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7838A - 동축케이블과 연성인쇄회로기판 간의 접속구조 - Google Patents

동축케이블과 연성인쇄회로기판 간의 접속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7838A
KR20080077838A KR1020070017542A KR20070017542A KR20080077838A KR 20080077838 A KR20080077838 A KR 20080077838A KR 1020070017542 A KR1020070017542 A KR 1020070017542A KR 20070017542 A KR20070017542 A KR 20070017542A KR 20080077838 A KR20080077838 A KR 200800778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coaxial cable
printed circuit
flexible printed
connection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7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종은
Original Assignee
(주) 유원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유원컴텍 filed Critical (주) 유원컴텍
Priority to KR10200700175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77838A/ko
Publication of KR200800778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78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01R12/707Soldering or w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Insulated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축케이블의 일단과 연성인쇄회로기판을 별도의 미니 연성인쇄회로기판을 사용하지 않고 직접 솔더링할 수 있는 동축케이블의 일단과 연성인쇄회로기판 간의 접속구조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은 데이터를 전송하는 신호선을 갖는 동축케이블과; 임의의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수단의 구동을 위한 일련의 전도성 패턴을 일측에 구비하여 신호 입력단으로 사용하는 연성회로기판;을 포함하는 동축케이블의 일단과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접속구조에 있어서, 상기 연성회로기판의 신호 입력단을 형성하는 전도성 패턴과 상기 동축케이블의 일단으로 인출된 신호선들을 저융점의 솔더링용 납에 의해 솔더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동축케이블, 가로, 핸드폰, 이동통신단말기, LCD부, 디스플레이, 접속, 납땜

Description

동축케이블의 일단과 연성인쇄회로기판 간의 접속구조{Connecting Structure between FPCB and Coaxial cable}
도 1은 종래의 미니FPCB를 이용하여 동축케이블의 일단과 연성인쇄회로기판과의 접속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동축케이블의 일단으로 인출된 다수의 신호선과 연성인쇄회로기판과의 접속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도 2에 표시된 Ⅲ-Ⅲ선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 내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동축케이블부 300: LCD구동용 회로기판
400: UV몰딩부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부가 본체상에서 회전하는 단말기의 인쇄회로기판 접속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스플레이수단이 구비된 회전부의 인쇄회로기판과 본체부의 인쇄회로기판 상호 간을 유연성이 뛰어난 동축케이블로 연결하고 동축케이블 양단의 접속콘넥터가 각 연성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된 패턴부에 직접 솔더링되어 고 정됨으로써, 별도의 특수커넥터를 구비되지 않고도 상기 각 인쇄회로기판과 동축케이블의 콘넥터를 상호 접속하여 데이터 전송이 가능토록 한 동축케이블의 접속콘넥터와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접속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나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 수단의 형태는 세로변의 길이가 가로변의 길이보다 긴 직사각형 형상으로 고정되어 구성되었다.
하지만 최근에 방송과 통신이 결합된 차세대 이동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인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서비스가 본격적으로 시행됨에 따라 방송시청은 물론 사진촬영 및 게임 등 멀티미디어 기능 이용에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가로 화면형 제품이 이동통신단말기 시장에 주류로 떠오르고 있다. 이러한 가로형의 디스플레이의 개념을 적용한 핸드폰은, 본체에 대한 덮개부분이 90도 회전 가능하게 제작된 이동통신단말기도 최근에 들어 많이 선보이고 있다. 통상 이러한 기능을 피봇(Pivot)기능으로서 기존의 핸드폰에서도 보다 와이드(Wide)한 화면을 즐길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어 있는 덮개부분은 와이드 타입의 모니터 화면을 통한 청취와 거의 흡사한 효과를 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상기와 같은 덮개부분의 90도 전환은 디스플레이수단이 구비된 회전부의 인쇄회로기판과 본체부의 인쇄회로기판 상호간의 신호 연결을 위한 커넥터케이블이 각 부품들의 중앙에 형성되어져 있는 천공영역을 통과하여 설치되어야 함에 따라 통상의 커넥터 케이블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케이블의 꼬임 현상으로 인한 단락 등의 문제점을 갖는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근래 들어 마이크로 동축케이블(Coaxial Cable)등이 소개되었으나, 이러한 동축케이블은 인쇄회로기판에 연결되기 위해 동축케이블 양단에 별도의 특수커넥터가 필수적으로 요구되어 기존의 제작공정을 전면적으로 수정해야 하며, 아울러 별도의 특수커넥터 제조공정이 새로이 추가됨으로 인해 이동통신단말기의 제작 단가가 증가하게 되고, 이러한 문제는 이동통신단말기에 마이크로 동축케이블의 적용을 저조하게 하는 이유가 되었다. 이는 점차 이동통신단말기의 슬림화를 원하는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켜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특허출원 제2006-#######호에 동축케이블(20)의 신호선들과 연성인쇄회로기판(10) 간의 접속구조를 제안한 바 있다. 이 접속구조는 도 1과 같이, 연성인쇄회로기판(10)에 형성된 패턴부에 연성인쇄회로기판(10)과 동일 재질의 소형 연성인쇄회로기판(11)을 이용하여 동축케이블의 신호선들을 간접 솔더링되어 고정시킴으로써, 별도의 특수커넥터가 구비되지 않고도 인쇄회로기판과 동축케이블을 상호 접속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게 하였다.
그런데, 상기 동축케이블(20)과 미니 연성인쇄회로기판(11) 간을 상호 접속 시, 융점이 대략 200℃ 이상인 고온 솔더링용 납을 사용함에 따라 미니 연성인쇄회로기판(11)의 패턴불량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연성인쇄회로기판(10)과 동축케이블(20) 사이에는 반드시 매개체로 미니 연성인쇄회로기판(11)을 사용하게 되므로 제품의 단가 상승은 물론 작업공수가 늘어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이러한 접속방법은 접속부의 텐션 불량으로 인해 이탈 및 접속불량 요인이 있었으며, 이러한 불량발생 시 재가공(rework)을 통한 양품개선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동축케이블의 일단과 연성인쇄회로기판을 별도의 미니 연성인쇄회로기판을 사용하지 않고 직접 솔더링할 수 있는 동축케이블의 일단과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접속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데이터를 전송하는 신호선을 갖는 동축케이블과; 임의의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수단의 구동을 위한 일련의 전도성 패턴을 일측에 구비하여 신호 입력단으로 사용하는 연성회로기판;을 포함하는 동축케이블의 일단과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접속구조에 있어서, 상기 연성회로기판의 신호 입력단을 형성하는 전도성 패턴과 상기 동축케이블의 일단으로 인출된 신호선들을 저융점의 솔더링용 납에 의해 솔더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과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접속구조를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솔더링부재의 용융온도는 139℃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동축케이블의 일단과 연성인쇄회로기판 간의 접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UV몰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축케이블의 일단과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접속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동축케이블의 일단으로 인출된 다수의 신호선과 연성인쇄회로기판과의 접속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표시된 Ⅲ-Ⅲ선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다.
첨부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접속구조에 사용되는 동축케이블(100)은 인쇄회로기판 상호 간에 연결되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다수의 신호선이 동축케이블(100) 양단으로 각각 노출되도록 인출되며, 동축케이블(100)의 양단 중 일단은 본체부의 회로기판과 연결되는 접속콘넥터(240)가 결합된다. 이 경우, 접속콘넥터(240)는 부드럽게 절곡될 수 있도록 연성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동축케이블(100)은 마이크로 동축케이블로 구성되며,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도체인 다수의 신호선(110)과, 신호선(110)을 감싸며 절연시키는 내부절연체(미도시)와, 내부절연체(미도시)를 감싸며 신호전송 중 발생되는 전자파장애를 차폐시키는 쉴드와이어(120)와, 쉴드와이어(130)를 감싸며 동축케이블(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외부절연체(미도시)로 구성된다.
LCD구동용 회로기판(300)에는 표시부(D)로 사용되는 LCD(D; 표시부와 동일 부호 적용)가 구비되며, LCD구동용 회로기판(300)과 동축케이블(100)의 일단은 전기적으로 상호 접속된다. 이와 같이 다수의 신호선(110)이 접속되는 LCD구동용 회로기판(300)는 일측에 다수의 신호선(110)이 각각 접속되도록 전도성 패턴이 형성 된다.
이 경우, LCD구동용 회로기판(300)의 신호 연결부와 다수의 신호선(110)은 저융점을 갖는 납을 통해 솔더링된다. 이 경우, 저융점의 솔더링용 납은, 그 용융온도가 139℃로 일반적인 솔더링용 납의 용융온도인 200℃에 비하여 낮다. 이에 따라, 다수의 신호선(110)과 LCD구동용 회로기판(300)의 신호 연결부의 솔더링 시, 종래와 같이 고온에 의해 발생하는 패턴불량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절곡이 자유로운 동축케이블(100)은 특별한 커넥터 구조를 갖지 않더라도, 다수의 신호선(110)과 LCD구동용 회로기판(300)을 저융점의 솔더링용 납을 통해 직접 솔더링 함으로써 전기적 결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UV몰딩부(400)는 솔더링부재(400)에 의해 상호 전기적으로 접속된 LCD구동용 회로기판(300)과 동축케이블(100)의 다수의 신호선(110) 간의 접합력을 향상시키는 것은 물론 외부로부터 차폐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있어서는, 동축케이블의 일단과 LCD구동용 회로기판을 저융점을 갖는 솔더링용 납을 통해 상호 접속시킴에 따라 종래의 고온의 융점을 갖는 솔더링용 납을 사용하는 경우 발생했던 패턴불량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동축케이블의 일단과 LCD구동용 회로기판은 서로 별도의 매개체로 미니 연성인쇄회로기판 등을 사용하지 않고, 직접 솔더링함에 따라 제품의 단가를 낮추는 것은 물론 작업공수를 줄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접속구조를 통해서는, 동축케이블과 LCD구동용 회로기판 간의 접속부의 텐션 불량으로 인해 이탈 및 접속불량 요인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으며, 이러한 불량발생 시 재가공(rework)을 통한 양품개선이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3)

  1. 데이터를 전송하는 신호선을 갖는 동축케이블과; 임의의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수단의 구동을 위한 일련의 전도성 패턴을 일측에 구비하여 신호 입력단으로 사용하는 연성회로기판;을 포함하는 동축케이블의 일단과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접속구조에 있어서,
    상기 연성회로기판의 신호 입력단을 형성하는 전도성 패턴과 상기 동축케이블의 일단으로 인출된 신호선들을 저융점의 솔더링용 납에 의해 솔더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과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접속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솔더링부재의 용융온도는 139℃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과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접속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동축케이블의 일단과 연성인쇄회로기판 간의 접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UV몰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의 접속콘넥터와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접속구조.
KR1020070017542A 2007-02-21 2007-02-21 동축케이블과 연성인쇄회로기판 간의 접속구조 KR200800778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7542A KR20080077838A (ko) 2007-02-21 2007-02-21 동축케이블과 연성인쇄회로기판 간의 접속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7542A KR20080077838A (ko) 2007-02-21 2007-02-21 동축케이블과 연성인쇄회로기판 간의 접속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7838A true KR20080077838A (ko) 2008-08-26

Family

ID=39880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7542A KR20080077838A (ko) 2007-02-21 2007-02-21 동축케이블과 연성인쇄회로기판 간의 접속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7783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28536A3 (ko) * 2011-03-24 2012-12-27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케이블 접속 장치
WO2013015536A1 (en) * 2011-07-26 2013-01-31 Lg Innotek Co., Ltd. Cable connection structure of camera module for vehicle
US10903704B2 (en) 2016-04-29 2021-01-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Fan motor for air conditioner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28536A3 (ko) * 2011-03-24 2012-12-27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케이블 접속 장치
US9136655B2 (en) 2011-03-24 2015-09-15 Kmw Inc. Cable connection device
WO2013015536A1 (en) * 2011-07-26 2013-01-31 Lg Innotek Co., Ltd. Cable connection structure of camera module for vehicle
KR101318543B1 (ko) * 2011-07-26 2013-10-1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의 케이블 연결구조
US9590321B2 (en) 2011-07-26 2017-03-07 Lg Innotek Co., Ltd. Cable connection structure of camera module for vehicle
US10903704B2 (en) 2016-04-29 2021-01-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Fan motor for air condition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60369B2 (en) Assembly of cable and connector
CN102099873B (zh) 同轴电缆束
JP5238860B2 (ja) 電子機器
CN102055082B (zh) 同轴电缆束
JP2006344950A5 (ko)
JP4929329B2 (ja) 回路基板の挿入位置決めコネクタ
JP2006344950A (ja) 電子機器のfpcb
US20220320775A1 (en) Connector and wiring structure
KR20210120888A (ko) 전면 및 후면 안테나를 갖는 무선 주파수 배치
JP2009081009A (ja) 極細同軸ハーネス,配線板接続体,配線板モジュールおよび電子機器
KR20080077838A (ko) 동축케이블과 연성인쇄회로기판 간의 접속구조
US20090068884A1 (en) Connecting structure of printed circuit board for coaxial cable
CN105552498A (zh) 可挠式传输装置及通信装置
WO2015005182A1 (ja) アンテナエレメントおよびアンテナ装置
KR200419714Y1 (ko) 동축케이블과 필름케이블간의 연성 접속구조
CN210641131U (zh) Fpc柔性线路板、显示模组及电子装置
CN210469881U (zh) Pcb板拼接结构及天线装置
KR100897416B1 (ko) 이동통신 단말기
JP2007135247A (ja) 通信機器
KR200422185Y1 (ko) 동축케이블을 이용한 이종타입의 인쇄회로기판 접속구조
KR200420890Y1 (ko) 동축케이블을 이용한 연성인쇄회로기판 접속구조
KR20190110371A (ko) 연성 회로 기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098369B1 (ko) 연성 평판 케이블을 이용한 저전압 차등 신호 케이블
KR100619956B1 (ko) 회로기판 연결 장치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
JP4823746B2 (ja) 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