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6848A - 소켓관, 이를 가진 관 및 이를 이용한 관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소켓관, 이를 가진 관 및 이를 이용한 관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6848A
KR20190136848A KR1020180063046A KR20180063046A KR20190136848A KR 20190136848 A KR20190136848 A KR 20190136848A KR 1020180063046 A KR1020180063046 A KR 1020180063046A KR 20180063046 A KR20180063046 A KR 20180063046A KR 20190136848 A KR20190136848 A KR 201901368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tube
socket
circumferential surface
expa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3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팅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팅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팅코리아
Priority to KR10201800630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36848A/ko
Priority to CN201811451884.7A priority patent/CN109854829B/zh
Publication of KR20190136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68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 F16L21/04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in which sealing rings are compressed by axially-movabl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1/00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alter the diameter of tube ends
    • B21D41/02Enlarging
    • B21D41/026Enlarging by means of mandr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8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dditional lock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3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composition of the fl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Disconnectible Joints And Screw-Threaded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삽입된 제1 관의 외주에 밀착되는 내주를 가진 압착내면 및 압착내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제1 관의 외면에 박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파이크를 구비한 관 이음부와; 관 이음부의 맞은편에 제2 관이 삽입될 수 있게 마련된 관 접속부를 포함함으로써, 제1 관에 우수한 강도와 기밀성으로 접합되는 소켓관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소켓관을 포함함에 따라 소켓을 가진 관 및 이를 이용한 관 연결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소켓관, 이를 가진 관 및 이를 이용한 관 연결구조 {SOCKET PIPE, PIPE WITH THE SAME, PIPE CONNECTION STRUCTURE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는, 관 연결에 사용되는 소켓관, 이 소켓관이 적용된 관 및 이를 이용한 관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형을 이용하여 성형하는 방식으로 제작하는 것이 제조성과 경제성 면에서 불리한 소재의 관(예를 들어, 강관)은, 단부에 상호 연결을 위한 소켓을 복잡한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상호 연결에 대체적으로 메커니컬 조인트(mechanical joint) 방식이나 타이튼 조인트(tyton joint) 방식을 이용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이에 따라 해당 관이 다른 소재의 관에 비하여 탁월한 성질을 가지고 있음에도 널리 확산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강관 등 해당 관의 확산을 위하여, 해당 관의 단부에 견고한 소켓을 보다 용이하게 마련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특허공보 제1992-0008570호(1992.10.0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99160호(2006.09.19.)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37586호(2011.05.27.)
본 발명의 실시예는, 관에 우수한 강도로 접합되어 관의 끝에 소켓을 형성하는, 관 연결용 소켓관, 이를 가진 관 및 이를 이용한 관 연결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접합부의 기밀성 향상 면에서 유리한, 관 연결용 소켓관, 이를 가진 관 및 이를 이용한 관 연결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 본 발명의 실시예는, 관과 소켓관을 단순한 공정으로 신속하고 용이하게 접합할 수 있는, 소켓을 가진 관 및 이를 이용한 관 연결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서로 접합된 관과 소켓관의 분리 방지 면에서 보다 유리한, 소켓을 가진 관 및 이를 이용한 관 연결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언급되지 않은 기타 과제는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하의 기재로부터 명확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한쪽의 제1 관이 삽입되고, 삽입된 상기 제1 관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상기 제1 관을 압착하는 내주면을 가진 압착내면 및 상기 압착내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 관의 외주면에 박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파이크(spike)를 구비하며, 상기 제1 관에 상기 압착내면 및 상기 스파이크에 의하여 접합되는 관 이음부와; 상기 관 이음부의 맞은편에 배치되며, 다른 쪽의 제2 관이 삽입될 수 있게 상기 제2 관의 외경에 비하여 큰 내경을 가진 관 접속부를 포함하는, 관 연결용 소켓관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스파이크는 상기 압착내면의 내주면을 따라 닫힌 링 형상(closed ring shape)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켓관은, 상기 관 이음부에 삽입된 형태로 접합되는 제1 관 및 상기 관 접속부에 삽입되는 제2 관을 결속하기 위한 결속수단의 체결기구가 걸리는 걸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 접속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관 접속부에 삽입되는 제2 관과의 사이에 개재되는 실링부재(sealing member)를 수용하는 실링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관과; 관 이음부 및 상기 관 이음부의 맞은편에 배치된 관 접속부를 구비한 소켓관을 포함하고, 상기 관 이음부는, 상기 제1 관이 삽입되고, 삽입된 상기 제1 관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내주면을 가진 압착내면 및 상기 압착내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 관의 외주면에 박힌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파이크를 구비하여 상기 제1 관에 접합되며, 상기 관 접속부는 제2 관이 삽입될 수 있게 상기 제2 관의 외경에 비하여 큰 내경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관은 외주면에 상기 스파이크가 박힌 요부를 구비한, 소켓을 가진 관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관과; 관 이음부 및 상기 관 이음부의 맞은편에 배치된 관 접속부를 구비한 소켓관을 포함하고, 상기 관 이음부는, 상기 제1 관이 삽입되고, 삽입된 상기 제1 관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내주면을 가진 압착내면 및 상기 압착내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 관의 외주면에 박힌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파이크를 구비하여 상기 제1 관에 접합되며, 상기 관 접속부는 제2 관이 삽입될 수 있게 상기 제2 관의 외경에 비하여 큰 내경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관은 외주면에 상기 스파이크가 박힌 요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관에서 상기 관 이음부에 삽입된 선단에는 외측으로 벌어진 형상의 관단턱이 마련되고, 상기 소켓관의 내주에는 상기 관단턱이 걸리는 내주턱이 마련된, 소켓을 가진 관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관과; 관 이음부 및 상기 관 이음부의 맞은편에 배치된 관 접속부를 구비한 소켓관을 포함하고, 상기 관 이음부는, 상기 제1 관이 삽입되고, 삽입된 상기 제1 관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내주면을 가진 압착내면 및 상기 압착내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 관의 외주면에 박힌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파이크를 구비하여 상기 제1 관에 접합되며, 상기 관 접속부는 제2 관이 삽입될 수 있게 상기 제2 관의 외경에 비하여 큰 내경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관은 외주면에 상기 스파이크가 박힌 요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관에서 상기 관 이음부에 삽입된 선단 부분에는 외주를 선단 쪽으로 갈수록 확대시키는 테이퍼(taper)가 마련되고, 상기 압착내면에는 상기 제1 관의 테이퍼에 대응하는 테이퍼가 마련된, 소켓을 가진 관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어느 한쪽 단부에 확관가공에 의하여 확대된 형상의 확관부가 형성된 금속의 제1 관과; 관 이음부 및 상기 관 이음부의 맞은편에 배치된 관 접속부를 구비한 금속의 소켓관을 포함하고, 상기 관 이음부는, 상기 확관부가 삽입되고, 삽입된 상기 확관부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내주면을 가진 압착내면 및 상기 압착내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확관부의 외주면에 박힌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파이크를 구비하여 상기 확관부에 접합되며, 상기 관 접속부는 제2 관이 삽입될 수 있게 상기 제2 관의 외경에 비하여 큰 내경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관은 상기 확관부의 외주면에 상기 확관가공에 의하여 상기 압착내면이 밀착되고 상기 스파이크가 박혀 상기 스파이크가 박힌 요부를 구비한, 소켓을 가진 관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확관가공은, 상기 제1 관에서 상기 확관부를 형성할 단부(이하, 확관할 부분이라 한다.)의 외주에 상기 소켓관의 관 이음부를 배치하고, 상기 확관부에 대응되는 확관금형을 상기 확관할 부분으로 삽입하여 상기 확관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확관부는 상기 확관가공에 의하여 횡단면 크기가 일정하도록 확대되거나 선단 쪽으로 갈수록 증가하도록 확대될 수 있다.
상기 확관부의 선단에는 외측으로 벌어진 형상의 관단턱이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소켓관의 내주에는 상기 관단턱이 걸리는 내주턱이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관과; 관 이음부 및 상기 관 이음부의 맞은편에 배치된 관 접속부를 가진 소켓관과; 상기 제1 관의 관로를 개폐할 수 있는 밸브 바디(valve body)가 구비되어 밸브로 기능하는 개폐유닛 또는 상기 제1 관의 관로를 따라 흐르는 유체에 대한 여과 기능이 구비된 필터(filter)를 포함하고, 상기 관 이음부는, 상기 제1 관이 삽입되고, 삽입된 상기 제1 관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내주면을 가진 압착내면 및 상기 압착내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 관의 외주면에 박힌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파이크를 구비하여 상기 제1 관에 접합되며, 상기 관 접속부는 제2 관이 삽입될 수 있게 상기 제2 관의 외경에 비하여 큰 내경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관은 외주면에 상기 스파이크가 박힌 요부를 구비한, 소켓을 가진 관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호 연결할 제1 관 및 제2 관과; 상기 제1 관이 삽입된 관 이음부 및 상기 제2 관이 삽입된 관 접속부를 구비하며, 상기 관 접속부가 상기 관 이음부의 맞은편에 배치된 소켓관과; 상기 제2 관과 상기 관 접속부 사이에 개재된 실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관 이음부는 상기 제1 관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내주면을 가진 압착내면 및 상기 압착내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 관의 외주면에 박힌 스파이크를 구비하여 상기 제1 관에 접합되며, 상기 관 접속부는 상기 제2 관의 외경에 비하여 큰 내경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관은 외주면에 상기 스파이크가 박힌 요부를 구비한, 관 연결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과제의 해결 수단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 도면 등을 통하여 보다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될 것이다. 또한, 이하에서는 언급한 해결 수단 이외의 다양한 해결 수단이 추가로 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관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압착내면 및 관의 외주면에 박히는 스파이크에 의하여 관의 단부에 일체형 구조로 접합되는 관 연결용 소켓관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소재적 특성 등에 따라 단부에 소켓을 직접적으로 형성하기가 매우 어려운 관(예를 들어, 강관)에 소켓관을 비용접 방식으로 접합하여 소켓을 가진 관을 제공할 수 있다. 또, 소켓관 접합에 따르면, 강관도 용접 이음이 아닌 메커니컬 조인트나 타이튼 조인트 방식으로 상호 연결 가능하기 때문에,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강관에 대하여 내, 외면코팅의 손상 없이 경제적으로 상호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스파이크가 닫힌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관에 박힌 때 링 형상의 실링재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관과 소켓링의 접합부에 대하여 향상된 기밀성을 보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관의 선단에 관단턱이 마련되고, 소켓관의 내주에 관단턱이 걸리는 내주턱이 마련되어, 서로 접합된 관과 소켓관의 분리가 관단턱과 내주턱의 걸림작용에 의하여 재차 방지되기 때문에, 관과 소켓관의 접합 상태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관의 선단 부분에 외주를 선단 쪽으로 갈수록 확대시키는 테이퍼가 형성되고, 압착내면에도 관의 테이퍼에 대응하는 형상의 테이퍼가 형성되기 때문에, 서로 접합된 관과 소켓관이 분리되는 것을 강력하게 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관의 선단 부분 외주영역에 소켓관의 관 이음부를 배치한 후, 관의 선단 부분으로 확관금형을 삽입하여, 관의 선단 부분에 확대된 형상의 확관부를 형성하고, 확관부의 외주면을 압착내면의 내주면과 밀착시킴과 아울러, 확관부의 외주면에 스파이크가 박히도록 하기 때문에, 관과 소켓관을 간단한 공정으로 접합할 수 있고, 관과 소켓관의 접합부에 대한 접합강도와 기밀성 향상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관 연결구조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소켓관이 도시된 단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소켓관의 일부분이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소켓을 가진 관의 제조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제1 관과 소켓관 접합공정의 일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제1 관과 소켓관 접합공정의 다른 예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와 도 6의 접합공정에서 발생하는 소성변형과 탄성변형의 관계가 도시된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관 연결구조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관 연결구조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관 연결구조의 주요 부분이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관 연결구조의 주요 부분이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소켓관이 도시된 단면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관 연결구조의 주요 부분이 도시된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참조하는 도면에서 구성요소의 크기나 선의 두께 등은 이해의 편의상 다소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데 사용되는 용어는 주로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한 것이므로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용어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해석하는 것이 마땅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소켓관(도면부호 30 참조)을 이용한 관 연결구조를 나타내고,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소켓관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도면부호 10과 20은 서로 연결할 한쪽의 제1 관과 다른 쪽의 제2 관으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관 연결구조는 이들 제1 관(10)과 제2 관(20)이 메커니컬 조인트 방식에 의하여 서로 연결된다. 또한,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관 연결구조는, 관의 상호 연결을 위한 소켓을 제공하는 소켓관(30), 관의 상호 연결 시 기밀 유지를 위한 실링부재(40), 관의 상호 연결을 유지시키는 결속수단(50)을 포함한다.
재질에 따르면, 제1 관(10)과 제2 관(20)은, 강(steel), 철(iron),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 또는 알루미늄(aluminium, Al) 등을 포함하는 금속 소재로 이루어진 관일 수도 있고, 합성수지 등의 비금속 소재로 이루어진 관일 수도 있다. 제1 관(10)과 제2 관(20)은, 서로 동일한 재질의 관일 수도 있고, 상이한 재질의 관일 수도 있다.
또, 형태에 따르면, 제1 관(10)과 제2 관(20)은, 곧은 직관일 수도 있고, 곡관 또는 T자관과 같은 이형관일 수도 있다. 그리고, 횡단면이 원형일 수도 있고 사각형 등의 다각형일 수도 있다. 제1 관(10)과 제2 관(20)의 형태는 서로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관(30)은 관 이음부(30B) 및 관 접속부(30C)를 포함한다. 도면부호 30A는 관 구조를 가진 소켓관 본체부이고, 도면부호 30D는 결속수단(50)의 체결기구(52, 53)가 걸리는 걸림부로, 소켓관(30)은 이들 소켓관 본체부(30A)와 걸림부(30D)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소켓관(30)은 금속 또는 비금속으로 이루어지고 금형을 이용하여 성형하는 방식으로 제작되어 소켓관 본체부(30A), 관 이음부(30B), 관 접속부(30C) 및 걸림부(30D)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소켓관 본체부(30A)는 관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됨에 따라 내주를 가진다. 관 이음부(30B)는, 소켓관 본체부(30A)의 길이방향 한쪽 내주에 마련되고, 제1 관(10)의 어느 한쪽 단부가 삽입된다. 관 접속부(30C)는, 소켓관 본체부(30A)의 길이방향 다른 쪽 내주에 마련되어 관 이음부(30B)의 맞은편에 배치되고, 제2 관(20)의 어느 한쪽 단부가 삽입된다. 물론, 관 이음부(30B)와 관 접속부(30C)는 공간적으로 서로 연결된다. 걸림부(30D)는 소켓관 본체부(30A)의 외주에 마련된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관 이음부(30B)에 삽입되는 제1 관(10)의 어느 한쪽 단부를 제1 관(10)의 삽입단부라 칭하기로 하고, 관 접속부(30C)에 삽입되는 제2 관(20)의 어느 한쪽 단부를 제2 관(20)의 삽입단부라 칭하기로 한다.
관 이음부(30B)는, 제1 관(10)의 삽입단부(도면부호 11 참조) 외주면에 긴밀히 밀착되어 제1 관(10)의 삽입단부를 압착하는 내주면을 가진 압착내면(31) 및 압착내면(31)으로부터 중심 쪽으로 돌출되어 제1 관(10)의 삽입단부 외주면에 견실하게 박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파이크(32)를 구비함으로써, 제1 관(10)의 삽입단부에 접합된다. 즉, 소켓관(30)이 제1 관(10)의 삽입단부에 접합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압착내면(31)의 내주면이 제1 관(10)의 삽입단부 외주면에 밀착된 구성에 의하면, 제1 관(10)의 삽입단부가 압착내면(31)에 의하여 압착되기 때문에, 접합된 소켓관(30)이 편심하중 등에 의하여 건들거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써 제1 관(10)에 소켓관(30)을 한층 향상된 강도로 접합할 수 있다. 아울러, 제1 관(10)과 소켓관(30)의 접합부에 기밀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스파이크(32)가 제1 관(10)의 삽입단부 외주면에 박힌 구성에 의하면, 제1 관(10)과 소켓관(30)이 구조적으로 결합되기 때문에, 압착내면(31)과의 복합작용에 의하여 접합부의 접합강도 및 기밀성을 더 상승시킬 수 있다.
스파이크(32)는 압착내면(31)에 내주방향을 따라 닫힌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 관(10)과 소켓관(30)의 접합부에 대한 기밀 유지를 원주방향 전반에 걸쳐 수행하게 되며, 제1 관(10)의 외주면은 개스킷(gasket)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물론, 스파이크(32)의 개수를 증가시키면, 접합부에 대한 기밀성은 더욱 강화된다.
이와 같은 스파이크(32)는 제1 관(10)의 삽입단부 외주면에 용이하게 박히도록 선단을 포함하는 부분이 뾰족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 스파이크(32)는 돌출 길이 및 너비가 일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 스파이크(32)는, 제1 관(10)에서 삽입단부의 횡단면 형상이 원형이면, 제1 관(10)의 삽입단부 형상에 대응하는 폐원형 형상(닫힌 원형 형상, closed circular shape)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관(10)의 삽입단부 외주면에는 닫힌 링 형상으로 형성된 스파이크(32)가 박힘에 따라 스파이크(32)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의 요부(12)가 형성된다. 즉, 요부(12)가 제1 관(10)의 삽입단부 외주방향을 따라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물론, 요부(12)는, 오목하게 형성되고, 박힌 스파이크(32)와 긴밀하게 밀착된다.
제1 관(10)의 삽입단부 선단에는 외측으로 벌어진 형상의 관단턱(13)이 마련되고, 소켓관 본체부(30A)의 내주에는 관단턱(13)이 걸리는 내주턱(33)이 마련됨으로써, 제1 관(10)과 소켓관(30)은 이들 관단턱(13)과 내주턱(33)의 걸림작용, 압착내면(31)의 밀착 및 압착작용, 스파이크(32)의 박힘작용 등에 의하여 분리 및 이탈이 강력히 저지되어 접합이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내주턱(33)은, 관 이음부(30B)와 관 접속부(30C) 사이에 배치되고, 제1 관(10) 또는 소켓관(30)에 분리되는 방향(도 1을 기준으로, 제1 관에는 좌측, 소켓관에는 우측)으로 외력이 작용하는 때에 관단턱(13)이 걸리는 걸림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관 접속부(30C)는 제2 관(20)의 삽입단부 외경에 비하여 큰 내경으로 형성되어 제2 관(20)의 삽입단부를 자유롭게 삽입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실링부재(40)는 기밀성 재질(고무 등)로 이루어진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링부재(40)는 제2 관(20)의 삽입단부와 관 접속부(30C) 사이에 개재된다. 관 접속부(30C)의 내주면에는 실링부재(40)를 수용하여 실링부재(40)의 이탈을 저지하는 실링공간(34)이 마련된다. 이러한 실링공간(34)은 관 접속부(30C)의 내주면에서 제2 관(20)의 삽입단부가 삽입되는 입구에 배치되어 관 접속부(30C)의 입구 쪽으로 터진 형상을 가진다.
결속수단(50)은 관 이음부(30B)에 접합된 제1 관(10)과 관 접속부(30C)에 삽입된 제2 관(20)을 결속하여 삽입관(30)을 매개로 상호 연결되는 제1 관(10)과 제2 관(20)의 분리를 방지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속수단(50)은, 제2 관(20)의 외주에 끼워진 압륜(51), 소켓관(30)과 압륜(51)을 체결하는 체결기구(52, 53), 그리고 제2 관(20)에 대한 압륜(51)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위치고정기구(54)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체결기구(52, 53)는 소켓관(30)과 압륜(51)을 볼트 조임에 의하여 접근시키도록 구성된다. 압륜(51)은 체결기구(52, 53)에 의한 볼트 조임 시 실링공간(34)에 대하여 실링부재(40)를 압박하는 가압면을 가진다. 이러한 압륜(51)의 가압면에 의한 압박작용에 따르면, 실링부재(40)는 실링공간(34)에 압입 상태로 수용된다.
체결기구(52, 53)는 서로 나사결합이 되는 복수 짝의 체결볼트(52)와 체결너트(53)로 구성된다. 체결볼트(52)들은 볼트 머리가 걸림부(30D)에 각각 걸린다. 압륜(51)은 체결볼트(52)들의 볼트 몸체가 각각 통과하는 관통구멍들을 가진다. 관통구멍들은 압륜(51)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는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체결너트(53)들은 걸림부(30D)에 걸린 상태로 압륜(51)의 관통구멍들을 통과한 체결볼트(52)들의 볼트 몸체에 각각 결합된다.
체결볼트(52)들과 체결너트(53)들의 결합은 걸림부(30D)에 체결볼트(52)들의 볼트 머리가 아닌 체결너트(53)들이 걸린 상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걸림부(30D)는, 소켓관 본체부(30A)의 외주에 외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단턱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소켓관 본체부(30A)의 외주에 체결볼트(52)들이 통과 가능하게 형성된 구멍 및 이 구멍의 주변 부분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위치고정기구(54)는 복수의 스파이크 볼트로 구성된다. 스파이크 볼트(54)들은 압륜(51)에 각각 반경방향으로 배치된 상태로 나사결합이 되어 회전방향에 따라 제2 관(20)의 외주면에 대하여 이격되거나 접근된다. 물론, 스파이크 볼트(54)들이 압륜(51)의 외주면에 접근되면, 압륜(51)은 위치가 고정된다. 스파이크 볼트(54)들은 압륜(51)의 관통구멍들 사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살펴본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르면, 압착내면(31) 및 스파이크(32)에 의하여 제1 관(10)의 삽입단부에 우수한 강도와 기밀성을 가지도록 일체형 구조로 접합되는 관 연결용 소켓관(30)이 제공된다. 또, 제1 관(10)과 소켓관(30)이 이렇게 비용접 방식으로 접합됨에 따라 소켓을 가진 관이 제공된다.
제1 관(10) 및 제1 관(10)의 삽입단부에 접합된 소켓관(30)으로 구성되어 소켓을 가진 관은, 제1 관(10) 및 소켓관(30) 둘 모두가 금속 소재로 이루어진 경우, 제1 관(10)의 삽입단부에 횡단면이 확관가공으로 인하여 상대적으로 확대된 형상의 확관부(11)를 형성하는 소켓관 접합공정을 거쳐 제조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에는 소켓을 가진 관의 제조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금속 소재의 제1 관(10) 및 금속 소재의 소켓관(30)을 준비한다. 이 때, 준비된 제1 관(10)은 횡단면 크기가 전반적으로 일정하도록 제작될 수 있다. 준비된 소켓관(30)은 소켓관 본체부(30A), 내주의 관 이음부(30B)와 관 접속부(30C) 그리고 외주의 걸림부(30D)를 포함하도록 제작되어 압착내면(31), 스파이크(32), 내주턱(33) 및 실링공간(34)을 가진다. 관 이음부(30B)는 준비된 제1 관(10)에서 확관부(11)를 형성할 부분(이하, 확관할 부분이라 한다.)의 최대 외경에 비하여 큰 최소 내경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다음, 준비된 제1 관(10)에서 확관할 부분의 선단에 외측으로 벌어진 형상의 관단턱(13)을 형성한다. 일례로, 관단턱(13)은 별도의 확관가공을 수행하여 형성할 수 있다.
그 다음,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관(10)에서 확관할 부분의 외주에 소켓관(30)의 관 이음부(30B)를 끼운다. 이 때, 관 이음부(30B)는 중심이 제1 관(10)의 확관할 부분과 일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음, 도 5의 (B)에서와 같이, 확관부(11)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확관금형(100)을 제1 관(10)의 확관할 부분으로 소정의 속도 및 압력으로 삽입한다. 그러면, 제1 관(10)에서 확관할 부분은 삽입되는 확관금형(100)에 의하여 반경방향으로 전반적으로 균일하게 확대되면서 관 이음부(30B)에 밀착된다. 이 때, 확관할 부분에는 횡단면이 상대적으로 확대된 확관부(11)가 형성된다. 또, 확관부(11)는, 외주면이 압착내면(31)의 내주면과 틈새 없이 밀착되고, 외주면에 스파이크(32)가 파고들면서 강하게 박힘에 따라 스파이크(32)가 박힌 요부(12)가 형성된다. 물론, 요부(12)는 스파이크(32)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관단턱(13)은 내주턱(33)에 걸리도록 배치된다.
그 다음, 삽입된 확관금형(100)을 반대방향으로 이동시켜 확관부(11)와 분리한다. 그러면, 제1 관(10)의 삽입단부에 해당하는 확관부(11)에 소켓관(30)이 일체형 구조로 견고하게 접합된, 소켓을 가진 관이 제공된다.
한편, 도 5 등에는 확관가공으로 형성된 확관부(11)의 횡단면 크기가 일정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확관부(11)는 횡단면 크기가 선단 쪽으로 갈수록 점차 증가하도록 확대된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단면 크기가 선단 쪽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확관부(11)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 확관금형(100)을 이용하여 확관부(11)를 형성할 수 있다. 그러면, 확관부(11)가 일정 각도(a)의 테이퍼를 가지고, 압착내면(31)도 확관부(11)의 테이퍼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테이퍼를 가지므로, 서로 접합된 제1 관(10)과 소켓관(30)이 외력으로 인하여 분리되는 것을 강력하게 저지할 수 있다.
제1 관(10)과 소켓관(30)의 접합부에 대한 접합강도와 기밀성 향상을 고려할 때, 확관부(11)의 외경은 확관 전 압착내면(31)의 내경에 비하여 큰 상태로 유지되고, 압착내면(31)은 소성변형이 확관부(11)에 비하여 작아 내경이 확관부(11)의 외경에 비하여 작은 상태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제1 관(10)의 재질로는 상대적으로 탄성영역이 작고 탄성계수도 적은 가소성 금속 소재가 유리하고, 소켓관(30)의 재질로는 상대적으로 탄성영역이 커서 확관가공에 의하여 확관된 후에도 사실상 원상으로 복원되거나 원상에 가깝게 복원될 수 있는 금속 소재가 유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관(10)으로는 강관을 적용하고, 소켓관(30)은 주철 소재로 제작하면, 확관가공 후, 압착내면(31)에 의하여 확관부(11)를 보다 큰 힘으로 압착하여 향상된 접합강도를 가진 접합부를 제공할 수 있다.
강과 주철은, 기본적으로 동일한 철이나, 탄소 함량 면에서 차이가 있다. 주철은 강에 비하여 탄소 함량이 많아서 강에 비하여 탄성강도가 높고 항복강도가 높다.
도 7은 제1 관(10)으로서 강관을 적용하고 소켓관(30)을 주철 소재로 제작한 경우에 확관가공 시 발생하는 소성변형과 탄성변형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관인 제1 관(10)과 주철 소재인 소켓관(30)은 탄소 함량이 상이하므로 변형량이 서로 다르다.
제1 관(10)의 확관할 부분 외주에 소켓관(30)의 관 이음부(30B)를 배치하고, 확관금형(100)을 확관할 부분으로 삽입하여 확관할 부분의 외경을 Dmax까지 확대시킨 다음, 확관금형(100)을 분리하면, 제1 관(10)의 확관할 부분은 외경(Dp)이 청색선을 따라 변형되고, 소켓관(30)의 압착내면(31)은 내경(Ds)이 적색선을 따라 변형된다. 그래프에서 적색선의 기울기가 청색선에 비하여 큰 것은 주철 소재로 이루어진 소켓관(30)의 탄성강도가 강관인 제1 관(10)에 비하여 크기 때문이다. 청색선에 있는 꺾인 점은 강관인 제1 관(10)의 항복강도를 나타낸다. 적색선에 꺾인 점이 없는 것은 주철 소재인 소켓관(30)의 항복강도가 그래프에 나타난 최대 포스(force)에 비하여 높기 때문이다.
확관가공 수행 전에는 제1 관(10)에서 확관할 부분 외경(Dp1)이 압착내면(31)의 내경(Ds)에 비하여 작아 확관할 부분이 관 이음부(30B)로 삽입되나, 확관가공 완료 후에는 확관부(11)의 외경(Dp2)이 압착내면(31)의 내경(Ds)에 비하여 커지기 때문에, 확관부(11)는, 외주면이 압착내면(31)에 의하여 압착되고, 또한 외주면에 스파이크(32)가 박힌다. 확관가공으로 접합된 제1 관(10)과 소켓관(30)은 서로 밀착된 확관부(11)의 외주면과 압착내면(31)의 내주면이 확관가공 완료 후에도 잔류응력에 의하여 계속적으로 서로를 밀어내므로 일체형 구조 및 우수한 기밀성을 가진다.
살펴본 바와 같이, 제1 관(10)과 소켓관(30)의 재료 물성은 제1 관(10)과 소켓관(30)을 확관가공으로 접합 시 영향을 미치는 중요 인자로 작용한다. 또한, 제1 관(10)이나 소켓관(30)에 있어서 두께 등 구조적인 변수도 탄성강도 및 항복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인바, 제1 관(10)이나 소켓관(30)의 두께와 같은 구조적 형상을 변형하여 확관가공에 요구되는 제1 관(10)이나 소켓관(30)의 재료 물성을 적절하게 보완할 수 있다.
한편, 도 1을 참조하면, 확관부(11)는 제2 관(20)의 삽입단부가 삽입되는 내경을 가지도록 확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하여 제공되는 소켓을 가진 관에서 관과 소켓관의 접합부에 대한 우수성을 확인하고자 다음과 같이 접합부에 대한 접합강도와 내압을 시험하였다.
1. 접합강도 시험
관으로서 150A, 두께 4.6㎜의 강관을 적용하였고, 이 강관에 주철 소재의 소켓관을 확관가공(확관금형 이용)으로 접합하였다. 그리고, 접합된 강관과 소켓관에 지그(jig)를 이용하여 서로 분리되는 방향으로 하중을 가하였다. 표 1에서와 같이, 스파이크(32)와 관단턱(13)의 조건은 서로 달리하였으나, 나머지는 서로 동일한 조건 하에서 시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시험 1에서는 6.5ton, 시험 2에서는 15.3ton, 시험 3에서는 25ton, 시험 4에서는 40ton에서 각각 강관과 소켓관의 접합이 해제되었다.
시험 1에 의하면, 스파이크(32)와 관단턱(13) 없이, 강관의 외주면과 소켓관의 압착내면(31)이 긴밀히 밀착되어 서로 압착되어 있는 것만으로도 상당한 접합강도가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시험 2 내지 시험 4에 의하면, 스파이크(32) 또는 관단턱(13)의 적용 여부, 스파이크(32)의 돌출 길이, 관단턱(13)의 길이에 따라 접합강도의 상향 조정이 이루어짐을 알 수 있는바, 접합강도를 요구의 수준으로 상승시킬 수 있다.
[표 1]
Figure pat00001
2. 내압 시험
관으로서 150A, 두께 4.6㎜의 강관을 적용하였고, 이 강관에 주철 소재의 소켓관을 확관가공(확관금형 이용)으로 접합하였다. 그리고, 접합된 강관과 소켓관에서 개구(소켓을 가진 관의 길이방향 양쪽 개구)를 강판으로 밀봉(용접 이용)한 후, 밀봉된 내부에 펌프(pump)로 물을 주입하면서 압력계로 내압을 측정하였다. 이 때, 스파이크(32)와 관단턱(13)의 조건은 표 2와 같다.
그 결과, 내압이 5Mpa을 초과하기 시작하자, 소켓관(주철)과 강판 간의 용접 특성이 좋지 않은 점 때문에, 강관과 소켓관의 접합부가 아니라, 소켓관 쪽의 밀봉 부분에서 먼저 누수가 발생되었다. 이에 의하면, 수밀성(기밀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참고로, 측정된 내압 5Mpa은 수도용 강관의 내압에 대한 KS 규격인 2.5Mpa을 크게 상회하는 수치이다.
[표 2]
Figure pat00002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소켓관을 이용한 관 연결구조를 나타낸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관 연결구조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볼 때, 기타 구성 및 작용은 동일한 것에 대하여, 제1 관(10)과 제2 관(20)을 메커니컬 조인트 방식 대신 타이튼 조인트 방식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된 점이 상이하다.
도면부호 40-1은 타이튼 조인트 방식의 실링부재이다. 도면부호 34-1은 실링부재(40-1)를 수용하기 위한 실링공간으로, 실링공간(34-1)은 관 접속부(도 2와 도 3의 도면부호 30C 참조)의 내주면 중간에 내주방향을 따라 마련된다. 링 형상의 실링부재(40-1)는 관 접속부(도 2와 도 3의 도면부호 30C 참조)에 제2 관(20)의 삽입단부가 삽입되면 제2 관(20)의 삽입단부에 의하여 압착된다. 이 때, 압착된 실링부재(40-1)는, 실링공간(34-1) 및 제2 관(20)의 삽입단부에 자체 복원력에 의하여 긴밀히 밀착됨으로써, 관 접속부(도 2와 도 3의 도면부호 30C 참조)와 제2 관(20) 사이의 기밀을 유지함과 아울러, 관 접속부(도 2와 도 3의 도면부호 30C 참조)와 제2 관(20)의 분리를 저지한다.
타이튼 조인트 방식을 이용하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관 연결구조는 메커니컬 조인트 방식을 위한 결속수단(도 1의 도면부호 50 참조)이 제외된 구성을 가진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소켓관을 이용한 관 연결구조를 나타낸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관 연결구조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또는 제2 실시예와 비교하여 볼 때, 기타 구성 및 작용은 모두 동일한 데 대하여, 제1 관(10)의 확관부(11) 내부에 제2 관(20)의 삽입단부가 삽입되지 않고, 제1 관(10)의 확관부(11) 선단 쪽에 제2 관(20)의 삽입단부 선단 쪽이 맞대어진 상태에서, 제1 관(10)과 제2 관(20)이 서로 연결되는 점만이 상이하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확관부(11)의 확관량을 감소시켜 확관부(11)에 확관가공에 의하여 작용하는 스트레스(stress)를 줄일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관 연결구조의 주요 부분을 나타낸다. 도 10에 있어서, (B)는 (A)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와 비교하여 볼 때, 기타 구성 및 작용은 모두 동일한 것에 대하여, 소켓관(30)의 외주면에 홈 구조를 가진 탄성제공부(35)가 단수 또는 복수로 형성된 점만이 상이하다.
탄성제공부(35)는, 소켓관(30)의 탄성계수를 낮추는 역할을 하는바, 관 이음부(30B) 쪽 외주에 배치되어 확관금형(도 5 및 도 6의 도면부호 100 참조)을 이용한 확관가공 시 소켓관(30)의 탄성변형량을 증대시킨다. 참고로, 탄성제공부(35)는 확관가공 시 관 이음부(30B)의 내주면 확대 변형이 보다 일정하게 이루어지도록 복수 개가 소켓관(30)의 외주방향을 따라 균일 간격으로 마련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관 연결구조의 주요 부분을 나타낸다. 도 11,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관 연결구조는, 상기한 제1 실시예 내지 제4 실시예와 비교하여 볼 때, 기타 구성 및 작용은 모두 동일한 데 대하여, 체결너트(53)들을 조이거나 푸는 과정에서 짝을 이루는 체결볼트(52)들이 동일방향으로 함께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을 더 포함하는 점만이 상이하다.
이를 위하여, 걸림부(30D)는, 체결볼트(52)들의 볼트 머리가 걸리는 단턱 및 단턱의 걸림면에 형성된 걸림홈(36)을 가진다. 걸림부(30D)의 단턱은, 소켓관 본체부(30A)의 외주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체결볼트(52)들의 볼트 머리가 걸리는 쪽 면을 걸림면으로 한다. 걸림홈(36)은 걸림면을 따라 형성되어 고리형 구조를 가진다. 체결볼트(52)들의 볼트 머리에는 걸림홈(36)에 삽입되는 걸림돌기(52-1)가 각각 형성된다.
이 같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는, 걸림돌기(52-1)가 걸림홈(36)에 삽입된 상태로 체결볼트(52)들에 체결너트(53)들을 결합하면, 결합된 체결너트(53)들을 풀거나 다시 조일 때 걸림홈(36)에 대한 걸림돌기(52-1)의 걸림작용으로 인하여 체결볼트(52)가 체결너트(53)와 함께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관 연결구조의 주요 부분을 나타낸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6 실시예는 제1 관(10)의 관로를 개폐하는 밸브 바디가 구비된 개폐유닛(60)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예시한다. 즉, 밸브에 해당하는 개폐유닛(60)이 적용될 수 있음을 예시하는 것으로, 개폐유닛(60)을 구성하는 핸들(handle)의 조작방향에 따라 제1 관(10)의 관로가 밸브 바디에 의하여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다. 실시 조건 등에 따라서는, 이 같은 개폐유닛(60) 대신, 일정 기간 사용한 후에 교환하여 주어야 하는 필터(filter) 등이 제1 관(10)의 관로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제6 실시예는, 제1 실시예 내지 제5 실시예와 비교하여 볼 때, 기타 구성 및 작용은 모두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이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기술적 사상은, 각각 독립적으로 실시될 수도 있고, 둘 이상이 서로 조합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10 : 제1 관
11 : 확관부
12 : 요부
13 : 관단턱
20 : 제2 관
30 : 소켓관
30A : 소켓관 본체부
30B : 관 이음부
30C : 관 접속부
30D : 걸림부
31 : 압착내면
32 : 스파이크
33 : 내주턱
34, 34-1 : 실링공간
40, 40-1 : 실링부재
50 : 결속수단
60 : 개폐유닛
100 : 확관금형

Claims (11)

  1. 제1 관이 삽입되고, 삽입된 상기 제1 관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내주면을 가진 압착내면 및 상기 압착내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 관의 외주면에 박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파이크를 구비하여 상기 제1 관에 접합되는 관 이음부와;
    상기 관 이음부의 맞은편에 배치되며, 제2 관이 삽입될 수 있게 상기 제2 관의 외경에 비하여 큰 내경을 가진 관 접속부를 포함하는,
    관 연결용 소켓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파이크는 상기 압착내면의 내주면을 따라 닫힌 링 형상으로 형성된,
    관 연결용 소켓관.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관 이음부에 삽입된 형태로 접합되는 제1 관 및 상기 관 접속부에 삽입되는 제2 관을 결속하는 결속수단의 체결기구가 걸리는 걸림부를 더 포함하는,
    관 연결용 소켓관.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관 접속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관 접속부에 삽입되는 제2 관과의 사이에 개재되는 실링부재를 수용하는 실링공간이 형성된,
    관 연결용 소켓관.
  5. 제1 관과;
    관 이음부 및 상기 관 이음부의 맞은편에 배치된 관 접속부를 구비한 소켓관을 포함하고,
    상기 관 이음부는, 상기 제1 관이 삽입되고, 삽입된 상기 제1 관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내주면을 가진 압착내면 및 상기 압착내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 관의 외주면에 박힌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파이크를 구비하여 상기 제1 관에 접합되며,
    상기 관 접속부는 제2 관이 삽입될 수 있게 상기 제2 관의 외경에 비하여 큰 내경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관은 외주면에 상기 스파이크가 박힌 요부를 구비한,
    소켓을 가진 관.
  6. 적어도 어느 한쪽 단부에 확관가공에 의하여 확대된 형상의 확관부가 형성된 금속의 제1 관과;
    관 이음부 및 상기 관 이음부의 맞은편에 배치된 관 접속부를 구비한 금속의 소켓관을 포함하고,
    상기 관 이음부는, 상기 확관부가 삽입되고, 삽입된 상기 확관부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내주면을 가진 압착내면 및 상기 압착내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확관부의 외주면에 박힌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파이크를 구비하여 상기 확관부에 접합되며,
    상기 관 접속부는 제2 관이 삽입될 수 있게 상기 제2 관의 외경에 비하여 큰 내경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관은 상기 확관부의 외주면에 상기 확관가공에 의하여 상기 압착내면이 밀착되고 상기 스파이크가 박혀 상기 스파이크가 박힌 요부를 구비한,
    소켓을 가진 관.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확관가공은, 상기 제1 관에서 상기 확관부를 형성할 단부(이하, 확관할 부분이라 한다.)의 외주에 상기 소켓관의 관 이음부를 배치하고, 상기 확관부에 대응되는 확관금형을 상기 확관할 부분으로 삽입하여 상기 확관부를 형성하는,
    소켓을 가진 관.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확관부는 상기 확관가공에 의하여 횡단면 크기가 일정하도록 확대되거나 선단 쪽으로 갈수록 증가하도록 확대된,
    소켓을 가진 관.
  9. 청구항 5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확관부의 선단에는 외측으로 벌어진 형상의 관단턱이 마련되고,
    상기 소켓관의 내주에는 상기 관단턱이 걸리는 내주턱이 마련된,
    소켓을 가진 관.
  10. 제1 관과;
    관 이음부 및 상기 관 이음부의 맞은편에 배치된 관 접속부를 구비한 소켓관과;
    상기 제1 관의 관로를 개폐하는 밸브 기능이 구비된 개폐유닛 또는 상기 제1 관의 관로를 따라 흐르는 유체에 대한 여과 기능이 구비된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관 이음부는, 상기 제1 관이 삽입되고, 삽입된 상기 제1 관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내주면을 가진 압착내면 및 상기 압착내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 관의 외주면에 박힌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파이크를 구비하여 상기 제1 관에 접합되며,
    상기 관 접속부는 제2 관이 삽입될 수 있게 상기 제2 관의 외경에 비하여 큰 내경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관은 외주면에 상기 스파이크가 박힌 요부를 구비한,
    소켓을 가진 관.
  11. 상호 연결할 제1 관 및 제2 관과;
    상기 제1 관이 삽입된 관 이음부 및 상기 제2 관이 삽입된 관 접속부를 구비하며, 상기 관 접속부가 상기 관 이음부의 맞은편에 배치된 소켓관과;
    상기 제2 관과 상기 관 접속부 사이에 개재된 실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관 이음부는 상기 제1 관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내주면을 가진 압착내면 및 상기 압착내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 관의 외주면에 박힌 스파이크를 구비하여 상기 제1 관에 접합되며,
    상기 관 접속부는 상기 제2 관의 외경에 비하여 큰 내경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관은 외주면에 상기 스파이크가 박힌 요부를 구비한,
    관 연결구조.
KR1020180063046A 2017-11-30 2018-05-31 소켓관, 이를 가진 관 및 이를 이용한 관 연결구조 KR2019013684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3046A KR20190136848A (ko) 2018-05-31 2018-05-31 소켓관, 이를 가진 관 및 이를 이용한 관 연결구조
CN201811451884.7A CN109854829B (zh) 2017-11-30 2018-11-30 插口管、具有插口管的管及利用插口管的管连接结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3046A KR20190136848A (ko) 2018-05-31 2018-05-31 소켓관, 이를 가진 관 및 이를 이용한 관 연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6848A true KR20190136848A (ko) 2019-12-10

Family

ID=69003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3046A KR20190136848A (ko) 2017-11-30 2018-05-31 소켓관, 이를 가진 관 및 이를 이용한 관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36848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8570A (ko) 1990-10-25 1992-05-28 강진구 오디오 증폭기의 전원회로
KR20060099160A (ko) 2005-03-10 2006-09-19 주식회사 삼정파인스 파이프 이음부재
KR101037586B1 (ko) 2011-04-25 2011-05-27 주식회사 휴비코 이탈방지 압륜용 피복 강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8570A (ko) 1990-10-25 1992-05-28 강진구 오디오 증폭기의 전원회로
KR20060099160A (ko) 2005-03-10 2006-09-19 주식회사 삼정파인스 파이프 이음부재
KR101037586B1 (ko) 2011-04-25 2011-05-27 주식회사 휴비코 이탈방지 압륜용 피복 강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819099A (en) Flange union fitting with contractible lined wedge
JP6374250B2 (ja) 接合部の補強治具
JP2004509304A (ja) 内部スエージング式継手金具
US9982813B2 (en) Swage fitting
KR20140008346A (ko) 관 조인트
JP2006520456A (ja) 流体継手
JPH02278094A (ja) 片持リップ導管カップリング部材とその組立体
US8226128B2 (en) Releasable nut-free C-clip secured pipe fitting
WO2020211559A1 (zh) 管道连接结构
US20070013189A1 (en) Sealing fitting for stainless steel tubing
CN201359152Y (zh) 一种管道连接结构
EP2547947B1 (en) Hose coupling
JP2015140808A (ja) 離脱防止管継手
KR20190136848A (ko) 소켓관, 이를 가진 관 및 이를 이용한 관 연결구조
KR101723205B1 (ko) 냉매관 연결구
KR20190138217A (ko) 소켓을 가진 금속관 및 이를 이용한 관 연결구조
CN106594416A (zh) 一种铜管用胶铜结合卡圈
CN109854829B (zh) 插口管、具有插口管的管及利用插口管的管连接结构
KR102276622B1 (ko) 너트형 이탈방지압륜을 이용한 관의 결합 구조
JP5431785B2 (ja) 管継手、パッキン輪、及び、管継手の組付方法
KR101752754B1 (ko) 압륜식 관 결속장치
KR20190136847A (ko) 플랜지, 플랜지붙이 관 및 플랜지붙이 관 제조방법
EP2000728A2 (en) General purpose fluid-tight gasket
KR20120105740A (ko) 에어컨 호스와 피팅 결합구조
WO2002057678A1 (en) Improved tube fitting sealing memb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1000272;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00128

Effective date: 20200526