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4388A - 개인휴대단말기의 단자 결합구조 및 그 결합방법 - Google Patents

개인휴대단말기의 단자 결합구조 및 그 결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4388A
KR20070094388A KR1020060025016A KR20060025016A KR20070094388A KR 20070094388 A KR20070094388 A KR 20070094388A KR 1020060025016 A KR1020060025016 A KR 1020060025016A KR 20060025016 A KR20060025016 A KR 20060025016A KR 20070094388 A KR20070094388 A KR 200700943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pad
connection
terminal
hole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5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07611B1 (ko
Inventor
이연우
Original Assignee
구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25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7611B1/ko
Publication of KR20070094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43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76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76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7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n electrical connector modu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인휴대단말기의 단자 결합구조 및 결합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개인휴대단말기에 내장된 메인 피씨비와 키패드 피씨비를 결합하기 위해 연결부재와 관통 구멍을 제공하여 서로 결합함으로써, 외부 충격에도 견딜 수 있는 강한 결합력을 갖는 구조를 형성하고, 안정된 접점 유지력을 구현하도록 한다. 또한 결합 구조가 간단하여 연결부위의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고, 생산 및 결합이 용이하며,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장치 및 결합방법에 관한 것이다.
메인 피씨비, 키패드 피씨비, 연성회로기판, 연결부재

Description

개인휴대단말기의 단자 결합구조 및 그 결합방법{TERMINAL COMBINATION STRUCTURE FOR PERSONAL PORABLE DEVICE AND METHOD OF COMBINATION METHOD THEREOF}
도 1은 종래의 휴대폰의 내부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유닛의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개인휴대단말기의 내부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의 단자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메인 피씨비와 키패드 피씨비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4 및 도 5의 Ⅵ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의 단자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의 단자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 개인휴대단말기 100:키패드 피씨비
110:제2 연결부 120:제2 배선부
160:제1 연결부 170:제1 배선부
150:메인 피씨비 155:연성회로기판
본 발명은 개인휴대단말기의 단자 결합구조 및 결합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메인 회로유닛과 키패드 회로유닛간의 연결부위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하고, 연결부위의 결합력을 증대하며, 접점 유지력을 향상시키는 단자 결합구조 및 결합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 등의 개인휴대단말기는 메일송수신, 카메라, MP3 및 GPS등의 다양한 콘텐츠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다양한 콘텐츠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회로부품이 개인휴대단말기의 회로유닛에 부착된다. 회로유닛은 단말기의 전원이나 볼륨, 전파 송수신 등을 제어하는 메인 회로유닛과 키버튼의 누름이나 디스플레이의 구현등의 다양한 보조기능을 통제하는 보조 회로유닛이 여러개 구성되어 있다.
회로유닛의 일측에는 다른 회로유닛과 전기적으로 상호 결합할 수 있도록 연결단자가 형성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휴대폰의 내부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도1의 Ⅱ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유닛의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2를 참조하면, 휴 대폰(1)은 외관이 하우징(6)으로 형성되고, 상기 휴대폰(1)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2)와 키패드(4)가 형성된다. 상기 휴대폰(1)의 내부에는 디스플레이(2)등의 주요부품을 제어하는 메인 회로유닛(10)이 형성되고, 상기 키패드(4)의 하부에도 상기 키패드(4)의 작동을 감지하는 키패드 회로유닛(2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메인 회로유닛(10)의 일측에는 상기 메인 회로유닛(10)과 상기 키패드 회로유닛(2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성회로기판(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이 상기 메인 회로유닛(10)과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연성회로기판(15)의 일측에는 제1 연결부(22)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연결부(22)는 상기 메인 회로유닛(10)에 형성된 회로부품(미도시)과 도전성 재질의 제1 배선부(24)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키패드 피씨비(20)의 일측에도 제2 연결부(12)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연결부(12)는 상기 키패드 회로유닛(20)에 형성된 회로부품들(미도시)과 제2 배선부(14)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1 배선부(24)는 상기 연성회로기판(15)의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배선부(14)는 상기 제2 연결부(12)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22)에 형성된 상기 제1 배선부(24)와 상기 제2 연결부(12) 에 형성된 상기 제2 배선부(14)의 일단에는 각각 제1 접지점(26)과 제2 접지점(16)이 형성된다.
상기 제1 연결부(22)와 상기 제2 연결부(12)를 결합하기 위해 상기 제1 연결부(22)의 상면과 상기 제2 연결부(12)의 하면에는 접착제가 도포된 접착면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 연결부(22)와 상기 제2 연결부(12)를 접착면이 서로 맞닿도록 포갠 후 부착할 수 있다. 또한 접착 테이프(미도시)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연결 부(22)와 상기 제2 연결부(12)를 연결할 수 있다.
도 3은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연결부(22)의 상면과 상기 제2 연결부(12)의 하면에 형성된 접착면을 서로 중첩하여 부착하는데, 이때 상기 제1 접지점(26)과 상기 제2 접지점(16)의 맞닿는 접지 면적이 최대가 되도록 부착한다.
종래의 접착제나 접착테이프에 의한 연결부의 결합은 결합력이 약해서 외부의 충격에 의해 쉽게 탈착 될 수 있다. 또한 접착제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접착부위에 흡착하기 쉬워 접점 유지력을 약화시킨다. 또한 구조가 복잡하여 생산 및 결합 공정에서 작업의 효율성을 떨어뜨린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목적은 연성회로기판과 키패드 회로유닛간의 단자 결합력을 크게 할 수 있는 개인휴대단말기의 단자 결합구조 및 결합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연성회로기판과 키패드 회로유닛간의 단자 접점 유지력을 향상시키는 개인휴대단말기의 단자 결합구조 및 결합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연성회로기판과 키패드 회로유닛의 단자결합을 단순하게 하여 부품제조 및 결합을 용이하게 하며,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개인휴대단말기의 단자 결합구조 및 결합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 르면, 본 발명의 개인휴대단말기는 제1 연결부가 구비된 메인 피씨비, 키패드의 누름 신호를 전달하고 제2 연결부가 구비된 키패드 피씨비 및 제1 연결부 또는 제2 연결부에 적어도 하나의 관통 구멍이 구비되고, 관통 구멍을 관통하는 연결부재를 통해 상기 메인 피씨비 및 키패드 피씨비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메인 피씨비의 일측에는 연성회로기판이 연장되어 형성되고, 제2 연결부는 연성회로기판의 일단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키패드 피씨비는 SUS(Steel special Use Stainless)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연결부 및 제2 연결부에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고, 관통 구멍을 관통하여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를 연결하는 별도의 연결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가 제1 연결부 또는 제2 연결부 중 어는 하나에 돌출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의 연결부에는 연결부재가 관통할 수 있도록 관통 구멍이 형성된다.
제1 연결부에는 메인 피씨비의 일측에 사각모양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 연결부의 일면에는 전기 신호를 전달하는 제1 배선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키패드 피씨비의 일측에 사각모양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 배선부에 대응하여 상기 제2 연결부의 일면에는 전기 신호를 전달하는 제2 배선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단자 결합방법은 메인 피씨비에 연장 형성되어 제1 연결부가 구비된 연성회로기판을 제공하는 단계, 키패드의 누름 신호를 전달하고 제2 연결부가 구비된 키패드 피씨비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연결부 또는 제2 연결 부에 적어도 하나의 관통 구멍을 형성하고, 연결부에 형성된 관통 구멍을 관통하는 연결부재를 제공하여 상기 메인 피씨비 및 키패드 피씨비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또한 메인 피씨비와 키패드 피씨비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계는 연결부에 형성된 관통 구멍을 관통한 연결부재의 끝단을 전기적으로 융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개인휴대단말기(Personal Portable Device)라 함은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핸드헬드(handheld) PC, 핸드폰,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은 휴대용 전기전자장치로서, CDMA(Code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모듈, 블루투스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IrDA), 유무선 랜카드와 같은 소정의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으며,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소정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탑재함으로써 소정의 연산 능력을 갖춘 단말기를 통칭하는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중복되는 내용에 대하여는 발명의 설명을 간략화하기 위하여 다시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제1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개인휴대단말기(50)는 외관이 하우징(80)으로 형성되고, 상기 개인휴대단 말기(50)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60)와 키패드(70)가 형성된다. 상기 개인휴대단말기(50)의 내부공간에는 상기 개인휴대단말기(50)이에 형성된 디스플레이(60)등의 주요장치를 제어하는 메인 피씨비(150)가 형성되고 상기 키패드(70)의 하부에는 상기 키패드(70)의 작동을 감지하는 키패드 피씨비(100)가 형성된다.
상기 메인 피씨비(150)의 일측에는 상기 키패드 피씨비(1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성회로기판(155)이 연장 형성되며, 상기 연성회로기판(155)에 의해 상기 메인 피씨비(150)와 상기 키패드 피씨비(100)는 결합하여 상호간에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의 단자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메인 피씨비와 키패드 피씨비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상기 메인 피씨비(150)와 상기 키패드 피씨비(100)의 상면에는 다수개의 회로부품(13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로부품(130)들은 도전성 재질의 제1 배선부(170) 및 제2 배선부(120)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배선부(170) 및 제2 배선부(120)는 각각의 상기 회로부품(130)으로부터 하나 또는 2개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성회로기판(155)과 상기 키패드 피씨비(100)의 일측에는 각각 제1 연결부(160)와 제2 연결부(110)가 형성된다. 상기 회로부품(130)으로부터 형성된 상기 제1 배선부(170)는 상기 제1 연결부(160)까지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2 배선부(120)는 상기 제2 연결부(110)까지 연장 형성된다.
도 6은 도 4 및 도 5의 Ⅵ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6 을 참조하면, 연성회로기판(155)의 일측에는 제1 연결부(160)가 형성되고, 키패드 피씨비(100)의 일측에는 제2 연결부(110)가 형성된다.
상기 제1 연결부(160)에는 제1 배선부(170)의 일단이 연장되어 제1 접지점(172)을 형성하고, 상기 제2 연결부(170)에는 제2 배선부(120)의 일단이 연장되어 제2 접지점(122)을 형성한다.
상기 제1 접지점(172)과 상기 제2 접지점(122)에는 각각 그 내부 표면이 관통하여 제1 관통 구멍(162)과 제2 관통 구멍(112)을 형성되고, 상기 제1 관통 구멍(162)과 상기 제2 관통 구멍(112)에 연결부재(114)를 동시에 관통시켜 상기 제1 연결부(160)와 상기 제2 연결부(110)를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부재(114)의 길이는 제1 연결부(160)와 제2 연결부(110)의 두께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도 6 에 도시된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를 결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메인 피씨비(미도시)에 연장 형성되어 제1 연결부(160)가 구비된 연성회로기판(155)과, 키패드의 누름 신호를 전달하고 제2 연결부(110)가 구비된 키패드 피씨비(100)를 제공한다. 이때 제1 접지점(172)에 형성된 상기 제1 관통 구멍(162)과 제2 접지점(122)에 형성된 상기 제2 관통 구멍(112)이 동심원을 이루도록 중첩한다. 상기 중첩되어 동심원을 이루는 상기 제1 관통 구멍(162)과 상기 제2 관통 구멍(112)에 연결부재(114)를 관통시킨다. 상기 제1 관통 구멍(162) 및 제2 관통 구멍(112)을 관통하고 남은 상기 연결부재(114)의 양끝단을 전기적으로 융착시켜서 상기 제1 연결부(160)와 상기 제2 연결부(110)를 움직이지 못하도록 고정한다.
제2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의 단자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참고로, 도 7에 도시된 부분은 도 6과 같이 도 4 및 도 5의 Ⅵ 부분에 대응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연성회로기판(255)의 일측에는 제1 연결부(260)가 형성되고, 키패드 피씨비(200)의 일측에는 제2 연결부(210)가 형성된다.
상기 제1 연결부(260)에는 제1 배선부(270)의 일단이 연장되어 제1 접지점(272)이 형성되고, 상기 제 2연결부(260)에는 제2 배선부(220)의 일단이 연장되어 제2 접지점(222)이 형성된다.
상기 제1 접지점(272)에는 상기 제1 접지점(272)의 표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관통 구멍(262)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접지점(222)에는 상기 관통 구멍(262)을 관통 할 수 있는 돌출모양의 연결부재(21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212)의 길이는 상기 제1 연결부(210)의 두께를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를 결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메인 피씨비(미도시)에 연장 형성되어 제1 연결부(260)가 구비된 연성회로기판(255)과, 키패드의 누름 신호를 전달하고 제2 연결부(210)가 구비된 키패드 피씨비(200)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제1 연결부(260)에 형성되어, 관통 구멍(262)이 형성된 제1 접지점(272)과 상기 제2 연결부(210)에 형성되어, 상기 관통 구멍(262)을 관통하는 연결부재(212)가 형성된 상기 제2 접지점(222)을 서로 중첩하여 상기 연결부재(212)를 상기 관통 구멍(262)에 관통시킨다. 이때 상기 관통 구멍(262)은 상기 연결부재(212)를 일부 혹은 전체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관통 구멍(262)을 관통하고 남은 상기 연결부재(212)의 끝단을 전기적으로 융착시켜 상기 제1 연결부(260)와 상기 제2 연결부(210)를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한다.
제3 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의 단자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참고로, 도 8에 도시된 부분은 도 6과 같이 도 4 및 도 5의 Ⅵ 부분에 대응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연성회로기판(355)의 일측에는 제1 연결부(360)가 형성되고, 키패드 피씨비(300)의 일측에는 제2 연결부(310)가 형성된다.
상기 제1 연결부(360)에는 제1 배선부(370)의 일단이 연장되어 제 접지점(372)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연결부(310)는 제2 배선부(320)의 일단이 연장되어 제2 접지점(322)이 형성된다.
상기 제1 접지점(372)에는 돌출모양의 연결부재(362)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접지점(322)에는 상기 연결부재(362)의 일부 또는 전체를 수용할 수 있는 관통 구멍(31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362)의 길이는 상기 제2 연결부(360)의 두께를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를 결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메인 피씨비(미도시)에 연장 형성되어 제1 연결부(360)가 구비된 연성회로기판(355)과, 키패드의 누름 신호를 전달하고 제2 연결부(310)가 구비된 키패드 피씨 비(300)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제1 연결부(360)에 형성되어, 연결부재(362)를 구비하는 제1 접지점(372)과 상기 제2 연결부(310)에 형성되어, 관통 구멍(312)이 형성된 제2 접지점(322)을 서로 중첩하여 상기 연결부재(362)를 상기 관통 구멍(312)으로 관통시킨다. 여기에서 상기 관통 구멍(312)은 상기 연결부재(362)의 일부 혹은 전체를 수용할 수 있는 있다. 상기 관통 구멍(312)을 관통하고 남은 상기 연결부재(362)의 끝단을 전기적으로 융착시켜 상기 제1 연결부(360)와 상기 제2 연결부(310)를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한다.
이와 같이, 메인 피씨비와 키패드 피씨비를 전기적으로 결합하기 위해 연결부재와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연결부를 서로 중첩하여 결합함으로써, 연결부위의 연결강도를 증대시키고, 전기적으로 양호한 접점 유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간단한 결합구조로 인해 생산 및 결합이 용이하고,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따라서, 연성회로기판과 키패드 피씨비에 형성된 연결부위의 연결강도를 크게 하는 효과를 갖고 있다.
또한, 연성회로기판과 키패드 피씨비에 형성된 연결부위의 접점 유지력을 향상키는 효과를 갖고 있다.
또한, 단자결합을 단순하게 하여 부품제조 및 결합을 용이하게 하며,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갖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6)

  1. 제1 연결부가 구비된 메인 피씨비; 및
    키패드의 누름 신호를 전달하고 제2 연결부가 구비된 키패드 피씨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부 또는 제2 연결부에 적어도 하나에 관통 구멍이 구비되고, 상기 관통 구멍을 관통하는 연결부재를 통해 상기 메인 피씨비 및 키패드 피씨비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의 단자 결합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피씨비는 연성회로기판이 연장되고,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연성회로기판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의 단자 결합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구멍은 상기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는 별도 부재로 형성되어 상기 관통 구멍을 관통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의 단자 결합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제1 연결부 또는 제2 연결부 중 하나에 돌출 형성되고, 나 머지 하나의 연결부에는 상기 관통 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의 단자 결합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 피씨비는 SUS(Steel special Use Stainless)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의 단자 결합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메인 피씨비의 일측에 사각모양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 연결부의 일면에는 전기 신호를 전달하는 제1 배선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키패드 피씨비의 일측에 사각모양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 배선부에 대응하여 상기 제2 연결부의 일면에는 전기 신호를 전달하는 제2 배선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의 단자 결합구조.
  7. 메인 피씨비;
    상기 메인 피씨비에 연결되고, 일단에 제1 연결부가 구비된 연성회로기판; 및
    키패드의 누름 신호를 전달하고 제2 연결부가 구비된 키패드 피씨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에 각각 형성된 제 1 관통 구멍 및 제2 관통 구멍을 관통하는 연결부재를 통해 상기 메인 피씨비 및 키패드 피씨비 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의 단자 결합구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연성회로기판의 일측에 사각모양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 연결부의 일면에는 전기 신호를 전달하는 제1 배선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키패드 피씨비의 일측에 사각모양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 배선부에 대응하여 상기 제2 연결부의 일면에는 전기 신호를 전달하는 제2 배선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의 단자 결합구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 피씨비는 SUS(Steel special Use Stainless)의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단말기의 단자구조.
  10. 메인 피씨비;
    상기 메인 피씨비에 연결되고, 일단에 제1 연결부가 구비된 연성회로기판; 및
    키패드의 누름 신호를 전달하고 제2 연결부가 구비된 키패드 피씨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부 또는 제2 연결부 중 하나에 돌출 형성된 연결부재를 형성하고 나머지 하나의 연결부에는 상기 연결부재가 관통하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메인 피씨비 및 키패드 피씨비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의 단자 결합구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연성회로기판의 일측에 사각모양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 연결부의 일면에는 전기 신호를 전달하는 제1 배선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키패드 피씨비의 일측에 사각모양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 배선부에 대응하여 상기 제2 연결부의 일면에는 전기 신호를 전달하는 제2 배선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의 단자 결합구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 피씨비는 SUS(Steel special Use Stainless)의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단말기의 단자구조.
  13. 메인 피씨비에 연장 형성되어 제1 연결부가 구비된 연성회로기판을 제공하는 단계;
    키패드의 누름 신호를 전달하고 제2 연결부가 구비된 키패드 피씨비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연결부 또는 제2 연결부에 적어도 하나의 관통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 구멍을 관통하는 연결부재를 제공하여 상기 메인 피씨비 및 키패드 피씨비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개인휴대단말기의 단자 결합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피씨비 및 키패드 피씨비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에 각각 형성된 제1 관통 구멍과 제2 관통 구멍을 관통하는 연결부재를 통해 상기 메인 피씨비와 상기 키패드 피씨비를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개인휴대단말기의 단자 결합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피씨비 및 키패드 피씨비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연결부 또는 제2 연결부 중 하나에 돌출 형성된 연결부재가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의 연결부에는 상기 연결부재가 관통하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메인 피씨비 및 키패드 피씨비를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개인휴대단말기의 단자 결합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피씨비 및 키패드 피씨비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계는 상기 관통 구멍을 관통하는 상기 연결부재의 끝단을 전기적으로 융착시키는 단계를 더 포 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의 단자 결합방법.
KR1020060025016A 2006-03-17 2006-03-17 개인휴대단말기의 단자 결합구조 및 그 결합방법 KR1010076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5016A KR101007611B1 (ko) 2006-03-17 2006-03-17 개인휴대단말기의 단자 결합구조 및 그 결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5016A KR101007611B1 (ko) 2006-03-17 2006-03-17 개인휴대단말기의 단자 결합구조 및 그 결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4388A true KR20070094388A (ko) 2007-09-20
KR101007611B1 KR101007611B1 (ko) 2011-01-12

Family

ID=38688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5016A KR101007611B1 (ko) 2006-03-17 2006-03-17 개인휴대단말기의 단자 결합구조 및 그 결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76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8672A (ko) * 2012-10-16 2014-04-2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전자 부품 접속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09151B2 (ja) * 1996-03-01 2002-07-29 愛三工業株式会社 連結部の電気接続構造
KR100575746B1 (ko) 2003-10-28 2006-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폴더형 휴대 단말기
KR20050041273A (ko) * 2003-10-30 2005-05-04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에프피씨비 통과가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힌지 구조
KR20050059669A (ko) * 2003-12-15 2005-06-21 주식회사 팬택 힌지부 커넥터를 구비하는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8672A (ko) * 2012-10-16 2014-04-2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전자 부품 접속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7611B1 (ko) 2011-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41466B2 (en) Antenna apparatus of mobile terminal
KR101124862B1 (ko) 휴대용 단말기와 이에 내장되는 연성회로기판의 커넥터설치 구조 및 방법
TW200610228A (en) Antenna module and electronic apparatus having the same
WO2019037593A1 (zh) 指纹识别组件及电子设备
CN201060951Y (zh) 天线与pcb板间的接触连接结构及采用该结构的设备
US20050221632A1 (en) Connector
EP3734939B1 (en) Electronic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US6628351B1 (en)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EP2031699B1 (en) Electrical signal connecting unit, antenna device an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the same
KR101007611B1 (ko) 개인휴대단말기의 단자 결합구조 및 그 결합방법
KR101282878B1 (ko) 휴대 단말기
US20030153349A1 (en) Mobile phone with replaceable key modules
CN101938034A (zh) 一种内置fm天线及其手机装置和生产方法
US8411449B2 (en) Electronic device and connection mechanism for touch buttons thereof
CN201038299Y (zh) 天线与pcb板间的接触连接结构及采用该结构的设备
CN106067917A (zh) 指令接收模组结构及具有其的移动终端设备
KR10065378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에프피씨비 고정구조 및 그 방법
KR200277310Y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이드 버튼 접합구조
KR100532312B1 (ko) 복합무선단말기의 엘씨디 장치
KR20060123018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이드버튼장치
CN201150084Y (zh) 直板式手机
KR100686178B1 (ko) 이동통신 단말기
TWI474707B (zh) 移動通訊終端
CN219370095U (zh) 光学传感器模组及电子设备
CN215729697U (zh) 传感器模组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