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3968B1 - 카드형 휴대정보처리기기의 케이스 - Google Patents

카드형 휴대정보처리기기의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3968B1
KR100673968B1 KR1020057025232A KR20057025232A KR100673968B1 KR 100673968 B1 KR100673968 B1 KR 100673968B1 KR 1020057025232 A KR1020057025232 A KR 1020057025232A KR 20057025232 A KR20057025232 A KR 20057025232A KR 100673968 B1 KR100673968 B1 KR 1006739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cap
portable information
information processing
type por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252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2603A (ko
Inventor
치카노리 미야와키
미키야 우에다
요시아키 아쿠타가와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326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26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39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39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 G06K13/0843Feeding or discharging cards from or back into the same magazin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18Ticket-holde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18Ticket-holders or the like
    • A45C2011/188Media card holders, e.g. memory cards, SIM car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Calculators And Similar Devices (AREA)

Abstract

이 카드의 사용자는, 카드형 휴대정보처리기기를 케이스로부터 떼어낼 때에, 캡이 카드형 휴대정보처리기기에 부수되는 형태와, 캡이 제 1 덮개체에 결합하여 카드형 휴대정보처리기기에는 부수되지 않는 형태를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 1 덮개체에, 캡 결합부(15)를 형성하고, 카드형 휴대정보처리기기(30)를 케이스로부터 인출할 때에, A방향으로 카드형 휴대정보처리기기(30)를 이동시키면 캡(40)이 부착된 상태에서 카드형 휴대정보처리기기(30)를 떼어낼 수 있고, C방향으로 카드형 휴대정보처리기기(30)를 이동시키면 캡(40)은 제 1 덮개체(1)의 캡 결합부(15) 내에 결합된 상태에서 카드형 휴대정보처리기기(30)만 인출시킨다.

Description

카드형 휴대정보처리기기의 케이스{CASE OF CARD-TYPE PORTABLE INFORMATION PROCESSOR}
본 발명은, PC카드 등의 카드형 휴대정보처리기기의 보호를 위해 사용하는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요즈음, 메모리카드, LAN카드, 하드디스크 등, PC카드로 대표되는 카드형 휴대정보처리기기는, 많은 종류가 상품화되고, 점점 소형, 박형화가 진행되어, 모든 장소에서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카드형 휴대정보처리기기는 먼지나 수분 등의 침입을 방지하거나, 정전기의 영향을 저감하거나, 낙하 등의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서 보호 케이스나 단자부를 보호하는 캡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부터, PC카드 등의 보호 케이스는 잘 알려져 있고, 내부에 카드형 휴대정보처리기기를 수납하여 휴대시에 정전기, 먼지, 수분,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한다. 내부를 확인하기 쉽도록 투명한 수지 등으로 형성된 케이스가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단자부만을 정전기, 먼지, 수분,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 단자부에 씌우는 캡도 알려져 있다.
JP7-40573U는, 2장의 덮개체 내에 IC 메모리카드를 수납하는 편평한 IC 메모리카드 케이스가 기재되어 있다. 이 IC 메모리카드 케이스는, 상기 덮개체 내에 IC 메모리카드를 유지하는 리브 형상의 보호편이 형성되고, 2장의 덮개체가 힌지부에 의해 연결되고, 닫혀진 덮개체가 열리지 않도록 걸림부재가 덮개체의 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JP2000-99668A는, PC카드의 단자부를 보호하기 위해 이용되는 PC카드 캡이 기재되어 있다. 이 PC카드 캡은, PC카드와 대략 동일한 길이의 직사각형상의 캡 본체의 양단에, PC카드의 단자부에 끼워맞추는 직사각형상의 2개의 캡부가 핀에 의해 회전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사용시에는, 캡 본체를 PC카드를 따르게 하여, 상기 캡부를 회전이동시켜 PC카드의 단자부에 끼워맞추면 설치는 완료된다. PC카드 캡을 PC카드의 단자부에 부착한 상태에서는, PC카드의 양 단자부 이외는 노출되어 있다.
그러나, JP7-40573U와 같은 IC 메모리카드 케이스는 카드형 휴대정보처리기기 전체를 덮어 보호할 수 있지만, 그만큼 케이스의 외형이 커지고, 휴대시나 포켓 등에 수납할 때에 크기의 제약을 받는다. 한편, JP2000-99668A와 같은 PC카드 캡은 단자부만을 밀폐성을 높여 덮을 수 있기 때문에, 케이스보다 단자부를 보다 확실하게 또한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어, 운반에는 편리하지만, 캡에 덮어져 있는 단자부 이외의 부분을 보호할 수 없다. 종래의 케이스도 캡도 각각 일장일단이 있었다. 그리고, 케이스와 캡을 적절히 사용하는 것도 번거롭고 사용의 편리함이 나쁘다는 과제가 있었다.
그래서, 사용자의 편의를 고려하여, 캡을 부착한 카드형 휴대정보처리기기를 수납할 수 있는 케이스가 고려되었다. 예컨대, 카드형 휴대정보처리기기를 사용할 때에는 케이스로부터 인출하여 캡을 떼어낸 상태로 하고, 실내에서 휴대할 때나 책상 위에 단시간 방치할 경우에는 케이스로부터 꺼내서 캡을 부착한 상태로 한다. 카드형 휴대정보처리기기를 장기보관할 경우나 실외에서 휴대할 경우에는, 캡을 부착한 카드형 휴대정보처리기기를 케이스에 장착한 상태로 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사용의 편리함이 좋은 케이스 및 캡을 구성할 수 있지만, 케이스에 수납된 카드형 휴대정보처리기기를 곧바로 사용할 때에는, 사용자는 카드형 휴대정보처리기기를 케이스로부터 인출한 후에 캡을 떼어낼 필요가 있어 번거롭다.
또한, 상기 구성의 캡에서는, 떼어낸 캡을 잃어버릴 가능성도 있다. 캡을 없앴을 때에, 캡이 없는 상태로 카드형 휴대정보처리기기를 케이스 내에 수납하면, 카드형 휴대정보처리기기와 케이스 사이에서 캡의 두께분의 간극이 생기고, 그 결과 케이스 내에서 카드형 휴대정보처리기기가 덜컹거린다. 예컨대 차 등으로 운반할 때는 케이스 내에서 카드형 휴대정보처리기기가 진동하거나, 케이스가 낙하했을 때에 케이스 내에서 카드형 휴대정보처리기기가 케이스 내의 벽부에 충돌하여 내부의 전기부품 등에 충격이 가해질 가능성이 있었다. 또한, 파손에 이르지 않더라도, 휴대시에 케이스 내에서 카드형 휴대정보처리기기가 덜컹거리기 때문에, 불쾌한 소리를 발생하여 케이스의 품위가 나빠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 때문에 기기의 신뢰성이나 케이스의 품위를 좋게 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캡을 부착해서 케이스에 장착하지 않으면 안 된다고 하는 제약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캡을 부착한 카드형 휴대정보처리기 기를 수납할 수 있는 케이스로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카드형 휴대정보처리기기를 케이스로부터 인출할 때에 캡을 장착하여 인출하는 형태와 캡을 떼어내서 인출하는 형태를 선택할 수 있게 한 사용이 편리한 캡이 부착된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카드형 휴대정보처리기기와 케이스의 간극의 차를 적게 함으로써, 캡을 부착하지 않은 카드형 휴대정보처리기기를 케이스 내에 수납하더라도, 케이스 내에서 덜컹거릴 일이 없고, 진동이나 충격에 강하며, 캡을 부착하여도 부착하지 않아도 사용가능한 캡이 부착된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카드형 휴대정보처리기기의 케이스는, 선단에 단자부를 갖는 카드형 휴대정보처리기기를 수납하고, 이 휴대정보처리기기의 단자부를 덮는 캡을 부착한 상태에서도, 부착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사용가능하며, 상기 카드형 휴대정보처리기기의 케이스가 제 1 덮개체와 제 2 덮개체로 이루어지고, 이 제 1 덮개체와 제 2 덮개체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단자부를 덮는 캡을 결합하는 캡 결합부를 설치하고, 카드형 휴대정보처리기기를 캡 결합부로부터 떼어낼 때에 떼어내는 방향 또는 각도를 바꿈으로써, 캡이 카드형 휴대정보처리기기에 부수되는 제 1 형태와, 캡이 캡 결합부에 결합한 상태를 유지하여 카드형 휴대정보처리기기에는 부수되지 않는 제 2 형태를 선택할 수 있게 구성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카드형 휴대정보처리기기의 케이스는 캡의 선단부의 일부에 박육부를 형성하고, 덮개체에 형성된 결합 돌기부가 상기 캡의 박육부와 접촉가능하게 구성하였다.
또한, 카드형 휴대정보처리기기의 케이스는 카드형 휴대정보처리기기의 단자부에 대응하는 범위 밖의 캡 앞면에 구멍을 형성하고, 덮개체에 형성된 결합 돌기부의 선단부가 상기 구멍을 관통하여 카드형 휴대정보처리기기의 선단부에 접촉가능하게 구성하였다.
[발명의 효과]
카드형 휴대정보처리기기를 케이스로부터 떼어낼 때에 떼어내는 방향 또는 각도에 의해서, 캡이 카드형 휴대정보처리기기에 부수되는 제 1 형태와 캡이 제 1 덮개체에 결합하여 카드형 휴대정보처리기기에는 부수되지 않는 제 2 형태를 선택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케이스로부터 카드형 휴대정보처리기기를 인출할 때에 필요에 따라서 캡을 장착하여 인출하는 형태나, 캡을 떼어내서 인출하는 형태를 선택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휴대 등으로 캡이 필요할 때는 캡을 장착한 형태에서 인출하는 것이 가능하고, 곧바로 호스트측의 기기에 장착하여 사용할 때는, 캡을 미리 떼어낸 형태로 인출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한 캡이 부착된 케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캡의 앞면부에 박육부를 형성하고, 박육부와 제 1 덮개체의 결합 돌기부를 접촉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캡을 부착한 카드형 휴대정보처리기기를 장착했을 때와, 캡을 부착하지 않은 카드형 휴대정보처리기기를 장착했을 때에 박육부의 두께분의 간극의 차이밖에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캡의 앞면부에 구멍을 형성하여 스파이크 형상의 돌기부가 구멍을 관통하여 카드형 휴대정보처리기기의 프레임 단부와 접촉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캡의 유무를 막론하고, 케이스와 카드형 휴대정보처리기기간의 간극을 완전히 동일하게 구성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결과, 캡을 부착한 상태에서도 캡을 부착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최소의 간극밖에 형성되지 않게 되어, 진동이나 충격 등에 대해서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케이스와 카드형 휴대정보처리기기간의 간극이 큰 것에 기인하는 휴대시 등의 충돌음을 저감하여, 케이스의 품위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1의 캡이 부착된 PC카드를 수납한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1의 캡이 부착된 PC카드를 수납한 케이스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1의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1의 케이스를 닫았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1의 캡과 PC카드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1의 캡과 PC카드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1의 캡이 부착된 PC카드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1의 제 1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1의 제 2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1의 제 2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1의 제 2 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1의 케이스에 PC카드를 수납했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1의 케이스와 PC카드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2의 캡 및 케이스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2의 캡 및 케이스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2의 캡 및 케이스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3의 캡 및 케이스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도 1~도 1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카드형 휴대정보처리기기로서 PC카드를 사용한 예를 나타내지만, 선단부에 단자부를 갖는 카드형 휴대정보처리기기이면 마찬가지의 구성이 가능하며 PC카드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1의 캡이 부착된 PC카드를 수납한 캡이 부착된 케이스(이하에서는 단지 케이스로 약칭한다)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1의 캡이 부착된 PC카드를 수납한 케이스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1의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1~도 3에 있어서, 1은 제 1 덮개체, 2는 제 2 덮개체, 3은 제 1 덮개체와 제 2 덮개체를 연결하는 연결부이며, 4 및 5의 박육으로 형성된 힌지부로 연결부(3)와 제 1 덮개체와 제 2 덮개체가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덮개체(1)와 연결부(3)는 힌지부(4)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이동가능하고, 제 2 덮개체(2)와 연결부(3)는 힌지부(5)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이동가능하고, 제 1 덮개체와 제 2 덮개체와 연결부(3)로 개폐할 수 있는 케이스를 구성하고 있다. 케이스는 수지 등의 재료로 사출성형으로 만들 수 있다. 케이스를 대전방지 수지로 구성하면 정전기의 영향을 받기 어려워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덮개체(1)와 제 2 덮개체(2)가 연결부(3)를 통해서 연결된 케이스의 예를 나타냈지만, 연결부(3)를 없애서 제 1 덮개체(1)와 제 2 덮개체(2)를 떼어버리고, 제 1 덮개체에 제 2 덮개체를 끼워맞추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이 때는, 제 2 덮개체(2)의 벽부가 없는 내단 가장자리에 벽부를 설치하고, 제 2 덮개체를 제 1 덮개체(1)에 끼웠을 때에, 제 2 덮개체가 제 1 덮개체(1)의 편면을 완전히 덮도록 구성하면 된다.
제 1 덮개체(1)는 직사각형의 천판(1A)이 주요부를 구성하고 있다. 이 천판(1A)의 내단 가장자리[이후, 천판(1A,2A)의 연결부(3)에 가까운 측을 내단이라고 하고, 먼 측을 외단이라고 칭한다]에는 벽부(9)가 세워 형성되어 있다. 천판(1A)의 양측 가장자리의 양단부에는 측벽부(10A,10A,10B,10B)가 대향해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측벽부(10A,10A,10B,10B)에는, 그 일부가 내측으로 돌출한 위치 결정 돌기부(11)가 형성되고, 4개의 위치 결정 돌기부(11)에 의해 PC카드(30)의 폭방향의 이동을 규제한다.
또한, 내단측의 측벽부(10B,10B)의 위치 결정 돌기부(11)의 외측에 홈부(12)가 형성되어, 후술하는 덮개체(2)의 걸림편(23)이 결합한다. 이 측벽부(10B,10B)의 내단은, 상기 벽부(9)의 단부와 연결해서 후술하는 캡(40)을 끼워넣기 위한 캡 결합부(15)를 구성한다. 또한, 측벽부(10B,10B)의 내단은 벽부(9)로부터 약간 돌출하고, 케이스를 닫은 경우에 연결부(3)에 형성된 홈(3A,3A)에 끼워넣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3에 있어서, 제 1 덮개체(1)의 상기 측벽부(10A,10B)보다 내측의 천판(1A) 상에, 측벽부(10A,10A,10B,10B)를 따라 가느다란 폭의 1쌍의 레일부(13)가 형성되어 있다. 이 레일부(13)의 양단부의 상단면에, 레일부(13)의 상단면보다 약간 돌출하고, 또한 각각 동일한 높이의 4개의 지지부(14)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레일부(13)와 지지부(14)는 매끄럽게 연속해서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천판(1A)의 외단부에, 후술하는 걸림부재(7)와 대략 동일한 두께의 노치부(1a)가 형성되고, 그 중앙부에 걸림부(6)가 천판(1A)과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를 닫았을 때에, 걸림부(6)는 후술하는 걸림부재(7)의 결합구멍(8)과 걸림가능하고, 또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림부재(7)가 노치부(1a)에 끼워넣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천판(1A)의 이면의 양측의 레일부(13) 사이에, 리브(1c,1d)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천판(1A)의 외주 가장자리에는, 케이스를 닫았을 때에, 측벽부(19,19)와 벽부(20)가 끼워넣어지는 리브(1b)가, 내단측을 제외하고 둘레에 형성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서, 30은 PC카드이고, 40은 캡이다. 도 5~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1의 캡과 PC카드의 사시도이며, 도 5~도 7에서 PC카드(30)와 캡(40)에 대해서 설명한다.
PC카드는 PC카드 규격에 의해 그 형상이나 치수가 규정되어 있다. 크기는 TypeI, TypeII, TypeIII의 3종류가 있고, 중앙부의 두께가 다르다.
또한, 데이터 버스 폭이 16비트인 PC카드와 데이터 버스 폭을 32비트로 하여 고속화한 CardBus가 규격화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양자를 구별하지 않을 때는 PC카드, 16비트의 PC카드를 특정할 때는 16비트 PC카드, CardBus의 PC카드를 특정할 때는 카드 버스 PC카드로 기재한다.
PC카드(30)의 중앙부는 TypeII의 경우 두께가 최대 5㎜이고, 통상, 이 내부에 전기부품을 실장한 기판 등이 배치된다. 31은 단자부이고, 도시하지 않은 호스트측의 기기의 슬롯 내의 커넥터와 연결가능하고, PC카드에서는, 68개의 구멍이 형성된 메스측의 커넥터로 되어 있다. 32는 단자부 양단의 프레임 단부이다. 33은 그라운드 플레이트이고, 카드 버스 규격에 의해 그 형상, 치수가 규정되어 있고, 16비트 PC카드에는 없다. 그라운드 플레이트(33)의 상면에는 도시하지 않은 슬롯측의 그라운드와 접촉가능한 딤플(3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부분에 관해서, 16비트 PC카드의 형상은, 딤플(36)이 없는 점 이외는 카드 버스 PC카드와 동일한 치수관계이다.
또한, 프레임 단부(32)에는, PC카드(30)를 도시하지 않은 슬롯에 안쪽방향이나 좌우 반대방향으로 삽입할 수 없게 단부(37)나 홈부(38)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 단부(32)는 전원전압 3.3V와 5V의 식별하기 위한 전압 키로서 전압 사양에 따라 단부의 두께가 다르다.
PC카드의 폭방향의 양측은, 도시하지 않은 슬롯에 삽입되었을 때에 슬롯측의 레일 홈부 내에 가이드되어 슬라이딩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TypeI,II,III 모두 두께가 3.3㎜로 공통되어 있고, TypeII에서는 두께 5㎜의 중앙부에 대해서 얇게 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 3.3㎜의 두께로 구성된 양측의 얇은 부분을 레일 슬라이딩부(34)라고 한다. 35는 단자부(31)와 반대측의 배면이다.
40은 캡이며 수지나 합성 고무 등으로 이루어진다. 정전기의 영향을 받기 어렵게 하기 위해서는, 대전방지재를 함유한 재료를 선택하면 된다. 또한 낙하 등의 충격에 대해서는 충격력을 흡수하는 댐퍼 효과가 있는 탄성중합체 등의 내충격성 재료를 사용하면 된다.
캡(40)은, 도 5, 도 6의 E방향[캡(40)을 PC카드(30)의 단자부(31)에 끼워넣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PC카드의 단자부(31) 및 프레임 단부(32)를 덮도록 장착할 수 있다. 캡(40)은 PC카드(30)에 장착했을 때는, 간단하게 떨어지지 않도록,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 내에서 PC카드를 캡(40)으로부터 뽑아낼 때에 적절한 힘으로 떼어낼 수 있는 마찰력이 되도록 PC카드의 단부와 오목부(40A)의 끼워맞춤 치수를 약간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캡(40)의 앞면에는, 주위보다 두께를 얇게 한 박육부(41)가 양측에 형성되어 있다.
도 6은 PC카드와 캡을 도 5와 다른 각도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6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캡(40)은 PC카드의 단자부(31) 및 프레임 단부(32)가 끼워넣어지는 오목부(40A)를 구비하고, 이 오목부(40A) 내의 내벽의 상하에는, 그라운드 플레이트(33)의 딤플(36)을 회피하는 홈부(43)와 슬랫(44)이 내벽의 폭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홈부(43)는, 캡(40)을 PC카드(30)에 부착했을 때에 딤플(36)이 들어가도록, 또한 슬랫(44)은, 그라운드 플레이트(33)의 딤플(36) 이외의 평면부가 들어가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오목부(40A)의 양단부는, 단부(37)나 홈부(38)가 형성된 여러가지 타입의 PC카드(30)의 프레임 단부(32)가 끼워넣어질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캡(40)을 PC카드에 압입할 때는, 슬랫부(44)에서 PC카드와 압접하도록 구성하면 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카드 버스 PC카드, 16비트 PC카드 및 전압 사양이 다른 모든 PC카드에 캡(40)을 부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캡(40)의 상하의 방향에 관계없이, 상하 반대로 하여도 PC카드에 캡(40)을 착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홈부(43)를 형성함으로써, 카드 버스 PC카드에 캡(40)을 장착할 때에, 홈부(43)가 딤플(36)에 가이드되기 때문에 캡(40)이 삽입되기 쉽다는 효과도 있다.
도 7은 PC카드(30)에 캡(40)을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 상태에서 PC카드를 휴대함으로써 단자부를 먼지, 정전기, 수분,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캡(40)을 PC카드(30)로부터 떼어낼 때는, 도 5의 F방향[캡(40)이 PC카드(30)의 단자부(3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캡을 이동시킴으로써 가능하다. 또한, 캡(40)의 상하의 면이나 측면에 요철이나 홈을 형성함으로써 손가락으로 잡았을 때에 미끄러지기 어렵게 할 수 있어 조작성이 좋은 캡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에 있어서, 레일부(13) 및 지지부(14)의 상단면은 PC카드(30)의 레일 슬라이딩부(34)의 하면과 접촉가능하다. 그리고 PC카드(30)는 레일부(13) 및 지지부(14) 위를 도 1의 C방향(PC카드를 빼내는 방향) 및 D방향(PC카드를 장착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다. 본래 레일 슬라이딩부(34)는, 도시하지 않은 슬롯측의 레일 홈부 내에 슬라이딩하면서 끼워맞추는 부분이므로, 그 하면은 비교적 마찰도 적고 슬라이딩하기 쉽게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레일 슬라이딩부(34) 하면을 레일부(13) 및 지지부(14)의 상단면에 접촉시켜서 슬라이딩시킴으로써, 걸림 등이 없이 안정되게 PC카드(30)를 C방향 및 D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캡(40)은 상기한 바와 같이, 제 1 덮개체(1)의 캡 결합부(15)에 결합가능하다. 이 캡 결합부(15)와 위치 결정 돌기부(11)의 경계부분에, 캡 결합부(15)에 끼워넣어진 캡(40)이 도 1의 C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스토퍼(1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스토퍼(16)의 면은 캡 결합부(15)측에 대향하고 있다.
벽부(9)에는, 캡 앞면부의 박육부(41)에 대응해서 결합 돌기부(17)가 형성되어, 결합 돌기부(17)가 박육부(41)에 끼워넣어진다. 캡 결합부(15)의 측벽부(10B,10B)의 내면에, 2개의 슬라이딩용 돌기부(18)가 측벽부(10B)의 폭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상의 스토퍼부(16) 및 돌기부(17,18)로 캡 결합부(15)에 끼워넣어진 캡(40)의 움직임을 규제하고 있다.
제 2 덮개체(2)는, 직사각형의 천판(2A)의 외단 가장자리에 벽부(20)가 세워 형성되고, 양측 가장자리에 측벽부(19,19)가 세워서 형성되어 있다. 천판(2A)의 외단 중앙에는, 박육이며 천판(2A)과 일체적으로 걸림부재(7)가 힌지부(7A)를 통해서 연결되고, 힌지부(7A)를 중심으로 하여 제 2 덮개체(2)에 걸림부재(7)가 회전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걸림부재(7)에는 결합구멍(8)이 형성되고, 힌지부(4 및 5)를 중심으로 제 1 덮개체(1)와 제 2 덮개체(2)를 회전이동시켜 케이스를 닫았을 때에, 제 1 덮개체(1)의 걸림부(6)가 이 결합구멍(8)에 결합하여, 제 1 덮개체(1)와 제 2 덮개체(2)를 열리지 않게 할 수 있다. 상기 걸림부재(7)가 접하는 벽부 (20)의 중앙부는, 상기 걸림부재(7)의 두께와 폭만큼 내측으로 들어가 있고,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덮개체(1)의 걸림부(6)가 결합구멍(8)에 결합한 경우에, 걸림부재(7)의 면과 벽부(20) 양단부의 면이 일치하게 된다. 또한, 걸림부(6) 대신에 제 1 덮개체(1)에 결합구멍을 형성하고, 걸림부재(7)의 결합구멍(8) 대신에 걸림부를 설치하여 걸림부가 결합구멍에 걸리도록 구성해도 된다.
도 4는 케이스를 닫았을 때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제 1 덮개체(1)와 제 2 덮개체(2)의 천판(1A,2A) 및 측벽부(19), 벽부(20), 및 연결부(3)에 의해 상자형상의 케이스가 되고, 내부에 수납된 PC카드를 거의 밀폐할 수 있다. 25는 제 2 덮개체(2)의 외측표면에 설치된 포켓이며, 인덱스 레이블 등을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에서, 제 2 덮개체(2)의 천판(2A)의 이면의 내단측에, 1쌍의 고정부(21)가 형성되어, 케이스를 닫았을 때에 제 1 덮개체(1)의 캡 결합부(15)에 결합된 캡(40)을 고정할 수 있다. 이 고정부(21)의 일단부에 형성된 누름 고정부(22)는, 케이스를 닫았을 때에 제 1 덮개체(1)의 지지부(14)와 상하로 서로 대치하고, 양 누름 고정부(22)의 선단은 평면 상에 투영했을 때에 거의 동일한 위치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PC카드(30)를 제 1 덮개체(1)에 장착한 후에, 케이스를 닫아서, 덮개체(1)의 걸림부(6)를 결합구멍(8)에 결합했을 때에 PC카드(30)의 양측의 레일 슬라이딩부(34)를 지지부(14)와 누름 고정부(22)에 의해 상하에서 동일한 위치 관계로 거의 간극 없이 끼워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24는 천판(2A)과 벽부(20)의 코너의 양측에 형성된 스토퍼 편이며, PC카드(30)를 장착하여 케이스를 닫았을 때에 PC카드(30)의 배면(35)과 접촉가능하다.
PC카드(30)는 제 1 덮개체(1)의 4개소의 지지부(14) 상에 지지된 상태로 놓여지고, 양측의 측벽부(10A,10A,10B,10B)의 4개소에 형성된 위치 결정 돌기부(11)에 의해 폭방향의 위치가 규제된다. 캡(40)은 제 1 덮개체(1)의 캡 결합부(15)에 끼워넣어져 있고, 캡(40)의 앞면 2개소에 형성된 박육부(41)는 제 1 덮개체(1)에 형성된 결합 돌기부(17)와 가볍게 접촉하고 있다. 그리고, 캡(40)의 오목부(40A)의 양단에 위치하는 끝면(42)은 측벽부(10B,10B)의 스토퍼(16)에 접촉하고 있다. 그 결과, 캡(40)은 2개소의 돌기(17) 및 2개소의 스토퍼(16)에 간극 없이 끼움지지되어 C,D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게 고정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의 폭방향에는, 약간의 간극을 두어서 슬라이딩용 돌기부(18)가 존재하고, 캡(40)이 케이스의 폭방향으로 많이 이동하지 않게 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낙하 등의 충격이나 케이스를 외부로부터 압압했을 때에 그 힘은 내부의 PC카드를 지지하고 있는 개소에 작용하고, PC카드를 지지하는 구성에 따라서는, PC카드에 강한 휨응력, 전단력이나 비틀림이 작용하는 경우가 있다. 예컨대, PC카드의 중앙부에는 통상 내부에 기판이나 전기부품이 실장되어 있고, 그 부분을 지지하고 있으면 그 부분에 외력이 작용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내부의 기판이나 전기부품이 파손되는 일도 생긴다.
도 13은 케이스를 닫았을 때의 지지부(14), 누름 고정부(22)와 PC카드(30)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3에서, PC카드의 중앙부의 5㎜의 두께부는, 제 1 덮개체(1) 및 제 2 덮개체(2)와 충분한 간극이 있고, 외력 등이 작용해서 케이스가 변형되더라도 PC카드(30)의 두께부에 케이스가 접촉하지 않도록 구성함으로써, PC카드 의 내부의 기판이나 전기부품에 직접 외력이 작용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PC카드(30)의 레일 슬라이딩부(34)는 일반적으로 금속이나 수지 등으로 구성된 프레임부이며 강도적으로 강하다. 이 부분을 지지부(14)와 누름 고정부(22)로 상하로부터 동일한 위치에서 레일 슬라이딩부(34)를 끼움으로써, 이 부분에 압축력은 작용하지만 전단력은 작용하지 않아 파괴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본 구성으로 함으로써 PC카드는 중앙부에는 외력이 직접 작용하기 어려우며 그 결과 내부의 기판이나 전기부품이 파괴되기 어려워진다.
도 1~도 3에 있어서 23은 걸림편이며, 이 걸림편(23)이 형성되어 있는 벽부(19)와 함께, 케이스를 닫았을 때에 제 1 덮개체(1)의 측벽부(10B)에 형성된 홈부(12)와 결합해서 케이스를 닫았을 때의 제 1 덮개체(1)와 제 2 덮개체(2)의 서로의 위치를 규제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캡이 부착된 케이스에 대해서, 이하 사용 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PC카드를 케이스로부터 인출할 때에, PC카드에 캡이 부수되는 제 1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 도 2의 상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PC카드(30)는 제 1 덮개체(1)의 지지부(14)에 지지되어 있는 상태이고, PC카드(30)를 A방향[PC카드(30)가 천판(1A)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그 이동을 방해하는 것이 없으므로, PC카드(30)는 제 1 덮개체(1)로부터 A방향으로 이탈가능하다. PC카드(30)를 A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캡(40)은 PC카드(30)의 단부에 압입되어 PC카드(30)로부터 빠지 지 않기 때문에 , PC카드(30)와 일체가 되어 A방향으로 이동하려고 한다. 제 1 덮개체(1)의 캡 결합부(15)는, 상기한 바와 같이 결합 돌기부(17) 및 스토퍼부(16)로 캡(40)을 간극 없이 끼움지지하고 있고, 또한 폭방향에는 슬라이딩용 돌기부(18)가 존재하기 때문에, 캡(40)은 A방향 이외의 방향으로는 이동할 수 없다. A방향으로 이동하려고 하면, 캡(40)은 결합 돌기부(17) 및 스토퍼부(16)로 끼움지지되어 있는 결과, 이동을 방해하는 마찰력이 작용하지만 그 마찰력은 크지 않고, 마찰력 이상의 힘으로 이동시키면 A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 결과, 캡(40)을 장착한 PC카드의 형태로 캡(40)을 케이스로부터 인출할 수 있게 된다. 마찰력은, 케이스를 쓰러뜨렸을 때에, PC카드가 낙하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 PC카드의 자체 중량 이상의 적절한 값이 되도록 결합 돌기부(17)의 돌출량을 설정하면 된다.
또한, 외단측의 측벽부(10A)와 내단측의 측벽부(10B) 사이가 연속하고 있지 않으므로, PC카드(30)를 A방향으로 들어 올릴 때에, PC카드(30)의 레일 슬라이딩부(34)를 손가락으로 잡기 쉬워진다.
도 8은 PC카드가 캡을 장착한 상태로 인출되었을 때의 사시도이다. PC카드(30)의 단자부(31)의 보호만 주의하면 될 때는, 캡(40)은 케이스보다 콤팩트하므로, 이 상태에서 운반, 방치해 둘 수 있어 편리하다. 그 후 PC카드(30)를 사용할 때는, 손으로 캡(40)을 PC카드(30)로부터 떼어내어, 도시하지 않은 호스트측의 기기에 삽입한다. 떼어낸 캡(40)은 캡 단체(單體)로 보관해도 되지만, 캡이 작아서 분실되기 쉬우므로, 제 1 덮개체(1)의 캡 결합부(15)에 결합시켜 두면 케이스와 함께 보관할 수 있으므로 캡(40)만 분실하게 되는 경우가 없어진다.
캡을 부착한 상태의 PC카드(30)를 케이스에 수납할 때는, 케이스를 연 상태에서 도 8의 B방향[PC카드(30)가 천판(1A)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PC카드(30)를 제 1 덮개체(1)에 끼워넣는다. 돌기부(11,17,18), 스토퍼부(16)의 상측 끝면을 모따기하여 둠으로써, PC카드(30), 캡(40)이 삽입되기 쉬워진다. 삽입 후, PC카드(30)는 지지부(14)에 지지되어 장착이 완료된다. 그 때, 캡(40)은 상기한 바와 같이 결합 돌기부(17) 및 스토퍼부(16)에 의해 끼움지지되어 캡 결합부(15)에 고정된다. 그 결과, PC카드(30)는 캡(40)을 통해서 제 1 덮개체(1)에 고정된다.
그리고 케이스를 닫아서 제 2 덮개체(2)의 결합구멍(8)에 제 1 덮개체(1)의 걸림부(6)를 결합하면, 제 2 덮개체(2)의 스토퍼 편(24)이 PC카드(30)의 배면(35)과 거의 접촉하기 때문에, PC카드(30)가 캡(40)으로부터 빠져서 케이스의 배면방향(C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일이 없다. 이상에 의해 PC카드의 수납이 완료되어, 도 4의 상태가 된다.
또한, 캡(40)을 미리 캡 결합부(15)에 수납하여, PC카드만을 케이스에 수납하는 경우는 후술한다.
다음에, PC카드를 케이스로부터 인출할 때에, 캡(40)을 캡 결합부(15)에 끼워넣은 상태로 하여, PC카드에 캡(40)을 장착하지 않은 제 2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 도 2의 상태로부터, 손가락을 PC카드(30)의 천판에 접촉시켜 PC카드(30)를 지지부(14)에 가볍게 밀착시키고, 그 상태에서 PC카드를 도 1의 C방향으로 이동시키면, PC카드는 지지부(14) 및 레일부(13) 상을 슬라이딩하여 C방향으로 이 동한다. 이 때 걸림부(6)는 PC카드(30)의 하면보다 낮은 위치에 있고, 제 1 덮개체(1)의 외단부에도 PC카드의 이동을 방해하는 높은 벽부나 돌기는 없기 때문에, PC카드(30)는 지지부(14) 및 레일부(13)에 지지된 상태에서 C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한편, 캡(40)은 PC카드(30)의 단부에 압입되어 있고, PC카드(30)의 이동에 따라 C방향으로 이동하려고 하지만, 캡(40)의 끝면(42)이 제 1 덮개체(1)의 스토퍼부(16)와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이동할 수 없다. 또한 큰 힘으로 PC카드(30)를 C방향으로 이동시키면, PC카드(30)의 그라운드 플레이트(33)와 캡(40)의 슬랫(44) 사이의 마찰력보다 PC카드(30)를 빼내려는 힘이 커져서, 캡(40)과 PC카드(30)의 끼워맞춤이 빠지게 된다. 그 결과, 캡(40)은 제 1 덮개체(1)의 캡 결합부(12) 내에 머물고, PC카드(30)만 케이스로부터 인출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PC카드를 인출하는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PC카드를 인출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에 있어서, 캡(40)은 제 1 덮개체(1)의 캡 결합부(15) 내에 고정된 채의 상태가 된다. 도 11에 그 평면도를 나타낸다. 이 상태에서 케이스를 닫으면, 제 2 덮개체(2)의 고정부(21)가 캡(40)을 위로부터 끼움지지하여, 충격 등이 케이스에 가해지더라도 캡이 케이스로부터 빠지지 않게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C방향으로 PC카드를 이동시킴으로써, 캡(40)을 떼어낸 상태에서 케이스로부터 인출할 수 있으므로, PC카드를 곧바로 사용할 때 등, 캡을 필요로 하지 않을 때에 편리하다. 또한, 캡(40)은, 케이스 내에서 고정되어 있으므로, 케이스에 충격 등이 가해져도 캡(40)은 이동하지 않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PC카드를 케이스에 수납할 때에 바로 세팅할 필요는 없다.
또한, PC카드를 제 1 형태로 케이스로부터 인출한 후, PC카드(30)로부터 떼어낸 캡(40)을 손으로 캡 결합부(15)에 끼워맞췄을 때도 도 10 및 도 11에서 나타내는 상태가 된다.
PC카드(30)를 케이스에 수납할 때는, 케이스를 열어서 도 10의 상태로 하고, 우선 PC카드를 위에서 하방으로 이동시켜 레일부(13) 상에 접촉시킨다. 그 때, 도 9과 같이 PC카드는 소정의 수납 위치보다 조금 C방향으로 이동한 위치에서 레일부(13) 또는 지지부(14)에 접촉시키면 된다. 그 후, D방향으로 이동시킨다. PC카드(30)는 레일부(13) 및 지지부(14) 위를 D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캡(40)은 상기한 바와 같이 미리 캡 결합부(15) 내에 고정되어 있고, PC카드(30)를 D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PC카드(30)의 선단부가 캡(40)의 오목부(40A)에 압입되어 끼워맞춤이 완료된다. 이 때 PC카드(30)는 레일부(13) 및 지지부(14) 위를 슬라이딩하지만, 레일부(13)와 지지부(14)의 고저차가 얼마 안 되며 매끄럽게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슬라이딩시에 PC카드(30)가 크게 경사지거나 걸리거나 하는 일은 없다. PC카드(30)가 캡(40)에 삽입되기 전에, 레일 슬라이딩부(34)의 하면이 4개의 지지부(14)의 상면과 접하게 함으로써 4개소의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고, PC카드(30)는 소정의 높이에서 위치가 결정되어 캡(40)에 삽입되게 된다.
PC카드(30)의 삽입이 완료되면, 캡(40)이 제 1 덮개체(1)의 캡 결합부(15)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PC카드(30)는 캡(40)을 통해서 제 1 덮개체(1)에 고정된다. 그리고 케이스를 닫아서 제 2 덮개체(2)의 결합구멍(8)에 제 1 덮개체(1)의 걸림부(6)를 결합하면, 제 2 덮개체(2)의 스토퍼 편(24)이 PC카드(30)의 배면(35)과 거의 접촉하기 때문에, PC카드가 캡(40)으로부터 빠져서 배면방향(C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일은 없다. 이상에 의해 PC카드의 수납이 완료되고, 도 4의 상태가 된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캡(40)을 잃어버려, 대체의 캡을 준비하는 동안, 캡(40)이 없는 상태에서 케이스에 수납할 경우도 생길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케이스에 캡이 없는 상태에서, PC카드를 수납했을 때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케이스에서는, 캡(40)의 앞면 양측에 박육부(41)를 형성하여, 제 1 덮개체(1)에 형성된 결합 돌기부(17)에 접촉시키고 있다. 그리고, 박육부(41)의 캡의 두께를 최소한으로 되도록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캡이 없는 상태의 PC카드를 장착했을 때는, 그 박육부의 두께분과 같은 간극이 생기게 되고, 벽부(9)에 결합 돌기부(17)를 설치하지 않고, 캡(40)에 박육부(41)를 형성하지 않는 구성과 비교하여, 캡(40)이 있는 상태와 없는 상태에서의, PC카드의 선단과 벽부(9)의 간극의 차를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박육부의 두께로 캡 전체를 형성하면 캡(40)의 강도가 약해진다. 본 구성과 같이 캡(40)의 일부에 박육부(41)를 형성함으로써, 캡 전체의 강도를 손상시키는 일없이, 캡의 유무에 의한 간극의 차를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박육부는 최소 범위 내에서 형성하면 좋다. 박육부(41)의 위치는 어디에 형성해도 되지만, 위치 결정의 정밀도상 가능한 한 양단에 가까운 부분이 바람직하다.
또한, 박육부(41)는, 홈형상이 아니라 구멍을 형성하여 캡의 앞면을 관통하고, PC카드의 프레임 단부(32)와 벽부(9)의 내벽면에 형성된 스파이크 형상의 돌기가 접촉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캡의 유무에 관계없이 케이스 내에서 동일한 간극관계를 실현되게 된다. 구멍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단자부(31)와 접촉하는 위치에 형 성하면 구멍으로부터 단자부에 먼지, 수분 등이 침입하여 캡의 효과가 손상되기 때문에, 단자부 양단의 프레임 단부(32)에 위치하도록 구멍을 형성하면 좋다. 그렇게 함으로써 구멍을 형성해도 단자부(31)는 캡(40)에 의해 폐쇄된 채이며, 단자부(31)에 먼지나 수분이 단자부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부(3) 근처에 캡 결합부(15)를 형성했지만, 반대측의 외단부에 캡 결합부(15)를 형성하여, PC카드(30)를 본 실시예와 반대방향으로부터 삽입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되지만, 본 실시예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PC카드를 제 1 덮개체의 천판(1A)과 평행한 방향으로 삽입할 때에 연결부(3)나 제 2 덮개체(2)와 PC카드(30)가 접촉하기 어려워, PC카드(30)를 착탈하기 쉽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통상, 걸림부재(7)는 손으로 열 때에 상측을 향해 회전이동시켜 여는 경우가 많고, 제 1 덮개체(1)가 하측, 제 2 덮개체(2)가 상측이 될 경우가 많은 것으로 생각된다. 하측의 제 1 덮개체(1)에 PC카드(30)를 장착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케이스를 열 때에 내부에 장착된 PC카드(30)가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캡(40)은 상하방향의 방향성 없이 PC카드(30)에 삽입할 수 있고, 캡(40)은 캡 결합부(15)에 대해서도 상하방향의 방향성에 관계없이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다. PC카드(30)도 딤플부 및 선단부 이외는 상하방향의 방향성 없이 대칭인 형상이므로, 캡(40) 및 PC카드(30)를 제 1 덮개체(1)에 결합할 때에는 상하의 방향성에 관계없이 표리 어느 측으로도 장착할 수 있으며 인출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돌기부(11,17,18), 누름 고정부(22), 스토퍼 편(24), 지지부(14)는, 덮개체와 일체적으로 형성했지만, 각각 고무 등의 탄성체를 덮개체에 접착 수단 등에 의해 접착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탄성체가 충격력을 흡수하여 PC카드에 전해지기 어려우므로, 낙하 등의 충격 등에 대해서 더욱 강한 케이스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돌기부(17), 스토퍼 편(24)은 각각 박육부(41) 또는 PC카드의 단부(32), 배면(35)과 접촉가능하게 구성했지만, 부품의 치수 편차 등을 고려해서 약간의 간극을 형성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부재(3)를 제 1 덮개체(1) 및 제 2 덮개체(2)의 단변측에 형성했지만, 제 1 덮개체(1) 및 제 2 덮개체(2)의 긴변측에 형성해도 된다.
[실시예2]
도 14~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2를 나타낸다. 도 14~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2의 캡 및 PC카드(3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도 16에서, 100은 캡이며, 실시예1과 비교하여 양측에 축부(101)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점이 다르다. 110은 제 1 덮개체(1)의 캡 결합부의 일부를 구성하는 베어링부를 나타내고 있고, 이 베어링부(110)에 축부(101)와 결합가능한, A방향으로 개방된 홈부(111)가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서 PC카드를 B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축부(101)가 홈부(111)에 결합하여,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덮개체(1)에 PC카드(30)를 세트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PC카드(30)를 A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캡이 부착된 형태로 인출할 수 있고, C방향으로 이동시키면 PC카드의 본체는 이동가능하지만, 캡(100)은 축부(101)가 홈(111)과 결합하고 있기 때문에 C방향으로는 이동할 수 없고, 결과적으로 PC카드(30)만 C방향으로 이동하고, 캡(100)은 홈부(111)에 결합한 채 제 1 덮개체(1)에 남게 된다. PC카드를 인출할 때에 도 16과 같이 PC카드를 축부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켜 수직으로 세운 상태로 하여, 그 후 A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캡(100)의 축부(101)도 홈(110)에 의해 이동을 저지되지 않고 PC카드에 장착된 상태로 인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베어링부(110)는 천판(1A)으로부터 상방으로 떨어져서 캡 결합부(15)에 설치함으로써, 캡(100)이 천판(1A)에 방해되지 않고 수직으로 회전시켜 세울 수 있다.
[실시예3]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3을 나타낸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3의 캡 및 PC카드(3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실시예2와 비교하여, 캡(105)에 B방향으로 개방된 홈부(106)가 형성되고, 제 1 덮개체(1)의 캡 결합부의 일부의 베어링부(115)에 축부(116)가 형성되어 있는 점이 다르다. 이 구성에서도, 캡이 부착된 PC카드(30)를 B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PC카드(30)를 케이스에 수납할 수 있고, 홈부(106)가 축부(116)와 결합한다. 케이스로부터 인출할 때는, PC카드를 A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캡이 부착된 형태로, C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축부(116)가 홈부(106)와 결합하여 캡의 이동을 방해하기 때문에, PC카드(30)만 인출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카드형 휴대정보처리기기의 캡이 부착된 케이스는, 케이스로부터 인출할 때에 캡의 유무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사용이 편리한 또한 먼지, 수분, 정전기, 충격 등에 대해서 신뢰성이 있는 캡 및 케이스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야외나 여러가지 환경에서 사용되는 PC카드 등의 카드형 휴대정보처리기기에 있어서 유용하다.

Claims (11)

  1. 선단에 단자부를 갖는 카드형 휴대정보처리기기를 수납하고, 이 휴대정보처리기기의 단자부를 덮는 캡을 부착한 상태에서도, 부착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카드형 휴대정보처리기기의 케이스로서,
    상기 카드형 휴대정보처리기기의 케이스가 제 1 덮개체와 제 2 덮개체로 이루어지고, 이 제 1 덮개체와 제 2 덮개체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단자부를 덮는 캡을 결합하는 캡 결합부를 형성하고,
    카드형 휴대정보처리기기를 캡 결합부로부터 떼어낼 때에 떼어내는 방향 또는 각도를 바꿈으로써, 캡이 카드형 휴대정보처리기기에 부수되는 제 1 형태; 및
    캡이 캡 결합부에 결합한 상태를 유지하여 카드형 휴대정보처리기기에는 부수되지 않는 제 2 형태를 선택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형 휴대정보처리기기의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덮개체 위를 덮개체와 거의 평행하게 카드형 휴대정보처리기기가 이동할 수 있는 수단과,
    캡 결합부에 결합한 캡은, 덮개체가 수직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게 되도록 하고,
    카드형 휴대정보처리기기가 덮개체 위를 평행하게 이동해서 캡으로부터 이탈가능함과 아울러, 카드형 휴대정보처리기기가 덮개체 위를 평행하게 복귀하여 캡과 끼워맞춰질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형 휴대정보처리기기의 케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카드형 휴대정보처리기기가 덮개체 위를 평행하게 이동할 때에, 카드형 휴대정보처리기기의 하면이 접촉해서 슬라이딩할 수 있는 지지부를 덮개체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형 휴대정보처리기기의 케이스.
  4. 제2항에 있어서, 캡의 선단부의 일부에 박육부를 형성하고, 덮개체에 형성된 결합 돌기부가 상기 캡의 박육부와 접촉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형 휴대정보처리기기의 케이스.
  5. 제2항에 있어서, 카드형 휴대정보처리기기의 선단부에 캡을 끼워맞춘 경우에, 카드형 휴대정보처리기기의 단자부에 대응하는 범위 밖의 캡 앞면에 구멍을 형성하고, 덮개체에 형성된 결합 돌기부의 선단부가 상기 구멍을 관통하여 카드형 휴대정보처리기기의 선단부에 접촉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형 휴대정보처리기기의 케이스.
  6. 제3항에 있어서, 카드형 휴대정보처리기기는 PC카드로 이루어지고, 덮개체에 형성되어 PC카드를 지지하는 지지부는, PC카드의 양측에 형성된 레일 슬라이딩부와 접촉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형 휴대정보처리기기의 케이스.
  7. 제6항에 있어서, 제 1 덮개체에 PC카드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형성하고, 제 2 덮개체에 상기 PC카드를 눌러 고정하는 누름 고정부를 형성하고,
    케이스를 닫았을 때에, 상기 지지부와 누름 고정부가 상하로 서로 대치하고, PC카드의 양측에 형성된 레일 슬라이딩부를 서로 거의 접촉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형 휴대정보처리기기의 케이스.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덮개체와 제 2 덮개체는 일단에서 연결부를 통해 회전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연결부재의 근방에 캡을 수납할 수 있는 캡 결합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형 휴대정보처리기기의 케이스.
  9. 제8항에 있어서, 제 1 덮개체와 제 2 덮개체를 연결부재를 통해 회전이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그 덮개체의 자유단에 걸림수단이 형성되고,
    이 걸림수단은, 제 1 덮개체에 걸림부 또는 걸림부재, 제 2 덮개체에 상기 걸림부 또는 걸림부재에 결합하는 걸림부재 또는 걸림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형 휴대정보처리기기의 케이스.
  10. 제1항에 있어서, PC카드의 단부와 끼워맞추는 캡의 오목부의 상하의 내벽면에, 카드 버스의 그라운드 플레이트에 형성된 딤플을 끼워맞출 수 있는 홈부가 형 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형 휴대정보처리기기의 케이스.
  11. 제1항에 있어서, 캡의 단부에, 축부 또는 베어링부 중 어느 하나를 설치하고, 덮개체에 상기 축부 또는 베어링부에 대응하는 베어링부 또는 축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형 휴대정보처리기기의 케이스.
KR1020057025232A 2004-04-09 2005-04-06 카드형 휴대정보처리기기의 케이스 KR1006739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114836 2004-04-09
JP2004114836 2004-04-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2603A KR20060032603A (ko) 2006-04-17
KR100673968B1 true KR100673968B1 (ko) 2007-01-24

Family

ID=35125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25232A KR100673968B1 (ko) 2004-04-09 2005-04-06 카드형 휴대정보처리기기의 케이스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401739B2 (ko)
EP (1) EP1637970B1 (ko)
JP (1) JP4201815B2 (ko)
KR (1) KR100673968B1 (ko)
CN (1) CN100357855C (ko)
DE (1) DE602005020095D1 (ko)
WO (1) WO20050985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6023449A1 (de) * 2006-05-18 2007-11-22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von Servicevorgängen in einer Heißgetränkezubereitungsvorrichtung
CN101767691B (zh) * 2009-01-06 2012-01-25 卢安东 光盘存储盒
CN109229773B (zh) * 2018-09-29 2019-11-12 重庆秦嵩科技有限公司 一种可扩展处理板的存储保护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4749B2 (ja) 1993-07-28 2000-07-12 村田機械株式会社 印字装置
JPH0740573U (ja) 1993-12-22 1995-07-18 株式会社メイコー Icメモリカードケース
US5553444A (en) * 1994-09-15 1996-09-10 Shape Inc. Storage container for a memory device and method of making
US5531328A (en) * 1994-10-20 1996-07-02 Rochelo; Donald R. Container for electronic card
CN2273433Y (zh) * 1996-07-02 1998-01-28 元次三科技股份有限公司 电脑周边接口卡的封装壳
JP3886182B2 (ja) * 1996-10-02 2007-02-28 バーグ・テクノロジー・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エジェクト装置
JP2000099668A (ja) 1998-09-21 2000-04-07 Nippon Engineering:Kk Pcカードキャップ
JP3685665B2 (ja) * 1999-10-05 2005-08-24 三洋電機株式会社 半導体メディアのホルダー
JP2002157557A (ja) * 2000-11-17 2002-05-31 Yuichi Tokunaga 二段開閉式蓋pcカードケース
JP2003180432A (ja) * 2001-12-13 2003-07-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キャリングケース
JP2004133853A (ja) * 2002-10-15 2004-04-30 Tdk Corp Pcカード用収納ケー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37970B1 (en) 2010-03-24
JPWO2005098575A1 (ja) 2008-02-28
JP4201815B2 (ja) 2008-12-24
KR20060032603A (ko) 2006-04-17
WO2005098575A1 (ja) 2005-10-20
EP1637970A4 (en) 2008-12-10
US7401739B2 (en) 2008-07-22
CN100357855C (zh) 2007-12-26
CN1820238A (zh) 2006-08-16
EP1637970A1 (en) 2006-03-22
US20070090194A1 (en) 2007-04-26
DE602005020095D1 (de) 2010-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25430B1 (ko) 전기코넥터 및 그 전기코넥터를 이용한 전자기기
US6932629B2 (en) Device with USB terminal
US20050079738A1 (en) USB storage device including USB plug with top and bottom terminals
US7443667B2 (en) Mounting apparatus for storage devices
US20080280490A1 (en) Press/Push Universal Serial Bus (USB) Flash Drive with Deploying and Retracting Functionalities with Elasticity Material and Fingerprint Verification Capability
WO1994009486A1 (en) Mounting arrangement for disk drive
US7428122B2 (en) Hermetically sealed disk drive with low height
US20020030921A1 (en) Plate-like apparatus, rotating body built-in device, and disk device
KR100673968B1 (ko) 카드형 휴대정보처리기기의 케이스
US7254821B2 (en) Dustcover device for data storage devices
US8481200B2 (en) Battery cover
US6543738B2 (en) Integral flush shock mount
US7310223B2 (en) Electrical connector device for a disc drive
CA2276551C (en) Holding case capable of holding ic card certainly
EP1538553B1 (en) External storage device
US6058008A (en) Insertion device for the hard disk drive of a portable computer
US6512729B2 (en) Optical disk drive protection device
JP2001319198A (ja) 半導体メモリカード収納ケース
JPS62184894A (ja) Icカ−ド
JP3125532U (ja) 端子保護スライドカバー付きメモリーカードアダプター
JP2003317858A (ja)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JP3380968B2 (ja) テープカートリッジ
JPH1024982A (ja) 情報処理機器用カードの収納ケース
JPH088854Y2 (ja) Icカード
JP2005182662A (ja) メモリカードアタッチメントのロッ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