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8327B1 - 프로브 헤드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프로브 헤드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8327B1
KR100668327B1 KR1020050011915A KR20050011915A KR100668327B1 KR 100668327 B1 KR100668327 B1 KR 100668327B1 KR 1020050011915 A KR1020050011915 A KR 1020050011915A KR 20050011915 A KR20050011915 A KR 20050011915A KR 100668327 B1 KR100668327 B1 KR 1006683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eld
forming
sensor
thin film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1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1388A (ko
Inventor
남윤우
김용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119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8327B1/ko
Priority to CN200510117761A priority patent/CN100578630C/zh
Priority to EP05257162A priority patent/EP1691349A3/en
Priority to EP11158525.3A priority patent/EP2348505B1/en
Priority to JP2005337688A priority patent/JP4519763B2/ja
Priority to US11/285,281 priority patent/US20060180881A1/en
Publication of KR20060091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13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8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83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9/00Recording or reproducing using a method not covered by one of the main groups G11B3/00 - G11B7/00;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9/12Recording or reproducing using a method not covered by one of the main groups G11B3/00 - G11B7/00; Record carriers therefor using near-field interactio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9/14Recording or reproducing using a method not covered by one of the main groups G11B3/00 - G11B7/00; Record carriers therefor using near-field interactions; Record carriers therefor using microscopic probe means, i.e. recording or reproducing by means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tip of a microscopic electrical probe as used in Scanning Tunneling Microscopy [STM] or Atomic Force Microscopy [AFM] for inducing physical or electrical perturbations in a recording medium; Record carriers or media specially adapted for such transducing of information
    • G11B9/1409Hea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9/00Recording or reproducing using a method not covered by one of the main groups G11B3/00 - G11B7/00;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9/12Recording or reproducing using a method not covered by one of the main groups G11B3/00 - G11B7/00; Record carriers therefor using near-field interactio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9/14Recording or reproducing using a method not covered by one of the main groups G11B3/00 - G11B7/00; Record carriers therefor using near-field interactions; Record carriers therefor using microscopic probe means, i.e. recording or reproducing by means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tip of a microscopic electrical probe as used in Scanning Tunneling Microscopy [STM] or Atomic Force Microscopy [AFM] for inducing physical or electrical perturbations in a recording medium; Record carriers or media specially adapted for such transducing of inform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10/00Nanotechnology for information processing, storage or transmission, e.g. quantum computing or single electron logic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127Structure or manufacture of heads, e.g. inductiv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127Structure or manufacture of heads, e.g. inductive
    • G11B5/31Structure or manufacture of heads, e.g. inductive using thin films
    • G11B5/3103Structure or manufacture of integrated heads or heads mechanically assembled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a support or housing
    • G11B5/3106Structure or manufacture of integrated heads or heads mechanically assembled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a support or housing where the integrated or assembled structure comprises means for conditioning against physical detrimental influence, e.g. wear, contamin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127Structure or manufacture of heads, e.g. inductive
    • G11B5/31Structure or manufacture of heads, e.g. inductive using thin films
    • G11B5/3109Details
    • G11B5/3116Shaping of layers, poles or gaps for improving the form of the electrical signal transduced, e.g. for shielding, contour effect, equalizing, side flux fringing, cross talk reduction between heads or between heads and information tr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notechnolog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machines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 Measuring Leads Or Probes (AREA)
  • Testing Or Measuring Of Semiconductors Or The Like (AREA)
  • Measurement Of Length, Angles, Or The Lik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AREA)
  • Facsimile Heads (AREA)

Abstract

프로브 헤드 및 그 제조 방법이 개시된다.
개시되는 프로브 헤드는 센서와, 상기 센서의 양 측에 소정 거리로 이격되어 배치된 제 1 쉴드(shield) 및 제 2 쉴드와, 상기 센서와 상기 제 1 쉴드 사이 및 상기 센서와 상기 제 2 쉴드 사이에 각각 마련되는 제 1 중간막과 제 2 중간막;을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부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프로브 헤드의 제조 방법은 기판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기판 상에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절연막 상에 제 1 쉴드(shield)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쉴드 상에 제 1 중간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중간막 상에 센서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센서 상에 제 2 중간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2 중간막 상에 제 2 쉴드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쉴드 상에 보호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브 헤드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하면, 프로브 헤드의 분해능과 감도를 동시에 증가시킬 수 있고, 상기와 같은 높은 분해능과 감도를 가지는 프로브 헤드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프로브 헤드 및 그 제조 방법{Probe head, and the fabricating method of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브 헤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프로브 헤드를 B-B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프로브 헤드를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3a 내지 도 13a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프로브를 도 2a에 도시된 단면에 대해 나타낸 공정도들.
도 3b 내지 도 13b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프로브를 도 2b에 도시된 단면에 대해 나타낸 공정도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프로브 헤드 101 : 기판
110 : 절연막 120 : 제 1 쉴드
130 : 제 1 중간막 140 : 센서
150 : 제 2 중간막의 하막 160 : 금속막
161 : 센서 연결부 170 : 제 2 중간막의 상막
180 : 제 2 쉴드 181 : 쉴드 연결부
190 : 보호막
본 발명은 프로브 헤드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높은 분해능을 가지는 프로브 헤드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프로브는 소정 기록 매체와 연계하여, 그 기록 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그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재생한다. 이러한 프로브는 데이터에 대한 판독력을 높이기 위하여, 우수한 분해능을 갖출 것이 요구된다.
상기와 같은 프로브는 현재까지 여러 타입이 소개되었고, 그 중에서 FET(field effect transistor) 프로브, 저항(resistive) 프로브, EFM 프로브 등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프로브들이 가진 감도와 분해능은 기록 매체에 대한 데이터의 기록 또는 재생에 사용되기에 충분하지 않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프로브들을 이용하여 기록 매체에 데이터를 기록 또는 재생하는 것이 곤란하므로, 이러한 점이 개선된 프로브의 제시가 요구된다. 또한, 그러한 개선된 프로브를 제조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의 제시도 요구된다.
본 발명은 프로브의 감도 및 분해능을 높일 수 있는 개선된 구조를 가진 프로브 헤드와, 그러한 프로브 헤드를 제조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브 헤드는 소정 기록 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시키는 센서; 상기 센서의 양 측에 소정 거리로 이격되어 배치된 제 1 쉴드(shield)와 제 2 쉴드; 및 상기 센서와 상기 제 1 쉴드 사이 및 상기 센서와 상기 제 2 쉴드 사이에 각각 마련되는 제 1 중간막과 제 2 중간막;을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부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센서는 상기 기록 매체와 대향되는 면이 평면일 수 있다.
상기 제 1 쉴드와 상기 제 2 쉴드는 상호간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프로브 헤드의 작동 시에, 상기 제 1 쉴드 또는 제 2 쉴드 중 어느 하나는 그라운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센서부는 그를 지지하는 기판과, 상기 기판과 마주하는 쉴드를 절연시키는 절연막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제 2 쉴드를 덮는 보호막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는 상기 센서와 전원을 연결하는 금속막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브 헤드의 제조 방법은 기판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기판 상에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절연막 상에 제 1 쉴드(shield)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쉴드 상에 제 1 중간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중간막 상에 센서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센서 상에 제 2 중간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2 중간막 상에 제 2 쉴드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쉴드 상에 보호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브 헤드의 제조 방법은 상기 센서와 전원을 연결하는 금속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속막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중간막 상에 금속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금속막 상에 제 3 중간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금속막을 형성하는 단계는 소정 금속을 증착시켜 박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박막을 패터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소정 금속을 증착시켜 박막을 형성하는 단계는 전자빔 증착과 스퍼터링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박막을 패터닝하는 단계는 반응성 이온 에칭(RIE, reactive ion etching)과 습식 에칭(wet etching)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는 열적 산화공정(thermal oxidation)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 1 쉴드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쉴드를 형성하는 단계는 소정 금속을 증착시켜 박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박막을 패터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소정 금속을 증착시켜 박막을 형성하는 단계는 전자빔 증착과 스퍼터링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박막을 패터닝하는 단계는 반응성 이온 에칭(RIE)과 습식 에칭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 1 중간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중간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보호막을 형성하는 단계는 산화물(oxide) 또는 질화물(nidtride)을 증착시켜 박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박막을 패터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산화물을 증착시켜 박막을 형성하는 단계는 플라스마 화학기상증착(PECVD, plasma enhance chemical vapor deposition)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박막을 패터닝하는 단계는 반응성 이온 에칭(RIE)과 습식 에칭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센서를 형성하는 단계는 폴리 실리콘(Poly-Si)을 증착시켜 박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박막을 패터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을 증착시켜 박막을 형성하는 단계는 저압 화학기상증착(LPCVD, low pressure chemical vapor deposition)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박막을 패터닝하는 단계는 반응성 이온 에칭(RIE)과 습식 에칭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프로브 헤드의 제조 방법은 상기 센서와, 상기 제 1 쉴드와, 상기 제 2 쉴드가 헤드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프로브 헤드를 다이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브 헤드에 의하면, 센서의 기록 매체에 대향하는 면의 폭과, 상기 센서와 제 1 쉴드 및 상기 센서와 제 2 쉴드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프로브 헤드의 분해능과 감도를 동시에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프로브 헤드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상기와 같은 높은 분해능과 감도를 가지는 프로브 헤드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 헤드 및 그 제조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도면들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가리킨다. 도면들에서, 층들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료성을 위해 과장되어 있다. 그리고, 층, 영역 또는 기판과 같은 요소가 다른 요소 상에 있는 것으로 언급될 때, 이것은 다른 요소 위에 직접 있거나, 그 요소 사이에 중간 요소가 개입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브 헤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프로브 헤드를 B-B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며,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프로브 헤드를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b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프로브 헤드(100)는 소정 기록 매체(200)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상기 기록 매체(200)에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시키는 센서(140)와, 상기 센서(140)의 양 측에 소정 거리로 이격되어 배치된 제 1 쉴드(shield)(120) 및 제 2 쉴드(180)를 구비한다. 상기 센서(140)는 폴리 실리콘(Poly-Si)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쉴드(180)는 쉴드 연결부(181)를 통해 상기 제 1 쉴드(120)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프로브 헤드(100)는 기판(101)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기판(101)과 상기 제 1 쉴드(120) 사이에는 양자를 절연시키기 위한 절연막(11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쉴드(120)와 상기 센서(140) 사이에는 제 1 중간막(13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센서(140)와 상기 제 2 쉴드(180) 사이에는 제 2 중간막(150, 17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2 중간막(150, 170)은 상막(170)과, 하막(15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 1 중간막(130)과 상기 제 2 중간막(150, 170)은 소정 산화물(oxide) 또는 질화물(nitride)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브 헤드(100)에는 상기 제 2 쉴드(180)를 보호하는 보호막(19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2 쉴드(180)는 소정 도선(201)을 통해 그라운드되는데, 상기 보호막(190)에는 상기 제 2 쉴드(180)와 상기 도선(201)을 연결하기 위한 홀(19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보호막(190)은 소정 산화물) 또는 질화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브 헤드(100)에는 상기 센서(140)를 전원에 연결하기 위한 금속막(160)이 형성되어 있다. 절연을 위해 상기 금속막(160)은 상기 제 2 중간막의 하막(150)과 상기 제 2 중간막의 상막(170) 사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금속막(160)은 센서 연결부(161)를 통해 상기 센서(140)와 연결되고, 소정 도선(202, 203)을 통해 전원과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상기 센서(140)는 상기 금속막(160)을 통해 전원과 연결된다. 도면상의 참조번호 172는 상기 도선(202, 203)과 상기 금속막(160)이 연결되기 위한 홀이며, 본 도면에서는 예시적으로 그 중 한 도선(202)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센서(140)는 기록 매체(200)와 대향되는 면이 소정의 폭을 가진 면이고, 그 측면은 상기 대향 면과 수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센서(140)와 상기 제 1 쉴드(120) 및 상기 센서(140)와 상기 제 2 쉴드(180) 사이가 소정 거리로 이격된다. 실험에 의해, 상기 프로브 헤드(100)의 재생 전압은 상기 센서(140)의 폭이 작아질 때 증가하고, 상기 센서(140)와 상기 제 1 쉴드(120) 및 상기 제 2 쉴드(180) 사이의 거리가 작아질 때도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프로브 헤드(100)의 감도와 분해능을 동시에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브 헤드(100)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a 내지 도 13b는 본 발명에 다른 프로브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도들이다. 여기서, 도 3a 내지 도 13a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프로브를 도 2a에 도시된 단면에 대해 나타낸 공정도들이고, 도 3b 내지 도 13b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프로브를 도 2b에 도시된 단면에 대해 나타낸 공정도들이다.
먼저,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판(101)을 마련한다. 상기 기판(101)은 실리콘(Si)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런 다음,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기판(101) 상에 절연막(110)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절연막(110)의 형성은 열적 산화공정(thermal oxidation)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공정에 의해 상기 절연막(110)을 수㎛ 의 두께로 형성할 수 있다.
그 후,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절연막(110) 상에 제 1 쉴드(120)를 형성한다. 상기 제 1 쉴드(120)를 이루는 소정 금속을 상기 절연막(110) 상에 증착시켜 박막을 형성한 다음 상기 박막을 패터닝함으로써, 상기 제 1 쉴드(120)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박막의 형성은 전자빔 증착 또는 스퍼터링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박막의 패터닝은 반응성 이온 에칭(RIE) 또는 습식 에칭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 1 쉴드(120)를 이루는 금속으로 Au, Pt, Pd 등의 금속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공정에 의해 상기 제 1 쉴드(120)를 수㎛의 두께로 형성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50㎛ 이하의 두께로 형성할 수 있다.
그런 다음, 도 6a 및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 1 쉴드(120) 상에 제 1 중간막(130)을 형성한다. 여기서,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 1 중간막(130)에는 제 2 쉴드(180)와 상기 제 1 쉴드(120)를 연결하기 위해 쉴드 연결부(181)가 관통하는 홀(131)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중간막(130)을 이루는 산화물(oxide) 또는 질화물(nitride)을 증착시켜 박막을 형성한 다음 상기 박막을 패터닝함으로써, 상기 제 1 중간막(130)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박막의 형성은 플라스마 화학기상증착(PECVD, plasma enhance chemical vapor deposition)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박막의 패터닝은 반응성 이온 에칭(RIE) 또는 습식 에칭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공정에 의해 상기 제 1 중간막(130)을 수㎛의 두께로 형성 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의 두께로 형성할 수 있다.
그 후, 도 7a 및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 1 중간막(130) 상에 센서(140)를 형성한다. 상기 센서(140)를 이루는 폴리 실리콘(Poly-Si)을 상기 제 1 중간막(130) 상에 증착시켜 박막을 형성한 다음 상기 박막을 패터닝함으로써, 상기 센서(140)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박막의 형성은 저압 화학기상증착(LPCVD, low pressure chemical vapor deposition)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박막의 패터닝은 반응성 이온 에칭(RIE) 또는 습식 에칭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그런 다음, 도 8a 및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센서(140) 상에 제 2 중간막의 하막(150)을 형성한다. 여기서, 도 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 2 중간막의 하막(150)에는, 상기 쉴드 연결부(181)가 관통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절연막(130)에 형성된 홀(131)과 대응되는 위치에 홀(151)이 형성된다. 그리고,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 2 중간막의 하막(150)에는, 금속막(160)과 상기 센서(140)를 연결하기 위해 센서 연결부(161)가 관통하는 홀(152)이 형성된다.
상기 제 2 중간막의 하막(150)은 상기 제 1 중간막(120)을 형성하는 방법과 같은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공정에 의해 상기 제 2 중간막의 하막(150)을 수㎛의 두께로 형성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의 두께로 형성할 수 있다.
그 후, 도 9a 및 도 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 2 중간막의 하막(150) 상에 금속막(160)을 형성한다. 상기 금속막(160)은 상기 센서(140)와 전원을 연결 하기 위한 것이므로, 도 9a에 나타낸 단면에는 상기 금속막(160)이 형성되지 않고, 도 9b에 나타낸 단면에 상기 금속막(160)이 형성된다. 상기 금속막(160)의 일부가 연장된 상기 센서 연결부(161)가 상기 제 2 중간막의 하막(150)에 형성된 홀(152)를 통해 상기 센서(140)와 연결된다.
상기 금속막(160)을 이루는 소정 금속을 상기 제 2 중간막의 하막(150) 상에 증착시켜 박막을 형성시킨 다음 상기 박막을 패터닝함으로써, 상기 금속막(160)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박막의 형성은 전자빔 증착 또는 스퍼터링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박막의 패터닝은 반응성 이온 에칭(RIE, reactive ion etching) 또는 습식 에칭(wet etching)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그런 다음, 도 10a 및 도 1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 2 중간막의 하막(150)과 상기 금속막(160) 상에 제 2 중간막의 상막(170)을 형성한다. 상기 제 2 중간막의 상막(170)은 상기 제 2 중간막의 하막(150)과 함께 제 2 중간막을 형성한다. 여기서, 10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 2 중간막의 상막(170)에는 상기 쉴드 연결부(181)가 관통될 수 있도록 상기 제 2 중간막의 하막(150)에 형성된 홀(151)과 대응되는 위치에 홀(171)이 형성된다. 그리고, 도 1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 2 중간막의 상막(170)에는, 상기 금속막(160)과 전원을 연결하기 위한 홀(172)이 형성된다.
상기 제 2 중간막의 상막(170)은 상기 제 1 중간막(120)을 형성하는 방법과 같은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그 후, 도 11a 및 도 1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 2 중간막의 상막(170) 상에 제 2 쉴드(180)가 형성된다. 여기서, 도 1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쉴드 연결부(181)가 형성되어, 상기 제 1 중간막(130)과, 상기 제 2 중간막의 하막(150)과, 상기 제 2 중간막의 상막(170)에 각각 형성된 홀(131, 151, 171)을 통해 상기 제 2 쉴드(180)와 상기 제 1 쉴드(120)를 연결한다.
상기와 같은 제 2 쉴드(180)는 상기 제 1 쉴드(120)를 형성하는 방법과 같은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그런 다음, 도 12a 및 도 1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 2 쉴드(180) 상에 보호막(190)을 형성한다. 여기서, 도 1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보호막(190)에는 상기 제 2 쉴드(180)를 그라운드시키기 위한 도선(201)이 관통하는 홀(191)이 형성된다.
상기 보호막(190)은 상기 제 1 중간막(120)을 형성하는 방법과 같은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그 후,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된 절단선을 따라,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낸 공정부터 도 12a 및 도 12b에 나타낸 공정까지에 의해 형성된 적층물을 다이싱(dicing)한다. 상기와 같은 다이싱에 의해, 상기 센서(140)와 상기 제 1 쉴드(120)와 상기 제 2 쉴드(180)가 헤드 외부로 노출된다. 그러면, 도 13a 및 도 1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프로브 헤드(100)의 제조가 완료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브 헤드에 의하면, 센서의 기록 매체에 대향하는 면의 폭과, 상기 센서와 제 1 쉴드 및 상기 센서와 제 2 쉴드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프로브 헤드의 분해능과 감도를 동시에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프로브 헤드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상기와 같은 높은 분해능과 감도를 가지는 프로브 헤드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24)

  1. 소정의 기록 매체에 데이터를 기록/재생하는 센서;
    상기 센서의 양 측에 소정 거리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1 쉴드(shield)와 제 2 쉴드; 및
    상기 센서와 상기 제 1 쉴드 사이 및 상기 센서와 상기 제 2 쉴드 사이에 각각 마련되는 제 1 중간막과 제 2 중간막; 을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부가 결합된 것으로,
    상기 센서, 제 1 쉴드 및 제 2 쉴드는 상기 센서 및 기록 매체의 대향면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 헤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기록 매체와 대향되는 면이 평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 헤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쉴드와 상기 제 2 쉴드는 상호간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 헤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 헤드의 작동 시에, 상기 제 1 쉴드 또는 제 2 쉴드 중 어느 하나는 그라운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 헤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그를 지지하는 기판과, 상기 기판과 마주하는 쉴드를 절연시키는 절연막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 헤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제 2 쉴드를 덮는 보호막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 헤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센서와 전원을 연결하는 금속막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 헤드.
  8. 기판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기판 상에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절연막 상에 제 1 쉴드(shield)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쉴드 상에 제 1 중간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중간막 상에 센서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센서 상에 제 2 중간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2 중간막 상에 제 2 쉴드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쉴드 상에 보호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 제 1 쉴드 및 제 2 쉴드는 상기 센서 및 기록 매체의 대향면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 헤드의 제조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와 전원을 연결하는 금속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 헤드의 제조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막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중간막 상에 금속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금속막 상에 제 3 중간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 헤드의 제조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막을 형성하는 단계는 소정 금속을 증착시켜 박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박막을 패터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 헤드의 제조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금속을 증착시켜 박막을 형성하는 단계는 전자빔 증착과 스퍼터링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 헤드의 제조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을 패터닝하는 단계는 반응성 이온 에칭(RIE, reactive ion etching)과 습식 에칭(wet etching)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 헤드의 제조 방법.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는 열적 산화공정(thermal oxidation)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 헤드의 제조 방법.
  15.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쉴드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쉴드를 형성하는 단계는 소정 금속을 증착시켜 박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박막을 패터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 헤드의 제조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금속을 증착시켜 박막을 형성하는 단계는 전자빔 증착과 스퍼터링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 헤드의 제조 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을 패터닝하는 단계는 반응성 이온 에칭(RIE)과 습식 에칭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 헤드의 제조 방법.
  18.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중간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중간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보호막을 형성하는 단계는 산화물(oxide) 또는 질화물(nitride)를 증착시켜 박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박막을 패터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 헤드의 제조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물 또는 질화물을 증착시켜 박막을 형성하는 단계는 플라스마 화학기상증착(PECVD, plasma enhance chemical vapor deposition)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 헤드의 제조 방법.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을 패터닝하는 단계는 반응성 이온 에칭(RIE)과 습식 에칭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 헤드의 제조 방법.
  2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를 형성하는 단계는 폴리 실리콘(Poly-Si)을 증착시켜 박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박막을 패터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 헤드의 제조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 실리콘(Poly-Si)을 증착시켜 박막을 형성하는 단계는 저압 화학기상증착(LPCVD, low pressure chemical vapor deposition)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 헤드의 제조 방법.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을 패터닝하는 단계는 반응성 이온 에칭(RIE)과 습식 에칭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 헤드의 제조 방법.
  2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와, 상기 제 1 쉴드와, 상기 제 2 쉴드가 헤드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프로브 헤드를 다이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 헤드의 제조 방법.
KR1020050011915A 2005-02-14 2005-02-14 프로브 헤드 및 그 제조 방법 KR1006683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1915A KR100668327B1 (ko) 2005-02-14 2005-02-14 프로브 헤드 및 그 제조 방법
CN200510117761A CN100578630C (zh) 2005-02-14 2005-11-10 探针头和制造该探针头的方法
EP05257162A EP1691349A3 (en) 2005-02-14 2005-11-21 Probe head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EP11158525.3A EP2348505B1 (en) 2005-02-14 2005-11-21 Probe head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JP2005337688A JP4519763B2 (ja) 2005-02-14 2005-11-22 プローブヘッド及びその製造方法
US11/285,281 US20060180881A1 (en) 2005-02-14 2005-11-23 Probe head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1915A KR100668327B1 (ko) 2005-02-14 2005-02-14 프로브 헤드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1388A KR20060091388A (ko) 2006-08-21
KR100668327B1 true KR100668327B1 (ko) 2007-01-12

Family

ID=36264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1915A KR100668327B1 (ko) 2005-02-14 2005-02-14 프로브 헤드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60180881A1 (ko)
EP (2) EP1691349A3 (ko)
JP (1) JP4519763B2 (ko)
KR (1) KR100668327B1 (ko)
CN (1) CN100578630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0903B1 (ko) * 2007-12-24 2013-05-06 시게이트 테크놀로지 엘엘씨 전계기록재생헤드, 이를 채용한 전계기록재생장치 및전계기록재생헤드의 제조방법
TWI487916B (zh) * 2013-03-06 2015-06-11 Univ Nat Taiwan 磁場探針及其探針頭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9433A (ja) * 1991-09-27 1993-04-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薄膜磁気ヘツド
US5508866A (en) * 1994-08-15 1996-04-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agnetoresistive sensor having exchange-coupled stabilization for transverse bias layer
US5757591A (en) * 1996-11-25 1998-05-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agnetoresistive read/inductive write magnetic head assembly fabricated with silicon on hard insulator for improved durability and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3130811B2 (ja) * 1996-11-28 2001-01-31 日本電気株式会社 磁気抵抗効果型薄膜磁気ヘッド
JPH11175931A (ja) * 1997-12-16 1999-07-02 Nec Corp 磁気抵抗効果型複合ヘッド及び磁気ディスク装置
JP3843596B2 (ja) * 1998-04-08 2006-11-08 ソニー株式会社 磁気抵抗効果型磁気ヘッド
US6477132B1 (en) * 1998-08-19 2002-11-05 Canon Kabushiki Kaisha Probe and information recording/reproduc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JP3473835B2 (ja) * 1999-06-10 2003-12-08 Tdk株式会社 薄膜磁気ヘッド集合体及びその処理方法
KR100366701B1 (ko) * 1999-11-09 2003-01-06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채널 구조가 형성된 스캐닝 프로브마이크로스코프의 탐침 및 그 제작 방법
US6453542B1 (en) 2000-02-28 2002-09-24 Headway Technologies, Inc. Method for fabricating balanced shield connections for noise reduction in MR/GMR read heads
US6396668B1 (en) * 2000-03-24 2002-05-28 Seagate Technology Llc Planar double spin valve read head
US6515573B1 (en) * 2000-06-19 2003-02-04 Read-Rite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edge-junction TMR utilizing a hard magnet as a pinned layer
JP2002100009A (ja) 2000-09-22 2002-04-05 Mitsumi Electric Co Ltd 磁気抵抗効果型磁気ヘッド
JP4128135B2 (ja) * 2003-12-10 2008-07-30 パイオニア株式会社 記録再生ヘッド、該記録再生ヘッドの製造方法、並びに記録装置及び再生装置。
KR100718154B1 (ko) * 2006-02-20 2007-05-14 삼성전자주식회사 정보 미디어 및 이를 이용하는 정보의 기록 및 재생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91349A2 (en) 2006-08-16
JP2006226991A (ja) 2006-08-31
KR20060091388A (ko) 2006-08-21
JP4519763B2 (ja) 2010-08-04
CN100578630C (zh) 2010-01-06
CN1822154A (zh) 2006-08-23
EP1691349A3 (en) 2008-09-24
EP2348505B1 (en) 2013-05-01
US20060180881A1 (en) 2006-08-17
EP2348505A1 (en) 2011-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88754B2 (en) MEMS transducer
JP4636187B2 (ja) 力学量センサの製造方法および力学量センサ
JP5454345B2 (ja) 音響センサ及びその製造方法
US5561248A (en) Acceleration sensor
TW201225686A (en) Condenser microphone array chip
US6768291B2 (en) Fluid flow sensor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20120139744A (ko) Mems 마이크로폰 및 그 제조 방법
JP2008516252A (ja) センサー装置
KR100668327B1 (ko) 프로브 헤드 및 그 제조 방법
US8207585B2 (en) Method for producing a micromechanical component and mircomechanical component
US6008969A (en) Planar recording head having formed yokes
JP3296158B2 (ja) 圧電薄膜振動子
JP2008011141A (ja) 薄膜圧電共振器
US20040121619A1 (en) Multipoint minute electrode, device for measuring a living organism voltage, method for fabricating the multipoint minute electrod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living organism voltage-measuring device
JP5913038B2 (ja) 静電容量型圧力センサ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552279B1 (ko) 박막 pzt 구조의 접착력 강화
US20040049901A1 (en) Method for making a multielement acoustic probe using a metallised and ablated polymer as ground plane
JP4265351B2 (ja) メンブレンを有するセンサ装置
KR100667733B1 (ko) 광자기 기록재생용 광자기헤드 및 그 제조방법
WO2023243251A1 (ja) ガスセンサ
JP4483542B2 (ja) 受光素子の製造方法
JP5606301B2 (ja) サブマウント基板、光半導体素子収納用パッケージおよび光半導体装置
JPH10221143A (ja) マイクロヒータ
JP2000019011A (ja) 3層構造の赤外線ボロメータの製造方法
JP4581447B2 (ja) 薄膜圧電体素子の製造方法及びサスペンション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