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9124B1 - 흡수성 물품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9124B1
KR100669124B1 KR1020000058102A KR20000058102A KR100669124B1 KR 100669124 B1 KR100669124 B1 KR 100669124B1 KR 1020000058102 A KR1020000058102 A KR 1020000058102A KR 20000058102 A KR20000058102 A KR 20000058102A KR 100669124 B1 KR100669124 B1 KR 1006691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deodorant
hydrophobic
liquid
hydrophobic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8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39985A (ko
Inventor
구라타유리
구라타노부히로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399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99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91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91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84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 A61F13/8405Additives, e.g. for odour, disinfectant or pH contro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종래에는 흡수 시트의 내부에 소취제(消臭劑)가 함침되어 있기 때문에, 흡수 시트가 배설물을 흡수하면 소취제의 표면이 배설물의 액체에 직접 침지되어 버리기 때문에, 탈취 기능이 저하되었다.
소수성 시트(3)의 외표면과 점착층(5) 사이에 소취제(6)를 마련함으로써, 소취제(6)의 표면이 배설물의 액체에 직접 침지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흡수 시트(4)가 배설물을 흡수한 후에도 소취 효과를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흡수성 물품{ABSORBABLE ARTICLES}
도 1은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실시 형태로서 생리대를 부분적으로 절결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II-II선 단면도를 나타내고, (a)는 제1 실시 형태의 단면도, (b)는 제2 실시 형태의 단면도, (c)는 제3 실시 형태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A, 1B, 1C: 생리대
2: 액체 투과성 표면 시트
3: 소수성 시트
4: 흡수 시트(액체 흡수층)
5: 점착층
6: 탈취제
7: 이면 시트
8: 접착제층
본 발명은 생리대, 팬티라이너, 실금 패드 등의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으로, 특히 탈취 기능을 갖춘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생리대, 팬티라이너, 실금 패드 등의 흡수성 물품은 체내로부터 배출된 경혈, 뇨, 땀 등의 배설물을 흡수하는 동시에 역반환시키지 않고 흡수성 물품내에 상기 배설물을 유지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배설물을 흡수한 흡수성 물품이 그 후에도 착용된 상태가 계속되면, 가랑이 등에 항상 있는 균이 배설물 안을 모판으로 하여 번식함으로써 악취가 발생하기 쉬워진다.
이러한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서는,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공보 평성 제5-68694호나 일본 특허 공표 공보 평성 제10-508218호에 기재된 것이 있다.
상기 일본 특허 공개 공보 평성 제5-68694호에는 액체 투과성 표면재와 액체 불투과성 이면재 사이에 흡수체를 설치하고, 상기 흡수체의 표면 또는 이면에 항균성 실리카겔 및 아크릴 수지를 도포 또는 함침시킨 흡수지를 배치한 흡수성 물품이 기재되어 있다. 이것은, 상기 항균성 실리카겔 및 아크릴 수지를 항균재로서 이용함으로써 흡수성 물품이 흡수한 배설물에 의한 균의 증식을 억제하여 균 증식에 따른 악취의 발생을 방지하는 동시에 상기 항균재가 갖는 탈취 기능에 의해 배설물의 냄새를 제거하는 것이다.
또한, 일본 특허 공표 공보 평성 제10-508218호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은 거의 상기 일본 특허 공개 공보 평성 제5-68694호와 같은 구성이며, 탈취제로서 벤토나이트 쿨을 흡수 코어에 혼합한다는 것이다.
또한, 악취를 제거하기 위해 흡수성 물품에 방향을 부여함으로써는 방취를 꾀하는 것도 존재한다. 방향 부여의 방법으로는 흡수성 물품에 직접 분무하는 방법, 고형 분말형 방향제를 흡수 중합체와 함께 산포하는 방법 등이 있다.
그러나, 상기 일본 특허 공개 공보 평성 제5-68694호 및 일본 특허 공표 공보 평성 제10-508218호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에서는, 배설물을 흡수했을 때에 실리카겔 또는 벤토나이트 쿨 등의 탈취제가 배설물에 직접 침지된다. 이 때문에, 다공질성의 탈취제 표면이 상기 배설물로 덮여 버려 탈취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없는, 즉 소취 효과가 저하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방향을 부여하는 방법에서는 기호성이 문제가 된다. 또한, 마스킹할 수 없는 강렬한 냄새도 있다. 또한, 흡수성 물품에 직접 분무하는 방법은 제조 과정에서 제조기 주변에 방향이 산포되어 무관한 다른 제품에 향기가 부착되기 때문에, 방을 칸막이하여 방향의 확산을 방지해야 한다고 하는 설비상의 문제가 있다.
또한, 고형 분말형 방향제는 그 가공비가 높기 때문에 제품 비용이 상승한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흡수성 물품에 설치된 탈취제의 기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소취 효과를 충분히 발휘할 수 있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액체 수용측을 향하는 액체 투과성 표면 시트와, 소수성 시트와, 상기 표면 시트와 소수성 시트 사이에 위치하는 액체 흡수층을 가지며, 상기 소수성 시트의 외측에 소취제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예컨대, 상기 소수성 시트의 외면에, 어긋남 방지용 점착층이 설치되고, 상기 소수성 시트와 상기 점착층 사이에 상기 소취제가 배치되어 있다.
또는, 상기 소수성 시트의 외측에 이면 시트가 설치되고, 상기 소수성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 사이에 상기 소취제가 배치되어 있다.
또는, 상기 소수성 시트의 외측에 도공(塗工)된 접착제층이 설치되고, 상기 소취제가 상기 접착제층에 의해 상기 소수성 시트의 외면에 고정되어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에서는, 소취제가 액체 흡수층의 이면측에 설치된 소수성 시트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액체 흡수층에 배설물이 부여되었을 때에 소취제가 상기 배설물에 직접 침지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따라서, 소취제의 표면이나 내부에 형성된 다수의 공극내에 배설물의 액체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본래 소취제가 갖는 탈취 기능이 저하되는 일은 없다.
또한, 상기 소취제가 입자형 또는 분말형 활성탄, 제올라이트, 실리카겔 또는 벤토나이트 중 적어도 1개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소취제는 활성탄, 제올라이트, 실리카겔 또는 벤토나이트 등 어느 한 종류의 흡착형의 탈취제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고, 활성탄과 제올라이트, 활성탄과 제올라이트와 실리카겔 등, 여러 종류를 조합한 것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제2 시트의 통기도가 JIS L 1096으로 규정되는 프래져(frazier) 형 시험기를 이용한 A법에 있어서, 300(cm3/cm2·s)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배설물로부터 발생하는 악취를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동시에 액체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실시 형태로서 생리대를 부분적으로 절결한 사시도이다. 도 2의 (a)는 도 1의 II-II선 단면도를 나타내고, 도 2의 (b)와 도 2의 (c)는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리대(1)는 피부에 직접 접촉하여 액체 수용측이 되는 액체 투과성 표면 시트(2)와, 속옷 측에 위치하는 액체를 차단할 수 있는 소수성 시트(3)와, 상기 표면 시트(2)와 소수성 시트(3) 사이에 설치된 흡수 시트(액체 흡수층: 4)의 3층 구조를 기본으로 하고 있다.
도 2의 (a)에 도시된 제1 실시 형태의 생리대(1A)에서는, 속옷에 고정하기 위한 어긋남 방지용 점착층(5)이 상기 소수성 시트(3)의 외면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소수성 시트(3)는 외면측으로의 액체 누설을 완전히 또는 거의 완전하게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소수성 시트(3)와 점착층(5) 사이에 소취제(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점착층(5)으로서 착색된 것을 이용하면, 상기 소취제(6)를 점착층(5)을 통해 눈으로 확인할 수 없게 된다.
도 2의 (b)에 도시된 제2 실시 형태의 생리대(1B)에서는, 소수성 시트(3)의 외측에 이면 시트(7)가 설치되고, 소수성 시트(3)와 이면 시트(7) 사이에 소취제(6)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소수성 시트(3)가 액체 누설을 완전히 또는 거의 완전하게 차단할 수 있는 것인 경우, 이면 시트(7)는 반드시 액체 불투과성일 필요는 없다. 또는 소수성 시트(3)가 어느 정도의 액체 누설을 허용하는 것으로, 이면 시트(7)가 액체 누설을 완전히 또는 거의 완전하게 차단할 수 있는 것이어도 좋다. 즉, 액체 불투과 능력이 소수성 시트(3)보다 이면 시트(7) 쪽이 높은 것이면 좋다.
또한, 상기 이면 시트(7)의 외표면에 속옷에 고정되는 어긋남 방지용 점착층(5)이 설치되어 있다. 이 생리대(1B)에서는, 이면측이 소수성 시트(3)와 이면 시트(7)의 2중 구조이기 때문에, 상기 생리대(1A)에 비하여 액체 누설 방지 효과를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소취제(6)가 이면 시트(7)로 덮여 있기 때문에, 이면측에서 상기 소취제(6)가 보이지 않게 된다.
도 2의 (c)는 제3 실시 형태의 생리대(1C)의 단면중 이면측을 확대한 것이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소수성 시트(3)의 외표면에 접착제층(8)이 도공되어 있고, 이 접착제층(8)에 의해 소취제(6)가 상기 소수성 시트(3)의 외표면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소수성 시트(3)는 외면측으로의 액체 누설을 완전히 또는 거의 완전하게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접착제층(8)은 혐기성 접착제 또는 열경화성 접착제로서, 경화된 상태로 거의 점착성을 나타내지 않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접착제층(8)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는 도 2의 (a)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어긋남 방지용 점착층(5)이 설치되어 있고, 이 점착층(5)과 소수성 시트(3) 사이에도 소취제(6)가 존재하고 있다.
도 2의 (c)에 도시된 실시 형태에서는, 어긋남 방지용 점착층(5)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영역에도 소취제(6)를 널리 분포시킬 수 있어 소취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상기 액체 통기성 표면 시트(2)는 예컨대 경혈, 뇨, 땀 등 액상의 배설물을 투과하는 재료(액체 투과성)가 바람직하고, 예컨대 친수성 섬유 및/또는 소수성 섬유로 형성된 스펀 레이스 부직포, 포인트 본드 부직포, 스펀 본드 부직포, 또는 직포로 형성되어 있다. 소수성 시트(3)는 소수성 섬유로 형성된 스펀 레이스 부직포, 포인트 본드 부직포, 스펀 본드 부직포 또는 직포로서, 발수 처리를 행한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흡수 시트(액체 흡수층: 4)는 예컨대 펄프, 티슈, 친수성 부직포 등으로 형성되어 있고, 고흡수성 수지(SAP) 등을 함유하여도 좋다. 또한 점착층(5)은 양면에 있어서 점착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것, 예컨대 고정용 핫-멜트형 접착제, 양면 접착 테이프 등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면 시트(7)는 예컨대 폴리올레핀계 수지 시트 등이 바람직하다. 또는, 이면 시트(7)로서 부직포를 이용하고, 이면 시트와 흡수 시트(4) 사이에 방수성 필름을 개재시킨 것이어도 좋다.
소수성 시트(3)에 대해서 JIS L 1096으로 규정하는 프래져형 시험기를 이용한 A법에 의해 그 통기성 측정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통기성이 0.1(cm3/cm2· s) 미만의 경우에는 소수성 시트(3)를 투과하는 악취의 양이 적어지기 때문에 탈취 기능이 약해지고, 반대로 통기성이 300(cm3/cm2·s) 이상의 범위가 되면 액체 누설이 생기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 측정 결과로부터, 소수성 시트(3)의 통기도의 범위는 JIS L 1096으로 규정하는 프래져형 시험기를 이용한 A법에 있어서, 300(cm3/cm2·s) 미만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0(cm3/cm2·s) 이상, 300(cm3/cm2·s) 미만의 범위이다.
또한, 소취제(6)는 다공질성의 흡착형 탈취제로서, 예컨대 입자형 또는 분말형의 활성탄, 제올라이트, 실리카겔, 벤토나이트 등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활성탄은 알칼리 첨착, 산성 첨착과 같은 첨착 활성탄이어도 좋다. 또한, 제올라이트는 x/nM·nAlO2·ySiO2·zH2O로서 표시된다. 단, x, y는 각각 정수이고, M은 양이온, n은 양이온상의 전하이다. M은 광범위한 양이온, 예컨대 Na+, K+, NH4+, 알킬암모늄, 중금속 등이다. 또한, 벤토나이트는 천연 광물로서, 칼슘벤토나이트, 나트륨벤토나이트를 가리킨다.
도 1 및 도 2의 (a) 내지 (c)에 도시된 생리대(1)에서는, 소취제(6)가 소수성 시트(3)의 외측에 설치되어 있고, 표면 시트(2)와 소수성 시트(3) 사이, 특히 배설물을 흡수하는 흡수 시트(4)의 속에 설치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소취제(6)가 배설물에 직접 침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소취제(6) 표면의 다수의 공극내에 배설물의 액체가 침입하여 막히게 되는 일이 없다. 따라서, 생리대(1)가 배설물을 흡수한 후에도 소취제(6)의 탈취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다. 즉, 탈취 기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장시간에 걸쳐 악취를 흡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예
상기 흡수성 물품의 실시예에 대해서 소취 효과에 관한 시험을 행하였다.
또한, 이하의 (I), (II) 및 (III)의 시험은 알칼리계 악취 물질에 대한 소취 효과에 대한 시험으로서, 시험 순서, 샘플 자료는 다음과 같다.
시험 순서
① 삼각 플라스크내에 암모니아 70 ppm을 충전하여 밀봉한다.
② 시험 샘플편(직경 50 mm)의 표면 시트(2)측을 삼각 플라스크내의 암모니아에 직접 접촉하도록 고정하였다. 또한, 악취가 샘플편을 투과하여 삼각 플라스크로부터 새는 것을 막기 위해 폴리염화비닐리덴 필름으로 밀봉하였다.
③ 일정 시간 경과 후, 검지관을 이용하여 삼각 플라스크내의 암모니아 농도를 측정하였다.
④ 삼각 플라스크내의 암모니아의 잔존율을 하기 식을 이용하여 구하였다.
잔존율(%)=(일정 시간 경과후의 삼각 플라스크내의 암모니아 농도)/
(초기 단계에서의 삼각 플라스크내의 암모니아 농도)×100
샘플 자료
실시예 1
도 2의 (a)에 도시된 단면 구조의 생리대(1A)를 실시예 1로 하였다. 또한, 그 사양은 ① 액체 투과성 표면 시트(2)는 평량 30 g/m2의 면 스펀 레이스, ② 소수성 시트(3)는 PET/PP의 복합섬유로 형성된 스펀 본드 부직포를 발수 처리한 것으로, 평량 45 g/m2인 것, ③ 흡수 시트(4)는 평량 45 g/m2의 에어레이드 펄프+평량 40 g/m2의 에어레이드 부직포, ④ 점착층(5)은 소수성 시트(3)에 대하여 도공 면적율 50%가 되도록 핫-멜트 접착제를 도공, ⑤ 소취제(6)는 표준 입도 14∼32 메쉬의 클라레콜(클라레케미칼(주)의 제품)이다. 또한, 상기 소취제(6)는 어긋남 방지용 점착층(5)이 설치되어 있는 범위내에서 평량 25 g/m2로 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구조의 것으로, 어긋남 방지용 점착층(5)이 설치되는 범위에서 소취제(6)의 평량을 50g/m2로 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생리대(1A)에 있어서, 소수성 시트(3)와 점착층(5) 사이에 소취제(6)를 설치하는 대신에 흡수 시트(4)의 내부에 소취제(6)를 실시예 1과 총량이 같은 양이 되도록 첨가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생리대(1A)에 있어서, 소수성 시트(3)와 점착층(5) 사이에 소취제(6)를 설치하는 대신에 흡수 시트(4)의 내부에 소취제(6)를 실시예 2와 총량이 같은 양이 되도록 첨가하였다.
비교예 3
상기 생리대(1A)로부터 소취제(6)를 제거한 것.
시험 조건
(I) 건조시의 소취 시험
상기 각 실시예 및 비교예를 건조시킨 상태에서 수행하였다.
(II) 습윤시의 소취 시험
생리대에 배설물이 흡수된 상태를 상정하기 위해, 상기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표면 시트(2) 상에서 글리세린 0.05 g/p를 적가시킨 상태에서 수행하였다.
(III) 경시 변화에 대한 소취 시험
경시 변화시켰을 때에 핫-멜트형 접착제에 의해 접착 고정된 탈취제에 대한 소취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예 1의 샘플을 40℃의 오븐내에 일주일 방치하였다.
시험 결과
(I) 건조시의 소취 시험에 대한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소취제 첨가량 (g/m2) 암모니아 잔존율(%)
시험 개시 1시간 후 4시간 후
실시예 1 25 100 36 13
비교예 1 25 100 35 14
비교예 3 0 100 50 38
실시예 2 50 100 32
비교예 2 50 100 31
비교예 3 0 100 50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취제 첨가량 25 g/m2에 있어서의 1시간 경과 후의 잔존율은 비교예 3이 50%의 반감에 머무른 데 대하여, 실시예 1이 36%, 비교예 1이 35%라는 결과를 얻었다. 4시간 경과 후의 잔존율은 비교예 3의 38%에 대하여, 실시예 1이 13%, 비교예 1이 14%라는 결과를 얻었다.
또한, 소취제 첨가량 50 g/m2에 있어서의 1시간 경과 후의 잔존율은 비교예 3이 50%인 데 대하여, 실시예 2가 32%, 비교예 2가 31%였다.
상기 표로부터, 건조시의 소취 효과는 도 2의 (a)에 도시된 소수성 시트(3)의 외측에 소취제(6)를 배치한 실시예 1, 2와, 흡수 시트(4)에 같은 양의 소취제(6)를 포함시킨 것에서 동등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소취제(6)를 고정하는 위치의 차이로서는 소취 효과에 차이가 생기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II) 습윤시의 소취 시험에 대한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소취제 첨가량 (g/m2) 암모니아 잔존율(%)
시험 개시 1시간 후 4시간 후
실시예 1 25 100 36 10
비교예 1 25 100 41 17
비교예 3 0 100 49 40
실시예 2 50 100 33
비교예 2 50 100 40
비교예 3 0 100 48

표 2에 나타낸 결과에서는, 습윤 상태의 경우에는 소취제 첨가량 25 g/m2의 실시예 1 및 소취제 첨가량 50 g/m2의 실시예 2의 양쪽에 있어서,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 비하여 소취 효과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장시간 경과하면, 그 효과의 차이가 현저해지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4시간 경과 후의 데이터 참조).
이것은 소취제(6)를 흡수 시트(4)내에 첨가한 비교예 1, 2에서는, 소취제(6)가 배설물로 가정한 글리세린에 직접 침지되기 때문에, 소취제(6)가 갖는 다공질 표면이 글리세린에 덮여 버리게 되어 본래의 탈취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없는 상태가 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것에 대하여, 소수성 시트(3)와 점착층(5) 사이에 소취제(6)를 설치한 실시예 1과 실시예 2에서는 소취제(6)의 다공질 표면이 글리세린에 직접 덮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본래의 탈취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기 때문에, 비교예 1이나 비교예 2에 비하여 소취 효과가 높아진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III) 경시 변화에 대한 소취 시험에 관한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소취제 첨가량 (g/m2) 암모니아 잔존율(%)
시험 개시 1시간 후 4시간 후
실시예 1 25 100 12 6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에서는, 1시간 경과 후의 암모니아 잔존율은 12%, 4시간 경과 후에는 6%였다. 이들로부터, 경시 변화에 있어서의 핫-멜트형 접착제에 의한 소취 효과의 영향이 거의 없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생리대를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팬티라이너, 실금 패드, 일회용 기저귀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르면, 탈취제가 직접 배설물에 침지되는 일이 없기 때문에, 배설물을 흡수한 후의 흡수성 물품의 탈취 기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Claims (7)

  1. 액체 수용측을 향하는 액체 투과성 표면 시트와, 소수성 시트와, 상기 표면 시트와 소수성 시트 사이에 위치하는 액체 흡수층을 가지며, 상기 소수성 시트의 외측에 이면시트 및 어긋남 방지용 점착층이 설치되고, 상기 소수성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 사이에 소취제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 시트는 통기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3. 삭제
  4. 삭제
  5. 액체 수용측을 향하는 액체 투과성 표면 시트와, 소수성 시트와, 상기 표면 시트와 소수성 시트 사이에 위치하는 액체 흡수층을 가지며, 상기 소수성 시트의 외측에 어긋남 방지용 점착층 및 경화한 상태에서 점착성을 나타내지 않는 접착제층이 설치되고, 소취제가 상기 접착제층과 점착층에 의해 상기 소수성 시트의 외면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접착제층은 상기 점착층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영역에 도공(塗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취제가 입자형 또는 분말형 활성탄, 제올라이트, 실리카겔 또는 벤토나이트 중 적어도 1개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 시트의 통기도는 JIS L 1096으로 규정되는 프래져(frazier)형 시험기를 이용한 A법에 있어서, 300(cm3/cm2·s)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KR1020000058102A 1999-10-04 2000-10-04 흡수성 물품 KR1006691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8249399A JP3748021B2 (ja) 1999-10-04 1999-10-04 吸収性物品
JP11-282493 1999-10-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9985A KR20010039985A (ko) 2001-05-15
KR100669124B1 true KR100669124B1 (ko) 2007-01-17

Family

ID=17653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8102A KR100669124B1 (ko) 1999-10-04 2000-10-04 흡수성 물품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6653521B1 (ko)
EP (1) EP1090616A3 (ko)
JP (1) JP3748021B2 (ko)
KR (1) KR100669124B1 (ko)
CN (1) CN1129455C (ko)
AU (1) AU6244900A (ko)
BR (1) BR0004640A (ko)
CA (1) CA2322100C (ko)
ID (1) ID27401A (ko)
MY (1) MY122754A (ko)
SG (1) SG92746A1 (ko)
TW (1) TW474170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24918A (ja) * 2001-07-13 2003-01-28 Uni Charm Corp 使用済み衛生物品の処理方法
KR100728319B1 (ko) * 2002-12-14 2007-06-1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향이 함유된 일회용 흡수제품
US7919666B2 (en) * 2002-12-31 2011-04-0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Personal care articles with fragrance delivery system
WO2004060418A1 (en) * 2003-01-07 2004-07-22 Hanjin Printing & Chemical Co., Ltd. Deodorizing film of sanitary absorbent
BRPI0418896B8 (pt) * 2004-06-11 2021-06-22 Sca Hygiene Prod Ab artigo absorvente contendo fragrância
DE102004034323A1 (de) * 2004-07-15 2006-02-16 Hexion Specialty Chemicals Gmbh Duroplastgebundene Faserformteile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JP4518325B2 (ja) * 2005-02-21 2010-08-04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の包装構造
JP5030775B2 (ja) * 2005-06-15 2012-09-19 大王製紙株式会社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ITMI20051356A1 (it) 2005-07-15 2007-01-16 Getters Spa Dispositivo getter per sistemi attivi per il rilascio transdermico di farmaci
KR101377553B1 (ko) * 2005-12-09 2014-03-25 에스체아 히기에너 프로덕츠 악티에볼라그 흡수 제품
WO2010001893A1 (ja) * 2008-06-30 2010-01-07 大王製紙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4659084B2 (ja) * 2008-11-28 2011-03-30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4597226B2 (ja) * 2008-06-30 2010-12-15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4673908B2 (ja) * 2008-06-30 2011-04-20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KR100957834B1 (ko) * 2008-07-08 2010-05-13 이희재 독서 보조용 기구
JP2012183175A (ja) * 2011-03-04 2012-09-27 Sumitomo Seika Chem Co Ltd 吸水シート構成体
CN102499821A (zh) * 2011-11-18 2012-06-20 林芝雪域资源科技有限公司 一种抑菌透气卫生护垫
BR112014014636A2 (pt) * 2011-12-20 2017-06-13 Procter & Gamble artigo absorvente que compreende uma composição de fragrância ou para controle de odores
US10653571B2 (en) 2015-12-10 2020-05-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rticle comprising odor control composition
US10183273B2 (en) 2016-06-24 2019-01-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cyclodextrin complexes
KR102585856B1 (ko) * 2022-01-28 2023-10-12 주식회사 섬김 일회용 기저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91146A (en) * 1996-01-17 1997-01-0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anitary napkin with perfume-bearing microcapsule adhesiv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86743A (en) * 1978-02-28 1980-02-05 Personal Products Company Perfuming self-adhering napkins
JPH0568694A (ja) 1991-09-10 1993-03-23 Kao Corp 吸収性物品
EP0699446A1 (en) 1994-08-31 1996-03-0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Odour control material
DE19603840A1 (de) * 1996-02-05 1997-08-07 Sandler Helmut Helsa Werke Flüssigkeitsspeicherndes und geruchsbindendes mehrlagiges Flächengebilde
US5769833A (en) * 1996-12-12 1998-06-23 Hasse; Margaret Henderson Diaper having perfume zones
US6245693B1 (en) * 1996-12-20 2001-06-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Laminated composite absorbent structure comprising odor control means
US5951534A (en) * 1997-05-14 1999-09-1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touch-sensitive fragrance members
US6468517B2 (en) * 1999-09-30 2002-10-22 Mcneil-Ppc, Inc. Odor control in absorbent articl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91146A (en) * 1996-01-17 1997-01-0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anitary napkin with perfume-bearing microcapsule adhes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9455C (zh) 2003-12-03
JP3748021B2 (ja) 2006-02-22
ID27401A (id) 2001-04-05
CA2322100C (en) 2007-02-27
SG92746A1 (en) 2002-11-19
MY122754A (en) 2006-05-31
KR20010039985A (ko) 2001-05-15
US6653521B1 (en) 2003-11-25
EP1090616A3 (en) 2001-11-21
TW474170U (en) 2002-01-21
CA2322100A1 (en) 2001-04-04
JP2001095835A (ja) 2001-04-10
BR0004640A (pt) 2001-06-12
EP1090616A2 (en) 2001-04-11
AU6244900A (en) 2001-04-05
CN1299637A (zh) 2001-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9124B1 (ko) 흡수성 물품
KR0157404B1 (ko) 무수 탈취제를 함유하는 흡수용품
EP1928383B1 (en) Absorbent personal care article with a wrap member having distinct component layers
EP1960005B2 (en) Absorbent product
EP0811392B1 (en) Breathable absorbent article having a chelating agent based odour control system
JP2001029384A (ja) 吸収性物品
CA2054095A1 (en) Multicomponent odor control device
JP4578634B2 (ja) フロック加工繊維を含む吸収性物品
WO2001034086A1 (en) Absorbent article with skin treatment means
KR20000016438A (ko) 제올라이트 및 실리카 냄새 억제 시스템을 갖는 여성용 위생 흡수제품
JP2000504959A (ja) キレート剤を含有する悪臭抑制システムを有する吸収製品
CN1604796A (zh) 包含丝兰提出物的吸收性制品
EP1080709B1 (en) Absorbent article
JP4209062B2 (ja) シクロデキストリンを含有した吸収性物品
RU2254114C2 (ru) Одноразовое поглощающее изделие (варианты) и способ подавления дурных запахов в нем (варианты)
KR100264042B1 (ko) 냄새를억제하는흡수제품
EP0912149A1 (en)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a polyfunctionally substituted aromatic chelating agent for odour control
KR100768735B1 (ko) 소변 냄새 저감 방법 및 소변 냄새 저감 기능을 갖는 물품
WO2007067110A1 (en) A pair of disposable pants
JP2003154592A (ja) 消臭吸湿基材
JPH0730019Y2 (ja) 紙おむつ
JP2005279037A (ja) 吸収性物品
AU5177201A (en) Breathable absorbent articles having a chelating agent based odour control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