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2018B1 - 파이프 이음부재 - Google Patents

파이프 이음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2018B1
KR100652018B1 KR1020050020212A KR20050020212A KR100652018B1 KR 100652018 B1 KR100652018 B1 KR 100652018B1 KR 1020050020212 A KR1020050020212 A KR 1020050020212A KR 20050020212 A KR20050020212 A KR 20050020212A KR 100652018 B1 KR100652018 B1 KR 1006520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ocket
pressing
hook
fi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0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9160A (ko
Inventor
김은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정파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정파인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정파인스
Priority to KR1020050020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2018B1/ko
Publication of KR200600991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91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20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20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 F16L21/04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in which sealing rings are compressed by axially-movabl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8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dditional lock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anged Joints, Insulating Joints, And Other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제1 특징은,
제1 파이프(1a)와 제2 파이프를 연결하기 위한 파이프 연결구에 있어서;
일측은 상기 제1 파이프(1a)에 일체로 융착되고, 타측으로 형성된 나팔관(11)의 내부로 상기 제2 파이프(1b)가 삽입되는 소켓(10); 상기 나팔관(11) 내면과 제2 파이프(1b) 외면 사이의 틈새(g)로 압입되는 환형의 패킹(20); 상기 제2 파이프(1b)의 표면에 끼워진 채 상기 패킹을 소켓의 내부로 압입하기 위한 압박돌기(31)를 갖는 환형의 압륜(30); 상기 소켓의 나팔관 표면에 끼워지는 착탈식 플랜지(40); 상기 압륜과 착탈식 플랜지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착탈식 플랜지의 뒷면에서 너트(60) 체결되며, 후크(51)는 압륜의 전면에 접촉되게 하되 상기 후크의 높이(h)는 압륜(H)의 높이와 같은 높이로 된 후크볼트(50)로 구성되되,
상기 압륜(30)에서 후크볼트 관통공(32a)과, 상기 후크볼트에서 관통공에 끼워지는 부분(52)은 공히 비원형이고; 상기 압륜(30)의 전면에 후크(51)의 헛돎을 방지하기 위한 회전방지돌기(34)가 형성되며; 상기 나팔관(11)의 표면에 접이식 또는 분할식 플랜지가 걸릴 수 있도록 걸림턱(1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이음부재이다.
본 발명의 제2 특징은,
제1 파이프(1a)와 제2 파이프(1b)를 연결하기 위한 파이프 연결구에 있어서;
제1 파이프(1a)와 삽입되는 나팔관(101)을 갖는 제1 소켓(100), 상기 제1 소켓의 나팔관 내면과 제1 파이프(1a) 외면 사이의 틈새(g)로 압입되는 환형의 제1 패킹(110), 상기 제1 파이프의 표면에 끼워진 채 상기 제1 패킹을 제1 소켓의 내부로 압입하기 위한 압박돌기(121)를 갖는 제1 압륜(120), 상기 제1 소켓의 나팔관 표면에 끼워지는 제1 착탈식 플랜지(130), 상기 제1 압륜과 제1 착탈식 플랜지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착탈식 플랜지의 뒷면에서 너트(150) 체결되며, 후크(141)는 제1 압륜의 전면에 접촉되게 하되 상기 후크의 높이(h)는 제1 압륜의 H와 같은 높이로 된 제1 후크볼트(140), 상기 제2 파이프(1b)가 삽입되는 나팔관(201)을 가지며 나팔관의 반대편 끝면은 상기 제1 소켓의 동일한 끝면에 일체로 융착되는 제2 소켓(200), 상기 제2 소켓의 나팔관 내면과 제2 파이프(1b) 외면 사이의 틈새(g)로 압입되는 환형의 제2 패킹(210), 상기 제2 파이프의 표면에 끼워진 채 상기 제2 패킹을 제2 소켓의 내부로 압입하기 위한 압박돌기(221)를 갖는 제2 압륜(220), 상기 제2 소켓의 나팔관 표면에 끼워지는 제2 착탈식 플랜지(230), 상기 제2 압륜과 제2 착탈식 플랜지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착탈식 플랜지의 뒷면에서 너트(250) 체결되며, 후크(241)는 제2 압륜의 전면에 접촉되게 하되 상기 후크의 높이(h)는 제2 압륜의 H와 같은 높이로 된 제2 후크볼트(24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이음부재이다.
파이프 연결, 파이프 이음

Description

파이프 이음부재 {Pipe connecting device}
도 1은 종래 파이프 이음부재의 일예를 보인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이음부재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요부 사시도
도 4는 도 2의 결합상태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이음부재의 결합상태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소켓 20 : 패킹
30 : 압륜 34 : 회전방지돌기
40 : 착탈식 플랜지 50 : 후크볼트
100 : 제1 소켓 110 : 제1 패킹
120 : 제1 압륜 130 : 제1 착탈식 플랜지
140 : 제1 후크볼트 200 : 제2 소켓
210 : 제2 패킹 220 : 제2 압륜
230 : 제2 착탈식 플랜지 240 : 제2 후크볼트
본 발명은 파이프와 파이프를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파이프 이음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압륜 및 소켓의 높이와 두께를 줄일 수 있는 구조로 개선하므로써 소재절감 및 경량화가 가능하고, 기존 압륜에 구성되어 있던 수평리브가 제거되므로써 그 만큼의 소재절감 및 경량화가 가능하며, 또한 기존 소켓에 구성되어 있던 걸이턱부가 낮아짐에 따라 적재의 곤란성을 해소할 수 있는 것에 특징을 갖는 파이프 이음부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파이프 이음부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파이프(1a)와 제2 파이프(1b)가 끼워지는 끼움부(2a)가 형성되어 있으면서 일측단부에 비스듬히 확관된 나팔관(2b)이 형성되고, 이 나팔관의 가장자리에는 후술될 후크볼트를 걸기 위한 걸이턱(2c)이 형성된 원통형의 소켓(2)과; 상기 나팔관의 내면과 제2 파이프(1b) 외면 사이의 틈새로 압입되는 환형의 패킹(3)과; 상기 제2 파이프(1b)의 표면에 끼워진 채 패킹을 소켓내부를 향해 압박하기 위한 압박돌기(4a)를 가지며, 또한 테두리에 후술될 후크볼트의 헛돎을 방지하기 위해 후크볼트와 나란하게 형성되는 수평리브(4b)를 갖는 압륜(4)과; 상기 걸이턱(2c)에 후크(5a)가 걸린 채로 소켓과 압륜을 차례로 관통하여 너트(6)로 조임에 따라 소켓과 압륜을 결합하는 후크볼트(5)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파이프 이음부재는 후크볼트(5)와 너트(6)가 체결되는 부위인 걸이턱(2c)과 압륜(4)에 응력이 집중되므로 이 집중응력에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압륜과 소켓의 두께를 두껍게 해야 하므로 원가상승 및 중량화(重量化) 의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종래의 파이프 이음부재는 후크볼트(5)의 체결시 헛돎을 방지하기 위해 반드시 상당한 길이의 수평리브(4b)가 구성되어야 하므로 이 역시 원가상승 및 중량화의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소켓(2)에 걸이턱(2c)이 돌출되어 있는 구조때문에 파이프의 적재시 걸이턱의 방해로 안정적인 적재가 불가능하므로 한 번에 많은 양의 파이프를 적재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압륜 및 소켓의 높이와 살두께를 줄일 수 있으면서 기존 압륜의 테두리부에 구성되어 있던 수평리브가 제거되므로써 소재절감 및 경량화가 가능한 파이프 이음부재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기존 소켓에 형성되어 있던 걸이턱을 낮게 설계할 수 있음에 따라 소켓의 두께를 얇게 하고도 결합강도를 유지할 수 있으며, 적재의 곤란성도 아울러 해소할 수 있는 파이프 이음부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특징은,
제1 파이프(1a)와 제2 파이프를 연결하기 위한 파이프 연결구에 있어서;
일측은 상기 제1 파이프(1a)에 일체로 융착되고, 타측으로 형성된 나팔관(11)의 내부로 상기 제2 파이프(1b)가 삽입되는 소켓(10); 상기 나팔관(11) 내면과 제2 파이프(1b) 외면 사이의 틈새(g)로 압입되는 환형의 패킹(20); 상기 제2 파이프(1b)의 표면에 끼워진 채 상기 패킹을 소켓의 내부로 압입하기 위한 압박돌기(31)를 갖는 환형의 압륜(30); 상기 소켓의 나팔관 표면에 끼워지는 착탈식 플랜지(40); 상기 압륜과 착탈식 플랜지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착탈식 플랜지의 뒷면에서 너트(60) 체결되며, 후크(51)는 압륜의 전면에 접촉되게 하되 상기 후크의 높이(h)는 압륜(H)의 높이와 같은 높이로 된 후크볼트(50)로 구성되되,
상기 압륜(30)에서 후크볼트 관통공(32a)과, 상기 후크볼트에서 관통공에 끼워지는 부분(52)은 공히 비원형이고; 상기 압륜(30)의 전면에 후크(51)의 헛돎을 방지하기 위한 회전방지돌기(34)가 형성되며; 상기 나팔관(11)의 표면에 접이식 또는 분할식 플랜지가 걸릴 수 있도록 걸림턱(13)이 형성된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특징은,
제1 파이프와 제2 파이프를 연결하기 위한 파이프 연결구에 있어서;
일측은 상기 제1 파이프에 일체로 융착되고, 타측은 나팔형 단면으로 되어 그 내부에 상기 제2 파이프가 삽입되는 소켓; 상기 소켓의 확관부 내면과 제2 파이프 외면 사이의 틈새로 압입되는 환형의 패킹; 상기 제2 파이프의 표면에 끼워진 채 상기 패킹을 소켓의 내부로 압입하기 위한 압박돌기를 갖는 환형의 압륜; 상기 소켓의 확관부 표면에 끼워지는 착탈식 플랜지; 상기 압륜과 착탈식 플랜지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착탈식 플랜지의 뒷면에서 너트 체결되며, 후크는 압륜의 전면에 접촉되게 하되 상기 후크의 높이는 압륜의 H와 같은 높이로 된 후크볼트;로 구성된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특징은,
제1 파이프와 제2 파이프를 연결하기 위한 파이프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이프가 삽입되는 나팔형의 확관부를 갖는 제1 소켓; 상기 제1 소켓의 확관부 내면과 제1 파이프 외면 사이의 틈새로 압입되는 환형의 제1 패킹; 상기 제1 파이프의 표면에 끼워진 채 상기 제1 패킹을 제1 소켓의 내부로 압입하기 위한 압박돌기를 갖는 환형의 제1 압륜; 상기 제1 소켓의 확관부 표면에 끼워지는 제1 착탈식 플랜지; 상기 제1 압륜과 제1 착탈식 플랜지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착탈식 플랜지의 뒷면에서 너트 체결되며, 후크는 제1 압륜의 전면에 접촉되게 하되 상기 후크의 높이는 제1 압륜의 H와 같은 높이로 된 제1 후크볼트; 상기 제2 파이프가 삽입되는 나팔형의 확관부를 가지며, 확관부의 반대편 끝면은 상기 제1 소켓의 동일한 끝면에 일체로 융착되는 제2 소켓; 상기 제2 소켓의 확관부 내면과 제2 파이프 외면 사이의 틈새로 압입되는 환형의 제2 패킹; 상기 제2 파이프의 표면에 끼워진 채 상기 제2 패킹을 제2 소켓의 내부로 압입하기 위한 압박돌기를 갖는 환형의 제2 압륜; 상기 제2 소켓의 확관부 표면에 끼워지는 제2 착탈식 플랜지; 상기 제2 압륜과 제2 착탈식 플랜지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착탈식 플랜지의 뒷면에서 너트 체결되며, 후크는 제2 압륜의 전면에 접촉되게 하되 상기 후크의 높이는 제2 압륜의 H와 같은 높이로 된 제2 후크볼트;로 구성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이음부재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요부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결합상태 종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의 파이프 이음부재는 제1 파이프(1a)에 일체로 융착된 채 타측으로 나팔관(11)을 갖는 소켓(10)을 구비한다. 이 소켓의 가장 큰 특징은 기존 소켓에 비해 걸이턱(이하에서는 "걸림턱"이라 함)이 낮아진 형태를 가지므로써 전체적으로 돌출정도가 상당히 줄어든 형상을 이루고 있다는 것이다.
걸림턱이 낮아짐으로 인해서 발생되는 효과는 적재의 곤란성 해소와, 상대적으로 길게 돌출되어 있었던 기존의 걸림턱에 비해서 역학적으로 응력에 대한 대응강도가 강해졌기 때문에 소켓의 두께를 기존 소켓에 비해서 얇게 설계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나팔관(11)의 표면중에서 후술될 착탈식 플랜지가 결합되는 부분에는 평면부(또는 완만한 경사면부)(12)가 형성되며, 또한 평면부의 끝부분에는 착탈식 플랜지가 걸리는 걸림턱(1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소켓(10)의 나팔관(11) 내면과 상기 제2 파이프(1b) 외면 사이의 틈새(g)로 압입되는 환형의 패킹(20)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제2 파이프(1b)의 표면에 끼워진 상태이면서 패킹(20)을 소켓(10) 내부로 압입하기 위한 압박돌기(31)를 갖는 압륜(30)을 구비하고 있다. 이때, 상기 압박돌기와 연이어진 수직부(32)에는 후술될 후크볼트가 관통되는 관통공(32a)이 형성되되, 이 관통공은 비원형으로 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압륜(30)의 전면에는 후술될 후크(51)의 좌우유동을 구속하기 위한 회전방지돌기(34)가 일체로 형성된다. 이 회전방지돌기는 후크의 헛돎을 방지하는 역할과 후크를 회전방지돌기 사이에 위치시키라는 조립위치를 표시해 주는 표식의 역할을 동시에 한다.
그리고, 상기 소켓(10)의 나팔관(11)관 표면중 상기 평면부(12)에는 착탈식 플랜지(40)가 끼워진다. 이때, 상기 착탈식 플랜지는 한 쌍의 반원형 플랜지의 한쪽 단부를 힌지(hinge)로 연결하고 다른 단부는 볼트로서 체결하는 접이식 플랜지(41)나, 분리된 한 쌍의 반원형 플랜지의 양 단부를 볼트로서 체결하는 분할식 플랜지(42)를 공히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륜(30)의 관통공(32a)과 착탈식 플랜지(40)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착탈식 플랜지의 뒷면에서 너트(60) 체결되며, 후크(51)는 압륜(30)의 전면에 접촉되게 하되 상기 후크의 높이(h)는 압륜의 H와 같은 높이로 되는 후크볼트(50)를 구비한다. 여기서, H는 압륜(30)의 중공부(33) 벽면으로부터 외주면까지의 높이로 정의한다.
이때, 상기 후크볼트(50)에서 관통공(32a)에 끼워지는 부분(52)은 관통공과 동일하게 비원형으로 되므로써 후크볼트를 조일때 후크볼트가 헛도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제1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이음부재의 조립과정 및 작용을 설명한다.
파이프 이음부재의 조립과정은 편의에 따라 순서가 뒤바뀔 수 있음을 전제하면서 일반적인 순서에 입각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패킹(20)과 압륜(30)이 끼워진 상태의 제2 파이프(1b)를 소켓(10)의 나팔관(11) 내부로 밀어 넣은 상태에서 소켓의 표면에 착탈식 플랜지(40)를 끼워넣고 후크볼트(50)를 이용하여 압륜(30)과 착탈식 플랜지를 순차적으로 관통시키고, 착탈식 플랜지의 뒤쪽에서 너트(60)로서 체결하게 되면, 후크볼트(50)의 체결력에 의해 압륜과 착탈식 플랜지가 서로 당겨지면서 패킹(20)은 압륜의 압박돌기(31)에 의해 소켓(10) 내부로 밀려 들어가고, 착탈식 플랜지(40)는 나팔관(11)의 외주면상에 매우 낮게 형성된 걸림턱(13)에 걸린 채 나팔관(11)을 압박하게 된다.
따라서, 나팔관이 조여지면서 그 내부에 위치하고 있는 패킹과 제2 파이프(1b)를 조여줌에 따라 제2 파이프와 소켓(10)이 견고하게 조합된 상태가 되므로써 결국 제1 파이프와 제2 파이프가 연결된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때, 후크볼트(50)의 후크높이(h)는 압륜(30)의 중공부(33) 벽면으로부터 외주면까지의 높이(H)와 같기 때문에 압륜의 압박돌기(31)에 직접 힘을 가하게 되고 압륜을 균일한 힘으로 잡아당기게 되며, 특히 후크면적을 넓힘에 따라 압륜에 집중응력이 작용하지 않게 되고 힘이 분산되므로 압륜의 강도가 기존에 비해 약해도 관계없게 된다. 따라서, 압륜의 두께를 얇게 하거나 강도가 약한 소재를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비용절감의 효과와 소재사용에 있어서 다양성을 기할 수 있으며, 또한 제품의 경량화가 가능하다.
그리고, 압륜(30)은 그 높이가 짧아지고 기존 압륜에 구성되어 있던 수평리브가 제거된 형태를 취함에 따라 원가절감이 가능하고, 소켓(10)은 자신의 두께를 유지하면서 걸림턱(13)을 형성하므로써 거의 돌출되지 않은 상태가 된다. 이렇게 걸림턱의 돌출정도를 최소한으로 줄임에 따라 응력에 대한 대응력이 강해지게 된다. 따라서, 소켓의 두께를 줄이더라도 걸림턱이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으므로써 소재절감 및 경량화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도 5는 파이프 이음부재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2개의 소켓을 서로 대향되게 융착한 형태만 상이할 뿐 다른 부분들의 구성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즉, 제1 파이프(1a)와 삽입되는 나팔관(101)을 갖는 제1 소켓(100)과, 상기 제1 소켓의 나팔관 내면과 제1 파이프(1a) 외면 사이의 틈새(g)로 압입되는 환형의 제1 패킹(110)과, 상기 제1 파이프의 표면에 끼워진 채 상기 제1 패킹을 제1 소켓의 내부로 압입하기 위한 압박돌기(121)를 갖는 제1 압륜(120)과, 상기 제1 소켓의 나팔관 표면에 끼워지는 제1 착탈식 플랜지(130)와, 상기 제1 압륜과 제1 착탈식 플랜지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착탈식 플랜지의 뒷면에서 너트(150) 체결되며, 후크(141)는 제1 압륜의 전면에 접촉되게 하되 상기 후크의 높이(h)는 제1 압륜의 H와 같은 높이로 된 제1 후크볼트(140)로 구성되며,
또한, 상기 제2 파이프(1b)가 삽입되는 나팔관(201)을 가지며 나팔관의 반대편 끝면은 상기 제1 소켓의 동일한 끝면에 일체로 융착되는 제2 소켓(200)과, 상기 제2 소켓의 나팔관 내면과 제2 파이프(1b) 외면 사이의 틈새(g)로 압입되는 환형의 제2 패킹(210)과, 상기 제2 파이프의 표면에 끼워진 채 상기 제2 패킹을 제2 소켓의 내부로 압입하기 위한 압박돌기(221)를 갖는 제2 압륜(220)과, 상기 제2 소켓의 나팔관 표면에 끼워지는 제2 착탈식 플랜지(230)와, 상기 제2 압륜과 제2 착탈식 플랜지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착탈식 플랜지의 뒷면에서 너트(250) 체결되며, 후크(241)는 제2 압륜의 전면에 접촉되게 하되 상기 후크의 높이(h)는 제2 압륜의 H와 같은 높이로 된 제2 후크볼트(240)로 구성된다.
이외의 다른 구조적인 부분과 설치과정은 제1 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압륜 및 소켓의 높이와 살두께를 줄일 수 있으면서 기존 압륜의 테두리부에 구성되어 있던 수평리브가 제거되므로써 소재절감 및 경량화가 가능하며,
또한, 기존 소켓에 형성되어 있던 걸이턱을 낮게 설계할 수 있음에 따라 소켓의 두께를 얇게 하고도 결합강도를 유지할 수 있으며, 적재의 곤란성도 아울러 해소할 수 있다.

Claims (5)

  1. (정정)
    제1 파이프(1a)와 제2 파이프를 연결하기 위한 파이프 연결구에 있어서;
    일측은 상기 제1 파이프(1a)에 일체로 융착되고, 타측으로 형성된 나팔관(11)의 내부로 상기 제2 파이프(1b)가 삽입되는 소켓(10); 상기 나팔관(11) 내면과 제2 파이프(1b) 외면 사이의 틈새(g)로 압입되는 환형의 패킹(20); 상기 제2 파이프(1b)의 표면에 끼워진 채 상기 패킹을 소켓의 내부로 압입하기 위한 압박돌기(31)를 갖는 환형의 압륜(30); 상기 소켓의 나팔관 표면에 끼워지는 착탈식 플랜지(40); 상기 압륜과 착탈식 플랜지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착탈식 플랜지의 뒷면에서 너트(60) 체결되며, 후크(51)는 압륜의 전면에 접촉되게 하되 상기 후크의 높이(h)는 압륜(H)의 높이와 같은 높이로 된 후크볼트(50)로 구성되되,
    상기 압륜(30)에서 후크볼트 관통공(32a)과, 상기 후크볼트에서 관통공에 끼워지는 부분(52)은 공히 비원형이고; 상기 압륜(30)의 전면에 후크(51)의 헛돎을 방지하기 위한 회전방지돌기(34)가 형성되며; 상기 나팔관(11)의 표면에 접이식 또는 분할식 플랜지가 걸릴 수 있도록 걸림턱(1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이음부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정정)
    제1 파이프(1a)와 제2 파이프(1b)를 연결하기 위한 파이프 연결구에 있어서;
    제1 파이프(1a)와 삽입되는 나팔관(101)을 갖는 제1 소켓(100),
    상기 제1 소켓의 나팔관 내면과 제1 파이프(1a) 외면 사이의 틈새(g)로 압입되는 환형의 제1 패킹(110),
    상기 제1 파이프의 표면에 끼워진 채 상기 제1 패킹을 제1 소켓의 내부로 압입하기 위한 압박돌기(121)를 갖는 제1 압륜(120),
    상기 제1 소켓의 나팔관 표면에 끼워지는 제1 착탈식 플랜지(130),
    상기 제1 압륜과 제1 착탈식 플랜지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착탈식 플랜지의 뒷면에서 너트(150) 체결되며, 후크(141)는 제1 압륜의 전면에 접촉되게 하되 상기 후크의 높이(h)는 제1 압륜의 H와 같은 높이로 된 제1 후크볼트(140),
    상기 제2 파이프(1b)가 삽입되는 나팔관(201)을 가지며 나팔관의 반대편 끝면은 상기 제1 소켓의 동일한 끝면에 일체로 융착되는 제2 소켓(200),
    상기 제2 소켓의 나팔관 내면과 제2 파이프(1b) 외면 사이의 틈새(g)로 압입되는 환형의 제2 패킹(210),
    상기 제2 파이프의 표면에 끼워진 채 상기 제2 패킹을 제2 소켓의 내부로 압입하기 위한 압박돌기(221)를 갖는 제2 압륜(220),
    상기 제2 소켓의 나팔관 표면에 끼워지는 제2 착탈식 플랜지(230),
    상기 제2 압륜과 제2 착탈식 플랜지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착탈식 플랜지의 뒷면에서 너트(250) 체결되며, 후크(241)는 제2 압륜의 전면에 접촉되게 하되 상기 후크의 높이(h)는 제2 압륜의 H와 같은 높이로 된 제2 후크볼트(24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이음부재.
KR1020050020212A 2005-03-10 2005-03-10 파이프 이음부재 KR1006520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0212A KR100652018B1 (ko) 2005-03-10 2005-03-10 파이프 이음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0212A KR100652018B1 (ko) 2005-03-10 2005-03-10 파이프 이음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9160A KR20060099160A (ko) 2006-09-19
KR100652018B1 true KR100652018B1 (ko) 2006-12-01

Family

ID=37630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0212A KR100652018B1 (ko) 2005-03-10 2005-03-10 파이프 이음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20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3823A (ko) * 2022-04-06 2023-10-13 강정석 공조기용 배기배관 연결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9878B1 (ko) * 2007-07-03 2009-07-30 현대주철산업 주식회사 파이프연결 어셈블리
KR101143365B1 (ko) * 2009-11-03 2012-05-09 부덕실업 주식회사 유체이송관의 배관을 위한 이음구
KR101116344B1 (ko) * 2011-12-19 2012-03-20 (주)한국피엔에스 회전식 파이프 연결 장치
KR20190136848A (ko) 2018-05-31 2019-12-10 주식회사 코팅코리아 소켓관, 이를 가진 관 및 이를 이용한 관 연결구조
CN108468889B (zh) * 2018-05-29 2019-10-22 中国石油大学(华东) 水下油气输送管道液缸外推式连接装置
KR102185497B1 (ko) * 2020-03-23 2020-12-02 주식회사 고리 꺽임강도 및 내진 기능이 강화된 관
KR102532740B1 (ko) * 2021-12-01 2023-05-18 주식회사 제우스 관형 부재 연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로봇 암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285A (ja) * 1991-06-24 1993-01-14 Nec Corp 情報処理装置における障害処理方法
JPH0653888A (ja) * 1992-04-09 1994-02-25 Philips Electron Nv 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時間測定方法、通信システムおよびこのシステムに用いる受信装置
JPH08166097A (ja) * 1994-12-13 1996-06-25 Kubota Corp 配管部材の継手部構造
JPH10132168A (ja) 1996-10-24 1998-05-22 Tokyo Gas Co Ltd ポリエチレン管と鋳鉄管を接続するための継手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285A (ja) * 1991-06-24 1993-01-14 Nec Corp 情報処理装置における障害処理方法
JPH0653888A (ja) * 1992-04-09 1994-02-25 Philips Electron Nv 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時間測定方法、通信システムおよびこのシステムに用いる受信装置
JPH08166097A (ja) * 1994-12-13 1996-06-25 Kubota Corp 配管部材の継手部構造
JPH10132168A (ja) 1996-10-24 1998-05-22 Tokyo Gas Co Ltd ポリエチレン管と鋳鉄管を接続するための継手構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3823A (ko) * 2022-04-06 2023-10-13 강정석 공조기용 배기배관 연결 구조
KR102663358B1 (ko) 2022-04-06 2024-05-03 강정석 공조기용 배기배관 연결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9160A (ko) 2006-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2018B1 (ko) 파이프 이음부재
JPH0332810Y2 (ko)
JP4650993B2 (ja) 樹脂製管を接続するための継手
KR970011532A (ko) 관 이음
KR100871105B1 (ko) 결합체결이 간편한 배관이음형 커플링
KR20040062712A (ko) 배관 연결구의 원터치식 배관 고정장치
JPH0562713U (ja) プラグ装置
KR200227737Y1 (ko) 배관의 연결밴드
KR960001265Y1 (ko) 가구용 선반의 횡판 결합구
JP2003120029A (ja) 鉄筋とセパレータの連結金物
KR100308547B1 (ko) 철근연결구
JP4245264B2 (ja) フエンス
KR200213672Y1 (ko) 배관 연결 구조
KR970002928Y1 (ko) 관(管) 접속장치
JP3833301B2 (ja) ドア取付部品の取付けにおける仮止め方法
CN210462105U (zh) 一种塑料软管快接头及泵
JP2563869Y2 (ja) 配線ボックス接続用コネクタ
JPH0320635Y2 (ko)
KR200177821Y1 (ko) 상수도관 이탈방지용 압륜 고정받침쇠
KR20180067399A (ko) 호스 클램프용 토크 컨트롤 캡
JPH0285522A (ja) 硬質部材の突合わせ接合方法およびコネクター
KR200227738Y1 (ko) 배관의 연결밴드
JP4547249B2 (ja) クランプ
KR200179512Y1 (ko) 관 조인트
KR200220053Y1 (ko) 관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