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발명은 벤조싸이오펜-2-카르보닐구아니딘 유도체 및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이의 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벤조싸이오펜-2-카르보닐구아니딘 유도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벤조싸이오펜-2-카르보닐구아니딘 유도체 또는 약학적 으로 허용가능한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허혈성 심장질환 및 허혈성 뇌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및 재관류요법에 대한 심장보호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벤조싸이오펜-2-카르보닐구아니딘 유도체 및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이의 염을 제공한다.
상기 식에서 ,
R1은 H, F, Cl, Br, I, CN, NO2, 아미노, 측쇄 또는 직쇄인 C1∼C5 알킬, C1∼C5 알케닐, C1∼C5 알키닐, C1∼C5 알콕시, C1∼C5 할로알킬, 또는 C1~C14 아릴기이고, 여기서, 상기 C1 ~ C14 아릴기는 치환되지 않거나 F, Cl, Br, I, CN, NO2, 아미노, 측쇄 또는 직쇄인 C1∼C5 알킬, C1∼C5 알케닐, C1∼C5 알키닐, C1∼C5 알콕시, 및 C1∼C5 할로알킬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된 C1 ~ C14 아릴기이고;
R2는 H, F, Cl, Br, I, CN, NO2, 아미노, 측쇄 또는 직쇄인 C1∼C5 알킬, C1∼C5 알케닐, C1∼C5 알키닐, C1∼C5 알콕시 또는 C1∼C5 할로알킬기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R1은 H, F, Cl, Br, I, CN, NO2, NH2, CF3, OCH3, 측쇄 또는 직쇄인 C1∼C3 알킬, C1∼C3 알케닐, 또는 C1 ~ C10 아릴기이고, 여기서 상기 C1 ~ C10 아릴기는 치환되지 않거나 F, Cl, Br, I, CN, NO2, NH2, CF3, OCH3, 측쇄 또는 직쇄인 C1∼C3 알킬, 및 C1∼C3 알케닐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된 C1~C10 아릴기이고;
R2는 H, 또는 C1∼C3 알킬기이다.
여기서,
"알콕시기"는 측쇄 또는 직쇄인 알킬, 알케닐, 알키닐기 중 하나로 치환된 산소 라디컬을 의미한다.
"할로알킬기"는 하나 이상의 불소, 염소, 브롬 또는 요오드 원자로 치환된 알킬기를 의미한다.
"아미노기"는 -NH2, -NHR3 및 -NR3R4를 포함하며 여기서, R3 및 R4는 각각 독 립적으로 직쇄 또는 측쇄의 C1∼C5 알킬기이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본 발명의 벤조싸이오펜-2-카르보닐구아니딘 유도체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으며, 염으로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유리산 (free acid)에 의해 형성된 산부가염이 유용하다. 유리산으로는 무기산과 유기산을 사용할 수 있으며, 무기산으로는 염산, 브롬산, 황산, 인산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유기산으로는 구연산, 초산, 젖산, 말레산, 푸마린산, 글루콘산, 메탄설폰산, 아세트산, 글리콘산, 숙신산, 타르타르산, 4-톨루엔술폰산, 갈룩투론산, 엠본산, 글루탐산 또는 아스파르트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무기산으로는 염산, 유기산으로는 메탄설폰산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벤조싸이오펜-2-카르보닐구아니딘 유도체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뿐만 아니라,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 모든 염, 수화물 및 용매화물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부가염은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수혼화성 유기용매, 예를 들면 아세톤, 메탄올, 에탄올, 또는 아세토니트릴 등에 녹이고 과량의 유기산을 가하거나 무기산의 산 수용액을 가한 후 침전시키거나 결정화시켜서 제조할 수 있다. 이어서 이 혼합물에서 용매나 과량의 산을 증발시킨 후 건조시켜서 부가염을 얻거나 또는 석출된 염을 흡인 여과시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벤조싸이오펜-2-카르보닐구아니딘 유도체 및 이의 염 중 바람직한 화합물은 구체적으로 하기의 화합물들을 포함한다.
1) (4-브로모벤조싸이오펜-2-카르보닐)구아니딘 메탄설포네이트,
2) [4-(2-클로로페닐)벤조싸이오펜-2-카르보닐]구아니딘 메탄설포네이트,
3) [4-(3-클로로페닐)벤조싸이오펜-2-카르보닐]구아니딘 메탄설포네이트,
4) [4-(4-클로로페닐)벤조싸이오펜-2-카르보닐]구아니딘 메탄설포네이트,
5) [4-(2-플루오로페닐)벤조싸이오펜-2-카르보닐]구아니딘 메탄설포네이트,
6) [4-(3-플루오로페닐)벤조싸이오펜-2-카르보닐]구아니딘 메탄설포네이트,
7) [4-(4-플루오로페닐)벤조싸이오펜-2-카르보닐]구아니딘 메탄설포네이트,
8) [4-(2-메틸페닐)벤조싸이오펜-2-카르보닐]구아니딘 메탄설포네이트,
9) [4-(3-메틸페닐)벤조싸이오펜-2-카르보닐]구아니딘 메탄설포네이트,
10) [4-(4-메틸페닐)벤조싸이오펜-2-카르보닐]구아니딘 메탄설포네이트,
11) [4-(2-메톡시페닐)벤조싸이오펜-2-카르보닐]구아니딘 메탄설포네이트,
12) [4-(3-메톡시페닐)벤조싸이오펜-2-카르보닐]구아니딘 메탄설포네이트,
13) [4-(4-메톡시페닐)벤조싸이오펜-2-카르보닐]구아니딘 메탄설포네이트,
14) [4-(2-트라이플루오로메틸페닐)벤조싸이오펜-2-카르보닐]구아니딘 메탄설포네이트,
15) [4-(3-트라이플루오로메틸페닐)벤조싸이오펜-2-카르보닐]구아니딘 메탄 설포네이트,
16) [4-(4-트라이플루오로메틸페닐)벤조싸이오펜-2-카르보닐]구아니딘 메탄설포네이트,
17) (4-페닐벤조싸이오펜-2-카르보닐)구아니딘 메탄설포네이트,
18) [4-(1-나프탈레닐)벤조싸이오펜-2-카르보닐]구아니딘 메탄설포네이트,
19) [4-(3,5-다이클로로페닐)벤조싸이오펜-2-카르보닐]구아니딘 메탄설포네이트,
20) [4-(2,5-다이클로로페닐)벤조싸이오펜-2-카르보닐]구아니딘,
21) [4-(2,3-다이클로로페닐)벤조싸이오펜-2-카르보닐]구아니딘 메탄설포네이트,
22) [4-(2-메톡시-5-클로로페닐)벤조싸이오펜-2-카르보닐]구아니딘 메탄설포네이트,
23)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벤조싸이오펜-2-카르보닐]구아니딘 메탄설포네이트,
24) [4-(3,5-다이플루오로페닐)벤조싸이오펜-2-카르보닐]구아니딘 메탄설포네이트,
25) [4-(2,5-다이플루오로페닐)벤조싸이오펜-2-카르보닐]구아니딘 메탄설포네이트,
26) [4-(2,3-다이플루오로페닐)벤조싸이오펜-2-카르보닐]구아니딘 메탄설포네이트,
27) [4-(3,4-다이플루오로페닐)벤조싸이오펜-2-카르보닐]구아니딘 메탄설포네이트,
28) [4-(2-메틸-5-플루오로페닐)벤조싸이오펜-2-카르보닐]구아니딘 메탄설포네이트,
29) [4-(2-플루오로-5-메틸페닐)벤조싸이오펜-2-카르보닐]구아니딘 메탄설포네이트,
30) [4-(3,5-다이메틸페닐)벤조싸이오펜-2-카르보닐]구아니딘 메탄설포네이트,
31) [4-(2,5-다이메틸페닐)벤조싸이오펜-2-카르보닐]구아니딘 메탄설포네이트,
32) (4-클로로벤조싸이오펜-2-카르보닐)구아니딘 메탄설포네이트,
33) (4-플루오로벤조싸이오펜-2-카르보닐)구아니딘 메탄설포네이트,
34) (4-아이오도벤조싸이오펜-2-카르보닐)구아니딘 메탄설포네이트,
35) (4-메틸벤조싸이오펜-2-카르보닐)구아니딘 메탄설포네이트,
36) (4-바이닐벤조싸이오펜-2-카르보닐)구아니딘 메탄설포네이트,
37) (4-에틸벤조싸이오펜-2-카르보닐)구아니딘 메탄설포네이트,
38) (4-아이소프로필벤조싸이오펜-2-카르보닐)구아니딘 메탄설포네이트,
39) (4-나이트로벤조싸이오펜-2-카르보닐)구아니딘 메탄설포네이트,
40) (4-아미노벤조싸이오펜-2-카르보닐)구아니딘 메탄설포네이트,
41) (4-메톡시벤조싸이오펜-2-카르보닐)구아니딘 메탄설포네이트,
42) (4-시아노벤조싸이오펜-2-카르보닐)구아니딘 메탄설포네이트,
43) (4-트라이플루오로메틸벤조싸이오펜-2-카르보닐)구아니딘 메탄설포네이트,
44) (벤조싸이오펜-2-카르보닐)구아니딘 메탄설포네이트,
45) (4-브로모-5-메틸벤조싸이오펜-2-카르보닐)구아니딘 메탄설포네이트,
46) (4-클로로-5-메틸벤조싸이오펜-2-카르보닐)구아니딘 메탄설포네이트,
47) (4,5-다이메틸벤조싸이오펜-2-카르보닐)구아니딘 메탄설포네이트,
48) (4-시아노-5-메틸벤조싸이오펜-2-카르보닐)구아니딘 메탄설포네이트,
49) (4-브로모-6-메틸벤조싸이오펜-2-카르보닐)구아니딘 메탄설포네이트,
50) (4,6-다이메틸벤조싸이오펜-2-카르보닐)구아니딘 메탄설포네이트, 및
51) (4-시아노-6-메틸벤조싸이오펜-2-카르보닐)구아니딘 메탄설포네이트.
또한, 본 발명은 벤조싸이오펜-2-카르보닐구아니딘 유도체 및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이의 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하기 반응식 1로 표시되는 화학식 1의 벤조싸이오펜-2-카르보닐구아니딘 유도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식에서,
R 1 및 R 2 는 화학식 1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L은 구아니딘에 의해 쉽게 이탈될 수 있는 이탈기로서, 할로겐, 알콕시, 아릴옥시, 설포닐옥시, 또는 카보닐옥시기 등이며, 바람직하게는 할로겐, 알콕시, 토실레이트(-OSO2PhCH3), 또는 메실레이트(-OSO2CH3)기이다.
상기 반응식 1에서, 카르복실산 유도체(Ⅱ)는 이탈기 L에 따라서 에스터 (ester), 아실 할라이드 (acyl halide), 카르복실산 무수물 (acid anhydride) 유도체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에스터 유도체는 일반적인 알킬 에스터 (예, 메틸 에스터, 에틸 에스터)외에도, 활성 에스터 (active ester) 유도체(예, p-나이트로페닐 에스터, N-하이드록시석신이미드 에스터, 펜타플루오로페닐 에스터), 또는 설포네이트 에스터(토실레이트 에스터, 메실레이트 에스터)를 포함한다. 이러한 카르복실산 유도체들은 통상적인 공지의 방법으로 카르복실산으로부터 쉽게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반응식 1에서,
1) 상기 카르복실산 유도체(Ⅱ)가 알킬 에스터나 활성 에스터인 경우,
적절한 용매를 사용하여 정량 또는 과량의 구아니딘과 반응하여 화합물(I)을 제조한다.
반응용매는 메탄올, 에탄올, 아이소프로판올과 같은 알콜계 용매,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다이옥산, 1,2-다이메톡시에탄과 같은 에터(ether)계 용매, 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DMF), 또는 이와 같은 용매들의 혼합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반응온도는 상온에서 용매의 비등점까지이다.
2) 상기 카르복실산 유도체(Ⅱ)가 아실할라이드나 산 무수물인 경우,
적절한 용매에서 과량의 구아니딘과 반응시키거나 염기 존재 하에 구아니딘과 반응하여 화합물 (I)을 제조한다. 사용 가능한 염기로는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소듐카보네이트 등의 무기염기 또는 트리에틸아민, 피리딘 등의 유기염기이다.
반응용매는 벤젠, 톨루엔 등의 방향족 하이드로카본 용매,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등의 에터계 용매, 다이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등의 할로겐화 하이드로카본 용매, 또는 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 (DMF) 등을 사용하거나 이들의 혼합용매를 사용한다.
상기 반응식 1에서 출발물질로 사용되는 카르복실산 유도체 (Ⅱ)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한다.
1) 상기 반응식 1에서 카르복실산 유도체(Ⅱ)가 일반적인 알킬 에스터인 메틸 또는 에틸 에스터이고 (L = OMe 또는 OEt), R1이 H, 할로겐 (Br, Cl, F, I), CN, NO2, NH2, 아미노, 할로알킬, 또는 알콕시기인 경우,
상기 반응식 1에서 사용한 카복실산 유도체 (Ⅱ)의 R1이 수소, 할로겐 (Br, Cl, F, I), 사이아노, 나이트로, 아미노, 할로알킬, 또는 알콕시기인 경우, 하기 반응식 2와 같이, 화합물 (Ⅳ)의 포밀화 반응에 이은 알데하이드 화합물 (Ⅴ)과 메틸 싸이오글리콜레이트(methyl thioglycolate)의 친핵성 치환반응 및 분자내 고리화반응을 통하여 화합물 (Ⅱ-1)을 제조한다.
상기 식에서,
R1은 H, 할로겐 (Br, Cl, F, I), CN, NO2, 아미노, C1 ~ C5 할로알킬, 또는 C1 ~ C5 알콕시기이고;
R2는 상기 화학식 1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L은 상기 반응식 1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및
X는 F, NO2, Cl, 또는 Br 이다.
상기 반응식 2에서 알데하이드 화합물 (Ⅴ)은 상업적으로 시판되는 화합물을 사용하거나, R1, R2 및 X가 적당히 치환된 화합물 (Ⅳ)로부터 리튬 다이이소프로필아마이드 (LDA) 또는 n-부틸리튬과 같은 염기를 사용하여 R1 및 X 치환 탄소 사이에 위치하는 탄소와 결합된 수소를 이탈시키고 형성된 음전하가 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 (DMF) 또는 메틸 포메이트를 공격하여 알데하이드기를 도입하는 공지의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화합물 (Ⅴ)의 치환체 X인 할로겐 (F, Cl, Br) 또는 나이트로기를 염기 존재하에서 메틸 싸이오글리콜레이트의 싸이올기의 친핵성 공격에 의한 부가/이탈 반응에 의한 친핵성 치환반응과 에스터의 알파수소이온이 이탈되어 생긴 음전하가 알데하이드를 공격하는 분자내 고리화 반응 및 탈수반응 등의 연속적인 반응에 의하여 벤조싸이오펜환 화합물 (Ⅱ-1)을 제조한다. 이때 염기로는 포타슘 카보네이트, 포타슘 t-부톡사이드 및 소듐 하이드라이드 등을 사용하며 반응 용매로는 DMF 또는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다이옥산과 같은 에터계 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반응온도는 상온에서 용매의 비등점까지이다.
상기 반응식 2에서 R1이 아미노기인 화합물은 화합물 (Ⅱ-1) 중에서 R1이 나 이트로기인 화합물로부터 통상의 환원반응에 의하여 제조한다.
상기 반응식 2에서 R1이 CN인 화합물 (Ⅱ-5)는 하기 반응식 3과 같이 화합물 (Ⅱ-1) 중 R1이 Br 또는 I인 화합물 (Ⅱ-4)로부터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식에서,
R2는 상기 화학식 1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L은 상기 반응식 1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X1은 Br 또는 I이다.
상기 반응식 3에서 CN-를 제공할 수 있는 시약으로는 CuCN, KCN, NaCN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CuCN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응은 촉매 없이 DMF 또는 1-메틸-2-피롤리디논과 같이 비등점이 높은 용매에서 가열하거나 마이크로파(microwave) 반응기에서 반응시킬 수 있다. 반응온도는 100 ℃에서 220 ℃까지이다.
촉매를 사용할 경우에는 팔라듐 촉매가 바람직하며 Pd2(dba)3 또는 Pd(PPh3)4가 더욱 바람직하다. 이때, 반응을 촉진하는 부가물로 dppf(1,1'-bis(diphenylphosphino)ferrocene), Et4NCN, Bu3SnCl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팔라듐 촉매를 사용할 경우, 용매는 다이옥산, 테트라하이드로퓨란과 같은 에터계 용매, 벤젠 또는 톨루엔과 같은 아로마틱 하이드로카본계 용매, CH3CN 또는 DMF 등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반응온도는 상온에서 용매의 비등점까지이다.
2) 상기 반응식 1에서 카르복실산 유도체(Ⅱ)가 일반적인 알킬 에스터인 메틸 또는 에틸 에스터이고(L = OMe 또는 OEt), R1 이 알킬, 알케닐, 알키닐 또는 아릴기인 경우,
상기 반응식 1에서 사용한 카복실산 유도체 (Ⅱ)가 메틸 또는 에틸 에스터 화합물 (L = OCH3 또는 OEt)이며, R1이 알킬, 알케닐, 알키닐 또는 아릴기인 경우 하기 반응식 4와 같이 상기 반응식 2에서 제조한 4-할로벤조싸이오펜 화합물 (Ⅱ-6)과 아릴 및 알킬보론산 또는 스태닐아릴 및 알킬유도체 화합물 (Ⅵ)을 금속촉매, 특히 팔라듐촉매 존재 하에 스틸리 형(Stille-type) 커플링 또는 스즈키 형(Suzuki-type) 커플링 반응을 시켜서 화합물 (Ⅱ-7) 및 (Ⅱ-8)를 제조한다.
상기 식에서,
L은 상기 반응식 1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X1는 Br, I, 또는 Cl 이고;
Y 및 Z는 각각 독립적으로 H, 할로겐, CN, NO2, 아미노, 측쇄 또는 직쇄인 C1 ~ C5 알킬, C1 ~ C5 알케닐, C1 ~ C5 알키닐, C1 ~ C5 알콕시, 또는 C1 ~ C5 할로알킬기이고;
R1은 측쇄 또는 직쇄인 C1 ~ C5 알킬, C1 ~ C5 알케닐, C1 ~ C5 알키닐 또는 C1 ~ C14 아릴기이고, 여기서, 상기 C1 ~ C14 아릴기는 치환되지 않거나 F, Cl, Br, I, CN, NO2, 아미노, 측쇄 또는 직쇄인 C1 ~ C5 알킬, C1 ~ C5 알케닐, C1 ~ C5 알키닐, C1 ~ C5 알콕시, 및 C1 ~ C5 할로알킬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된 C1 ~ C14 아릴기이고;
R2는 화학식 1에서 정의한 바와 같으며;
Q는 B(OH)
2, BCl
2, BBr
2,
,
, SnBu
3, SnMe
3, 또는 ZnCl 이다.
상기 반응식 4에서 일반식 (Ⅵ)의 보론산 또는 스태닐 화합물은 상업적으로 시판되는 화합물을 사용하거나, 할라이드 화합물로부터 공지의 방법으로 제조하여 사용한다.
상기 반응식 4에서 금속촉매로는 팔라듐, 니켈, 플래티늄 착체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팔라듐 촉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팔라듐 촉매로는 Pd(PPh3)4, Pd-C, PdCl2(PPh3)2, Pd2(dba)3, PdCl2(dppf), [PdCl(allyl)]2, Pd(OAc)2 또는 PdCl2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반응식 4에서 반응을 촉진하고 수율을 높이기 위하여 PPh3, P-(o-tolyl)3, PBu3 등의 포스핀 화합물을 부가물로 사용하거나, 염화리튬, 브롬화리튬, 요오드화리튬 등의 염을 부가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반응식 4에서 스즈키 형(Suzuki-type) 반응을 시킬 경우에는 염기를 1 내지 3 당량 사용한다. 사용할 수 있는 염기로는 트라이에틸아민, 이소프로필에틸아민과 같은 삼차아민 유기염기,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수산화칼륨, 수산화나트륨, 탄산세슘, 수산화바륨 등과 같은 무기염기가 있다. 무기염기가 유기 용매에 용해되지 않을 때는 무기염기를 물에 용해시켜서 가할 수 있는데 이때 무기 염기가 0.5 내지 4 M 정도의 농도가 되도록 하여 사용한다.
상기 반응식 4의 반응에서 용매로는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다이옥산, 1,2-다이메톡시에탄과 같은 에터계 용매, 벤젠, 톨루엔, 자일렌과 같은 아로마틱 하이드로카본계 용매, 메탄올, 에탄올과 같은 알코올계 용매, DMF, 아세토나이트릴, 에틸 아세테이트 등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반응온도는 상온에서 용매의 비등점까지이다.
상기 반응식 4에서 R1이 에틸기인 경우에는 R1이 바이닐인 화합물로부터 통상의 환원방법에 의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반응식 5로 표시되는 화학식 1의 벤조싸이오펜-2-카르보닐구아니딘 유도체의 또 다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식에서, R1, R2는 화학식 1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상기 반응식 5에서, 카르복실산 화합물 (Ⅲ)은 축합제 (condensing agent) 존재 하에 구아니딘과 반응하여 벤조싸이오펜-2-카르보닐구아니딘 화합물 (Ⅰ)을 제조한다.
상기 반응식 5에서, 상기 카르복실산 화합물 (Ⅲ)은 적절한 반응용매에서 축합제 존재 하에 당량 또는 과량의 구아니딘과 반응하여 화합물 (I)을 제조한다. 반응온도는 상온에서 용매의 비등점까지이다.
이때, 사용할 수 있는 축합제는 N,N-카르보닐다이이미다졸(N,N-carbonyldiimidazole), 다이사이클로헥실카르보다이이미드 (dicyclohexylcarbodiimide, DCC), 다이아이소프로필카르보다이이미드 (diisopropylcarbodiimide, DIPC), 1-에틸-3-(3-다이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다이이미드 (1-ethyl-3-(3-dimethylaminopropyl)carbodiimide, WSC), 다이페닐포스포닐아자이드 (diphenylphosphonylazide, DPPA) 등이다.
사용할 수 있는 용매는 테트라하이드로퓨란, 1,4-다이옥산 등의 에터계 용 매, 벤젠, 톨루엔 등의 방향족 하이드로카본 용매, 다이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등의 할로겐화 하이드로카본 용매, DMF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이다.
상기 반응식 5의 출발물질인 카르복실산 화합물 (Ⅲ)은 상기 반응식 2 ~ 4에서 제조한 에스터 화합물에 염기를 사용하여 통상의 방법에 의해 가수분해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반응식 1의 출발물질인 카르복실산 유도체 (Ⅱ)에서 메틸 또는 에틸 에스터 화합물 이외의 화합물은 반응식 5의 카르복실산 화합물 (Ⅲ)으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벤조싸이오펜-2-카르보닐구아니딘 유도체 및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허혈성 심장질환 및 허혈성 뇌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및 재관류 요법에 대한 심장보호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임상 투여시에 경구 및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으로 투여될 수 있으며,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제조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트로키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 제제는 하나 이상의 본 발명의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스 (sucrose) 또는 락토오스 (lactose) 또는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 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 제, 유제 또는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용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 (witepsol), 마크로골, 트윈 (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롤, 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의 인체에 대한 투여량은 환자의 나이, 몸무게, 성별, 투여형태, 건강상태 및 질환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몸무게가 70 ㎏인 성인 환자를 기준으로 할 때, 일반적으로 0.1 ~ 1,000 ㎎/일이며, 바람직하게는 1 ~ 500 ㎎/일이며, 또한 의사 또는 약사의 판단에 따라 일정시간 간격으로 1일 1회 내지 수회로 분할 투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유도체 및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이의 염은 인간의 NHE-1을 발현시킨 세포에서 NHE-1에 대하여 강력한 억제효과를 나타내고, 흰쥐의 적출 심장을 이용한 랑겐돌프의 허혈심장 모델에서도 재관류후 심장 기능 (좌심실 발생압, LVDP)의 회복을 증진시켜 허혈/재관류에 대해 우수한 심장보호작용을 나타내며, 마취된 흰쥐를 이용한 허혈심근 모델에서 심근경색의 크기를 유의적으로 감소시켜 심장에 있어 우수한 항허혈 작용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유도체 및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이의 염은 글루타메이트를 처리하여 독성이 유도된, 태아 쥐 뇌에서 분리한 대뇌피질 신경세포의 손상 및 괴사 억제효과를 나타내고, 허혈 동물모델의 뇌에서 뇌경색 크기를 유의성 있게 감소시켜 뇌에 있어 우수한 항허혈 작용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합물들은 NHE-1에 대한 강력한 억제효과, 신경세포 보호효과, in vitro 및 in vivo 모델에서 허혈/재관류에 대해 우수한 심장보호 작용및 뇌보호 작용을 나타내므로, 심근경색, 부정맥, 협심증 등의 허혈성 심장질환 또는 뇌졸중 등의 뇌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관동맥우회술, 관동맥경피성형술과 같은 심장시술 시 또는 혈전용해제와 같은 약물요법 시술 시 재관류요법에 대한 심장보호제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 및 실험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는 적외선 분광법, 핵자기 공명 스펙트럼, 질량 분광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법, X-선 구조결정법, 선광도 측정법과 대표적인 화합물의 원소분석 계산치와 실측치의 비교에 의해 분자구조를 확인하였다.
반응식 1 ~ 5의 화합물 (Ⅱ)는 하기 제조예들을 통해 제조되었다.
<제조예 1> 4-브로모벤조싸이오펜-2-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터의 제조
(단계 1) 2,6-다이브로모 벤즈알데히드의 제조
질소 대기 조건 아래서 무수 THF (70 ㎖)에 다이이소프로필아민 (8.3 ㎖, 59.34 mmol)을 가한 후 0 ℃에서 n-BuLi (1.6 M, 59.34 mmol)을 주사기로 한방울씩 천천히 가하였다. 0 ℃에서 30분 동안 교반시킨 후 온도를 -78 ℃로 냉각시키고 THF (35 ㎖)에 녹인 1,3-다이브로모벤젠 (7 g, 29.67 mmol)을 드라핑 펀넬(dropping funnel)을 통해 천천히 가하였다. -78 ℃에서 30분 동안 교반시킨 후 DMF (4.6 ㎖, 59.34 mmol)를 천천히 가하고 1시간동안 교반시키면서 반응시켰다. 반응 종결 후 묽은 H2SO4를 넣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2번 추출한 뒤 포화 NaCl 용액으로 세척하였다. 무수 MgSO4로 건조시킨 후, 여과하여 여액을 감압 하에서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헥산 : 에틸 아세테이트 = 40 : 1)로 정제하여 흰색 고체의 목적화합물 (6.64 g, 25.16 mmol, 85%)을 얻었다.
1H NMR(200 MHz, CDCl3) δ 10.26(s, 1H), 7.63(d, 2H), 7.22(t, 1H)
MS(m/z)M+= 263 (M+)
(단계 2) 4-브로모벤조싸이오펜-2-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터의 제조
상기 단계 1에서 얻은 화합물 (6.64 g, 25.16 mmol)을 DMF (90 ㎖)에 녹인 후 포타슘 카보네이트(7.65 g, 55.35 mmol), 메틸 싸이오글리콜레이트 (2.7 ㎖, 30.19 mmol)를 순서대로 가한 후 6시간동안 교반하면서 가열, 환류시켰다. 반응이 끝나면 실온으로 식힌 뒤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물과 소금물로 세척하였다. MgSO4로 건조시킨 후 여과하여 여액을 감압하에서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실리카젤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헥산 : 에틸 아세테이트 = 40 : 1)로 정제하여 흰색 고체의 목적화합물 (5.72 g, 21.09 mmol, 84%)을 얻었다.
1H NMR(200 MHz, CDCl3) δ 8.19(s, 1H), 7.79(d, 1H, J = 8.2 Hz), 7.58(d, 1H, J = 7.6 Hz), 7.30(dd, 1H, J =7.6, 8.2 Hz), 3.96(s, 3H)
MS(m/z)M+= 272 (M+)
<제조예 2> 4-(2-클로로페닐)벤조싸이오펜-2-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터의 제조
상기 제조예 1에서 얻은 4-브로모벤조싸이오펜-2-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터 (150 ㎎, 0.55 mmol), Pd(PPh3)4 (102 ㎎, 8 mmol%) 및 2-클로로페닐 보론산 (130 ㎎, 0.83 mmol)을 톨루엔 (3 ㎖)에 녹인 후 2M K2CO3 (0.55 ㎖, 1.1 mmol)를 넣고 16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가열, 환류시켰다. 반응이 완결된 후 에틸 아세테이트로 2번 추출하고 소금물로 세척하였다. MgSO4로 건조시킨 후 여과하여 여액을 감압 하에서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헥산 → 헥산 : 에틸 아세테이트 = 60 : 1)로 정제하여 흰색 고체의 목적화합물 (144 ㎎, 0.47 mmol, 86%)을 얻었다.
1H NMR(200 MHz, CDCl3) δ 7.87(d, 1H, J = 8.2 Hz), 7.76(s, 1H), 7.57∼7.32(m, 6H), 3.90 (s, 3H)
<제조예 3> 4-(3-클로로페닐)벤조싸이오펜-2-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터의 제조
3-클로로페닐 보론산 (173 ㎎, 1.11 mmol)을 사용하여 제조예 2와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흰색 고체의 목적화합물 (162 ㎎, 0.54 mmol, 73%)을 얻었다.
1H NMR(300 MHz, CDCl3) δ 8.09(s, 1H), 7.87(d, 1H, J = 8.1 Hz), 7.55∼7.35(m, 6H), 3.94(s, 3H)
MS(m/z)M+= 302 (M+)
<
제조예
4> 4-(4-
클로로페닐
)
벤조싸이오펜
-2-
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터의 제조
4-클로로페닐 보론산 (260 ㎎, 1.66 mmol)을 사용하여 제조예 2와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흰색 고체의 목적화합물 (178 ㎎, 0.62 mmol, 84%)을 얻었다.
1H NMR(200 MHz, CDCl3) δ 8.09(s, 1H), 7.86(d, 1H, J = 8.2 Hz), 7.56∼7.34(m, 6H), 3.93(s, 3H)
MS(m/z)M+= 302 (M+)
<제조예 5> 4-(2-플루오로페닐)벤조싸이오펜-2-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터의 제조
2-플루오로페닐 보론산 (232 ㎎, 1.66 mmol)을 사용하여 제조예 2와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흰색 고체의 목적화합물 (233 ㎎, 0.81 mmol, 74%)을 얻었다.
1H NMR(200 MHz, CDCl3) δ 7.93(m, 2H), 7.88∼7.19(m, 6H), 3.91(s, 3H)
MS(m/z)M+= 286 (M+)
<제조예 6> 4-(3-플루오로페닐)벤조싸이오펜-2-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터의 제조
3-플루오로페닐 보론산 (191 ㎎, 1.36 mmol)을 사용하여 제조예 2와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연한 노란색 고체의 목적화합물 (135 ㎎, 0.47 mmol, 70%)을 얻었다.
1H NMR(200 MHz, CDCl3) δ 8.12(s, 1H), 7.85(d, 1H, J = 8.4 Hz), 7.56∼7.08(m, 6H), 3.93(s, 3H)
MS(m/z)M+= 286 (M+)
<제조예 7> 4-(4-플루오로페닐)벤조싸이오펜-2-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터의 제조
4-플루오로페닐 보론산 (155 ㎎, 1.11 mmol)을 사용하여 제조예 2와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연한 노란색 고체의 목적화합물 (178 ㎎, 0.62 mmol, 84%)을 얻었다.
1H NMR(200 MHz, CDCl3) δ 8.09(s, 1H), 7.83(d, 1H, J = 8.1 Hz), 7.55∼7.15(m, 6H), 3.92(s, 3H)
MS(m/z)M+= 286 (M+)
<제조예 8> 4-(2-메틸페닐)벤조싸이오펜-2-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터의 제조
2-메틸페닐 보론산 (226 ㎎, 1.66 mmol)을 사용하여 제조예 2와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흰색 고체의 목적화합물 (280 ㎎, 0.99 mmol, 90%)을 얻었다.
1H NMR(200 MHz, CDCl3) δ 7.87(d, 1H, J = 8.4 Hz), 7.70(s, 1H), 7.51(dd, 1H, J = 7.2, 8.2 Hz), 7.36∼7.21(m, 5H), 3.89(s, 3H), 2.10(s, 3H)
MS(m/z)M+= 282 (M+)
<제조예 9> 4-(3-메틸페닐)벤조싸이오펜-2-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터의 제조
3-메틸페닐 보론산 (226 ㎎, 1.66 mmol)을 사용하여 제조예 2와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흰색 고체의 목적화합물 (290 ㎎, 1.03 mmol, 93%)을 얻었다.
1H NMR(300 MHz, CDCl3) δ 8.15(s, 1H), 7.83(d, 1H, J = 8.4 Hz), 7.51(dd, 1H, J = 7.5, 8.1 Hz), 7.39∼7.25(m, 5H), 3.92(s, 3H), 2.45(s, 3H)
MS(m/z)M+= 282 (M+)
<제조예 10> 4-(4-메틸페닐)벤조싸이오펜-2-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터의 제조
4-메틸페닐 보론산 (150 ㎎, 1.11 mmol)을 사용하여 제조예 2와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흰색 고체의 목적화합물 (205 ㎎, 0.73 mmol, 98%)을 얻었다.
1H NMR(200 MHz, CDCl3) δ 8.16(s, 1H), 7.83(d, 1H, J = 8.0 Hz), 7.54∼7.25(m, 6H), 3.92(s, 3H), 2.45(s, 3H)
MS(m/z)M+= 282 (M+)
<제조예 11> 4-(2-메톡시페닐)벤조싸이오펜-2-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터의 제조
2-메톡시페닐 보론산 (252 ㎎, 1.66 mmol)을 사용하여 제조예 2와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흰색 고체의 목적화합물 (299 ㎎, 1.00 mmol, 91%)을 얻었다.
1H NMR(200 MHz, CDCl3) δ 7.86∼7.82(m, 2H), 7.54∼7.03(m, 6H), 3.90(s, 3H), 3.75(s, 3H)
MS(m/z)M+= 298 (M+)
<제조예 12> 4-(3-메톡시페닐)벤조싸이오펜-2-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터의 제조
3-메톡시페닐 보론산 (135 ㎎, 1.11 mmol)을 사용하여 제조예 2와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연한 노란색 고체의 목적화합물 (130 ㎎, 0.44 mmol, 59%)을 얻었 다.
1H NMR(200 MHz, CDCl3) δ 8.16(s, 1H), 7.87(d, 1H, J = 8.1 Hz), 7.55∼7.37(m, 3H), 7.15∼6.96(m, 3H), 3.92(s, 3H), 3.87(s, 3H)
MS(m/z)M+= 298 (M+)
<제조예 13> 4-(4-메톡시페닐)벤조싸이오펜-2-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터의 제조
4-메톡시페닐 보론산 (252 ㎎, 1.66 mmol)을 사용하여 제조예 2와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흰색 고체의 목적화합물 (320 ㎎, 1.07 mmol, 97%)을 얻었다.
1H NMR(200 MHz, CDCl3) δ 8.15(s, 1H), 7.79(d, 1H, J = 8.1 Hz), 7.53∼7.44(m, 3H), 7.35(d, 1H, J = 7.4 Hz), 7.07∼7.00(m, 2H), 3.92(s, 3H), 3.89(s, 3H)
<제조예 14> 4-(2-트라이플루오로메틸페닐)벤조싸이오펜-2-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터의 제조
2-트라이플루오로메틸페닐 보론산 (315 ㎎, 1.66 mmol)을 사용하여 제조예 2와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흰색 고체의 목적화합물 (170 ㎎, 0.51 mmol, 46%)을 얻었다.
1H NMR(200 MHz, CDCl3) δ 7.91∼7.80(m, 2H), 7.63∼7.45(m, 4H), 7.38∼7.28(m, 2H), 3.89(s, 3H)
MS(m/z)M+= 336 (M+)
<제조예 15> 4-(3-트라이플루오로메틸페닐)벤조싸이오펜-2-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터의 제조
3-트라이플루오로메틸페닐 보론산 (315 ㎎, 1.66 mmol)을 사용하여 제조예 2와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흰색 고체의 목적화합물 (360 ㎎, 1.07 mmol, 97%)을 얻었다.
1H NMR(200 MHz, CDCl3) δ 8.05(s, 1H), 7.91(d, 1H, J = 8.1 Hz), 7.79∼7.50(m, 5H), 7.38(d, 1H, J = 7.4 Hz), 3.93(s, 3H)
MS(m/z)M+= 336 (M+)
<제조예 16> 4-(4-트라이플루오로메틸페닐)벤조싸이오펜-2-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터의 제조
4-트라이플루오로메틸페닐 보론산 (210 ㎎, 1.11 mmol)을 사용하여 제조예 2와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흰색 고체의 목적화합물 (237 ㎎, 0.71 mmol, 95%)을 얻었다.
1H NMR(200 MHz, CDCl3) δ 8.08(s, 1H), 7.89(d, 1H, J = 8.0 Hz), 7.80∼7.65(m, 4H), 7.55(dd, 1H, J = 7.4, 8.2 Hz), 7.38(d, 1H, J = 7.4 Hz), 3.93(s, 3H)
MS(m/z)M+= 336 (M+)
<제조예 17> 4-페닐벤조싸이오펜-2-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터의 제조
페닐 보론산 (135 ㎎, 1.11 mmol)을 사용하여 제조예 2와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흰색 고체의 목적화합물 (195 ㎎, 0.73 mmol, 98%)을 얻었다.
1H NMR(200 MHz, CDCl3) δ 8.15(s, 1H), 7.85(d, 1H, J = 8.0 Hz), 7.56∼7.37(m, 7H), 3.92(s, 3H)
MS(m/z)M+= 268 (M+)
<제조예 18> 4-(1-나프탈레닐)벤조싸이오펜-2-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터의 제조
1-나프탈렌 보론산 (190 ㎎, 1.11 mmol)을 사용하여 제조예 2와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흰색 고체의 목적화합물 (172 ㎎, 0.54 mmol, 73%)을 얻었다.
1H NMR(200 MHz, CDCl3) δ 7.97∼7.92(m, 3H), 7.62∼7.26(m, 8H), 3.84(s, 3H)
MS(m/z)M+= 318 (M+)
<제조예 19> 4-(3,5-다이클로로페닐)벤조싸이오펜-2-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터의 제조
상기 제조예 1에서 얻은 4-브로모벤조싸이오펜-2-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터 (200 ㎎, 0.74 mmol), Pd(PPh3)4 (68 ㎎, 8 mmol%) 및 3,5-다이클로로페닐 보론산 (212 ㎎, 1.11 mmol)을 1,2-다이메톡시에탄 (4.2 ㎖)에 녹인 후 2M Ba(OH)2.H2O (210 ㎎, 1.11 mmol)를 넣고 16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가열, 환류시켰다. 반응이 완결된 후 에틸 아세테이트로 2번 추출하고 소금물로 세척하였다. MgSO4로 건조시킨 후 여과하여 여액을 감압 하에서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헥산 → 헥산 : 에틸 아세테이트 = 60 : 1)로 정제하여 흰색 고체의 목적화합물 (137 ㎎, 0.41 mmol, 55%)을 얻었다.
1H NMR(200 MHz, CDCl3) δ 8.05(s, 1H), 7.89(d, 1H, J = 8.4 Hz), 7.56∼7.32(m, 5H), 3.95(s, 3H)
MS(m/z)M+= 336 (M+)
<제조예 20> 4-(2,5-다이클로로페닐)벤조싸이오펜-2-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터의 제조
2,5-다이클로로페닐 보론산 (317 ㎎, 1.66 mmol)을 사용하여 제조예 19와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연한 노란색 고체의 목적화합물 (338 ㎎, 1.00 mmol, 91%)을 얻었다.
1H NMR(200 MHz, CDCl3) δ 7.92(d, 1H, J = 8.2Hz), 7.74(s, 1H), 7.57∼7.26(m, 5H), 3.92(s, 3H)
MS(m/z)M+= 336 (M+)
<제조예 21> 4-(2,3-다이클로로페닐)벤조싸이오펜-2-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터의 제조
2,3-다이클로로페닐 보론산 (317 ㎎, 1.66 mmol)을 사용하여 제조예 19와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흰색 고체의 목적화합물 (283 ㎎, 0.84 mmol, 76%)을 얻었다.
1H NMR(200 MHz, CDCl3) δ 7.93(d, 1H, J = 8.2Hz), 7.71(s, 1H), 7.59∼7.49(m, 2H), 7.35∼7.26(m, 3H), 3.91(s, 3H)
MS(m/z)M+= (M+)
<제조예 22> 4-(2-메톡시-5-클로로페닐)벤조싸이오펜-2-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터의 제조
2-메톡시-5-클로로페닐 보론산 (309 ㎎, 1.66 mmol)을 사용하여 제조예 19와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연한 노란색 고체의 목적화합물 (320 ㎎, 0.96 mmol, 87%)을 얻었다.
1H NMR(500 MHz, CDCl3) δ 7.89(d, 1H, J = 8.0 Hz), 7.82(s, 1H), 7.54(dd, 1H, J = 7.7, 8.1 Hz), 7.36∼7.30(m, 3H), 6.99(d, 1H, J = 8.7 Hz), 3.94(s, 3H), 3.78(s, 3H)
MS(m/z)M+= 332 (M+)
<제조예 23>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벤조싸이오펜-2-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터의 제조
3-클로로-4-플루오로페닐 보론산 (289 ㎎, 1.66 mmol)을 사용하여 제조예 19와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흰색 고체의 목적화합물 (330 ㎎, 1.03 mmol, 93%)을 얻었다.
1H NMR(200 MHz, CDCl3) δ 8.05(s, 1H), 7.88(d, 1H, J = 8.0 Hz), 7.59∼7.26(m, 5H), 3.93(s, 3H)
MS(m/z)M+= 320 (M+)
<제조예 24> 4-(3,5-다이플루오로페닐)벤조싸이오펜-2-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터의 제조
3,5-다이플루오로페닐 보론산 (262 ㎎, 1.66 mmol)을 사용하여 제조예 19와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흰색 고체의 목적화합물 (280 ㎎, 0.92 mmol, 83%)을 얻었다.
1H NMR(200 MHz, CDCl3) δ 8.10(s, 1H), 7.89(d, 1H, J = 8.4 Hz), 7.53(dd, 1H, J = 7.4, 8.0 Hz), 7.35(d, 1H, J = 7.4 Hz), 7.09∼7.04(m, 3H), 3.94(s, 3H)
MS(m/z)M+= 304 (M+)
<제조예 25> 4-(2,5-다이플루오로페닐)벤조싸이오펜-2-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터의 제조
2,5-다이플루오로페닐 보론산 (262 ㎎, 1.66 mmol)을 사용하여 제조예 19와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흰색 고체의 목적화합물 (263 ㎎, 0.86 mmol, 78%)을 얻었다.
1H NMR(200 MHz, CDCl3) δ 7.93∼7.89(m, 2H), 7.54(dd, 1H, J = 7.6, 8.0 Hz), 7.38(d, 1H, J = 7.4 Hz), 7.25∼7.10(m, 3H), 3.93(s, 3H)
MS(m/z)M+= 304 (M+)
<제조예 26> 4-(2,3-다이플루오로페닐)벤조싸이오펜-2-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터의 제조
2,3-다이플루오로페닐 보론산 (262 ㎎, 1.66 mmol)을 사용하여 제조예 19와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흰색 고체의 목적화합물 (253 ㎎, 0.83 mmol, 75%)을 얻었다.
1H NMR(200 MHz, CDCl3) δ 7.94∼7.90(m, 2H), 7.54(dd, 1H, J = 7.4, 8.0 Hz), 7.39(d, 1H, J = 7.4 Hz), 7.30∼7.18(m, 3H), 3.93(s, 3H)
MS(m/z)M+= 304 (M+)
<제조예 27> 4-(3,4-다이플루오로페닐)벤조싸이오펜-2-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터의 제조
3,4-다이플루오로페닐 보론산 (262 ㎎, 1.66 mmol)을 사용하여 제조예 19와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흰색 고체의 목적화합물 (325 ㎎, 1.07 mmol, 97%)을 얻었다.
1H NMR(200 MHz, CDCl3) δ 8.08(s, 1H), 7.86(d, 1H, J = 8.0 Hz), 7.56∼7.23(m, 5H), 3.94(s, 3H)
MS(m/z)M+= 304 (M+)
<제조예 28> 4-(2-메틸-5-플루오로페닐)벤조싸이오펜-2-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터의 제조
2-메틸-5-플루오로페닐 보론산 (256 ㎎, 1.66 mmol)을 사용하여 제조예 19와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흰색 고체의 목적화합물 (310 ㎎, 1.03 mmol, 93%)을 얻었다.
1H NMR(200 MHz, CDCl3) δ 7.87(d, 1H, J = 8.0 Hz), 7.68(s, 1H), 7.51(dd, 1H, J = 7.2, 8.2 Hz), 7.31∼7.04(m, 4H), 3.90(s, 3H), 2.04(s, 3H)
MS(m/z)M+= 300 (M+)
<제조예 29> 4-(2-플루오로-5-메틸페닐)벤조싸이오펜-2-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터의 제조
5-플루오로-2-메틸페닐 보론산 (256 ㎎, 1.66 mmol)을 사용하여 제조예 19와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흰색 고체의 목적화합물 (321 ㎎, 1.07 mmol, 97%)을 얻었다.
1H NMR(200 MHz, CDCl3) δ 7.93∼7.85(m, 2H), 7.52(dd, 1H, J =7.4, 7.4 Hz), 7.39(d, 1H, J = 7.4Hz), 7.26∼7.05(m, 3H), 3.92(s, 3H), 2.39(s, 3H)
MS(m/z)M+= 300 (M+)
<제조예 30> 4-(3,5-다이메틸페닐)벤조싸이오펜-2-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터의 제조
3,5-다이메틸페닐 보론산 (249 ㎎, 1.66 mmol)을 사용하여 제조예 19와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흰색 고체의 목적화합물 (280 ㎎, 0.95 mmol, 85%)을 얻었다.
1H NMR(200 MHz, CDCl3) δ 8.19(s, 1H), 7.86(d, 1H, J = 8.0 Hz), 7.53(dd, 1H, J = 7.6, 8.0 Hz), 7.39(d, 1H, J = 7.4 Hz), 7.18∼7.12(m, 3H), 3.96(s, 3H), 2.44(s, 6H)
MS(m/z)M+= 296 (M+)
<제조예 31> 4-(2,5-다이메틸페닐)벤조싸이오펜-2-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터의 제조
2,5-다이메틸페닐 보론산 (249 ㎎, 1.66 mmol)을 사용하여 제조예 19와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흰색 고체의 목적화합물 (316 ㎎, 1.07 mmol, 96%)을 얻었다.
1H NMR(200 MHz, CDCl3) δ 7.84(d, 1H, J = 8.4 Hz), 7.71(s, 1H), 7.50(dd, 1H, J = 7.4, 8.0 Hz), 7.26∼7.05(m, 4H), 3.89(s, 3H), 2.36(s, 3H), 2.04(s, 3H)
MS(m/z)M+= 296 (M+)
<제조예 32> 4-클로로벤조싸이오펜-2-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터의 제조
2-클로로-6-나이트로 벤즈알데히드 (960 ㎎, 5.17 mmol)을 사용하여 제조예 1의 단계 2와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흰색 고체의 목적화합물 (1.0 g, 4.39 mmol, 85%)을 얻었다.
1H NMR(200 MHz, CDCl3) δ 8.22(s, 1H), 7.78∼7.73(m, 1H), 7.43∼7.33(m, 2H), 3.96(s, 3H)
MS(m/z)M+= 226 (M+)
<제조예 33> 4-플루오로벤조싸이오펜-2-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터의 제조
2,6-다이플루오로 벤즈알데히드 (570 ㎎, 4.01 mmol)을 사용하여 제조예 1의 단계 2와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흰색 고체의 목적화합물 (553 ㎎, 2.63 mmol, 66%)을 얻었다.
1H NMR(200 MHz, CDCl3) δ 8.26(s, 1H), 7.73(d, 1H, J = 8.6Hz), 7.57∼7.46(m, 1H), 7.20∼7.11(m, 1H), 4.06(s, 3H)
MS(m/z)M+= 210 (M+)
<제조예 34> 4-아이오도벤조싸이오펜-2-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터의 제조
(단계 1) 2-플루오로-6-아이오도 벤즈알데히드의 제조
3-아이오도 플루오로벤젠 (2.0 g, 9.01 mmol)을 사용하여 제조예 1의 단계 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노란색 액체의 목적화합물 (2.0 g, 7.99 mmol, 89%)을 얻었다.
1H NMR(200 MHz, CDCl3) δ 10.15(s, 1H), 7.83∼7.79(m, 1H), 7.28∼7.12(m, 2H)
(단계 2) 4-아이오도벤조싸이오펜-2-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터의 제조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2-플루오로-6-아이오도 벤즈알데히드 (1.0 g, 3.99 mmol)을 사용하여 제조예 1의 단계 2와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흰색 고체의 목적화합물 (1.15 g, 3.61 mmol, 90%)을 얻었다.
1H NMR(200 MHz, CDCl3) δ 8.11(s, 1H), 7.84∼7.80(m, 2H), 7.14(dd, 1H, J = 7.4, 7.4 Hz), 3.96(s, 3H)
MS(m/z)M+= 318 (M+)
<제조예 35> 4-메틸벤조싸이오펜-2-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터의 제조
상기 제조예 1에서 얻은 4-브로모벤조싸이오펜-2-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터 (200 ㎎, 0.74 mmol)와 Pd(PPh3)4 (85 ㎎, 10 mmol%), 포타슘 카보네이트 (306 ㎎, 2.21 mol)을 DMF (3 ㎖)에 녹인 후 트라이메틸보록신(trimethylboroxine; 0.12 ㎖, 0.89 mmol)을 넣고 16시간동안 교반하면서 가열, 환류시켰다. 반응이 완결된 후 에틸 아세테이트로 2번 추출하고 소금물로 세척하였다. MgSO4로 건조시킨 후 여과하여 여액을 감압 하에서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헥산 → 헥산 : 에틸 아세테이트 = 60 : 1)로 정제하여 연한 노란색 고체의 목적화합물 (140 ㎎, 0.68 mmol, 92%)을 얻었다.
1H NMR(200 MHz, CDCl3) δ 8.15(s, 1H), 7.69(d, 1H, J = 8.2Hz), 7.35(dd, 1H, J = 7.2, 8.2 Hz), 7.17(d, 1H, J = 7.2 Hz), 3.95(s, 3H), 2.63(s, 3H)
MS(m/z)M+= 206 (M+)
<제조예 36> 4-바이닐벤조싸이오펜-2-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터의 제조
상기 제조예 1에서 얻은 4-브로모벤조싸이오펜-2-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터 (500 ㎎, 1.84 mmol)와 Pd(PPh3)4 (170 ㎎, 8 mmol%)을 톨루엔 (8 ㎖)에 녹인 후 트라이부틸(바이닐)틴 (0.81 ㎖, 2.76 mmol)을 넣고 16시간동안 교반하면서 가열, 환류시켰다. 반응이 완결된 후 에틸 아세테이트로 2번 추출하고 소금물로 세척하였다. MgSO4로 건조시킨 후 여과하여 여액을 감압 하에서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헥산 : 에틸 아세테이트 = 60 : 1)로 정제하여 연한 노란색 고체의 목적화합물 (247 ㎎, 1.13 mmol, 61%)을 얻었다.
1H NMR(200 MHz, CDCl3) δ 8.29(s, 1H), 7.77(d, 1H, J = 8.0 Hz), 7.57∼ 7.40(m, 2H), 7.29∼7.14(m, 1H), 5.84(d, 1H, J = 17.6 Hz), 5.46(d, 1H, J = 11.0 Hz), 3.95(s, 3H)
MS(m/z)M+= 218 (M+)
<제조예 37> 4-에틸벤조싸이오펜-2-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터의 제조
상기 제조예 36에서 얻은 4-바이닐벤조싸이오펜-2-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터 (150 ㎎, 0.69 mmol)을 메탄올 (7 ㎖)에 녹이고 50% 라니니켈 (Raney Ni, 75 ㎎)을 가한 후 상온에서 40 psi의 수소 가스 하에서 16시간동안 반응시킨다. 반응이 완결된 후 여과하여 니켈 성분을 제거하고, 감압하에서 농축시킨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헥산 : 에틸 아세테이트 = 20 : 1)로 정제하여 연한 노란색 오일의 목적화합물 (110 ㎎, 0.50 mmol, 72%)을 얻었다.
1H NMR(200 MHz, CDCl3) δ 8.19(s, 1H), 7.69(d, 1H, J = 8Hz), 7.39(dd, 1H, J = 7.0, 8.2 Hz), 7.21(d, 1H, J = 6.8 Hz), 3.95(s, 3H), 2.99(q, 2H), 1.35(t, 3H)
MS(m/z)M+= 220 (M+)
<제조예 38> 4-아이소프로필벤조싸이오펜-2-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터의 제조
고온, 진공하에서 건조시킨 ZnCl2 (428 ㎎, 3.14 mmol)를 테트라하이드로퓨 란 (THF, 5 ㎖)에 녹인 후, 2M 아이소프로필마그네슘 클로라이드 (1.6 ㎖, 3.2 mmol) THF 용액을 한 방울씩 천천히 가하고 50 ℃에서 3시간동안 교반시켜 징크 슬러리 (zinc slurry)를 만든다.
상기 제조예 34에서 얻은 4-아이오도벤조싸이오펜-2-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터 (500 ㎎, 1.57 mmol)와 CuI (36 ㎎, 0.19 mmol), Pd(dppf)Cl2·CH2Cl2 (128 ㎎, 10 mmol%)을 THF (5 ㎖)에 녹인 후 징크 슬러리를 천천히 가하고 상온에서 16시간동안 교반하면서 반응시킨다. 반응 종결 후 에틸 아세테이트로 2번 추출하고 1M 염산 수용액, 소듐 바이카보네이트 포화수용액 및 소금물로 세척하였다. MgSO4로 건조시킨 후 여과하여 여액을 감압 하에서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헥산 : 에틸 아세테이트 = 60 : 1)로 정제하여 연한 노란색 오일의 목적화합물 (254 ㎎, 1.08 mmol, 69%)을 얻었다.
1H NMR(200 MHz, CDCl3) δ 8.24(s, 1H), 7.71∼7.26(m, 3H), 3.95(s, 3H), 3.50(m, 1H), 1.38(d, 6H)
MS(m/z)M+= 234 (M+)
<제조예 39> 4-나이트벤조싸이오펜-2-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터의 제조
2,6-다이나이트로 벤즈알데히드 (500 ㎎, 2.55 mmol)을 사용하여 제조예 1의 단계 2와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노란색 고체의 목적화합물 (323 ㎎, 1.36 mmol, 53%)을 얻었다.
1H NMR(200 MHz, CDCl3) δ 8.88(s, 1H), 8.39(d, 1H, J = 8.0 Hz), 8.18(d, 1H, J = 8.2 Hz), 7.61(dd, 1H, J = 8.0, 8.0 Hz), 4.00(s, 3H)
MS(m/z)M+= 237 (M+)
<제조예 40> 4-아미노벤조싸이오펜-2-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터의 제조
상기 제조예 39에서 얻은 4-나이트로벤조싸이오펜-2-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터 (185 ㎎, 0.78 mmol)을 사용하여 제조예 37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노란색 고체의 목적화합물 (159 ㎎, 0.77 mmol, 98%)을 얻었다.
1H NMR(200 MHz, CDCl3) δ 8.44(s, 1H), 7.22∼7.06(m, 2H), 6.53(d, 1H, J = 7.6 Hz), 6.02(s, 2H), 3.85(s, 3H)
MS(m/z)M+= 207 (M+)
<제조예 41> 4-메톡시벤조싸이오펜-2-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터의 제조
(단계 1) 2-플루오로-6-메톡시 벤즈알데히드의 제조
3-플루오로 아니솔 (2.2 g, 17.44 mmol)을 질소 대기 조건 아래서 무수 THF (40㎖)에 녹인 후 온도를 -78 ℃로 낮추고 n-BuLi (1.6 M, 19.18 mmol)을 천천히 가하였다. -78 ℃에서 1시간동안 교반시킨 후 DMF (1.6 ㎖, 20.93mmol)를 천천히 가한 후 1시간동안 교반하면서 반응시켰다. 반응 종결 후 묽은 황산 넣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2번 추출 한 뒤 소금물로 세척하였다. MgSO4로 건조시킨 후 여과하여 여액을 감압하에서 농축시키고 실리키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헥산 : 에틸 아세테이트 = 6 : 1)로 정제하여 흰색 고체의 목적화합물 (1.48 g, 9.6 mmol, 55%)을 얻었다.
1H NMR(200 MHz, CDCl3) δ 10.43(s, 1H), 7.54∼7.43(m, 1H), 6.79∼6.68(m, 2H), 3.93(s, 3H)
(단계 2) 4-메톡시벤조싸이오펜-2-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터의 제조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2-플루오로-6-메톡시 벤즈알데히드 (500 ㎎, 3.24 mmol)을 사용하여 제조예 1의 단계 2와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흰색 고체의 목적화합물 (345 ㎎, 1.55 mmol, 48%)을 얻었다.
1H NMR(200 MHz, CDCl3) δ 8.23(s, 1H), 7.44∼7.34(m, 2H), 6.77∼6.73(m, 1H), 3.96(s, 3H), 3.93(s, 3H)
MS(m/z)M+= 222 (M+)
<제조예 42> 4-시아노벤조싸이오펜-2-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터의 제조
상기 제조예 1에서 얻은 4-브로모벤조싸이오펜-2-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터 (2.0 g, 7.38 mmol)을 DMF (8 ㎖)에 녹인 후 마이크로파 합성기 (Creator)를 이용하여 200 ℃에서 20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이 완결된 후 8N 염산을 이용하여 반응액을 산성으로 만든 다음, 에틸 아세테이트로 3번 추출하고 소금물로 세척하였다. MgSO4로 건조시킨 후 여과하여 여액을 감압 하에서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헥산 : 에틸 아세테이트 = 20 : 1)로 정제하여 흰색 고체의 목적화합물 (1.28 g, 5.89 mmol, 80%)을 얻었다.
1H NMR(200 MHz, CDCl3) δ 8.27(s, 1H), 8.10(d, 1H, J = 8.0 Hz), 7.78(d, 1H, J = 7.6 Hz), 7.56(dd, 1H, J = 7.6, 8.0 Hz), 3.98(s, 3H)
MS(m/z)M+= 217 (M+)
<제조예 43> 벤조싸이오펜-2-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터의 제조
2-플루오로 벤즈알데히드 (500 ㎎, 4.03 mmol)을 사용하여 제조예 1의 단계 2와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노란색 고체의 목적화합물 (567 ㎎, 2.95 mmol, 73%)을 얻었다.
1H NMR(200 MHz, CDCl3) δ 8.06(s, 1H), 7.90∼7.84(m, 2H), 7.50∼7.36(m, 2H), 3.94(s, 3H)
MS(m/z)M+= 192 (M+)
<제조예 44> 4-브로모-5-메틸벤조싸이오펜-2-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터의 제조
(단계 1) 2-브로모-3-메틸-6-플루오로 벤즈알데히드의 제조
2-브로모-4-플루오로 톨루엔 (1.0 g, 5.29 mmol)을 사용하여 제조예 1의 단계 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연한 노란색 고체의 목적화합물 (1.1 g, 5.07 mmol, 96%)을 얻었다.
1H NMR(200 MHz, CDCl3) δ 10.39(s, 1H), 7.45∼7.38(m, 1H), 7.09∼6.99(m, 1H), 2.43(s, 3H)
(단계 2) 4-브로모-5-메틸벤조싸이오펜-2-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터의 제조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2-브로모-3-메틸-6-플루오로 벤즈알데히드 (1.1 g, 5.07 mmol)을 사용하여 제조예 1의 단계 2와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흰색 고체의 목적화합물 (1.0 g, 3.51 mmol, 69%)을 얻었다.
1H NMR(200 MHz, CDCl3) δ 8.19(s, 1H), 7.67(d, 1H, J = 8.4 Hz), 7.32(d, 1H, J = 8.2 Hz), 3.95(s, 3H), 2.53(s, 3H)
MS(m/z)M+= 284 (M+)
<제조예 45> 4-클로로-5-메틸벤조싸이오펜-2-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터의 제조
(단계 1) 2-클로로-3-메틸-6-플루오로 벤즈알데히드의 제조
2-클로로-4-플루오로 톨루엔 (1.0 g, 6.92 mmol)을 사용하여 제조예 1의 단계 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연한 노란색 고체의 목적화합물 (1.13 g, 6.55 mmol, 95%)을 얻었다.
1H NMR(200 MHz, CDCl3) δ 10.49(s, 1H), 7.46∼7.39(m, 1H), 7.05∼6.96(m, 1H), 2.39(s, 3H)
(단계 2) 4-클로로-5-메틸벤조싸이오펜-2-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터의 제조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2-클로로-3-메틸-6-플루오로 벤즈알데히드 (1.12 g, 6.49 mmol)을 사용하여 제조예 1의 단계 2와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연한 노란색 고체의 목적화합물 (1.03 g, 4.28 mmol, 66%)을 얻었다.
1H NMR(200 MHz, CDCl3) δ 8.20(s, 1H), 7.64(d, 1H, J = 8.2 Hz), 7.32(d, 1H, J = 8.4 Hz), 3.95(s, 3H), 2.50(s, 3H)
MS(m/z)M+= 240 (M+)
<제조예 46> 4,5-다이메틸벤조싸이오펜-2-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터의 제조
상기 제조예 44에서 얻은 4-브로모-5-메틸벤조싸이오펜-2-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터 (300 ㎎, 1.05 mmol)와 Pd(PPH3)4 (49 ㎎, 4mmol%), 메틸보론산 (94 ㎎, 1.58 mmol)을 톨루엔 (5 ㎖)에 녹인 후 2M 포타슘 카보네이트 (1 ㎖, 2.1 mmol)을 넣고 16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가열, 환류시켰다. 반응이 완결된 후 에틸 아세테이트로 2번 추출하고 소금물로 세척하였다. MgSO4로 건조시킨 후 여과하여 여액을 감압 하에서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헥산 : 에틸 아세테이트 = 40 : 1)로 정제하여 흰색 고체의 목적화합물 (195 ㎎, 0.89 mmol, 84%)을 얻었다.
1H NMR(200 MHz, CDCl3) δ 8.15(s, 1H), 7.58(d, 1H, J = 8.2 Hz), 7.25(d, 1H, J = 8.2 Hz), 3.94(s, 3H), 2.52(s, 3H), 2.38(s, 3H)
MS(m/z)M+= 220 (M+)
<제조예 47> 4-시아노-5-메틸벤조싸이오펜-2-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터의 제조
상기 제조예 44에서 얻은 4-브로모-5-메틸벤조싸이오펜-2-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터 (255 ㎎, 0.89 mmol)를 사용하여 상기 제조예 42와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흰색 고체의 목적화합물 (107 ㎎, 0.46 mmol, 52%)을 얻었다.
1H NMR(200 MHz, CDCl3) δ 8.23(s, 1H), 7.95(d, 1H, J = 8. 4Hz), 7.39(d, 1H, J = 8.4 Hz), 3.98(s, 3H), 2.69(s, 3H)
MS(m/z)M+= 231 (M+)
<제조예 48> 4-브로모-6-메틸벤조싸이오펜-2-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터의 제조
(단계 1) 2,6-다이브로모-4-메틸 벤즈알데히드의 제조
3,5-다이브로모 톨루엔 (1.0 g, 4.0 mmol)을 사용하여 제조예 1의 단계 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흰색 고체의 목적화합물 (662 ㎎, 2.38 mmol, 60%)을 얻었다.
1H NMR(200 MHz, CDCl3) δ 10.24(s, 1H), 7.47(s, 2H), 2.37(s, 3H)
(단계 2) 4-브로모-6-메틸벤조싸이오펜-2-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터의 제조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2,6-다이브로모-4-메틸 벤즈알데히드 (660 ㎎, 2.37 mmol)을 사용하여 제조예 1의 단계 2와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흰색 고체의 목적화합물 (557 ㎎, 1.95 mmol, 82%)을 얻었다.
1H NMR(200 MHz, CDCl3) δ 8.12(s, 1H), 7.57(s, 1H), 7.42(s, 1H), 3.95(s, 3H), 2.46(s, 3H)
MS(m/z)M+= 284 (M+)
<제조예 49> 4,6-다이메틸벤조싸이오펜-2-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터의 제조
상기 제조예 48에서 얻은 4-브로모-6-메틸벤조싸이오펜-2-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터 (220 ㎎, 0.77 mmol)를 사용하여 상기 제조예 46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흰색 고체의 목적화합물 (158 ㎎, 0.72 mmol, 93%)을 얻었다.
1H NMR(200 MHz, CDCl3) δ 8.12(s, 1H), 7.50(s, 1H), 7.04(s, 1H), 3.96(s, 3H), 2.61(s, 3H), 2.46(s, 3H)
MS(m/z)M+= 220 (M+)
<제조예 50> 4-시아노-6-메틸벤조싸이오펜-2-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터의 제조
상기 제조예 48에서 얻은 4-브로모-6-메틸벤조싸이오펜-2-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터 (260 ㎎, 0.91 mmol)를 사용하여 상기 제조예 42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흰색 고체의 목적화합물 (135 ㎎, 0.58 mmol, 64%)을 얻었다.
1H NMR(200 MHz, CDCl3) δ 8.22(s, 1H), 7.88(s, 1H), 7.59(s, 1H), 3.97(s, 3H), 2.53(s, 3H)
MS(m/z)M+= 231 (M+)
<실시예 1> (4-브로모벤조싸이오펜-2-카르보닐)구아니딘 메탄설포네이트의 제조
상기 제조예 1에서 얻은 화합물 (88 ㎎, 0.32 mmol)를 DMF(3 ㎖)에 녹인 후 2M 구아니딘 메탄올 용액 (1 ㎖, 2.0 mmol)을 넣고 상온에서 3시간동안 반응시켰다. 물을 넣어 반응을 종결시킨 후 에틸 아세테이트로 2번 추출하고 소금물로 세 척하였다. MgSO4로 건조시킨 후 여과하여 여액을 감압 하에서 농축시켜 얻어진 잔류물을 아세톤에 녹였다. 메탄설폰산을 2∼3방울 가하여 목적화합물을 고체로 석출시켰다. 생성된 고체는 여과하고 에터(ether)로 씻어서 노란색 고체의 목적화합물 (73 ㎎, 0.18 mmol, 57%)을 얻었다.
1H NMR(300 MHz, DMSO) δ 11.70(br s, 1H), 8.40(s, 1H), 8.31(br, 4H), 8.16(d, 1H, J = 8.1Hz), 7.78(d, 1H, J = 7.8 Hz), 7.51(dd, 1H, J = 7.8, 7.8 Hz), 2.37(s, 3H)
MS(m/z)M+= 299 (M+)
<실시예 2> [4-(2-클로로페닐)벤조싸이오펜-2-카르보닐]구아니딘 메탄설포네이트의 제조
상기 제조예 2에서 얻은 화합물 (200 ㎎, 0.66 mmol)을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흰색 고체의 목적화합물 (125 ㎎, 0.29 mmol, 45%)을 얻었다.
1H NMR(300 MHz, CD3OD) δ 7.86(d, 1H, J = 8.4 Hz), 7.69(s, 1H), 7.48∼7.19(m, 6H), 2.49(s, 3H)
MS(m/z)M+= 329 (M+)
<실시예 3> [4-(3-클로로페닐)벤조싸이오펜-2-카르보닐]구아니딘 메탄설포네이트의 제조
상기 제조예 3에서 얻은 화합물 (95 ㎎, 0.31 mmol)을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흰색 고체의 목적화합물 (85 ㎎, 0.20 mmol, 64%)을 얻었다.
1H NMR(300 MHz, CD3OD) δ 8.37(s, 1H), 8.19(d, 1H, J = 8.1Hz), 7.83∼7.62(m, 6H), 2.84(s, 3H)
MS(m/z)M+= 329 (M+)
<실시예 4> [4-(4-클로로페닐)벤조싸이오펜-2-카르보닐]구아니딘 메탄설포네이트의 제조
상기 제조예 4에서 얻은 화합물 (200 ㎎, 0.66 mmol)을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흰색 고체의 목적화합물 (110 ㎎, 0.26 mmol, 39%)을 얻었다.
1H NMR(300 MHz, DMSO) δ 11.61(br s, 1H), 8.31(s, 1H), 8.25(br s, 4H), 8.16(d, 1H, J = 8.1Hz), 7.69∼7.46(m, 6H), 2.33(s, 3H)
MS(m/z)M+= 329 (M+)
<실시예 5> [4-(2-플루오로페닐)벤조싸이오펜-2-카르보닐]구아니딘 메탄설포네이트의 제조
상기 제조예 5에서 얻은 화합물 (185 ㎎, 0.65 mmol)을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흰색 고체의 목적화합물 (144 ㎎, 0.35 mmol, 54%)을 얻었다.
1H NMR(300 MHz, DMSO) δ 11.51(br s, 1H), 8.25(br, 4H), 8.19(d, 1H, J = 8.1Hz), 8.09(s, 1H), 7.71∼7.39(m, 6H), 2.31(s, 3H)
MS(m/z)M+= 313 (M+)
<실시예 6> [4-(3-플루오로페닐)벤조싸이오펜-2-카르보닐]구아니딘 메탄설포네이트의 제조
상기 제조예 6에서 얻은 화합물 (76 ㎎, 0.27 mmol)을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흰색 고체의 목적화합물 (63 ㎎, 0.15 mmol, 58%)을 얻었다.
1H NMR(300 MHz, CD3OD) δ 8.28(s, 1H), 8.05(d, 1H, J = 8.4 Hz), 7.69∼7.26(m, 6H), 2.71(s, 3H)
MS(m/z)M+= 313 (M+)
<실시예 7> [4-(4-플루오로페닐)벤조싸이오펜-2-카르보닐]구아니딘 메탄설포네이트의 제조
상기 제조예 7에서 얻은 화합물 (118 ㎎, 0.41 mmol)을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흰색 고체의 목적화합물 (115 ㎎, 0.28 mmol, 68%)을 얻었다.
1H NMR(300 MHz, DMSO) δ 11.56(br s, 1H), 8.35(br s, 4H), 8.34(s, 1H), 8.15(d, 1H, J = 8.1 Hz), 7.70∼7.40(m, 6H), 2.35(s, 3H)
MS(m/z)M+= 313 (M+)
<실시예 8> [4-(2-메틸페닐)벤조싸이오펜-2-카르보닐]구아니딘 메탄설포네이트의 제조
상기 제조예 8에서 얻은 화합물 (178 ㎎, 0.63 mmol)을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흰색 고체의 목적화합물 (170 ㎎, 0.42 mmol, 67%)을 얻었다.
1H NMR(300 MHz, DMSO) δ 11.42(br s, 1H), 8.20(br s, 4H), 8.14(d, 1H, J = 8.4Hz), 7.88(s, 1H), 7.65(dd, 1H, J = 7.8, 7.8 Hz), 7.43∼7.27(m, 5H), 2.30(s, 3H), 2.08(s, 3H)
MS(m/z)M+= 309 (M+)
<실시예 9> [4-(3-메틸페닐)벤조싸이오펜-2-카르보닐]구아니딘 메탄설포네이트의 제조
상기 제조예 9에서 얻은 화합물 (127 ㎎, 0.45 mmol)을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흰색 고체의 목적화합물 (93 ㎎, 0.23 mmol, 51%)을 얻었다.
1H NMR(300 MHz, DMSO) δ 11.49(br s, 1H), 8.33(s, 1H), 8.23(br s, 4H), 8.12(d, 1H, J = 8.1 Hz), 7.65(dd, 1H, J = 7.2, 7.8 Hz), 7.48∼7.32(m, 5H), 2.43(s, 3H), 2.29(s, 3H)
MS(m/z)M+= 309 (M+)
<실시예 10> [4-(4-메틸페닐)벤조싸이오펜-2-카르보닐]구아니딘 메탄설포네이트의 제조
상기 제조예 10에서 얻은 화합물 (155 ㎎, 0.55 mmol)을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흰색 고체의 목적화합물 (110 ㎎, 0.27 mmol, 49%)을 얻었다.
1H NMR(300 MHz, DMSO) δ 11.47(br s, 1H), 8.32∼8.09(m, 6H), 7.64∼7.20(m, 6H), 2.42(s, 3H), 2.31(s, 3H)
MS(m/z)M+= 309 (M+)
<실시예 11> [4-(2-메톡시페닐)벤조싸이오펜-2-카르보닐]구아니딘 메탄설포네이트의 제조
상기 제조예 11에서 얻은 화합물 (172 ㎎, 0.58 mmol)을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흰색 고체의 목적화합물 (110 ㎎, 0.26 mmol, 45%)을 얻었다.
1H NMR(300 MHz, DMSO) δ 11.47(br s, 1H), 8.22(br s, 4H), 8.09(d, 1H, J = 7.5 Hz), 7.99(s, 1H), 7.62(m, 1H), 7.50(dd, 1H, J = 7.8, 8.4 Hz), 7.39∼7.32(m, 2H), 7.25(d, 1H, J = 7.8 Hz), 7.13(dd, 1H, J = 7.2, 7.2 Hz), 3.73(s, 3H), 2.30(s, 3H)
MS(m/z)M+= 325 (M+)
<실시예 12> [4-(3-메톡시페닐)벤조싸이오펜-2-카르보닐]구아니딘 메탄설포네이트의 제조
상기 제조예 12에서 얻은 화합물 (95 ㎎, 0.32 mmol)을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연한 노란색 고체의 목적화합물 (65 ㎎, 0.15 mmol, 49%)을 얻었다.
1H NMR(300 MHz, DMSO) δ 11.39(br s, 1H), 8.24(s, 1H), 8.12(br s, 4H), 7.99(d, 1H, J = 8.1Hz), 7.52(dd, 1H, J = 7.5, 8.1 Hz), 7.39∼7.35(m, 2H), 7.05∼6.94(m, 3H), 3.71(s, 3H), 2.18(s, 3H)
MS(m/z)M+= 325 (M+)
<실시예 13> [4-(4-메톡시페닐)벤조싸이오펜-2-카르보닐]구아니딘 메탄설포네이트의 제조
상기 제조예 13에서 얻은 화합물 (120 ㎎, 0.40 mmol)을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흰색 고체의 목적화합물 (131 ㎎, 0.31 mmol, 77%)을 얻었다.
1H NMR(300 MHz, DMSO) δ 11.48(br s, 1H), 8.35(s, 1H), 8.27(br s, 4H), 8.09(d, 1H, J = 8.1 Hz), 7.64(dd, 1H, J = 7.8, 8.1 Hz), 7.56(d, 2H, J = 8.4 Hz), 7.45(d, 1H, J =7 .5Hz), 7.15(d, 2H, J = 8.4 Hz), 3.86(s, 3H), 2.31(s, 3H)
MS(m/z)M+= 325 (M+)
<실시예 14> [4-(2-트라이플루오로메틸페닐)벤조싸이오펜-2-카르보닐]구아니딘 메탄설포네이트의 제조
상기 제조예 14에서 얻은 화합물 (120 ㎎, 0.36 mmol)을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흰색 고체의 목적화합물 (77 ㎎, 0.17 mmol, 47%)을 얻었다.
1H NMR(300 MHz, DMSO) δ 11.34(br s, 1H), 8.22(br s, 4H), 8.19(d, 1H, J = 7.2 Hz), 7.97(d, 1H, J = 7.8 Hz), 7.87∼7.64(m, 4H), 7.53(d, 1H, J = 7.8 Hz), 7.36(d, 1H, J = 6.3 Hz), 2.30(s, 3H)
MS(m/z)M+= 363 (M+)
<실시예 15> [4-(3-트라이플루오로메틸페닐)벤조싸이오펜-2-카르보닐]구아니딘 메탄설포네이트의 제조
상기 제조예 15에서 얻은 화합물 (200 ㎎, 0.89 mmol)을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흰색 고체의 목적화합물 (228 ㎎, 0.50 mmol, 56%)을 얻었다.
1H NMR(300 MHz, CD3OD) δ 8.20(s, 1H), 8.08(d, 1H, J = 8.1Hz), 7.91∼7.80(m, 4H), 7.69(dd, 1H, J = 7.5, 7.5 Hz), 7.53(d, 1H, J = 7.2 Hz), 2.68(s, 3H)
MS(m/z)M+= 363 (M+)
<실시예 16> [4-(4-트라이플루오로메틸페닐)벤조싸이오펜-2-카르보닐]구아니딘 메탄설포네이트의 제조
상기 제조예 16에서 얻은 화합물 (150 ㎎, 0.45 mmol)을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흰색 고체의 목적화합물 (130 ㎎, 0.28 mmol, 63%)을 얻었다.
1H NMR(300 MHz, DMSO) δ 11.51(br s, 1H), 8.32(s, 1H), 8.28(br s, 4H), 8.21(d, 1H, J = 8.4Hz), 7.97∼7.85(m, 4H), 7.71(dd, 1H, J = 7.5, 8.1 Hz), 7.57(d, 1H, J = 7.2 Hz), 2.31(s, 3H)
MS(m/z)M+= 363 (M+)
<실시예 17> (4-페닐벤조싸이오펜-2-카르보닐)구아니딘 메탄설포네이트의 제조
상기 제조예 17에서 얻은 화합물 (150 ㎎, 0.56 mmol)을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흰색 고체의 목적화합물 (105 ㎎, 0.27 mmol, 48%)을 얻었다.
1H NMR(300 MHz, CD3OD) δ 8.28(s, 1H), 7.99(d, 1H, J = 8.1 Hz), 7.67∼7.47(m, 7H), 2.68(s, 3H)
MS(m/z)M+= 296 (M+)
<실시예 18> [4-(1-나프탈레닐)벤조싸이오펜-2-카르보닐]구아니딘 메탄설포네이트의 제조
상기 제조예 18에서 얻은 화합물 (120 ㎎, 0.38 mmol)을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흰색 고체의 목적화합물 (100 ㎎, 0.23 mmol, 60%)을 얻었다.
1H NMR(300 MHz, DMSO) δ 11.28(br s, 1H), 8.57(br s, 4H), 8.25(d, 1H, J = 8.1 Hz), 8.09(dd, 1H, J = 8.1, 8.1 Hz), 7.79∼7.67(m, 4H), 7.58∼7.43(m, 5H), 2.29(s, 3H)
MS(m/z)M+= 345 (M+)
<실시예 19> [4-(3,5-다이클로로페닐)벤조싸이오펜-2-카르보닐]구아니딘 메탄설포네이트의 제조
상기 제조예 19에서 얻은 화합물 (94 ㎎, 0.28 mmol)을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흰색 고체의 목적화합물 (80 ㎎, 0.17 mmol, 62%)을 얻었다.
1H NMR(300 MHz, DMSO) δ 11.52(br s, 1H), 8.24(br s, 4H), 8.25(s, 1H), 8.21(d, 1H, J = 8.1Hz), 7.79∼7.50(m, 5H), 2.32(s, 3H)
MS(m/z)M+= 363 (M+)
<실시예 20> [4-(2,5-다이클로로페닐)벤조싸이오펜-2-카르보닐]구아니딘의 제조
상기 제조예 20에서 얻은 화합물 (164 ㎎, 0.49 mmol)을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켰다. 단, 메탄설폰산염을 만들지 않고 잔류물을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라피에 (MeOH : CH2Cl2 = 1 : 10) 의하여 정제하여 흰색 고체의 목적화합물 (130 ㎎, 0.36 mmol, 73%)을 얻었다.
1H NMR(300 MHz, DMSO) δ 8.02(d, 1H, J = 7.9 Hz), 7.69(d, 1H, J = 8.3 Hz), 7.62∼7.57(m, 2H), 7.51(dd, 1H, J = 7.5, 7.9 Hz), 7.37(s, 1H), 7.32( d, 1H, J = 7.2 Hz)
MS(m/z)M+= 363 (M+)
<실시예 21> [4-(2,3-다이클로로페닐)벤조싸이오펜-2-카르보닐]구아니딘 메탄설포네이트의 제조
상기 제조예 21에서 얻은 화합물 (200 ㎎, 0.59 mmol)을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흰색 고체의 목적화합물 (130 ㎎, 0.28 mmol, 48%)을 얻었다.
1H NMR(300 MHz, DMSO) δ 11.42(br s, 1H), 8.32(br s, 4H), 8.22(d, 1H, J = 7.8 Hz), 7.89(s, 1H), 7.82(d, 1H, J = 7.8 Hz), 7.66(dd, 1H, J = 7.8, 7.8 Hz), 7.59∼7.43(m, 3H), 2.31(s, 3H)
MS(m/z)M+= 363 (M+)
<실시예 22> [4-(2-메톡시-5-클로로페닐)벤조싸이오펜-2-카르보닐]구아니딘 메탄설포네이트의 제조
상기 제조예 22에서 얻은 화합물 (200 ㎎, 0.60 mmol)을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흰색 고체의 목적화합물 (125 ㎎, 0.27 mmol, 46%)을 얻었다.
1H NMR(300 MHz, CD3OD) δ 7.92(d, 1H), 7.81(s, 1H), 7.54(dd, 1H), 7.41∼7.23(m, 3H), 7.12(d, 1H), 3.67(s, 3H), 2.60(s, 3H)
MS(m/z)M+= 360 (M+)
<실시예 23>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벤조싸이오펜-2-카르보닐]구아니딘 메탄설포네이트의 제조
상기 제조예 23에서 얻은 화합물 (160 ㎎, 0.50 mmol)을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흰색 고체의 목적화합물 (110 ㎎, 0.25 mmol, 50%)을 얻었다.
1H NMR(300 MHz, DMSO) δ 11.53(br s, 1H), 8.30(br s, 4H), 8.29(s, 1H), 8.18(d, 1H, J = 8.4 Hz), 7.85(d, 1H, J = 7.5 Hz), 7.70∼7.53(m, 3H), 7.52(d, 1H, J = 7.2 Hz), 2.32(s, 3H)
MS(m/z)M+= 347 (M+)
<실시예 24> [4-(3,5-다이플루오로페닐)벤조싸이오펜-2-카르보닐]구아니딘 메탄설포네이트의 제조
상기 제조예 24에서 얻은 화합물 (160 ㎎, 0.53 mmol)을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흰색 고체의 목적화합물 (160 ㎎, 0.37 mmol, 71%)을 얻었다.
1H NMR(300 MHz, DMSO) δ 11.52(br s, 1H), 8.34(s, 1H), 8.32(br s, 4H), 8.21(d, 1H, J = 8.1 Hz), 7.68(dd, 1H, J = 7.5, 8.1 Hz), 7.56(d, 1H, J = 7.2 Hz), 7.45∼7.38(m, 3H), 2.32(s, 3H)
MS(m/z)M+= 331 (M+)
<실시예 25> [4-(2,5-다이플루오로페닐)벤조싸이오펜-2-카르보닐]구아니딘 메탄설포네이트의 제조
상기 제조예 25에서 얻은 화합물 (132 ㎎, 0.43 mmol)을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흰색 고체의 목적화합물 (53 ㎎, 0.12 mmol, 29%)을 얻었다.
1H NMR(300 MHz, DMSO) δ 11.47(br s, 1H), 8.23∼8.09(m, 6H), 7.69∼7.66(m, 1H), 7.52∼7.43(m, 4H), 2.30(s, 3H)
MS(m/z)M+= 331 (M+)
<실시예 26> [4-(2,3-다이플루오로페닐)벤조싸이오펜-2-카르보닐]구아니딘 메탄설포네이트의 제조
상기 제조예 26에서 얻은 화합물 (150 ㎎, 0.49 mmol)을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흰색 고체의 목적화합물 (148 ㎎, 0.35 mmol, 70%)을 얻었다.
1H NMR(300 MHz, DMSO) δ 11.48(br s, 1H), 8.35(br s, 4H), 8.24(d, 1H, J = 8.1 Hz), 8.11(s, 1H), 7.71(dd, 1H, J=7.5, 7.8 Hz), 7.64∼7.58(m, 1H), 7.54(d, 1H, J = 7.2 Hz), 7.45∼7.37(m, 2H), 2.31(s, 3H)
MS(m/z)M+= 331 (M+)
<실시예 27> [4-(3,4-다이플루오로페닐)벤조싸이오펜-2-카르보닐]구아니딘 메탄설포네이트의 제조
상기 제조예 27에서 얻은 화합물 (134 ㎎, 0.44 mmol)을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흰색 고체의 목적화합물 (147 ㎎, 0.34 mmol, 78%) 을 얻었다.
1H NMR(300 MHz, CD3OD) δ 8.24(s, 1H), 8.05(d, 1H, J = 8.2 Hz), 7.67∼7.42(m, 5H), 2.69(s, 3H)
MS(m/z)M+= 331 (M+)
<실시예 28> [4-(2-메틸-5-플루오로페닐)벤조싸이오펜-2-카르보닐]구아니딘 메탄설포네이트의 제조
상기 제조예 28에서 얻은 화합물 (140 ㎎, 0.47 mmol)을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흰색 고체의 목적화합물 (75 ㎎, 0.18 mmol, 38%)을 얻었다.
1H NMR(300 MHz, DMSO) δ 11.41(br s, 1H), 8.35(br s, 4H), 8.16(d, 1H, J = 7.2 Hz), 7.88(s, 1H), 7.65(dd, 1H, J = 7.2, 8.4 Hz), 7.48∼7.15(m, 4H), 2.31(s, 3H), 2.08(s, 3H)
MS(m/z)M+= 327 (M+)
<실시예 29> [4-(2-플루오로-5-메틸페닐)벤조싸이오펜-2-카르보닐]구아니딘 메탄설포네이트의 제조
상기 제조예 29에서 얻은 화합물 (160 ㎎, 0.53 mmol)을 사용하여 상기 실시 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흰색 고체의 목적화합물 (142 ㎎, 0.34 mmol, 63%)을 얻었다.
1H NMR(300 MHz, DMSO) δ 11.51(br s, 1H), 8.31(br s, 4H), 8.18(d, 1H, J = 8.1 Hz), 8.09(s, 1H), 7.67(dd, 1H, J = 7.8, 7.8 Hz), 7.48(d, 1H, J = 7.2 Hz), 7.35∼7.29(m, 3H), 2.39(s, 3H), 2.31(s, 3H)
MS(m/z)M+= 327 (M+)
<실시예 30> [4-(3,5-다이메틸페닐)벤조싸이오펜-2-카르보닐]구아니딘 메탄설포네이트의 제조
상기 제조예 30에서 얻은 화합물 (155 ㎎, 0.52 mmol)을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흰색 고체의 목적화합물 (95 ㎎, 0.23 mmol, 43%)을 얻었다.
1H NMR(300 MHz, DMSO) δ 11.47(br s, 1H), 8.33(s, 1H), 8.20(br s, 4H), 8.12(d, 1H, J = 8.1 Hz), 7.64(dd, 1H, J = 6.9, 8.1 Hz), 7.45(d, 1H, J = 7.5 Hz), 7.19∼7.15(m, 3H), 2.39(s, 6H), 2.30(s, 3H)
MS(m/z)M+= 323 (M+)
<실시예 31> [4-(2,5-다이메틸페닐)벤조싸이오펜-2-카르보닐]구아니딘 메탄설포네 이트의 제조
상기 제조예 31에서 얻은 화합물 (230 ㎎, 0.78 mmol)을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흰색 고체의 목적화합물 (136 ㎎, 0.32 mmol, 42%)을 얻었다.
1H NMR(300 MHz, DMSO) δ 11.43(br s, 1H), 8.19(br s, 4H), 8.13(d, 1H, J = 8.1 Hz), 7.89(s, 1H), 7.64(dd, 1H, J = 7.8, 7.8 Hz), 7.33∼7.29(m, 2H), 7.22(d, 1H, J = 7.8 Hz), 7.09(s, 1H), 2.33(s, 3H), 2.31(s, 3H), 2.01(s, 3H)
MS(m/z)M+= 323 (M+)
<실시예 32> (4-클로로벤조싸이오펜-2-카르보닐)구아니딘 메탄설포네이트의 제조
상기 제조예 32에서 얻은 화합물 (200 ㎎, 0.89 mmol)을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흰색 고체의 목적화합물 (110 ㎎, 0.31 mmol, 36%)을 얻었다.
1H NMR(300 MHz, DMSO) δ 11.66(br s, 1H), 8.45(s, 1H), 8.40(br s, 4H), 8.13(d, 1H, J = 7.8 Hz), 7.65∼7.56(m, 2H), 2.34(s, 3H)
<실시예 33> (4-플루오로벤조싸이오펜-2-카르보닐)구아니딘 메탄설포네이트의 제조
상기 제조예 33에서 얻은 화합물 (127 ㎎, 0.61 mmol)을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흰색 고체의 목적화합물 (158 ㎎, 0.47 mmol, 77%) 을 얻었다.
1H NMR(300 MHz, DMSO) δ 11.60(br s, 1H), 8.41(s, 1H), 8.26(br s, 4H), 7.99(d, 1H, J = 8.1 Hz), 7.66∼7.59(m, 1H), 7.35(dd, 1H, J = 7.8, 8.1 Hz), 2.36(s, 3H)
MS(m/z)M+= 237 (M+)
<실시예 34> (4-아이오도벤조싸이오펜-2-카르보닐)구아니딘 메탄설포네이트의 제조
상기 제조예 34에서 얻은 화합물 (200 ㎎, 0.63 mmol)을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흰색 고체의 목적화합물 (107 ㎎, 0.24 mmol, 39%)을 얻었다.
1H NMR(300 MHz, DMSO) δ 11.70(br s, 1H), 8.32(s, 1H), 8.29(br s, 4H), 8.15(d, 1H, J = 8.1 Hz), 7.96(d, 1H, J = 7.5 Hz), 7.31(dd, 1H, J = 7.8, 8.1 Hz), 2.35(s, 3H)
MS(m/z)M+= 345 (M+)
<실시예 35> (4-메틸벤조싸이오펜-2-카르보닐)구아니딘 메탄설포네이트의 제조
상기 제조예 35에서 얻은 화합물 (95 ㎎, 0.46 mmol)을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흰색 고체의 목적화합물 (43 ㎎, 0.13 mmol, 28%) 을 얻었다.
1H NMR(300 MHz, DMSO) δ 11.57(br s, 1H), 8.42(s, 1H), 8.29(br s, 4H), 7.93( d, 1H, J = 8.4 Hz), 7.47(dd, 1H, J = 7.5, 7.8 Hz), 7.32(d, 1H, J = 7.2 Hz), 2.66(s, 3H), 2.35(s, 3H)
MS(m/z)M+= 233 (M+)
<실시예 36> (4-바이닐벤조싸이오펜-2-카르보닐)구아니딘 메탄설포네이트의 제조
상기 제조예 36에서 얻은 화합물 (78 ㎎, 0.36 mmol)을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연한 노란색 고체의 목적화합물 (54 ㎎, 0.16 mmol, 44%)을 얻었다.
1H NMR(300 MHz, DMSO) δ 11.69(br s, 1H), 8.72(s, 1H), 8.58(br s, 4H), 8.19(d, 1H, J = 7.8 Hz), 7.86(d, 1H, J = 7.2 Hz), 7.72(dd, 1H, J = 7.5, 7.5 Hz), 7.44(dd, 1H, J = 10.8, 11.1 Hz), 6.18(d, 1H, J = 17.1 Hz), 5.72(d, 1H, J = 11.1 Hz), 2.48(s, 3H)
MS(m/z)M+= 245 (M+)
<실시예 37> (4-에틸벤조싸이오펜-2-카르보닐)구아니딘 메탄설포네이트의 제조
상기 제조예 37에서 얻은 화합물 (110 ㎎, 0.50 mmol)을 사용하여 상기 실시 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흰색 고체의 목적화합물 (108 ㎎, 0.31 mmol, 63%)을 얻었다.
1H NMR(300 MHz, DMSO) δ 11.54(br s, 1H), 8.48(s, 1H), 8.33(br s, 4H), 7.93(d, 1H, J = 8.1 Hz), 7.50(dd, 1H, J = 7.5, 7.8 Hz), 7.33(d, 1H, J = 7.2 Hz), 2.99(q, 2H), 2.36(s, 3H), 1.31(t, 3H)
MS(m/z)M+= 247 (M+)
<실시예 38> (4-아이소프로필벤조싸이오펜-2-카르보닐)구아니딘 메탄설포네이트의 제조
상기 제조예 38에서 얻은 화합물 (240 ㎎, 1.02 mmol)을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흰색 고체의 목적화합물 (168 ㎎, 0.47 mmol, 46%)을 얻었다.
1H NMR(300 MHz, CD3OD) δ 8.49(s, 1H), 7.82(d, 1H, J = 8.1 Hz), 7.53(dd, 1H, J = 7.6, 7.9 Hz), 7.41(d, 1H, J = 7.4 Hz), 3.58(m, 1H), 2.73(s, 3H), 1.43(d, 6H)
MS(m/z)M+= 261 (M+)
<실시예 39> (4-나이트로벤조싸이오펜-2-카르보닐)구아니딘 메탄설포네이트의 제조
상기 제조예 39에서 얻은 화합물 (100 ㎎, 0.42 mmol)을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노란색 고체의 목적화합물 (81 ㎎, 0.23 mmol, 54%)을 얻었다.
1H NMR(300 MHz, DMSO) δ 11.59(br s, 1H), 8.95(s, 1H), 8.64(d, 1H, J = 8.1 Hz), 8.47(d, 1H, J = 7.8 Hz), 8.27(br s, 4H), 7.82(dd, 1H, J = 7.8, 8.1 Hz), 2.34(s, 3H)
MS(m/z)M+= 264 (M+)
<실시예 40> (4-아미노벤조싸이오펜-2-카르보닐)구아니딘 메탄설포네이트의 제조
상기 제조예 40에서 얻은 화합물 (115 ㎎, 0.56 mmol)을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노란색 고체의 목적화합물 (70 ㎎, 0.21 mmol, 38%)을 얻었다.
1H NMR(300 MHz, DMSO) δ 11.41(br s, 1H), 8.48(s, 1H), 8.24(br s, 4H), 7.27∼7.14(m, 2H), 6.59(d, 1H, J = 7.8 Hz), 2.38(s, 3H)
MS(m/z)M+= 234 (M+)
<실시예 41> (4-메톡시벤조싸이오펜-2-카르보닐)구아니딘 메탄설포네이트의 제조
상기 제조예 41에서 얻은 화합물 (188 ㎎, 0.85 mmol)을 사용하여 상기 실시 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흰색 고체의 목적화합물 (145 ㎎, 0.42 mmol, 50%)을 얻었다.
1H NMR(300 MHz, DMSO) δ 11.44(br s, 1H), 8.42(s, 1H), 8.20(br s, 4H), 7.65(d, 1H, J = 8.1 Hz), 7.55(dd, 1H, J = 8.1, 8.1 Hz), 7.03(d, 1H, J = 7.8 Hz), 3.99(s, 3H), 2.34(s, 3H)
MS(m/z)M+= 249 (M+)
<실시예 42> (4-시아노벤조싸이오펜-2-카르보닐)구아니딘 메탄설포네이트의 제조
상기 제조예 42에서 얻은 화합물 (1.76 g, 8.1 mmol)을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흰색 고체의 목적화합물 (2.4 g, 7.12 mmol, 88%)을 얻었다.
1H NMR(300 MHz, CD3OD) δ 8.38(s, 1H), 8.31(d, 1H, J = 8.3 Hz), 7.89(d, 1H, J = 7.4 Hz), 7.64(dd, 1H, J = 7.4, 8.2 Hz), 2.66(s, 3H)
MS(m/z)M+= 244 (M+)
<실시예 43> (4-트라이플루오로메틸벤조싸이오펜-2-카르보닐)구아니딘 메탄설포네이트의 제조
트라이플루오로메틸 벤조싸이오펜-2-카르보닐 메틸 에스터 화합물 (138 ㎎, 0.67 mmol)을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흰색 고체의 목적화합물 (170 ㎎, 0.51 mmol, 77%)을 얻었다.
1H NMR(300 MHz, DMSO) δ 11.68(br s, 1H), 8.51(d, 1H, J = 8.4 Hz), 8.47(s, 1H), 8.34(br s, 4H), 7.94(d, 1H, J = 7.2 Hz), 7.75(dd, 1H, J = 7.2, 8.4 Hz), 2.35(s, 3H)
MS(m/z)M+= 287 (M+)
<실시예 44> (벤조싸이오펜-2-카르보닐)구아니딘 메탄설포네이트의 제조
상기 제조예 43에서 얻은 화합물 (200 ㎎, 1.04 mmol)을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흰색 고체의 목적화합물 (113 ㎎, 0.36 mmol, 35%)을 얻었다.
1H NMR(300 MHz, DMSO) δ 11.58(br s, 1H), 8.37(s, 1H), 8.28(br s, 4H), 8.14∼8.09(m, 2H), 7.61∼7.50(m, 2H), 2.39(s, 3H)
MS(m/z)M+= 218 (M+)
<실시예 45> (4-브로모-5-메틸벤조싸이오펜-2-카르보닐)구아니딘 메탄설포네이트의 제조
상기 제조예 44에서 얻은 화합물 (200 ㎎, 0.70 mmol)을 사용하여 상기 실시 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흰색 고체의 목적화합물 (195 ㎎, 0.48 mmol, 68%)을 얻었다.
1H NMR(300 MHz, DMSO) δ 11.65(br s, 1H), 8.39(s, 1H), 8.27(br s, 4H), 8.05(d, 1H, J = 8.1 Hz), 7.56(d, 1H, J = 8.4 Hz), 2.50(s, 3H), 2.36(s, 3H)
MS(m/z)M+= 313 (M+)
<실시예 46> (4-클로로-5-메틸벤조싸이오펜-2-카르보닐)구아니딘 메탄설포네이트의 제조
상기 제조예 45에서 얻은 화합물 (200 ㎎, 0.83 mmol)을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흰색 고체의 목적화합물 (260 ㎎, 0.71 mmol, 86%)을 얻었다.
1H NMR(300 MHz, CD3OD) δ 8.40(s, 1H), 7.85(d, 1H, J = 8.3 Hz), 7.51(d, 1H, J = 8.3 Hz), 2.73(s, 3H), 2.54(s, 3H)
MS(m/z)M+= 267 (M+)
<실시예 47> (4,5-다이메틸벤조싸이오펜-2-카르보닐)구아니딘 메탄설포네이트의 제조
상기 제조예 46에서 얻은 화합물 (90 ㎎, 0.41 mmol)을 사용하여 상기 실시 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흰색 고체의 목적화합물 (98 ㎎, 0.29 mmol, 70%)을 얻었다.
1H NMR(300 MHz, CD3OD) δ 8.62(s, 1H), 7.92(d, 1H, J = 8.2 Hz), 7.59(d, 1H, J = 8.3 Hz), 2.94(s, 3H), 2.84(s, 3H), 2.65(s, 3H)
MS(m/z)M+= 247(M+)
<실시예 48> (4-시아노-5-메틸벤조싸이오펜-2-카르보닐)구아니딘 메탄설포네이트의 제조
상기 제조예 47에서 얻은 화합물 (80 ㎎, 0.35 mmol)을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흰색 고체의 목적화합물 (78 ㎎, 0.22 mmol, 64%)을 얻었다.
1H NMR(300 MHz, CD3OD) δ 8.36(s, 1H), 8.21(d, 1H, J = 8.4 Hz), 7.61(d, 1H, J = 8.4 Hz), 2.72(s, 3H), 2.71(s, 3H)
MS(m/z)M+= 258 (M+)
<실시예 49> (4-브로모-6-메틸벤조싸이오펜-2-카르보닐)구아니딘 메탄설포네이트의 제조
상기 제조예 48에서 얻은 화합물 (100 ㎎, 0.35 mmol)을 사용하여 상기 실시 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흰색 고체의 목적화합물 (108 ㎎, 0.27 mmol, 75%)을 얻었다.
1H NMR(300 MHz, CD3OD) δ 8.48(s, 1H), 7.97(s, 1H), 7.75(s, 1H), 2.89(s, 3H), 2.67(s, 3H)
MS(m/z)M+= 313 (M+)
<실시예 50> (4,6-다이메틸벤조싸이오펜-2-카르보닐)구아니딘 메탄설포네이트의 제조
상기 제조예 49에서 얻은 화합물 (125 ㎎, 0.57 mmol)을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흰색 고체의 목적화합물 (75 ㎎, 0.22 mmol, 39%)을 얻었다.
1H NMR(300 MHz, CD3OD) δ 8.31(s, 1H), 7.61(s, 1H), 7.15(s, 1H), 2.72(s, 3H), 2.66(s, 3H), 2.47(s, 3H)
MS(m/z)M+= 247 (M+)
<실시예 51> (4-시아노-6-메틸벤조싸이오펜-2-카르보닐)구아니딘 메탄설포네이트의 제조
상기 제조예 50에서 얻은 화합물 (110 ㎎, 0.48 mmol)을 사용하여 상기 실시 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흰색 고체의 목적화합물 (135 ㎎, 0.38 mmol, 80%)을 얻었다.
1H NMR(300 MHz, CD3OD) δ 8.38(s, 1H), 8.16(s, 1H), 7.83(s, 1H), 2.73(s, 3H), 2.57(s, 3H)
MS(m/z)M+= 258(M+)
상기 실시예들을 통하여 제조된 본 발명의 화합물들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에 의한 화학식 1의 화합물들에 대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실시하여 여러 가지 약리작용을 조사하였다.
<실험예 1> NHE-1 억제효과
본 발명의 벤조싸이오펜-2-카르보닐구아니딘 유도체의 NHE-1 억제효과를 세포단계에서 측정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실시하였다.
CCL39에서 유래된 PS120 세포에 사람 NHE-1를 발현시켜 사용하였으며, 10% 소태아혈청과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100× solution), 1% L-글루타민(200 mM 수용액)이 보충된 DMEM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배지에서 세포를 배양하였다. 직경 100㎜ 디쉬에서 약 80~90% 키운 PS120/NHE-1 세포를 트립신으로 처리한 후, PBS (phosphate buffer saline)로 1회, 나트륨 없는 완충액 (Na-free buffer; 138.2 mM Choline chloride, 4.9mM KCl, 1.5 mM CaCl2·2H2O, 1.2 mM MgSO4·7H2O, 1.2mM KH2PO4, 15mM D-글루코스, 20mM HEPES, at pH 7.4)으로 1회 세척하였다. 이것을 원심분리하여 침전물을 20 mM NH4Cl 및 10 μM BCECF-AM [2',7'-bis(2-carboxyethyl)-5,6-carboxy-fluorescein acetoxymethyl ester]을 함유하는 나트륨 없는 완충액에 부유시킨 후, 37 ℃, CO2 배양기에서 30분간 배양시켰다. NH4Cl을 제거하고 동시에 세포 밖에 남아있는 BCECF-AM를 세척해주기 위하여, PS120/NHE-1 세포를 원심분리한 후 나트륨 없는 완충액으로 1회 세척하고, 세포수가 2.5 × 104 세포/10 ㎕ 되도록 부유액을 만들어 4 ℃의 암실에 보관하였다. 96 웰 플레이트에 180 ㎕ HBS 완충액(137 mM NaCl, 4.9 mM KCl, 1.5 mM CaCl2·2H2O, 1.2 mM MgSO4·7H2O, 1.2 mM KH2PO4, 15 mM D-글루코스, 20 mM HEPES, at pH 7.4)과 DMSO 또는 DMSO에 녹인 본 발명의 화합물(0.03 ~ 10 μM) 10 ㎕씩을 분주하여 잘 섞어준 후, 마지막으로 세포내 산성화가 유발된 PS120/NHE-1 세포를 10 ㎕씩 첨가하여 교반시켰다. 세포를 첨가하고 4분 후에 96 웰 플레이트용 형광분광광도계 (XEMINI-XS; Molecular Device)를 사용하여 형광 (여기:485/444 ㎚, 방출:535 ㎚)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형광값은 고-K+/나이제리신 기술(high-K+/nigericin technique)을 이용하여 pH로 환산하였다. NH4Cl 예비 펄스(prepulse)로 세포내 산성화를 유발시킨 세포는 NHE-1의 작동에 의해 세포내 산성화가 다시 정상으로 회복되게 되는데, 이때 세포내 산성화의 회복을 50% 억제시키는 화합물의 농도를 구하여(IC50 값) NHE-1에 대한 억제효과를 측정하였다. 대조물질로는 카리포라이드(cariporide)를 사용하여 실험하였다.
결과는 표 2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화합물들의 NHE-1 억제 효과
화합물 |
R1 |
R2 |
IC50 (μM) |
화합물 |
R1 |
R2 |
IC50 (μM) |
카리포라이드 |
- |
- |
0.68 |
실시예 26 |
2,3-diF-Ph |
H |
8.93 |
실시예 1 |
Br |
H |
0.20 |
실시예 27 |
3,4-diF-Ph |
H |
3.62 |
실시예 2 |
2-Cl-Ph |
H |
4.15 |
실시예 28 |
2-Me-5-F-Ph |
H |
4.79 |
실시예 3 |
3-Cl-Ph |
H |
2.52 |
실시예 29 |
2-F-5-Me-Ph |
H |
6.69 |
실시예 4 |
4-Cl-Ph |
H |
> 30 |
실시예 30 |
3,5-diMe-Ph |
H |
> 30 |
실시예 5 |
2-F-Ph |
H |
10.52 |
실시예 31 |
2,5-diMe-Ph |
H |
10.09 |
실시예 6 |
3-F-Ph |
H |
5.62 |
실시예 32 |
Cl |
H |
0.20 |
실시예 7 |
4-F-Ph |
H |
3.90 |
실시예 33 |
F |
H |
1.73 |
실시예 8 |
2-Me-Ph |
H |
7.66 |
실시예 34 |
I |
H |
0.17 |
실시예 9 |
3-Me-Ph |
H |
3.37 |
실시예 35 |
Me |
H |
0.48 |
실시예 10 |
4-Me-Ph |
H |
> 30 |
실시예 36 |
바이닐 |
H |
0.31 |
실시예 11 |
2-OMe-Ph |
H |
> 30 |
실시예 37 |
Et |
H |
0.27 |
실시예 12 |
3-OMe-Ph |
H |
10.70 |
실시예 38 |
iPr |
H |
0.85 |
실시예 13 |
4-OMe-Ph |
H |
> 30 |
실시예 39 |
NO2 |
H |
2.34 |
실시예 14 |
2-CF3-Ph |
H |
> 30 |
실시예 40 |
NH2 |
H |
> 30 |
실시예 15 |
3-CF3-Ph |
H |
4.39 |
실시예 41 |
OMe |
H |
3.44 |
실시예 16 |
4-CF3-Ph |
H |
> 30 |
실시예 42 |
CN |
H |
2.02 |
실시예 17 |
Ph |
H |
8.36 |
실시예 43 |
CF3 |
H |
0.40 |
실시예 18 |
1-나프탈레닐 |
H |
> 30 |
실시예 44 |
H |
|
11.70 |
실시예 19 |
3,5-diCl-Ph |
H |
0.68 |
실시예 45 |
Br |
5-Me |
0.29 |
실시예 20 |
2,5-diCl-Ph |
H |
> 30 |
실시예 46 |
Cl |
5-Me |
0.54 |
실시예 21 |
2,3-diCl-Ph |
H |
> 30 |
실시예 47 |
Me |
5-Me |
0.75 |
실시예 22 |
2-OMe-5-Cl-Ph |
H |
> 30 |
실시예 48 |
CN |
5-Me |
- |
실시예 23 |
3-Cl-4-F-Ph |
H |
2.48 |
실시예 49 |
Br |
6-Me |
- |
실시예 24 |
3,5-diF-Ph |
H |
5.10 |
실시예 50 |
Me |
6-Me |
- |
실시예 25 |
2,5-diF-Ph |
H |
8.57 |
실시예 51 |
CN |
6-Me |
- |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대조물질인 카리포라이드는 0.68 μM의 IC50를 나타내어 NHE-1에 대한 우수한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화합물들 중 실시예 1, 3, 19, 23, 32~39, 41, 42, 43, 45, 46 및 47의 화합물들은 3.0 μM 이하의 IC50를 나타내어 카리포라이드와 유사하거나 우수한 NHE-1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이 중에서 특히 실시예 1, 32, 34, 36, 37, 43 및 45의 화합물들은 0.5 μM 이하의 IC50를 나타내어 카리포라이드보다 우수한 NHE-1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합물들은 NHE-1에 대하여 강력한 억제효과를 나타내므로, NHE-1 억제를 통하여 허혈/재관류 손상에 대한 보호제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실험예 2> 흰쥐의 적출 허혈심장에 대한 심장보호효과
본 발명의 벤조싸이오펜-2-카르보닐구아니딘 유도체들이 적출심장에서 허혈 심장의 기능 회복을 증진시켜 심장보호작용을 나타내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흰쥐에 대하여 하기와 같은 적출심장 실험을 실시하였다.
숫컷 흰쥐(300~450 g, 한국화학연구원 실험동물실)에 펜토바비탈 나트륨염 (Sodium pentobarbital)을 100 ㎎/㎏을 복강내 주사하여 마취시킨 후 헤파린 1000 U/㎏을 정맥 투여하고 심장을 적출하였다. 구체적으로 기관에 캐뉼라 (cannula, PE 240)를 삽입하고 설치류 호흡기 (rodent ventilator)를 이용해 인공호흡시키며, 그 상태에서 대동맥 캐뉼라를 대동맥에 삽입하고 역행성 관류 하에 심장을 적출해 랑겐돌프 기기 (Langendorff Apparatus)에 재빨리 매달고 심장에 붙어있는 불필요한 조직을 제거한 후, 정압 관류 (85 mmHg)하에서 95% O2/5% CO2로 포화된 37 ℃의 생리액 (modified Krebs-Henseleit bicarbonate buffer; 조성 <mM/L>: 116 NaCl, 4.7 KCl, 1.1 MgSO4, 1.17 KH2PO4, 24.9 NaHCO3, 2.52 CaCl2, 8.32 Glucose, 2.0 Pyruvate)으로 관류시켰다. 에탄올과 증류수 혼합액(1:1 vol/vol)으로 채운 고무 풍선(latex balloon)이 연결된 금속 캐뉼라를 폐정맥을 통해 좌심실에 삽입시키고 풍선에 전달되는 좌심실압을 압력 변압기(pressure transducer)를 통해 등량적으로 (isovolumetric) 확대기 (Plugsys bridge amplifier)로 처리하여 기록계 (Linearcorder mark 8 WR 3500)에 기록하였다. 심장을 15분 동안 안정화시킨 후 좌심실 이완기말압 (LVEDP, left ventricular enddiastolic pressure)을 5 mmHg로 주고 이 풍선 부피를 전 실험 기간 동안 유지시켰다.
기조 (Baseline) 심장 수축 기능과 심박동수 (HR, heart rate) 및 관상혈류 (CF, coronary flow)를 측정하였다. 심장 수축 기능을 평가하는 지표인 좌심실 발생압 (LVDP, left ventricular developed pressure)은 좌심실 최대 수축기압 (LVSP, left ventricular peak systolic pressure)과 좌심실 이완기말압 (LVEDP, left ventricular enddiastolic pressure)의 차이로 산출하였다. 생체내 심장과 달리 심장 박출량 (cardiac output)을 측정할 수 없는 랑겐돌프 심장 (Langendorff heart)에서 간접적으로 심장의 기능 (cardiac performance)을 알아보는 중요한 지표인 심박동수-압력의 곱 [RPP(rate-pressure product)]은 심박동수 (HR)에 좌심실 발생압 (LVDP)을 곱하여 계산하였다. 심장의 온도는 실험 전 기간에 걸쳐 심장을 95% O2/5% CO2가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37 ℃의 생리액에 담금으로서 일정하게 유지하였다. 안정화 후 심장은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대조약물을 일정 농도로 DMSO (dimethylsulfoxide)에 녹인 후 HBS 완충액으로 희석한 용액(DMSO의 최종농도 0.04%), 또는 용매(음성대조군; 0.04% DMSO)만으로 각각 10분동안 관류시킨 후, 심장 수축 기능과 심박동수 (HR, heart rate) 및 관상혈류 (CF, coronary flow)를 재차 측정한 후 관류액 공급을 완전히 차단하여 30분 동안 전허혈 (global ischemia)을 유발하였다. 이후 30분 동안 관류액을 재관류한 후에 각 지표 (LVDP, HR, LVEDP, CF)를 재차 측정하였다. 또한 30분 동안 재관류 후에 총 재관류액 중의 젖산염 탈수소효소 (lactate dehydrogenase, LDH) 농도를 키트를 이용해 측정하여 허혈 심근손상의 지표로 삼았다. 음성대조군은 용매만을 처리하였으며, 대조물질로는 카리포라이드를 사용하였다.
결과는 표 3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화합물들의 랫트 적출 허혈/재관류 심장에 대한 보호효과
화합물 |
농도(μM) |
RPP1 (%) |
LVEDP2 (mmHg) |
LDH3 (u/g) |
음성대조군 |
|
15.5 |
55.3 |
33.6 |
카리포라이드 |
10 |
69.8 |
22.4 |
19.3 |
실시예 1 |
10 |
54.7 |
34.0 |
NA4 |
실시예 19 |
10 |
19.1 |
64.4 |
NA4 |
실시예 23 |
10 |
5.9 |
68.0 |
8.8 |
실시예 32 |
10 |
60.8 |
25.3 |
8.8 |
실시예 33 |
10 |
46.6 |
37.7 |
7.0 |
실시예 34 |
10 |
65.8 |
19.0 |
7.1 |
실시예 35 |
10 |
40.4 |
38.0 |
NA4 |
실시예 36 |
10 |
51.0 |
42.0 |
13.1 |
실시예 37 |
10 |
43.4 |
37.7 |
7.1 |
실시예 39 |
10 |
73.3 |
11.3 |
10.8 |
실시예 42 |
10 |
82.4 |
6.0 |
14.7 |
실시예 43 |
10 |
80.6 |
5.8 |
5.2 |
실시예 45 |
10 |
50.4 |
41.8 |
22.5 |
실시예 47 |
10 |
59.3 |
25.0 |
21.2 |
1 : 심박동수-압력의 곱; RPP(rate pressure product), LVDP (죄심실압) × HR (심박동수) 허혈유발 전 값에 대한 % 2 : 좌심실이완기말압(left ventricular enddiastolic pressure) 3 : 젖산염 탈수소효소 (LDH)의 재관류시 유리량 4 : 미측정 (not assayed) |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흰쥐의 적출심장을 이용한 적출 허혈/재관류 심장 실험에서, 음성대조군에서는 심장의 수축기능을 잘 반영하는 좌심실 발생압 (LVDP)과 심박동수의 곱 (RPP, rate pressure product, LVDP × HR)이 허혈유발 전의 15.5%로 심장의 수축기능이 현저히 저하되었음을 알 수 있으며, 허혈/재관류에 의한 심근의 수축 (contracture)을 나타내어 심장보호작용의 또 다른 지표인 재관류 좌심실이완기말압도 5 mmHg에서 55.3 mmHg로 유의성 있게 증가되었다. 세포손상의 지표가 되는 효소인 젖산염 탈수소효소 (LDH)의 재관류시의 유리량은 33.6 u/g이었다.
카리포라이드 10 μM 처치군은 재관류 후의 심근 수축 기능 (LVDP x HR)이 허혈 유발전의 69.8%로 음성대조군에 비하여 현저히 증가되었고 좌심실이완기말압 (LVEDP)은 22.4 mmHg으로 음성대조군보다 유의성 있게 낮아 허혈심장의 보호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재관류 시의 LDH 유리량도 19.3 u/g으로 유의성 있게 저하되었다. 실시예 1, 32~39, 42, 43, 45 및 47 등 세포실험에서 NHE-1에 대한 억제효과가 우수했던 대부분의 화합물들은 10 μM 처치에 의해 허혈/재관류에 의한 심장손상을 유의성 있게 개선하였다. 실시예 32, 34, 39, 42 및 43의 화합물은 심장수축력, 좌심실이완기말압, 젖산염 탈수소효소 유리 등 모든 지표에서 카리포라이드와 유사하거나 보다 우수한 개선효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실시예 39, 42, 43의 화합물은 심장수축력이 각각 허혈 유발 전의 73.3, 82.3, 80.6%, 좌심실이완기말압이 11.3, 6.0, 5.8 mmHg, 젖산염 탈수소효소 유리량이 10.8, 14.7, 5.2 u/g으로 모든 지표에서 카리포라이드에 비해 유의성 있게 우수한 허혈/재관류 심장에 대한 보호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합물들은 허혈/재관류 손상에 의한 심장기능의 회복을 증진시킴으로서 허혈성 심장에 대한 보호작용이 우수하므로, 허혈성 심혈관 질환에 관련된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실험예 3> 흰쥐의
in vivo
허혈심장 모델에 대한 심장 보호작용
본 발명의 벤조싸이오펜-2-카르보닐구아니딘 유도체들이 in vivo 허혈 심장을 보호하는 작용을 나타내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흰쥐에 대한 항허혈 효과 (Antiischemic effects; 심근경색 감소 효과)를 하기와 같은 실험을 통해 조사하였다.
수컷 흰쥐 (350~450g, 한국화학연구원 실험동물실)에 펜토바비탈 (pentobarbital)을 75 ㎎/㎏로 복강주사하여 쥐를 마취시켰다. 기관절개술 (tracheotomy)을 실시한 후 10 ㎖/㎏의 일회 심박출량 (stroke volume), 분당 60 심박수로 인공호흡을 실시하였다. 대퇴정맥과 대퇴동맥에 캐뉼러를 삽입하여 각각 약물 투여 및 혈압 측정에 이용하였다. 한편 허혈성 심근손상 모델에서 체온은 결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므로, 직장에 삽입한 체온 측정용 탐침 (probe)과 항온 피복 조절 유니트 (Homeothermic blanket control unit)를 사용하여 쥐의 체온을 37 ℃로 일정하게 유지시켰다. 이후 실험기간 동안 쥐의 평균 동맥압 (mean arterial blood pressure)과 심박동수 (HR)를 계속해서 측정하였다. 이때 혈압 측정에는 슈타탐 P23XL 압력 변환기 (Statham P23XL pressure transducer, Grass Ins., MA, 미국)를 사용하고 심박동수 측정에는 심전도/심박동수 카플러 (ECG/RATE Coupler, Hugo Sachs Electronic, 독일)를 사용하였다. 또한 그래프텍 리니어코더 차트 리코더 (Graphtec Linearcorder WR 3310, Hugo Sachs Electronic)를 사용하여 모든 변화를 연속적으로 기록하였다.
좌관상 동맥은 셀리(Selye H.)의 방법에 의해 하기와 같이 결찰시켰다. 즉, 좌개흉술 (left thoracotomy)에 의해 쥐의 가슴 일부를 열고 왼손의 장지(長指)로 마취된 흰쥐의 오른쪽 가슴에 압력을 가하여 심장을 외부로 밀어내어 왼손의 엄지와 검지 손가락으로 심장을 가볍게 고정시켰다. 이후 수술사 (5-0 silk ligature)가 부착된 봉합용 (suture) 바늘로 조심스럽게 좌심실 하행성 관상동맥(left anterior desending coronary artery, LAD)을 포함하는 부분을 뜬 뒤 재빨리 심장을 흉곽강 (thoracic cavity)에 재위치시키고 수술사 양끝을 외부에 위치시켰다. 수술사 양끝은 PE 튜브 (PE100, 2.5㎝)에 통과시킨 후 20분 동안 그대로 두어 안정화시켰다. 그 후 대퇴정맥에 삽입된 캐뉼러를 통해 용매(vehicle) 또는 본 발명의 화합물을 투여하였으며, 약물의 효과가 충분히 나타나도록 30분간 그대로 두었다. 이 때, 대조군의 약물로는 카리포라이드를 사용하였다.
이후 실에 끼워 놓았던 PE 튜브를 심장에 밀어 넣고 튜브의 끝부분 실을 지혈 (hemostatic) 핀셋으로 당겨 PE 튜브를 관상동맥에 수직으로 밀착시켜 압력을 가하였으며, 45분 동안 그대로 두어 관상동맥을 결찰 (occlusion)시킨 뒤 지혈 핀셋을 제거하고 90분간 재관류시켰다.
상기 방법에 의해 관상동맥을 재결찰 (reocclusion)시키고, 1% 에반스 블루 용액 (Evans blue) 2 ㎖를 정맥투여하였다. 이후 펜토바비탈을 과량 정맥 투여하여 흰쥐를 도살시키고 심장을 떼어내어 우심실과 양쪽 심방을 제거하였다. 좌심실은 심첨으로부터 5∼6 개의 절편 (slice)으로 수평 절단하고, 절편 각각의 무게를 측정하였다. 심장 절편 각각의 표면은 콤팩트 미세 영상 측정장치(compact micro vision system)인 하이-스코프 (Hi-scope)와 화상분석용 컴퓨터 프로그램 (Image pro plus)을 이용해 컴퓨터에 입력시키고, 이로부터 각 절편에서 푸른색으로 착색된 정상혈류 조직의 면적과 착색되지 않은 영역의 면적을 측정하였다. 각 절편의 총면적에 대하여 착색되지 않은 영역의 면적비를 구하고 여기에 각 절편의 무게를 곱하여 각 절편의 위험영역인 AAR (area at risk)을 계산하였다. 이렇게 구한 각 절편에 대한 AAR를 모두 합하고 이것을 전체 좌심실 무게로 나누어,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AAR(%)을 구하였다.
또한, 심장 절편을 1% 2,3,5-트리페닐테트라졸륨 클로라이드 인산 완충 용액 [2,3,5-triphenyltetrazolium chloride (TTC) phosphate buffer, 37 ℃, pH 7.4)]에서 15분 동안 배양시키고 10% 포르말린 (formalin) 용액에서 20~24시간동안 고정 시켰다. 이렇게 함으로써 심근의 탈수소효소 (dehydrogenase)와 보조인자 (cofactor)인 NADH에 의해 2,3,5-트리페닐테트라졸륨 클로라이드가 환원되어 포르마잔 염료 (formazan dye)가 되므로, 조직의 정상 부위는 붉은 벽돌색(brick-red color)을 띠게 된다. 반면 조직의 경색 부위에는 탈수소효소와 보조인자가 없으므로 2,3,5-트리페닐테트라졸륨 클로라이드가 환원되지 않고, 따라서 붉은 벽돌색을 띠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이 2,3,5-트리페닐테트라졸륨 클로라이드에 의해 조직 부위가 착색되는지 여부에 의해 각 절편의 정상 영역 및 경색 크기 (Infarct size, IS)를 상기 AAR 측정시와 동일한 방법으로 구하였다. 이렇게 구한 각 절편에 대한 경색 영역을 모두 합하고 이것을 전체 AAR 무게 또는 전체 좌심실 무게로 나누어, 하기 수학식 2에 의해 IS (%)를 구하였다. 이 실험 모델에 있어서는, IS (%)가 낮을수록 경색부위가 적은 것이므로 시험물질의 항허혈 효과가 강한 것으로 판정하였다.
결과는 표 4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화합물들의 랫트 in vivo 허혈/재관류 심장에 대한 보호효과
화합물 |
심근경색율 (IS/AAR1, %) |
음성대조군 |
58.6 |
카리포라이드 |
0.1 ㎎/㎏ |
40.5 |
0.3 ㎎/Kg |
37.9 |
실시예 1 |
0.1 ㎎/㎏ |
45.6 |
실시예 32 |
0.1 ㎎/Kg |
48.1 |
실시예 33 |
0.1 ㎎/Kg |
45.2 |
실시예 34 |
0.1 ㎎/Kg |
48.6 |
실시예 35 |
0.1 ㎎/㎏ |
47.9 |
실시예 37 |
0.1 ㎎/Kg |
51.6 |
실시예 42 |
0.1 ㎎/Kg |
36.9 |
0.3 ㎎/Kg |
34.4 |
실시예 43 |
0.1 ㎎/Kg |
44.8 |
1 : IS/AAR (infarct size/ area at risk) |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흰쥐를 이용한 in vivo 허혈 심근 손상 모델에서도 본 발명의 화합물은 위험영역에 대한 심근경색율이 유의적으로 감소된 수치를 보였다. 구체적으로 용매 투여군은 위험영역 (AAR)에 대한 심근경색율 (IS/AAR, %)이 58.6%로서 허혈에 의한 심근 손상이 매우 심한 것을 알 수 있고, 대조물질인 카리포라이드를 투여한 경우에는 심근경색율은 0.1 및 0.3 ㎎/Kg 투여에 의해 각각 40.5, 37.9%로서 유의성 있는 항허혈 작용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1, 32, 33, 34, 35, 47 및 48의 화합물은 0.1 ㎎/Kg 투여로 50% 이하의 심근경색율을 나타내어 음성대조군보다 유의성있는 감소를 나타내었다. 특히 NHE-1에 대한 억제효과가 우수하였고, 랫트의 적출 허혈/재관류 심장 모델에서 매우 우수한 심장기능 회복효과를 보인 실시예 42의 화합물은 0.1 및 0.3 ㎎/Kg 투여에 의해 36.9 및 34.4%의 심근경색율을 나타내어 카리포라이드와 비교하여서 우수한 허혈심장 보호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합물들은 in vivo 허혈심장 모델에서 심근경색율을 감소시킴으로서 허혈심장에 대한 보호작용이 우수하므로, 심근경색, 부정맥, 협심증 등의 허혈성 심장질환의 예방 및 치료제로 사용할 수 있으며, 관동맥우회술, 관동맥경피성형술 등 심장시술 시의 심장보호제 등으로 사용할 수 있다.
<
실험예
4> 신경세포 보호작용
본 발명의 벤조싸이오펜-2-카르보닐구아니딘 유도체들이 글루타메이트에 의한 신경세포의 손상 및 괴사를 억제하는 작용을 알아보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14일 된 태아 쥐의 뇌에서 대뇌피질 신경세포 (cortical neuron)를 분리하여 Egles's MEM (Minimum essential medium)에서 배양하였으며, 5% CO2, 37 ℃를 유지하였다. 배양 3 ~ 4일에 신경교세포(glial cell)의 과도성장을 막기 위하여 10 μM 싸이토신-β-아라비노푸라노시드(cytosine-β-arabinofuranoside; AraC)를 가하였으며, NeuN (neuronal nuclei, specific neuronal markers) 및 GFAP (glial fibrillary acidic protein, glial cell markers) 염색을 통하여 80% 이상의 세포가 신경세포임을 확인하였다. 배양 7 ~ 9일에 100 μM 글루타메이트(glutamate)를 처리하여 세포독성을 유도하였으며, 이때 화합물을 함께 첨가하였으며 음성대조군은 용매만을 사용하였다. 세포괴사 (necrosis)는 글루타메이트를 20시간 처리한 후 LDH (Lactate dehydrogenase) 유리량으로 측정하였으며, 세포사멸 (apoptosis)은 글루타메이트 12시간 처리 후 TUNEL (Terminal deoxynucleotidyl transferase UTP nick end labeling) 염색 양성인 세포수로 측정하였다.
결과는 표 5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화합물들의 글루타메이트에 의한 신경독성에 대한 신경세포 보호효과
화합물 |
LDH 유리량 (necrosis) |
TUNEL양성세포 (apoptosis) |
대조군 |
19.3 |
12.5 |
글루타메이트 |
58.7 |
33.3 |
실시예 42 + 글루타메이트 |
0.1 μM |
58.6 |
28.6 |
1.0 μM |
43.2 |
23.9 |
10 μM |
38.8 |
18.8 |
100 μM |
32.3 |
12.6 |
표 5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42 화합물은 글루타메이트에 의해 유도된 신경세포괴사 (necrosis) 또는 세포사멸 (apoptosis)을 농도의존적으로 유의성있게 보호함으로써 신경독성에 대한 보호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합물들은 우수한 신경세포 보호작용을 나타내므로, 신경세포의 손상 또는 괴사에 의해 유발되는 뇌졸중, 뇌외상 등과 같은 뇌질환의 예방제 또는 치료제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실험예
5>
랫트에
대한
in
vivo
뇌허혈모델에
대한 보호효과
본 발명의 벤조싸이오펜-2-카르보닐구아니딘 유도체들이 뇌허혈-재관류에 의한 뇌손상을 보호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숫컷 SD 랫트 (Sparague-Dawley Rat, 350 ± 50 g, 삼육)를 마취시킨 후, 헤파린을 복강내 주사하였다. 오른쪽 경동맥을 60분간 폐쇄하여 허혈을 일으키고, 24시간 동안 재관류하였다. 화합물 및 담체(vehicle)는 혈관 폐쇄 20 분전에 정맥주사하였다.
24시간 재관류 후에 치사량의 팬토발비탈 나트륨염으로 마취시키고, 조심스럽게 뇌를 적출하였다. 적출된 뇌는 2 ㎜간격으로 잘라 관상 절단편을 얻었다. 절단편은 2% 2,3,5-트리페닐테트라졸륨 클로라이드 용액을 사용하여 37 ℃에서 20 분간 염색하였다. 염색된 절단편은 영상 분석기 (BAS image 1500)를 사용하여 전체 뇌의 면적에 대한 괴사 면적을 %로 나타내었다. 뇌부종에 (brain edema) 대한 화합물의 효과는 허혈을 일으킨 오른쪽 뇌반구의 부피와 대조가 되는 왼쪽 뇌반구의 부피를 비교하여 측정하였다.
결과는 표 6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화합물들의 뇌허혈-재관류에 의한 뇌손상 보호효과
화합물 |
경색크기 (% Infarct size/hemisphre) |
TUNEL양성세포 (% 오른쪽 반구/왼쪽 반구) |
음성대조군 |
25.2 |
117.04 |
실시예 42 |
0.1 ㎎/㎏ |
21.4 |
111.2 |
0.3 ㎎/㎏ |
18.6 |
107.96 |
표 6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42의 화합물은 허혈-재관류에 의해 유발된 뇌경색을 0.1 ㎎/㎏ 및 0.3 ㎎/㎏의 농도에서 유의성있게 감소시켰으며 뇌부종도 경감시켰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합물들은 뇌허혈-재관류에 의한 뇌손상을 보호하는 효과가 우수하므로, 뇌졸중 등 뇌가 손상되어 유발되는 여러 가지 질환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실험예
6>
랫트에
대한 경구투여 급성 독성실험
본 발명의 벤조싸이오펜-2-카르보닐구아니딘 유도체들의 급성 독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6주령의 특정병원부재(SPF) SD계 랫트를 사용하여 급성독성실험을 실시하였다. 군당 2 마리씩의 동물에 실시예 1~51로부터 얻어진 화합물을 각각 0.5% 메틸셀룰로오스 용액에 현탁하여 10 ㎎/㎏·㎖의 용량으로 단회 경구 투여하였다.
시험물질 투여 후 동물의 폐사 여부, 임상증상 및 체중변화 등을 관찰하고 혈액학적 검사와 혈액생화학적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부검하여 육안으로 복강장기와 흉강장기의 이상여부를 관찰하였다.
시험 결과, 시험물질을 투여한 모든 동물에서 특기할 만한 임상증상은 없었고 폐사된 동물도 없었으며, 또한 체중변화, 혈액검사, 혈액생화학 검사, 부검소견 등에서도 독성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 실험된 화합물은 모두 랫트에서 10 ㎎/㎏까지 독성변화를 나타내지 않으며, 경구 투여 최소치사량 (LD50)은 적어도 100 ㎎/㎏ 이상인 안전한 물질로 판단되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합물은 목적에 따라 여러 형태로 제제화가 가능하다. 하기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합물을 활성성분으로 함유시킨 몇몇 제제화 방법을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제예 1> 정제(직접 가압)
활성성분 5.0 ㎎을 체로 친 후, 락토스 14.1 ㎎, 크로스포비돈 USNF 0.8 ㎎ 및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1 ㎎을 혼합하고 가압하여 정제로 제조하였다.
<제제예 2> 정제(습식 조립)
활성성분 5.0 ㎎을 체로 친 후, 락토스 16.0 ㎎과 녹말 4.0 ㎎을 섞었다. 폴리솔베이트 80 0.3 ㎎을 순수한 물에 녹인 후 이 용액의 적당량을 첨가한 다음, 미립화하였다. 건조 후에 미립을 체질한 후 콜로이달 실리콘 디옥사이드 2.7 ㎎ 및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2.0 ㎎과 섞었다. 미립을 가압하여 정제로 제조하였다.
<
제제예
3> 분말과
캡슐제
활성성분 5.0 ㎎을 체로 친 후에, 락토스 14.8 ㎎, 폴리바이닐 피롤리돈 10.0 ㎎,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2 ㎎와 함께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적당한 장치를 사용하여 단단한 No. 5 젤라틴 캡슐에 채웠다.
<제제예 4> 주사제
활성성분으로서 100 ㎎을 함유시키고, 그 밖에도 만니톨 180 ㎎, Na2HPO4·12H2O 26 ㎎ 및 증류수 2974 ㎎를 함유시켜 주사제를 제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