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8672A - 휴대용 단말기의 전자 부품 접속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의 전자 부품 접속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8672A
KR20140048672A KR1020120114907A KR20120114907A KR20140048672A KR 20140048672 A KR20140048672 A KR 20140048672A KR 1020120114907 A KR1020120114907 A KR 1020120114907A KR 20120114907 A KR20120114907 A KR 20120114907A KR 20140048672 A KR20140048672 A KR 201400486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electronic component
circuit board
main circui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4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93374B1 (ko
Inventor
장영훈
김길남
백상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149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3374B1/ko
Priority to US14/035,121 priority patent/US9439286B2/en
Priority to CN201310484874.4A priority patent/CN103730790B9/zh
Publication of KR201400486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86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33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33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4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 H05K1/148Arrangements of two or more hingeably connected rigid printed circuit boards, i.e. connected by flexible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82Coupling device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4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with contacts abutting directly the printed circuit; Button contacts therefore provided on the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35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with opposite contact points, e.g. C bea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02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 H01R4/023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between cables or wires and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3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e.g. telephone hand-se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 H05K1/189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flexible or folded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1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telephony

Abstract

본 발명은 상기 전자 부품으로부터 연장되는 적어도 한 쌍의 도선들; 상기 도선들의 단부에 연결된 기판; 및 상기 기판의 일면에 제공되어 상기 도선들 중 하나에 각각 연결되는 접속 부재들을 포함하는 전자 부품 접속 장치를 개시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전자 부품 접속 장치는 납땜을 하거나 커넥터와 소켓을 결합하는 등의 공정이 불필요하고, 전자 부품의 표준화/공용화가 용이하여 전자 부품의 제조 단가, 더 나아가서는 휴대용 단말기의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의 전자 부품 접속 장치 {CONNECTING DEVICE FOR ELECTRONIC COMPONENTS OF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정보통신 기기, 예를 들면, 이동통신 단말기로 대표되는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진동 모터, 스피커 폰, 돔 시트, 마이크로 폰 등의 전자 부품을 주회로 기판에 접속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들은 통신 기능, 멀티미디어 기능 등을 수행하기 위한 각종 회로 장치들과 전자 부품들, 예를 들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을 위한 각종 입출력 장치들을 구비하고 있다.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 장치로는 사용자의 음성을 포함한 음향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 폰, 문자나 데이터 입력을 위한 키패드, 영상 입력을 위한 카메라 등이 있으며, 출력 장치로는 음향 출력을 위한 스피커 폰, 영상 출력을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등이 있다. 또한, 제품에 따라서는 호(call) 수신이나 일정 알림 등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진동 모터를 구비하기도 한다.
대체로 휴대용 단말기는 중앙 처리 장치, 저장 장치, 통신 모듈 등을 주회로 기판에 탑재하고 있으며, 입출력 장치들은 주회로 기판과는 별도로 단말기의 하우징 내에 배치된다. 따라서 휴대용 단말기 내에서 전자 부품들은 각각의 접속 장치를 통해 주회로 기판에 연결된다.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나 카메라와 같이 영상 정보를 입출력하는 전자 부품의 경우, 다수의 데이터 라인들을 포함하는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을 통해 주회로 기판에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에, 스피커 폰, 마이크로 폰, 진동 모터와 같은 입출력 장치는 2~3핀(pin) 내외의 데이터 라인만으로도 입출력 신호의 전달이 충분히 가능하다. 따라서 일부의 전자 부품은 도선(wire)들을 이용한 접속 장치를 통해 주회로 기판에 접속되기도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2핀의 데이터 라인만으로 주회로 기판에 접속되는 전자 부품(10)을 각각 도시하고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각각 도시된 전자 부품(10)은 진동 모터를 예시한 것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전자 부품(10)은 한 쌍의 도선(11)들로 이루어진 2핀의 데이터 라인을 통해 주회로 기판에 접속되며, 도 3에 도시된 전자 부품(10)은 2핀 데이터 라인을 인쇄회로로 구현한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15)을 통해 주회로 기판에 접속된다. 이때, 상기 도선(11)들과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15)은 그의 일단이 상기 전자 부품(10)에 접속되어 있으며, 일정 길이만큼 연장된다. 상기 도선(11)들과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15)의 길이와 형상은 상기 전자 부품(10)이 설치되는 공간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된다.
여기서, 도 1에 도시된 전자 부품(10)에 연결되는 도선(11)은 단부에서 피복이 제거되어 심선(core)이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도선(11)의 단부로 노출된 심선은 주회로 기판에 제공되는 납땜용 패드에 납땜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주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러나 이러한 전자 부품의 접속 구조는 주회로 기판에 납땜용 패드를 배치해야할 뿐만 아니라, 납땜 공정을 별도로 진행해야 하므로 생산성을 저하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휴대용 단말기와 같이 다양한 고밀도 집적회로 등이 배치되는 주회로 기판은 대체로 표면 실장 공정을 통해 제작되는데, 이러한 주회로 기판에 도선을 납땜하는 것은 공정의 추가가 불가피하여 생산 비용의 증가를 유발하게 된다. 또한, 도선을 납땜 방식으로 주회로 기판에 연결하는 경우, 진동 모터와 같은 전자 부품 또한 주회로 기판상에 고정해야 하는데, 이는 주회로 기판의 회로 배치 설계에 있어, 집적 회로들의 배치 공간을 확보하는데 장애가 된다.
도 2에 도시된 전자 부품에 연결된 도선(11)에는 별도의 커넥터(13)가 제공되어 있다. 상기 커넥터(13)는 주회로 기판에 제공되는 소켓 등, 상대 커넥터에 결합하여 상기 도선(11), 나아가서는 상기 전자 부품(10)을 주회로 기판에 접속시키게 된다. 상기 도선(11)의 단부에 커넥터(13)를 설치한 경우, 진동 모터와 같은 전자 부품(10)을 단말기의 하우징 내측면에 조립하고, 주회로 기판을 단말기의 하우징에 배치하는 과정에서 상기 커넥터(13)를 주회로 기판의 소켓에 결합할 수 있다. 그러나 커넥터 자체의 제조 단가가 높고, 또한 그에 상응하는 소켓을 주회로 기판에 설치해야 하므로, 생산 비용의 증가가 불가피한 단점이 있다. 더욱이, 커넥터를 소켓에 접속시키는 것은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생산성을 저하하는 문제점이 있다.
도 3에 도시된 전자 부품(10)은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15)을 통해 주회로 기판에 접속되는데,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15)의 단부에는 데이터 라인들과 연결된 데이터 핀들이 노출되어 있는데, 주회로 기판에 별도로 제공된 소켓 등의 커넥터에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의 단부가 결합하여 데이터 핀들이 소켓, 나아가서는 주회로 기판에 접속하게 된다. 그러나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은 유연성을 가지고 있기는 하나,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도선들만큼 자유롭게 변형하기 어렵다. 따라서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 공간 설계가 변경되면, 전자 부품을 주회로 기판에 접속시키는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 또한 다시 설계해야 하므로 표준화/공용화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통상적인 도선과 비교할 때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 자체의 제작 비용이 높으므로,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을 이용하여 전자 부품을 주회로 기판에 접속시키는 것은 제조 단가를 상승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전자 부품을 주회로 기판에 접속함에 있어,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할 수 있는 접속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 부품을 주회로 기판에 접속을 제공하면서, 표준화/공용화가 용이한 구조의 접속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조립 / 결합 공정을 수행하지 않더라도 전자 부품을 주회로 기판에 접속할 수 있는 접속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전자 부품으로부터 연장되는 도선; 상기 도선의 단부에 연결된 기판; 및 상기 기판의 일면에 제공되어 상기 도선에 연결되는 접속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부품 접속 장치를 개시한다.
상기 전자 부품은 진동 모터, 스피커 폰, 돔 시트 및 마이크로 폰 중 하나일 수 있다.
상기 기판은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접속 부재는 씨 클립(C clip) 및 도전성 패드 중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접속 장치는 상기 기판의 타면에 제공되는 납땜용 패드를 더 구비하고, 상기 도선의 단부는 상기 납땜용 패드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속 장치는 상기 기판을 관통하게 형성된 비아 홀을 더 구비하고, 상기 납땜용 패드는 상기 비아 홀을 통해 상기 접속 부재로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접속 장치는 상기 기판의 일면에 형성되는 인쇄회로 패턴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접속 부재는 각각 상기 인쇄회로 패턴을 통해 상기 비아 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접속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비대칭 형상임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와 같은 접속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접속 장치는 상기 기판의 가장자리에 인접하는 위치에서 상기 기판을 관통하게 형성되는 적어도 한 쌍의 정렬 홀들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접속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타면에 제공되는 접착 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착 부재는 상기 기판의 타면을 상기 단말기의 하우징 내측면에 대면한 상태로 부착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접속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상기 접속 부재를 상기 단말기의 주회로 기판에 대면한 상태로 상기 단말기의 내부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기판은 상기 단말기의 내부에 형성된 가이드 리브에 둘러싸인 채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전자 부품 접속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선은 상기 전자 부품으로부터 적어도 한 쌍으로 연장되며, 한 쌍의 상기 접속 부재가 상기 도선들의 단부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전자 부품 접속 장치는 도선의 단부에 제공되는 기판에 접속 부재가 제공되며 단말기의 주회로 기판에 대면하게 배치하는 것만으로 접속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에 따른 접속 장치를 구비하는 전자 부품을 단말기의 하우징에 고정한 상태로 주회로 기판을 하우징에 조립하는 것만으로도 전자 부품을 주회로 기판에 접속시킬 수 있다. 따라서 납땜을 하거나, 커넥터와 소켓을 결합하는 등의 공정이 불필요하여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기판과 전자 부품은 도선들로 연결되어 있으며, 도선들은 자유롭게 변형될 수 있으므로, 내부 공간이 서로 다르게 설계된 휴대용 단말기들에 동일한 전자 부품을 공용화할 수 있게 된다. 즉, 전자 부품의 표준화/공용화가 용이하며, 이는 전자 부품의 제조 단가, 더 나아가서는 휴대용 단말기의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접속 장치 구조를 가지는 전자 부품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접속 장치 구조를 가지는 전자 부품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종래 기술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접속 장치 구조를 가지는 전자 부품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부품의 접속 장치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전자 부품의 접속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접속 장치의 일면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선 A-A'을 따라 접속 장치를 절개하여 나타내는 측면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접속 장치의 변형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9는 도 5에 도시된 접속 장치를 구비하는 전자 부품이 단말기의 하우징에 결합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접속 장치가 주회로 기판에 접속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부품 접속 장치(100)는 전자 부품(10)으로부터 연장되는 도선(11)들, 상기 도선(11)들의 단부에 제공되는 기판(101) 및 상기 기판(101)의 일면에 제공되는 접속 부재(111; 도 6에 도시됨)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전자 부품(10)이나 도선(11) 자체는 도 1에 도시된 구성과 동일하여, 도면 부호를 동일하게 부여하고 있음에 유의한다.
상기 전자 부품(10)으로는 진동 모터를 예시하고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접속 장치(100)는 진동 모터뿐만 아니라, 스피커 폰, 돔 시트 및 마이크로 폰 등을 주회로 기판(143; 도 10에 도시됨)에 접속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2핀 내지 3핀의 데이터 라인만으로도 입출력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전자 부품은 본 발명에 따른 접속 장치(100)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 등의 주회로 기판(143)에 접속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전자 부품(10)의 예로 언급된 돔 시트는 숫자 및 문자 입력을 위한 키패드의 돔 시트일 수 있다. 다만, 대체로 숫자 및 문자 입력을 위한 키패드는 다수의 데이터 라인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을 이용한 접속 장치를 통해 주회로 기판에 접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접속 장치(100)를 통해 주회로 기판(143)에 접속되는 돔 시트는, 음량 조절 등을 위한 2 방향 키, 전원 키, 카메라 셔터 키,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핫 키 등에 설치되는 돔 시트를 의미한다.
상기 도선(11)들은 각각 심선을 피복을 감싸는 것으로서, 그의 일단은 상기 전자 부품(10)에 제공되는 납땜용 패드(19)들에 고정된다. 상기 전자 부품(10)의 일측에는 상기 납땜용 패드(19)들을 배치하기 위한 돌출부(17)가 제공된다. 상기 전자 부품(10)에, 구체적으로 상기 납땜용 패드(19)에 상기 도선(11)의 일단을 납땜으로 고정한 후에는, 실리콘 수지 등을 도포, 경화시켜 납땜 부위를 보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전자 부품(10)은 2핀 또는 3핀의 데이터 라인을 통해 주회로 기판(143)에 접속하게 되므로, 상기 도선(11)들은 적어도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선(11)들은 그 형상을 자유롭게 변형할 수 있으므로, 휴대용 단말기 등의 내부 공간 설계가 변경되더라도 배선이 자유롭다.
상기 기판(101)은 강성 재질의 기판을 사용할 수 있으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용 필름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상기 기판(101)을 단말기의 하우징 등에 조립함에 있어, 특정 방향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기판(101)은 비대칭 형상임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기판(101)은 대체로 정사각형 형상이면서 일측 모서리 부분에 돌출된 곡선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기판(101)이 고정되는 단말기의 하우징(103; 도 9에 도시됨) 내부에는 상기 기판(101)의 형상에 상응하는 가이드 리브(135; 도 9에 도시됨) 등이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작업자가 특별히 상기 기판(101)의 조립 방향을 의식하지 않더라도, 일면에 제공되는 상기 접속 부재(111)들을 주회로 기판(143) 등에 마주보는 방향으로 상기 기판(101)을 단말기의 하우징에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기판(101)은 정렬 홀(119)들을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정렬 홀(119)들은 상기 기판(101)을 관통하게 형성되며, 하우징 등의 내부에 형성된 정렬 돌기(139; 도 9에 도시됨)들과 맞물리게 된다. 상기 정렬 홀(119)들을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된 정렬 돌기(139)들과 맞물리게 함으로써, 조립 과정에서 상기 기판(101)의 조립 위치 설정이 용이하고 상기 기판(101)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정렬 홀(119)들은 상기 기판(101)에 적어도 한 쌍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기판(101)을 하우징의 내측면 등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접속 장치(100)는 접착 부재(12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접착 부재(121)는 상기 기판(101)의 타면에 제공되는 양면 테이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조립 공정에 따라서는 상기 기판(101)의 타면 또는 하우징의 내측면에 접착제를 도포할 수도 있다. 즉, 양면 테이프와 같은 접착 부재(121)를 사용하지 않고 접착제를 이용하여 상기 기판(101)을 하우징의 내측면 등에 부착,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기판(101)의 일면에는 상기 접속 부재(111)가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도선(11)들의 타단이 상기 기판(101)의 타면에 연결되어 상기 접속 부재(1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기판(101)의 타면에는 또 다른 납땜용 패드(113)들이 배치되어 상기 도선(11)들을 상기 기판(101)에 연결, 고정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즉, 상기 도선(11)들은 납땜에 의해 상기 기판(101)에 연결,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도선(11)들의 단부가 상기 기판(101)에 납땜에 의해 고정된 후에는, 실리콘 수지 등을 도포하여 경화시킴으로써, 납땜 부위(123)를 보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판(101)의 일면에는 인쇄회로 패턴(11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속 부재(111)들은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판 형태의 패드로 구성되거나,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씨 클립(C clip)(125)과 같은 단자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접속 부재(111)는 상기 기판(101)에 형성된 인쇄회로 패턴(115) 상에 장착, 고정된다. 상기 접속 부재(111)가 평판 형태의 패드로 구성된다면, 그에 대응하는 주회로 기판(143)에는 씨 클립과 같은 단자 부재가 배치되며, 상기 접속 부재(111)가 씨 클립과 같은 단자 부재로 구성된다면 주회로 기판(143)에는 평판 형태의 패드가 배치된다. 도시되지는 않지만 상기 기판(101)의 타면에 납땜용 패드(113)를 배치함에 있어서도, 상기 기판(101)의 타면에 인쇄회로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납땜용 패드(113)가 상기 기판(101)의 타면에 형성된 인쇄회로 패턴 상에 장착,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기판(101)에는 비아 홀(117; 도 7에 도시됨)이 형성되어 상기 납땜용 패드(113)를 상기 인쇄회로 패턴(115)으로 연결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납땜용 패드(113)는 상기 비아 홀(117)과 인쇄회로 패턴(115)을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상기 접속 부재(111)로 연결된다. 이로써, 상기 기판(101)의 타면에 연결된 도선(11)들은 상기 접속 부재(111)로 각각 연결된다.
이하에서는, 도 9와 도 10을 참조하여 상기 접속 장치(100)를 구비하는 전자 부품(10)이 단말기의 하우징에 조립되는 구조와,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주회로 기판(143) 등에 접속되는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9는 휴대용 단말기의 하우징에 상기 접속 장치(100)를 구비하는 전자 부품(10)이 조립되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도 9는 휴대용 단말기의 하우징 중에서도 후면 케이스(103)를 도시하고 있으며, 상기 후면 케이스(103)에는 배터리 장착홈(131)이 제공된다. 상기 전자 부품(10)과 접속 장치(100)를 고정하기 위한 구조물들이 상기 후면 케이스(103)의 내측면에 형성된다.
상기 전자 부품(10)을 고정하기 위해, 상기 후면 케이스(103)의 내측면에는 제1의 가이드 리브(13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자 부품(10)은 상기 제1 가이드 리브(133)에 둘러싸이는 형태로 휴대용 단말기의 하우징, 구체적으로, 상기 후면 케이스(103)의 내측면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전자 부품(10)의 일면에 양면 테이프 등의 접착 부재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전자 부품(10)을 상기 후면 케이스(103)의 내측면에 부착, 고정할 수 있다.
상기 기판(101)을 고정하기 위해, 상기 후면 케이스(103)의 내측면에는 제2의 가이드 리브(13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가이드 리브(135)는 상기 기판(101)의 둘레를 둘러싸는 형태로 제공된다. 다만, 상기 기판(101)의 일측 모서리 부분이 돌출된 곡선 형태라면, 상기 제2 가이드 리브(135)의 일부분은 개방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판(101)은 돌출된 곡선 부분이 상기 제2 가이드 리브(135)의 개방된 부분에 위치된 상태로 설치된다. 즉,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기판(101)은 비대칭 형상으로 제작되며, 상기 제2 가이드 리브(135)는 상기 기판(101)의 형상에 상응하게 형성되어 상기 기판(101)이 조립되는 방향을 설정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후면 케이스(103)의 내측에는 상기 기판(101)을 지지하는 안착면(137)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면(137)은 상기 후면 케이스(103)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위치에 제공되며, 실질적으로 상기 제2 가이드 리브(135)에 의해 둘러싸이게 된다. 상기 안착면(137)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렬 돌기(139)가 형성된다. 상기 정렬 돌기(139)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기판(101)에 형성된 정렬 홀(119)들과 맞물리게 된다. 상기 기판(101)은 상기 정렬 홀(119)들과 정렬 돌기(139)들이 각각 맞물리는 상태로 상기 안착면(137)에 위치된다. 이때, 상기 기판(101)의 타면에 제공된 접착 부재(121)는 상기 기판(101)을 상기 안착면(137)에 부착, 고정된다.
이때, 상기 안착면(137)에는 회피홈(14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선(11)들은 상기 기판(101)의 타면에 납땜에 의해 연결, 고정될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실리콘 수지 등으로 납땜 부위를 보호하게 됨을 앞서 언급한 바 있다. 이러한 납땜 부위는 상기 기판(101)의 타면에서 돌출되는 것이 불가피하며, 상기 안착면(137)에 상기 기판(101)의 타면을 부착함에 있어 장애가 된다. 따라서 상기 회피홈(141)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기판(101)의 타면이 상기 안착면(137)에 밀착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상기 기판(101)이 상기 후면 케이스(103)에 고정된 상태에서 주회로 기판(143)과 대면하게 배치되는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이때, 상기 기판(101)에 제공되는 접속 부재(111)로 평판 형태의 패드가 예시되고 있으며, 상기 주회로 기판(143)에는 씨 클립(145)이 배치된다. 상기 씨 클립(145)은 탄성력을 보유하고 있어, 그의 일부분을 상기 주회로 기판(143)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유지한다. 상기 주회로 기판(143)이 상기 후면 케이스(103)의 내측면에 마주보게 조립되면, 상기 접속 부재(111)는 상기 씨 클립(145)과 마주보게 위치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기판(101)은 상기 접속 부재(111)를 상기 주회로 기판(143)에 마주보게 할 수 있도록 상기 후면 케이스(103)에 조립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기판(101)과 상기 후면 케이스(103) 사이의 거리는 상기 주회로 기판(143)으로부터 상기 씨 클립(145)의 최고 높이보다 작게 설정된다. 따라서 상기 씨 클립(145)은 상기 접속 부재(111)에 접속되고, 상기 씨 클립(145)의 탄성력은 상기 씨 클립(145)과 접속 부재(111)의 접속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접속 장치(100)는 주회로 기판(143)에 별도로 납땜을 하거나 결합하는 과정이 불필요하다. 즉, 상기 전자 부품(10)과 접속 장치(100)의 기판(101)을 하우징, 구체적으로 상기 후면 케이스(103)에 조립하고, 주회로 기판(143)을 상기 후면 케이스(103)에 배치, 고정하는 것만으로 상기 전자 부품(10)은 주회로 기판(143)에 접속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기판(101)과 전자 부품(10)은 도선(11)들로 연결되어 상기 후면 케이스(103) 내에서 배선이 자유롭다. 아울러, 상기 도선(11)들을 꼬아서 배선하게 되면 상기 기판(101)과 전자 부품(10) 사이의 거리를 줄일 수 있으므로, 상기 안착면(137)과 제1 가이드 리브(133) 사이의 거리를 설계함에 있어서도 상기 후면 케이스(103)의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부품(10)의 접속 장치(100)는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 공간의 배치가 변경되더라도 동일하게 활용할 수 있으므로, 전자 부품의 표준화/공용화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 전자 부품 11: 도선
100: 접속 장치 101: 기판
111: 접속 부재 113: 납땜용 패드
121: 접착 부재

Claims (14)

  1. 휴대용 단말기의 전자 부품 접속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 부품으로부터 연장되는 도선;
    상기 도선의 단부에 연결된 기판; 및
    상기 기판의 일면에 제공되어 상기 도선에 연결되는 접속 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부품 접속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부품은 진동 모터, 스피커 폰, 돔 시트 및 마이크로 폰 중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부품 접속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부품 접속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부재는 씨 클립(C clip) 및 도전성 패드 중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부품 접속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타면에 제공되는 납땜용 패드를 더 구비하고,
    상기 도선의 단부는 상기 납땜용 패드 상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부품 접속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을 관통하게 형성된 비아 홀을 더 구비하고,
    상기 납땜용 패드는 상기 비아 홀을 통해 상기 접속 부재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부품 접속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일면에 형성되는 인쇄회로 패턴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접속 부재는 상기 인쇄회로 패턴을 통해 상기 비아 홀에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부품 접속 장치.
  8. 제1 항 내지 제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비대칭 형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부품 접속 장치.
  9. 제1 항 내지 제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가장자리에 인접하는 위치에서 상기 기판을 관통하게 형성되는 적어도 한 쌍의 정렬 홀들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부품 접속 장치.
  10. 제1 항 내지 제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타면에 제공되는 접착 부재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부품 접속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부재는 상기 기판의 타면을 상기 단말기의 하우징 내측면에 대면한 상태로 부착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부품 접속 장치.
  12. 제1 항 내지 제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상기 접속 부재를 상기 단말기의 주회로 기판에 대면한 상태로 상기 단말기의 내부에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부품 접속 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상기 단말기의 내부에 형성된 가이드 리브에 둘러싸인 채로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부품 접속 장치.
  14. 제1 항 내지 제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선은 상기 전자 부품으로부터 적어도 한 쌍으로 연장되며, 한 쌍의 상기 접속 부재가 상기 도선들의 단부에 각각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부품 접속 장치.
KR1020120114907A 2012-10-16 2012-10-16 휴대용 단말기의 전자 부품 접속 장치 KR1019933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4907A KR101993374B1 (ko) 2012-10-16 2012-10-16 휴대용 단말기의 전자 부품 접속 장치
US14/035,121 US9439286B2 (en) 2012-10-16 2013-09-24 Connecting device for electronic component of electronic device
CN201310484874.4A CN103730790B9 (zh) 2012-10-16 2013-10-16 用于电子装置的电子元器件的连接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4907A KR101993374B1 (ko) 2012-10-16 2012-10-16 휴대용 단말기의 전자 부품 접속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8672A true KR20140048672A (ko) 2014-04-24
KR101993374B1 KR101993374B1 (ko) 2019-06-26

Family

ID=50454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4907A KR101993374B1 (ko) 2012-10-16 2012-10-16 휴대용 단말기의 전자 부품 접속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439286B2 (ko)
KR (1) KR101993374B1 (ko)
CN (1) CN103730790B9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31580B2 (en) * 2015-09-15 2017-11-28 Ghsp, Inc. Vehicle-mounted sensorless motor with edge-connected termination
CN206470773U (zh) * 2016-12-20 2017-09-05 深圳捷仕科技有限公司 一种馈点连接的指纹数据模块和移动通讯终端
US10177515B2 (en) 2017-05-17 2019-01-08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Lug assemblies and related electrical apparatus and methods
JP6824361B1 (ja) * 2019-10-25 2021-02-03 三菱電機株式会社 インバータ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7398A (ja) * 1992-07-02 1994-03-18 Motorola Inc オーバモールド形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70094388A (ko) * 2006-03-17 2007-09-20 구일 주식회사 개인휴대단말기의 단자 결합구조 및 그 결합방법
JP2010067696A (ja) * 2008-09-09 2010-03-25 Shin Etsu Polymer Co Ltd 光トランシーバ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00362A (en) * 1989-09-06 1993-04-06 Motorola, Inc. Method of attaching conductive traces to an encapsulated semiconductor die using a removable transfer film
DE19961116A1 (de) * 1999-12-17 2001-07-05 Siemens Ag Leiterplattenanordnung
JP2009246116A (ja) * 2008-03-31 2009-10-22 Yamaha Corp リードフレーム及びパッケージ本体、パッケージ、半導体装置、並びにマイクロフォンパッケージ
CN101599583B (zh) * 2008-06-04 2011-12-07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芯片卡卡持结构及应用其的电路板组件
CN102289287A (zh) * 2010-06-18 2011-12-21 英业达股份有限公司 键盘模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7398A (ja) * 1992-07-02 1994-03-18 Motorola Inc オーバモールド形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70094388A (ko) * 2006-03-17 2007-09-20 구일 주식회사 개인휴대단말기의 단자 결합구조 및 그 결합방법
JP2010067696A (ja) * 2008-09-09 2010-03-25 Shin Etsu Polymer Co Ltd 光トランシー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439286B2 (en) 2016-09-06
KR101993374B1 (ko) 2019-06-26
US20140102786A1 (en) 2014-04-17
CN103730790B (zh) 2017-11-21
CN103730790A (zh) 2014-04-16
CN103730790B9 (zh) 2018-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267617A1 (en) Electrical connector and camera device having the same
JP2006344950A (ja) 電子機器のfpcb
US9401568B1 (en) Connect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TW201543754A (zh) 通訊系統之纜線連接器組件
US8882541B2 (en) Socket connector, camera module and terminal device
JPH04368785A (ja) 同軸マルチ混在コネクタ
US5066235A (en) Connector assembly for electronic devices
KR101993374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전자 부품 접속 장치
JP2004172790A (ja) カメラの組み込み方法及びカメラ付き携帯形電子機器
JPWO2021024941A1 (ja) コネクタ、配線構造及び基板間接続方法
US7077692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mounting circuit elements
JP2011211172A (ja) 電気配線を備えた電子機器
US20130003330A1 (en) Connection unit for electronic devices
JP2016177884A (ja) コネクタ装置
US8147263B2 (en) Mobile terminal device
JP4660825B2 (ja) 電子装置及び電子装置における基板の収納方法
JP2007311427A (ja) 電気回路機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TW201417411A (zh) 電連接器及具有該電連接器之電子裝置
KR100803026B1 (ko) 보드 대 보드 커넥터
JP2006186639A (ja) 電子機器
CN216850424U (zh) 触点模组和电子设备
JP3753615B2 (ja) プラスチックフィルムlcd電気接続構造及び接続方法
WO2003107486A1 (ja) 電気接続装置及び電気接続装置を備えた電子機器
CN108600440B (zh) 移动终端设备及其受话器组件
JP4189808B2 (ja) フレックスリジット配線板の配設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