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7436B1 - 콤바인 - Google Patents

콤바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7436B1
KR100657436B1 KR1020040067673A KR20040067673A KR100657436B1 KR 100657436 B1 KR100657436 B1 KR 100657436B1 KR 1020040067673 A KR1020040067673 A KR 1020040067673A KR 20040067673 A KR20040067673 A KR 20040067673A KR 100657436 B1 KR100657436 B1 KR 1006574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er
dust
suction port
harvesting
thre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7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79615A (ko
Inventor
세가와다꾸지
미즈모또마사나리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4031254A external-priority patent/JP429780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031253A external-priority patent/JP4141392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050079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96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74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74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4Mowing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252Anti-dust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 Threshing Machine Elements (AREA)
  • Combines (AREA)

Abstract

예취부나 피더 입구 부분의 먼지를 효과적으로 집진하기 위해, 주행 장치(1)에 의해 주행 가능하게 지지되는 주행 기기 본체(2)와, 상기 주행 기기 본체의 전방에 설치되어 작물을 예취하는 예취부(8)와, 상기 주행 기기 본체에 탑재되어 상기 예취부에 의해 예취된 예취 작물을 탈곡 처리하는 탈곡 장치(3)를 구비한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예취부에 먼지를 흡입하는 흡입구(34IN)가 설치되고, 이 흡입구에서 흡입한 먼지를 상기 탈곡 장치로 보내 주는 먼지 이송 경로(34)가 상기 흡입구와 탈곡 장치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흡입구, 탈곡 장치, 주행 기기 본체, 예취부, 배출구

Description

콤바인 {COMBINE HARVESTER}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의한 콤바인의 전체 측면도.
도2는 콤바인의 전체 평면도.
도3은 탈곡 장치의 종단 측면도.
도4는 피더의 종단 측면도.
도5는 덕트의 종단 측면도.
도6은 피더 및 덕트의 평면도.
도7은 덕트의 흡입구의 정면도.
도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피더 및 덕트의 종단 측면도.
도9는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피더 및 덕트의 종단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탈곡 장치
6 : 피더
8 : 예취부
33a, 33b : 이중 외벽
33c : 외벽 사이
34 : 덕트(먼지 이송 경로)
34IN : 흡입구
34OUT : 배출구
본 발명은 주행 장치에 의해 주행 가능하게 지지되는 주행 기기 본체와, 상기 주행 기기 본체의 전방에 설치되어 작물을 예취하는 예취부와, 상기 주행 기기 본체에 탑재되어 상기 예취부에 의해 예취된 예취 작물을 탈곡 처리하는 탈곡 장치를 구비한 콤바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예취 곡간(穀桿)의 전간(全桿)을 투입하여 탈곡 처리하는 전간 투입형 콤바인이라 불리는 콤바인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콤바인에서는 예취부로 예취한 작물이 피더에 공급되는 시점에서 피더의 입구 부근에 먼지(塵埃)가 끼어 작업에 지장을 주는 경우가 있었다(예를 들어, 먼지에 의해 전방의 시계가 차단되어지는 경우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에 대처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02-345320호 공보(이하,「특허 문헌 1」이라 칭함)에 기재된 것이 있다. 본 특허 문헌 1에서는 피더의 상면에 흡진 팬을 설치하여 피더 내부의 공기를 흡입함으로써, 피더 내 및 피더 입구 부근의 먼지를 흡입하고, 피더의 좌측 하방에 흡입한 먼지를 배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특허 문헌 1과 같은 구성이면, 일단 흡입된 먼지가 기기 본체 전방에서 작업 현장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기기 본체의 주행과 함께 먼지가 다시 날아 올라와 결과적으로 집진 효과가 저감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사정에 비추어 예취부나 피더 입구 부분의 먼지를 효과적으로 집진할 수 있는 콤바인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콤바인의 특징 구성은 상기 예취부에 먼지를 흡입하는 흡입구가 설치되고, 이 흡입구에서 흡입한 먼지를 상기 탈곡 장치로 보내 주는 먼지 이송 경로가 상기 흡입구와 탈곡 장치에 걸쳐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본 특징 구성에 따르면, 흡입구와 탈곡 장치에 걸쳐 덕트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일단 흡입구에 흡입된 먼지를 탈곡 장치까지 이송할 수 있다. 그 때, 먼지는 기기 본체의 전방측에는 배출되지 않고, 탈곡 장치를 거쳐서 기기 본체의 후방으로 배출된다. 따라서, 흡입된 먼지가 기기 본체 전방측으로 다시 날아오를 우려가 저감된다. 따라서, 먼지에 의해 전방의 시계가 차단되는 것이 적어져 작업성이 향상된다.
상기 구성 외에, 상기 예취부의 후방에 상기 예취 작물을 상기 예취부로부터 탈곡 장치로 이송하는 피더가 설치되는 동시에, 이 피더에 상기 먼지 이송 경로가 마련되고, 상기 예취부와 상기 피더의 예취부측 단부 사이에 상기 흡입구가 설치되고, 상기 흡입구에서 흡입한 먼지를 상기 먼지 이송 경로를 통해 상기 탈곡 장치로 보내 주도록 구성되어 있다면, 이하의 점에서 유리하다.
즉, 본 특징 구성에 따르면, 흡입구에 흡입된 먼지를 피더를 거쳐서 탈곡 장치로 보내 주도록 구성하고 있으므로, 흡입 후 먼지를 탈곡 장치까지 이송하기 위한 구성을 새롭게 설치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부품 개수의 저감이 도모되어 구성의 간소화에 의한 설계 효율의 향상 및 비용 상승의 억제가 도모된다.
또한, 흡입구가 피더의 예취부측 단부에 인접하는 부위에 위치하게 되므로, 예취부 부근 및 피더의 입구 부근에서 다량으로 발생하는 먼지에, 보다 가까운 위치에서 흡입 작용이 기능하게 된다. 따라서, 발생된 먼지가 주변의 공간에 확산되기 전에 밀도가 높은 상태에 있어서, 먼지를 흡입구로부터 흡입할 수 있다. 따라서, 흡진 효과가 향상된다. 이 점, 특허 문헌 1의 구성에 있어서는 먼지가 쉽게 끼는 예취부나 피더의 입구 부분에 대해 흡입구가 떨어진 위치가 되므로, 흡입 작용이 직접적으로 작용하지 않게 되고, 흡입이 부족해 질 경향이 있어 예취부 부근이나 피더의 입구 부근에서의 흡진 효과가 약해진다는 등의 문제가 예상된다.
상기 흡입구는 피더의 예취부측 단부의 좌우에 인접하여 설치하거나 또는 피더의 예취부측 단부의 상측에 인접하여 설치하는 것이 유리하다.
피더의 예취부측 단부의 좌우에 인접하여 설치한 경우에는, 예취부의 좌우 방향으로부터 피더의 입구를 향해 이송되는 예취 곡간은, 피더의 입구 전방 부위에서 합류하기 직전에 상기 각 흡입구에 의한 흡입 작용을 분산하여 받게 된다. 즉, 좌우 각각의 공급 경로로부터 피더 입구에 공급되는 예취 곡간에 대해, 개별적으로 흡입 작용이 기능하게 된다. 따라서, 예취 곡간에 대해 보다 강한 흡입 작용이 기능하게 된다. 또한, 흡입구가 좌우로 분산하여 배치되어 있으므로, 좌우 방향에서 보다 폭넓은 영역에 있어서 흡입 작용이 기능하게 된다. 따라서, 예취 곡간에 대해 보다 강한 흡진 작용이 좌우 방향에서 보다 폭넓은 영역에 있어서 기능하게 되어 흡진 효과가 향상된다.
한편, 피더의 예취부측 단부의 상측에 인접하여 설치한 경우에는, 예취 곡간이 피더의 입구로부터 긁어 모를 때에 흡입구를 막아 버릴 우려가 적어진다. 따라서, 흡입 작용의 성능이 저하될 우려가 저감되는 동시에, 흡입구의 청소 등의 보수의 필요성이 저감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피더에 이중의 외벽이 형성되어 이들 이중의 외벽 사이에 상기 먼지 이송 경로가 연장 설치되어 있다. 본 특징 구성은, 이하의 점에서 유리하다.
본 특징 구성에 따르면, 흡입구에 흡입된 먼지가 피더의 외벽을 거쳐서 탈곡 장치로 보내 주도록 구성된다. 이로 인해 피더에 있어서는, 흡입된 먼지를 탈곡 장치까지 이송하는 경로가 예취 곡간의 이송 경로로부터 분리한 상태로 확보된다. 또한, 먼지 이송 경로를 구성하는 외벽의 일부가 피더의 외벽의 일부와 공유하게 되기 때문에, 이 점으로부터도 부품 개수의 저감이 도모되어 구성의 간소화에 의한 설계 효율의 향상 및 비용 상승의 억제가 도모된다.
또한, 먼지 이송 경로가 피더의 외벽의 형상에 따라서 연장 설치되게 되므로, 흡입구로부터 탈곡 장치에 이를 때까지 대략 직선적인 경로가 확보된다. 따라서, 흡입구로부터 탈곡 장치에 이를 때까지 먼지의 이송이 원활하게 행해진다.
상기 이중의 외벽은 상기 피더의 좌우로 각각 형성하는 것, 또는 상기 피더 의 상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고려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흡입구에서 흡입한 먼지를 상기 탈곡 장치로 배출하는 배출구가 상기 피더의 탈곡 장치측의 단부에, 이 탈곡 장치의 전단부에 연통하여 설치되어 있다. 본 특징 구성은, 이하의 점에서 유리하다.
가동 중 탈곡 장치의 내부에서는, 곡립 선별을 위한 선별풍 및 선별부 종단 부근의 먼지를 흡입하여 초퍼의 세단 부스러기 방출 경로에 상방으로부터 불어 내리는 배진 블로워에 의한 배출풍이 발생되어 있다. 탈곡 장치의 전단부에 상기 배출구를 연통시키면, 이러한 기류와 배출구로부터의 기류가 연속되어, 일련의 통풍로가 구성되게 된다. 따라서, 먼지를 상기 흡입구로부터 흡입하면, 일련의 통풍로를 흐르는 연속한 기류에 의해, 기기 본체 후방에 먼지를 반송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먼지를 기기 본체 후단부에 위치하는 배진 블로워를 거쳐서 기기 밖으로 배출할 수 있다. 따라서, 가동 중 탈곡 장치의 내부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선별풍 및 배출풍을 먼지의 기기 본체 후방으로의 반송과, 기기 본체 후단부로부터 기기 밖으로의 배출에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먼지 이송 경로에, 이 먼지 이송 경로의 내부에 상기 흡입구로부터 상기 탈곡 장치를 향한 기류를 발생시키는 기풍 기구와, 먼지의 이송 방향과 역방향의 기류를 방지하는 역풍 방지판이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의 그 밖의 특징 구성 및 그 특징 구성으로부터 발휘하는 유리한 점이나 작용 효과에 대해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이하의 설명을 판독함으로써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의 제1, 제2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양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도시하는 콤바인은, 예취 후 곡간(예취 작물)의 전간을 투입하여 탈곡 처리하는 식의 것이며, 전간 투입형 콤바인이라 불리는 것이 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콤바인의 진행 방향을 전후 방향이라 하고, 이 전후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도1에 있어서의 지면 관통 방향)을 좌우 방향 또는 횡방향이라 한다.
[제1 실시 형태]
도1 내지 도7에는,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의 제1 실시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1 및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콤바인에서는 좌우 한 쌍의 크롤러 주행 장치(1)에 의해 주행 가능하게 지지되는 주행 기기 본체(2)에, 탈곡 장치(3)와 곡립 회수 탱크(4)가 좌우로 병렬하여 탑재되어 있다. 곡립 회수 탱크(4)의 전방에는 운전 캐빈(5)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탈곡 장치(3)의 전단부에 지점 P 주위에 상하 요동 가능하게 장착한 곡간 반송용의 피더(피더의 일예)(6)가 유압 실린더(7)에 의해 구동 승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피더(6)의 전단부에는 예취 전처리부(예취부에 상당)(8)가 일체 연결되어 있다. 또한, 캐빈(5) 내에는 운전 좌석(9)이 구비되어 있다. 이 운전 좌석(9)의 후방부측 하방에는, 엔진(10)이 그 출력부를 기기 본체 내방에 위치시킨 횡배치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예취 전처리부(8)는 식립 곡간을 일으키면서 기기 본체 후방에 긁어 모으는 회전 릴(11), 긁어 모는 곡간을 예취하는 바리캉형의 예취 장치(12), 예취한 곡간을 후방에 적재 반송하는 벨트식의 전방 컨베이어(13), 예취 곡간을 예취 폭의 한 곳에 모으는 오우거(14)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더(6)에는 오우거(14)로 모은 예취 곡간을 탈곡 장치(3)의 취급실 전단부에 긁어 올려 공급하는 슬랫형 컨베이어(slat conveyer)(15)가 텐션 롤러(35), 피더 시점륜체(36) 및 피더 구동륜체(37)를 권취하도록 내장되어 있다.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곡 장치(3)에는 피더(6)의 종단부에 연통된 취급실(16)과, 취급실(16)의 전후 측벽에 걸쳐 기기 본체 전후 방향 수평하게 피봇 지지된 취급통(17)과, 취급실(16)의 하방에 있어서 요동 선별 및 바람 선별을 행하는 선별부(18)가 배치되어 있다. 취급통(17)의 하측에 따라서, 취급실(16)로부터 선별부(18)에 처리물을 낙하 공급하는 받침망(콘케이브)(19)이 배치되어 있다. 취급실(16)은 그 전방부가 선별부(18)의 전방벽보다 전방에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탈곡 장치(3)의 좌측면으로부터 보아 엔진(10)이 취급실(16)의 전방 돌출 부분의 하방에 위치하고, 또한 엔진(10)의 기기 본체 내방측의 일부가 취급실 전방 돌출 부분의 하방 공간에 인입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취급통(17)은 원통형의 직통 부분(17A)의 시단부에 끝이 가는 테이퍼 본체 부분(17B)을 연속 설치하여 구성되어 있고, 이 테이퍼 본체 부분(17B)에 2조의 나선형의 긁기 블레이드(20)가 설치되는 동시에, 직통 부분(17A)의 외주면에 나선 취급 톱니(21)가 부착되고, 또한 이 나선 취급 톱니(21)에 독립 취급 톱니(22)가 주위 방향에 소정 간격으로 부착되어 있다.
선별부(18)에는 요동 선별 케이스(23), 당기(24), 조선용의 보조 블로워(25), 1번물 회수용의 횡 이송 나사 컨베이어(26), 2번물 회수용의 횡 이송 나사 컨베이어(27), 2번 바람 선별용의 보조 블로워(28) 등이 설치되어 있다. 받침망 (19)으로부터 낙하 공급된 탈곡 처리물이 요동 선별 케이스(23)에 의해 후방으로 요동 이송되면서 체 선별 및 바람 선별 처리를 받고, 선별 회수된 곡립이 횡 이송 나사 컨베이어(26) 및 종 이송 나사 컨베이어(29)를 통해 곡립 회수 탱크(4)에 올려 보내는 동시에, 불충분하게 선별된 2번물은 횡 이송 나사 컨베이어(27) 및 종 이송 나사 컨베이어(30)를 거쳐서 요동 선별 케이스(23)의 전방부에 환원 공급되어 다시 선별 처리를 받게 되어 있다. 또한, 선별부(18)의 후방에는 취급실(16)의 종단부로부터 배출된 부스러기 종류를 세단하는 초퍼(31)와, 이 초퍼(31)의 상방에 있어서, 선별부 종단 부근의 먼지를 흡입하여 초퍼(31)의 세단 부스러기 방출 경로에 상방으로부터 불어 내리는 배진 블로워(32)가 배치되어 있다.
도2, 도4 내지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더(6)의 좌우는 각각 이중벽 구조로 되어 있다. 각 이중벽 구조는, 제1 측벽(한 쪽의 외벽에 상당)(33b)과, 그 외측에 위치하는 제2 측벽(다른 쪽의 외벽에 상당)(33a)으로 구성되어 있다. 양측벽(33a, 33b)과 피더(6)의 상부면(6U) 및 하부면(6D)에 의해, 벽 사이(33c)(외벽의 사이에 상당)를 통로로 하는 덕트(먼지 이송 경로의 일예)(34)가 구성되어 있다. 즉, 피더(6)의 좌우 양측면에 피더(6)의 예취 작물 반송 경로에 따라서 덕트(34)가 인접하여 연장 설치되어 있다.
도5,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덕트(34)의 전단부에는 먼지의 흡입구(34IN)가 설치되어 있다. 이 흡입구(34IN)는 예취 전처리부(8)의 후방면에 위치하고 있다. 즉, 피더(6)와 예취 전처리부(8)와의 연결 부분인 예취 전처리부(8)의 후방면에 흡입구(34IN)를 구비하고 있다.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입구(34IN)는 메쉬 형의 흡입구 커버(39)로 덮여져 있고, 예취 곡간 등이 덕트(34)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덕트(34)의 후단부에는 먼지의 배출구(34OUT)가 설치되어 있다. 이 배출구(34OUT)는 피더(6)의 후단부와 전후 위치를 정렬한 상태로, 탈곡 장치(3)의 취급실(16)의 선단부에 위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덕트(34)는 흡입구(34IN)와 탈곡 장치(3)에 걸쳐 연장 설치되어 있다.
좌우 각각의 덕트(34)의 내부에는, 덕트(34)의 전후 대략 중간 위치에 있어서 기풍(起風) 기구(38) 및 역풍 방지판(40)이 구비되어 있고, 흡입구(34IN)로부터 흡입한 먼지를 포함하는 흡입구 주변의 공기를 탈곡 장치(3)에 덕트(34)를 거쳐서 보내 주도록 구성되어 있다. 역풍 방지판(40)은 덕트(34)의 폭에 맞춘 굴곡된 판형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먼지의 이송 방향과 역 방향의 기류를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기풍 기구(38)는 회전 블레이드(38a), 구동 모터(38b), 기어 기구(38c)로 구성되어 있다. 회전 블레이드(38a)는 기기 본체 좌우 방향의 회전 축심 주위에 측면시에서 방사형으로 복수의 판체를 가진 구조로 되어 있고, 덕트(34)에 내장되어 있다. 덕트(34)의 외벽(33a)의 측방에 돌출 설치한 기어 기구(38c)를 거쳐서, 구동 모터(38b)에 의해 회전 블레이드(38a)를 회전시킴으로써 덕트(34)의 내부[벽 사이(33c)]에, 흡입구(34IN)로부터 탈곡 장치(3)를 향하는 기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해, 피더(6)의 입구 부분 및 그 주변의 먼지를 피더(6)의 이중 측벽(33)의 벽 사이(33c) 즉 덕트(34)를 거쳐서 탈곡 장치(3)로 보내 줄 수 있다. 한편, 탈곡 장치(3)의 내부에서는 곡립 선별을 위한 선별풍 및 선별부 종단 부근의 먼지를 흡입하여 초퍼(31)의 세단 부스러기 방출 경로에 상방으로부터 불어 내리는 배진 블로워(32)에 의한 배출풍이 존재되므로, 탈곡 장치(3)의 전단부에 덕트(34)의 배출구(34OUT)를 연결함으로써, 이러한 기류와 덕트(34)를 흐르는 기류가 연속되어 일련의 통풍로가 구성되게 된다. 따라서, 예취 전처리부(8)의 주변의 먼지를 흡입구(34IN)로부터 흡입하면, 연속된 기류에 의해 기기 본체 후방으로 먼지를 이송할 수 있어 기기 본체 후단부에 위치하는 배진 블로워(32)를 거쳐서 기기 밖으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에서는 예취 작업의 지장을 줄 수 있는 예취 전처리부(8)의 주변에 끼인 먼지를 효과적으로 기기 본체 후방으로 이송 및 배출할 수 있으므로, 작업 환경의 개선에 의한 작업 능률의 향상이 도모된다.
또, 기풍 기구(38)의 배치 위치는 덕트(34)의 배출구(34OUT)로부터 탈곡 장치(3)측에서 탈곡 장치(3)에 내장된 상태로 구비해도 좋고, 덕트(34)의 흡입구(34IN)의 전방 부근에 구비해도 좋다.
[제2 실시 형태]
도8, 도9에는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의 제2 실시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본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1 실시 형태와는 달리 피더(6)의 좌우가 아니라, 상면(6U)이 상하로 이중벽 구조로 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면(6U)의 상부벽(한 쪽의 외벽에 상당)(33a)과 내벽 또는 하부벽(다른 쪽의 외벽에 상당)(33b)에 의해, 상기 상부면(6U)에 벽 사이(33c)를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부 벽(33a)의 좌우를 단면시 역 U자 형상으로 형성하여 벽 사이(33c)의 좌우 양측면을 덮음으로써 덕트(먼지 이송 경로의 일예)(34)를 구성하고 있다. 이 덕트(34)는 피더(6)와 좌우 폭을 동일하게 하여, 피더(6)의 상방에서 피더(6)에 따라서 인접하여 연장 설치되어 있다.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덕트(34) 내에 기류를 발생시키는 기풍 기구(38)는 피더(6)의 좌우 방향의 회전 축심을 갖는 회전 블레이드(38a)와, 덕트(34)의 좌측벽에 돌출 설치한 기어 기구(38c)를 거쳐서 회전 블레이드(38a)를 회전 구동하는 구동 모터(38b)로 구성되어 있다. 덕트(34)의 흡입구(34IN)는 메쉬형의 흡입구 커버(39)로 덮여져 있고, 예취 곡간 등이 덕트(34)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다른 실시 형태]
도시는 생략하지만, 또 다른 실시 형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을 다음과 같이 구성해도 된다.
예를 들어, 피더(6)의 입구를 흡입구(34IN)로서 형성하고, 또한 피더(6)에 기풍 기구(38)를 내장함으로써, 상기 피더(6)를 덕트(34)로서 구성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피더(6)의 입구로부터 먼지를 흡입하고, 이 먼지를 피더(6)를 거쳐서 탈곡 장치(3)로 보내 줄 수 있다.
또한, 도면과의 참조를 쉽게 하기 위해, 특허 청구의 범위의 란에는 각 도면 중 대응 부호를 기입하고 있지만, 이러한 기입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도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Claims (9)

  1. 삭제
  2. 주행 장치(1)에 의해 주행 가능하게 지지되는 주행 기기 본체(2)와,
    상기 주행 기기 본체의 전방에 설치되어 작물을 예취하는 예취부(8)와,
    상기 주행 기기 본체에 탑재되어 상기 예취부에 의해 예취된 예취 작물을 탈곡 처리하는 탈곡 장치(3)를 구비한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예취부의 후방에 상기 예취 작물을 상기 예취부로부터 탈곡 장치로 이송하는 피더(6)가 설치되고,
    상기 예취부와 상기 피더의 예취부측의 단부 사이에, 상기 예취부에 먼지를 흡입하는 흡입구(34IN)가 설치되고,
    상기 피더(6)에는 먼지 이송 경로(34)가 상기 흡입구와 탈곡 장치에 걸쳐 설치되고, 상기 흡입구에서 흡입한 먼지를 상기 먼지 이송 경로를 거쳐 상기 탈곡 장치로 송입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더(6)에 이중의 외벽(33a, 33b)이 형성되고, 상기 이중의 외벽 사이(34c)에 상기 먼지 이송 경로(34)가 연장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의 외벽(33a, 33b)이 상기 피더(6)의 좌우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34IN)가 상기 피더의 예취부측 단부의 좌우에 인접하여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의 외벽(33a, 33b)이 상기 피더(6)의 상면(6U)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7.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34IN)가 상기 피더의 예취부측 단부의 상측에 인접하여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에서 흡입한 먼지를 상기 탈곡 장치로 배출하는 배출구(34OUT)가 상기 피더의 탈곡 장치측의 단부에, 상기 탈곡 장치의 전단부에 연통하여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 이송 경로(34)에, 이 먼지 이송 경로의 내부에 상기 흡입구(34IN)로부터 상기 탈곡 장치(3)를 향한 기류를 발생시키는 기풍 기구(38)와, 먼지의 이송 방향과 역방향의 기류를 방지하는 역풍 방지판(40)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KR1020040067673A 2004-02-06 2004-08-27 콤바인 KR1006574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031254 2004-02-06
JP2004031254A JP4297801B2 (ja) 2004-02-06 2004-02-06 普通型コンバイン
JPJP-P-2004-00031253 2004-02-06
JP2004031253A JP4141392B2 (ja) 2004-02-06 2004-02-06 普通型コンバイン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9615A KR20050079615A (ko) 2005-08-10
KR100657436B1 true KR100657436B1 (ko) 2006-12-14

Family

ID=34889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7673A KR100657436B1 (ko) 2004-02-06 2004-08-27 콤바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57436B1 (ko)
CN (1) CN100352334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7395A (ko) * 2014-12-04 2016-06-14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흙빠짐 기능을 구비한 콤바인 공급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36512B (zh) * 2012-07-10 2024-03-01 株式会社久保田 履带行进装置和收割机
US11771008B1 (en) * 2019-03-19 2023-10-03 Aron Hawley Combine crop trash removal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02315A (ja) * 1998-09-30 2000-04-11 Kubota Corp コンバインの吸塵装置
JP2002218837A (ja) * 2001-01-26 2002-08-06 Kubota Corp 脱穀機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07784A (ja) * 1995-10-16 1997-04-28 Iseki & Co Ltd コンバイン
US6036600A (en) * 1998-06-02 2000-03-14 Kruckman; Harold D. Combine dust eliminator
JP3580420B2 (ja) * 2000-08-18 2004-10-20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の除塵装置
JP2003143923A (ja) * 2001-11-16 2003-05-20 Iseki & Co Ltd 汎用コンバインの吸引排塵装置
JP2003174815A (ja) * 2001-12-11 2003-06-24 Iseki & Co Ltd 汎用コンバイン
CN2545810Y (zh) * 2002-03-21 2003-04-23 张战胜 联合收割机除尘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02315A (ja) * 1998-09-30 2000-04-11 Kubota Corp コンバインの吸塵装置
JP2002218837A (ja) * 2001-01-26 2002-08-06 Kubota Corp 脱穀機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2102315
14218837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7395A (ko) * 2014-12-04 2016-06-14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흙빠짐 기능을 구비한 콤바인 공급부
KR101942122B1 (ko) 2014-12-04 2019-01-24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흙빠짐 기능을 구비한 콤바인 공급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352334C (zh) 2007-12-05
CN1650684A (zh) 2005-08-10
KR20050079615A (ko) 2005-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62109B1 (en) Dust suppressor for combine harvester feederhouse
EP3262920B1 (en) Fan in straw beater to avoid strawhood blockages
EP2925116B1 (en) Crop processing apparatus in a combine harvester
US6979261B1 (en) Dust reducing airflow diverter for combine
JP6842950B2 (ja) コンバイン
EP3777515B1 (en) Crop flow guide vanes
KR100657436B1 (ko) 콤바인
JP4297801B2 (ja) 普通型コンバイン
JP4141392B2 (ja) 普通型コンバイン
JP2006254815A (ja) コンバイン
JP4630184B2 (ja) コンバイン
EP3157319B1 (en) Straw walker arrangement for an agricultural harvester
JP5109523B2 (ja) 脱穀装置
EP3479675B1 (en) Rotor cage with flat walls for an agricultural vehicle
JP2007104956A (ja) 脱穀装置
JP4935601B2 (ja) 脱穀装置
JP4873616B2 (ja) コンバイン
JP2005328762A (ja) 脱穀装置
JP2009034057A (ja) コンバイン
JP2010075165A (ja) コンバインの脱穀装置
JP2007259710A (ja) 脱穀装置
JP2009100674A (ja) 脱穀装置
JP2009055814A (ja) コンバイン
JPH0580232U (ja) 脱穀装置
JP2008182978A (ja) ささり防止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