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5532B1 - 차량용 러기지박스 조립체 - Google Patents

차량용 러기지박스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5532B1
KR100675532B1 KR1020060015689A KR20060015689A KR100675532B1 KR 100675532 B1 KR100675532 B1 KR 100675532B1 KR 1020060015689 A KR1020060015689 A KR 1020060015689A KR 20060015689 A KR20060015689 A KR 20060015689A KR 100675532 B1 KR100675532 B1 KR 1006755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luggage
stay
box assembly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5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병국
Original Assignee
한일이화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일이화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일이화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156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55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55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55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4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lift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러기지박스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수납공간을 갖춘 박스함과, 상기 박스함에 힌지 결합되어 박스함을 개폐시키는 러기지커버와, 상기 러기지커버의 개방상태를 유지시켜 주는 러기지커버 지지장치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차량용 러기지박스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러기지커버 지지장치는, 상기 박스함(10)의 플랜지(11) 내부에서 플랜지(11)의 길이방향(L1)을 따라 어퍼그루브(31) 및 로어그루브(32)가 트랙형상의 순환구조를 갖도록 형성된 가이드트랙(30)과, 상기 러기지커버(20)의 안쪽면에서 상기 가이드트랙(30)과 대면하는 위치에 결합되어 설치되는 로드브라켓(40)과, 일단은 상기 로드브라켓(4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러기지커버(20)의 개폐상태 및 개방각도에 따라 상기 어퍼그루브(31)와 로어그루브(32)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트랙(30)으로 삽입되어 설치되는 로드스테이(50)로 구성되어져, 상기 로드스테이(50)의 지지력에 의해 개방된 상태의 러기지커버(20)가 자중에 의해 스스로 닫히는 현상이 예방되고, 아울러 러기지커버(20)의 밀폐동작시 작업자가 불필요한 동작을 없앨 수 있게 됨으로써 작업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러기지박스 조립체{Luggage box assembly for vehicle}
도 1은 차량용 러기지박스 조립체의 설치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러기지커버 지지장치를 구비한 러기지박스 조립체의 일부사시도,
도 3은 도 2의 'A'부 단면도,
도 4는 도 3의 Ⅰ-Ⅰ선 부분단면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러기지커버 지지장치에서 러기지커버와 로드브라켓의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실시예의 단면도,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러기지커버 지지장치에서 로드브라켓과 로드스테이의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러기지박스 조립체 10 - 박스함
11 - 플랜지 20 - 러기지커버
30 - 가이드트랙 31 - 어퍼그루브
32 - 로어그루브 40 - 로드브라켓
50 - 로드스테이 60 - 리턴스프링
본 발명은 차량용 러기지박스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개방된 상태의 러기지커버를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여 자중에 의한 러기지커버의 닫힘 현상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러기지커버의 밀폐동작도 편리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의 편의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러기지커버 지지장치를 구비한 차량용 러기지박스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RV(Recreational Vehicle)차량이나 왜건(Wagon)차량의 경우 트렁크룸의 바닥에 스페어타이어가 보관되고, 그 위에 수화물을 정리하여 보관할 수 있는 러기지박스 조립체가 수납된다.
상기 러기지박스 조립체는 수납공간을 구비한 박스함과, 상기 박스함에 힌지 결합되어 박스함을 개폐시키는 러기지커버 및, 상기 러기지커버의 개방상태를 유지시켜 주는 러기지커버 지지장치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러기지커버는 박스함을 개폐시키는 역할뿐만 아니라, 스페어타이어의 수납공간을 전체적으로 밀폐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트렁크룸의 외관미를 전체적으로 수려하게 유지시켜 주는 역할도 수행한다.
한편, 상기 러기지커버 지지장치는 개방된 상태의 러기지커버가 자중에 의해 스스로 닫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충분한 지지력을 갖추고 있어야 하며, 동시에 작업자가 개방된 러기지커버를 닫을 때에는 불필요한 동작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여 편의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본 발명은, 개방된 상태의 러기지커버가 자중에 의해 스스로 닫히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도록 충분한 지지력을 갖출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러기지커버의 밀폐동작시 작업자의 불필요한 동작을 없앨 수 있도록 하여 편의성을 최대한 향상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러기지커버 지지장치를 구비한 차량용 러기지박스 조립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납공간을 갖춘 박스함과, 상기 박스함에 힌지 결합되어 박스함을 개폐시키는 러기지커버와, 상기 러기지커버의 개방상태를 유지시켜 주는 러기지커버 지지장치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차량용 러기지박스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러기지커버 지지장치는, 상기 박스함의 플랜지 내부에서 플랜지의 길이방향을 따라 어퍼그루브 및 로어그루브가 트랙형상의 순환구조를 갖도록 형성된 가이드트랙과; 상기 러기지커버의 안쪽면에서 상기 가이드트랙과 대면하는 위치에 결합되어 설치되는 로드브라켓과; 일단은 상기 로드브라켓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러기지커버의 개폐상태 및 개방각도에 따라 상기 어퍼그루브와 로어그루브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트랙으로 삽입되어 설치되는 로드스테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차량용 러기지박스조립체의 설치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러기지커버 지지장치를 구비한 러기지박스조립체의 일부사 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A'부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Ⅰ-Ⅰ선 부분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수화물을 정리하여 보관할 수 있는 러기지박스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RV(Recreational Vehicle)나 왜건(Wagon)과 같은 차량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렁크룸(T/R)의 바닥에 스페어타이어(S/T)가 보관되고 그 위에 러기지박스 조립체(1)가 수납되도록 설치된다.
도 1에 도시된 미설명 부호 S/B는 뒷좌석의 시트백이고, 미설명 부호 T/G는 테일게이트이다.
상기 러기지박스 조립체(1)는 수납공간을 구비한 박스함(10)과, 상기 박스함(10)에 힌지 결합되어 박스함(10)을 개폐시키는 러기지커버(20) 및, 상기 러기지커버(20)의 개방상태를 유지시켜 주는 러기지커버 지지장치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러기지커버 지지장치는 개방된 상태의 러기지커버(20)가 자중에 의해 스스로 닫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충분한 지지력을 갖추고 있어야 하며, 동시에 작업자가 개방된 러기지커버(20)를 닫을 때에는 불필요한 동작을 없앨 수 있도록 하여 편의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러기지커버 지지장치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박스함(10)의 플랜지(11) 내부에서 플랜지(11)의 길이방향(L1)을 따라 어퍼그루브(31) 및 로어그루브(32)가 트랙형상의 순환구조를 갖도록 형성된 가이드트랙(30)과, 상기 러기지커버(20)의 안쪽면에서 상기 가이드트랙(30)과 대면하는 위치에 결합되어 설치되는 로드브라켓(40)과, 일단은 상기 로드브라켓 (4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러기지커버(20)의 개폐상태 및 개방각도에 따라 상기 어퍼그루브(31)와 로어그루브(32)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트랙(30)으로 삽입되어 설치되는 로드스테이(50)로 구성된다.
상기 플랜지(11)는 박스함(10)의 상단 테두리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절곡되어 형성되는 플랜지이고, 상기 가이드트랙(30)은 박스함(10)의 좌우측에 위치한 플랜지(11)에서 박스함(10)의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구조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러기지박스 조립체(1)는, 상기 로드브라켓(40)과 로드스테이(50)의 소정부위에 양단에 각각 고정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러기지커버(20)의 개폐 동작시 조작감을 부여하면서 상기 가이드트랙(30)에 대한 로드스테이(50)의 이동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리턴스프링(6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러기지커버(20)와 상기 로드브라켓(40)은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이 이루어지게 되는 바, 그 중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러기지커버(20)의 안쪽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노치(21)와 상기 로드브라켓(40)의 뒷면에 형성된 리브(71)가 초음파 열 융착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러기지커버(20)와 상기 로드브라켓(4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72)에 의해 결합되어 설치될 수도 있는 바, 이때 상기 러기지커버(20)에는 탭이 형성된 체결홈(22)이 형성되고 상기 로드브라켓(40)에는 볼트(72)의 관통을 위한 볼트구멍(47)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러기지커버(20)와 상기 로드브라켓(4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루(73)에 의해 결합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로드스테이(5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쪽 끝단이 기역(ㄱ)자 모양으로 절곡된 원형로드부(51)와, 상기 원형로드부(51)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로드브라켓(4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부 및, 상기 원형로드부(51)의 타단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트랙(30)으로 삽입되는 구형상의 가이드구(53)로 구성되는데, 상기 힌지부는 일실실예에 따라 구형상의 힌지구(52)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도 9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와 같이 평판형상의 힌지편(52-1)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로드브라켓(40)에는 상기 로드스테이(50)의 힌지부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힌지결합부가 형성되는데, 상기 로드스테이(50)의 힌지부가 힌지구(52)일 경우 상기 힌지결합부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돔형상결합부(41)로 형성되고, 상기 돔형상결합부(41)의 중앙에는 로드브라켓(42)의 길이방향(L2)을 따라 절개한 로드구멍(42)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로드스테이(50)의 힌지구(52)는 상기 돔형상결합부(41)의 내측 곡면과 볼조인트 결합을 이루면서 상기 로드스테이(50)가 로드구멍(42)을 따라 로드브라켓(40)에 대해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설치된다.
또한, 상기 로드스테이(50)의 힌지부가 힌지편(52-1)일 경우 상기 로드브라켓(40)의 힌지결합부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마주 대하면서 이격된 한 쌍의 평판형상결합부(41-1)로 형성되고, 상기 평판형상결합부(41-1)에는 핀구멍(43)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로드스테이(50)의 힌지편(52-1)은 상기 평판형상결합부(41-1) 사이로 삽입되어 힌지핀(44)을 매개로 결합을 이루면서 상기 로드스테이(50)가 힌지핀(44)을 중심으로 로드브라켓(40)에 대해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로드브라켓(40)에는 도 8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결합부로부터 이격되면서 상기 로드스테이(50)가 회동하는 방향에 로드스테이(50)의 원형로드부(51)를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돌기(45)가 일체로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러기지커버 지지장치에서 상기 가이드트랙(30)은 상기 어퍼그루브(31)와 상기 로어그루브(32) 이외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어퍼그루브(31)와 로어그루브(32)를 구획하도록 트랙의 중간에 돌출 형성된 트랙분할돌기(33)와, 상기 로어그루브(32)내에 다수개가 이격 형성되어 로어그루브(32)를 따라 이동하는 로드스테이(50)의 가이드구(53)가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하면서 상기 러기지커버(20)의 개방상태를 다양한 각도로서 유지시켜 주는 로드고정홈(34)과, 상기 트랙분할돌기(33)에서 로드고정홈(34)을 향해 수직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로어그루브(32)내에 위치한 로드스테이(50)의 가이드구(53) 이동을 상기 러기지커버(20)의 개방 동작시 이동하는 방향으로만 허용하고 그 반대방향으로는 이동을 제한하는 이동제한돌기(35)와, 상기 러기지커버(20)의 밀폐시 로드스테이(50)의 가이드구(53)가 위치하도록 상기 로어그루브(32)의 일단과 연결되도록 형성된 시작공간(36)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로드고정홈(34)은, 상기 러기지커버(20)의 개방 동작시 로드스테이(50)의 가이드구(53)가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로어그루브(32)에서 수직 하방으로 연장된 수직면(34a)과 수평한 바닥면(34b) 및 기울기를 갖춘 경사면 (34c)으로 구성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제한돌기(35)는, 상기 러기지커버(20)의 개방 동작시 로드스테이(50)의 가이드구(53)가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트랙분할돌기(33)에서 기울기를 갖도록 연장된 경사면(35a) 및 수직 상방으로 연장되어 트랙분할돌기(33)와 연결되는 수직면(35b)으로 구성되면서 삼각형의 단면모양을 갖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로드고정홈(34)의 수직면(34a)과 상기 로어그루브(32)의 바닥면이 만나는 모서리지점(P1)에서 상기 이동제한돌기(35)를 구성하는 경사면(35a)까지의 최단 이격거리(L3) 및, 상기 이동제한돌기(35)의 경사면(35a)과 수직면(35b)이 만나는 꼭지점(P2)에서 상기 로드고정홈(34)을 구성하는 경사면(34c)까지의 최단 이격거리(L4)는, 각각 상기 로드스테이(50)의 가이드구(53) 직경(D1)보다 큰 치수를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로어그루브(32)의 바닥에서 상기 이동제한돌기(35)의 경사면(35a)과 수직면(35b)이 만나는 꼭지점(P2)까지의 수직방향 직선간격(L5)은, 상기 로드스테이(50)의 가이드구(53) 직경(D1)보다 작은 치수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러기지커버(20)가 박스함(10)에 닫혀져 박스함(10)을 밀폐시키고 있을 때 로드스테이(50)는 로드브라켓(40)쪽으로 밀착되는 상태를 유지하면서 그 선단의 가이드구(53)는 가이드트랙(30)에서 시작공간(36)에 위치하게 된다.(M1 위치)
이와 같은 상태에서, 작업자가 러기지커버(20)의 개방을 위해 들어 올려주게 되면, 로드브라켓(40)과 로드스테이(50)의 사이각이 점차적으로 커지면서 상기 로 드스테이(50)의 가이드구(53)는 가이드트랙(30) 중 로어그루브(32)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M2 위치)
로어그루브(32)를 따라 이동하던 로드스테이(50)의 가이드구(53)는 러기지커버(20)의 개방각이 커짐에 따라 이동제한돌기(35)의 경사면(35a)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로드고정홈(34)으로 삽입된다.(M3 위치)
가이드구(53)가 로드고정홈(34)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러기지커버(20)를 놓아주게 되면, 리턴스프링(60)의 복원력 및 러기지커버(20)의 자중에 의해 로드스테이(50)의 가이드구(53)는 상기 로드고정홈(34)의 수직면(34a)과 맞닿게 되며, 이로 인해 상기 로드스테이(50)는 러기지커버(20)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력을 갖추게 된다.
러기지커버(20)의 개방각을 더 크게 하기 위해 러기지커버(20)를 상방으로 더 들어 올려주면, M3에 위치한 가이드구(53)는 경사면(34c)을 따라 이동하여 다시 로어그루브(32)의 바닥면에 위치하게 된다.(M4 위치)
이때, 러기지커버(20)를 들어올리던 작업자의 힘이 없어지면(즉, 작업자가 러기지커버를 들어올리던 상태에서 러기지커버를 놓치게 되면), M4에 위치한 가이드구(53)는 리턴스프링(60)의 복원력 및 러기지커버(20)의 자중에 의해 후퇴이동을 하게되며, 후퇴이동중인 가이드구(53)는 이동제한돌기(35)의 수직면(35b)에 의해 더 이상의 후퇴이동이 제한되고 동시에 로드고정홈(34)의 경사면(34c)에 의해 이동이 가이드됨으로써 바로 전 단계의 로드고정홈(34)으로 재차 삽입되어 러기지커버(20)의 개방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시켜 줄 수 있게 된다.
M3에 위치한 가이드구(53)는 러기지커버(20)의 개방각이 증가함에 따라 M4의 위치를 경유하여 다음 단계의 로드고정홈(34)으로 삽입됨으로써, 러기지커버(20)는 더 큰 개방각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M5 위치)
작업자가 계속해서 러기지커버(20)를 들어올려주어 러기지커버(20)의 개방각이 최대가 되면, M5에 위치하고 있던 가이드구(53)는 M6의 위치와 같이 로어그루브(32)와 어퍼그루브(31)의 연결통로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어퍼그루브(31)로 진입되며, 이후 개방된 상태의 러기지커버(20)를 밀폐시키는 방향으로 회전시켜주게 되면 상기 M6에 위치한 가이드구(53)는 어퍼그루브(31)를 따라 M7 위치를 경유한 뒤 M8의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박스함(10)의 완전 밀폐를 위해 작업자가 계속해서 러기지커버(20)를 닫아주게 되면, M8에 위치한 가이드구(53)는 어퍼그루브(31)와 로어그루브(32)의 연결통로를 통해 최초의 위치인 시작공간(36)으로 이동하여, 다음번의 동작을 준비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러기지커버(20)가 개방된 상태일 때 러기지커버 지지장치를 구성하는 로드스테이(50)의 가이드구(53)가 가이드트랙(30)의 로드고정홈(34)으로 삽입되어 상기 로드스테이(50)가 지지력을 갖출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개방된 상태의 러기지커버(20)가 자중에 의해 스스로 닫히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자가 러기지커버(20)를 밀폐시키는 동작을 행할 때 로드스테이(50)를 별도로 조작하는 불필요한 동작을 행하지 않아도 러기지커버(20)의 밀폐동작이 원활하게 진행됨으로써, 작업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러기지커버 지지장치를 구성하는 로드스테이의 지지력에 의해 개방된 상태의 러기지커버가 자중에 의해 스스로 닫히는 현상이 예방되고, 아울러 러기지커버의 밀폐동작시 작업자가 불필요한 동작을 없앨 수 있게 됨으로써 작업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15)

  1. 수납공간을 갖춘 박스함과, 상기 박스함에 힌지 결합되어 박스함을 개폐시키는 러기지커버와, 상기 러기지커버의 개방상태를 유지시켜 주는 러기지커버 지지장치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차량용 러기지박스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러기지커버 지지장치는,
    상기 박스함(10)의 플랜지(11) 내부에서 플랜지(11)의 길이방향(L1)을 따라 어퍼그루브(31) 및 로어그루브(32)가 트랙형상의 순환구조를 갖도록 형성된 가이드트랙(30)과;
    상기 러기지커버(20)의 안쪽면에서 상기 가이드트랙(30)과 대면하는 위치에 결합되어 설치되는 로드브라켓(40)과;
    일단은 상기 로드브라켓(4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러기지커버(20)의 개폐상태 및 개방각도에 따라 상기 어퍼그루브(31)와 로어그루브(32)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트랙(30)으로 삽입되어 설치되는 로드스테이(50);
    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러기지박스 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브라켓(40)과 로드스테이(50)의 소정부위에 양단에 각각 고정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러기지커버(20)의 개폐 동작시 조작감을 부여하면서 상기 가이드트랙(30)에 대한 로드스테이(50)의 이동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리턴스프링(60);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러기지박스 조립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러기지커버(20)와 상기 로드브라켓(40)은 상기 러기지커버(20)의 안쪽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노치(21)와 상기 로드브라켓(40)의 뒷면에 형성된 리브(71)가 초음파 열 융착에 의해 결합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러기지박스 조립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러기지커버(20)와 상기 로드브라켓(40)은 볼트(72)에 의해 결합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러기지박스 조립체.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러기지커버(20)와 상기 로드브라켓(40)은 스크루(73)에 의해 결합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러기지박스 조립체.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스테이(50)는 한쪽 끝단이 기역(ㄱ)자 모양으로 절곡된 원형로드부(51)와, 상기 원형로드부(51)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로드브라켓(4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부 및, 상기 원형로드부(51)의 타단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트랙(30)으로 삽입되는 구형상의 가이드구(53)로 구성되는데;
    상기 힌지부는 구형상으로 형성된 힌지구(5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러기지박스 조립체.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스테이(50)의 힌지부는 평판형상으로 형성된 힌지편(52-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러기지박스 조립체.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브라켓(40)에는 상기 로드스테이(50)의 힌지부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힌지결합부가 형성되는데;
    상기 힌지결합부는 상기 로드스테이(50)의 힌지부가 힌지구(52)일 경우 돔형상결합부(41)로 형성되고, 상기 돔형상결합부(41)의 중앙에는 로드브라켓(42)의 길이방향(L2)을 따라 절개한 로드구멍(42)이 형성되어;
    상기 힌지구(52)가 상기 돔형상결합부(41)의 내측 곡면과 볼조인트 결합을 이루면서 상기 로드스테이(50)가 로드구멍(42)을 따라 로드브라켓(40)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러기지박스 조립체.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브라켓(40)의 힌지결합부는 상기 로드스테이(50)의 힌지부가 힌지편(52-1)일 경우 서로 마주 대하면서 이격된 한 쌍의 평판형상결합부(41-1)로 형성되고, 상기 평판형상결합부(41-1)에는 핀구멍(43)이 형성되어;
    상기 힌지편(52-1)이 상기 평판형상결합부(41-1)사이로 삽입되어 힌지핀(44)을 매개로 결합을 이루면서 상기 로드스테이(50)가 힌지핀(44)을 중심으로 로드브라켓(40)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러기지박스 조립체.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브라켓(40)에는 힌지결합부로부터 이격되면서 상기 로드스테이(50)가 회동하는 방향에 로드스테이(50)의 원형로드부(51)를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돌기(45)가 일체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러기지박스 조립체.
  11.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트랙(30)은,
    상기 어퍼그루브(31)와 로어그루브(32)를 구획하도록 트랙의 중간에 돌출 형성된 트랙분할돌기(33)와;
    상기 로어그루브(32)내에 다수개가 이격 형성되어 로어그루브(32)를 따라 이동하는 로드스테이(50)의 가이드구(53)가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하면서 상기 러기지커버(20)의 개방상태를 다양한 각도로서 유지시켜 주는 로드고정홈(34)과;
    상기 트랙분할돌기(33)에서 로드고정홈(34)을 향해 수직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로어그루브(32)내에 위치한 로드스테이(50)의 가이드구(53) 이동을 상기 러기지커버(20)의 개방 동작시 이동하는 방향으로만 허용하고 그 반대방향으로는 이동을 제한하는 이동제한돌기(35)와;
    상기 러기지커버(20)의 밀폐시 로드스테이(50)의 가이드구(53)가 위치하도록 상기 로어그루브(32)의 일단과 연결되도록 형성된 시작공간(36);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러기지박스 조립체.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고정홈(34)은,
    상기 러기지커버(20)의 개방 동작시 로드스테이(50)의 가이드구(53)가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로어그루브(32)에서 수직 하방으로 연장된 수직면(34a)과 수평한 바닥면(34b) 및 기울기를 갖춘 경사면(34c)으로 구성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러기지박스 조립체.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제한돌기(35)는,
    상기 러기지커버(20)의 개방 동작시 로드스테이(50)의 가이드구(53)가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트랙분할돌기(33)에서 기울기를 갖도록 연장된 경사면(35a) 및 수직 상방으로 연장되어 트랙분할돌기(33)와 연결되는 수직면(35b)으로 구성되면서 삼각형의 단면모양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러기지박스 조립체.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고정홈(34)의 수직면(34a)과 상기 로어그루브(32)의 바닥면이 만나는 모서리지점(P1)에서 상기 이동제한돌기(35)를 구성하는 경사면(35a)까지의 최단 이격거리(L3) 및,
    상기 이동제한돌기(35)의 경사면(35a)과 수직면(35b)이 만나는 꼭지점(P2)에서 상기 로드고정홈(34)을 구성하는 경사면(34c)까지의 최단 이격거리(L4)는,
    각각 상기 로드스테이(50)의 가이드구(53) 직경(D1)보다 큰 치수를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러기지박스 조립체.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로어그루브(32)의 바닥에서 상기 이동제한돌기(35)의 경사면(35a)과 수직면(35b)이 만나는 꼭지점(P2)까지의 수직방향 직선간격(L5)은, 상기 로드스테이(50)의 가이드구(53) 직경(D1)보다 작은 치수를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러기지박스 조립체.
KR1020060015689A 2006-02-17 2006-02-17 차량용 러기지박스 조립체 KR1006755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5689A KR100675532B1 (ko) 2006-02-17 2006-02-17 차량용 러기지박스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5689A KR100675532B1 (ko) 2006-02-17 2006-02-17 차량용 러기지박스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5532B1 true KR100675532B1 (ko) 2007-01-30

Family

ID=38015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5689A KR100675532B1 (ko) 2006-02-17 2006-02-17 차량용 러기지박스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5532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8608B1 (ko) 2006-12-05 2008-05-0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러기지 박스의 개폐어셈블리
KR100896892B1 (ko) 2008-07-04 2009-05-14 한일이화주식회사 러기지 박스 어셈블리
KR100901923B1 (ko) 2008-05-06 2009-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러기지박스 장치
CN106541996A (zh) * 2015-09-17 2017-03-29 福特全球技术公司 集成了动态承载地板和摇臂总成的货物管理系统
CN109849798A (zh) * 2017-11-30 2019-06-07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车辆的覆盖架设备
KR20200047932A (ko) 2018-10-26 2020-05-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크기 조절이 가능한 러기지 박스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9153A (ko) * 2002-04-02 2003-10-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레저용 승합차량의 수하물 적재구조
KR20050099050A (ko) * 2004-04-08 2005-10-13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러기지 트레이 커버구조
KR20060007117A (ko) * 2004-07-19 2006-01-24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사물함 덮개 구조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9153A (ko) * 2002-04-02 2003-10-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레저용 승합차량의 수하물 적재구조
KR20050099050A (ko) * 2004-04-08 2005-10-13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러기지 트레이 커버구조
KR20060007117A (ko) * 2004-07-19 2006-01-24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사물함 덮개 구조물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10-2003-0079153호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10-2005-0099050호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10-2006-0007117호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8608B1 (ko) 2006-12-05 2008-05-0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러기지 박스의 개폐어셈블리
KR100901923B1 (ko) 2008-05-06 2009-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러기지박스 장치
KR100896892B1 (ko) 2008-07-04 2009-05-14 한일이화주식회사 러기지 박스 어셈블리
CN106541996A (zh) * 2015-09-17 2017-03-29 福特全球技术公司 集成了动态承载地板和摇臂总成的货物管理系统
CN106541996B (zh) * 2015-09-17 2021-10-01 福特全球技术公司 集成了动态承载地板和摇臂总成的货物管理系统
CN109849798A (zh) * 2017-11-30 2019-06-07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车辆的覆盖架设备
CN109849798B (zh) * 2017-11-30 2024-03-01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车辆的覆盖架设备
KR20200047932A (ko) 2018-10-26 2020-05-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크기 조절이 가능한 러기지 박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5532B1 (ko) 차량용 러기지박스 조립체
US7740299B2 (en) Central console for a vehicle
US7828366B2 (en) Motor vehicle door
US10731393B2 (en) Dual platform bumper system for vehicle doors
US8100455B2 (en) Overhead console
US8740295B2 (en) Apparatus for adjusting paring line of panoramic sunroof
JP2010006355A (ja) 車両用収納装置
CN204242594U (zh) 用于仪表盘端盖的罩组件
US7717493B2 (en) Sliding door system
KR101875701B1 (ko) 차량용 커버링쉘프 거치장치
KR20220019937A (ko) 슬라이딩 테일게이트
US9694762B2 (en) Check-link harness guide
US9573447B2 (en) Vehicle back door device with damper stay storage structure
CN101501427A (zh) 制冷装置
US20220134911A1 (en) Seat rail for vehicle
KR20170109996A (ko) 차량용 루프 박스
US5516177A (en) Instrument panel glove box door assembly
KR20190119292A (ko) 차량용 러기지 보드 장치
KR101905487B1 (ko) 차량용 커버링쉘프 거치장치
JP2007091100A (ja) 自動車におけるラゲージフロア体の上下移動装置
JPS62198517A (ja) 自動車の開閉式屋根構造
KR102588817B1 (ko) 에어벤트의 윙 노브 장치
US20180201102A1 (en) Structure of electric sunshade and sunroof
JP4297343B2 (ja) デッキフロア構造
JP3272291B2 (ja) カップホル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