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8388B1 - 클립 부착 장착구 - Google Patents

클립 부착 장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8388B1
KR100658388B1 KR1020057002549A KR20057002549A KR100658388B1 KR 100658388 B1 KR100658388 B1 KR 100658388B1 KR 1020057002549 A KR1020057002549 A KR 1020057002549A KR 20057002549 A KR20057002549 A KR 20057002549A KR 100658388 B1 KR100658388 B1 KR 1006583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p
sheet material
accommodating
synthetic resin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25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83632A (ko
Inventor
츠카사 요시다
Original Assignee
엔 에스 플래닝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 에스 플래닝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엔 에스 플래닝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836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36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83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83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00Platen presses, i.e. presses in which printing is effected by at least one essentially-flat pressure-applying member co-operating with a flat type-bed
    • B41F1/02Hand-operated platen pr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00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without perforating; Means therefor
    • B42F1/02Paper-clips or like faste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21/00Indexing means; Indexing tabs or protectors therefor
    • B42F21/06Tabs detachably mounted on sheets, papers, cards, or suspension fi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20Paper fasten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20Paper fastener
    • Y10T24/202Resiliently biased
    • Y10T24/205One pie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Sheet Holders (AREA)
  • Package Frames And Binding Bands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향기 성분 또는 약효 성분 등을 구비시킨 발산성분 함유재 등의 소망의 용도물과 클립을 일체적으로 보유시켜서 휴대물에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는 클립 부착 휴대 장착구를 제공한다. 이 클립 부착 휴대 장착구(1)는 합성수지제의 표면 시트재(4)의 뒤쪽에, 중간 시트재(5), 뒤쪽 시트재(6)를 적층하는 동시에 주변 가장자리부분을 밀봉하고, 표면 수납부(7)와 뒤쪽 수납부(8)를 형성하며, 표면 수납부에는 상부에 패스너(20)가 부착된 개구부(9)를 형성하고, 일부에 통기부(21)를 설치하여, 출납 가능하게 발산 성분 함유재를 수납하고, 뒤쪽 수납부(8)에는 양측에 구획하여 형성한 클립 꽂기 수납부(8a)에 클립(3)의 협착 일단부(3a)를 꽂고, 클립의 협착 타단부(3b)를 피장착부로의 계지부를 갖는 구성으로 하였다. 뒤쪽 수납부(8)에도 용도에 따른 목적물을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Figure 112005007783026-pct00001
클립, 클립 부착 장착구, 향기 성분, 약효 성분, 발산성 함유재, 시트재

Description

클립 부착 장착구{Attachment with clip}
본 발명은 휴대물 등에 간편하게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고, 특히 피복류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파일의 백커버 등에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는 다목적 클립 부착 장착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향료 등의 휘발분을 담은 향주머니가 있지만, 체인류로 가슴에 걸거나, 포켓에 넣어 두는 것이며, 주머니의 연구 등이 이루어져 있다(예를 들면, 일본 특개평11-32822호 참조).
한편, 클립은 여러 가지 형태가 개시되어 있지만, 모두 2개를 끼우는 것으로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서류를 책(冊)자 모양으로 묶는 파일 등의 백커버에는 양측 단부를 접착 등에 의해 붙이는 대략 세로가 긴 직사각형의 투명합성 수지 시트가 있고, 백견출지 등을 삽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파일에 백견출지 등을 삽입하는 방법은 파일 등을 열어서 반전시키고, 삽입구를 열어, 거기에 백견출지 등을 삽입하는 것이다. 이 작업은 파일 등을 반전시켜야만 하므로 시간이 걸렸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발상과는 다른 착안에 입각해서, 휴대에 편리하고, 또한 보기 좋으며, 특히 피복에 또는 파일의 백커버 등에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는 다목적 클립 부착 장착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 1 형태는 합성 수지 시트재에 의해 형성되고, 개구부를 남기며 주변 가장자리부분을 밀봉한 적어도 2개의 수납부를 갖고, 한쪽의 수납부에는 목적에 따른 용도물을 수납하며, 다른 수납부에는 선재를 굴곡하여 대략 U자형을 형성함과 동시에, 그 상측 말단을 내측으로 꺾이게 하거나 또는 외측으로 꺾이게 하여 대략 U자형의 내측 또는 외측으로 평행시켜서 형성한 클립의 협착 일단부를 삽입하여 클립을 적어도 구비시키고, 클립의 협착 타단부를 피장착부로의 계지부로 하며, 계지부와 수납부측에서 피장착부를 협지하도록 하여 이루어지는 클립 부착 장착구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 형태는 합성 수지 시트재에 의해 형성되고, 개구부를 남기며 주변 가장자리부분을 밀봉한 적어도 두개의 수납부를 갖고, 한쪽 수납부에는 통기부를 형성하여 휘발성분 등의 발산성분 함유재를 수납하며, 다른 수납부에는 선재를 굴곡하여 대략 U자형을 형성함과 동시에, 그 상측 말단을 내측으로 꺾이게 하거나 또는 외측으로 꺾이게 하여 대략 U자형의 내측 또는 외측으로 평행시켜서 형성한 클립의 협착 일단부를 삽입하여 클립을 적어도 구비시키고, 클립의 협착 타단부를 피장착부로의 계지부로 하며, 계지부와 수납부측에서 피장착부를 협지하도록 하여 이루어지는 클립 부착 장착구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3 형태는 합성 수지 소재의 표면 시트재 뒤쪽에, 적어도 2중으로 합성수지 시트재를 적층함과 동시에, 개구부를 남기고 주변 가장자리부분을 밀봉하여 수납부를 형성하고, 표면 시트재측의 수납부는 출납 가능한 목적에 따른 용도물의 수납부로 하여, 뒤쪽의 수납부는 장착부로 하고, 적어도 여기에 선재를 굴곡하여 대략 U자형을 형성함과 동시에, 그 상측 말단을 내측으로 꺾이게 하거나 또는 외측으로 꺾이게 하여 대략 U자형의 내측 또는 외측으로 평행시켜서 형성한 클립의 협착 일단부를 꽂고, 클립의 협착 타단부를 피장착부로의 계지부로 하고, 계지부와 수납부측에서 피장착부를 협지하도록 하여 이루어지는 클립 부착 장착구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4 형태는 합성 수지 소재의 표면 시트재 뒤쪽에, 적어도 2중으로 합성 수지 시트재를 적층함과 동시에, 개구부를 남기고 주변 가장자리부분을 밀봉하여 수납부를 형성하며, 표면 시트재측의 수납부는 통기부를 남기고 개구부를 폐지 가능하게 하여 휘발성분 등의 발산성분 함유재를 수납하고, 적어도 뒤쪽의 수납부에 선재를 굴곡하여 대략 U자형을 형성함과 동시에, 그 상측 말단을 내측으로 꺾이게 하거나 또는 외측으로 꺾이게 하여 대략 U자형의 내측 또는 외측으로 평행시켜서 형성한 클립의 협착 일단부를 꽂고, 클립의 협착 타단부를 피장착부로의 계지부로 하고, 계지부와 수납부측에서 피장착부를 협지하도록 하여 이루어지는 클립 부착 장착구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휴대 장착구를 도시하는 표면도.
도 1b는 도 1a의 배면도.
도 1c는 도 1a의 횡단면도.
도 2a는 도 1의 수납체를 도시하는 배면도.
도 2b는 도 1의 측면도.
도 2c는 도 1의 횡단면도.
도 2d는 도 1의 뒤쪽 시트재의 단부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
도 3은 도 1의 클립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휴대 장착구의 다른 일 실시예의 배면도.
도 5는 도 4의 휴대 장착구의 개략 측단면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휴대 장착구의 수납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배면도.
도 9a는 협착 타단부의 선단부에 합성 수지재를 융착시킨 본 발명의 휴대 장착구에 사용하는 클립의 일 실시예를 튜브형으로 형성한 것을 도시한 정면도.
도 9b는 협착 타단부의 선단부에 합성 수지재를 융착시킨 본 발명의 휴대 장착구에 사용하는 클립의 일 실시예를 볼(ball)형으로 형성한 것을 도시한 정면도.
도 10은 한쪽 협착 일단부의 하단부의 위치를 다른쪽 협착 일단부의 하단부의 위치보다도 상방에 위치시킨 본 발명의 휴대 장착구에 사용하는 클립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11은 파일의 백커버 등에 장착하기 쉽게 한 본 발명의 휴대 장착구에 사용하는 클립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12a는 피장착부에 강하게 협지하는 구성으로 한 본 발명의 휴대 장착구에 사용하는 클립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12b는 도 12a의 확대측면도.
도 13은 도 12의 클립의 변형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14a 내지 도 14c는 본 발명의 휴대 장착구의 사용예를 도시한 개략사시도 또는 정면도.
도 15는 도 1의 휴대 장착구의 다른 일 실시예의 배면도.
도 16은 IC 칩 내장의 예를 도시하는 형태의 배면도.
도면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클립 부착 장착구를 도시하고, 도 2는 그 수납체이며, 도 3은 클립을 도시하고 있다. 참조 부호 1은 클립 부착 장착구이고, 2는 수납체이고, 3은 클립이다.
수납체(2)는 장식 또는 명찰 등의 용도에 맞는 크기로 본뜬 합성 수지 내지 투명합성수지 소재의 표면 시트재(4)를 형성하고, 이 배면에 중간 시트재(5), 뒤쪽 시트재(6)의 2장의 합성수지 소재를 적층하고, 개구부를 제외하고 주변가장자리부분을 열융착, 접착제 등에 의해 밀봉하며, 표면 수납부(7), 뒤쪽 수납부(8)를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이 때, 뒤쪽 수납부(8)의 양측에, 클립의 협착 일단부(3a)를 꽂을 수 있는 클립 꽂기 수납부(8a)가 구획되도록, 미리 중간 시트재(5)와 뒤쪽 시트재(6)의 양측 말단으로부터 적절한 간격을 둔 내측 위치를 양측 말단에 따라서 밀봉하여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각 시트재는 평탄 시트재의 적층이라도 좋고, 도 1c와 같이, 뒤쪽 시트재(6)를 압공진공 성형 등의 열성형에 의해 또는 사출 성형에 의해서, 주변가장자리부를 표면방향으로 약간 세워 입체화시킨 수용형 케이스 형상으로서 형성하고, 이 표면에 중간 시트재(5), 표면 시트재(4)를 장설하도록 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 케이스형의 뒤쪽 시트재(6)는 상측 가장자리를 제외하는 표면 주변가장자리부에 약간의 단차를 갖게 한 2단의 계단부(6a, 6a)를 설치하고, 양측 말단의 뒤쪽 가장자리부에 외측으로 노출된 클립(3)의 수직부(3c)가 접촉 가능한 수납부(6b) 를 형성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중단의 계단부(6a)에 중간 시트재(5)의 가장자리부를 밀봉하고, 표면의 계단부(6a)에 표면 시트재(4)의 가장자리부를 밀봉하면 된다.
중간 시트재(5)의 상측 말단은 표면 시트재(4)와 동일 높이 이하의 높이로 하고, 도면에서는 적절하게 낮게 설정하며, 그 상측 말단 가장자리를 따라서 표면 시트재(4)와의 사이를 밀봉하지 않는 개구부(9)로 하고, 표면 수납부(7)내에 수납한 수납물의 발산성분이 외측으로 발산 가능하게 되어 있다.
뒤쪽 시트재(6)의 상측 말단은 상기 중간 시트재(5)의 개구부(9)와 동일 위치 내지 하측 위치에 설정하고, 그 상측 가장자리를 밀봉하지 않은 개구부로 하고 있다.
도 4 또는 도 5에는 수납체(2)의 다른 일 실시예가 기재되어 있다.
이 수납체(2)는 중간 시트재(5)의 상측 말단의 높이를 표면 시트재(4) 및 뒤쪽 시트재(6)보다도 높게 형성하고, 개구부를 제외하고 주변 가장자리부분을 열융착, 접착제 등에 의해 밀봉하고, 표면 수납부(7), 뒤쪽 수납부(8)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표면 수납부(7)에 명찰 등의 카드(10) 등을 삽입하고, 뒤쪽 수납부(8)에 클립(3)의 협착 일단부(3a)를 꽂음으로써 명찰 등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수납체(2)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면 수납부(7) 및 뒤쪽 수납부(8)를 세로로 긴 모양으로 형성하거나,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간 시트재(5)의 상측 말단을 상방으로 연장한 상측 말단편(11)을 형성하거나,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상측 말단편(11)의 면 상에 원형상의 구멍(12)을 형성한 형 상으로 할 수 있다.
삭제
클립(3)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클립 꽂기 수납부(8a) 내에 삽입하는 협착 일단부(3a)와, 수납부 외측으로 노출하여 피장착부로의 협착부가 되는 협착 타단부(3b)를 상기 타단부(3b)의 내측에 협착 일단부(3a)가 위치하도록 강철선재를 굴곡하여 형성하고, 양 단부에 대한 표리방향으로의 적당한(손끝에서의 가압력 정도) 가압에 대하여 복원력이 작용하는 것으로서 형성하여 이루어져 있다.
도 3에서는 강철선재를 굴곡하여 U자형을 형성함과 동시에, 그 상측 말단을 내측으로 꺾이게 하여 U자형의 내측에 평형시켜서 형성하거나, 또는 도시하지 않지만, 빠지기 쉬운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단부를 더욱 내측으로 되꺾어 따르게 하여 협착 일단부(3a)를 형성하거나, 또는 이 일단부를 내측으로 더욱 작은 U자 형상으로 굴곡하여 형성하고, 양 단부에서 내외방향으로 협착할 수 있도록 형성하며, 이 내측의 협착 일단부(3a)를 클립 꽂기 수납부(8a)내로 꽂은 상태에 있어서, 외측의 협착 타단부(3b)의 수직부(3c)는 상기 뒤쪽 시트재(6)의 수납부(6b)내에 들어가고, U자 형상의 하단부(3d)가 뒤쪽 시트재(6)의 하방으로 돌출하여 배치되도록 형성하고 있다. 협착 일단부(3a)의 면 상에 프레스 가공 등으로 흠을 내어 빠지기 어렵게 하여도 좋다.
또한, 클립은 합성 수지제라도 좋고, 그 경우, 일단부는 판면형이라도 좋으며, 또한 상기 굴곡형상은 도시한 것 이외의 적절한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의 클립 부착 장착구(1)는 클립(3)의 협착 일단부(3a)를 클립 꽂기 수납부(8a)내에 장착하여 형성하는 것이지만, 클립(3)의 협착 일단부(3a)를 중간 시트재(5) 또는 뒤쪽 시트재(6)에 고주파 또는 열 등에 의해 융착하여 형성하여도 좋다.
도 9 내지 도 13에는 클립(3)의 다른 일 실시예가 기재되어 있다.
도 9a에 기재된 클립(3)은 협착 일단부(3a)의 하단부에 튜브형의 비닐 등의 합성 수지재(13)를 열 등에 의해 융착하여 형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도 9b에 기재된 클립(3)은 볼형의 비닐 등의 합성 수지재(14)를 열 등에 의해 융착하여 형성한 것이다. 이로써, 빠지기 쉬운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협착 일단부(3a)의 선단에서 물건에 상처를 입히는 일이 없다.
도 10에 기재된 클립(3)은 한쪽의 협착 일단부(15)의 하단부(15a)의 위치를 다른쪽의 협착 일단부(16)의 하단부(16a)의 위치보다도 상방에 형성한 것이다. 이로써, 수납체(2)로 장착시킬 때, 우선, 다른쪽의 협착 타단부(16)를 수납체(2)에 삽입시키고, 다음에 한쪽의 협착 타단부(15)를 수납체(2)에 삽입할 수 있으며, 삽입작업이 용이해진다. 어느 쪽의 협착 일단부(15, 16)의 하단부(15a, 16a)를 상방에 위치시켜도 좋다.
또한, 도 10에 도시하는 협착 일단부(3a)를 협착 타단부(3b)로 하고, 협착 타단부(3b)를 협착 일단부(3a)로 할 수도 있으며, 이렇게 하면 피장착부에 협착하 는 것이 용이해진다.
도 11에 기재된 클립(3)은 선재를 굴곡하여 대략 U자형을 형성하여 협착 일단부(3a)를 형성함과 동시에, 그 상측 말단을 외측으로 꺾이게 하여 대략 U자형의 외측에 평행시켜서 협착 타단부(3b)를 형성하거나, 또는 도시하지 않지만, 빠지기 쉬운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단부를 더욱 내측으로 되꺾어 따르게 하거나, 또는 그 외에 단부를 내측으로 또한 대략 U자형상으로 굴곡하여 형성할 수 있다. 협착 타단부(3b)의 하단부에,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닐 등의 합성 수지재를 열 등에 의해 융착하여 형성하여도 좋다.
이 클립(3)의 협착 타단부(3b)의 폭을 서류 등을 책자형으로 묶는 파일의 백커버 등의 폭 이하의 폭으로, 바람직하게는 백커버의 폭에 맞추어서 형성한다. 이로써, 클립(3)을 파일 등의 백커버에 장착할 수 있고, 백커버의 폭에 맞추어서 형성하면 접은 자국을 따라서 장착할 수 있으며, 위치가 어긋나지 않고서 장착할 수 있다. 또한, 협착 일단부(3a)는 백커버면 상에 위치하기 때문에 확실하게 협지할 수 있다.
도 12에 기재된 클립(3)은 선재를 U자형으로 형성하여 협착 일단부(3a)로 하고, 그 상측 말단을 내측으로 꺾이게 하여 대략 U자형의 내측에 평행하게 되도록 형성하고, 그 양 단부를 하방 반원형상의 협지구(17)에 의해 연결시켜서 협착 타단부(3b)로 한 클립(3)이다. 협지구(17)의 두께는 선재의 직경보다도 약간 두껍게 형성되어 있다. 협지구(17)는 합성 수지를 사출 성형함으로써 선재와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협지구(17)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양 단부를 협지하여, 연결할 수 있는 것이고, 또한 선직경보다 두께가 있으면 좋다. 이 양 단부를 협지 가능하게 한 협지구(17)를 별체로서 형성하여 연결할 수도 있다.
이 클립(3)은 협지구(17)의 두께가 선재의 직경보다도 두껍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피장착부(18)에 장착하였을 때, 협착 타단부(3b)가 약간 외측으로 젖혀지고, 피장착부(18)를 강하게 협지하여, 빠지기 어려워진다.
또한, 협지구(17)의 표면(장착물을 협착하는 면)상에 미소한 요철을 설치하고, 까슬까슬하게 하여 형성하면 미끄럼 방지로 되어, 보다 빠지기 어려워진다.
또한,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선재를 대략 U자형으로 형성하여 협착 일단부(3a)로 하고, 그 상측 말단을 외측으로 꺾이게 하여 대략 U자형의 외측에 평행하게 되도록 형성하며, 그 양 단부를 하방 반원형상의 협지구(17)에 의해 연결시켜서 협착 타단부(3b)로 한 클립(3)으로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협착 일단부(3a) 보다도 협착 타단부(3b)를 길게 형성하여도 좋고, 협지구(17)의 두께를 선재의 직경보다도 두껍게 형성해 두면, 상기 도 12에 도시한 클립과 동일한 작용이 있다.
상기에 제시한 클립(3)은 모두 단독으로 클립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표면 수납부(7)에는 소망의 향기를 발산하는 향기성분, 또는 벌레 제거 성분이나 피부보호성분, 수면방지성분 등을 발산하는 약효 성분 등을 함침 또는 혼입하는 등으로 이루어지는 휘발성분, 그 외의 발산성분 함유재를 수납하고, 바람직하게는 시트형으로 한 발산성분 함유재를 수납해 둘 수 있고, 목적에 적응한 성분을 수납한 것을 착용할 수 있다.
뒤쪽 수납부(8)에도 동일한 물건을, 예를 들면 예비 등으로서, 수납해 둘 수 있고, 클립 꽂기 수납부(8a)에는 클립(3)의 협착 일단부(3a)를 꽂아 고정 장착하고 있고, 협착 타단부(3b)를 예를 들면 포켓의 입구부 내측에 걸어 두면서, 뒤쪽 시트재(6)의 하부를 뒤쪽으로부터 표면 방향으로 손끝 등으로 가볍게 가압하여, 그대로 포켓 내에 밀어넣으면, 본 휴대 장착구(1)는 포켓에 간단하게 한쪽 손으로 장착된다. 그 외의 것에 대한 착용도 동일하다.
또한, 표면 시트재(4)의 표면에는 소망의 장식을 나타낼 수 있지만, 투명재로서 형성한 경우는 표면 수납부(7)내에 성명 등의 표시편이나 통행증 등을 삽입하거나, 또는 투명한지의 여부를 막론하고, 시트형의 상기 발산성분 함유재에 IC 칩을 장착하거나, IC 칩을 구비시킨 비접촉형 데이터 송수신 시트 등을 수납하여 표시구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
표면 시트재(4)의 표면에, 시트형의 액정표시 또는 LED 표시 등을 구비시키고, 성명 등을 표시할 수도 있다.
수납부(7 내지 8)로의 수납은 목적에 따르게 함으로써, 다목적으로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14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망의 향기를 발산하는 향기성분을 수납해두면, 향기가 나오는 서표로서 사용할 수 있고, 도 1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종이류(19) 등을 묶어 장착하고, 표면 수납부(7)에 종이류(19) 등의 내용을 기재한 카드를 수납해두면 보관에 편리하다. 또한, 도 14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파일의 백커버 등에 부착시켜, 표면 수납부(7)내에 표제 등을 기재한 카드를 삽입할 수도 있다. 파일 등의 내용을 기록한 데이터 송수신 가능한 IC 칩을 삽입해두면 파일 등의 관리가 용이해진다.
도 15는 도 1의 실시예와 다른 실시예이고, 표면 수납부(7)와 클립 꽂기 수납부(8a)가 다른 것으로 되어 있다.
개구부(9)에는 중간 시트재(5)의 상측 가장자리에 평행하고, 중간 시트재 겉면과 표면 시트재 이면에 서로 결합 이탈 가능한 요철 바 패스너(20)를 형성함으로써, 양 시트재(4, 5)간에 고정 장착 가능한 개구부(9)를 형성하고, 또한, 패스너(20)의 좌우 말단의 하측에, 약간 높이에 걸쳐 중간 시트재(5)와 표면 시트재(4)를 밀봉하지 않은 상태의 통기틈을 형성하고, 내부에 수납한 수납물의 발산성분이 외측으로 발산 가능한 통기부(21)로 하고 있다. 통기부(21)는 통풍 가능하면 다른 임의의 구성이라도 좋고, 다른 부위에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통기부는 개구부를 형성하는 대신에, 표면 시트재(4)를 통기성 소재로 형성한 것으로 할 수도 있다.
뒤쪽 시트재(6)의 상측 말단은 상기 중간 시트재(5)의 통기부(21)의 하측 위치에서 밀봉 부분이 맞는 높이에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측 가장자리는 개구한 상태로서 두어도 좋다.
또한, 도 15와 같이, 양측의 클립 꽂기 수납부(8a)를 구획 형성하지 않고, 뒤쪽 수납부(8)를 형성해 두며, 이 내부 양측에 클립(3)의 일단부(3a)를 꽂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도난 방지, 통행 체크, 확인 등을 위해 사용되는 IC 칩 내장의 비접촉형 데이터 송수신장치(예를 들면 시트형; 22)를 표리측 수납부(7, 8) 어느 하나에 수납할 수 있지만,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송수신장치를 클립 일단부(3a)에 고착시키고, 클립을 안테나 겸용으로 하여, 뒤쪽 수납부(8) 내에 수납해 둘 수도 있다.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합성 수지 시트재에 의해 형성되며, 개구부를 남기고 주변 가장자리부분을 밀봉한 적어도 2개의 수납부를 갖고, 한쪽의 수납부에는 목적에 따른 용도물을 수납하며, 다른 수납부에는 선재를 굴곡하여 대략 U자형을 형성함과 동시에, 그 상측 말단을 내측으로 꺾이게 하거나 또는 외측으로 꺾이게 하여 대략 U자형의 내측 또는 외측으로 평행시켜서 형성한 클립의 협착 일단부를 삽입하여 클립을 적어도 구비하고, 클립의 협착 타단부를 피장착부로의 계지부로 하며, 계지부와 수납부측에서 피장착부를 협지하도록 하여 이루어지는 클립 부착 장착구.
  4. 합성 수지 시트재에 의해 형성되며, 개구부를 남기고 주변 가장자리부분을 밀봉한 적어도 두개의 수납부를 갖고, 한쪽 수납부에는 통기부를 형성하여 휘발성분 등의 발산성분 함유재를 수납하며, 다른 수납부에는 선재를 굴곡하여 대략 U자형을 형성함과 동시에, 그 상측 말단을 내측으로 꺾이게 하거나 또는 외측으로 꺾이게 하여 대략 U자형의 내측 또는 외측으로 평행시켜서 형성한 클립의 협착 일단부를 삽입하여 클립을 적어도 구비하고, 클립의 협착 타단부를 피장착부로의 계지부로 하며, 계지부와 수납부측에서 피장착부를 협지하도록 하여 이루어지는 클립 부착 장착구.
  5. 합성 수지 소재의 표면 시트재 뒤쪽에, 적어도 2중으로 합성수지 시트재를 적층함과 동시에, 개구부를 남기고 주변 가장자리부분을 밀봉하여 수납부를 형성하고, 표면 시트재측의 수납부는 출납 가능한 목적에 따른 용도물의 수납부로 하여, 뒤쪽의 수납부는 장착부로 하고, 적어도 여기에 선재를 굴곡하여 대략 U자형을 형성함과 동시에, 그 상측 말단을 내측으로 꺾이게 하거나 또는 외측으로 꺾이게 하여 대략 U자형의 내측 또는 외측으로 평행시켜서 형성한 클립의 협착 일단부를 꽂고, 클립의 협착 타단부를 피장착부로의 계지부로 하며, 계지부와 수납부측에서 피장착부를 협지하도록 하여 이루어지는 클립 부착 장착구.
  6. 합성 수지소재의 표면 시트재 뒤쪽에, 적어도 2중으로 합성 수지 시트재를 적층함과 동시에, 개구부를 남기고 주변 가장자리부분을 밀봉하여 수납부를 형성하고, 표면 시트재측의 수납부는 통기부를 남기고 개구부를 폐지 가능하게 하여 휘발성분 등의 발산성분 함유재를 수납하고, 적어도 뒤쪽의 수납부에 선재를 굴곡하여 대략 U자형을 형성함과 동시에, 그 상측 말단을 내측으로 꺾이게 하거나 또는 외측으로 꺾이게 하여 대략 U자형의 내측 또는 외측으로 평행시켜서 형성한 클립의 협착 일단부를 꽂고, 클립의 협착 타단부를 피장착부로의 계지부로 하며, 계지부와 수납부측에서 피장착부를 협지하도록 하여 이루어지는 클립 부착 장착구.
  7. 제 3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개의 수납부 중, 뒤쪽의 수납부는 뒤쪽 수납부의 양측에 클립 꽂기 수납부를 형성하거나, 또는 양측부에 위치한 클립 꽂기 수납부로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클립 부착 장착구.
  8. 제 3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납부에 데이터 송수신 가능한 IC 칩을 수납한 클립 부착 장착구.
KR1020057002549A 2002-12-27 2003-12-26 클립 부착 장착구 KR1006583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382244 2002-12-27
JP2002382244 2002-12-27
JPJP-P-2003-00324180 2003-09-17
JP2003324180 2003-09-17
PCT/JP2003/016880 WO2004060695A1 (ja) 2002-12-27 2003-12-26 クリップ及びそれを用いたクリップ付き装着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3632A KR20050083632A (ko) 2005-08-26
KR100658388B1 true KR100658388B1 (ko) 2006-12-19

Family

ID=32716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2549A KR100658388B1 (ko) 2002-12-27 2003-12-26 클립 부착 장착구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434343B2 (ko)
EP (1) EP1577118A4 (ko)
JP (1) JP3713044B2 (ko)
KR (1) KR100658388B1 (ko)
CN (1) CN100358733C (ko)
AU (1) AU2003292674B2 (ko)
CA (1) CA2495815C (ko)
WO (1) WO200406069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2271U (ko) * 2019-04-08 2020-10-16 이경남 탄성클립유닛을 구비한 서류보관파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57547A1 (en) * 2008-09-02 2010-03-04 Disney Enterprises, Inc. Marketing device for a bag
US20100078101A1 (en) * 2008-09-26 2010-04-01 Glenn Styron Shielded Money Clip
USD632334S1 (en) 2009-12-14 2011-02-08 Steven Patrick Pascale Organizer clip
US8850665B2 (en) * 2010-05-28 2014-10-07 Joseph Edward Watrach Sleeve circumference reducer
JP4717150B1 (ja) * 2010-07-20 2011-07-06 要蔵 篠崎 留め具
CN102225673A (zh) * 2011-06-07 2011-10-26 王玲 一种新型多功能回形针
US9061540B2 (en) * 2011-09-07 2015-06-2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aperclip tab
CN103568631A (zh) * 2012-07-31 2014-02-12 游舒闵 不损伤被固定物的固定用品
US9027207B2 (en) * 2013-07-03 2015-05-12 Christopher Lusher Paper clips with integral fastener
US20160058148A1 (en) * 2014-09-03 2016-03-03 Dale S. Krasnow Identification Clip Patch Tag
US11040821B2 (en) 2014-09-26 2021-06-22 Tamara Soria Systems for retaining absorbent articles
US11517087B2 (en) 2014-09-26 2022-12-06 Tamara Soria Systems for retaining absorbent articles and collection kits
CN110505963B (zh) * 2017-04-12 2021-05-11 克里斯蒂安·科拉斯 改善夹持能力的回形针系统
USD912149S1 (en) * 2018-05-09 2021-03-02 Times Square District Management Association, Inc. Sign holder
WO2020255959A1 (ja) * 2019-06-20 2020-12-24 有限会社サンコーエンジニア クリップ用パッド
USD1023739S1 (en) * 2022-11-11 2024-04-23 Schroeder and Tremayne, Inc. Bag clip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14671A (en) * 1932-09-29 1933-06-20 Joseph A O'neil Index tab
US2567602A (en) * 1948-11-18 1951-09-11 Grover B Higgins Purse
JPS5032011U (ko) * 1973-07-19 1975-04-08
US4384417A (en) * 1981-09-15 1983-05-24 Thompson Edward W Index tab clip for sheet material
DE8903584U1 (ko) 1989-03-22 1989-09-07 Bock, Manfred, Dipl.-Ing., 3000 Hannover, De
US4967450A (en) * 1989-07-18 1990-11-06 Adkins Donna J Novelty clip apparatus
FR2666386B3 (fr) 1990-09-03 1992-11-20 Pierre Bouchet Dispositif de fixation auto-adhesif.
JPH057486U (ja) * 1991-07-15 1993-02-02 敬三 宮本 香り付けクリツプ
US5170535A (en) * 1992-02-04 1992-12-15 Strong Billie E Time saving paper clips
CN2241062Y (zh) * 1995-09-21 1996-11-27 福州新代文具有限公司 夹片式回形针
JPH1132822A (ja) * 1997-07-23 1999-02-09 Okamoto Ind Inc 香り付き袋物
JP3519016B2 (ja) * 1999-03-30 2004-04-12 プラスプロパティ株式会社 合成樹脂製事務用クリップ
JP4658307B2 (ja) * 2000-11-02 2011-03-23 リンテック株式会社 ハンガー用非接触icタグ、及びアパレル製品の流通管理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2271U (ko) * 2019-04-08 2020-10-16 이경남 탄성클립유닛을 구비한 서류보관파일
KR200493812Y1 (ko) * 2019-04-08 2021-06-08 이경남 탄성클립유닛을 구비한 서류보관파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04060695A1 (ja) 2006-05-11
EP1577118A1 (en) 2005-09-21
CA2495815A1 (en) 2004-07-22
AU2003292674B2 (en) 2006-11-16
JP3713044B2 (ja) 2005-11-02
AU2003292674A1 (en) 2004-07-29
CN1703325A (zh) 2005-11-30
US20060130384A1 (en) 2006-06-22
CA2495815C (en) 2010-03-16
KR20050083632A (ko) 2005-08-26
WO2004060695A1 (ja) 2004-07-22
US7434343B2 (en) 2008-10-14
EP1577118A4 (en) 2008-04-09
CN100358733C (zh) 2008-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8388B1 (ko) 클립 부착 장착구
US5402924A (en) Visor attachment
US5031763A (en) Pocket pouch
JPH0385273A (ja) 細長い硬質物品用包装体
US1170092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device mounted card holder and wallet
US5946839A (en) Adapter for attaching an information carrier to a hook
JP3025116U (ja) カード類のファイル装置
US9827889B1 (en) Pillow device
JP2008207525A (ja) シート押え付見出し部を有するファイル
US5608950A (en) File with gripping devices
CN217574642U (zh) 一种可浸泡消毒的pvc胶板输液卡
KR102258406B1 (ko) 메모지가 교환 가능한 다용도 커버
JPS5924553Y2 (ja) コ−ナ−クリツプ
JPH0444384Y2 (ko)
JP2005121684A (ja) カードホルダー
JP3001943U (ja) 雑誌の付録収納袋
JPH0620078U (ja) ファイルボックス
CN110789457A (zh) 用于容纳物品的固持装置和车辆座椅
JP3028337U (ja) 紐掛け具
KR20170090238A (ko) 논슬립 탄성부재를 구비한 책갈피
KR20000009129U (ko) 결착끈이 구비된 다기능 노트패드
JP2010187557A (ja) 防虫剤ホルダー
JP2005067711A (ja) パッケージ
JP2019188620A (ja) ファイル
JP2009131385A (ja) カバン類に用いられる小物収納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