
    상기 쿡탑프레임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형성하는 후방케이스;
    상기 후방케이스의 전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하며, 상기 쿡탑의 상방으로 이격배치되는 상방케이스;
    상기 상부케이스의 상기 쿡탑을 바라보는 일 면에 형성되는 상방흡입부; 및
    상기 후방케이스의 전면에 형성되는 후방흡입부를 포함하는 쿡탑 일체형 주방후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흡입부와 연결되며, 상기 후방케이스 내부에 기체의 유동을 가이드하는 후방유동통로;
    상기 상방흡입부와 연결되며, 상기 상방케이스 내부에 기체가 유동하도록 제공되는 상방유동통로; 및
    상기 후방유동통로 및 상방유동통로가 연결되는 지점에 설치되어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팬을 더 포함하는 쿡탑 일체형 주방후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유동통로 및 상기 상방유동통로와 연결되며, 흡입기체를 실외로 배기하는 배기덕트를 더 포함하는 쿡탑 일체형 주방후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팬은 다익 원심팬을 포함하는 쿡탑 일체형 주방후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익 원심 팬의 토출구 형상에 따라 상기 배기덕트의 유입단 형상이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쿡탑 일체형 주방후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방흡입부가 형성되는 상기 상부케이스의 일면에 설치되며, 빛을 제공하는 조명을 더 포함하는 쿡탑 일체형 주방후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흡입부는 상기 후방케이스의 높이를 따라 복수 개 또는 다단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쿡탑 일체형 주방후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흡입부는,
    상기 쿡탑의 화구와 가장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도록 최하단에 배치되는 제 1 후방흡입부; 및
    상기 제 1 후방흡입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 2 후방 흡입부를 더 포함하는 쿡탑 일체형 주방후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케이스는 상기 쿡탑프레임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프레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프레임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쿡탑 일체형 주방후드.

  10. 화구를 구비하는 쿡탑;
    복수개의 프레임으로 상기 쿡탑의 외주면을 고정하는 쿡탑프레임;
    상기 쿡탑프레임의 상방 위치하며, 기체를 흡입하는 복수개의 후방흡입부가 형성되는 후방케이스;
    상기 쿡탑프레임과 상기 후방케이스를 연결하며, 상기 후방케이스의 상하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높이조절부; 및
    상기 쿡탑의 상방에 위치하여 상기 후방케이스와 연결되며, 상기 화구를 마주보는 면에 복수개의 상방흡입부를 형성하는 상방케이스를 포함하는 쿡탑 일체형 주방후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흡입부와 연결되어 상기 후방케이스의 내부에서 기체의 유동을 가이드하는 후방유동통로; 및
    상기 상방흡입부와 연결되어 상기 상방케이스의 내부에서 기체의 유동을 가이드하는 상방유동통로를 더 포함하는 쿡탑 일체형 주방후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방케이스의 상면에 길이가 조절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후방유동통로 및 상기 상방유동통로와 연결되어 기체를 실외로 배기하는 배기덕트를 더 포함하는 쿡탑 일체형 주방후드. ,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케이스는 상기 높이조절부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쿡탑 일체형 주방후드.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방흡입부는,
    흡입부의 둘레를 따라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판, 상기 회전판의 하면에 다수 개가 배열 설치되어 와류를 발생시키는 날개가 구비되는 볼텍스 모듈을 포함하는 쿡탑 일체형 주방 후드.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쿡탑은,
    내부 냉각용 팬, 상기 내부 냉각용 팬의 작동으로 인한 열기의 유동을 가이드하는 내부유로가 구비되는 전기쿡탑을 포함하는 쿡탑 일체형 주방 후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유로는 상기 후방유동통로와 연통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쿡탑 일체형 주방 후드.
  17. 전방 및 후방에 복수개의 화구가 배치되는 쿡탑;
    상기 쿡탑을 수용하는 쿡탑프레임;
    상기 쿡탑프레임과 하단이 수직하게 연결되는 후방케이스;
    상기 후방케이스의 상단과 수직하게 연결되는 상방케이스;
    상기 후방케이스의 전면에 구비되어 기체를 흡입하는 후방흡입부; 및
    상기 상방케이스의 하면에 구비되어 기체를 흡입하는 상방흡입부를 포함하는 쿡탑 일체형 주방후드.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상방흡입부 및 후방흡입부는 여과기능을 가지는 필터부를 포함하는 쿡탑 일체형 주방후드.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그릴, 헤파 및 그리스 필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포함하는 쿡탑 일체형 주방 후드.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케이스는 표면이 스테인리스 스틸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쿡탑 일체형 주방 후드.
  21.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케이스는 표면에 친수성 코팅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쿡탑 일체형 주방 후드.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케이스의 표면에는 향균 코팅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쿡탑 일체형 주방후드.

KR1020160150927A 2016-11-14 2016-11-14 쿡탑 일체형 주방후드 KR1026139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0927A KR102613956B1 (ko) 2016-11-14 2016-11-14 쿡탑 일체형 주방후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0927A KR102613956B1 (ko) 2016-11-14 2016-11-14 쿡탑 일체형 주방후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3857A true KR20180053857A (ko) 2018-05-24
KR102613956B1 KR102613956B1 (ko) 2023-12-15

Family

ID=62299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0927A KR102613956B1 (ko) 2016-11-14 2016-11-14 쿡탑 일체형 주방후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395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97465A (zh) * 2021-01-28 2021-05-14 火星人厨具股份有限公司 一体式排风箱以及应用该排风箱的集成灶
CN113390104A (zh) * 2021-06-04 2021-09-14 苏州弗乐卡电器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模块化的集成灶
CN113654085A (zh) * 2021-08-27 2021-11-16 浙江杰森厨具股份有限公司 一种可拆装的模块化集成灶
KR20230048827A (ko) 2021-10-05 2023-04-12 주식회사 하츠 하향식 후드 일체형 쿡탑
KR20230048828A (ko) 2021-10-05 2023-04-12 주식회사 하츠 하향식 후드 일체형 쿡탑용 배기 보조기구, 및 하향식 후드 일체형 쿡탑
KR20230071252A (ko) 2021-11-16 2023-05-23 주식회사 하츠 하향식 후드 일체형 쿡탑용 상부 배기 구조물, 및 하향식 후드 일체형 쿡탑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2988A (ja) * 1993-07-30 1995-02-10 Matsushita Seiko Co Ltd 同時給排形レンジフード
US5690848A (en) * 1994-12-06 1997-11-25 Lamberti; Silvano Suction hood with integrated grill
JP2009089993A (ja) * 2007-10-11 2009-04-30 Panasonic Corp 組み込み式機器
JP2015512504A (ja) * 2012-04-03 2015-04-27 トライアド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回転体内蔵型フード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2988A (ja) * 1993-07-30 1995-02-10 Matsushita Seiko Co Ltd 同時給排形レンジフード
US5690848A (en) * 1994-12-06 1997-11-25 Lamberti; Silvano Suction hood with integrated grill
JP2009089993A (ja) * 2007-10-11 2009-04-30 Panasonic Corp 組み込み式機器
JP2015512504A (ja) * 2012-04-03 2015-04-27 トライアド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回転体内蔵型フードシステム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97465A (zh) * 2021-01-28 2021-05-14 火星人厨具股份有限公司 一体式排风箱以及应用该排风箱的集成灶
CN113390104A (zh) * 2021-06-04 2021-09-14 苏州弗乐卡电器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模块化的集成灶
CN113654085A (zh) * 2021-08-27 2021-11-16 浙江杰森厨具股份有限公司 一种可拆装的模块化集成灶
CN113654085B (zh) * 2021-08-27 2024-04-09 浙江杰森厨具股份有限公司 一种可拆装的模块化集成灶
KR20230048827A (ko) 2021-10-05 2023-04-12 주식회사 하츠 하향식 후드 일체형 쿡탑
KR20230048828A (ko) 2021-10-05 2023-04-12 주식회사 하츠 하향식 후드 일체형 쿡탑용 배기 보조기구, 및 하향식 후드 일체형 쿡탑
KR20230071252A (ko) 2021-11-16 2023-05-23 주식회사 하츠 하향식 후드 일체형 쿡탑용 상부 배기 구조물, 및 하향식 후드 일체형 쿡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3956B1 (ko) 2023-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53857A (ko) 쿡탑 일체형 주방후드
CN105698234A (zh) 供气排气兼用感应换气系统
US20220146114A1 (en) Hob system
US11732901B2 (en) Ventilation apparatus and ventila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CN107923630A (zh) 具有烹调区域和排烟设备的组合式装置
US20110146657A1 (en) Duct free re-circulating downdraft exhaust accessory
ES2971825T3 (es) Sistema de campos de cocción
KR20080060395A (ko) 후드 겸용 전자 레인지
JP2005241233A (ja) フード一体型電子レンジ
CN113237112B (zh) 一种吸油烟机
KR101532225B1 (ko) 흡입관이 설치된 인출형 렌지후드
JP2012007873A (ja) 室内循環式空気浄化装置
JP2002045240A (ja) 可搬式テーブル
JP5940903B2 (ja) 加熱調理器
WO2020202012A1 (en) Extractor unit
JP2011017465A (ja) 整流板および整流板を備えたレンジフード
KR200386369Y1 (ko) 신선공기 도입형 주방용 레인지후드
KR20070011772A (ko) 에어커튼형 가스레인지
KR100608704B1 (ko) 주방용 후드의 월제트 배기장치
JP4692241B2 (ja) 調理器具カウンタ
JP3886347B2 (ja) レンジフード
JP6198888B2 (ja) 加熱調理器
JP6639289B2 (ja) 加熱調理器
KR102199327B1 (ko) 에어커튼식 조리용 가열기구 테이블
CN217441746U (zh) 一种吸油烟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