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2185Y1 - 동축케이블을 이용한 이종타입의 인쇄회로기판 접속구조 - Google Patents
동축케이블을 이용한 이종타입의 인쇄회로기판 접속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22185Y1 KR200422185Y1 KR2020060009988U KR20060009988U KR200422185Y1 KR 200422185 Y1 KR200422185 Y1 KR 200422185Y1 KR 2020060009988 U KR2020060009988 U KR 2020060009988U KR 20060009988 U KR20060009988 U KR 20060009988U KR 200422185 Y1 KR200422185 Y1 KR 200422185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ircuit board
- flexible
- coaxial cable
- signal line
- patter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1—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05K1/119—Details of rigid insulating substrates therefor, e.g. three-dimensional detail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6—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other printed circuits
- H05K3/361—Assembling flexible printed circuits with other printed circuit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2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디스플레이부가 본체상에서 회전하는 단말기의 인쇄회로기판 접속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데이터를 전송하는 신호선과, 상기 신호선을 감싸는 내부절연체와, 상기 내부절연체를 감싸는 쉴드와이어와, 상기 쉴드와이어를 감싸는 외부절연체로 구성되는 동축케이블부와; 상단면과 하단면에 동일한 전도성 패턴을 형성하고 상단면과 하단면의 대향되는 패턴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상단면의 전도성 패턴에 상기 동축케이블부 일단의 신호선이 접속되는 연성 패턴부재와; 상기 패턴부재의 전도성 패턴과 동일 패턴을 일측에 구비하여 신호 전송단으로 사용하는 연성회로기판과; 상기 동축케이블부 타단의 신호선이 연결되는 소켓 혹은 슬롯타입의 경성커넥터와; 상기 경성커넥터에 대응하는 안착구조를 일측에 갖는 경성회로기판; 및 상기 연성회로기판의 신호 입력단을 형성하는 전도성 패턴과 상기 연성 패턴부재의 하단면에 형성된 패턴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솔더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을 이용한 이종타입의 인쇄회로기판 접속구조를 제공하면, 디스플레이수단이 구비된 회전부의 인쇄회로기판과 본체부의 인쇄회로기판이 연성과 경성으로 구분되는 서로 다른 타입의 인쇄회로기판인 경우 연성과 경성의 회로기판간의 신호를 용이하게 전송 가능하다.
Description
도 1은 기존 표시장치가 회전하는 핸드폰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수단의 회전 장치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동축케이블을 이용한 이종타입의 인쇄회로기판 접속구조 예시도,
도 4는 도 3의 A-A단면 예시도.
본 고안은 디스플레이부가 본체상에서 회전하는 단말기의 인쇄회로기판 접속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스플레이수단이 구비된 회전부의 인쇄회로기판과 본체부의 인쇄회로기판이 연성과 경성으로 구분되는 서로 다른 타입의 인쇄회로기판인 경우 연성과 경성의 회로기판간의 신호를 연결시켜주기 위한 동축케이블을 이용한 이종타입의 인쇄회로기판 접속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문명사회의 발전에 따라 휴대하고 다니는 핸드폰은 발전에 발전 을 거듭하여 단순히 전화 통화만의 목적이 아닌 갖가지 기능(무선으로 상거래나 정보를 수집 할 수 있는 인터넷기능, 소형 카메라가 부착된 포토기능, 그 외 호출 및 녹음기능)등이 다양화 되어 새로운 디자인과 함께 발전되어 보급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나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 수단의 형태는 세로변의 길이가 가로변의 길이보다 긴 직사각형 형상으로 고정되어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최근에 방송과 통신이 결합된 차세대 이동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인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가 본격적으로 시작됨에 따라 방송시청은 물론 사진촬영, 게임 등 멀티미디어 기능 이용에 최적합하다고 판단되는 가로 화면형 제품이 이동통신단말기 시장에 주류로 떠오르고 있다.
상술한 가로형의 디스플레이의 개념을 적용한 핸드폰은, 첨부된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에 대한 덮개(1)부분은 90도 회전가능하게 제작된 핸드폰(HP)도 최근에 들어 선보이고 있다. 통상 이러한 기능을 피봇(Pivot)기능으로서 기존의 핸드폰에서도 보다 와이드(Wide)한 화면을 즐길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상술한 피봇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종래기술을 첨부한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부 바디 케이스(10)에 고정되는 상부 플레이트(30)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30) 하면에 위치하는 스탑와셔(40)와, 상기 스탑와셔(40)의 하면 전체에 의해 가압되는 판스프링(50)과, 하부 바디 케이스(20)에 고정되고 상기 스탑와셔(40)와 판스프링(50)이 결합되는 하부 플레이트(60), 및 상기 상부 플레이트(30)와 하부 플레이트(60)를 결합하는 고정링(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술한 구성의 상세한 설명은 대한민국등록실용 20-0390740호에 상세히 언급되어 있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어 있는 회동표시부(첨부한 도 1에서의 참조번호 1 또는 도 2에서의 참조번호 20)는 와이드 타입의 모니터 화면을 통한 청취와 거의 흡사한 효과를 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상기와 같은 90도 전환은 디스플레이수단이 구비된 회전부의 인쇄회로기판과 본체부의 인쇄회로기판 상호간의 신호 연결을 위한 커넥터케이블이 첨부한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각 부품들의 중앙에 형성되어져 있는 천공영역을 통과하여 설치되어야 함에 따라 통상의 커넥터 케이블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케이블의 꼬임 현상으로 인한 단락 등의 문제점을 갖는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근래 들어 마이크로 동축케이블(Coaxial Cable)등이 소개되었으나, 이러한 동축케이블은 인쇄회로기판에 연결되기 위해 동축케이블 양단에 별도의 특수커넥터가 필수적으로 요구되어 기존의 제작공정을 전면적으로 수정하며, 별도의 특수커넥터 제조공정이 새로이 추가됨으로 인해 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그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 등에 마이크로 동축케이블의 적용이 저조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핸드폰의 본체는 통상적으로 경성의 PCB를 이용한 회로기판을 형성하고 있으나 디스플레이부는 박형의 핸드폰을 양산하기 위해 연성의 PCB를 이용한 회로기판을 형성함에 따라 서로 다른 타입의 회로기판 간에 신호를 접속하기 위한 케이블 구조 및 접속 구조가 요구되고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디스플레이부가 본체상에서 회전하는 단말기의 인쇄회로기판 접속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스플레이수단이 구비된 회전부의 인쇄회로기판과 본체부의 인쇄회로기판이 연성과 경성으로 구분되는 서로 다른 타입의 인쇄회로기판인 경우 연성과 경성의 회로기판간의 신호를 연결시켜주기 위한 동축케이블을 이용한 이종타입의 인쇄회로기판 접속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동축케이블을 이용한 연성인쇄회로기판 접속구조의 특징은, 데이터를 전송하는 신호선과, 상기 신호선을 감싸는 내부절연체와, 상기 내부절연체를 감싸는 쉴드와이어와, 상기 쉴드와이어를 감싸는 외부절연체로 구성되는 동축케이블부와; 상단면과 하단면에 동일한 전도성 패턴을 형성하고 상단면과 하단면의 대향되는 패턴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상단면의 전도성 패턴에 상기 동축케이블부 일단의 신호선이 접속되는 연성 패턴부재와; 상기 패턴부재의 전도성 패턴과 동일 패턴을 일측에 구비하여 신호 전송단으로 사용하는 연성회로기판과; 상기 동축케이블부 타단의 신호선이 연결되는 소켓 혹은 슬롯타입의 경성커넥터와; 상기 경성커넥터에 대응하는 안착구조를 일측에 갖는 경성회로기판; 및 상기 연성회로기판의 신호 입력단을 형성하는 전도성 패턴과 상기 연성 패턴부재의 하단면에 형성된 패턴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솔더링부재를 포함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동축케이블을 이용한 연성인쇄회로기판 접속구조의 부가적인 특징은,상기 연성 패턴부재의 상단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동축케이블부 일단의 신호선에 대해 외부와 차단하는 몰딩이 이루어지는 데 있다.
본 고안의 상술한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우선 본 고안에 적용되는 기술적 사상을 간략히 살펴보면, 근래 들어 핸드폰 등의 이동통신 단말기들은 소비자의 슬립화 욕구에 발맞추어 인쇄회로기판을 하드하고 일정두께를 유지하는 통상의 경성 PCB타입에서 얇고 부드러운 연성회로기판(FPCB :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을 사용하는 추세이다.
그러나 가격적인 측면에서 핸드폰의 본체는 통상적으로 경성의 PCB를 이용한 회로기판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디스플레이부의 회로기판으로 사용되는 연성의 PCB와 본체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경성의 회로기판간의 접속이 용이하면서도 꼬임 등의 문제로 인한 신호선의 단락을 방지하기 위해 마이크로 동축케이블을 사용하되 케이블의 일측은 연성회로기판(FPCB)에 대응하도록 하는 연성 커넥터를 제공하며 다른 일측은 경성회로기판에 대응하는 커넥터 구조를 가지도록 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한 도 3은 이종타입의 인쇄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동축케이블을 도시하고 있다.
첨부한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인쇄회로기판 상호간에 연결되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동축케이블부(100)와, 상기 동축케이블부(100) 일단에 구비되며 본체부의 경성회로기판과 소켓 혹은 슬롯타입으로 연결되는 경성커넥터(240), 및 상기 동축케이블부(100) 타단에 구비되며 회동가능한 회전부에 위치하는 LCD구동용 회로기판(300)과 연결되는 연성커넥터(340)로 구성된다.
이때 LCD구동용 회로기판(300)에는 표시부(미도시)로 사용되는 LCD가 구비되어지며, 상기 LCD구동용 회로기판(300)과 동축케이블부(100)는 연성커넥터(340)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진다.
이대 상기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에 따른 접속구조인 A-A에 따른 단면을 표시한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기 동축케이블부(100)는 마이크로 동축케이블로 구성되며,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도체인 신호선(110)과, 상기 신호선(110)을 감싸며 절연시키는 내부절연체(120)와, 상기 내부절연체(120)를 감싸며 신호전송 중 발생되는 전자파장애를 차폐시키는 쉴드와이어(130)와, 상기 쉴드와이어(120)를 감싸며 동축케이블의 외관을 형성하는 외부절연체(140)로 구성되는데, 제 2연성커넥터(340)에 형성된 금속패턴과 신호선(110)이 솔더링되어지며 참조번호 M으로 지칭되는 몰딩부재에 의해 외부와 차단되어진다.
이때 상기 제 2연성커넥터(340)는 양측면에 동일한 전도성 패턴이 형성되어 있으며, 양측면에 형성되어진 각 패턴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진다.
따라서 상기 제 2연성커넥터(340)의 상단면에 연결되는 상기 동축케이블(100)의 신호선(110)은 실질적으로 상기 제 2연성커넥터(340)의 하단면에 형성되어진 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 2연성커넥터(340)의 하단면에 형성되어진 전도성 패턴과 동일패턴을 갖는 LCD구동용 회로기판(300)의 일측 신호 연결부는 참조번호 S로 지칭되는 솔더링부재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지게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고안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동축케이블을 이용한 이종타입의 인쇄회로기판 접속구조를 제공하면, 디스플레이수단이 구비된 회전부의 인쇄회로기판과 본체부의 인쇄회로기판이 연성과 경성으로 구분되는 서로 다른 타입의 인쇄회로기판인 경우 연성과 경성의 회로기판간의 신호를 용이하게 전송 가능하다.
Claims (2)
- 데이터를 전송하는 신호선과, 상기 신호선을 감싸는 내부절연체와, 상기 내부절연체를 감싸는 쉴드와이어와, 상기 쉴드와이어를 감싸는 외부절연체로 구성되는 동축케이블부와;상단면과 하단면에 동일한 전도성 패턴을 형성하고 상단면과 하단면의 대향되는 패턴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상단면의 전도성 패턴에 상기 동축케이블부 일단의 신호선이 접속되는 연성 패턴부재와;상기 패턴부재의 전도성 패턴과 동일 패턴을 일측에 구비하여 신호 전송단으로 사용하는 연성회로기판과;상기 동축케이블부 타단의 신호선이 연결되는 소켓 혹은 슬롯타입의 경성커넥터와;상기 경성커넥터에 대응하는 안착구조를 일측에 갖는 경성회로기판; 및상기 연성회로기판의 신호 입력단을 형성하는 전도성 패턴과 상기 연성 패턴부재의 하단면에 형성된 패턴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솔더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을 이용한 이종타입의 인쇄회로기판 접속구조.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연성 패턴부재의 상단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동축케이블부 일단의 신호선에 대해 외부와 차단하는 몰딩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을 이용한 이종타입의 인쇄회로기판 접속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09988U KR200422185Y1 (ko) | 2006-04-14 | 2006-04-14 | 동축케이블을 이용한 이종타입의 인쇄회로기판 접속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09988U KR200422185Y1 (ko) | 2006-04-14 | 2006-04-14 | 동축케이블을 이용한 이종타입의 인쇄회로기판 접속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22185Y1 true KR200422185Y1 (ko) | 2006-07-24 |
Family
ID=41770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60009988U KR200422185Y1 (ko) | 2006-04-14 | 2006-04-14 | 동축케이블을 이용한 이종타입의 인쇄회로기판 접속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22185Y1 (ko) |
-
2006
- 2006-04-14 KR KR2020060009988U patent/KR200422185Y1/ko active IP Right Gra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13536B1 (ko) | 전자기기의 연성회로 | |
US7505278B2 (en) | Display module and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having the same | |
JP4633605B2 (ja) | アンテナ装置及び電子装置、並びに、電子カメラ、電子カメラの発光装置、並びに、周辺装置 | |
US6636725B1 (en) | Antenna equipment and communication terminal equipment | |
JP2006344950A5 (ko) | ||
JP2008187741A (ja) | アンテナ装置 | |
KR100666069B1 (ko) | 통신기기 | |
JPWO2018211791A1 (ja) | 携帯型電子機器 | |
TWI389408B (zh) | Connectors and electronic devices with this connector | |
KR101103920B1 (ko) | 인쇄회로기판의 연결 구조 및 이를 가지는 인쇄회로기판조립체 | |
US20090068884A1 (en) | Connecting structure of printed circuit board for coaxial cable | |
KR200419714Y1 (ko) | 동축케이블과 필름케이블간의 연성 접속구조 | |
JP4300095B2 (ja) | 電子機器のシールド構造 | |
KR200422185Y1 (ko) | 동축케이블을 이용한 이종타입의 인쇄회로기판 접속구조 | |
JP2003158355A (ja) |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の接続構造および電子機器 | |
KR20140048672A (ko) | 휴대용 단말기의 전자 부품 접속 장치 | |
CN107484405B (zh) | 移动终端及其电路板组件 | |
KR200420890Y1 (ko) | 동축케이블을 이용한 연성인쇄회로기판 접속구조 | |
EP1898680A1 (en) | Display module and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having the same | |
JP2007221468A (ja) | 電子機器 | |
KR20080077838A (ko) | 동축케이블과 연성인쇄회로기판 간의 접속구조 | |
JP2006093998A (ja) | 携帯通信機 | |
JP2007135247A (ja) | 通信機器 | |
KR200396254Y1 (ko) | 이동 부착형 디지털 카메라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 |
KR101122091B1 (ko) | 기판모듈과 디스플레이모듈과 이를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717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711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