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2538B1 - 마이크로 컴퓨터 - Google Patents

마이크로 컴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2538B1
KR100652538B1 KR1020040078282A KR20040078282A KR100652538B1 KR 100652538 B1 KR100652538 B1 KR 100652538B1 KR 1020040078282 A KR1020040078282 A KR 1020040078282A KR 20040078282 A KR20040078282 A KR 20040078282A KR 100652538 B1 KR100652538 B1 KR 1006525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ry
program
reading
address
microcompu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8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2488A (ko
Inventor
다나카마사토시
마츠시타요스케
아키야마가즈히코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도시바 캐리어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도시바 캐리어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0500324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24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2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25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2/00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ng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2/00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ng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12/14Protection against unauthorised use of memory or access to memory
    • G06F12/1458Protection against unauthorised use of memory or access to memory by checking the subject access righ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2/00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ng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12/14Protection against unauthorised use of memory or access to memo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 Microcomputers (AREA)

Abstract

마이크로 컴퓨터는 소정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메모리와, 소정의 명령에 기초하여 메모리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소정의 연산을 처리하는 CPU와, 메모리로부터의 프로그램의 판독을 제어하는 판독 제어부를 구비하는 마이크로 컴퓨터에 있어서, 메모리에 설치된 판별 표식(표지)을 갖는 복수의 메모리 영역과, 다른 판별 표식을 이용하여 메모리 영역을 판별하는 판별 수단과, 판별 수단의 판별 결과에 기초하여 다른 프로그램이 기억된 메모리 영역의 판독을 금지하는 판독 제어 수단을 구비한다.

Description

마이크로 컴퓨터{MICROCOMPUTER}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마이크로 컴퓨터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마이크로 컴퓨터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3은 제3 실시형태에 따른 마이크로 컴퓨터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4는 제4 실시형태에 따른 마이크로 컴퓨터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5는 제5 실시형태에 따른 마이크로 컴퓨터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6은 제5 실시형태의 마이크로 컴퓨터의 동작을 도시하는 타이밍 차트.
도 7은 제5 실시형태의 마이크로 컴퓨터의 동작을 도시하는 타이밍 차트.
도 8은 제5 실시형태의 마이크로 컴퓨터의 동작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9는 제6 실시형태에 따른 마이크로 컴퓨터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10은 제7 실시형태에 따른 마이크로 컴퓨터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11은 제8 실시형태에 따른 마이크로 컴퓨터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12는 제9 실시형태에 따른 마이크로 컴퓨터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13은 종래의 마이크로 컴퓨터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이 출원은 2003년 10월 1일에 선행하여 출원된 특허 출원 2003-343061호에 기초하여, 미국 특허법 제119조 하의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하며, 이 선행 출원의 모든 내용이 본원의 참고로서 결합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은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프로그램 기억 메모리를 갖춘 마이크로 컴퓨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복수의 사용자에 의해서 다른 프로그램을 설치할 때의 사용자간의 보안성(security)을 유지할 수 있는 마이크로 컴퓨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마이크로 컴퓨터를 제조하여 출하할 때에, 복수의 프로그램을 미리 메모리에 설치하여 제공하는 상황이 많아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 있어서 미리 설치되는 프로그램은 다른 복수의 소프트웨어 판매자가 저작권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마이크로 컴퓨터가 복수의 프로그램 사용자의 손을 거쳐서 순차 설치될 때에 프로그램의 보안성을 확보할 수 있는지 여부가 문제가 된다.
특허 공개 평7-200413호 공보는 외부에 프로그램 메모리를 증설할 수 있는 마이크로 컴퓨터이며, 명령 페치의 어드레스가 내장 어드레스 공간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내장 어드레스로부터의 판독을 금지하도록 구성된 마이크로 컴퓨터를 개시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평8-272625호 공보는 각 프로그램에 다른 프로그램으로부터의 액세스를 금지하는 금지 영역과 다른 프로그램으로부터의 액세스를 허가하는 허가 영역의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는 설정 수단을 설치한 멀티프로그램 실행 제어 장치 및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2000-181898호 공보는 프로그램 가능한 제1의 영역과 이 제1 의 영역에의 프로그램의 가부를 지정하는 제2의 영역을 구비하는 플래시 메모리와, 외부로부터의 프로그래밍 요구가 있었을 때에 플래시 메모리의 제2의 영역을 참조하여 제1의 영역의 프로그래밍의 실행의 가부를 판단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구비하는 마이크로 컴퓨터를 개시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2002-7214호 공보는 인터럽트 신호의 발생을 계기로 CPU에 의해 기동되고, 소프트웨어에 의한 액세스가 부당한 것인 경우에 불휘발성 기억 장치의 재기록을 금지하는 재기록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정보 처리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이들 문헌, 일본 특허 공개 평7-200413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8-272625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2000-181898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2002-7214호 공보는 모두 프로그램 보안 기능이 부착된 마이크로 컴퓨터를 개시하고 있지만, 어느 것에 있어서도, 액세스를 실행하기 위한 명령열에 대하여, 그 명령열의 보관 장소가 특정한 메모리 영역인지 여부를 판별하는 판별 수단을 설치하여, 이 판별 수단을 이용하여 명령 실행시의 메모리로부터의 데이터의 판독의 실행 가부를 판단하고 있었다.
즉, 도 13에 도시하는 종래의 마이크로 컴퓨터(1)는 소정의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메모리(2)와, 소정의 명령열의 입력에 기초하여 소정의 연산 처리를 실행하는 중앙 처리 장치(이하, CPU-Central Processing Unit-)(3)와, 명령 버스를 통해 CPU(1)에 디버그 서포트 유닛(이하, DSU-Debug Support Unit-) 명령을 공급하는 DSU 명령 유지부(4)와, CPU(3)내에서 처리되는 판별 비트(5a) 및 명령열(5b)과, 메모리(2)에 기억된 프로그램의 어드레스를 관리하는 어드레스 디코더(6)와, CPU(3)로부터의 판독 허가 신호에 기초하여 메모리로부터의 프로그램의 판독을 제어하는 판독 제어부(7)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마이크로 컴퓨터(1)는 시스템 외부의 메모리로부터 내부의 메모리에의 직접 액세스를 제어하는 다이렉트 메모리 액세스(이하, DMA-Direct Memory Access-) 제어부(8)와, 칩 외부와의 액세스를 가능하게 하는 칩 외부 인터페이스(9)를 구비하고 있다.
종래의 마이크로 컴퓨터(1)에 있어서는 명령 버스를 통해 CPU(3)에 공급된 액세스 실행용의 명령열(5b)에 대하여 명령열의 기억 장소가 메모리(2)의 어느 메모리 영역인가를 판별하는 판별 비트(5a)를 부여하고 있다. 이 명령열 기억 장소의 판별 수단으로서의 판별 비트(5a)를 부여해 두는 것에 의해 컴퓨터 시스템의 내부 메모리에 기억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보호할 수 있고, 우선 프로그램 보안 기능을 다하고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마이크로 컴퓨터에 있어서는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메모리 영역이 메모리내에 하나만 설치되어 있다. 또한, 명령열 기억 장소의 판별 수단으로서의 판별 비트도 하나 설치되어 있을 뿐이다. 이 때문에, 복수의 프로그램 제공자들이 하나의 메모리에 대하여 각각의 프로그램을 복수 설치하는 경우라도 하나의 판별 비트를 많은 사람이 사용하여, 하나의 메모리 영역에 액세스하여 프로그램을 내부 메모리에 설치하고 있었다.
따라서, 판별 비트가 일치하여 메모리에의 액세스가 허가되면 다른 프로그램 제공자가 기억한 프로그램의 판독이 가능해져, 컴퓨터 시스템에 있어서의 내부 메모리에 대한 기본적인 프로그램 보안 기능은 확보하고 있으면서, 이미 설치된 특정한 프로그램에 대한 프로그램 보안 기능을 담보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최근에는 메모리 용량의 증가와 고성능화에 의한 다기능화가 진행하고 있는 반면, 빠른 제품 사이클로 인해 개발 기간의 단축이 매우 중요해지고 있다. 그 때문에, 짧은 개발 기간 중에서 복수의 고도한 코어 기술을 탑재시키는 데에 있어서 각각의 코어 기술을 각각의 전문 기술자에 위탁해야 하는 상황이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 있어서는 각각의 소프트웨어가 순차 메모리에 프로그램되어 가야하지만, 소프트웨어 상호간의 기밀성을 유지시키기 위해서는 종래와 같이 하나의 판별 비트밖에 갖지 않는 마이크로 컴퓨터의 경우 복수의 마이크로 컴퓨터를 사용하여 상호의 통신에 의해 액세스를 제어하거나, 오퍼레이팅 시스템(OS-Operating System-)을 이용하는 방법밖에 없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 있어서는 각각의 소프트웨어가 순차 메모리에 프로그램(또는, 설치)되어 가야 하지만, 하나의 판별 비트밖에 이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전의 판매자가 특정한 프로그램을 설치한 메모리를 수취한 다음의 판매자가 동일한 판별 비트에 의해 액세스가 허용되어 다른 프로그램을 설치했을 때에, 이미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의 내용이 다른 프로그램 판매자에 의해 판독되어 버린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 때문에, 소프트웨어의 기밀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중(重)라인용에 하나의 판별 비트밖에 가지지 않는 마이크로 컴퓨터를 복수 사용하여 상호의 통신에 의해 액세스를 제어하거나, 오퍼레이팅 시스템(OS-Operating System)을 이용한다고 하는 것이 일반적인 방법이었다.
따라서, 다른 복수의 프로그램을 다른 기억자가 메모리에 설치하는 경우라도 프로그램 사이의 보안성을 확보할 수 있는 마이크로 컴퓨터가 요구되고 있다.
기본 구성에 따른 마이크로 컴퓨터는 소정의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메모리와, 소정의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메모리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소정의 연산을 처리하는 CPU와, 상기 메모리로부터의 상기 프로그램의 판독을 제어하는 판독 제어부를 구비하는 마이크로 컴퓨터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에 설치된 판별 표식을 각각 갖는 복수의 메모리 영역과, 다른 상기 판별 부호를 이용하여 메모리 영역을 판별하는 판별 수단과, 상기 판별 수단의 판별 결과에 기초하여 다른 프로그램이 기억된 메모리 영역의 판독을 금지하는 판독 제어 수단을 구비한다.
이하 마이크로 컴퓨터의 실시형태에 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
우선, 도 1을 이용하여 기본 개념을 도시하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마이크로 컴퓨터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에 있어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마이크로 컴퓨터(11)는 복수의 메모리 영역마다 각각 소정의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내부 메모리(12)와, 소정의 명령에 기초하여 내부 메모리(12)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소정의 연산을 처리하는 CPU(13)와, 명령을 받았을 때의 어드레스에 의해 메모리(12)의 어드레스 공간에의 액세스를 허가하는 어드레스 디코더(16)와, 메모리(12)에의 액세스가 허가되었을 때에 메모리(12)로부터의 프로그램의 판독을 제어하는 판독 제어부(17)를 구비하고, 전체적으로 칩화되어 있다.
이러한 기본 구성을 갖는 마이크로 컴퓨터(11)에 있어서 내부 메모리(12)에 설치되어 프로그램마다 다른 판별 표식(예컨대, 어드레스 등)(21a, 21b, …, 21n)를 각각 갖는 복수의 프로그램(22a, 22b, …, 22n)을 각각의 프로그램마다 기억하는 복수의 메모리 영역(12a, 12b, …, 12n)과, 각각의 프로그램(22a, 22b, …, 22n)마다 다른 판별 표식(21a, 21b, …, 21n)를 이용하여 각각의 프로그램(22a, 22b, …, 22n)이 기억되는 메모리 영역(12a, 12b, …, 12n)을 판별하는 판별 수단(23)과, 각각의 판별 표식(21a, 21b, …, 21n)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인 것이라고 판별되었을 때만 그 프로그램이 기억된 메모리 영역에의 액세스를 허가하며, 어느 프로그램, 예컨대 22a용 판별 표식(21a)에 의해 다른 프로그램, 예컨대 22b∼22n이 기억된 메모리 영역(12b∼12n)에의 액세스를 금지하도록 프로그램의 판독을 제어하는 판독 제어 수단(24)을 구비하고 있다.
마이크로 컴퓨터(11)의 그 밖의 구성으로서는, 종래의 마이크로 컴퓨터(1)와 같이, 입력된 명령에 대하여 각종의 처리를 행하는 CPU(13)와, CPU(13)내에서 처리되는 판별 비트(15a) 및 명령열(15b)과, 메모리(12)내의 메모리 영역(12a∼12n)에 기억된 프로그램(22a∼22n)의 어드레스를 관리하는 어드레스 디코더(16)와, CPU(13)로부터의 판독 허가 신호에 기초하여 메모리(12)로부터의 프로그램의 판독을 제어하는 판독 제어부(17)를 구비하고 있다.
마이크로 컴퓨터(11)는 시스템 외부의 메모리로부터 내부의 메모리에의 직접 액세스를 제어하는 DMA 제어부(18)와, 칩 외부와의 액세스를 가능하게 하는 칩 외부 인터페이스(19)와, 마이크로 컴퓨터(11)내의 명령을 전달하는 명령 버스(20)와, 내부 메모리(12)와 CPU(13)와의 사이에서의 데이터의 송수신을 중개하는 데이터 버스(25)를 더 구비하고 있다. 또, 판독 제어 수단(24)은 판독 제어부(17)에 설치되지만, 판별 수단(23)은 도 1에 점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CPU(13)에 설치하여도 좋고, 어드레스 디코더(16), 판독 제어부(17), DMA 제어부(18)의 어느 하나에 설치하여도 좋다.
제2 실시형태
다음에, 도 2를 참조하면서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마이크로 컴퓨터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2에 있어서 도 1과 동일 부호를 붙인 구성 요소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마이크로 컴퓨터의 구성 요소와 동일 또는 대응하는 구성 요소를 나타내고 있다. 도 2에서는 명확히 표시하지 않지만, 판별 비트(1∼n)의 어드레스와의 일치를 보고나서 판독 허가 신호(1∼n)를 판독 제어부(17)의 판독 제어 수단(24)에 출력하는 판별 수단(23)이 CPU(13)내에 설치되어 있다.
기억용 메모리 영역(12a∼12n)에는 각각의 판별 표식과 함께 프로그램이 기억되어 있다. 어드레스 디코더(16)로부터 송출된 셀렉트 신호(1)∼셀렉트 신호(n) 가 메모리(12)에 입력되며, CPU(13)에도 입력되어, DSP 명령 유지부(14)로부터의 명령에 부가된 판별 비트(1) 내지 판별 비트(n)와의 사이에서 판별을 행하고, 판별 수단(23)이 셀렉트 신호(1)와 판별 비트(1)의 일치로부터 셀렉트 신호(n)와 판별 피트(n)의 일치까지에 관해서 판별하면, 각각의 메모리 영역(12a 내지 12n)의 어느 것에의 액세스가 허가된다. 판별 수단(23)이 일치를 검출하지 않은 것에 관해서는 액세스가 허가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메모리 영역(12a∼12n)에 각각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22a∼22n)이 판독 제어부(17)를 통해 CPU(13) 또는 DMA 제어부(18)나 칩 외부 인터페이스(19) 등에서 판독된다. 이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마이크로 컴퓨터(11)는 판별 수단(23)이 CPU(13)내에 설치된 구성을 갖고 있다. 이하, 개략적인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CPU(13)로부터 메모리(12)에 접속된 어드레스선(26)은 어드레스 디코더(16)에도 접속되어 있다. 어드레스 디코더(16)는 셀렉트 신호(1∼n)를 메모리(12)의 메모리 영역(12a∼12n)에 출력하는 동시에, 동일한 셀렉트 신호(1∼n)를 CPU(13)의 판별 수단(23)에도 출력한다. 판별 수단(23)이 판별 비트와 셀렉트 신호와의 일치를 판별하면 판독 허가 신호(1∼n)가 판독 제어부(17)에 출력되어, 데이터 버스(A1∼An)를 통해 데이터가 판독되고, 이어서 데이터 버스(B)를 통해 CPU(13), DMA 제어부(18), 칩 외부 인터페이스(19) 중 어느 하나에서 판독된 데이터가 공급된다.
이상, 동작을 중심으로 하여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마이크로 컴퓨터의 구성에 관해서 설명하였다. 이 제2 실시형태는 판별 수단(23)이 CPU(13)내에 설치되어 있 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제1 실시형태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판별 수단(23)은 어드레스 디코더(16)내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고, 또한, 판독 제어부(17)에 설치되어 있어도 DMA 제어부(18)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의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3 실시형태
다음에, 판별 표식으로서 어드레스를 사용한 경우의 가장 단순한 구성으로서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마이크로 컴퓨터에 관해서 도 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3에 도시하는 제3 실시형태에 따른 마이크로 컴퓨터는 도 2에 도시하는 제2 실시형태의 마이크로 컴퓨터와 비교하면, DSU 명령 유지부(14), DMA 제어부(18), 칩 외부 인터페이스(19)가 설치되어 있을 필요가 없고, CPU(13)내의 판별 수단이 명령 어드레스(15a)와 데이터 어드레스(27)를 판별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제3 실시형태에 따른 마이크로 컴퓨터의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CPU(13)내에 소정의 명령이 설정되었을 때에 이 명령이 단순한 처리를 실행하는 명령인지 메모리(12)의 프로그램 기억용 메모리 영역(12a∼12n)에의 액세스 명령인지 여부에 의해 동작이 다르다. 단순한 처리를 실행하는 명령인 경우에는 그대로 처리가 실행된다. 메모리 영역에의 액세스 명령인 경우에는 프로그램 판독 명령이기 때문에 액세스하는 메모리 영역이 소정의 메모리 영역인지 여부가 판단된다.
이 경우, CPU(13)내의 판별 수단(23)에 의해서 명령열(15b)이 기억되어 있던 명령 어드레스(15a)와, 그 명령열(15b)의 판독 수신지(destination)의 데이터 어드레스(27)를 동일한 영역으로부터의 판독인지 여부가 판단된다. CPU(13)내의 판별 수단(27)이 명령열(15b)을 동일 영역으로부터의 판독이라고 판단한 경우, 판독 허가 신호(1∼n)가 판독 제어부(17)에 출력되고, 데이터 버스(25)를 통해 데이터가 판독된다.
이 제3 실시형태에 따른 마이크로 컴퓨터에 있어서는 판별 수단(23)이 CPU(13)내에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서 설명되어 있지만, 도 1에 도시한 제1 실시형태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판독 제어부(17)내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고, 또한, 메모리(12)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제4 실시형태
다음에 제4 실시형태에 따른 마이크로 컴퓨터에 관해서 설명한다. 제4 실시형태의 마이크로 컴퓨터는 제3 실시형태에 따른 마이크로 컴퓨터의 데이터 버스(25) 및 어드레스선(26)을 명령열용의 명령 어드레스선(28)/명령 버스(20)와, 데이터용의 데이터 어스레스선(26)/데이터 버스(25)로 나눈 경우의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다.
제3 실시형태와 같이, CPU(13)내의 판별 수단(23)에 의해서 명령열(15b)이 기억되어 있던 명령 어드레스(15a)와 그 명령열(15b)의 판독 수신지의 데이터 어드레스를 동일한 영역으로부터의 판독인지 여부가 판단된다. 동일 영역으로부터의 판독인 것이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판독 허가 신호(1∼n)가 판독 제어부(17)에 출력되어 데이터 버스(25)를 통해 데이터가 판독된다.
이 제4 실시형태에 따른 마이크로 컴퓨터에 있어서도 또한 판별 수단(23)이 CPU(13)내에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서 설명되어 있지만, 도 1에 도시한 제1 실시형 태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판독 제어부(17)내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고, 또한, 메모리(12)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제5 실시형태
제5 실시형태에 따른 마이크로 컴퓨터는 도 4에 도시한 제4 실시형태에 따른 마이크로 컴퓨터의 메모리(12), CPU(13), 판독 제어부(17)의 구성에 대하여, DSU 명령 유지부, 어드레스 디코더, DMA 제어부, 칩 외부 인터페이스를 추가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제5 실시형태의 마이크로 컴퓨터는 구체적으로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명령 버스(20)에 대하여 DSU(디버그 서포트 유닛) 명령을 유지시키는 DSU 명령 유지부(14)와, 판독 제어부(17)로부터 데이터 버스(25)를 통해 공급된 판독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데이터 어드레스선(26)에 어드레스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DMA 제어부(18)와. 어드레스 디코더(16)와 판독 제어부(17)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칩 외부와의 액세스를 가능하게 하는 칩 외부 인터페이스(19)를 구비하고 있다.
도 5에 도시하는 제5 실시형태에 따른 마이크로 컴퓨터의 동작에 관해서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은 제5 실시형태의 마이크로 컴퓨터의 타이밍 차트를 도시하고, 도 8은 도 5의 하드웨어 구성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를 도시하고 있다. 도 6 및 도 7은 DSU 명령 유지부(14)로부터 명령 버스(20)를 통해 CPU(13)에 보내지는 명령이 어느 블록(1)의 어드레스에 프로그램되어 있는 어느 블록(2)의 어드레스의 데이터 판독 명령인 명령 코드(1)의 경우의 동작을 나타내고 있고, 도 6은 판독 허가 신호(2)가 판독을 금지하는 경우를 도시 하고, 도 7은 판독 허가 신호(2)가 판독을 허가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에 있어서 내부 클록은 시스템에 고유의 클록 신호이며, 이 클록 신호에 기초하여 시스템내의 처리가 행해진다. 명령 어드레스선(28)을 통해 CPU(13)에 입력되는 명령 어드레스(15a)는 블록(1)(예컨대 메모리 영역(1))이며, 명령 버스(20)를 통하여 입력되는 명령열(15b)은 명령 코드(1)이다. 명령 코드(1)의 판독 명령에 의해 데이터 어드레스(27)는 블록(2)(예컨대 메모리 영역(n))인 경우 명령의 내용이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에의 액세스이었다면 도 6에 도시하는 명령 버스는 명령 어드레스와 데이터 어드레스가 일치하지 않을 때에는 판독을 금지하도록 제어된다.
따라서, 데이터 어드레스(27)가 블록(2)인 경우 판독 허가 신호(2)에 소정의 타이밍으로 하강하여 판독을 금지하여, 데이터 버스(25)에 설치된 판독 제어부(17)가, 예컨대 더미 데이터를 송출하여 기억된 프로그램을 CPU(13)내에 판독할 수 없도록 하고있다.
이것에 대하여, 도 7에 도시하는 타이밍 차트의 경우에는 판독이 지시된 명령열이, 예컨대 프로그램 기억 영역에의 액세스가 아니라, 예컨대 단순한 명령의 실행일 때이며, 이 때에는 명령 어드레스가 블록(1)에서 데이터 어드레스가 블록(2)이라도 판독 허가 신호(2)는 판독을 금지하기 위해서 하강하는 일은 없다. 따라서, 데이터 버스(25)에는 데이터가 출력된다.
이러한 타이밍에 동작하는 도 5의 마이크로 컴퓨터에 있어서의 하드웨어에 기초하는 동작을 도 8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의 단계 ST1에 있어서, CPU(13)는 예컨대 메모리 등으로부터 판독된 명령이 명령 버스(20)를 통해 페 치된다. 단계 ST2에 있어서는, 명령열(15b)에 포함되는 명령 코드 등에 의한 명령의 내용이 메모리 판독 명령인지 여부가 판단되어, 메모리 판독 명령이 아닌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단계 ST3에 있어서 명령이 실행된다. 이 때, 도 7에 도시하는 타이밍 차트에 있어서는 판독 허가 신호(2)가 변화하지 않기 때문에 명령 어드레스와 데이터 어드레스가 일치하지 않더라도 판독이 금지되지 않는다.
단계 ST2에서 페치된 명령이 메모리 판독 명령인 것이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단계 ST4에 있어서 판독하는 대상이 기억되어 있는 메모리 영역이 동일한지 여부가 판단된다. 구체적으로는, 명령 어드레스(15a)와 데이터 어드레스(27)가 동일한지 여부가 판단된다. 도 6에 도시하는 타이밍 차트의 예에서는, 명령 어드레스에는 블록(BLK1)이 설정되고, 데이터 어드레스에는 블록(BLK2)이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명령 어드레스(15a)는, 예컨대 기억용 메모리 영역(12a)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판독하도록 명령하고 있는 데 대하여, 판별되는 데이터 어드레스(27)는, 예컨대 기억용 메모리 영역(12b)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를 판독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단계 ST4는 ST5로 진행하여 도 6에 있어서의 명령 어드레스 및 데이터 어드레스의 BLK1과 BLK2와의 불일치에 의해 판독 허가 신호(2)는 판독을 금지한 상태가 되고, 단계 ST6에서 판독이 제어되고, 단계 ST8에서, 예컨대 더미 데이터가 출력된다.
이 경우, 도 7에 도시하는 타이밍 차트와 같이 데이터 어드레스에 블록(BLK1)이 설정되어 있으면 판별 수단(23)은 명령 어드레스(15a)와 데이터 어드레스(27)가 BLK1에서 일치하고 있는 것이라 판별하기 때문에 도 8의 단계 ST7에 있어서 판독 허가 신호를 허가로 설정한다. 단계 ST8의 명령의 실행에 있어서 정규 데이터를 판독한다고 하는 명령이 실행된다.
전술한 제5 실시형태에 따른 마이크로 컴퓨터는 명령 어드레스(15a)와 그 명령열(15b)의 판독 수신지의 데이터 어드레스(27)를 동일 영역으로부터의 판독인지 여부를 판별하는 판별 수단(23)이 CPU(13)내에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판별 수단(23)은 CPU(13)내에 설치되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어드레스 디코더(16) 내나, 판독 제어부(17) 내, 또는 DMA 제어부(18)내에 설치하여도 좋다. 이하, 이들 구성에 관해서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하는 블록도에 도시하는 제6 내지 제9 실시형태에 따른 마이크로 컴퓨터로서 설명한다.
제6 실시형태
도 9에 도시하는 제6 실시형태의 마이크로 컴퓨터는 판별 수단(23)이 어드레스 디코더(16)에 설치되어 있는 구성을 갖고 있다. CPU(13)내에는 명령 어드레스(15a)와 명령열(15b)을 포함하는 명령이 페치되어, 이 페치된 명령의 명령 어드레스(15a)와 명령의 판독 수신지의 데이터 어드레스(27)가 명령 어드레스선(28) 및 데이터 어드레스선(26)을 통해 메모리(12)에 보내진다.
어드레스 디코더(16)에 설치된 판별 수단(23)은 2개의 어드레스선(18, 26)의 어드레스를 판별하고, 명령의 판독 대상이 동일한 메모리 영역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인 경우에는 판독 허가 신호(1∼n)를 허가로 하는 동시에, 다른 메모리 영역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인 경우에는 판독 허가 신호(1∼n) 중 어느 하나를 금지로 한다. 판독 허가 신호(1∼n)는 판독 제어부(17)에 출력되어, 데이터 버스(25)를 통해 메모리(12)로부터 CPU(13)에 보내지는 기억 데이터의 판독을 허가하거나 금지하고 있다.
이 메모리 기억 데이터의 판독 허가와 금지의 구체적인 동작은 도 6 내지 도 8을 이용하여 설명하고 있기 때문에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제7 실시형태
도 10에 도시하는 제7 실시형태의 마이크로 컴퓨터도 판별 수단(23)이 어드레스 디코더(16)에 설치되어 있는 구성을 갖고 있다. 이 구성은 도 9에 도시하는 제6 실시형태와 달리, 판독 제어부(17)가 판별 수단(23)과 함께 어드레스 디코더(16)내에 설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제7 실시형태의 마이크로 컴퓨터는 판별 수단(23)이 명령 어드레스(15a)와 데이터 어드레스(27)와의 판별에 의해 판독 허가 신호(1∼n)를 판독 제어부(17)에 출력하고 있고, 판독 제어부(17)는 수취한 판독 허가 신호(1∼n)에 기초하여 셀렉트 신호(1∼n)를 메모리(12)에 대하여 출력하고 있다. 따라서, 판별 수단(23)의 판별 결과가 셀렉트 신호(1∼n)로서 메모리에 대하여 보내지고 있는 점에서 다른 실시형태와 다르다.
제8 실시형태
도 11에 도시하는 제8 실시형태의 마이크로 컴퓨터는 판별 수단(23)이 판독 제어부(17)에 설치되어 있는 구성을 갖고 있다. CPU(13)내에는 명령 어드레스(15a)와 명령열(15b)을 포함하는 명령이 페치되어, 이 페치된 명령에 관한 명령 어드레스(15a)와 명령의 판독 수신지의 데이터 어드레스(27)가 명령 어드레스선(28) 및 데이터 어드레스선(26)을 통해 메모리(12)에 보내진다.
판독 제어부(17)에 설치된 판별 수단(23)은 2개의 어드레스선(18, 26)의 어드레스를 판별하고, 명령의 판독 대상이 동일한 메모리 영역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인 경우에는 판독 허가 신호(1∼n)를 허가로 하는 동시에, 다른 메모리 영역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인 경우에는 판독 허가 신호(1∼n) 중 어느 하나를 금지로 한다. 판독 허가 신호(1∼n)는 판독 제어부(17)내에 설치된 판독 제어 수단(24)에 출력되고, 데이터 버스(25)를 통해 메모리(12)로부터 CPU(13)에 보내지는 기억 데이터의 판독을 허가하거나 금지하고 있다.
이 메모리 기억 데이터의 판독 허가와 금지의 구체적인 동작은 도 6 내지 도 8을 이용하여 설명하고 있기 때문에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제9 실시형태
도 12에 도시하는 제9 실시형태의 마이크로 컴퓨터는 판별 수단(23)이 DMA 제어부(18)에 설치되어 있는 구성을 갖고 있다. CPU(13)내에는 명령 어드레스(15a)와 명령열(15b)을 포함하는 명령이 페치되어, 이 페치된 명령에 관한 명령 어드레스(15a)와 명령의 판독 수신지의 데이터 어드레스(27)가 명령 어드레스선(28) 및 데이터 어드레스선(26)을 통해 메모리(12)에 보내진다.
DMA 제어부(17)에 설치된 판별 수단(23)은 2개의 어드레스선(18, 26)의 어드레스를 판별하여, 명령의 판독 대상이 동일한 메모리 영역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인 경우에는 판독 허가 신호(1∼n)를 허가로 하는 동시에, 다른 메모리 영역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인 경우에는 판독 허가 신호(1∼n) 중 어느 하나를 금지로 한 다. 판독 허가 신호(1∼n)는 판독 제어부(17)에 출력되고, 데이터 버스(25)를 통해 메모리(12)로부터 CPU(13)에 보내지는 기억 데이터의 판독을 허가하거나 금지하고 있다.
이 메모리 기억 데이터의 판독 허가와 금지의 구체적인 동작은 도 6 내지 도 8을 이용하여 설명하고 있기 때문에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전술한 실시형태에 의한 마이크로 컴퓨터에 따르면 내부 메모리를 프로그램마다의 메모리 영역으로 분할하는 동시에, 각 프로그램을 판별 표식(예컨대, 어드레스 등)에 의해 판별하는 판별 수단을 설치했기 때문에 다른 복수의 프로그램을 다른 기억자가 메모리에 설치하는 경우라도 프로그램간의 보안성을 확보할 수 있는 마이크로 컴퓨터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8)

  1. 소정의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메모리와. 소정의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메모리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소정의 연산을 처리하는 CPU와, 상기 메모리로부터의 상기 프로그램의 판독을 제어하는 판독 제어부를 구비하는 마이크로 컴퓨터로서,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는,
    상기 메모리 내를 분할하여 마련한 복수의 부분에서 각각의 부분마다 다른 판별 표식을 각각 갖는 복수의 메모리 영역과,
    다른 상기 판별 표식을 이용하여 메모리 영역을 판별하는 판별 수단과,
    상기 판별 수단의 판별 결과에 기초하여 다른 프로그램이 기억된 메모리 영역으로부터의 판독을 금지하는 판독 제어 수단
    을 구비하는 것인 마이크로 컴퓨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PU에서의 상기 소정의 연산의 기초가 되는 상기 소정의 명령은 상기 판별 표식으로서의 명령 어드레스와 명령열을 포함하고,
    상기 판별 수단은 상기 CPU로부터 상기 메모리에 대하여 보내지는 상기 명령열의 판독 수신지로서의 데이터 어드레스와, 상기 명령 어드레스를 판별하며,
    상기 판독 제어 수단은 상기 판별 수단의 판별 결과에 기초하여 동일한 메모리 영역으로부터의 판독인 경우에는 상기 프로그램의 판독을 허용하고, 다른 메모리 영역으로부터의 판독인 경우에는 다른 프로그램의 판독인 것으로서 다른 프로그 램의 판독을 금지하는 것인 마이크로 컴퓨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CPU 내의 상기 데이터 어드레스와 상기 메모리와의 사이에는 어드레스선이 설치되고, 상기 판별 수단은 상기 CPU 내에 설치되며, 상기 판독 제어 수단은 상기 메모리와 상기 CPU와의 사이에 데이터 버스를 통해 접속된 판독 제어부 내에 마련되며, 상기 판별 수단으로부터 상기 판독 제어부에 대해서는 복수의 상기 메모리 영역과 동수(同數)의 복수의 판독 허가 신호가 출력되고 있는 것인 마이크로 컴퓨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CPU의 상기 명령 어드레스와 상기 메모리와의 사이에는 명령 어드레스선이 설치되고, 상기 CPU의 상기 명령열과 상기 메모리와의 사이에는 명령 버스가 설치되며, 상기 CPU 내의 상기 데이터 어드레스와 상기 메모리와의 사이에는 데이터 어드레스선이 설치되어 있는 것인 마이크로 컴퓨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 수단은 상기 CPU 내에 설치되고, 상기 판독 제어 수단은 상기 메모리와 상기 CPU와의 사이에 데이터 버스를 통해 접속된 판독 제어부내에 설치되고, 상기 판별 수단으로부터 상기 판독 제어부에 대해서는 복수의 상기 메모리 영역과 동수의 복수의 판독 허가 신호가 출력되고 있는 것인 마이크로 컴퓨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 수단 및 상기 판독 제어 수단은 상기 메모리와 상기 CPU와의 사이에 데이터 버스를 통해 접속된 판독 제어부내에 설치되고, 상기 판독 제어부내의 상기 판독 제어 수단에는 상기 명령 어드레스선을 통해 상기 명령 어드레스가 공급되는 동시에, 상기 데이터 어드레스선을 통해 상기 데이터 어드레스가 공급되고, 상기 판독 제어 수단은 공급된 상기 명령 어드레스와 상기 데이터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복수의 상기 판독 허가 신호를 생성하여 동일한 프로그램의 판독을 허가하는 동시에 다른 프로그램의 판독을 금지하는 것인 마이크로 컴퓨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을 받았을 때의 어드레스에 의해 상기 메모리의 어드레스 공간에의 액세스를 허가하는 어드레스 디코더를 더 구비하고, 상기 판별 수단은 상기 어드레스 디코더내에 설치되어지는 동시에, 상기 판독 제어 수단은 상기 판독 제어부에 설치되고, 상기 어드레스 디코더내의 상기 판별 수단에는 상기 명령 어드레스선을 통해 상기 명령 어드레스가 공급되며, 상기 데이터 어드레스선을 통해 상기 데이터 어드레스가 공급되고 있는 것인 마이크로 컴퓨터.
  8. 제4항에 있어서, 내부 메모리와 외부 메모리와의 사이의 액세스를 직접 제어하는 다이렉트 메모리 액세스 컨트롤러를 더 구비하고, 상기 판별 수단은 상기 다이렉트 메모리 액세스 컨트롤러에 설치되어지는 동시에, 상기 판독 제어 수단은 상기 판독 제어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인 마이크로 컴퓨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을 수취한 경우의 어드레스에 의해 상기 메모리의 어드레스 공간에의 액세스를 허가하는 어드레스 디코더와, 상기 메모리에의 액세스가 허가되었을 때에 상기 메모리로부터의 상기 프로그램의 판독을 제어하는 판독 제어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메모리 영역은 상기 메모리에 설치되어 프로그램마다 다른 판별 표식을 각각 갖는 복수의 프로그램을 각각의 프로그램마다 기억하고, 상기 판별 수단은 각각의 프로그램마다 다른 상기 판별 부호를 이용하여 각각의 프로그램이 기억되는 메모리 영역을 판별하고, 판독 제어 수단은 상기 판별 부호가 대응하는 프로그램인 것이라고 판별되었을 때만 그 프로그램이 기억된 메모리 영역에의 액세스를 허가하는 동시에, 어느 프로그램용 판별 부호에 의해 다른 프로그램이 기억된 메모리 영역에의 액세스를 금지하도록 프로그램의 판독을 제어하는 것인 마이크로 컴퓨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 수단은 상기 CPU 내에 설치되어지는 동시에, 상기 판독 제어 수단은 상기 판독 제어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인 마이크로 컴퓨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 수단은 상기 어드레스 디코더내에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판독 제어 수단은 상기 판독 제어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인 마이크로 컴퓨터.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 수단 및 상기 판독 제어 수단은 상기 판독 제어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인 마이크로 컴퓨터..
  13. 제9항에 있어서, 내부 메모리와 외부 메모리와의 사이의 액세스를 직접 제어하는 다이렉트 메모리 액세스 컨트롤러를 더 구비하고, 상기 판별 수단은 상기 다이렉트 메모리 액세스 컨트롤러에 설치되어지는 동시에, 상기 판독 제어 수단은 상기 판독 제어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인 마이크로 컴퓨터.
  14. 소정의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메모리와, 소정의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메모리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소정의 연산을 처리하는 CPU와, 상기 명령을 수취한 경우의 어드레스에 의해 상기 메모리의 어드레스 공간에의 액세스를 허가하는 어드레스 디코더와. 상기 메모리에의 액세스가 허가되었을 때에 상기 메모리로부터의 상기 프로그램의 판독을 제어하는 판독 제어부를 구비하는 마이크로 컴퓨터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에 설치되어 프로그램마다 다른 판별 표식을 각각 갖는 복수의 프로그램을 각각의 프로그램마다 기억하는 복수의 메모리 영역과,
    각각의 프로그램마다 다른 상기 판별 부호를 이용하여 각각의 프로그램이 기억되는 메모리 영역을 판별하는 판별 수단과,
    상기 판별 부호가 대응하는 프로그램이라고 판별한 경우에 만 그 프로그램이 기억된 메모리 영역에의 액세스를 허가하는 동시에, 어느 프로그램용 판별 부호에 의해 다른 프로그램이 기억된 메모리 영역에의 액세스를 금지하도록 프로그램의 판독을 제어하는 판독 제어 수단
    을 구비하는 것인 마이크로 컴퓨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 수단은 상기 CPU 내에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판독 제어 수단은 상기 판독 제어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인 마이크로 컴퓨터.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 수단은 상기 어드레스 디코더내에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판독 제어 수단은 상기 판독 제어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인 마이크로 컴퓨터.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 수단 및 상기 판독 제어 수단은 상기 판독 제어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인 마이크로 컴퓨터.
  18. 제15항에 있어서, 내부 메모리와 외부 메모리와의 사이의 액세스를 직접 제어하는 다이렉트 메모리 액세스 컨트롤러를 더 구비하고, 상기 판별 수단은 상기 다이렉트 메모리 액세스 컨트롤러에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판독 제어 수단은 상기 판독 제어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인 마이크로 컴퓨터.
KR1020040078282A 2003-10-01 2004-10-01 마이크로 컴퓨터 KR1006525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343061 2003-10-01
JPJP-P-2003-00343061 2003-10-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2488A KR20050032488A (ko) 2005-04-07
KR100652538B1 true KR100652538B1 (ko) 2006-12-06

Family

ID=34537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8282A KR100652538B1 (ko) 2003-10-01 2004-10-01 마이크로 컴퓨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281103B2 (ko)
JP (1) JP2005129041A (ko)
KR (1) KR100652538B1 (ko)
CN (1) CN1316380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9328B1 (ko) 2001-12-03 2010-01-28 어드밴스드 마이크로 디바이시즈, 인코포레이티드 보안민감명령들의 제한실행을 위한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28996B2 (ja) * 2006-04-17 2011-11-30 株式会社東芝 情報処理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セキュリティ解除プログラムの不正実行禁止方法
US8117475B2 (en) * 2006-12-15 2012-02-14 Microchip Technology Incorporated Direct memory access controller
US9141572B2 (en) * 2006-12-15 2015-09-22 Microchip Technology Incorporated Direct memory access controller
US9406388B2 (en) * 2007-05-10 2016-08-02 Micron Technology, Inc. Memory area protection system and methods
JP2014170255A (ja) * 2011-06-29 2014-09-18 Panasonic Corp セキュアブート方法
CN104598402B (zh) * 2014-12-30 2017-11-10 北京兆易创新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闪存控制器和闪存控制器的控制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6125A (ko) * 1997-03-11 2000-12-26 칼 하인쯔 호르닝어 메모리 관리 유니트가 제공된 마이크로 컴퓨터
KR20020036717A (ko) * 2000-11-10 2002-05-16 다카노 야스아키 마이크로컴퓨터 및 그 제어 방법
KR20020072182A (ko) * 2001-03-08 2002-09-14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프로그래밍할 수 있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내장한 마이크로컴퓨터
KR20020089131A (ko) * 2001-05-22 2002-11-29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기억장치 및 데이터 처리장치와 기억부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33833A (ja) * 1988-11-15 1990-05-23 Mitsubishi Electric Corp インサーキツトエミユレータ制御装置
US5627987A (en) 1991-11-29 1997-05-06 Kabushiki Kaisha Toshiba Memory management and protection system for virtual memory in computer system
JP3520102B2 (ja) * 1993-12-28 2004-04-19 株式会社東芝 マイクロコンピュータ
JPH07302226A (ja) * 1994-05-02 1995-11-14 Nec Corp メモリ不正アクセス検出回路
JPH08272625A (ja) 1995-03-29 1996-10-18 Toshiba Corp マルチプログラム実行制御装置及び方法
JP4268690B2 (ja) * 1997-03-26 2009-05-27 ソニー株式会社 認証システムおよび方法、並びに認証方法
JPH11120081A (ja) * 1997-10-09 1999-04-30 Toshiba Corp マイクロ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及びそのセキュリティ制御方法
JP2000181898A (ja) 1998-12-14 2000-06-30 Nec Corp フラッシュメモリ搭載型シングルチップマイクロコンピュータ
JP2000231608A (ja) * 1999-02-10 2000-08-22 Hitachi Ltd 移動体識別装置及びicカード
JP4204133B2 (ja) * 1999-02-26 2009-01-07 ローム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
US6643751B2 (en) * 2000-03-20 2003-11-04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limited access to system memory
JP3561211B2 (ja) * 2000-06-27 2004-09-02 株式会社東芝 情報処理装置および不揮発性記憶装置の書き換え制御方法
JP4988982B2 (ja) 2000-11-10 2012-08-01 オンセミコンダクター・トレーディング・リミテッド マイクロコンピュータの制御方法
JP4793798B2 (ja) 2000-11-10 2011-10-12 オンセミコンダクター・トレーディング・リミテッド マイクロコンピュータ
JP4860811B2 (ja) 2000-11-10 2012-01-25 オンセミコンダクター・トレーディング・リミテッド マイクロコンピュータ
JP5010065B2 (ja) 2000-11-10 2012-08-29 オンセミコンダクター・トレーディング・リミテッド マイクロコンピュータ
JP2002278838A (ja) * 2001-03-15 2002-09-27 Sony Corp メモリアクセス制御システム、デバイス管理装置、パーティション管理装置、メモリ搭載デバイス、およびメモリアクセス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記憶媒体
JP2003242030A (ja) * 2001-12-14 2003-08-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メモリ管理装置及びメモリ管理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6125A (ko) * 1997-03-11 2000-12-26 칼 하인쯔 호르닝어 메모리 관리 유니트가 제공된 마이크로 컴퓨터
KR20020036717A (ko) * 2000-11-10 2002-05-16 다카노 야스아키 마이크로컴퓨터 및 그 제어 방법
KR20020072182A (ko) * 2001-03-08 2002-09-14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프로그래밍할 수 있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내장한 마이크로컴퓨터
KR20020089131A (ko) * 2001-05-22 2002-11-29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기억장치 및 데이터 처리장치와 기억부 제어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20036717 *
1020020072182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9328B1 (ko) 2001-12-03 2010-01-28 어드밴스드 마이크로 디바이시즈, 인코포레이티드 보안민감명령들의 제한실행을 위한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5129041A (ja) 2005-05-19
KR20050032488A (ko) 2005-04-07
CN1619512A (zh) 2005-05-25
US20050102478A1 (en) 2005-05-12
US7281103B2 (en) 2007-10-09
CN1316380C (zh) 2007-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10671B2 (ja) 1チップマイクロコンピュータ及びそれを用いたicカード、並びに1チップマイクロコンピュータのアクセス制御方法
US744466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ccess permission
US7761717B2 (en) Memory device with data security in a processor
KR100319677B1 (ko) 메모리액세스제어회로
US8060925B2 (en) Processor, memory, computer system, and method of authentication
US5828831A (en) System for preventing unauthorized use of a personal computer and a method therefore security function, and methods of installing and detaching a security device to/from a computer
JP2011210037A5 (ko)
JP2007287103A (ja) マイクロコンピュータ及びメモリアクセスの制御方法
JP4945053B2 (ja) 半導体装置、バスインターフェース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JP5576557B2 (ja) プロセッサ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EP2637124B1 (en) Method for implementing security of non-volatile memory
JP2001356963A (ja)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制御装置
JP4591163B2 (ja) バスアクセス制御装置
KR100652538B1 (ko) 마이크로 컴퓨터
JPH0758503B2 (ja) Icカード
US7512761B2 (en) Programmable processor and methods thereof having memory access locking
US7207066B2 (en) Method for protecting a microcomputer system against manipulation of data stored in a storage arrangement of the microcomputer system
US20040186947A1 (en) Access control system for nonvolatile memory
JP3661852B2 (ja) ライブラリに権利を割り当てるためのシステムを備える保護されたマイクロプロセッサ
EP1079340A2 (en) Integrated circuit card protected from unauthorized access
JP2000148594A (ja) Romデータの読み出しプロテクト回路
JP4828996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セキュリティ解除プログラムの不正実行禁止方法
WO2005121979A1 (ja) アクセス制御装置及びアクセス制御方法
JPH09106690A (ja) コピー防止機能付きrom
JP2008203988A (ja) セキュリティ保護機能付きマイクロコンピュ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7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