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9033B1 - 가드레일 지주 높이 조정관 - Google Patents

가드레일 지주 높이 조정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9033B1
KR100669033B1 KR1020040032317A KR20040032317A KR100669033B1 KR 100669033 B1 KR100669033 B1 KR 100669033B1 KR 1020040032317 A KR1020040032317 A KR 1020040032317A KR 20040032317 A KR20040032317 A KR 20040032317A KR 100669033 B1 KR100669033 B1 KR 1006690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ight
rail
strut
tube
height adjus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2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7117A (ko
Inventor
한상원
Original Assignee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323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9033B1/ko
Publication of KR20050107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71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90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90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9/00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2Scent flasks, e.g. with evapor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8Protecting means, e.g. caps
    • B43K23/12Protecting means, e.g. caps for pens

Landscapes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용 가드레일의 지주 높이를 연장가능하게 하는 높이 조정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에 도로에 설치된 지주의 상측으로 상기 지주의 외경과 동일한 직경의 상부관과 상기 지주의 내경과 동일한 외경의 하부관으로 형성되는 높이 조정관을 상기 지주의 상측에 설치함으로서 실질적인 지주의 높이를 상향 조정하고자 발명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발명된 지주는 기존에 설치된 레일의 상측 연장부에 강성차등형 레일을 접합시킨 후 상기 강성 차등형 레일이 견고하게 고정되기 위하여 상측으로 연장형성된 지주의 상부관에 체결된 연결구와 체결함으로서 종전의 도로에 매설된 지주를 이용하여 가드레일의 전체적인 높이가 상향 연장되어 소형차량이 가드레일과 지면사이에 끼어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고 대형 차량이 레일을 넘어가는 승월현상을 방지가능함은 물론 도로의 덧씌우기 포장공사등의 영향으로 유효높이가 낮아진 가드레일의 높이 연장에도 사용가능한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특히, 기존에 차량의 진행방향에 수직 내지 평행하게 하부 연결공이 형성된 지주에 광범위하게 사용가능하여 시공비절감 및 공사시간의 단축 효과가 제공된다.
높이 조정관, 가드레일, 상부 연결공, 상부 체결공, 하부 연결공, 지주

Description

가드레일 지주 높이 조정관{HEIGHT CONTROL PIPE OF GUARD RAIL POST}
도 1은 본 발명이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지주를 90°회전시킨 상태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인 높이 조정관 및 연결구의 체결상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을 횡방향으로 절개한 상태의 사시도
도 7는 본 발명을 종방향으로 절개한 상태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상세한 설명>
A-높이 조정관 B-가드레일
10-상부관 11-상부 연결공
12-상부 체결공 13-단차
20-하부관 21-하부 연결공
30-지주 60-캡
본 발명은 도로용 가드레일의 지주 높이를 연장가능하게 하는 높이 조정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로에 설치된 지주의 양측으로 설치되는 레일의 높이를 상향 연장형성키 위하여 상기 지주 상측으로 높이 조정관을 설치구성하고 상기 높이 조정관의 외측으로 연결구를 연결하여 별도의 강성 차등형 레일을 상기 연결구의 고정부와 설치 구성함으로서 기존에 설치된 가드레일의 높이를 연장형성가능한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주지되는 바와 같이 국도나 고속도로등에 설치되어 주행 중 정상적인 주행경로를 벗어나 대향 차로 내지 도로를 이탈하여 보도블럭방향으로 주행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탑승자의 상해 및 차량의 파손을 최소화하며 차량이 정상적인 진행방향으로 복귀시키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는 가드레일은 그 대부분이 지주에 직접체결하여 사용하는 방식과 지주의 외주연에 연결구를 체결하여 상기 연결구를 이용하여 가드레일을 체결하는 방식이 주종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서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레일은 일정두께의 단일판체를 파형상으로 절곡하여 다수의 산과 골이 형성되도록 한 레일을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는 것인 바, 이들 레일에 적용되고 있는 종래의 레일은 개발당시의 교통상황을 고려하여 설치함으로서 당시의 교통환경에는 적합하였으나, 현재와 같이 사회의 급발전과 교통문화의 대중화등에 따라 다양한 문제점이 제기되는 것으로서 상기와 같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종래에 설치된 가드레일은 단면폭이 작아 설치높이가 낮고 지면과 레일 하단부와의 간격이 커서 범퍼높이가 낮은 소형차량과 충돌시는 지면과 레일 하단부와의 사이 간격으로 차량이 끼어 들어감가 동시에 차량이 급정지하게 되어 탑승자 의 상해를 가중시키는 위험을 초래하는 것이며, 범퍼의 높이가 상측에 위치한 대형차량의 경우에는 범퍼가 레일 상단부로 넘어가는 승월현상이 발생하여 반대편에서 주행중인 차량과 충돌하게 되는 대형사고의 위험등을 초래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근래에는 설치시 단면폭이 넓은 강성 차등형 레일을 안출한 것으로서 상기 강성 차등형 레일을 이용하여 기존에 설치된 레일의 상측으로 상기 강성 차등형 레일을 조립 접합함으로서 기존보다 가드레일의 높이를 상향연장하여 범퍼의 높이가 낮은 차량이 지면과 레일 사이에 끼임사고를 방지하며 대형차량의 승월현상을 효과적으로 대처가능한 매우 우수한 효과를 제공하였으나, 상기와 같이 제공되는 강성 차등형 레일은 지주 상측으로 강성 차등형 레일을 접합할 수 있는 공간부가 마련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제기되는 것으로서 신축공사현장에서 설치되는 지주의 경우에는 상기 강성 차등형 레일을 설치가 가능하나 기존에 설치된 가드레일의 경우 매설된 지주를 뽑아 다시 설치하여야 함으로서 시공상의 번거로움은 물론 과다한 경비 지출등의 문제점이 제기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에 도로에 설치된 지주의 상측으로 상기 지주의 외경과 동일한 직경의 상부관과 상기 지주의 내경과 동일한 외경의 하부관으로 형성되는 높이 조정관을 상기 지주의 상측에 설치함으로서 종전의 도로에 설치된 지주의 높이를 상향 조정하여 별도의 강성 차등형 레일을 용이하게 접합 가능한 것을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차량주행방향과 평행 내지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지중의 하부 연결공과 용이하게 체결가능코자 높이 조정관의 상하부관 양방향에는 상부 체결공과 하부 연결공을 동축선상에 형성하되 상기 상부 체결공과 상부 체결공 사이의 직각방향에는 상부 연결공이 형성된 것을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삭제
삭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드레일 지주 높이 조정관은,
가드레일(B)의 지주(30) 높이를 연장가능하게 하는 가드레일 지주 높이 조정관(A)에 있어서,
상기 지주 높이 조정관(A)은 상측으로 지주(30)의 외경과 동일한 직경의 상부관(10)이 형성되고 하측으로 상기 지주(30)의 내경과 동일한 직경의 하부관(20)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관(10)의 연결부와 하부관(20)의 연결부에 단차(13)가 형성되어지되,
상기 상부관(10)의 일방향에는 상부 연결공(11)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연결공(11)과 직각되는 양방향에는 상부 체결공(12)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 체결공(12)의 동축선상 하측의 하부관(20)에는 하부 연결공(21)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관(10)의 상측에는 캡(60)이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레일 지주 높이 조정관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이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일측 레일(50)에 의하여 가려진 연결구(40)와 지주(30)의 일부분은 은선으로 도시한 것이며 상기와 같이 지면에 매설된 지주(30)의 상측으로 높이 조정관(A)을 설치한 후 상기 지주(30)와 높이 조정관(A)의 외측으로 연결구(40)의 호형부(44)를 감착시킨 상태에서 볼트를 이용하여 조립구성하되 상기 연결구(40)의 고정부(45)에 형성된 레일공(46)과 레일(50)에 형성된 레일공(52)을 일직선상에 위치하여 상기 레일공(52)에 볼트를 체결하여 레일(50)을 상기 연결구(40)의 양방향으로 설치 구성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분리 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도시된 것과 같이 차량 주행방향과 수직방향으로 하부 연결공(31)이 형성된 지주(30)가 도로에 매설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지주(30)의 상측으로 높이 조정관(A)을 연결설치하되 상기 높이 조정관(A)은 상부관(10)의 직경이 지주(30)의 외경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고 하부관(20)의 직경은 지주(30)의 내경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관(10)의 연결부와 하부관(20)의 연결부에는 단차(13)가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높이 조정관(A)의 상부관(10) 일방향에는 상부 연결공(11)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연결공(11)과 직각되는 양방향에는 상부 체결공(12)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 체결공(12)의 동축선상 하측의 하부관(20)에는 하부 연결공(21)이 각각 형성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높이 조정관(A)의 하부관(20)이 지주(30)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지주(30)의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체결하되 상기 높이 조정관(A)의 하부 연결공(21)이 지주(30)에 형성된 하부 연결공(31)과 일직선상에 위치하도록 체결구성하며 이때 지주(30)와 결합되는 높이 조정관(A)의 단차(13)에 의하여 하부관(20)은 지주(30)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상부관(10)은 단차(13)에 의하여 지주(30)의 상측에 걸려짐으로서 상부관(10)이 지주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며 상기와 같이 지주(30)와 동일한 직경으로 구성된 상부관(10)이 결합된 지주(30)와 높이 조정관(A)을 결합시킨 상태에서 연결구(40)의 호형부(44)가 상 기 높이 조정관(A)의 상부관(10)과 지주(30)를 감착구성하는 것으로 상기 높이 조정관(A)의 상부 연결공(11)과 연결구(40)의 상부 연결공(41)을 일직선상에 위치한 후 볼트를 이용하여 체결구성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지주(30)의 상측으로 높이 조정관(A)을 설치구성하고 상기 높이 조정관(A)의 외측으로 연결구(40)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구(40)의 고정부(45) 하측에 형성된 레일공(46)은 레일(50)에 형성된 복수개의 레일공(52)을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구성하는 것이며 상기 레일(50)의 상측으로 체결되는 강성차등형 레일(51)을 체결구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레일(50)의 상측으로 강성 차등형 레일(51)을 견고하게 체결가능하고자 상기 레일(50)의 상측으로 연장부를 형성하고 강성 차등형 레일(51)의 하측으로 별도의 연장부를 형성하여 상기 연장부를 상호 밀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연장부에 형성된 연장공에 볼트로 체결고정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도 3은 도 2의 도로에 설치된 지주(30)가 90°회전된 상태의 분리 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도 2에서 도시된 지주(30)의 경우 차량진행방향의 수직방향으로 하부 연결공(31)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 연결공(11)에 레일(50)을 직접 체결된 종래의 가드레일(B)을 상측으로 연장형성한 것인데 반하여 도 3은 상기 도로에 매설된 지주(30)에 별도의 연결구(40)를 설치한 후 상기 연결구(40)의 양측으로 레일(50)이 설치된 가드레일(B)에 있어서 상기 레일(50)의 상측으로 강성 차등형 레일(51)을 설치함으로서 가드레일(B)의 높이를 상측으로 연장형성되는 것을 분리도시한 것으로 상기와 같이 도 2와 도 3은 도로에 매설된 지주(30)의 하부 연결공(31)이 형성된 방향에 따라 각각 높이 조정관(A)의 체결방향이 상이하게 체결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인 높이 조정관(A)의 체결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상기 도시된 것과 같이 지주(30)의 상측으로 높이 조정관(A)이 체결된 상태에서 지주(30)와 높이 조정관(A)의 상부관(10)이 연결구(40)의 호형부(44)에 의하여 감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높이 조정관(A)의 상측에는 별도의 캡(60)을 체결함으로서 미려한 외관디자인을 연출가능한 것이며, 도 5는 도 4의 분리 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높이 조정관(A)의 하부관(20)에 형성된 하부 연결공(21)은 지주(30)의 하부 연결공(31)과 치합되도록 지주(30)의 하부 연결공(31)과 동축선상 위치한 상태에서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체결되는 것이며, 상부관(10)의 버티컬방향에 형성된 상부 연결공(11)은 연결구(40) 상측의 상부 연결공(41)과 체결되는 것이고 하부관(20)의 하부 연결공(21)은 연결구(40)의 하부 연결공(42)과 체결되는 것이며 상기 은선으로 도시된 연결구(40)는 도 3과 같이 하부 연결공(31)이 차량진행방향과 수직방향에 형성된 경우는 상기 높이 조정관(A)의 하부 연결공(21) 역시 90°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지주(30)와 체결되는 것이며 이때는 높이 조정관(A)의 상부 체결공(12)이 연결구(40)의 상부 연결공(41)과 체결되고 높이 조정관(A)의 하부 연결공(21)은 연결구(40)의 하부 체결공(43)과 체결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6과 도 7은 상기 도 4로부터 각각 횡방향과 종방향으로 절개한 상태의 절개사시도로서 상기 지주(30)의 상측으로 높이 조정관(A)이 체결되고 상기 높이 조정관(A)의 상측에는 캡(60)을 체결하되 상기 지주(30)의 상부와 높이 조정관(A)의 상부관(10)을 연결구(40)의 호형부(44)가 감착한 상태에서 도 6은 횡방향으로 절개한 것이고 도 7은 종방향으로 각각 절개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기존에 도로에 설치된 가드레일의 상측으로 별도의 강성 차등형 레일을 설치시 상기 도로에 설치된 지주의 위치를 상향연장키 위하여 상기 지주를 재설치하던 종전의 방식과는 달리 설치된 지주의 상측으로 본 발명의 지주 높이 조정관을 체결 설치하여 실질적인 지주의 높이를 연장형성함으로서 기존에 설치된 레일의 상측 연장부에 별도의 강성 차등형 레일을 체결하여 소형차량이 레일 하단부에 끼어들어가는 사고 및 대형차량의 승월현상을 방지하여 안전에 대한 문제점을 해소함은 물론 도로의 덧씌우기 포장등의 영향으로 유효높이가 낮아진 가드레일의 높이 연장에도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지주에 형성된 연결공의 방향에 상관없이 높이 조정관을 적절히 체결하여 지주를 연장함으로서 기존에 설치된 모든 지주에 광범위하게 적용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예를 참조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한 것은 자명한 사실인 것이라 할 수 있다.

Claims (3)

  1. 가드레일(B)의 지주(30) 높이를 연장가능하게 하는 가드레일 지주 높이 조정관(A)에 있어서,
    상기 지주 높이 조정관(A)은 상측으로 지주(30)의 외경과 동일한 직경의 상부관(10)이 형성되고 하측으로 상기 지주(30)의 내경과 동일한 직경의 하부관(20)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관(10)의 연결부와 하부관(20)의 연결부에 단차(13)가 형성되어지되,
    상기 상부관(10)의 일방향에는 상부 연결공(11)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연결공(11)과 직각되는 양방향에는 상부 체결공(12)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 체결공(12)의 동축선상 하측의 하부관(20)에는 하부 연결공(21)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관(10)의 상측에는 캡(60)이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레일 지주 높이 조정관.
  2. 삭제
  3. 삭제
KR1020040032317A 2004-05-07 2004-05-07 가드레일 지주 높이 조정관 KR1006690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2317A KR100669033B1 (ko) 2004-05-07 2004-05-07 가드레일 지주 높이 조정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2317A KR100669033B1 (ko) 2004-05-07 2004-05-07 가드레일 지주 높이 조정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7117A KR20050107117A (ko) 2005-11-11
KR100669033B1 true KR100669033B1 (ko) 2007-01-15

Family

ID=37283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2317A KR100669033B1 (ko) 2004-05-07 2004-05-07 가드레일 지주 높이 조정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903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48036A (en) * 1977-08-12 1979-11-19 Toppan Printing Co Ltd Printing metho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48036A (en) * 1977-08-12 1979-11-19 Toppan Printing Co Ltd Printing method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54148036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7117A (ko) 2005-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201828A1 (en) Prefabricated road median wall
KR101633431B1 (ko) 기존 교량 콘크리트와 구조적 일체화를 확보한 교량 확장형 인도 및 이의 시공방법
US20140334875A1 (en) Jersey Barrier Improvements
KR100907303B1 (ko) 가드레일 지주용 델리네이터 구조
KR100945041B1 (ko) 교량 확장용 보도부재 및 이를 이용한 교량 확장공법
KR102102118B1 (ko) 지주 분리형 차선분리대
KR20180103741A (ko) 보행자 안전난간 및 주행차량 추락방지 기능을 겸비한 투명 경량형 캔틸레버 방풍벽
KR100669033B1 (ko) 가드레일 지주 높이 조정관
KR102035821B1 (ko) 무단횡단 방지용 가드레일 및 그 시공방법
KR100537352B1 (ko) 강재를 이용한 2-아치형 도로 낙석방지시설
KR101109111B1 (ko) 가드레일용 보조휀스
KR200391860Y1 (ko) 가드레일용 차광판 고정브래킷
US7226237B2 (en) Road barrier
KR200421851Y1 (ko) 높이조절이 용이한 도로용 가드레일
KR102219006B1 (ko) 교량용 자전거도로 구조물
KR200336654Y1 (ko) 급커브 도로의 중앙선 침범방지용 중앙 분리대 구조
KR100758547B1 (ko) 도로시설물 및 이의 설치방법
KR101609760B1 (ko) 경사지용 옹벽을 이용한 확장 인도 시공방법
JP4391509B2 (ja) 駐車場施工方法、車止め付側溝蓋及び駐車場
KR100768778B1 (ko) 도로 안전시설물용 가드
KR101213075B1 (ko) 굴절연결식 저형고 이동형 배리어
KR101041133B1 (ko) 형강 부착형 차량방호레일
KR100935626B1 (ko) 경사 조절기능을 갖는 도로용 가드레일
KR20160027702A (ko) 차량방호울타리 레일 프레임
KR200252869Y1 (ko) 고속도로의 비상용 중앙 분리대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3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