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6069B1 - 통신기기 - Google Patents

통신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6069B1
KR100666069B1 KR1020060012427A KR20060012427A KR100666069B1 KR 100666069 B1 KR100666069 B1 KR 100666069B1 KR 1020060012427 A KR1020060012427 A KR 1020060012427A KR 20060012427 A KR20060012427 A KR 20060012427A KR 100666069 B1 KR100666069 B1 KR 1006660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signal line
casing
covered
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2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0759A (ko
Inventor
히데오 요시다
히로유끼 이노베
스나오 가지하라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907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07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60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60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6Ear protection devices
    • A42B3/166Integral hearing prot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081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for transmitting energy, e.g. electrical cable rou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1/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ars or hearing sense; Non-electric hearing aids; Methods or devices for enabling ear patients to achieve auditory perception through physiological senses other than hearing sense; 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11/06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 A61F11/08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internal, e.g. earplu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1/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ars or hearing sense; Non-electric hearing aids; Methods or devices for enabling ear patients to achieve auditory perception through physiological senses other than hearing sense; 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11/06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 A61F11/08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internal, e.g. earplugs
    • A61F11/085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internal, e.g. earplugs including an inner channe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50/00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50/0058Additional features; Implant or prostheses propert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250/0075Sound-damping or noise-reduc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99/00Subject-matt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tolaryng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syc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 1 기판을 갖는 제 1 케이싱과, 제 2 기판을 갖는 제 2 케이싱을 구비한 통신기기에 있어서, 양 기판 사이의 접지 전위차를 없애고 조작 오차가 적으며, 또 조립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신호선(10)을, 절연체로 도체를 피복한 복수의 가는 전선으로 구성하고, 그 단부를 제외한 중간부에서 1 단으로 묶는다. 이 묶여진 상태에서, 그 바깥둘레를, 복수의 도선을 망사형으로 엮은 접지선(16)으로 피복한다. 이 접지선(16)의 각 단부를 제 1 기판과 제 2 기판에 각각 접속하고, 신호선(10)의 각 커넥터(12, 13)를 제 1 기판과 제 2 기판에 접속한다.
신호선, 접지선, 커넥터, 케이싱, 힌지부, 기판

Description

통신기기{COMMUNICATION DEVICE}
도 1은 본 실시예에 관한 휴대전화의 전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제 2 기판, 힌지부 및 신호선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3은 신호선이 접속된 제 2 기판 및 힌지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신호선이 접속된 제 1 기판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신호선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6은 신호선의 전선을 나타내는 확대단면도.
도 7은 신호선의 커넥터 및 전선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8은 신호선의 전선을 고정용 테이프로 피복시킨 것을 나타낸 평면도.
도 9는 접지선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10은 도 5의 X-X선 단면도.
도 11은 신호선의 장착상태를 설명하는 평면도.
도 12는 신호선을 힌지부로 통과시키는 양상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3은 제 1 커넥터 및 그 주변의 확대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휴대전화(통신기기)
2 : 제 1 기판
3 : 제 1 케이싱
3a : 베이스부
4 : 제 2 기판
5 :제 2 케이싱
6 : 힌지부
6c : 수평관통공
6f : 수직관통공
7 : 액정표시부
10 : 신호선
11 : 전선
11a : 도체
11b : 절연체
16 : 접지선
20a : 제 1 식별테이프
20b : 제 2 식별테이프
20c : 제 3 식별테이프
20d : 제 4 식별테이프
X : 개폐축
Y : 수직축
본 발명은, 제 1 기판을 갖는 제 1 케이싱과, 제 2 기판을 갖는 제 2 케이싱을 구비한 통신기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예를 들어 국제공개 제 02/003665호 팸플릿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 1 기판을 갖는 제 1 케이싱과, 제 2 기판을 갖는 제 2 케이싱 사이를 플랙시블 기판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시켜, 폴더의 개폐를 자유롭게 구성한 통신기기가 알려져 있다.
그러나 최근 통신기기에 대한 요구는 폭이 넓어져, 제 1 케이싱에 배치한 액정표시부를 회전시켜 표리반전 가능하게 하거나, 세로로 긴 종형상태와 가로로 긴 횡형상태의 절환을 자유롭게 하거나 하는 통신기기가 요구되고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국제공개 제 02/003665호 팸플릿에 기재된 바와 같은 플랙시블 기판으로 신호선을 구성하면 유연성이 떨어져, 액정표시부의 움직임에 충분히 대응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상기 제 1 기판과 제 2 기판을 접지선으로 연결시켜 양 기판 사이의 접지 전위차를 없애고, 통신기기의 작동오차를 없애고싶다는 요구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접지 전위차를 없애기 위해서는, 단순하게 신호를 송수신하는 전선보다 많은 전도용량을 갖는 접지선을 배치할 필요가 있다. 유연성을 높이기 위해, 상기 국제공개 제 02/003665호 팸플릿에 기재된 바와 같은, 플랙시블 기판이 아닌, 복수 의 가는 전선으로 신호선을 구성하고자 하면, 접지 전위차를 없애기 위한 전도용량을 확보하기 위해 신호선이 굵어져, 그 제 1 및 제 2 케이싱 내에서의 배선이 어려워짐과 더불어, 그 움직임이 나빠지므로, 통신기기의 개폐동작 등이 순조롭게 진행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제 1 기판과 제 2 기판을 접속하는 신호선의 구성을 개발함으로써, 양 기판 사이의 접지 전위차를 없애고 조작오차를 적게 하면서, 조립성이 양호한 통신기기를 얻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 발명에서는, 복수의 가는 전선으로 구성된 신호선을 묶고, 복수의 도선을 망사형으로 엮은 접지선으로 그 바깥둘레를 피복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제 1 기판을 갖는 제 1 케이싱과, 제 2 기판을 갖는 제 2 케이싱을 구비한 통신기기를 대상으로 하며, 이 통신기기의 제 1 기판과 제 2 기판은, 도체를 절연체로 피복한 복수의 가는 전선으로 구성된 신호선으로 접속되며, 상기 신호선은 그 양 단부를 제외한 중간부에서 상기 복수의 가는 전선이 1 다발로 묶이고, 이 묶여진 상태에서, 그 바깥둘레가 전도성을 가진 복수의 도선을 망사형으로 엮은 접지선으로 피복되며, 상기 접지선의 각 단부는 제 1 기판과 제 2 기판에 각각 접속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제 1 기판과 제 2 기판 사이의 신호는, 도체를 절연체 로 피복한 복수의 가는 전선으로 송수신된다. 또 망사형으로 엮은 접지선에 의해, 제 1 기판과 제 2 기판 사이의 접지 전위차를 없애기 위한 충분한 용량이 실현된다. 또한 단부를 제외한 중간부에서 1 다발로 묶여진 신호선을, 복수의 도선을 망사형으로 엮은 접지선으로 피복하므로, 그 바깥지름은 최소한으로 유지되며, 유연성도 구비한다.
또 상기 접지선을 구성하는 각 도선은, 수지제의 연사를 구리 박으로 피복한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전도성이 높고, 또 유연성 있는 접지선이 얻어진다.
또한 상기 제 1 케이싱과 제 2 케이싱은, 힌지부에 의해 그 개폐축을 중심으로 폴더 개폐 자유롭게 연결되며, 이 개폐축의 축방향 중심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접지선으로 피복된 신호선은, 이 개폐축의 관통공 내를 통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접지선으로 피복된 신호선은, 폴더 개폐동작 시에 가장 움직임이 적은 개폐축의 관통공 내를 통과하므로, 접지선이 비틀리거나 마모되거나 하는 일이 방지된다.
또 상기 제 1 케이싱은, 힌지부 쪽의 베이스부와, 이 베이스부에 상기 개폐축의 축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이어지는 힌지부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표리 반전 자유롭게 지지된 액정표시부를 구비하며, 상기 회전축의 중심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액정표시부에 상기 제 1 기판이 배치되며, 상기 접지선으로 피복된 신호선은 상기 베이스부 회전축의 관통공 내를 통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제 1 케이싱에 표리반전 가능한 액정표시부를 배치한 경우에도, 신호선은 힌지부 회전축의 관통공 내를 통과하므로, 액정표시부의 표리반전 시에도 접지선이 비틀리거나 마모되거나 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힌지부는 금속제이며, 상기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은 각각 상기 힌지부에 접해 도통상태이며, 상기 신호선의 접지선은, 상기 힌지부와 접해있는 부분에서 도통상태인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신호선의 접지선이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에 도통된 힌지부로 도통하므로, 접지 전위차가 보다 안정된다.
또 상기 신호선의 소정 개소는 접지선의 바깥쪽에서 식별 테이프로 피복되며, 상기 식별 테이프는, 상기 신호선을, 상기 힌지부를 통해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에 접속할 때의 식별표시가 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테이프를 식별표시로 하여 접지선으로 피복된 신호선이 힌지부를 통해 소정 위치에 배치되어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에 접속된다. 또 이 테이프에 의해, 복수의 도선을 망사형으로 엮은 접지선이 풀리기 어려워진다. 또한 관통공에 대응하는 위치에 식별 테이프를 붙이면, 접지선의 마모가 방지된다.
상술한 목적 및 기타의 목적과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은 첨부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실시형태)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통신기기로서의 휴대전화(1)는, 제 1 기판(2)을 갖는 제 1 케이싱(3)과, 제 2 기판(4)을 갖는 제 2 케이싱(5)을 구비한다. 제 1 케이싱(3)과 제 2 케이싱(5)은 힌지부(6)에 의해 폴더 개폐 자유롭게 연결된다.
도 2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힌지부(6)는, 금속제의 부재를 조합시킨 견고한 구조를 갖는다. 이 힌지부(6)는, 제 1 케이싱(3) 쪽의 제 1 힌지부(6a)와, 제 2 케이싱(5) 쪽의 제 2 힌지부(6b)로 구성된다. 제 1 힌지부(6a)와 제 2 힌지부(6b)가 수평의 개폐축(X)을 중심으로 폴더 개폐 자유롭게 구성된다. 이 개폐축(X)의 축방향 중심에는 수평관통공(6c)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힌지부(6a)는, 개폐축(X) 쪽의 제 1 힌지부 본체(6d)와, 이 개폐축(X)의 축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이어지는 회전축(Y)을 가지며, 이 회전축(Y)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액정측 힌지부(6e)를 구비한다. 이 회전축(Y)의 중심에는 수직관통공(6f)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케이싱(3)에는, 힌지부(6) 쪽의 베이스부(3a)와, 이 베이스부(3a)에 대해, 상기 회전축(Y)을 중심으로 표리반전 자유롭게 지지된 액정표시부(7)가 배치된다. 즉 제 1 케이싱(3)의 베이스부(3a)에 상기 제 1 힌지부 본체(6d)가 내장되며, 액정표시부(7)에 상기 액정측 힌지부(6e)가 내장된다. 상기 액정표시부(7)에는 사각형의 액정 디스플레이(7a)가 배치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액정 디스플레이(7a)의 배면에 제 1 기판(2)이 배치된다.
상기 제 2 케이싱(5)에는 복수의 조작키(8)를 갖는 조작부(9)가 구성된다. 이 조작키(8)를 조작함으로써, 휴대전화(1)의 다수 기능이 이용되도록 구성된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조작키(8)의 배면 쪽에 제 2 기판(4)이 배치된다.
상기 제 1 케이싱(3)의 제 1 기판(2)과 제 2 케이싱(5)의 제 2 기판(4)은, 복수의 가는 전선(11)으로 구성된 신호선(10)(도 5에 나타냄)으로 접속된다. 각 전선(11)은, 예를 들어 도 6에 확대시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은도금 구리 합금선으로 이루어지는 도체(11a)와, 이 도체(11a)를 피복하는 절연체(11b)와, 이 절연체(11b)를 피복하는 주석도금 구리 합금선으로 이루어지는 차폐층(11c)과, 이 차폐층(11c)을 피복하는 외피층(11d)으로 이루어진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전선(11)의 각 단부는, 제 1 케이싱(3) 쪽의 제 1 커넥터(12)와, 제 2 케이싱(5) 쪽의 제 2 커넥터(13)에 접속된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신호선(10)은, 제 1 커넥터(12) 및 제 2 커넥터(13) 주변을 제외한 중간부에서 복수의 가는 전선(11)이 1 다발로 묶이고, 이 묶여진 상태에서 그 바깥둘레가 수지제의 고정용 테이프(15)로 피복된다.
상기 신호선(10)은, 상기 고정용 테이프(15)의 바깥둘레가, 복수의 도선을 망사형으로 엮은 접지선(16)으로 피복된다. 이 접지선(16)은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신호선(10)의 제 2 커넥터(13) 쪽이 될 부분에 접지단자(17)가 접속된다. 또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대쪽 신호선(10)의 제 1 커넥터(12) 쪽이 될 부분에, 각 도선이 풀리지 않도록 조여진 코킹부(18)가 형성된다. 접지선(16)을 구성하는 도선은 도시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중심 굵기 50 데닐의 폴리에스텔 연사와, 그 바깥둘레를 피복하는 구리 박으로 구성된다. 이 구성에 의해, 도전성을 구 비한 유연성 있는 접지선(16)이 형성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접지선(16)의 접지단자(17)는, 제 2 기판(4)에 비스 등(도시 생략)으로 접속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킹부(18) 쪽은, 제 1 기판(2)의 노출부(2a)에 압착하도록 하여 접속되도록 구성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신호선(10)의 소정 개소는, 이 신호선(10)을, 제 1 케이싱(3), 제 2 케이싱(5) 및 힌지부(6)에 장착할 때의 식별표시가 되는 수지제의 식별 테이프(20)에 의해 접지선(16)의 바깥쪽에서 피복된다. 즉 이 식별 테이프(20)는, 예를 들어 접지선(16)의 6 개소에 소정 길이의 테이프가, 이면에 부착시킨 접착제에 의해 붙여진다. 구체적으로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식별테이프(20a)는, 접지선(16)의 제 1 케이싱(3) 쪽 단부에서 소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 붙여지며, 이 부분이 상기 베이스부(3a)의 수직관통공(6f) 내에 배치되도록 된다. 제 3 식별테이프(20c)는 상기 힌지부(6)의 수평관통공(6c) 내에 상당하는 위치에 붙여진다. 제 2 식별테이프(20b)는, 제 1 식별테이프(20a)와 제 3 식별테이프(20c) 사이에 붙여지며, 제 4 식별테이프(20d)는, 제 3 식별테이프(20c)와 접지단자(17) 사이에 붙여진다. 접지선(16)의 양 단부도 식별테이프(20e)로 피복되어, 도선이 풀리지 않도록 한다.
-신호선의 장착방법-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관한 휴대전화의 신호선(10) 장착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성형된 상기 신호선(10)을 준비한다.
이어서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신호선의 제 1 커넥터(12)를 커넥터 커버(21)로 피복한다. 이 커넥터 커버(21)에 의해, 접지선(16)이 풀리는 것을 방지하면서, 신호의 송수신에 악영향을 끼치는 각 관통공(6c, 6f) 주변의 오일이 제 1 커넥터(12)에 부착되는 것이 방지된다.
다음에 커넥터 커버(21)의 선단을 힌지부(6)의 수평관통공(6c) 내로 삽입통과시킨다. 이 때, 제 1 커넥터(12)의 후단부를 밀면서, 접지선(16)의 휨에 주의하여 원호형으로 움직이면서 통과시킨다.
다음, 커넥터 커버(21)의 선단을 베이스부(3a)의 수직관통공(6f) 하측으로부터 삽입 통과시킨다.
다음으로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신호선(10)의 각 식별테이프(20a∼20d)가 소정 위치에 오도록 신호선(10)을 당겨 고정시킨다.
이어서, 신호선(10)의 제 2 커넥터(13)를 제 2 기판(4)에 접속시키고, 접지선(16)의 접지단자(17)를 제 2 기판(4)에 접속시킨다.
마지막으로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 커버를 떼어내고 신호선(10)의 코킹부(18)가 위쪽이 되도록 하여 제 1 커넥터(12)를 제 1 기판(2) 쪽에 접속시켜, 접지선(16)을 제 1 기판(2)의 노출부(2a)에 닿게 한다. 이 때, 접지선(16)의 코킹부(18)가 위쪽(힌지부(6)와 반대쪽)에 오도록 배치한다.
-실시예의 효과-
따라서 본 실시예에 관한 휴대전화(1)에 의하면, 상기 제 1 기판(2)과 제 2 기판(4)을 접속하는 복수의 가는 전선(11)으로 이루어지는 신호선(10)의 중간부를 1다발로 묶고, 그 바깥둘레를, 복수의 도선을 망사형으로 엮은 접지선(16)으로 피복하여, 그 각 단부를 제 1 기판(2)과 제 2 기판(4)에 각각 접속시킨다. 이로써 전도용량이 큰 접지선(16)에 의해, 제 1 기판(2)과 제 2 기판(4) 사이의 접지 전위차를 없애고 신호의 송신오차를 막을 수 있음과 더불어, 신호선(10)의 유연성이 높아져 배선처리가 매우 쉬워진다.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수지제의 연사를 구리박으로 피복한 도선으로 접지선(16)을 구성한다. 이로써 접지선(16)의 전도성과 유연성을 높일 수 있으므로, 보다 오동작이 없고, 조립하기 쉬운 휴대전화(1)가 얻어진다.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케이싱(3)과 제 2 케이싱(5)을 힌지부(6)에 의해, 그 개폐축(X)을 중심으로 폴더 개폐 자유롭게 연결시켜, 폐쇄동작 시에 가장 움직임이 적은 수평관통공(6c)에 접지선(16)으로 피복된 신호선(10)을 통과시킨다. 이로써 접지선(16)이 비틀리거나 마모되거나 하는 것이 방지됨과 더불어, 개폐동작 시에 신호선(10)이 방해가 되거나, 도선이 절단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케이싱(3)의 액정표시부를 표리반전 자유롭게 지지하며, 그 회전축의 관통공에 접지선(16)으로 피복된 신호선(10)을 통과시킨다. 이로써 표리반전 시에도 접지선(16)이 비틀리거나 마모되거나 하는 것이 방지되므로, 표리반전 시에 신호선(10)이 방해가 되거나, 도선이 절단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신호선(10)의 접지선(16)을 제 1 기판(2) 및 제 2 기판(4)에 도통된 힌지부(6)에 닿게 하여, 접지 전위차를 보다 안정시킨다. 이로써 휴대전화(1)의 작동오차를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신호선(10)의 소정 개소는, 식별표시가 되는 테이프에 의해 접지선(16)의 바깥쪽에서 피복되며, 이 테이프를 식별표시로 하여 제 1 기판(2) 및 제 2 기판(4)에 신호선(10)이 접속된다. 이로써 접지선(16)이 풀리기 어려워지는 동시에, 배선처리가 매우 쉬워진다.
(그 밖의 실시예)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대해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해도 된다.
즉 상기 실시예에서는 폴더 개폐가 자유로운 휴대전화(1)를 대상으로 하지만, 접을 수 없는 휴대전화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 액정표시부(7)를 표리반전 가능하게 제 1 케이싱(3)의 베이스부(3a)에 지지시키지만, 이와 같은 기구를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상기와 같은 기구를 구비하지 않을 경우에도, 본 발명의 신호선(10)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액정 디스플레이(7a)를 갖는 액정표시부(7)가 제 1 케이싱(3)에 배치되는 것으로 하지만, 유기EL 디스플레이를 갖는 표시부가 배치되어도 된다.
그리고 이상의 실시예는 본질적으로 바람직한 예시이며, 본 발명, 그 적용물이나 용도 범위의 제한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휴대전화에 의하면, 제 1 기판과 제 2 기판을 접속하는 복수의 가는 전선으로 이루어지는 신호선의 중간부를 1다발로 묶고, 그 바깥둘레를 복수의 도선을 망사형으로 엮은 접지선으로 피복하여, 그 각 단부를 제 1 기판과 제 2 기판에 각각 접속시킨다. 이로써 전도용량이 큰 접지선에 의해 제 1 기판과 제 2 기판 사이의 접지 전위차를 없애고 신호의 송신오차를 막을 수 있음과 더불어, 신호선의 유연성이 높아져, 배선처리가 매우 용이해진다.

Claims (6)

  1. 제 1 기판(2)을 갖는 제 1 케이싱(3)과, 제 2 기판(4)을 갖는 제 2 케이싱(5)을 구비한 통신기기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판(2)과 제 2 기판(4)은, 전도성이 있는 도체(11a)를 절연체(11b)로 피복한 복수의 가는 전선(11)으로 구성된 신호선(10)으로 접속되며,
    상기 신호선(10)은, 그 양 단부를 제외한 중간부에서 상기 복수의 가는 전선(11)이 1단으로 묶이고, 이 묶여진 상태에서 그 바깥둘레가, 복수의 도선을 망사형으로 엮은 접지선(16)에 의해 피복되며,
    상기 접지선(16)의 각 단부는, 제 1 기판(2)과 제 2 기판(4)에 각각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선(16)을 구성하는 각 도선은, 수지제의 연사를 구리박으로 피복한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기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케이싱(3)과 제 2 케이싱(5)은, 힌지부(6)에 의해 그 개폐축(X)을 중심으로 폴더 개폐 자유롭게 연결되며,
    상기 개폐축(X)의 축방향 중심에는 관통공(6c)이 형성되고,
    상기 접지선(16)으로 피복된 신호선(10)은, 상기 개폐축(X)의 관통공(6e) 내를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기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케이싱(3)은, 힌지부(6) 쪽의 베이스부와, 이 베이스부에 상기 개폐축(X)의 축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이어지는 힌지부(6)의 회전축(Y)을 중심으로 표리 반전 자유롭게 지지된 액정표시부(7)를 구비하며,
    상기 회전축(Y)의 중심에는 관통공(6f)이 형성되고,
    상기 액정표시부(7)에 상기 제 1 기판(2)이 배치되며,
    상기 접지선(16)으로 피복된 신호선(10)은, 상기 베이스부 회전축(Y)의 관통공 내를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기기.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6)는 금속제이며,
    상기 제 1 기판(2) 및 제 2 기판(4)은 각각 상기 힌지부(6)에 접해 도통상태이고,
    상기 신호선(10)의 접지선(16)은, 상기 힌지부(6)와 접해있는 부분이 도통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기기.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선(10)의 소정 개소는, 식별테이프(20a, 20b, 20c, 20d)에 의해 접지선(16)의 바깥쪽에서 피복되며,
    상기 식별테이프(20a, 20b, 20c, 20d)는, 상기 신호선(10)을, 상기 힌지부(6)를 통해 제 1 기판(2) 및 제 2 기판(4)에 접속할 때의 식별표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기기.
KR1020060012427A 2005-02-10 2006-02-09 통신기기 KR1006660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034284 2005-02-10
JP2005034284A JP2006222735A (ja) 2005-02-10 2005-02-10 通信機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0759A KR20060090759A (ko) 2006-08-16
KR100666069B1 true KR100666069B1 (ko) 2007-01-10

Family

ID=36440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2427A KR100666069B1 (ko) 2005-02-10 2006-02-09 통신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60178118A1 (ko)
EP (1) EP1705325A2 (ko)
JP (1) JP2006222735A (ko)
KR (1) KR100666069B1 (ko)
CN (1) CN181975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9401A (ko) * 2007-01-23 2008-07-2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음향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51654B2 (ja) * 2006-10-31 2009-04-08 株式会社東芝 携帯端末
JP4604015B2 (ja) * 2006-11-20 2010-12-22 シャープ株式会社 携帯機器
JP2008262729A (ja) * 2007-04-10 2008-10-30 Sumitomo Electric Ind Ltd ケーブルハーネス
JP4926913B2 (ja) * 2007-10-30 2012-05-09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電子機器
JP2010073636A (ja) * 2008-09-22 2010-04-02 Hitachi Cable Fine Tech Ltd ケーブルハーネス
WO2014132413A1 (ja) * 2013-02-28 2014-09-04 株式会社 東芝 電子機器
TWI637669B (zh) * 2013-07-12 2018-10-01 易鼎股份有限公司 Wearable assembly method of flexible circuit board and shaft member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30591B2 (en) * 2000-06-30 2006-10-3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ell phone
JP2002027066A (ja) * 2000-07-06 2002-01-25 Nec Saitama Ltd 折り畳み形携帯無線機
WO2002017333A1 (fr) * 2000-08-18 2002-02-28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Cable protecteur, procede de fabrication d'un cable protecteur et dispositif d'eclairage a lampe a decharge comprenant un cable protecteur
US7251512B2 (en) * 2002-05-13 2007-07-31 Nec Corporation Water-proof collapsible cellular terminal apparatus
US7016712B2 (en) * 2002-08-30 2006-03-21 Nokia Corporation Hingeless mobile station
US6972375B2 (en) * 2002-10-21 2005-12-06 Denso Corporation Wiring harness
JP4021797B2 (ja) * 2003-04-28 2007-12-12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
JP4265765B2 (ja) * 2003-10-02 2009-05-20 ローム株式会社 携帯通信機器
US7113812B2 (en) * 2004-11-23 2006-09-26 Universal Scientific Industrial Co., Ltd Rotatable wireless transceiver device
JP4605590B2 (ja) * 2004-11-26 2011-01-05 京セラ株式会社 無線端末装置
JP4973221B2 (ja) * 2007-02-14 2012-07-11 富士通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9401A (ko) * 2007-01-23 2008-07-2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음향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819752A (zh) 2006-08-16
EP1705325A2 (en) 2006-09-27
KR20060090759A (ko) 2006-08-16
US20060178118A1 (en) 2006-08-10
JP2006222735A (ja) 2006-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6069B1 (ko) 통신기기
US8872032B2 (en) Bundled flexible flat circuit cable
CN112042062B (zh) 连接器和基板
US7505278B2 (en) Display module and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having the same
JP3342633B2 (ja) 導体を導くためのヒンジ
US8153896B2 (en) Electrical-wire support apparatus
JP2006073840A (ja) フレキシブル配線基板及び折り畳み式電子機器
EP1093183A2 (en) Antenna equipment and communication terminal equipment
US7869842B2 (en) Folder type portable terminal with variable-type grounding unit
JP2004214443A (ja) 折り畳み式電子装置
US20090068884A1 (en) Connecting structure of printed circuit board for coaxial cable
EP1898680B1 (en)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JP2007221468A (ja) 電子機器
JP4498993B2 (ja) 極細同軸ケーブルアセンブリ
JP5050967B2 (ja) 携帯端末装置
KR200419714Y1 (ko) 동축케이블과 필름케이블간의 연성 접속구조
JP4675920B2 (ja) 電子機器及び電子機器用ヒンジカラー
CN102959931A (zh) 移动无线设备
JP4604015B2 (ja) 携帯機器
JP4721226B2 (ja) 電子機器
KR101259183B1 (ko) 동축 컨덕터
JP2007220495A (ja) 極細ケーブルアセンブリ
EP3934030B1 (en) Radio frequency connector and terminal
KR101122091B1 (ko) 기판모듈과 디스플레이모듈과 이를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
KR200422185Y1 (ko) 동축케이블을 이용한 이종타입의 인쇄회로기판 접속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