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1991B1 - 광기록 매체로부터 판독하고 및/또는 광기록 매체에기록하기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광기록 매체로부터 판독하고 및/또는 광기록 매체에기록하기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1991B1
KR100671991B1 KR1019990048299A KR19990048299A KR100671991B1 KR 100671991 B1 KR100671991 B1 KR 100671991B1 KR 1019990048299 A KR1019990048299 A KR 1019990048299A KR 19990048299 A KR19990048299 A KR 19990048299A KR 100671991 B1 KR100671991 B1 KR 1006719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reading
optical recording
recording medium
de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8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35184A (ko
Inventor
뷔흐러크리스티안
레르스테펜
Original Assignee
도이체 톰손-브란트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이체 톰손-브란트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도이체 톰손-브란트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000351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51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19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19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01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for track following only
    • G11B7/0906Differential phase difference system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01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for track following only

Landscapes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광기록 매체로부터 판독하고 및/또는 광기록 매체에 기록하기 위한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차동 위상 검출 방법에 따라 추적하기 위하여 추적 장치(13), 4개의 4분의 검출기(5), 2개의 합산점(15, 16) 및 위상 비교기(20), 및 또한 제어 장치(24)에 의하여 셋팅될 수 있는 가변 지연 요소(26)를 구비하는, 광기록 매체(4)로부터 판독하고 및/또는 광기록 매체에 기록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렌즈의 이동에 따라 야기되는 트랙 에러 신호(DPD-TE)와 추적 신호에 있어서 에러의 가장 가능한 보상을 나타내는 이러한 유형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은 업스트림으로 배열되는 아날로그 지연 요소(26X, 26Y, 26A, 26B, 26C, 26D)와 합산점(15, 16)의 다운스트림으로 배열되는 디지털 지연 요소(26S, 26T, 26U)를 위하여 제공한다. 본 발명은 CD, CDI, CD-ROM, DVD, CDR 와 같은 광기록 매체와 기타 광기록 매체로부터 판독하고 및/또는 광기록 매체에 기록하기 위한 장치를 위하여 적절하다.

Description

광기록 매체로부터 판독하고 및/또는 광기록 매체에 기록하기 위한 장치{APPARATUS FOR READING FROM AND/OR WRITING TO OPTICAL RECORDING MEDIA}
도 1 은 본 발명에 따라 장치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 는 DPD 추적법을 사용하는 장치도.
도 3 은 DPD 추적법을 응용하는 경우에 개개 검출 신호의 위상 관계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라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하는 도면.
도 5 는 본 발명에 따라 장치의 논리 제어를 도시하는 도면.
도 6 는 본 발명에 따라 방법에 관한 신호 다이아그램을 도시하는 도면.
도 7 은 제어 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8 은 오프셋 조절을 위하여 하나의 가변 지연 요소를 갖는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일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 9 는 다수의 가변 지연 요소를 갖는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라 장치의 일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 은 검출기 요소(A 내지 D)의 신호와 대물 렌즈의 편향이 없는 합산 신호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 은 검출기 요소(A 내지 D)의 신호와 대물 렌즈의 편향을 갖는 합산 신호를 도시하는 도면.
도 12 는 검출기 요소(A 내지 D)의 신호와 대물 렌즈의 편향을 갖는 합산 신호를 도시하는 다른 도면.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기록 매체 5 : 4개의 4분의 검출기
13 : 추적 장치 20 : 위상 비교기
26S, 26T, 26U, 26X, 26Y, 26A, 26B, 26C, 26D : 가변 지연 요소
24 : 제어 장치 37 : 스위칭 장치
44 : 요프셋 결정 장치 45 : 비교 장치
본 발명은, 추적을 하기 위한 목적으로 차동 위상 검출 방법(DPD : Differential Phase Detection)을 사용하고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가변 지연 요소를 구비하는 장치로서, 광기록 매체로부터 판독하고 및/또는 광기록 매체에 기록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유형의 장치는 미국 특허 제 US-A-4,785,441호에 개시되어 있다. 추적 신호에 있어서 추적 신호에서의 에러, 즉 광기록 매체의 기울기나 광기록 매체에서 여러 가지 다른 피트 깊이에 의하여 야기되는 상기 에러는 동작 동안 수행되는 위상 비교를 기초로 하여 변경되어지는 가변 지연 요소의 지연 시간에 의하여 보상된 다.
상기 공지된 장치는, 비록 광기록 매체의 기울기와 광기록 매체의 다른 피트 깊이에 의하여 야기된 에러가 상대적으로 잘 보상될 수 있을지라도, 렌즈 변위에 의하여 야기되는 에러가 검출되는 방법은 최적이 아니라는 단점을 갖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이것은 에러 성분이 기타 에러 소스, 예를 들어, 노화나 주위 조건의 변화에 의하여 야기된 성분 특성의 변화로부터 포함되어 있다는 사실에 기인한다. 이러한 사실은 보상이 실제로 최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결과를 낳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트랙 에러 신호에서와 추적 신호로 렌즈 이동에 의하여 야기된 에러의 최적 보상을 나타내는 대응 장치를 제안하는 것이다.
본 목적은 청구항 1 항에 명시된 특징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라 달성된다. 이 경우에, 가변 지연 요소의 일부는 4개의 4분의 검출기와 합산점 사이에 배열되고 아날로그 지연 요소로서 지정된다. 가변 지연 요소의 기타 부분은 디지털 설계로 되어 있고 합산점과 위상 비교기 사이에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라 본 장치는 렌즈 이동에 의하여 야기된 트랙 에러 신호에서의 오프셋이 아날로그 지연 요소에 의하여 최적으로 보상되는 장점을 갖는다. 각 아날로그 신호의 위상과 진폭 정보는 모두 아날로그 지연 요소에 의하여 지연된 이후에도 보존되고 합산점에서 이용 가능하다. 다른 한편으로, 합산 이후에는 위상 정보만이 결정적이다. 이 경우에, 본 발명을 따라, 오프셋에 대한 기타 영향의 보상은 디지털 지연 요소에 의하여 수행된다. 이 장치의 장점은 디지털 지연 요소가 한정된 시간만큼 입력 신호에서 에지만을 지연시키기 때문에 디지털 지연 요소는 보다 쉽게 실현될 수 있다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아날로그 형태로 연속해서 구현되어지는 지연 요소에 대한 비용은 요구 조정 범위가 제한될 수 있기 때문에 감소된다. 디지털 형태로 모든 지연 요소를 실현시키는 이론적인 가능성은, 서로에 대한 신호의 시간적 위치와 진폭이 합산점 이전에서 중요하기 때문에 실제로 덜 적절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네 개의 검출기 신호의 진폭과 시간적인 동향은 광축으로부터 대물 렌즈의 변위가 있는 경우에는 가변될 수 있다는 것이 실제로 보여지고 있다. 렌즈 이동에 좌우되는 트랙 에러 신호의 오프셋 성분의 보상은 만약 양쪽 측정 변수들이 합산과 디지털화 이전에 존재한다면 본 발명에 따라 최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디지털화가 합산 이전에 이루어진다면 진폭 정보가 손실된다. 렌즈 이동의 보상은 이 경우에 최적 방식으로 더 이상 가능하지 않을 것이다. 합산점의 업스트림과 다운스트림으로 위치된 가변 지연 요소 장치는, 더욱이 렌즈 편향에 의하여 야기된 에러를 보상할 뿐만 아니라 트랙 에러 신호에서 오프셋을 보상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준다. 예를 들어 성분 공차에 의하여 야기된 바람직하지 않은 지연이나 유사한 간섭 영향에 대한 적용도 가능하다.
본 장치의 유리한 개선에 따라, 제어 장치는 입력으로 위상 비교기의 출력 신호가 존재하고, 출력 신호가 가변 지연 요소를 셋팅하기 위한 역할을 하는, 오프셋 결정 장치를 갖는다. 이것은 트랙 에러 신호에 존재할 수 있는 오프셋이 지연 요소의 지연 시간 셋팅에 의하여 마찬가지로 보상되는 장점을 갖는다. 효과적인 방식으로, 트랙 에러 신호는 이러한 목적으로 적분되고, 또한 지연되는 검출기 요소들의 쌍과 요구되는 지연의 크기는 적분기의 출력 신호의 부호와 절대값으로부터 결정된다.
효과적인 방식으로, 렌즈 편향에 의하여 야기된 오프셋과 에러를 위한 2 개의 에러 보상 장치가 가능한 한 에러가 없는 트랙 에러 신호를 발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조합된다.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된, 4개의 4분의 검출기의 검출기 요소의 출력 신호를 위한 합산점과 위상 비교기 사이의 지연 요소 중 적어도 하나의 장치는 오프셋 보상이 렌즈 이동의 보상에 독립적인 지연 요소로 달성된다는 장점을 갖는다. 이 경우에, 본 발명은 2 개의 가변 지연 요소와 간단한 스위칭 장치를 사용하는 솔루션과 단일 지연 요소 및 다소 복잡한 스위칭 장치를 사용하는 솔루션을 모두 제공한다. 이것은 소정의 경계 조건에 따라, 비용의 측면에서나 제조 복잡성의 관점으로부터나 각 경우에 가장 알맞은 버전을 실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이점을 갖는다. 일반적으로, 솔루션은 집적 회로로 실현하는 경우에 작은 칩 면적을 차지하기 때문에 작은 수의 지연 요소를 사용하는 솔루션이 본 명세서에서는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바와 같이, 단지 2 개의 아날로그 가변 지연 요소로 처리하는 가능성은 신호가 지연되어야 하는 검출기 요소에 각 경우에 스위칭 장치에 의하여 상기 지연 요소를 연결하는 데에 있다. 이것은 지연 요소의 개수가 이 경우에도 감소되는 이점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라, 인위적인 간섭 신호가 추적 장치에 제공되고, 이것의 결과로 야기된 트랙 에러 신호가 간섭 신호와 비교되며, 그 결과가 제어 장치에 제공된다. 이것은, 렌즈 편향에 의하여 야기된 트랙 에러 신호에서의 에러가 최적으로 보 상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간섭 신호 발생 장치는 렌즈의 편향과 이리하여 위상 비교기의 출력 신호인 트랙 에러 신호에서의 에러를 일으킨다. 이 에러는 추적 조절 회로가 폐쇠되지 않는 한 보상되지 않는다. 이리하여, 렌즈 편향에 의하여 야기된 에러는 초기에 트랙 에러 신호에서의 어떤 보상도 없이 그 자체적으로 나타난다. 제어 장치에 의하여, 간섭 신호와 트랙 에러 신호가 비교되고, 가변 지연 요소의 지연 시간이 이 비교의 결과에 의하여 최적으로 셋팅된다. 이것은 셋팅 이후에 간섭 신호가 트랙 에러 신호에 남아 있는 잔류 영향을 가지지 않거나 아주 약한 잔류 영향을 가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어 장치는, 입력으로 위상 비교기의 출력 신호와 간섭 신호 발생 장치의 출력 신호, 즉 가변 지연 요소를 셋팅하기 위한 역할을 하는 비교 장치의 출력 신호가 존재하는, 비교 장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비교 장치가, 셋팅되는 지연이 양 또는 음이여야 하는지 또는 검출기 요소의 쌍이 지연되어야 하는지를 나타내는 방향 신호와, 및 요구되는 지연의 크기를 나타내는 절대값 신호를 모두 제공하는 이점을 갖는다. 이 비교 장치는 효과적으로 동기 복조기를 가진다.
더욱이, 본 발명은 회로 블록에 의하여 절대값과 부호로 분석되는 제어 장치의 출력 신호를 제공한다. 이것은, 예를 들어 부호 신호가 스위칭 장치를 구동하기 위하여 직접 사용될 수 있어 이것으로 한정된 진폭의 준-디지털 구동 신호(quasi-digital drive signal)를 수신하는 이점을 갖는다. 더욱이, 지연 요소가 있는 경우에 부호의 결정은 이것에 의하여 필요없게 된다.
본 발명에 따라, 이하 본 명세서에서 컨버터라고 지칭되는, 비교기는 디지털 지연 요소나 요소들의 업스트림으로 연결된다. 상기 비교기는, 제로점과 진폭 측면으로 인하여 광역 한계폭 내로만 한정된 아날로그 입력 신호를, 단지 두 상태를 취하고 이들 두 상태 사이에 상대적으로 예리하게 정의된 전이를 가지는 출력 신호로 변환시킨다. 이 경우에, 비교기의 비교값은 미리 셋팅된 값 또는 적응성 있게 추적된 값이라 추정할 수 있다. 디지털 신호는 디지털 지연 요소에 의하여 특히 잘 처리될 수 있다. 또한 컨버터는 "슬라이서" 로 종종 지칭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개선은 집적 회로에 실현되는 지연 요소와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이점은 디지털 지연 요소가 상대적으로 작은 칩 영역을 차지 하고 결과적으로 저가로 가능하기 때문에 집적 회로에 집적되는 경우에 저가로 실현 가능하다는 이점을 갖는다. 기타 이점은 사용되는 지연 요소가 상대적으로 다소 집적 회로의 제조 공차에 의존한다는 사실에 있다.
본 발명은 구체적으로 명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와 대안물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당업자의 능력 내에서 개선되는 모든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타 이점과 유리한 개선은 도면을 참조로 하여 예시적인 실시예의 이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이루어질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도시하는 것이다. 대물 렌즈(3)와 버어니어 드라이브(6)를 구비하는 추적 장치(13)가 좌측에 도시되어 있다. 이 버어니어 드라이브(6)는, 입력으로 위상 검출기(14)에 의하여 출력된 트랙 에러 신호(DPD-TE)가 존재하는 추적 조정기(17)에 의하여 구동된다. 다른 한편으로, 간섭 신호(S)가 간섭 신호 발생 장치(22)에 의하여 버어니어 드라이버(6)에 인가된다. 간섭 신호(S)는 위상 이동기(23)에 의하여 신호(WSY)를 형성하기 위해 위상 이동되며 제어 장치(24)에 제공된다. 제어 장치(24)는 이 신호(WSY)와 트랙 에러 신호(DPD-TE)를 평가하여 스위칭 장치(25, 37)를 경유하여 가변 지연 요소(26S, 26T, 26X, 26Y)의 지연 시간(τS, τT, τX 및 τY)을 셋팅한다. 가변 아날로그 지연 요소(26X, 26Y)는 각각 셋팅 지연 시간(τX, τY)에 의하여 4개의 4분의 검출기(5)의 검출기 요소(A와 B 및 C와 D)에 의하여 출력된 신호를 지연시킨다. 하나의 신호가 지연된 검출기 요소(A 및 C)의 신호는 제 1 합산점(15)에서 합산되고 위상 검출기(14)로 진행된다. 동일한 것이 합산점(16)과, 하나의 신호가 마찬가지로 지연된 검출기 요소(B 및 D)의 신호에도 대응하여 적용된다.
DPD 추적법이 이제 도 2를 참조로 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2 는 도시적인 도면에서 DPD 추적법을 사용하는 공지된 장치를 도시한다. 광원(1)은, 편광빔 스플리터의 일부로 도시되어 있는, 반투명 미러(2)와 대물 렌즈(3)에 의하여 광기록 매체(4)에 집중된 광빔을 발생시킨다. 이 광빔은 상기 광기록 매체로부터 반사되어 4개의 4분의 검출기(5)로 향하게 된다. 4개의 4분의 검출기(5)는 평면도에서 90°만큼 기울어 도시되어 있고 4 개의 검출기 요소(A, B, C 및 D)를 포함한다. 화살표(10)는 추적 방향, 다시 말해서 기록 매체(4)가 4 분의 검출기(5)에 대하여 이동되는 방향을 나타낸다. 이리하여 4 분의 검출기(5)는 추적 방향에 대하여 측면으로 위치되는 2 개의 검출기 영역으로 분할될 수 있으며, 검출기 요소(한편으로는 A와 B 및 다른 한편으로 C와 D)를 포함한다.
시준기(7)는 광원(1)과 미러(2) 사이에 배치되며, 볼록 렌즈(8)는 미러(2)와 4개의 4분의 검출기(5) 사이에 배치된다. 버어니어 드라이브(6)는 버어니어 드라이브 작동 신호(TS)에 따라 광기록 매체(4)에 대하여 반지름 방향으로 대물 렌즈(3)를 이동시킨다. 대물 렌즈(3)와 버어니어 드라이브(6)는 추적 장치(13)의 일부이다. 기록 매체(4)는 디스크 예를 들어 오디오 컴팩트 디스크(CD), 비디오 디스크, 고 기록 밀도를 갖는 기록 매체(DVD) 등으로 구성된다. 광기록 매체(4)는 (여기에서 도시용으로만 나타낸) 디스크 드라이브(9)에 의하여 회전하게 이루어져 있다. 지름을 따라서 기록 매체(4)를 가르는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대물 렌즈(3)에 의하여 기록 매체(4)에 집중된 광빔은 기록 매체(4)의 반지름 방향으로 외부 영역에 위치된다. 대물 렌즈(3)를 통하여 통과한 후에, 버어니어 드라이버(6)에 의하여 야기된 대물 렌즈(3)의 변위에 의해 초래된 광기록 매체(4)로부터 반사된 빔의 변위 방향은 화살표(12)로 나타내어 있다. 화살표(11)는 렌즈(3)의 이동 방향을 나타낸다.
검출기 요소(A와 C)의 출력은 제 1 합산점(15)에 연결되고 검출기 요소(B와 D)의 출력은 제 2 합산점(16)에 연결된다. 대응하는 합산 신호(A+C와 B+D)는 각각 위상 검출기(14)로 나아가고, 출력으로는 DPD 방법에 따라 결정된 트랙 에러 신호(DPD-TE)가 존재한다.
합산점(15와 16)의 출력은 다른 합산점(18)의 입력에 연결된다. 이리하여, 모든 검출기 요소(A, B, C 및 D)의 신호의 합은 합산점(18)의 출력에 존재한다. 이 신호는 정보 신호(HF)이며, 이 신호는 사용자를 위하여 평가될 수 있는 신호로 변 환하기 위해 평가 유닛(도시되지 않음)으로 진행된다.
본 발명의 장치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하여, 먼저 도 1이 참조될 것이다. 위상 검출기(14)의 구조는 여기에서는 도식적으로 설명되어 있다. 위상 검출기(14)는 컨버터(19, 19'), 위상 비교기(20)와 저역 통과 필터(21)를 갖는다.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 있어서, 가변 디지털 지연 요소(26S, 26T)는 컨버터(19, 19')와 위상 비교기(2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지연 요소는 위상 검출기의 일부로 보통은 간주되지 않는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지연 요소(26S, 26T)를 경유하여, 위상 검출기(14)의 입력에는 각 컨버터(19, 19')가 위치되며, 컨버터의 출력이 위상 비교기(20)의 입력에 연결된다. 위상 비교기(20)의 출력은 DPD 방법에 의하여 결정된 트랙 에러 신호(DPD-TE)가 출력단에 존재하는 저역 통과 필터(21)를 경유하여 위상 검출기(14)의 출력에 연결된다.
검출기 요소(A와 C)의 신호는 합산점(15)에서 합산되고, 합산 신호는 제로 크로싱 비교기(zero crossing comparator)로 동작하는 컨버터(19)에서 논리 레벨로 된다. 대응하는 디지털 합산 신호(B+D)는 합산점(16)과 컨버터(19')에 의하여 형성된다. 이들 두 신호는 각 지연 요소(26S, 26T)를 통하여 전송되고 두 신호의 에지 사이의 상대적 시간 간격을 평가하는 위상 비교기(20)에 제공된다. 트랙 에러 신호(DPD-TE)는 이들 시간차의 평균값이고 저역 통과 필터(21)에 의하여 형성된다. 만약 스캐닝 포인트나 스폿(29)이 도 3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정확히 트랙 중심(30)을 따라 간다면, 합산 신호(A+C 와 B+D)의 제로 크로싱은 동시에 일어나고 그 결과 트랙 에러는 제로이다. 만약 스폿(29)이 트랙 중심에 대하여 일정한 편차를 갖고 트랙을 따라 간다면, 이들 합산 신호의 제로 크로싱은 더 이상 동시에 일어나지 않으며 서로에 대하여 시간적으로 이동된 방식으로 일어난다. 일어나는 시간 차이는 평균적으로 트랙 중심에 대하여 스캐닝 편차에 대략 비례하는데, 여기서 신호들 중 하나의 신호에 대한 시간 차이는 양이거나 음일 수 있다. 다르게 말하면, 시간 차이의 부호는 편차의 방향과 절대값, 다른 한편으로는 크기를 포함한다.
도 1에서, 정적인 오프셋 조정은 지연 요소(26S, 26T)에 의하여 달성되는데, 다르게 말하면 합산점(15, 16)의 다운스트림으로 달성된다. 스위칭 장치(25)는 신호(SIGN(B))에 따라 스위칭되고 신호(ABS(B))가 디지털 지연 요소(26S, 26T) 중 하나의 요소에 제공되게 한다. 이리하여, 지연 요소(26S, 26T)는 스위칭 장치(25)에 의하여 오프셋 결정 장치(44)의 출력 신호(VBS)에 연결될 수 있다. 이 지점에서 두 개의 가변 지연 요소(26S, 26T) 대신에 고정 지연 시간을 갖는 디지털 지연 요소와 가변 디지털 지연 요소를 제공하는 것은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있는데, 상기 가변 디지털 지연 요소의 지연 시간은 신호(VBS)에 따라 다른 지연 요소의 고정 지연 시간에 비해 짧아지거나 길어진다.
스위칭 장치(37)에 의하여 검출기 요소(A 와 B)나 검출기 요소(C와 D)에 연결될 수 있는 2 개의 가변 아날로그 지연 요소(26X 와 26Y)는 렌즈의 이동에 의하여 야기된 에러를 조절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이것은 한 쌍의 신호(A-B)나 다른 쌍의 신호(C-D)가 각각 다른 쌍에 대하여 지연되는 것을 보장해준다. 스위칭 장치(37)는 신호(SIGN(A))에 의하여 스위칭 되고 신호(ABS(A))는 지연 요소(26X, 26Y)에 인가된다.
상부 부분에 있어서, 도 3 은 광기록 매체(4)의 정보층을 도시하며 크게 확대시킨 상세도를 평면도로 도시한다. 서로 인접하게 놓여 있는 3개의 트랙은 명확하며, 이 중에서 트랙 방향으로 늘어진 방식으로 뻗어 있고 트랙을 형성하는, 2 또는 3개의 디프레션, 소위 피트(28)가 도시되어 있다. 트랙 방향(화살표 10)으로의 피트의 길이뿐만 아니라 트랙 방향으로 피트(28) 사이의 거리는 여기에 도시된 상태와는 명시적 한계 내에서 다를 수 있다. 이것은 피트 패턴으로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변환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변조 방법과 기록 정보의 내용에 달려 있다. 특히 피트(28)는 다른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중앙 트랙의 트랙 중심(30)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위치되어 있고 검출기 요소(A, B, C 및 D)를 포함하는 4개의 4분의 검출기(5)는 피트(28)의 좌측에 나타나 있다. 이것은 정보층에 도달하는 광스폿(29)이 트랙 중심(30)으로부터 변위될 때 검출기 영역(A, B, C 및 D)의 출력 신호가 어떻게 동작되는지를 도시하기 위한 역할을 한다.
도 3의 하부 영역에서, 검출기 영역(A, B, C 및 D)의 출력 신호의 다수의 조합의 진폭은 시간축(t)에 대하여 도식적으로 도시되는데, 여기에서 시간축(t)은 보통의 판독 속도에서 서로에 대하여 트랙 방향(화살표 10)으로의 광기록 매체와 스폿(29)의 이동이 있는 경우에 트랙 방향으로 공간축에 해당한다. 이하의 내용에서, 간략화하기 위하여, 검출기 영역(A, B, C 및 D)의 신호와 이로부터 유도된 신호는 몇 가지 경우에서는 검출기 요소의 문자로도 지정된다.
피트(28) 바로 아래에 도시된 곡선(31)은 정보 신호(HF), 다시 말해서 모든 검출기 요소(A, B, C 및 D)의 신호의 합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스폿(29)이 피트(28) 중 어디에도 충돌하지 않는 한, 정보 신호(HF)의 진폭은 크게 된다. 스폿(29)이 피트(28) 중의 하나에 도달하자마자, 상쇄 간섭, 변화된 반사도 또는 다른 적절한 효과로 인하여 진폭은 감소하고, 또한 스폿(29)과 피트(28)의 최대 오버래핑이 도달하자마자 최소값에 도달한다.
곡선(32)은 트랙 에러가 없는, 다시 말해서 스폿(29)이 트랙 중심(30)에 대하여 중앙에 있을 때나 대물 렌즈(3)의 편향이 없을 때에 디지털 신호(A+C 와 B+D)의 조합을 도시한다. (점선) 곡선(32')과 (일점쇠선) 곡선(32'')은 변위된 스캐닝 트랙(30' 및 30'') 각각의 방향으로 트랙 중심(30)으로부터 각각 렌즈 변위 또는 스폿(29')과 스폿(29'')의 편차에 따라 합산 신호(A+C 와 B+D)의 시간 이동을 각각 도시한다. 트랙 중심과 렌즈 변위로부터의 두 편차는 디지털 합산 신호에 동일한 결과를 가져오기 때문에, 두 종속 관계는 분리될 수 없다. 서로에 대하여 신호(A+C와 B+D)의 시간 이동(Δt)은 절대값 측면으로 보면 트랙 중심(30)으로부터 변위된 스캐닝 트랙(30', 30'')의 편차의 크기에 해당하고, 그 부호 측면으로는 대응하는 편차의 방향에 해당한다. 위상 검출기(14)는 상술한 바와 같이 트랙 에러 신호(DPD-TE)를 결정한다.
광구조에 따라 검출기 영역(A, B, C 및 D)의 신호는 트랙 편차나 렌즈 편향이 없을 때에 서로에 대하여 시간적으로 이미 정적 이동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주의 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곡선(32'와 32'')에 도시된 A+C에 비하여 B+D의 이동 은 트랙 중심으로부터 렌즈 편향이나 편차가 있는 경우에는 일반적이다.
대물 렌즈(3)가 수평 방향, 다시 말하여 기록 매체(4)의 트랙 방향에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4개의 4분의 검출기(5)에 디스크 정보면의 반사 이미징의 드리프팅이 빔의 기하학적 구조로 인한 수평 방향 편향이 있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발생된다. 그러므로, 렌즈 이동으로 인한 이들 시간 차이의 결과로서 비록 스폿(29)이 트랙 중심(30)을 정확히 따르더라도 제로가 되지 않는 트랙 에러 신호(DPD-TE)가 발생하는 것은 DPD 추적 방법의 특성이다.
합산점(15, 16)에서 합산 하기 이전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검출기 요소(A, B, C 및 D)의 신호를 표적화된 방식으로 시간 지연시킴으로 인해 트랙 에러 신호(DPD-TE)에서 렌즈 이동으로 인하여 야기되는 오프셋의 보상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가변 지연 요소(26X, 26Y)의 지연 시간(τX, τY)의 조정의 결과로서, 렌즈 이동으로 인한 이 오프셋의 가장 가능한 보상과, 디지털 지연 요소의 가변 지연 시간과 비교하여, 다른 영향에 기초한 오프셋의 가장 가능한 보상도 달성하게 해준다.
이 상부 부분에서, 도 10은 트랙에 대하여 대물 렌즈의 어떤 편향도 없고 셋팅되는 지연도 없는 소위 3T 신호의 예를 사용하는 검출기 요소(A, B, C 및 D)의 신호 및 합산 신호(A+C 및 B+D)의 신호의 진폭 특성과 위상을 도시한다. 3T 신호는 짧은 피트(28)에 해당한다. 도 10에서 수평축은 각 제로 라인에 해당하고, 수직 점선축은 보다 나은 배향을 제공하기 위하여 매 5개 단위마다 나타나 있다. 도시된 신호는 동일한 진폭을 가지며, 그리하여 각 합산 신호(A+C 와 B+D)의 제로 크로싱은 개개 신호(A와 C 및 각각 B와 D)의 제로 크로싱 사이의 중심에 있다. 합산 신호(A+C와 B+D) 사이의 위상 차이는 제로이다.
하부 부분에서, 도 10은 어떤 렌즈의 이동도 없이 지연에 의하여 보상을 갖는 3T 신호의 예를 사용하여 검출기 신호(A, B, C 및 D)의 진폭 특성과 위상을 도시한다. 지연의 결과로서, 2 개의 신호(A와 B)는 도 10의 상부 부분에 비하여 우측으로 대략 1.2 단위만큼 이동된다. 신호는 동일한 진폭을 갖기 때문에, 각 합산 신호(A+C와 B+D)의 제로 크로싱은 개개 신호의 제로 크로싱 사이에 중심이 놓인다. 합산 신호 사이의 위상 차이는 다시 제로이다. 이리하여, 보상은 렌즈 편향이 없이 위상과 간섭되지 않는다.
상부 부분에서, 도 11 은 지연에 의하여 보상되지 않고 렌즈 이동을 갖는 3T 신호의 예를 사용하여 검출기 신호(A, B, C 및 D)의 진폭 특성과 위상을 도시한다. 도 11은 구조로 볼 때 도 10에 대응한다. 렌즈의 이동으로 인하여, 예로서, 도 10의 상부 부분에 비하여, 신호(A)의 제로 크로싱은 우측으로 이동되고, 신호(B)의 제로 크로싱은 좌측으로 이동된다. 신호(A와 C 및 B와 D)가 다른 진폭을 가지기 때문에, 각 합산 신호(A+C 및 B+D)의 제로 크로싱은 더 이상 개개 신호의 제로 크로싱 사이의 중심에 있지 않다. 마찬가지로, 합산 신호 사이의 위상 차이는 더 이상 제로가 아니라 도시된 예에서 대략 한 단위이다.
도 11의 하부 부분은 렌즈의 이동으로 상부 부분과는 대조적으로 지연에 의하여 보상을 하는 3T 신호의 예를 사용하는 검출기 신호(A, B, C 및 D)의 진폭 특성과 위상을 도시한다. 지연의 효과는 2 개의 신호(A 및 B)가 도 11의 상부 부분에 비하여 우측으로 대략 1.2 단위 만큼 이동된다는 것이다. 예로서, 렌즈의 이동으로 인하여, 신호(A)의 제로 크로싱은 우측으로 이동되고 신호(B)는 좌측으로 이동되며, 이것은 도 10의 상부 부분과 도 11의 상부 부분에 비하여 모두 그렇다. 개개 신호는 다른 진폭을 가진다. 그러므로, 각 합산 신호(A+C와 B+D)의 제로 크로싱은 개개 신호의 제로 크로싱 사이의 중심에 있다. 그러나, 보상의 결과로서, 합산 신호들 사이의 위상 차이는 제로이다.
도 12 는 도 11의 방향과 반대인 렌즈의 이동 방향을 갖는 3T 신호의 예를 사용하는 검출기 신호(A, B, C 및 D)의 진폭 특성과 위상을 도시한다. 지연에 의하여 보상이 없는 경우가 상부 부분에 도시된다. 다른 방향으로 렌즈의 이동으로 인하여, 예로서, 도 10에 비하여, 신호(A)의 제로 크로싱은 좌측으로 이동되고, 신호(B)의 제로 크로싱은 우측으로 이동된다. 대물 렌즈의 변위가 일어나는 때, 신호도 위상 이동 외에도 진폭이 변경된다. 상기 진폭은 개개 신호에 대하여 다른데, 그 이유는 각 합산 신호(A+C와 B+D)의 제로 크로싱은 더 이상 개개 신호의 제로 크로싱 사이의 중심에 있지 않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합산 신호 사이의 위상 차이는 제로가 아니라 오히려 도시된 예에서 도 11에서의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대략 한 단위이다.
지연에 의하여 보상을 하는 해당 신호는 도 12의 하부 부분에 도시된다. 지연으로 인하여, 2개의 신호(A와 B)가 도면의 상부 부분에 비하여 우측으로 대략 1.2 단위만큼 이동된다. 다른 방향으로의 렌즈의 이동으로 인하여, 예로서, 도 12의 상부 부분에서와 같이 도 10의 상부 부분에 비하여 신호(A)의 제로 크로싱은 좌 측으로 이동되고 신호(B)는 우측으로 이동된다. 신호가 다른 진폭을 가지기 때문에, 각 합산 신호(A+C와 B+D)의 제로 크로싱은 개개 신호의 제로 크로싱 사이의 중심에 더 이상 있지 않다. 그러나, 보상의 결과로서, 합산 신호 사이의 위상 차이는 이 경우에도 다시 제로이다.
도 10 내지 도 12에서 명시된 예에서, 신호(B와 C)가 더 커지고 신호(A와 D)가 더 작아지는 경우에, 검출기 요소(B와 C)의 하반부 방향으로 검출기에 광스폿의 변위가 신호(A)의 제로 크로싱은 우측으로, 신호(B)의 제로 크로싱은 좌측으로 가는 시간 이동에 의하여 달성된다. 광스폿의 이동 방향이 반대인 경우에, 신호(A와 D)는 더 커지고, 다른 한편으로 신호(B와 C)는 더 작아진다. 신호(A와 B)의 시간 이동은 마찬가지로 반대이다.
명시된 예는 서로에 대하여 개개 검출기 신호의 가능한 동작 중 단지 하나만을 구성한다; 이 예에서 명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변위 방향으로 주어진 시간 동작의 반대와 같은 다른 조합, 신호(A와 B)에 대해서가 아니라 신호(C와 D)에 대해서 시간적 이동의 효과, 및 다른 것도 마찬가지로 일어난다. 이것은 재생되는 기록 매체의 광 특성 뿐만 아니라 광 시스템의 구조 및 공차에 달려 있다.
도 10 내지 도 12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각각 더 큰 신호, 즉 도 11 및 도 12의 상부 부분에서는 신호(B)의 지연이, 비록 이동의 절대값이 양쪽 신호(A 및 B)에 동일할지라도, 예를 들어 합산치(A+C)에 대하여 더 작은 신호의 동일한 지연, 이 경우에는 신호(A)의 동일한 지연보다도 합산치(B+D)의 제로 크로싱의 더 큰 이동을 야기한다. 만약 진폭 정보가 합산점에서 더 이상 이용 가능하지 않았다면, 올바른 보상은 진폭과 위상 사이의 상호 작용이 손실될 수 있기 때문에 더 이상 달성될 수 없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합산 동작 이전에 아날로그 지연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기능은 도 1을 참조로 하여 이제 기술될 것이다. 트랙 방향에 직각인, 다시 말하면 화살표(11)의 방향으로 기록 매체(4)의 표면과 평행하게 대물 렌즈(3)를 이동한 결과, 트랙 에러 신호(DPD-TE)에 오프셋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변형에 따라, 버어니어 드라이브(6)는 간섭 신호 발생 장치(22)로부터의 사인 간섭 신호(S)에 의하여 구동된다. 그 결과 대물 렌즈(3)는 특정 기계적인 왕복 운동(excursion)에 의하여 기계적 제로 위치 부근으로 이동되며, 이것은 또한 진동(wobbled)하는 대물 렌즈(3)로 지칭된다. 드라이브 주파수는 이 경우에 특정 범위 내에 자유롭게 선택 가능하다. 이하 명세서에서 제어 장치(24)에 대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측정 시간이나 집적 시간이 만일 주파수가 너무 느리면 너무 길어지고, 만약 너무 높으면 추적 장치의 정확히 명시되지는 않은 자연 공진에 접근하기 때문에 대략 2 내지 10 Hz가 바람직하다. 만약 대물 렌즈(3)가 편향된다면, 트랙 에러 신호(DPD-TE)의 엔벨롭(envelope)의 변조는 아날로그 지연 요소(26X, 26Y)의 지연 시간(τX, τY)의 부정확한 셋팅의 경우에 각각 일어난다.
추적 장치(13)는 시간 지연을 갖는 간섭 신호(S)에 의한 여기(excitation) 다음에 온다. 낮은 차단 주파수를 갖는 저역 통과 필터(27)는 트랙 에러 신호(DPD-TE)의 변조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러므로, 트랙 에러 신호, 신호(TELP)의 평가를 위해 사용되는, 낮은 주파수 성분에 대한 변조의 제로 크로싱은 간섭 신호(S)의 제로 크로싱에 대하여 시간 이동된다. 이 위상 이동은 위상 이동기(23)에 의하여 보상되는데, 이 위상 이동기의 위상 이동은 추적 장치(13)와 저역 통과 필터(27)에 의하여 야기된 위상 이동에 해당하도록 선택된다. 위상 이동기(23)의 출력단에서, 위상 이동된 간섭 신호(WSY)는 또한 진동 동기화 신호로서 아래에서 지칭되는데, 이 동기 신호는 트랙 에러 신호(DPD-TE)의 낮은 주파수 성분의, 신호(TELP)의 변조로 동기화 된다.
지연 요소(26S, 26T, 26X, 및 26Y)의 지연 시간(τS, τT, τX 및 τY)은 각각 제어 장치(24)의 제어에 따라 셋팅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제어 장치(24)는 오프셋 결정 장치(44)와 비교 장치(45)를 가진다. 비교 장치(45)는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차동 샘플 유지 회로(DSH : Differential Sample-and-Hold circuit), 동기 복조기(33), 제 1 윈도우 비교기(34) 및 샘플 유지 회로(35)를 포함한다. 이것 다음에는 제 1 회로 블록(36)이 온다.
저역 통과 필터(27)의 출력 신호(TELP)와 신호(WSY)는 동기 복조기(33)에 제공되는데, 동기 복조기는 신호(TELP)의 변조로부터 절대값을 구성하고 그 절대값을 적분한다. 만약 신호(TELP)의 변조와 진동 동기 신호(WSY)가 동위상이라면, 출력 전압(VA)은 상승하고, 만약 이들 신호가 반대 위상이라면 동기 복조기(33)의 출력 전압(VA)은 하강한다. 출력 전압(VA)은 한편으로는, 제 1 샘플 유지 회로(35)에 제공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전압(VA)의 시간적 변화에 비례하는 전압(VD)을 발생시키는 차동 샘플 유지 회로(DSH)에 제공된다. 이리하여 전압(VD)은 동기 복조기(33)의 출력 전압(VA)이 시간에 대하여 변화할 때는 제로와 다르다. 이것은 출력 전압(VA)이 더 이상 시간에 대하여 변화하지 않을 때는 제로와 같다. 이것은, 고정적으로 미리 결정될 수 있든지 아니든지, 유리하게 적응하게 매치될 수 있는, 비교 전압(±VRD)이 적용되는 윈도우 비교기(34)의 도움으로 보장될 수 있다. 이리하여 상기 윈도우 비교기의 출력 신호(NMT)는 트랙 에러 신호(DPD-TE)가 더 이상 간섭 신호(S)의 주파수로 동기화되는 변조를 하지 않을 때를 나타낸다.
샘플 유지 회로(35)는 먼저 샘플에 스위칭되고, 다시 말해 제어기(도시되지 않음)에서 방출되는 제어 신호(S/H1)에 의하여 "후속 전압"(VAS = VA)에 스위칭된다. 샘플 유지 회로(35)의 출력 전압(VAS)은 출력 전압(VAS)으로부터 절대값(ABS(A))과 부호(SIGN(A))를 구성하는 회로 블록(36)에 제공된다. 부호(SIGN(A))는 가변 아날로그 지연 요소(26X와 26Y)가 할당되어 지연 시간이 출력 전압(VAS)의 절대값(ABS(A))에 의하여 결정되는, 검출기 요소(A와 B 또는 C와 D)의 쌍을 결정한다. 이 때문에, 스위칭 장치(37)는 부호 신호(SIGN(A))에 의하여 제어된다. 따라서 기술된 회로 기능은 한 쌍의 검출기 요소(A와 B 또는 C와 D)의 지연 시간(τX, τY)이 트랙 에러 신호(DPD-TE)의 렌즈 이동에 따른 변조가 보상되는 방식으로 조절되게 한다. 지연 요소(26X, 26Y)가 아날로그 성분이기 때문에, 이들은 이들이 지연하는 신호의 신호 파형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으며, 그 결과 이들은 또한 합산점(15, 16)에서 각 지연되지 않은 신호와 합산되는 동안 여전히 이용 가능하다. 이것은 달성될 수 있는 조정의 정확도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
만약 이것이 시행된다면, 전압(VAS)은 제 1 샘플 유지 회로(35)에 의하여 유지된다. 이제 지연 요소(26S, 26T)의 지연 시간을 조절함으로써 보상될 수 있는 트랙 에러 신호(DPD-TE)에 일정한 오프셋만이 남아 있다. 이 오프셋 조정은, 적분기(39), 윈도우 비교기(40) 및 샘플 유지 회로(41)를 포함하는 오프셋 결정 장치(44)의 도움으로 구현된다.
오프셋 조정을 목적으로, 적분기(39)와 제 2 윈도우 비교기(40)는 저역 통과 필터(27)의 출력에 연결된다. 제 2 윈도우 비교기(40)는 필터링된 트랙 에러 신호(TELP)가 충분히 작은 DC 전압 오프셋을 가지는지를 결정한다. 이것은 제 1 조정 단계 이후 정상적인 경우가 아니기 때문에, 적분기(39)의 트랙 에러 신호(DPD-TE), 출력 전압(VB)을 위한 렌즈 이동 보상이 변화될 것이다. 입력단에 출력 전압(VB)이 존재하는, 제 2 샘플 유지 회로(41)가 처음으로 샘플에 스위칭된다. 그러므로, 샘플 유지 회로(41)의 출력 전압(VBS)은 전압(VB)을 따라간다. 제 2 회로 블록(42)은 출력 전압(VBS)으로부터 절대값(ABS(B))과 부호(SIGN(B)를 결정한다. 신호(SIGN(B))는 스위칭 장치(25)를 통하여, 디지털 지연 요소(26S, 26T) 중에서 전압(VB 또는 VBS)의 절대값(ABS(B))에 따라 변화되는 지연 시간이 셋팅되는 요소를 제어한다. 그러므로, 지연 요소(26S 또는 26T)를 위하여 셋팅된 전압(VB)과 지연은 적분기(39)의 입력에서의 전압(TELP)이 제로가 되기 까지, 다시 말해 제 2 윈도우 비교기(40)에서 입력 전압이 비교기에 적용되는 비교 전압(±VRTE) 보다 더 작아지기 까지 상승한다. 이것은 트랙 에러 신호(DPD-TE)에 부과되는 오프셋 전압이 사실상 제로가 되게 한다. 마지막으로, 다시 말해 전압(VB)의 최적값이 제 2 샘플 유지 회로(41)에 의하여 전압(VBS)으로서, 해당 신호(NDT)에 대한 제어기(도시되지 않음)의 대응 신호(S/H2)에 반응하여 유지된다. 이리하여 조정은 종료된다. 간섭 신호(S)가 이제 스위칭 오프되고 추적 조정기(17)는 스위칭 온 된다. 전압(VAS 및 VBS)은 새로운 조정이 시작되기 까지 유지된다.
도 4 는 예로서 본 발명에 따라 전술한 단계로 장치의 조정이 일어날 수 있는 흐름도를 도시한다.
단계(50)에서 이 방법의 시작 후에, 단계(51)에서 추적 조정기(17)가 스위치 오프 되고 간섭 신호 발생 장치(22)가 스위치 온 된다. 그 결과, 대물 렌즈가 전술된 방식으로 진동 된다. 단계(52)에서, 지연 요소(26S, 26T, 26U, 26X 및 26Y)의 지연 시간(τS, τT, τU, τX 및 τY)은 초기값, 일반적으로 0으로 리셋된다. 트랙 에러 신호(DPD-TE)를 형성하기 위하여, 단계(53)에 따라, 검출기 요소(A, B, C 및 D)의 출력 신호로부터 형성되는, 합산점(15와 16)으로부터 출력되며, 출력 신호가 지연 요소(26X, 26Y)를 통하여 경유되며, 만약 적절하다면 지연 요소(26S, 26T, 26U)에 의하여, 그 기능 상 지연되는, 신호((A+C) 및 (B+D)) 사이의 시간이 사용되어진다. 단계(54)에서, 간섭 신호(S)에 의하여 야기된 트랙 에러 신호(DPD-TE)의 변조는 동기 복조기(33)의 도움으로 검출된다. 단계(55)에서, 단계(56)로의 분기는 만약 차동 샘플 유지 회로(DSH)가 신호(VA)의 변화를 아직도 검출한다면, 다시 말해 VA가 일정하지 않다면 일어난다. 만약 신호(VA)의 변화가 더 이상 없다면, 이 방법은 단계(57)로 분기한다.
단계(56)에서, 변화의 방향, 다시 말해 트랙 에러 신호(DPD-TE)의 변조가 간섭 신호(S)와 동위상인지 반대 위상에 있는지의 사실은 단계(58)이나 단계(59)로 이 방법이 분기하는지를 결정한다. 단계(58)에서, 지연 요소(26X 와 26Y)는 검출기 영역(C와 D)에 할당되고 그 지연 시간은 증가된다. 단계(59)에서, 지연 요소(26X, 26Y)는 검출기 영역(A, B)에 할당되고 그 지연 시간(τX와 τY)은 증가된다. 단계(58과 59) 이후에 단계(54)가 다시한번 실행된다. 이 루프는 셋팅된 지연 시간이 트랙 에러 신호(DPD-TE)에 변조를 보상하기에 충분하기까지 전송된다. 이 경우에, 전술된 루프는 적분과 같이 동작한다. 만약 동기 복조기(33)의 출력 전압(VA)의 변화가 더 이상 없다면, 단계(55)에 따라 이 방법은 단계(57)로 분기하고 이리하여 오프셋 보상으로 분기한다. 조정 동작 동안 이 루프의 각 반복이 있는 경우에, 단계(56)의 분기는 VA의 부호가 변화는 것이 아니라 VA의 절대값만이 변화하기 때문에 항상 동일하게 일어난다.
단계(57)에서, 셋팅값(τX, τY)이 저장된다. 더욱이, 단계(57)에서, DC 전압 오프셋은 저역 통과 필터(27)와 제 2 윈도우 비교기(40)에 의하여 결정된다. 만약 DC 전압 오프셋이 제로가 아니라면, 다시 말해 TELP 가 제로가 아니라면, 이 방법은 단계(61)로 분기한다. 만약 DC 전압 오프셋이 미리 결정된 한계의 경계,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비교 전압(±VRTE) 내에서 제로와 같다면, 이 방법은 단계(62)로 분기한다. 단계(61)에서, DC 전압 오프셋의 극성은, 다시말해 신호(TELP)의 부호는 검출기 어느 요소의 신호가 부가적으로 지연되는지를 결정한다. 만약 TELP가 제로 보다 작다면, 이 방법은 단계(63)로 분기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단계(64)로 분기한다. 단계(63)에서, 지연 요소(26T)의 부가 지연이 신호(ABS(B))에 해당하는 값이 지연 시간(τT)을 위해 셋팅되게 수행된다. 단계(64)에서, 지연 요소(26S)의 부가적인 지연은 신호(ABS(B))에 해당하는 값이 지연 시간(τS)에 대해 셋팅되게 수행된다. 단계(63과 64) 이후에, 단계(60)가 다시한번 수행된다. 이 루프는, 지연 요소(26S 또는 26T)의 지연 시간을 증가하는 것이 DC 전압 오프셋이 윈도우 비교기(40)의 비교 전압(±VRTE)보다 더 작게 될 때까지 전송된다. 이 루프의 반복 횡단과 동시 증가는 이 경우에 적분 같이 동작한다.
단계(62)에 따라, 결정되고 셋팅되는 지연 시간(τS, τT, τU, τX 및 τY)은 저장되고 유지된다. 이들 저장값은 최적 보상값이다. 그러므로, 이 방법은 단계(65)에서 종료된다.
도 4에 나타나 있는 흐름도는 도 1 에 나타나 있는 본 발명에 따라 장치의 블록도와 연관된 도 5 에 따라 논리 제어에 의하여 예를 들어 실현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논리 AND 게이트는 AND 로 나타나 있고, 논리 OR 게이트는 OR 로 나타나 있고 부정 요소는 N 또는 NOT 으로 나타나 있으며, 수치적 항목은 각 입력 수에 관련 된다. 별도의 참조 심벌은 필요시에만 할당된다.
신호(START)의 결과로서, 조정 동작이 시작되고 대물 렌즈(3)가 진동 된다. 트랙 에러 신호(DPD-TE)의 변조는 일반적으로 렌즈의 이동으로 인하여 존재하기 때 문에, 신호(NMT)는 논리 레벨 "로우(low)"에 있어서, 그 결과 신호(START)의 신호 에지는 제 1 샘플 유지 회로(35)가 제 1 디지털 플립플롭(71)에 의하여 출력된 신호(S/H1)에 의하여 "샘플"로 스위칭 한다. 제 2 디지털 플립플롭(72)은 NMT= "로우"에 의하여 리셋되고, 적분기(39)를 위한 리셋 신호(IRE)는 DC 전압 오프셋 보상을 위해 유지된다. 제 2 디지털 플립플롭(72)을 위한 시작 펄스는 마찬가지로 억압된다. 제 1 샘플 유지 회로(35)의 동작은 제 1 조정 단계가 자동적으로 진행되도록 하는데, 그 이유는 적분 성분이 이미 동기 복조기(33)에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제 1 단계의 절차는 전압(VA)이 더 이상 시간에 대하여 변화하지 않을 때 종료하며, 결과적으로 전압(VD)은 제로값으로 되돌아간다.
제 1 조정 단계는 만약 신호(NMT)가 시작 부터 논리 레벨 "하이(high)"에 있다면, 다시말해 트랙 에러 신호(DPD-TE)의 변조가 검출기 요소(A와 B 또는 C와 D)의 출력 신호의 어떤 지연이 없을 지라도 충분히 작다면 자동적으로 회피된다. 윈도우 비교기(34)의 출력(NMT)은 "하이"에 스위칭되고, 그 결과 제 1 디지털 플립플롭(71)은 리셋되며 제 2 디지털 플립플롭(72)은 셋팅된다. 동시에, 샘플 유지 회로(35)는 "보류"에 스위칭되고 트랙 에러 신호(DPD-TE)의 변조의 보상을 위한 전압(VAS)은 저장된다. 동시에, 샘플 유지 회로(41)는 "샘플"에 스위칭되고 적분기(39)는 신호(IRE)= "로우"에 스위칭된다. 마찬가지로 제 2 조정도 적분으로 인하여 신호(NDT)가 논리 레벨 "하이"로 간주할 때까지 자동적으로 진행된다.
그 결과, 트랙 에러 신호(DPD-TE)에서의 DC 오프셋도 보상되고, 조정의 종료에 도달한다. 만약 DC 오프셋이 이미 제 1 조정 단계 이후에 제로와 같다면, 신호(NDT)는 그 때 이 점에서 이미 레벨 "하이"로 간주되고 제 2 단계는 생략된다. 신호(ADF)는 이 조정이 성공적으로 실행되었으며 변조와 오프셋 모두가 제로이거나 미리 결정된 제한값 아래에 있음을 외부적으로 나타낸다. 신호(HOLDALL)의 도움으로 두 샘플 유지 회로(35, 41)는 지연 요소(26)를 위한 전압을 저장하기 위하여 상태(HOLD)에 강제로 유지될 수 있다.
도 5 에 따라 조정의 순서가 도 6 의 신호 흐름도의 도움으로 도시된다. 개별 신호가 도 1 및 도 5 에 대하여도 동일한 방식으로 지정되며 시간축은 우측으로 진행된다. 간섭 신호(S)와 버어니어 드라이브(6)와 저역 통과 필터(21)에 의하여 야기된 트랙 에러 신호(DPD-TE) 사이의 위상 이동은 간단하게 하기 위하여 제로로 간주된다. 2 개의 조정 단계의 안정 시간은 진동 주파수의 주기에 비하여 극히 짧도록 도시된다.
아날로그 성분에 의하여 비교 장치(45) 뿐만 아니라 오프셋 결정 장치(44)를 포함하는, 제어 장치(24)의 간단한 실현은 도 7에 명시된다. 이 표현은 도 1 의 우측부에 해당하고 해당 참조 심벌도 또한 제공된다. 도시된 회로의 기능은 전술된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하고, 그러므로 동작 증폭기와 같은 개개 성분들은 여기에서는 더 상세하게 논의되지 않을 것이다.
가능한 다른 설계에 따라(여기서는 도시되지 않음), 트랙 에러 신호(DPD-TE)의 상부 및 하부 엔벨롭 사이의 차이를 결정하기 위한 회로가 저역 통과 필터(27)를 대신하여 제공된다. 이 차이는 이상적인 경우에 최소가 된다.
여기에 도시되지 않은 가능한 다른 설계에서, 순차 적분을 하는 위상 종속 동기 정류기가 위상 이동기(23)와 동기 복조기(33) 대신에 제공된다. 비록 하드웨어가 다소 이 경우에는 실현하기에 좀더 복잡할지라도 이 조처는 이것에 의하여 달성되는 더 높은 정밀도로 인하여 추천된다.
전하 저장을 위한 커패시터와 동작하는 샘플 유지 회로는 누전 전류로 인하여 오랜 시간 동안 안정된 방식으로 이 전압을 유지할 수 없기 때문에, 출력 전압(VA와 VB)값의 디지털화 및 디지털 레벨값의 유지는 본 발명의 유리한 개선으로 제공된다. 전압(VAS 및 VBS)은 차례로 디지털 아날로그 변화를 받은 이후에 출력된다. 이 경우에, 절대값과 부호의 분리도 디지털 레벨에서 효과적으로 발생한다.
특히, 이 방법의 전체 순서, 다시 말해 마이크로제어기에서 도 1 의 우측부와 도 7의 블록에 있는 모든 회로 블록을 통합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것은 저역 통과 필터(27)를 필요로 하거나 대안으로서, 전술한 바와 같이 엔벨롭 검출기를 필요로 한다. 출력 전압(TELP)은 마이크로제어기에 의하여 디지털화 된다. 아날로그 지연 요소(26X, 26Y)는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기를 통하여 제어되거나 유리하게는 직접 디지털 방식으로 제어되고 또한 디지털 지연 요소도 제어된다. 일반적으로, 마이크로제어기는 초점과 어떤 경우에는 트랙 서보를 제어하기 때문에, 버어니어 드라이브(6)의 진동을 받을 수 있고 위상 독립 동기 검출기를 포함한다. 이것은 크게 추가적인 하드웨어 비용을 최소화시킨다.
도 8 은 오프셋 조정을 위한 역할을 하는 다른 실시예의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일부를 도시한다. 이 부분은 한편으로는 합산점(15, 16)과 다른 한편으로는 위상 비교기(20) 사이에 위치된 도 1 의 해당 부분을 대체할 수 있다. 여기서도 또한, 이미 합산된 신호(A+C 와 C+D)가 합산점(15와 16)과 위상 비교기(20) 사이에서 각각 지연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신호(ABS(B))가 적용되는 가변 디지털 지연 요소(26U)가 스위칭 장치(25')에 의하여 하나 또는 다른 경로 중 하나로 삽입된다. 이 스위칭 장치(25')는 신호(SIGN(B))에 따라 스위칭된다. 2 개의 신호(ABS(B)와 SIGN(B))는 전술한 바와 같이, 오프셋 결정 장치(44)의 출력 신호(VBS)로부터 유도된다. 이 개선의 이점은 단일 가변 디지털 지연 요소(26U)만이 요구된다는 점이다. 컨버터(19)는 가변 디지털 지연 요소(26U)의 업스트림으로 연결되는 반면 컨버터(19')는 가변 지연 요소를 포함하지 않는 다른 신호 경로로 배열된다. 컨버터(19, 19')는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칭 장치(25')의 다운스트림으로 연결되거나 업스트림으로 연결된다.
도 9 는 다른 실시예에서 도 8 에 대해 도시된 부분에 해당하는 본 발명에 따라 장치의 일부를 도시하는 것이다. 이 경우에, 가변 아날로그 지연 요소(26A, 26B, 26C, 26D)는 각 검출기 요소(A, B, C, D)에 할당되고 가변 디지털 지연 요소(26S, 26T)는 각 합산점(15, 16)의 다운스트림으로 배열된다. 컨버터(19, 19')는 합산점(15, 16)과 디지털 지연 요소(26S, 26T) 사이에 배치된다. 스위칭 장치(25)는 신호(SIGN(B))에 의하여 제어되며 디지털 지연 요소(26S, 26T) 중 하나를 신호(ABS(B))에 연결한다. 신호(ABS(A))는 신호(SIGN(B))에 의하여 스위칭되는 스위칭 장치(25'')를 통하여 지연 요소(26A, 26B)나, 지연 요소(26C와 26D)에 제공된다. 이 개선의 한 이점은 더 간단한 구조의 스위칭 장치(25, 25'')가 사용될 수 있다는 점이다. 아날로그 지연 요소(26A 내지 26D)의 조정 범위는 더 작게 될 수 있어, 복잡성과 비용을 감소시킨다.
렌즈의 이동에 의하여 야기된 에러를 보상하고 오프셋을 보상하기 위하여 여기에 도시된 실제적인 각 개선의 조합은, 여기에서 상세하게 논의되지 않을 지라도,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있다는 것은 두말할 것도 없다. 서로 중첩되는 방법의 단계에 의하여 아날로그 지연 요소와 디지털 지연 요소의 셋팅을 구현하는 것도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광기록 매체로부터 판독하고 및/또는 광기록 매체에 기록하기 위한 장치에서 트랙 에러 신호와 추적 신호를 통해 렌즈 이동에 의하여 야기된 에러를 최적 보상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광기록 매체(4)로부터 판독, 광기록 매체(4)에 기록, 또는 판독 및 기록하기 위한 장치로서, 차동 위상 검출법에 따라 추적하기 위하여 추적 장치(13), 4개의 4분의 검출기(5), 2 개의 합산점(15, 16) 및 위상 비교기(20), 및 제어 장치(24)에 의하여 셋팅될 수 있는 가변 지연 요소(26S, 26T, 26U, 26X, 26Y, 26A, 26B, 26C, 26D)를 구비하는, 광기록 매체(4)로부터 판독, 광기록 매체(4)에 기록, 또는 판독 및 기록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변 지연 요소는, 단 2개의 상태를 취하는 입력 신호의 에지을 지연시키기 위한 디지털 지연 요소(26S, 26T, 26U)이고, 컨버터(19, 19)의 앞쪽에 연결되며, 상기 4 분의 검출기(5)의 상기 검출기 요소(A, B, C, D)의 출력 신호를 위한 합산점(15, 16)과 상기 위상 비교기(20) 사이에 배열되고, 또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변 지연 요소는 그 입력 신호의 위상과 진폭 정보를 보존하기 위한 아날로그 지연 요소(26X, 26Y, 26A, 26B, 26C, 26D)이고 상기 4개의 4분의 검출기(5)와 상기 합산점(15, 16) 중 하나 사이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록 매체로부터 판독, 광기록 매체에 기록, 또는 판독 및 기록하기 위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24)는 오프셋 결정 장치(44)를 포함하되, 상기 장치(44)의 입력에는 상기 위상 비교기(20)의 출력 신호(DPD-TE, TELP)가 존재하고 상기 장치(44)의 출력 신호(VBS)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지연 요소(26S, 26T, 26U)를 셋팅하기 위한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록 매체로부터 판독, 광기록 매체에 기록, 또는 판독 및 기록하기 위한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각 디지털 지연 요소(26S, 26T)는 상기 합산점(15, 16)에 할당되고, 스위칭 장치(25)가 상기 지연 요소(26S, 26T) 중 하나를 상기 오프셋 결정 장치(44)의 출력(VBS)에 연결하기 위하여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록 매체로부터 판독, 광기록 매체에 기록, 또는 판독 및 기록하기 위한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합산점(15, 16) 중 하나와 상기 위상 비교기(20) 사이에 디지털 지연 요소(26U)를 삽입하기 위하여 스위칭 장치(25')가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록 매체로부터 판독, 광기록 매체에 기록, 또는 판독 및 기록하기 위한 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4 분의 검출기(5)의 상기 검출기 요소(A, B, C, D)의 제 1 쌍 또는 제 2 쌍을 상기 한 쌍의 아날로그 지연 요소(26X, 26Y)에 연결시킬 수 있는 스위칭 장치(37)가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록 매체로부터 판독, 광기록 매체에 기록, 또는 판독 및 기록하기 위한 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간섭 신호 발생 장치(22)가 존재하되, 상기 장치(22)의 출력은 상기 추적 장치(13)에 연결되고 또한 상기 제어 장치(24)의 제 1 입력에 연결되며, 상기 장치(24)의 제 2 입력은 상기 위상 비교기(20)의 출력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록 매체로부터 판독, 광기록 매체에 기록, 또는 판독 및 기록하기 위한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24)는 비교 장치(45)를 구비하되, 상기 장치(45)의 입력에는 상기 위상 비교기(20)의 출력 신호(DPD-TE, TELP)와 상기 간섭 신호 발생 장치(22)의 출력 신호(S, WSY)가 존재하고, 상기 제어 장치(45)의 출력 신호(VAS)는 상기 아날로그 지연 요소(26X, 26Y, 26A, 26B, 26C, 26D) 중 적어도 하나를 셋팅하기 위한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록 매체로부터 판독, 광기록 매체에 기록, 또는 판독 및 기록하기 위한 장치.
  8. 제 1 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24)의 적어도 하나의 출력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출력에 존재하는 신호(VAS, VBS)의 절대값{ABS(A), ABS(B)}과 부호{SIGN(A), SIGN(B)}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회로 블록(36, 42)에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록 매체로부터 판독, 광기록 매체에 기록, 또는 판독 및 기록하기 위한 장치.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 요소(26S, 26T, 26U, 26X, 26Y, 26A, 26B, 26C, 26D) 중 적어도 몇 개의 지연 요소와 상기 제어 장치(24)는 집적 회로로 실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록 매체로부터 판독, 광기록 매체에 기록, 또는 판독 및 기록하기 위한 장치.
  10. 삭제
KR1019990048299A 1998-11-13 1999-11-03 광기록 매체로부터 판독하고 및/또는 광기록 매체에기록하기 위한 장치 KR1006719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852291A DE19852291A1 (de) 1998-11-13 1998-11-13 Gerät zum Lesen und/oder Beschreiben optischer Aufzeichnungsträger
DE19852291.6 1998-11-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5184A KR20000035184A (ko) 2000-06-26
KR100671991B1 true KR100671991B1 (ko) 2007-01-19

Family

ID=7887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8299A KR100671991B1 (ko) 1998-11-13 1999-11-03 광기록 매체로부터 판독하고 및/또는 광기록 매체에기록하기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7170833B2 (ko)
EP (1) EP1001411B1 (ko)
JP (1) JP3965842B2 (ko)
KR (1) KR100671991B1 (ko)
CN (1) CN1197061C (ko)
DE (2) DE19852291A1 (ko)
HK (1) HK1025421A1 (ko)
ID (1) ID23831A (ko)
MY (1) MY124626A (ko)
PL (1) PL192564B1 (ko)
RU (1) RU2243598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9500B1 (ko) * 2002-07-31 2006-09-28 삼성전자주식회사 트랙킹 에러신호 생성장치
TWI248610B (en) * 2003-04-07 2006-02-01 Mediatek Inc Method and related apparatus for deriving a tracking error signal
GB0309052D0 (en) * 2003-04-22 2003-05-28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Apparatus and related method for monitoring tracking of an optical disk
US7512043B2 (en) * 2004-07-08 2009-03-31 Realtek Semiconductor Corp.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 tracking error signal in an optical disc drive
TWI258740B (en) * 2004-07-08 2006-07-21 Realtek Semiconductor Corp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 tracking error signal in an optical disc drive
US7633842B2 (en) * 2004-07-08 2009-12-15 Realtek Semiconductor Corp. Apparatus for generating tracking error signal in optical disc drive
US7583569B2 (en) * 2004-07-08 2009-09-01 Realtek Semiconductor Corp. Apparatus and related method for generating a tracking error signal in an optical disc drive
JP4327693B2 (ja) * 2004-09-30 2009-09-09 株式会社東芝 光ディスク装置及び光検知信号処理方法
WO2006129683A1 (ja) * 2005-06-01 2006-12-0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位相誤差検出装置
KR100712520B1 (ko) * 2005-07-27 2007-04-30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위상클럭을 이용하여 트래킹에러 신호를 검출하는 장치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97725A (ja) * 1996-07-30 1998-04-14 Toshiba Corp 光ディスク再生システムのトラッキング制御装置
JPH10198995A (ja) * 1996-12-27 1998-07-31 Victor Co Of Japan Ltd トラッキングエラー信号生成回路及び位相差検出回路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59229A (en) * 1970-11-02 1972-04-25 Gen Electric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adaptive equalization of communication channels
NL8303560A (nl) * 1983-10-17 1985-05-17 Philips Nv Inrichting voor het weergeven van informatie van een optisch uitleesbare registratiedrager.
JPH063648B2 (ja) * 1986-01-16 1994-01-1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光学的情報再生装置
JPH0628697A (ja) * 1992-07-07 1994-02-04 Pioneer Electron Corp 光ディスクプレーヤ
JPH09288832A (ja) * 1996-04-22 1997-11-04 Toshiba Corp トラッキングエラー信号生成回路
DE19627383A1 (de) * 1996-07-06 1998-01-08 Thomson Brandt Gmbh Gerät zum Lesen oder Beschreiben optischer Aufzeichnungsträger
JPH10112042A (ja) * 1996-10-04 1998-04-28 Hitachi Ltd 光学的情報再生装置
DE19723542A1 (de) * 1997-06-05 1998-12-10 Thomson Brandt Gmbh Gerät zum Lesen und/oder Beschreiben optischer Aufzeichnungsträg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97725A (ja) * 1996-07-30 1998-04-14 Toshiba Corp 光ディスク再生システムのトラッキング制御装置
JPH10198995A (ja) * 1996-12-27 1998-07-31 Victor Co Of Japan Ltd トラッキングエラー信号生成回路及び位相差検出回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L336518A1 (en) 2000-05-22
US20040151089A1 (en) 2004-08-05
CN1197061C (zh) 2005-04-13
EP1001411A1 (en) 2000-05-17
EP1001411B1 (en) 2008-06-18
HK1025421A1 (en) 2000-11-10
KR20000035184A (ko) 2000-06-26
PL192564B1 (pl) 2006-11-30
JP2000155964A (ja) 2000-06-06
ID23831A (id) 2000-05-17
RU2243598C2 (ru) 2004-12-27
MY124626A (en) 2006-06-30
DE69938919D1 (de) 2008-07-31
CN1254912A (zh) 2000-05-31
JP3965842B2 (ja) 2007-08-29
DE19852291A1 (de) 2000-05-18
US7170833B2 (en) 2007-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83114B1 (en) Device for reading from and/or writing to optical recording media
KR100202437B1 (ko) 광디스크구동장치 및 광디스크
US5444682A (en) Tracking control apparatus
US20060002266A1 (en) Optical disk device for data defect detection and use
KR870000482B1 (ko) 광학 디스크 정보재생장치용 주사서어보 시스템
US6459664B1 (en) Optical disc tilt control apparatus
KR100671991B1 (ko) 광기록 매체로부터 판독하고 및/또는 광기록 매체에기록하기 위한 장치
JPH06282849A (ja) 光記録媒体、光記録媒体の記録再生装置及び再生装置
US6567357B2 (en) Optical disk apparatus
KR101033427B1 (ko) 정보 캐리어 장치 및 정보 캐리어 편심 보정 방법
KR100269847B1 (ko) 광디스크장치(optical disc apparatus)
KR100577933B1 (ko) 광기록매체로부터판독또는그매체에기록하기위한장치및그장치에트랙에러정정신호를생성하기위한방법
MXPA99010274A (en) Apparatus to read and write into an opt recording media
EP1548712A2 (en) Data reading device and pre-pit detection circuit
KR100312722B1 (ko) 플래그 센서를 이용한 트래킹 편차 보정 장치
JP3311844B2 (ja) トラッキング用パイロット信号記録装置およびトラッキング誤差信号生成装置
JP4373248B2 (ja) 情報担体装置および情報担体偏芯補正方法
JPH08279163A (ja) 光ディスク装置およびシーク方法
JPS63133325A (ja) 光学的情報記録再生装置
JPH07272297A (ja) トラッキング制御装置
JP2002197687A (ja) 光ディスク装置
JP2008234757A (ja) 光学的フォーカス制御装置、半導体および光学的フォーカス制御方法
JPH04219633A (ja) 追跡装置
JP2000293868A (ja) 光ディスク装置
JPH10143880A (ja) 光ディス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